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9976B1 - 차량용 전동식 조향장치의 리던던시용 전자제어유닛 - Google Patents

차량용 전동식 조향장치의 리던던시용 전자제어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9976B1
KR102649976B1 KR1020210183612A KR20210183612A KR102649976B1 KR 102649976 B1 KR102649976 B1 KR 102649976B1 KR 1020210183612 A KR1020210183612 A KR 1020210183612A KR 20210183612 A KR20210183612 A KR 20210183612A KR 102649976 B1 KR102649976 B1 KR 1026499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circuit
unit
motor control
motor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36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94426A (ko
Inventor
김민구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836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9976B1/ko
Priority to US17/724,705 priority patent/US20230198348A1/en
Priority to DE202022001088.5U priority patent/DE202022001088U1/de
Priority to CN202221260194.5U priority patent/CN217753876U/zh
Publication of KR202300944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44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99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99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1/0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 H02K11/30Structural association with control circuits or drive circuits
    • H02K11/33Drive circuits, e.g. power electron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4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 B62D5/0457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characterised by control features of the drive means as such
    • B62D5/0481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characterised by control features of the drive means as such monitoring the steering system, e.g. failures
    • B62D5/0484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characterised by control features of the drive means as such monitoring the steering system, e.g. failures for reaction to failures, e.g. limp ho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31Circuits relating to the driving or the functioning of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4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 B62D5/0457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characterised by control features of the drive means as such
    • B62D5/046Controlling the mo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4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 B62D5/0457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characterised by control features of the drive means as such
    • B62D5/0481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characterised by control features of the drive means as such monitoring the steering system, e.g. failures
    • B62D5/0487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characterised by control features of the drive means as such monitoring the steering system, e.g. failures detecting motor fau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00Arrangement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steering depending on driving conditions sensed and responded to, e.g. control circuits
    • B62D6/08Arrangement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steering depending on driving conditions sensed and responded to, e.g. control circuits responsive only to driver input torque
    • B62D6/10Arrangement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steering depending on driving conditions sensed and responded to, e.g. control circuits responsive only to driver input torque characterised by means for sensing or determining torqu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00Details of windings
    • H02K3/46Fastening of windings on the stator or rotor structure
    • H02K3/50Fastening of winding heads, equalising connectors, or connections thereto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22Auxiliary parts of casings not covered by groups H02K5/06-H02K5/20, e.g. shaped to form connection boxes or terminal boxes
    • H02K5/225Terminal boxes or connection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9/00Arrangements for cooling or ventilating
    • H02K9/22Arrangements for cooling or ventilating by solid heat conducting material embedded in, or arranged in contact with, the stator or rotor, e.g. heat bridges
    • H02K9/227Heat sink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203/00Specific aspect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relating to the windings
    • H02K2203/09Machines characterised by wiring elements other than wires, e.g. bus rings, for connecting the winding termin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211/00Specific aspect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relating to measuring or protective devices or electric components
    • H02K2211/03Machines characterised by circuit boards, e.g. pcb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213/00Specific aspe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nd not covered by codes H02K2201/00 - H02K2211/00
    • H02K2213/06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fail safe, back up, redundant or other similar emergency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04L2012/40208Bus networks characterized by the use of a particular bus standard
    • H04L2012/40215Controller Area Network CA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04L2012/40267Bus for use in transportation systems
    • H04L2012/40273Bus for use in transportation systems the transportation system being a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ower Steering Mechanism (AREA)
  • Motor Or Generator Fra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전동식 조향장치의 리던던시용 전자제어유닛에 관한 것으로, 모터의 구동을 제어가능한 회로구조를 가지는 제1모터제어회로부와, 모터의 구동을 제어가능한 회로구조를 가지고, 제1모터제어회로부와 x방향으로 병렬되게 배치되는 제2모터제어회로부와, 제1모터제어회로부의 이상 시 제2모터제어회로부에 의해 모터의 제어가 이루어지게 하는 리던던시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전동식 조향장치의 리던던시용 전자제어유닛{ELECTRONIC CONTROL UNIT FOR REDUNDANCY OF MOTOR DRIVEN POWER STEERING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전동식 조향장치의 리던던시용 전자제어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용 전동식 조향장치의 구동력을 생성하는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차량용 전동식 조향장치의 리던던시용 전자제어유닛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전동식 조향장치(MDPS, Motor Driven Power Steering)의 전자제어유닛(ECU, Electronic Control Unit)은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하나의 모터제어회로부가 차량측 전원, CAN(Controller Area Network) 라인, 토크센서와 연결된 구조를 가진다.
모터제어회로부는 전동식 조향장치의 구동력을 생성하는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전자제어유닛의 주요 회로부로서, 고장 발생 시 모터가 구동력을 상실해 전동식 조향장치의 작동이 제대로 이루어질 수 없고, 운전자를 위험에 빠뜨릴 수 있다.
또한, 근래에는 완전자율주행을 목표로 하여 자율주행차의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전동식 조향장치의 가동 안정성을 보다 강화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차량용 전동식 조향장치에 의하면 모터제어회로부의 고장 시 이를 대체하여 수행할 수 없어 자율주행의 안전성을 확보하는 데 한계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제10-1072749호(2011.10.05 등록, 발명의 명칭: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전자 제어 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활성화 중인 모터제어회로부의 고장이 발생되더라도 정상적으로 전자동력조향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차량용 전동식 조향장치의 리던던시용 전자제어유닛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전동식 조향장치의 리던던시용 전자제어유닛은, 모터의 구동을 제어가능한 회로구조를 가지는 제1모터제어회로부; 상기 모터의 구동을 제어가능한 회로구조를 가지고, 상기 제1모터제어회로부와 x방향으로 병렬되게 배치되는 제2모터제어회로부; 및 상기 제1모터제어회로부의 이상 시 상기 제2모터제어회로부에 의해 상기 모터의 제어가 이루어지게 하는 리던던시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모터제어회로부는, 상기 모터의 구동을 독자적으로 제어가능한 회로구조를 가지는 제1회로기판; 상기 제1회로기판의 제1영역에 배치되고, 차량측 전원커넥터와 연결된 전원단자부와 접속되어 전원을 공급받는 제1전원단자연결부; 상기 제1회로기판의 제2영역에 배치되고, 차량측 CAN커넥터와 연결된 CAN단자부와 접속되어 신호를 전달받는 제1통신단자연결부; 및 상기 제1회로기판의 제3영역에 배치되고, 차량측 토크센서커넥터와 연결된 토크센서단자부와 접속되어 신호를 전달받는 제1센서단자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모터제어회로부는, 상기 모터의 구동을 독자적으로 제어가능한 회로구조를 가지는 제2회로기판; 상기 제2회로기판 중 상기 제1영역의 x방향 연장선상에 배치되고, 상기 전원단자부와 접속되어 전원을 공급받는 제2전원단자연결부; 상기 제2회로기판 중 상기 제2영역의 x방향 연장선상에 배치되고, 상기 CAN단자부와 접속되어 신호를 전달받는 제2통신단자연결부; 및 상기 제2회로기판 중 상기 제3영역의 x방향 연장선상에 배치되고, 상기 토크센서단자부와 접속되어 신호를 전달받는 제2센서단자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리던던시제어부는, 상기 제1모터제어회로부의 작동상태를 감지하는 회로감지부; 상기 회로감지부에서 감지된 신호에 따라 상기 제1모터제어회로부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는 이상판단부; 및 상기 제1모터제어회로부에 의해 상기 모터의 제어를 수행하는 중에, 상기 이상판단부에서 상기 제1모터제어회로부의 이상 판단 시, 상기 제1모터제어회로부에 의한 상기 모터의 구동을 중단하고, 상기 제2모터제어회로부가 상기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게 전환하는 구동회로전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로감지부는, 상기 제1모터제어회로부의 작동상태를 감지하는 제1회로감지부; 및 상기 제2모터제어회로부의 작동상태를 감지하는 제2회로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상판단부는, 상기 제1회로감지부와 상기 제2회로감지부의 감지신호를 비교하거나, 상기 제1회로감지부의 감지신호를 기설정된 설정치와 비교하여 상기 제1회로감지부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모터하우징과 결합되며, 상기 제1모터제어회로부와 상기 제2모터제어회로부가 상기 x방향으로 이격간격을 두고 고정되는 모터결합부;를 더 포함고,
상기 모터결합부는, 상기 제1모터제어회로부와 상기 제2모터제어회로부가 고정되고, 상기 제1모터제어회로부와 상기 제2모터제어회로부에서 발산되는 열을 전달받는 기판지지부; 및 상기 기판지지부와 연결되고, 상기 기판지지부에서 전달받은 열을 방출하는 방열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판지지부는, 지지본체부; 상기 지지본체부의 일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1모터제어회로부가 접하게 배치되는 제1기판지지부; 상기 지지본체부의 타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2모터제어회로부가 접하게 배치되는 제2기판지지부; 및 상기 지지본체부 상에 관통되게 형성되고, 차량측 전원커넥터와 연결된 전원단자부, 차량측 CAN커넥터와 연결된 CAN단자부, 차량측 토크센서커넥터와 연결된 토크센서단자부가 상기 x방향으로 관통하여 연장되는 단자통과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판지지부는, 지지본체부; 상기 지지본체부의 일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1모터제어회로부와 상기 제2모터제어회로부 중 일측이 접하게 배치되는 접촉지지부; 및 상기 접촉지지부에서 상기 x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1모터제어회로부와 상기 제2모터제어회로부 중 타측을 지지하는 이격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일측부가 차량측 전원커넥터와 접속되고, 타측부가 복층으로 분기되는 형상을 가지고 상기 x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모터제어회로부, 상기 제2모터제어회로부와 접속되는 복층전원단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복층전원단자부는, 상기 차량측 전원커넥터와 접속되는 외부전원접속부; 상기 외부전원접속부에서 상기 x방향으로 분기되며, 상기 제1모터제어회로부와 상기 제2모터제어회로부 중 일측과 접속되는 제1층전원접속부; 및 상기 제1층전원접속부와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x방향으로 분기되며, 상기 제1모터제어회로부와 상기 제2모터제어회로부 중 타측과 접속되는 제2층전원접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층전원접속부는, 상기 외부전원접속부의 일측부에 상기 x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단부가 상기 제1모터제어회로부와 접속되며, 상기 제2층전원접속부는, 상기 외부전원접속부의 타측부에 y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전원분기부; 상기 전원분기부에서 z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전원중간연장부; 및 상기 전원중간연장부에서 상기 x방향으로 연장되고, 단부가 상기 제1층전원접속부의 단부와 비교해 상기 x방향, 상기 y방향, 상기 z방향으로 이격되게 위치되는 전원연장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복층전원단자부는, 상기 외부전원접속부, 상기 제1층전원접속부, 상기 제2층전원접속부가 구비되는 제1버스바; 상기 제1버스바와 y방향으로 대칭되게 배치되는 제2버스바; 및 상기 제1버스바와 상기 제2버스바의 사이에 형성되고, 차량측 CAN커넥터와 접속되는 CAN단자부의 적어도 일부가 배치되는 교집공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일측부가 차량측 CAN커넥터와 접속되고, 타측부가 복층으로 분기되는 형상을 가지고 상기 x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모터제어회로부, 상기 제2모터제어회로부와 접속되는 복층CAN단자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층CAN단자부는, 상기 차량측 CAN커넥터와 접속되는 외부CAN접속부; 상기 외부CAN접속부에서 상기 x방향으로 분기되며, 상기 제1모터제어회로부와 상기 제2모터제어회로부 중 일측과 접속되는 제1층CAN접속부; 및 상기 외부CAN접속부에서 y방향 또는 z방향으로 분기된 후 상기 x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모터제어회로부와 상기 제2모터제어회로부 중 타측과 접속되는 제2층CAN접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층CAN접속부는, 상기 외부CAN접속부의 일측부에 상기 x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단부가 상기 제2모터제어회로부와 접속되며, 상기 제1층CAN접속부는, 상기 외부CAN접속부의 타측부에 y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CAN분기부; 상기 CAN분기부에서 z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CAN중간연장부; 및 상기 CAN중간연장부에서 상기 x방향으로 연장되고, 단부가 상기 제2층CAN접속부의 단부와 비교해 상기 x방향, 상기 y방향, 상기 z방향으로 이격되게 위치되는 CAN연장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일측부가 차량측 토크센서커넥터와 접속되고, 타측부가 복층으로 분기되는 형상을 가지고 상기 x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모터제어회로부, 상기 제2모터제어회로부와 접속되는 복층센서단자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층센서단자부는, 상기 차량측 토크센서커넥터와 접속되는 외부센서접속부; 상기 외부센서접속부에서 상기 x방향으로 분기되며, 상기 제1모터제어회로부와 상기 제2모터제어회로부 중 일측과 접속되는 제1층센서접속부; 및 상기 외부센서접속부에서 y방향 또는 z방향으로 분기된 후 상기 x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모터제어회로부와 상기 제2모터제어회로부 중 타측과 접속되는 제2층센서접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층센서접속부는, 상기 외부센서접속부의 일측부에 상기 x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단부가 상기 제1모터제어회로부와 접속되며, 상기 제2층센서접속부는, 상기 외부센서접속부의 타측부에 z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센서분기부; 상기 센서분기부에서 y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센서중간연장부; 및상기 센서중간연장부에서 상기 x방향으로 연장되고, 단부가 상기 제1층센서접속부의 단부와 비교해 상기 x방향, 상기 y방향, 상기 z방향으로 이격되게 위치되는 센서연장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모터와 결합되는 모터결합부; 상기 모터결합부에 설치되는 제1모터제어회로부; 상기 모터결합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1모터제어회로부와 x방향으로 병렬되게 배치되는 제2모터제어회로부; 일측부가 차량측 전원커넥터와 접속되고, 타측부가 상기 제1모터제어회로부, 상기 제2모터제어회로부와 접속되는 전원커넥터; 및 상기 제1모터제어회로부의 이상 시 상기 제2모터제어회로부에 의해 모터제어가 이루어지게 제어하는 리던던시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원커넥터는, 일측부가 상기 차량측 전원커넥터와 접속되며, 타측부가 복층으로 분기되는 버스바의 구조를 가지고 상기 x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모터제어회로부, 상기 제2모터제어회로부와 접속되는 복층전원단자부; 차량측 CAN커넥터와 접속되는 CAN단자부; 및 상기 복층전원단자부와 상기 CAN단자부를 인서트몰딩하여 결속하고, 상기 모터결합부에 설치되는 제1사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CAN단자부는, 일측부가 상기 차량측 CAN커넥터와 접속되며, 타측부가 복층으로 분기되는 버스바의 구조를 가지고, 상기 x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모터제어회로부, 상기 제2모터제어회로부와 접속되는 복층CAN단자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층전원단자부가 배치되는 제1영역과, 상기 복층CAN단자부가 배치되는 제2영역은 적어도 일부가 교차되거나 중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차량측 토크센서커넥터와 접속되는 토크센서커넥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토크센서커넥터는, 일측부가 상기 차량측 토크센서커넥터와 접속되며, 타측부가 복층으로 분기되는 버스바의 구조를 가지고, 상기 x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모터제어회로부, 상기 제2모터제어회로부와 접속되는 복층센서단자부; 및 상기 복층센서단자부를 인서트몰딩하여 형성되고, 상기 모터결합부에 상기 x방향으로 끼워져 설치되는 제2사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전동식 조향장치의 리던던시용 전자제어유닛은, 활성화 회로부로서 제1모터제어회로부를 설정하여 운용 중에 제1모터제어회로부에 이상이 발생되면, 리던던시제어부에 의해 활성화 회로부를 제1모터제어회로부에서 제2모터제어회로부로 전환하는 제어를 수행함으로써, 제1모터제어회로부와 제2모터제어회로부 중 하나가 고장나더라도, 다른 하나가 모터 구동 제어를 수행함으로써, 차량용 전동식 조향장치의 정상 동작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동식 조향장치의 리던던시용 전자제어유닛의 요부 조립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동식 조향장치의 리던던시용 전자제어유닛을 도시한 요부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동식 조향장치의 리던던시용 전자제어유닛을 도 2와 다른 방향에서 도시한 요부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동식 조향장치의 리던던시용 전자제어유닛을 도시한 요부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동식 조향장치의 리던던시용 전자제어유닛의 요부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층전원단자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층CAN단자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층센서단자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동식 조향장치의 리던던시용 전자제어유닛을 도시한 요부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전동식 조향장치의 리던던시용 전자제어유닛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동식 조향장치의 리던던시용 전자제어유닛의 요부 조립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동식 조향장치의 리던던시용 전자제어유닛을 도시한 요부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동식 조향장치의 리던던시용 전자제어유닛을 도 2와 다른 방향에서 도시한 요부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동식 조향장치의 리던던시용 전자제어유닛(1)은 하우징(10), 모터결합부(20), 제1모터제어회로부(30), 제2모터제어회로부(40), 전원커넥터(50), 토크센서커넥터(60), 리던던시제어부(70)를 포함한다.
하우징(10)은 모터결합부(20)의 일측부에 결합되어, 모터결합부(20)에 장착된 제1모터제어회로부(30), 제2모터제어회로부(40), 전원커넥터(50), 토크센서커넥터(60) 등을 커버한다. 이하 본 발명의 설명에서 '하우징(10)의 내부'라는 것은, 하우징(10)과 모터결합부(20)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부를 지칭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설명에서 '차량측 '이라는 기재는, 하우징(10)의 외부에 배치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 '차량측' 이라는 기재가 추가된 명칭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전동식 조향장치의 리던던시용 전자제어유닛(1)의 구성요소와 구분된다.
하우징(10) 중 전원커넥터(50), 토크센서커넥터(60)에 대응되는 위치에는 관통홀부(11)가 형성된다. 하우징(10)의 내부에 위치하는 전원커넥터(50), 토크센서커넥터(60)는, 관통홀부(11)를 통해, 하우징(10)의 외부에 위치하는 차량측 전원커넥터(2), 차량측 CAN커넥터(3), 차량측 토크센서커넥터(4)와 접속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 상,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x방향, y방향, z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전동식 조향장치의 리던던시용 전자제어유닛(1)의 구성요소의 위치와 방향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x방향, y방향, z방향 각각은 +방향과 -방향을 포괄하며, 필요 시에만 +방향과 -방향을 병기하기로 한다.
모터결합부(20)는 모터(5)와 결합되는 장치부로, 전체적으로 모터하우징(6)의 개방부(도면부호 미표기)에 대응되는 납작한 원통 형상을 가지고, 모터하우징(6)과 결합된다. 모터결합부(20)는 방열기능을 구현가능한 금속재로 이루어지며, 제1모터제어회로부(30)와 제2모터제어회로부(40)에서 방출되는 열을 전달받아 하우징(10)의 외부로 방출한다.
제1모터제어회로부(30)와 제2모터제어회로부(40)는 각자 독자적으로 모터(5)의 구동을 제어가능한 회로구조를 가지고, 모터결합부(20)에 설치된다. 제1모터제어회로부(30)와 제2모터제어회로부(40)는 x방향으로 설정 이격 간격을 두고 병렬되게 배치된다.
제1모터제어회로부(30)는 제2모터제어회로부(40)와의 연계 없이, 즉 제2모터제어회로부(40)가 완전히 기능을 상실하더라도, 혼자서 모터(5)의 구동을 온전히 제어가능한 회로구조를 가진다. 제2모터제어회로부(40) 또한, 제1모터제어회로부(30)와의 연계 없이, 즉 제1모터제어회로부(30)가 완전히 기능을 상실하더라도, 혼자서 모터(5)의 구동을 온전히 제어가능한 회로구조를 가진다.
즉, 제1모터제어회로부(30), 제2모터제어회로부(40)는 모터(5)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해 필요한 회로의 일부를, 예를 들어 전원부, 모터제어부, 신호전달부 등과 같은 회로의 일부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모터제어회로부와의 연계 없이 단독으로 모터(5)의 구동을 온전히 제어가능한 회로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모터제어회로부(30)는 하나의 회로기판으로 이루어져 있으나, 필요 시 복수개의 회로기판으로 분할된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제2모터제어회로부(40) 또한 이와 마찬가지이다.
전원커넥터(50)는 일측부가 차량측 전원커넥터(2)와 접속되고, 타측부가 x방향으로 병렬되게 배치된 제1모터제어회로부(30), 제2모터제어회로부(40)와 접속된다. 차량측 전원커넥터(2)와 차량층 CAN커넥터(3)가 일체로 결속된 하나의 부품으로 이루어진 경우, 전원커넥터(50)는 차량측 전원커넥터(2)와 차량층 CAN커넥터(3) 각각과 접속가능한 구조를 가진다.
토크센서커넥터(60)는 일측부가 차량측 토크센서커넥터(4)와 접속되고, 타측부가 x방향으로 병렬되게 배치된 제1모터제어회로부(30), 제2모터제어회로부(40)와 접속된다. 차량측 토크센서커넥터(4)는 핸들의 조향토크나 조향각을 감지하기 위해 설치된 토크센서(미도시)와의 연결된다. 토크센서커넥터(60)를 구비함으로써, 토크센서와 연동하여 모터(5)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리던던시제어부(70)는 모터(5) 구동 제어의 리던던시를 구현하기 위한 장치부로, 제1모터제어회로부(30)에 이상이 발생될 시, 제2모터제어회로부(40)에 의한 모터(5)의 구동 제어가 이루어지게 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 상 제1모터제어회로부(30)와 제2모터제어회로부(40) 중 실질적으로 모터(5)의 구동을 제어 중인 것을 '활성화 회로부'로 칭하기로 한다.
활성화 회로부로서 제1모터제어회로부(30)를 설정하여 운용 중에, 제1모터제어회로부(30)에 이상이 감지되면, 리던던시제어부(70)는 제1모터제어회로부(30)에 의한 모터(5)의 구동을 중단함과 동시에, 제1모터제어회로부(30)를 대신하여 제2모터제어회로부(40)에 의한 모터(5)의 구동 제어가 이루어지게 하는, 즉 활성화 회로부를 제2모터제어회로부(40)로 전환하는 제어를 수행한다.
도 2,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터결합부(20)는 기판지지부(21)와 방열지지부(28)를 포함한다.
기판지지부(21)는 모터하우징(6)의 개방부를 커버함과 동시에, 제1모터제어회로부(30)와 제2모터제어회로부(40)를 설정 위치에 지지한다. 제1모터제어회로부(30)와 제2모터제어회로부(40)는 x방향으로 설정 이격간격을 두고 기판지지부(21)에 설치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판지지부(21)는 지지본체부(22), 제1기판지지부(23), 제2기판지지부(24), 단자통과홀부(25)를 포함한다.
지지본체부(22)는 기판지지부(21)의 기본 골조를 이루는 부분으로, 전체적으로 y방향 및 z방향의 너비를 가지는 원판의 형상을 가진다. 이는, 대체로 모터하우징(6)이 원형의 개방부를 가지는 것을 고려한 것으로, 지지본체부(22)의 형상을 특정하게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지지본체부(22)의 형상은 모터하우징(6), 제1모터제어회로부(30), 제2모터제어회로부(40)의 형상, 구조 등에 따라 다양하게 가변되어 적용될 수 있다.
제1기판지지부(23)는 지지본체부(22) 중 하우징(10)과 마주하는 x방향 일측면에 형성되고, 제1모터제어회로부(30)가 접하게 배치된다. 제2기판지지부(24)는 지지본체부(22) 중 모터(5)와 마주하는 x방향 타측면에 형성되고, 제2모터제어회로부(40)가 접하게 배치된다.
제1모터제어회로부(30)와 제2모터제어회로부(40)를 각각 제1기판지지부(23), 제2기판지지부(24)에 설치한 상태에서, 제1모터제어회로부(30)와 제2모터제어회로부(40)는 지지본체부(22)의 x방향 두께에 상당하는 간격을 두고 x방향으로 병렬되게 배치된다. 지지본체부(22) 중 하우징(10)과 마주하는 x방향 일측면의 가장자리부는 하우징(10)과 결합된다.
지지본체부(22)의 x방향 양면에 제1모터제어회로부(30), 제2모터제어회로부(40)를 접하게 배치함으로써, 제1모터제어회로부(30)와 제2모터제어회로부(40)에서 발생된 열이 지지본체부(22)로 직접 전달된다. 이에 따라, 제1모터제어회로부(30)와 제2모터제어회로부(40) 둘 다에 대해 우수한 방열 효과를 안정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단자통과홀부(25)는 전원커넥터(50), 토크센서커넥터(60)가 지지본체부(22)를 x방향으로 통과하여 연장될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하는 장치부이다. 단자통과홀부(25)는 지지본체부(22) 중 전원커넥터(50), 토크센서커넥터(60)에 대응되는 위치에 x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전원커넥터(50)에 구비되는 전원단자부(51)(이하 설명), CAN단자부(54)(이하 설명), 토크센서커넥터(60)에 구비되는 토크센서단자부(61)(이하 설명)는 단자통과홀부(25)를 통해 지지본체부(22) x방향으로 관통하여 연장되면서, 지지본체부(22)의 x방향 양면에 배치되는 제1모터제어회로부(30)와 제2모터제어회로부(40) 모두에 접속될 수 있다.
방열지지부(28)는 기판지지부(21) 중 모터(5)와 마주하는 x방향 타측면의 가장자리부에 돌출되게 형성되고, 모터하우징(6)과 결합된다. 모터결합부(20)는 열전달 및 방열 기능을 구현가능한 금속재로 이루어지며, 제1모터제어회로부(30)와 제2모터제어회로부(40)에서 방출되는 열을 기판지지부(21)로 전달받아, 방열지지부(28)를 통해 하우징(10)과 모터하우징(6)의 외부로 방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동식 조향장치의 리던던시용 전자제어유닛을 도시한 요부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동식 조향장치의 리던던시용 전자제어유닛의 요부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5의 평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모터제어회로부(30)는 제1회로기판(31), 제1전원단자연결부(32), 제1통신단자연결부(33), 제1센서단자연결부(34)를 포함한다.
제1회로기판(31)은 모터(5)의 구동을 독자적으로 제어가능한 회로구조를 가진다. 제1영역(A1)에 배치되고, 차량측 전원커넥터(2)와 연결된 전원단자부(51)와 접속되어 전원을 공급받는다. 제1통신단자연결부(33)는 제1회로기판(31)의 제2영역(A2)에 배치되고, 차량측 CAN커넥터(3)와 연결된 CAN단자부(54)와 접속되어 신호를 전달받는다.
제1센서단자연결부(34)는 제1회로기판(31)의 제3영역(A3)에 배치되고, 차량측 토크센서커넥터(4)와 연결된 토크센서단자부(61)와 접속되어 신호를 전달받는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 제1영역(A1), 제2영역(A2), 제3영역(A3)은 사각형, 삼각형, 원형 등과 같이 함몰된 오목부 없이,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 중 일측에 해당되는 일방향으로 선을 연장시키면서 완성할 수 있는 도형의 단면 형상을 가진다고 전제한다.
도 4,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2모터제어회로부(40)는 제2회로기판(41), 제2전원단자연결부(42), 제2통신단자연결부(43), 제2센서단자연결부(44)를 포함한다.
제2회로기판(41)은 모터(5)의 구동을 독자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회로구조를 가진다. 제2전원단자연결부(42)는 제2회로기판(41) 중 제1영역(A1)의 x방향 연장선상에 배치되고, 전원단자부(51)와 접속되어 전원을 공급받는다. 제2통신단자연결부(43)는 제2회로기판(41) 중 제2영역(A2)의 x방향 연장선상에 배치되고, CAN단자부(54)와 접속되어 신호를 전달받는다.
제2센서단자연결부(44)는 제2회로기판(41) 중 제3영역(A3)의 x방향 연장선상에 배치되고, 토크센서단자부(61)와 접속되어 신호를 전달받는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 상, 제1영역(A1)과, 제1영역(A1)의 x방향 연장선에 속하는 영역을 별도로 구분하지 않고, 제1영역(A1)으로 포괄하여 기재하기로 한다. 예를 들어, 제2회로기판(41) 상의 제1영역(A1)은 제1영역(A1)의 x방향 연장선에 속하는 영역을 의미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층전원단자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원커넥터(50)는 전원단자부(51), CAN단자부(54), 제1사출부(56)를 포함한다.
전원단자부(51)는 x방향으로 연장된 버스바의 구조를 가지고, 차량측 전원커넥터(2), 제1모터제어회로부(30), 제2모터제어회로부(40)와 접속된다. 전원단자부(51)의 x방향 일측부는 차량측 전원커넥터(2)와 접속되고, x방향 타측부 제1모터제어회로부(30), 제2모터제어회로부(40)와 접속된다.
특히, 전원단자부(51)의 x방향 타측부는 x방향으로 연장됨에 있어서, 제2층의 제1모터제어회로부(30)의 제1전원단자연결부(32)와, 제2층의 제2모터제어회로부(40)의 제2전원단자연결부(42)로 분기되는 형상을 가진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이와 같이 복층으로 분기되는 단부를 가지는 것을 복층전원단자부(52)라 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전원단자부(51)는 x방향으로 병렬되게 배치된 제1모터제어회로부(30)와 제2모터제어회로부(40)에 동시에 접속가능하게 복수개로 분기되면서 x방향으로 연장되는 버스바의 구조를 가지는 복층전원단자부(52)를 포함한다. 도 5,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층전원단자부(52)는 제1버스바(52A), 제2버스바(52B), 교집공간부(53)를 포함한다.
제1버스바(52A)와 제2버스바(52B)는 각각 차량측 전원커넥터(2)의 음극, 양측 단자와 접속되는 단자로, y방향으로 상호 대칭되게 배치되고, 제1버스바(52A)와 제2버스바(52B)의 사이에는 CAN단자부(54)의 적어도 일부가 배치될 수 있는 교집공간부(53)가 형성된다.
교집공간부(53)에 복층CAN단자부(55)의 적어도 일부를 배치 시, 교집공간부(53)는 제1, 2전원단자연결부(32, 42)가 배치되는 제1영역(A1)과, 제1, 2통신단자연결부(33, 43)가 배치되는 제2영역(A2)이 공유하는 영역이 된다. 다른 표현으로는, 복층전원단자부(52)가 배치되는 제1영역(A1)과, 복층CAN단자부(55)가 배치되는 제2영역(A2)은 적어도 일부가 교차되거나 중첩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제1영역(A1)과 제2영역(A2)이 상호 독립되게 배치되지 않고, 교집공간부(53)에 해당되는 영역을 공유한다. 이에 따라, 복수개의 분기부를 가지는 3차원 입체 형상의 복층전원단자부(52)와 복층CAN단자부(55)가 한정된 공간 상에 공간효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5,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층전원단자부(52)는 외부전원접속부(521), 제1층전원접속부(522), 제2층전원접속부(526)를 포함한다.
외부전원접속부(521)는 차량측 전원커넥터(2)와 접속되는 단자부이고, 제1층전원접속부(522)와 제2층전원접속부(526)는 각각 제1전원단자연결부(32)와 제2전원단자연결부(42)에 접속되는 단자부이다. 외부전원접속부(521)는 y방향으로 제1너비를 가지고 x방향으로 연장되고, 제1전원단자연결부(32)와 제2전원단자연결부(42)는 제1너비보다 작은 제2너비를 가지고 외부전원접속부(521)로부터 분기되고, x방향으로 연장된다.
외부전원접속부(521)는 제1너비를 가짐으로써, 차량측 전원커넥터(2)와의 접촉면적을 명확하고 안정되게 확보할 수 있다. 제1전원단자연결부(32)와 제2전원단자연결부(42)는 제1너비보다 작은 제2너비를 가짐으로써, 제1모터제어회로부(30)와 제2모터제어회로부(40)를 구성하는 다른 회로부품들과의 간섭없이 제1층전원접속부(522)와 제2층전원접속부(526)와 안정되게 접속될 수 있다.
제1층전원접속부(522)는 외부전원접속부(521)의 +x방향 단부에서 +x방향으로 돌출되게 분기되며, 제1전원단자연결부(32)와 접속된다. 제2층전원접속부(526)는 외부전원접속부(521)에서 +x방향으로 돌출되게 분기되되, 제1층전원접속부(522)와 x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x방향으로 연장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층전원접속부(526)는 외부전원접속부(521)의 x방향 중간부에서 y방향으로 돌출되게 분기된 후, 모터결합부(20)의 단자통과홀부(25)를 +x방향으로 통과하여 제2전원단자연결부(42)와 접속된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버스바(52A)의 제2층전원접속부(526)는 전원분기부(527), 전원중간연장부(528), 전원연장단부(529)를 포함한다.
전원분기부(527)는 외부전원접속부(521)의 x방향 중간부이면서 +y방향 단부에 해당되는 위치에서 +y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전원중간연장부(528)는 전원분기부(527)의 +x방향 단부에서 +z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전원연장단부(529)는 전원중간연장부(528)의 +z방향 단부에서 +x방향으로 연장된다.
전원연장단부(529)의 +x방향 단부는, 제1층전원접속부(522)의 +x방향 단부와 비교해 x방향, y방향, z방향으로 이격되게 위치된다. 즉, 제1층전원접속부(522)와 전원연장단부(529)의 +x방향 단부가 x방향, y방향, z방향에 해당되는 전방향으로 명확하게 상호 이격된다.
따라서, 조립, 제작과정에서 오차, 오인 등으로 인해 제1층전원접속부(522)와 제2층전원접속부(526)가 상호 간에 간섭되거나 오조립될 수 있는 소지를 낮춤으로써 생산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일측의 파손이 타측에 끼칠 수 있는 영향을 최소화함으로써 구조적 안정성 또한 확보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의 복층전원단자부(52)는 금속재를 외부전원접속부(521), 제1층전원접속부(522), 제2층전원접속부(526)를 포괄하는 형태로 절단한 후, 전원중간연장부(528)와 전원연장단부(529)에 해당되는 부분을 +z방향, +x방향으로 다단 절곡시키는 간단한 공정을 거쳐, 일체형으로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다.
제2버스바(52B)는 제1버스바(51A)의 -y방향에 위치되고, 제2버스바(52B)의 제2층전원접속부(526)는 제1버스바(52A)의 제2층전원접속부(526)와 y방향으로 대칭되는 형상을 가진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교집공간부(53)는 제1버스바(51A)의 제2층전원접속부(526)와, 제2버스바(52B)의 제2층전원접속부(526)의 사이에 형성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층CAN단자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 도 8을 참조하면, CAN단자부(54)는 x방향으로 연장된 버스바의 구조를 가지고, 차량측 CAN커넥터(3), 제1모터제어회로부(30), 제2모터제어회로부(40)와 접속된다. CAN단자부(54)의 x방향 일측부는 차량측 전원커넥터(2)와 접속되고, x방향 타측부 제1모터제어회로부(30), 제2모터제어회로부(40)와 접속된다.
특히, CAN단자부(54)의 x방향 타측부는 x방향으로 연장됨에 있어서, 제1층의 제1모터제어회로부(30)의 제1통신단자연결부(33)와, 제2층의 제2모터제어회로부(40)의 제2통신단자연결부(43)로 분기되는 형상을 가진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이와 같이 복층으로 분기되는 단부를 가지는 것을 복층CAN단자부(55)라 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CAN단자부(54)는 x방향으로 병렬되게 배치된 제1모터제어회로부(30)와 제2모터제어회로부(40)에 동시에 접속가능하게 복수개로 분기되면서 x방향으로 연장되는 버스바의 구조를 가지는 복층CAN단자부(55)를 포함한다. 또한, CAN단자부(54)는 복수개의 복층CAN단자부(55)가 일방향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y방향으로 정렬된 구조를 가진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층CAN단자부(55)는 외부CAN접속부(551), 제1층CAN접속부(552), 제2층CAN접속부(556)를 포함한다.
외부CAN접속부(551)는 차량측 CAN커넥터(3)와 접속되는 단자부이고, 제1층CAN접속부(552)와 제2층CAN접속부(556)는 각각 제1통신단자연결부(33)와 제2통신단자연결부(43)에 각각 접속되는 단자부이다. 외부CAN접속부(551)는 복층전원단자부(52)의 +z방향에 배치되고, x방향으로 연장된다. 제1층CAN접속부(552)와 제2층CAN접속부(556)는 외부CAN접속부(551)에서 분기되고, x방향으로 연장된다.
제1층CAN접속부(552)는 외부CAN접속부(551)의 -y방향 단부에서 -y방향으로 돌출되게 분기되며, -z방향으로 연장된 후 +x방향으로 연장된다. 제1층CAN접속부(552) 중 +x방향으로 연장되는 단부는 모터결합부(20)의 단자통과홀부(25)를 +x방향으로 통과하여 제1통신단자연결부(33)와 접속된다.
제2층CAN접속부(556)는 외부CAN접속부(551)의 +x방향 단부에서 +x방향으로 더 연장된 형태로 분기되며, 제2통신단자연결부(43)와 접속된다. 도 8을 참조하면, 제1층CAN접속부(552)는 CAN분기부(553), CAN중간연장부(554), CAN연장단부(555)를 포함한다.
CAN분기부(553)는 외부CAN접속부(551)의 x방향 중간부이면서, -y방향 단부에 해당되는 위치에서 -y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CAN중간연장부(554)는 CAN분기부(553)에서 -z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CAN연장단부(555)는 CAN중간연장부(554)의 -z방향 단부에서 +x방향으로 연장된다.
CAN연장단부(555)의 +x방향 단부는, 제2층CAN접속부(556)의 +x방향 단부와 비교해 x방향, y방향, z방향으로 이격되게 위치된다. 즉, 제1층CAN접속부(552)와 제2층CAN접속부(556)의 +x방향 단부가 x방향, y방향, z방향에 해당되는 전방향으로 명확하게 상호 이격된다.
따라서, 조립, 제작과정에서 오차, 오인 등으로 인해 제1층CAN접속부(552)와 제2층CAN접속부(556)가 상호 간에 간섭되거나 오조립될 수 있는 소지를 낮춤으로써 생산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일측의 파손이 타측에 끼칠 수 있는 영향을 최소화함으로써 구조적 안정성 또한 확보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의 복층CAN단자부(55)는 금속재를 외부CAN접속부(551), 제1층CAN접속부(552), 제2층CAN접속부(556)를 포괄하는 형태로 절단한 후, CAN중간연장부(554)에 해당되는 부분을 -z방향으로 절곡시키는 간단한 공정을 거쳐, 일체형으로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복수개의 복층CAN단자부(55)가 y방향으로 배열된 구조를 가지되, 복층CAN단자부(55) 중 외부CAN접속부(551)와 제2층CAN접속부(556)는 제1영역(A1)의 +z방향 외부에 위치되고, 제1층CAN접속부(552)는 제1영역(A1)의 내부에 중첩되게, 다른 표현으로는 교집공간부(53) 상태에 위치된다.
제1사출부(56)는 절연소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y방향으로 대칭되게 배열되는 제1버스바(52A)와 제2버스바(52B)를 포함한 복수개의 복층전원단자부(52)와, y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개의 복층CAN단자부(55)를 인서트몰딩하여 일체로 결속한다.
제1사출부(56)에 의해 복층전원단자부(52)와 복층CAN단자부(55)는 함께 전원커넥터(50)에 해당되는 하나의 부품이 된다. 제1사출부(56)를 모터결합부(20)의 설정 위치에 고정 설치함으로써, 제1사출부(56)에 결속된 복층전원단자부(52)와 복층CAN단자부(55)가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제1모터제어회로부(30)와 제2모터제어회로부(40) 상의 목적한 위치에 배치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층센서단자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토크센서커넥터(60)는 토크센서단자부(61)와 제2사출부(63)를 포함한다.
토크센서단자부(61)는 x방향으로 연장된 구조를 가지고, 차량측 토크센서커넥터(4), 제1모터제어회로부(30), 제2모터제어회로부(40)와 접속된다. 토크센서단자부(61)의 x방향 일측부는 차량측 토크센서커넥터(4)와 접속되고, x방향 타측부 제1모터제어회로부(30), 제2모터제어회로부(40)와 접속된다.
특히, 토크센서단자부(61)의 x방향 타측부는 x방향으로 연장됨에 있어서, 제1층의 제1모터제어회로부(30)의 제1센서단자연결부(34)와, 제2층의 제2모터제어회로부(40)의 제2센서단자연결부(44)로 분기되는 형상을 가진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이와 같이 복층으로 분기되는 단부를 가지는 것을 복층센서단자부(62)라 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토크센서단자부(61)는 x방향으로 병렬되게 배치된 제1모터제어회로부(30)와 제2모터제어회로부(40)에 동시에 접속가능하게 복수개로 분기되면서 x방향으로 연장되는 버스바의 구조를 가지는 복층센서단자부(62)를 포함한다. 또한, 토크센서단자부(61)는 복수개의 복층센서단자부(62)가 y방향 및 z방향으로 정렬된 구조를 가진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층센서단자부(62)는 외부센서접속부(621), 제1층센서접속부(622), 제2층센서접속부(626)를 포함한다.
외부센서접속부(621)는 차량측 토크센서커넥터(4)와 접속되는 단자부이고, 제1층센서접속부(622)와 제2층센서접속부(626)는 각각 제1센서단자연결부(34)와 제2센서단자연결부(44)에 접속되는 단자부이다. 외부센서접속부(621)는 x방향으로 연장되고, 제1층센서접속부(622)와 제2층센서접속부(626)는 외부센서접속부(621)로부터 분기되고, x방향으로 연장된다.
제1층센서접속부(622)는 외부센서접속부(621)의 +x방향 단부에서 +x방향으로 돌출되게 분기되며, 제1센서단자연결부(34)와 접속된다. 제2층센서접속부(626)는 외부센서접속부(621)의 +z방향 단부에서 +z방향으로 돌출되게 분기되며, y방향으로 연장된 후 +x방향으로 연장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층센서접속부(626)는 외부센서접속부(621)의 x방향 중간부에서 z방향 및 y방향으로 돌출되게 분기된 후, 모터결합부(20)의 단자통과홀부(25)를 +x방향으로 통과하여 제2센서단자연결부(44)와 접속된다. 도 9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2층센서접속부(626)는 센서분기부(627), 센서중간연장부(628), 센서연장단부(629)를 포함한다.
센서분기부(627)는 외부센서접속부(621)의 x방향 중간부이면서 +z방향 단부에 해당되는 위치에서 +z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타측부에 z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센서중간연장부(628)는 센서분기부(627)의 +z방향 단부에서 y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센서연장단부(629)는 센서중간연장부(628)의 y방향 단부에서 +x방향으로 연장된다.
센서연장단부(629)의 +x방향 단부는, 제1층센서접속부(622)의 +x방향 단부와 비교해 x방향, y방향, z방향으로 이격되게 위치된다. 즉, 제1층센서접속부(622)와 제2층센서접속부(626)의 +x방향 단부가 x방향, y방향, z방향에 해당되는 전방향으로 명확하게 상호 이격된다.
따라서, 조립, 제작과정에서 오차, 오인 등으로 인해 제1층센서접속부(622)와 제2층센서접속부(626)가 상호 간에 간섭되거나 오조립될 수 있는 소지를 낮춤으로써 생산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일측의 파손이 타측에 끼칠 수 있는 영향을 최소화함으로써 구조적 안정성 또한 확보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의 복층센서단자부(62)는 금속재를 외부센서접속부(621), 제1층센서접속부(622), 제2층센서접속부(626)를 포괄하는 형태로 절단한 후, 센서중간연장부(628)에 해당되는 부분을 y방향으로 다단 절곡시키는 간단한 공정을 거쳐, 일체형으로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다.
제2사출부(63)는 절연소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y방향 및 z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개의 복층센서단자부(62)를 인서트몰딩하여 일체로 결속한다. 제2사출부(63)에 의해 복수개의 복층센서단자부(62)는 함께 토크센서커넥터(60)에 해당되는 하나의 부품이 된다.
제2사출부(63)는 외부센서접속부(621)에서 제2층센서접속부(626)까지 연장되게 형성되고, 모터결합부(20)의 단자통과홀부(25)에 x방향으로 끼워져 설치된다. 제2사출부(63)를 모터결합부(20)의 설정 위치에 고정 설치함으로써, 제2사출부(63)에 결속된 복수개의 복층센서단자부(62)가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제1모터제어회로부(30)와 제2모터제어회로부(40) 상의 목적한 위치에 배치된다.
복층센서단자부(62)는 복층전원단자부(52), 복층CAN단자부(55)와 마찬가지로, 제1회로기판(31)과 제2회로기판(41)을 통과가능한 x방향 길이를 가지면서도, 복층전원단자부(52), 복층CAN단자부(55)보다 얇은 굵기를, 다른 표현으로는 좁은 단면적을 가지는데, 제2사출부(63)에 의해 그 연장 형태와 배열을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던던시제어부(70)는 회로감지부(71), 이상판단부(74), 구동회로전환부(75)를 포함한다.
회로감지부(71)는 제1모터제어회로부(30)의 작동상태를 감지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로감지부(71)는 제1회로감지부(72)와 제2회로감지부(73)를 포함한다. 제1회로감지부(72)는 제1모터제어회로부(30)의 작동상태를 감지한다. 제2회로감지부(73)는 제2모터제어회로부(40)의 작동상태를 감지한다.
활성화 회로부로서 제1모터제어회로부(30)를 설정하여 운용 중에, 제1모터제어회로부(30)에 이상이 발생되면, 제1회로감지부(72)가 이를 감지하게 된다. 한편, 활성화되지 않은 상태의 제2모터제어회로부(40)에도 이상이 발생되면, 제2회로감지부(73)가 이를 감지하게 된다. 이러한 작동은, 복층전원단자부(52)를 포함하는 전원커넥터(50)에 의해 제1모터제어회로부(30)와 제2모터제어회로부(40) 모두에 전원이 공급되고 있는 상태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판단부(74)는 회로감지부(71)에서 감지된 신호에 따라 제1모터제어회로부(30)의 이상 여부를 판단한다. 이상판단부(74)는 제1회로감지부(72)와 제2회로감지부(73)의 감지신호를 서로 비교하여, 그 신호값들의 차이가 설정범위 이상이 되면 제1회로감지부(72) 또는 제2회로감지부(73)에 이상이 발생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이상판단부(74)는 활성화 회로부인 제1회로감지부(72)의 감지신호를 기설정된 설정치와, 예를 들어 복수회의 실험 등을 통해 정상적으로 운용 중인 상태에서 발생될 수 있는 신호값의 데이터를 미리 확보하고, 이를 기반으로 하여 설정해둔 신호값과 비교하여 제1회로감지부(72)의 이상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구동회로전환부(75)는 제1모터제어회로부(30)에 의해 모터(5)의 제어를 수행하는 중에 이상판단부(74)에서 제1모터제어회로부(30)에 이상이 있다고 판단하면, 제1모터제어회로부(30)에 의한 모터(5)의 구동을 중단하고, 제2모터제어회로부(40)가 모터(5)의 구동을 제어하게 전환한다.
즉, 구동회로전환부(75)는, 활성화 회로부로서 제1모터제어회로부(30)를 설정하여 운용 중에 제1모터제어회로부(30)에 이상이 발생되면, 활성화 회로부를 제1모터제어회로부(30)에서 제2모터제어회로부(40)로 전환하는 제어를 수행한다. 이에 따라, 제1모터제어회로부(30)와 제2모터제어회로부(40) 중 하나가 고장나더라도, 다른 하나가 모터(5) 구동 제어를 수행함으로써, 차량용 전동식 조향장치의 정상 동작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동식 조향장치의 리던던시용 전자제어유닛을 도시한 요부단면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동식 조향장치의 리던던시용 전자제어유닛(1)은,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동식 조향장치의 리던던시용 전자제어유닛(1)과 비교해, 제1모터제어회로부(30)와 제2모터제어회로부(40)가, 모터결합부(20)의 x방향 양측에 배치되는 것이 아니라, 모터결합부(20)의 x방향 일측에 배치된다는 차이점을 가진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동식 조향장치의 리던던시용 전자제어유닛(1)을 설명함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동식 조향장치의 리던던시용 전자제어유닛(1)와 동일, 유사, 대응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그 반복적인 설명을 생략하고, 차이점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동식 조향장치의 리던던시용 전자제어유닛(1)은, 제1모터제어회로부(30)와 제2모터제어회로부(40)가 x방향으로 설정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배치되되, 하우징(10)의 내부에서만, 즉 하우징(10)과 모터결합부(20)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부 상에서 병렬되게 배치되는 구조를 가진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기판지지부(21)는 지지본체부(22), 접촉지지부(26), 이격지지부(27)를 포함한다.
지지본체부(22)는 기판지지부(21)의 기본 골조를 이루는 부분으로, 전체적으로 y방향 및 z방향의 너비를 가지는 원판의 형상을 가진다. 이는, 대체로 모터하우징(6)이 원형의 개방부를 가지는 것을 고려한 것으로, 지지본체부(22)의 형상을 특정하게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지지본체부(22)의 형상은 모터하우징(6), 제1모터제어회로부(30), 제2모터제어회로부(40)의 형상, 구조 등에 따라 다양하게 가변되어 적용될 수 있다.
접촉지지부(26)는 지지본체부(22) 중 하우징(10)과 마주하는 일측면에, 즉 -x방향을 향하는 일측면에 형성되고, 제2모터제어회로부(40)가 접하게 배치된다. 이격지지부(27)는 접촉지지부(26)에서 -x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제1모터제어회로부(30)를 지지한다.
제1모터제어회로부(30)와 제2모터제어회로부(40)를 각각 접촉지지부(26), 이격지지부(27)에 설치한 상태에서, 제1모터제어회로부(30)와 제2모터제어회로부(40)는 이격지지부(27)의 x방향 높이에 상당하는 간격을 두고 x방향으로 병렬되게 배치된다. 접촉지지부(26)의 가장자리부는 하우징(10)과 결합된다.
이격지지부(27)는 제1모터제어회로부(30)의 가장자리부를 복수개의 개소에서 분산하여 지지할 수 있는 복수개가 구비된다. 또한, 이격지지부(27)는 핀이나 볼트부재(도면부호 미표기)가 -x방향 단부에 체결될 수 있는 튜브의 형태를 가진다. 제1모터제어회로부(30)를 이격지지부(27)에 안착시키고, 핀이나 볼트부재를 체결함으로써, 제1모터제어회로부(30)를 하우징(10) 내부의 설정 위치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제2모터제어회로부(40)를 지지본체부(22)에 접하게 배치함으로써, 제2모터제어회로부(40)에서 발생된 열이 지지본체부(22)로 직접 전달된다. 복수개의 이격지지부(27) 사이에는 제1모터제어회로부(30)에서 방출된 열이 원활하게 통과할 수 있는 통로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1모터제어회로부(30)와 제2모터제어회로부(40) 둘 다에 대해 우수한 방열 효과를 안정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전동식 조향장치의 리던던시용 전자제어유닛(1)에 의하면, 활성화 회로부로서 제1모터제어회로부(30)를 설정하여 운용 중에 제1모터제어회로부(30)에 이상이 발생되면, 리던던시제어부(70)에 의해 활성화 회로부를 제1모터제어회로부(30)에서 제2모터제어회로부(40)로 전환하는 제어를 수행함으로써, 제1모터제어회로부(30)와 제2모터제어회로부(40) 중 하나가 고장나더라도, 다른 하나가 모터(5) 구동 제어를 수행함으로써, 차량용 전동식 조향장치의 정상 동작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전자제어유닛(1)의 내부 구조를 복층전원단자부(52), 복층CAN단자부(55), 복층센서단자부(62)를 포함하게 변경하는 것만으로도 차량용 전동식 조향장치의 리던던시를 구현가능하므로, 다양한 차량 사양에 걸쳐 광범위하고 용이하게 적용가능할 뿐만 아니라, 차량측 전원커넥터(2), 차량측 CAN커넥터(3), 차량측 토크센서커넥터(4)의 개수를 2배로 늘릴 필요가 없어 한정된 공간 상에 공간효율적으로 배치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전자제어유닛 2 : 차량측 전원커넥터
3 : 차량측 CAN커넥터 4 : 차량측 토크센서커넥터
5 : 모터 6 : 모터하우징
10 : 하우징 20 : 모터결합부
21 : 기판지지부 22 : 지지본체부
23 : 제1기판지지부 24 : 제2기판지지부
25 : 단자통과홀부 26 : 접촉지지부
27 : 이격지지부 28 : 방열지지부
30 : 제1모터제어회로부 31 : 제1회로기판
32 : 제1전원단자연결부 33 : 제1통신단자연결부
34 : 제1센서단자연결부 40 : 제2모터제어회로부
41 : 제2회로기판 42 : 제2전원단자연결부
43 : 제2통신단자연결부 44 : 제2센서단자연결부
50 : 전원커넥터 51 : 전원단자부
52 : 복층전원단자부 52A : 제1버스바
52B : 제2버스바 53 : 교집공간부
54 : CAN단자부 55 : 복층CAN단자부
56 : 제1사출부 60 : 토크센서커넥터
61 : 토크센서단자부 62 : 복층센서단자부
63 : 제2사출부 70 : 리던던시제어부
71 : 회로감지부 72 : 제1회로감지부
73 : 제2회로감지부 74 : 이상판단부
75 : 구동회로전환부 521 : 외부전원접속부
522 : 제1층전원접속부 526 : 제2층전원접속부
527 : 전원분기부 528 : 전원중간연장부
529 : 전원연장단부 551 : 외부CAN접속부
552 : 제1층CAN접속부 553 : CAN분기부
554 : CAN중간연장부 555 : CAN연장단부
556 : 제2층CAN접속부 621 : 외부센서접속부
622 : 제1층센서접속부 626 : 제2층센서접속부
627 : 센서분기부 628 : 센서중간연장부
629 : 센서연장단부 A1 : 제1영역
A2 : 제2영역 A3 : 제3영역

Claims (19)

  1. 모터의 구동을 제어가능한 회로구조를 가지는 제1모터제어회로부;
    상기 모터의 구동을 제어가능한 회로구조를 가지고, 상기 제1모터제어회로부와 x방향으로 병렬되게 배치되는 제2모터제어회로부;
    상기 제1모터제어회로부의 이상 시 상기 제2모터제어회로부에 의해 상기 모터의 제어가 이루어지게 하는 리던던시제어부; 및
    모터하우징과 결합되며, 상기 제1모터제어회로부와 상기 제2모터제어회로부가 상기 x방향으로 이격간격을 두고 고정되는 모터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모터결합부는,
    상기 제1모터제어회로부와 상기 제2모터제어회로부가 고정되고, 상기 제1모터제어회로부와 상기 제2모터제어회로부에서 발산되는 열을 전달받는 기판지지부; 및
    상기 기판지지부와 연결되고, 상기 기판지지부에서 전달받은 열을 방출하는 방열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동식 조향장치의 리던던시용 전자제어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모터제어회로부는,
    상기 모터의 구동을 독자적으로 제어가능한 회로구조를 가지는 제1회로기판;
    상기 제1회로기판의 제1영역에 배치되고, 차량측 전원커넥터와 연결된 전원단자부와 접속되어 전원을 공급받는 제1전원단자연결부;
    상기 제1회로기판의 제2영역에 배치되고, 차량측 CAN커넥터와 연결된 CAN단자부와 접속되어 신호를 전달받는 제1통신단자연결부; 및
    상기 제1회로기판의 제3영역에 배치되고, 차량측 토크센서커넥터와 연결된 토크센서단자부와 접속되어 신호를 전달받는 제1센서단자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동식 조향장치의 리던던시용 전자제어유닛.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모터제어회로부는,
    상기 모터의 구동을 독자적으로 제어가능한 회로구조를 가지는 제2회로기판;
    상기 제2회로기판 중 상기 제1영역의 x방향 연장선상에 배치되고, 상기 전원단자부와 접속되어 전원을 공급받는 제2전원단자연결부;
    상기 제2회로기판 중 상기 제2영역의 x방향 연장선상에 배치되고, 상기 CAN단자부와 접속되어 신호를 전달받는 제2통신단자연결부; 및
    상기 제2회로기판 중 상기 제3영역의 x방향 연장선상에 배치되고, 상기 토크센서단자부와 접속되어 신호를 전달받는 제2센서단자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동식 조향장치의 리던던시용 전자제어유닛.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던던시제어부는,
    상기 제1모터제어회로부의 작동상태를 감지하는 회로감지부;
    상기 회로감지부에서 감지된 신호에 따라 상기 제1모터제어회로부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는 이상판단부; 및
    상기 제1모터제어회로부에 의해 상기 모터의 제어를 수행하는 중에, 상기 이상판단부에서 상기 제1모터제어회로부의 이상 판단 시, 상기 제1모터제어회로부에 의한 상기 모터의 구동을 중단하고, 상기 제2모터제어회로부가 상기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게 전환하는 구동회로전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동식 조향장치의 리던던시용 전자제어유닛.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감지부는,
    상기 제1모터제어회로부의 작동상태를 감지하는 제1회로감지부; 및
    상기 제2모터제어회로부의 작동상태를 감지하는 제2회로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상판단부는,
    상기 제1회로감지부와 상기 제2회로감지부의 감지신호를 비교하거나, 상기 제1회로감지부의 감지신호를 기설정된 설정치와 비교하여 상기 제1회로감지부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동식 조향장치의 리던던시용 전자제어유닛.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지지부는,
    지지본체부;
    상기 지지본체부의 일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1모터제어회로부가 접하게 배치되는 제1기판지지부;
    상기 지지본체부의 타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2모터제어회로부가 접하게 배치되는 제2기판지지부; 및
    상기 지지본체부 상에 관통되게 형성되고, 차량측 전원커넥터와 연결된 전원단자부, 차량측 CAN커넥터와 연결된 CAN단자부, 차량측 토크센서커넥터와 연결된 토크센서단자부가 상기 x방향으로 관통하여 연장되는 단자통과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동식 조향장치의 리던던시용 전자제어유닛.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지지부는,
    지지본체부;
    상기 지지본체부의 일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1모터제어회로부와 상기 제2모터제어회로부 중 일측이 접하게 배치되는 접촉지지부; 및
    상기 접촉지지부에서 상기 x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1모터제어회로부와 상기 제2모터제어회로부 중 타측을 지지하는 이격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동식 조향장치의 리던던시용 전자제어유닛.
  9. 모터의 구동을 제어가능한 회로구조를 가지는 제1모터제어회로부;
    상기 모터의 구동을 제어가능한 회로구조를 가지고, 상기 제1모터제어회로부와 x방향으로 병렬되게 배치되는 제2모터제어회로부;
    상기 제1모터제어회로부의 이상 시 상기 제2모터제어회로부에 의해 상기 모터의 제어가 이루어지게 하는 리던던시제어부; 및
    일측부가 차량측 전원커넥터와 접속되고, 타측부가 복층으로 분기되는 형상을 가지고 상기 x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모터제어회로부, 상기 제2모터제어회로부와 접속되는 복층전원단자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층전원단자부는,
    상기 차량측 전원커넥터와 접속되는 외부전원접속부;
    상기 외부전원접속부에서 상기 x방향으로 분기되며, 상기 제1모터제어회로부와 상기 제2모터제어회로부 중 일측과 접속되는 제1층전원접속부; 및
    상기 제1층전원접속부와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x방향으로 분기되며, 상기 제1모터제어회로부와 상기 제2모터제어회로부 중 타측과 접속되는 제2층전원접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동식 조향장치의 리던던시용 전자제어유닛.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층전원접속부는,
    상기 외부전원접속부의 일측부에 상기 x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단부가 상기 제1모터제어회로부와 접속되며,
    상기 제2층전원접속부는,
    상기 외부전원접속부의 타측부에 y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전원분기부;
    상기 전원분기부에서 z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전원중간연장부; 및
    상기 전원중간연장부에서 상기 x방향으로 연장되고, 단부가 상기 제1층전원접속부의 단부와 비교해 상기 x방향, 상기 y방향, 상기 z방향으로 이격되게 위치되는 전원연장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동식 조향장치의 리던던시용 전자제어유닛.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복층전원단자부는,
    상기 외부전원접속부, 상기 제1층전원접속부, 상기 제2층전원접속부가 구비되는 제1버스바;
    상기 제1버스바와 y방향으로 대칭되게 배치되는 제2버스바; 및
    상기 제1버스바와 상기 제2버스바의 사이에 형성되고, 차량측 CAN커넥터와 접속되는 CAN단자부의 적어도 일부가 배치되는 교집공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동식 조향장치의 리던던시용 전자제어유닛.
  12. 모터의 구동을 제어가능한 회로구조를 가지는 제1모터제어회로부;
    상기 모터의 구동을 제어가능한 회로구조를 가지고, 상기 제1모터제어회로부와 x방향으로 병렬되게 배치되는 제2모터제어회로부;
    상기 제1모터제어회로부의 이상 시 상기 제2모터제어회로부에 의해 상기 모터의 제어가 이루어지게 하는 리던던시제어부; 및
    일측부가 차량측 CAN커넥터와 접속되고, 타측부가 복층으로 분기되는 형상을 가지고 상기 x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모터제어회로부, 상기 제2모터제어회로부와 접속되는 복층CAN단자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층CAN단자부는,
    상기 차량측 CAN커넥터와 접속되는 외부CAN접속부;
    상기 외부CAN접속부에서 상기 x방향으로 분기되며, 상기 제1모터제어회로부와 상기 제2모터제어회로부 중 일측과 접속되는 제1층CAN접속부; 및
    상기 외부CAN접속부에서 y방향 또는 z방향으로 분기된 후 상기 x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모터제어회로부와 상기 제2모터제어회로부 중 타측과 접속되는 제2층CAN접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동식 조향장치의 리던던시용 전자제어유닛.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층CAN접속부는,
    상기 외부CAN접속부의 일측부에 상기 x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단부가 상기 제2모터제어회로부와 접속되며,
    상기 제1층CAN접속부는,
    상기 외부CAN접속부의 타측부에 y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CAN분기부;
    상기 CAN분기부에서 z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CAN중간연장부; 및
    상기 CAN중간연장부에서 상기 x방향으로 연장되고, 단부가 상기 제2층CAN접속부의 단부와 비교해 상기 x방향, 상기 y방향, 상기 z방향으로 이격되게 위치되는 CAN연장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동식 조향장치의 리던던시용 전자제어유닛.
  14. 모터의 구동을 제어가능한 회로구조를 가지는 제1모터제어회로부;
    상기 모터의 구동을 제어가능한 회로구조를 가지고, 상기 제1모터제어회로부와 x방향으로 병렬되게 배치되는 제2모터제어회로부;
    상기 제1모터제어회로부의 이상 시 상기 제2모터제어회로부에 의해 상기 모터의 제어가 이루어지게 하는 리던던시제어부; 및
    일측부가 차량측 토크센서커넥터와 접속되고, 타측부가 복층으로 분기되는 형상을 가지고 상기 x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모터제어회로부, 상기 제2모터제어회로부와 접속되는 복층센서단자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층센서단자부는,
    상기 차량측 토크센서커넥터와 접속되는 외부센서접속부;
    상기 외부센서접속부에서 상기 x방향으로 분기되며, 상기 제1모터제어회로부와 상기 제2모터제어회로부 중 일측과 접속되는 제1층센서접속부; 및
    상기 외부센서접속부에서 y방향 또는 z방향으로 분기된 후 상기 x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모터제어회로부와 상기 제2모터제어회로부 중 타측과 접속되는 제2층센서접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동식 조향장치의 리던던시용 전자제어유닛.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층센서접속부는,
    상기 외부센서접속부의 일측부에 상기 x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단부가 상기 제1모터제어회로부와 접속되며,
    상기 제2층센서접속부는,
    상기 외부센서접속부의 타측부에 z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센서분기부;
    상기 센서분기부에서 y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센서중간연장부; 및
    상기 센서중간연장부에서 상기 x방향으로 연장되고, 단부가 상기 제1층센서접속부의 단부와 비교해 상기 x방향, 상기 y방향, 상기 z방향으로 이격되게 위치되는 센서연장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동식 조향장치의 리던던시용 전자제어유닛.
  16. 모터와 결합되는 모터결합부;
    상기 모터결합부에 설치되는 제1모터제어회로부;
    상기 모터결합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1모터제어회로부와 x방향으로 병렬되게 배치되는 제2모터제어회로부;
    일측부가 차량측 전원커넥터와 접속되고, 타측부가 상기 제1모터제어회로부, 상기 제2모터제어회로부와 접속되는 전원커넥터; 및
    상기 제1모터제어회로부의 이상 시 상기 제2모터제어회로부에 의해 모터제어가 이루어지게 제어하는 리던던시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커넥터는,
    일측부가 상기 차량측 전원커넥터와 접속되며, 타측부가 복층으로 분기되는 버스바의 구조를 가지고 상기 x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모터제어회로부, 상기 제2모터제어회로부와 접속되는 복층전원단자부;
    차량측 CAN커넥터와 접속되는 CAN단자부; 및
    상기 복층전원단자부와 상기 CAN단자부를 인서트몰딩하여 결속하고, 상기 모터결합부에 설치되는 제1사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동식 조향장치의 리던던시용 전자제어유닛.
  17. 삭제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CAN단자부는,
    일측부가 상기 차량측 CAN커넥터와 접속되며, 타측부가 복층으로 분기되는 버스바의 구조를 가지고, 상기 x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모터제어회로부, 상기 제2모터제어회로부와 접속되는 복층CAN단자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층전원단자부가 배치되는 제1영역과, 상기 복층CAN단자부가 배치되는 제2영역은 적어도 일부가 교차되거나 중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동식 조향장치의 리던던시용 전자제어유닛.
  19. 모터와 결합되는 모터결합부;
    상기 모터결합부에 설치되는 제1모터제어회로부;
    상기 모터결합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1모터제어회로부와 x방향으로 병렬되게 배치되는 제2모터제어회로부;
    일측부가 차량측 전원커넥터와 접속되고, 타측부가 상기 제1모터제어회로부, 상기 제2모터제어회로부와 접속되는 전원커넥터;
    상기 제1모터제어회로부의 이상 시 상기 제2모터제어회로부에 의해 모터제어가 이루어지게 제어하는 리던던시제어부; 및
    차량측 토크센서커넥터와 접속되는 토크센서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토크센서커넥터는,
    일측부가 상기 차량측 토크센서커넥터와 접속되며, 타측부가 복층으로 분기되는 버스바의 구조를 가지고, 상기 x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모터제어회로부, 상기 제2모터제어회로부와 접속되는 복층센서단자부; 및
    상기 복층센서단자부를 인서트몰딩하여 형성되고, 상기 모터결합부에 상기 x방향으로 끼워져 설치되는 제2사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동식 조향장치의 리던던시용 전자제어유닛.
KR1020210183612A 2021-12-21 2021-12-21 차량용 전동식 조향장치의 리던던시용 전자제어유닛 KR1026499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3612A KR102649976B1 (ko) 2021-12-21 2021-12-21 차량용 전동식 조향장치의 리던던시용 전자제어유닛
US17/724,705 US20230198348A1 (en) 2021-12-21 2022-04-20 Electronic control unit for redundancy of motor driven power steering for vehicle
DE202022001088.5U DE202022001088U1 (de) 2021-12-21 2022-05-05 Elektronische Steuereinheit für die Redundanz einer motorbetriebenen Servolenkung für ein Fahrzeug
CN202221260194.5U CN217753876U (zh) 2021-12-21 2022-05-23 用于车辆的马达驱动动力转向的冗余的电子控制单元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3612A KR102649976B1 (ko) 2021-12-21 2021-12-21 차량용 전동식 조향장치의 리던던시용 전자제어유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4426A KR20230094426A (ko) 2023-06-28
KR102649976B1 true KR102649976B1 (ko) 2024-03-22

Family

ID=819725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3612A KR102649976B1 (ko) 2021-12-21 2021-12-21 차량용 전동식 조향장치의 리던던시용 전자제어유닛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30198348A1 (ko)
KR (1) KR102649976B1 (ko)
CN (1) CN217753876U (ko)
DE (1) DE202022001088U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103213A (ja) 2017-11-30 2019-06-24 株式会社デンソー モータ制御装置、モータ駆動システム、及び、モータ制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2749B1 (ko) 2006-08-22 2011-10-11 주식회사 만도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전자 제어 장치
JP6514135B2 (ja) * 2016-03-09 2019-05-15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電動駆動装置及び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KR20200143874A (ko) * 2019-06-17 2020-12-28 주식회사 만도 모터 제어 장치
KR20210060185A (ko) * 2019-11-18 2021-05-26 주식회사 만도 조향 제어 장치 및 조향 제어 방법
KR20210116127A (ko) * 2020-03-17 2021-09-27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전동 조향 장치의 파워팩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103213A (ja) 2017-11-30 2019-06-24 株式会社デンソー モータ制御装置、モータ駆動システム、及び、モータ制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17753876U (zh) 2022-11-08
US20230198348A1 (en) 2023-06-22
DE202022001088U1 (de) 2022-05-23
KR20230094426A (ko) 2023-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55826B2 (en) Safety apparatus for steer-by-wire
CN112334376B (zh) 具有第二转向角传感器的线控转向式架构
JP4365328B2 (ja) 車両におけるデータおよびエネルギー管理のための装置
US8007055B2 (en) Electronic system for operating an electromechanical parking brake
CN214648538U (zh) 电动转向设备的电源组
US11511792B2 (en) Electric drive control device
US7127341B2 (en) Failsafe steering device for steer-by-wire system
KR102649976B1 (ko) 차량용 전동식 조향장치의 리던던시용 전자제어유닛
US20220340118A1 (en) Braking system for a vehicle
CN112087154A (zh) 电源系统
US6765165B1 (en) Electric switch
KR100867175B1 (ko) 자기부상열차용 이중화 부상제어기
CN213502561U (zh) 电动转向助力系统、动力单元组件及其动力控制单元
KR101951642B1 (ko) 유무인항공기용 구동드라이브 구조 이중화 장치
CN117184042B (zh) 一种集成epb的电子车身稳定控制系统及装置
JP2017034980A (ja) 回路基板、モーター及び電動式操向装置
JP4329143B2 (ja) 車両用ブレーキ液圧制御ユニット
US20220126908A1 (en) Control device for a steering system of a motor vehicle, electromechanical power steering mechanism for a motor vehicle and steer-by-wire steering system
CN113394628A (zh) 组合电路板固定和互连
KR102607264B1 (ko) 전동 구동 제어 장치
CN112440908B (zh) 网络系统
CN220974316U (zh) 汽车转向器、转向系统及车辆
KR102673006B1 (ko) 조향장치용 오일펌프 시스템
KR102561350B1 (ko) 회로기판, 모터 및 전동식 조향장치
WO2023209961A1 (ja) I/oユニットおよびベース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