KR102651980B1 - 모바일 디바이스의 결합된 주기적이고 트리거링된 로케이션을 가능하게 하는 시스템들 및 방법들 - Google Patents

모바일 디바이스의 결합된 주기적이고 트리거링된 로케이션을 가능하게 하는 시스템들 및 방법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1980B1
KR102651980B1 KR1020237016595A KR20237016595A KR102651980B1 KR 102651980 B1 KR102651980 B1 KR 102651980B1 KR 1020237016595 A KR1020237016595 A KR 1020237016595A KR 20237016595 A KR20237016595 A KR 20237016595A KR 102651980 B1 KR102651980 B1 KR 1026519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ation
periodic
user equipment
target user
network ent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165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73355A (ko
Inventor
스티븐 윌리엄 엣지
Original Assignee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15/707,406 external-priority patent/US11405863B2/en
Application filed by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2300733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33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19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198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20Services signaling; Auxiliary data signalling, i.e. transmitting data via a non-traffic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70Services for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 [M2M] or 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타겟 UE에서 주기적이고 트리거링된 로케이션을 개시하기 위한 방법들 및 기술들이 설명된다. LCS 클라이언트가 UE로부터 주기적이고 트리거링된 로케이션 보고의 개시를 요청한 후, 2개의 중간적 응답들이 네트워크에 의해 리턴된다. 제1 응답은 주기적이고 트리거링된 로케이션 요청이 네트워크에 의해 수신되고 수락되었음을 표시한다. 제2 응답은 주기적이고 트리거링된 로케이션이 UE에서 활성화되었음을 표시한다. 추가적으로, 주기적이고 트리거링된 로케이션 요청은 최대 이벤트 샘플링 인터벌 및 최대 보고 인터벌 및 하나 이상의 로케이션 트리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최대 이벤트 샘플링 인터벌은 UE 전력 소비를 제한할 수 있고, 최대 보고 인터벌은 주기적이고 트리거링된 로케이션이 UE에서 더 이상 활성이 아닌 때를 검출할 수 있다. 로케이션 트리거들은 주기적 보고, 영역 이벤트들을 사용하는 보고 또는 UE 모션에 기초한 보고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모바일 디바이스의 결합된 주기적이고 트리거링된 로케이션을 가능하게 하는 시스템들 및 방법들{SYSTEMS AND METHODS TO ENABLE COMBINED PERIODIC AND TRIGGERED LOCATION OF A MOBILE DEVICE}
[0001] 본 출원은, 35 USC §119 하에서, 2016년 11월 7일에 출원되고 발명의 명칭이 "COMBINED PERIODIC AND TRIGGERED LOCATION OF A MOBILE DEVICE"인 미국 가출원 제62/418,772호, 2017년 2월 3일에 출원되고 발명의 명칭이 "COMBINED PERIODIC AND TRIGGERED LOCATION OF A MOBILE DEVICE"인 미국 가출원 제62/454,639호, 2017년 1월 13일에 출원되고 발명의 명칭이 "CONTROL PLANE LOCATION SOLUTION FOR 5G NEXTGEN CORE"인 미국 가출원 제62/446,329호, 및 2017년 9월 18일에 출원되고 발명의 명칭이 "SYSTEMS AND METHODS TO ENABLE COMBINED PERIODIC AND TRIGGERED LOCATION OF A MOBILE DEVICE"인 미국 정식 출원 제15/707,406호의 이익 및 우선권을 주장하며, 상기 출원들 모두는 본 출원의 양수인에게 양도되었고 그 전체가 인용에 의해 본 출원에 통합되었다.
[0002] 본 개시는 일반적으로 통신에 관한 것이고, 더 구체적으로는 무선 네트워크와 관련하여 사용자 장비들(UE들)에 대한 로케이션 서비스들을 지원하기 위한 기술들에 관한 것이다.
[0003] IoT(Internet of Things)의 일부를 형성하는 UE들은 통상적으로 (예를 들어, 일부 산발적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오직 짧은 인터벌들 동안 무선 네트워크에 접속할 것이다. 예를 들어, IoT의 일부인 UE들은 eDRX(extended Discontinuous Reception) 또는 PSM(Power Saving Mode)과 같은 특징들을 포함할 수 있다. eDRX 또는 PSM에 있어서, UE는 유휴 상태로 유지될 수 있고, 긴 시간 기간(예를 들어, 몇 시간 이상) 동안 서빙 무선 네트워크로부터 도달가능하지 않고 서빙 무선 네트워크에 접속하지 않을 수 있다. UE가 유휴 상태로 유지되는 시간 기간 동안, UE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예를 들어, LCS(Location Services) 클라이언트)에 의해 도달가능하지 않아서 로케이션 서비스들을 제한하거나 차단할 수 있다. 이는 지오펜싱(geofencing), 자산 추적 및 어린이 또는 애완동물 로케이션과 같은 실시간 로케이션 서비스들을 방해 또는 지연시킬 수 있는데, 이는, UE가 유휴 상태에 있는 동안 UE의 로케이션이 획득될 수 있게 하기 위해 UE에 액세스하거나 UE로부터 신호들을 측정하는 것이 가능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러한 제한들을 극복하기 위한 방법들이 바람직할 수 있다.
[0004] 타겟 사용자 장비(UE)에서 주기적이고 트리거링된 로케이션 서비스를 개시하기 위한 방법들 및 기술들이 설명된다. LCS(Location Services) 클라이언트가 UE로부터 주기적이고 트리거링된 로케이션 보고의 개시를 요청한 후, 2개의 중간적 응답들이 리턴된다. 주기적이고 트리거링된 로케이션 서비스 요청이 네트워크 엔티티에 의해 수신되고 수락되었음을 표시하는 제1 응답이 네트워크 엔티티로부터 제공된다. 주기적이고 트리거링된 로케이션 요청이 UE에서 활성화되었음을 표시하는 제2 응답이 UE에 의해 제공된다. 제2 응답은 제1 응답 이후 곧 리턴될 수 있거나 또는 UE가 IoT(Internet of Things)의 일부이고 짧은 인터벌들 동안 무선 네트워크에 접속되면 제1 응답 이후 수 시간 또는 며칠 후 리턴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트리거링된 로케이션 서비스 요청은 최대 보고 인터벌 및 하나 이상의 로케이션 트리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최대 보고 인터벌 이후 어떠한 로케이션 보고도 제공되지 않으면, UE에서 로케이션 보고가 종료된 것으로 가정될 수 있다.
[0005] 일 구현에서, 제1 네트워크 엔티티가 타겟 사용자 장비에 대한 주기적이고 트리거링된 로케이션을 수행하는 방법은, 제2 네트워크 엔티티로부터 타겟 사용자 장비에 대한 주기적이고 트리거링된 로케이션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주기적이고 트리거링된 로케이션 요청이 수신되고 수락되었음을 표시하는 제1 응답을 제2 네트워크 엔티티에 송신하는 단계, 타겟 사용자 장비가 현재 도달가능한 상태에 있지 않으면, 타겟 사용자 장비가 무선 네트워크와 도달가능한 상태에 있을 때까지 대기하는 단계, 타겟 사용자 장비와 시그널링 접속을 설정하는 단계, 주기적이고 트리거링된 로케이션 요청을 타겟 사용자 장비에 송신하는 단계, 타겟 사용자 장비로부터, 주기적이고 트리거링된 로케이션 요청이 수락되었음을 표시하는 확인을 수신하는 단계; 및 주기적이고 트리거링된 로케이션 요청이 타겟 사용자 장비에서 활성화되었음을 표시하는 제2 응답을 제2 네트워크 엔티티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0006] 일 구현에서, 타겟 사용자 장비에 대한 주기적이고 트리거링된 로케이션을 수행하기 위한 제1 네트워크 엔티티는, 제2 네트워크 엔티티 및 타겟 사용자 장비와 통신하도록 구성되는 외부 인터페이스;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외부 인터페이스로, 타겟 사용자 장비에 대한 제2 네트워크 엔티티로부터 주기적이고 트리거링된 로케이션 요청을 수신하고, 주기적이고 트리거링된 로케이션 요청이 수신되고 수락되었음을 표시하는 제1 응답을 외부 인터페이스로 제2 네트워크 엔티티에 송신하고, 타겟 사용자 장비가 현재 도달가능한 상태에 있지 않으면, 타겟 사용자 장비가 무선 네트워크와 도달가능한 상태에 있을 때까지 대기하고, 외부 인터페이스를 통해 타겟 사용자 장비와 시그널링 접속을 설정하고, 주기적이고 트리거링된 로케이션 요청을 외부 인터페이스로 타겟 사용자 장비에 송신하고, 주기적이고 트리거링된 로케이션 요청이 수신되었다는 타겟 사용자 장비로부터의 확인응답을 외부 인터페이스로 수신하고, 주기적이고 트리거링된 로케이션 요청이 타겟 사용자 장비에서 활성화되었음을 표시하는 제2 응답을 제2 네트워크 엔티티에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0007] 일 구현에서, 타겟 사용자 장비에 대한 주기적이고 트리거링된 로케이션을 수행하기 위한 제1 네트워크 엔티티는, 제2 네트워크 엔티티로부터 타겟 사용자 장비에 대한 주기적이고 트리거링된 로케이션 요청을 수신하기 위한 수단, 주기적이고 트리거링된 로케이션 요청이 수신되고 수락되었음을 표시하는 제1 응답을 제2 네트워크 엔티티에 송신하기 위한 수단, 타겟 사용자 장비가 현재 도달가능한 상태에 있지 않으면, 타겟 사용자 장비가 무선 네트워크와 도달가능한 상태에 있을 때까지 대기하기 위한 수단, 타겟 사용자 장비와 시그널링 접속을 설정하기 위한 수단, 주기적이고 트리거링된 로케이션 요청을 타겟 사용자 장비에 송신하기 위한 수단, 타겟 사용자 장비로부터, 주기적이고 트리거링된 로케이션 요청이 수락되었음을 표시하는 확인을 수신하기 위한 수단; 및 주기적이고 트리거링된 로케이션 요청이 타겟 사용자 장비에서 활성화되었음을 표시하는 제2 응답을 제2 네트워크 엔티티에 송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0008] 일 구현에서, 주기적이고 트리거링된 로케이션을 수행하기 위한 사용자 장비에서의 방법은, 제1 네트워크 엔티티로부터 주기적이고 트리거링된 로케이션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 주기적이고 트리거링된 로케이션 요청은 로케이션 보고 이벤트의 타입, 및 최대 보고 인터벌, 최소 보고 인터벌 및 최대 이벤트 샘플링 인터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 주기적이고 트리거링된 로케이션 요청이 수락됨을 표시하는 응답을 제1 네트워크 엔티티에 리턴하는 단계, 로케이션 보고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로케이션 보고 이벤트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및 로케이션 보고 이벤트가 발생할 때 또는 최대 보고 인터벌 동안 어떠한 로케이션 보고 이벤트도 발생하지 않을 때 제2 네트워크 엔티티에 로케이션 보고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0009] 일 구현에서, 주기적이고 트리거링된 로케이션을 수행하기 위한 사용자 장비는, 제1 네트워크 엔티티와 무선으로 통신하도록 구성된 무선 트랜시버,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무선 트랜시버로 제1 네트워크 엔티티로부터 주기적이고 트리거링된 로케이션 요청을 수신하고 ― 주기적이고 트리거링된 로케이션 요청은 로케이션 보고 이벤트의 타입, 및 최대 보고 인터벌, 최소 보고 인터벌 및 최대 이벤트 샘플링 인터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 무선 트랜시버로, 주기적이고 트리거링된 로케이션 요청이 수락됨을 표시하는 응답을 제1 네트워크 엔티티에 리턴하고, 로케이션 보고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로케이션 보고 이벤트를 모니터링하고, 무선 트랜시버로, 로케이션 보고 이벤트가 발생할 때 또는 최대 보고 인터벌 동안 어떠한 로케이션 보고 이벤트도 발생하지 않을 때 제2 네트워크 엔티티에 로케이션 보고를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0010] 일 구현에서, 주기적이고 트리거링된 로케이션을 수행하기 위한 사용자 장비는, 제1 네트워크 엔티티로부터 주기적이고 트리거링된 로케이션 요청을 수신하기 위한 수단 ― 주기적이고 트리거링된 로케이션 요청은 로케이션 보고 이벤트의 타입, 및 최대 보고 인터벌, 최소 보고 인터벌 및 최대 이벤트 샘플링 인터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 주기적이고 트리거링된 로케이션 요청이 수락됨을 표시하는 응답을 제1 네트워크 엔티티에 리턴하기 위한 수단, 로케이션 보고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로케이션 보고 이벤트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수단, 및 로케이션 보고 이벤트가 발생할 때 또는 최대 보고 인터벌 동안 어떠한 로케이션 보고 이벤트도 발생하지 않을 때 제2 네트워크 엔티티에 로케이션 보고를 송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0011] 일 구현에서, 제1 네트워크 엔티티가 타겟 사용자 장비에 대한 주기적이고 트리거링된 로케이션을 수행하는 방법은, 제2 엔티티로부터 타겟 사용자 장비에 대한 주기적이고 트리거링된 로케이션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타겟 사용자 장비에 대한 주기적이고 트리거링된 로케이션 요청을 제3 엔티티에 송신하는 단계, 주기적이고 트리거링된 로케이션 요청이 타겟 사용자 장비에 대한 서빙 네트워크 엔티티에 의해 수신되고 수락되었음을 표시하는 제1 응답을 제3 엔티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제1 응답을 제2 엔티티에 송신하는 단계, 주기적이고 트리거링된 로케이션 요청이 타겟 사용자 장비에서 활성화되었음을 표시하는 제2 응답을 제3 엔티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제2 응답을 제2 엔티티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0012] 일 구현에서, 타겟 사용자 장비에 대한 주기적이고 트리거링된 로케이션을 수행하기 위한 제1 네트워크 엔티티는, 제1 네트워크 엔티티 및 제2 네트워크 엔티티와 무선으로 통신하도록 구성되는 외부 인터페이스,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외부 인터페이스로 제2 엔티티로부터 타겟 사용자 장비에 대한 주기적이고 트리거링된 로케이션 요청을 수신하고, 외부 인터페이스로 타겟 사용자 장비에 대한 주기적이고 트리거링된 로케이션 요청을 제3 엔티티에 송신하고, 주기적이고 트리거링된 로케이션 요청이 타겟 사용자 장비에 대한 서빙 네트워크 엔티티에 의해 수신되고 수락되었음을 표시하는 제1 응답을 외부 인터페이스로 제3 엔티티로부터 수신하고, 외부 인터페이스로 제1 응답을 제2 엔티티에 송신하고, 주기적이고 트리거링된 로케이션 요청이 타겟 사용자 장비에서 활성화되었음을 표시하는 제2 응답을 외부 인터페이스로 제3 엔티티로부터 수신하고, 외부 인터페이스로 제2 응답을 제2 엔티티에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0013] 일 구현에서, 타겟 사용자 장비에 대한 주기적이고 트리거링된 로케이션을 수행하기 위한 제1 네트워크 엔티티는, 제2 엔티티로부터 타겟 사용자 장비에 대한 주기적이고 트리거링된 로케이션 요청을 수신하기 위한 수단, 타겟 사용자 장비에 대한 주기적이고 트리거링된 로케이션 요청을 제3 엔티티에 송신하기 위한 수단, 주기적이고 트리거링된 로케이션 요청이 타겟 사용자 장비에 대한 서빙 네트워크 엔티티에 의해 수신되고 수락되었음을 표시하는 제1 응답을 제3 엔티티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수단, 제1 응답을 제2 엔티티에 송신하기 위한 수단, 주기적이고 트리거링된 로케이션 요청이 타겟 사용자 장비에서 활성화되었음을 표시하는 제2 응답을 제3 엔티티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수단, 및 제2 응답을 제2 엔티티에 송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0014] 다양한 실시예들의 성질 및 이점들의 이해는 하기 도면들을 참조하여 실현될 수 있다.
[0015]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들에 대한 로케이션의 지원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시스템의 아키텍처를 예시하는 단순화된 블록도이다.
[0016] 도 2는 주기적이고 트리거링된 로케이션 요청을 착수 및 수행하기 위해 사용되는 프로세스를 예시하는 시그널링 흐름이다.
[0017] 도 3은 LCS 클라이언트에 의해 취소가 요청될 때 주기적이고 트리거링된 로케이션 절차를 취소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예시하는 시그널링 흐름이다.
[0018] 도 4는 UE에 의해 취소가 요청될 때 주기적이고 트리거링된 로케이션 절차를 취소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예시하는 시그널링 흐름이다.
[0019] 도 5, 도 6 및 도 7은 상이한 실시예들에 따라 주기적이고 트리거링된 로케이션 서비스를 수행하는 방법들을 예시하는 프로세스 흐름들을 도시한다.
[0020] 도 8은 모바일 디바이스 또는 UE의 실시예의 블록도이다.
[0021] 도 9는 MME, E-SMLC 또는 GMLC와 같은 네트워크 엔티티의 실시예의 블록도이다.
[0022] 도 10은 외부 클라이언트의 실시예의 블록도이다.
[0023] 유사한 번호들을 갖는 상이한 도면들의 엘리먼트들(도 2 내지 도 4에서 넘버링된 스테이지들은 제외함)은 서로 대응할 수 있다.
[0024] IoT(Internet of Things)의 일부를 형성하는 UE들은 통상적으로 (예를 들어, 연관된 엔티티, 객체 또는 사람의 상태 또는 조건을 보고하는 것과 같은 일부 산발적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오직 짧은 인터벌들 동안 무선 네트워크에 접속할 것이다. 예를 들어, IoT의 일부인 UE들은 eDRX(extended Discontinuous Reception) 또는 PSM(Power Saving Mode)과 같은 특징들을 포함할 수 있다. eDRX 또는 PSM에 있어서, UE는 유휴 상태로 유지될 수 있고, 긴 시간 기간(예를 들어, 몇 시간 이상) 동안 서빙 무선 네트워크로부터 도달가능하지 않고 서빙 무선 네트워크에 접속하지 않을 수 있다. UE가 유휴 상태로 유지되는 시간 기간 동안, UE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예를 들어, LCS(Location Services) 클라이언트)에 의해 도달가능하지 않아서 로케이션 서비스들을 제한하거나 차단할 수 있다. 이는 지오펜싱(geofencing), 자산 추적 및 어린이 또는 애완동물 로케이션과 같은 실시간 로케이션 서비스들을 방해 또는 지연시킬 수 있는데, 이는, UE가 유휴 상태에 있는 동안 UE의 로케이션이 획득될 수 있게 하기 위해 UE에 액세스하거나 UE로부터 신호들을 측정하는 것이 가능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대한 하나의 가능한 솔루션은 실시간 로케이션 액세스가 필요한 기간들 동안 주기적이고 트리거링된 로케이션 보고가 IoT UE들에서 활성화되도록 허용하는 것일 것이다. 그러나, 주기적이고 트리거링된 로케이션을 위한 기존의 절차들은, 통상적으로 도달가능하지 않은 UE들에 대해서가 아니라 오직 임의의 시간에 통상적으로 도달가능한 UE들에 대해서만 (예를 들어, 3GPP에 의해) 정의되었다. 예를 들어, 수 시간 또는 며칠 동안 도달가능하지 않을 UE에서 주기적이고 트리거링된 로케이션을 개시하는 것은 현재 절차들로는 가능하지 않을 수 있다.
[0025] 상이한 타입들의 주기적이고 트리거링된 로케이션을 지원하기 위한 새로운 절차가 본원에 설명된다. 새로운 절차는 예를 들어, eDRX(extended Discontinuous Reception) 또는 PSM(Power Saving Mode)과 같은 특징들로 인해, 임의의 시간에 통상적으로 도달가능한 UE들 및 긴 기간들 동안 도달가능하지 않은 IoT UE들 둘 모두에 대해 사용가능할 수 있다. 이 절차는, LCS 클라이언트가 타겟 UE에 대한 주기적이고 트리거링된 로케이션 보고에 대한 요청을 개시한 후, 네트워크에 의한 2개의 중간적 응답들을 LCS 클라이언트에 리턴하는 것을 포함하는 제1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응답은, LCS 클라이언트 요청이 네트워크에 의해 수락되었고 네트워크가 타겟 UE에서의 절차를 개시할 준비가 되었음을 표시할 수 있다. 종래의 절차들과 달리, 주기적이고 트리거링된 로케이션 요청이 UE에서 활성화된 것, 즉, 타겟 UE가 주기적이고 트리거링된 로케이션 보고들을 리턴하기 시작할 것을 표시하는 제2 응답이 제공될 수 있다. 제2 응답은 예를 들어, 통상적 UE의 경우 제1 응답 이후 곧 리턴될 수 있거나 또는 예를 들어, IoT UE의 경우 제1 응답 이후 수 시간 또는 며칠 이후 리턴될 수 있다.
[0026] 새로운 절차는 추가적으로, 어떠한 통상적 보고 이벤트도 발생하지 않았을 때에도 UE가 로케이션 보고를 발행하도록 강제하기 위해, 주기적 이벤트들 이외의 트리거 이벤트들이 보고되는 주기적이고 트리거링된 로케이션 요청에 대한 최대 보고 인터벌을 포함하는 제2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로케이션 보고의 수신은 로케이션 보고가 UE에서 여전히 활성인 것을 네트워크 및 LCS 클라이언트에 확인시킬 수 있다. 한편, 최대 보고 인터벌 이후 어떠한 로케이션 보고도 수신되지 않으면, LCS 클라이언트 또는 네트워크는 로케이션 보고가 UE에서 종료되었다고 가정할 수 있고, 그 다음, 요청을 종료하고 그리고/또는 명시적으로 취소할 수 있다. 이는, 진행중인 로케이션 세션들이 여전히 활성인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주기적으로 UE에 문의하도록 LCS 클라이언트 또는 네트워크 엔티티에 요구하는 종래의 문의 절차를 회피할 수 있다. 제2 특징의 일부 양상들에서, UE로부터 로케이션 보고들의 과도한 수를 회피하기 위해 최소 보고 인터벌이 또한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최소 보고 인터벌을 어떠한 짧은 기간(예를 들어, 10 내지 15 분)과 동일하게 설정하는 것은, 트리거 이벤트들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을 때 짧은 기간(예를 들어, 한 시간)에 걸쳐 UE로부터 많은 수의 보고들을 회피할 수 있다.
[0027] 새로운 절차는, UE의 2개의 연속적인 샘플링 액션들 사이에 최대 시간 인터벌을 정의할 수 있는 최대 이벤트 샘플링 인터벌을 포함하고, 여기서 UE가 임계 거리를 초과한 만큼 이동한 것 또는 지정된 타겟 영역에 진입하거나 떠난 것과 같이, 요청된 로케이션 트리거 이벤트가 발생했는지 또는 발생하지 않았는지 여부를 UE가 결정하는 제3 특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UE는, 훨씬 과도한 전력 소비 없이 가능하다면 최대 이벤트 샘플링 인터벌보다 적은 샘플링 인터벌을 이용할 수 있다. 최대 이벤트 샘플링 인터벌을 증가시키는 것은, UE 샘플링 액션들의 빈도를 잠재적으로 감소시킴으로써 UE 전력 및 배터리 소비를 감소시킬 수 있지만, 발생한 트리거 이벤트를 보고할 때의 지연을 또한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최대 이벤트 샘플링 인터벌은, 전력 및 배터리 소비 대 타겟 UE의 요구된 로케이션 서비스 및 능력들에 최상으로 매칭하는 트리거 이벤트를 보고할 때의 지연 사이에서 최적의 절충을 달성하기 위해 LCS 클라이언트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최대 이벤트 샘플링 인터벌은, UE가 어떠한 최소 시간 인터벌에 트리거 이벤트가 발생했는지 또는 발생하지 않았는지 여부를 검증하도록 요구되는 최소 이벤트 샘플링 인터벌과 대조적일 수 있고, 그보다 더 많은 융통성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최소 이벤트 샘플링 인터벌은, 상당한 과도한 전력 소비 없이 UE가 지원할 수 있는 경우 UE에 의한 더 짧은 샘플링 인터벌의 사용을 금지할 수 있다. 일례로, 차량의 일부이거나 그에 부착된 또는 자기 자신의 충전 소스를 소유한(예를 들어, 광, 열 또는 사용자의 움직임에 의해 전력 공급되는) UE는 전력 소비에 관해 덜 제한될 수 있다.
[0028] 도 1은 사용자 장비(UE)(102)의 로케이션 지원에 대한 시스템 아키텍처(100)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예를 들어, 시스템 아키텍처(100)는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로부터의 규격들에 정의된 바와 같이,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s), IoT(Internet of Things), CIoT(Cellular IoT) 및 NB-IoT(Narrow Band IoT)를 수반하는 무선 통신들을 지원할 수 있다. NB-IoT는 200 KHz UL/DL(Uplink/Downlink) 캐리어 대역폭(및 사용가능한 UL/DL 대역폭의 180 kHz)을 제공하기 위해 3GPP 릴리스 13에 대한 규격들에서 3GPP에 의해 추가된 E-UTRAN(evolved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ervice)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에 의해 지원되는 RAT(Radio Access Type)이다. CIoT는 NB-IoT에 대한 EPC(evolved packet core) 지원에 관한 것이고, IoT 및 MTC는 NB-IoT에 대해 보완적이다(즉, NB-IoT는 주로 E-UTRAN과 관련되고, CIoT는 주로 EPC와 관련된다). 시스템 아키텍처(100)는 NB-IoT 라디오 액세스, MTC에 대한 카테고리 M1(1.4 MHz) LTE 라디오 액세스 또는 CIoT 동작에 의한 넓은 대역폭 LTE(Long Term Evolution) 라디오 액세스를 지원할 수 있거나, 다른 타입들의 사용자 장비를 수반하는 무선 통신들을 지원할 수 있다.
[0029] 시스템 아키텍처(100)는 EPS(Evolved Packet System)(100)로 지칭될 수 있다. 예시된 바와 같이, 시스템 아키텍처(100)는 UE(102), E-UTRAN(Evolved UMTS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일 수 있는 RAN(Radio Access Network)(120) 및 EPC(Evolved Packet Core)(130)를 포함할 수 있다. RAN(Radio Access Network)(120) 및 EPC(130)는, UE(102)에 대한 HPLMN(Home Public Land Mobile Network)(140)과 통신하는 VPLMN(Visited Public Land Mobile Network)의 일부일 수 있다. 시스템 아키텍처(100)는 다른 액세스 네트워크들과 상호접속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터넷은 HPLMN(140) 및 VPLMN EPC(130)와 같은 상이한 네트워크들로의 및 그로부터의 메시지들을 반송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단순화를 위해, 이러한 엔티티들/인터페이스들은 도시되지 않는다. 도시된 바와 같이, 시스템 아키텍처(100)는 패킷-교환 서비스들을 제공하지만, 당업자들이 용이하게 인식할 바와 같이, 본 개시 전반에 걸쳐 제시된 다양한 개념들은 회선-교환 서비스들을 제공하는 네트워크들로 확장될 수 있다.
[0030] UE(102)는 NB-IoT, 카테고리 M1 또는 (광대역) LTE 라디오 액세스 또는 원하는 경우 다른 타입들의 라디오 액세스에 대해 구성될 수 있는 임의의 전자 디바이스일 수 있다. UE(102)는 디바이스, 무선 디바이스, 모바일 단말, 단말, MS(mobile station), 모바일 디바이스, SET(Secure User Plane Location(SUPL) Enabled Terminal) 또는 일부 다른 명칭으로 지칭될 수 있고, 스마트 시계, 디지털 안경, 피트니스 모니터, 스마트 차량, 스마트 기기, 셀폰, 스마트폰, 랩탑, 태블릿, PDA, 추적 디바이스, 제어 디바이스 또는 일부 다른 휴대용 또는 이동가능한 디바이스에 대응할 수 있다(또는 그 일부일 수 있다). UE(102)는 단일 엔티티를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예를 들어, 사용자가 오디오, 비디오 및/또는 데이터 I/O 디바이스들 및/또는 신체 센서들 및 별개의 유선 또는 무선 모뎀을 이용할 수 있는 개인 영역 네트워크에서의 다수의 엔티티들을 포함할 수 있다. 필수적은 아니지만 통상적으로, UE(102)는 예를 들어,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DMA), LTE, 5세대(5G)로 또한 지칭되는 NR(New Radio), HRPD(High Rate Packet Data), IEEE 802.11 WiFi, Bluetooth®(BT), WiMax 등을 사용하여 무선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UE(102)는 또한 예를 들어, WLAN(wireless LAN), DSL(Digital Subscriber Line) 또는 패킷 케이블을 사용하여 무선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도 1은 오직 하나의 UE(102)를 도시하지만, UE(102)에 각각 대응할 수 있는 많은 다른 UE들이 존재할 수 있다.
[0031] UE(102)는 RAN(Radio Access Network)(120)을 포함할 수 있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와 접속 상태에 진입할 수 있다. 일례에서, UE(102)는 RAN(120)의 이볼브드 노드 B(eNB로 또한 지칭되는 eNodeB)(122)와 같은 셀룰러 트랜시버에 무선 신호들을 송신하거나 또는 그로부터 무선 신호들을 수신함으로써 셀룰러 통신 네트워크와 통신할 수 있다. RAN(120)은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eNB들(124)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된 바와 같이, RAN(126)과 같은 추가적인 RAN들은 하나 이상의 eNB들(128)을 포함할 수 있는 시스템 아키텍처(100)에 있을 수 있다. eNB(122)는 UE(102)를 향한 사용자 및 제어 평면 프로토콜 종단(termination)들을 제공한다. eNB(122)는 또한, 기지국, 베이스 트랜시버 스테이션, 라디오 기지국, 라디오 트랜시버, 라디오 네트워크 제어기, 트랜시버 기능부, BSS(base station subsystem), ESS(extended service set), 또는 일부 다른 적절한 용어로 지칭될 수 있다. UE(102)는 또한 로컬 트랜시버, 예를 들어, 액세스 포인트들(AP), 펨토셀, 홈 기지국, 소형 셀 기지국, HNB(Home Node B) 또는 HeNB(Home eNodeB)에 무선 신호들을 송신하거나 그로부터 무선 신호들을 수신할 수 있고,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WLAN, 예를 들어, IEEE 802.11 네트워크), 무선 개인 영역 네트워크(WPAN, 예를 들어, 블루투스 네트워크) 또는 셀룰러 네트워크(예를 들어, LTE 네트워크 또는 다음 단락에서 논의되는 것들과 같은 다른 무선 광역 네트워크)에 대한 액세스를 제공할 수 있다. 물론, 이들은, 무선 링크를 통해 모바일 디바이스와 통신할 수 있는 네트워크들의 예들일 뿐이며, 청구된 요지는 이러한 관점으로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해야 한다.
[0032] 무선 통신을 지원할 수 있는 네트워크 기술들의 예들은 NB-IoT를 포함하지만, GSM, CDMA, WCDMA, LTE, HRPD 및 NR을 더 포함할 수 있다. NB-IoT, CIoT, GSM, WCDMA, LTE 및 NR은 3GPP에 의해 정의되는(또는 그에 의해 정의되는) 기술들이다. CDMA 및 HRPD는 3GPP2(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2)에 의해 정의된 기술들이다. WCDMA는 또한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의 일부이고 HNB에 의해 지원될 수 있다. eNB들(122, 124 및 128)과 같은 셀룰러 트랜시버들은 (예를 들어, 서비스 계약 하의) 서비스를 위해 무선 전기통신 네트워크에 대한 가입자 액세스를 제공하는 장비의 배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셀룰러 트랜시버는 셀룰러 트랜시버가 액세스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범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결정된 셀 내의 가입자 디바이스들을 서비스할 때 셀룰러 기지국의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다.
[0033] eNB들(122, 124)은 인터페이스(예를 들어, 무선 또는 유선 백홀 접속)에 의해 VPLMN EPC(130)에 접속된다. 예시된 바와 같이, EPC(130)는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131)를 포함하고, 이를 통해 UE(102) 시그널링 메시지들이 전송된다. MME(131)는 UE(102)에 대한 서빙 MME일 수 있다. MME(131)는, UE(102)와 EPC(130) 사이의 시그널링을 프로세싱하고 UE(102)의 어태치먼트 및 네트워크 접속을 지원할 뿐만 아니라 UE(102)를 위해 데이터, 시그널링 및 음성 베어러들의 확립 및 릴리스를 관리하는 제어 노드이다. MME(131)는 또한 CIoT CP(Control Plane) 최적화로 공지된 3GPP CIoT(Cellular IoT) 특징을 사용하여 UE(102)로 및 그로부터 UP(user plane) 데이터 전송을 지원할 수 있고, 여기서 데이터 패킷들은, UE(102)에 대한 데이터 베어러들을 확립 및 해제하는 오버헤드를 회피하기 위해 MME(131)를 우회하기 보다는 MME(131)를 통해 UE로 및 그로부터 전송된다. 일반적으로, MME(131)는 UE(102)에 대한 베어러 및 접속 관리를 제공하고, eNB들(122 및 124), VPLMN EPC(130)의 E-SMLC(Enhanced Serving Mobile Location Center)(133) 및 V-GMLC(Visited Gateway Mobile Location Center)(132)에 접속될 수 있다. 예시된 바와 같이, EPC(130)는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MME들, 예를 들어, eNB들(122 및 124), 다른 E-SMLC(133#) 및 다른 V-GMLC(132#)에 접속된 MME(131#)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E-SMLC(133#)는 E-SMLC(133)와 동일한 엔티티일 수 있고 그리고/또는 V-GMLC(132#)는 V-GMLC(132)와 동일한 엔티티일 수 있다. 추가적으로, 예시된 바와 같이, 시스템 아키텍처(100)는 추가적인 VPLMN EPC들(상이한 PLMN들에 대응함), 예를 들어, EPC(134)를 포함할 수 있고, 이는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MME들, 예를 들어, eNB(128), 다른 E-SMLC(136) 및 다른 V-GMLC(137)에 접속되는 것으로 예시된 MME(135)를 포함할 수 있다.
[0034] E-SMLC들(133, 133# 및 136) 각각은 3GPP TS(technical specification)들 23.271 및 36.305에 정의된 3GPP CP(control plane) 로케이션 솔루션을 사용하여 UE(102)의 로케이션을 지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단순히 GMLC(Gateway Mobile Location Center)(132, 132# 또는 137)로 또한 각각 지칭될 수 있는 V-GMLC들(132, 132# 및 137)은 외부 클라이언트(예를 들어, 외부 클라이언트(160)) 또는 다른 네트워크(예를 들어, HPLMN(140))를 위해 UE(102)의 로케이션에 대한 액세스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외부 클라이언트는 또한 LCS 클라이언트로 지칭될 수 있다.
[0035] 예시된 바와 같이, HPLMN(140)은 (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해) V-GMLC들(132, 132# 및 137)에 접속될 수 있는 H-GMLC(Home Gateway Mobile Location Center)(142)를 포함한다. H-GMLC(142)는 HLR/HSS(Home Location Register or Home Subscriber Server)(144)에 접속될 수 있고, 이는 UE(102)에 대한 사용자-관련 및 가입-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중앙 데이터베이스이다. H-GMLC(142)는 외부 클라이언트(160)와 같은 외부 클라이언트들을 위해 UE(102)에 대한 로케이션 액세스를 제공할 수 있다. H-GMLC(142)는 예를 들어, 인터넷(도 1에는 미도시)과 같은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클라이언트(160)에 접속될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RPLMN(Requesting PLMN)(150)에 로케이트된 GMLC(R-GMLC)(152)는 R-GMLC(152)에 접속된 외부 클라이언트들을 위해 UE(102)에 대한 로케이션 액세스를 제공하기 위해, (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해) H-GMLC(142)에 접속될 수 있다. R-GMLC(152), H-GMLC(142) 및 V-GMLC(132)는 3GPP TS 23.271에 정의된 3GPP CP 로케이션 솔루션을 사용하여 UE(102)에 대한 로케이션 액세스를 지원할 수 있다. R-GMLC(152), H-GMLC(142) 및 V-GMLC들(132, 132# 및 137) 각각은 단순히 GMLC(예를 들어, GMLC의 타입이 이미 공지된 경우)로 지칭될 수 있음을 주목한다.
[0036] 3GPP TS 23.271에서 정의된 3GPP CP 로케이션 솔루션과 같은 CP 로케이션 솔루션에서, UE(102)의 로케이션을 지원하기 위한 시그널링은 VPLMN EPC(130) 및 RAN(120)에 대한 기존의 시그널링 인터페이스들 및 프로토콜들을 사용하여 참여 엔티티들(예를 들어, V-GMLC(132), MME(131), E-SMLC(133), eNB(122) 및 UE(102)) 사이에서 전송될 수 있다. 반대로, OMA(Open Mobile Alliance)에 의해 정의되는 SUPL 로케이션 솔루션과 같은 사용자 평면 로케이션 솔루션에서, UE(102)의 로케이션을 지원하는 시그널링은 데이터 베어러들을 사용하여(예를 들어, IP(Internet Protocol)를 사용하여) 참여 엔티티들(예를 들어, UE(102) 및 SLP(SUPL Location Platform)) 사이에서 전송될 수 있다.
[0037] VPLMN 네트워크(RAN(120) 및 VPLMN EPC(130)를 포함함) 및 별개의 HPLMN(140) 및 RPLMN(150)이 도 1에 예시되어 있고; PLMN들(네트워크들) 중 하나 이상은 동일한 PLMN일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그러한 경우, HLR/HSS(144)는 MME(131)와 동일한 네트워크(EPC)에 있을 수 있고, V-GMLC(132), H-GMLC(142) 및 R-GMLC(152) 중 하나 이상은 동일한 GMLC일 수 있다.
[0038] 특정 구현들에서, UE(102)는 (예를 들어, GPS 또는 다른 SPS(Satellite Positioning System) 위성들(110), 셀룰러 트랜시버들, 예를 들어, eNB들(122, 124) 또는 로컬 트랜시버들로부터 수신된 신호들에 대한) 로케이션 관련 측정들을 획득할 수 있고 가능하게는 이러한 로케이션 관련 측정들에 기초하여 UE(102)의 포지션 픽스 또는 추정된 로케이션을 컴퓨팅할 수 있는 회로 및 프로세싱 자원들을 가질 수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UE(102)에 의해 획득된 로케이션 관련 측정들은 로케이션 서버, 예를 들어, E-SMLC(133)에 전송될 수 있고, 그 후 로케이션 서버는 측정들에 기초하여 UE(102)에 대한 로케이션을 추정 또는 결정할 수 있다. UE(102)에 의해 획득된 로케이션 관련 측정들은 SPS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예를 들어, GPS, GLONASS, Galileo 또는 Beidou에 속하는 위성들(110)로부터 수신된 신호들의 측정들을 포함할 수 있고 그리고/또는 (예를 들어, eNB(122), eNB(124) 또는 다른 로컬 트랜시버들과 같은) 공지된 로케이션들에 고정된 지상 송신기들로부터 수신된 신호들의 측정들을 포함할 수 있다. 그 다음, UE(102) 또는 별개의 로케이션 서버(예를 들어, E-SMLC(133))는, 예를 들어, GNSS, A-GNSS(Assisted GNSS), AFLT(Advanced Forward Link Trilateration), OTDOA(Observed Time Difference Of Arrival), E-CID(Enhanced Cell ID) 또는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포지셔닝 또는 이들의 조합들과 같은 몇몇 포지션 방법들 중 임의의 하나를 사용하여 이러한 로케이션 관련 측정들에 기초하여 UE(102)에 대한 로케이션 추정을 획득할 수 있다. 이러한 기술들(예를 들어, AFLT 및 OTDOA) 중 일부에서, 타이밍 차이들은 공지된 로케이션들에서 고정된 3개 이상의 지상 송신기들에 대해 UE(102)에서 측정될 수 있거나, 또는 (예를 들어, A-GNSS의 경우) 의사범위들이 정확하게 공지된 궤도 데이터를 갖는 4개 이상의 위성들에 대해 측정될 수 있거나, 또는 이들의 조합들일 수 있다. 이러한 측정들은 파일럿들, PRS(positioning reference signals) 또는 송신기들 또는 위성들에 의해 송신되고 UE(102)에서 수신된 다른 포지셔닝 관련 신호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할 수 있다.
[0039] 일부 구현들에서, 로케이션 서버, 예를 들어, E-SMLC(133)는 예를 들어, 측정될 신호들에 관한 정보(예를 들어, 예상된 신호 타이밍, 신호 코딩, 신호 주파수들, 신호 도플러), 지상 송신기들의 로케이션들 및 아이덴티티들, 및/또는 A-GNSS, AFLT, OTDOA 및 E-CID와 같은 포지셔닝 기술들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GNSS 위성들에 대한 신호, 타이밍 및 궤도 정보를 포함하는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UE(102)에 제공할 수 있다. 용이하게 하는 것은 UE(102)에 의한 신호 포착 및 측정 정확도를 개선하는 것 및 일부 경우들에서, 로케이션 측정들에 기초하여 UE(102)가 자신의 추정된 로케이션을 컴퓨팅할 수 있게 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로케이션 서버(예를 들어, E-SMLC(133))는 특정 장소와 같은 특정 영역 또는 영역들의 셀룰러 트랜시버들(예를 들어, eNB들(122 및 124)) 및/또는 로컬 트랜시버들의 로케이션들 및 아이덴티티들을 표시하는 알마낙을 포함할 수 있고, 송신 전력 및 신호 타이밍과 같은 셀룰러 기지국 또는 AP에 의해 송신된 신호들을 설명하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E-CID의 경우, UE(102)는 셀룰러 트랜시버들, 예를 들어, eNB들(122, 124) 및/또는 로컬 트랜시버들로부터 수신된 신호들에 대한 신호 강도들의 측정들(예를 들어,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 또는 RSRP(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를 획득할 수 있고, 그리고/또는 신호대 잡음비(S/N), 신호 품질 레벨(예를 들어, RSRQ(reference signal received quality)) 또는 UE(102)와 하나 이상의 셀룰러 트랜시버들, 예를 들어, eNB들(122, 124) 및/또는 로컬 트랜시버들 사이의 RTT(round trip signal propagation time)를 획득할 수 있다. E-CID의 경우, UE(102)는 UE(102)의 대략적 로케이션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인근 셀들 각각에 대한 글로벌 셀 ID 또는 물리적(로컬) 셀 ID를 획득할 수 있다. WLAN 포지셔닝의 경우, UE(102)는 WLAN AP에 대한 짧은 라디오 범위(예를 들어, 50 미터)로 인해 UE(102)에 대한 정확한 로케이션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인근 WLAN AP들 각각에 대한 MAC(Media Access Control) 어드레스를 획득할 수 있다. UE(102)는 UE(102)에 대한 로케이션을 결정하기 위해 E-SMLC(133) 또는 SUPL SLP(도 1에 도시되지 않음)와 같은 로케이션 서버에 이러한 측정들을 전송할 수 있거나, 또는 일부 구현들에서, UE(102)에 대한 로케이션을 결정하기 위해 이러한 측정들을 로케이션 서버로부터 수신된 보조 데이터(예를 들어, 지상 알마낙 데이터 또는 GNSS 위성 데이터, 이를테면 GNSS 알마낙 및/또는 GNSS 에페메리스 정보)와 함께 사용할 수 있다.
[0040] OTDOA의 경우, UE(102)는 인근 트랜시버들 및 기지국들(예를 들어, eNB들(122 및 124))의 쌍들에 의해 송신된 신호들, 예를 들어, PRS(Positioning Reference Signal) 또는 CRS(Cell-specific Reference Signal) 사이의 RSTD(Reference Signal Time Difference)를 측정할 수 있다. RSTD 측정은 2개의 상이한 트랜시버들로부터 UE(102)에서 수신된 신호들(예를 들어, CRS 또는 PRS) 사이의 도달 시간 차이(예를 들어, eNB(122) 및 eNB(124)로부터 수신된 신호들 사이의 RSTD)를 제공할 수 있다. UE(102)는 측정된 트랜시버들에 대한 공지된 로케이션들 및 공지된 신호 타이밍들에 기초하여 UE(102)에 대한 추정된 로케이션을 컴퓨팅할 수 있는 로케이션 서버(예를 들어, E-SMLC(133))에 측정된 RSTD들을 리턴할 수 있다. OTDOA의 일부 구현들에서, RSTD 측정들에 대해 사용되는 신호들(예를 들어, PRS 또는 CRS 신호들)은 공통 유니버셜 시간을 정확하게 획득하기 위해 예를 들어, 각각의 트랜시버에서의 GPS 수신기를 사용하여 GPS 시간 또는 UTC(Coordinated universal time)와 같은 공통 유니버셜 시간으로 트랜시버들에 의해 정확하게 동기화될 수 있다.
[0041] UE(102)의 로케이션의 추정은 로케이션, 로케이션 추정, 로케이션 픽스, 픽스, 포지션, 포지션 추정 또는 포지션 픽스로 지칭될 수 있고, 지리적일 수 있어서, UE(102)에 대한 로케이션 좌표들(예를 들어, 위도 및 경도)을 제공할 수 있고, 이는 고도 성분(예를 들어, 해발 높이, 지면 위의 높이 또는 아래의 깊이, 층 레벨 또는 지하실 레벨)을 포함할 수 있거나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대안적으로, UE(102)의 로케이션은 도시의 로케이션(예를 들어, 우편 주소 또는 특정 방 또는 층과 같이 건물 내의 일부 지점 또는 작은 영역의 목적지)로서 표현될 수 있다. UE(102)의 로케이션은 또한, UE(102)가 일부 확률 또는 신뢰도 레벨(예를 들어, 67% 또는 95%)로 로케이트될 것으로 예상되는 영역 또는 볼륨(지리적 또는 도시의 형태로 정의됨)으로 표현될 수 있다. UE(102)의 로케이션은 추가로, 예를 들어, 거리 및 방향, 또는 지리적으로 또는 도시 관점에서 또는 맵, 평면도 또는 건물 평면도 상에 표시된 포인트, 영역 또는 볼륨에 대한 기준에 의해 정의될 수 있는 공지된 로케이션에서 일부 원점에 대해 정의되는 상대적 X, Y(및 Z) 좌표를 포함하는 상대적 로케이션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 포함된 설명에서, 로케이션이라는 용어의 사용은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러한 변형들 중 임의의 것을 포함할 수 있다.
[0042] 외부 클라이언트(예를 들어, 외부 클라이언트(160))의 요청에서 UE(102)의 트리거링된 로케이션(예를 들어, 영역 이벤트에 기초함) 및 주기적인 로케이션은 MT-LR(Mobile Terminated Location Request) 절차들을 사용하여 3GPP TS 23.271에서 UE(102)에 의한 GSM 및 UMTS 액세스에 대해 정의된다. UE(102)가 (영역 이벤트의 변화에 대한 MT-LR 절차를 사용하여) 정의된 지리적 영역 내에 진입하거나, 떠나거나 유지하는 경우, (주기적인 로케이션에 대해 MT-LR 절차를 사용한) UE(102)의 주기적인 로케이션 및 UE(102)의 트리거링된 로케이션을 지원하기 위해 3GPP TS 23.271에서 상이한 MT-LR 절차들이 정의된다. 그러나, 이러한 MT-LR 절차들(예를 들어, 주기적인 로케이션 또는 영역 이벤트의 변화에 대한 MT-LR 절차)은 (예를 들어, LTE 또는 NB-IoT를 사용하여) UE(102)에 의한 E-UTRAN 액세스에 대해 3GPP TS 23.271에서 정의되지 않는다. UE(102)에 의해 사용되는 CIoT 특징들의 경우, UE(102)에 대한 로케이션의 변화의 보고를 지원하기 위한 능력이 3GPP TS 23.682에 정의되지만, 이 솔루션은 3GPP TS 23.271에서의 로케이션 지원과 정렬되지 않고(예를 들어, 3GPP TS 23.682에서의 능력은 3GPP TS 23.271에서의 솔루션과 상이한 아키텍처 및 상이한 프로토콜들을 사용하기 때문임), 오직 셀 ID 또는 TA(Tracking Area)의 입도를 로케이션에 제공하며, 오직 UE(102)가 이용가능한 경우에만 (예를 들어, 잠재적으로 UE(102)에 대한 긴 eDRX 페이징 사이클의 경우 거의 3 시간의 인터벌로) 로케이션을 보고할 수 있다.
[0043] UE(102)가 통상적으로 이용가능하게 되는(예를 들어, VPLMN EPC(130)에 접속되는) 때와 다른 시간들에 및/또는 셀 ID 또는 TA보다 양호한 입도로, LTE 액세스, 카테고리 M1 액세스 또는 NB-IoT 액세스를 갖는 UE(102)의 로케이션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더 유연한 주기적인 및/또는 트리거링된 MT-LR 능력이 유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말하자면 2 시간 이후보다는 이벤트가 발생한 직후에 가치있는 자산, 어린이 또는 애완동물이 언제 특정 영역에 진입하거나 떠났는지를 알기를 원할 수 있고, 또한 이러한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더 정확한 현재 로케이션을 선호할 수 있다.
[0044] 단일 절차(예를 들어, MT-LR 절차)는 상이한 타입들의 주기적이고 트리거링된 로케이션을 지원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본원의 이러한 단일 절차의 예들은 "주기적이고 트리거링된 로케이션", "주기적이고 트리거링된 MT-LR", "주기적이고 트리거링된 MT-LR 로케이션", "주기적이고 트리거링된 로케이션 결정", 주기적인 로케이션 및 트리거링된 로케이션", "주기적이거나 트리거링된 로케이션, "주기적인 로케이션 결정 및 트리거링된 로케이션 결정" 또는 "주기적인 로케이션 결정 또는 트리거링된 로케이션 결정"으로 지칭된다. 또한, 이러한 단일 절차에 대한 요청은 본원에서, "주기적이고 트리거링된 로케이션 요청", "주기적이고 트리거링된 MT-LR 요청", "주기적이고 트리거링된 MT-LR 로케이션 요청", "주기적인 로케이션 및 트리거링된 로케이션 서비스 요청", "주기적이거나 트리거링된 로케이션 요청, "주기적인 로케이션 요청 및 트리거링된 로케이션 요청" 또는 "주기적인 로케이션 요청 또는 트리거링된 로케이션 요청"으로 지칭될 수 있다. 주기적이고 상이한 타입들의 트리거링된 로케이션 보고를 지원하는 단일 절차의 사용은, UE(102)에 대한 구현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인해 및/또는 MME(131) 및 GMLC들(132, 142 및 152)과 같은 네트워크 엘리먼트들에 대해 오직 일 타입의 보고(예를 들어, 오직 주기적 보고 또는 오직 영역 이벤트들의 보고)만을 각각 지원하는 별개의 절차들에 비해 바람직할 수 있다. 절차는 임의의 시간에 통상적으로 도달가능한 UE(102) 및 긴 기간들 동안 도달가능하지 않은 IoT UE(102) 둘 모두에 대해 사용가능할 수 있다. 절차는 예를 들어, IoT UE들에 대해 로케이션 서비스들을 지원하기 위한 몇몇 특징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절차의 하나의 특징에서, LCS 클라이언트(예를 들어, 외부 클라이언트(160))가 타겟 UE(예를 들어, UE(102))에 대한 주기적이고 트리거링된 로케이션 보고를 개시하도록 네트워크(예를 들어, R-GMLC(152))에 요청한 후, 2개의 중간적 응답들이 네트워크에 의해(예를 들어, MME(131)에 의해) LCS 클라이언트에 리턴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몇 초 내에 리턴될 수 있는 제1 응답은, LCS 클라이언트 요청이 네트워크 또는 네트워크들에 의해(예를 들어, R-GMLC(152), H-GMLC(142), V-GMLC(132) 및 MME(131)에 의해) 수락된 것 및 네트워크(예를 들어, MME(131))가 타겟 UE에서 절차를 개시할 준비가 된 것을 표시할 수 있다. 정규의 UE에 대한 제1 응답 이후 곧(예를 들어, 몇 초 후) 리턴될 수 있거나 또는 IoT UE의 경우 제1 응답 이후 수 시간 또는 며칠 이후 리턴될 수 있는 제2 응답은 주기적이고 트리거링된 로케이션 요청이 UE에서 활성화된 것을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응답을 제공하지 않는 종래의 절차들과 달리, 제2 응답은, 타겟 UE가 주기적이고 트리거링된 로케이션 보고들을 리턴하기 시작할 것을 LCS 클라이언트에 통지할 수 있다.
[0045] UE(예를 들어, UE(102))에서 주기적이고 트리거링된 로케이션 보고의 활성화 이후, UE는 주기적인 및/또는 트리거링된 이벤트들이 발생하고 UE에 의해 검출된 바와 같이 이들의 요청된 타입(들)을 보고할 수 있고, 이러한 보고들에 로케이션 추정들을 포함할 수 있다(또는 네트워크가 로케이션 추정들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트리거 이벤트들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예를 들어, UE가 지오펜스 영역 내에 유지되고 이를 보고할 필요가 없는 경우), 네트워크(예를 들어, R-GMLC(152) 및 H-GMLC(142)) 및 LCS 클라이언트(예를 들어, 외부 클라이언트(160))는 임의의 로케이션 보고들을 수신하지 않아서, 로케이션 요청이 UE에서 여전히 활성인지 또는 (예를 들어, UE가 파워 오프된 것으로 인해) 종료되었는지 여부를 네트워크 또는 LCS 클라이언트가 아는 것을 불가능하게 할 수 있다. 종래에, LCS 클라이언트 또는 네트워크 엔티티(예를 들어, GMLC)가 진행중인 활성 로케이션 세션들에 대해 UE에 문의하도록 허용하는 추가적인 문의 절차가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UE와의 로케이션 세션의 현재 상태를 결정하기 위한 추가적인 문의의 사용은 무선 네트워크 및 UE에 대한 영향을 추가할 수 있고, 유휴 상태인 UE가 긴 기간 동안 도달가능하지 않은 경우 지연된 응답을 초래할 수 있다. 더 적은 지연을 갖는 더 효율적인 솔루션이 본원에 설명된 절차의 다른 특징에 의해 제공될 수 있고, 여기서 어떠한 통상적인 보고 이벤트도 발생하지 않은 경우에도 UE가 로케이션 보고를 발행하도록 강제하기 위해 트리거링된 이벤트에 대한 주기적이고 트리거링된 로케이션 요청(예를 들어, 영역 이벤트 보고)을 위한 최대 보고 인터벌이 제공된다. 로케이션 보고는, UE에서 로케이션 보고가 여전히 활성임을 네트워크(예를 들어, R-GMLC(152) 및 H-GMLC(142)) 및 LCS 클라이언트(예를 들어, LCS 클라이언트(160))에 확인시킬 수 있다. 최대 보고 인터벌에 후속하여 어떠한 로케이션 보고도 수신되지 않으면, LCS 클라이언트 또는 네트워크(예를 들어, R-GMLC(152) 및 H-GMLC(142))는 로케이션 보고가 UE에서 종료되었다고 가정할 수 있다.
[0046] EPC 서비스들에 대한 주기적이고 트리거링된 로케이션은, 주기적인 인터벌들로 또는 일부 트리거 이벤트가 UE에 의해 검출되고 (예를 들어, UE 또는 LCS 클라이언트에 의한) 로케이션 보고의 취소 때마다 로케이션 보고의 착수를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로케이션 보고에 대한 지원되는 트리거 이벤트들은 영역 이벤트(예를 들어, UE가 미리 정의된 영역에 진입하거나, 떠나거나 그 내부에 유지되는 경우) 및 모션 이벤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일 구현에서, 오직 일 타입의 보고만이 주기적인 영역 이벤트 및 모션 이벤트로부터의 임의의 요청에 포함될 수 있다. 다른 구현에서, 하나 초과의 타입의 보고가 (예를 들어, 주기적인 영역 이벤트 및 모션 이벤트 보고로부터) 동일한 주기적이고 트리거링된 로케이션 절차에 대해 지원될 수 있다. 영역 이벤트의 경우, 타겟 영역은, 예를 들어, 지리적 영역, PLMN 아이덴티티, 셀들의 세트 및/또는 PLMN, 국가 또는 지정학적 명칭에 대한 TA들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모션 이벤트의 경우, 모션은, 예를 들어, UE에 의해 모션 이벤트가 보고된 UE에 대한 이전의 로케이션으로부터 선형 거리 임계치를 초과하는 UE에 의한 움직임에 대응할 수 있다. 절차는 이벤트 보고의 인터럽션 없이 상이한 서빙 MME들 및 상이한 서빙 PLMN들 사이에서 UE 모빌리티를 지원할 수 있다.
[0047] 도 2는 LCS 클라이언트에 의해 요청된 주기적이고 트리거링된 MT-LR에 대한 및 LTE 및/또는 NB-IoT 무선 액세스를 갖는 타겟 UE에 대한 이벤트 및 로케이션 보고를 착수 및 수행하기 위해 사용되는 프로세스를 예시하는 시그널링 흐름도(200)를 도시한다. 도 2의 예 및 도 3 및 도 4에서 추후에 도시되는 예들은 시스템 아키텍처(100)에서 UE(102)에 적용되며, 시스템 아키텍처(100)로부터의 엘리먼트들은 유사한 번호들을 사용하여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시그널링 흐름(200)에 예시된 바와 같이, 스테이지 1에서, LCS 클라이언트(160)는 LCS 서비스 요청을 R-GMLC(152)에 전송하고, 이는 요청된 로케이션 타입(또는 로케이션 이벤트) 보고(예를 들어, 영역에 진입하는 것, 영역을 떠나는 것, 영역 내에 있는 것, 주기적인 보고 또는 모션 이벤트 보고) 및 연관된 파라미터들을 제공한다. 이러한 예에서, (예를 들어, 주기적인 이벤트들이지만 영역 이벤트들 또는 모션 이벤트들이 아닌 것을 스테이지 1에서 보고하는 요청과 같은) 스테이지 1에서 오직 일 타입의 로케이션 보고가 요청된다고 가정된다. 그러나, (예를 들어, 주기적 이벤트들 및 모션 이벤트들 둘 모두를 보고하는 스테이지 1에서의 요청과 같은) 하나 초과의 타입의 로케이팅 보고가 요청되는 다른 예들이 존재할 수 있다. 임의의 타입의 보고의 경우, LCS 서비스 요청은 UE(102)에 대한 아이덴티티, 예를 들어, MSISDN(Mobile Station International Subscriber Directory Number), IMSI(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Number) 또는 LCS 클라이언트(160) 및 R-GMLC(152)에 공지된 일부 다른 아이덴티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기적인 보고의 경우, LCS 서비스 요청은 보고들의 총 수인 연속적인 로케이션 보고들 사이의 시간 인터벌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요구된 로케이션 정확도를 포함할 수 있는 로케이션 QoS(Quality of Service)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역 이벤트 보고(예를 들어, 영역에 진입하는 것, 영역으로부터 떠나는 것 또는 영역 내에 있는 것)의 경우, LCS 서비스 요청은 타겟 영역의 세부사항들(예를 들어, 지리적 또는 도시 타겟 영역의 정의), 보고될 이벤트가, UE가 내부에 있는지, 타겟 영역에 진입하는지 또는 떠나는지 여부, 이벤트 보고의 지속기간, 연속적인 이벤트 보고들 사이의 최소 및/또는 최대 시간 인터벌, 최대 이벤트 샘플링 인터벌, 로케이션 추정들이 이벤트 보고들에 포함될 수 있는지 여부(및 연관된 로케이션 QoS), 및 오직 하나의 로케이션 보고가 요구되는지 또는 하나 초과가 요구되는지 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타겟 영역이 로컬 좌표계, 도시 로케이션 또는 지정학적 명칭에 의해 표현되면, R-GMLC(152)는 타겟 영역을 (예를 들어, 3GPP TS 23.032에서 정의된 바와 같이) 원형, 타원형 또는 다각형과 같은 지리적 형상에 의해 표현되는 지리적 영역으로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션 이벤트 보고의 경우, LCS 서비스 요청은 모션 이벤트 보고를 트리거링하기 위한 UE(102)에 의해 움직임의 임계 선형 거리, 이벤트 보고의 지속기간, 연속적인 이벤트 보고들 사이의 최소 및/또는 최대 시간 인터벌, 최대 이벤트 샘플링 인터벌, 로케이션 추정들은 이벤트 보고들에 포함될 수 있는지 여부(및 연관된 로케이션 QoS) 및 오직 하나의 로케이션 보고가 요구되는지 또는 하나 초과가 요구되는지 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LCS 클라이언트(160)는 다른 엔티티(예를 들어, LCS 클라이언트(160)의 사용자)로부터 스테이지 1에서 전송된 LCS 서비스 요청에 대한 정보를 수신했을 수 있다(도 2에는 도시되지 않음).
[0048] 스테이지 2에서, LCS 서비스 요청 핸들링이 GMLC들(152, 142 및 132) 사이에서 수행된다. 스테이지 2에서의 LCS 서비스 요청 핸들링은, (i) H-GMLC(142) 어드레스, V-GMLC(132) 어드레스, 서빙 MME(131)의 어드레스 및/또는 UE(102)에 대한 추가적인 아이덴티티(예를 들어, MSISDN 또는 IMSI) 중 하나 이상에 대해 R-GMLC(152)에 의해 HLR/HSS(144)로부터 문의 및 획득하는 것; (ii) R-GMLC(152)에 의해 LCS 서비스 요청을 H-GMLC(142)에 포워딩하는 것; (iii) H-GMLC(142)에 의해 요청된 LCS 서비스에 대해 프라이버시 및 인가 검증을 수행하는 것; 및 (iv) V-GMLC(132) 어드레스, 서빙 MME(131)의 어드레스 및/또는 UE(102)에 대한 추가적인 아이덴티티(예를 들어, MSISDN 또는 IMSI) 중 하나 이상에 대해 H-GMLC(142)에 의해 HLR/HSS(144)로부터 문의 및 획득하는 것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스테이지 2에서 LCS 서비스 요청 핸들링의 일부로서, H-GMLC(142)는 LCS 서비스 요청에서 수신된 정보 및 파라미터들을 기록할 수 있다. H-GMLC(142)는 또한 예를 들어 HLR/HSS(144)로부터 수신되거나 H-GMLC(142)에서 미리 구성된 UE(102)에 대한 사용자-관련 및 가입-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보고 PLMN들(이러한 예에서 VPLMN EPC(130)에 대응하는 서빙 PLMN을 포함해야 함)의 선택적인 리스트 및 LCS 서비스 요청에 LDR(Location Deferred Request) 참조 번호를 할당할 수 있다. 그 다음, H-GMLC(142)는 LCS 서비스 요청을 V-GMLC(132)에 전송하고, LDR 참조 번호, H-GMLC(142) 어드레스, 보고 PLMN들의 임의의 선택적인 리스트 및 UE(102) 및/또는 UE(102)의 사용자에 의한 프라이버시 통지 또는 검증에 대한 선택적인 요청을 포함한다. 스테이지 1에서 LCS 서비스 요청이 R-GMLC(152)를 통하지 않고 LCS 클라이언트(160)에 의해 H-GMLC(142)에 직접 전송되는 경우(예를 들어, R-GMLC(152)가 H-GMLC(142)와 동일한 경우), 스테이지 2에 대해 R-GMLC(152)에 대해 방금 설명된 액션들은 생략될 수 있다. H-GMLC(142)가 V-GMLC(132)와 동일한 경우(예를 들어, VPLMN EPC(130)가 HPLMN(140)의 일부인 경우), H-GMLC(142)로부터 V-GMLC(132)로의 LCS 서비스 요청의 전송은 생략될 수 있다.
[0049] 스테이지 3에서, 영역 이벤트 보고가 요청된 경우, 타겟 영역이 (예를 들어, 3GPP TS 23.032에서 정의된 바와 같이) 지리적 형상에 의해 정의되면, V-GMLC(132)는 타겟 영역을 RAN(120)에 대해 정의된 셀 아이덴티티들 및/또는 TA들(tracking areas)의 대응하는 리스트로 변환할 수 있다. V-GMLC(132)가 전체 타겟 영역을 셀 아이덴티티들 및 추적 영역들과 같은 네트워크 아이덴티티들로 변환할 수 없으면, V-GMLC(132)는 요청을 거부하고 에러 원인과 함께 LCS 서비스 응답을 H-GMLC(142)에 전송할 수 있다(도 2에는 도시되지 않음). 그렇지 않으면, V-GMLC(132)는 예를 들어, 가입자 로케이션 제공 요청 메시지에서, 보고될 이벤트들의 세부사항들, LDR 참조 번호, H-GMLC(142) 어드레스, 보고 PLMN들의 임의의 선택적인 리스트 및 프라이버시 통지 또는 검증에 대한 임의의 선택적인 요청을 포함하는 로케이션 요청 및 연관된 파라미터들을 MME(131)에 전송한다. MME(131)는 UE(102)에 대한 서빙 MME일 수 있고, 스테이지 2에 대해 이전에 설명된 바와 같이 문의에 대한 응답으로 HLR/HSS(144)에 의해 R-GMLC(152) 또는 H-GMLC(142)에 제공된 정보로부터 식별될 수 있다.
[0050] 스테이지 4에서, MME(131)는 로케이션 서비스 관련 호출 독립적 보조 서비스들(예를 들어, LCS에 대한 통지)의 지원에 관한 UE(102) 능력들을 검증할 수 있고, 이는 UE(102) 가입 정보의 일부로서 HLR/HSS(144)에 의해 MME(131)에 이전에 제공되었을 수 있다(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되지 않지만, UE(102)가 먼저 VPLMN EPC(130)에 어태치하거나 추적 영역 업데이트를 수행하는 경우). UE(102)가 로케이션 서비스 관련 호출 독립적 보조 서비스들을 지원하지 않으면 또는 MME(131)가 (일시적 또는 영구적 이유들로) 주기적이고 트리거링된 로케이션에 대한 로케이션 요청을 지원하지 않으면, MME(131)에 의해 적절한 에러 원인과 함께 가입자 로케이션 제공 에러 응답이 V-GMLC(132)에 리턴될 수 있다(도 2에 도시되지 않음). 그렇지 않으면, MME(131)는 확인응답, 예를 들어, 가입자 로케이션 제공 확인응답(Ack) 메시지를 V-GMLC(132)에 리턴하여, 요청이 MME(131)에 의해 수락되었음을 확인시킨다. 일 양상에서, 확인응답은, UE(102)가 현재 도달가능하지 않으면 UE(102)가 다음으로 도달가능하게 될 때까지 예상된 시간 인터벌 또는 최대 시간 인터벌의 표시를 포함할 수 있다(예를 들어, eDRX 사이클 또는 PSM의 기간에 대해 남은 시간양에 기초할 수 있음). 일 양상에서, 확인응답은 또한, 또는 대신에, 예를 들어, MME(131)에 저장된 UE(102)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이용가능하면, UE(102)에 대한 마지막으로 공지된 로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스테이지 3에서 가입자 로케이션 제공 요청 메시지 및 스테이지 4에서 가입자 로케이션 확인응답 제공 메시지는 3GPP TS 29.172에서 ELP(EPC LCS Protocol)에 대해 정의될 수 있다.
[0051] 일부 구현들에서, 주기적이고 트리거링된 로케이션 요청의 지원을 직접 표시하는 어떠한 UE(102) 능력 정보도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UE(102)가 (예를 들어, LCS에 대한 통지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로케이션 서비스 관련 호출 독립적 보조 서비스를 지원하면, MME(131)는 일부 실시예들에서 주기적이고 트리거링된 로케이션에 대한 지원을 가정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들에서, UE(102)가 스테이지 9에서 추후에 전송되는 요청을 인식하지 않으면, UE(102)는 (예를 들어, 3GPP TS 24.008에 정의된 바와 같이) 스테이지 10에서 에러 응답(예를 들어, 퍼실리티 거부된 표시)을 MME(131)에 리턴할 수 있고, 이러한 경우, MME(131)는 스테이지 19에서 전송된 메시지(예를 들어, 가입자 로케이션 보고)의 적절한 에러 원인과 함께 시그널링 흐름(200)의 스테이지들(19-24)을 착수함으로써 요청을 종료할 수 있다.
[0052] 스테이지들 5-7에서, V-GMLC(132)는 주기적이고 트리거링된 로케이션 요청이 수락되었는지 여부를 통지하기 위해 LCS 서비스 응답을 H-GMLC(142) 및 R-GMLC(152)를 통해 LCS 클라이언트(160)에 리턴한다. 그 다음, LCS 클라이언트(160)는 통지를 다른 엔티티(예를 들어, LCS 클라이언트(160)의 사용자)에 리턴할 수 있다(도 2에는 도시되지 않음). H-GMLC(142)가 스테이지 6에서 R-GMLC(152)에 LCS 서비스 응답을 리턴하는 경우, 스테이지 2에서 H-GMLC(142)에 의해 할당된 LDR 참조 번호가 포함될 수 있고, 그 다음 R-GMLC(152)는 LDR 참조 번호 또는 R-GMLC(152)에 의해 할당된 다른 참조 번호를 스테이지 7에서의 LCS 서비스 응답에서 LCS 클라이언트(160)에 전송할 수 있다. 스테이지들 5-7에서 리턴된 LCS 서비스 응답은 또한, UE(102)가 다음으로 도달가능하게 될 때까지 및/또는 이들 중 어느 것이 스테이지 4에 포함된 경우 UE(102)에 대해 마지막으로 공지된 로케이션까지 예상된 또는 최대 시간 인터벌의 표시를 포함할 수 있다. R-GMLC(152)가 H-GMLC(142)와 동일한 경우, 스테이지 6은 생략될 수 있고, H-GMLC(142)가 V-GMLC(132)와 동일한 경우, 스테이지 5는 생략될 수 있음을 주목한다.
[0053] 스테이지 4의 메시지(예를 들어, 가입자 로케이션 제공 Ack) 및 스테이지들 5-7의 LCS 서비스 응답 모두는, 로케이션 보고가 UE(102)에서 활성화된 것 또는 UE(102)가 요청을 필수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것을 확인시킬 수 없음을 주목한다. 그러나, 스테이지 4의 메시지(예를 들어, 가입자 로케이션 제공 Ack) 및 스테이지들 5-7의 LCS 서비스 응답은 네트워크 측에서 요청을 지원하는 능력 및 의도를 확인할 수 있고, UE(102)가 일시적으로 도달가능하지 않은 것으로 인해 UE(102)로부터의 응답이 지연되는 경우(예를 들어, PSM 또는 eDRX로 인해 유휴 상태인 경우) LCS 클라이언트(160)에 유용할 수 있다. 스테이지 4에서 가입자 로케이션 제공 Ack 및 스테이지들 5-7의 LCS 서비스 응답은, 네트워크에 의해 2개의 중간적 응답들을 LCS 클라이언트에 리턴하는 것을 포함하는 제1 특징에 대해 이전에 참조된 2개의 응답들 중 제1 응답에 대응할 수 있다.
[0054] 스테이지 8에서, UE(102)가 (예를 들어, PSM에서 또는 eDRX로) 현재 도달가능하지 않으면, MME(131)는 UE(102)가 다시 도달가능하게 될 때(예를 들어, UE(102)가 eDRX 사이클의 종료 시에 다시 페이징될 수 있거나 PSM인 경우 RAN(120)에 시그널링 접속을 다시 요청하는 경우)까지 대기한다. UE(102)가 도달가능하게 되는 경우, UE(102)는 RAN(120)을 통해 VPLMN EPC(130)에 시그널링 접속의 확립을 요청할 수 있고, 이 경우 UE(102) 및 MME(131)는 시그널링 접속을 확립하고 인증 및 암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UE(102)가 도달가능하게 된 후 유휴 상태(예를 들어, ECM-IDLE(EPS Connection Management IDLE) 상태)이면, MME(131)는 페이징을 수행할 수 있고, UE(102) 및 MME(131)는 UE(102)에 대한 시그널링 접속을 확립하기 위해 인증 및 암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테이지 3에서 또는 HLR/HSS(144)로부터 MME(131)에 의해 획득된 UE(102)에 대한 가입 정보에 따라) 프라이버시 통지/검증이 요청되었고 UE(102)가 로케이션 서비스 관련 호출 독립적 보조 서비스들을 지원하면, MME(131)는 연기된 로케이션 요청의 활성화를 표시하는 로케이션 타입, 로케이션 보고 이벤트(즉, 영역에 진입하는 것, 영역으로부터 떠나는 것, 영역 내에 있는 것, 주기적 또는 모션)의 타입을 표시하는 연기된 로케이션 이벤트 타입 및 프라이버시 검증이 요구되는지 여부에 관한 표시를 갖는 LCS 로케이션 통지 발동 메시지를 스테이지 8의 일부로서 UE(102)에 전송할 수 있다. 프라이버시 검증이 요청되었으면, UE(102)는, (예를 들어, UE(102)의 사용자에 의해) 로케이션 요청에 대한 허가가 승인되었는지 또는 거부되었는지 여부를 표시하는 LCS 로케이션 통지 리턴 결과 메시지를 스테이지 8의 일부로서 MME(131)에 리턴할 수 있다. UE(102)가 허가를 거부하거나 응답이 요구된 경우 응답을 리턴하지 않으면, MME(131)는 스테이지 11에 대해 아래에서 추가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요청을 종료할 수 있다. 일 양상에서, UE(102)가 MME(131)로부터 도달가능하게 되기 전에 서빙 MME(131)를 (예를 들어, MME(131#)와 같은 새로운 서빙 MME로) 변경하면, MME(131)는 MME(131)의 변경을 표시하는 메시지, 예를 들어, 가입자 로케이션 보고 메시지를 V-GMLC(132)에 리턴할 수 있고, 이용가능하면 새로운 MME(131) 어드레스(예를 들어, MME(131#)가 새로운 서빙 MME인 경우 MME(131#)에 대한 어드레스)를 포함할 수 있다(도 2에는 도시되지 않음). 그 다음, 이러한 양상에서, V-GMLC(132)는 H-GMLC(142) 및 R-GMLC(152)를 통해 LCS 클라이언트(160)에 에러를 포워딩할 수 있거나, MME(131)에 의해 제공되면 주기적이고 트리거링된 로케이션 요청을 새로운 MME(예를 들어, MME(131#))에 전송하기 위해 스테이지 3을 반복할 수 있다(도 2에는 도시되지 않음). 이러한 양상에서, 새로운 MME(예를 들어, MME(131#))에 의해 추후에 스테이지 4가 다시 수행되는 경우, V-GMLC(132)는 스테이지들 5-7을 반복하지 않을 수 있는데, 이는, 스테이지들 5-7이 초기에 수행되었을 때 LCS 클라이언트(160)가 요청의 네트워크 수락을 이미 통지받았기 때문이다.
[0055] 절차가 종료되지 않고 다른 MME로 지향되지 않는 정규의(성공적) 절차에 대한 시그널링 흐름(200)으로 되돌아 가면, 스테이지 9에서, MME(131)는, 로케이션 보고 이벤트 타입(예를 들어, 영역에 진입하는 것, 영역으로부터 떠나는 것, 영역 내에 있는 것, 주기적 보고 또는 모션 이벤트 보고), LDR 참조 번호, H-GMLC(142) 어드레스, 제공된다면 보고 PLMN들의 선택적인 리스트 및 로케이션 추정들이 요구되는 경우 임의의 요청된 QoS를 포함하는, 스테이지 3에서 V-GMLC(132)로부터 수신된 이벤트 관련 정보 모두를 반송하는 메시지, 예를 들어 LCS 주기적-트리거링된 발동 메시지를 UE(102)에 전송한다.
[0056] 스테이지 10에서, UE(102)가 스테이지 9에서 수신된 요청에 따라 주기적이고 트리거링된 로케이션을 지원하고 현재 요청을 서비스하기 위한 자원들을 가지면, UE(102)는 주기적이고 트리거링된 로케이션 요청이 UE(102)에 의해 수락되었고 활성화된 것을 확인시키는 확인응답을 MME(131)에 전송한다. 그렇지 않으면, UE(102)는 적절한 에러 원인을 갖는 리턴 에러 응답을 MME(131)에 전송할 수 있다. 스테이지 9에서 LCS 주기적-트리거링된 발동 메시지 및 스테이지 10에서 임의의 확인응답은 3GPP TS 24.080에서 정의된 바와 같을 수 있다.
[0057] 스테이지 11에서, UE(102)가 주기적이고 트리거링된 로케이션 요청을 지원할 수 없으면, 적절한 에러 원인을 갖고 LDR 참조 번호 및 H-GMLC(142)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메시지, 예를 들어, 가입자 로케이션 보고 메시지가 MME(131)에 의해 V-GMLC(132)에 리턴될 수 있다. 그렇지 않고 UE(102)가 스테이지 10에서 주기적이고 트리거링된 로케이션 요청의 지원을 확인할 수 있으면, 이벤트 보고가 UE(102)에서 활성화되었음을 표시하고 스테이지 3에서 수신된 LDR 참조 번호 및 H-GMLC(142)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메시지, 예를 들어, 가입자 로케이션 보고 메시지가 스테이지 11의 일부로서 MME(131)에 의해 V-GMLC(132)에 리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테이지 3에 표시된 바와 같이) 후속 이벤트 보고들에 대해 로케이션 추정들이 요구되면, MME(131)는 (예를 들어, 후술되는 스테이지들 15-17에서와 같이) UE(102)의 현재 로케이션을 획득할 수 있고, V-GMLC(132)에 전송된(그리고 예를 들어, V-GMLC(132)가 MME(131)에 확인응답할 수 있는) 메시지에 로케이션 추정을 포함할 수 있다. 그 다음, 스테이지 11의 일부로서, V-GMLC(132)는 주기적이고 트리거링된 로케이션 요청이 UE(102)에서 활성화되었는지 여부를 통지하기 위해 LCS 서비스 응답을 H-GMLC(142) 및 R-GMLC(152)를 통해 LCS 클라이언트(160)에 리턴한다. H-GMLC(142)가 스테이지 11의 일부로서 R-GMLC(152)에 LCS 서비스 응답을 리턴하는 경우, H-GMLC(142)에 의해 할당된 LDR 참조 번호 및 H-GMLC(142) 어드레스가 포함될 수 있고, R-GMLC(152)는 LDR 참조 번호를 스테이지 11의 일부로서 LCS 서비스 응답에서 LCS 클라이언트(160)에 전송할 수 있다. 그 다음, LCS 클라이언트(160)는 응답을 다른 엔티티(예를 들어, LCS 클라이언트(160)의 사용자)에 리턴할 수 있다(도 2에는 도시되지 않음). V-GMLC(132), H-GMLC(142) 및/또는 R-GMLC(152)는 또한 스테이지 11의 일부로서 요청에 대한 차징(charging)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스테이지 11에 후속하여, MME(131) 및 V-GMLC(132)는 임의의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요청에 대해 모든 자원들을 해제할 수 있다. 스테이지 11에 대해 활성화 표시를 갖는 전술된 가입자 로케이션 보고 메시지 및 LCS 서비스 응답 각각은 네트워크에 의해 LCS 클라이언트에 2개의 중간적 응답들을 리턴하는 것을 포함하는 제1 특징에 대해 이전에 참조된 2개의 응답들 중 제2 응답에 대응할 수 있음(그리고 예를 들어, 로케이션(또는 로케이션 이벤트) 보고가 UE(102)에서 시작되었음을 LCS 클라이언트(160)에 확인시킬 수 있음)을 주목한다. 스테이지 11에서 가입자 로케이션 보고 메시지 및 연관된 확인응답 메시지는 3GPP TS 29.172에서 ELP(EPC LCS Protocol)에 대해 정의될 수 있다.
[0058] 스테이지 12에서, 영역 이벤트 또는 모션 이벤트의 경우, UE(102)는 스테이지 9에서 수신된 최대 이벤트 샘플링 인터벌과 동일하거나 그보다 작은 인터벌들로 요청된 이벤트(또는 트리거 이벤트)를 모니터링한다. (예를 들어, 스테이지 1에서 LCS 클라이언트(160)에 의해 또는 스테이지 2의 일부로서 H-GMLC(142)에 의해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인해) 스테이지 9에서 어떠한 최대 이벤트 샘플링 인터벌도 수신되지 않았다면, UE(102)는 디폴트 최대 이벤트 샘플링 인터벌을 사용할 수 있다. 스테이지 12에서 최대 이벤트 샘플링 인터벌의 사용은 최대 이벤트 샘플링 인터벌을 포함하는 본원에서 이전에 설명된 제3 특징에 대응할 수 있고, UE(102) 전력 및/또는 이벤트 모니터링에 대한 배터리 소모에서의 제한 또는 감소 및 이전에 설명된 바와 같이 이벤트를 검출할 때 최대 지연에서의 제한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벤트(또는 트리거 이벤트)는, (i) 요청된 영역 이벤트(예를 들어, 영역에 진입한 것, 영역으로부터 떠나는 것 또는 영역 내에 있는 것) 또는 요청된 모션 이벤트가 UE(102)에 의해 검출되었고 (제1 이벤트 보고가 아닌 경우) 스테이지 14에서 마지막 보고 이후 (스테이지 9에서 포함된 경우) 최소 보고 인터벌이 경과된 것; (ii) 요청된 주기적 로케이션 이벤트가 발생한 것; 또는 (iii) 영역 이벤트 또는 모션 이벤트에 대한 최대 보고 인터벌이 만료된 것 중 임의의 것이 발생할 때 UE(102)에 의해 검출될 수 있다. 스테이지들 13 내지 24와 관련하여 추가로 설명되는 바와 같이 대안적인 (iii) 및 이의 후속 보고에 대응하는 이벤트 트리거는, 트리거링된 이벤트에 대한 주기적이고 트리거링된 로케이션 요청에 대한 최대 보고 인터벌을 포함하는, 본 개시의 제2 특징에 대해 이전에 설명된 이벤트 보고를 지원할 수 있고, 네트워크 엔티티들(예를 들어, R-GMLC(152) 및 H-GMLC(142)) 및 LCS 클라이언트(160)이 주기적이고 트리거링된 로케이션 보고가 UE(102)에서 여전히 활성인지 여부를 결정하게 할 수 있다.
[0059] 스테이지 12에서 이벤트 트리거가 UE에 의해 검출되는 경우, 스테이지 9에서 수신된 보고 PLMN들의 선택적인 리스트의 PLMN으로 또는 어떠한 보고 PLMN들의 리스트도 제공되지 않았거나 UE(102)가 보고 PLMN들의 선택적인 리스트를 지원하지 않으면 원래의 서빙 PLMN으로 UE(102)가 (예를 들어, RAN(120)을 사용하여) 등록할 수 있을 때 UE(102)는 스테이지 13으로 진행한다. UE(102)가 허용된 PLMN으로 등록할 수 없으면, UE(102)는 이벤트를 보고하기 위해 허가된 PLMN이 액세스될 수 있을 때까지, 또는 LCS 클라이언트(160)에 의한 취소, UE(102)에 의한 취소 또는 보고에 대해 허용된 지속기간의 만료로 인해 주기적이고 트리거링된 로케이션 요청이 종료될 때까지 대기할 수 있다. UE(102)가 영역 이벤트의 발생을 보고하기 위해 상이한 서빙 PLMN을 사용하면, UE(102)는 원래의 서빙 PLMN에 대해 셀 ID들 및/또는 TA들을 포함하는 원래의 서빙 PLMN(예를 들어, 이러한 예에서 VPLMN EPC(130))에 의해 제공되는 타겟 영역을 여전히 계속 사용할 수 있음을 주목한다. 오직 허가된 PLMN들만을 사용하는 제한은 UE(102)에 의한 PLMN 선택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0060] 스테이지 13에서, UE(102)가 유휴(예를 들어, ECM-IDLE) 상태이면, UE(102)는 RAN(120)을 통해 서빙 MME(131)로의 시그널링 접속을 획득하기 위해 (예를 들어, 3GPP TS 23.401에 정의된 바와 같이) UE 트리거링된 서비스 요청 또는 접속 재개를 수행할 수 있다. 스테이지들 13 내지 24에 대한 MME(131) 및 V-GMLC(132)는 스테이지들 1 내지 11에 대한 MME(131) 및 V-GMLC(132)와 상이할 수 있지만 여전히 VPLMN EPC(130)에 속할 수 있음을 주목한다. 주기적이고 트리거링된 로케이션 요청(도 2에는 도시되지 않음)의 다른 예에서, UE(102)는 스테이지 13에서 VPLMN EPC(130)와 상이한 다른 PLMN EPC에 어태치할 수 있고, 이 경우 스테이지들 13 내지 24에 대해 도 2에 도시된 MME(131), V-GMLC(132) 및 E-SMLC(133)는 이러한 다른 PLMN에 대한 MME, V-GMLC 및 E-SMLC로 대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UE(102)는 RAN(126)을 통해 시스템 아키텍처(100)의 VPLMN EPC(134)에 어태치할 수 있고, 이 경우 스테이지들 13 내지 24에 대해 도 2에 도시된 MME(131), V-GMLC(132) 및 E-SMLC(133)는 MME(135), V-GMLC(137) 및 E-SMLC(136)로 각각 대체될 수 있다. 다른 PLMN에 대한 이러한 어태치먼트는, UE(102)가 스테이지 12에 후속하여 VPLMN EPC(130)에 액세스할 수 없지만(예를 들어, UE(102)가 RAN(120)의 커버리지에 있지 않은 경우) 다른 PLMN에 액세스할 수 있는(예를 들어, RAN(126)의 커버리지 내에 있는 것으로 인해 VPLMN EPC(134)에 액세스할 수 있는) 경우에 발생할 수 있다.
[0061] 스테이지 14에서, UE(102)는 연기된 주기적이고 트리거링된 로케이션 요청에 대한 이벤트 보고를 표시하는 LCS MO-LR(Mobile Originated Location Request) 발동 메시지를 MME(131)에 전송할 수 있다. LCS MO-LR 발동 메시지는 보고되는 이벤트의 타입(예를 들어, 영역에 진입하는 것, 영역으로부터 떠나는 것, 영역 내에 있는 것, 주기적인 이벤트, 모션 이벤트 또는 최대 보고 인터벌의 만료), LDR 참조 번호, H-GMLC(142) 어드레스 및 로케이션 추정이 요구되는지 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LCS 클라이언트(160)에 의해 요청된 경우 주기적인 로케이션 이벤트에 대한 또는 영역 이벤트 또는 모션 이벤트에 대한) 로케이션 추정이 요구되는 경우, UE(102)는 로케이션 추정이 UE(102)에 대해 현재 이용가능하면 스테이지 9에서 수신된 임의의 QoS 및 로케이션 추정을 포함할 수 있다. UE(102)는 또한, (예를 들어, 보고 지속기간의 만료로 인해 또는 오직 하나의 이벤트 보고가 요청되었기 때문에) 주기적이고 트리거링된 로케이션 요청이 현재 UE(102)에서 종료되는지 여부를 표시할 수 있다. 스테이지 9에서 요청된 경우 스테이지 14에서 UE(102)에 의한 로케이션 추정의 제공은 일부 양상들에서 영역 이벤트 또는 모션 이벤트에 대한 최대 보고 인터벌의 만료에 대응하는 이벤트에 적용될 수 있음을 주목한다. 스테이지 14에서 전송된 LCS MO-LR 발동 메시지 및 스테이지 18에 대해 추후에 설명되는 LCS MO-LR 리턴 결과 메시지는 3GPP TS 24.080에서 정의된 바와 같을 수 있다.
[0062] (예를 들어, UE(102)가 스테이지 12에 후속하여 파워 오프되었거나 VPLMN EPC(130) 또는 다른 허용된 PLMN에 액세스할 수 없기 때문에) UE(102)가 최대 보고 인터벌의 만료 시에 또는 그 전에 스테이지 14에서 LCS MO-LR 발동 메시지를 전송하지 않는 시나리오에서, LCS 클라이언트(160), H-GMLC(142) 또는 R-GMLC(152) 중 하나 이상은, UE(102)가 최대 보고 인터벌 이전에 응답하지 않는 것으로 인해 더 이상 주기적이고 트리거링된 MT-LR을 지원할 수 없다고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시나리오(도 2에는 도시되지 않음)에서, LCS 클라이언트(160), H-GMLC(142) 및/또는 R-GMLC(152)는 예를 들어 아래의 도 3 및 도 4에 대해 설명되는 바와 같이, 주기적이고 트리거링된 로케이션 요청을 취소할 수 있다.
[0063] 도 2로 되돌아 가서, 스테이지 14에서 로케이션 추정이 요구된다고 UE(102)가 표시하면, MME(131)는 스테이지 15에서 UE(102)에 대한 로케이션 요청 메시지를 E-SMLC(133)에 전송함으로써 UE(102)의 로케이션을 착수할 수 있다. 그 다음, E-SMLC(133)는 본원의 이전에 설명된 바와 같이 제어 평면 로케이션 솔루션을 사용하여 스테이지 16에서 UE(102)에 대한 로케이션을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E-SMLC(133)는 스테이지 16에서 UE(102)와 포지셔닝 프로토콜 메시지들(예를 들어, 3GPP TS 36.355에서 정의된 LPP(LTE Positioning Protocol)에 대한 메시지들)을 교환할 수 있고(도 2에 도시되지는 않음) 그리고/또는 스테이지 16에서 eNB(122)와 같은 RAN(120)의 UE(102)에 대한 서빙 eNB와 (예를 들어, 3GPP TS 36.455에 정의된 LPPa(LPP A) 프로토콜에 대한) 포지셔닝 프로토콜 메시지들을 교환할 수 있다(도 2에는 도시되지 않음). 포지셔닝 프로토콜 메시지들은 MME(131)를 통해 및 (예를 들어, LPP 메시지들의 경우) RAN(120)을 통해 교환될 수 있다. E-SMLC(133)는 (예를 들어, A-GNSS, OTDOA, E-CID 또는 WLAN 포지셔닝을 위해) UE(102)로부터 로케이션 측정들을 요청 및 수신하기 위해 포지셔닝 프로토콜 메시지들(예를 들어, LPP 메시지들)을 사용할 수 있고 그리고/또는 eNB(122)와 같은 UE(102)에 대한 서빙 eNB로부터 (예를 들어, E-CID 포지셔닝을 위한) 로케이션 측정들을 요청 및 수신하기 위해 포지셔닝 프로토콜 메시지들(예를 들어, LPPa 메시지들)을 사용할 수 있다. E-SMLC(133)는 또한 UE(102)가 (예를 들어, A-GNSS, OTDOA, E-CID 또는 WLAN 포지셔닝을 위해) 로케이션 측정들을 획득하고 가능하게는 이러한 로케이션 측정들로부터 로케이션 추정을 컴퓨팅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돕기 위해 보조 데이터를 UE(102)에 제공하도록 포지셔닝 프로토콜 메시지들(예를 들어, LPP 메시지들)을 사용할 수 있다. 그 다음, E-SMLC(133)는 수신된 로케이션 측정들로부터 (예를 들어, A-GNSS, OTDOA, E-CID 또는 WLAN 포지션 방법들에 따라) UE(102)에 대한 로케이션 추정을 결정(또는 검증)할 수 있고, 스테이지 17에서 MME(131)에 로케이션 추정을 리턴할 수 있다. 스테이지 14에서 로케이션 추정이 UE(102)에 의해 제공되면, 스테이지들 15 내지 17은 (예를 들어, MME(131)의 구성 정보에 따라) MME(131)에 의해 생략될 수 있거나, 또는 MME(131)는 단계들 15-17을 수행할 수 있고, 스테이지 14에서 UE(102)에 의해 제공된 로케이션 추정을 스테이지 15에서 E-SMLC(133)에 전송된 로케이션 요청에 포함할 수 있다.
[0064] 스테이지 18에서, MME(131)는 로케이션 이벤트 보고가 전송될 것을 확인시키는 MO-LR 리턴 결과 메시지를 UE(102)에 전송한다. MME(131)가 로케이션 이벤트 보고를 전송할 수 없으면(예를 들어, 능력이 MME(131)에 의해 지원되지 않기 때문에), 그 대신 MO-LR 리턴 에러는 UE(102)에 리턴될 수 있다(도 2에는 도시되지 않음). 그 다음, UE(102)는 구현 정의된 수의 이러한 MO-LR 리턴 에러들이 수신된 후 주기적이고 트리거링된 로케이션 절차를 종료할 수 있다.
[0065] MME(131)가 로케이션 이벤트 보고를 전송할 수 있다고 가정하면, 스테이지 19에서, MME(131)는 동일한 네트워크에서(예를 들어, VPLMN EPC(130)에서) V-GMLC(132)를 선택하고, 보고되는 이벤트(또는 로케이션 이벤트)의 타입(예를 들어, 영역에 진입하는 것, 영역으로부터 떠나는 것, 영역 내에 있는 것, 주기적인 이벤트, 모션 이벤트 또는 최대 보고 인터벌의 만료)의 표시, LDR 참조 번호, H-GMLC(142) 어드레스, 스테이지 14에서 수신되거나 스테이지들 15-17에서 획득된 임의의 로케이션 추정 및 선택적으로 로케이션 추정에 사용되는 포지셔닝 방법들에 대한 정보를 갖는 메시지, 예를 들어, 가입자 로케이션 보고 메시지를 V-GMLC(132)에 전송한다. MME(131)는 또한 UE(102) IMSI 또는 MSISDN을 포함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스테이지 14에서 예를 들어 UE(102)에 의해 표시되면) 주기적이고 트리거링된 MT-LR이 이제 UE(102)에서 종료되는지 여부를 표시할 수 있다.
[0066] 스테이지 20에서, V-GMLC(132)는 MME(131)에 확인응답 메시지를 전송하고, MME(131)는 차징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스테이지 19에서 가입자 로케이션 보고 메시지 및 스테이지 20에서 확인응답 메시지는 ELP 프로토콜에 대해 정의된 바와 같을 수 있다.
[0067] 스테이지 21에서, V-GMLC(132)는 스테이지 19에서 수신된 H-GMLC(142) 어드레스에 의해 식별된 바와 같이 스테이지 19에서 수신된 정보를 H-GMLC(142)에 포워딩한다. V-GMLC(132)는 차징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0068] 스테이지 22에서, H-GMLC(142)는, 스테이지 21에서 수신된 LDR 참조 번호 및/또는 IMSI 또는 MSISDN을 사용하여 스테이지 21에서 수신된 메시지가 적용되는 로케이션 요청을 식별한다. H-GMLC(142)는 또한 스테이지 22에서 프라이버시 체크를 수행할 수 있다(예를 들어, 스테이지 21에서 수신된 정보를 스테이지 23에서 LCS 클라이언트(160)에 포워딩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0069] 스테이지 23에서, H-GMLC(142)는 V-GMLC(132)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LCS 서비스 응답에서 R-GMLC(152)에 포워딩한다. UE(102)가 로케이션 요청의 종료를 표시하면, 주기적이고 트리거링된 MT-LR 로케이션 요청은 H-GMLC(142)에서 완료될 수 있다. H-GMLC(142)는 차징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0070] 스테이지 24에서, R-GMLC(152)는 이벤트 보고 및 임의의 포함된 로케이션 추정을 LCS 클라이언트(160)에 전송한다. 그 다음, LCS 클라이언트(160)는 이벤트 보고 및 임의의 포함된 로케이션을 다른 엔티티(예를 들어, LCS 클라이언트(160)의 사용자)에 전송할 수 있다(도 2에는 도시되지 않음). UE(102)가 주기적이고 트리거링된 MT-LR 로케이션 요청의 종료를 표시하면, 로케이션 요청은 R-GMLC(152)에서 완료될 수 있다. R-GMLC(152)는 차징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R-GMLC(152)가 H-GMLC(142)와 동일한 경우, 스테이지 23은 생략될 수 있고, H-GMLC(142)가 V-GMLC(132)와 동일한 경우, 스테이지 21은 생략될 수 있음을 주목한다.
[0071] 스테이지 25에서, UE(102)가 스테이지 18에 후속하여 로케이션 요청을 종료하지 않았다면, UE(102)는 스테이지 12에서 요청된 이벤트에 대해 계속 모니터링할 수 있고, 요청된 지속기간의 만료까지 또는 다른 원인들로 UE(102) 또는 LCS 클라이언트(160)가 보고를 종료할 때까지 스테이지들 13-24에서와 같이 요청된 이벤트의 각각의 발생을 보고할 수 있다.
[0072] 도 3은 LCS 클라이언트(160)에 의해 취소가 요청될 때 주기적이고 트리거링된 로케이션에 대한 연기된 로케이션 요청을 취소하기 위한 절차를 예시하는 시그널링 흐름(300)을 도시한다. 시그널링 흐름(300)에 대해, 주기적이고 트리거링된 MT-LR은 시그널링 흐름(200)에 대해 설명된 바와 같이 UE(102)에 대해 성공적으로 시작되었고, 시그널링 흐름(200)의 스테이지들 1-7 또는 스테이지들 1-11 및 가능하게는 스테이지들 12-24의 일부 발생들은 이미 성공적으로 수행된 것으로 가정된다.
[0073] 시그널링 흐름(300)의 스테이지 1에서, LCS 클라이언트(160)는 이전에 요청된 주기적이고 트리거링된 MT-LR 로케이션 요청의 취소를 요청한다. (예를 들어, 시그널링 흐름(200)의 스테이지 7 또는 스테이지 11에서와 같이) R-GMLC(152)에 의해 LCS 클라이언트(160)에 전송된 이전 LCS 서비스 응답에 포함된 LDR(또는 다른) 참조 번호는 어느 진행중인 로케이션 요청이 취소되어야 하는지를 표시하기 위해 시그널링 흐름(300)에 대한 스테이지 1에서 전송된 요청에 포함될 수 있다.
[0074] 스테이지 2에서, R-GMLC(152)는 LDR 참조 번호를 포함하는 취소 요청을 H-GMLC(142)에 전송한다. 일부 시나리오들(도 3에는 도시되지 않음)에서, 예를 들어, 긴 기간 동안 로케이션 보고들의 부재로부터 UE(102)에 의해 로케이션 요청이 종료되었을 수 있다고 R-GMLC(152)가 추론할 때마다, R-GMLC(152)는 스스로 취소를 개시할 수 있다.
[0075] 스테이지 3에서, H-GMLC(142)는 UE(102)에 대한 현재 VPLMN에 대해 문의하기 위해 UE(102)의 IMSI 또는 MSISDN을 갖는 메시지(예를 들어, SEND_ROUTING_INFO_FOR_LCS 메시지)를 HLR/HSS(144)에 전송할 수 있다. 이는, UE(102)가 더 이상 원래의 V-PLMN EPC(130) 또는 원래의 MME(131)에 의해 서빙되지 않으면 필요할 수 있다.
[0076] 스테이지 4에서, HLR/HSS(144)는 UE(102)에 대한 어드레스 및 V-GMLC(132) 어드레스를 현재의 서빙 MME(131)에 리턴한다. 스테이지 4에서 HLR/HSS(144)에 의해 표시된 MME(131) 및 V-GMLC(132)는, 주기적이고 트리거링된 MT-LR이 먼저 시작되었을 때 시그널링 흐름(200)에서 스테이지들 1-11에 대해 사용된 원래의 MME(131) 및 V-GMLC(132)와 상이할 수 있음을 주목한다.
[0077] 스테이지 5에서, H-GMLC(142)는 R-GMLC(152)로부터 수신된 LDR 참조 번호, H-GMLC(142) 어드레스, (예를 들어, 스테이지 4에서 HLR/HSS(144)로부터 수신된) 서빙 MME(131) 어드레스 및 가능하게는 UE(102)에 대한 IMSI 또는 MSISDN을 갖는 LCS 취소 서비스 요청을 V-GMLC(132)에 포워딩한다. 일부 시나리오들(도 3에는 도시되지 않음)에서, (예를 들어, LCS 클라이언트(160)가 UE(102)에 대한 이벤트 및 로케이션 보고들을 수신하도록 더 이상 허용하지 않는 방식으로 H-GMLC(142)에 저장된 UE(102)에 대한 프라이버시 프로파일이 변경된 경우) H-GMLC(142)는 취소 절차를 스스로 개시할 수 있다.
[0078] 스테이지 6에서, V-GMLC(132)는, 연기된 로케이션 요청의 취소를 표시하고 스테이지 5에서 H-GMLC(142)로부터 수신된 LDR 참조 번호 및 H-GMLC(142) 어드레스(및 가능하게는 UE(102) IMSI 또는 MSISDN)를 포함하는 메시지, 예를 들어 가입자 로케이션 제공 요청 메시지를 서빙 MME(131)에 전송한다. V-GMLC(132)는, (예를 들어, 시그널링 흐름(200)에 따라) 로케이션 요청을 확립할 때 V-GMLC(132)가 수반되지 않은 경우에도 로케이션 취소를 전송할 수 있다. 스테이지 6에서 가입자 로케이션 제공 요청 메시지 및 스테이지 10에 대해 추후에 설명되는 가입자 로케이션 Ack 제공 메시지는 EPC 프로토콜에 대해 정의된 바와 같을 수 있다.
[0079] 스테이지 7에서, (예를 들어, eDRX 사이클 동안 또는 PSM인 경우) UE(102)가 현재 도달가능하지 않으면, MME(131)는 UE(102)가 도달가능하게 될 때까지 대기할 수 있다. UE(102)가 도달가능하게 될 때, UE(102)가 유휴 상태(예를 들어, ECM-IDLE 상태)이면, MME(131)는 페이징, 인증 및 암호화를 수행한다.
[0080] 스테이지 8에서, MME(131)는 LDR 참조 번호 및 선택적으로는 H-GMLC(142)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LCS 주기적 로케이션 취소 요청 메시지를 UE(102)에 전송한다.
[0081] 스테이지 9에서, UE(102)는 주기적이고 트리거링된 로케이션 이벤트 보고를 중단하고 LCS 주기적 로케이션 취소 ack 메시지를 MME(131)에 리턴한다. LCS 주기적 로케이션 취소 ack의 리턴은, (예를 들어, UE(102)가 절차 동안 파워 오프되면) 로케이션 절차가 취소되는 것을 UE(102)가 모르는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스테이지 8에서 LCS 주기적 로케이션 취소 요청 및 스테이지 9에서 LCS 주기적 로케이션 취소 ack 메시지는 3GPP TS 24.080에 대해 정의된 바와 같을 수 있다.
[0082] 스테이지 10에서, MME(131)는 선택적으로 LDR 참조 번호 및 H-GMLC(142) 어드레스를 갖는 취소 확인응답을 (예를 들어, 가입자 로케이션 Ack 제공 메시지에서) V-GMLC(132)에 전송한다. 일 양상에서, (예를 들어, UE(102)에 의한 MME(131) 또는 VPLMN의 변경으로 인해 또는 시그널링 흐름(200)의 스테이지들 8-11에서 주기적이고 트리거링된 MT-LR이 MME(131)에 의해 UE(102)에서 결코 활성화되지 않았기 때문에) MME(131)가 스테이지들 7-9를 수행할 수 없었다면, MME(131)는 적절한 에러 원인을 갖는 에러 응답(예를 들어, 가입자 로케이션 제공 에러 응답 메시지)를 리턴할 수 있다. 그 다음, 이러한 양상에서, V-GMLC(132)가 에러를 H-GMLC(142)에 리턴하고, 이는 상이한 MME(131) 또는 적용가능한 경우 상이한 PLMN과 취소를 재시도할 수 있다.
[0083] 스테이지 11에서, V-GMLC(132)는 선택적으로 LDR 참조 번호 및 H-GMLC(142) 어드레스를 갖는 LCS 취소 서비스 응답 메시지를 H-GMLC(142)에 전송한다.
[0084] 스테이지 12에서, H-GMLC(142)는 선택적으로 LDR 참조 번호를 갖는 LCS 취소 서비스 응답 메시지를 R-GMLC(152)에 전송한다.
[0085] 스테이지 13에서, R-GMLC(152)는 LCS 취소 서비스 응답을 LCS 클라이언트(160)에 전송한다.
[0086] 도 4는 UE(102)에 의해 취소가 요청될 때 주기적이고 트리거링된 로케이션을 취소하기 위한 절차를 예시하는 시그널링 흐름(400)을 도시한다. 네트워크 엔티티(예를 들어, H-GMLC(142), V-GMLC(132) 또는 MME(131))가 주기적이고 트리거링된 로케이션을 취소하면, 시그널링 흐름(300)에 대해 앞서 설명된 절차는 UE(102)를 향한 주기적이고 트리거링된 로케이션을 취소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한편, 시그널링 흐름(400)에 대한 절차는 LCS 클라이언트(160)를 향한 주기적이고 트리거링된 로케이션을 취소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시그널링 흐름(400)에 대해, 주기적이고 트리거링된 MT-LR은 시그널링 흐름(200)에 대해 설명된 바와 같이 UE(102)에 대해 성공적으로 시작되었고, 시그널링 흐름(200)의 스테이지들 1-11 및 가능하게는 스테이지들 12-24의 일부 발생들은 이미 성공적으로 수행된 것으로 가정된다.
[0087] 시그널링 흐름(400)의 스테이지 1에서, UE(102)는, UE(102)가 등록되거나 또는 시그널링 흐름(200)의 스테이지 9에서 수신된 보고 PLMN들의 선택적인 리스트에서 PLMN으로 또는 보고 PLMN들의 어떠한 선택적인 리스트도 UE(102)에 제공되지 않았다면 또는 UE(102)가 보고 PLMN들의 선택적인 리스트를 지원하지 않으면 시그널링 흐름(200)에 대한 원래의 서빙 PLMN(예를 들어, VPLMN EPC(130))으로 (예를 들어, RAN(120)을 통해) 등록할 수 있을 때까지 대기한다. UE(102)가 유휴 상태(예를 들어, ECM-IDLE 상태)이면, UE(102)는 서빙 MME(131)로의 시그널링 접속을 획득하기 위해 (예를 들어, 3GPP TS 23.401에 정의된 바와 같이) UE 트리거링된 서비스 요청 또는 접속 재개를 수행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서빙 MME(131), RAN(120) 및 V-GMLC(132)는 시그널링 흐름(200)의 스테이지들 1-11에서 주기적이고 트리거링된 로케이션을 확립하기 위해 사용된 MME(131), RAN(120) 및 V-GMLC(132)와 상이할 수 있음을 주목한다.
[0088] 스테이지 2에서, UE(102)는 주기적이고 트리거링된 로케이션에 대해 연기된 MT-LR의 취소를 위해 서빙 MME(131)에 LCS MO-LR 발동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러한 메시지는 종료 원인(예를 들어, 가입자가 절차를 종료한 것을 표시함) 및 시그널링 흐름(200)의 스테이지 9에서 UE(102)에 의해 수신된 H-GMLC(142) 어드레스 및 LDR 참조 번호를 포함한다.
[0089] 스테이지 3에서, 취소 요청은 MME(131)로부터 V-GMLC(132)에 전송될 수 있고, H-GMLC(142) 어드레스, LDR 참조 번호 및 UE(102)의 아이덴티티(예를 들어, IMSI 또는 MSISDN)를 포함할 수 있다. V-GMLC(132)는 예를 들어, MME(131)의 구성 정보에 기초하여 MME(131)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0090] 스테이지들 4-6에서, 취소 요청은 H-GMLC(142), R-GMLC(152) 서빙 LCS 클라이언트(160)에 그리고 최종적으로 LCS 클라이언트(160)에 전송될 수 있다.
[0091] 스테이지들 7-10에서, 취소를 확인응답하기 위해 LCS 클라이언트(160)로부터의 응답은 MME(131)에 다시 전송된다.
[0092] 스테이지(11)에서, MME(131)는 확인응답을 LCS MO-LR 리턴 결과 메시지에서 UE(102)에 리턴한다. 스테이지 2에서 전송된 LCS MO-LR 발동 메시지 및 스테이지 11에서 전송된 LCS MO-LR 리턴 결과 메시지는 3GPP TS 24.080에서 정의된 바와 같을 수 있다.
[0093] 시그널링 흐름(200)에서 UE(102)에 대한 주기적이고 트리거링된 로케이션 요청을 개시하고 시그널링 흐름들(300 및 400)에서 UE(102)에 대한 진행중인 주기적이고 트리거링된 로케이션 요청을 취소하는 앞선 예들은 도 1의 예시적인 시스템 아키텍처(100)에 기초하며, 여기서 RAN(120) 및 RAN(126) 둘 모두는 NB-IoT 또는 LTE RAT를 사용하여 UE(102)에 대한 무선 액세스를 제공하고, 여기서 VPLMN EPC(130) 및 VPLMN EPC(134) 둘 모두는 RAN(120) 및 RAN(126)을 각각 사용하여 UE(102)에 대한 E-UTRAN 액세스를 지원한다. 그러나, 다른 RAT들 및 다른 네트워크들에 대해 시그널링 흐름들(200, 300 및 400)과 유사하거나 상이한 시그널링 흐름들이 가능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도 1의 RAN(120) 및 RAN(126) 각각은 NR 또는 5G에 따라 UE(102)에 무선 액세스를 제공하는 차세대 RAN(NG-RAN)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VPLMN EPC(130) 및 VPLMN EPC(134) 각각은 5GC(5G Core Network)로 대체될 수 있고, 여기서 AMF(Access and Mobility Management Function)는 MME들(131, 131# 및 135) 각각을 대체할 수 있고, LMF(Location Management Function)는 E-SMLC들(133, 133# 및 136) 각각을 대체할 수 있고, V-GMLC들(132, 132# 및 137)은 대체되지 않고 유지될 수 있거나 유사한 기능들을 수행하는 유사하게 명명된 엔티티들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 그 다음, 시그널링 흐름들(200, 300 및 400)과 유사하거나 거의 동일한 시그널링 흐름들은 이러한 시그널링 흐름들의 MME(131, 131# 또는 135)에 대한 각각을 참조를 AMF에 대한 참조로 대체하고, E-SMLC(133, 133# 또는 136)에 대한 각각의 참조를 LMF에 대한 참조로 대체하고 eNB(예를 들어, eNB(122 또는 124)에 대한 각각의 참조를 gNB에 대한 참조로 대체함으로써 생성될 수 있다. 시그널링 흐름들(200, 300 및 400)과 유사하거나 거의 동일한 시그널링 흐름들은 또한 이러한 시그널링 흐름들의 MME(131, 131# 또는 135)에 대한 각각을 참조를 LMF에 대한 참조로 대체하고, E-SMLC(133, 133# 또는 136)에 대한 각각의 참조를 LMF(이는 MME를 대체하는 동일한 LMF일 수 있음)에 대한 참조로 대체하고, (LMF가 시그널링 흐름(200)의 MME에 대해 설명된 일부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시그널링 흐름(200)에서 스테이지들 15 및 17을 제거하고, eNB(예를 들어, eNB(122 또는 124)에 대한 각각의 참조를 gNB에 대한 참조로 대체함으로써 생성될 수 있다. 수정된 시그널링 흐름들은, UE가 NB-IoT 또는 LTE를 사용하기 보다는 NR을 사용하여 무선 액세스를 갖는 경우 UE(102)에 대한 주기적이고 트리거링된 로케이션을 수행하기 위한 절차를 정의할 수 있다.
[0094] 도 5는 타겟 사용자 장비(예를 들어, UE(102))에 대한 주기적이고 트리거링된 로케이션 서비스를 수행하는 방법을 예시하는 프로세스 흐름(500)을 도시한다. 프로세스 흐름(500)은 제1 네트워크 엔티티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제1 네트워크 엔티티는 MME(예를 들어, 시스템 아키텍처(100)의 MME(131), MME(131#) 또는 MME(135)), AMF 또는 LMF 중 임의의 것일 수 있다. 아래의 프로세스 흐름(500)의 설명에서, AMF 또는 LMF에 의해 수행되는 액션들에 대한 참조들은 NG-RAN를 통한 5GC로의 UE(102) NR 무선 액세스에 대한 적용가능성에 대해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수정된 시그널링 흐름(200)에서 하나 이상의 스테이지들에 대응할 수 있다.
[0095] 프로세스 흐름(500)은, 제1 네트워크 엔티티가 제2 네트워크 엔티티로부터 타겟 사용자 장비(예를 들어, UE(102))에 대한 주기적이고 트리거링된 로케이션 요청을 수신하는 블록(502)에서 시작할 수 있다. 제2 네트워크 엔티티는 GMLC(Gateway Mobile Location Center)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네트워크 엔티티는 V-GMLC(예를 들어, V-GMLC(132)) 또는 H-GMLC(예를 들어, H-GMLC(142))일 수 있고 블록(502)은 시그널링 흐름(200)에서 스테이지 3에 대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기적이고 트리거링된 로케이션 요청은 가입자 로케이션 제공 요청 메시지에 대응할 수 있다.
[0096] 블록(504)에서, 제1 네트워크 엔티티는 주기적이고 트리거링된 로케이션 요청이 수신되고 수락되었음을 표시하는 제1 응답을 제2 네트워크 엔티티에 송신한다. 예를 들어, 제1 응답은 가입자 로케이션 확인응답 제공 메시지에 대응할 수 있고 블록(504)은 시그널링 흐름(200)의 스테이지 4에 대응할 수 있다.
[0097] 블록(506)에서, 타겟 사용자 장비가 현재 도달가능한 상태에 있지 않으면, 제1 네트워크 엔티티는 타겟 사용자 장비가 무선 네트워크(예를 들어, VPLMN EPC(130) 및 RAN(120))와 도달가능한 상태에 있을 때까지 대기한다. 예를 들어, 블록(506)은 시그널링 흐름(200)의 스테이지 8의 일부에 대응할 수 있다.
[0098] 블록(508)에서, 제1 네트워크 엔티티는 타겟 사용자 장비와 시그널링 접속을 확립한다. NB-IoT(Narrowband Internet of Things) RAT(radio access type), LTE(Long Term Evolution) RAT, 또는 NR(New Radio) RAT를 사용하여 타겟 사용자 장비와의 시그널링 접속이 확립될 수 있다. 블록(508)은 시그널링 흐름(200)의 스테이지 8의 일부에 대응할 수 있다.
[0099] 블록(510)에서, 제1 네트워크 엔티티는 주기적이고 트리거링된 로케이션 요청을 타겟 사용자 장비에 송신한다. 블록(510)에서 타겟 사용자 장비에 송신된 주기적이고 트리거링된 로케이션 요청은 시그널링 흐름(200)의 스테이지 9에 대해 설명된 바와 같이 로케이션 보고 이벤트의 타입, 및 최대 보고 인터벌, 최소 보고 인터벌 및 최대 이벤트 샘플링 인터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로케이션 보고 이벤트의 타입은 시그널링 흐름(200)의 스테이지 9에 대해 설명된 바와 같이, 영역에 진입하는 것, 영역으로부터 떠나는 것, 영역 내에 있는 것, 주기적인 보고 또는 모션 이벤트 보고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블록(510)은 시그널링 흐름(200)의 스테이지 9에 대응할 수 있다.
[00100] 블록(512)에서, 제1 네트워크 엔티티는 타겟 사용자 장비로부터 주기적이고 트리거링된 로케이션 요청이 타겟 사용자 장비에 의해 수락되었음을 표시하는 확인을 수신한다. 블록(512)은 시그널링 흐름(200)의 스테이지 10에 대응할 수 있다.
[00101] 블록(514)에서, 제1 네트워크 엔티티는 주기적이고 트리거링된 로케이션 요청이 타겟 사용자 장비에서 활성화되었음을 표시하는 제2 응답을 제2 네트워크 엔티티에 송신한다. 예를 들어, 제2 응답은 가입자 로케이션 보고에 대응할 수 있고 블록(514)은 시그널링 흐름(200)의 스테이지 11의 일부에 대응할 수 있다.
[00102] 제1 네트워크 엔티티는 후속적으로, 예를 들어, 시그널링 흐름(200)의 스테이지 14에서와 같이, 이벤트의 검출을 보고하고 선택적으로 로케이션 추정을 제공하기 위해 타겟 사용자 장비로부터 로케이션 보고를 수신할 수 있다. 그 다음, 제1 네트워크 엔티티는 (예를 들어, 시그널링 흐름(200)의 스테이지들 15-17에서와 같이 E-SMLC(133)로부터) 타겟 사용자 장비에 대한 로케이션 추정을 획득할 수 있다. 제1 네트워크 엔티티는 또한 로케이션 보고를 제2 네트워크 엔티티에 송신할 수 있고 획득된 임의의 로케이션 추정을 포함할 수 있다.
[00103] 제1 네트워크 엔티티는 후속적으로, 예를 들어, 시그널링 흐름(200)의 스테이지들 12-14에 대해 설명된 바와 같이, 최대 보고 인터벌 동안 타겟 사용자 장비에 의해 어떠한 로케이션 보고 이벤트도 검출되지 않은 경우 타겟 사용자 장비로부터 로케이션 보고를 수신할 수 있다. 그 다음, 제1 네트워크 엔티티는 로케이션 보고를 제2 네트워크 엔티티에 송신할 수 있다. 로케이션 보고는, 주기적이고 트리거링된 로케이션이 타겟 사용자 장비에서 여전히 활성임을 (예를 들어, LCS 클라이언트(160)와 같은 LCS 클라이언트에 및/또는 제2 네트워크 엔티티에) 표시할 수 있다.
[00104] 일 양상에서, 블록(504)에서 송신된 제1 응답은, 예를 들어, 타겟 사용자 장비가 현재 제1 네트워크 엔티티로부터 도달가능하지 않으면, 타겟 사용자 장비가 다음에 도달가능하게 될 때까지 예상되는 시간 인터벌 또는 최대 시간 인터벌의 표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예상되는 시간 인터벌 또는 최대 시간 인터벌은, 주기적이고 트리거링된 로케이션 요청이 블록(514)에서 타겟 사용자 장비에서 활성화되는 것으로 표시될 때까지 외부 클라이언트가 얼마나 오래 대기할 것으로 예상하는지를 외부 클라이언트(예를 들어, LCS 클라이언트(160))에 표시할 수 있다. 일 양상에서, 블록(504)에서 송신된 제1 응답은 또한 또는 그 대신, 예를 들어, 제1 네트워크 엔티티에서 이용가능하면, 타겟 사용자 장비에 대한 마지막으로 공지된 로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00105] 도 6은 제1 엔티티에서 타겟 사용자 장비(예를 들어, UE(102))에 대한 주기적이고 트리거링된 로케이션 서비스를 수행하는 다른 방법을 예시하는 프로세스 흐름(600)을 도시한다. 프로세스 흐름(600)을 수행하는 제1 엔티티는 LCS 클라이언트(예를 들어, 시스템 아키텍처(100)의 LCS 클라이언트(160)) 또는 GMLC, 예를 들어, R-GMLC(예를 들어, R-GMLC(152)), H-GMLC(예를 들어, H-GMLC(142)) 또는 V-GMLC(예를 들어, V-GMLC(132))일 수 있다.
[00106] 프로세스 흐름(600)은, 제1 엔티티가 제2 엔티티로부터 타겟 사용자 장비(예를 들어, UE(102))에 대한 주기적이고 트리거링된 로케이션 요청을 수신하는 블록(602)에서 시작할 수 있다. 제2 엔티티는 GMLC, LCS 클라이언트 또는 사용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네트워크 엔티티가 R-GMLC(예를 들어, R-GMLC(152)) 또는 H-GMLC(예를 들어, H-GMLC(142))이면, 제2 엔티티는 LCS 클라이언트(예를 들어, LCS 클라이언트(160))일 수 있고, 블록(602)은 시그널링 흐름(200)에서 스테이지 1에 대응할 수 있다. 제1 네트워크 엔티티가 H-GMLC(예를 들어, H-GMLC(142)) 또는 V-GMLC(예를 들어, V-GMLC(132))이면, 제2 엔티티는 각각의 경우, 각각 R-GMLC(예를 들어, R-GMLC(152)) 또는 H-GMLC(예를 들어, H-GMLC(142))일 수 있고, 블록(602)은 시그널링 흐름(200)에서 스테이지 2의 일부에 대응할 수 있다. 제1 엔티티는 LCS 클라이언트(예를 들어, LCS 클라이언트(160))이면, 제2 엔티티는 LCS 클라이언트의 사용자일 수 있다.
[00107] 블록(604)에서, 제1 엔티티는 블록(602)에서 수신된 타겟 사용자 장비에 대한 주기적이고 트리거링된 로케이션 요청을 제3 엔티티에 송신한다. 제1 엔티티가 LCS 클라이언트(예를 들어, LCS 클라이언트(160))이면, 제3 엔티티는 GMLC, 예를 들어, R-GMLC(예를 들어, R-GMLC(152)) 또는 H-GMLC(예를 들어, H-GMLC(142))일 수 있고, 그 다음, 블록(604)은 시그널링 흐름(200)의 스테이지 1에 대응할 수 있다. 제1 네트워크 엔티티가 R-GMLC(예를 들어, R-GMLC(152)) 또는 H-GMLC(예를 들어, H-GMLC(142))이면, 제3 엔티티는 각각의 경우, 각각 H-GMLC(예를 들어, H-GMLC(142)) 또는 V-GMLC(예를 들어, V-GMLC(132))일 수 있고, 블록(604)은 시그널링 흐름(200)에서 스테이지 2의 일부에 대응할 수 있다. 제1 엔티티가 V-GMLC(예를 들어, V-GMLC(132))이면, 제3 엔티티는 MME(예를 들어, MME(131)), AMF 또는 LMF일 수 있고, 블록(604)은 시그널링 흐름(200)의 스테이지 3에 대응할 수 있다.
[00108] 블록(606)에서, 제1 엔티티는 주기적이고 트리거링된 로케이션 요청이 타겟 사용자 장비에 대한 서빙 네트워크 엔티티에 의해 수신되고 수락되었음을 표시하는 제1 응답을 제3 엔티티로부터 수신한다. 예를 들어, 제1 응답은 요청을 지원하는 능력 및 의도를 확인시킬 수 있지만, 로케이션 보고가 타겟 사용자 장비에서 활성화된 것 또는 타겟 사용자 장비가 반드시 요청을 지원할 수 있을 것을 확인시키지 못할 수 있다. 서빙 네트워크 엔티티는 MME(예를 들어, 시그널링 흐름(200)의 MME(131)), AMF 또는 LMF일 수 있다. 제1 엔티티가 LCS 클라이언트(예를 들어, LCS 클라이언트(160))이면, 블록(606)은 시그널링 흐름(200)에서 스테이지 7에 대응할 수 있다. 제1 엔티티가 R-GMLC(예를 들어, R-GMLC(152))이면, 블록(606)은 시그널링 흐름(200)에서 스테이지 6에 대응할 수 있다. 제1 엔티티가 H-GMLC(예를 들어, H-GMLC(142))이면, 블록(606)은 시그널링 흐름(200)에서 스테이지 5에 대응할 수 있다. 제1 엔티티가 V-GMLC(예를 들어, V-GMLC(132))이면, 블록(606)은 시그널링 흐름(200)에서 스테이지 4에 대응할 수 있다.
[00109] 블록(608)에서, 제1 엔티티는 제1 응답을 제2 엔티티에 송신한다. 예를 들어, 제1 엔티티가 R-GMLC(예를 들어, R-GMLC(152))이면, 블록(608)은 시그널링 흐름(200)에서 스테이지 7에 대응할 수 있다. 제1 엔티티가 H-GMLC(예를 들어, H-GMLC(142))이면, 블록(608)은 시그널링 흐름(200)에서 스테이지 6에 대응할 수 있다. 제1 엔티티가 V-GMLC(예를 들어, V-GMLC(132))이면, 블록(608)은 시그널링 흐름(200)에서 스테이지 5에 대응할 수 있다.
[00110] 블록(610)에서, 제1 엔티티는 주기적이고 트리거링된 로케이션 요청이 타겟 사용자 장비에서 활성화되었음을 표시하는 제2 응답을 제3 엔티티로부터 수신한다. 예를 들어, 제2 응답은 이벤트 보고가 타겟 사용자 장비에서 시작했음을 확인시킬 수 있다. 블록(610)은 시그널링 흐름(200)의 스테이지 11의 일부에 대응할 수 있다.
[00111] 블록(612)에서, 제1 엔티티는 제2 응답을 제2 엔티티에 송신한다. 예를 들어, 블록(612)은 시그널링 흐름(200)의 스테이지 11의 일부에 대응할 수 있다.
[00112] 앞서 논의된 바와 같이, 타겟 사용자 장비는 NB-IoT(Narrowband Internet of Things) RAT(radio access type), LTE(Long Term Evolution) RAT, 또는 NR(New Radio) RAT를 사용하여 서빙 네트워크 엔티티로부터 액세스될 수 있다. 블록(602)에서 수신된 주기적이고 트리거링된 로케이션 요청은 시그널링 흐름(200)의 스테이지 1에 대해 설명된 바와 같이 로케이션 보고 이벤트의 타입, 및 최대 보고 인터벌, 최소 보고 인터벌 및 최대 이벤트 샘플링 인터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로케이션 보고 이벤트의 타입은 시그널링 흐름(200)의 스테이지 1에 대해 설명된 바와 같이, 영역에 진입하는 것, 영역으로부터 떠나는 것, 영역 내에 있는 것, 주기적인 보고 또는 모션 이벤트 보고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00113] 또한 앞서 논의된 바와 같이, 제2 응답은 타겟 사용자 장비가 서빙 네트워크 엔티티로부터 도달가능하지 않은 것으로 인해 초래되는 지연 이후 블록(610)에서 제3 엔티티로부터 수신될 수 있고, 여기서 서빙 네트워크 엔티티는 예를 들어, 시그널링 흐름(200)의 스테이지 8에 대해 설명된 바와 같이 타겟 사용자 장비가 도달가능하게 될 때까지 대기한다.
[00114] 제1 엔티티는 후속적으로, 예를 들어, 시그널링 흐름(200)의 스테이지 19, 21, 23 또는 24에서와 같이, 로케이션 추정을 포함할 수 있는 타겟 사용자 장비에 의한 이벤트의 검출을 보고하기 위해 제3 엔티티로부터 로케이션 보고를 수신할 수 있다. 그 다음, 제1 엔티티는 임의의 로케이션 추정을 포함하는 로케이션 보고를 제2 엔티티에 포워딩할 수 있다.
[00115] 제1 네트워크 엔티티는 또한 또는 그 대신, 후속적으로 예를 들어, 시그널링 흐름(200)의 스테이지들 12-14에 대해 설명된 바와 같이, 최대 보고 인터벌 동안 타겟 사용자 장비에 의해 어떠한 로케이션 보고 이벤트도 검출되지 않은 경우 제3 엔티티로부터 로케이션 보고를 수신할 수 있다. 그 다음, 제1 엔티티는 로케이션 보고를 제2 네트워크 엔티티에 송신할 수 있다. 제1 엔티티가 최대 보고 인터벌보다 긴 인터벌에 걸쳐 제3 엔티티로부터 어떠한 로케이션 보고도 수신하지 않으면, 제1 엔티티는, 주기적이고 트리거링된 로케이션 요청이 타겟 사용자 장비에서 더 이상 활성이 아닐 수 있음을 표시하는 에러 보고를 제2 엔티티에 송신할 수 있다. 제1 엔티티는 또한 예를 들어, 시그널링 흐름들(300 및 400)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제2 엔티티 및/또는 제3 엔티티에 취소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주기적이고 트리거링된 로케이션 요청 절차를 취소할 수 있다.
[00116] 도 7은 사용자 장비(예를 들어, UE(102))에서 주기적이고 트리거링된 로케이션 요청을 착수 및 수행하는 방법을 예시하는 프로세스 흐름(700)을 도시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장비는 NB-IoT 라디오 액세스, LTE 라디오 액세스 및/또는 NR 라디오 액세스를 지원할 수 있다.
[00117] 프로세스 흐름(700)은 사용자 장비가 주기적이고 트리거링된 로케이션 요청을 제1 네트워크 엔티티로부터 수신하는 블록(702)에서 시작할 수 있다. 주기적이고 트리거링된 로케이션 요청은 로케이션 보고 이벤트의 타입, 및 최대 보고 인터벌, 최소 보고 인터벌 및 최대 이벤트 샘플링 인터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양상에서, 로케이션 보고 이벤트의 타입은 영역에 진입하는 것, 영역으로부터 떠나는 것, 영역 내에 있는 것, 주기적인 보고 또는 모션 이벤트 보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블록(702)은 시그널링 흐름(200)의 스테이지 9에 대응할 수 있다.
[00118] 블록(704)에서, 사용자 장비는 주기적이고 트리거링된 로케이션 요청이 수락됨을 표시하는 응답을 제1 네트워크 엔티티에 리턴한다. 블록(704)은 시그널링 흐름(200)의 스테이지 10에 대응할 수 있다.
[00119] 블록(706)에서, 사용자 장비는 로케이션 보고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로케이션 보고 이벤트를 모니터링한다. 일 양상에서, 로케이션 보고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블록(706)에서 로케이션 보고 이벤트를 모니터링하는 것은 블록(702)에서 수신된 최대 이벤트 샘플링 인터벌보다 크지 않은 인터벌에서 로케이션 보고 이벤트를 모니터링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블록(706)은 시그널링 흐름(200)의 스테이지 12에 대응할 수 있다.
[00120] 블록(708)에서, 사용자 장비는 로케이션 보고 이벤트가 발생할 때 또는 최대 보고 인터벌 동안 어떠한 로케이션 보고 이벤트도 발생하지 않을 때 제2 네트워크 엔티티에 로케이션 보고를 송신한다. 블록(708)은 시그널링 흐름(200)의 블록(14)에 대응할 수 있다.
[00121] 일 양상에서, 주기적이고 트리거링된 로케이션 요청은 블록(702)에서 수신되고, 로케이션 보고는 NB-IoT(Narrowband Internet of Things) RAT(radio access type), LTE(Long Term Evolution) RAT, 또는 NR(New Radio) RAT를 사용하여 블록(708)에서 송신된다.
[00122] 일 양상에서, 제1 네트워크 엔티티 및 제2 네트워크 엔티티 각각은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 AMF(Access and Mobility Management Function) 또는 LMF(Location Management Function)이다. 일 양상에서, 제1 네트워크 엔티티는 제2 네트워크 엔티티와 동일하다. 다른 양상에서, 제1 네트워크 엔티티는 제2 네트워크 엔티티와 상이하다. 이러한 다른 양상에서, 제1 네트워크 엔티티 및 제2 네트워크 엔티티는 상이한 네트워크 엔티티들에 속할 수 있다.
[00123] 일 양상에서, 블록(708)에서 로케이션 보고를 제2 네트워크 엔티티에 송신하는 것은 이전 로케이션 보고의 송신 이후 최소 보고 인터벌과 적어도 동일한 인터벌에 후속하여 로케이션 보고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로케이션 보고를 제2 네트워크 엔티티에 송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00124] 도 8은 UE(102)의 하드웨어 구현의 예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UE(102)는 예를 들어, eNB(122)(도 1에 도시됨)와 같은 셀룰러 트랜시버들과 무선으로 통신하기 위해 WWAN(Wireless Wide Area Network) 트랜시버(802)를 포함할 수 있다. UE(102)는 또한 로컬 트랜시버들과 무선으로 통신하기 위해 WLAN 트랜시버(804)를 포함할 수 있다. UE(102)는 SPS 시스템(110)(도 1에 도시됨)으로부터 SPS 신호들 및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 SPS 수신기(80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UE(102)는 WWAN 트랜시버(802), WLAN 트랜시버(804) 및/또는 SPS 수신기(808)와 함께 사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들(806)을 포함할 수 있다. UE(102)는 카메라들, 가속도계들, 자이로스코프들, 전자 나침반, 자력계, 기압계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센서들(810)을 포함할 수 있다. UE(102)는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상의 가상 키패드와 같은 디스플레이, 키패드 또는 다른 입력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812)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사용자는 UE(102)와 인터페이싱할 수 있다.
[00125] UE(102)는 버스(816)와 함께 커플링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814) 및 메모리(820)를 더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814) 및 UE(102)의 다른 컴포넌트들은 유사하게 개별적 버스인 버스(816)와 함께 커플링될 수 있거나, 함께 직접 접속될 수 있거나 전술한 것의 조합일 수 있다. 메모리(820)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814)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로 하여금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기술들을 수행하도록 프로그래밍된 특수 목적 컴퓨터로서 동작하게 하는 실행가능 코드 또는 소프트웨어 명령들을 포함할 수 있다.
[00126] 도 8에 예시된 바와 같이, 메모리(820)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814)에 의해 구현되는 경우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바와 같은 방법론들을 구현하는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들 또는 모듈들을 포함한다. 컴포넌트들 또는 모듈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814)에 의해 실행되는 메모리(820)의 소프트웨어로서 예시되지만, 컴포넌트들 또는 모듈들은 프로세서 내의 또는 프로세서 외의 전용 하드웨어일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예시된 바와 같이, 메모리(820)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814)에 의해 구현되는 경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814)로 하여금, 주기적이고 트리거링된 로케이션 요청이 수신된 후, 예를 들어, WWAN 트랜시버(802)를 통해 UE(102)에서 주기적이고 트리거링된 로케이션 요청이 활성화되었다는 확인응답을 송신하게 하는 확인응답 유닛(822)을 포함할 수 있다.
[00127] 메모리(820)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814)에 의해 구현되는 경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814)로 하여금, 예를 들어, WWAN 트랜시버(802), WLAN 트랜시버(804) 및 SPS 수신기(808) 중 하나 이상을 사용하여 포지션 측정들을 획득하게 하는 포지션 측정 유닛(82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포지션 측정들은 셀 ID, 수신 RSSI(signal strength indicator), RTT(round trip signal propagation time), RSTD 또는 의사범위 측정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00128] 메모리(820)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814)에 의해 구현되는 경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814)로 하여금, UE(102)가 무선 네트워크와 접속 상태에 진입하면, 예를 들어, 로케이션 서버로부터의 또는 UE(102)에 의해 개시된 요청 시에, 로케이션 서버(예를 들어, E-SMLC(133))와 포지셔닝 세션에 관여하게 하는 포지션 세션 유닛(82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00129] 메모리(820)는 주기적/트리거 유닛(82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주기적/트리거 유닛(828)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814)에 의해 구현되는 경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814)로 하여금, 예를 들어, 주기적이고 트리거링된 로케이션 요청에서 수신된 주기적인 및/또는 트리거 이벤트 파라미터들을 모니터링하게 할 수 있다. 트리거 이벤트 파라미터들은, 예를 들어, 최대 이벤트 샘플링 인터벌, 최대 보고 인터벌, 최소 보고 인터벌 및 하나 이상의 로케이션 트리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로케이션 트리거들은 타겟 영역을 떠나는 것, 타겟 영역에 진입하는 것, 타겟 영역 또는 모션 이벤트에 대한 임계 선형 거리 내에 남아 있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주기적/트리거 유닛(828)은 최대 이벤트 샘플링 인터벌과 동일하거나 그보다 작은 인터벌로 주기적으로 하나 이상의 로케이션 트리거들을 평가할 수 있고, 또한 최대 보고 인터벌을 추적할 수 있다. 주기적/트리거 유닛(828)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814)에 의해 구현되는 경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814)로 하여금, 트리거 조건이 발생할 때, 주기적 보고 인터벌이 만료될 때 또는 최대 보고 인터벌이 만료될 때 무선 네트워크와 접속 상태에 재-진입하게 하고, 이벤트를 보고하기 위해 무선 네트워크(예를 들어, 무선 네트워크의 MME, AMF 또는 LMF)에 보고를 전송하게 할 수 있다.
[00130]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방법들은, 애플리케이션에 따라 다양한 수단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들 방법들은 하드웨어, 펌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임의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 구현에 대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은 하나 이상의 주문형 집적 회로(ASIC)들,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들, 디지털 신호 프로세싱 디바이스(DSPD)들, 프로그래밍가능 로직 디바이스(PLD)들, 필드 프로그래밍가능 게이트 어레이(FPGA)들, 프로세서들, 제어기들, 마이크로-제어기들, 마이크로프로세서들, 전자 디바이스들, 본 명세서에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다른 전자 유닛들, 또는 이들의 결합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00131] 펌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를 수반하는 구현에 대해, 방법들은, 본 명세서에 설명된 별개의 기능들을 수행하는 모듈들(예를 들어, 절차들, 함수들 등)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명령들을 유형으로 구현하는 임의의 머신-판독가능 매체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방법들을 구현할 시에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코드들은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유닛들에 의해 실행되어, 프로세서 유닛들로 하여금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알고리즘들을 수행하도록 프로그래밍된 특수 목적 컴퓨터로서 동작하게 할 수 있다. 메모리는, 프로세서 유닛 내부 또는 프로세서 유닛 외부에서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메모리"는 임의의 타입의 장기, 단기, 휘발성, 비휘발성, 또는 다른 메모리를 지칭하며, 임의의 특정한 타입의 메모리 또는 메모리들의 수, 또는 메모리가 저장되는 매체들의 타입에 제한되지 않는다.
[00132] 펌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면, 기능들은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상의 하나 이상의 명령들 또는 코드로서 저장될 수 있다. 예들은, 데이터 구조로 인코딩된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들, 및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인코딩된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들을 포함한다.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들은 물리적 컴퓨터 저장 매체들을 포함한다. 저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 가능한 임의의 이용가능한 매체일 수 있다. 제한이 아닌 예로서, 그러한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들은 RAM, ROM, EEPROM, CD-ROM 또는 다른 광학 디스크 저장부, 자기 디스크 저장, 반도체 저장 또는 다른 저장 디바이스들, 또는 명령들 또는 데이터 구조들의 형태로 원하는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하는데 사용될 수 있고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매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이, 디스크(disk) 및 디스크(disc)는, 컴팩트 디스크(disc)(CD), 레이저 디스크(disc), 광학 디스크(disc), DVD(digital versatile disc), 플로피 디스크(disk) 및 블루-레이 디스크(disc)를 포함하며, 여기서, 디스크(disk)들은 일반적으로 데이터를 자기적으로 재생하지만, 디스크(disc)들은 레이저들을 이용하여 광학적으로 데이터를 재생한다. 상기의 것들의 결합들이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의 범위 내에 포함되어야 한다.
[00133] 따라서, 주기적이고 트리거링된 로케이션을 수행하기 위한 사용자 장비는 제1 네트워크 엔티티로부터 주기적이고 트리거링된 로케이션 요청을 수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고 ― 주기적이고 트리거링된 로케이션 요청은 로케이션 보고 이벤트의 타입, 및 최대 보고 인터벌, 최소 보고 인터벌 및 최대 이벤트 샘플링 인터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 이는, 예를 들어, WWAN 트랜시버(802) 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814)일 수 있다. 로케이션 보고 이벤트의 타입은 영역에 진입하는 것, 영역으로부터 떠나는 것, 영역 내에 있는 것, 주기적인 보고 또는 모션 이벤트 보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주기적이고 트리거링된 로케이션 요청이 수락되는 것을 표시하는 응답을 제1 네트워크 엔티티에 리턴하기 위한 수단은, 예를 들어, WWAN 트랜시버(802) 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814)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확인응답 유닛(822)일 수 있다. 로케이션 보고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로케이션 보고 이벤트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수단은,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814)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주기적/트리거 유닛(828)일 수 있다. 로케이션 보고 이벤트는 최대 이벤트 샘플링 인터벌보다 크지 않은 인터벌로 모니터링될 수 있다. 로케이션 보고 이벤트가 발생할 때 또는 최대 보고 인터벌 동안 어떠한 로케이션 보고 이벤트도 발생하지 않을 때 제2 네트워크 엔티티에 로케이션 보고를 송신하기 위한 수단은, 예를 들어, WWAN 트랜시버(802) 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814)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주기적/트리거 유닛(828)일 수 있다. 로케이션 보고는 이전 로케이션 보고의 송신 이후 최소 보고 인터벌과 적어도 동일한 인터벌에 후속하여 로케이션 보고 이벤트가 발생할 때 제2 네트워크 엔티티에 송신될 수 있다. 주기적이고 트리거링된 로케이션 요청이 수신될 수 있고, 로케이션 보고는 NB-IoT(Narrowband Internet of Things) RAT(radio access type), LTE(Long Term Evolution) RAT, 또는 NR(New Radio) RAT를 사용하여 송신될 수 있다. 제1 네트워크 엔티티 및 제2 네트워크 엔티티 각각은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 AMF(Access and Mobility Management Function) 또는 LMF(Location Management Function)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네트워크 엔티티는 제2 네트워크 엔티티와 동일하거나 제2 네트워크 엔티티와 상이할 수 있다. 또한, 제1 네트워크 엔티티 및 제2 네트워크 엔티티는 상이한 네트워크 엔티티들에 속할 수 있다. 로케이션 보고 이벤트의 타입은 영역에 진입하는 것, 영역으로부터 떠나는 것, 영역 내에 있는 것, 주기적인 보고 또는 모션 이벤트 보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00134]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상의 저장에 추가하여, 명령들 및/또는 데이터는 통신 장치에 포함된 송신 매체들 상에서 신호들로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장치는, 명령들 및 데이터를 표시하는 신호들을 갖는 트랜시버를 포함할 수 있다. 명령들 및 데이터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들, 예를 들어, 메모리(820) 상에 저장되고,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로 하여금 본 명세서에 설명된 알고리즘들을 수행하도록 프로그래밍된 특수 목적 컴퓨터로서 동작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즉, 통신 장치는, 개시된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한 정보를 표시하는 신호들을 갖는 송신 매체들을 포함한다. 제1 시간에서, 통신 장치에 포함된 송신 매체들은 개시된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한 정보의 제1 부분을 포함할 수 있는 한편, 제2 시간에서, 통신 장치에 포함된 송신 매체들은 개시된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한 정보의 제2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00135] 도 9는 MME(131), E-SMLC(133), V-GMLC(132), H-GMLC(142), R-GMLC(152), eNB(122) 또는 AMF 또는 LMF와 같은 네트워크 엔티티(900)의 하드웨어 구현의 예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네트워크 엔티티(900)는 예를 들어, UE(102)에 및/또는 다른 네트워크 엔티티들에 및/또는 LCS 클라이언트에 접속할 수 있는 유선 및/또는 무선 인터페이스일 수 있는 외부 인터페이스(902)와 같은 하드웨어 컴포넌트들을 포함한다. 네트워크 엔티티(900)는 버스(906)와 함께 커플링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904) 및 메모리(910)를 포함한다. 메모리(910)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904)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로 하여금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기술들을 수행하도록 프로그래밍된 특수 목적 컴퓨터로서 동작하게 하는 실행가능 코드 또는 소프트웨어 명령들을 포함할 수 있다.
[00136] 도 9에 예시된 바와 같이, 메모리(910)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904)에 의해 구현되는 경우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바와 같은 방법론들을 구현하는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들 또는 모듈들을 포함한다. 컴포넌트들 또는 모듈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904)에 의해 실행되는 메모리(910)의 소프트웨어로서 예시되지만, 컴포넌트들 또는 모듈들은 프로세서 내의 또는 프로세서 외의 전용 하드웨어일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예시된 바와 같이, 메모리(910)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904)에 의해 구현되는 경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904)로 하여금, 주기적이고 트리거링된 로케이션 보고에 대한 요청이 타겟 UE(예를 들어, MME, AMF 또는 LMF)에 대한 서빙 네트워크 엔티티에 의해 수락된 것 및 서빙 네트워크 엔티티가 타겟 UE에서 절차를 개시할 준비가 된 것을 표시하는 제1 응답을 LCS 클라이언트 또는 다른 네트워크 엔티티에 제공하게 하는 응답 유닛(912)을 포함할 수 있다. 응답 유닛(912)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904)에 의해 구현되는 경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904)로 하여금, 타겟 UE에 대한 제1 응답 이후 곧 리턴될 수 있거나 또는 타겟 UE에 대한 제1 응답 이후 수 시간 또는 며칠 이후 리턴될 수 있는, 주기적이고 트리거링된 로케이션 요청이 타겟 UE에서 활성화되었음을 표시하는 타겟 UE로부터의 또는 다른 네트워크 엔티티로부터의 응답을 모니터링하게 하고, 외부 인터페이스(902)로 하여금, 타겟 UE가 주기적이고 트리거링된 로케이션 보고들을 리턴하기 시작할 것임을 표시하는 제2 응답을 LCS 클라이언트 또는 다른 네트워크 엔티티에 제공하게 한다.
[00137] 메모리(910)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904)에 의해 구현되는 경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904)로 하여금, 주기적이고 트리거링된 로케이션 세션을 요청하기 위해 또는 로케이션 세션에 대한 요청을 수신하기 위해 예를 들어, 외부 인터페이스(902)를 통해, 타겟 UE 또는 다른 네트워크 엔티티와 통신하게 하는 주기적/트리거 유닛(914)을 포함할 수 있다. 주기적/트리거 유닛(914)은 최대 이벤트 샘플링 인터벌, 최대 보고 인터벌, 최소 보고 인터벌 및/또는 하나 이상의 로케이션 트리거 이벤트들 또는 주기적 보고 기간을 정의할 수 있고, 외부 인터페이스(902)로 하여금, LCS 클라이언트 또는 다른 네트워크 엔티티(예를 들어, GMLC)로부터 주기적이고 트리거링된 로케이션 보고에 대한 요청을 수신한 후 주기적이고 트리거링된 로케이션 요청에서 타겟 UE 또는 다른 네트워크 엔티티에 주기적이고 트리거링된 로케이션 파라미터들을 제공하게 할 수 있다. 주기적/트리거 유닛(914)은 타겟 UE가 도달가능하게 되고 무선 네트워크에 접속될 때까지 대기한 후, 외부 인터페이스(902)로 하여금 타겟 UE에 주기적이고 트리거링된 로케이션 파라미터들을 제공하게 할 수 있다.
[00138] 메모리(910)는 또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904)에 의해 구현되는 경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904)로 하여금 최대 보고 인터벌 내에서 (예를 들어, 타겟 UE로부터 직접 수신되거나 MME, AMF, LMF 또는 GMLC와 같은 다른 네트워크 엘리먼트를 통해 수신되는) 타겟 UE로부터의 로케이션 보고들을 모니터링하게 하는 최대 보고 인터벌 유닛(916)을 포함할 수 있다. 로케이션 보고가 수신되면, 최대 보고 인터벌 유닛(916)은 로케이션 보고가 UE(102)에서 여전히 활성임을 확인시킬 수 있다. 한편, 최대 보고 인터벌에 후속하여 어떠한 로케이션 보고도 수신되지 않으면, 최대 보고 인터벌 유닛(916)은 주기적이고 트리거링된 로케이션 요청이 타겟 UE에서 더 이상 활성이 아니라고 결정할 수 있고, 외부 인터페이스(902)로 하여금, 로케이션 보고가 UE(102)에서 종료되었다는 표시를 LCS 클라이언트 또는 네트워크(예를 들어, GMLC)에 제공하게 할 수 있고 그리고/또는 주기적이고 트리거링된 로케이션의 취소를 착수할 수 있다.
[00139]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방법들은, 애플리케이션에 따라 다양한 수단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들 방법들은 하드웨어, 펌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임의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 구현에 대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은 하나 이상의 주문형 집적 회로(ASIC)들,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들, 디지털 신호 프로세싱 디바이스(DSPD)들, 프로그래밍가능 로직 디바이스(PLD)들, 필드 프로그래밍가능 게이트 어레이(FPGA)들, 프로세서들, 제어기들, 마이크로-제어기들, 마이크로프로세서들, 전자 디바이스들, 본 명세서에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다른 전자 유닛들, 또는 이들의 결합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00140] 펌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를 수반하는 구현에 대해, 방법들은, 본 명세서에 설명된 별개의 기능들을 수행하는 모듈들(예를 들어, 절차들, 함수들 등)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명령들을 유형으로 구현하는 임의의 머신-판독가능 매체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방법들을 구현할 시에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코드들은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유닛들에 의해 실행되어, 프로세서 유닛들로 하여금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알고리즘들을 수행하도록 프로그래밍된 특수 목적 컴퓨터로서 동작하게 할 수 있다. 메모리는, 프로세서 유닛 내부 또는 프로세서 유닛 외부에서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메모리"는 임의의 타입의 장기, 단기, 휘발성, 비휘발성, 또는 다른 메모리를 지칭하며, 임의의 특정한 타입의 메모리 또는 메모리들의 수, 또는 메모리가 저장되는 매체들의 타입에 제한되지 않는다.
[00141] 펌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면, 기능들은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상의 하나 이상의 명령들 또는 코드로서 저장될 수 있다. 예들은, 데이터 구조로 인코딩된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들, 및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인코딩된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들을 포함한다.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들은 물리적 컴퓨터 저장 매체들을 포함한다. 저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 가능한 임의의 이용가능한 매체일 수 있다. 제한이 아닌 예로서, 그러한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들은 RAM, ROM, EEPROM, CD-ROM 또는 다른 광학 디스크 저장부, 자기 디스크 저장, 반도체 저장 또는 다른 저장 디바이스들, 또는 명령들 또는 데이터 구조들의 형태로 원하는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하는데 사용될 수 있고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매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이, 디스크(disk) 및 디스크(disc)는, 컴팩트 디스크(disc)(CD), 레이저 디스크(disc), 광학 디스크(disc), DVD(digital versatile disc), 플로피 디스크(disk) 및 블루-레이 디스크(disc)를 포함하며, 여기서, 디스크(disk)들은 일반적으로 데이터를 자기적으로 재생하지만, 디스크(disc)들은 레이저들을 이용하여 광학적으로 데이터를 재생한다. 상기의 것들의 결합들이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의 범위 내에 포함되어야 한다.
[00142]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상의 저장에 추가하여, 명령들 및/또는 데이터는 통신 장치에 포함된 송신 매체들 상에서 신호들로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장치는, 명령들 및 데이터를 표시하는 신호들을 갖는 트랜시버를 포함할 수 있다. 명령들 및 데이터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들, 예를 들어, 메모리(820 또는 910) 상에 저장되고,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로 하여금 본 명세서에 설명된 알고리즘들을 수행하도록 프로그래밍된 특수 목적 컴퓨터로서 동작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즉, 통신 장치는, 개시된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한 정보를 표시하는 신호들을 갖는 송신 매체들을 포함한다. 제1 시간에서, 통신 장치에 포함된 송신 매체들은 개시된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한 정보의 제1 부분을 포함할 수 있는 한편, 제2 시간에서, 통신 장치에 포함된 송신 매체들은 개시된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한 정보의 제2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00143] 따라서, 타겟 사용자 장비에 대한 주기적이고 트리거링된 로케이션을 수행하기 위한 제1 네트워크 엔티티는 타겟 사용자 장비에 대한 주기적이고 트리거링된 로케이션 요청을 제2 네트워크 엔티티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고, 이는, 예를 들어, 외부 인터페이스(902) 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904)일 수 있다. 제1 네트워크 엔티티는 예를 들어,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 AMF(Access and Mobility Management Function) 또는 LMF(Location Management Function)일 수 있다. 제2 네트워크 엔티티는 GMLC(Gateway Mobile Location Center)일 수 있다. 제1 네트워크 엔티티는 주기적이고 트리거링된 로케이션 요청이 수신 및 수락되었음을 표시하는 제1 응답을 제2 네트워크 엔티티에 송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고, 이는, 예를 들어, 외부 인터페이스(902) 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904)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응답 유닛(912)일 수 있다. 제1 응답은 타겟 사용자 장비가 다음에 도달가능하게 될 때까지의 예상되는 시간 인터벌 또는 최대 시간 인터벌의 표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응답은 타겟 사용자 장비에 대해 마지막으로 공지된 로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타겟 사용자 장비가 현재 도달가능한 상태가 아니면 타겟 사용자 장비가 무선 네트워크와 도달가능한 상태에 있을 때까지 대기하기 위한 수단은,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904)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응답 유닛(912)일 수 있다. 타겟 사용자 장비와 시그널링 접속을 확립하기 위한 수단은, 예를 들어, 외부 인터페이스(902)일 수 있다. NB-IoT(Narrowband Internet of Things) RAT(radio access type), LTE(Long Term Evolution) RAT, 또는 NR(New Radio) RAT를 사용하여 시그널링 접속이 확립될 수 있다. 주기적이고 트리거링된 로케이션 요청을 타겟 사용자 장비에 송신하기 위한 수단은, 예를 들어, 외부 인터페이스(902) 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904)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주기적/트리거 유닛(914)일 수 있다. 주기적이고 트리거링된 로케이션 요청이 수락된 것을 표시하는 확인을 타겟 사용자 장비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수단은, 예를 들어, 외부 인터페이스(902) 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904)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응답 유닛(912)일 수 있다. 주기적이고 트리거링된 로케이션 요청이 타겟 사용자 장비에서 활성화되었음을 표시하는 제2 응답을 제2 네트워크 엔티티에 송신하기 위한 수단은, 예를 들어, 외부 인터페이스(902) 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904)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응답 유닛(912)일 수 있다. 타겟 사용자 장비에 송신되는 주기적이고 트리거링된 로케이션 요청은 로케이션 보고 이벤트의 타입, 및 최대 보고 인터벌, 최소 보고 인터벌 및 최대 이벤트 샘플링 인터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로케이션 보고 이벤트의 타입은 영역에 진입하는 것, 영역으로부터 떠나는 것, 영역 내에 있는 것, 주기적인 보고 또는 모션 이벤트 보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타겟 사용자 장비에 송신되는 주기적이고 트리거링된 로케이션 요청은 최대 보고 인터벌을 포함할 수 있고, 제1 네트워크 엔티티는 최대 보고 인터벌 동안 타겟 사용자 장비에 의해 어떠한 로케이션 보고 이벤트도 검출되는 않는 경우 타겟 사용자 장비로부터 로케이션 보고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 ― 이는, 예를 들어, 외부 인터페이스(902) 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904)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응답 유닛(912)일 수 있음 ―, 및 제2 네트워크 엔티티에 로케이션 보고를 송신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이는, 예를 들어, 외부 인터페이스(902) 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904)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응답 유닛(912)일 수 있다.
[00144] 도 10은 외부(LCS) 클라이언트(160)의 하드웨어 구현의 예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클라이언트(160)는 예를 들어, R-GMLC(152)와 같은 네트워크 엔티티에 접속할 수 있는 유선 또는 무선 인터페이스일 수 있는 외부 인터페이스(1002)와 같은 하드웨어 컴포넌트들을 포함한다. 클라이언트(160)는 버스(1006)와 함께 커플링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1004) 및 메모리(1010)를 포함한다. 메모리(1010)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1004)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로 하여금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기술들을 수행하도록 프로그래밍된 특수 목적 컴퓨터로서 동작하게 하는 실행가능 코드 또는 소프트웨어 명령들을 포함할 수 있다.
[00145] 도 10에 예시된 바와 같이, 메모리(1010)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1004)에 의해 구현되는 경우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바와 같은 방법론들을 구현하는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들 또는 모듈들을 포함한다. 컴포넌트들 또는 모듈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1004)에 의해 실행되는 메모리(1010)의 소프트웨어로서 예시되지만, 컴포넌트들 또는 모듈들은 프로세서 내의 또는 프로세서 외의 전용 하드웨어일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예시된 바와 같이, 메모리(1010)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1004)에 의해 구현되는 경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1004)로 하여금, 타겟 사용자 장비와 주기적이고 트리거링된 로케이션 서비스를 요청하기 위해 예를 들어, 외부 인터페이스(1002)를 통해 네트워크와 통신하게 하는 주기적/트리거 유닛(1012)을 포함할 수 있다. 주기적/트리거 유닛(1012)은 최대 이벤트 샘플링 인터벌, 최대 보고 인터벌, 최소 보고 인터벌 및 하나 이상의 로케이션 이벤트 트리거들 또는 주기적 보고 기간을 정의할 수 있고, 외부 인터페이스(1002)로 하여금 R-GMLC와 같은 네트워크 엔티티에 전송되는 주기적이고 트리거링된 로케이션 요청에서 타겟 UE에 주기적이고 트리거링된 로케이션 파라미터들을 제공하게 할 수 있다.
[00146] 메모리(1010)는 또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1004)에 의해 구현되는 경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1004)로 하여금, 주기적이고 트리거링된 로케이션 보고에 대한 LCS 클라이언트 요청이 네트워크에 의해 수락되었고 네트워크 엔티티(예를 들어, MME, AMF 또는 LMF)가 타겟 UE에서 절차를 개시할 준비가 된 것을 표시하는 제1 응답을 네트워크 엔티티(예를 들어, R-GMLC)로부터 수신하게 하는 수신 보고 유닛(1014)을 포함할 수 있다. 수신 보고 유닛(1014)은 또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1004)에 의해 구현되는 경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1004)로 하여금, 통상적인 UE의 경우 제1 응답 이후 곧 리턴될 수 있거나 IoT UE의 경우 제1 응답 이후 수 시간 또는 며칠 이후 리턴될 수 있는, 주기적이고 트리거링된 로케이션 요청이 타겟 UE에서 활성화되었음을 표시하는 제2 응답을 네트워크 엔티티로부터 수신하게 한다. 수신 보고 유닛(1014)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1004)에 의해 구현되는 경우 추가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1004)로 하여금, 제1 응답 및 제2 응답이 네트워크 엔티티(예를 들어, LCS(Location Services) 클라이언트 또는 GMLC(Gateway Mobile Location Center) 또는 LCS 클라이언트(160)의 사용자)에 송신되게 할 수 있다. 수신 보고 유닛(1014)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1004)에 의해 구현되는 경우 추가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1004)로 하여금 네트워크로부터 타겟 사용자 장비에 대한 로케이션 보고들을 수신하게 하고, 로케이션 보고들이 네트워크 엔티티에 또는 LCS 클라이언트(160)의 사용자에게 송신되게 할 수 있다.
[00147] 메모리(1010)는 또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1004)에 의해 구현되는 경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1004)로 하여금 주기적이고 트리거링된 로케이션 요청에 대한 최대 보고 인터벌 내에서 타겟 UE로부터 로케이션 보고들을 모니터링하게 하는 최대 보고 인터벌 유닛(1016)을 포함할 수 있다. 로케이션 보고가 수신되면, 최대 보고 인터벌 유닛(1016)은 로케이션 보고가 타겟 UE에서 여전히 활성임을 확인시킬 수 있다. 한편, 최대 보고 인터벌에 후속하여 어떠한 로케이션 보고도 수신되지 않으면, 최대 보고 인터벌 유닛(1016)은 주기적이고 트리거링된 로케이션 요청이 타겟 UE에서 더 이상 활성이 아니라고 결정할 수 있다. 최대 보고 인터벌 유닛(1016)은 또한 주기적이고 트리거링된 로케이션 요청이 타겟 UE에서 더 이상 활성이 아니라는 표시를 네트워크 엔티티(예를 들어, R-GMLC)로부터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00148]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방법들은, 애플리케이션에 따라 다양한 수단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들 방법들은 하드웨어, 펌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임의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 구현에 대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은 하나 이상의 주문형 집적 회로(ASIC)들,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들, 디지털 신호 프로세싱 디바이스(DSPD)들, 프로그래밍가능 로직 디바이스(PLD)들, 필드 프로그래밍가능 게이트 어레이(FPGA)들, 프로세서들, 제어기들, 마이크로-제어기들, 마이크로프로세서들, 전자 디바이스들, 본 명세서에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다른 전자 유닛들, 또는 이들의 결합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00149] 펌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를 수반하는 구현에 대해, 방법들은, 본 명세서에 설명된 별개의 기능들을 수행하는 모듈들(예를 들어, 절차들, 함수들 등)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명령들을 유형으로 구현하는 임의의 머신-판독가능 매체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방법들을 구현할 시에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코드들은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유닛들에 의해 실행되어, 프로세서 유닛들로 하여금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알고리즘들을 수행하도록 프로그래밍된 특수 목적 컴퓨터로서 동작하게 할 수 있다. 메모리는, 프로세서 유닛 내부 또는 프로세서 유닛 외부에서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메모리"는 임의의 타입의 장기, 단기, 휘발성, 비휘발성, 또는 다른 메모리를 지칭하며, 임의의 특정한 타입의 메모리 또는 메모리들의 수, 또는 메모리가 저장되는 매체들의 타입에 제한되지 않는다.
[00150] 펌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면, 기능들은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상의 하나 이상의 명령들 또는 코드로서 저장될 수 있다. 예들은, 데이터 구조로 인코딩된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들, 및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인코딩된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들을 포함한다.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들은 물리적 컴퓨터 저장 매체들을 포함한다. 저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 가능한 임의의 이용가능한 매체일 수 있다. 제한이 아닌 예로서, 그러한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들은 RAM, ROM, EEPROM, CD-ROM 또는 다른 광학 디스크 저장부, 자기 디스크 저장, 반도체 저장 또는 다른 저장 디바이스들, 또는 명령들 또는 데이터 구조들의 형태로 원하는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하는데 사용될 수 있고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매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이, 디스크(disk) 및 디스크(disc)는, 컴팩트 디스크(disc)(CD), 레이저 디스크(disc), 광학 디스크(disc), DVD(digital versatile disc), 플로피 디스크(disk) 및 블루-레이 디스크(disc)를 포함하며, 여기서, 디스크(disk)들은 일반적으로 데이터를 자기적으로 재생하지만, 디스크(disc)들은 레이저들을 이용하여 광학적으로 데이터를 재생한다. 상기의 것들의 결합들이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의 범위 내에 포함되어야 한다.
[00151]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상의 저장에 추가하여, 명령들 및/또는 데이터는 통신 장치에 포함된 송신 매체들 상에서 신호들로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장치는, 명령들 및 데이터를 표시하는 신호들을 갖는 트랜시버를 포함할 수 있다. 명령들 및 데이터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들, 예를 들어, 메모리(820 또는 1004) 상에 저장되고,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로 하여금 본 명세서에 설명된 알고리즘들을 수행하도록 프로그래밍된 특수 목적 컴퓨터로서 동작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즉, 통신 장치는, 개시된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한 정보를 표시하는 신호들을 갖는 송신 매체들을 포함한다. 제1 시간에서, 통신 장치에 포함된 송신 매체들은 개시된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한 정보의 제1 부분을 포함할 수 있는 한편, 제2 시간에서, 통신 장치에 포함된 송신 매체들은 개시된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한 정보의 제2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00152] 따라서, 타겟 사용자 장비에 대한 주기적이고 트리거링된 로케이션을 수행하기 위한 제1 엔티티는 제2 엔티티로부터 타겟 사용자 장비에 대한 주기적이고 트리거링된 로케이션 요청을 수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고, 이는, 예를 들어, 외부 인터페이스(1002) 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1004)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주기적/트리거 유닛(1012)일 수 있다. 제1 엔티티는 LCS(Location Services) 클라이언트 또는 GMLC(Gateway Mobile Location Center)일 수 있다. 제2 엔티티는 LCS(Location Services) 클라이언트 또는 GMLC(Gateway Mobile Location Center) 또는 LCS 클라이언트의 사용자일 수 있다. 타겟 사용자 장비에 대한 주기적이고 트리거링된 로케이션 요청을 제3 엔티티에 송신하기 위한 수단은, 예를 들어, 외부 인터페이스(1002) 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1004)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주기적/트리거 유닛(1012)일 수 있다. 제3 엔티티는 GMLC(Gateway Mobile Location Center),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 AMF(Access and Mobility Management Function) 또는 LMF(Location Management Function)일 수 있다. 타겟 사용자 장비에 송신되는 주기적이고 트리거링된 로케이션 요청은 로케이션 보고 이벤트의 타입, 및 최대 보고 인터벌, 최소 보고 인터벌 및 최대 이벤트 샘플링 인터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로케이션 보고 이벤트의 타입은 영역에 진입하는 것, 영역으로부터 떠나는 것, 영역 내에 있는 것, 주기적인 보고 또는 모션 이벤트 보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주기적이고 트리거링된 로케이션 요청이 타겟 사용자 장비에 대한 서빙 네트워크 엔티티에 의해 수신 및 수락되었음을 표시하는 제1 응답을 제3 엔티티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수단은, 예를 들어, 외부 인터페이스(1002) 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1004)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수신 보고 유닛(1014)일 수 있다. 제2 엔티티에 제1 응답을 송신하기 위한 수단은 예를 들어, 외부 인터페이스(1002) 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1004)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수신 보고 유닛(1014)일 수 있다. 주기적이고 트리거링된 로케이션 요청이 타겟 사용자 장비에서 활성화되었음을 표시하는 제2 응답을 제3 엔티티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수단은, 예를 들어, 외부 인터페이스(1002) 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1004)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수신 보고 유닛(1014)일 수 있다. 제2 엔티티에 제2 응답을 송신하기 위한 수단은 예를 들어, 외부 인터페이스(1002) 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1004)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수신 보고 유닛(1014)일 수 있다. 제1 엔티티는 타겟 사용자 장비에 의한 이벤트의 검출을 보고하기 위해 제3 엔티티로부터 로케이션 보고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 ― 로케이션 보고는 타겟 사용자에 대한 로케이션 추정을 포함하고, ― 수신하기 위한 수단은, 예를 들어, 외부 인터페이스(1002) 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1004)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수신 보고 유닛(1014)일 수 있음 ―, 및 제2 엔티티에 로케이션 보고를 송신하기 위한 수단 ― 로케이션 보고는 타겟 사용자에 대한 로케이션 추정을 포함함 ― 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이는, 예를 들어, 외부 인터페이스(1002) 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1004)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수신 보고 유닛(1014)일 수 있다. 제1 엔티티는 최대 보고 인터벌 동안 타겟 사용자 장비에 의해 어떠한 트리거 이벤트도 검출되지 않는 경우 제3 엔티티로부터 로케이션 보고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 ― 이는, 예를 들어, 외부 인터페이스(1002) 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1004)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수신 보고 유닛(1014)일 수 있음 ―, 및 제2 엔티티에 로케이션 보고를 송신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이는, 예를 들어, 외부 인터페이스(1002) 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1004)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수신 보고 유닛(1014)일 수 있다. 제1 엔티티는 최대 보고 인터벌보다 긴 인터벌에 걸쳐 제3 엔티티로부터 어떠한 로케이션 보고도 수신하지 않은 후 타겟 사용자 장비에서 주기적이고 트리거링된 로케이션 요청이 더 이상 활성이 아님을 표시하는 에러 보고를 제2 엔티티에 송신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이는, 예를 들어, 외부 인터페이스(1002) 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1004)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최대 보고 인터벌 유닛(1014)일 수 있다. 제1 엔티티는 최대 보고 인터벌보다 긴 인터벌에 걸쳐 제3 엔티티로부터 어떠한 로케이션 보고도 수신하지 않은 후 제2 엔티티 및 제3 엔티티 중 적어도 하나에 취소 메시지를 송신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이는, 예를 들어, 외부 인터페이스(1002) 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1004)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최대 보고 인터벌 유닛(1016)일 수 있다.
[00153] "일례", "예", "특정 예들 또는 "예시적인 구현"에 대한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참조는, 특징 및/또는 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특정한 특징, 구조 또는 특성이 청구된 청구대상의 적어도 하나의 특징 및/또는 예에 포함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다양한 위치들에서 "일례에서", "예", "특정 예들에서 또는 "특정 구현들에서"라는 구 또는 다른 유사한 구들의 등장들은 반드시 동일한 특징, 예 및/또는 제한 모두를 참조할 필요는 없다. 또한, 특정한 특징들, 구조들, 또는 특성들은 하나 또는 이상의 예들 및/또는 특징들에서 결합될 수 있다.
[00154] 본 명세서에 포함된 상세한 설명의 일부 부분들은, 특정한 장치 또는 특수 목적 컴퓨팅 디바이스 또는 플랫폼의 메모리 내에 저장된 2진 디지털 신호들에 대한 동작들의 알고리즘들 또는 심볼 표현들의 관점들에서 제시된다. 이러한 특정한 설명의 맥락에서, 특정한 장치 등의 용어는, 일단 프로그램 소프트웨어로부터의 명령들에 따라 특정한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프로그래밍되면, 범용 컴퓨터를 포함한다. 알고리즘 설명들 또는 심볼 표현들은, 당업자들의 작업의 실체를 다른 당업자들에게 전달하기 위하여 신호 프로세싱 또는 관련 분야들의 당업자들에 의해 사용되는 기술들의 예들이다. 알고리즘은 여기서 및 일반적으로는, 원하는 결과를 유도하는 동작들 또는 유사한 신호 프로세싱의 자체-일관성있는(self-consistent) 시퀀스인 것으로 고려된다. 이러한 맥락에서, 동작들 또는 프로세싱은, 물리 양들의 물리 조작을 수반한다. 통상적으로,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지만, 이러한 양들은 저장, 전달, 결합, 비교 또는 그렇지 않으면 조작될 수 있는 전기 또는 자기 신호들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주로 일반적인 사용의 이유들 때문에, 비트들, 데이터, 값들, 엘리먼트들, 심볼들, 문자들, 용어들, 숫자들, 수치들 등으로서 이러한 신호들을 지칭하는 것이 종종 편리한 것으로 입증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또는 유사한 용어들 모두는 적절한 물리 양들과 연관될 것이며, 단지 편리한 라벨들일 뿐임을 이해해야 한다. 본 명세서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달리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으면, 본 명세서 전반에 걸쳐 "프로세싱", "컴퓨팅", "계산", "결정" 등과 같은 용어들을 활용하는 설명들이 특수 목적 컴퓨터, 특수 목적 컴퓨팅 장치 또는 유사한 특수 목적 전자 컴퓨팅 디바이스와 같은 특정한 장치의 동작들 또는 프로세스들을 지칭함이 인식된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맥락에서, 특수 목적 컴퓨터 또는 유사한 특수 목적 전자 컴퓨팅 디바이스는, 특수 목적 컴퓨터 또는 유사한 특수 목적 전자 컴퓨팅 디바이스의 메모리들, 레지스터들, 또는 다른 정보 저장 디바이스들, 송신 디바이스들, 또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 내의 물리 전자 또는 자기 양들로서 통상적으로 표현되는 신호들을 조작 또는 변환할 수 있다.
[00155] 이전의 상세한 설명에서, 다수의 특정한 세부사항들이 청구된 청구대상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기재되었다. 그러나, 청구된 청구대상이 이들 특정한 세부사항들 없이도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들에 의해 이해될 것이다. 다른 예시들에서, 당업자에 의해 알려져 있을 방법들 및 장치들은 청구된 청구대상을 불명료하게 하지 않기 위해 상세히 설명되지 않았다.
[00156]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및", "또는", 그리고 "및/또는"이라는 용어들은, 이러한 용어들이 사용되는 맥락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의존하도록 또한 예상되는 다양한 의미들을 포함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A, B 또는 C와 같이 리스트를 연관시키는데 사용되면, "또는"은, 포괄적인 의미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A, B, 및 C 뿐만 아니라 배타적인 의미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A, B 또는 C를 의미하도록 의도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은 "하나 이상"이라는 용어는, 단수의 임의의 특징, 구조, 또는 특성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거나, 또는 특징들, 구조들 또는 특성들의 복수의 또는 일부 다른 결합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이것은 단지 예시적인 예일 뿐이며, 청구된 요지는 이러한 예로 제한되지 않음을 주목해야 한다.
[00157] 예시적인 특성들인 것으로 현재 고려되는 것이 예시되고 설명되었지만, 청구된 요지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양한 다른 변형들이 행해질 수 있고 등가물들이 대체될 수 있음이 당업자들에 의해 이해될 것이다. 추가적으로, 본 명세서에 설명된 중심 개념을 벗어나지 않으면서 청구된 요지의 교시들에 특정한 상황을 적응하도록 많은 변형들이 행해질 수 있다.
[00158] 따라서, 청구된 청구대상이 기재된 특정한 예들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그러한 청구된 청구대상이 첨부된 청구항들 및 그들의 등가물들의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양상들을 또한 포함할 수 있음이 의도된다.

Claims (30)

  1. 제1 네트워크 엔티티가 타겟 사용자 장비에 대한 주기적이고 트리거링된 로케이션을 수행하는 방법으로서,
    제2 네트워크 엔티티로부터 상기 타겟 사용자 장비에 대한 주기적이고 트리거링된 로케이션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주기적이고 트리거링된 로케이션 요청이 수신되고 수락되었음을 표시하는 제1 응답을 상기 제2 네트워크 엔티티에 송신하는 단계;
    상기 주기적이고 트리거링된 로케이션 요청이 상기 타겟 사용자 장비에 전송되게 하는 단계 ― 상기 주기적이고 트리거링된 로케이션 요청은, 로케이션 보고 이벤트의 타입, 최대 보고 인터벌,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주기적이고 트리거링된 로케이션 요청은, 상기 로케이션 보고 이벤트가 발생했는지 여부를 상기 타겟 사용자 장비가 모니터링하는 데 요구되는 최대 이벤트 샘플링 인터벌을 더 포함함 ―;
    상기 타겟 사용자 장비로부터, 상기 주기적이고 트리거링된 로케이션 요청이 수락되었음을 표시하는 확인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주기적이고 트리거링된 로케이션 요청이 상기 타겟 사용자 장비에서 활성화되었음을 표시하는 제2 응답을 상기 제2 네트워크 엔티티에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로케이션 보고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또는 상기 최대 보고 인터벌 동안 어떠한 로케이션 보고 이벤트도 발생하지 않는 경우 상기 타겟 사용자 장비로부터 로케이션 보고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기적이고 트리거링된 로케이션 요청이 상기 타겟 사용자 장비에 전송되게 하는 것은, 상기 주기적이고 트리거링된 로케이션 요청이 NB-IoT(Narrowband Internet of Things) RAT(radio access type), LTE(Long Term Evolution) RAT, 또는 NR(New Radio) RAT를 통해 전송되게 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네트워크 엔티티는,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 AMF(Access and Mobility Management Function), 또는 LMF(Location Management Function)를 포함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네트워크 엔티티는 GMLC(Gateway Mobile Location Center)를 포함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케이션 보고 이벤트의 타입은, 영역으로 진입하는 것, 영역으로부터 떠나는 것, 영역 내에 있는 것, 주기적인 보고, 모션 이벤트 보고,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네트워크 엔티티에 상기 로케이션 보고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응답은, 상기 타겟 사용자 장비가 다음으로 도달가능하게 될 때까지의 예상되는 시간 인터벌 또는 최대 시간 인터벌의 표시를 포함하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응답은, 상기 타겟 사용자 장비에 대한 마지막으로 공지된 로케이션을 포함하는, 방법.
  9. 타겟 사용자 장비에 대한 주기적이고 트리거링된 로케이션을 수행하기 위한 제1 네트워크 엔티티로서,
    제2 네트워크 엔티티 및 상기 타겟 사용자 장비와 통신하도록 구성된 외부 인터페이스;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외부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제2 네트워크 엔티티로부터 상기 타겟 사용자 장비에 대한 주기적이고 트리거링된 로케이션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외부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주기적이고 트리거링된 로케이션 요청이 수신되고 수락되었음을 표시하는 제1 응답을 상기 제2 네트워크 엔티티에 송신하고;
    상기 주기적이고 트리거링된 로케이션 요청이 상기 타겟 사용자 장비에 전송되게 하고 ― 상기 주기적이고 트리거링된 로케이션 요청은, 로케이션 보고 이벤트의 타입, 최대 보고 인터벌,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주기적이고 트리거링된 로케이션 요청은, 상기 로케이션 보고 이벤트가 발생했는지 여부를 상기 타겟 사용자 장비가 모니터링하는 데 요구되는 최대 이벤트 샘플링 인터벌을 더 포함함 ―;
    상기 외부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타겟 사용자 장비로부터, 상기 주기적이고 트리거링된 로케이션 요청이 수락되었다는 확인을 수신하고;
    상기 주기적이고 트리거링된 로케이션 요청이 상기 타겟 사용자 장비에서 활성화되었음을 표시하는 제2 응답을 상기 외부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제2 네트워크 엔티티에 송신하고; 그리고
    상기 로케이션 보고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또는 상기 최대 보고 인터벌 동안 어떠한 로케이션 보고 이벤트도 발생하지 않는 경우 상기 외부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타겟 사용자 장비로부터 로케이션 보고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제1 네트워크 엔티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주기적이고 트리거링된 로케이션 요청이 상기 타겟 사용자 장비에 전송되게 하기 위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주기적이고 트리거링된 로케이션 요청이 NB-IoT(Narrowband Internet of Things) RAT(radio access type), LTE(Long Term Evolution) RAT, 또는 NR(New Radio) RAT를 통해 전송되게 하도록 구성되는, 제1 네트워크 엔티티.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네트워크 엔티티는,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 AMF(Access and Mobility Management Function), 또는 LMF(Location Management Function)를 포함하는, 제1 네트워크 엔티티.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로케이션 보고 이벤트의 타입은, 영역으로 진입하는 것, 영역으로부터 떠나는 것, 영역 내에 있는 것, 주기적인 보고, 모션 이벤트 보고,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제1 네트워크 엔티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외부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제2 네트워크 엔티티에 상기 로케이션 보고를 송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제1 네트워크 엔티티.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타겟 사용자 장비가 다음으로 도달가능하게 될 때까지의 예상되는 시간 인터벌 또는 최대 시간 인터벌의 표시 또는 상기 타겟 사용자 장비에 대한 마지막으로 공지된 로케이션을 상기 제1 응답에 포함시키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제1 네트워크 엔티티.
  15. 타겟 사용자 장비에 대한 주기적이고 트리거링된 로케이션을 수행하기 위한 제1 네트워크 엔티티로서,
    제2 네트워크 엔티티로부터 상기 타겟 사용자 장비에 대한 주기적이고 트리거링된 로케이션 요청을 수신하기 위한 수단;
    상기 주기적이고 트리거링된 로케이션 요청이 수신되고 수락되었음을 표시하는 제1 응답을 상기 제2 네트워크 엔티티에 송신하기 위한 수단;
    상기 주기적이고 트리거링된 로케이션 요청이 상기 타겟 사용자 장비에 전송되게 하기 위한 수단 ― 상기 주기적이고 트리거링된 로케이션 요청은, 로케이션 보고 이벤트의 타입, 최대 보고 인터벌,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주기적이고 트리거링된 로케이션 요청은, 상기 로케이션 보고 이벤트가 발생했는지 여부를 상기 타겟 사용자 장비가 모니터링하는 데 요구되는 최대 이벤트 샘플링 인터벌을 더 포함함 ―;
    상기 타겟 사용자 장비로부터, 상기 주기적이고 트리거링된 로케이션 요청이 수락되었음을 표시하는 확인을 수신하기 위한 수단;
    상기 주기적이고 트리거링된 로케이션 요청이 상기 타겟 사용자 장비에서 활성화되었음을 표시하는 제2 응답을 상기 제2 네트워크 엔티티에 송신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로케이션 보고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또는 상기 최대 보고 인터벌 동안 어떠한 로케이션 보고 이벤트도 발생하지 않는 경우 상기 타겟 사용자 장비로부터 로케이션 보고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제1 네트워크 엔티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주기적이고 트리거링된 로케이션 요청이 상기 타겟 사용자 장비에 전송되게 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주기적이고 트리거링된 로케이션 요청이 NB-IoT(Narrowband Internet of Things) RAT(radio access type), LTE(Long Term Evolution) RAT, 또는 NR(New Radio) RAT를 통해 전송되게 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제1 네트워크 엔티티.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네트워크 엔티티는,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 AMF(Access and Mobility Management Function), 또는 LMF(Location Management Function)를 포함하는, 제1 네트워크 엔티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네트워크 엔티티는 GMLC(Gateway Mobile Location Center)를 포함하는, 제1 네트워크 엔티티.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로케이션 보고 이벤트의 타입은, 영역으로 진입하는 것, 영역으로부터 떠나는 것, 영역 내에 있는 것, 주기적인 보고, 모션 이벤트 보고,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제1 네트워크 엔티티.
  20.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네트워크 엔티티에 상기 로케이션 보고를 송신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제1 네트워크 엔티티.
  21.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사용자 장비가 다음으로 도달가능하게 될 때까지의 예상되는 시간 인터벌 또는 최대 시간 인터벌의 표시를 상기 제1 응답에 포함시키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제1 네트워크 엔티티.
  22.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사용자 장비에 대한 마지막으로 공지된 로케이션을 상기 제1 응답에 포함시키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제1 네트워크 엔티티.
  23. 프로그램 코드가 저장된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로서,
    상기 프로그램 코드는 타겟 사용자 장비에 대한 주기적이고 트리거링된 로케이션을 수행하기 위한 제1 네트워크 엔티티 내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구성하도록 동작가능하고, 상기 프로그램 코드는:
    제2 네트워크 엔티티로부터 상기 타겟 사용자 장비에 대한 주기적이고 트리거링된 로케이션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주기적이고 트리거링된 로케이션 요청이 수신되고 수락되었음을 표시하는 제1 응답을 상기 제2 네트워크 엔티티에 송신하고;
    상기 주기적이고 트리거링된 로케이션 요청이 상기 타겟 사용자 장비에 전송되게 하고 ― 상기 주기적이고 트리거링된 로케이션 요청은, 로케이션 보고 이벤트의 타입, 최대 보고 인터벌,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주기적이고 트리거링된 로케이션 요청은, 상기 로케이션 보고 이벤트가 발생했는지 여부를 상기 타겟 사용자 장비가 모니터링하는 데 요구되는 최대 이벤트 샘플링 인터벌을 더 포함함 ―;
    상기 타겟 사용자 장비로부터, 상기 주기적이고 트리거링된 로케이션 요청이 수락되었음을 표시하는 확인을 수신하고;
    상기 주기적이고 트리거링된 로케이션 요청이 상기 타겟 사용자 장비에서 활성화되었음을 표시하는 제2 응답을 상기 제2 네트워크 엔티티에 송신하고; 그리고
    상기 로케이션 보고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또는 상기 최대 보고 인터벌 동안 어떠한 로케이션 보고 이벤트도 발생하지 않는 경우 상기 타겟 사용자 장비로부터 로케이션 보고를 수신하기 위한
    명령들을 포함하는,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주기적이고 트리거링된 로케이션 요청이 상기 타겟 사용자 장비에 전송되게 하기 위한 명령들은, 상기 주기적이고 트리거링된 로케이션 요청이 NB-IoT(Narrowband Internet of Things) RAT(radio access type), LTE(Long Term Evolution) RAT, 또는 NR(New Radio) RAT를 통해 상기 타겟 사용자 장비에 전송되게 하기 위한 명령들을 포함하는,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
  25.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네트워크 엔티티는,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 AMF(Access and Mobility Management Function), 또는 LMF(Location Management Function)를 포함하는,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네트워크 엔티티는 GMLC(Gateway Mobile Location Center)를 포함하는,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
  27.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로케이션 보고 이벤트의 타입은, 영역으로 진입하는 것, 영역으로부터 떠나는 것, 영역 내에 있는 것, 주기적인 보고, 모션 이벤트 보고,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 코드는, 상기 제2 네트워크 엔티티에 상기 로케이션 보고를 송신하기 위한 명령들을 더 포함하는,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
  29.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응답은, 상기 타겟 사용자 장비가 다음으로 도달가능하게 될 때까지의 예상되는 시간 인터벌 또는 최대 시간 인터벌의 표시를 포함하는,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
  30.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응답은, 상기 타겟 사용자 장비에 대한 마지막으로 공지된 로케이션을 포함하는,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
KR1020237016595A 2016-11-07 2017-10-11 모바일 디바이스의 결합된 주기적이고 트리거링된 로케이션을 가능하게 하는 시스템들 및 방법들 KR1026519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662418772P 2016-11-07 2016-11-07
US62/418,772 2016-11-07
US201762446329P 2017-01-13 2017-01-13
US62/446,329 2017-01-13
US201762454639P 2017-02-03 2017-02-03
US62/454,639 2017-02-03
US15/707,406 2017-09-18
US15/707,406 US11405863B2 (en) 2016-10-05 2017-09-18 Systems and methods to enable combined periodic and triggered location of a mobile device
KR1020197012956A KR102535224B1 (ko) 2016-11-07 2017-10-11 모바일 디바이스의 결합된 주기적이고 트리거링된 로케이션을 가능하게 하는 시스템들 및 방법들
PCT/US2017/056213 WO2018085017A1 (en) 2016-11-07 2017-10-11 Systems and methods to enable combined periodic and triggered location of a mobile devic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2956A Division KR102535224B1 (ko) 2016-11-07 2017-10-11 모바일 디바이스의 결합된 주기적이고 트리거링된 로케이션을 가능하게 하는 시스템들 및 방법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3355A KR20230073355A (ko) 2023-05-25
KR102651980B1 true KR102651980B1 (ko) 2024-03-27

Family

ID=6207638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16595A KR102651980B1 (ko) 2016-11-07 2017-10-11 모바일 디바이스의 결합된 주기적이고 트리거링된 로케이션을 가능하게 하는 시스템들 및 방법들
KR1020197012956A KR102535224B1 (ko) 2016-11-07 2017-10-11 모바일 디바이스의 결합된 주기적이고 트리거링된 로케이션을 가능하게 하는 시스템들 및 방법들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2956A KR102535224B1 (ko) 2016-11-07 2017-10-11 모바일 디바이스의 결합된 주기적이고 트리거링된 로케이션을 가능하게 하는 시스템들 및 방법들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3535989A1 (ko)
JP (1) JP6900476B2 (ko)
KR (2) KR102651980B1 (ko)
CN (2) CN114143714A (ko)
BR (1) BR112019009084A2 (ko)
CA (1) CA3039056A1 (ko)
WO (1) WO201808501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06543B1 (en) 2018-06-25 2019-12-10 Qualcomm Incorporated Low power periodic and triggered location of a mobile device using early data transmission
US10952178B2 (en) 2018-06-25 2021-03-16 Qualcomm Incorporated Low power periodic and triggered location of a mobile device using control plane optimization
US11388657B2 (en) 2018-08-13 2022-07-12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systems for supporting unified location of a mobile device in a 5G network
US11218933B2 (en) 2018-09-14 2022-01-04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deferred 5G location of a mobile device using a combined AMF and LMF based location solution
KR20200083049A (ko) * 2018-12-31 2020-07-08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CN111278088B (zh) * 2019-01-04 2022-02-01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定位方法及终端
KR20220020813A (ko) * 2019-06-17 2022-02-21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제어 평면 최적화를 사용한 모바일 디바이스의 저전력 주기적인 및 트리거링된 로케이션
WO2021026700A1 (en) * 2019-08-09 2021-02-18 Nokia Shanghai Bell Co., Ltd. Coordination of location requests
CN112689240B (zh) * 2019-10-17 2023-01-13 中国移动通信有限公司研究院 信息交互方法、装置、基站及定位管理功能实体
CN114731529A (zh) * 2019-11-22 2022-07-08 华为技术有限公司 用户设备位置信息上报的方法、用户设备及网络设备
CN111629045A (zh) * 2020-05-21 2020-09-04 北京骑胜科技有限公司 设备唤醒方法、系统、装置、设备和存储介质
EP4154622A4 (en) * 2020-05-22 2024-02-28 Nokia Technologies Oy METHOD AND DEVICE FOR REPORTING THE BEHAVIOR OF A TARGET DEVICE IN CONNECTION WITH A GEOGRAPHICAL AREA
CN116325988A (zh) 2020-07-30 2023-06-23 诺基亚技术有限公司 报告用于定位的完整性相关信息
KR102368466B1 (ko) * 2020-09-18 2022-02-25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통신 네트워크에서 위치측위 요청을 처리하는 방법
EP4247014A4 (en) * 2020-11-30 2023-12-13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OSITIONING USER EQUIPMENT
CN116648945A (zh) * 2020-12-31 2023-08-25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测量方法及装置
EP4274265A4 (en) * 2021-01-29 2024-02-07 Huawei Tech Co Ltd POSITIONING METHOD AND APPARATUS
CN115134910B (zh) * 2022-06-07 2023-06-06 广州爱浦路网络技术有限公司 终端设备周期定位方法、系统、装置及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24002A1 (en) * 2007-08-17 2009-02-26 Huawei Technologies Co., Ltd. A method of sending location service request i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US8154401B1 (en) * 2008-02-08 2012-04-10 Global Trek Xploration Corp. System and method for communication with a tracking device
US9125018B2 (en) * 2009-02-09 2015-09-01 Qualcomm Incorporated Triggered location services
EP2745583A1 (en) * 2011-08-15 2014-06-2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for providing location based services
US11678291B2 (en) * 2016-08-21 2023-06-13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systems for support of location for the Internet of Things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TS23.271 v13.0.0*
3GPP TS23.730 v1.2.0*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3039056A1 (en) 2018-05-11
CN109891916A (zh) 2019-06-14
JP6900476B2 (ja) 2021-07-07
KR20190077382A (ko) 2019-07-03
JP2019533959A (ja) 2019-11-21
CN114143714A (zh) 2022-03-04
EP3535989A1 (en) 2019-09-11
BR112019009084A2 (pt) 2019-07-16
CN109891916B (zh) 2022-01-11
KR20230073355A (ko) 2023-05-25
WO2018085017A1 (en) 2018-05-11
KR102535224B1 (ko) 2023-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46848B2 (en) Systems and methods to enable combined periodic and triggered location of a mobile device
KR102651980B1 (ko) 모바일 디바이스의 결합된 주기적이고 트리거링된 로케이션을 가능하게 하는 시스템들 및 방법들
US1192470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ferred 5G location of a mobile device using a combined AMF and LMF based location solution
US1167814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supporting control plane location in a fifth generation wireless network
US10959203B2 (en) Low power periodic and triggered location of a mobile device using early data transmission
US11388657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supporting unified location of a mobile device in a 5G network
US10952178B2 (en) Low power periodic and triggered location of a mobile device using control plane optimization
KR102481936B1 (ko) 사물 인터넷에 대한 위치의 지원을 위한 방법들 및 시스템들
US20190313209A1 (en) Flexible periodic and triggered location of a mobile device in a wireless network using a codewor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