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5554A - 프로파일 기반 영농일지 생성 방법, 그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프로파일 기반 영농일지 생성 방법, 그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5554A
KR20180045554A KR1020160140029A KR20160140029A KR20180045554A KR 20180045554 A KR20180045554 A KR 20180045554A KR 1020160140029 A KR1020160140029 A KR 1020160140029A KR 20160140029 A KR20160140029 A KR 20160140029A KR 20180045554 A KR20180045554 A KR 201800455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file
greenhouse
crop
log
cultiv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00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장성
최성옥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601400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45554A/ko
Publication of KR201800455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55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2Agriculture; Fishing; Forestry; Min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3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unstructured textual data
    • G06F16/33Querying
    • G06F16/335Filtering based on additional data, e.g. user or group profiles
    • G06F16/337Profile generation, learning or modification
    • G06F17/30702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농일지 생성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기 구축된 온실 프로파일 및 작물 프로파일 기반으로 영농일지를 생성하는 방법, 그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단말이 사용자가 선택한 온실 프로파일 및 작물 프로파일을 서버로 요청하는 단계;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온실 프로파일 및 작물 프로파일을 포함하는 영농일지 프로파일을 수신하는 단계; 및 수신한 영농일지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영농일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온실 프로파일은, 온실의 위치, 형태, 크기, 재질, 재배 형태, 토질, 센서 및 설비장치 항목을 포함하고, 상기 작물 프로파일은, 작물의 종류, 상기 작물의 재배 단계, 상기 재배 단계별 기간, 상기 재배 단계별 생육 상태 항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파일 기반 영농일지 생성 방법을 개시한다.

Description

프로파일 기반 영농일지 생성 방법, 그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FOR GENERATING FARMING-DIARY BASED ON PROFILE}
본 발명은 영농일지 생성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기 구축된 온실 프로파일 및 작물 프로파일 기반으로 영농일지를 생성하는 방법, 그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최근 농업과 IT 기술이 융합된 서비스들이 농가에 보급되고 있다. 이러한 서비스들에 의해 작물의 재배가 편리해지고, 작물의 수확량도 증가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작물을 재배하기 위한 비닐 하우스, 유리 하우스 등의 온실에는 작물의 재배 환경을 제어하기 위한 구동기 및 작물의 재배 환경을 감지하는 센서들이 설치되어 있으며, 온실 운영 장치를 통한 구동기 및 센서의 세밀한 제어로 작물의 재배 환경을 최적으로 유지시켜 주는 다양한 방법이 이용되고 있다.
사용자가 구동기 및 센서들을 어떻게 운영하느냐에 따라 작물의 품질이나 수확량에 차이가 많이 나고, 노동력 절감 효과에도 큰 도움을 주기 때문에 사용자가 온실을 운영하는 방법에 관한 노하우을 쌓는 부분으로써, 영농일지 작성이 매우 중요하다.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영농일지를 작성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온실 운영 장치에서 제공되는 영농일지 양식을 그대로 사용하여 영농일지에 포함된 항목에 관련 정보를 직접 입력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일반적인 영농일지 입력 방식은 온실 운영 장치가 제공하는 양식대로만 입력할 수 있으며, 온실을 운영하는 사용자가 그 외 원하는 입력 항목을 선택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일반적인 영농일지 입력 방식은 영농일지의 항목에 포함된 관련 정보의 기재를 누락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영농일지 작성을 위한 온실 프로파일 및 작물 프로파일을 미리 구축하여 두고, 온실을 운영하는 사용자가 자신의 온실 및 재배하고자 하는 작물에 기초하여 기 구축된 온실 프로파일 및 작물 프로파일을 선택함으로써 작물 재배에 필요한 영농일지 항목을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프로파일 기반 영농일지 생성 방법은,
단말이 사용자가 선택한 온실 프로파일 및 작물 프로파일을 서버로 요청하는 단계;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온실 프로파일 및 작물 프로파일을 포함하는 영농일지 프로파일을 수신하는 단계; 및 수신한 영농일지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영농일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온실 프로파일은, 온실의 위치, 형태, 크기, 재질, 재배 형태, 토질, 센서 및 설비장치 항목을 포함하고, 상기 작물 프로파일은, 작물의 종류, 상기 작물의 재배 단계, 상기 재배 단계별 기간, 상기 재배 단계별 생육 상태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요청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온실 프로파일 및 작물 프로파일의 일부 항목을 선택받는 단계; 및 선택받은 일부 항목에 기초하여 온실 프로파일 및 작물 프로파일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온실 프로파일 및 작물 프로파일 각각에 있어서, 선택된 일부 항목을 수치화한 값이 소정의 기준값 이상인 온실 프로파일 및 작물 프로파일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요청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온실 프로파일 및 작물 프로파일 중 어느 하나를 선택받는 단계; 및 선택된 온실 프로파일 또는 작물 프로파일과 매칭이 가능한 상기 온실 프로파일 또는 작물 프로파일만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영농일지 프로파일을 수신하는 단계는, 서로 다른 온실 프로파일 및 작물 프로파일이 매칭된 복수의 영농일지 프로파일을 수신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방법은, 온실의 센서에서 측정된 온실 내 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영농일지를 작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프로파일 기반 영농일지 생성 방법은,
서버가 제1 단말로부터 온실 프로파일 및 작물 프로파일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생성 정보를 수신하여 영농일지 프로파일 DB를 구축하는 단계; 제2 단말로부터 사용자가 선택한 온실 프로파일 및 작물 프로파일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영농일지 프로파일 DB에서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온실 프로파일 및 작물 프로파일을 포함하는 영농일지 프로파일을 결정하고, 그에 기초하여 영농일지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생성된 영농일지를 상기 제2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온실 프로파일은, 온실의 위치, 형태, 크기, 재질, 재배 형태, 토질, 센서 및 설비장치 항목을 포함하고, 상기 작물 프로파일은, 작물의 종류, 상기 작물의 재배 단계, 상기 재배 단계별 기간, 상기 재배 단계별 생육 상태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영농일지 프로파일 DB를 구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단말이 온실의 센서로부터 획득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영농일지 프로파일 DB의 온실 프로파일을 구축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방법은, 상기 제2 단말로부터 작성된 영농일지를 수신하여 재배 노하우 DB를 구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프로파일 기반 영농일지 생성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온실 프로파일 및 작물 프로파일을 선택받는 입력부; 서버로 사용자가 선택한 온실 프로파일 및 작물 프로파일 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선택한 온실 프로파일 및 작물 프로파일을 포함하는 영농일지 프로파일을 수신하는 통신부; 수신된 영농일지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영농일지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생성된 영농일지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며,
상기 온실 프로파일은, 온실의 위치, 형태, 크기, 재질, 재배 형태, 토질, 센서 및 설비장치 항목을 포함하고, 상기 작물 프로파일은, 작물의 종류, 상기 작물의 재배 단계, 상기 재배 단계별 기간, 상기 재배 단계별 생육 상태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프로파일 기반 영농일지 생성 장치는,
영농일지 프로파일 DB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단말로부터 사용자가 선택한 온실 프로파일 및 작물 프로파일 요청을 수신하고, 생성된 영농일지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통신부; 및 상기 영농일지 프로파일 DB에서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온실 프로파일 및 작물 프로파일을 포함하는 영농일지 프로파일을 결정하고, 그에 기초하여 영농일지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온실 프로파일은, 온실의 위치, 형태, 크기, 재질, 재배 형태, 토질, 센서 및 설비장치 항목을 포함하고, 상기 작물 프로파일은, 작물의 종류, 상기 작물의 재배 단계, 상기 재배 단계별 기간, 상기 재배 단계별 생육 상태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기존의 정형화된 영농일지와 다르게 온실 조건 및 작물 종류에 따른 맞춤형 영농일지 작성이 가능하다.
또한, 온실 프로파일 및 작물 프로파일을 미리 구축해두고, 사용자는 필요한 프로파일을 불러와 이용할 수 있으므로 영농일지 생성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상세한 설명의 일부로 포함되는, 첨부도면은 본 발명에 대한 실시예를 제공하고,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프로파일 기반 영농일지를 생성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프로파일 기반 영농일지 생성 방법의 순서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프로파일 기반 영농일지 생성 방법의 순서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프로파일 기반 영농일지 생성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프로파일 기반 영농일지 생성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이하에서는 특정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기초로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하의 실시예는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방법, 장치 및/또는 시스템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기술하기 위한 것이며, 결코 제한적이어서는 안 된다. 명확하게 달리 사용되지 않는 한, 단수 형태의 표현은 복수 형태의 의미를 포함한다. 본 설명에서, "포함" 또는 "구비"와 같은 표현은 어떤 특성들, 숫자들, 단계들, 동작들, 요소들,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을 가리키기 위한 것이며, 기술된 것 이외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성, 숫자, 단계, 동작, 요소,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의 존재 또는 가능성을 배제하도록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로파일 기반 영농일지 작성 방법, 그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예시적인 실시 형태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프로파일 기반 영농일지를 생성하기 위한 시스템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프로파일 기반 영농일지 생성 시스템은 사용자의 단말(100), 서버(200) 및 온실(3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각 구성을 연결하는 통신 네트워크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단말(100)은 농장주(사용자)로부터 온실 프로파일 및 작물 프로파일을 선택받아 해당 정보를 서버(200)로 요청하고, 상기 서버(200)로부터 수신한 온실 프로파일 및 작물 프로파일을 이용하여 영농일지를 생성하고,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단말(100)은 사용자가 영농일지를 작성하기 위한 통신 단말기로서, 응용 프로그램을 통해 상당 부분 기능을 변경하거나 확장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공급되는 PC 등의 고정형 단말기를 포함할 수도 있고 태블릿 PC, 랩톱(laptop), 스마트폰(smart phone), 개인휴대용 정보 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서버(200)는 상기 온실 프로파일 및 작물 프로파일을 포함하는 영농일지 프로파일 DB를 저장하고, 상기 영농일지 프로파일 DB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온실 프로파일 및 작물 프로파일을 결정할 수 있다. 이후, 결정한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영농일지를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의 단말(100)로 상기 영농일지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200)는 데이터 연산 처리, 데이터 송수신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기능이 제한되어 있지 않으며 응용 프로그램을 통해 상당 부분 기능을 변경하거나 확장할 수 있는 전자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물리적 서버로 구현될 수도 있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복수의 물리적 서버로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온실(300)은 일정 공간에서 작물을 재배하기 위해 설치된 시설물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비닐 하우스, 유리 하우스 또는 식물 공장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온실(300)에는 작물의 재배 환경을 제어하기 위한 다양한 종류의 설비장치가 설치될 수 있다. 설비장치는 온실(300) 내의 환경을 조절하고 측정하는 장치로서, 예를 들어, 천창, 측창, 차광막, 보일러, 냉난방기, 스프링쿨러, 양액기 및 이산화탄소 발생기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온실(300)에는 온실(300) 내의 환경을 감지하는 다양한 종류의 센서들이 설치될 수 있다. 센서는 예를 들어, 카메라, 풍속 센서, 풍향 센서, 광도 센서, 이산화탄소 농도 센서, 온도 센서 및 습도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설비장치 및 센서 중 일부는 상기 단말(100)과 데이터 송수신을 할 수 있는 통신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통신 네트워크는 상기 서버(200)와 단말(100)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매개하며, 유선 네트워크와 무선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근거리 네트워크(LAN: Local Area Network), 도시권 네트워크(MAN: Metropolitan Area Network), 광역 네트워크(WAN: Wide Area Network) 등 다양한 통신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프로파일 기반 영농일지 생성 방법의 순서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프로파일 기반 영농일지 생성 방법은 단말(100)이 영농일지 프로파일을 선택 및 요청하는 단계(S110), 영농일지 프로파일을 수신하는 단계(S120) 및 영농일지를 생성하는 단계(S130)를 포함할 수 있다.
S110 단계에서, 단말(100)은 사용자(농장주)로부터 온실 프로파일 및 작물 프로파일을 선택받고, 해당 온실 프로파일 및 작물 프로파일 정보를 서버(200)로 요청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사용자는 본인이 운영하고 관리하는 온실 및 작물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100)에 표시되는 하나 이상의 온실 프로파일 및 작물 프로파일을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온실 프로파일은, 온실의 위치, 형태, 크기, 재질, 재배 형태, 토질, 센서 및 설비장치 등의 항목을 포함하고, 상기 작물 프로파일은, 작물의 종류, 상기 작물의 재배 단계, 상기 재배 단계별 기간, 상기 재배 단계별 생육 상태 등을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사용자가 각 프로파일을 쉽게 식별하고 선택할 수 있도록 각 프로파일은 이름이나 작성자 정보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온실 프로파일 및 작물 프로파일을 구축하는 방법은 추후에 상세히 설명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온실 A에서 작물 A를 재배하기 위하여 영농일지를 생성하는 상황이고, 상기 작물 A는 온도 및 광량에 민감하고, 이산화탄소 농도에는 거의 영향을 받지 않는 작물이며, 상기 온실 A에는 온도, 광량 및 이산화탄소 농도 센서가 설치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이 경우, 사용자가 온실 프로파일 및 작물 프로파일을 선택하는 단계(S110)에서 복수의 온실 프로파일 및 작물 프로파일 중 온도, 광량 및 이산화탄소 농도 센서가 포함되어 있는 온실 프로파일과 작물 A에 대한 작물 프로파일을 각각 선택할 수 있다.
다만, 온실 프로파일 및 작물 프로파일의 이름이나 요약만으로 세부 정보를 사용자가 확인하는 것이 어려운 경우에는, 사용자가 직접 온실 프로파일 및 작물 프로파일 자체를 선택하지 않고 온실 프로파일에 포함되는 일부 항목 및 작물 프로파일에 포함되는 일부 항목 만을 선택할 수도 있다. 선택된 상기 일부 항목을 수치화하고 소정의 기준값 이상인 온실 프로파일 및 작물 프로파일이 선택되는 것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단말(100)은 사용자가 온실 프로파일 및 작물 프로파일 중 어느 하나를 먼저 선택하면, 상기 사용자가 선택된 온실 프로파일 또는 작물 프로파일과 매칭이 가능한 상기 온실 프로파일 또는 작물 프로파일만을 표시할 수도 있다. 이는, 사용자가 선택한 온실 프로파일은 '수경 재배'만을 위한 온실인데 작물 프로파일은 토경 재배 식물인 '감자'인 경우, 양자의 결합에 의한 영농일지 생성은 무의미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하나의 온실에 하나의 작물을 재배하는 경우뿐만 아니라, 복수의 온실에 서로 다른 작물을 재배하는 경우, 하나의 온실을 구분하여 다른 작물을 재배하는 경우 등에도 사용자로부터 복수의 온실 프로파일 및 작물 프로파일을 선택받는 방법으로 본 단계(S110)를 수행할 수 있다.
S120 단계에서는 상기 서버(200)로부터, 사용자가 선택한 온실 프로파일 및 작물 프로파일을 포함하는 영농일지 프로파일을 수신할 수 있다.
S130 단계에서는 수신한 영농일지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실제 사용자가 작성하게 되는 영농일지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단말(100)은 상기 서버(200)로부터 수신한 영농일지 프로파일에 포함된 온실 프로파일 및 작물 프로파일의 각 정보를 결합하여, 사용자가 재배하고자 하는 작물의 영농일지 작성에 필요한 항목만을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온실 A에 대한 온실 프로파일 및 작물 A에 대한 작물 프로파일의 각 정보를 결합하면, 온도 항목 및 광량 항목을 필수적으로 포함하는 영농일지가 생성될 수 있다. 상기 작물 A는 이산화탄소 농도에는 거의 영향을 받지 않으므로 이산화탄소 농도 항목은 없거나, 상기 온도 항목 및 광량 항목에 비하여 현저히 긴 주기로 체크할 수 있도록 영농일지를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영농일지의 작성은, 사용자가 직접 단말(100)에 입력하는 방법으로 작성될 수도 있고, 온실의 센서에서 측정된 온실 내 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자동으로 작성될 수도 있다. 나아가, 작성된 영농일지 정보는 상기 서버(200)로 다시 전송되어 다른 사용자의 작물 재배를 위한 자료로 제공될 수도 있다.
영농일지를 작성함에 있어서, 온실 프로파일 및 작물 프로파일을 미리 구축하여두고, 사용자가 그 중에서 자신이 필요한 프로파일을 각각 선택하고, 그에 기초하여 영농일지를 생성 및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영농일지의 각 항목을 일일이 선택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고, 필요한 항목이 누락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프로파일 기반 영농일지 생성 방법의 순서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프로파일 기반 영농일지 생성 방법은 서버(200)가 영농일지 프로파일 DB를 구축하는 단계(S210), 온실 프로파일 및 작물 프로파일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S220), 영농일지를 생성하는 단계(S230)를 포함할 수 있다.
S210 단계에서 서버(200)는 제1 단말(100)로부터 온실 프로파일 및 작물 프로파일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생성 정보를 수신하여 영농일지 프로파일 DB를 구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단말(100)을 이용하여 온실의 위치, 크기, 형태, 재질, 재배 형태, 토질, 센서 및 설비 장치 등의 항목을 입력하여 온실 프로파일을 생성할 수 있고, 작물의 종류, 상기 작물의 재배 단계, 상기 재배 단계별 기간, 상기 재배 단계별 생육 상태 등의 항목을 입력하여 작물 프로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다른 사용자가 각 프로파일을 쉽게 식별하고 선택할 수 있도록, 각 프로파일은 이름이나 작성자 정보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온실 프로파일은 사용자가 온실 프로파일 명칭을 입력하고, 온실의 형태(비닐/유리)를 선택하고, 온실의 크기(단동/연동)를 선택하고, 재배 형태(수경/토경)을 선택하고, 온실에 설치된 센서의 종류(온도/습도/EC/PH 등)를 선택하고, 기타 정보(온실 설립연도 등)를 선택하는 방법으로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작물 프로파일은 작물의 종류를 선택하고, 작물 재배 단계를 선택하고, 각 재배 단계별 기간을 입력하고, 각 재배 단계별 필요한 생육 상태 항목을 선택하고, 기타 정보를 선택하는 방법으로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기본 작물의 정보는 농촌진흥청, 농협 등의 기관으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이용할 수도 있다.
S220 단계에서는 제2 단말(100)로부터 온실 프로파일 및 작물 프로파일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프로파일을 생성하는 사용자와 기 생성된 프로파일을 이용하는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하여 제1 단말, 제2 단말로 구분하였으나 양자는 동일한 단말, 동일한 사용자 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S230 단계에서는 기 구축되어 있는 영농일지 프로파일 DB에서 상기 제2 단말(100)로부터 수신한 온실 프로파일 및 작물 프로파일 정보에 기초하여 영농일지 프로파일을 결정하고, 그에 기초하여 영농일지를 생성할 수 있다. 영농일지 생성에 대해서는 상기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영농일지 생성 단계(S130)에서 이미 설명한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S240 단계에서는 생성된 영농일지를 상기 제2 단말(100)로 전송하여, 사용자가 상기 제2 단말(100)을 이용하여 영농일지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한다.
나아가, 상기 제2 단말(100)로부터 작성 완료된 영농일지를 수신하여 재배 노하우 DB를 구축할 수도 있다. 상기 재배 노하우 DB의 작성 완료된 영농일지에는 각 영농일지의 항목별 기재사항뿐만 아니라 작물 수확량, 기타 애로사항 등도 포함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프로파일 기반 영농일지 생성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프로파일 기반 영농일지 생성 장치(단말)(100)는 입력부(110), 통신부(120), 제어부(130) 및 표시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본 발명에 따른 영농일지를 생성할 수 있는 응용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입력부(110)는 사용자로부터 온실 프로파일 및 작물 프로파일을 선택받을 수 있다. 상기 입력부(110)는 키보드, 마우스, 터치 패드, 터치 디스플레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20)는 서버(200)로 사용자가 선택한 온실 프로파일 및 작물 프로파일 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선택한 온실 프로파일 및 작물 프로파일을 포함하는 영농일지 프로파일을 수신할 수 있다. 나아가, 사용자에 의하여 작성 완료된 영농일지를 상기 서버(2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제어부(130)는 수신된 영농일지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영농일지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130)는 영농일지 프로파일에 포함된 온실 프로파일 및 작물 프로파일의 각 정보를 결합하여, 사용자가 재배하고자 하는 작물의 영농일지 작성에 필요한 항목만을 산출할 수 있다.
표시부(140)는 사용자가 온실 프로파일 및 작물 프로파일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파일 리스트 및 상기 제어부(130)에서 생성된 영농일지를 표시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프로파일 기반 영농일지 생성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프로파일 기반 영농일지 생성 장치(서버)(200)는 메모리부(210), 통신부(220) 및 제어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메모리부(210)는 온실 프로파일 및 작물 프로파일을 포함하는 영농일지 프로파일 DB를 저장할 수 있다.
통신부(220)는 단말(100)로부터 사용자가 선택한 온실 프로파일 및 작물 프로파일 요청을 수신하고, 생성된 영농일지를 상기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영농일지 프로파일 DB를 구축하기 위한 단말(100)로부터 온실 프로파일 및 작물 프로파일 생성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제어부(230)는 상기 영농일지 프로파일 DB에서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온실 프로파일 및 작물 프로파일을 포함하는 영농일지 프로파일을 결정하고, 그에 기초하여 영농일지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가능하고, 작성된 프로그램은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 및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면, 인터넷을 통한 전송)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기재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단말
200: 서버
300: 온실

Claims (12)

  1. 영농일지 생성 방법에 있어서,
    단말이 사용자가 선택한 온실 프로파일 및 작물 프로파일을 서버로 요청하는 단계;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온실 프로파일 및 작물 프로파일을 포함하는 영농일지 프로파일을 수신하는 단계; 및
    수신한 영농일지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영농일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온실 프로파일은, 온실의 위치, 형태, 크기, 재질, 재배 형태, 토질, 센서 및 설비장치 항목을 포함하고,
    상기 작물 프로파일은, 작물의 종류, 상기 작물의 재배 단계, 상기 재배 단계별 기간, 상기 재배 단계별 생육 상태 항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파일 기반 영농일지 생성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온실 프로파일 및 작물 프로파일의 일부 항목을 선택받는 단계; 및
    선택받은 일부 항목에 기초하여 온실 프로파일 및 작물 프로파일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파일 기반 영농일지 생성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온실 프로파일 및 작물 프로파일 각각에 있어서, 선택된 일부 항목을 수치화한 값이 소정의 기준값 이상인 온실 프로파일 및 작물 프로파일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파일 기반 영농일지 생성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온실 프로파일 및 작물 프로파일 중 어느 하나를 선택받는 단계; 및
    선택된 온실 프로파일 또는 작물 프로파일과 매칭이 가능한 상기 온실 프로파일 또는 작물 프로파일만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파일 기반 영농일지 생성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농일지 프로파일을 수신하는 단계는,
    서로 다른 온실 프로파일 및 작물 프로파일이 매칭된 복수의 영농일지 프로파일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파일 기반 영농일지 생성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온실의 센서에서 측정된 온실 내 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영농일지를 작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파일 기반 영농일지 생성 방법.
  7. 영농일지 생성 방법에 있어서,
    서버가 제1 단말로부터 온실 프로파일 및 작물 프로파일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생성 정보를 수신하여 영농일지 프로파일 DB를 구축하는 단계;
    제2 단말로부터 사용자가 선택한 온실 프로파일 및 작물 프로파일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영농일지 프로파일 DB에서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온실 프로파일 및 작물 프로파일을 포함하는 영농일지 프로파일을 결정하고, 그에 기초하여 영농일지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생성된 영농일지를 상기 제2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온실 프로파일은, 온실의 위치, 형태, 크기, 재질, 재배 형태, 토질, 센서 및 설비장치 항목을 포함하고,
    상기 작물 프로파일은, 작물의 종류, 상기 작물의 재배 단계, 상기 재배 단계별 기간, 상기 재배 단계별 생육 상태 항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파일 기반 영농일지 생성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영농일지 프로파일 DB를 구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단말이 온실의 센서로부터 획득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영농일지 프로파일 DB의 온실 프로파일을 구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파일 기반 영농일지 생성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2 단말로부터 작성된 영농일지를 수신하여 재배 노하우 DB를 구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파일 기반 영농일지 생성 방법.
  10.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의 프로파일 기반 영농일지 생성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11. 사용자로부터 온실 프로파일 및 작물 프로파일을 선택받는 입력부;
    서버로 사용자가 선택한 온실 프로파일 및 작물 프로파일 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선택한 온실 프로파일 및 작물 프로파일을 포함하는 영농일지 프로파일을 수신하는 통신부;
    수신된 영농일지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영농일지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생성된 영농일지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며,
    상기 온실 프로파일은, 온실의 위치, 형태, 크기, 재질, 재배 형태, 토질, 센서 및 설비장치 항목을 포함하고,
    상기 작물 프로파일은, 작물의 종류, 상기 작물의 재배 단계, 상기 재배 단계별 기간, 상기 재배 단계별 생육 상태 항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파일 기반 영농일지 생성 장치.
  12. 영농일지 프로파일 DB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단말로부터 사용자가 선택한 온실 프로파일 및 작물 프로파일 요청을 수신하고, 생성된 영농일지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통신부; 및
    상기 영농일지 프로파일 DB에서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온실 프로파일 및 작물 프로파일을 포함하는 영농일지 프로파일을 결정하고, 그에 기초하여 영농일지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온실 프로파일은, 온실의 위치, 형태, 크기, 재질, 재배 형태, 토질, 센서 및 설비장치 항목을 포함하고,
    상기 작물 프로파일은, 작물의 종류, 상기 작물의 재배 단계, 상기 재배 단계별 기간, 상기 재배 단계별 생육 상태 항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파일 기반 영농일지 생성 장치.
KR1020160140029A 2016-10-26 2016-10-26 프로파일 기반 영농일지 생성 방법, 그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2018004555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0029A KR20180045554A (ko) 2016-10-26 2016-10-26 프로파일 기반 영농일지 생성 방법, 그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0029A KR20180045554A (ko) 2016-10-26 2016-10-26 프로파일 기반 영농일지 생성 방법, 그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5554A true KR20180045554A (ko) 2018-05-04

Family

ID=621993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0029A KR20180045554A (ko) 2016-10-26 2016-10-26 프로파일 기반 영농일지 생성 방법, 그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45554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4072A (ko) * 2018-07-31 2020-02-10 주식회사 스마트바이오팜 작물 재배 장치
KR20200014073A (ko) * 2018-07-31 2020-02-10 주식회사 스마트바이오팜 수족관이 구비된 작물 재배 장치
KR20200014071A (ko) * 2018-07-31 2020-02-10 주식회사 스마트바이오팜 작물 재배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KR20200071706A (ko) * 2020-05-28 2020-06-19 주식회사 스마트바이오팜 투명 수조를 포함하는 작물 재배 장치
KR20200071705A (ko) * 2020-05-28 2020-06-19 주식회사 스마트바이오팜 복수의 재배모듈을 포함하는 작물 재배 장치
KR20230108132A (ko) * 2022-01-10 2023-07-18 라온피플 주식회사 위치 정보 기억 기반 출입 관리 장치 및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4072A (ko) * 2018-07-31 2020-02-10 주식회사 스마트바이오팜 작물 재배 장치
KR20200014073A (ko) * 2018-07-31 2020-02-10 주식회사 스마트바이오팜 수족관이 구비된 작물 재배 장치
KR20200014071A (ko) * 2018-07-31 2020-02-10 주식회사 스마트바이오팜 작물 재배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KR20200071706A (ko) * 2020-05-28 2020-06-19 주식회사 스마트바이오팜 투명 수조를 포함하는 작물 재배 장치
KR20200071705A (ko) * 2020-05-28 2020-06-19 주식회사 스마트바이오팜 복수의 재배모듈을 포함하는 작물 재배 장치
KR20230108132A (ko) * 2022-01-10 2023-07-18 라온피플 주식회사 위치 정보 기억 기반 출입 관리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45554A (ko) 프로파일 기반 영농일지 생성 방법, 그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Reynolds et al. CropSight: a scalable and open-source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for distributed plant phenotyping and IoT-based crop management
Musat et al. Advanced services for efficient management of smart farms
US2017025742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loud-Based Agricultural Data Processing and Management
AU2011353515B2 (en) Methods for generating soil maps and application prescriptions
US20160247082A1 (en) Crop Model and Prediction Analytics System
Arun et al. Agricultural management using wireless sensor networks-a survey.
AU2017225697A1 (en) Devices and methods for planning and monitoring agricultural crop growing
JP5617601B2 (ja) 農薬または肥料の使用履歴管理システム
EP2769320A1 (en) Programmable plant system
JP2016162347A (ja) 栽培計画管理システム及び方法
Akhilesh et al. A study on impact of technology intervention in the field of agriculture in India
Vargas-Rojas et al. Unlocking the potential of soil organic carbon: a feasible way forward
Arun Kumar et al. Review on implementation of IoT for environmental condition monitoring in the agriculture sector
KR102010413B1 (ko) 반려식물 케어에 기반한 커뮤니티 서비스 시스템
JP2018163606A (ja) 生産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生産情報処理方法
WO2014054467A1 (ja) 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情報処理装置及び端末装置
Ye et al. Design of farmland environment remote monitoring system based on zigbee wireless sensor network
JP2017163955A (ja) 生育管理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210147169A (ko) 실내 조경 관리 시스템, 서버 및 방법
CN117251640B (zh) 培育方案推荐平台的生成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Thomas Therapeutic horticulture deserves wider implementation
JP2014089544A (ja) 流動農地シミュレーション装置
Pushparajah Cultivation of oil palm in marginal areas-a revisit.
Sladojevic et al. One solution of web application for data acquisition from remote sensing devi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