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1104B1 -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1104B1
KR102651104B1 KR1020180017487A KR20180017487A KR102651104B1 KR 102651104 B1 KR102651104 B1 KR 102651104B1 KR 1020180017487 A KR1020180017487 A KR 1020180017487A KR 20180017487 A KR20180017487 A KR 20180017487A KR 102651104 B1 KR102651104 B1 KR 1026511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ze
user
display panel
image data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74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98302A (ko
Inventor
김경만
이동규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174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1104B1/ko
Priority to US16/256,191 priority patent/US11112864B2/en
Publication of KR201900983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83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11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11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7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using display pan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06F3/013Eye tracking input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display of a graphic pattern, e.g. using an all-points-addressable [APA] memory
    • G09G5/39Control of the bit-mapped memory
    • G09G5/391Resolution modifying circuits, e.g. variable screen forma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61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in the context of movement of objects on the screen or movement of the observer relative to the scree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09G2340/0407Resolution change, inclusive of the use of different resolutions for different screen area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09G2340/0442Handling or displaying different aspect ratios, or changing the aspect ratio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54/00Aspects of interface with display u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1 해상도를 가진 제1 이미지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및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 회로를 포함한다. 이 때,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 회로는 제1 해상도보다 큰 제2 해상도를 가진 제2 이미지에 상응하는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하고, 사용자 시선을 나타내는 사용자 시선 데이터를 수신하며, 사용자 시선 데이터를 기초로 이미지 데이터 중에서 사용자 시선이 반영된 부분 이미지 데이터를 선택하고, 제1 이미지가 부분 이미지 데이터를 기초로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DISPLAY DEVICE AND DISPLAY SYSTEM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 시선이 반영된 이미지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예를 들어,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head mounted display; HMD) 시스템, 가상 현실(virtual reality; VR) 시스템 등)에 관한 것이다.
최근, 가상 현실에 대한 소비자들의 요구가 높아짐에 따라 많은 제조사들이 사용자로 하여금 가상 현실을 체험할 수 있게 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예를 들어,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 가상 현실 시스템 등)을 개발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자는 안경과 같은 형태의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착용하고, 디스플레이 시스템 내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표시되는 이미지를 시청하는 방식으로 가상 현실을 체험할 수 있다. 이 때, 디스플레이 시스템 내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 시선을 중심으로 이미지를 표시해야 하므로, 사용자 시선이 반영된 이미지(즉, 사용자 시선에 일치하는 이미지)를 표시해야 한다. 따라서, 종래의 디스플레이 시스템에서는, 시선 검출 센서가 사용자 시선을 검출하여 시선 검출 신호를 생성하고, 프로세싱 유닛(예를 들어, 중앙 처리 유닛(central processing unit; CPU),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 AP) 등)이 시선 검출 신호를 기초로 사용자 시선 데이터를 생성하며, 그래픽 프로세싱 유닛(graphic proceesing unit; GPU)이 사용자 시선 데이터를 기초로 이미지 데이터(즉, 사용자 시선이 반영된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즉, 렌더링(rendering))하고, 디스플레이 장치가 그래픽 프로세싱 유닛으로부터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하여 이미지(즉, 사용자 시선이 반영된 이미지)를 표시한다. 이와 같이, 종래의 디스플레이 시스템에서는, 사용자 시선이 변경된 이후에 변경된 사용자 시선이 반영된 이미지 데이터가 생성되기 때문에, 사용자 시선이 변경된 시점과 변경된 사용자 시선이 반영된 이미지가 표시되는 시점 사이에 이미지 데이터 렌더링에 기인한 소정의 지연(즉, 레이턴시(latency))이 발생하고, 그에 따라, 사용자는 가상 현실을 체험함에 있어 상기 지연에 따른 어지러움을 느낄 수 있다. 예를 들어, 종래의 디스플레이 시스템에서는, 사용자 시선이 변경된 시점과 변경된 사용자 시선이 반영된 이미지가 표시되는 시점 사이에 이미지 데이터 렌더링에 기인한 적어도 1개의 이미지 프레임에 해당하는 지연이 발생하는데, 종래의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포함된 디스플레이 장치가 60 헤르츠(Hz)로 구동하는 경우 적어도 16.6 마이크로초(ms)에 해당하는 지연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사용자 시선이 변경된 시점과 변경된 사용자 시선이 반영된 이미지가 표시되는 시점 사이에 그래픽 프로세싱 유닛의 이미지 데이터 렌더링에 기인한 소정의 지연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목적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1 해상도를 가진 제1 이미지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 회로는 상기 제1 해상도보다 큰 제2 해상도를 가진 제2 이미지에 상응하는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하고, 사용자 시선을 나타내는 사용자 시선 데이터를 수신하며, 상기 사용자 시선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이미지 데이터 중에서 상기 사용자 시선이 반영된 부분 이미지 데이터를 선택하고, 상기 제1 이미지가 상기 부분 이미지 데이터를 기초로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 회로는 상기 제1 이미지의 중앙 영역에 상기 사용자 시선이 위치하도록 상기 부분 이미지 데이터를 선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사용자 시선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상에서 좌우 방향으로 움직임에 따라 상기 부분 이미지 데이터의 수평 중심 좌표가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사용자 시선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기 설정된 중앙 영역일 때, 상기 수평 중심 좌표는 이동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사용자 시선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기 중앙 영역을 벗어나 좌측으로 이동할 때, 상기 수평 중심 좌표는 좌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사용자 시선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기 중앙 영역을 벗어나 우측으로 이동할 때, 상기 수평 중심 좌표는 우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사용자 시선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상에서 상하 방향으로 움직임에 따라 상기 부분 이미지 데이터의 수직 중심 좌표가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사용자 시선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기 설정된 중앙 영역일 때, 상기 수직 중심 좌표는 이동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사용자 시선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기 중앙 영역을 벗어나 상측으로 이동할 때, 상기 수직 중심 좌표는 상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사용자 시선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기 중앙 영역을 벗어나 하측으로 이동할 때, 상기 수직 중심 좌표는 하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제1 해상도를 가진 제1 이미지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사용자 시선을 검출하여 시선 검출 신호를 생성하는 시선 검출 센서, 상기 시선 검출 신호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 시선을 나타내는 사용자 시선 데이터를 생성하는 프로세싱 유닛, 및 상기 제1 해상도보다 큰 제2 해상도를 가진 제2 이미지에 상응하는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는 그래픽 프로세싱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프로세싱 유닛으로부터 상기 사용자 시선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그래픽 프로세싱 유닛으로부터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하며, 상기 사용자 시선 데이터 및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 시선을 반영하여 상기 제1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사용자 시선 데이터에 관한 정보 또는 상기 제1 이미지에 반영된 상기 사용자 시선에 관한 정보를 상기 그래픽 프로세싱 유닛에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제1 이미지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시선 데이터를 수신하며, 상기 사용자 시선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이미지 데이터 중에서 상기 사용자 시선이 반영된 부분 이미지 데이터를 선택하고, 상기 제1 이미지가 상기 부분 이미지 데이터를 기초로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 회로는 상기 제1 이미지의 중앙 영역에 상기 사용자 시선이 위치하도록 상기 부분 이미지 데이터를 선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사용자 시선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상에서 좌우 방향으로 움직임에 따라 상기 부분 이미지 데이터의 수평 중심 좌표가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사용자 시선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기 설정된 중앙 영역일 때, 상기 수평 중심 좌표는 이동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사용자 시선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기 중앙 영역을 벗어나 좌측으로 이동할 때, 상기 수평 중심 좌표는 좌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사용자 시선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기 중앙 영역을 벗어나 우측으로 이동할 때, 상기 수평 중심 좌표는 우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사용자 시선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상에서 상하 방향으로 움직임에 따라 상기 부분 이미지 데이터의 수직 중심 좌표가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사용자 시선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기 설정된 중앙 영역일 때, 상기 수직 중심 좌표는 이동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사용자 시선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기 중앙 영역을 벗어나 상측으로 이동할 때, 상기 수직 중심 좌표는 상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사용자 시선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기 중앙 영역을 벗어나 하측으로 이동할 때, 상기 수직 중심 좌표는 하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 회로로 하여금 디스플레이 패널 상에 표시될 제1 이미지의 해상도(즉, 제1 해상도)보다 큰 해상도(즉, 제2 해상도)를 가진 제2 이미지에 상응하는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하고, 사용자 시선을 나타내는 사용자 시선 데이터를 수신하며, 사용자 시선 데이터를 기초로 이미지 데이터 중에서 사용자 시선이 반영된 부분 이미지 데이터를 선택하고, 제1 이미지가 부분 이미지 데이터를 기초로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하게 함으로써, 사용자 시선이 변경된 시점과 변경된 사용자 시선이 반영된 이미지가 표시되는 시점 사이에 그래픽 프로세싱 유닛의 이미지 데이터 렌더링에 기인한 소정의 지연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가상 현실을 체험함에 있어 시선 변경에 따른 어지러움을 느끼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효과는 상술한 효과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사용자 시선이 반영된 제1 이미지를 표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a 및 도 3b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패널의 중앙 영역을 쳐다볼 때 도 1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상하 방향으로 제2 이미지 중에서 제1 이미지를 선택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4a 및 도 4b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패널의 하측 영역을 쳐다볼 때 도 1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상하 방향으로 제2 이미지 중에서 제1 이미지를 선택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5a 및 도 5b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측 영역을 쳐다볼 때 도 1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상하 방향으로 제2 이미지 중에서 제1 이미지를 선택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6a 및 도 6b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패널의 중앙 영역을 쳐다볼 때 도 1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좌우 방향으로 제2 이미지 중에서 제1 이미지를 선택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7a 및 도 7b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패널의 우측 영역을 쳐다볼 때 도 1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좌우 방향으로 제2 이미지 중에서 제1 이미지를 선택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8a 및 도 8b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패널의 좌측 영역을 쳐다볼 때 도 1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좌우 방향으로 제2 이미지 중에서 제1 이미지를 선택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0은 도 9의 디스플레이 시스템이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으로 구현된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는 도 9의 디스플레이 시스템에서 디스플레이 장치와 그래픽 프로세싱 유닛이 인터액션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은 도 9의 디스플레이 시스템에서 디스플레이 장치와 그래픽 프로세싱 유닛이 인터액션하는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면 상의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2는 도 1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사용자 시선이 반영된 이미지를 표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패널(120) 및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 회로(1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 회로(140)는 디스플레이 타이밍 컨트롤러(142) 및 디스플레이 패널 드라이버(144)(즉, 소스 드라이버 및 데이터 드라이버)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20)은 화소 회로(P)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패널(120)은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패널일 수 있다. 이 경우, 화소 회로(P)들 각각은 액정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패널(120)은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OLED) 패널일 수 있다. 이 경우, 화소 회로(P)들 각각은 발광 소자(예를 들어, 유기 발광 다이오드 등)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화소 회로(P)들은 디스플레이 패널(120) 내에서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20)은 화소 회로(P)들을 이용하여 제1 해상도를 가진 제1 이미지(FIM)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20)은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 회로(140) 내 디스플레이 패널 드라이버(144)에 연결되고, 디스플레이 패널 드라이버(144)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 신호(DS) 및 스캔 신호(SS)에 응답하여 제1 해상도를 가진 제1 이미지(FIM)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 회로(140)는 디스플레이 패널(120)을 구동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 회로(140)는 데이터 라인들을 통해 디스플레이 패널(120)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 회로(140)는 데이터 라인들을 통해 데이터 신호(DS)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이미지(FIM)의 제1 해상도가 m*n(단, m과 n은 1이상의 정수)인 경우, 데이터 라인들의 개수는 m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이미지(FIM)의 제1 해상도가 1920*1080인 경우, 데이터 라인들의 개수는 1920개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 회로(140)는 스캔 라인들을 통해 디스플레이 패널(120)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 회로(140)는 스캔 라인들을 통해 스캔 신호(SS)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이미지(FIM)의 제1 해상도가 m*n인 경우, 스캔 라인들의 개수는 n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이미지(FIM)의 제1 해상도가 1920*1080인 경우, 스캔 라인들의 개수는 1080개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 회로(140)는 디스플레이 패널(120)에 데이터 신호(DS) 및 스캔 신호(SS)를 제공함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120)로 하여금 제1 해상도를 가진 제1 이미지(FIM)를 표시하게 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 회로(140)는 제1 이미지(FIM)의 제1 해상도보다 큰 제2 해상도를 가진 제2 이미지(SIM)에 상응하는 이미지 데이터(SID)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래픽 프로세싱 유닛이 제2 해상도를 가진 제2 이미지(SIM)에 상응하는 이미지 데이터(SID)를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 회로(140)는 그래픽 프로세싱 유닛으로부터 제2 해상도를 가진 제2 이미지(SIM)에 상응하는 이미지 데이터(SID)를 제공받을 수 있다. 다시 말하면, 그래픽 프로세싱 유닛은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출력(즉, 디스플레이 패널(140)이 표시)하는 제1 해상도를 가진 제1 이미지(FIM)에 상응하는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즉, 렌더링)하는 것이 아니라, 제1 해상도를 가진 제1 이미지(FIM)에 상응하는 이미지 데이터보다 큰 제2 해상도를 가진 제2 이미지(SIM)에 상응하는 이미지 데이터(SID)를 생성하는 것이다. 이에,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이미지 데이터(SID) 중에서 부분 이미지 데이터(FID)를 선택하고, 제1 해상도를 가진 제1 이미지(FIM)에 상응하는 부분 이미지 데이터(FID)를 기초로 표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 회로(140)는 사용자 시선을 나타내는 사용자 시선 데이터(UED)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선 검출 센서가 사용자 시선을 검출하여 시선 검출 신호를 생성하고, 프로세싱 유닛이 시선 검출 신호를 기초로 사용자 시선 데이터(UED)를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 회로(140)는 프로세싱 유닛으로부터 사용자 시선 데이터(UED)를 제공받을 수 있다. 즉, 종래에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아닌 그래픽 프로세싱 유닛이 사용자 시선 데이터(UED)를 수신하고, 디스플레이 장치는 그래픽 프로세싱 유닛에 의해 사용자 시선이 반영된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하는 반면에,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 시선 데이터(UED)를 직접 수신하여 사용자 시선이 반영된 이미지 데이터(즉, 부분 이미지 데이터(FID))를 결정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본 발명에서는 그래픽 프로세싱 유닛이 사용자 시선 데이터(UED)를 수신하지 않는 것이다.
이후,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 회로(140)는 사용자 시선 데이터(UED)를 기초로 이미지 데이터(SID) 중에서 사용자 시선이 반영된 부분 이미지 데이터(FID)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 회로(140)는 사용자 시선 데이터(UED)로부터 사용자 시선을 파악하고, 이미지 데이터(SID)(즉, 제2 이미지(SIM)에 상응) 중에서 사용자 시선을 중심으로 한 소정의 영역에 해당하는 부분 이미지 데이터(FID)(즉, 제1 이미지(FIM)에 상응)를 선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 회로(140)는 제1 이미지(FIM)의 중앙 영역에 사용자 시선이 위치하도록 부분 이미지 데이터(FID)를 선택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시선이 제1 이미지(FIM)의 중심(center)에 위치할 수 있으나, 그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제1 이미지(FIM)의 중앙 영역 내 임의의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시선이 제1 이미지(FIM)의 중심에 위치하고, 사용자 시선의 제2 이미지(SIM) 상의 좌표가 (x, y)이며, 제1 이미지(FIM)의 제1 해상도가 m*n이라고 가정하면, 이미지 데이터(SID) 중에서 제2 이미지(SIM) 상의 x-(m/2)에서 x+(m/2)까지의 수평 좌표 구간과 y-(n/2)에서 y+(n/2)까지의 수직 좌표 구간으로 정해진 영역에 해당하는 부분 이미지 데이터(FID)가 선택될 수 있다. 다만, 이것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미지 데이터(SID) 중에서 부분 이미지 데이터(FID)가 선택되는 방식이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다음,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 회로(140)는 제1 해상도를 가진 제1 이미지(FIM)가 부분 이미지 데이터(FID)를 기초로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 패널(120)을 구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 회로(140)는 제2 이미지(SIM) 중에서 제1 이미지(FIM)만을 표시하기 위한 데이터 신호(DS)와 스캔 신호(SS)를 생성하고, 데이터 신호(DS)와 스캔 신호(SS)를 디스플레이 패널(120)에 인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시선이 디스플레이 패널(120) 상에서 좌우 방향으로 움직임에 따라 제1 이미지(FIM)에 상응하는 부분 이미지 데이터(FID)의 수평 중심 좌표가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 회로(140)는, 사용자 시선이 디스플레이 패널(120) 상에서 좌측으로 이동하면, 제1 이미지(FIM)에 상응하는 부분 이미지 데이터(FID)의 수평 중심 좌표를 좌측으로 이동시키고, 사용자 시선이 디스플레이 패널(120) 상에서 우측으로 이동하면, 제1 이미지(FIM)에 상응하는 부분 이미지 데이터(FID)의 수평 중심 좌표를 우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 회로(140)는 사용자 시선이 디스플레이 패널(120) 상에서 좌우 방향으로 움직이더라도, 그 움직임이 크지 않은 경우에는 제1 이미지(FIM)에 상응하는 부분 이미지 데이터(FID)의 수평 중심 좌표를 이동시키지 않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시선이 디스플레이 패널(120)의 기 설정된 중앙 영역일 때, 제1 이미지(FIM)에 상응하는 부분 이미지 데이터(FID)의 수평 중심 좌표는 이동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시선이 디스플레이 패널(120)의 기 설정된 중앙 영역을 벗어나 좌측으로 이동할 때, 제1 이미지(FIM)에 상응하는 부분 이미지 데이터(FID)의 수평 중심 좌표는 좌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나아가, 사용자 시선이 디스플레이 패널(120)의 기 설정된 중앙 영역을 벗어나 우측으로 이동할 때, 제1 이미지(FIM)에 상응하는 부분 이미지 데이터(FID)의 수평 중심 좌표는 우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 때, 기 설정된 중앙 영역은 요구되는 조건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시선의 작은 변화에 대해서는 제1 이미지(FIM)에 상응하는 부분 이미지 데이터(FID)의 수평 중심 좌표를 변경하는 것이 요구되지 않는 경우 기 설정된 중앙 영역은 넓어질 수 있고, 사용자 시선의 작은 변화에 대해서까지 제1 이미지(FIM)에 상응하는 부분 이미지 데이터(FID)의 수평 중심 좌표를 변경하는 것이 요구되는 경우 기 설정된 중앙 영역은 좁아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시선이 디스플레이 패널(120) 상에서 상하 방향으로 움직임에 따라 제1 이미지(FIM)에 상응하는 부분 이미지 데이터(FID)의 수직 중심 좌표가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 회로(140)는, 사용자 시선이 디스플레이 패널(120) 상에서 상측으로 이동하면, 제1 이미지(FIM)에 상응하는 부분 이미지 데이터(FID)의 수직 중심 좌표를 상측으로 이동시키고, 사용자 시선이 디스플레이 패널(120) 상에서 하측으로 이동하면, 제1 이미지(FIM)에 상응하는 부분 이미지 데이터(FID)의 수직 중심 좌표를 하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 회로(140)는 사용자 시선이 디스플레이 패널(120) 상에서 상하 방향으로 움직이더라도, 그 움직임이 크지 않은 경우에는 제1 이미지(FIM)에 상응하는 부분 이미지 데이터(FID)의 수평 중심 좌표를 이동시키지 않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시선이 디스플레이 패널(120)의 기 설정된 중앙 영역일 때, 제1 이미지(FIM)에 상응하는 부분 이미지 데이터(FID)의 수직 중심 좌표는 이동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시선이 디스플레이 패널(120)의 기 설정된 중앙 영역을 벗어나 상측으로 이동할 때, 제1 이미지(FIM)에 상응하는 부분 이미지 데이터(FID)의 수직 중심 좌표는 상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나아가, 사용자 시선이 디스플레이 패널(120)의 기 설정된 중앙 영역을 벗어나 하측으로 이동할 때, 제1 이미지(FIM)에 상응하는 부분 이미지 데이터(FID)의 수직 중심 좌표는 하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 때, 기 설정된 중앙 영역은 요구되는 조건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시선의 작은 변화에 대해서는 제1 이미지(FIM)에 상응하는 부분 이미지 데이터(FID)의 수직 중심 좌표를 변경하는 것이 요구되지 않는 경우 기 설정된 중앙 영역은 넓어질 수 있고, 사용자 시선의 작은 변화에 대해서까지 제1 이미지(FIM)에 상응하는 부분 이미지 데이터(FID)의 수평 중심 좌표를 변경하는 것이 요구되는 경우 기 설정된 중앙 영역은 좁아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패널(120) 상에 표시될 제1 이미지(FIM)의 해상도(즉, 제1 해상도)보다 큰 해상도(즉, 제2 해상도)를 가진 제2 이미지(SIM)에 상응하는 이미지 데이터(SID)를 수신하고, 사용자 시선을 나타내는 사용자 시선 데이터(UED)를 수신하며, 사용자 시선 데이터(UED)를 기초로 이미지 데이터(SID) 중에서 사용자 시선이 반영된 부분 이미지 데이터(FID)를 선택하고, 제1 이미지(FIM)가 부분 이미지 데이터(FID)를 기초로 표시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 시선이 변경된 시점과 변경된 사용자 시선이 반영된 이미지가 표시되는 시점 사이에 그래픽 프로세싱 유닛의 이미지 데이터 렌더링에 기인한 소정의 지연이 발생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그래픽 프로세싱 유닛이 변경된 사용자 시선이 반영된 이미지를 생성(즉, 렌더링)하는 것을 요구하지 않는 방식(즉, 그래픽 프로세싱 유닛은 사용자 시선의 변경과 관계없이 이미지 데이터(SID)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제공)으로서, 사용자 시선 데이터(UED)를 직접 수신하여 그래픽 프로세싱 유닛으로부터 수신된 이미지 데이터(SID) 중에서 제1 해상도를 갖는 제1 이미지(FIM)에 상응하는 부분 이미지 데이터(FID)를 선택함으로써, 사용자 시선이 반영된 이미지(즉, 제1 이미지(FIM))를 간단한 방식으로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종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비해 사용자 시선의 변경에 빠르게 응답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사용자로 하여금 가상 현실을 체험함에 있어 시선 변경에 따른 어지러움을 느끼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1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디스플레이 패널(120) 및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 회로(140)(즉, 디스플레이 타이밍 컨트롤러(142) 및 디스플레이 패널 드라이버(144))만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다른 구성 요소들(예를 들어, 프로세서, 프레임 버퍼 메모리, 라인 버퍼 메모리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패널의 중앙 영역을 쳐다볼 때 도 1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상하 방향으로 제2 이미지 중에서 제1 이미지를 선택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사용자 시선이 디스플레이 패널(120) 상에서 상하 방향(FDN)으로 움직임에 따라 제1 이미지(FIM)에 상응하는 부분 이미지 데이터(FID)의 수직 중심 좌표(VCC)가 결정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는 사용자 시선이 디스플레이 패널(120)의 기 설정된 중앙 영역인 경우, 제1 이미지(FIM)에 상응하는 부분 이미지 데이터(FID)의 수직 중심 좌표(VCC)가 이동하지 않는 일 예를 보여주고 있다. 한편, 도 3a 및 도 3b에서는 제1 이미지(FIM)의 제1 해상도가 1920*1080이고, 제2 이미지(SIM)의 제2 해상도는 2560*1440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도 3a 및 도 3b에서는 제1 이미지(FIM)가 1920개의 수직 라인들 및 1080개의 수평 라인들로 구성되고, 제2 이미지(SIM)가 2560개의 수직 라인들 및 1440개의 수평 라인들로 구성된 것으로 가정하기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 회로(140)는 제2 해상도를 가진 제2 이미지(SIM)에 상응하는 이미지 데이터(SID)를 수신하고, 사용자 시선을 나타내는 사용자 시선 데이터(UED)를 수신하며, 사용자 시선 데이터(UED)를 기초로 이미지 데이터(SID) 중에서 사용자 시선이 반영된 부분 이미지 데이터(FID)를 선택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이미지(SIM)에 상응하는 이미지 데이터(SID)의 수직 방향 영역(VTP)은 제1 수직 블랭크 영역(VBP1), 액티브 영역(ACP) 및 제2 수직 블랭크 영역(VBP2)으로 구분되고, 액티브 영역(ACP)이 제1 이미지(FIM)에 상응하는 부분 이미지 데이터(FID)로 결정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시선이 디스플레이 패널(120)의 기 설정된 중앙 영역이기 때문에, 제1 이미지(FIM)에 상응하는 부분 이미지 데이터(FID)의 수직 중심 좌표(VCC)가 이동하지 않았다. 이에, 제1 수직 블랭크 영역(VBP1)과 제2 수직 블랭크 영역(VBP2)은 동일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제1 수직 블랭크 영역(VBP1)에는 제2 이미지(SIM)의 제1 내지 제180 수평 라인들(Line 1, ..., Line 180)이 속하고, 제2 수직 블랭크 영역(VBP2)에는 제2 이미지(SIM)의 제1261 내지 제1440 수평 라인들(Line 1261, ..., Line 1440)이 속하며, 액티브 영역(ACP)에는 제2 이미지(SIM)의 제181 내지 제1260 수평 라인들(Line 181, ..., Line 1260)이 속할 수 있다. 즉, 제1 수직 블랭크 영역(VBP1)은 180개의 수평 라인들(Line 1, ..., Line 180)을 포함하고, 제2 수직 블랭크 영역(VBP2)도 180개의 수평 라인들(Line 1261, ..., Line 1440)을 포함하며, 액티브 영역(ACP)은 1080개의 수평 라인들(Line 181, ..., Line 1260)을 포함할 수 있다. 그 결과,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 회로(140)는 액티브 영역(ACP)에 속하는 제2 이미지(SIM)의 제181 내지 제1260 수평 라인들(Line 181, ..., Line 1260)을 제1 이미지(SIM)의 제1 내지 제1080 수평 라인들에 대응시키는 방식으로 제2 이미지(SIM)에 상응하는 이미지 데이터(SID) 중에서 제1 이미지(FIM)에 상응하는 부분 이미지 데이터(FID)를 선택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패널의 하측 영역을 쳐다볼 때 도 1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상하 방향으로 제2 이미지 중에서 제1 이미지를 선택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사용자 시선이 디스플레이 패널(120) 상에서 상하 방향(FDN)으로 움직임에 따라 제1 이미지(FIM)에 상응하는 부분 이미지 데이터(FID)의 수직 중심 좌표(VCC)가 결정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는 사용자 시선이 디스플레이 패널(120)의 기 설정된 중앙 영역을 벗어나 하측으로 이동한 경우, 제1 이미지(FIM)에 상응하는 부분 이미지 데이터(FID)의 수직 중심 좌표(VCC)가 하측으로 이동한 일 예를 보여주고 있다. 한편, 도 4a 및 도 4b에서는 제1 이미지(FIM)의 제1 해상도가 1920*1080이고, 제2 이미지(SIM)의 제2 해상도는 2560*1440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도 4a 및 도 4b에서는 제1 이미지(FIM)가 1920개의 수직 라인들 및 1080개의 수평 라인들로 구성되고, 제2 이미지(SIM)가 2560개의 수직 라인들 및 1440개의 수평 라인들로 구성된 것으로 가정하기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 회로(140)는 제2 해상도를 가진 제2 이미지(SIM)에 상응하는 이미지 데이터(SID)를 수신하고, 사용자 시선을 나타내는 사용자 시선 데이터(UED)를 수신하며, 사용자 시선 데이터(UED)를 기초로 이미지 데이터(SID) 중에서 사용자 시선이 반영된 부분 이미지 데이터(FID)를 선택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이미지(SIM)에 상응하는 이미지 데이터(SID)의 수직 방향 영역(VTP)은 제1 수직 블랭크 영역(VBP1), 액티브 영역(ACP) 및 제2 수직 블랭크 영역(VBP2)으로 구분되고, 액티브 영역(ACP)이 제1 이미지(FIM)에 상응하는 부분 이미지 데이터(FID)로 결정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시선이 디스플레이 패널(120)의 기 설정된 중앙 영역을 벗어나 하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제1 이미지(FIM)에 상응하는 부분 이미지 데이터(FID)의 수직 중심 좌표(VCC)도 하측으로 이동하였다. 이에, 제1 수직 블랭크 영역(VBP1)은 제2 수직 블랭크 영역(VBP2)보다 클 수 있다. 따라서, 제1 수직 블랭크 영역(VBP1)에는 제2 이미지(SIM)의 제1 내지 제200 수평 라인들(Line 1, ..., Line 200)이 속하고, 제2 수직 블랭크 영역(VBP2)에는 제2 이미지(SIM)의 제1281 내지 제1440 수평 라인들(Line 1281, ..., Line 1440)이 속하며, 액티브 영역(ACP)에는 제2 이미지(SIM)의 제201 내지 제1280 수평 라인들(Line 201, ..., Line 1280)이 속할 수 있다. 즉, 제1 수직 블랭크 영역(VBP1)은 200개의 수평 라인들(Line 1, ..., Line 200)을 포함하고, 제2 수직 블랭크 영역(VBP2)은 160개의 수평 라인들(Line 1281, ..., Line 1440)을 포함하며, 액티브 영역(ACP)은 1080개의 수평 라인들(Line 201, ..., Line 1280)을 포함할 수 있다. 그 결과,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 회로(140)는 액티브 영역(ACP)에 속하는 제2 이미지(SIM)의 제201 내지 제1280 수평 라인들(Line 201, ..., Line 1280)을 제1 이미지(SIM)의 제1 내지 제1080 수평 라인들에 대응시키는 방식으로 제2 이미지(SIM)에 상응하는 이미지 데이터(SID) 중에서 제1 이미지(FIM)에 상응하는 부분 이미지 데이터(FID)를 선택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측 영역을 쳐다볼 때 도 1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상하 방향으로 제2 이미지 중에서 제1 이미지를 선택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사용자 시선이 디스플레이 패널(120) 상에서 상하 방향(FDN)으로 움직임에 따라 제1 이미지(FIM)에 상응하는 부분 이미지 데이터(FID)의 수직 중심 좌표(VCC)가 결정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는 사용자 시선이 디스플레이 패널(120)의 기 설정된 중앙 영역을 벗어나 상측으로 이동한 경우, 제1 이미지(FIM)에 상응하는 부분 이미지 데이터(FID)의 수직 중심 좌표(VCC)가 상측으로 이동한 일 예를 보여주고 있다. 한편, 도 5a 및 도 5b에서는 제1 이미지(FIM)의 제1 해상도가 1920*1080이고, 제2 이미지(SIM)의 제2 해상도는 2560*1440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도 5a 및 도 5b에서는 제1 이미지(FIM)가 1920개의 수직 라인들 및 1080개의 수평 라인들로 구성되고, 제2 이미지(SIM)가 2560개의 수직 라인들 및 1440개의 수평 라인들로 구성된 것으로 가정하기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 회로(140)는 제2 해상도를 가진 제2 이미지(SIM)에 상응하는 이미지 데이터(SID)를 수신하고, 사용자 시선을 나타내는 사용자 시선 데이터(UED)를 수신하며, 사용자 시선 데이터(UED)를 기초로 이미지 데이터(SID) 중에서 사용자 시선이 반영된 부분 이미지 데이터(FID)를 선택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이미지(SIM)에 상응하는 이미지 데이터(SID)의 수직 방향 영역(VTP)은 제1 수직 블랭크 영역(VBP1), 액티브 영역(ACP) 및 제2 수직 블랭크 영역(VBP2)으로 구분되고, 액티브 영역(ACP)이 제1 이미지(FIM)에 상응하는 부분 이미지 데이터(FID)로 결정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시선이 디스플레이 패널(120)의 기 설정된 중앙 영역을 벗어나 상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제1 이미지(FIM)에 상응하는 부분 이미지 데이터(FID)의 수직 중심 좌표(VCC)도 상측으로 이동하였다. 이에, 제1 수직 블랭크 영역(VBP1)은 제2 수직 블랭크 영역(VBP2)보다 작을 수 있다. 따라서, 제1 수직 블랭크 영역(VBP1)에는 제2 이미지(SIM)의 제1 내지 제150 수평 라인들(Line 1, ..., Line 150)이 속하고, 제2 수직 블랭크 영역(VBP2)에는 제2 이미지(SIM)의 제1231 내지 제1440 수평 라인들(Line 1231, ..., Line 1440)이 속하며, 액티브 영역(ACP)에는 제2 이미지(SIM)의 제151 내지 제1230 수평 라인들(Line 151, ..., Line 1230)이 속할 수 있다. 즉, 제1 수직 블랭크 영역(VBP1)은 150개의 수평 라인들(Line 1, ..., Line 150)을 포함하고, 제2 수직 블랭크 영역(VBP2)은 210개의 수평 라인들(Line 1231, ..., Line 1440)을 포함하며, 액티브 영역(ACP)은 1080개의 수평 라인들(Line 151, ..., Line 1230)을 포함할 수 있다. 그 결과,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 회로(140)는 액티브 영역(ACP)에 속하는 제2 이미지(SIM)의 제151 내지 제1230 수평 라인들(Line 151, ..., Line 1230)을 제1 이미지(SIM)의 제1 내지 제1080 수평 라인들에 대응시키는 방식으로 제2 이미지(SIM)에 상응하는 이미지 데이터(SID) 중에서 제1 이미지(FIM)에 상응하는 부분 이미지 데이터(FID)를 선택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패널의 중앙 영역을 쳐다볼 때 도 1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좌우 방향으로 제2 이미지 중에서 제1 이미지를 선택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사용자 시선이 디스플레이 패널(120) 상에서 좌우 방향(SDN)으로 움직임에 따라 제1 이미지(FIM)에 상응하는 부분 이미지 데이터(FID)의 수평 중심 좌표(HCC)가 결정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는 사용자 시선이 디스플레이 패널(120)의 기 설정된 중앙 영역인 경우, 제1 이미지(FIM)에 상응하는 부분 이미지 데이터(FID)의 수평 중심 좌표(HCC)가 이동하지 않는 일 예를 보여주고 있다. 한편, 도 6a 및 도 6b에서는 제1 이미지(FIM)의 제1 해상도가 1920*1080이고, 제2 이미지(SIM)의 제2 해상도는 2560*1440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도 6a 및 도 6b에서는 제1 이미지(FIM)가 1920개의 수직 라인들 및 1080개의 수평 라인들로 구성되고, 제2 이미지(SIM)가 2560개의 수직 라인들 및 1440개의 수평 라인들로 구성된 것으로 가정하기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 회로(140)는 제2 해상도를 가진 제2 이미지(SIM)에 상응하는 이미지 데이터(SID)를 수신하고, 사용자 시선을 나타내는 사용자 시선 데이터(UED)를 수신하며, 사용자 시선 데이터(UED)를 기초로 이미지 데이터(SID) 중에서 사용자 시선이 반영된 부분 이미지 데이터(FID)를 선택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이미지(SIM)에 상응하는 이미지 데이터(SID)의 수평 방향 영역(HTP)은 제1 수평 블랭크 영역(HBP1), 액티브 영역(ACP) 및 제2 수평 블랭크 영역(HBP2)으로 구분되고, 액티브 영역(ACP)이 제1 이미지(FIM)에 상응하는 부분 이미지 데이터(FID)로 결정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시선이 디스플레이 패널(120)의 기 설정된 중앙 영역이기 때문에, 제1 이미지(FIM)에 상응하는 부분 이미지 데이터(FID)의 수평 중심 좌표(HCC)가 이동하지 않았다. 이에, 제1 수평 블랭크 영역(HBP1)과 제2 수평 블랭크 영역(HBP2)은 동일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제1 수평 블랭크 영역(HBP1)에는 제2 이미지(SIM)의 제1 내지 제320 수직 라인들(1, ..., 320)이 속하고, 제2 수평 블랭크 영역(HBP2)에는 제2 이미지(SIM)의 제2241 내지 제2560 수직 라인들(2241, ..., 2560)이 속하며, 액티브 영역(ACP)에는 제2 이미지(SIM)의 제321 내지 제2240 수직 라인들(321, ..., 2240)이 속할 수 있다. 즉, 제1 수평 블랭크 영역(HBP1)은 320개의 수직 라인들(1, ..., 320)을 포함하고, 제2 수평 블랭크 영역(HBP2)도 320개의 수직 라인들(2241, ..., 2560)을 포함하며, 액티브 영역(ACP)은 1920개의 수직 라인들(321, ..., 2240)을 포함할 수 있다. 그 결과,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 회로(140)는 액티브 영역(ACP)에 속하는 제2 이미지(SIM)의 제321 내지 제2240 수직 라인들(321, ..., 2240)을 제1 이미지(SIM)의 제1 내지 제1920 수직 라인들에 대응시키는 방식으로 제2 이미지(SIM)에 상응하는 이미지 데이터(SID) 중에서 제1 이미지(FIM)에 상응하는 부분 이미지 데이터(FID)를 선택할 수 있다.
도 7a 및 도 7b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패널의 우측 영역을 쳐다볼 때 도 1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좌우 방향으로 제2 이미지 중에서 제1 이미지를 선택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면, 사용자 시선이 디스플레이 패널(120) 상에서 좌우 방향(SDN)으로 움직임에 따라 제1 이미지(FIM)에 상응하는 부분 이미지 데이터(FID)의 수평 중심 좌표(HCC)가 결정될 수 있다. 도 7a 및 도 7b는 사용자 시선이 디스플레이 패널(120)의 기 설정된 중앙 영역을 벗어나 우측으로 이동한 경우, 제1 이미지(FIM)에 상응하는 부분 이미지 데이터(FID)의 수평 중심 좌표(HCC)가 우측으로 이동한 일 예를 보여주고 있다. 한편, 도 7a 및 도 7b에서는 제1 이미지(FIM)의 제1 해상도가 1920*1080이고, 제2 이미지(SIM)의 제2 해상도는 2560*1440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도 7a 및 도 7b에서는 제1 이미지(FIM)가 1920개의 수직 라인들 및 1080개의 수평 라인들로 구성되고, 제2 이미지(SIM)가 2560개의 수직 라인들 및 1440개의 수평 라인들로 구성된 것으로 가정하기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 회로(140)는 제2 해상도를 가진 제2 이미지(SIM)에 상응하는 이미지 데이터(SID)를 수신하고, 사용자 시선을 나타내는 사용자 시선 데이터(UED)를 수신하며, 사용자 시선 데이터(UED)를 기초로 이미지 데이터(SID) 중에서 사용자 시선이 반영된 부분 이미지 데이터(FID)를 선택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이미지(SIM)에 상응하는 이미지 데이터(SID)의 수평 방향 영역(HTP)은 제1 수평 블랭크 영역(HBP1), 액티브 영역(ACP) 및 제2 수평 블랭크 영역(HBP2)으로 구분되고, 액티브 영역(ACP)이 제1 이미지(FIM)에 상응하는 부분 이미지 데이터(FID)로 결정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시선이 디스플레이 패널(120)의 기 설정된 중앙 영역을 벗어나 우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제1 이미지(FIM)에 상응하는 부분 이미지 데이터(FID)의 수평 중심 좌표(HCC)도 우측으로 이동하였다. 이에, 제1 수평 블랭크 영역(HBP1)은 제2 수평 블랭크 영역(HBP2)보다 클 수 있다. 따라서, 제1 수평 블랭크 영역(HBP1)에는 제2 이미지(SIM)의 제1 내지 제340 수직 라인들(1, ..., 340)이 속하고, 제2 수평 블랭크 영역(HBP2)에는 제2 이미지(SIM)의 제2261 내지 제2560 수직 라인들(2261, ..., 2560)이 속하며, 액티브 영역(ACP)에는 제2 이미지(SIM)의 제341 내지 제2260 수직 라인들(341, ..., 2260)이 속할 수 있다. 즉, 제1 수평 블랭크 영역(HBP1)은 340개의 수직 라인들(1, ..., 340)을 포함하고, 제2 수평 블랭크 영역(HBP2)은 300개의 수직 라인들(2261, ..., 2560)을 포함하며, 액티브 영역(ACP)은 1920개의 수직 라인들(341, ..., 2260)을 포함할 수 있다. 그 결과,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 회로(140)는 액티브 영역(ACP)에 속하는 제2 이미지(SIM)의 제341 내지 제2260 수직 라인들(341, ..., 2260)을 제1 이미지(SIM)의 제1 내지 제1920 수직 라인들에 대응시키는 방식으로 제2 이미지(SIM)에 상응하는 이미지 데이터(SID) 중에서 제1 이미지(FIM)에 상응하는 부분 이미지 데이터(FID)를 선택할 수 있다.
도 8a 및 도 8b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패널의 좌측 영역을 쳐다볼 때 도 1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좌우 방향으로 제2 이미지 중에서 제1 이미지를 선택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면, 사용자 시선이 디스플레이 패널(120) 상에서 좌우 방향(SDN)으로 움직임에 따라 제1 이미지(FIM)에 상응하는 부분 이미지 데이터(FID)의 수평 중심 좌표(HCC)가 결정될 수 있다. 도 8a 및 도 8b는 사용자 시선이 디스플레이 패널(120)의 기 설정된 중앙 영역을 벗어나 좌측으로 이동한 경우, 제1 이미지(FIM)에 상응하는 부분 이미지 데이터(FID)의 수평 중심 좌표(HCC)가 좌측으로 이동한 일 예를 보여주고 있다. 한편, 도 8a 및 도 8b에서는 제1 이미지(FIM)의 제1 해상도가 1920*1080이고, 제2 이미지(SIM)의 제2 해상도는 2560*1440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도 8a 및 도 8b에서는 제1 이미지(FIM)가 1920개의 수직 라인들 및 1080개의 수평 라인들로 구성되고, 제2 이미지(SIM)가 2560개의 수직 라인들 및 1440개의 수평 라인들로 구성된 것으로 가정하기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 회로(140)는 제2 해상도를 가진 제2 이미지(SIM)에 상응하는 이미지 데이터(SID)를 수신하고, 사용자 시선을 나타내는 사용자 시선 데이터(UED)를 수신하며, 사용자 시선 데이터(UED)를 기초로 이미지 데이터(SID) 중에서 사용자 시선이 반영된 부분 이미지 데이터(FID)를 선택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이미지(SIM)에 상응하는 이미지 데이터(SID)의 수평 방향 영역(HTP)은 제1 수평 블랭크 영역(HBP1), 액티브 영역(ACP) 및 제2 수평 블랭크 영역(HBP2)으로 구분되고, 액티브 영역(ACP)이 제1 이미지(FIM)에 상응하는 부분 이미지 데이터(FID)로 결정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시선이 디스플레이 패널(120)의 기 설정된 중앙 영역을 벗어나 좌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제1 이미지(FIM)에 상응하는 부분 이미지 데이터(FID)의 수평 중심 좌표(HCC)도 좌측으로 이동하였다. 이에, 제1 수평 블랭크 영역(HBP1)은 제2 수평 블랭크 영역(HBP2)보다 작을 수 있다. 따라서, 제1 수평 블랭크 영역(HBP1)에는 제2 이미지(SIM)의 제1 내지 제290 수직 라인들(1, ..., 290)이 속하고, 제2 수평 블랭크 영역(HBP2)에는 제2 이미지(SIM)의 제2211 내지 제2560 수직 라인들(2211, ..., 2560)이 속하며, 액티브 영역(ACP)에는 제2 이미지(SIM)의 제291 내지 제2210 수직 라인들(291, ..., 2210)이 속할 수 있다. 즉, 제1 수평 블랭크 영역(HBP1)은 290개의 수직 라인들(1, ..., 290)을 포함하고, 제2 수평 블랭크 영역(HBP2)은 350개의 수직 라인들(2211, ..., 2560)을 포함하며, 액티브 영역(ACP)은 1920개의 수직 라인들(291, ..., 2210)을 포함할 수 있다. 그 결과,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 회로(140)는 액티브 영역(ACP)에 속하는 제2 이미지(SIM)의 제291 내지 제2210 수직 라인들(291, ..., 2210)을 제1 이미지(SIM)의 제1 내지 제1920 수직 라인들에 대응시키는 방식으로 제2 이미지(SIM)에 상응하는 이미지 데이터(SID) 중에서 제1 이미지(FIM)에 상응하는 부분 이미지 데이터(FID)를 선택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10은 도 9의 디스플레이 시스템이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으로 구현된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1는 도 9의 디스플레이 시스템에서 디스플레이 장치와 그래픽 프로세싱 유닛이 인터액션(interaction)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2은 도 9의 디스플레이 시스템에서 디스플레이 장치와 그래픽 프로세싱 유닛이 인터액션하는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2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시스템(500)은 디스플레이 장치(520), 그래픽 프로세싱 유닛(540), 시선 검출 센서(560) 및 프로세싱 유닛(580)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시스템(500)은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500)(또는, 가상 현실 시스템)으로 구현될 수 있다. 다만, 이것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디스플레이 시스템(500)이 그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시스템(500)은 휴대폰, 비디오폰, 스마트패드, 스마트워치, 태블릿 PC, 차량용 네비게이션, 텔레비전, 컴퓨터 모니터, 노트북 등으로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시스템(500)은 비디오 카드, 사운드 카드, 메모리 카드, USB 장치 등과 통신하거나, 또는 다른 시스템들과 통신할 수 있는 여러 포트(port)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520)는 제1 해상도를 가진 제1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시선 검출 센서(560)는 사용자 시선을 검출하여 시선 검출 신호(EDS)를 생성하고, 시선 검출 신호(EDS)를 프로세싱 유닛(580)에 제공할 수 있다. 프로세싱 유닛(580)은 시선 검출 신호(EDS)를 기초로 사용자 시선을 나타내는 사용자 시선 데이터(UED)를 생성하고, 사용자 시선 데이터(UED)를 디스플레이 장치(520)에 제공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싱 유닛(580)은 디스플레이 시스템(500)의 동작에 필요한 특정 계산들 또는 태스크(task)들을 수행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싱 유닛(580)은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 processor), 중앙 처리 유닛(central processing unit; CPU),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 AP) 등일 수 있다. 프로세싱 유닛(580)은 어드레스 버스(address bus), 제어 버스(control bus) 및 데이터 버스(data bus) 등을 통해 다른 구성 요소들에 연결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싱 유닛(580)은 주변 구성 요소 상호 연결(peripheral component interconnect; PCI) 버스와 같은 확장 버스에도 연결될 수 있다. 그래픽 프로세싱 유닛(540)은 디스플레이 장치(520)가 출력하는 제1 이미지의 제1 해상도보다 큰 제2 해상도를 가진 제2 이미지에 상응하는 이미지 데이터(SID)를 생성하고, 이미지 데이터(SID)를 디스플레이 장치(520)에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그래픽 프로세싱 유닛(540)과 디스플레이 장치(520)는 소정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래픽 프로세싱 유닛(540)은 임베디드 디스플레이 포트(embedded display port; eDP) 인터페이스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520)로 제2 해상도를 가진 제2 이미지에 상응하는 이미지 데이터(SID)를 전송할 수 있다. 다만, 이것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그래픽 프로세싱 유닛(540)과 디스플레이 장치(520) 사이의 인터페이스가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시스템(500)은 메모리 장치, 스토리지 장치, 파워 서플라이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 장치와 스토리지 장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500)의 동작에 필요한 데이터들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 장치는 이피롬(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PROM) 장치, 이이피롬(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EPROM) 장치, 플래시 메모리 장치(flash memory device), 피램(Phase Change Random Access Memory; PRAM) 장치, 알램(Resistance Random Access Memory; RRAM) 장치, 엔에프지엠(Nano Floating Gate Memory; NFGM) 장치, 폴리머램(Polymer Random Access Memory; PoRAM) 장치, 엠램(Magnetic Random Access Memory; MRAM), 에프램(Ferroelectric Random Access Memory; FRAM) 장치 등과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및/또는 디램(Dynamic Random Access Memory; DRAM) 장치, 에스램(Static Random Access Memory; SRAM) 장치, 모바일(mobile) DRAM 장치 등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스토리지 장치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olid state drive; SSD),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ard disk drive; HDD), 씨디롬(CD-RO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파워 서플라이(예를 들어, 배터리 등)는 디스플레이 시스템(500)의 동작에 필요한 파워를 공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520)는 프로세싱 유닛(580)으로부터 사용자 시선을 나타내는 사용자 시선 데이터(UED)를 수신하고, 그래픽 프로세싱 유닛(540)으로부터 제1 해상도보다 큰 제2 해상도를 가진 제2 이미지에 상응하는 이미지 데이터(SID)를 수신하며, 사용자 시선 데이터(UED) 및 이미지 데이터(SID)를 기초로 사용자 시선을 반영하여 제1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 회로(522)는 그래픽 프로세싱 유닛(540)으로부터 이미지 데이터(SID)를 수신하고, 프로세싱 유닛(580)으로부터 사용자 시선 데이터(UED)를 수신하며, 사용자 시선 데이터(UED)를 기초로 이미지 데이터(SID) 중에서 사용자 시선이 반영된 부분 이미지 데이터를 선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 회로(522)는 제1 이미지의 중앙 영역에 사용자 시선이 위치하도록 부분 이미지 데이터를 선택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시선이 디스플레이 패널 상에서 좌우 방향으로 움직임에 따라 부분 이미지 데이터의 수평 중심 좌표가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시선이 디스플레이 패널의 기 설정된 중앙 영역일 때, 부분 이미지 데이터의 수평 중심 좌표는 이동하지 않고, 사용자 시선이 디스플레이 패널의 기 설정된 중앙 영역을 벗어나 좌측으로 이동할 때, 부분 이미지 데이터의 수평 중심 좌표는 좌측으로 이동하며, 사용자 시선이 디스플레이 패널의 기 설정된 중앙 영역을 벗어나 우측으로 이동할 때, 부분 이미지 데이터의 수평 중심 좌표는 우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시선이 디스플레이 패널 상에서 상하 방향으로 움직임에 따라 부분 이미지 데이터의 수직 중심 좌표가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시선이 디스플레이 패널의 기 설정된 중앙 영역일 때, 부분 이미지 데이터의 수직 중심 좌표는 이동하지 않고, 사용자 시선이 디스플레이 패널의 기 설정된 중앙 영역을 벗어나 상측으로 이동할 때, 부분 이미지 데이터의 수직 중심 좌표는 상측으로 이동하며, 사용자 시선이 디스플레이 패널의 기 설정된 중앙 영역을 벗어나 하측으로 이동할 때, 부분 이미지 데이터의 수직 중심 좌표는 하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다만, 이에 대해서는 상술한 바 있으므로, 그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래픽 프로세싱 유닛(540)은 디스플레이 장치(520)에 이미지 데이터(SID)를 제공할 뿐, 디스플레이 장치(520)로부터 사용자 시선에 관한 어떠한 피드백도 받지 않을 수 있다. 다시 말하면, 그래픽 프로세싱 유닛(540)은 사용자 시선의 변경과 관계없이 이미지 데이터(SID)를 생성하는 것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래픽 프로세싱 유닛(540)은 디스플레이 장치(520)에 이미지 데이터(SID)를 제공함과 동시에, 디스플레이 장치(520)로부터 사용자 시선 데이터(UED)에 관한 정보(DRI) 또는 제1 이미지에 반영된 사용자 시선에 관한 정보(DRI)를 수신할 수 있다. 이에, 그래픽 프로세싱 유닛(540)은 디스플레이 장치(520)로부터의 사용자 시선에 관한 피드백을 통해 사용자 시선의 변경을 반영하여 이미지 데이터(SID)를 생성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그래픽 프로세싱 유닛(540)은 다음 이미지 데이터(SID)를 생성(즉, 렌더링)함에 있어 사용자 시선의 변경을 반영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520)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에 표시될 제1 이미지의 해상도(즉, 제1 해상도)보다 큰 해상도(즉, 제2 해상도)를 가진 제2 이미지에 상응하는 이미지 데이터(SID)를 수신하고, 사용자 시선을 나타내는 사용자 시선 데이터(UED)를 수신하며, 사용자 시선 데이터(UED)를 기초로 이미지 데이터(SID) 중에서 사용자 시선이 반영된 부분 이미지 데이터를 선택하고, 제1 이미지가 부분 이미지 데이터를 기초로 표시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 시선이 변경된 시점과 변경된 사용자 시선이 반영된 이미지가 표시되는 시점 사이에 그래픽 프로세싱 유닛(540)의 이미지 데이터 렌더링에 기인한 소정의 지연이 발생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디스플레이 장치(520)를 포함한 디스플레이 시스템(500)은 사용자로 하여금 가상 현실을 체험함에 있어 시선 변경에 따른 어지러움을 느끼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휴대폰, 스마트폰, 비디오폰, 스마트패드, 태블릿 PC, 차량용 네비게이션 시스템, 텔레비전, 컴퓨터 모니터, 노트북, 디지털 카메라,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 가상 현실 시스템 등에 적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디스플레이 장치 120: 디스플레이 패널
140: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 회로
142: 디스플레이 타이밍 컨트롤러
144: 디스플레이 패널 드라이버 500: 디스플레이 시스템
520: 디스플레이 장치 522: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 회로
540: 그래픽 프로세싱 유닛 560: 시선 검출 센서
580: 프로세싱 유닛

Claims (20)

  1. 제1 해상도를 가진 제1 이미지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 회로는 상기 제1 해상도보다 큰 제2 해상도를 가진 제2 이미지에 상응하는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하고, 사용자 시선을 나타내는 사용자 시선 데이터를 수신하며, 상기 사용자 시선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이미지 데이터 중에서 상기 사용자 시선이 반영된 부분 이미지 데이터를 선택하고, 상기 제1 이미지가 상기 부분 이미지 데이터를 기초로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 회로는 상기 제1 이미지의 중앙 영역에 상기 사용자 시선이 위치하도록 상기 부분 이미지 데이터를 선택하고,
    상기 사용자 시선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상에서 좌우 방향으로 움직임에 따라 상기 부분 이미지 데이터의 수평 중심 좌표가 결정되며,
    상기 사용자 시선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기 설정된 중앙 영역 내에서 좌우 방향으로 움직이는 경우에는 상기 수평 중심 좌표는 이동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시선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기 중앙 영역을 벗어나 좌측으로 이동할 때, 상기 수평 중심 좌표는 좌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시선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기 중앙 영역을 벗어나 우측으로 이동할 때, 상기 수평 중심 좌표는 우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시선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상에서 상하 방향으로 움직임에 따라 상기 부분 이미지 데이터의 수직 중심 좌표가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시선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기 중앙 영역 내에서 상하 방향으로 움직이는 경우에는 상기 수직 중심 좌표는 이동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시선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기 중앙 영역을 벗어나 상측으로 이동할 때, 상기 수직 중심 좌표는 상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시선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기 중앙 영역을 벗어나 하측으로 이동할 때, 상기 수직 중심 좌표는 하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1 해상도를 가진 제1 이미지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사용자 시선을 검출하여 시선 검출 신호를 생성하는 시선 검출 센서;
    상기 시선 검출 신호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 시선을 나타내는 사용자 시선 데이터를 생성하는 프로세싱 유닛; 및
    상기 제1 해상도보다 큰 제2 해상도를 가진 제2 이미지에 상응하는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는 그래픽 프로세싱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프로세싱 유닛으로부터 상기 사용자 시선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그래픽 프로세싱 유닛으로부터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하며, 상기 사용자 시선 데이터 및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 시선을 반영하여 상기 제1 이미지를 출력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제1 이미지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시선 데이터를 수신하며, 상기 사용자 시선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이미지 데이터 중에서 상기 사용자 시선이 반영된 부분 이미지 데이터를 선택하고, 상기 제1 이미지가 상기 부분 이미지 데이터를 기초로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 회로는 상기 제1 이미지의 중앙 영역에 상기 사용자 시선이 위치하도록 상기 부분 이미지 데이터를 선택하며,
    상기 사용자 시선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상에서 좌우 방향으로 움직임에 따라 상기 부분 이미지 데이터의 수평 중심 좌표가 결정되고,
    상기 사용자 시선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기 설정된 중앙 영역 내에서 좌우 방향으로 움직이는 경우에는 상기 수평 중심 좌표는 이동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사용자 시선 데이터에 관한 정보 또는 상기 제1 이미지에 반영된 상기 사용자 시선에 관한 정보를 상기 그래픽 프로세싱 유닛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시선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기 중앙 영역을 벗어나 좌측으로 이동할 때, 상기 수평 중심 좌표는 좌측으로 이동하고, 상기 사용자 시선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기 중앙 영역을 벗어나 우측으로 이동할 때, 상기 수평 중심 좌표는 우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18.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시선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상에서 상하 방향으로 움직임에 따라 상기 부분 이미지 데이터의 수직 중심 좌표가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시선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기 중앙 영역 내에서 상하 방향으로 움직이는 경우에는 상기 수직 중심 좌표는 이동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시선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기 중앙 영역을 벗어나 상측으로 이동할 때, 상기 수직 중심 좌표는 상측으로 이동하고, 상기 사용자 시선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기 중앙 영역을 벗어나 하측으로 이동할 때, 상기 수직 중심 좌표는 하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KR1020180017487A 2018-02-13 2018-02-13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KR1026511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7487A KR102651104B1 (ko) 2018-02-13 2018-02-13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US16/256,191 US11112864B2 (en) 2018-02-13 2019-01-24 Display device and display system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7487A KR102651104B1 (ko) 2018-02-13 2018-02-13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8302A KR20190098302A (ko) 2019-08-22
KR102651104B1 true KR102651104B1 (ko) 2024-03-26

Family

ID=675422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7487A KR102651104B1 (ko) 2018-02-13 2018-02-13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1112864B2 (ko)
KR (1) KR10265110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90005884A1 (en) 2017-06-30 2019-01-03 L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gate driving circuit thereof, control method and virtual reality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40362B2 (ja) * 1994-04-13 2001-12-17 独立行政法人産業技術総合研究所 広視野映像提示装置
KR102297514B1 (ko) 2015-07-02 2021-09-0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70013737A (ko) * 2015-07-28 2017-02-07 엘지전자 주식회사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101734287B1 (ko) 2015-08-04 2017-05-11 엘지전자 주식회사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및 그 제어방법
KR102524641B1 (ko) 2016-01-22 2023-04-21 삼성전자주식회사 Hmd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US10432988B2 (en) 2016-04-15 2019-10-01 Ati Technologies Ulc Low latency wireless virtual reality systems and methods
WO2018211673A1 (ja) * 2017-05-18 2018-11-22 株式会社ソニー・インタラクティブエンタテインメント 画像生成装置、画像表示システム、および画像生成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90005884A1 (en) 2017-06-30 2019-01-03 L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gate driving circuit thereof, control method and virtual realit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112864B2 (en) 2021-09-07
KR20190098302A (ko) 2019-08-22
US20190250706A1 (en) 2019-08-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23648B2 (en) Electronic device with foveated display system
US20070038939A1 (en) Display servers and systems and methods of graphical display
KR20170033462A (ko) 전자 기기 및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의 영상 표시 방법
EP3007160A1 (en) Timing controller, 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display having the same and method for driving the oled display
CN109427283B (zh) 图像产生方法和使用该方法的显示装置
KR102659964B1 (ko) 터치 패널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CN111066081B (zh) 用于补偿虚拟现实的图像显示中的可变显示设备等待时间的技术
KR102270183B1 (ko) 표시 장치의 영상 보상 방법 및 표시 장치
KR20150021800A (ko) 전자 장치 및 영상 표시 방법
US2022010181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picture-in-picture (pip) overlay window on a single physical monitor
KR102651104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CN115273740A (zh) 显示装置和显示装置的驱动方法
CN114765018A (zh) 透明显示装置及其驱动方法
TW202215106A (zh) 包含像素強度的數位及類比控制之人工實境系統
KR20220058712A (ko) 표시 장치
WO2019150624A1 (ja) 表示装置及び表示システム
US2018006110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Display Views Tracking User Head Movement for Head-Mounted Display Devices
KR102458405B1 (ko) 표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US11817031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KR102669182B1 (ko) 광 투과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전자 기기
KR20200050274A (ko) 이미지의 컨텐츠의 변경에 기반하여 이미지의 표시 위치 또는 면적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KR102072182B1 (ko) 개선된 편안한 뷰잉을 제공하는 헤드-업 디스플레이
US20230237947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US11805237B2 (en) Display system and method of displaying autostereoscopic images
EP4328897A1 (en) Displa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