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1585B1 - 서비스 이용시간을 이용한 보상시스템 - Google Patents

서비스 이용시간을 이용한 보상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1585B1
KR102651585B1 KR1020230040412A KR20230040412A KR102651585B1 KR 102651585 B1 KR102651585 B1 KR 102651585B1 KR 1020230040412 A KR1020230040412 A KR 1020230040412A KR 20230040412 A KR20230040412 A KR 20230040412A KR 102651585 B1 KR102651585 B1 KR 1026515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de
usage time
compensation
unit
lo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404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호
김봉선
Original Assignee
이종호
김봉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호, 김봉선 filed Critical 이종호
Priority to KR10202300404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15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15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158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30/0209Incentive being awarded or redeemed in connection with the playing of a video gam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30/0211Determining the effectiveness of discounts or incentiv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30/0212Chance discounts or incentiv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서비스 이용시간을 이용한 보상시스템에 따르면, 특정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상기 서버에 접속하는 사용자계정을 확인하는 계정확인부; 상기 사용자계정이 확인된 후, 상기 특정 서비스를 이용하는 이용시간을 사용자계정 별로 측정하는 시간측정부; 상기 이용시간에 따라 상기 사용자계정에게 보상서비스를 제공하는 보상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서비스 이용시간을 이용한 보상시스템{Compensation system using service usage time}
본 발명은 서비스 이용시간을 이용한 보상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ICT 기술 발달에 따라 인터넷 공간 상에는 다양한 콘텐츠들이 범람하고 있다. 이러한 다양한 콘텐츠는 스마트폰과 같은 스마트기기를 통해서 장소를 불문하고 이용할 수 있다.
특히, 콘텐츠는 스트리밍으로 제공됨에 따라, 시간과 장소의 구애없이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콘텐츠를 제공하는 기업들은 치열한 경쟁을 통해서 사용자의 확보에 노력하고 있으며, 사용자가 콘텐츠를 이용하는 시간을 증가시키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다.
예를 들어, 콘텐츠의 이용에 따른 만족감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콘텐츠의 이용에 사용 가능한 온라인 캐쉬, 아이템 등을 보상으로 제공하기도 한다.
그리고, 만족감이 하락함에 따라 사용자의 이탈 현상이 발생하고, 이 현상은 기업의 매출과 직결되어 기업 운영에 영향을 끼치게 된다.
보상하는 방법으로는, 광고 시청, 특정 미션을 성공할 경우 등이 있다. 그러한, 이러한 방법은 사용자의 콘텐츠 이용시간을 증가시키는데에 큰 효과가 없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20-0140496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특정 서비스를 실제 이용한 이용시간만을 이용하여 등급을 설정하고, 해당하는 등급에서 추첨되는 추첨요소와 사용자가 선택한 등급에서 선택한 선택요소의 일치여부를 통해서 보상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이용시간을 증대시킬 수 있어 고객 이탈을 방지하고, 고객을 추가 확보할 수 있는 서비스 이용시간을 이용한 보상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서비스 이용시간을 이용한 보상시스템에 따르면,특정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상기 서버에 접속하는 사용자계정을 확인하는 계정확인부;상기 사용자계정이 확인된 후, 상기 특정 서비스를 이용하는 이용시간을 사용자계정 별로 측정하는 시간측정부;상기 이용시간에 따라 상기 사용자계정에게 보상서비스를 제공하는 보상부;를 포함하고, 상기 특정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은, 특정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에 따라 발생하는 영업이익이, 기 설정된 목표값보다 이상인 경우, 영업이익과 목표값의 차액을 보상서비스로 제공하되, 현금으로 제공하고, 상기 보상부는, n개의 제공요소를 제공하는 요소 제공부;상기 n개의 제공요소 중 선택할 수 있는 선택요소의 선택개수가 설정되고, 설정된 선택개수만큼 상기 사용자계정으로 선택요소를 요청하는 선택요청부;기 설정된 추첨시간에 상기 제공요소 중 선택개수만큼 추첨요소를 추출하는 요소추첨부;상기 사용자계정으로부터 선택된 선택요소와, 상기 요소추첨부로부터 추출된 추첨요소의 일치여부를 판단하는 일치판단부;상기 일치판단부에서 판단하는 일치여부에 따라, 상기 사용자계정으로 보상을 결정하는 보상결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시간측정부는, 측정하는 이용시간에 따라 사용자계정을 기 설정된 등급으로 구분하고, 상기 선택요청부는, 상기 선택요소의 선택개수가 상기 등급에 따라 다르게 설정되고, 상기 요소추첨부는, 상기 등급 별 설정된 선택개수에 대응되게 추첨요소를 추출하고, 상기 추첨요소는, 상기 등급 별 다르게 추출되고, 상기 기 설정된 등급은, 다수개의 등급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선택개수는, 어느 하나의 등급보다 상기 이용시간이 더 많은 등급일수록, 더 많은 개수로 설정되고,n번째 등급은, n+1번째 등급보다 이용시간이 더 적은 등급이며, 선택개수는 더 많은 등급이며, 상기 보상결정부는, 상기 등급 별로, 최대보상과 최소보상이 설정되고, 상기 선택요소와 추첨요소가 모두 일치하면 최대보상을 결정하고, 일부만 일치하면 최소보상을 결정하며, 상기 일치판단부는, 상기 선택요소와 추첨요소가 기 설정된 일치개수 이상 일치하면 당첨으로 판단, 기 설정된 일치개수 미만 일치하면 낙첨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상기 선택요청부는, 상기 사용자계정의 전체 이용시간에 따라, 등급 선택을 요청한 후, 요청에 의해 선택된 등급에 따른 선택개수만큼 선택요소의 선택을 요청하고, 상기 보상결정부는, 상기 요소추첨부에서 추출한 n+1번째 등급의 추첨요소가 n번째 등급의 추첨요소에 포함되는 경우, n+1번째 등급의 추첨요소와 선택요소가 전부 일치하는 사용자계정에게 n+1번째 등급의 최대보상과, 상기 사용자계정에서 선택하지 않은 n번째 등급의 최소보상을 동시에 보상하고, n번째 등급은, 추첨요소와 모두 일치하는 선택개수는 m개이고, 일부만 일치하는 선택개수는 m-1개이며, n+1번째 등급은, 추첨요소와 모두 일치하는 선택개수는 m-1개이고, 일부만 일치하는 선택개수는 m-2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또한, 상기 보상결정부는, 어느 하나의 등급보다 상기 이용시간이 더 많은 등급일수록, 더 많은 보상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n번째 등급의 최소보상은, n+1번째 등급의 최대보상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일치개수는, 상기 등급 별로 다르게 설정되고, 상기 시간측정부는, 상기 일치판단부가 당첨으로 판단한 사용자계정의 이용시간을 초기화시키고, 초기화된 이후부터 이용시간을 측정하고, 상기 시간측정부는, 상기 일치판단부가 당첨으로 판단한 사용자계정의 전체 이용시간 중 당첨된 등급의 최소 이용시간을 차감하고 차감 후부터의 이용시간을 추가로 적립하여 측정하며, 상기 일치판단부가 낙첨으로 판단한 사용자계정의 전체 이용시간 중 낙첨된 등급의 최소 이용시간 차감없이 낙첨된 이후부터의 이용시간을 추가로 적립하여 측정하고, 상기 일치판단부가 동일한 등급에서 연속 낙첨으로 판단한 사용자계정의 전체 이용시간 중 연속 낙첨된 등급의 최소 이용시간을 차감하고 차감 후부터의 이용시간을 추가로 적립하여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효과는, 사용자가 특정 서비스를 실제 이용한 이용시간만을 이용하여 등급을 설정하고, 해당하는 등급에서 추첨되는 추첨요소와 사용자가 선택한 등급에서 선택한 선택요소의 일치여부를 통해서 보상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이용시간을 증대시킬 수 있어 고객 이탈을 방지하고, 고객을 추가 확보할 수 있는 서비스 이용시간을 이용한 보상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는, 사용자의 이용시간이 증가할수록 더 많은 보상이 제공될 수 있는 기회를 얻게 됨으로써, 꾸준한 특정 서비스의 이용이 이어질 수 있는 서비스 이용시간을 이용한 보상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이용시간을 이용한 보상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이용시간을 이용한 보상시스템의 보상부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서비스 이용시간을 이용한 보상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이용시간을 이용한 보상시스템은, 서버(10), 계정확인부(20), 시간측정부(30) 및 보상부(40)를 포함한다.
먼저, 서버(10)는, 특정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서비스는 게임, 음악이나 영상을 제공하는 스트리밍 서비스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게임은 온라인 게임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서버(10)의 특정 서비스를 사용자가 이용하기 위해서는, 가입절차가 이루어질 수 있다.
가입절차는,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통한 인증, ID, PW 등의 설정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계정확인부(20)는, 서버(10)에 접속하는 사용자계정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ID 및 PW의 입력을 통해 서버(10)에 접속, 로그인하면, 입력된 ID를 통해서 사용자계정을 확인할 수 있다.
시간측정부(30)는, 사용자계정이 확인된 후, 특정 서비스를 이용하는 이용시간을 사용자계정 별로 측정할 수 있다.
이때, 시간측정부(30)는 특정 서비스를 이용하는 실제 시간을 이용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서비스가 게임 스트리밍인 경우, 게임을 진행하기 위해 아이템 구입, 아이템 장착, 캐릭터 설정 등의 준비시간을 제외한, 실질적으로 게임을 진행한 시간을 의미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특정 서비스가 음악 스트리밍인 경우, 음악을 선택하거나, 사용자 설정 등의 을 진행한 준비시간을 제외한, 실질적으로 음악이 재생된 시간을 의미할 수 있다.
이용시간은 특정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의 설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상술한 예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시간측정부(30)는, 측정하는 이용시간에 따라 사용자계정을 기 설정된 등급으로 구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용시간이 100시간 이상이면 1등급, 70시간 이상 ~ 100시간 미만이면 2등급, 50시간 이상 ~ 70시간 미만이면 3등급으로 구분할 수 있다. 여기서, 각 등급의 최소 이용시간은 100시간, 70시간, 50시간일 수 있다.
이와 같이, 기 설정된 등급은, 다수개의 등급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보상부(40)는, 이용시간에 따라 사용자계정에게 보상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보상서비스는, 무료 이용권, 현금, 특정 서비스에서 사용가능한 캐쉬, 코인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특히, 현금으로 보상서비스가 이루어지는 경우, 특정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의 영업이익 중 일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에 따라 발생하는 영업이익이, 기 설정된 목표값보다 이상인 경우, 영업이익과 목표값의 차액을 보상서비스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보상서비스는, 사용자가 특정 서비스를 이용하면서 결제한 금액에 따라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순수히 특정 서비스의 실제 이용시간에 의해서 결정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특정 서비스의 장기 고객에게 보상서비스가 더 많이 제공될 수 있으며, 고객 이탈을 방지하고, 장기 고객을 형성시킬 수 있다.
상술한 보상부(40)에 대해 도 2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보상부(40)는, 요소제공부(41), 선택요청부(42), 요소추첨부(43), 일치판단부(44) 및 보상결정부(45)를 포함할 수 있다.
요소제공부(41)는, n개의 제공요소를 제공할 수 있다.
제공요소는, 숫자, 문자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공요소는 숫자이고, 1 ~ 20 으로 제공될 수 있다.
선택요청부(42)는, n개의 제공요소 중 선택할 수 있는 선택요소의 선택개수가 설정되고, 설정된 선택개수만큼 사용자계정으로 선택요소를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 ~ 20의 숫자 중에 5개를 선택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즉, 선택개수는 5개로, 요청에 따라 사용자계정이 선택한 선택요소는 '2, 3, 10, 11, 20'일 수 있다.
이때, 선택요청부(42)는, 선택요소의 선택개수가 등급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선택요청부(42)는, 사용자계정의 전체 이용시간에 따라, 등급 선택을 요청하고, 선택된 등급에 따른 선택개수만큼 선택요소의 선택을 요청할 수 있다.
한편, 선택요청부(42)의 요청이 있음에도, 사용자계정에서 선택요소가 선택되지 않을 경우가 있다.
특히, 선택개수는, 어느 하나의 등급보다 이용시간이 더 많은 등급일수록, 더 많은 개수로 설정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1등급의 선택개수는 6개, 2등급의 선택개수는 5개, 3등급의 선택개수는 4개로 설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1등급이 2등급보다 보상서비스가 제공될 확률이 더 적다. 즉, 이용시간이 더 많은 등급일수록 보상서비스 제공 확률을 더 낮게 하고, 더 큰 보상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요소추첨부(43)는, 기 설정된 추첨시간에 제공요소 중 선택개수만큼 추첨요소를 추출할 수 있다. 이때, 요소추첨부(43)는, 랜덤으로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요소추첨부(43)는 생중계로 진행되어 사용자가 실시간 시청을 할 수 있다.
또한, 요소추첨부(43)는, 등급 별 설정된 선택개수에 대응되게 추첨요소를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등급의 추첨요소는 6개, 2등급의 추첨요소는 5개, 3등급의 추첨요소는 4개를 추출할 수 있다.
일치판단부(44)는 사용자계정으로부터 선택된 선택요소와, 요소추첨부(43)로부터 추출된 추첨요소의 일치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일치판단부(44)는, 선택요소와 추첨요소가 기 설정된 일치개수 이상 일치하면 당첨으로 판단, 기 설정된 일치개수 미만 일치하면 낙첨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일치개수는 등급 별로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시간측정부(30)는, 일치판단부(44)가 당첨으로 판단한 사용자계정의 이용시간을 초기화시키고, 초기화된 이후부터 이용시간을 측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시간측정부(30)는, 일치판단부(44)가 당첨으로 판단한 사용자계정의 전체 이용시간 중 당첨된 등급의 최소 이용시간을 차감하고, 차감 후부터의 이용시간을 추가로 적립하여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계정의 전체 이용시간이 250시간인 경우, 사용자는 1등급을 선택하고, 선택요소 6개를 선택할 수 있다. 이때, 시간측정부(30)는 1등급의 추첨요소 6개 또는 5개 일치하면 1등급의 최소 이용시간 100시간을 차감하여 사용자계정의 남은 이용시간을 150시간으로 측정하고, 차감 후부터의 이용시간을 150시간에 추가로 적립하여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시간측정부(30)는, 일치판단부(44)가 낙첨으로 판단한 사용자계정의 전체 이용시간 중 낙첨된 등급의 최소 이용시간 차감없이, 낙첨된 이후부터의 이용시간을 추가로 적립하여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계정의 전체 이용시간 150시간인 경우, 사용자는 2등급을 선택하고, 선택요소 5개를 선택할 수 있다. 이때, 시간측정부(30)는 선택요소와 추첨요소가 3개만 일치하여 낙첨되면, 2등급의 최소 이용시간 70시간을 차감하지 않고, 150시간에 추가로 적립하여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시간측정부(30)는, 일치판단부(44)가 동일한 등급에서 연속 낙첨으로 판단한 사용자계정의 전체이용시간 중 연속 낙첨된 등급의 최소 이용시간을 차감하고 차감 후부터의 이용시간을 추가로 적립하여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2등급에서 낙첨하고, 2등급을 재 선택하여 선택요소 5개를 선택할 수 있다. 이때, 시간측정부(30)는 연속 낙첨된 경우, 2등급의 최소 이용시간 70시간을 차감하고, 차감 후부터의 이용시간을 추가로 적립하여 측정할 수 있다.
보상결정부(45)는, 일치판단부(44)에서 판단하는 일치여부에 따라, 사용자계정으로 보상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보상결정부(45)는, 어느 하나의 등급보다 이용시간이 더 많은 등급일수록, 더 많은 보상을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보상결정부(45)는, 등급 별로, 최대보상과 최소보상이 설정되고, 선택요소와 추첨요소가 모두 일치하면 최대보상을 결정하고, 일부만 일치하면 최소보상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만 일치하는 경우는, 일치개수가 1등급은 5개, 2등급은 4개, 3등급은 3개일 수 있다.
이때, n번째 등급은, n+1번째 등급보다 이용시간이 더 적은 등급이다.
그리고, n번째 등급의 최소보상은, n+1번째 등급의 최대보상보다 더 클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상서비스가 특정 서비스 내에서 사용가능한 캐쉬로 보상되는 경우, 1등급의 최대보상과 최소보상은 1000캐쉬와 700캐쉬일 수 있다. 그리고, 2등급의 최대보상과 최소보상은, 600캐쉬와 400캐쉬일 수 있다. 또한, 3등급의 최대보상과 최소보상은, 300캐쉬와 100캐위일 수 있다.
이에 따라, 1등급을 선택한 사용자계정에서 선택된 선택요소와 추첨요소가 모두 일치하면 1000캐쉬를 사용자계정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1등급을 선택한 사용자계정에서 선택요소와 추첨요소가 5개 일치하면 700캐쉬를 사용자계정에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보상결정부(45)는, 요소추첨부(43)에서 추출한 n+1번째 등급의 추첨요소가 n번째 등급의 추첨요소에 포함되는 경우, n+1번째 등급의 추첨요소와 선택요소가 전부 일치하는 사용자계정에게 n+1번째 등급의 최대보상과, 사용자계정에서 선택하지 않은 n번째 등급의 최소보상을 동시에 보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요소추첨부(43)가 추출한 2등급의 추첨요소가 1등급의 추첨요소에 포함되는 경우, 2등급을 선택한 사용자계정에서 선택된 선택요소와 2등급의 추첨요소 5개가 전부 일치하면, 보상결정부(45)는 2등급의 최대보상 600캐쉬를 보상할 수 있다. 동시에 2등급을 선택한 사용자계정에서 선택된 선택요소와 1등급의 추첨요소와도 5개가 일치하므로, 1등급을 선택하지 않았음에도 보상결정부(45)는, 1등급의 최소보상 700캐쉬를 추가로 보상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더불어, 상술하는 과정에서 기술된 구성의 작동순서는 반드시 시계열적인 순서대로 수행될 필요는 없으며, 각 구성 및 단계의 수행 순서가 바뀌어도 본 발명의 요지를 충족한다면 이러한 과정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 : 서버 20 : 계정확인부
30 : 시간측정부 40 : 보상부
41 : 요소제공부 42 : 선택요청부
43 : 요소추첨부 44 : 일치판단부
45 : 보상결정부

Claims (6)

  1. 특정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상기 서버에 접속하는 사용자계정을 확인하는 계정확인부;
    상기 사용자계정이 확인된 후, 상기 특정 서비스를 이용하는 이용시간을 사용자계정 별로 측정하는 시간측정부;
    상기 이용시간에 따라 상기 사용자계정에게 보상서비스를 제공하는 보상부;를 포함하고,
    상기 특정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은, 특정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에 따라 발생하는 영업이익이, 기 설정된 목표값보다 이상인 경우, 영업이익과 목표값의 차액을 보상서비스로 제공하되, 현금으로 제공하고,
    상기 보상부는,
    n개의 제공요소를 제공하는 요소제공부;
    상기 n개의 제공요소 중 선택할 수 있는 선택요소의 선택개수가 설정되고, 설정된 선택개수만큼 상기 사용자계정으로 선택요소를 요청하는 선택요청부;
    기 설정된 추첨시간에 상기 제공요소 중 선택개수만큼 추첨요소를 추출하는 요소추첨부;
    상기 사용자계정으로부터 선택된 선택요소와, 상기 요소추첨부로부터 추출된 추첨요소의 일치여부를 판단하는 일치판단부;
    상기 일치판단부에서 판단하는 일치여부에 따라, 상기 사용자계정으로 보상을 결정하는 보상결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시간측정부는, 측정하는 이용시간에 따라 사용자계정을 기 설정된 등급으로 구분하고,
    상기 선택요청부는, 상기 선택요소의 선택개수가 상기 등급에 따라 다르게 설정되고,
    상기 요소추첨부는, 상기 등급 별 추첨요소를 추출하고,
    상기 추첨요소는, 상기 등급 별 설정된 선택개수에 대응되게 추출되고,
    상기 기 설정된 등급은, 다수개의 등급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선택개수는, 어느 하나의 등급보다 상기 이용시간이 더 많은 등급일수록, 더 많은 개수로 설정되고,
    n번째 등급은, n+1번째 등급보다 이용시간이 더 적은 등급이며, 선택개수는 더 많은 등급이며,
    상기 보상결정부는, 상기 등급 별로, 최대보상과 최소보상이 설정되고, 상기 선택요소와 추첨요소가 모두 일치하면 최대보상을 결정하고, 일부만 일치하면 최소보상을 결정하며,
    상기 일치판단부는, 상기 선택요소와 추첨요소가 기 설정된 일치개수 이상 일치하면 당첨으로 판단, 기 설정된 일치개수 미만 일치하면 낙첨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상기 선택요청부는, 상기 사용자계정의 전체 이용시간에 따라, 등급 선택을 요청한 후, 요청에 의해 선택된 등급에 따른 선택개수만큼 선택요소의 선택을 요청하고,
    상기 보상결정부는, 상기 요소추첨부에서 추출한 n+1번째 등급의 추첨요소가 n번째 등급의 추첨요소에 포함되는 경우, n+1번째 등급의 추첨요소와 선택요소가 전부 일치하는 사용자계정에게 n+1번째 등급의 최대보상과, 상기 사용자계정에서 선택하지 않은 n번째 등급의 최소보상을 동시에 보상하고,
    n번째 등급은, 추첨요소와 모두 일치하는 선택개수는 m개이고, 일부만 일치하는 선택개수는 m-1개이며,
    n+1번째 등급은, 추첨요소와 모두 일치하는 선택개수는 m-1개이고, 일부만 일치하는 선택개수는 m-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이용시간을 이용한 보상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결정부는, 어느 하나의 등급보다 상기 이용시간이 더 많은 등급일수록, 더 많은 보상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이용시간을 이용한 보상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n번째 등급의 최소보상은, n+1번째 등급의 최대보상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이용시간을 이용한 보상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일치개수는, 상기 등급 별로 다르게 설정되고,
    상기 시간측정부는, 상기 일치판단부가 당첨으로 판단한 사용자계정의 이용시간을 초기화시키고, 초기화된 이후부터 이용시간을 측정하고,
    상기 시간측정부는, 상기 일치판단부가 당첨으로 판단한 사용자계정의 전체 이용시간 중 당첨된 등급의 최소 이용시간을 차감하고 차감 후부터의 이용시간을 추가로 적립하여 측정하며, 상기 일치판단부가 낙첨으로 판단한 사용자계정의 전체 이용시간 중 낙첨된 등급의 최소 이용시간 차감없이 낙첨된 이후부터의 이용시간을 추가로 적립하여 측정하고, 상기 일치판단부가 동일한 등급에서 연속 낙첨으로 판단한 사용자계정의 전체 이용시간 중 연속 낙첨된 등급의 최소 이용시간을 차감하고 차감 후부터의 이용시간을 추가로 적립하여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이용시간을 이용한 보상시스템.
KR1020230040412A 2023-03-27 2023-03-27 서비스 이용시간을 이용한 보상시스템 KR1026515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0412A KR102651585B1 (ko) 2023-03-27 2023-03-27 서비스 이용시간을 이용한 보상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0412A KR102651585B1 (ko) 2023-03-27 2023-03-27 서비스 이용시간을 이용한 보상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1585B1 true KR102651585B1 (ko) 2024-03-25

Family

ID=904735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40412A KR102651585B1 (ko) 2023-03-27 2023-03-27 서비스 이용시간을 이용한 보상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158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5366A (ko) * 2005-04-04 2006-10-11 엔에이치엔(주) 게임 서비스에서의 보너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WO2013085092A1 (ko) * 2011-12-08 2013-06-13 (주)네오위즈게임즈 온라인 게임의 접속 시간에 따른 보상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서버
KR20170029988A (ko) * 2015-09-08 2017-03-16 이철성 다단계 잭팟 광고 보상 서비스 제공 방법
KR20200140496A (ko) 2019-06-07 2020-12-16 김동환 광고 보상 게임 운영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5366A (ko) * 2005-04-04 2006-10-11 엔에이치엔(주) 게임 서비스에서의 보너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WO2013085092A1 (ko) * 2011-12-08 2013-06-13 (주)네오위즈게임즈 온라인 게임의 접속 시간에 따른 보상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서버
KR20170029988A (ko) * 2015-09-08 2017-03-16 이철성 다단계 잭팟 광고 보상 서비스 제공 방법
KR20200140496A (ko) 2019-06-07 2020-12-16 김동환 광고 보상 게임 운영 방법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85041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ducting on-line tournament contest
US7438642B2 (en) System and method for facilitating play of a video game via a web site
US8529331B2 (en) Online capsule lottery system and method for same
US7867082B2 (en) Game and prizing method
US20110294561A1 (en) Systems, methods,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mediums for on-line gaming
US7997969B1 (en) System and method for implementing a game for financial data extraction
US11538311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interactive gaming
US11080966B2 (en) Dual-meter hybrid gaming apparatus, system and method
WO2006078093A1 (en) System for providing go-stop game service via on-line and method therefor
US10092825B2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a game of skill
US2012007124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aming Reward Platforms
KR102651585B1 (ko) 서비스 이용시간을 이용한 보상시스템
WO2005086055A1 (en) Result expectation game service method utilizing communication netwowrk
CN113132810B (zh) 直播比赛的处理方法、装置、计算机可读介质及电子设备
US20110105212A1 (en) Interactive Online Lottery Game
EP2102771A1 (en) Interactive entertainment
US20030034605A1 (en) Enhanced keno based game
US8727870B2 (en) Lottery-like game where the winning number depends on the players' choices
US2012025880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mpensating Leaders Within Online Games, Such As Massively Multiplayer Online Games
US20140370956A1 (en) Interactive Online Lottery Game
US20150011299A1 (en) Internet golf sweepstakes game
US20200372764A1 (en) Multi-event, multiple-bet type tournament-style wagering system and method
US8747218B2 (en) Gaming apparatus and systems with a triggerable feature event
AU6557301A (en) Enhanced keno based game
Jussila Microtransaction Structures in Digital Card Gam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