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1165B1 - 표적 정보 추출 알고리즘 테스트 시스템 및 표적 정보 추출 알고리즘 테스트 방법 - Google Patents

표적 정보 추출 알고리즘 테스트 시스템 및 표적 정보 추출 알고리즘 테스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1165B1
KR102651165B1 KR1020210139903A KR20210139903A KR102651165B1 KR 102651165 B1 KR102651165 B1 KR 102651165B1 KR 1020210139903 A KR1020210139903 A KR 1020210139903A KR 20210139903 A KR20210139903 A KR 20210139903A KR 102651165 B1 KR102651165 B1 KR 1026511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ion algorithm
information
test
target information
err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99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56180A (ko
Inventor
류한춘
주지한
권세훈
Original Assignee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399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1165B1/ko
Publication of KR202300561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61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11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116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7/00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 G01S7/02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 G01S13/00
    • G01S7/40Means for monitoring or calibrating
    • G01S7/4052Means for monitoring or calibrating by simulation of echo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3/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waves whose nature or wavelength is irrelevant or unspecified
    • G01S13/02Systems using reflection of radio waves, e.g. primary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 G01S13/50Systems of measurement based on relative movement of target
    • G01S13/58Velocity or trajectory determination systems; Sense-of-movement determination systems
    • G01S13/583Velocity or trajectory determination systems; Sense-of-movement determination systems using transmission of continuous unmodulated waves, amplitude-, frequency-, or phase-modulated waves and based upon the Doppler effect resulting from movement of targets
    • G01S13/584Velocity or trajectory determination systems; Sense-of-movement determination systems using transmission of continuous unmodulated waves, amplitude-, frequency-, or phase-modulated waves and based upon the Doppler effect resulting from movement of targets adapted for simultaneous range and velocity measur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3/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waves whose nature or wavelength is irrelevant or unspecified
    • G01S13/66Radar-tracking systems; Analogous syste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3/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waves whose nature or wavelength is irrelevant or unspecified
    • G01S13/88Radar or analogou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S13/883Radar or analogou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missile homing, autodirect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13/00Manufacturing, calibrating, cleaning, or repairing instruments or devices covered by groups G01V1/00 – G01V11/00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3/00Electric or magnetic prospecting or detecting; Measuring 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of the earth, e.g. declination, deviation
    • G01V3/12Electric or magnetic prospecting or detecting; Measuring 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of the earth, e.g. declination, deviation operating with electromagnetic wa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phys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ology (AREA)
  • Radar Systems Or Details Thereof (AREA)

Abstract

표적 정보 추출 알고리즘 테스트 시스템 및 표적 정보 추출 알고리즘 테스트 방법이 개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표적 정보 추출 알고리즘 테스트 시스템은 탐색 장치의 신호 처리부에서 구동되는 표적 정보 추출 알고리즘을 테스트하기 위한 테스트 벡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표적 정보 추출 알고리즘을 테스트하기 위한 테스트 모드를 결정하고, 테스트 모드에 따라 테스트 벡터를 결정하는 테스트 결정부; 테스트 벡터에 기초하여 표적 정보 추출 알고리즘에 테스트를 수행하여 오차 정보를 결정하는 오차 결정부; 및 오차 정보에 기초하여 표적 정보 추출 알고리즘에 대해 오차를 보정하기 위한 오차 보정 정보를 생성하고, 오차 보정 정보에 기초하여 표적 정보 추출 알고리즘의 오차 보정을 수행하는 오차 보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표적 정보 추출 알고리즘 테스트 시스템 및 표적 정보 추출 알고리즘 테스트 방법{SYSTEM AND METHOD OF TESTING TARGET INFORMATION EXTRACTION ALGORITHM}
본 발명은 표적 정보 추출 알고리즘 테스트 시스템 및 표적 정보 추출 알고리즘 테스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파를 이용하는 탐색 장치는 송신 신호를 방사하고, 표적으로부터 반사된 반사파를 수신하여 분석함으로써 표적의 탐지 및 추적을 수행한다. 일반적으로, 탐색 장치는 전파의 반사 및 산란 특성을 이용하여 표적의 방위 및 거리를 판별함으로써, 표적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획득한다.
탐색 장치는 표적의 탐지 및 추적을 수행하기 위해 표적 정보 추출 알고리즘을 적용하고 있다. 이러한 표적 정보 추출 알고리즘을 테스트하기 위해서는 테스트 장비(예를 들어, 모의 신호 발생 장치)를 탐색 장치의 신호 처리부에 연결시키고, 테스트 장비를 연결시킨 상태에서 표적 정보 추출 알고리즘을 테스트하고 있다.
종래에는 표적 정보 추출 알고리즘을 테스트하기 위해 운용 파형 모드별로 다양한 모의 표적을 생성하기 위한 테스트 장비를 개발해야 하며, 이로 인해 테스트 장비를 개발하는데 소요되는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종래의 테스트 장비는 유도탄이 조립된 상태에서 실시간으로 테스트를 수행할 수 없고, 테스트한 결과에 기초하여 보정값을 반영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테스트 장비는 특정 거리 및 속도를 샘플링하여 테스트를 수행하고 있다. 즉, 종래의 테스트 장비는 표적의 모든 상황을 모사하여 테스트하는 테스트 시간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운용 파형 모드별로 표적 정보 추출 알고리즘의 거리 및 속도에 대한 오차를 결정하고 결정된 오차에 기초하여 표적 정보 추출 알고리즘의 오차 보정을 수행하는 표적 정보 추출 알고리즘 테스트 시스템 및 표적 정보 추출 알고리즘 테스트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표적 정보 추출 알고리즘 테스트 시스템이 개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표적 정보 추출 알고리즘 테스트 시스템은 탐색 장치의 신호 처리부에서 구동되는 표적 정보 추출 알고리즘을 테스트하기 위한 테스트 벡터 - 상기 테스트 벡터는 운용 파형 모드에 해당하는 제1 테스트 벡터, 상기 운용 파형 모드별 레인지 빈에 해당하는 제2 테스트 벡터 및 상기 운용 파형 모드별 도플러 빈에 해당하는 제3 테스트 벡터를 포함함 -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표적 정보 추출 알고리즘을 테스트하기 위한 테스트 모드를 결정하고, 상기 테스트 모드에 따라 상기 테스트 벡터를 결정하는 테스트 결정부; 상기 테스트 벡터에 기초하여 상기 표적 정보 추출 알고리즘에 테스트를 수행하여 오차 정보를 결정하는 오차 결정부; 및 상기 오차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표적 정보 추출 알고리즘에 대해 오차를 보정하기 위한 오차 보정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오차 보정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표적 정보 추출 알고리즘의 오차 보정을 수행하는 오차 보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테스트 벡터는 상기 표적 정보 추출 알고리즘의 거리 추출 알고리즘을 테스트하기 위한 제1 운용 파형 모드와, 상기 표적 정보 추출 알고리즘의 거리 및 속도 추출 알고리즘을 테스트하기 위한 제2 운용 파형 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테스트 벡터는 복수의 레인지 빈에 해당하는 표적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3 테스트 벡터는 복수의 도플러 빈에 해당하는 표적 정보를 포함할 수 잇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테스트 결정부는 상기 테스트 모드에 따라 상기 거리 추출 알고리즘을 테스트하기 위한 상기 테스트 벡터로서 상기 제1 운용 파형 모드, 상기 복수의 레인지 빈 및 고정된 도플러 빈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오차 결정부는 상기 제1 운용 파형 모드에 기초하여 상기 거리 추출 알고리즘에 상기 복수의 레인지 빈 및 상기 고정된 도플러 빈을 순차적으로 적용하여 제1 신호 처리 결과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거리 추출 알고리즘에 대한 사전 설정된 예측 정보와 상기 제1 신호 처리 결과 정보를 비교하여 제1 오차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제1 오차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거리 추출 알고리즘을 오차 보정하기 위한 제1 오차 보정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제1 오차 보정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거리 추출 알고리즘의 상기 오차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오차 결정부는 복수의 수신 채널 각각에 대해 상기 제1 신호 처리 결과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오차 보정부는 상기 제1 오차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수신 채널 각각에 대한 상기 제1 오차 보정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표적 정보 추출 알고리즘 테스트 시스템은 상기 제1 신호 처리 결과 정보 및 상기 제1 오차 정보를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정보 전송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테스트 결정부는 상기 테스트 모드에 따라 상기 거리 및 속도 추출 알고리즘을 테스트하기 위한 상기 테스트 벡터로서 상기 제2 운용 파형 모드, 상기 복수의 레인지 빈 및 상기 복수의 도플러 빈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오차 결정부는 상기 제2 운용 파형 모드에 기초하여 상기 거리 및 추출 알고리즘에 상기 복수의 레인지 빈 및 상기 복수의 도플러 빈을 순차적으로 적용하여 제2 신호 처리 결과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거리 및 속도 추출 알고리즘에 대한 사전 설정된 예측 정보와 상기 제2 신호 처리 결과 정보를 비교하여 제2 오차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제2 오차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거리 및 속도 추출 알고리즘을 오차 보정하기 위한 제2 오차 보정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제2 오차 보정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거리 및 속도 추출 알고리즘의 상기 오차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오차 결정부는 복수의 수신 채널 각각에 대해 상기 제2 신호 처리 결과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오차 보정부는 상기 제2 오차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수신 채널 각각에 대한 상기 제2 오차 보정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표적 정보 추출 알고리즘 테스트 시스템은 상기 제2 신호 처리 결과 정보 및 상기 제2 오차 정보를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정보 전송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표적 정보 추출 알고리즘 테스트 시스템에서의 표적 정보 추출 알고리즘 테스트 방법이 개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표적 정보 추출 알고리즘 테스트 방법은 상기 표적 정보 추출 알고리즘 테스트 시스템의 테스트 결정부에서, 탐색 장치의 신호 처리부에서 구동되는 표적 정보 추출 알고리즘을 테스트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테스트 결정부에서, 상기 표적 정보 추출 알고리즘을 테스트하기 위한 테스트 벡터 - 상기 테스트 벡터는 운용 파형 모드에 해당하는 제1 테스트 벡터, 상기 운용 파형 모드별 레인지 빈에 해당하는 제2 테스트 벡터 및 상기 운용 파형 모드별 도플러 빈에 해당하는 제3 테스트 벡터를 포함함 -를 저장하는 저장부로부터 상기 테스트 모드에 따라 상기 테스트 벡터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표적 정보 추출 알고리즘 테스트 시스템의 오차 결정부에서, 상기 테스트 벡터에 기초하여 상기 표적 정보 추출 알고리즘에 테스트를 수행하여 오차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표적 정보 추출 알고리즘 테스트 시스템의 오차 보정부에서, 상기 오차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표적 정보 추출 알고리즘에 대해 오차를 보정하기 위한 오차 보정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오차 보정부에서, 상기 오차 보정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표적 정보 추출 알고리즘의 오차 보정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테스트 벡터는 상기 표적 정보 추출 알고리즘의 거리 추출 알고리즘을 테스트하기 위한 제1 운용 파형 모드와, 상기 표적 정보 추출 알고리즘의 거리 및 속도 추출 알고리즘을 테스트하기 위한 제2 운용 파형 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테스트 벡터는 복수의 레인지 빈에 해당하는 표적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3 테스트 벡터는 복수의 도플러 빈에 해당하는 표적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테스트 벡터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테스트 모드에 따라 상기 거리 추출 알고리즘을 테스트하기 위한 상기 테스트 벡터로서 상기 제1 운용 파형 모드, 상기 복수의 레인지 빈 및 고정된 도플러 빈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오차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운용 파형 모드에 기초하여 상기 거리 추출 알고리즘에 상기 복수의 레인지 빈 및 상기 고정된 도플러 빈을 순차적으로 적용하여 제1 신호 처리 결과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거리 추출 알고리즘에 대한 사전 설정된 예측 정보와 상기 제1 신호 처리 결과 정보를 비교하여 제1 오차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신호 처리 결과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복수의 수신 채널 각각에 대해 상기 제1 신호 처리 결과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오차 보정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오차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거리 추출 알고리즘을 오차 보정하기 위한 제1 오차 보정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표적 정보 추출 알고리즘의 오차 보정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오차 보정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거리 추출 알고리즘의 상기 오차 보정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오차 보정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오차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수신 채널 각각에 대한 상기 제1 오차 보정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표적 정보 추출 알고리즘 테스트 방법은 상기 표적 정보 추출 알고리즘 테스트 시스템의 정보 전송부에서, 상기 제1 신호 처리 결과 정보 및 상기 제1 오차 정보를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테스트 벡터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테스트 모드에 따라 상기 거리 및 속도 추출 알고리즘을 테스트하기 위한 상기 테스트 벡터로서 상기 제2 운용 파형 모드, 상기 복수의 레인지 빈 및 상기 복수의 도플러 빈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오차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운용 파형 모드에 기초하여 상기 거리 및 속도 추출 알고리즘에 상기 복수의 레인지 빈 및 상기 복수의 도플러 빈을 순차적으로 적용하여 제2 신호 처리 결과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거리 및 속도 추출 알고리즘에 대한 사전 설정된 예측 정보와 상기 제2 신호 처리 결과 정보를 비교하여 제2 오차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신호 처리 결과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복수의 수신 채널 각각에 대해 상기 제2 신호 처리 결과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오차 보정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오차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거리 및 속도 추출 알고리즘을 오차 보정하기 위한 제2 오차 보정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표적 정보 추출 알고리즘의 오차 보정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오차 보정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거리 및 속도 추출 알고리즘의 상기 오차 보정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오차 보정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오차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수신 채널 각각에 대한 상기 제2 오차 보정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표적 정보 추출 알고리즘 테스트 방법은 상기 표적 정보 추출 알고리즘 테스트 시스템의 정보 전송부에서, 상기 제2 신호 처리 결과 정보 및 상기 제2 오차 정보를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운용 파형 모드별로 표적 정보 추출 알고리즘을 테스트하고, 테스트 결과에 기초하여 표적 정보 추출 알고리즘의 오차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실시간으로 표적 정보 추출 알고리즘을 테스트할 수 있으며, 기본적으로 성능 시험 단계에서 표적 정보 추출 알고리즘을 테스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도탄 운용 환경에서도 표적 정보 추출 알고리즘을 테스트하여 보정(예를 들어, 온도, 진동, 충격 상황 등 변수 반영) 할 수 있다.
따라서, 최소 테스트 시간으로 모든 거리 및 속도에 대해 테스트가 가능하며, 표적 정보 추출 알고리즘을 테스트하기 위한 테스트 장비(예를 들어, 모의 신호 발생 장치)의 제작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RF 신호를 획득하여 데이터 처리를 수행할 수 있는 모든 분야에 활용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적 정보 추출 알고리즘 테스트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적 정보 추출 알고리즘 테스트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운용 파형 모드에 기초하여 표적 정보 추출 알고리즘을 테스트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신 기준 신호, 모의 신호 및 레인지 빈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신호 처리 결과 정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2 운용 파형 모드에 기초하여 표적 정보 추출 알고리즘을 테스트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신 기준 신호, 모의 신호, 레인지 빈 및 도플러 빈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신호 처리 결과 정보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권리범위가 이하에 제시되는 실시예들이나 이들 실시예들에 대한 구체적 설명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모든 기술적 용어들 및 과학적 용어들은,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를 갖는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을 더욱 명확히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선택된 것이며 본 발명에 따른 권리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선택된 것이 아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 "구비하는", "갖는" 등과 같은 표현은, 해당 표현이 포함되는 어구 또는 문장에서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다른 실시예를 포함할 가능성을 내포하는 개방형 용어(open-ended terms)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기술된 단수형의 표현은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단수형의 표현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등의 표현들은 복수의 구성요소들을 상호 구분하기 위해 사용되며, 해당 구성요소들의 순서 또는 중요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field-programmable gate array),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한다. 그러나, "부"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 함수, 속성, 프로시저, 서브루틴,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 드라이버,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 테이블, 어레이 및 변수를 포함한다. 구성요소와 "부" 내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 및 "부"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와 "부"로 분리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에 기초하여"라는 표현은, 해당 표현이 포함되는 어구 또는 문장에서 기술되는, 결정 판단의 행위 또는 동작에 영향을 주는 하나 이상의 인자를 기술하는데 사용되며, 이 표현은 결정, 판단의 행위 또는 동작에 영향을 주는 추가적인 인자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경우,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거나 접속될 수 있는 것으로, 또는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로 하여 연결될 수 있거나 접속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부호가 부여되어 있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들의 설명에 있어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를 중복하여 기술하는 것이 생략될 수 있다. 그러나, 구성요소에 관한 기술이 생략되어도, 그러한 구성요소가 어떤 실시예에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의도되지는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적 정보 추출 알고리즘 테스트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표적 정보 추출 알고리즘 테스트 시스템(100)은 저장부(110), 테스트 결정부(120), 오차 결정부(130), 오차 보정부(140), 정보 전송부(150) 및 제어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10)는 탐색 장치(도시하지 않음)의 신호 처리부(도시하지 않음)에서 구동되며 표적 정보를 추출하는 표적 정보 추출 알고리즘의 테스트 벡터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10)는 표적 정보 추출 알고리즘의 테스트 결과에 해당하는 정보(이하, "테스트 결과 정보"라 함)를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테스트 벡터는 표적 정보 추출 알고리즘을 테스트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테스트 벡터는 표적 정보 추출 알고리즘을 점검 및 보정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테스트 벡터는 운용 파형 모드에 해당하는 제1 테스트 벡터, 운용 파형 모드별 레인지 빈(range bin)에 해당하는 제2 테스트 벡터 및 운용 파형 모드별 도플러 빈(Doppler bin)에 해당하는 제3 테스트 벡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테스트 벡터는 운용 파형 모드별 기준 테스트 벡터로서, 송신 파형(예를 들어, 싱글톤(single tone), LFM(up, down, saw tooth) 등)을 반영하는 테스트 벡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테스트 벡터는 거리 추출 알고리즘을 테스트하기 위한 제1 운용 파형 모드와, 거리 및 속도 추출 알고리즘을 테스트하기 위한 제2 운용 파형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운용 파형 모드는 LPRF(low pulse repetition frequency) 모드를 포함하고, 제2 운용 파형 모드는 MPRF(medium pulse repetition frequency)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2 테스트 벡터는 운용 파형 모드를 반영한 거리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테스트 벡터는 제1 레인지 빈(1/Fs) 내지 제N 레인지 빈(1/PRF))에 해당하는 표적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레인지 빈(1/Fs)은 최소 탐지 거리를 나타내고, 탐색 장치와 표적까지의 시간 지연(time delay)은 "1/Fs"이다. 또한, 제N 레인지 빈(1/PRF)은 최대 탐지 거리를 나타내고, 탐색 장치와 표적까지의 시간 지연은 "(1/Fs)×N=1/PRF"이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3 테스트 벡터는 운용 파형 모드를 반영한 속도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3 테스트 벡터는 제1 도플러 빈(PRF/FFT 포인트 수) 내지 제M 도플러 빈(PRF))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저장부(110)는 제2 테스트 벡터 및 제3 테스트 벡터를 (R_min, D_min) 내지 (R_max, D_max)에 해당하는 표적 정보를 포함하는 2D 매트릭스 형태로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R_min, D_min)은 최소 탐지 거리에 위치한 표적이 최소 상대 속도를 가지는 경우를 나타내고, 탐색 장치와 표적까지의 시간 지연은 "1/Fs"이고, 탐색 장치와 표적까지의 도플러 주파수는 "PRF/M(= FFT point 수)"일 수 있다. 또한, (R_max, D_max)는 최대 탐지 거리에 위치한 표적이 최대 상대 속도를 가지는 경우를 나타내고, 탐색 장치와 표적까지의 시간 지연은 "PRI = (1/Fs)×N"이고, 탐색 장치와 표적까지의 도플러 주파수는 "PRF = (PRF/FFT point 수)×M"일 수 있다.
테스트 결정부(120)는 표적 정보 추출 알고리즘을 테스트하기 위한 테스트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테스트 결정부(120)는 테스트 모드에 따라 테스트 벡터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테스트 결정부(120)는 외부 인터페이스로(도시하지 않음)부터 표적 정보 추출 알고리즘을 테스트하기 위한 테스트 모드를 요청하는 요청 정보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테스트 결정부(120)는 요청 정보가 수신된 것으로 판단되면, 신호 처리부를 일반 모드에서 표적 정보 추출 알고리즘을 테스트하기 위한 테스트 모드로 전환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테스트 결정부(120)는 테스트 모드에 따라 저장부(110)로부터 테스트 벡터를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테스트 결정부(120)는 저장부(110)로부터 테스트 벡터로서 제1 테스트 벡터, 제2 테스트 벡터 및 제3 테스트 벡터를 추출할 수 있다.
오차 결정부(130)는 결정된 테스트 벡터에 기초하여 표적 정보 추출 알고리즘에 테스트를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오차 결정부(130)는 추출된 제1 테스트 벡터, 제2 테스트 벡터, 및 제3 테스트 벡터에 기초하여 표적 정보 추출 알고리즘에 테스트를 수행하여 오차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오차 결정부(130)는 제1 테스트 벡터의 제1 운용 파형 모드에 기초하여 표적 정보 추출 알고리즘의 거리 추출 알고리즘에 제2 테스트 벡터를 적용하여 거리에 대한 오차 정보(이하, "제1 오차 정보"라 함)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오차 정보는 거리 오차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오차 결정부(130)는 제1 운용 파형 모드(예를 들어, LPRF 모드)에 기초하여 거리 추출 알고리즘에 제2 테스트 벡터의 제1 레인지 빈(1/Fs) 내지 제N 레인지 빈(1/PRF))를 순차적으로 적용하여 신호 처리 결과 정보(이하, 제1 신호 처리 결과 정보"라 함)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신호 처리 결과 정보는 저장부(110)에 저장될 수 있다. 오차 결정부(130)는 제2 테스트 벡터에 대한 거리 추출 알고리즘의 예측 정보와 제2 테스트 벡터에 대한 제1 신호 처리 결과 정보를 비교하여 제1 오차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오차 결정부(130)는 제1 테스트 벡터의 제2 운용 파형 모드에 기초하여 표적 정보 추출 알고리즘의 거리 및 속도 추출 알고리즘에 제2 테스트 벡터 및 제3 테스트 벡터를 (R_min, D_min) 내지 (R_max, D_max)에 적용하여 거리 및 속도에 대한 오차 정보(이하, "제2 오차 정보"라 함)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2 오차 정보는 거리 및 주파수(도플러) 오차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오차 결정부(130)는 제2 운용 파형 모드에 기초하여 거리 및 속도 추출 알고리즘에 제2 테스트 벡터의 제1 레인지 빈(1/Fs) 내지 제N 레인지 빈(1/PRF))과 제3 테스트 벡터의 제1 도플러 빈(PRF/FFT 포인트 수) 내지 제M 도플러 빈(PRF))를 순차적으로 적용하여 신호 처리 결과 정보(이하, "제2 신호 처리 결과 정보"라 함)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2 신호 처리 결과 정보는 저장부(110)에 저장될 수 있다. 오차 결정부(130)는 제2 테스트 벡터 및 제3 테스트 벡터에 대한 거리 및 속도 추출 알고리즘의 예측 정보와, 제2 테스트 벡터 및 제3 테스트 벡터에 대한 제2 신호 처리 결과 정보를 비교하여 제2 오차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오차 보정부(140)는 오차 정보에 기초하여 오차를 보정하기 위한 오차 보정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오차 보정부(140)는 운용 파형 모드별 및 수신 채널별 오차를 보정하기 위한 오차 보정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오차 보정 정보는 저장부(110)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오차 보정부(140)는 생성된 오차 보정 정보에 기초하여 표적 정보 추출 알고리즘의 오차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오차 보정부(140)는 제1 운용 파형 모드에 대해 제1 오차 정보에 기초하여 수신 채널별 거리에 대한 오차(예를 들어, 타이밍에 대한 오차)를 보정하기 위한 오차 보정 정보(이하, "제1 오차 보정 정보"라 함)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오차 보정부(140)는 제1 오차 정보를 보간(interpolation)하여 제1 오차 보정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오차 보정부(140)는 제1 오차 보정 정보에 기초하여 표적 정보 추출 알고리즘의 거리 추출 알고리즘에 대한 오차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오차 보정부(140)는 제2 운용 파형 모드에 대해 제2 오차 정보에 기초하여 수신 채널별 거리 및 속도에 대한 오차(예를 들어, 타이밍 및 주파수(도플러)에 대한 오차)를 보정하기 위한 오차 보정 정보(이하, "제2 오차 보정 정보"라 함)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오차 보정부(140)는 제2 오차 정보를 보간하여 제2 오차 보정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오차 보정부(140)는 제2 오차 보정 정보에 기초하여 표적 정보 추출 알고리즘의 거리 및 속도 추출 알고리즘에 대한 오차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정보 전송부(150)는 표적 정보 추출 알고리즘 테스트 시스템(100)에서 생성된 정보를 외부 장치(도시하지 않음)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정보 전송부(150)는 표적 정보 추출 알고리즘 테스트 시스템(100)에서 생성된 정보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외부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정보 전송부(150)는 오차 결정부(130)에 의해 생성된 신호 처리 결과 정보(예를 들어, 제1 신호 처리 결과 정보 및 제2 신호 처리 결과 정보)를 외부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정보 전송부(150)는 오차 보정부(140)에 의해 생성된 오차 보정 정보(예를 들어, 제1 오차 보정 정보 및 제2 오차 보정 정보)를 외부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표적 정보 추출 알고리즘 테스트 시스템(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어부(160)는 저장부(110), 테스트 결정부(120), 오차 결정부(130), 오차 보정부(140) 및 정보 전송부(15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도시된 흐름도에서 프로세스 단계들, 방법 단계들, 알고리즘들 등이 순차적인 순서로 설명되었지만, 그러한 프로세스들, 방법들 및 알고리즘들은 임의의 적합한 순서로 작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설명되는 프로세스들, 방법들 및 알고리즘들의 단계들이 본 발명에서 기술된 순서로 수행될 필요는 없다. 또한, 일부 단계들이 비동시적으로 수행되는 것으로서 설명되더라도, 다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일부 단계들이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서의 묘사에 의한 프로세스의 예시는 예시된 프로세스가 그에 대한 다른 변화들 및 수정들을 제외하는 것을 의미하지 않으며, 예시된 프로세스 또는 그의 단계들 중 임의의 것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 중 하나 이상에 필수적임을 의미하지 않으며, 예시된 프로세스가 바람직하다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적 정보 추출 알고리즘 테스트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단계 S202에서, 표적 정보 추출 알고리즘 테스트 시스템(100)은 신호 처리부에 대해 테스트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표적 정보 추출 알고리즘 테스트 시스템(100)의 테스트 결정부(120)는 외부 인터페이스로부터 표적 정보 추출 알고리즘의 테스트를 요청하는 요청 정보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테스트 결정부(120)는 요청 정보가 수신된 것으로 판단되면, 신호 처리부를 일반 모드에서 표적 정보 추출 알고리즘을 테스트하기 위한 테스트 모드로 전환시킬 수 있다.
단계 S204에서, 표적 정보 추출 알고리즘 테스트 시스템(100)은 테스트 모드에 기초하여 테스트 벡터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표적 정보 추출 알고리즘 테스트 시스템(100)의 테스트 결정부(120)는 테스트 모드에 기초하여 저장부(110)로부터 테스트 벡터를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테스트 결정부(120)는 저장부(110)로부터 테스트 벡터로서 제1 테스트 벡터, 제2 테스트 벡터 및 제3 테스트 벡터를 추출할 수 있다.
단계 S206에서, 표적 정보 추출 알고리즘 테스트 시스템(100)은 결정된 테스트 벡터에 기초하여 표적 정보 추출 알고리즘에 테스트를 수행하여 오차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표적 정보 추출 알고리즘 테스트 시스템(100)의 오차 결정부(130)는 제1 테스트 벡터, 제2 테스트 벡터 및 제3 테스트 벡터에 기초하여 표적 정보 추출 알고리즘에 테스트를 수행하여 신호 처리 결과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오차 결정부(130)는 신호 처리 결과 정보와 예측 정보를 비교하여 오차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단계 S208에서, 표적 정보 추출 알고리즘 테스트 시스템(100)은 결정된 오차 정보에 기초하여 표적 정보 추출 알고리즘에 오차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표적 정보 추출 알고리즘 테스트 시스템(100)의 오차 보정부(140)는 오차 정보에 기초하여 표적 정보 추출 알고리즘의 오차를 보정하기 위한 오차 보정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오차 보정부(140)는 운용 파형 모드별 및 수신 채널별 오차를 보정하기 위한 오차 보정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오차 보정부(140)는 생성된 오차 보정 정보에 기초하여 표적 정보 추출 알고리즘의 오차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단계 S210에서, 표적 정보 추출 알고리즘 테스트 시스템(100)은 신호 처리 결과 정보 및 오차 보정 정보를 외부 장치(예를 들어, 점검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표적 정보 추출 알고리즘 테스트 시스템(100)의 정보 전송부(150)는 오차 결정부(130)에 의해 생성된 신호 처리 결과 정보 및 오차 보정부(140)에 의해 생성된 오차 보정 정보를 외부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운용 파형 모드에 기초하여 표적 정보 추출 알고리즘을 테스트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단계 S302에서, 오차 결정부(130)는 테스트 벡터에 기초하여 표적 정보 추출 알고리즘의 거리 추출 알고리즘에 테스트를 수행하여 제1 신호 처리 결과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오차 결정부(130)는 제1 테스트 벡터의 제1 운용 파형 모드에 기초하여 거리 추출 알고리즘에 제2 테스트 벡터 및 제3 테스트 벡터를 적용하여 거리에 대한 제1 신호 처리 결과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오차 결정부(1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운용 파형 모드(예를 들어, LPRF 모드)에 기초하여 거리 추출 알고리즘에 제2 테스트 벡터의 제i 레인지 빈(1≤i≤N)을 적용하여 제1 신호 처리 결과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오차 결정부(130)는 제3 테스트 벡터의 도플러 빈을 고정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오차 결정부(13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수신 채널(예를 들어, 수신채널 A, 수신채널 B, 수신채널 C) 각각에 대해 제2 테스트 벡터의 제i 레인지 빈(1≤i≤N) 및 제3 테스트 벡터의 고정 도플러 빈을 적용하여 제1 신호 처리 결과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단계 S304에서, 오차 결정부(130)는 제1 신호 처리 결과 정보와 예측 정보를 비교하여 오차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오차 결정부(130)는 제2 테스트 벡터에 대한 거리 추출 알고리즘의 예측 정보와 제2 테스트 벡터에 대한 제1 신호 처리 결과 정보를 비교하여 오차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단계 S304에서 오차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단계 S306에서, 오차 결정부(130)는 예측 정보와 제1 신호 처리 결과에 기초하여 오차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오차 결정부(130)는 예측 정보와 제1 신호 처리 결과의 비교 결과에 해당하는 제1 오차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단계 S308에서, 오차 보정부(140)는 제1 오차 정보에 기초하여 오차 보정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오차 보정부(140)는 제1 오차 정보에 기초하여 거리 추출 알고리즘을 보정하기 위한 제1 오차 보정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오차 보정부(140)는 제1 운용 파형 모드에 대해 제1 오차 정보에 기초하여 수신 채널별 거리에 대한 오차(예를 들어, 타이밍에 대한 오차)를 보정하기 위한 제1 오차 보정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오차 보정부(140)는 제1 오차 정보를 보간(interpolation)하여 제1 오차 보정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단계 S310에서, 오차 보정부(140)는 제1 오차 보정 정보에 기초하여 표적 정보 추출 알고리즘에 대한 오차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오차 보정부(140)는 제1 오차 보정 정보에 기초하여 표적 정보 추출 알고리즘의 거리 추출 알고리즘에 대한 오차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단계 S312에서, 오차 보정부(140)는 제2 테스트 벡터의 모든 레인지 빈에 대해 오차 보정을 수행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단계 S312에서, 제2 테스트 벡터의 모든 레인지 빈에 대해 오차 보정을 수행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단계 S302 내지 단계 S310이 수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스트 소요 시간은 "N×프로세싱 레이턴시(processing latency)(≒PRI)"일 수 있다. 즉, 거리 추적을 위해 소요되는 시간(latency)는 PRI 시간에 비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N(레인지 빈 수)"이 1,000이고, "PRI"가 100㎲인 경우, 테스트 소요 시간은 약 0.1초일 수 있다. 따라서, 테스트 장비(모의 신호 발생 장치)를 사용하여 사용자가 직접 테스트하는 종래에 비해 테스트 소요 시간이 매우 짧으며, 모든 레인지에 대해 테스트를 수행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2 운용 파형 모드에 기초하여 표적 정보 추출 알고리즘을 테스트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단계 S602에서, 오차 결정부(130)는 테스트 벡터에 기초하여 표적 정보 추출 알고리즘의 거리 및 속도 추출 알고리즘에 테스트를 수행하여 제2 신호 처리 결과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오차 결정부(130)는 제1 테스트 벡터의 제2 운용 파형 모드에 기초하여 거리 및 속도 추출 알고리즘에 제2 테스트 벡터 및 제3 테스트 벡터를 적용하여 거리 및 속도에 대한 제2 신호 처리 결과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오차 결정부(13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운용 파형 모드(예를 들어, MPRF 모드)에 기초하여 거리 및 속도 추출 알고리즘에 제2 테스트 벡터의 제i 레인지 빈(1≤i≤N) 및 제3 테스트 벡터의 제j 도플러 빈(1≤i≤M)을 적용하여 제2 신호 처리 결과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오차 결정부(13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수신 채널(예를 들어, 수신채널 A, 수신채널 B, 수신채널 C) 각각에 대해 제2 테스트 벡터의 제i 레인지 빈(1≤i≤N) 및 제3 테스트 벡터의 제j 도플러 빈(1≤i≤M)을 적용하여 제2 신호 처리 결과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단계 S604에서, 오차 결정부(130)는 예측 정보와 제2 신호 처리 결과를 비교하여 오차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오차 결정부(130)는 제2 테스트 벡터 및 제3 테스트 벡터에 대한 거리 및 속도 추출 알고리즘의 예측 정보와, 제2 테스트 벡터 및 제3 테스트 벡터에 대한 제2 신호 처리 결과 정보를 비교하여 오차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단계 S604에서 오차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단계 S606에서, 오차 결정부(130)는 예측 정보와 제2 신호 처리 결과에 기초하여 오차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오차 결정부(130)는 예측 정보와 제2 신호 처리 결과의 비교 결과에 해당하는 제2 오차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단계 S608에서, 오차 보정부(140)는 제2 오차 정보에 기초하여 오차 보정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오차 보정부(140)는 제2 오차 정보에 기초하여 거리 및 속도 추출 알고리즘을 보정하기 위한 제2 오차 보정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오차 보정부(140)는 제2 운용 파형 모드에 대해 제2 오차 정보에 기초하여 수신 채널별 거리에 대한 오차(예를 들어, 타이밍에 대한 오차) 및 속도에 대한 오차(예를 들어, 주파수(도플러)에 대한 오차)를 보정하기 위한 제2 오차 보정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오차 보정부(140)는 제2 오차 정보를 보간(interpolation)하여 제2 오차 보정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단계 S610에서, 오차 보정부(140)는 제2 오차 보정 정보에 기초하여 표적 정보 추출 알고리즘에 대한 오차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오차 보정부(140)는 제2 오차 보정 정보에 기초하여 표적 정보 추출 알고리즘의 거리 및 속도 추출 알고리즘에 대한 오차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단계 S612에서, 오차 보정부(140)는 제2 테스트 벡터의 모든 레인지 빈 및 제3 테스트 벡터의 모든 도플러 빈에 대해 오차 보정을 수행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단계 S612에서, 제2 테스트 벡터의 모든 레인지 빈 및 제3 테스트 벡터의 모든 도플러 빈에 대해 오차 보정을 수행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단계 S602 내지 단계 S610이 수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스트 소요 시간은 "N×M×프로세싱 레이턴시(processing latency)(≒CPI(coherent processing interval))"일 수 있다. 즉, 거리 및 속도를 추적하기 위해 소요되는 시간(latency)는 CPI 시간에 비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N(레인지 빈 수)"이 64이고, "M(도플러 빈 수)"가 64이며, "CPI"인 경우, 테스트 소요 시간은 약 0.4초일 수 있다. 따라서, 테스트 장비(모의 신호 발생 장치)를 사용하여 사용자가 직접 테스트하는 종래에 비해 테스트 소요 시간이 매우 짧으며, 모든 레인지 및 도플러에 대해 테스트를 수행할 수 있다.
위 방법은 특정 실시예들을 통하여 설명되었지만, 위 방법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위 실시예들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이상 일부 실시예들과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예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이해할 수 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치환, 변형 및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점을 알아야 할 것이다. 또한, 그러한 치환, 변형 및 변경은 첨부된 청구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생각되어야 한다.
100: 표적 정보 추출 알고리즘 테스트 시스템, 110: 저장부, 120: 테스트 결정부, 130: 오차 결정부, 140: 오차 보정부, 150: 정보 전송부, 160: 제어부

Claims (26)

  1. 표적 정보 추출 알고리즘 테스트 시스템으로서,
    표적 정보를 추출하는 표적 정보 추출 알고리즘을 테스트하기 위한 테스트 벡터 - 상기 테스트 벡터는 운용 파형 모드에 해당하는 제1 테스트 벡터, 상기 운용 파형 모드별 레인지 빈에 해당하는 제2 테스트 벡터 및 상기 운용 파형 모드별 도플러 빈에 해당하는 제3 테스트 벡터를 포함함 -를 저장하는 저장부;
    외부 인터페이스로부터 수신한 표적 정보 추출 알고리즘을 테스트하기 위한 요청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표적 정보 추출 알고리즘을 테스트하기 위한 테스트 모드를 결정하고, 운용 파형 모드에 기반해서 상기 테스트 벡터를 결정하는 테스트 결정부;
    상기 테스트 벡터에 기초하여 상기 표적 정보 추출 알고리즘에 테스트를 수행하여 오차 정보를 결정하는 오차 결정부; 및
    상기 오차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표적 정보 추출 알고리즘에 대해 오차를 보정하기 위한 오차 보정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오차 보정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표적 정보 추출 알고리즘의 오차 보정을 수행하는 오차 보정부
    를 포함하는 표적 정보 추출 알고리즘 테스트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테스트 벡터는 상기 표적 정보 추출 알고리즘의 거리 추출 알고리즘을 테스트하기 위한 제1 운용 파형 모드와, 상기 표적 정보 추출 알고리즘의 거리 및 속도 추출 알고리즘을 테스트하기 위한 제2 운용 파형 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테스트 벡터는 복수의 레인지 빈에 해당하는 표적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3 테스트 벡터는 복수의 도플러 빈에 해당하는 표적 정보를 포함하는 표적 정보 추출 알고리즘 테스트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테스트 결정부는 상기 거리 추출 알고리즘을 테스트하기 위한 상기 테스트 벡터로서 상기 제1 운용 파형 모드, 상기 복수의 레인지 빈 및 고정된 도플러 빈을 결정하는 표적 정보 추출 알고리즘 테스트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오차 결정부는
    상기 제1 운용 파형 모드에 기초하여 상기 거리 추출 알고리즘에 상기 복수의 레인지 빈 및 상기 고정된 도플러 빈을 순차적으로 적용하여 제1 신호 처리 결과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거리 추출 알고리즘에 대한 사전 설정된 예측 정보와 상기 제1 신호 처리 결과 정보를 비교하여 제1 오차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제1 오차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거리 추출 알고리즘을 오차 보정하기 위한 제1 오차 보정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제1 오차 보정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거리 추출 알고리즘의 상기 오차 보정을 수행하는 표적 정보 추출 알고리즘 테스트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오차 결정부는 복수의 수신 채널 각각에 대해 상기 제1 신호 처리 결과 정보를 생성하는 표적 정보 추출 알고리즘 테스트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오차 보정부는 상기 제1 오차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수신 채널 각각에 대한 상기 제1 오차 보정 정보를 생성하는 표적 정보 추출 알고리즘 테스트 시스템.
  7. 제4항 내지 제6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신호 처리 결과 정보 및 상기 제1 오차 정보를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정보 전송부
    를 더 포함하는 표적 정보 추출 알고리즘 테스트 시스템.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테스트 결정부는 상기 거리 및 속도 추출 알고리즘을 테스트하기 위한 상기 테스트 벡터로서 상기 제2 운용 파형 모드, 상기 복수의 레인지 빈 및 상기 복수의 도플러 빈을 결정하는 표적 정보 추출 알고리즘 테스트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오차 결정부는
    상기 제2 운용 파형 모드에 기초하여 상기 거리 및 추출 알고리즘에 상기 복수의 레인지 빈 및 상기 복수의 도플러 빈을 순차적으로 적용하여 제2 신호 처리 결과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거리 및 속도 추출 알고리즘에 대한 사전 설정된 예측 정보와 상기 제2 신호 처리 결과 정보를 비교하여 제2 오차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제2 오차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거리 및 속도 추출 알고리즘을 오차 보정하기 위한 제2 오차 보정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제2 오차 보정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거리 및 속도 추출 알고리즘의 상기 오차 보정을 수행하는 표적 정보 추출 알고리즘 테스트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오차 결정부는 복수의 수신 채널 각각에 대해 상기 제2 신호 처리 결과 정보를 생성하는 표적 정보 추출 알고리즘 테스트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오차 보정부는 상기 제2 오차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수신 채널 각각에 대한 상기 제2 오차 보정 정보를 생성하는 표적 정보 추출 알고리즘 테스트 시스템.
  12. 제9항 내지 제10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신호 처리 결과 정보 및 상기 제2 오차 정보를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정보 전송부
    를 더 포함하는 표적 정보 추출 알고리즘 테스트 시스템.
  13. 표적 정보 추출 알고리즘 테스트 시스템에서의 표적 정보 추출 알고리즘 테스트 방법으로서,
    상기 표적 정보 추출 알고리즘 테스트 시스템의 테스트 결정부에서, 표적 정보를 추출하는 표적 정보 추출 알고리즘을 테스트 하기 위한 테스트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테스트 결정부에서, 테스트 모드가 결정되면 상기 표적 정보 추출 알고리즘을 테스트하기 위한 테스트 벡터 - 상기 테스트 벡터는 운용 파형 모드에 해당하는 제1 테스트 벡터, 상기 운용 파형 모드별 레인지 빈에 해당하는 제2 테스트 벡터 및 상기 운용 파형 모드별 도플러 빈에 해당하는 제3 테스트 벡터를 포함함 -를 저장하는 저장부로부터 운용 파형 모드에 기반해서 상기 테스트 벡터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표적 정보 추출 알고리즘 테스트 시스템의 오차 결정부에서, 상기 테스트 벡터에 기초하여 상기 표적 정보 추출 알고리즘에 테스트를 수행하여 오차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표적 정보 추출 알고리즘 테스트 시스템의 오차 보정부에서, 상기 오차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표적 정보 추출 알고리즘에 대해 오차를 보정하기 위한 오차 보정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오차 보정부에서, 상기 오차 보정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표적 정보 추출 알고리즘의 오차 보정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표적 정보 추출 알고리즘 테스트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테스트 벡터는 상기 표적 정보 추출 알고리즘의 거리 추출 알고리즘을 테스트하기 위한 제1 운용 파형 모드와, 상기 표적 정보 추출 알고리즘의 거리 및 속도 추출 알고리즘을 테스트하기 위한 제2 운용 파형 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테스트 벡터는 복수의 레인지 빈에 해당하는 표적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3 테스트 벡터는 복수의 도플러 빈에 해당하는 표적 정보를 포함하는 표적 정보 추출 알고리즘 테스트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테스트 벡터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거리 추출 알고리즘을 테스트하기 위한 상기 테스트 벡터로서 상기 제1 운용 파형 모드, 상기 복수의 레인지 빈 및 고정된 도플러 빈을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표적 정보 추출 알고리즘 테스트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오차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운용 파형 모드에 기초하여 상기 거리 추출 알고리즘에 상기 복수의 레인지 빈 및 상기 고정된 도플러 빈을 순차적으로 적용하여 제1 신호 처리 결과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거리 추출 알고리즘에 대한 사전 설정된 예측 정보와 상기 제1 신호 처리 결과 정보를 비교하여 제1 오차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표적 정보 추출 알고리즘 테스트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신호 처리 결과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복수의 수신 채널 각각에 대해 상기 제1 신호 처리 결과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표적 정보 추출 알고리즘 테스트 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오차 보정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오차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거리 추출 알고리즘을 오차 보정하기 위한 제1 오차 보정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표적 정보 추출 알고리즘의 오차 보정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오차 보정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거리 추출 알고리즘의 상기 오차 보정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표적 정보 추출 알고리즘 테스트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오차 보정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오차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수신 채널 각각에 대한 상기 제1 오차 보정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표적 정보 추출 알고리즘 테스트 방법.
  20. 제16항 내지 제19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적 정보 추출 알고리즘 테스트 시스템의 정보 전송부에서, 상기 제1 신호 처리 결과 정보 및 상기 제1 오차 정보를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표적 정보 추출 알고리즘 테스트 방법.
  21.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테스트 벡터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거리 및 속도 추출 알고리즘을 테스트하기 위한 상기 테스트 벡터로서 상기 제2 운용 파형 모드, 상기 복수의 레인지 빈 및 상기 복수의 도플러 빈을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표적 정보 추출 알고리즘 테스트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오차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운용 파형 모드에 기초하여 상기 거리 및 속도 추출 알고리즘에 상기 복수의 레인지 빈 및 상기 복수의 도플러 빈을 순차적으로 적용하여 제2 신호 처리 결과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거리 및 속도 추출 알고리즘에 대한 사전 설정된 예측 정보와 상기 제2 신호 처리 결과 정보를 비교하여 제2 오차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표적 정보 추출 알고리즘 테스트 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신호 처리 결과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복수의 수신 채널 각각에 대해 상기 제2 신호 처리 결과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표적 정보 추출 알고리즘 테스트 방법.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오차 보정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오차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거리 및 속도 추출 알고리즘을 오차 보정하기 위한 제2 오차 보정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표적 정보 추출 알고리즘의 오차 보정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오차 보정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거리 및 속도 추출 알고리즘의 상기 오차 보정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표적 정보 추출 알고리즘 테스트 방법.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오차 보정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오차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수신 채널 각각에 대한 상기 제2 오차 보정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표적 정보 추출 알고리즘 테스트 방법.
  26. 제22항 내지 제25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적 정보 추출 알고리즘 테스트 시스템의 정보 전송부에서, 상기 제2 신호 처리 결과 정보 및 상기 제2 오차 정보를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표적 정보 추출 알고리즘 테스트 방법.
KR1020210139903A 2021-10-20 2021-10-20 표적 정보 추출 알고리즘 테스트 시스템 및 표적 정보 추출 알고리즘 테스트 방법 KR1026511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9903A KR102651165B1 (ko) 2021-10-20 2021-10-20 표적 정보 추출 알고리즘 테스트 시스템 및 표적 정보 추출 알고리즘 테스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9903A KR102651165B1 (ko) 2021-10-20 2021-10-20 표적 정보 추출 알고리즘 테스트 시스템 및 표적 정보 추출 알고리즘 테스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6180A KR20230056180A (ko) 2023-04-27
KR102651165B1 true KR102651165B1 (ko) 2024-03-26

Family

ID=860996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9903A KR102651165B1 (ko) 2021-10-20 2021-10-20 표적 정보 추출 알고리즘 테스트 시스템 및 표적 정보 추출 알고리즘 테스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1165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8099B1 (ko) 2016-12-23 2018-03-13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모노펄스 레이더 시스템 및 이의 보정 방법
KR102067772B1 (ko) 2019-03-28 2020-01-17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레이더 신호 처리 장치의 시험 방법
KR102112186B1 (ko) 2019-10-31 2020-05-18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능동 배열 레이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성능 시험 방법
KR102241425B1 (ko) 2019-11-07 2021-04-16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모의신호 송수신시스템 및 제어방법
KR102262197B1 (ko) 2018-12-11 2021-06-07 주식회사 한화 Fmcw 레이다의 신호를 활용하여 표적의 형상을 추정하는 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8099B1 (ko) 2016-12-23 2018-03-13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모노펄스 레이더 시스템 및 이의 보정 방법
KR102262197B1 (ko) 2018-12-11 2021-06-07 주식회사 한화 Fmcw 레이다의 신호를 활용하여 표적의 형상을 추정하는 장치 및 그 방법
KR102067772B1 (ko) 2019-03-28 2020-01-17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레이더 신호 처리 장치의 시험 방법
KR102112186B1 (ko) 2019-10-31 2020-05-18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능동 배열 레이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성능 시험 방법
KR102241425B1 (ko) 2019-11-07 2021-04-16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모의신호 송수신시스템 및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6180A (ko) 2023-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92050A (en) Method of recognizing a radar target object type and apparatus therefor
US8823580B2 (en) FMCW radar sensor and method for frequency matching
KR102084210B1 (ko) 전자교란을 위한 동기식 부엽 재밍 방법
KR102264073B1 (ko) 편대 비행체 추적방법 및 장치
KR100977004B1 (ko) 전자전 장비의 성능시험 및 고장탐지 점검시스템
KR101882482B1 (ko) 표적 인식 장치 및 방법
KR20200020057A (ko) 인공 지능을 이용하여 레이더 신호로부터 타겟을 추적하는 방법 및 그 장치
KR102651165B1 (ko) 표적 정보 추출 알고리즘 테스트 시스템 및 표적 정보 추출 알고리즘 테스트 방법
US6714481B1 (en) System and method for active sonar signal detection and classification
CA2516796A1 (en) A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tance measurement with controlled modulation of emitted pulses
US5377162A (en) Underwater object passive tracking process and device
JP5025403B2 (ja) 目標検出装置
US6525990B2 (en) Target simulation system and method
KR102190875B1 (ko) 수신신호 보정방법, 수신신호 보정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펄스 레이다
KR102593897B1 (ko) 수동형 레이더의 재밍 성능 분석을 위한 재밍 모의 방법 및 장치
US6819230B2 (en) Target track crossing prediction/detection
KR101877216B1 (ko) 표적 탐지 장치의 위상오차 보상장치 및 방법
JP6702549B2 (ja) 電波利用システム、測定システム、電波クラウド、及び電波利用方法
JP2002156449A (ja) レーダ装置
KR102649576B1 (ko) 위협 신호 검출 장치 및 방법
JP3882087B2 (ja) レーダ装置
KR102534483B1 (ko) 모의 데이터 생성 장치, 이를 포함하는 딥러닝 기반 레이더 시스템 및 모의 데이터 제공 방법
KR102353551B1 (ko) 대상체를 탐지하는 레이더 시스템 및 레이더 탐지 방법
KR102630235B1 (ko) 레이더 시스템에서 데이터 상관 관계를 이용하여 거리-도플러 맵을 생성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N113820675B (zh) 一种雷达测试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