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9853B1 - 카테터 - Google Patents

카테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9853B1
KR102649853B1 KR1020210143359A KR20210143359A KR102649853B1 KR 102649853 B1 KR102649853 B1 KR 102649853B1 KR 1020210143359 A KR1020210143359 A KR 1020210143359A KR 20210143359 A KR20210143359 A KR 20210143359A KR 102649853 B1 KR102649853 B1 KR 1026498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oon
catheter
user
lumen
liq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33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59310A (ko
Inventor
고메즈 하이너 아돌포 카마초
바레라 세르지오 미구엘 보르자
Original Assignee
고메즈 하이너 아돌포 카마초
바레라 세르지오 미구엘 보르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메즈 하이너 아돌포 카마초, 바레라 세르지오 미구엘 보르자 filed Critical 고메즈 하이너 아돌포 카마초
Priority to KR10202101433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9853B1/ko
Publication of KR202300593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93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98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98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42Gynaecological or obstetrical instruments or meth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61B17/12022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 A61B17/12027Type of occlusion
    • A61B17/1204Type of occlusion temporary occlus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61B17/12022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 A61B17/12131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occluding device
    • A61B17/12136Ballo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10Balloon catheters
    • A61M25/1011Multiple balloon cathe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61B2017/120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for haemostasis, for prevention of bleed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42Gynaecological or obstetrical instruments or methods
    • A61B2017/4216Operations on uterus, e.g. endometriu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217/00General characteristics of surgical instruments
    • A61B2217/002Auxiliary appliance
    • A61B2217/005Auxiliary appliance with suction drainag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10Balloon catheters
    • A61M25/1011Multiple balloon catheters
    • A61M2025/1015Multiple balloon catheters having two or more independently movable balloons where the distance between the balloons can be adjusted, e.g. two balloon catheters concentric to each other forming an adjustable multiple balloon catheter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10Balloon catheters
    • A61M2025/1043Balloon catheters with special features or adapted for special applications
    • A61M2025/105Balloon catheters with special features or adapted for special applications having a balloon suitable for drug delivery, e.g. by using holes for delivery, drug coating or membra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10/00Anatomical parts of the body
    • A61M2210/14Female reproductive, genital organs
    • A61M2210/1433Uteru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Hemat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ynecology & Obstetrics (AREA)
  • Pregnancy & Childbirth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unibody)으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산후 출혈을 방지하기 위한 카테터(catheter)가 개시된다. 상기 카테터는 적어도 하나의 루멘(lumen)으로 분할된 튜브를 통해 유입되는 액체에 의해 부피가 팽창되는 제 1 벌룬(balloon); 상기 제 1 벌룬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 1 벌룬과 독립적으로 팽창되는 제 2 벌룬; 및 상기 제 1 벌룬의 외측 일 지점에 구비되어 상기 카테터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사용자의 몸에 고정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제 3 벌룬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카테터{catheter}
본 개시는 카테터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산후 출혈을 방지하기 위한 카테터에 관한 것이다.
선진국에서 산모의 출산에 따른 산후 출혈(Postpartum Hemorrhage, PPH)은 대부분 예방이 가능하고 또한 관리에도 큰 문제가 없을 수 있다. 그러나 개발 도상국의 사정은 선진국과는 다를 수 있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개발 도상국에서의 산후 출혈에 따른 산모의 사망은 임신 및 출산 등으로 인한 사망 원인 중 최대 60%를 차지할 수 있다고 한다. 또한 개발 도상국의 산모는 출산에 있어서 선진국의 산모에 비해 대략 30배가량 위험한 상태에 노출될 수 있다고 한다.
산모의 산후 출혈에 따른 사망의 주된 이유는 의료 시설 및 의료진 수가 절대적으로 부족하기 때문일 수 있다. 또는, 산모가 의료 시설 및 의료진에 대해 접근하기 어려울 수도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산모가 주변인의 도움 없이도 스스로 산후 출혈을 예방, 치료, 관리 또는 방지할 수 있고 더하여 감염병 별 데이터 수집도 편리한 기술에 대한 개발이 필요하다.
미국 등록특허 US 9125686
본 개시는 전술한 배경기술에 대응하여 안출된 것으로, 사용자가 스스로 산후 출혈을 방지할 수 있는 카테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개시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일체형(unibody)으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산후 출혈을 방지하기 위한 카테터(catheter)가 개시된다. 상기 카테터는 적어도 하나의 루멘(lumen)으로 분할된 튜브를 통해 유입되는 액체에 의해 부피가 팽창되는 제 1 벌룬(balloon); 상기 제 1 벌룬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 1 벌룬과 독립적으로 팽창되는 제 2 벌룬; 및 상기 제 1 벌룬의 외측 일 지점에 구비되어 상기 카테터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사용자의 몸에 고정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제 3 벌룬; 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튜브의 끝단에 구비되고 상기 사용자에게 발생된 혈액을 흡입하기 위한 제 4 벌룬; 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튜브는, 상기 제 2 벌룬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3 벌룬을 팽창시키기 위한 액체가 유입되는 제 1 루멘, 상기 제 1 벌룬을 팽창시키기 위한 액체가 유입되는 제 2 루멘, 상기 제 4 벌룬을 통해 유입되는 혈액을 흡입하기 위한 제 3 루멘, 상기 제 2 벌룬을 통해 유입되는 혈액을 흡입하기 위한 제 4 루멘 및 상기 제 1 벌룬, 상기 제 2 벌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3 벌룬에 유입된 액체를 흡입하기 위한 제 5 루멘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벌룬은 자궁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팽창되고, 상기 제 2 벌룬은 깔때기 형상으로 팽창되어 깔때기 시스템으로 변화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벌룬은, 직물 재질로 형성되고, 외측에 지혈제 성분이 포함된 약액이 도포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얻을 수 있는 기술적 해결 수단은 이상에서 언급한 해결 수단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해결 수단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의료진의 도움 없이도 사용자 혼자서도 산후 출혈을 방지할 수 있는 카테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개시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다양한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로 기재되며, 여기서 유사한 참조 번호들은 총괄적으로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지칭하는데 이용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설명 목적을 위해, 다수의 특정 세부사항들이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총체적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제시된다. 그러나, 그러한 양상(들)이 이러한 특정 세부사항들 없이 실시될 수 있음은 명백할 것이다. 다른 예시들에서, 공지의 구조들 및 장치들이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기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블록도 형태로 도시된다.
도 1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가 인체 내부에 삽입된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개시이 몇몇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를 설치하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다양한 실시예들 및/또는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하여 개시된다. 하기 설명에서는 설명을 목적으로,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전반적 이해를 돕기 위해 다수의 구체적인 세부사항들이 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양상(들)은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도 실행될 수 있다는 점 또한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감지될 수 있을 것이다. 이후의 기재 및 첨부된 도면들은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특정한 예시적인 양상들을 상세하게 기술한다. 하지만, 이러한 양상들은 예시적인 것이고 다양한 양상들의 원리들에서의 다양한 방법들 중 일부가 이용될 수 있으며, 기술되는 설명들은 그러한 양상들 및 그들의 균등물들을 모두 포함하고자 하는 의도이다. 구체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실시예", "예", "양상", "예시" 등은 기술되는 임의의 양상 또는 설계가 다른 양상 또는 설계들보다 양호하다거나, 이점이 있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이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는다.
비록 제 1, 제 2 등이 다양한 소자나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소자나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소자나 구성요소를 다른 소자나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 1 소자나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 2 소자나 구성요소 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더불어, 용어 "또는"은 배타적 "또는"이 아니라 내포적 "또는"을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즉, 달리 특정되지 않거나 문맥상 명확하지 않은 경우에, "X는 A 또는 B를 이용한다"는 자연적인 내포적 치환 중 하나를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즉, X가 A를 이용하거나; X가 B를 이용하거나; 또는 X가 A 및 B 모두를 이용하는 경우, "X는 A 또는 B를 이용한다"가 이들 경우들 어느 것으로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열거된 관련 아이템들 중 하나 이상의 아이템의 가능한 모든 조합을 지칭하고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해당 특징 및/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지만,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 구성요소 및/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달리 특정되지 않거나 단수 형태를 지시하는 것으로 문맥상 명확하지 않은 경우에, 본 명세서와 청구범위에서 단수는 일반적으로 "하나 또는 그 이상"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구성 요소(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구성 요소 또는 층의 "위(on)" 또는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구성 요소 또는 층의 바로 위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구성 요소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반면, 구성 요소가 "직접 위(directly on)" 또는 "바로 위"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 또는 층을 개재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 요소 또는 다른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 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 요소의 "아래(below)" 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 요소는 다른 구성 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 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 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의 목적 및 효과,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본 개시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나 본 개시는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개시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개시는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개시에서, 산후 출혈을 방지하기 위한 카테터(catheter)는 일체형(unibody)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종래의 산후 출혈을 위한 카테터는 복수의 부품들로 구성되어 있어, 전문적인 교육을 받은 의료진이 사용자의 인체 내에 설치를 해야 했다. 예를 들어, 종래의 산후 출혈을 위한 카테터는 모든 구성 요소를 조립해야 했으며 클램프(clamp) 또는 기타 추가 수술 도구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인체 내에 설치를 해야 했다. 이로 인해 사용자가 의료진의 도움이 없이는 이용하기가 어려웠고 이용하더라도 감염의 위험이 존재할 수 있었다. 반면, 본 발명에 따른 카테터는 일체형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별다른 어려움 없이 스스로 인체의 내부에 삽입할 수 있다. 더하여,
이하, 본 개시에 따른 산후 출혈을 방지하기 위한 카테터에 대해 도 1 및 도 2를 통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가 인체 내부에 삽입된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카테터(1000)는 제 1 벌룬(balloon)(100), 제 2 벌룬(200), 적어도 하나의 제 3 벌룬(300), 제 4 벌룬(400), 튜브(500), 적어도 하나의 스톱콕(stopcock)(610, 620), 연장부(700), 액체 주머니부(800) 및 혈액 주머니부(90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상술한 구성 요소들은 카테터(1000)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카테터(1000)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제 1 벌룬(100)은 적어도 하나의 루멘(lumen)으로 분할된 튜브(500)를 통해 유입되는 액체에 의해 부피가 팽창될 수 있다. 여기서, 루멘은 관 또는 대롱과 같은 구조 안쪽의 비어 있는 공간을 의미할 수 있다. 일례로, 제 1 벌룬(100)은 액체 주머니부(800)로부터 튜브(500)를 통해 유입되는 액체에 의해 팽창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액체는 등장성 혈청 식염수(isotonic-serum-saline)일 수 있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벌룬(100)은 자궁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팽창될 수 있다. 일례로, 제 1 벌룬(100)은 500cc 용량의 식염수가 유입되고, 식염수의 용량에 대응하는 부피로 팽창될 수 있다. 다른 일례로, 제 1 벌룬(100)은 자궁 내 공간의 90%를 채울 수 있는 크기로 팽창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벌룬(100)은 의료용 실리콘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 1 벌룬(100)은 외측에 지혈제 성분이 포함된 약액이 도포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제 1 벌룬(100)의 외측은 직물 재질로 형성되거나 또는 직물 재질의 거즈 등이 감싸고 있을 수 있다.
제 2 벌룬(200)은 제 1 벌룬(100)의 내부에 구비되고, 제 1 벌룬(100)과 독립적으로 팽창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2 벌룬(200)은 튜브(500)에 포함된 제 1 루멘(510)을 통해 유입되는 액체를 통해 팽창될 수 있다. 제 1 벌룬(100)은 튜브(500)에 포함된 제 2 루멘(520)을 통해 유입되는 액체를 통해 팽창될 수 있다. 제 1 루멘(510) 및 제 2 루멘(520)의 개폐는 튜브(500)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스톱콕(610, 620)을 통해 각각 제어될 수 있다. 따라서, 제 2 벌룬(200)의 팽창은 제 1 벌룬(100)의 팽창과는 독립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사용자는 본 개시에 따른 카테터(1000)의 적어도 일부만 인체 내에 삽입한 후 먼저 제 2 벌룬(200)을 팽창시킬 수 있다. 사용자는 제 2 벌룬(200)을 팽창시킴으로써 혈액 주머니부(900)에 수집되는 혈액의 양을 확인한 후 필요에 따라 제 1 벌룬(100)을 팽창시킬 수 있다. 제 1 벌룬(100)의 외측에는 지혈제 성분이 포함된 약액이 도포되어 있으므로, 사용자는 출혈이 심한 경우 제 1 벌룬(100)을 팽창시킴으로써 지혈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벌룬(200)은 깔때기 형상으로 팽창되어 깔때기 시스템으로 변화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2 벌룬(200)에는 사용자의 자궁 내에서 발생된 출혈이 수집될 수 있고, 수집된 출혈은 튜브(500)를 통해 혈액 주머니부(900)로 전달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혈액 주머니부(900)에 표시된 눈금(910)을 통해 얼마나 혈액이 모였는지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제 2 벌룬(200)이 깔때기 형상으로 팽창되어 깔때기 시스템으로 변화됨에 따라, 카테터(1000)는 사용자의 자궁 내에 고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제 1 벌룬(100)이 사용자의 자궁 내에 올바른 위치에서 팽창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2 벌룬(200)은 탐폰(tampon)으로서도 작용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벌룬(200)은 의료용 실리콘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2 벌룬(200)은 제 1 벌룬(100)의 1/3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 3 벌룬(300)은 제 1 벌룬(100)의 외측 일 지점에 구비되어 카테터(1000)를 사용자의 몸에 고정시킬 수 있다. 여기서, 외측 일 지점은 사용자의 질 내 또는 질 근방일 수 있다. 그리고, 제 1 벌룬(100)은 사용자의 자궁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일례로, 적어도 하나의 제 3 벌룬(300)은 제 1 작은 벌룬(310) 및 제 2 작은 벌룬(3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작은 벌룬(310)은 질 내부에 설치되고, 제 2 작은 벌룬(320)은 질 외부에 설치되어 카테터(1000)를 사용자의 몸에 고정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를 참조하면 적어도 하나의 제 3 벌룬(300) 중 제 1 작은 벌룬(310)은 사용자의 질 내부에 안착될 수 있다. 제 2 작은 벌룬(320)은 사용자의 질 외부에 안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제 3 벌룬(300)은 카테터(1000)의 적어도 일부를 사용자의 몸에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제 3 벌룬(300)은 외부의 감염원이 인체에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도 있다. 더하여, 적어도 하나의 제 3 벌룬(300)은 내부의 유체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작은 벌룬(310)은 제 2 벌룬(200)과 함께 팽창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 1 작은 벌룬(310) 및 제 2 벌룬(200)을 팽창시킴으로써, 카테터(1000)의 적어도 일부를 사용자의 몸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작은 벌룬(310)은 150cc 용량의 식염수가 유입될 수 있다. 제 2 작은 벌룬(320)은 80cc 용량의 식염수가 유입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제 3 벌룬(300)은 의료용 실리콘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 2 작은 벌룬(320)은 사용자의 체액을 흡수하는 동시에 항균할 수 있는 약액이 도포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제 2 작은 벌룬(320)의 외측은 직물 재질로 형성되거나 또는 직물 재질의 거즈 등이 감싸고 있을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제 4 벌룬(400)은 튜브(500)의 끝단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튜브(500)에 의해 다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끝단은 튜브(500)가 끝나는 지점일 수 있으며, 사용자의 자궁 또는 그 외 부분에 닿는 지점일 수 있다. 일례로, 제 4 벌룬(400)이 위치하는 지점은 제 1 벌룬(100)이 사용자의 자궁을 채우고 남은 자궁 내 빈 공간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 1 벌룬(100)은 자궁 내 공간의 90%를 채울 수 있는 크기로 팽창될 수 있다. 따라서, 제 4 벌룬(400)은 자궁 내 남은 빈 공간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4 벌룬(400)은 사용자에게 발생된 혈액을 흡입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에게서 발생된 혈액은 제 4 벌룬(400)의 근처에 구비된 유입 홀(560)을 통해 제 4 벌룬(400)에 모일 수 있다.
일례로, 제 4 벌룬(400)은 사용자에게서 발생된 혈액이 모일 수 있도록 움푹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튜브(500)는 적어도 하나의 루멘(lumen)으로 분할되고, 액체의 유입을 제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스톱콕(610, 620)이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루멘은 관 또는 대롱과 같은 구조 안쪽의 비어 있는 공간을 의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튜브(500)는 및 제 2 벌룬(200) 및 적어도 하나의 제 3 벌룬(300)을 팽창시키기 위한 액체가 유입되는 제 1 루멘(510), 제 1 벌룬(100)을 팽창시키기 위한 액체가 유입되는 제 2 루멘(520), 제 4 벌룬(400)을 통해 유입되는 혈액을 흡입하기 위한 제 3 루멘(530), 제 2 벌룬(200)을 통해 유입되는 혈액을 흡입하기 위한 제 4 루멘(540) 및 제 1 벌룬(100), 제 2 벌룬(200) 및 제 1 벌룬(100), 제 2 벌룬(200) 및 적어도 하나의 제 3 벌룬(300)에 유입된 액체를 흡입하기 위한 제 5 루멘(55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튜브(500)는 사용자가 본 개시에 따른 카테터(1000)를 스스로 인체의 내부에 삽입하기에 충분한 기계적 강성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일 실시예에 따르면, 튜브(500)는 적어도 하나의 유입 홀(560)이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벌룬(100) 내지 적어도 하나의 제 3 벌룬(300) 중 적어도 하나의 벌룬은 유입 홀(560)을 감싸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제 1 벌룬(100) 내지 적어도 하나의 제 3 벌룬(300)은 유입 홀(560)을 통해 유입되는 액체를 통해 팽창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스톱콕은 제 1 벌룬(100) 내지 적어도 하나의 제 3 벌룬(300)에 유입되는 액체의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일례로, 적어도 하나의 스톱콕은 제 1 스톱콕(610) 및 제 2 스톱콕(6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스톱콕(610)은 3가지 모드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스톱콕(610)은 제 2 벌룬(200) 및 적어도 하나의 제 3 벌룬(300)을 팽창시키기 위한 제 1 모드, 제 1 벌룬(100)을 팽창시키기 위한 제 2 모드 및 제 1 벌룬(100), 제 2 벌룬(200) 및 적어도 하나의 제 3 벌룬(300)을 수축시키기 위한 제 3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 4 벌룬(400)도 팽창 및 수축될 수 있다. 제 2 스톱콕(620)은 제 2 벌룬(200) 및 제 4 벌룬(400)을 통해 유입된 혈액이 혈액 주머니부(900)로 전달될 수 있도록 개폐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 2 스톱콕(620)은 원 멀티플 웨이(one multiple way) 스톱콕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혈액 주머니부(900)에서 적어도 하나의 벌룬으로 혈액이 역행하는 것을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제 1 스톱콕(610)도 원 멀티플 웨이 스톱콕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조작 없이 적어도 하나의 벌룬에서 액체 주머니부(800)로 액체가 역행하는 것을 방지될 수 있다.
연장부(700)는 제 1 벌룬(100) 및 제 1 작은 벌룬(310)의 사이에 구비되어, 튜브(50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자궁 및 질 간의 길이는 사람마다 다를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연장부(700)를 통해, 튜브(50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액체 주머니부(800)는 적어도 하나의 벌룬을 팽창시키기 위한 액체가 담겨있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액체 주머니부(800)는 1,000cc 용량의 액체가 담길 수 있고 또한, 의료용 PVC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액체 주머니부(800)의 외측에는 눈금(810)이 표시되어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눈금(810)을 통해 액체 주머니부(800)에 담긴 액체가 얼마나 적어도 하나의 벌룬으로 유입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다.
혈액 주머니부(900)는 사용자에게서 발생된 혈액이 담길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혈액 주머니부(900)는 2,000cc 용량의 혈액이 담길 수 있고 또한, 의료용 PVC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혈액 주머니부(900)의 외측에는 눈금(910)이 표시되어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눈금(910)을 통해 얼마나 출혈이 발생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이 몇몇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를 설치하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카테터(1000)는 랩(2000)을 통해 포장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랩(2000)은 의료용 실리콘 또는 플라스틱 등의 재질일 수 있다.
랩(2000)은 절단 리본(2100)에 의해 벗겨질 수 있다. 일례로, 랩(2000)의 표면에는 랩(2000)을 개봉하기 위한 절취선 등이 구비되어 있을 수 있고, 절단 리본(2100)은 절취선과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사용자는, 랩(2000)을 통해 포장된 카테터(1000)를 질 또는 자궁 내에 삽입한 후 절단 리본(21000)을 잡아당김으로써, 랩(2000)을 벗길 수 있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개시를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개시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개시는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5)

  1. 산후 출혈을 방지하기 위해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사용자가 스스로 인체의 내부에 삽입할 수 있는 카테터(catheter)로서,
    액체 주머니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루멘(lumen)으로 분할된 튜브를 통해 유입되는 액체에 의해 부피가 팽창되는 제 1 벌룬(balloon) - 상기 제 1 벌룬은 외측에 지혈제 성분이 포함된 약액이 도포됨 - ;
    상기 제 1 벌룬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 1 벌룬과 독립적으로 팽창되는 제 2 벌룬;
    상기 제 1 벌룬의 외측 일 지점에 구비되어 상기 카테터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사용자의 질 내 근방에 고정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제 3 벌룬; 및
    혈액 주머니부와 연결되고, 상기 튜브의 끝단에 구비되고 상기 사용자에게 발생된 혈액을 흡입하기 위한 제 4 벌룬;
    을 포함하고,
    상기 혈액 주머니부는 수집되는 혈액의 양을 사용자에게 확인시키고, 상기 제 1 벌룬을 팽창시키고,
    상기 튜브는 상기 액체의 유입을 제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스톱콕을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제 1 벌룬은 자궁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팽창되고, 상기 제 2 벌룬은 깔때기 형상으로 팽창되어 깔때기 시스템으로 변화되는,
    카테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는,
    상기 제 2 벌룬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3 벌룬을 팽창시키기 위한 액체가 유입되는 제 1 루멘, 상기 제 1 벌룬을 팽창시키기 위한 액체가 유입되는 제 2 루멘, 상기 제 4 벌룬을 통해 유입되는 혈액을 흡입하기 위한 제 3 루멘, 상기 제 2 벌룬을 통해 유입되는 혈액을 흡입하기 위한 제 4 루멘 및 상기 제 1 벌룬, 상기 제 2 벌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3 벌룬에 유입된 액체를 흡입하기 위한 제 5 루멘을 포함하는,
    카테터.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벌룬은,
    직물 재질로 형성된,
    카테터.
KR1020210143359A 2021-10-26 2021-10-26 카테터 KR1026498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3359A KR102649853B1 (ko) 2021-10-26 2021-10-26 카테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3359A KR102649853B1 (ko) 2021-10-26 2021-10-26 카테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9310A KR20230059310A (ko) 2023-05-03
KR102649853B1 true KR102649853B1 (ko) 2024-03-20

Family

ID=863807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3359A KR102649853B1 (ko) 2021-10-26 2021-10-26 카테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985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1341907Y (zh) * 2008-12-05 2009-11-11 胡平 子宫腔止血气囊
KR101787280B1 (ko) * 2016-08-25 2017-10-17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이중구조의 풍선 카테터
KR102165620B1 (ko) 2020-07-31 2020-10-14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지혈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64651B2 (en) 2012-03-15 2018-09-04 Inpress Technologies, Inc. Uterine hemorrhage controlling system and method
KR102262342B1 (ko) * 2019-08-27 2021-06-07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약물전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약물전달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1341907Y (zh) * 2008-12-05 2009-11-11 胡平 子宫腔止血气囊
KR101787280B1 (ko) * 2016-08-25 2017-10-17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이중구조의 풍선 카테터
KR102165620B1 (ko) 2020-07-31 2020-10-14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지혈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9310A (ko) 2023-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24769B1 (en) Pelvic balloon tamponade
US3908664A (en) Wound suction tube and retrograde flushing
CA1213491A (en) Inflatable uterine hemostat
US10406381B2 (en) Multi-balloon catheter for medical applications
BR102016013602A2 (pt) cateter de balão de poros abertos
EP2977014B1 (en) Catheter for treatment of sinusitis
SE533170C2 (sv) Anordning för att behandla sår med undertryck
US3863641A (en) Thoracic drainage catheter
BR112014030082B1 (pt) Sistema de irrigação
JP6543349B2 (ja) 肋膜ドレナージセット
CN207520343U (zh) 一种用于鼻腔手术后喷嘴可调节的鼻窦冲洗器
JP5898088B2 (ja) 末梢側および近位側回収口を有するカテーテルシステム
KR102649853B1 (ko) 카테터
CN103393472B (zh) 一种手术通道扩张装置
US20180000488A1 (en) Inflatable intrauterine balloon
US10888332B2 (en) Intranasal occlusion device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CN107007923B (zh) 多功能导尿管
CN110693560B (zh) 一种用于经鼻神经内镜手术的鼻腔填充气囊装置
CN211327695U (zh) 一种双囊引流管
CN208710640U (zh) 一种可伸缩适时塑形的冲洗装置
US20160000464A1 (en) Medical device for reducing bleeding
WO2022237108A1 (zh) 防堵肾造瘘管和弯道引流肾造瘘管
CN219398413U (zh) 自阴道子宫腔自体血回收装置
CN215690907U (zh) 一种球囊导管
CN219022561U (zh) 一种防侧漏的结肠透析导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