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9809B1 - 로켓 모타용 점화모듈 분리형 전자식 안전점화장치 - Google Patents

로켓 모타용 점화모듈 분리형 전자식 안전점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9809B1
KR102649809B1 KR1020230183330A KR20230183330A KR102649809B1 KR 102649809 B1 KR102649809 B1 KR 102649809B1 KR 1020230183330 A KR1020230183330 A KR 1020230183330A KR 20230183330 A KR20230183330 A KR 20230183330A KR 102649809 B1 KR102649809 B1 KR 1026498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gnition
housing
module
safety
igni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833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주영
장승교
Original Assignee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방과학연구소 filed Critical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to KR10202301833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98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98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9809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KJET-PROPULSION PLANTS
    • F02K9/00Rocket-engine plants, i.e. plants carrying both fuel and oxidant therefor; Control thereof
    • F02K9/95Rocket-engine plants, i.e. plants carrying both fuel and oxidant therefor; Control thereof characterised by starting or ignition means or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KJET-PROPULSION PLANTS
    • F02K9/00Rocket-engine plants, i.e. plants carrying both fuel and oxidant therefor; Control thereof
    • F02K9/08Rocket-engine plants, i.e. plants carrying both fuel and oxidant therefor; Control thereof using solid propellants
    • F02K9/32Constructional parts; 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K9/38Safety devices, e.g. to prevent accidental ign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gnition Installation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체 추진기관의 점화 신뢰도를 높이고 우발적 점화를 방지하는 안전점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설치공간이 제한된 로켓 모타의 안전한 점화를 위한 점화모듈 분리형 전자식 안전점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로켓 모타용 점화모듈 분리형 전자식 안전점화장치{Electronic Safety Ignition Device with Detachable Ignition Module for Rocket Motor}
본 발명은 고체 추진기관의 점화 신뢰도를 높이고 우발적 점화를 방지하는 안전점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설치공간이 제한된 로켓 모타의 안전한 점화를 위한 점화모듈 분리형 전자식 안전점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고체 추진제를 사용하는 고체 추진기관은 제작 편의성, 장기 보관 용이성, 신속 발사성 등으로 인해 유도미사일과 민간 우주발사체 분야에서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 고체 추진기관은 추진제 연료와 산화제를 혼합하여 연소관에 충전된 형태로 제작한 후 이동/보관/활용되므로 취급상의 높은 주의가 필요하다. 폭발위험이 있는 고에너지 물질이 충전되어 있으므로 우발 점화 시 막대한 재산과 인명 피해를 수반한다. 이러한 우발점화를 방지하기 위해 높은 작동 신뢰도와 우발 점화 방지 기능을 갖는 안전점화장치를 적용한다.
그러나 최근 고체 추진기관이 소형화되면서 안전점화장치 적용이 어려워지고 있다. 안전점화장치는 일반적으로 추진기관 연소관 전방에 설치된다. 유도미사일이 소형화되면 연소관 전방에 안전점화장치를 설치할 공간이 부족해진다. 더불어 두 개 이상의 추진제가 결합된 다중펄스 구조의 추진기관에서는 추진기관의 복잡성으로 인해 안전점화장치 설치 공간을 확보하기가 더욱 어렵다. 또한 미사일의 경량화로 인해 안전점화장치의 무게 감소도 요구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2454541호(2022.10.17. 등록)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2478725호(2022.12.19. 등록)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도넛 형태의 점화기를 안정적으로 점화하기 위한 두 개의 소형화된 점화모듈과, 이를 각각을 독립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하나의 장전모듈을 포함하여 설치공간을 적게 차지하는, 로켓 모타용 점화모듈 분리형 전자식 안전점화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점화장치는, 도넛 형태의 로켓 모타용 점화기의 일측을 감싸도록 결합되는 링 형태의 하부하우징과, 상기 하부하우징의 반경 방향 내측에서 상방으로 연장된 원통형의 상부하우징을 포함하는 추진기관에 설치되어 상기 점화기를 점화시키기 위한 안전점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안전점화장치는, 상기 하부하우징의 상면에 결합되며, 하단이 상기 점화기에 인접하여 설치되어 점화 출력을 상기 점화기에 전달하는 점화모듈; 및 상기 상부하우징에 구비되며, 외부의 전기신호를 받아 처리하며, 작동신호에 대해 상기 점화모듈은 제어하도록 구성된 장전모듈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점화모듈은, 복수 개가 상기 하부하우징의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며, 상기 장전모듈은, 상기 상부하우징의 외주면에 결합되되, 상기 복수 개의 점화모듈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장전모듈과 복수의 점화모듈은 일단이 장전모듈과 연결되고, 타단이 복수 개로 분기되어 각각의 점화모듈과 연결된 케이블을 통해 신호를 전달한다.
또한, 상기 장전모듈은, 외부 전원과 제어신호를 인가받아 장전부에 제어신호를 인가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신호에 따라 점화모듈에 고전압을 충전 및 방전되도록 신호를 제공하는 장전부를 포함하는 안전회로카드; 및 상기 안전회로카드가 내설되는 장전모듈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안전회로카드는 복수의 점화모듈 각각의 제어를 위한 복수의 안전회로카드가 별도로 구비된다.
또한, 상기 복수의 안전회로카드는 각각 독립적으로 제어된다.
또한, 상기 장전모듈에 장전신호 인가 시 상기 제어부는, 충전신호가 유지되는 상태에서 점화신호가 일정 시간 이상 인가되는 경우 정상적인 점화신호로 판단하여 상기 점화모듈에 점화명령을 인가한다.
또한, 상기 안전회로카드는 상하 길이 방향을 따라 수직으로 배치되며, 복수의 안전회로카드는, 반경 방향으로 이격 배치된다.
또한, 상기 장전모듈은, 상기 장전모듈의 폭 방향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케이블의 일단이 체결되어 점화모듈과 연결되는 제1 커넥터와, 폭 방향 타측에 구비되며, 외부기기와 연결되도록 외부 신호케이블이 체결되는 제2 커넥터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점화모듈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점화모듈 하우징; 상기 점화모듈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며, 장전신호 인가 시 고전압이 충전되고, 점화명령 인가 시 고전압 충전에너지를 격벽착화기로 공급하는 점화 회로카드; 및 상기 하우징의 하단에 구비되되 상기 점화기에 인접 배치되고, 상기 고전압 충전에너지를 공급받아 상기 점화기에 점화출력을 전달하는, 격벽착화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격벽착화기는, 폭 방향을 따라 형성된 격벽; 상기 격벽의 일측에 구비되며 여폭약을 포함하는 여폭약부; 및 상기 격벽의 타측에 구비되며 수폭약을 포함하는 수폭약부를 포함하고, 상기 여폭약은 상기 고전압 충전에너지에 의해 기폭되며, 상기 여폭약 기폭 시 발생하는 충격파가 상기 격벽을 통과하여 상기 수폭약에 전달되어 수폭약의 기폭에 의해 상기 점화기에 점화 출력을 전달한다.
또한, 상기 여폭약은, 상기 격벽의 일측에 구비되는 고전압 착화기이고, 상기 고전압 착화기는, 상기 점화 회로카드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또한, 상기 격벽착화기는, 상기 점화기에 근접 배치되도록 상기 수폭약과 상기 점화기 사이에 구비되며, 화약이 수용되는 출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화약은 상기 수폭약의 기폭에 의해 점화되며, 상기 화약 점화 시 발생되는 고온 고압의 가스가 상기 점화기를 동작시킨다.
또한, 상기 점화모듈하우징은, 상기 격벽착화기가 구비되는 착화하우징; 상기 착화하우징의 상측에 결합되며, 점화 회로카드가 수용되는 몸체하우징; 및 상기 장전모듈과 연결을 위한 케이블이 체결되는 점화커넥터가 구비되며, 상기 몸체하우징의 상측에 결합되는 커버하우징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착화 하우징에는 고전압 착화기가 조립되며 볼트 체결을 통해 착화 하우징의 상측에 고정되고, 상기 착화하우징의 하측 둘레에는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점화플랜지가 형성되고, 점화플랜지 상에는 제2 관통홀이 형성되어 하부하우징의 상판에 볼트 체결된다.
또한, 상기 착화하우징, 몸체하우징 및 커버하우징은, 상기 격벽착화기가 착화하우징에 조립된 상태에서 용접을 통해 조립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로켓 모타용 점화모듈 분리형 전자식 안전점화장치는, 복수의 점화모듈과 장전 모듈을 분리 설치함에 따라 설치 공간이 제한된 소형 로켓 모터에도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점화모듈의 격벽착화기가 동착하여도 장전모듈은 손상되지 않기 때문에 장전모듈의 재사용에 따는 비용 절감의 효과가 있다.
또한, 하나의 점화모듈의 점화가 실패하더라도 다른 점화모듈이 독립적으로 작동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점화신뢰도를 향상시킨 효과가 있다.
도 1은 로켓 모타용 점화기를 포함하는 추진기관에 설치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점화장치의 설치 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추진기관에 설치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점화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전모듈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를 제거한 장전모듈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화모듈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부하우징 및 중앙하우징을 제거한 점화모듈의 평면도
이하,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는, 로켓 모타용 점화기(10)를 포함하는 추진기관(100)에 설치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점화장치(1000)의 설치 예를 나타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화장치(1000)는 설치 공간이 제한되면서 도넛(toroidal) 형태의 로켓 모타용 점화기(10)를 안정적으로 점화하기 위해 구성된다. 위 로켓 모타용 점화기(10)를 안정적으로 점화하기 위해서는 복수의 점화출력이 요구되고, 복수의 점화출력을 위해서는 소형화된 이중 출력 안전점화장치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안전점화장치(1000)는, 점화기(10)의 상측을 감싸는 원판 형 상판(121)과, 상판의 반경방향 외측 둘레에서 하방으로 연장된 원통형 측판(122)으로 구성된 하부하우징(120)과, 상판의 반경방향 내측 둘레에서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원통형 상부하우징(110)을 포함하는 추진기관(100)에 설치될 수 있다.
안전점화장치(1000)는, 하부하우징(120)의 상판의 상면에 결합되며, 하단이 추진기관 점화기(10)에 인접하게 설치되어 점화 출력을 점화기(10)에 전달하며, 높은 안전성을 지닌 점화회로와 고전압 착화기가 포함된 한 쌍의 점화모듈(200)과, 상부하우징(110)의 측면에 결합되며, 외부의 전기신호를 받아 처리하며, 정상적인 작동신호에 대해 점화모듈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장전모듈(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의 안전점화장치(1000)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에는, 추진기관(100)에 설치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점화장치(1000)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점화모듈(200-1)(200-2)은 상부하우징(110)의 원주 방향을 따라 대향 배치되며 하단이 하부하우징(120)의 상판(121)의 상면에 결합 고정될 수 있다. 한 쌍의 점화모듈(200-1)(200-2)은 원주상 끝단에 위치하도록 이격되도록 배치하여, 도넛 형태의 로켓 모타용 점화기(10)가 동시에 균일하게 점화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한 쌍의 점화모듈(200-1)(200-2) 중 어느 하나의 점화모듈이 점화 실패(fail)하더라도 다른 하나의 점화모듈의 작동으로 점화기(10)가 점화되도록 이중화(redundancy) 설계되었다.
장전모듈(300)은, 상부하우징(110)의 외주면에 결합되되, 한 쌍의 점화모듈(200-1)(200-2)의 사이에 이격 설치될 수 있다. 장전모듈(300)과 한 쌍의 점화모듈(200-1)(200-2)은 케이블(900)로 연결되되, 일단은 장전모듈(300)과 연결되고, 타단은 두 개로 분기되어 각각 제1 점화모듈(200-1)과, 제2 점화모듈(200-2)에 연결될 수 있다.
위와 같은 소형화된 장전모듈(300)과 한 쌍의 분리된 점화모듈(200-1)(200-2)에 의해 협소한 공간에서도 설치가 가능하다. 또한 점화모듈 내에는 정상적인 점화신호가 장전모듈(300)로부터 인가되어야 점화출력이 발생하는 안전회로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착화기만이 적용된 종래의 안전점화장치와 달리 안전 기능이 확보된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전모듈(300)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315)를 제거한 장전모듈(300)의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장전모듈은 안전회로카드(340)와, 안전회로카드(340)가 내설되는 공간이 형성되며 일측이 개방된 장전모듈 하우징(310)과, 장전모듈 하우징(310)의 개방면을 밀폐하는 장전모듈 커버(315)를 포함한다. 안전회로카드(340)는 제어부와 장전부로 나뉜다. 상기 제어부는, 외부의 전원과 제어신호를 인가받아 정상신호를 판별하여 장전부에 제어신호를 인가한다. 상기 장전부는 제어부의 신호에 따라 점화모듈 내의 점화회로에 고전압이 충전되고 방전되도록 신호를 제공한다. 각 점화모듈(200-1)(200-2)을 제어하는 안전 회로카드를 각각 별도로 설치한다. 즉 안전회로카드(340)는, 제1 점화모듈(200-1)의 제어를 위한 제1 안전회로카드(340-1)와 제2 점화모듈(200-2)의 제어를 위한 제2 안전회로카드(340-2)로 구성될 수 있다. 두 개의 점화모듈이 적용된 본 발명에서는 두 개의 안전 회로카드가 장전모듈 하우징(310)에 설치된다. 제1 및 제2 안전 회로카드(340-1)(340-2)는 독립적으로 제어되고 작동되므로 두 개의 점화모듈(200-1)(200-2)이 서로 간의 영향을 받지 않아 높은 신뢰성을 지니도록 구성된다.
한편, 장전모듈(300)은, 외부로부터 28V의 전원이 공급된 후 장전신호가 인가되면 제어부는 장전부를 통해 점화모듈에 충전신호를 송출하여 점화모듈내의 고전압 커패시터에 고전압이 충전되도록 한다. 충전신호가 유지되어 있는 상태에서 점화신호가 일정 시간 이상 인가된 경우 정상적인 점화신호로 판단하여 점화모듈에 점화명령을 인가한다. 이와 같이 정상적인 신호 크기와 순서, 시간이 지켜진 경우에만 고전압 충전과 점화명령이 발생되므로 잘못된 신호에 따른 우발점화를 방지할 수 있다. 장전모듈 하우징(310) 내부에 안전 회로카드는 설치 공간을 최소화하기 위해 상하 길이 방향을 따라 수직으로 배치된다. 제1 및 제2 안전 회로카드(340-1)(340-2)는 안전점화장치(1000)의 반경 방향을 따라 이격 설치될 수 있다.
장전모듈 하우징(310)은 타단둘레에서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장전모듈 플랜지(350)를 포함한다. 플랜지(350) 상에는 제1 관통홀(355)이 형성되어 상부하우징(110)의 측면에 나사 또는 볼트 조립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장전모듈 하우징(310)의 폭 방향 일측에는 제1 커넥터(301)가 구비되고, 타측에는 제2 커넥터(302)가 구비된다. 제1 커넥터(301)에는 케이블(900)의 일단이 체결되어 점화모듈(200)과 연결되고, 제2 커넥터(302)에는 외부기기와 연결되도록 외부 신호케이블(미도시)이 체결될 수 있다. 이때 제1 및 제2 커넥터(301)(302)는 장전모듈 하우징(310)의 크기와 무게를 최소화하기 위해 Micro D-sub 커넥터를 적용할 수 있다.
장전모듈 하우징(310)과 장전모듈 커버(315)의 결합부에는 실장과 EMI 영향 감소를 위해 실링부재(320)가 구비될 수 있고, 장전모듈 하우징(310)의 결합면에는 실링부재(320)가 삽입되는 삽입홈(311)이 형성될 수 있다. 장전모듈 하우징(310)과 장전모듈 커버(315)는 볼트 체결될 수 있다.
장전모듈 하우징(310) 내부에는 제1 커넥터(301)와 안전회로카드(340)를 연결하는 제1 연결기판(303) 및 제2 커넥터(302)와 안전회로카드(340)를 연결하는 제2 연결기판(304)을 더 포함한다.
도 5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화모듈(200)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6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하우징(230) 및 몸체하우징(220)을 제거한 점화모듈(200)의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점화모듈(200)은 착화하우징(210)과, 착화하우징(210)의 상측에 결합되며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원통형의 몸체하우징(220)과, 몸체하우징(220)의 상측 개방면을 밀폐하는 커버하우징(230)을 포함한다. 몸체하우징(220)의 내부에는, 점화 회로카드(240)가 내설되며, 점화회로카드(240)는 하단이 착화하우징(210)의 상면에 고정 결합된다.
장전모듈(300)로부터 장전신호가 인가되면 점화회로카드(240)에 실장된 고전압 커패시터에 1000V 이상의 전압이 충전되며, 충전 명령이 유지되는 동안에는 고전압이 지속된다. 이후 장전모듈(300)로부터 점화명령이 인가되면 고전압 스위치가 작동되고, 고전압 커패시터의 충전에너지가 착화하우징(210)에 구비된 격벽착화기로 공급된다. 점화 회로카드(240)는 공간 확보를 위해 단일 PCB를 사용하며, PCB 양면에 회로부품이 배치될 수 있다.
착화하우징(210)에는, 격벽착화기(216, 250, 255)가 구비되며, 격벽착화기는 폭방향을 따라 형성된 격벽(216)과 격벽(216)을 사이에 두고, 격벽(216)의 일측(도면상의 상측)에 구비되는 여폭약부(250)(Donor 화약)와 격벽(216)의 타측(도면상의 하측)에 구비되는 수폭약부(255)(Acceptor 화약)를 포함한다.
따라서 격벽착화기는, 여폭약부(250)의 여폭약 기폭 시 발생하는 충격파가 격벽(216)을 통과하여 수폭약부(255)에 전달되어 수폭약 및 화약이 기폭 되도록 구성된다. 여폭약부(250)와 수폭약부(255)는 착화하우징(210)과, 격벽(216)을 통해 외부와 완전하게 차단되므로 높은 기밀성과 함께, 고체 추진기관의 연소 압력과 연소열이 연소관 전방으로 누출되는 것을 차단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여폭약부(250)로써 격벽(216)의 일측에 구비되는 고전압 착화기(251)를 포함하고, 수폭약부(255)로써 격벽(216)의 타측에 구비되는 수폭약 및 화약을 포함한다.
고전압 착화기(250)는 점화 회로카드(240)에서 방출되는 고전압 신호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 점화 회로카드(240)의 타측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장전모듈(300)의 점화신호에 의해 고전압 커패시터에 충전된 고전압이 고전압 착화기(251)에 인가되면 고전압 착화기(251)가 기폭되며 충격파가 발생한다. 격벽착화기의 격벽(216)을 통과한 충격파는 격벽(216)의 타측에 형성된 수폭약 저장부(217)에 저장된 수폭약에 도달하여 수폭약을 기폭 시킨다.
다음으로 격벽착화기의 타측 출력부(218)에 충전되어 있는 화약(pyrotechnic chrage)이 수폭약에 의해 점화되면 고온 고압의 가스가 격벽착화기로부터 방출되어 인접한 추진기관 점화기를 동작시킨다.
커버하우징(230)에는, 장전모듈(300)과 연결을 위한 케이블(900)이 체결되는 점화커넥터(270)가 구비된다. 점화커넥터(270)는 점화모듈(200)의 크기를 줄이기 위해 Micro D-sub 커넥터가 적용될 수 있다. 특히 커넥터 방향을 상하 길이 방향이 아닌 반경 방향으로 구성하여 점화모듈(200) 조립 시 길이 방향 공간 소요를 최소화하도록 구성된다.
몸체하우징(220)은, 용접이 가능하고 부피가 최소화 되도록 원통형으로 구성된다.
착화 하우징(210)에는 고전압 착화기(251)가 조립되며 볼트(260) 체결을 통해 착화 하우징(210)의 상측에 고정된다. 착화하우징(210)의 하측 둘레에는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점화플랜지(211)가 형성되고, 점화플랜지(211) 상에는 제2 관통홀(215)이 형성되어 하부하우징(120)의 상판(121)에 볼트 체결되도록 구성된다.
위와 같은 점화플랜지(211) 및 제2 관통홀(215)을 이용한 볼트 체결 구조가 적용된 본 발명의 점화모듈(200)은, 조립 후 점화커넥터(270)의 방향이 항상 일정하므로 점화커넥터의 방향이 상부하우징 측을 향하도록 조립됨에 따른 상부하우징(110)과의 간섭으로 인해 케이블 연결이 불가한 상황을 방지할 수 있다.
착화하우징(210), 몸체하우징(220) 및 커버하우징(230)은 격벽착화기가 착화하우징(210)에 조립된 상태에서 용접을 통해 최종 조립될 수 있다. 따라서 높은 밀폐성과 외부 환경으로부터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하여 기술적 사상을 해석해서는 안 된다.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업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된다.
10 : 로켓 모타용 점화기
1000 : 안전점화장치
100 : 하우징
110 : 상부하우징
120 : 하부하우징
200 : 점화모듈
210 : 착화하우징
211 : 점화플랜지
216 : 격벽
217 : 수폭약 저장부
218 : 출력부
220 : 몸체하우징
230 : 커버하우징
240 : 점화회로카드
250 : 여폭약부
251 : 고전압 착화기
255 : 수폭약부
260 : 볼트
270 : 점화커넥터
300 : 장전모듈
301 : 제1 커넥터
302 : 제2 커넥터
303 : 제1 연결기판
304 : 제2 연결기판
310 : 장전모듈 하우징
315 : 장전모듈 커버
320 ; 실링부재
340 : 안전회로카드
350 : 장전모듈 플랜지
900 : 케이블

Claims (14)

  1. 도넛 형태의 로켓 모타용 점화기의 일측을 감싸도록 결합되는 링 형태의 하부하우징과, 상기 하부하우징의 반경 방향 내측에서 상방으로 연장된 원통형의 상부하우징을 포함하는 추진기관에 설치되어 상기 점화기를 점화시키기 위한 안전점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안전점화장치는,
    상기 하부하우징의 상면에 결합되며, 하단이 상기 점화기에 인접하여 설치되어 점화 출력을 상기 점화기에 전달하는 점화모듈; 및
    상기 상부하우징에 구비되며, 외부의 전기신호를 받아 처리하며, 작동신호에 대해 상기 점화모듈은 제어하도록 구성된 장전모듈을 포함하는, 안전점화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점화모듈은,
    복수 개가 상기 하부하우징의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며,
    상기 장전모듈은,
    상기 상부하우징의 외주면에 결합되되, 상기 복수 개의 점화모듈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장전모듈과 복수의 점화모듈은 일단이 장전모듈과 연결되고, 타단이 복수 개로 분기되어 각각의 점화모듈과 연결된 케이블을 통해 신호를 전달하는, 안전점화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장전모듈은,
    외부 전원과 제어신호를 인가받아 장전부에 제어신호를 인가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신호에 따라 점화모듈에 고전압을 충전 및 방전되도록 신호를 제공하는 장전부를 포함하는 안전회로카드; 및
    상기 안전회로카드가 내설되는 장전모듈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안전회로카드는 복수의 점화모듈 각각의 제어를 위한 복수의 안전회로카드가 별도로 구비되는, 안전점화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안전회로카드는 각각 독립적으로 제어되는, 안전점화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장전모듈에 장전신호 인가 시
    상기 제어부는, 충전신호가 유지되는 상태에서 점화신호가 일정 시간 이상 인가되는 경우 정상적인 점화신호로 판단하여 상기 점화모듈에 점화명령을 인가하는, 안전점화장치.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회로카드는 상하 길이 방향을 따라 수직으로 배치되며, 복수의 안전회로카드는, 반경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안전점화장치.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장전모듈은,
    상기 장전모듈의 폭 방향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케이블의 일단이 체결되어 점화모듈과 연결되는 제1 커넥터와, 폭 방향 타측에 구비되며, 외부기기와 연결되도록 외부 신호케이블이 체결되는 제2 커넥터를 더 포함하는, 안전점화장치.
  8.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점화모듈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점화모듈 하우징; 및
    상기 점화모듈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며, 장전신호 인가 시 고전압이 충전되고, 점화명령 인가 시 고전압 충전에너지를 격벽착화기로 공급하는 점화 회로카드; 및
    상기 하우징의 하단에 구비되되 상기 점화기에 인접 배치되고, 상기 고전압 충전에너지를 공급받아 상기 점화기에 점화출력을 전달하는, 격벽착화기;
    를 포함하는, 안전점화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착화기는,
    폭 방향을 따라 형성된 격벽;
    상기 격벽의 일측에 구비되며 여폭약을 포함하는 여폭약부; 및
    상기 격벽의 타측에 구비되며 수폭약을 포함하는 수폭약부를 포함하고,
    상기 여폭약은 상기 고전압 충전에너지에 의해 기폭되며, 상기 여폭약 기폭 시 발생하는 충격파가 상기 격벽을 통과하여 상기 수폭약에 전달되어 수폭약의 기폭에 의해 상기 점화기에 점화 출력을 전달하는, 안전점화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여폭약은,
    상기 격벽의 일측에 구비되는 고전압 착화기이고,
    상기 고전압 착화기는, 상기 점화 회로카드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안전점화장치.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착화기는,
    상기 점화기에 근접 배치되도록 상기 수폭약과 상기 점화기 사이에 구비되며, 화약이 수용되는 출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화약은 상기 수폭약의 기폭에 의해 점화되며, 상기 화약 점화 시 발생되는 고온 고압의 가스가 상기 점화기를 동작시키는, 안전점화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점화모듈하우징은,
    상기 격벽착화기가 구비되는 착화하우징;
    상기 착화하우징의 상측에 결합되며, 점화 회로카드가 수용되는 몸체하우징; 및
    상기 장전모듈과 연결을 위한 케이블이 체결되는 점화커넥터가 구비되며, 상기 몸체하우징의 상측에 결합되는 커버하우징;
    을 포함하는, 안전점화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착화 하우징에는 고전압 착화기가 조립되며 볼트 체결을 통해 착화 하우징의 상측에 고정되고,
    상기 착화하우징의 하측 둘레에는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점화플랜지가 형성되고, 점화플랜지 상에는 제2 관통홀이 형성되어 하부하우징의 상판에 볼트 체결되는, 안전점화장치.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착화하우징, 몸체하우징 및 커버하우징은, 상기 격벽착화기가 착화하우징에 조립된 상태에서 용접을 통해 조립되는, 안전점화장치.
KR1020230183330A 2023-12-15 2023-12-15 로켓 모타용 점화모듈 분리형 전자식 안전점화장치 KR1026498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83330A KR102649809B1 (ko) 2023-12-15 2023-12-15 로켓 모타용 점화모듈 분리형 전자식 안전점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83330A KR102649809B1 (ko) 2023-12-15 2023-12-15 로켓 모타용 점화모듈 분리형 전자식 안전점화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9809B1 true KR102649809B1 (ko) 2024-03-21

Family

ID=904724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83330A KR102649809B1 (ko) 2023-12-15 2023-12-15 로켓 모타용 점화모듈 분리형 전자식 안전점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980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7959B1 (ko) * 2016-08-23 2017-02-17 국방과학연구소 점화안전장치 및 이를 이용한 추진 기관의 점화 방법
KR102454541B1 (ko) 2022-07-21 2022-10-17 국방과학연구소 고고도 듀얼펄스 모타용 안전점화장치
KR102478725B1 (ko) 2022-06-17 2022-12-19 국방과학연구소 듀얼펄스 모타용 컴팩트 안전점화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7959B1 (ko) * 2016-08-23 2017-02-17 국방과학연구소 점화안전장치 및 이를 이용한 추진 기관의 점화 방법
KR102478725B1 (ko) 2022-06-17 2022-12-19 국방과학연구소 듀얼펄스 모타용 컴팩트 안전점화장치
KR102454541B1 (ko) 2022-07-21 2022-10-17 국방과학연구소 고고도 듀얼펄스 모타용 안전점화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61362B2 (en) Energetic material initiation device utilizing exploding foil initiated ignition system with secondary explosive material
US8863665B2 (en) Connectors for separable firing unit assemblies, separable firing unit assemblies, and related methods
KR940004650B1 (ko) 전자 모듈 안전 해제 장치 및 방법
KR101707959B1 (ko) 점화안전장치 및 이를 이용한 추진 기관의 점화 방법
EP2893290B1 (en) High voltage firing unit, ordnance system, and method of operating same
US11499505B2 (en) Multi-pulse rocket motor with flight termination destruct charge
WO1988005901A1 (en) Enabling device for a gas generator of a forced dispersion munitions dispenser
US10378482B2 (en) Ignition safety device for rocket motor
US11952968B2 (en) Safety ignition device for high altitude dual pulse motor including the same
US5661970A (en) Thrust-generating device
US11952966B2 (en) Compact safety ignition device for dual pulse motor
KR102649809B1 (ko) 로켓 모타용 점화모듈 분리형 전자식 안전점화장치
KR101710455B1 (ko) 전자기계식 점화안전장치
JP4518425B2 (ja) 速射型火器
US20180299235A1 (en) Initiator for rocket motor
US20110308414A1 (en) Electronic safe, arm, and fire device configured to reject signals below a predetermined 'all-fire' voltage
RU2675983C1 (ru) Двигатель кумулятивно-фугасного заряда
US8122829B2 (en) Safety lighter for pyrotechnic device
KR100279050B1 (ko) 격벽착화기
Cooper Electro-explosive devices
CN218524032U (zh) 一种液体火箭用安控自毁装置及液体火箭
RU2817053C1 (ru) Головная часть для дистанционного минирования местности
RU2226666C2 (ru) Кассета для дистанционной установки мин
RU2187683C2 (ru) Двухрежимный ракетный двигатель твердого топлива
JP2009030529A (ja) 安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