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0106B1 - 추진제 그레인의 방사형 배치를 갖는 부스터 - Google Patents

추진제 그레인의 방사형 배치를 갖는 부스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0106B1
KR102650106B1 KR1020230075321A KR20230075321A KR102650106B1 KR 102650106 B1 KR102650106 B1 KR 102650106B1 KR 1020230075321 A KR1020230075321 A KR 1020230075321A KR 20230075321 A KR20230075321 A KR 20230075321A KR 102650106 B1 KR102650106 B1 KR 1026501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pellant
booster
combustion
nozzle
radial arrang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753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수지
이봉술
박익수
오석진
류재훈
Original Assignee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방과학연구소 filed Critical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to KR10202300753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01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01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01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KJET-PROPULSION PLANTS
    • F02K9/00Rocket-engine plants, i.e. plants carrying both fuel and oxidant therefor; Control thereof
    • F02K9/08Rocket-engine plants, i.e. plants carrying both fuel and oxidant therefor; Control thereof using solid propellants
    • F02K9/28Rocket-engine plants, i.e. plants carrying both fuel and oxidant therefor; Control thereof using solid propellants having two or more propellant charges with the propulsion gases exhausting through a common nozz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KJET-PROPULSION PLANTS
    • F02K9/00Rocket-engine plants, i.e. plants carrying both fuel and oxidant therefor; Control thereof
    • F02K9/08Rocket-engine plants, i.e. plants carrying both fuel and oxidant therefor; Control thereof using solid propellants
    • F02K9/10Shape or structure of solid propellant char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KJET-PROPULSION PLANTS
    • F02K9/00Rocket-engine plants, i.e. plants carrying both fuel and oxidant therefor; Control thereof
    • F02K9/97Rocket nozzles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른 추진제 그레인의 방사형 배치를 갖는 부스터는, 제1 추진제가 배치되고, 제1 추진제가 연소하여 생성된 연소가스가 내부에서 유동하는 제1 부분 및 제1 추진제 및 제2 추진제가 방사형으로 배치되고, 제1 부분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고, 노즐목 및 노즐목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노즐부를 포함하는 제2 부분을 포함하고,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은 내부가 빈 중공형 형상이고, 제2 추진제는 제1 추진제보다 연소 속도가 느릴 수 있다.

Description

추진제 그레인의 방사형 배치를 갖는 부스터{A BOOSTER WITH RADIAL ARRANGEMENT OF PROPELLANT GRAIN}
아래의 실시예들은 추진제 그레인의 방사형 배치를 갖는 부스터에 관한 것이다.
무노즐 부스터는 추진제 그레인이 노즐 형상을 구현하도록 모델링되어 있다. 연소가 진행됨에 따라 노즐 쪽에 위치한 추진제가 타들어가기 때문에 노즐목 면적이 점차 증가하게 된다. 노즐목 면적이 증가하면서 연소실 압력이 연소 시간에 따라 점점 감소하게 되고 노즐 팽창비 감소 등에 의해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연소 중 노즐 쪽 추진제 형상이 최대한 유지될 수 있도록 하거나 연소속도를 높여 성능을 향상시키는 방안이 필요하다.
관련 종래 기술에서는 축대칭으로 연소속도가 서로 다른 추진제 배치를 통해 노즐목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 경우, 추진제가 바뀌는 경계에서 연소속도가 달라짐에 따라 연소 면적 증가율이 변화되어 압력 및 추력 선도에 변곡점이 생겨 부스터에 충격을 줄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 제 10-1494393호에는 이중 추진 로켓 추진기관에 관한 내용이 개시되어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연소속도가 다른 이종의 추진제를 방사형으로 배치하여 동시에 연소시킴으로써 압력 및 추력의 급격한 변화를 방지하여 부스터에 가해지는 충격을 방지할 수 있는, 추진제 그레인의 방사형 배치를 갖는 부스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노즐목이 확장되는 것을 방지하여 압력이 강하되는 것을 방지하고 비추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추진제 그레인의 방사형 배치를 갖는 부스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추진제 그레인의 방사형 배치를 갖는 부스터는, 제1 추진제가 배치되고, 제1 추진제가 연소하여 생성된 연소가스가 내부에서 유동하는 제1 부분 및 제1 추진제 및 제2 추진제가 방사형으로 배치되고, 제1 부분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고, 노즐목 및 노즐목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노즐부를 포함하는 제2 부분을 포함하고,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은 내부가 빈 중공형 형상이고, 제2 추진제는 제1 추진제보다 연소 속도가 느릴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부분의 노즐목에서의 연소 속도는 제1 부분에서의 연소 속도보다 느릴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부분은 제1 추진제와 연소 속도가 다른 제3추진제를 더 포함하고, 제1 부분에서 제1 추진제 및 제3 추진제는 제1 간격으로 방사형으로 배치되며, 제2 부분에서 제1 추진제 및 제2 추진제는 제2 간격으로 방사형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3 추진제의 연소 속도는 제1 추진제의 연소 속도보다 빠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부분에서의 제2 간격은 제1부분에서의 제1 간격보다 작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부분의 타단으로부터 제2 부분의 노즐목까지 내부의 직경이 점점 작아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부분 내의 제2 추진제 및 제1 부분 내의 제3 추진제는 부스터의 중심으로부터 부스터의 외주면까지 너비가 일정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부분 내의 제2 추진제 및 제1 부분 내의 제3 추진제는 부스터의 중심으로부터 부스터의 외주면으로 진행될수록 너비가 점진적으로 증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부분 내의 제2 추진제 및 제1 부분 내의 제3 추진제는 부스터의 중심으로부터 부스터의 외주면으로 진행될수록 너비가 점진적으로 감소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추진제 그레인의 방사형 배치를 갖는 부스터는, 연소속도가 다른 이종의 추진제를 방사형으로 배치하여 동시에 연소시킴으로써 압력 및 추력의 급격한 변화를 방지하여 부스터에 가해지는 충격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추진제 그레인의 방사형 배치를 갖는 부스터는, 노즐목이 확장되는 것을 방지하여 압력이 강하되는 것을 방지하고 비추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부분이 제1 추진제로 구성되는 추진제 그레인의 방사형 배치를 갖는 부스터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추진제 그레인의 방사형 배치를 갖는 부스터의 A-A선에 따른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부분이 제1 추진제 및 제3 추진제로 구성되는 추진제 그레인의 방사형 배치를 갖는 부스터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추진제 그레인의 방사형 배치를 갖는 부스터의 B-B 선 및 C-C선에 따른 단면도를 도시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포함된 구성요소와, 공통적인 기능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 예에서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이상,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기재한 설명은 다른 실시 예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범위에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부분(100)이 제1 추진제(10)로 구성되는 추진제 그레인의 방사형 배치를 갖는 부스터(1)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추진제 그레인의 방사형 배치를 갖는 부스터(1)는, 제1 추진제(10)가 배치되고, 제1 추진제(10)가 연소하여 생성된 연소가스가 내부에서 유동하는 제1 부분(100) 및 제1 추진제(10) 및 제2 추진제(20)가 방사형으로 배치되고, 제1 부분(100)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며, 노즐목(201) 및 노즐목(201)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노즐부(202)를 포함하는 제2 부분(200)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제1 부분(100) 및 제2 부분(200)은 내부에서 연소가스가 유동될 수 있도록 내부가 빈 중공형 형상일 수 있다.
이 때, 제2 추진제(20)는 제1 추진제(10)보다 연소 속도가 느릴 수 있다. 즉, 제2 부분(200)에서 연소속도가 서로 다른 제1 추진제(10) 및 제2 추진제(20)가 방사형으로 배치됨으로써, 서로 다른 이종 추진제를 사용했을 경우에 발생하는 성능 변곡점이 발생하지 않아 성능향상과 함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여기서, 성능 변곡점은 예를 들어 제1 추진제(10)가 모두 연소되고 제2 추진제(20)가 연소되는 경우와 같이 이종 추진제를 사용했을 때 압력 및 추력 선도에서 성능이 변화하는 지점을 의미한다. 이 때, 제1 추진제(10) 및 제2 추진제(20)를 방사형으로 배치한다면, 제1 추진제(10) 및 제2 추진제(20)가 동시에 혼합 연소됨으로써 성능 변곡점이 발생하지 않고 따라서 부스터에 가해지는 충격을 막아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부분(200)에 제1 추진제(10) 및 제1 추진제(10)보다 연소 속도가 더 느린 제2 추진제(20)가 방사형으로 배치됨으로써, 제2 부분(200)의 노즐목(201)에서의 연소 속도는 제1 추진제(10)로만 구성되는 제1 부분(100)에서의 연소 속도보다 느릴 수 있다. 따라서, 제2 부분(200) 내의 노즐목(201) 형상의 유지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고, 압력 유지 및 비추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추진제 그레인의 방사형 배치를 갖는 부스터(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를 도시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부분(110)의 타단으로부터 제2 부분(200)의 노즐목(201)까지 내부의 직경이 점점 작아질 수 있다. 즉, 제1 부분(110)의 타단에서의 내부의 직경(D1)이 제2 부분(200)의 노즐목(201)에서의 내부의 직경(D2)보다 클 수 있다. 이를 통해 노즐목(201) 면적을 최소로 만들어 연소 중 노즐목(201) 형상을 유지하는 시간을 늘릴 수 있고, 노즐목(201)의 면적이 더 좁아짐에 따라 노즐 팽창비가 증가되어 추력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도 2에서는 내부의 직경이 일정하게 작아지는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입장에서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형상이 변경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예를 들어, 내부의 직경이 일정하게 유지되고 노즐목(201) 부분에서 급격하게 직경이 감소하는 형상을 지닐 수도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부분(110)이 제1 추진제(10) 및 제3 추진제(30)로 구성되는 추진제 그레인의 방사형 배치를 갖는 부스터(1)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를 도시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부분(110)은 제1 추진제(10)와 연소 속도가 다른 제3추진제(30)를 더 포함하고, 제1 부분(110)에서 제1 추진제(10) 및 제3 추진제(30)는 제1 간격(G1)으로 방사형으로 배치되며, 제2 부분(200)에서 제1 추진제(10) 및 제2 추진제(20)는 제2 간격(G2)으로 방사형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후술할 바와 같이, 제2부분(200)에서의 제2 간격(G2)은 제1부분(110)에서의 제1 간격(G1)보다 작을 수 있다.
한편, 제3 추진제(30)의 연소 속도는 제1 추진제(10)의 연소 속도보다 빠를 수 있다. 즉, 제3 추진제(30)의 연소 속도가 제1 추진제(10)의 연소 속도보다 빠르게 함으로써, 제1 부분(110)에서의 연소 속도가 전체적으로 빨라지게 되고, 따라서 연소 시간에 따른 압력 강하의 감소를 통해 추력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제1 추진제(10) 및 제3 추진제(30)를 동시에 혼합 연소시키기 때문에 부스터(1)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추진제 그레인의 방사형 배치를 갖는 부스터(1)의 B-B 선 및 C-C선에 따른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4의 (a)는 제1 부분(110)에 해당하는 B-B선에 따른 단면도를 나타내며, 도 4의 (b)는 제2 부분(200)에 해당하는 C-C선에 따른 단면도를 나타낸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부분(200)에서의 제2 간격(G2)은 제1부분(110)에서의 제1 간격(G1)보다 작을 수 있다. 즉, 제2 간격(G2)을 제1 간격(G1)에 비해 더 작게 함으로써 기존보다 오래 형상을 유지하여 기존의 요구되는 추진 성능을 오래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제1 간격(G1) 및 제2 간격(G2)은 요구하는 성능 조건(총 연소시간, 최대압력, 최대추력 등)에 따라 그 간격을 조절하여 원하는 요구조건을 만족시킬 수 있다.
도 5는 제2 부분(200) 내에서 제2 추진제(20)가 배치될 수 있는 형태의 실시예들을 도시한다.
도 5의 (a)를 참조하면, 제2 부분(200) 내의 제2 추진제(20)는 부스터(1)의 중심으로부터 부스터(1)의 외주면까지 너비가 일정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너비를 일정하게 형성함으로써, 연소 시간에 따라 추진제가 일정하게 연소될 수 있도록 조절할 수 있다.
도 5의 (b)를 참조하면, 제2 부분(200) 내의 제2 추진제(20)는 부스터(1)의 중심으로부터 부스터(1)의 외주면으로 진행될수록 너비가 점진적으로 커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너비가 점진적으로 증가하도록 형성함으로써, 연소가 진행됨에 따라 제2 추진제(20)가 더 많이 연소되게 함으로써 연소 속도를 더 느리게 조절할 수 있다.
도 5의 (c)를 참조하면, 제2 부분(200) 내의 제2 추진제(20)는 부스터(1)의 중심으로부터 부스터(1)의 외주면으로 진행될수록 너비가 점진적으로 감소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너비가 점진적으로 작아지게 형성함으로써, 연소가 진행됨에 따라 제2 추진제(20)가 더 적게 연소되게 함으로써 연소 속도를 더 빠르게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배치 형태는 제1 부분(100) 내에서 제3 추진제(30)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제3 추진제(30)의 연소 속도가 제1 추진제(10)의 연소 속도보다 빠를 경우, 너비가 점진적으로 커질 경우 연소가 진행됨에 따라 연소 속도가 더 빨라지도록 조절될 수 있고, 너비가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경우 연소가 진행됨에 따라 연소 속도가 더 느려지도록 조절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추진제 그레인의 방사형 배치를 갖는 부스터(1)는, 연소속도가 다른 이종의 추진제를 방사형으로 배치하여 동시에 연소시킴으로써 압력 및 추력의 급격한 변화를 방지하여 부스터(1)에 가해지는 충격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추진제 그레인의 방사형 배치를 갖는 부스터(1)는, 노즐목(201)이 확장되는 것을 방지하여 압력이 강하되는 것을 방지하고 비추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추가적인 설비나 기존의 부스터의 형상이 크게 변하지 않아 종래의 설계를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 : 추진제 그레인의 방사형 배치를 갖는 부스터
10 : 제1 추진제 20 : 제2 추진제
30 : 제3 추진제 100, 110 : 제1 부분
200 : 제2 부분 201 : 노즐목
202 : 노즐부

Claims (9)

  1. 제1 추진제 및 제3 추진제가 배치되고, 상기 제1 추진제가 연소하여 생성된 연소가스가 내부에서 유동하는 제1 부분; 및
    상기 제1 추진제 및 제2 추진제가 배치되고, 상기 제1 부분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고, 노즐목 및 상기 노즐목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노즐부를 포함하는 제2 부분;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부분 및 상기 제2 부분은 내부가 빈 중공형 형상이고,
    상기 제2 추진제는 상기 제1 추진제보다 연소 속도가 느리고,
    상기 제3 추진제는 상기 제1 추진제와 연소 속도가 다르며,
    상기 제1 부분에서, 상기 제1 추진제 및 상기 제3 추진제는 제1 간격으로 방사형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2 부분에서, 상기 제1 추진제 및 상기 제2 추진제는 제2 간격으로 방사형으로 배치되는,
    추진제 그레인의 방사형 배치를 갖는 부스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분의 상기 노즐목에서의 연소 속도는 상기 제1 부분에서의 연소 속도보다 느린, 추진제 그레인의 방사형 배치를 갖는 부스터.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추진제의 연소 속도는 상기 제1 추진제의 연소 속도보다 빠를 수 있는, 추진제 그레인의 방사형 배치를 갖는 부스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분에서의 상기 제2 간격은 상기 제1 부분에서의 상기 제1 간격보다 작은, 추진제 그레인의 방사형 배치를 갖는 부스터.
  6. 제1 추진제가 배치되고, 상기 제1 추진제가 연소하여 생성된 연소가스가 내부에서 유동하는 제1 부분; 및
    상기 제1 추진제 및 제2 추진제가 방사형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1 부분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고, 노즐목 및 상기 노즐목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노즐부를 포함하는 제2 부분;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부분 및 상기 제2 부분은 내부가 빈 중공형 형상이고,
    상기 제2 추진제는 상기 제1 추진제보다 연소 속도가 느리고,
    상기 제1 부분의 타단으로부터 상기 제2 부분의 상기 노즐목까지 내부의 직경이 점점 작아지는, 추진제 그레인의 방사형 배치를 갖는 부스터.
  7. 제1 추진제 및 제3 추진제가 배치되고, 상기 제1 추진제가 연소하여 생성된 연소가스가 내부에서 유동하는 제1 부분; 및
    상기 제1 추진제 및 제2 추진제가 방사형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1 부분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고, 노즐목 및 상기 노즐목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노즐부를 포함하는 제2 부분;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부분 및 상기 제2 부분은 내부가 빈 중공형 형상이고,
    상기 제2 추진제는 상기 제1 추진제보다 연소 속도가 느리고,
    상기 제2 부분의 상기 노즐목에서의 연소 속도는 상기 제1 부분에서의 연소 속도보다 느리며,
    상기 제2 부분 내의 상기 제2 추진제 및 상기 제1 부분 내의 상기 제3 추진제는 부스터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부스터의 외주면까지 너비가 일정하게 형성되는, 추진제 그레인의 방사형 배치를 갖는 부스터.
  8. 제1 추진제 및 제3 추진제가 배치되고, 상기 제1 추진제가 연소하여 생성된 연소가스가 내부에서 유동하는 제1 부분; 및
    상기 제1 추진제 및 제2 추진제가 방사형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1 부분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고, 노즐목 및 상기 노즐목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노즐부를 포함하는 제2 부분;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부분 및 상기 제2 부분은 내부가 빈 중공형 형상이고,
    상기 제2 추진제는 상기 제1 추진제보다 연소 속도가 느리고,
    상기 제2 부분의 상기 노즐목에서의 연소 속도는 상기 제1 부분에서의 연소 속도보다 느리며,
    상기 제2 부분 내의 상기 제2 추진제 및 상기 제1 부분 내의 상기 제3 추진제는 부스터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부스터의 외주면으로 진행될수록 너비가 점진적으로 증가하도록 형성되는, 추진제 그레인의 방사형 배치를 갖는 부스터.
  9. 제1 추진제 및 제3 추진제가 배치되고, 상기 제1 추진제가 연소하여 생성된 연소가스가 내부에서 유동하는 제1 부분; 및
    상기 제1 추진제 및 제2 추진제가 방사형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1 부분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고, 노즐목 및 상기 노즐목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노즐부를 포함하는 제2 부분;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부분 및 상기 제2 부분은 내부가 빈 중공형 형상이고,
    상기 제2 추진제는 상기 제1 추진제보다 연소 속도가 느리고,
    상기 제2 부분의 상기 노즐목에서의 연소 속도는 상기 제1 부분에서의 연소 속도보다 느리며,
    상기 제2 부분 내의 상기 제2 추진제 및 상기 제1 부분 내의 상기 제3 추진제는 부스터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부스터의 외주면으로 진행될수록 너비가 점진적으로 감소하도록 형성되는, 추진제 그레인의 방사형 배치를 갖는 부스터.
KR1020230075321A 2023-06-13 2023-06-13 추진제 그레인의 방사형 배치를 갖는 부스터 KR1026501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75321A KR102650106B1 (ko) 2023-06-13 2023-06-13 추진제 그레인의 방사형 배치를 갖는 부스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75321A KR102650106B1 (ko) 2023-06-13 2023-06-13 추진제 그레인의 방사형 배치를 갖는 부스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0106B1 true KR102650106B1 (ko) 2024-03-21

Family

ID=904724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75321A KR102650106B1 (ko) 2023-06-13 2023-06-13 추진제 그레인의 방사형 배치를 갖는 부스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010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92545A (en) * 1963-10-01 1966-12-20 Mitsubishi Heavy Ind Ltd Propellant grain
JPS63280843A (ja) * 1987-05-08 1988-11-17 モートン サイオコール,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多段ロケット及びその作動を制御する方法
JP4042537B2 (ja) * 2002-11-11 2008-02-06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空調装置
JP2013024034A (ja) * 2011-07-14 2013-02-04 Mitsubishi Heavy Ind Ltd 燃焼ガス供給制御機構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92545A (en) * 1963-10-01 1966-12-20 Mitsubishi Heavy Ind Ltd Propellant grain
JPS63280843A (ja) * 1987-05-08 1988-11-17 モートン サイオコール,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多段ロケット及びその作動を制御する方法
JP4042537B2 (ja) * 2002-11-11 2008-02-06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空調装置
JP2013024034A (ja) * 2011-07-14 2013-02-04 Mitsubishi Heavy Ind Ltd 燃焼ガス供給制御機構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95021B2 (ja) ノズルの末広部分内の、ロケットビークル推力増強体
US4066214A (en) Gas turbine exhaust nozzle for controlled temperature flow across adjoining airfoils
EP1605207B1 (en) Thrust augmentor for gas turbine engines
JP3882151B2 (ja) ガスタービンエンジン内に燃料を分配する方法
US8015794B2 (en) Variable area flow duct employing secondary flows, and method therefor
US7013635B2 (en) Augmentor with axially displaced vane system
JP4320576B2 (ja) 固体推進剤ロケットエンジン内に流体力学的に発生される圧力振動を制御するシステム並びに方法
KR102650106B1 (ko) 추진제 그레인의 방사형 배치를 갖는 부스터
JP2020522427A (ja) 膨出部を有するアイソレータを伴うフライトビークルエアエンジン
US2510147A (en) Side venting rocket
KR102628965B1 (ko) 추진제 그레인의 나선형 배치를 갖는 부스터
JP4057850B2 (ja) ロケットエンジンの噴射エレメント
KR101669166B1 (ko) 다층 환형 고체 추진제 그레인과 세장비가 작은 점화기를 갖는 추력기
US3171248A (en) Thrust cut-off method
US11111882B2 (en) Injection apparatus for a rocket engine
US3570766A (en) Integral plug and strut nozzle
JP2006152917A (ja) ノズルレスロケット
US20180216571A1 (en) Vent nozzle shockwave cancellation
KR20240017790A (ko) 넓게 이격된 스러스트 챔버를 갖는 환형 에어로스파이크 노즐, 환형 에어로스파이크 노즐을 포함하는 엔진, 및 엔진을 포함하는 비히클
US10458768B1 (en) Protection covering for folded tail fin of projectile
US3086359A (en) Integral nozzle separator for a multistage reaction motor
US3121309A (en) Spherically-shaped rocket motor
JP4215322B2 (ja) ロケットモータ
US8893502B2 (en) Augmentor spray bar with tip support bushing
JP3564232B2 (ja) 固体ロケットモー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