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1003B1 - 배터리 소모 감소 기능이 구비된 산모 및 태아 감시장치 - Google Patents

배터리 소모 감소 기능이 구비된 산모 및 태아 감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1003B1
KR102651003B1 KR1020210011539A KR20210011539A KR102651003B1 KR 102651003 B1 KR102651003 B1 KR 102651003B1 KR 1020210011539 A KR1020210011539 A KR 1020210011539A KR 20210011539 A KR20210011539 A KR 20210011539A KR 102651003 B1 KR102651003 B1 KR 1026510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her
monitoring device
temperature sensor
temperature
mater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15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08492A (ko
Inventor
최혜원
박대규
곽은지
박재형
윤영선
김영한
장원석
김영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바이오넷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바이오넷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바이오넷
Priority to KR10202100115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1003B1/ko
Publication of KR202201084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84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10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100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reproductive systems
    • A61B5/4306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reproductive systems for evaluating the female reproductive systems, e.g. gynaecological evaluations
    • A61B5/4343Pregnancy and labour monitoring, e.g. for labour onset detection
    • A61B5/4356Assessing uterine contrac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04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hysiological signal transmitted
    • A61B5/0011Foetal or obstetric dat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1Measuring temperature of body parts ; Diagnostic temperature sensing, e.g. for malignant or inflamed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25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 A61B5/279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 A61B5/28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for electrocardiography [ECG]
    • A61B5/283Invasive
    • A61B5/288Invasive for foetal cardiography, e.g. scalp electr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reproductive systems
    • A61B5/4306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reproductive systems for evaluating the female reproductive systems, e.g. gynaecological evaluations
    • A61B5/4343Pregnancy and labour monitoring, e.g. for labour onset detection
    • A61B5/4362Assessing foetal parame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8/00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61B8/08Detecting organic movements or changes, e.g. tumours, cysts, swellings
    • A61B8/0866Detecting organic movements or changes, e.g. tumours, cysts, swellings involving foetal diagnosis; pre-natal or peri-natal diagnosis of the bab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0/00Constructional details of operational features of apparatus; Accessories for medical measuring apparatus
    • A61B2560/02Operational features
    • A61B2560/0204Operational features of power management
    • A61B2560/0209Operational features of power management adapted for power sav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ynecology & Obstetrics (AREA)
  • Pregnancy & Childbirth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Cardiology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Physi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Ultra Sonic Daignosis Equipment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터리 소모 감소 기능이 구비된 산모 및 태아 감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산모의 배에 접촉되어 산모 및 태아의 상태를 감시하는 감시장치의 하면과 상면에 각각 제1,2온도센서를 장착하되, 제1온도센서를 통해 산모의 피부 온도를 측정하고, 제2온도센서를 통해 상온을 측정하여 두 센서의 측정값이 기설정된 온도 이상 차이나는 경우 또는 제1온도센서가 32도 내지 40도의 범위인 경우에만 무선통신부를 작동하여 외부기기로 데이터 전송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함으로써, 전력 소모를 최소화함에 따라 배터리를 장시간 사용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배터리 소모 감소 기능이 구비된 산모 및 태아 감시장치{FETAL MONITORING DEVICE HAVING A FUNCTION FOR REDUCING BATTERY CONSUMPTION}
본 발명은 배터리 소모 감소 기능이 구비된 산모 및 태아 감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산모의 배에 접촉되어 산모 및 태아의 상태를 감시하는 감시장치의 하면과 상면에 각각 제1,2온도센서를 장착하되, 제1온도센서를 통해 산모의 피부 온도를 측정하고, 제2온도센서를 통해 상온을 측정하여 두 센서의 측정값이 기설정된 온도 이상 차이나는 경우 또는 제1온도센서가 32도 내지 40도의 범위인 경우에만 무선통신부를 작동하여 외부기기로 데이터 전송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함으로써, 전력 소모를 최소화함에 따라 배터리를 장시간 사용할 수 있는 배터리 소모 감소 기능이 구비된 산모 및 태아 감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모 및 태아 상태 감시 장치는 산모 및 태아의 안녕을 감시하는 장비로서, 특히 분만 전 자궁 수축 등으로 상태가 급격하게 변화는 시점에서 태아의 상태 변화를 정확히 감시할 필요가 있으며, 이 경우, 태아의 상태를 감시하는데 필수적으로 함께 측정해야 할 부분이 산모의 상태이다.
이러한 산모 및 태아의 상태를 감시하기 위하여 산모의 자궁 수축을 검출하기 위한 토코(toco) 프로브와, 태아의 심박수를 검출하기 위한 초음파 프로브와, 산모와 태아의 심박수를 검출하기 위한 심전도 모듈 등 다양한 감시 장치가 사용되고 있으며, 상기와 같은 '산모 및 태아 상태 감시 장치용 통합형 프로브'가 공개특허 제10-2013-0125085호(이하, 특허문헌 1이라 함.)에 게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문헌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산모 및 태아 상태 감시 장치용 통합형 프로브는, 산모 및 태아 상태를 동시에 감시하는 산모 및 태아 상태 감시 장치에 사용되는 초음파 프로브 또는 토코 프로브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상태 감시 프로브(probe)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 프로브 또는 상기 토코 프로브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신체 접촉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는 심전도 측정용 전극;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특허문헌 1은 분만 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상황 중 가장 위험한 상황에 속하는 경우로 태아의 상태가 이미 회복 불가능할 정도로 나빠지거나 태아가 사망한 상태와 같이 긴급한 상태에서, 별도의 심전도 측정 프로브를 장착하는 것과 같이 별도의 장치나 과정의 필요 없이도 초음파 프로브와 토코 프로브만을 사용하여서도 즉각적으로 산모의 심전도 측정을 통하여 산모의 심박수를 태아의 심박수와 분리하여 관측하는 것이 가능하여, 긴박한 상황에 신속하고도 효율적으로 대응하면서 분만 사고의 위험성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나, 초음파 프로브 또는 토코 프로브를 사용하기 위하여 충전 스테이션으로부터 분리하는 경우, 자동으로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데, 이로 인하여, 무선통신부가 작동되어 모니터링 장치와 같은 외부기기와 지속적으로 통신이 이루어짐에 따라 실제 사용 상황이 아닌 장비 셋팅 과정 등에서 배터리의 전력 소모가 발생하게 되어 배터리의 장시간 사용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지속적인 배터리의 전력 소모에 의해 배터리가 완전 방전이 되었을 경우 사용자로 하여금 장비동작 상태의 문제를 야기해 사용자의 혼란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1 :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125085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산모의 배에 접촉되어 산모 및 태아의 상태를 감시하는 감시장치의 하면과 상면에 각각 제1,2온도센서를 장착하되, 제1온도센서를 통해 산모의 피부 온도를 측정하고, 제2온도센서를 통해 상온을 측정하여 두 센서의 측정값이 기설정된 온도 이상 차이나는 경우 또는 제1온도센서가 32도 내지 40도의 범위인 경우에만 무선통신부를 작동하여 외부기기로 데이터 전송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함으로써, 전력 소모를 최소화함에 따라 배터리의 장시간 사용이 가능한 배터리 소모 감소 기능이 구비된 산모 및 태아 감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소모 감소 기능이 구비된 산모 및 태아 감시장치는, 토코(toco) 프로브, 초음파 프로브, 심전도 모듈과 같이 산모의 배에 접촉되어 산모 및 태아의 상태를 감시하도록 구성되는 산모 및 태아 감시장치에 있어서, 전원부; 센서 또는 전극을 통해 산모의 자궁 수축 정도 또는 산모 및 태아의 심장 움직임 상태를 측정하는 측정부; 상기 감시장치의 하면에 위치하여 산모의 배에 접촉됨에 따라 산모의 피부 온도를 측정하는 제1온도센서; 상기 감시장치의 상면에 위치하여 상온을 측정하는 제2온도센서; 상기 전원부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부; 상기 센서 또는 전극을 통해 측정된 측정값에 대하여 노이즈가 포함되어 있는 신호를 필터링하여 신호 처리를 수행하는 신호처리부; 상기 센서 또는 전극을 통해 측정된 측정값을 외부기기로 전송하는 무선통신부; 및 상기 제1온도센서와 제2온도센서의 측정값에 따라 상기 무선통신부를 작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온도센서의 측정값이 제2온도센서의 측정값보다 기설정된 온도만큼 높은 경우, 상기 무선통신부를 작동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온도센서가 32도 내지 40도의 범위인 경우, 무선통신부를 작동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산모의 배에 접촉되어 산모 및 태아의 상태를 감시하는 감시장치의 하면과 상면에 각각 제1,2온도센서를 장착하되, 제1온도센서를 통해 산모의 피부 온도를 측정하고, 제2온도센서를 통해 상온을 측정하여 두 센서의 측정값이 기설정된 온도 이상 차이나는 경우 또는 제1온도센서가 32도 내지 40도의 범위인 경우에만 무선통신부를 작동하여 외부기기로 데이터 전송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함으로써, 전력 소모를 최소화함에 따라 배터리를 장시간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소모 감소 기능이 구비된 산모 및 태아 감시장치의 무선측정모듈의 구성을 보인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소모 감소 기능이 구비된 산모 및 태아 감시장치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소모 감소 기능이 구비된 산모 및 태아 감시장치의 하면 구성을 보인 설명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소모 감소 기능이 구비된 산모 및 태아 감시장치의 상면 구성을 보인 설명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소모 감소 기능이 구비된 산모 및 태아 감시장치가 산모의 배에 접촉된 상태를 보인 설명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소모 감소 기능이 구비된 산모 및 태아 감시장치의 배터리 소모 감소를 위한 처리 과정을 보인 설명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소모 감소 기능이 구비된 산모 및 태아 감시장치의 무선측정모듈의 구성을 보인 블럭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소모 감소 기능이 구비된 산모 및 태아 감시장치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소모 감소 기능이 구비된 산모 및 태아 감시장치의 하면 구성을 보인 설명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소모 감소 기능이 구비된 산모 및 태아 감시장치의 상면 구성을 보인 설명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소모 감소 기능이 구비된 산모 및 태아 감시장치가 산모의 배에 접촉된 상태를 보인 설명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소모 감소 기능이 구비된 산모 및 태아 감시장치의 배터리 소모 감소를 위한 처리 과정을 보인 설명도이다.
도 1 내지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소모 감소 기능이 구비된 산모 및 태아 감시장치(100)는, 토코(toco) 프로브, 초음파 프로브, 심전도 모듈과 같이 산모의 배에 접촉되어 산모 및 태아의 상태를 감시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서, 전원부(110)와, 센서 또는 전극을 통해 산모의 자궁 수축 정도 또는 산모 및 태아의 심장 움직임 상태를 측정하는 측정부(120)와, 상기 전원부(110)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부(150), 상기 센서 또는 전극을 통해 측정된 측정값에 대하여 노이즈가 포함되어 있는 신호를 필터링하여 신호 처리를 수행하는 신호처리부(160)와, 상기 센서 또는 전극을 통해 측정된 측정값을 모니터링 장치와 같은 외부기기로 전송하는 무선통신부(170) 및 상기 전원부(110), 측정부(120), 배터리부(150), 신호처리부(160), 무선통신부(170)를 제어하는 제어부(18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감시장치(100)의 하면에는 산모의 피부 온도를 측정하는 제1온도센서(130)가 구비되는 것이 특징으로서, 감시장치(100)의 하면이 산모의 배에 접촉되는 경우, 산모의 체온에 의해 제1온도센서(130)의 온도가 상승하게 되는데, 이로 인하여, 제어부(180)에서 제1온도센서(130)의 측정값에 따라 무선통신부(170)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감시장치(100)의 상면에는 상온을 측정하는 제2온도센서(140)가 구비되는 것이 특징으로서, 제어부(180)에서 제1온도센서(130)와 제2온도센서(140)의 온도 측정값에 따라 무선통신부(170)의 작동을 제어하게 되는데, 상기 제1온도센서(130)와 제2온도센서(140)의 각 측정값이 기설정된 온도 이상 차이나는 경우, 상기 무선통신부(170)를 작동시키도록 구성된다.
통상적으로 분만실, 분만대기실, 산부인과 입원실의 경우, 최소 26도 이상으로 실온이 형성되는데, 본 발명의 산모 자궁 수축도 검사장치가 산모의 배에 부착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제1온도센서(130)와 제2온도센서(140) 모두 상온에 근접하는 온도를 가지게 되며, 전극부(100)가 산모의 배에 부착되는 경우, 제1온도센서(130)는 산모의 피부 온도에 근접하도록 상승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제1온도센서(130)의 측정값이 제2온도센서(140)의 측정값보다 기설정된 온도(약 4도 이상)만큼 높아지는 시점을 제어부(180)에서 감지하여 무선통신부(170)를 작동시킴으로써, 배터리 소모를 최소화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1온도센서(130)가 32도 내지 40도의 범위인 경우, 감시장치(100)가 산모의 배에 정상적으로 접촉되어 산모 자궁 수축도 또는 산모 및 태아의 심장 움직임 정도 등을 검사할 준비가 완료된 것으로 간주하여 무선통신부(170)를 작동시키도록 구성되는데, 상기와 같이, 기설정된 기준을 만족하는 경우에만 무선통신부(170)가 작동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전력 소모가 큰 무선통신부(170)가 불필요하게 작동되는 것을 방지하여 배터리의 전력 소모를 최소화함에 따라 배터리의 장시간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소모 감소 기능이 구비된 산모 및 태아 감시장치의 배터리 소모 감소를 위한 처리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충전 스테이션으로부터 감시장치(100)를 분리하게 되면, 제1온도센서(130)와 제2온도센서(140) 및 제어부(180)가 작동(S100)하게 되며,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측정부(120)를 통한 산모의 자궁 수축 정도 또는 산모 및 태아의 심장 움직임 상태를 측정(S200)하게 되는데, 이때, 제어부(180)에서 제1온도센서(130)와 제2온도센서(140)의 온도가 기설정된 온도만큼 차이가 있는지 또는 제1온도센서(130)의 온도가 32도 내지 40도의 범위에 해당하는지를 확인(S300)하여 둘 중의 하나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무선통신부(170)로 전원을 공급(S400)하여 무선통신부(170)를 활성화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무선통신부(170)가 작동되면, 와이파이 또는 블루투스와 같은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기기로 산모의 자궁 수축 정도 또는 산모 및 태아의 심장 움직임 상태 측정값을 전송(S500)하게 되며, 외부기기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해 이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이, 산모의 배에 접촉되어 산모 및 태아의 상태를 감시하는 감시장치(100)의 하면과 상면에 각각 제1,2온도센서(130,140)를 장착하되, 제1온도센서(130)를 통해 산모의 피부 온도를 측정하고, 제2온도센서(140)를 통해 상온을 측정하여 두 센서의 측정값이 기설정된 온도 이상 차이나는 경우 또는 제1온도센서(130)가 32도 내지 40도의 범위인 경우에만 무선통신부(170)를 작동하여 외부기기로 데이터 전송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함으로써, 전력 소모를 최소화함에 따라 배터리의 장시간 사용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도면에서는 토코(toco) 프로브를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초음파 프로브, 심전도 모듈과 같이 산모의 배에 접촉되어 산모 및 태아의 상태를 감시하는 다양한 감시장치(100)에 적용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 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감시장치 110: 전원부
120: 측정부 130: 제1온도센서
140: 제2온도센서 150: 배터리부
160: 신호처리부 170: 무선통신부
180: 제어부

Claims (3)

  1. 토코(toco) 프로브, 초음파 프로브, 심전도 모듈과 같이 산모의 배에 접촉되어 산모 및 태아의 상태를 감시하도록 구성되는 산모 및 태아 감시장치에 있어서,
    전원부;
    센서 또는 전극을 통해 산모의 자궁 수축 정도 또는 산모 및 태아의 심장 움직임 상태를 측정하는 측정부;
    상기 감시장치의 하면에 위치하여 산모의 배에 접촉됨에 따라 산모의 피부 온도를 측정하는 제1온도센서;
    상기 감시장치의 상면에 위치하여 상온을 측정하는 제2온도센서;
    상기 전원부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부;
    상기 센서 또는 전극을 통해 측정된 측정값에 대하여 노이즈가 포함되어 있는 신호를 필터링하여 신호 처리를 수행하는 신호처리부;
    상기 센서 또는 전극을 통해 측정된 측정값을 외부기기로 전송하는 무선통신부; 및
    상기 제1온도센서의 측정값이 제2온도센서의 측정값보다 기설정된 온도만큼 높은 경우, 상기 무선통신부를 작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소모 감소 기능이 구비된 산모 및 태아 감시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온도센서가 32도 내지 40도의 범위인 경우, 무선통신부를 작동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소모 감소 기능이 구비된 산모 및 태아 감시장치.
KR1020210011539A 2021-01-27 2021-01-27 배터리 소모 감소 기능이 구비된 산모 및 태아 감시장치 KR1026510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1539A KR102651003B1 (ko) 2021-01-27 2021-01-27 배터리 소모 감소 기능이 구비된 산모 및 태아 감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1539A KR102651003B1 (ko) 2021-01-27 2021-01-27 배터리 소모 감소 기능이 구비된 산모 및 태아 감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8492A KR20220108492A (ko) 2022-08-03
KR102651003B1 true KR102651003B1 (ko) 2024-03-25

Family

ID=828472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1539A KR102651003B1 (ko) 2021-01-27 2021-01-27 배터리 소모 감소 기능이 구비된 산모 및 태아 감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1003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25085A (ko) 2012-05-08 2013-11-18 주식회사 바이오넷 산모 및 태아 상태 감시 장치용 통합형 프로브
CN116019432A (zh) * 2016-12-07 2023-04-28 贝妈妥私人有限公司 用于监测妊娠或分娩的装置
KR20190119899A (ko) * 2018-04-13 2019-10-23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배터리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는 심전도 측정 시스템 및 방법
KR20220097651A (ko) * 2020-12-30 2022-07-08 주식회사 바이오넷 배터리 소모 감소 기능이 구비된 산모 자궁수축도 검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8492A (ko) 2022-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93690B2 (en) Digital electronic fetal heart rate and uterine contraction monitoring system
EP3062683B1 (en) Pregnancy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US6740033B1 (en) Multi-parameter capability transmitter for wireless telemetry systems
US20180296188A1 (en) Patient monitor, physiological information measurement system, program to be used in patient monitor,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in which program to be used in patient monitor is stored
EP1176909A1 (en) Limited use medical probe
KR101554308B1 (ko) 센서의 탈부착이 가능한 생체신호 발신기
CN105748104A (zh) 智能胎心监测系统、方法及装置
KR100916483B1 (ko) 환자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651003B1 (ko) 배터리 소모 감소 기능이 구비된 산모 및 태아 감시장치
CN104887269A (zh) 一种穿戴式胎儿监护仪
JP2017181493A (ja) ワイヤレス圧力センサ
KR20220097651A (ko) 배터리 소모 감소 기능이 구비된 산모 자궁수축도 검사장치
KR102123147B1 (ko) 혈류 바이오마커 기반 웨어러블 혈관건강 관리 장치
Garverick et al. Wireless fetal monitoring device with provisions for multiple births
CN212994931U (zh) 一种具有检测体温的智能手环
CN209899833U (zh) 智能病床
CN105249952A (zh) 一种基于盲信号处理的孕妇胎儿检测仪装置
KR101861324B1 (ko) 움직임 분석에 기반한 응급상황 판단 시스템 및 방법
KR20080017588A (ko) 생체신호 감시 시스템 및 방법
JP2002009683A (ja) 無線移動端末の緊急連絡方法
CN215687786U (zh) 一种弹触式体温测量探头的测量装置
CN212213715U (zh) 一种婴儿体温监测装置
CN219145626U (zh) 无线探头
JP7387252B2 (ja) 信号中継装置、および生体情報モニタリングシステム
JP6491383B1 (ja) 血流量測定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