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4541B1 - 고고도 듀얼펄스 모타용 안전점화장치 - Google Patents

고고도 듀얼펄스 모타용 안전점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4541B1
KR102454541B1 KR1020220090118A KR20220090118A KR102454541B1 KR 102454541 B1 KR102454541 B1 KR 102454541B1 KR 1020220090118 A KR1020220090118 A KR 1020220090118A KR 20220090118 A KR20220090118 A KR 20220090118A KR 102454541 B1 KR102454541 B1 KR 1024545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gnition
ignition device
primary
safety
igni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01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승교
한두희
권영화
Original Assignee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방과학연구소 filed Critical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to KR10202200901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45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45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4541B1/ko
Priority to US18/223,433 priority patent/US11952968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KJET-PROPULSION PLANTS
    • F02K9/00Rocket-engine plants, i.e. plants carrying both fuel and oxidant therefor; Control thereof
    • F02K9/95Rocket-engine plants, i.e. plants carrying both fuel and oxidant therefor; Control thereof characterised by starting or ignition means or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KJET-PROPULSION PLANTS
    • F02K9/00Rocket-engine plants, i.e. plants carrying both fuel and oxidant therefor; Control thereof
    • F02K9/08Rocket-engine plants, i.e. plants carrying both fuel and oxidant therefor; Control thereof using solid propellants
    • F02K9/28Rocket-engine plants, i.e. plants carrying both fuel and oxidant therefor; Control thereof using solid propellants having two or more propellant charges with the propulsion gases exhausting through a common nozz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KJET-PROPULSION PLANTS
    • F02K9/00Rocket-engine plants, i.e. plants carrying both fuel and oxidant therefor; Control thereof
    • F02K9/08Rocket-engine plants, i.e. plants carrying both fuel and oxidant therefor; Control thereof using solid propellants
    • F02K9/32Constructional parts; 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K9/38Safety devices, e.g. to prevent accidental igni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CAMMUNITION FUZES; ARMING OR SAFETY MEANS THEREFOR
    • F42C11/00Electric fuz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CAMMUNITION FUZES; ARMING OR SAFETY MEANS THEREFOR
    • F42C11/00Electric fuzes
    • F42C11/06Electric fuzes with time delay by electric circuitr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CAMMUNITION FUZES; ARMING OR SAFETY MEANS THEREFOR
    • F42C15/00Arming-means in fuzes; Safety means for preventing premature detonation of fuzes or charges
    • F42C15/40Arming-means in fuzes; Safety means for preventing premature detonation of fuzes or charges wherein the safety or arming action is effected electrical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CAMMUNITION FUZES; ARMING OR SAFETY MEANS THEREFOR
    • F42C19/00Details of fuzes
    • F42C19/08Primers; Detonators
    • F42C19/0819Primers or igniters for the initiation of rocket motors, i.e. pyrotechnical aspects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CAMMUNITION FUZES; ARMING OR SAFETY MEANS THEREFOR
    • F42C19/00Details of fuzes
    • F42C19/08Primers; Detonators
    • F42C19/12Primers; Detonators electri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CAMMUNITION FUZES; ARMING OR SAFETY MEANS THEREFOR
    • F42C9/00Time fuzes; Combined time and percussion or pressure-actuated fuzes; Fuzes for timed self-destruction of ammunition
    • F42C9/14Double fuzes; Multiple fuz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gnition Installation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고도 듀얼펄스 모타에 적용하는 안전점화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안전점화장치를 연소관 전방에 설치함으로써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면서 점화장치 또는 추진기관의 우발 점화를 방지하고, 점화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으며, 고고도 환경에서도 추진기관 및 점화장치 내부의 기밀을 유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고고도 듀얼펄스 모타용 안전점화장치 {Safety ignition device for high altitude dual pulse motor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고고도 듀얼펄스 모타에 적용하는 안전점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고체 추진제를 이용한 듀얼펄스 모타는 하나의 연소관에 두 개의 추진제 그레인이 얇은 격막을 이용하여 분리되어 있는 형태로 구성되어 있는 로켓추진기관이다.
일반적으로 두 개의 추진제 중 1차 펄스 추진제의 연소는 로켓이 목표물을 향해 비행하도록 하고, 일정시간 후에 연소되는 2차 펄스 추진제는 로켓을 추가로 가속시킨다. 이러한 듀얼펄스 모타는 분리된 2단 로켓을 사용하는 것과 비교하여 공간 활용이 우수하고 단일 연소관과 노즐 등을 사용하므로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그러나 추진제를 점화시키기 위한 점화장치 측면에는 단일 점화장치에 2개의 펄스 모타를 점화시키기 위한 점화기가 각각 별도로 설치되어야 하기 때문에 공간설계에 어려움이 있다. 특히 듀얼펄스 모타의 우발점화를 방지하기 위한 안전점화장치까지 단일 점화장치에 적용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듀얼펄스 모타의 점화장치에 착화기만 장착하고 안전점화장치는 별도의 공간에 설치하여 도폭선(explosive transfer line)을 이용하여 안전점화장치와 착화기를 연결하는 구조를 채택하였다.
일반적으로 분리된 2단 로켓의 로켓추진기관 전방에 조립하는 점화장치는 각각의 연소관 전방 빈공간(port)을 활용하기 때문에 설계와 제작 및 조립에 어려움이 적다.
듀얼펄스 모타의 경우에는 연소관 전방 빈 공간(port)에 1차 펄스 추진제와 2차 펄스 추진제를 위한 점화장치를 하나의 하우징에 연결 설치하여야하기 때문에 공간 설계가 어렵다. 특히 1차 펄스 추진제가 듀얼펄스 모타의 전방으로부터 크게 이격되어 있는 경우에는 1차 펄스 추진제용 점화기에서 발생하는 에너지를 1차 펄스 추진제까지 전달시키는 게 어렵다.
또한 1차 펄스 추진제용 점화기가 동작한 후 일정 시간 후에 2차 펄스 추진제가 연소될 때 1차 펄스 추진제용 점화기 하우징이 2차 추진제의 연소가스에 의한 유동과 열에 노출되므로 파열의 위험성도 내재되어 있다. 이 때 파열된 1차 펄스 추진제용 점화기 하우징은 비산하여 노즐 내열재에 악영향을 줄 수도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기술에서는 점화기 하우징을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설계하여 1차 펄스 추진제 연소 시 점화기 하우징이 용융되도록 하였다. 그러나 1차 펄스 추진제와 1차 펄스 점화기가 이격되어 있는 경우에는 점화기 하우징 용융이 쉽지 않고 또한 균일하게 용융되기도 어렵다.
또한 듀얼펄스 모타에서 2차 펄스 추진제는 연소관 전방에 위치하고 1차 펄스 추진제와 분리하기 위한 격막으로 둘러쌓여 있기 때문에 점화기 설치 공간 확보가 어렵다. 따라서 종래기술에서는 2차 펄스 추진제용 점화제를 추진기관 전방 포트(port)에 조립된 점화장치 하우징 내부에 설치하고 점화장치와 2차 펄스 추진제 사이에 유로를 만들어 점화기 연소 가스가 2차 펄스 추진제에 공급되도록 설계하였다.
상기 문제점들 때문에 종래기술은 듀얼펄스 모타에서 연소관 전방에 안전점화장치를 설치하지 못하고 안전점화장치의 일부분인 착화기만 설치하고 안전점화장치는 다른 곳에 설치한 후 안전점화장치와 착화기를 도폭선(explosive transfer line)을 이용하여 연결한 구조를 채택하였다.
또한 고고도로 발사되는 추진체의 경우 고고도 환경에서는 추진체 내외부의 기압차가 크게 발생하기 때문에 추진체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빠져나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점화장치의 점화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위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는 안전점화장치의 설계가 필요한 실정이다.
미국공개특허 US 5675966 A (1997.10.14.)
본 발명의 목적은 안전점화장치와 착화기, 점화기 등이 하나의 하우징을 통하여 연결할 수 있는 캠팩트 설계를 통해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면서도 점화장치 또는 추진기관의 우발 점화를 방지하고, 고고도 환경에서도 추진기관 내부의 기밀을 유지할 수 있는 고고도 듀얼펄스 모타용 안전점화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고 연소관의 전방에 결합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장착되며, 상기 연소관 내부에 충전된 제1차추진제와 제2차추진제에 각각 착화신호를 발생시키는 제1차회로부와 제2차회로부; 상기 하우징 내부에 장착되며, 상기 제2차회로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비되는 제2차격벽착화기; 상기 제2차격벽착화기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2차격벽착화기 하부에 형성된 착화유로로 상기 제2차격벽착화기와 연결되어 상기 제2차추진제를 점화시키는 제2차점화부; 및 상기 하우징 일단에 장착되어 상기 제1차회로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연소관 내부에 수용되는 제1차점화장치; 상기 제1차점화장치의 하단에 장착되고 상기 제1차추진제를 점화시키는 제1차점화부; 를 포함하는, 안전점화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고고도 듀얼펄스 모타용 안전점화장치는 안전점화장치를 연소관 전방에 설치함으로써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면서 점화장치 또는 추진기관의 우발 점화를 방지하고, 점화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으며, 고고도 환경에서도 추진기관 내부의 기밀을 유지하면서 점화장치의 성능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전점화장치를 확대한 측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추진기관의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안전점화장치의 정면도이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전점화장치(100)는, 도 1을 참조하면, 하우징(110), 제1차회로부(120), 제2차회로부(130), 제2격벽착화기(140), 제2차점화부(170), 제1점화장치(150), 제1차점화부(180)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하우징(110)은 안전점화장치(100)의 외관으로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여 제1차회로부(120), 제2차회로부(130), 제2격벽착화기(140), 제2차점화부(170) 등이 상기 수용공간에 장착될 수 있다.
하우징(110)은,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평면에서 보았을 때 원형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 2에서와 같이 연소관(210)의 전방에 결합할 수 있다. 연소관(210)의 전방에는 전방포트(211)를 형성할 수 있으며 하우징(110)은 전방포트(211)에 체결되어 결합할 수 있다.
하우징(110)의 수용공간인 내부에는 제1차추진제(300)에 착화신호를 발생시키는 제1차회로부(120)와 제2차추진제(400)에 착화신호를 발생시키는 제2차회로부(130)가 장착될 수 있다.
제1차회로부(120)와 제2차회로부(130)는 전자회로로 구성되는 PCB로 구성될 수 있다.
제1차회로부(120)와 제2차회로부(130)는 하나의 하우징(110) 내에 같이 배치시킴으로써 안전점화장치(100)의 공간효율을 높이고 컴팩트하게 설계할 수 있도록 하였다.
도 1을 보면, 제1차회로부(120)와 제2차회로부(130)는 하우징(110) 내부에서 적층되어 배치되는데, 제2차회로부(130)가 상부에 배치되고 제1차회로부(120)가 하부에 배치되어 장착될 수 있다.
하우징(110) 내부에는 제2차회로부(1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제2차격벽착화기(140)가 장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제2차격벽착화기(140)는 2개가 원주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즉, 2개의 제2차격벽착화기(140)은 각각 하우징(110) 내측 둘레에 근접하도록 배치되되 서로 이격되어 원주상 끝단에 위치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하우징(110)은 연소관(210)의 전방을 관통하여 결합되고 하우징(110)의 일단이 연소관(210)의 내부에 수용된다. 연소관(210)의 전방은 연소관(210) 내부와 연통하도록 관통되어 있다. 관통된 연소관(210)의 전방은 하우징(110)이 결합되면서 막혀진다. 또한 연소관(210)의 전방은 전방포트(211)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 경우 하우징(110)은 전방포트(211)에 결합하면서 연소관(210)의 전방에 결합할 수 있다.
하우징(110)의 일단은 내부에 수용되는데, 하우징(110)의 일단에는 제1차회로부(1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점화장치(150)가 장착될 수 있다.
제1점화장치(150)는 제1차회로부(120)의 착화신호를 전달받아 연소관(210) 내부에 충전된 제1차추진제(300)를 점화시킨다.
도 1을 다시 참조하면, 제1점화장치(150)는 원통형상으로 안전점화장치(100)의 하우징(110) 일단에 장착된다. 제1점화장치(150)는 내부는 제1차회로부(1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차기폭부(151)를 구비한다.
제1차기폭부(151)는 제1차회로부(120)의 착화신호를 전달받아 후술할 제1차격벽착화기(160)에 전달한다. 제1차기폭부(151)는 PCB형태의 전자회로카드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차기폭부(151)는 2개가 제1점화장치(150)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차점화장치(150)의 끝단에는 돌출부(152)를 형성할 수 있으며, 돌출부(152)에 제1차기폭부(15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차격벽착화기(160)가 구비될 수 있다.
제1차격벽착화기(160)는 돌출부(152) 내부에서 2개가 소정의 간격을 가지고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차기폭부(151)와 제1차격벽착화기(160)는 각각 2개씩 구성되며, 각각 1대1로 대응하도록 서로 연결된다. 제1차기폭부(151)와 제1차격벽착화기(160)를 각각 2개씩 구성함으로써, 점화과정에서 한쪽에 문제가 발생하더라도 다른 쪽에서 착화신호를 전달하여 제1추진제(300)가 점화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제1차회로부(120), 제1차기폭부(151), 및 제1차격벽착화기(160)를 서로 근접한 공간에 함께 구성함으로써 공간의 활용을 높이고 안전점화장치(100) 자체를 컴패트하게 설계할 수 있다. 또한 제1차기폭부(151), 및 제1차격벽착화기(160)를 각각 2개씩 구성하여 제1추진제(300)의 점화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
제1차점화장치(150)의 돌출부(152)에는 제1차격벽착화기(160)에 의해 점화되는 제1차점화부(180)가 체결될 수 있다. 돌출부(152)의 외측면에는 수나산인 나사부(152a)가 형성되고 제1차점화부(180)에는 암나사산이 형성되어, 돌출부(152)와 제1차점화부(180)는 서로 맞물려 체결될 수 있다.
제1차점화부(180)는 원통형의 실린더 형상이며, FRP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차점화부(180)는 제1차점화제(181), 추진체 그레인(182)를 구비할 수 있다.
제1차점화제(181)는 주점화제(181a)와 보조점화제(181b)로 구성될 수 있다.제1차격벽착화기(160) 방향에 보조점화제(181b)를 구비하고, 보조점화제(181b) 하측에 주점화제(181a)를 구비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주점화제(181a)와 보조점화제(181b)의 사이에는 스틸렌폼으로 제작된 디스크(183)를 두어 두 점화제가 서로 혼합되지 않도록 하였다. 보조점화제(181b)로는 BKNO3 그레뉼을 사용할 수 있고, 주점화제(181a)로는 MTV(magnesium Teflon Viton) 그레뉼을 사용할 수 있다.
주점화제(181a) 아래에는 카트리지 타입의 추진제 그레인(182)이 충전될 수 있다. 추진제 그레인(182)은 제1차점화부(180) 내측면에 에폭시를 이용하여 고정될 수 있다. 보조점화제(181b), 주점화제(181a) 순서로 작동되어 제1차추진제(300)를 점화시킬 때 추진제 그레인(182)은 순간적으로 큰 점화 에너지를 방출하도록 한다. 이는 고고도 환경인 진공 조건에서 점화 신뢰도 확보할 수 있는 것으로 약 0.2초 이내에 연소가 완료되도록 할 수 있다.
주점화제(181a)는 필렛 형태로 구성할 수 있는데, 주점화제(181a) 작동 시 필렛 형태의 주점화제(181a)가 비산되지 않도록 주점화제(181a)와 추진제 그레인 사이(182)에는 금속 재질의 리테이너(186)가 설치될 수 있다.
제1차점화부(180)는 연소관(210) 내부의 중공부(213)에 수용되어 있다. 제1차점화부(180)의 외측면은 외부에 노출되어 수분에 영향을 받으며 작동 시 고고도 환경에 의한 진공의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제1차점화부(180)는 외측면이 보호필름(184)으로 둘러싸여 있다. 보호필름(184)은 PVC 재질로 구성할 수 있다. 보호필름(184)을 통해 제1차점화부(180)의 외측면이 외부의 영향에서 보호될 수 있다.
제1차점화부(180)는 하단에 반구형의 마개(185)를 구비할 수 있고, 마개(185)에는 하방으로 복수 개의 화염유로(185a)가 형성될 수 있다. 화염유로(185a)는 서로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방사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마개(185)와 화염유로(185a)는 제1차점화제(181)와 추진체 그레인(182)의 작동으로 화염이 발생하여 제1차추진제(300)를 점화시킬 때, 점화 화염이 인접한 격막(220)에 영향을 최소화하면서 제1차추진제(300)에 점화 에너지를 집중할 수 있다.
제2차점화부(170)는 제2차격벽착화기(140)의 하부에 위치하여 제2차격벽착화기(140) 하부에 형성된 착화유로(115)로 제2차격벽착화기(140)와 연결되어 제2차추진제(400)를 점화시킨다.
착화유로(115)는 하우징(11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제2차격벽착화기(140)와 제2차점화부(170)가 서로 연통하도록 연결시킨다. 제2차격벽착화기(140)에 의해 제2차점화부(170)가 작동하고 제2차점화부(170)는 제2차점화제(400)를 점화시킨다.
제2차점화부(170)는 하우징(110) 내측 둘레에 원환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제2차점화제(171)를 수용한다. 하우징(110) 측면에는 점화유로(113)가 형성되어 제2차점화부(170)와 제2차추진제(400)가 연통한다.
제2차점화부(170)는 제1구조체(174)와 제2구조체(175)로 구성될 수 있다. 제1구조체(174)와 제2구조체(175)는 모두 원환형상으로 구성되며 제1구조체(174)가 착화유로(115)와 연결되며, 제1구조체(174)의 하단에 제2구조체(175)가 위치할 수 있다.
제1구조체(174)는 내부에 제2차점화제(171)를 수용할 수 있다. 도 3을 같이 참조하면, 제1구조체(174)는 내벽에 소정의 간격을 가지며 돌출한 격벽(114)을 형성한다. 제2차점화제(171)는 주장약으로 BKNO3의 알약 형상의 펠렛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격벽(114)의 구분에 의해 방사형으로 정렬하여 배치할 수 있다. 제2차점화제(171)는 제1구조체(174)의 바닥면에 구성된 스티렌폼(176)을 이용하여 고정할 수 있다.
또한 BKNO3의 그래뉼 형태의 보조장약(173)이 합성수지 케이스에 담겨져 제2차점화부(170)에서 착화유로(115)의 끝단과 접하는 곳에 배치될 수 있다. 착화유로(115)는 제2차점화부(170)의 원주방향에서 2개가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보조장약(173)도 이에 대응하여 2개가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110) 측면에는 점화유로(113)가 형성되는데, 점화유로(113)는 제1구조체(174)와 연통될 수 있다. 점화유로(113)는 제1구조체(174)보다 외측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점화유로(113)는 도 3을 같이 참조하면, 원주방향으로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점화유로(113)에는 제2차점화부(170)의 내부를 기밀하되 제2차점화제(171)가 점화 시 파열되는 파열판(172)을 구비할 수 있다. 파열판(172)은 고고도 환경에서 제2차점화부(170)의 기밀성을 확보하기 위한 것으로 점화유로(113)의 끝단에 구비할 수 있다. 파열판(172)은 일정 압력에서 파열되도록 얇은 금속박판에 십자형의 노치를 구성하여 형성할 수 있다.
제2구조체(175)에는 진공에서 점화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HTPB로 형성된 추진제(177)가 충전될 수 있으며, 제2차점화제(171)와 동시에 연소될 수 있다. 추진제(177)의 연소화염은 제2차점화제(171)와 함께 점화유로(113)를 통해 제2차추진제(400)로 분사된다.
제1구조체(174)와 제2구조체(175)는 서로 맞물려 결합 후 나사로 고정될 수 있으며 두 개의 오링(178)으로 기밀성을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제2차격벽착화기(140)가 제2차점화부(170)를 효과적으로 점화시킬 수 있도록 하며, 하나의 제2차격벽착화기(140)에서 점화실패가 발생하더라도 다른 제2차격벽착화기(140)를 이용하여 제2차점화부(170)를 점화시킴으로써 점화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도 2를 같이 참조하면, 하우징(110)은 외측 둘레에 플랜지를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플랜지에 의해 연소관(210) 전방에 결합할 수 있다. 하우징(110)은 외측 둘레가 돌출한 플렌지에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연소관(210)의 전방은 연소관(210) 내부의 중공부(213)와 이어지도록 관통된 관통부를 형성한다. 그리고 하우징(110) 일단이 상기 관통부에 삽입되어 결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관통부와 하우징(110)이 결합하면서 접하는 부위에는 연소관(210) 내부를 기밀하기 위한 오링을 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추진기관(200)은 도 2를 같이 참조하면, 연소관(210), 제1차추진제(300), 제2차추진제(400), 격막(220), 및 위에서 기술한 안전점화장치(1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연소관(210)은 후방에 노즐(212)을 형성하고 전방에서 노즐(212)로 이어지는 중공부(213)을 내부에 형성한다. 연소관(210) 내부에는 노즐(212)로 이어지는 중공부(213)를 형성한다. 또는 연소관(210)은 전방에는 전방포트(211)를 형성하고 후방에는 노즐(212)을 형성하고, 내부에는 노즐(212)로 이어지는 중공부(213)를 형성할 수 있다.
연소관(210)은 내부가 전방에서 노즐(212)까지 이어지도록 관통된 중공부(213)를 형성하며, 전방에 안전점화장치(100)가 결합됨으로써 연소관(210)을 막는다.
제1차추진제(300)와 제2차추진제(400)는 연소관(210) 내부에 충전되는데, 중공부(213)를 둘러싸면서 연소관(210) 내측벽 둘레에 충전된다. 또한 제1차추진제(300)와 제2차추진제(400)는 서로 구분되도록 충전되며, 격막(220)에 의해 서로 구분된다.
점화 시 제1차추진제(300)가 먼저 점화되고, 시차를 두고 제2차추진제(400)가 점화된다. 제2차추진제(400)는 제1차추진제(300)가 연소되면서 발생되는 열과 압력을 소정의 시간동안 견디고 제2차추진제(400)의 점화 시 파열될 수 있도록 격막(220)에 의해 감싸진다.
제2차추진제(400)는 연소관(210) 내측벽과 격막(220)에 의해 둘러싸여 제1차추진제(300)와 구분된다.
제1차추진제(300)가 먼저 연소되므로 제1차추진제(300)는 노즐(212) 측에 충전되고, 제2차추진제(400)는 전방측에 충전된다.
안전점화장치(100)는 연소관(210)의 전방에 장착되며, 제1차추진제(300)와 제2차추진제(400)를 소정의 시간간격으로 순차적으로 점화시킬 수 있다.
안전점화장치(100)의 제1차점화부(180)는 안전점화장치(100)가 연소관(210)에 결합할 때, 연소관(210) 내부인 중공부(213)에 위치한다. 제1차점화부(180)는 제1차추진제(300)에 근접하도록 연소관(210)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제1차회로부(120)는 정격의 장전신호와 점화신호가 순차적으로 인가되었을 때만 정상적으로 동작한다. 제1차회로부(120)의 제어부에서는 장전 신호의 정상유무를 확인하고 장전부에 장전 명령을 전달하고 내장된 고전압 캐패시터를 충전시킨다. 이어서 일정한 시간 간격을 두고 점화신호가 인가되면 고전압 캐패시터에 충전된 전하를 빠른 시간에 방전시켜서 연결된 제1차격벽착화기(160)가 동작한다.
제2차회로부(130)는 제1차회로부(120)와 동일한 기능을 가진다. 제2차추진제(400)는 반드시 제1차추진제(300)가 연소된 후에 동작해야한다. 제2차회로부(130)의 제어부는 제2차추진제(400)의 우발 점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제1차추진제(300)에 전달되는 점화신호를 모니터링하여 장전 조건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차회로부(120) 및 제2차회로부(130)의 제어부에는 MCU(MicroController Unit)가 설치되고 구동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입출력 신호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위에서 기술한 안전점화장치(100)를 구비한 추진기관(200)을 구성하여 제1차추진제(300) 및 제2차추진제(400)의 점화시점을 조절할 수 있는 로켓이 제안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100: 안전점화장치
110: 하우징
113: 점화유로
114: 격벽
115: 착화유로
120: 제1차회로부
130: 제2차회로부
140: 제2차격벽착화기
150: 제1차점화장치
151: 제1차기폭부
152: 돌출부
152a: 나사부
160: 제1차격벽착화기
170: 제2차점화부
171: 제2차점화제
172: 파열판
173: 보조장약
174: 제1구조체
175: 제2구조체
180: 제1차점화부
181: 제1차점화제
181a: 주점화제
181b: 보조점화제
182: 추진제 그레인
183: 디스크
184: 보호필름
185: 마개
185a: 화염유로
186: 리테이너
200: 추진기관
210: 연소관
211: 전방포트
212: 노즐
213: 중공부
300: 제1차추진제
400: 제2차추진제
220: 격막

Claims (11)

  1.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고 연소관의 전방에 결합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장착되며, 상기 연소관 내부에 충전된 제1차추진제와 제2차추진제에 각각 착화신호를 발생시키는 제1차회로부와 제2차회로부;
    상기 하우징 내부에 장착되며, 상기 제2차회로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비되는 제2차격벽착화기;
    상기 제2차격벽착화기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2차격벽착화기 하부에 형성된 착화유로로 상기 제2차격벽착화기와 연결되어 상기 제2차추진제를 점화시키는 제2차점화부; 및
    상기 하우징 일단에 장착되어 상기 제1차회로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연소관 내부에 수용되는 제1차점화장치;
    상기 제1차점화장치의 하단에 장착되고 상기 제1차추진제를 점화시키는 제1차점화부; 를 포함하는,
    안전점화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차회로부와 상기 제2차회로부는 상기 제2차회로부가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차회로부가 하부에 배치되어 적층하여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점화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차격벽착화기는 2개가 원주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점화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차점화장치는, 상기 제1차회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차기폭부를 내부에 구비하고, 끝단에서 돌출 형성한 돌출부에 상기 제1차기폭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차격벽착화기를 구비하는,
    안전점화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차기폭부는 2개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점화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차격벽착화기는 상기 돌출부 내부에 2개가 소정의 간격을 가지고 나란히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점화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차점화부는 상기 하우징 내측 둘레에 원환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제2차점화제를 수용하고, 상기 하우징 측면에는 점화유로가 형성되어 상기 제2차점화부와 상기 제2차추진제가 연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점화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점화유로는 상기 하우징 측면에서 원주방향으로 복수 개가 형성되며, 상기 제2차점화부 내부를 기밀하되 상기 제2차점화제가 점화 시 파열되는 파열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점화장치.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차점화부는 상기 제1차격벽착화기에 의해 점화되는 제1차점화제를 내부에 수용하고, 상기 돌출부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점화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차점화부는 외측면이 보호필름이 둘러싸여 있으며, 하단에는 하방으로 복수 개의 화염유로가 형성된 반구형의 마개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점화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화염유로는 서로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방사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점화장치.
KR1020220090118A 2022-07-21 2022-07-21 고고도 듀얼펄스 모타용 안전점화장치 KR1024545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0118A KR102454541B1 (ko) 2022-07-21 2022-07-21 고고도 듀얼펄스 모타용 안전점화장치
US18/223,433 US11952968B2 (en) 2022-07-21 2023-07-18 Safety ignition device for high altitude dual pulse motor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0118A KR102454541B1 (ko) 2022-07-21 2022-07-21 고고도 듀얼펄스 모타용 안전점화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4541B1 true KR102454541B1 (ko) 2022-10-17

Family

ID=838100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0118A KR102454541B1 (ko) 2022-07-21 2022-07-21 고고도 듀얼펄스 모타용 안전점화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1952968B2 (ko)
KR (1) KR10245454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9809B1 (ko) 2023-12-15 2024-03-21 국방과학연구소 로켓 모타용 점화모듈 분리형 전자식 안전점화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75966A (en) 1994-04-29 1997-10-14 Thiokol Corporation Solid propellant dual pulse rocket motor loaded case and ignition system and method of manufacture
KR20000038951A (ko) * 1998-12-10 2000-07-05 최동환 기계식 점화 안전 장치
KR101839193B1 (ko) * 2015-12-31 2018-03-15 주식회사 한화 다발형 추진제 고정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99997A (en) * 1985-11-18 1991-03-19 Thiokol Corporation Radial pulse motor igniter-sustain grain
WO1993011089A1 (en) * 1991-11-27 1993-06-10 Hadden William C Surface-initiating deflagrating material
JP4719182B2 (ja) * 2007-05-14 2011-07-06 三菱重工業株式会社 2パルスロケットモータ
KR101063793B1 (ko) 2008-10-17 2011-09-08 국방과학연구소 추진기관
KR101192203B1 (ko) 2012-05-08 2012-10-17 국방과학연구소 추진기관 및 이를 구비하는 로켓
EP2743632A1 (en) * 2012-12-11 2014-06-18 Nederlandse Organisatie voor toegepast -natuurwetenschappelijk onderzoek TNO Miniature electro-pyrotechnic igniter, and ignition head for the same
KR101494393B1 (ko) 2014-05-23 2015-02-17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이중 추력 로켓 추진기관
KR101835496B1 (ko) * 2017-10-20 2018-03-08 국방과학연구소 로켓 모타용 점화안전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75966A (en) 1994-04-29 1997-10-14 Thiokol Corporation Solid propellant dual pulse rocket motor loaded case and ignition system and method of manufacture
KR20000038951A (ko) * 1998-12-10 2000-07-05 최동환 기계식 점화 안전 장치
KR101839193B1 (ko) * 2015-12-31 2018-03-15 주식회사 한화 다발형 추진제 고정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9809B1 (ko) 2023-12-15 2024-03-21 국방과학연구소 로켓 모타용 점화모듈 분리형 전자식 안전점화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952968B2 (en) 2024-04-09
US20240026840A1 (en) 2024-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14020A (en) Enabling device for a gas generator of a forced dispersion munitions dispenser
US5033390A (en) Trilevel performance gas generator
US3986560A (en) Fire protection means
EP2893290B1 (en) High voltage firing unit, ordnance system, and method of operating same
KR102454541B1 (ko) 고고도 듀얼펄스 모타용 안전점화장치
US4840024A (en) Multiple propellant solid rocket motor
US2773448A (en) Rocket projectile
US11952966B2 (en) Compact safety ignition device for dual pulse motor
US4999997A (en) Radial pulse motor igniter-sustain grain
US4539910A (en) Igniter pellet cup
US3196610A (en) Solid propellant rocket motor having reverse thrust generating means
US10378482B2 (en) Ignition safety device for rocket motor
KR101494393B1 (ko) 이중 추력 로켓 추진기관
JP4518425B2 (ja) 速射型火器
US3457826A (en) Launching apparatus
US3726219A (en) Integral propellant case ramjet projectile
KR102649809B1 (ko) 로켓 모타용 점화모듈 분리형 전자식 안전점화장치
US3547033A (en) Ignitor for explosive charge with means for preventing inadvertent ignition
US3286472A (en) Rocket motor and ignition system
US4495763A (en) Dual-thrust nozzle apparatus for rockets
US4132170A (en) Fuel-air type bomb
JPH11351058A (ja) 推進用ロケット
RU2675983C1 (ru) Двигатель кумулятивно-фугасного заряда
US3273335A (en) Manifold ignition system for solid propellant rockets
US3905291A (en) Cartridge-actuated device and launching assembly using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