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9841B1 - 공중 이송부를 구비한 오토 핸들 장치 - Google Patents

공중 이송부를 구비한 오토 핸들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9841B1
KR102649841B1 KR1020210077276A KR20210077276A KR102649841B1 KR 102649841 B1 KR102649841 B1 KR 102649841B1 KR 1020210077276 A KR1020210077276 A KR 1020210077276A KR 20210077276 A KR20210077276 A KR 20210077276A KR 102649841 B1 KR102649841 B1 KR 1026498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electric vehicle
charging
transfer unit
gra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72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67931A (ko
Inventor
김성두
Original Assignee
(주)모던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모던텍 filed Critical (주)모던텍
Priority to KR10202100772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9841B1/ko
Publication of KR202201679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79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98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984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30Constructional details of charging stations
    • B60L53/35Means for automatic or assisted adjustment of the relative position of charging devices an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4Conductive energy transfer
    • B60L53/16Connectors, e.g. plugs or socket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60L53/67Controlling two or more charging st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차에 착탈되는 충전 건을 클램핑하는 그랩부; 상기 그랩부를 움직이는 정렬부; 상기 그랩부와 정렬부를 이송시키는 공중 이송부; 를 포함하고, 상기 공중 이송부는 상기 전기차로부터 이격된 공중에서 이동하면서 상기 그랩부를 움직여 상기 충전 건을 상기 전기차에 접속하여 충전하거나 접속을 해제시키는 오토 핸들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공중 이송부를 구비한 오토 핸들 장치{Auto Handle Apparatus with Air Feeding Unit}
본 발명은 공중에서 이동하면서 전기차를 자동으로 충전할 수 있는 오토 핸들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기 차량에 관한 연구는 물론 전기 차량의 활용성을 높이기 위하여 전기 차량의 충전 시스템에 관한 많은 연구가 행해지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는 개발 진행 단계에 불과하여 해결해야 하는 기술적 문제는 물론 다양한 소비자 욕구에 부합되는 충전 시스템이 보급화되지 못하고 있다.
더욱이, 전기차의 충전시, 전기차에 마련된 커넥터에 자동으로 충전 건을 자유자재로 접속 및 분리하는 장치의 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공중에서 이동하면서 전기차를 자동으로 충전할 수 있는 오토 핸들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기차에 착탈되는 충전 건을 클램핑하는 그랩부; 상기 그랩부를 움직이는 정렬부; 상기 그랩부와 정렬부를 이송시키는 공중 이송부; 를 포함하고, 상기 공중 이송부는 상기 전기차로부터 이격된 공중에서 이동하면서 상기 그랩부를 움직여 상기 충전 건을 상기 전기차에 접속하여 충전하거나 접속을 해제시키는 오토 핸들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오토 핸들 장치를 공중에서 이동가능하게 마련하고, 충전을 위해 주차 구역내에 진입한 전기차의 충전 작업을 자동적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오토 핸들 장치의 공중 이송부가 제1 방향, 제1 방향과 직교 방향의 제2 방향을 따라 이동하여 충전 건을 클램핑한 다음 대기중인 전기차의 커넥터에 접근하여 그랩부에 의해 충전을 진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공중에 오토 핸들 장치가 마련되므로, 지면에 설치하여 운영하는 방식에 비해 점유 공간을 대폭 줄일 수 있으므로, 그에 따른 설치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오토 핸들 장치에 의해 자동적으로 전기차에 충전 작업을 할 수 있으므로, 조작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는 노약자 또는 교통 약자, 여성에게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오토 핸들 장치의 구현을 위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오토 핸들 장치의 충전을 위한 이동 경로를 나타낸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오토 핸들 장치가 천장에서 전기차의 충전을 위해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그랩부가 충전 건을 클램핑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4의 다른 측면에서 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오토 핸들 장치에 의해 충전 건을 전기차의 커넥터에 접근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상태에서 충전 건을 전기차의 커넥터에 접속하여 충전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오토 핸들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오토 핸들 장치의 충전을 위한 이동 경로를 나타낸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오토 핸들 장치(100)는 그랩부(110), 그랩부(110)를 자유자재로 이동시키는 정렬부(120), 그랩부(110) 및 정렬부(120)를 이송시키고 동작을 제어하는 공중 이송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랩부(100)는 전기차에 마련된 커넥터에 전기적으로 착탈되는 충전 건(20)을 클램핑할 수 있다.
전기차는 승용차, 승합차, 버스, 트럭, 전기 오토바이, 전기 드론, 헬기와 같이 비행하는 플라잉 카 등 다양한 형태의 차량일 수 있고, 도는 전기 선박 등이 될 수 있으며, 전기 충전을 위한 커넥터는 전기차에 따라 다양한 위치 즉, 전기차의 전방, 후방 또는 측면중 어느 한쪽에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충전하기 위한 전기차는 복수인 경우로서, 제1 전기차(10), 제2 전기차(11) 및 제3 전기차(12), 제4 전기차(13)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물론, 전기차가 단수인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충전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제1 전기차(10) 내지 제4 전기차(13)는 버스일 수 있고, 버스인 경우에는 버스 차체의 측면에 충전을 위한 커넥터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런 경우에, 키오스크(30)는 주차 구역(a1)에 진입한 버스의 측면과 대면되는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일반 승용 전기차인 경우에는 승용 전기차의 전면 또는 후방 측면에 커넥터가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키오스크(30)는 주차 구역에 진입한 승용 전기차의 전면 또는 후면과 대면되는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전기차의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는 충전 전력을 제공하는 전력 모듈이 마련될 수 있다.
전력 모듈은 전기차(10)에 대면되는 위치에 마련되는 키오스크(30) 또는 키오스크(30)와 별개로 마련되는 메인 수단에 구비될 수 있다.
오토 핸들 장치(100)는 충전 시설물(200)의 공중에 마련된 천장부(210)에 형성된 가이드 레일(140)을 따라 이동하면서 충전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키오스크(30)에는 전기차(10)에 전력을 제공하기 위해 연결되는 충전 케이블(22)이 마련될 수 있다. 키오스크(30)는 충전 케이블(22)을 통해 전력 모듈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충전 케이블(22)의 끝에는 전기차(10)의 커넥터에 연결되는 충전 건(20)이 설치될 수 있다. 충전 건(20)은 사용자가 손으로 쥘 수 있게 형성되거나, 그랩부(110)에 의해 자동적으로 클램핑될 수 있다.
충전 건(20)은 전기차(10)에 충전 전력을 제공하는 전력 모듈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충전 건(20)은 복수의 전기차(10)에 각각 대면되는 키오스크(30)의 거치대(320)에 거치될 수 있다. 거치대(32)는 키오스크(30)에 마련하지 않고, 별도로 마련할 수 있다.
복수의 키오스크(30)가 밀집된 경우, 각 키오스크(30)를 제어하고 각종 메뉴를 표시하는 메인 표시기 1대가 마련될 수 있다. 각 키오스크(30)에는 충전 건(20)이 거치되는 거치대가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키오스크(30)는 주차 구역(a1) 전체에 대하여 1대로 마련하거나 주차 구역별로 독립되게 설치되는 복수의 키오스크(30)로 운영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본 발명은 각 키오스크(30)를 통해 주차한 복수의 전기차중 충전 요청 순서에 따라 충전 작업을 순차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 즉, 공중 이송부(130)는 키오스크(30)를 통해 충전을 요구한 순서에 따라 결정된 충전 순위에 맞춰 상기 그랩부(110)를 이송하여 충전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공중 이송부(130)는 충전 시설물(200)의 천장부에 마련되는 가이드 레일(140)을 따라 이송되면서 충전 건(20)을 통한 충전 작업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공중 이송부(130)는 가이드 레일(140)을 따라 이동하기 위한 이동 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이동 수단은 모터,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피니언, 가이드 레일(140)의 일측에 마련되고 피니언과 맞물려서 피니언이 회전하면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랙을 포함할 수 있다. 모터는 제어 가능한 서보 모터로 마련할 수 있다.
또한, 공중 이송부(130)는 원활한 이동을 위해 LM 가이드를 구비할 수 있다. LM 가이드는 이송부의 하부에 마련되고, 가이드 레일(140)과, 가이드 레일(140)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는 LM 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공중 이송부(130)는 LM 가이드 대신에, 볼 스크류 타입으로 구성할 수 있다. 공중 이송부(130)의 하부에 구비되고, 양측에 마련되는 가이드 레일(140)의 중앙에 회전되게 마련되는 볼 스크류, 볼 스크류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공중 이송부(130)의 하부에 연동되게 결합되는 볼 너트로 구성될 수 있다. 또는 LM 가이드와 볼스크류 및 너트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도 있다.
천장부(210)의 일측에는 전기차가 주차 위치에 정확히 주차되었는지 여부를 파악하여 알려주고, 충전중 무단 진입 여부에 대한 정보를 알려주는 등의 위험 요소를 사전 진단하여 알려주는 감시부(40)가 마련될 수 있다.
감시부(40)는 전기차의 주차 구역(a1)에 올바르게 주차했는지 여부, 무단 진입 여부 등의 돌발 상황을 인식하기 위한 촬영 수단이 마련될 수 있고, 현재 상태를 전기차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표시부가 마련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가이드 레일(140)은 복수의 전기차(10)(11)(12)(13)의 배열 방향과 나란하게 배열되는 제1 가이드 레일(141)과, 제1 가이드 레일(141)과 직교 방향으로 배열되고 간격을 두고 복수로 마련되는 제2 가이드 레일(142)을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공중 이송부(130)는 제1 가이드 레일(141)에 의한 제1 경로를 따라 이송되고, 제2 가이드 레일(142)을 따라 제1 경로로부터 방향 전환되는 제2 경로를 따라 이송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공중 이송부(130)를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 수단은 2개로 마련될 수 있다. 즉, 제1 방향의 제1 가이드 레일(141)을 따라 이동하는 제1 이동 수단과, 제2 방향의 제2 가이드 레일(142)을 따라 제1 가이드 레일(141)로부터 방향을 전환하여 이동하는 제2 이동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전기차 사용자(운전자)는 본인 소유의 디스플레이 장치(50)의 일종인 휴대 단말기에 충전 관리 앱을 설치하고, 이러한 충전 관리 앱에 접속하여 충전 정보 및 충전에 따른 결제 정보를 제공받아서 처리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키오스크(30) 또는 메인 표시기와 무선으로 통신하는 통신 수단이 전기차(10) 또는 전기차(10) 사용자의 휴대 단말기에 구비될 수 있다. 통신 수단을 통해 설치된 충전 관리 앱에 접속하고 충전 모드의 선택 및 결제가 원격으로 이루어지면, 전기차(10) 사용자는 전기차(10) 충전에 필요한 충전 모드 선택, 충전 건(20) 연결, 비용 결제와 관련된 모든 과정을 전기차(10)에서 내리지 않고 전기차(10) 내에 머문 상태로 안전하게 처리할 수 있다. 물론, 전기차(10)에서 하차하고 이러한 과정을 진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복수의 전기차가 충전을 위해 구획된 공간에 각각 주차하는 충전 시설물(200)을 마련하고, 각 구획별로 복수의 전기차(10)가 주차되며, 충전 시설물(200)은 천장부(210)가 구비되고, 천장부(210)의 내면에는 가이드 레일(140)과 오토 핸들 장치(100)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복수층으로 이루어지는 주차 타워와 같은 충전 시설물을 마련한 경우, 각 층별로 천장부에 1개 또는 2개의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가이드 레일(140)을 마련하고, 오토 핸들 장치(100)가 제1 이동 경로 및/또는 제2 이동 경로를 따라 이동하면서 충전 건(20)을 전기차에 접속하여 충전 작업을 진행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충전 작업을 하기 위한 각종 설비의 설치 공간을 줄일 수 있다.
만일, 주차 공간의 바닥에 모든 충전 관련 설비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그 만큼 설치 공간을 차지하게 되므로 많은 면적이 필요할 수 있지만, 본 발명에서와 같이 주차 공간의 공중에 오토 핸들 장치(100)를 이동가능하게 설치하는 경우에는, 오토 핸들 장치(100)의 이동 범위 만큼의 면적을 줄일 수 있다.
정렬부(120)는 서로 직교하는 3개의 축(x축, y축, z축)을 갖는 3차원 공간에
서 6자유도 중 적어도 3개의 자유도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x축 직선 이동 자유도, y축 직선 이동 자유도, z축 직선 이동 자유도, x축 중심 회전 자유도, y축 중심 회전 자유도, z축 중심 회전 자유도 중 3개 이상의 자유도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정렬부(120)는 그랩부(110)를 자유자재로 원하는 위치로 움직일 수 있다.
정렬부(120)는 거치대(32)에 대면되는 제1 위치에 그랩부(110)를 정렬시키거나, 전기차(10)의 커넥터(15)에 대면되는 제2 위치에 그랩부(110)를 정렬시킬 수 있다. 제1 위치에 정렬된 그랩부(110)는 거치대(32)에 충전 건(20)을 거치하거나, 거치대(32)로부터 충전 건(20)을 집어들 수 있다. 제2 위치에 정렬된 그랩부(110)는 전기차(10)의 커넥터(15)에 충전 건(20)을 연결하거나, 전기차(10)의 커넥터(15)에 연결된 충전 건(20)을 빼낼 수 있다.
키오스크(30)를 복수로 설치한 경우, 공중 이송부(130)는 가이드 레일(140)을 따라 주차된 각 전기차에 해당하는 키오스크(30)에 접근할 수 있다. 각각의 키오스크(30)에는 충전 건(20)이 거치대(32)에 거치된 상태일 수 있다. 각 키오스크(30)에 거치된 충전 건(20)에 공중 이송부(130)의 이동에 의해 접근한 다음, 공중 이송부(130)에 의해 제어되는 정렬부(120) 및 그랩부(110)를 작동시켜서 충전 건(20)을 클램핑할 수 있다.
충전 건(20)을 클램핑한 그랩부(110)는 전기차(10)의 커넥터(15)에 충전 건(20)을 접속시킴으로써 충전이 진행될 수 있다.
복수의 키오스크(30)가 마련되는 경우에는 그랩부(110)에 클램핑되는 충전 건(20)도 각각의 키오스크(30) 마다 마련될 수 있다.
하나의 그랩부(110)가 복수의 충전 건(20)을 클램핑하여 충전 작업을 진행할 수 있도록 공중 이송부(130)는 복수의 키오스크(30)가 배열된 방향인 제1 이동 경로를 따라 그랩부(110)를 이송할 수 있다. 공중 이송부(130)에 의해 그랩부(110)는 복수의 키오스크(30)를 옮겨다니면서 서로 다른 위치에 거치된 복수의 충전 건(20) 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집어서 전기차(10)에 연결할 수 있다.
복수의 전기차가 복수의 키오스크(30)에 대해 각각 충전을 요구하는 경우, 공중 이송부(130)는 각 키오스크(30)에 충전 순위를 부여할 수 있다. 공중 이송부(130)는 각 키오스크(30)에 부여된 충전 순서에 맞춰 그랩부(110)를 이송할 수 있다. 충전 순위는 키오스크(30) 또는 메인 표시기를 통해 충전을 요구한 순서, 예를 들어 키오스크에 마련된 충전 버튼을 조작한 순서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4대의 전기차가 충전을 요구하는 상황인 경우, 일측에서 반대측으로 제1 전기차, 제2 전기차, 제3 전기차, 제4 전기차로 가정할 수 있다.
키오스크(30) 또는 메인 표시기를 이용해 충전을 요구한 순서에 따라 충전 순위가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기차, 제2 전기차, 제3 전기차, 제4 전기차의 순서로 충전이 요구된 경우, 공중 이송부(130)는 제1 전기차, 제2 전기차, 제3 전기차, 제4 전기차의 순서로 그랩부(110)를 움직일 수 있다.
효율적인 충전을 위해 공중 이송부(130)는 충전 순위를 기본으로 하고, 설정 조건 만족시 충전 순위를 변경할 수 있다.
전력 모듈에서 제공 가능한 제공 전력량은 설정값 이하로 제한될 수 있다. 제공 전력량 중 기 연결된 차량에 공급되는 전력량을 제외한 여유 전력량이 대기 차량 중 선순위 차량에 제공될 수 있다.
이때, 대기 차량 중 선순위 차량에서 요구한 전력량이 여유 전력량보다 크면, 후순위 차량에 여유 전력량이 먼저 제공될 수 있다. 즉, 공중 이송부(130)는 대기 차량 중 선순위 차량이 아닌 후순위 차량에 대면되는 키오스크(30)로 그랩부(110) 또는 정렬부(120)를 이송할 수 있다. 그랩부(110)는 후순위 차량에 대면되는 키오스크(30)에 거치된 충전 건(20)을 집어서 후순위 차량에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 모듈은 70kWh의 제공 전력량을 가질 수 있다. 제1 순위 차량이 급속 충전을 요구한 경우, 공중 이송부(130)는 제1 순위 차량에 대면되는 키오스크(30)로 그랩부(110)를 이송할 수 있다. 제1 순위 차량에 대면되는 키오스크(30)로 이송된 그랩부(110)는 해당 키오스크(30)에 거치된 충전 건(20)을 뽑아 전기차에 연결할 수 있다. 제1 순위 차량의 급속 충전으로 인해, 여유 전력량은 20kWh가 된다. 제2 순위 차량이 중속 충전을 요구하고, 제3 순위 차량이 완속 충전을 요구할 수 있다. 이 경우, 여유 전력량은 제2 순위의 중속 충전을 충족하지 못하고, 제3 순위의 완속 충전을 충족할 수 있다. 이때, 제1 순위 차량에 대한 충전 건(20) 연결이 완료되면, 공중 이송부(130)는 제3 순위 차량에 대면되는 키오스크(30)로 그랩부(110) 또는 정렬부(120)를 이송할 수 있다. 제3 순위 차량에 대면되는 키오스크(30)로 이송된 그랩부(110)는 해당 키오스크(30)에 거치된 충전 건(20)을 뽑아 제3 순위 차량에 연결할 수 있다.
제1 순위 차량의 충전이 완료된 후 또는 제1 순위 차량의 충전이 완료되기 직전에 공중 이송부(130)는 제2 순위 차량에 대면되는 키오스크(30)로 그랩부(110)를 이송할 수 있다. 해당 위치로 이송된 그랩부(110)는 해당 키오스크(30)에 거치된 충전 건을 뽑아 제2 순위 차량에 꽂을 수 있다. 제1 순위 차량의 충전이 완료되면, 공중 이송부(130)는 그랩부(110)를 제1 순위 차량으로 이송할 수 있다. 제1 순위 차량으로 이송된 그랩부(110)는 제1 순위 차량에 연결된 충전 건(20)을 빼내어 대면되는 키오스크(30)의 거치대(32)에 거치할 수 있다.
여기서, 키오스크(30)와 충전 건(20)은 복수로 운영하지 않고 단수로 운영하면서 앞서 설명한 복수의 키오스크(30)를 운영하는 방식처럼 오토 핸들 장치(100)를 충전 순위 및 충전 속도(급속,중속,완속)에 따라 적절히 파악하는 파악부를 마련하고, 이러한 파악부를 통해 복수의 전기차에 대한 충전 작업을 체계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
그랩부(110)는 충전 건(20)의 일측과 타측을 각각 죄고 풀어주는 조임부(111)를 포함할 수 있다.
공중 이송부(130)는 키오스크(30)의 배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가이드 레일(140)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가이드 레일(140)은 제1 가이드 레일(141)과 제2 가이드 레일(142)을 포함하고, 제1 가이드 레일(141)은 충전하기 위한 충전 시설물(200)의 구획된 주차 구역별로 주차된 전기차의 배열 방향 또는 각 주차 구역별로 마련된 키오스크(30)의 배열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형성되고, 제2 가이드 레일(142)은 각각의 주차 구역에 맞추어서 간격을 두고 제1 가이드 레일(141)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전기차(10)가 주차 구역에 진입하면, 감시부(40)에 의해 올바르게 주차되었는지 확인되고, 올바른 상태로 주차되었음이 확인되면, 감시부(40)에 표시되며, 충전 작업을 위해 공중 이송부(130)가 가이드 레일(140)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물론, 감시부(40)에는 올바르게 주차되지 않은 경우에도 표시될 수 있다.
키오스크(30)는 주차된 전기차의 커넥터(15)와 서로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고, 이때 공중 이송부(130)에 의해 제1 가이드 레일(141) 및 제2 가이드 레일(142)을 따라 이동한 정렬부(120) 및 그랩부(110)가 해당 키오스크(30)에 거치된 충전 건(20)을 클램핑한 다음, 반대 방향으로 방향 전환을 하고, 전기차(10)의 커넥터(15)에 대면되면서 접속할 수 있다.
공중 이송부(130)는 충전을 위해 주차한 상기 전기차의 주차 위치에 접근하는 제1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제1 동작, 상기 제1 동작 수행후 상기 제1 방향과 직교 방향인 제2 방향을 따라 이동하여 충전하기 위한 상기 전기차에 대면되는 제2 동작, 상기 제2 동작후, 정렬부(120)를 제어하여 그랩부(110)가 충전 건(20)을 클램핑하는 제3 동작, 상기 제3 동작후 충전 건(20)을 클램핑한 상기 그랩부(110)를 상기 전기차의 커넥터에 접속하는 제4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 전기차는 주차 구역별로 주차되고, 상기 주차 구역(a1)에는 소정 높이의 천장부(210)가 형성되며, 상기 천장부(210)의 내부에는 상기 전기차의 주차 위치에 접근하는 방향을 제1 방향, 상기 전기차에 충전하기 위해 상기 충전 건(20)을 클램핑하기 위해 이동하는 방향을 제2 방향이라고 정의할 때, 상기 제1 방향과 직교 방향의 제2 방향으로 이동하는 상기 공중 이송부(130)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전기차가 상기 주차 구역(a1)별로 주차되어 복수인 경우, 상기 공중 이송부(130)는 복수의 상기 전기차에 대하여 상기 제1 방향과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충전 건(20)을 클램핑하여 순차적으로 충전을 수행할 수 있다.
10... 제1 전기차 11... 제2 전기차
12...제3 전기차 14... 제4 전기차
15... 커넥터
20... 충전 건 22... 충전 케이블
30... 키오스크 32... 거치대
40... 감시부 50... 디스플레이 장치
100... 오토 핸들 장치 110... 그랩부
111... 조임부 120... 정렬부
130... 공중 이송부
140... 가이드 레일 141... 제1 가이드 레일
142... 제2 가이드 레일
200... 충전 시설물 210... 천장부
a1... 주차 구역

Claims (7)

  1. 전기차에 착탈되는 충전 건을 클램핑하는 그랩부;
    상기 그랩부를 움직이는 정렬부;
    상기 그랩부와 정렬부를 이송시키는 공중 이송부; 를 포함하고,
    상기 공중 이송부는 상기 전기차로부터 이격된 공중에서 이동하면서 상기 그랩부를 움직여 상기 충전 건을 상기 전기차에 접속하여 충전하거나 접속을 해제시키며,
    상기 공중 이송부는 상기 전기차의 상부에서 충전 건을 움직여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공중에 가이드 레일이 마련되고,
    상기 가이드 레일은,
    상기 전기차의 서로 방향을 달리하여 배치되는 제1 가이드 레일과 제2 가이드 레일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가이드 레일은 상기 전기차를 충전하기 위해 구획된 주차 구역별로 주차된 전기차의 배열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2 가이드 레일은 각각의 주차 구역에 맞추어서 간격을 두고 제1 가이드 레일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복수로 마련되며,
    상기 공중 이송부는 상기 그랩부와 상기 정렬부를 제어하고,
    상기 공중 이송부는 충전을 위해 주차한 상기 전기차의 주차 위치에 접근하는 제1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제1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공중 이송부는 상기 제1 동작 수행후 상기 제1 방향과 직교 방향인 제2 방향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전기차에 대면되는 제2 동작을 수행하며,
    상기 제2 동작후, 상기 공중 이송부는 상기 정렬부를 제어하여 상기 그랩부가 거치된 충전 건을 클램핑하는 제3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제3 동작후 상기 공중 이송부는 상기 충전 건을 클램핑한 상기 그랩부를 상기 전기차의 커넥터에 접속하는 제4 동작을 수행하며,
    상기 전기차는 복수로 주차되고,
    상기 공중 이송부에 의해 상기 그랩부를 움직여서 상기 충전 건을 통해 복수의 상기 전기차중 제1 전기차에 충전을 수행하면,
    상기 공중 이송부는 제2 전기차에 충전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제1 전기차의 충전시 이동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역 이동하고,
    상기 전기차는 주차 구역별로 주차되어서 복수로 대기되고,
    상기 주차 구역에는 소정 높이의 천장부가 형성되며,
    상기 천장부에는 상기 가이드 레일이 마련되고,
    상기 전기차의 주차 위치에 접근하는 방향을 제1 방향, 상기 제1 방향과 직교 방향이고 상기 충전 건을 클램핑하기 위해 이동하는 방향을 제2 방향이라고 정의할 때,
    상기 천장부의 내부에는 상기 제1 방향과 직교 방향의 제2 방향으로 이동하는 상기 공중 이송부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공중 이송부는 복수의 상기 전기차에 대하여 상기 제1 방향과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순차적으로 충전을 수행하며,
    상기 천장부의 일측에는 전기차가 주차 위치에 정확히 주차되었는지 여부를 파악하여 알려주고, 충전중 무단 진입 여부에 대한 정보를 사전 진단하여 알려주는 감시부가 마련되고,
    상기 감시부는,
    전기차의 주차 구역에 올바르게 주차했는지 여부, 또는 무단 진입 여부의 돌발 상황을 인식하기 위한 촬영 수단,
    상기 주차 구역의 현재 상태를 전기차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오토 핸들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건을 거치하기 위한 키오스크가 마련되고,
    상기 키오스크는 단수 또는 복수로 마련되며,
    상기 공중 이송부는 1대로 운영되고,
    상기 전기차는 복수가 주차되며,
    상기 전기차의 충전시, 상기 공중 이송부에 의해 상기 정렬부를 움직여서 상기 그랩부가 상기 키오스크에 거치된 충전 건을 클램핑한 다음, 복수의 상기 전기차에 순차적으로 충전을 수행하는 오토 핸들 장치.
  5. 삭제
  6. 삭제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공중 이송부는 상기 제1 방향에서 제2 방향으로 전환하면, 전기차의 충전을 위해 복수의 상기 전기차의 사이에서 이동하는 오토 핸들 장치.
KR1020210077276A 2021-06-15 2021-06-15 공중 이송부를 구비한 오토 핸들 장치 KR1026498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7276A KR102649841B1 (ko) 2021-06-15 2021-06-15 공중 이송부를 구비한 오토 핸들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7276A KR102649841B1 (ko) 2021-06-15 2021-06-15 공중 이송부를 구비한 오토 핸들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7931A KR20220167931A (ko) 2022-12-22
KR102649841B1 true KR102649841B1 (ko) 2024-03-21

Family

ID=845782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7276A KR102649841B1 (ko) 2021-06-15 2021-06-15 공중 이송부를 구비한 오토 핸들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984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0797B1 (ko) 2018-03-08 2018-05-25 (주)모던텍 오토 핸들 장치
JP2019165544A (ja) * 2018-03-19 2019-09-26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外部補給装置及び車両管理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1965A (ko) * 2016-10-17 2018-04-25 (주)모던텍 차량 충전 장치
KR20190100893A (ko) * 2019-08-08 2019-08-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봇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0797B1 (ko) 2018-03-08 2018-05-25 (주)모던텍 오토 핸들 장치
JP2019165544A (ja) * 2018-03-19 2019-09-26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外部補給装置及び車両管理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7931A (ko) 2022-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90180B2 (en) Automatic handle device
CN110014995B (zh) 电动汽车充电站电力输送系统
CN107399302B (zh) 充换电站及换电方法
JP6024106B2 (ja) 移載装置及び移動車両
US20110106294A1 (en) Automatic battery exchange system for mobile vehicles
CN111433073A (zh) 用于对电动车充电的方法和移动式充电站
CA2781543C (en) Electric bus battery exchange station
CN103534118A (zh) 电动汽车的蓄电池组构造
JP2011182608A (ja) 電気自動車
JP2017051095A (ja) 充電スタンド、車載器及び電気自動車
JP5754722B2 (ja) 機械式駐車装置
US11541771B2 (en) Power receiving and feeding apparatus
EP3517353A1 (en) Method of charging electric autonomous moving body
CN109343530A (zh) 一种agv搬运机器人
JP2000092622A (ja) 電動車両用充電装置
JP2020191732A (ja) 充電システム
CN110461692B (zh) 用于在电驱动的机动车的装配期间运送该机动车的方法和车辆
JP2013062978A (ja) 超急速充電対応電気自動車、及び、そのための超急速充電用ケーブルの支持構造
KR102649841B1 (ko) 공중 이송부를 구비한 오토 핸들 장치
EP0947376A1 (en) Composite electric vehicle system with removable power source
KR102573464B1 (ko) 이송부가 구비된 오토 핸들 장치
KR102572833B1 (ko) 취부 브래킷을 가지는 충전건이 구비된 오토 핸들 장치
CN115489490A (zh) 一种重卡换电站
CN113119769B (zh) 基于两机协作式的电动汽车自动充电机器人及充电方法
CN112498162B (zh) 可充电车辆及车辆充电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