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9575B1 - 위치 정보 기억 기반 출입 관리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위치 정보 기억 기반 출입 관리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9575B1
KR102649575B1 KR1020220003549A KR20220003549A KR102649575B1 KR 102649575 B1 KR102649575 B1 KR 102649575B1 KR 1020220003549 A KR1020220003549 A KR 1020220003549A KR 20220003549 A KR20220003549 A KR 20220003549A KR 102649575 B1 KR102649575 B1 KR 1026495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terminal
farmland
information
location information
access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35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08132A (ko
Inventor
이성일
김연중
Original Assignee
라온피플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온피플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라온피플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035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9575B1/ko
Publication of KR202301081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81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95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957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1/00Registering, indicating or recording the time of events or elapsed time, e.g. time-recorders for work people
    • G07C1/10Registering, indicating or recording the time of events or elapsed time, e.g. time-recorders for work people together with the recording, indicating or registering of other data, e.g. of signs of ident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G06Q10/063114Status monitoring or status determination for a person or group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571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interacting with a central unit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2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27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with central registra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2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28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the pass enabling tracking or indicating presenc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2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29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the pass containing active electronic elements, e.g. smartcard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위치 정보 기억 기반 출입 관리 장치 및 방법을 제시하며, 위치 정보 기억 기반 출입 관리 장치 및 방법은 관리자 단말로부터 경작지의 기초 정보와, 상기 경작지의 영역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경작지 영역 정보를 포함하는 경작지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 상기 경작지에 연관된 하나 이상의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수집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와 상기 경작지 영역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경작지 영역에 대한 진입 또는 진출을 판단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경작지 영역에 대한 진입 또는 진출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알림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위치 정보 기억 기반 출입 관리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ACCESS MANAGEMENT BASED ON LOCATION MEMORY}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위치 정보 기억 기반 출입 관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영농일지의 자동 작성을 위해 작업자의 경작지 출입 및 작업 내역을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관리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가에서는 작목에 대한 하루 동안의 영농 작업 상황을 기록하기 위해 영농일지를 작성하여 경작지를 관리하고 있다. 이러한 영농일지는 영농 활동과 관련된 환경 변화와 작업 방법을 기록한 문서를 말한다. 영농일지에는 기온과 강수량, 날씨에 대한 기후상황이 정확하게 기재되고 당일 작업한 세부 항목별로 투입인원과 작업 시간이 기록된다. 이와 같은 영농일지를 통해 작목의 관리 상태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가 영농일지를 빠트리지 않고 주기적으로 작성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영농 작업자가 경작지 밖으로 진출할 때 영농일지 작성을 누락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여 연속적으로 작목의 상태를 관리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따라서 영농일지 작성의 누락을 방지하기 위해, 작업자가 경작지 밖으로 진출하는 시간에 맞춰 작업자에게 영농일지 작성을 요청할 필요성이 있다.
그에 따라 영농 작업자의 경작지 출입 여부를 확인할 수 있어야 하는데,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출입을 관리하는 기존의 방식에 의하면, 여러 경작지마다 별도의 네트워크 구축 비용이 들어 자본이 부족한 중소 농민들에게는 부담이 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방식에 의하면, 영농 작업자가 경작지에 진입하거나 경작지 밖으로 진출할 때 이를 감지하지 못해 영농 작업자의 출입을 실시간으로 파악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으며, 별도의 알림을 제공할 수 없었다.
관련하여 선행기술 문헌인 한국특허공개번호 제10-2018-0045554호에서는 프로파일 기반 영농일지 생성방법에 대해 기재하고 있다. 그러나 이에 의하더라도 작업자의 경작지 출입을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작업자가 경작지 영역 밖으로 진출 시 영농일지 작성을 요청하여, 영농일지 작성의 누락을 방지하는 것에 대해서는 제시하지 못한다.
따라서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이 필요하게 되었다.
한편,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별도의 장비 설치 없이 스마트폰의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사용자의 경작지 출입을 기록하고, 사용자의 경작지 진출 시 영농일지 작성을 요청하여 영농일지 작성 누락을 방지하는 위치 정보 기억 기반 출입 관리 장치 및 방법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동일한 경작지 영역을 공유하는 사용자 간의 경작지 방문 이력을 공유하여 효율적인 영농 작업을 관리하는 위치 정보 기억 기반 출입 관리 장치 및 방법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나아가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사용자에 의해 작성된 영농일지와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에 기초한 경작지 체류 시간과 이동 경로를 조합하여 작업 현황에 대한 도식화된 자료를 생성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세부 작업 현황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위치 정보 기억 기반 출입 관리 장치 및 방법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위치 정보 기억 기반 출입 관리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위치 정보 기억 기반 출입 관리 방법은, 관리자 단말로부터 경작지의 기초 정보와, 상기 경작지의 영역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경작지 영역 정보를 포함하는 경작지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 상기 경작지에 연관된 하나 이상의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수집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와 상기 경작지 영역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경작지 영역에 대한 진입 또는 진출을 판단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경작지 영역에 대한 진입 또는 진출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알림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위치 정보 기억 기반 출입 관리 장치는, 경작지에 대하여, 상기 경작지의 영역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경작지 영역 정보와 상기 경작지의 기초 정보를 포함하는 경작지 정보와 영농일지 서식을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경작지에 연관된 하나 이상의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와 상기 경작지 영역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경작지 영역에 대한 진입 또는 진출을 판단하며, 상기 경작지 영역에 대한 진입 또는 진출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는 제어부; 그리고 상기 제어부에서 생성된 상기 알림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위치 정보 기억 기반 출입 관리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에서 위치 정보 기억 기반 출입 관리 방법은, 관리자 단말로부터 경작지의 기초 정보와, 상기 경작지의 영역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경작지 영역 정보를 포함하는 경작지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 상기 경작지에 연관된 하나 이상의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수집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와, 상기 경작지 영역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경작지 영역에 대한 진입 또는 진출을 판단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경작지 영역에 대한 진입 또는 진출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알림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나아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위치 정보 기억 기반 출입 관리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에서 위치 정보 기억 기반 출입 관리 방법은, 관리자 단말로부터 경작지의 기초 정보와, 상기 경작지의 영역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경작지 영역 정보를 포함하는 경작지 영역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 상기 경작지에 연관된 하나 이상의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수집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와 상기 경작지 영역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경작지 영역에 대한 진입 또는 진출을 판단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경작지 영역에 대한 진입 또는 진출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알림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별도의 장비 설치 없이 스마트폰의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사용자의 경작지 출입을 기록하고, 사용자의 경작지 진출 시 영농일지 작성을 요청하여 영농일지 작성 누락을 방지하는 위치 정보 기억 기반 출입 관리 장치 및 방법을 제시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동일한 경작지 영역을 공유하는 사용자 간의 경작지 방문 이력을 공유하여 효율적인 영농 작업을 관리하는 위치 정보 기억 기반 출입 관리 장치 및 방법을 제시할 수 있다.
나아가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사용자에 의해 작성된 영농일지와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에 기초한 경작지 체류 시간과 이동 경로를 조합하여 작업 현황에 대한 도식화된 자료를 생성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세부 작업 현황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위치 정보 기억 기반 출입 관리 장치 및 방법을 제시할 수 있다.
개시되는 실시예들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개시되는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정보 기억 기반 출입 관리 장치와 사용자 단말 및 관리자 단말 간 네트워크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정보 기억 기반 출입 관리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정보 기억 기반 출입 관리 방법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위치 정보 기억 기반 출입 관리 방법에서, 경작지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에 대해 구체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위치 정보 기억 기반 출입 관리 방법에서, 경작지 영역에 대한 진입 또는 진출을 판단하는 단계에 대해 구체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위치 정보 기억 기반 출입 관리 방법에서, 영농일지를 작성하는 단계에 대해 구체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7 내지 도 8은 위치 정보 기억 기반 출입 관리 방법에서, 경작지 영역 정보를 입력 받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9는 위치 정보 기억 기반 출입 관리 방법에서, 사용자 단말 및 관리자 단말에 제공되는 실시간 사용자의 위치를 모니터링하는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10은 위치 정보 기억 기반 출입 관리 방법에서 사용자 단말 및 관리자 단말에 제공되는 알림 메시지의 예시도이다.
도 11은 위치 정보 기억 기반 출입 관리 방법에서 사용자 단말에 제공되는 영농일지 작성 요청 메시지의 예시도이다.
도 12는 영농일지 작성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영농일지 서식의 예시도이다.
도 13은 사용자 단말 및 관리자 단말에 제공되는 경작지 방문 이력을 출력한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14 내지 도 15는 사용자 단말 및 관리자 단말에 제공되는 경작지 관리 현황을 나타내는 화면의 예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아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도 있다. 실시예들의 특징을 보다 명확히 설명하기 위하여, 이하의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널리 알려져 있는 사항들에 관해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였다. 그리고, 도면에서 실시예들의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구성이 다른 구성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을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이 어떤 구성을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그 외 다른 구성을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음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를 설명하기에 앞서, 아래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의 의미를 먼저 정의한다.
영농 작업에서 '작목'은 작물이나 가축 등의 종류를 뜻하며 여기서 말하는 작물은 사람이 이용하기 위해 재배하는 식물을 의미한다. 이때 '작목'은 작업자의 편의를 위해 작목 코드로서 영농일지에 기입될 수 있다.
'경작지 기초 정보'는 영농 작업이 진행되는 현장, 즉 경작지에 대한 세부적인 정보로서, 경작지 이름, 작목, 상세 주소, 총 면적, 해당 현장의 실시간 기후 정보 등 관련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실시간 기후 정보와 같은 '경작지 기초 정보'는 실시간으로 수집될 수 있다.
여기서 말하는 '기후 정보'란 경작지의 상세 주소에 기초하여 검색된 해당 현장의 날씨 정보로서, 예를 들어, 최저 온도, 최고 온도, 평균 기온, 강수량, 적설량, 풍속, 습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경작지 영역 정보'는 지도상의 경작지의 영역에 대응하는 실제의 경작지 영역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로서, 지도상에 표현되는 경작지 영역에 대응하는 실제 경작지 영역의 범위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들의 집합으로 표현할 수 있다. 여기서 '위치 정보'는 후술할 사용자 단말에 구비되는 GPS 모듈에 의해 연산되는 위치 좌표와 비교될 수 있도록, GPS 좌표체계에 따른 좌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경작지 정보'는 상술한 경작지 기초 정보와 경작지 영역 정보를 모두 포함하는 정보로서 후술할 관리자 단말에 의해 설정된 경작지와 대응하여 저장될 수 있다.
'계정정보'는 복수의 사용자나 관리자 중 특정인의 계정에 대한 정보로서, 예를 들어, 계정 식별자, 사용자나 관리자의 성명, 사용자 또는 관리자의 정규 근로시간, 사용자가 근무하거나 관리자가 관리하는 하나 이상의 경작지의 식별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경작지에서 근무하는 자로서 작물의 경작을 직접 수행하는 작업자를 의미하고, '관리자'는 경작지에서 근무하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를 관리하는 책임자, 예를 들어 경작지의 지주 등을 의미한다.
위에 정의한 용어 이외에 설명이 필요한 용어는 아래에서 각각 따로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정보 기억 기반 출입 관리 장치와 사용자 단말 및 관리자 단말 간 네트워크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정보 기억 기반 출입 관리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출입 관리 장치(100)는 네트워크(N)를 통해 사용자 단말(200) 또는 관리자 단말(201)과 통신하는 정보처리장치로서, 여기서 출입 관리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200) 또는 관리자 단말(201)과 협력하여, 경작지에 대한 사용자의 진입 또는 진출을 감지하여 기록한 출입 이력을 관리하고, 사용자들에게 각 경작지에 대한 영농일지 작성을 안내하며, 작성된 영농일지를 저장하고, 그에 따라 경작지별 현황에 대한 정보를 관리자에게 전송하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한편 사용자 단말(200)과, 관리자 단말(201)은 각각 상술한 사용자와 관리자에 의하여 이용되는 정보처리장치로서, 출입 관리 장치(100)와 통신하여 정보를 송수신하여, 출입 관리 장치(100)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200)과 관리자 단말(201)은 전자 단말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전자단말기는 네트워크(N)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에 접속하거나, 타 단말 및 서버와 연결 가능한 컴퓨터나 휴대용 단말기, 텔레비전,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등을 포함하고, 휴대용 단말기는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스마트폰(Smart Phone), 모바일 WiMAX(Mobile 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텔레비전은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인터넷 TV(Internet Television), 지상파 TV, 케이블 TV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시계, 안경, 액세서리, 의복, 신발 등 인체에 직접 착용 가능한 타입의 정보처리장치로서, 직접 또는 다른 정보처리장치를 통해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원격지의 서버에 접속하거나 타 단말과 연결될 수 있다.
특히 사용자 단말(200)은 상술한 컴퓨터나 휴대용 단말기, 텔레비전, 웨어러블 디바이스 중에서도, 휴대성이 보장되는 휴대용 단말기나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구현될 수 있으며, GPS 모듈이 구비되는 휴대용 단말기나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구성됨으로써 출입 관리 장치(100)로 하여금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를 추적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관리자 단말(201)은 사용자 단말(200)과 같이 GPS 모듈이 구비되는 휴대성의 정보처리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고, 데스크탑 컴퓨터 등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다만 관리자 단말(201)에 대응하는 관리자에 대해서도 경작지에 대한 진출 및 진입을 기록하고자 하는 경우, 관리자 단말(201)도 사용자 단말(200)과 같이 GPS 모듈이 구비되는 휴대용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즉, 관리자 단말(201)을 이용하는 관리자가, 관리자이면서 동시에 경작지의 경작 업무를 수행하는 사용자로서 관리자 단말(201)을 이용할 수 있으며, 이 경우 관리자는 관리자 단말(201)을 통해 출입 관리 장치(100)에 자신의 관리 대상인 경작지를 등록함과 동시에, 관리자의 계정 식별자를 경작지에 근무하는 사용자 중 하나로 등록할 수 있다.
한편 출입 관리 장치(100)는 상술한 사용자 단말(200) 또는 관리자 단말(201)과 데이터를 교환하여 복수의 경작지에 대한 영농일지와 사용자의 출입 이력을 제공하는 서버로 구성되며, 서버는 사용자와의 인터랙션을 위한 애플리케이션이나 웹브라우저가 설치된 전자단말기와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이 가능한 컴퓨터로 구현되거나, 클라우드 컴퓨팅 서버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서버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저장장치가 포함되거나, 제3의 서버를 통해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출입 관리 장치(100)는 제어부(110), 통신부(120), 저장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출입 관리 장치(10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CPU 등과 같은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사용자 단말(200) 또는 관리자 단말(201)을 통해 수신되는 각종 요청에 응답하여,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출입 관리 장치(100)에 포함된 다른 구성들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저장부(130)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시키거나, 저장부(130)에 저장된 파일을 읽어오거나, 새로운 파일을 저장부(130)에 저장할 수도 있다.
제어부(110)는 구체적으로, 각각의 경작지에 대응하는 경작지 정보를 수집하여 후술할 저장부(130)에 저장함으로써, 경작지를 등록한다. 이를 위해 제어부(110)는 관리자 단말(201)로부터 경작지 기초 정보를 입력받고, 경작지 영역 정보를 선택받을 수 있다.
경작지 영역 정보를 선택받기 위하여, 제어부(110)는 실제 경작지 영역에 대응하는 지도상의 경작지 영역을 선택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신부(120)를 통해 관리자 단말(201)에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10)는 관리자 단말(201)로부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선택된 지도상의 경작지 영역의 범위에 대한 정보, 또는 선택된 지도상의 경작지 영역에 대응하는 실제 경작지 영역에 대한 위치 정보, 즉 GPS 좌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10)는 필요한 경우 지도상에서 관리자에 의해 선택된 경작지 영역의 좌표 정보를 실제 경작지에 대한 GPS 좌표 정보로 변환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제어부(110)는 후술할 통신부(120)를 통해 관리자 단말(201)로부터 수신하는 경작지 기초 정보에 포함된 주소 정보나 지번 정보를 참조하여, 실제 경작지 영역에 대응하는 지도상의 경작지 영역을 추정하고, 추정된 지도상의 경작지 영역을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관리자 단말(201)로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그에 따라 관리자로 하여금 자신의 경작지 영역을 지도상에서 확인하고, 잘못 표시된 경우 실제 경작지 영역에 대응하는 지도상의 경작지 영역을 관리자 스스로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10)는 경작지 영역 정보를 경작지 기초 정보, 관리자 단말(201)의 계정 식별자와 함께 하나의 경작지에 대한 정보로서 저장부(130)에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10)는 경작지를 관리하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 정보와 상기 경작지 영역 정보를 비교하여 사용자 단말(200)의 경작지 영역에 대한 진입 또는 진출을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10)는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정보를 지속적, 주기적으로 수집하여 기록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제어부(110)는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가 경작지 영역 외부에 체류하는 상태에서는, 경작지 영역 내로 이동하는지 여부를 감시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가 경작지 영역 외에서 내부로 이동하면, 사용자가 경작지에 진입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10)는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가 경작지 영역 내에 체류하는 상태에서는, 경작지 영역 외부로 이동하는지 여부를 감시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가 경작지 내에서 외부로 이동하면, 사용자가 경작지 밖으로 진출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처럼 사용자의 경작지 진입 또는 진출을 판단함에 있어서 제어부(110)는 수집된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정보의 변화를 참조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10)는 실시예에 따라, 각 사용자의 출퇴근 시간을 참조하여 일정 시간 동안에만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정보를 수집하거나 경작지 진입 또는 진출 여부를 감시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10)는 경작지 영역에 대한 사용자 단말(200)의 진입 또는 진출이 판단되면, 진입 또는 진출 시각을 알림 메시지에 포함시켜 통신부(120)를 통해 사용자 단말(200) 및 관리자 단말(201) 중 적어도 하나에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사용자 단말(200)에 대응하는 사용자 A의 경작지 B로의 진입이 감지되면, 해당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200)로는 'A님, 2021년 12월 1일 오전 8시 59분에 경작지 B에 도착하셨습니다'라는 메시지를 발송하고, 경작지 B의 관리자에 대응하는 관리자 단말(201)로는 '사용자 A님이 2021년 12월 1일 오전 8시 59분에 경작지 B로 출근하셨습니다'라는 메시지가 발송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10)는 사용자 단말(200)의 진출이 감지되면, 영농일지 서식과 연결되는 영농일지 작성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통신부(120)를 통해 사용자 단말(200)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영농일지 작성 요청 메시지는,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200)이 위치 정보 기억 기반 출입 관리 장치(100)로 영농일지 서식을 포함하는 웹페이지를 요청하거나, 위치 정보 기억 기반 출입 관리 장치(100)와 연동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영농일지 작성 페이지나 기능을 호출하는데 필요한 URI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영농일지 작성 요청 메시지에 포함되는 URI는 해당 URI에 대응하는 하이퍼링크객체의 형식으로 메시지 내에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1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영농일지 서식 제공 요청을 수신하면, 영농일지 서식을 포함하는 웹페이지를 사용자 단말(200)로 응답하되, 경작지의 기초 정보를 영농일지 서식의 항목들에 자동 기입하여 사용자 단말(200)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사용자 단말(200)에서 영농일지 작성 페이지나 기능을 호출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200)과 연동하여 영농일지에 자동 기입될 경작지의 기초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영농일지 서식을 통해 수동 기입되는 항목 정보를 수신하여, 자동 기입된 항목 정보와 수동 입력된 항목 정보가 모두 기입된 영농일지를 저장부(130)에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10)는 영농일지가 저장되면 해당 영농일지를, 경작지의 관리자의 관리자 단말(201)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10)는 해당 영농일지를 작성한 사용자, 또는 해당 경작지와 연관된 다른 사용자들에게도 열람 가능하게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10)는 영농일지에 포함된 작업 분류 정보와 해당 영농일지가 작성된 사용자 단말(200)의 이동 경로 상의 위치별 체류시간에 기초하여 작업현황에 대한 도식화된 자료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10)는 도식화된 자료를 통신부(120)를 통해 관리자 단말(201)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10)는 도식화된 자료를 생성함에 있어서, 경작지에 등록된 사용자가 둘 이상이고, 둘 이상의 사용자가 각각 같은 날에 영농일지를 작성한 경우, 모든 사용자들의 영농일지에 기재된 작업 분류 정보와 각 사용자의 이동 경로 상의 위치별 체류시간을 이용하여 종합적인 작업현황과 그에 대한 도식화된 자료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사용자A가 경운 작업을 수행하였고, 사용자 B가 파종 작업을 수행한 경우, 각각의 작업자의 작업 분류를 구분하여 나타내는 이동 경로를 동일한 하나의 지도상에 표현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사용자 단말(200) 또는 관리자 단말(201)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각 사용자의 출입 이력, 영농일지, 작업 현황에 대한 도식화된 자료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조회 요청이 수신되면, 수신된 요청에 대응하는 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통신부(120)는 다른 디바이스 또는 네트워크와 유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통신부(120)는 다양한 유무선 통신 방법 중 적어도 하나를 지원하는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모듈은 칩셋(chipset)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통신부(120)가 지원하는 무선 통신은, 예를 들어 Wi-Fi(Wireless Fidelity), Wi-Fi Direct, 블루투스(Bluetooth), UWB(Ultra Wide Band) 또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일 수 있다. 또한 통신부(120)가 지원하는 유선 통신은, 예를 들어 USB 또는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등일 수 있다.
통신부(120)는 사용자 단말(200) 또는 관리자 단말(201)과 통신할 수 있고, 제어부(110)에서 작성한 출입 알림 메시지와 영농일지 작성 요청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하도록 하거나,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작성 완료된 영농일지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20)는 제어부(110)의 요청에 따라 사용자 단말(200) 또는 관리자 단말(201)에서 요청받은 자료를 사용자 단말(200) 또는 관리자 단말(201)로 제공할 수 있다.
저장부(130)에는 파일, 애플리케이션 및 프로그램 등과 같은 데이터가 설치 및 저장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저장부(130)에 저장된 데이터에 접근하여 이를 이용하거나, 또는 새로운 데이터를 저장부(130)에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저장부(130)에 설치된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도 있다.
저장부(130)에는, 사용자 단말(200) 및 관리자 단말(201)과 통신하면서, 등록된 경작지에 대하여, 경작지를 경작하는 각 사용자에 대응하는 사용자 단말(200)을 등록하며, 각각의 경작지에 대하여 등록된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를 추적하여 출입을 관리하고, 사용자들로 하여금 영농일지를 작성하도록 하고, 경작지별 작업 현황을 분석하여 도식화된 자료를 생성하여 관리자에게 제공하는데 필요한 서버 프로그램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30)에는 위와 같은 프로그램이 동작하는데 필요한 각종 데이터나 프로그램의 동작 결과로 수집되거나 산출된 데이터들이 저장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저장부(130)는 등록된 복수의 경작지 각각에 대한 경작지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때 경작지 정보는 관리자 단말(201)로부터 수신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경작지 기초 정보와 경작지 영역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30)는 관리자나 사용자의 계정정보와, 각각의 사용자나 관리자에게 부여된 권한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때 권한정보는 출입 관리 장치(100)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는 출입 이력, 영농일지, 또는 경작지에 대한 도식화된 자료의 열람 범위를 정한 정보로서, 예를 들어 일부의 사용자는 자신의 출입 이력만 열람할 수 있으나, 일부 사용자는 동일한 경작지에 등록된 복수의 사용자들의 출입 이력을 모두 열람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받을 수 있으며, 관리자는 관리자와 연관된 모든 경작지의 모든 사용자들의 출입 이력을 열람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질 수 있다. 마찬가지로 영농일지나 도식화된 자료도 기본적으로 관리자는 모두 열람 가능하되, 사용자들의 권한은 그 일부로 제한될 수 있다. 이처럼 권한정보는 각각의 사용자별로 달리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저장부(130)에는 사용자 단말(200) 각각에 대해 주기적으로 수집되는 위치정보와 그에 따른 이동 경로, 위치별 체류시간 등이 기록될 수 있다. 또한 이에 기초하여 판단되는 사용자의 경작지에 대한 진출입 기록, 즉 출입 이력이 저장될 수 있다.
나아가 저장부(130)에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작성된 영농일지가 저장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10)는 사용자 단말(200) 또는 관리자 단말(201)로부터 영농일지 열람 요청이 수신되면, 저장부(130)로부터 영농일지를 독출하여 경작지별 또는 사용자별로 정렬된 영농일지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저장부(130)에는 경작지에 대하여, 영농일지에 기록된 작업 분류 정보와 사용자 단말(200)의 이동 경로 상의 위치별 체류 시간에 기초하여 제어부(110)가 산출한 작업 현황에 대한 도식화된 자료를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는 출입 관리 장치(100)가 수행하는 출입 관리 방법을 설명한다. 이때 출입 관리 방법의 각 단계는 제어부(110)가 동작하거나, 제어부(110)가 통신부(120) 또는 저장부(130)를 제어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제어부(110)의 구체적인 동작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정보 기억 기반 출입 관리 방법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위치 정보 기억 기반 출입 관리 방법에서, 경작지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방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며,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위치 정보 기억 기반 출입 관리 방법에서, 경작지 영역에 대한 진입 또는 진출을 판단하는 방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며,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위치 정보 기억 기반 출입 관리 방법에서 영농일지를 작성하는 단계에 대해 구체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또한, 도 7 내지 도 8은 위치 정보 기억 기반 출입 관리 방법에서 경작지 영역 정보를 입력 받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9는 위치 정보 기억 기반 출입 관리 방법에서 사용자 단말 및 관리자 단말에 제공되는 실시간 사용자의 위치를 모니터링 할 수 있는 화면에 대한 예시도이며, 도 10은 위치 정보 기억 기반 출입 관리 방법에서 사용자 단말 및 관리자 단말에 제공되는 알림 메시지에 대한 예시도이며, 도 11은 위치 정보 기억 기반 출입 관리 방법에서 사용자 단말에 제공되는 영농일지 작성 요청 메시지의 예시도이고, 도 12는 영농일지 작성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영농일지 서식의 예시도이며, 도 13은 사용자 단말 및 관리자 단말에 제공되는 경작지 방문 이력을 출력한 화면의 예시도이며, 도 14 내지 도 15는 사용자 단말 및 관리자 단말에 제공되는 사용자별 경작지 관리 현황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위치 정보 기억 기반 출입 관리 방법은 도 1과 도 2에 도시된 출입 관리 장치(100)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하에서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도 1과 도 2에 도시된 출입 관리 장치(100)에 관하여 이상에서 기술한 내용은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출입 관리 방법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6은 도 7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후술된다. 도 7 내지 도 1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정보 기억 기반 출입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로서, 출입 관리 장치가 구현되는 서버에서 사용자 단말(200)로 제공되는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우선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출입 관리 장치(100)는 관리자 단말(201)로부터 경작지 정보를 입력 받아 저장할 수 있다(S310).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입 관리 장치(100)는 관리자 단말(201)로부터 경작지 상세 주소를 포함하는 경작지 기초 정보를 수신하고(S311), 수신된 경작지 상세 주소를 중심으로 일정 범위의 지도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S312).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입 관리 장치(100)는, 수신된 경작지 상세 주소에 기초한 일정 범위의 지도(71)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관리자 단말(201)에 제공할 수 있다(S313). 이때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경작지 영역의 경계의 꼭지점이 되는 점(72)을 마킹하여 경작지 영역의 범위를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출입 관리 장치(100)는, 관리자 단말(201)로부터 마킹된 지도상의 경작지 영역의 경계의 꼭지점이 되는 점(72)들을 직선으로 이어 다각형 모양의 영역을 지도상의 경작지 영역으로 선택할 수 있다. 이때 출입 관리 장치(100)는 선택된 다각형 모양의 지도상의 경작지 영역을, 실제 경작지 영역의 GPS 좌표 정보를 포함하는 경작지 영역 정보로 변환하여 저장할 수 있다.
출입 관리 장치(100)는, 선택된 지도상의 경작지 영역에 대응하는 실제 경작지 영역의 넓이를 산출한 결과(73)를 관리자 단말(201)로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출입 관리 장치(100)는 관리자로 하여금 설정된 경작지 영역의 넓이를 파악하도록 할 수 있고, 관리자가 알고 있는 실제 경작지의 넓이와 비교하여 경작지 영역이 올바르게 설정되었는지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출입 관리 장치(100)는 경작지 영역을 재설정하는 지우기 버튼(74)를 관리자 단말(201)에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로 하여금 경작지 영역의 넓이를 산출한 결과(73)가 실제 경작지 영역의 넓이와 다르거나, 경작지 영역의 경계의 꼭지점이 되는 점(72)을 잘못 마킹한 경우, 경작지 영역을 재설정하도록 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출입 관리 장치(100)는 경작지 상세 주소, 예를 들어, 경작지의 지번을 관리자 단말(201)로부터 수신하여, 지번에 대응하는 경작지 영역의 지도상 경계를 자동으로 설정하여 관리자 단말(201)로 제공함으로써 관리자의 확인을 받을 수 있다. 출입 관리 장치(100)는 관리자가 자동 설정된 지도상의 경작지 영역을 수정없이 그대로 경작지 영역으로 인정하는 경우, 실제 지번에 대응하는 영역의 GPS 좌표 정보들의 집합을 경작지 영역 정보로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통해 선택된 경작지 영역의 범위 정보를 포함하는 경작지 영역 정보를 관리자 단말(201)의 계정 식별자 및 경작지 기초 정보와 연관하여 경작지 정보로서 저장할 수 있다(S314).
출입 관리 장치(100)는 관리자 단말(201)로부터 경작지 영역의 범위가 선택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작지 기초 정보 중 일부(81), 예를 들어, 경작지 AA, 총면적 3,472.3 ㎡를 관리자 단말(201)에 제공할 수 있다.
출입 관리 장치(100)는 설정된 경작지에서 작물의 경작을 직접 수행하는 사용자의 계정정보를 등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관리자 단말(201)의 계정 식별자와 연관된 사용자의 계정정보(82)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리자 단말(201)의 계정 식별자와 연관된 '김 ○○, 박 ○○, 최 ○○, 이 ○○, 김 △△. 오 △△' 등의 사용자의 계정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출입 관리 장치(100)는 관리자 단말(201)로부터 연관된 사용자의 계정정보(82) 중 적어도 한 명을 선택받아, 최종 선택된 사용자 단말(200)의 계정정보를 'AA경작지'의 사용자로 등록할 수 있다. 출입 관리 장치(100)는 등록된 사용자 단말(200)의 계정정보를 경작지 정보에 포함하여 저장할 수 있다.
S310단계를 수행한 뒤, 출입 관리 장치(100)는 경작지 영역을 관리하는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S320).
예를 들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입 관리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 정보가 경작지 영역 내인 경우, 사용자의 실제 위치에 대응하는 지도상의 위치(91)를 사용자의 이동 방향과 함께 표시하여 사용자 단말(200) 또는 관리자 단말(201)에 제공할 수 있다.
출입 관리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 정보가 경작지 영역 내, 또는 경작지 영역으로부터 일정 범위 내에 존재하지 않으면, 사용자 단말(200) 또는 관리자 단말(201)에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 정보를 제공하지 않을 수 있다. 하지만,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 정보가 경작지 영역으로부터 일정 범위 내에 존재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200) 또는 관리자 단말(201)에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 정보를 지도 상에 표시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출입 관리 장치(100)는 하나의 경작지 영역 내에 하나 이상의 사용자가 존재하면, 하나 이상의 사용자의 실제 위치에 대응하는 지도상의 위치(91)를 시각적으로 구분될 수 있도록, 예를 들어, 색깔, 모양 등을 다르게 각각의 사용자 위치를 표시하여 관리자 단말(201)에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출입 관리 장치(100)는 각 사용자 단말(200)의 계정정보(92), 예를 들면, 사용자 이름을 함께 표시하여 관리자 단말(201)에 제공할 수 있다.
출입 관리 장치(100)는 실시간으로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 정보를 수집하면서, 경작지 영역 정보와 비교하여 사용자 단말(200)의 진입 또는 진출을 판단할 수 있다(S330).
구체적으로 출입 관리 장치(1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 정보를 지속적, 주기적으로 수집하여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 정보가 경작지 영역 정보에 대응하는 위치를 나타내는지 판단할 수 있다(S331).
출입 관리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가 경작지 영역 밖인 경우,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 정보가 경작지 영역 내로 이동하는지를 감시할 수 있다(S332). 출입 관리 장치(100)는 실시간으로 수집되는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 정보가 경작지 영역 정보에 포함되지 않으면, S332단계를 반복할 수 있다. 출입 관리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가 경작지 영역 밖인 상태에서 경작지 영역 내로 이동하면, 사용자가 경작지에 진입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S333).
한편, 출입 관리 장치(100)는 S331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 정보가 경작지 영역 정보에 포함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 정보가 경작지 영역 외부로 이동하는지 감시할 수 있다(S334). 출입 관리 장치(100)는 실시간으로 수집되는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 정보가 경작지 영역 정보에 포함되면, S334 단계를 반복할 수 있다. 출입 관리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 정보가 경작지 영역 정보에 포함되지 않으면, 사용자가 경작지 밖으로 진출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S335).
S334 단계 또는 S335 단계에서 출입 관리 장치(100)는 경작지 영역에 대한 사용자 단말(200)의 진입 또는 진출이 판단되면, 출입 관리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200)의 계정정보, 예를 들어, 사용자가 근무하는 경작지 명칭, 정규 근로시간을 비교하여 사용자 단말(200)의 진입 또는 진출을 확정할 수 있고, 확정된 진입 또는 진출 시각을 출입 이력에 기록할 수 있다(S340).
실시예에 따라 출입 관리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200)의 진입 시각과 진출 시각의 차이가 기설정된 시간 미만, 예를 들어, 한 시간 미만이라면 휴식시간 혹은 식사시간으로 분류하여 출입 이력에 진입 시각과 진출 시각을 기록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출입 관리 장치(100)는 정규 근로시간이 아닌 시각에 사용자 단말(200)의 경작지 영역에 대한 진입 또는 진출이 판단되면 영농 작업을 하기 위한 방문이 아니라고 판단하여 진입 시각 및 진출 시각을 출입 이력에 기록하지 않을 수 있다.
S340 단계에서 출입 관리 장치(100)가 사용자 단말(200)의 진입 또는 진출 시각을 출입 이력에 기록한 후, 출입 관리 장치(100)는 경작지 진입 또는 진출 시각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 알림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200)에 제공할 수 있다(S350).
이때 알림 메시지는 사용자 단말(100)에 설치되어 출입 관리 장치(100)와 통신하는 애플리케이션의 푸시 알림 방식으로 전달되거나 해당 애플리케이션 내의 메시지 형식으로 전달되거나, 서드파티 서비스의 메시지 형식으로 전달되거나 또는 통상의 문자 메시지 형식으로 전달될 수도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입 관리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200)의 진입 시각을 출입 이력에 기록하면, 진입 시각이 포함된 진입 알림 메시지(101), 예를 들어, '김○○님이 AA 경작지를 09:34에 진입하였습니다.'와 같은 푸시 알림 형식의 알림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200) 및 관리자 단말(201) 중 적어도 하나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출입 관리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200)의 진출 시각을 출입 이력에 기록하면, 진출 시각이 포함된 진출 알림 메시지(102), 예를 들어, '김○○님께서 AA 경작지를 17:41에 진출하였습니다.'와 같은 푸시 알림 형식의 알림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200) 및 관리자 단말(201) 중 적어도 하나에 제공할 수 있다.
출입 관리 장치(100)는 경작지 정보에 연관하여 저장되지 않은 계정정보를 가진 사용자 단말(200)의 경작지 진입 또는 진출이 감지된 경우, 침입 감지 알림 메시지(103), 예를 들어, '등록되지 않은 사용자 단말이 AA 경작지에 진입하였습니다'와 같은 푸시 알림 형태의 알림 메시지를 진입 알림 메시지(101), 진출 알림 메시지(102)와는 구분되게 생성하여 관리자 단말(201)에 제공할 수 있다.
출입 관리 장치(100)는 사용자가 경작지에서 진출하는 경우, 영농일지가 작성되도록 할 수 있다(S360). 구체적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입 관리 장치(100)는 상술된 바에 따라 사용자의 진출을 감지하면(S361), 영농일지 서식과 연결되는 영농일지 작성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200)로 제공할 수 있다(S362).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입 관리 장치(100)는 푸시 알림 형식의 영농일지 작성 요청 메시지(104)를 사용자 단말(200)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출입 관리 장치(10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농일지 서식 또는 영농일지 작성 웹페이지를 호출하는데 필요한 URI, 또는 해당 URI로 하이퍼링크되는 객체를 포함하는 메시지 형식의 영농일지 작성 요청 메시지(111, 112)를 사용자 단말(200)에 제공할 수 있다.
출입 관리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영농일지 작성 요청 메시지(104, 111, 112)를 통해 영농일지 서식 제공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출입 관리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영농일지 서식 제공 요청이 수신되는지 판단하여(S363), 영농일지 서식 제공 요청이 수신될 때까지 대기할 수 있다.
출입 관리 장치(100)는 S363단계에서,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영농일지 서식 제공 요청이 수신되면 경작지 기초 정보가 자동 기입된 영농일지 서식을 사용자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S364). 예를 들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입 관리 장치(100)에 저장된 영농일지 서식을 사용자 단말(200)에 제공할 수 있다.
출입 관리 장치(100)는 경작지 기초 정보 입력 필드(121)에 경작지 이름, 경작지 작목, 당일 기후 정보를 자동 기입하여 영농일지 서식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출입 관리 장치(100)는 작업 시간 입력 필드(122)에 작업 시작 시각과 작업 종료 시각 및 총 작업 시각을 출입 이력에 기초하여 자동 기입할 수 있다. 이때, 출입 관리 장치(100)는 출입 이력에 기초하여 당일 작업한 작업 인원에 대한 정보도 자동 기입할 수 있다.
출입 관리 장치(100)는 자동 기입된 정보 중 수정이 필요하다면 수동으로 기입된 정보를 수정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사용자 단말(200)에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출입 관리 장치(100)는 작업 종류 입력 필드(123)를 사용자 단말(200)에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출입 관리 장치(100)는 경작지의 작목과 작업 일자에 기초하여 작업 종류를 추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작지의 작목이 '콩'이고 해당 작업 일자가 6월 19일이라면, 파종 작업을 했을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하여 작업 종류 입력 필드의 하단에 선택적으로 노출되는 드롭박스 상의 선택항목 중 '파종' 작업을 최상단에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출입 관리 장치(100)는 작업 세부사항 입력 필드(124)를 사용자 단말(200)에 제공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당일 작업 특이사항이나 인수 인계 사항을 입력하도록 할 수 있다.
출입 관리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자동 기입된 영농일지 서식을 통해 입력된 항목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365). 예를 들어, 출입 관리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도 12의 영농일지 서식의 작업 종류 입력 필드(123)와 작업 세부사항 입력 필드(124)에 입력된 항목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출입 관리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된 항목 정보를 기입하고, 모든 항목 정보가 기입된 영농일지를 저장할 수 있다(S366).
이때 출입 관리 장치(100)는 동일한 경작지, 동일한 작업 일자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작성된 영농일지를 취합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출입 관리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영농일지 열람 요청을 수신하면, 해당 사용자가 작성한 영농일지를 경작지별 또는 작업 일자별로 정렬하여 사용자 단말(200)로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출입 관리 장치(100)는 관리자 단말(201)로부터 영농일지 열람 요청을 수신하면, 경작지별 취합된 영농일지 혹은 특정 작업자가 작성한 영농일지를 관리자 단말(201)에 제공할 수 있다.
출입 관리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200) 및 관리자 단말(201)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경작지 출입 이력에 대한 열람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레드시트 형식의 출입 이력(131)을 사용자 단말(200) 및 관리자 단말(201)중 적어도 하나에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출입 관리 장치(100)는 사용자의 권한정보에 따라 다른 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출입 관리 장치(100)는 출입 이력을 날짜, ID, 진입 시각, 진출 시각, 작업 종류, 작목, 경작지 이름을 오름차순 또는 내림차순으로 정렬할 수 있는 필터 기능을 사용자 단말(200) 및 관리자 단말(201) 중 적어도 하나에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출입 관리 장치(100)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명의 사용자에 대한 경작지 관리 현황을 사용자 단말(200)에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출입 관리 장치(100)는 해당 사용자 단말의 계정정보(141)를 경작지 관리 현황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출입 관리 장치(100)는 각각의 사용자 단말(200)로 해당 사용자의 당일 방문 경작지 정보(142)를 경작지 관리 현황에 표시할 수 있다. 당일 방문 경작지 정보(142)에 표시되는 정보는 각 경작지에 대한 사용자의 진입 시각, 진출 시각, 작업 종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작업 종류는 사용자가 당일 작성한 영농일지의 작업 종류와 연계하여 표시할 수 있다. 당일 영농일지가 작성되지 않은 경우, 출입 관리 장치(100)는 경작지의 작목과 작업 일자에 기초하여 추천된 작업 종류를 표시할 수 있다.
출입 관리 장치(100)는 경작지 분포(143)를 경작지 관리 현황에 표시하여, 사용자가 관리하는 복수의 경작지를 지도상에 식별 가능하게 표시할 수 있다. 이때 경작지 분포(143)에 도시된 복수의 경작지 중 하나를 선택하면, 세부 작업현황(144)에 선택된 경작지를 확대하여 표시할 수 있다.
출입 관리 장치(100)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부 작업현황에 대한 도식화된 자료를 사용자 단말(200) 및 관리자 단말(201) 중 적어도 하나에 제공할 수 있다. 출입 관리 장치(100)는 당일 사용자 단말(200)의 이동 경로상의 위치별 체류시간에 기초하여 작업 경로와 작업량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출입 관리 장치(100)는 도식화된 자료에 사용자의 이동경로와 체류 시간에 기초한 그래프(151)를 생성할 수 있고, 영농일지에 작성된 작업 종류와 연동하여 작업 종류에 따라 모양, 크기, 색깔을 구분되게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출입 관리 장치(100)는 도식화된 자료에 작업 종류를 알 수 있는 범례(152)를 표시할 수 있다.
출입 관리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200) 또는 관리자 단말(201)로부터 세부 작업 현황에 대한 열람 요청이 작업 시간 중간에 수신되면, 작업 시작 시각부터 열람 요청이 확인된 시각까지의 사용자 단말(200)의 이동 경로 상의 위치별 체류시간에 기초하여 세부 작업 현황을 도식화된 자료로 생성하여 열람을 요청한 사용자 단말(200) 및 관리자 단말(201) 중 적어도 하나에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출입 관리 장치(100)는 경작지에 근무하는 사용자들과 관리자로 하여금, 매일의 경작지 출입 및 영농작업 현황을 용이하게 파악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의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ASIC 와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특허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 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도 3 내지 도 15를 통해 설명된 실시예에 따른 위치 정보 기억 기반 출입 관리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이때, 명령어 및 데이터는 프로그램 코드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었을 때, 소정의 프로그램 모듈을 생성하여 소정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컴퓨터 기록 매체일 수 있는데, 컴퓨터 기록 매체는 컴퓨터 판독 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 기록 매체는 HDD 및 SSD 등과 같은 마그네틱 저장 매체, CD, DVD 및 블루레이 디스크 등과 같은 광학적 기록 매체, 또는 네트워크를 통해 접근 가능한 서버에 포함되는 메모리일 수 있다.
또한 도 3 내지 도 15를 통해 설명된 실시예에 따른 위치 정보 기억 기반 출입 관리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또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처리되는 프로그래밍 가능한 기계 명령어를 포함하고, 고레벨 프로그래밍 언어(High-level Programming Language),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언어(Object-oriented Programming Language), 어셈블리 언어 또는 기계 언어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유형의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예를 들어, 메모리, 하드디스크, 자기/광학 매체 또는 SSD(Solid-State Drive) 등)에 기록될 수 있다.
따라서 도 3 내지 도 15를 통해 설명된 실시예에 따른 위치 정보 기억 기반 출입 관리 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은 컴퓨터 프로그램이 컴퓨팅 장치에 의해 실행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컴퓨팅 장치는 프로세서와, 메모리와, 저장 장치와, 메모리 및 고속 확장포트에 접속하고 있는 고속 인터페이스와, 저속 버스와 저장 장치에 접속하고 있는 저속 인터페이스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들 각각은 다양한 버스를 이용하여 서로 접속되어 있으며, 공통 머더보드에 탑재되거나 다른 적절한 방식으로 장착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는 컴퓨팅 장치 내에서 명령어를 처리할 수 있는데, 이런 명령어로는, 예컨대 고속 인터페이스에 접속된 디스플레이처럼 외부 입력, 출력 장치상에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제공하기 위한 그래픽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메모리나 저장 장치에 저장된 명령어를 들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다수의 프로세서 및(또는) 다수의 버스가 적절히 다수의 메모리 및 메모리 형태와 함께 이용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는 독립적인 다수의 아날로그 및(또는) 디지털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칩들이 이루는 칩셋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는 컴퓨팅 장치 내에서 정보를 저장한다. 일례로, 메모리는 휘발성 메모리 유닛 또는 그들의 집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메모리는 비휘발성 메모리 유닛 또는 그들의 집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는 예컨대, 자기 혹은 광 디스크와 같이 다른 형태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일 수도 있다.
그리고 저장장치는 컴퓨팅 장치에게 대용량의 저장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저장 장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이거나 이런 매체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SAN(Storage Area Network) 내의 장치들이나 다른 구성도 포함할 수 있고, 플로피 디스크 장치, 하드 디스크 장치, 광 디스크 장치, 혹은 테이프 장치, 플래시 메모리, 그와 유사한 다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 혹은 장치 어레이일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출입 관리 장치 110: 제어부
120: 통신부 130: 저장부
200: 사용자 단말 201: 관리자 단말

Claims (16)

  1. 위치 정보 기억 기반 출입 관리 장치에 의해 수행되고,
    관리자 단말로부터 경작지의 기초 정보와, 상기 경작지의 영역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경작지 영역 정보를 포함하는 경작지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
    상기 경작지에 연관된 하나 이상의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수집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와 상기 경작지 영역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경작지 영역에 대한 진입 또는 진출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경작지 영역에 대한 진입 또는 진출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알림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그리고
    영농일지를 작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영농일지를 작성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진출이 감지되면, 영농일지 서식과 연결되는 영농일지 작성 요청 메시지를 생성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영농일지 서식 제공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경작지의 기초 정보가 자동 기입된 영농일지 서식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자동 기입된 영농일지 서식을 통해 입력된 항목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항목 정보가 기입된 영농일지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위치 정보 기억 기반 출입 관리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작지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는,
    실제 경작지 영역에 대응하는 지도상의 경작지 영역을 선택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관리자 단말에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선택된 지도상의 경작지 영역의 범위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그리고
    수신된 상기 경작지 영역의 범위에 대한 정보에 대응하는 경작지 영역 정보를 상기 경작지 기초 정보, 상기 관리자 단말의 계정 식별자와 연관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위치 정보 기억 기반 출입 관리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작지 영역에 대한 진입 또는 진출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가 상기 경작지 영역 내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가 상기 경작지 영역 내로 이동하는지 감시하여, 상기 경작지 영역 내로 이동한 것이 확인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의 진입으로 판단하여 진입 시각을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출입 이력에 기록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가 상기 경작지 영역 내인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가 상기 경작지 영역을 벗어나는지 감시하여, 상기 경작지 영역 밖으로 벗어난 것이 확인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의 진출로 판단하여 진출 시각을 상기 출입 이력에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위치 정보 기억 기반 출입 관리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진입 또는 진출이 판단되면, 경작지 진입 또는 진출 시각에 대한 정보를 상기 알림 메시지에 포함시켜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위치 정보 기억 기반 출입 관리 방법.
  5. 삭제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보 기억 기반 출입 관리 방법은,
    상기 영농일지가 저장되면 상기 영농일지에 포함된 작업 분류 정보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이동 경로 상의 위치별 체류시간에 기초하여 작업 현황에 대한 도식화된 자료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도식화된 자료를 상기 관리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위치 정보 기억 기반 출입 관리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보 기억 기반 출입 관리 방법은,
    상기 사용자 단말 또는 상기 관리자 단말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상기 출입 이력, 상기 영농일지, 상기 작업 현황에 대한 도식화된 자료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조회 요청이 수신되면, 수신된 요청에 대응하는 자료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위치 정보 기억 기반 출입 관리 방법.
  8. 위치 정보 기억 기반 출입 관리 장치로서,
    경작지에 대하여, 상기 경작지에 연관된 관리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상기 경작지의 영역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경작지 영역 정보와 상기 경작지의 기초 정보를 포함하는 경작지 정보와, 영농일지 서식을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경작지에 연관된 하나 이상의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와 상기 경작지 영역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경작지 영역에 대한 진입 또는 진출을 판단하며, 상기 경작지 영역에 대한 진입 또는 진출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는 제어부; 그리고
    상기 제어부에서 생성된 상기 알림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진출이 감지되면, 상기 영농일지 서식과 연결되는 영농일지 작성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영농일지 서식 제공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경작지의 기초 정보가 자동 기입된 영농일지 서식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자동 기입된 영농일지 서식을 통해 입력된 항목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항목 정보가 기입된 영농일지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위치 정보 기억 기반 출입 관리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실제 경작지 영역에 대응하는 지도상의 경작지 영역을 선택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경작지에 연관된 관리자 단말에 제공되도록 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선택된 지도상의 경작지 영역의 범위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며, 수신된 상기 경작지 영역의 범위에 대한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경작지 영역 정보를 상기 경작지 기초 정보, 상기 관리자 단말의 계정 식별자와 연관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위치 정보 기억 기반 출입 관리 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가 상기 경작지 영역 내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가 상기 경작지 영역 내로 이동하는지 감시하여, 상기 경작지 영역 내로 이동한 것이 확인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의 진입으로 판단하여 진입 시각을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출입 이력에 기록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가 상기 경작지 영역 내인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가 상기 경작지 영역의 범위를 벗어나는지 감시하여 상기 경작지 영역 밖으로 벗어난 것이 확인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의 진출로 판단하여 진출 시각을 상기 출입 이력에 기록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위치 정보 기억 기반 출입 관리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진입 또는 진출이 판단되면, 경작지 진입 또는 진출 시각 정보를 상기 알림 메시지에 포함시켜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위치 정보 기억 기반 출입 관리 장치.
  12. 삭제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농일지가 저장되면 상기 영농일지에 포함된 작업 분류 정보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이동 경로 상의 위치별 체류시간에 기초하여 작업 현황에 대한 도식화된 자료를 생성하고, 상기 도식화된 자료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관리자 단말로 제공하는, 위치 정보 기억 기반 출입 관리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 또는 상기 관리자 단말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상기 출입 이력, 상기 영농일지, 상기 작업 현황에 대한 도식화된 자료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조회 요청이 수신되면, 수신된 요청에 대응하는 자료를 제공하는, 위치 정보 기억 기반 출입 관리 장치.
  15. 제 1 항에 기재된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16. 위치 정보 기억 기반 출입 관리 장치에 의해 수행되며, 제 1 항에 기재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220003549A 2022-01-10 2022-01-10 위치 정보 기억 기반 출입 관리 장치 및 방법 KR1026495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3549A KR102649575B1 (ko) 2022-01-10 2022-01-10 위치 정보 기억 기반 출입 관리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3549A KR102649575B1 (ko) 2022-01-10 2022-01-10 위치 정보 기억 기반 출입 관리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8132A KR20230108132A (ko) 2023-07-18
KR102649575B1 true KR102649575B1 (ko) 2024-03-20

Family

ID=874235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3549A KR102649575B1 (ko) 2022-01-10 2022-01-10 위치 정보 기억 기반 출입 관리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957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24538A (ja) * 2003-10-27 2005-05-19 Sorimachi Kk 農作業記録自動化システム
WO2017164009A1 (ja) 2016-03-24 2017-09-28 日本電気株式会社 営農支援システム、営農支援方法、制御装置、通信端末、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が記録された記録媒体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5554A (ko) * 2016-10-26 2018-05-04 주식회사 케이티 프로파일 기반 영농일지 생성 방법, 그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24538A (ja) * 2003-10-27 2005-05-19 Sorimachi Kk 農作業記録自動化システム
WO2017164009A1 (ja) 2016-03-24 2017-09-28 日本電気株式会社 営農支援システム、営農支援方法、制御装置、通信端末、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が記録された記録媒体
JP6973375B2 (ja) * 2016-03-24 2021-11-24 日本電気株式会社 制御装置、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8132A (ko) 2023-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55760B2 (en) Digital visualization of periodically updated in-season agricultural prescriptions
US1017156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loud-based agricultural data processing and management
US981351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efficiently generating a geospatial data map for use in agricultural operations
Aggarwal et al. Importance of considering technology growth in impact assessments of climate change on agriculture
CN113228055B (zh) 配置和利用卷积神经网络以识别植物病害的方法和介质
US11257172B2 (en) Cognitive based decision support system for agriculture
CA3081022C (en) Hybrid seed selection and seed portfolio optimization by field
US10772269B2 (en) Predicting crop productivity via intervention planning on small-scale farms
CN205334168U (zh) 基于大数据病虫害监测预警系统
CA3169756A1 (en) Hybrid seed selection and seed portfolio optimication by field
US20160247082A1 (en) Crop Model and Prediction Analytics System
Wang et al. Major forest increase on the Loess Plateau, China (2001–2016)
AU2017310240A1 (en) Delineating management zones based on historical yield maps
Liu Understanding cotton cultivation dynamics in Aksu Oases (NW China) by reconstructing change trajectories using multi-temporal Landsat and Sentinel-2 data
Chauhan Advantages and challeging in E Agriculture
KR102649575B1 (ko) 위치 정보 기억 기반 출입 관리 장치 및 방법
Jagyasi et al. Event based experiential computing in agro-advisory system for rural farmers
Minn et al. Detection of foreclosure-related landscape management changes using Landsat
Nitin et al. Use of mobile apps and software systems for retrieving and disseminating information on pest and disease management
Gilani et al. Improving financial condition of small scale farmers through mobile based crop suggestion services
Pramitha et al. Mobile Technology for Smart Agriculture: Deployment Case for Pearl Millet Disease Detection
Sreenivasa et al. The AgroCart Android Application to Manage Agriculture System
Welte et al. Structure, Features, and Benefits of the Open Ag Toolkit Approach to Farm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s
Ofori-Kyereh et al. Constraints on farmers’ adaptive capacity to climate variability and change
US20240152786A1 (en) System and method for agricultural data comparis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