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1848B1 - 핸드 케어 기능을 구비한 흡연 물품 케이스 - Google Patents

핸드 케어 기능을 구비한 흡연 물품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1848B1
KR102651848B1 KR1020210003797A KR20210003797A KR102651848B1 KR 102651848 B1 KR102651848 B1 KR 102651848B1 KR 1020210003797 A KR1020210003797 A KR 1020210003797A KR 20210003797 A KR20210003797 A KR 20210003797A KR 102651848 B1 KR102651848 B1 KR 1026518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nctional
care zone
zone
care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37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02195A (ko
Inventor
차광호
김한진
이철희
임창근
정경빈
정내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Priority to KR10202100037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1848B1/ko
Priority to EP21919855.3A priority patent/EP4118982A4/en
Priority to PCT/KR2021/016501 priority patent/WO2022154231A1/ko
Priority to JP2022548466A priority patent/JP7468965B2/ja
Priority to CN202180018765.6A priority patent/CN115209750A/zh
Priority to US17/917,196 priority patent/US20230157354A1/en
Publication of KR202201021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21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18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18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15/00Receptacles or boxes specially adapted for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or cigarettes therefor
    • A24F15/12Receptacles or boxes specially adapted for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or cigarettes therefor for pocket us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26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in coated particulate form
    • A01N25/28Microcapsules or nanocapsul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34Shaped forms, e.g. sheets, not provided for in any other sub-group of this main group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icroorganisms, viruses, microbial fungi, animals or substances produced by, or obtained from, microorganisms, viruses, microbial fungi or animals, e.g. enzymes or fermentates
    • A01N63/10Animals; Substances produced thereby or obtained therefrom
    • A01N63/14Insec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6Coniferophyta [gymnosperms], e.g. cypres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8Magnoliopsida [dicotyledons]
    • A01N65/28Myrtaceae [Myrtle family], e.g. teatree or clov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8Magnoliopsida [dicotyledons]
    • A01N65/36Rutaceae [Rue family], e.g. lime, orange, lemon, corktree or pricklyash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PBIOCIDAL, PEST REPELLANT, PEST ATTRACTANT OR PLANT GROWTH REGULATORY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PREPARATIONS
    • A01P1/00Disinfectants; Antimicrobial compounds or mixture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ompressible or flexible articles
    • B65D85/0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ompressible or flexible articles rod-shaped or tubular
    • B65D85/1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ompressible or flexible articles rod-shaped or tubular for cigarettes
    • B65D85/1036Containers formed by erecting a rigid or semi-rigid blank
    • B65D85/1045Containers formed by erecting a rigid or semi-rigid blank having a cap-like lid hinged to an ed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ompressible or flexible articles
    • B65D85/0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ompressible or flexible articles rod-shaped or tubular
    • B65D85/1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ompressible or flexible articles rod-shaped or tubular for cigarettes
    • B65D85/1081Inserts or accessories added or joined to the container, e.g. coins, pens, cards, spac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11/00Use of ingredients of unknown constitution, e.g. undefined reaction produc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9/00Use of pretreated ingredients
    • C08K9/10Encapsulated ingredi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0Compositions of cellulose, modified cellulose or cellulose derivatives
    • C08L1/02Cellulose; Modified cellulos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1/00Compositions of 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1/20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with only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 attached to nitrogen
    • C08L61/26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with only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 attached to nitrogen of aldehydes with heterocyclic compounds
    • C08L61/28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with only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 attached to nitrogen of aldehydes with heterocyclic compounds with melamin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02Printing inks
    • C09D11/03Printing inks characterised by features other than the chemical nature of the bind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50Sympathetic, colour changing or similar ink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14Paints containing biocides, e.g. fungicides, insecticides or pestic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3/00Decoration means, markings, information elements, contents indica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2/00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with only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 attached to nitrogen
    • C08G12/02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with only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 attached to nitrogen of aldehydes
    • C08G12/26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with only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 attached to nitrogen of aldehydes with heterocyclic compounds
    • C08G12/30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with only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 attached to nitrogen of aldehydes with heterocyclic compounds with substituted triazines
    • C08G12/32Melami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58Biocid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Zo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ycology (AREA)
  • Toxic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tan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irology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Cigarettes, Filters, And Manufacturing Of Filter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핸드 케어 기능을 구비한 흡연 물품 케이스가 제공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흡연 물품 케이스는, 흡연 물품을 보관하기 위한 내부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몸체부 및 몸체부와 연결되어 있는 커버를 포함하고, 몸체부 및 커버의 외면 중 적어도 일부에는 기능성 케어존(care zone)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기능성 케어존에는 기능성 물질을 함유한 마이크로캡슐이 도포되어 있는데, 흡연자의 마찰 동작에 의해 파쇄된 마이크로캡슐에서 기능성 물질이 배출됨에 따라 흡연자에게 핸드 케어 기능이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핸드 케어 기능을 구비한 흡연 물품 케이스{SMOKING ARTICLE CASE WITH HAND CARE FUNCTION}
본 개시는 핸드 케어 기능을 구비한 흡연 물품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흡연자의 손 또는 손가락 부위의 위생 등을 위한 다양한 케어 기능을 구비한 흡연 물품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흡연 물품은 그 형태에 따라 궐련(cigarette), 엽궐련(cigar) 등으로 분류되고, 이중에서 궐련이 소비량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궐련은 가공된 담배 잎을 잘게 분쇄한 후 궐련지(cigarette paper)로 말아서 형성한 원통형의 물품이며, 궐련 형태의 물품은 일반적으로 종이로 만들어진 케이스 내에 보관되어 판매된다.
한편, 흡연자는 대부분 손가락으로 궐련을 지지하며 흡연을 하게 되는데, 이로 인해 흡연 후에 손에 불쾌한 냄새가 남게 된다. 뿐만 아니라, 흡연 행위는 손가락과 구부의 접촉을 증가시키기 때문에, 흡연 시 오염된 손가락이나 궐련에 있던 유해균이 구부를 통해 신체 내부로 침투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들을 통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핸드 케어 기능을 구비한 흡연 물품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개시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의 기술분야에서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흡연 물품 케이스는, 흡연 물품을 보관하기 위한 내부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와 연결되어 있는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 및 상기 커버의 외면 중 적어도 일부에는 기능성 케어존(care zone)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능성 케어존의 적어도 일부에는 기능성 물질을 함유한 마이크로캡슐이 도포되어 있고, 상기 기능성 물질은 항균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상기 항균 물질은 자몽추출물, 라임 오일, 유칼립투스 오일, 솔잎 오일, 유칼립톨, 리모넨 및 프로폴리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일종 이상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상기 기능성 케어존의 적어도 일부에는 잉크가 도포되어 있고, 상기 기능성 케어존에 도포된 마이크로캡슐은 상기 잉크의 색상 또는 색농도를 변화시키는 물질을 더 함유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상기 기능성 케어존의 제1 영역에는 제1 파쇄 강도를 갖는 제1 마이크로캡슐이 도포되어 있고, 상기 기능성 케어존의 제2 영역에는 제2 파쇄 강도를 갖는 제2 마이크로캡슐이 도포되어 있으며, 상기 제1 파쇄 강도는 상기 제2 파쇄 강도보다 작을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상기 기능성 케어존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복수의 돌출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상기 기능성 케어존에는 지정된 심볼을 구성하도록 잉크가 도포되어 있고, 상기 지정된 심볼에는 상기 기능성 케어존에 관한 정보가 코드화되어 있을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상기 기능성 케어존은 돌기 패턴이 형성된 돌기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상기 기능성 케어존은 제1 기능성 물질을 함유한 마이크로캡슐이 도포되어 있는 제1 기능성 케어존과 상기 제1 기능성 물질과 상이한 제2 기능성 물질을 함유한 마이크로캡슐이 도포되어 있는 제2 기능성 케어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기능성 케어존과 상기 제2 기능성 케어존에는 서로 다른 색상의 잉크가 도포되어 있을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상기 기능성 케어존은 상기 항균 물질을 함유한 마이크로캡슐이 도포되어 있는 항균존 외에 탈취존 및 방향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르면, 흡연 물품 케이스의 외면에 기능성 물질을 함유한 마이크로캡슐이 도포됨으로써 기능성 케어존이 형성될 수 있다. 기능성 케어존은 흡연자의 손 또는 손가락 부위와의 마찰될 때 기능성 물질을 배출함으로써(즉, 도포된 마이크로캡슐이 파쇄되면서 기능성 물질이 배출됨), 흡연자에게 핸드 케어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가령, 항균 물질이 기능성 물질로 이용된 경우, 흡연자의 손 부위에 항균 케어 기능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기능성 케어존에 잉크가 함께 도포됨으로써, 기능성 케어존의 특성 정보(e.g. 위치, 종류 등)가 흡연자에게 시각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또한, 기능성 케어존에 도포되는 마이크로캡슐에 잉크의 색상 또는 색농도를 변화시키는 물질이 더 함유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마이크로캡슐이 파쇄됨에 따라 점차적으로 기능성 케어존의 색상 또는 색농도가 옅어짐으로써, 기능성 케어존의 잔여 사용 기간에 관한 정보가 흡연자에게 시각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또한, 기능성 케어존의 외곽 영역에 상대적으로 파쇄 강도가 큰 마이크로캡슐이 도포되고, 기능성 케어존의 중심 영역에 상대적으로 파쇄 강도가 작은 마이크로캡슐이 도포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흡연자가 흡연 물품 케이스를 소지하는 동안 의도치 않은 마찰에 의해 마이크로캡슐이 파쇄되는 문제가 완화될 수 있다.
또한, 기능성 케어존에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복수의 돌출 영역이 형성되어 있거나 돌기 패턴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마찰력 증가로 인해 마이크로캡슐이 쉽게 파쇄됨으로써, 핸드 케어 기능이 보다 원활하게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서로 다른 기능성 물질을 함유한 마이크로캡슐이 서로 다른 영역에 도포되어 복수의 기능성 케어존이 형성될 수 있다. 가령, 항균존, 탈취존, 방향존 등과 같이 복수의 케어존이 형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 흡연자에게 다각적이고 종합적인 핸드 케어 기능이 제공될 수 있다.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흡연 물품 케이스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기능성 케어존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케어존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개시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케어존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케어존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케어존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10 내지 도 12는 본 개시의 제5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케어존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개시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이하의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완전하도록 하고,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개시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개시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하의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의 실시예들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개시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의 실시예들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본 개시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 (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대한 본격적인 설명에 앞서,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몇몇 용어들에 대하여 명확하게 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들에서, "흡연 물품"(smoking article)이란, 담배, 담배 파생물, 팽화처리 담배(expanded tobacco), 재생 담배(reconstituted tobacco) 또는 담배 대용물에 기반하느냐에 상관 없이 흡연 가능한 임의의 제품 또는 흡연 체험을 제공할 수 있는 임의의 제품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흡연 물품은 궐련, 엽궐련(cigar) 및 작은 엽궐련(cigarillo) 등 같은 흡연 가능 제품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흡연 물품은 연소형 흡연 물품과 가열형 흡연 물품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흡연 물품 케이스(10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연 물품 케이스(100)는 몸체부(200)와 커버(30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 1 내지 도 3에는 본 개시의 실시예와 관련 있는 구성요소들만이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본 개시가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 요소들이 더 포함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하, 흡연 물품 케이스(100)의 각 구성요소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몸체부(200)는 흡연 물품 케이스(100)의 전반적인 프레임을 형성하는 구조물일 수 있다. 또한, 몸체부(200)의 내부에는 하나 이상의 흡연 물품(미도시)을 보관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몸체부(200)는 외력으로부터 흡연 물품을 보호하기 위해 견고한 구조를 형성할 수 있는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몸체부(200)는 강성의 종이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음으로, 커버(300)는 몸체부(200)와 연결되어 몸체부(200)의 덮개 역할을 수행하는 구조물일 수 있고, 개폐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흡연자는 커버(300)를 개방하여 몸체부(200)에 보관된 흡연 물품(200)을 인출하거나 몸체부(200)의 내부 공간으로 흡연 물품을 투입할 수 있다. 또한, 흡연자는 커버(300)를 폐쇄함으로써 흡연 물품(200)이 흡연 물품 케이스(100)에 보관되도록 할 수 있다. 커버(300) 또한 견고한 구조를 형성할 수 있는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버(300)도 강성의 종이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200) 또는 커버(300)의 외면 중 적어도 일부에는 기능성 케어존(400)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기능성 케어존(400)은 기능성 물질을 이용하여 핸드 케어 기능을 제공하는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몸체부(200) 및/또는 커버(300)가 포장 필름에 의해 포장되어 있는 경우, 기능성 케어존(400)은 포장 필름의 외면 중 적어도 일부에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포장 필름의 예로는 방전 처리가 되어 있는 OPP(oriented poly propylene) 필름을 들 수 있을 것이나, 본 개시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기능성 케어존(400)"을 "케어존(400)"으로 약칭하도록 한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케어존(400)은 흡연 물품 케이스(100)의 오목한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면에 오목 영역이 형성되도록 커버(300)가 제조되면, 오목 영역 내에 케어존(400)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오목 영역은 다른 영역에 비해 내부 방향으로 들어간(함몰된) 영역을 의미할 수 있으며, 들어간 깊이는 예를 들어 케어존(400)의 두께 이상일 수 있을 것이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경우, 흡연자가 흡연 물품 케이스(100)를 소지하는 동안, 흡연자의 의도에 상관없이 마이크로캡슐이 파쇄되는 등의 문제가 완화될 수 있다. 이를테면, 흡연자가 흡연 물품 케이스(100)를 주머니에 소지하는 동안, 의도치 않은 마찰에 의해 케어존(400)이 훼손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 따르면 이러한 문제가 크게 완화될 수 있다.
케어존(400)은 예를 들어 잉크와 기능성 물질이 함유된 마이크로캡슐을 도포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잉크는 케어존(400)의 위치, 케어 기능의 종류 등과 같은 특성 정보를 흡연자에게 시각적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고, 마이크로캡슐이 흡연자에게 핸드 케어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가령,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연자의 손 또는 손의 일부분(e.g. 손가락)이 케어존(400)과 마찰될 때 마이크로캡슐이 파쇄되면서 기능성 물질이 배출될 수 있고, 배출된 기능성 물질이 자연스럽게 흡연자의 손 부위에 닿게 되면서 핸드 케어 효과가 발휘될 수 있다. 따라서, 기능성 물질의 종류에 따라 케어존(400)의 구체적인 케어 기능이 결정될 수 있으며, 기능성 물질의 예로는 항균 물질, 탈취(소취) 물질, 방향 물질, 소독 물질 등을 들 수 있을 것이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도 1 내지 도 3은 커버(300)의 전면 또는 상면에 케어존(400)이 형성된 것을 예로써 도시하고 있으나, 본 개시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케어존(400)의 배치 위치는 다양하게 설계될 수 있다. 또한, 케어존(400)의 개수, 두께, 크기 및/또는 모양 등도 다양하게 설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 이하의 도면을 참조하여 케어존(400)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케어존(400)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특히, 도 4는 케어존(400)이 커버(300)의 외면에 형성된 것을 예로써 도시하고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어존(400)은 잉크층(410)과 캡슐층(420)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케어존(400)은 핸드 케어 기능을 제공하는 영역을 개념적으로 지칭하는 것일 뿐이므로, 케어존(400)의 일부 영역에만 잉크층(410)과 캡슐층(420)이 형성될 수도 있고, 케어존(400)의 일부 영역에는 잉크층(410)과 캡슐층(420) 중 어느 하나만이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는, 잉크층(410)과 캡슐층(420) 사이에 수지층(미도시)이 위치할 수 있다. 수지층(미도시)은 잉크층(410)을 보호하고 캡슐층(420)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수지층(미도시)은 수지(resin)를 도포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는데, 수지는 접착 특성과 고형화 특성을 갖기 때문에, 마이크로캡슐(430)을 용이하게 부착시킬 수 있으며, 제조 또는 과정에서 스크래치도 방지할 수 있다. 수지는 예를 들어 접착성을 갖는 비닐계 폴리머(vinyl-based polymer), 스티렌 모노머(styrene monomer), 메틸스티렌 모노머(α- methyl styrene), 아크릴 산(acrylic acid)의 3차원 공중합체 등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도 4는 케어존(400)을 형성하는 잉크층(410)과 캡슐층(420)이 명확하게 구분되어 있는 것처럼 도시하고 있으나, 이는 이해의 편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도포 방식에 따라 잉크층(410)과 캡슐층(420)은 명확하게 구분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예컨대, 케어존(400)은 잉크 도포를 통해 형성된 잉크층(410) 상에 마이크로캡슐(430)을 도포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잉크와 마이크로캡슐(430)의 도포 방식은 어떠한 방식이 되더라도 무방하다. 가령, 잉크층(410)은 잉크를 옵셋(off-set) 인쇄 방식으로 인쇄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을 것이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예로서, 케어존(400)은 잉크와 마이크로캡슐(430)을 포함하는 기능성 조성물을 커버(300)에 일괄 도포함으로써 형성될 수도 있다. 이를테면, 상기 기능성 조성물이 옵셋 인쇄 방식으로 몸체부(200) 및/또는 커버(300) 등에 도포될 수 있다.
참고로, 옵셋 인쇄 방식은 물과 기름의 반발력을 이용하는 간접 인쇄 방식으로, 그라비아(Gravure) 인쇄 등의 다른 인쇄 방식보다 마이크로캡슐(430) 깨짐(파쇄)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흡연 물품 케이스(100)의 제조 및 유통 과정에서 기능성 물질이 흘러나오는 현상이 미연에 방지될 수 있다.
앞선 예시에서, 상기 기능성 조성물은 약 5중량% 내지 40중량%의 마이크로캡슐(430)과 약 60중량% 내지 90%중량의 잉크를 배합함으로써 조성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약 10중량% 내지 35중량%의 마이크로캡슐(430)과 약 65중량% 내지 90중량%의 잉크 또는 약 10중량% 내지 25중량%의 마이크로캡슐(430)과 약 75중량% 내지 90중량%의 잉크를 배합함으로써 조성될 수 있다. 이러한 수치 범위 내에서, 케어존(400)의 색상 선명도와 핸드 케어 효과가 동시에 보장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잉크층(410)과 캡슐층(420)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잉크층(410)은 잉크를 도포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잉크층(410)은 케어존(400)의 특성 정보를 시각적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잉크층(410)의 모양과 캡슐층(420)의 모양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도 있고, 상이할 수도 있다. 잉크층(410)의 색상, 모양 등은 케어존(400)이 제공하는 케어 기능의 종류, 디자인적 요소 등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설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케어 기능(e.g. 항균, 탈취, 방향 등)을 제공하는 복수의 케어존(400)이 형성된 경우, 각 케어존(400)의 잉크층(410)이 서로 다른 색상 또는 모양으로 설계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케어존(400)과 연관된 기능성 물질의 종류에 따라 잉크층(410)이 서로 다른 색상 또는 모양으로 설계될 수 있다. 가령, 케어존(400)의 기능성 물질이 사과향을 발현하는 방향 물질인 경우, 잉크층(410)은 녹색의 사과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케어존(400)의 기능성 물질이 초콜릿 향을 발현하는 방향 물질인 경우, 잉크층(410)은 갈색, 황토색 또는 검정색의 사각형 모양일 수 있다. 잉크층(410)의 모양은 심볼(e.g. 문자, 기호 등)의 형태일 수도 있다.
다음으로, 캡슐층(420)은 마이크로캡슐(430)을 도포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캡슐층(420)은 마이크로캡슐(430)이 파쇄됨에 따라 내부에 함유된 기능성 물질을 배출함으로써 흡연자에게 핸드 케어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캡슐층(420)은 예를 들어 투명한 색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마이크로 캡슐(430)은 기능성 물질(또는 이를 포함하는 기능성 조성물)과 이를 둘러싸는 막을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로 캡슐(430)은 직경 약 10㎛ 이하의 구형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막의 두께는 약 100nm 이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막을 형성하는 막재는 예를 들어 멜라민계 물질, 셀룰로오스계 물질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기능성 물질은 예를 들어 항균 물질, 탈취 물질, 방향 물질, 소독 물질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항균 물질은 예를 들어 자몽추출물, 라임 오일(lime oil), 유칼립투스 오일(eucalyptus oil), 솔잎 오일(pine needle oil), 유칼립톨(eucalyptol), 리모넨(limonene), 프로폴리스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마이크로캡슐(430)은 기능성 물질 외에 잉크의 색상 또는 색농도를 변화시킬 수 있는 물질을 더 함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이크로캡슐(430)은 잉크를 희석시킴으로써 색농도를 변화시킬 수 있는 희석 물질을 더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마이크로캡슐(430)이 파쇄됨에 따라 점차적으로 잉크의 색상 또는 색농도가 변화하게 되므로, 시각적 변화를 통해 케어존(400) 부위의 마이크로캡슐(430)의 잔여량이 직관적으로 흡연자에게 전달될 수 있다. 즉, 케어존(400)의 잔여 사용 기간이 흡연자에게 시각적으로 전달되는 효과가 달성될 수 있다.
한편, 케어존(400)의 개수, 크기, 모양, 색상, 배치 형태 및/또는 구성 양태(e.g. 캡슐층 420의 두께, 크기, 마이크로캡슐 430의 파쇄 강도, 크기 등) 등은 다양하게 설계될 수 있으며, 이는 실시예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5 이하의 도면을 참조하여 케어존(400)의 다양한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개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케어존(400)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의 도면에서, 흡연 물품 케이스(100)에 대한 도시는 생략되었으나, 케어존(400)은 흡연 물품 케이스(100)의 일부 면에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케어존(400)에 포함된 복수의 영역 별로 서로 다른 파쇄 강도를 갖는 마이크로캡슐(430)이 도포될 수 있다. 또는, 케어존(400)이 복수개인 경우, 각 케어존(400)에 서로 다른 파쇄 강도를 갖는 마이크로캡슐(430)이 도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이, 케어존(400)의 중심 영역(402)에 파쇄 강도가 상대적으로 작은 마이크로캡슐(430)이 도포되고, 외곽 영역(401, 403)에 파쇄 강도가 상대적으로 큰 마이크로캡슐(430)이 도포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케어존(400)의 핸드 케어 기능이 향상될 수 있고 케어존(400) 훼손 문제가 완화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통상적으로 흡연자의 마찰 동작이 외곽에서 중심 방향으로 이루어지는 점을 고려할 때, 중심 영역(402)에는 외곽 영역(401, 403)보다 약한 힘이 작용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중심 영역(402)에 약한 힘에도 잘 파쇄될 수 있는 마이크로캡슐(430)이 도포되면, 케어존(400)의 전체 영역(e.g. 401 내지 403)에 걸쳐 마이크로캡슐(430)이 고르게 파쇄됨으로써 기능성 물질의 배출량이 증대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케어존(400)의 핸드 케어 기능이 효과적으로 향상될 수 있게 된다. 또한, 흡연자가 흡연 물품 케이스(100)를 소지할 때 외곽 영역(401, 403)에서 의도치 않은 마찰이 일어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외곽 영역(401, 403)에 잘 파쇄되지 않는 마이크로캡슐(430)을 도포하면, 의도치 않게 마이크로캡슐(430)이 파쇄되는 문제가 완화될 수 있게 된다.
다른 예로서, 좌측 영역(e.g. 401)에서 우측 영역(e.g. 403)으로 갈수록 도포된 마이크로캡슐(430)의 파쇄 강도가 더 커지거나 작아질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흡연 물품 케이스(100)의 특정 면에 형성된 제1 케어존에는 제1 파쇄 강도의 마이크로캡슐(430)이 도포되고, 다른 면에 형성된 제2 케어존에는 제1 파쇄 강도와 다른 제2 파쇄 강도의 마이크로캡슐(430)이 도포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서, 마이크로캡슐(430)의 파쇄 강도를 통해 케어존(400) 또는 케어존(400)의 특정 영역의 케어 강도(또는 기능성 물질의 배출량)가 조절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케어존(400)의 제1 영역에는 파쇄 강도가 작은 마이크로캡슐(430)이 도포되고, 제2 영역에는 파쇄 강도가 큰 마이크로캡슐(430)이 도포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 영역에서는 흡연자의 마찰 동작에 의해 다량의 기능성 물질이 배출됨으로써 고강도(또는 고자극)의 케어 기능이 제공될 수 있고, 제2 영역에서는 소량의 기능성 물질이 배출됨으로써 저강도(또는 저자극)의 케어 기능이 제공될 수 있다. 참고로, 본 예시에서, 제1 영역과 제2 영역에 다른 색상 또는 색농도의 잉크가 도포될 수도 있다. 이때, 잉크의 색상 또는 색농도는 케어 강도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마이크로캡슐(430)의 파쇄 강도를 통해 기능성 물질의 성능에 따른 배출량이 제어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고성능(또는 고자극)의 기능성 물질(e.g. 항균 성능이 높은 물질, 발향 강도가 강한 물질 등)은 파쇄 강도가 높은 마이크로캡슐(430)에 담겨 케어존(400)의 제1 영역에 도포되고, 저성능(또는 저자극)의 기능성 물질(e.g. 항균 성능이 낮은 물질, 발향 강도가 약한 물질 등)은 파쇄 강도가 작은 마이크로캡슐(430)에 담겨 제2 영역에 도포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흡연자의 마찰 동작에 의해 제1 영역에서는 고성능의 기능성 물질이 소량 배출되고 제2 영역에서는 저성능의 기능성 물질이 다량 배출되어, 케어존(400)의 각 영역이 균일한 케어 강도를 가질 수 있게 된다. 물론, 앞선 예시처럼, 케어존(400)의 각 영역에 차등적인 케어 강도를 부여하기 위해, 고성능의 기능성 물질이 파쇄 강도가 작은 마이크로캡슐(430)에 담겨 케어존(400)의 특정 영역에 도포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케어존(400)에 대한 흡연자의 마찰 행위(e.g. 마찰 강도, 마찰 방향, 마찰 동작 등), 케어존(400)의 특성(e.g. 케어 강도 등) 등을 고려하여 다양한 파쇄 강도를 갖는 마이크로캡슐(430)이 다양한 형태로 도포될 수 있다.
참고로, 마이크로캡슐(430)의 파쇄 강도는 마이크로캡슐(430)의 막재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막재는 예를 들어 생분해성 고분자 물질(e.g. 셀룰로오스계 물질), 멜라민계 물질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험 결과에 의하면, 셀룰로오스계 물질이 막재로 이용된 마이크로캡슐은 멜라민계 물질이 막재로 이용된 마이크로캡슐보다 낮은 파쇄 강도와 우수한 생분해성을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지금까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개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케어존(400)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케어존(400)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6 및 도 7은 본 개시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케어존(400)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어존(400) 내에 복수의 돌출 영역(e.g. 411, 412)이 서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케어존(400-1, 400-2)이 흡연 물품 케이스(100)의 외면보다 돌출된 상태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돌출 영역(e.g. 411, 412)은 흡연 물품 케이스(100)의 외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영역을 의미할 수 있는데, 돌출 영역(e.g. 411, 412)은 흡연자의 손 부위와의 마찰력을 증가시킴으로써 마찰 동작 시 미끄러짐을 방지하고 마이크로캡슐(430)이 잘 파쇄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케어존(400)의 핸드 케어 기능이 효과적으로 향상될 수 있다.
돌출 영역(e.g. 411, 412)을 형성하는 방식은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흡연 물품 케이스(100)의 특정 영역(e.g. 411, 412)이 물리적으로 돌출되도록 설계 및 제조함으로써 돌출 영역(e.g. 411, 412)이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흡연 물품 케이스(100)의 특정 영역(e.g. 411, 412)에 소정의 부재를 부착함으로써 돌출 영역(e.g. 411, 412)이 형성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서, 흡연 물품 케이스(100)의 특정 영역(e.g. 411, 412)에 두꺼운 캡슐층(420)을 배치함으로써 돌출 영역(e.g. 411, 412)이 형성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상술한 예시들의 조합에 기초하여 돌출 영역(e.g. 411, 412)이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돌출 영역(e.g. 411, 412)의 세부 양태(e.g. 색상, 높이, 모양, 이격 거리, 배치 형태 등)는 후술되는 바와 같이 다양하게 설계될 수 있다.
먼저, 돌출 영역(e.g. 411, 412)의 돌출 정도(즉, 높이)는 서로 동일할 수도 있고, 상이할 수 있다. 가령, 상기 높이는 점차 증가하는 형태, 점차 감소하는 형태, 증가 감소가 반복되는 형태 등과 같이 다양하게 설계될 수 있다. 몇몇 예에서, 돌출 영역(e.g. 411, 412)의 높이는 약 5㎛ 내지 5000㎛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약 10㎛ 내지 1000㎛ 또는 약 10㎛ 내지 500㎛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돌출 영역(e.g. 411, 412) 간의 이격 거리 또는 돌출 영역(e.g. 411, 412)의 크기도 동일할 수도 있고, 상이할 수도 있다. 가령, 상기 이격 거리(또는 상기 크기)는 점차 증가하는 형태, 점차 감소하는 형태, 증가 감소가 반복되는 형태 등과 같이 다양하게 설계될 수 있다.
또한, 돌출 영역(e.g. 411, 412)의 색상도 다른 영역과 동일할 수도 있고, 상이할 수도 있다. 가령, 돌출 영역(e.g. 411, 412)에만 잉크층(41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돌출 영역(e.g. 411, 412)의 색상 또는 색농도는 비돌출 영역과 상이할 수 있다.
또한, 돌출 영역(e.g. 411, 412)의 모양과 배치 형태도 다양할 수 있다. 가령,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 영역(e.g. 411, 412)은 직사각형의 모양을 갖고 세로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가로 방향으로의 마찰 동작 시(도 2 참조)에 마찰력 더욱 증가될 수 있다. 흡연자의 마찰 동작은 주로 가로 방향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이러한 배치는 효과적으로 핸드 케어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돌출 영역(e.g. 411, 412)은 그물 모양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마이크로캡슐(430)은 케어존(400)의 전체에 걸쳐 도포될 수도 있고, 일부에만 도포될 수도 있다. 가령, 마이크로캡슐(430)은 돌출 영역(e.g. 411, 412)에만 도포될 수도 있고, 돌출 영역(e.g. 411, 412)의 사이에만 도포될 수도 있다. 돌출 영역(e.g. 411, 412)의 사이에 마이크로캡슐(430)이 도포되는 경우, 흡연자가 흡연 물품 케이스(100)를 소지하는 동안 의도치 않은 마찰로 인해 마이크로캡슐(430)이 파쇄되는 문제가 경감될 수 있다.
지금까지,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케어존(400)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도 8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케어존(400)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8은 본 개시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케어존(400)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어존(400) 내에 돌기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앞선 제2 실시예와 유사하게, 돌기 패턴은 흡연자의 손 부위와의 마찰력을 증가시킴으로써 마찰 동작 시 미끄러짐을 방지하고 마이크로캡슐(430)이 잘 파쇄 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케어존(400)의 핸드 케어 기능이 효과적으로 향상될 수 있다.
돌출 패턴의 세부 양태(e.g. 색상, 높이, 모양, 밀집도 등)는 후술되는 바와 같이 다양하게 설계될 수 있다.
몇몇 예에서는, 케어존(400) 내에서 서로 다른 밀집도로 돌기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가령, 케어존(400)의 제1 돌기 영역에 상대적으로 낮은 밀집도의 돌기 패턴이 형성되고, 제2 돌기 영역에는 상대적으로 높은 밀집도의 돌기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돌기 패턴이 밀집된 영역에서 마이크로캡슐(430)이 더 많이 파쇄될 것인 바, 기능성 물질의 배출(발현) 정도가 영역 별로 조절될 수 있다. 이때, 제2 돌기 영역에 제1 돌기 영역보다 많은 양의 마이크로캡슐(430)이 도포되거나, 제2 돌기 영역의 크기가 제1 돌기 영역보다 클 수도 있다. 또는, 고성능의 기능성 물질을 함유한 마이크로캡슐(430)이 제2 돌기 영역에 도포될 수도 있고, 그 반대의 경우도 가능하다. 또는, 제2 돌기 영역에 상기 제1 돌기 영역보다 짙은 색상 또는 색농도의 잉크가 도포될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 돌기 영역(422)에 상대적으로 높은 밀집도로 돌기 패턴이 형성되고, 외곽 돌기 영역(421, 423)에는 상대적으로 낮은 밀집도로 돌기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앞서 언급한 바와 유사하게, 전체 영역(e.g. 421 내지 423)에 걸쳐 기능성 물질이 고르게 배출될 수 있어, 케어존(400)의 핸드 케어 기능이 향상될 수 있다. 참고로, 중심 돌기 영역(422)에는 외곽 돌기 영역(421, 423)보다 많은 양의 마이크로캡슐(430)이 도포될 수도 있는데, 이러한 경우 중심 돌기 영역(422)에서 마이크로캡슐(430)이 집중적으로 파쇄되어, 중심 돌기 영역(422)의 케어 강도(즉, 기능성 물질의 배출량)가 향상될 수 있다.
지금까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케어존(400)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도 9를 참조하여 본 개시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케어존(400)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9는 본 개시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케어존(400)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어존(400) 내에서 지정된 심볼(430)을 구성하도록 잉크가 도포될 수 있다. 또는, 잉크가 도포된 하나 이상의 케어존(400)이 지정된 심볼을 구성하도록 형성(배치)될 수도 있다(e.g. 심볼의 형태로 기능성 조성물이 인쇄됨). 여기서, 심볼은 예를 들어 문자, 숫자, 기호, 로고, 마크, 코드, 이미지, 이모티콘 등과 같이 표현 가능한 모든 것을 포함하 수 있다.
몇몇 예에서는, 지정된 심볼(430)에 케어존(400)에 관한 정보가 코드화되어 있을 수 있다. 예컨대, 바코드(도 9 참조), QR 코드와 같이, 소정의 규칙에 따라 케어존(400) 관련 정보가 심볼(430)의 형태로 코드화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심볼(430)을 통해 케어존(400)에 관한 정보가 흡연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가령, 흡연자는 스캔 장치(e.g. 심볼 인식 앱이 설치된 스마트폰 등)를 통해 흡연 물품 케이스(100) 상의 심볼(430)을 스캔(인식)함으로써 케어존(400)에 관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케어존(400)에 관한 정보는 예를 들어 기능성 물질의 종류, 핸드 케어 매뉴얼(e.g. 바람직한 마찰 동작, 마찰 횟수, 마찰 방향 등), 예시된 정보에 대한 링크(e.g. URL) 등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지금까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개시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케어존(400)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본 개시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케어존(441 내지 443)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0 내지 도 12는 본 개시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케어존(441 내지 443)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10 내지 도 12에서, 화살표는 예시적인 마찰 방향을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연 물품 케이스(100)의 외면에 서로 다른 케어 기능을 제공하는 복수의 케어존(441 내지 443)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서로 다른 기능성 물질을 함유한 마이크로캡슐(430)이 흡연 물품 케이스(100)의 서로 다른 위치에 도포됨에 따라 복수의 케어존(441 내지 443)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흡연자에게 다각적이고 종합적인 핸드 케어 기능(e.g. F1+F2+F3)이 제공될 수 있다.
각 케어존(441, 442, 443)의 세부 양태(e.g. 개수, 종류, 모양, 크기, 색상 등)는 후술되는 바와 같이 다양하게 설계될 수 있다.
몇몇 예에서, 각 케어존(441, 내지 443)에는 서로 다른 색상(또는 색농도)의 잉크가 도포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각 케어존(441 내지 443)이 시각적으로 구별될 수 있으며, 흡연자는 각 케어존(441 내지 443)을 선택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몇몇 예에서, 제1 케어존(441)은 항균 물질을 함유한 마이크로캡슐(430)을 도포함으로써 형성된 항균존이고, 제2 케어존(442)은 탈취 물질을 함유한 마이크로캡슐(430)을 도포함으로써 형성된 탈취존이고, 제3 케어존(443)은 방향 물질을 함유한 마이크로캡슐(430)을 도포함으로써 형성된 방향존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항균, 탈취 및 방향으로 이루어지는 종합적인 핸드 케어 기능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몇몇 예에서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케어존(441, 442)이 서로 번갈아 가며 형성될 수 있다. 또는, 특정 케어존(441 or 442)이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특정 케어 기능(e.g. 항균, 탈취, 방향)이 보다 강화되어 흡연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몇몇 예에서는, 케어존(e.g. 441, 442, 443)의 모양 또는 색상(또는 색농도)을 통해 바람직한 마찰 방향(또는 케어 순서)이 시각적으로 안내될 수 있다. 케어존(e.g. 441, 442, 443)의 모양 또는 색상은 잉크층(410)에 의해 결정될 수 있을 것이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인 예로서, 도 12에 예시된 바와 같이, 케어존(e.g. 441, 442, 443)의 전반적인 모양이 오른쪽 방향을 안내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흡연자에게 바람직한 마찰 방향이 오른쪽임을 시각적으로 안내할 수 있게 된다. 다른 예로써, 순차적으로 배치된 케어존(e.g. 441, 442, 443)의 색농도가 특정 방향으로 갈수록 증가 또는 감소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흡연자에게 바람직한 마찰 방향이 상기 특정 방향임을 간접적으로 안내할 수 있게 된다. 본 예시는 케어존(e.g. 441, 442, 443) 간에 바람직한 케어 순서가 존재하는 경우에 효과적일 수 있다. 가령, 제1 케어존(e.g. 441)이 탈취존이고 제2 케어존(e.g. 442)이 방향존인 경우, 제1 케어존(e.g. 441)의 케어 기능이 제2 케어존(e.g. 442)보다 먼저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본 예시가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지금까지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본 개시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케어존(441 내지 443)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본 개시의 제1 내지 제5 실시예를 구분하여 설명하였으나, 상술한 제1 내지 제5 실시예는 다양한 형태로 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케어존(400)의 특정 영역의 성능(즉, 기능성 물질의 배출량)을 극대화시키기 위해, 상기 특정 영역에 밀집도가 높은 돌기 패턴이 형성되고 파쇄 강도가 낮은 마이크로캡슐(430)이 도포될 수도 있다. 다른 예로서, 서로 다른 케어 기능을 갖는 복수의 케어존(e.g. 441 내지 443) 중에서 특정 케어존(e.g. 442)의 성능을 극대화시키기 위해, 특정 케어존(e.g. 442)에 밀집도가 높은 돌기 패턴이 형성되고 파쇄 강도가 낮은 마이크로캡슐(430)이 도포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실시예 및 실험예를 통하여 상술한 흡연 물품 케이스(100)의 구성 및 효과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본 개시의 범위가 아래의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험예 1: 항균 물질 선별
아래의 실시예들에 적용될 항균 물질을 선별하기 위해, 자몽추출물, 프로폴리스, 유칼립투스 오일, 솔잎 오일, 라임 오일, 유칼립톨 및 리모넨을 대상으로, 항균 성능을 측정하는 실험을 진행하였다. 구체적으로, 중층 배지를 이용하여 총 4종의 세균(대장균, 녹농균, 고초균 및 황색포도상구균)을 배양하고, 항균 물질 로딩 시 형성되는 균저지존(inhibition zone)의 크기(mm)를 측정하였다. 이때, 항균 물질의 로딩량(μl)은 10, 25, 50로 설정되었고, 실험 결과는 하기의 표 1 내지 표 3에 기재되어 있다. 표 1은 항균 물질의 로딩량(μl)이 10인 경우의 실험 결과를 나타내고, 표 2 및 표3은 각각 항균 물질의 로딩량(μl)이 25, 50인 경우의 실험 결과를 나타낸다.
구분 그람 음성 그람 양성
대장균 녹농균 고초균 황색포도상구균
자몽추출물 13 16 16 21
프로폴리스 - - 11 14
유칼립투스 오일 9 - 12 10
솔잎 오일 - 10 18 10
라임 오일 10 18 13 12
유칼립톨 9 10 10 9
리모넨 9 9 12 10
구분 그람 음성 그람 양성
대장균 녹농균 고초균 황색포도상구균
자몽추출물 15 19 20 23
프로폴리스 - 11 12 16
유칼립투스 오일 13 12 22 15
솔잎 오일 10 13 18 13
라임 오일 15 22 23 20
유칼립톨 12 12 14 11
리모넨 16 14 20 18
구분 그람 음성 그람 양성
대장균 녹농균 고초균 황색포도상구균
자몽추출물 20 22 32 24
프로폴리스 - 13 14 17
유칼립투스 오일 17 14 28 20
솔잎 오일 11 18 26 17
라임 오일 28 38 30 30
유칼립톨 16 16 24 13
리모넨 17 24 22 20
표 1 내지 표 3을 참조하면, 대부분의 항균 물질에 대해 농도 의존적인 항균 활성이 나타났고, 자몽추출물과 라임 오일의 항균 성능이 대체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유칼립투스 오일, 솔잎 오일, 유칼립톨, 리모넨 등도 일정 수준 이상의 항균 성능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리모넨은 라임 오일의 주요 성분임에도 불구하고 라임 오일보다 항균 성능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라임 오일에 존재하는 리모넨 외의 다른 성분들도 항균 활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실시예 1
자몽추출물을 항균 물질로 이용하여 마이크로캡슐을 제조하고, 마이크로캡슐과 잉크를 포함하는 기능성 조성물을 옵셋 인쇄 방식으로 커버의 상면에 도포하여 도 1 내지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은 흡연 물품 케이스를 제조하였다. 마이크로캡슐의 함량을 10중량%(잉크 90중량%), 15중량%(잉크 85중량%), 20중량%(잉크 80중량%)로 달리하며 3종의 기능성 조성물을 배합하였다.
실시예 2
유칼립투스 오일을 항균 물질로 이용한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흡연 물품 케이스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솔잎 오일을 항균 물질로 이용한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흡연 물품 케이스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
라임 오일을 항균 물질로 이용한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흡연 물품 케이스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2: 마찰 동작에 따른 항균 성능 측정
실시예 1 내지 4에 따른 흡연 물품 케이스에 대해, 마찰 동작에 따른 항균 성능을 측정하는 실험을 진행하였다. 구체적으로, 황색포도상구균으로 구성된 시료(초기균수: 약 1.7x103 CFU)를 상기 흡연 물품 케이스의 항균존에 마찰시킨 다음(마찰횟수: 5회, 10회), 시료에 남아있는 잔여균수(CFU)를 측정하였다. 잔여균수(CFU)는 총 5회의 측정 결과에 대한 평균값으로 산출되었으며, 실험 결과는 하기의 표 4 내지 표 6에 기재되어 있다. 표 4는 기능성 조성물의 마이크로캡슐 함량이 10중량%인 경우의 실험 결과를 나타내고, 표 5 및 표 6은 각각 기능성 조성물의 마이크로캡슐 함량이 15중량%, 20중량%인 경우의 실험 결과를 나타낸다.
구분 실시예 1
(자몽추출물)
실시예 2
(유칼립투스
오일)
실시예 3
(솔잎 오일)
실시예 4
(라임 오일)
5회 10회 5회 10회 5회 10회 5회 10회
잔여균수
(CFU)
4.8x102 4.4x102 5.2x102 5.0x102 6.3x102 6.2x102 4.3x102 4.4x102
균감소율
(%)
71.8 74.1 69.4 70.6 62.9 63.5 74.7 74.1
구분 실시예 1
(자몽추출물)
실시예 2
(유칼립투스
오일)
실시예 3
(솔잎 오일)
실시예 4
(라임 오일)
5회 10회 5회 10회 5회 10회 5회 10회
잔여균수
(CFU)
4.5x102 4.3x102 4.8x102 4.7x102 5.5x102 5.2x102 4.2x102 4.1x102
균감소율
(%)
73.5 74.7 71.8 72.4 67.6 69.4 75.3 75.9
구분 실시예 1
(자몽추출물)
실시예 2
(유칼립투스
오일)
실시예 3
(솔잎 오일)
실시예 4
(라임 오일)
5회 10회 5회 10회 5회 10회 5회 10회
잔여균수
(CFU)
4.1x102 3.7x102 4.2x102 3.9x102 5.3x102 5.0x102 4.1x102 3.9x102
균감소율
(%)
75.9 78.2 75.3 77.1 68.8 70.6 75.9 77.1
표 4 내지 표 6을 참조하면, 실시예들에 따른 흡연 물품 케이스(즉, 케어존)에 마찰 동작이 이루어질 때, 항균 효과가 충분하게 발휘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실시예들에 따른 흡연 물품 케이스가 핸드 케어 기능을 제공할 수 있음을 알 수 있고, 마이크로캡슐에 함유되는 기능성 물질 변경 시 다른 종류의 핸드 케어 기능도 충분히 제공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실시예들에 따른 흡연 물품 케이스(즉, 케어존)의 항균 성능은 대체로 마이크로캡슐의 함량에 의존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즉, 기능성 조성물의 마이크로캡슐 함량이 증가할수록 마찰 동작에 따른 균감소율도 대체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마찰 동작의 횟수에 따른 균감소율은 크게 차이가 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표 1 내지 표 3에 기재된 바와 유사하게, 자몽추출물과 라임 오일을 함유한 마이크로캡슐이 도포된 흡연 물품 케이스(실시예 1, 실시예 4)의 항균 성능이 대체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실시예 1 및 4에 따른 흡연 물품 케이스는 마이크로캡슐의 함량이 약 10중량% 정도라도, 약 70% 이상의 균감소율이 보장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반면, 솔잎 오일을 함유한 마이크로캡슐이 도포된 흡연 물품 케이스(실시예 3)가 약 70% 이상의 균감소율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마이크로캡슐의 함량이 약 20중량% 이상이 되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유칼립투스 오일을 함유한 마이크로캡슐이 도포된 흡연 물품 케이스(실시예 2)는 마이크로캡슐 함량이 약 15중량% 정도가 되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금까지, 실시예 및 실험예를 통하여 상술한 흡연 물품 케이스(100)의 구성 및 효과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본 개시가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도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개시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개시에 의해 정의되는 기술적 사상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흡연 물품 케이스
200: 몸체부
300: 커버
400, 400-1, 400-2, 441, 442, 443: 기능성 케어존
410: 잉크층
420: 캡슐층
430: 마이크로캡슐

Claims (13)

  1. 흡연 물품을 보관하기 위한 내부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와 연결되어 있는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 및 상기 커버의 외면 중 적어도 일부에는 기능성 케어존(care zone)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기능성 케어존의 적어도 일부에는 기능성 물질을 함유한 마이크로캡슐 및 잉크를 포함하는 기능성 조성물이 옵셋 인쇄 방식으로 도포되어 있고,
    상기 기능성 물질은 항균 물질을 포함하되,
    상기 기능성 케어존에 도포된 상기 마이크로캡슐은 상기 잉크의 색상 또는 색농도를 변화시키는 물질을 더 함유하고,
    상기 마이크로캡슐이 파쇄됨에 따라 상기 잉크의 색상 또는 색농도를 변화시키는 물질이 배출되어, 상기 기능성 케어존에 도포된 상기 잉크의 색상 또는 색농도가 변화되고,
    상기 항균 물질은 자몽추출물 및 라임 오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일종 이상의 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기능성 조성물은 상기 마이크로 캡슐 10중량% 내지 25중량%, 및 상기 잉크 75중량% 내지 90중량%을 포함하는,
    흡연 물품 케이스.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항균 물질은 유칼립투스 오일, 솔잎 오일, 유칼립톨, 리모넨 및 프로폴리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일종 이상의 물질을 더 포함하는,
    흡연 물품 케이스.
  3. 삭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케어존의 제1 영역에는 제1 파쇄 강도를 갖는 제1 마이크로캡슐이 도포되어 있고,
    상기 기능성 케어존의 제2 영역에는 제2 파쇄 강도를 갖는 제2 마이크로캡슐이 도포되어 있으며,
    상기 제1 파쇄 강도는 상기 제2 파쇄 강도보다 작은,
    흡연 물품 케이스.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은 중심 영역이고,
    상기 제2 영역은 외곽 영역인,
    흡연 물품 케이스.
  6.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마이크로캡슐의 막재는 셀룰로오스계 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마이크로캡슐의 막재는 멜라민계 물질을 포함하는,
    흡연 물품 케이스.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케어존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복수의 돌출 영역을 포함하는,
    흡연 물품 케이스.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돌출 영역 중 적어도 일부는 돌출 정도 또는 이격 거리가 다른 돌출 영역과 상이한,
    흡연 물품 케이스.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케어존에 도포된 상기 잉크는 지정된 심볼을 구성하도록 도포되고,
    상기 지정된 심볼에는 상기 기능성 케어존에 관한 정보가 코드화되어 있는,
    흡연 물품 케이스.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케어존은 돌기 패턴이 형성된 돌기 영역을 포함하는,
    흡연 물품 케이스.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 영역은 제1 돌기 영역 및 제2 돌기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돌기 영역에는 제1 밀집도의 돌기 패턴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 돌기 영역에는 상기 제1 밀집도보다 높은 제2 밀집도의 돌기 패턴이 형성되어 있되,
    상기 제2 돌기 영역에는 상기 제1 돌기 영역보다 짙은 색농도의 잉크가 도포되어 있는,
    흡연 물품 케이스.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케어존은 제1 기능성 물질을 함유한 마이크로캡슐이 도포되어 있는 제1 기능성 케어존과 상기 제1 기능성 물질과 상이한 제2 기능성 물질을 함유한 마이크로캡슐이 도포되어 있는 제2 기능성 케어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기능성 케어존과 상기 제2 기능성 케어존에는 서로 다른 색상의 잉크가 도포되어 있는,
    흡연 물품 케이스.
  1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케어존은 상기 항균 물질을 함유한 마이크로캡슐이 도포되어 있는 항균존 외에 탈취존 및 방향존을 더 포함하는,
    흡연 물품 케이스.
KR1020210003797A 2021-01-12 2021-01-12 핸드 케어 기능을 구비한 흡연 물품 케이스 KR1026518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3797A KR102651848B1 (ko) 2021-01-12 2021-01-12 핸드 케어 기능을 구비한 흡연 물품 케이스
EP21919855.3A EP4118982A4 (en) 2021-01-12 2021-11-12 SMOKING ARTICLE HOUSING WITH HAND CARE FUNCTION
PCT/KR2021/016501 WO2022154231A1 (ko) 2021-01-12 2021-11-12 핸드 케어 기능을 구비한 흡연 물품 케이스
JP2022548466A JP7468965B2 (ja) 2021-01-12 2021-11-12 ハンドケア機能を具備する喫煙物品ケース
CN202180018765.6A CN115209750A (zh) 2021-01-12 2021-11-12 具有手部护理功能的吸烟制品盒
US17/917,196 US20230157354A1 (en) 2021-01-12 2021-11-12 Smoking article case with hand care fun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3797A KR102651848B1 (ko) 2021-01-12 2021-01-12 핸드 케어 기능을 구비한 흡연 물품 케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2195A KR20220102195A (ko) 2022-07-20
KR102651848B1 true KR102651848B1 (ko) 2024-03-27

Family

ID=824474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3797A KR102651848B1 (ko) 2021-01-12 2021-01-12 핸드 케어 기능을 구비한 흡연 물품 케이스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30157354A1 (ko)
EP (1) EP4118982A4 (ko)
JP (1) JP7468965B2 (ko)
KR (1) KR102651848B1 (ko)
CN (1) CN115209750A (ko)
WO (1) WO2022154231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3078Y1 (ko) * 2001-10-25 2002-02-01 주식회사 대성마트라 방향제가 첨가된 담배케이스
KR101284250B1 (ko) * 2011-08-30 2013-07-09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슬라이드형 담뱃갑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196160T5 (es) * 1996-07-16 2011-06-0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Uso de una combinación de tensioactivos, agentes quelantes y aceites esenciales para desinfección efectiva.
KR200341064Y1 (ko) * 2003-09-04 2004-02-11 배효남 흡연 유해성 경고문구가 점자로 표기된 담뱃갑
KR20060056473A (ko) * 2004-11-20 2006-05-25 양원동 나노 실버와 향이 함유된 담배와 담뱃갑
US20070148293A1 (en) * 2005-12-27 2007-06-28 Kimberly-Clark Worldwide, Inc. Packaged consumable products with user-selectable aromas
KR101274193B1 (ko) * 2011-05-25 2013-06-17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담뱃갑 및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3078Y1 (ko) * 2001-10-25 2002-02-01 주식회사 대성마트라 방향제가 첨가된 담배케이스
KR101284250B1 (ko) * 2011-08-30 2013-07-09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슬라이드형 담뱃갑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468965B2 (ja) 2024-04-16
CN115209750A (zh) 2022-10-18
EP4118982A1 (en) 2023-01-18
US20230157354A1 (en) 2023-05-25
KR20220102195A (ko) 2022-07-20
EP4118982A4 (en) 2023-10-25
JP2023514176A (ja) 2023-04-05
WO2022154231A1 (ko) 2022-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125111A1 (en) Bottle for packaging liquid that is to be dispensed drop by drop, with antibacterial protection
KR102651848B1 (ko) 핸드 케어 기능을 구비한 흡연 물품 케이스
EP2532255B1 (en) Oral tobacco product
AR018710A1 (es) Articulo absorbente
WO2009010176A2 (de) Tabakersatzstoff und tabakersatzstofff-formkörper
KR101274193B1 (ko) 담뱃갑 및 그 제조 방법
RU2797577C1 (ru) Портсигар для курительного изделия с функцией гигиены рук
JP5297702B2 (ja) 紙粉末含有箸
KR200185420Y1 (ko) 전자제품 케이스
KR200366379Y1 (ko) 용기 바닥부에 돌출부를 갖는 생분해성 전분 용기
KR102216035B1 (ko) 추모를 위한 형상 제조용 골분이 함유된 3d 프린터용 필라멘트 조성물, 이를 이용한 3d 프린터용 필라멘트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3d 프린터용 필라멘트
KR101284251B1 (ko) 담뱃갑
CN112515242A (zh) 烟弹壳体及其制备方法、烟弹和电子烟
KR200189758Y1 (ko) 일회용 위생봉지
KR101284250B1 (ko) 슬라이드형 담뱃갑
CN104490109A (zh) 中药衣柜底垫
KR20060094118A (ko) 황토 쌀 항아리 및 그 제조방법
CN208242827U (zh) 一种香烟过滤嘴用降焦水松纸盖
EP4064905B1 (en) Method of producing a biodegradable cartridge for tobacco vapour system
KR101508926B1 (ko) 제습 기능을 갖는 포장재
KR101334305B1 (ko) 향 발현 담배 포장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JP5297703B2 (ja) 紙成分含有箸製造方法
KR20060056473A (ko) 나노 실버와 향이 함유된 담배와 담뱃갑
KR20070116358A (ko) 항균 및 살균과 탈취 기능을 갖는 계란 받침대의 제조방법
KR200193752Y1 (ko) 일회용 비닐장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