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9921B1 - 이상 발생여부를 정확히 모니터링할 수 있는 수배전반 모니터링 장치 - Google Patents

이상 발생여부를 정확히 모니터링할 수 있는 수배전반 모니터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9921B1
KR102649921B1 KR1020230068205A KR20230068205A KR102649921B1 KR 102649921 B1 KR102649921 B1 KR 102649921B1 KR 1020230068205 A KR1020230068205 A KR 1020230068205A KR 20230068205 A KR20230068205 A KR 20230068205A KR 102649921 B1 KR102649921 B1 KR 1026499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gear
monitoring
control unit
senso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682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수연
임채윤
임석윤
Original Assignee
임수연
임채윤
임석윤
주식회사 에이스에너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수연, 임채윤, 임석윤, 주식회사 에이스에너지 filed Critical 임수연
Priority to KR10202300682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99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99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99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3/00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 H02B13/02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with metal casing
    • H02B13/025Safety arrangements, e.g. in case of excessive pressure or fire due to electrical defec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0Bus-bar or other wiring layouts, e.g. in cubicles, in switchy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as-Insulated Switchgears (AREA)

Abstract

이상 발생여부를 정확히 모니터링할 수 있는 수배전반 모니터링 장치를 개시한다.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수배전반 내 이상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하는 장치에 있어서, 수배전반 내부의 온도나 아크 발생여부를 감지하는 센서부와 모니터링 장치 내 각 구성의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센서부로부터 센싱값을 수신하여 상기 수배전반 내 이상이 발생하였는지를 모니터링하는 제어부와 모니터링 결과와 함께 이상 발생사실을 외부로 출력하는 출력부 및 상기 제어부가 판단한 결과를 외부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수신한 센싱값 내에서 모니터링 제외 영역 또는 모니터링 진행 영역을 선정하여, 수배전반 내 이상이 발생하였는지를 모니터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배전반 모니터링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이상 발생여부를 정확히 모니터링할 수 있는 수배전반 모니터링 장치{Switchgear Monitoring Apparatus for Monitoring the Occurrence of Abnormalities Accurately}
본 실시예는 이상 발생여부를 정확히 모니터링할 수 있는 수배전반 모니터링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수배전반이란 발전소로부터 공급받은 특고압 전력을 학교, 빌딩, 공장 등과 같은 전력수요처로 분배하는 계통의 핵심 설비이다. 수배전함은, 함체 내부에 부스바(Bus Bar), 계기용 변성기(MOF), 계기용 변압기(PT), 계기용 변류기(CT), 단로기(DS), 진공 차단기(VCB), 배선용 차단기(MCCB), 피뢰기(LA) 및 파워퓨즈(PF) 등의 수배전에 필요한 각종 부속품이 내장되어 구현된다.
그런데 수배전반을 구성하는 여러 부속품은, 전기적, 기계적, 환경적, 제작시 문제점 등으로 인하여 열화 및 손상이 발생되며, 그로 인한 스파크 발생, 누유, 절연 파괴 등의 사고가 발생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수배전반의 셧다운에 의한 정전이나 화재 등의 사고등이 발생되는 원인이 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국내의 화재 발생 현황을 보면 매년 3만 건 이상의 화재가 발생되는데, 그 중 약 1/3 이상이 전기에 의한 화재로 알려져 있을 만큼 전기화재가 빈번한 실정이다. 이러한 전기화재 원인 중 약 65%가 수배전반 내에서 발생되는 부속품의 열화 및 손상에 따른 발화라고 학계에 보고되고 있다.
이러한 이유에 의해 수배전반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장치가 존재한다. 다만, 수배전반 내 이상을 모니터링함에 있어, 센싱값에는 필연적으로 노이즈나 왜곡이 발생하게 된다. 이들이 포함된 센싱값을 아무런 후처리없이 그대로 이용할 경우, 정확치 못한 모니터링 결과가 도출된다. 종래에는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후처리를 진행하거나 노이즈 또는 왜곡을 방지하기 위한 별도의 구성을 더 포함하였다. 그러나 후처리를 진행할 경우, 신속한 결과 도출이 곤란하며 연산량이 증가하여 장치에 부담이 발생할 가능성이 존재한다. 한편, 별도의 구성을 더 포함할 경우, 장치의 단가가 상승하게 되고, 넉넉치 못한 수배전반 공간 내에 장치가 배치되거나 구동하는데 있어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별도의 후처리나 구성을 포함하지 않음에도 이상 발생여부를 정확히 모니터링할 수 있는 수배전반 모니터링 장치를 제공하는 데 일 목적이 있다.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수배전반 내 이상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하는 장치에 있어서, 수배전반 내부의 온도나 아크 발생여부를 감지하는 센서부와 모니터링 장치 내 각 구성의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센서부로부터 센싱값을 수신하여 상기 수배전반 내 이상이 발생하였는지를 모니터링하는 제어부와 모니터링 결과와 함께 이상 발생사실을 외부로 출력하는 출력부 및 상기 제어부가 판단한 결과를 외부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수신한 센싱값 내에서 모니터링 제외 영역 또는 모니터링 진행 영역을 선정하여, 수배전반 내 이상이 발생하였는지를 모니터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배전반 모니터링 장치를 제공한다.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상기 센서부는 복수의 온도 감지센서 및 아크 감지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상기 제어부는 수신한 각 센서부들의 센싱값을 하나의 값으로 합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상기 제어부는 겹선형 보간법을 이용하여 이미지 프로세싱함으로써 하나의 값으로 합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상기 수배전반은 외부에서 자신으로 인가되는 전력을 전달받아 수배전반 내 각 구성으로 전달하는 부스바 및 상기 수배전반 내 각 구성과 상기 부스바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지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부스바가 배치된 영역 또는 상기 연결지점 영역을 모니터링 진행 영역으로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상기 제어부는 모니터링 제외 영역 또는 모니터링 진행 영역을 하나 이상 선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별도의 후처리나 구성을 포함하지 않음에도 이상 발생여부를 정확히 모니터링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배전반 모니터링 장치의 구현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배전반 모니터링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배전반 모니터링 장치가 장착된 수배전반의 내부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배전반 모니터링 장치 내 센서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종래의 수배전반 모니터링 장치 내 센서부의 동작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배전반 모니터링 장치 내 센서부의 동작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배전반 모니터링 장치 내 센서의 센싱결과와 그를 합성한 결과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배전반 모니터링 장치가 센서부의 센싱값을 토대로 수배전반 내 온도를 모니터링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배전반 모니터링 장치의 출력부가 모니터링결과를 출력하는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서,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서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포함된 각 구성, 과정, 공정 또는 방법 등은 기술적으로 상호간 모순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공유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배전반 모니터링 장치의 구현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수배전반 모니터링 장치(110, 이하에서 '장치'라 약칭함)는 수배전반(120)에 장착되어, 수배전반(120) 내 이상이 발생하였는지를 모니터링한다. 수배전반 내 이상에는 주로, 다양한 원인으로 인한 온도의 비정상적인 상승 또는 아크 발생으로 인한 온도 상승이 존재한다. 장치(110)는 이러한 이상을 최소한의 구성으로도 정확히 감지할 수 있다. 특히, 수배전반(120)의 내부는 장치(110)가 원활히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하는 공간을 충분히 구비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 대부분이다. 즉, 수배전반(120) 내에는 배전 또는 수전 등을 하기 위한 구성들이 배치될 공간을 확보하는데 그치고 있으며, 장치(110)가 원활히 모니터링하도록 하기 위한 추가적인 공간은 확보하고 있지 않은 것이 대부분이다. 장치(110)는 이러한 사정을 갖는 수배전반(120) 내에 배치되더라도 원활하면서도 정확히 수배전반(120) 내 이상 발생여부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에서도 언급하였듯이, 수배전반(120)은 발전소로부터 공급받은 특고압 전력을 학교, 빌딩, 공장등과 같은 전력수요처로 분배하는 모든 장치를 의미힌다. 수배전반(120)은 수전반 또는 배전반 뿐만 아니라 분전반 등 상대적으로 고압 전력을 인가받아 분배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모든 구성을 의미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배전반 모니터링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배전반 모니터링 장치(110)는 통신부(210), 센서부(220), 제어부(230), 출력부(240) 및 메모리부(250)를 포함한다.
통신부(210)는 외부장치와 통신하며, 제어부(230)가 판단한 결과를 외부장치로 전송한다. 외부장치는 수배전반을 포함한 다양한 전기 구성 등을 관리하는 관리 장치일 수 있으며, 통신부(210)는 해당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며 제어부(230)가 판단한 모니터링 결과를 해당 장치로 전송한다. 추가적으로, 통신부(210)는 해당 장치로부터 원격으로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제어부(230)로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신호는 현재까지 모니터링한 결과를 전송하라거나, 메모리부(250) 내 저장된, 이상이 발생했던 내용과 시점에 관한 정보를 전송하라는 내용의 신호일 수 있다.
센서부(220)는 수배전반(120) 내부의 온도나 아크 발생여부를 감지한다. 센서부(220)는 복수의 온도 감지센서(예를 들어, IR 센서 또는 열감지 센서) 및 하나 이상의 아크 감지센서(예를 들어, UV 센서)를 포함한다. 센서부(220)는 도 4와 같은 구조를 가짐에 따라, 충분한 시야각을 확보하기 곤란한 수배전반 내에서도 적은 개수로 모든 영역을 센싱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배전반 모니터링 장치 내 센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종래의 수배전반 모니터링 장치 내 센서의 동작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배전반 모니터링 장치 내 센서의 동작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부(220)는 온도 감지센서(410), 아크 감지센서(420), 제1 하우징(430), 제2 하우징(440) 및 힌지부(450)를 포함한다.
온도 감지센서(410)는 IR 센서 또는 열감지 센서 등으로 구현되어, 센싱영역에서의 온도를 감지한다. 온도 감지센서(410)는 센싱값을 온도에 따라 다른 색상으로 나타나는 이미지 형태로 출력할 수 있다.
아크 감지센서(420)는 UV 센서 등으로 구현되어, 센싱영역 내 아크의 발생여부를 감지한다.
제1 하우징(430)은 'ㄷ'자 형태의 구조를 가져, 온도 감지센서(410)와 아크 감지센서(420)가 배치될 공간을 제공한다. 제1 하우징(430)은 전방을 향해 배치된 제1 면에 온도 감지센서(410)와 아크 감지센서(420)를 배치시키고, 해당 면의 끝단으로부터 돌출된 양 측면(제2 면)으로 힌지부(450)에 의해 제2 하우징(440)과 결합되어 고정된다. 다만, 제1 하우징(430)은 제2 하우징(440)과 힌지부(450)로 결합되기에, 각 센서(410, 420)가 배치된 제1 면은 일정한 각도범위 내에서 회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면과 함께 각 센서(410, 420)들 역시 회동하게 되며, 그에 따라 센싱 범위가 현저히 증가할 수 있다.
제2 하우징(440)은 수배전반(120), 보다 구체적으로, 수배전반(120) 내 부품이 배치되는 측면의 반대측면(주로, 문쪽)에 고정되어 센서부(220)를 수배전반(120) 내부에 고정시킨다. 전술한 대로, 제2 하우징(440)은 제1 하우징(430)과 힌지부(450)에 의해 고정됨에 따라, 수배전반(120) 내 자신이 고정되며 제1 하우징(430) 및 제1 하우징 내에 배치된 각 센서들(410, 420)들도 함께 고정시킨다.
제2 하우징(440)은 관통공(460)을 포함하여, 각 센서들(410, 420)을 동작시키기 위한 전선 및 각 센서들(410, 420)과 제어부(230) 간에 센싱값 또는 제어신호 등을 송수신하기 위한 도선 등이 배치될 수 있도록 한다.
센서부(220)가 도 4와 같은 구조를 가짐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장점을 가질 수 있다.
도 5(a)에 도시된 종래의 수배전반 모니터링 장치는 수배전반 내 구성(310 내지 330)을 모니터링하기 위해 복수 개의 센서(도 5에서는 6개로 예시됨, 510a 내지 510f)를 포함하여야만 했다. 이는 수배전반(120)이 각 센서들이 충분한 면적을 센싱할 수 있을만큼의 거리를 확보하기 곤란한 환경이기에, 수배전반(120)의 모든 감시영역을 감시하기 위해서는 그만큼 센서의 개수가 많아져야만 했다.
반면,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부(220)는 도 4에 도시된 구조를 가지며 제1 하우징(430) 및 그와 함께 각 센서(410, 420)들이 회동할 수 있기에, 종래의 장치 내 센서의 개수보다 현저히 적은 개수만큼 배치되더라도 수배전반(120)의 모든 감시영역을 충분히 감시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특히, 센서부(220)는 수배전반 내 다음의 구성들에 대해 주로 모니터링을 수행한다. 수배전반(120)의 내부는 도 3에 예시되어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배전반 모니터링 장치가 장착된 수배전반의 내부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수배전반(120) 내에는 외부에서 자신으로 인가되는 전력을 전달받아 각 구성으로 전달하는 부스바(310)가 배치된다. 전력은 3상 또는 4상으로 전달되기에, 수배전반(120)으로 인가되는 전력의 종류에 따라 부스바(310)의 개수는 조정된다.
이후, 수배전반(120) 고유의 목적(수전, 배전 또는 분전 등)에 따라, 수배전반(120) 내 적절한 구성들(320)이 배치된다. 이때, 부스바(310)와 해당 구성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연결지점(330)이 형성된다.
센서부(220)는 주로 고압의 전력이 전달되는 부스바(310)나 내부 구성(320)들의 온도 또는 연결지점(330)에서의 온도나 아크 발생여부 등을 센싱한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제어부(230)는 장치(110) 내 각 구성의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230)는 통신부(210) 및 센서부(220)들이 전술한 각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제어부(230)는 센서부(220)로부터 센싱값을 수신하여, 수배전반 내 이상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한다. 센서부(220)가 전술한 구조를 가지며 모니터링을 한다 하더라도, 통상적으로 하나의 센서들(410, 420)로 수배전반 모두를 커버하기는 곤란하다. 이에 복수의 센서부(220)가 서로 다른 영역을 모니터링하는데, 제어부(203)는 각 센서부(220)의 센싱값에 대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처리를 진행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배전반 모니터링 장치 내 센서의 센싱결과와 그를 합성한 결과를 도시한 도면이다.
제어부(230)는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부(220) 들의 자신이 센싱하는 영역들을 각각 센싱한 센싱 결과를 수신한다.
이후, 제어부(230)는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센서부들의 센싱값을 하나의 값으로 합성함으로써, 보다 원활하고 정확한 분석 또는 모니터링을 진행할 수 있다. 특히, 제어부(230)는 각 센서부들의 센싱값을 겹선형 보간법을 이용하여 이미지 프로세싱을 수행함으로써, 하나의 값(이미지)로 합성을 수행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제어부(230)는 이처럼 후처리한 센싱값으로부터 아크가 발생하였는지 여부 또는 온도가 기 설정된 기준치 이상으로 상승한 부분이 있는지 여부를 분석한다. 다만, 수배전반(120)은 실외에 배치되는 구조물로서, 특히, 겨울철에는 결로현상이 발생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결로 현상에 의해 수분이 수배전반(120) 내 구성, 특히, 고압 전력이 흐르는 부스바(310)에 맺힐 경우, 전기적인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수배전반(120) 내에는 히터가 위치하게 되며, 결로 현상이 발생할 수 있는 환경이나 계절에서는 히터가 동작하게 된다. 다만, 히터가 동작할 경우, 히터의 온도와 수배전반(120) 내 다른 구성의 온도의 구별이 용이하지 않아, 제어부(230)가 이상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에도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오인할 우려가 존재한다. 이를 위해 제어부(230)는 이상, 특히, 온도 이상을 판단함에 있어서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작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배전반 모니터링 장치가 센서의 센싱값을 토대로 수배전반 내 온도를 모니터링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어부(230)는 전술한 바와 같이 하나의 이미지로 각 센싱값을 합성한 경우, 합성한 이미지 내에서 온도 모니터링을 제외할 하나 이상의 영역(710)과 온도 모니터링을 집중적으로 진행할 하나 이상의 영역(720)을 설정해 둘 수 있다. 모니터링 제외 영역(710)은 히터 등과 같이 이상 발생여부와 무관하게 의도적으로 온도가 일정 수준 이상까지 상승하도록 동작하는 구성이 위치한 영역 등에 배치된다. 한편, 모니터링 진행 영역(720)은 부스바(310) 또는 연결지점(330) 등 모니터링 해야할 구성이 배치되는 영역에 배치된다. 제어부(230)는 전술한 각 영역을 설정해두어, 노이즈를 최소화하며, 필요한 영역의 온도만을 정확히 모니터링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230)의 동작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유도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센서부(220) 내 센서(410, 420)들은 회동하며 센싱을 수행할 수 있다. 다만, 회동하며 센싱을 수행하기에, 센싱값에 노이즈 또는 왜곡이 필연적으로 포함될 수밖에 없다. 종래의 장치들은 이러한 노이즈 해소를 위해 센서의 (광 경로 상으로) 전방 또는 후방에, 별도의 광학계를 배치하는 등으로 해소하곤 했다. 그러나 제어부(230)는 노이즈나 왜곡이 발생한 센싱값 내에서 각각의 영역(710, 720)을 선정하면 되기에, 별도로 노이즈나 왜곡을 제거하기 위한 후처리를 진행할 필요없으며, 광학계 등을 구비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어차피, 노이즈나 왜곡이 발생하더라도 센싱값 전체에 균일하게 발생하는 것이기 때문에, 제어부(230)는 노이즈나 왜곡이 발생한 패턴을 분석하여 그에 맞게 각 영역(710, 720)도 보정하기만 하면, 정확하게 분석을 진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230)는 영역을 선정하여 분석함으로써, 구조적으로나 데이터 처리적으로 간소화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제어부(230)는 센싱값을 분석하여 온도가 기 설정된 기준치 이상으로 상승하거나 아크가 발생하였을 경우,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분석한다. 특히, 제어부(230)는 온도 구간을 세세하게 분류하여, 정상 구간, 주의 구간, 위험 구간 및 이상 구간 등으로 구분하여, 구체적으로 이상 발생여부를 분석할 수 있다. 이상이 발생한 경우, 제어부(230)는 출력부(240)가 이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며, 이상 발생사실을 통신부(210)가 외부장치로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출력부(240)는 모니터링 결과와 함께 이상 발생사실을 외부로 출력한다. 출력부(240)는 모니터로 구현되며, 추가적으로 광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240)가 광원을 포함하는 경우, 이상이 없을 때에는 특정 색상(예를 들어, 녹색)을 출력하고, 이상이 발생한 경우에는 다른 색상(예를 들어, 적색)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출력부(24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니터로 구현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배전반 모니터링 장치의 출력부가 모니터링결과를 출력하는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력부(240)는 이상이 없을 경우, 통상적인 색상으로 모니터링 결과를 출력하되, 이상이 발생한 경우, 특정 색상과 함께 모니터링 결과를 출력하여 관리자 등이 이를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제어부(230)의 분석 결과에 따라 이상이 발생한 경우, 메모리부(250)는 발생한 이상의 정보를 저장한다. 여기서, 이상의 정보는 이상의 종류, 센싱값 및 이상의 발생 시점을 포함한다. 메모리부(250)가 이처럼 이상의 정보를 저장함에 따라, 수배전반 관리자가 후에라도 어느 시점에 어떠한 이상이 발생하였는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수배전반 모니터링 장치
120: 수배전반
210: 통신부
220, 510: 센서부
230: 제어부
240: 출력부
250: 메모리부
310: 부스바
320: 내부 구성
330: 연결 지점
410: 온도 감지센서
420: 아크 감지센서
430: 제1 하우징
440: 제2 하우징
450: 힌지부
460: 관통공
710: 모니터링 제외 영역
720: 모니터링 진행 영역

Claims (7)

  1. 수배전반 내 이상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하는 장치에 있어서,
    수배전반 내부의 온도나 아크 발생여부를 감지하는 센서부;
    모니터링 장치 내 각 구성의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센서부로부터 센싱값을 수신하여 상기 수배전반 내 이상이 발생하였는지를 모니터링하는 제어부;
    모니터링 결과와 함께 이상 발생사실을 외부로 출력하는 출력부; 및
    상기 제어부가 판단한 결과를 외부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센서부는,
    온도 감지센서;
    아크 감지센서;
    상기 수배전반 내 부품이 배치되는 측면의 반대측면에 고정되어 상기 센서부를 상기 수배전반 내부에 고정시키고, 관통공을 포함하여 각 센서들을 동작시키기 위한 전선과 각센서들 및 상기 제어부 간에 센싱값이나 제어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도선이 배치될 수 있도록 하는 제2 하우징; 및
    'ㄷ'자 형태의 구조를 가져 전방을 향해 배치된 제1 면에 상기 온도 감지센서 및 상기 아크 감지센서를 배치시키고, 상기 제1 면의 끝단으로부터 돌출된 양 측면으로 힌지부에 의해 상기 제2 하우징과 결합되어 고정되며, 상기 제1 면이 기 설정된 각도범위 내에서 회동할 수 있는 제1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수신한 센싱값 내에서 모니터링 제외 영역 및 모니터링 진행 영역을 하나 이상 선정하여 수배전반 내 이상이 발생하였는지를 모니터링하고, 노이즈나 왜곡이 발생한 센싱값 내에서 각 영역을 선정하여 노이즈나 왜곡을 제거하기 위한 후처리를 진행하지 않고도 분석을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배전반 모니터링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수신한 각 센서부들의 센싱값을 하나의 값으로 합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배전반 모니터링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겹선형 보간법을 이용하여 이미지 프로세싱함으로써 하나의 값으로 합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배전반 모니터링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배전반은,
    외부에서 자신으로 인가되는 전력을 전달받아 수배전반 내 각 구성으로 전달하는 부스바; 및
    상기 수배전반 내 각 구성과 상기 부스바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지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배전반 모니터링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부스바가 배치된 영역 또는 상기 연결지점 영역을 모니터링 진행 영역으로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배전반 모니터링 장치.

  7. 삭제
KR1020230068205A 2023-05-26 2023-05-26 이상 발생여부를 정확히 모니터링할 수 있는 수배전반 모니터링 장치 KR1026499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68205A KR102649921B1 (ko) 2023-05-26 2023-05-26 이상 발생여부를 정확히 모니터링할 수 있는 수배전반 모니터링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68205A KR102649921B1 (ko) 2023-05-26 2023-05-26 이상 발생여부를 정확히 모니터링할 수 있는 수배전반 모니터링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9921B1 true KR102649921B1 (ko) 2024-03-22

Family

ID=904809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68205A KR102649921B1 (ko) 2023-05-26 2023-05-26 이상 발생여부를 정확히 모니터링할 수 있는 수배전반 모니터링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992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33436A (ko) * 2020-04-29 2021-11-08 엘에스일렉트릭(주)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한 온도 진단의 오알람 발생 방지 방법
KR20220037867A (ko) * 2020-09-18 2022-03-25 홍현기 배전반 감시시스템
KR102506032B1 (ko) * 2022-10-14 2023-03-06 주식회사 서호산전 이상온도 예측 제어 장치가 구비된 배전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33436A (ko) * 2020-04-29 2021-11-08 엘에스일렉트릭(주)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한 온도 진단의 오알람 발생 방지 방법
KR20220037867A (ko) * 2020-09-18 2022-03-25 홍현기 배전반 감시시스템
KR102506032B1 (ko) * 2022-10-14 2023-03-06 주식회사 서호산전 이상온도 예측 제어 장치가 구비된 배전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210864C (en) System for visual monitoring of operational indicators in an electric power system
KR101421588B1 (ko) 적외선 열화상 온도 영역 변화 기반의 고압배전반,저압배전반,분전반,모터제어반의 열화 진단 방법
KR100984679B1 (ko)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한 수배전반 열화 예측시스템
KR102503525B1 (ko) 배전반 모니터링 시스템
KR101112003B1 (ko) 수배전반의 열화검출장치
US9478950B2 (en) Integrated safety disconnects for power systems
US11187750B2 (en) Method for detecting the state of an electrical protection appliance in an electrical installation and detection device implementing said method
Durocher et al. Infrared windows applied in switchgear assemblies: Taking another look
KR102649921B1 (ko) 이상 발생여부를 정확히 모니터링할 수 있는 수배전반 모니터링 장치
KR102647655B1 (ko) 수배전반 내 온도 및 아크를 원활히 감시할 수 있는 수배전반 모니터링 장치
KR101663532B1 (ko) 전자회로 패턴이 내장된 발열감지 부스바를 이용한 배전반 발열 예측시스템
KR101623760B1 (ko) 분전반
KR101535923B1 (ko) 전력 케이블 탄화 및 전력기기 접속 방전 상태 감시를 통한 전력 품질 진단 기능을 갖는 수배전반
KR20210008758A (ko) 발전소 전력설비의 재난 예방 상태감지 경보 시스템
AU2020200638B2 (en) Apparatus for monitoring surge protection device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same
Yan et al. A real-time IR-fusion switchgear contact monitoring system (SCMS)
KR102337436B1 (ko) 신속 설치가 가능한 분리형 적외선센서 모듈을 이용한 이상 통합 감시 및 불량예측 기능을 구비한 인공지능 배전반
Poeltl et al. Experiences with condition monitoring of HV circuit breakers
KR20210001515A (ko) 스마트 전기사고 예방 및 에너지 관리 시스템
US11381074B2 (en) Electrical protection system and method for a high-voltage direct current system
KR20190011967A (ko) 결로 예방 기능을 갖는 배전반 관리 시스템
KR101377190B1 (ko) 수배전반의 누설전류와 아크가 발생한 전압의 상 판단 장치 및 방법.
KR101976785B1 (ko) 스마트기기의 증강현실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수배전반 감시 시스템
KR101987193B1 (ko) 활선 원격 회로 감지 수배전반
Hadziefendic et al. The importance of preventive thermographic inspections within periodic verifications of the quality of low-voltage electrical installa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