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8757B1 - 헤드와 샤프트의 결합 내구성이 우수한 파크골프채의 결합구조 - Google Patents

헤드와 샤프트의 결합 내구성이 우수한 파크골프채의 결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8757B1
KR102648757B1 KR1020220006479A KR20220006479A KR102648757B1 KR 102648757 B1 KR102648757 B1 KR 102648757B1 KR 1020220006479 A KR1020220006479 A KR 1020220006479A KR 20220006479 A KR20220006479 A KR 20220006479A KR 102648757 B1 KR102648757 B1 KR 1026487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head
bolt
adhesive
golf clu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64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10927A (ko
Inventor
백창현
Original Assignee
백창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창현 filed Critical 백창현
Priority to KR10202200064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8757B1/ko
Publication of KR202301109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09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87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875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2Joint structures between the head and the shaf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2/00Application o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to the sporting activity ; particular sports involving the use of balls and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2102/32Gol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olf Club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헤드와 샤프트로 구성되는 파크골프채에 있어서, 헤드(10) 내부에 형성되는 결합공간부(11)와, 헤드(10) 저면으로부터 삽입되고 결합공간부(11) 내로 돌출하는 볼트(30)와, 볼트(30)의 머리부에 형성되어 볼트(30)가 유동하지 않도록 고정시켜주는 제1접착부(40a)와, 샤프트(20) 내에 일체로 형성되고 중앙에 관통공(20b)이 뚫려있는 걸림고정부(20a)와, 헤드(10)와 샤프트(20)를 결합하기 전에 결합공간부(11) 내에 부어 넣어 형성하는 제2접착부(40b)와, 샤프트(20)르르 결합공간부(11) 삽입하고 볼트(30)가 걸림고정부(20a)의 관통공(20b)을 관통하여 걸림고정부(20a) 위로 돌출되게 하고 돌출된 볼트(30)에 너트(30a)를 체결하고 샤프트(20) 삽입으로 제2접착부(40b)의 접착제가 볼트(30)와 관통공(20b) 사이로 밀려 올라가 걸림고정부(20a) 위에 형성하는 제3접착부(40c)와, 제2접착부(40b)의 접착제가 결합공간부(11) 내벽과 샤프트(20) 외면 사이로도 밀려올라가 형성하는 제4접착부(40d)로 구성되는 것이다.

Description

헤드와 샤프트의 결합 내구성이 우수한 파크골프채의 결합구조{PARK GOLF CLUB WITH EXCELLENT COUPLING DURABILITY BETWEEN HEAD AND SHAFT}
본 발명은 파크골프용 파크골프채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파크골프채의 헤드와 샤프트가 견고하게 조립되어 결합 내구성이 우수하도록 한 파크골프채의 결합구조 및 그 결합방법에 관한 것이다.
파크골프(Park Golf)는 공원과 같은 비교적 작은 공간에서 누구나 쉽게 즐길 수 있도록 한 생활스포츠이다.
정규골프는 매우 넓은 공간을 필요로 하고 비거리에 따른 여러개의 골프채로 된 비싼 장비를 구입해야하며, 또한 골프장은 입장료, 캐디 수수료 등의 사용비용도 상당하여 누구나 쉽게 할 수 있는 운동이라 할 수 없는 것이다.
이에 비하여 파크골프는 비교적 작은 넓이의 잔디밭 위에서 골프와 비슷한 경기방식으로 경기하되 상대적으로 값싼 한개의 골프채와 공만 있으면 경기가 가능하고 골프장 입장료, 캐디 수수료 등의 비용이 소요되지 않고 별도의 사전훈련없이도 바로 경기할 수 있어 누구가 쉽게 즐길 수 있는 운동이면서 잔디위에서 경기한다는 점, 티박스(Tee box)에서 친공이 가능한 적은 타수로 홀컵(Hall cup)에 들어가도록 해야한다는 점 등이 골프와 같아 흥미로우므로 생활체육으로 많이 권장되고 있는 스포츠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파크골프용 파크골프채에 관한 것이다.
파크골프채는 일반적으로 목재 헤드와 카본 샤프트로 구성되고 샤프트는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된 관체이다.
파크골프는 샤프트의 헤드가 공을 강하게 치면서 공을 원하는 방향과 거리만큼 보내야 하는 운동이므로 경기중 헤드에는 충격과 진동이 반복적으로 가해지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충격과 진동에도 헤드와 샤프트의 결합이 견고하여 헤드가 유동하거나 흔들리지 않아야 오래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헤드와 샤프트의 결합방법은 샤프트 외면과 헤드에 형성한 결합용 구멍 내면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샤프트를 구멍에 끼워 넣어 고정하는 단순 접착고정방식으로 결합하였기 때문에 충격과 진동에 강하지 못해 오래 사용할 수 없는 문제가 있는 것이었다.
또한 종래 특허 제1978438호, '등산스틱 겸용이 가능한 파크골프채'(이하 '선행기술'이라 함)가 있다.
이 선행기술은 헤드와 샤프트의 결합과 분리를 용이하도록 하여 어느 하나의 구성이 손상되면 손상된 부위만을 교체할 수 있고 파크골프채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헤드 대신 스틱팁을 결합하여 등산용 스틱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선행기술은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킨 장점이 있는 것이나 결합의 견고성을 향상시킨 것이라 할 수 없는 것이다.
즉, 선행기술은 헤드와 샤프트를 결합함에 있어 헤드의 저부로부터 돌출하는 볼트가 조립모듈의 나사공과 결합체결하는 구성으로서 조립모듈의 결합홈에 삽입하는 샤프트가 다른 고정수단없이 종래와 같이 접착제 고정수단에 의하고 헤드의 체결홈에 삽입하는 조립모듈 역시 접착제 고정수단에 의하는 것으로서 견고성이 향상되었다 할 수가 없고 샤프트가 관체이므로 볼트가 나사공에 체결되어 조립모듈과는 결합되나 샤프트와 결합되는 구성이 아니고 나아가 샤프트 회전으로 헤드의 로프트 각도조절(70~72°)이 가능한 구성으로서 이러한 선행기술은 종래의 접착고정이상으로 견고한 결합구성이라 할 수 없어 오래 사용할 수 없는 내구성 부족문제를 해결하였다 할 수가 없는 것이다.
국내등록특허 제10-1978438호, '등산스틱 겸용이 가능한 파크골프채'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파크골프채를 조립함에 있어 헤드와 샤프트가 견고하게 결합되어 반복되는 타격에도 헤드가 쉽게 유동하거나 흔들리지 않도록 하는 내구성이 우수한 파크골프채의 결합구성 및 그 결합방법을 제공하는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헤드와 샤프트의 결합이 견고하도록 하는 샤프트의 구성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에 따른 본 발명은 헤드와 샤프트로 구성되는 파크골프채에 있어서, 헤드(10) 내부에 형성되는 결합공간부(11)와, 헤드(10) 저면으로부터 삽입되고 결합공간부(11) 내로 돌출하는 볼트(30)와, 볼트(30)의 머리부에 형성되어 볼트(30)가 유동하지 않도록 고정시켜주는 제1접착부(40a)와, 샤프트(20) 내에 일체로 형성되고 중앙에 관통공(20b)이 뚫려있는 걸림고정부(20a)와, 헤드(10)와 샤프트(20)를 결합하기 전에 결합공간부(11) 내에 부어 넣어 형성하는 제2접착부(40b)와, 샤프트(20)를 결합공간부(11)에 삽입하고 볼트(30)가 걸림고정부(20a)의 관통공(20b)을 관통하여 걸림고정부(20a) 위로 돌출되게 하고 돌출된 볼트(30)에 너트(30a)를 체결하고 샤프트(20) 삽입으로 제2접착부(40b)의 접착제가 볼트(30)와 관통공(20b) 사이로 밀려 올라가 걸림고정부(20a) 위에 형성하는 제3접착부(40c)와, 제2접착부(40b)의 접착제가 결합공간부(11) 내벽과 샤프트(20) 외면 사이로도 밀려올라가 형성하는 제4접착부(40d)와, 헤드(10)에 끼워지는 샤프트(20)의 외면에 설치되어 샤프트(20)에 가해지는 충격을 지지하기 위해 헤드(10)에 끼워지는 샤프트(20) 전체를 감싸도록 설치되는 지지부재(5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본 발명은 헤드(10) 저면으로부터 돌출한 볼트(30)가 샤프트(20) 내에 형성한 걸림수단과 너트(30a) 체결로 결합되게 하므로서 결합이 견고하여 계속되는 타격에도 헤드(10)가 유동하거나 흔들리지 않아 타격이 정확하고 오래 사용할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파크골프채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단면구성도,
도 3은 본 발명 샤프트의 단면구성도,
도 4는 본 발명 헤드의 단면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의 단면구성도,
도 6은 도 5의 샤프트 단면구성도.
도 7은 도 5의 헤드 단면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의 단면구성도,
도 9의 a~c는 본 발명 샤프트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것으로서,
도 9a는 제1 성형봉과 제2 성형봉이 결합된 상태도,
도 9b는 도 9a 상태에서 카본 섬유와 셀로판 테이프를 저면에 감은 상태 단면구성도,
도 9c는 성형이 완성된 본 발명 샤프트의 단면도,
도 9d는 제조가 완료된 카본 샤프트의 단면도,
도 10 내지 도 12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샤프트의 설치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목재 헤드(10)에 카본 샤프트(20)를 결합한 구성이고 샤프트(20)는 내부에 중공부를 가지는 관체이다.
또한 본 발명 샤프트(20)가 헤드(10)과 결합되는 부분에는 결합 부분의 샤프트(20)를 지지하는 금속재인 링형 지지부재(50)가 구성되고 공을 직접 타격하는 헤드(10)의 전면에는 카본페이스부재(12)가 결합되고 헤드(10)의 저면에는 헤드(10) 보호용 동판(13)이 결합된 구성으로서 이러한 구성들은 모두 통상적인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적 구성은 샤프트(20) 내에 걸림고정부(20a)를 일체로 형성하여 헤드(10) 저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볼트(30)가 걸림고정부(20a)의 중앙을 관통하여 걸림고정부(20a) 위로 돌출되게 하고 너트(30a)를 체결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2는 본 발명 헤드(10)와 샤프트(20)가 결합된 상태의 단면구성도이고, 도 3은 샤프트(20)의 단면도구성도이고, 도 4는 헤드(10)의 단면구성도이다.
도 3에 의하면 본 발명 샤프트(20)의 하부 내벽에는 볼트(30)가 관통하는 관통공(20b)이 중앙에 형성된 걸림고정부(20a)가 샤프트(20)의 내벽과 일체로 돌출형성되어 있다.
도 4에 의하면 헤드(10) 내부에는 샤프트(20)를 끼워 결합하는 결합공간부(11)가 형성되고 결합공간부(11)의 접시형 바닥면(11a)에는 볼트(30)가 관통하는 볼트구멍(11b)이 뚫려 있으며 볼트구멍(11b)은 볼트(30)를 끼우면 볼트(30) 머리가 헤드(10) 저면보다 약간 더 들어가도록 하여 오목부(11c)가 형성되게 하고 볼트(30)를 볼트구멍(11b)에 삽입한 후 오목부(11c)에 접착제를 채워 제1접착부(40a)를 형성하므로서 볼트(30)가 볼트구멍(11b)을 통하여 결합공간부(11)내로 돌출한 상태에서 제1접착부(40a)에 의해 고정되게 한다.
볼트(30)가 결합공간부(11) 내에 돌출한 상태로 고정되면 결합공간부(11)에 접착제를 부어 넣어 제2접착부(40b)를 형성한다.
제2접착부(40b)를 형성하기 위해 부어 넣은 접착제의 양은 샤프트(20)를 완전결합하면 경화되기 전의 접착제가 걸림고정부(20a) 위로 밀려 올라가 제3접착부(40c)를 형성할 만큼 대략 점선 표시의 A-A'선 높이만큼 부어 넣는다.
즉 결합 후 걸림고정부(20)가 위치하게 되는 곳보다 접착제의 높이가 더 높도록부어 넣어 걸림고정부(20) 저면의 압박으로 밀려 올라간 접착제가 제3접착부(40a)를 형성할 정도로 부어 넣는 것이다.
제2접착부(40b)의 접착제가 경화되기 전에 샤프트(20)를 헤드(10)의 결합공간부(11) 내에 완전 삽입하며 삽입시 결합공간부(11) 내에 돌출한 볼트(30)가 걸림고정부(20) 위로 돌출되게 한다.
샤프트(20)를 결합공간부(11) 내에 삽입하면 충분히 부어 넣은 제2접착부(40b)의 접착제가 볼트(30)와 관통공(20b) 사이의 틈과 샤프트(20)의 외면과 결합공간부(11)의 내벽 사이 작은 틈 사이로 밀려 올라와 걸림고정부(20a) 위에 제3접착부(40c)를 형성하고 샤프트(20) 외면과 결합공간부(11) 내벽 사이에도 접착제가 밀려올라가 채워지므로서 제4접착부(40d)가 형성된다.
이상태에서 걸림고정부(20a) 위로 돌출한 볼트(30)에 너트(30a)를 체결하여 죄어주고 접착제가 자연경화되게 하므로서 헤드(10)와 샤프트(20)가 견고하게 결합된다.
본 발명에서 볼트(30)의 상단부는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원추형으로 가공하여 끝이 뽀족하게 한다.
이는 너트(30a)의 체결이 신속용이하도록 하여 조립시간을 단축하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그러나 볼트(30)의 상단부를 반드시 원추형으로 가공하지 않아도 체결의 신속성이 떨어질 뿐 너트(30a) 체결이 가능하다.
너트(30a)의 체결은 손잡이가 긴 육각 드라이버와 같은 공구를 사용하여 체결한다.
본 발명에서 샤프트(20) 외면에 끼운 금속재의 링형 지지부재(50)를 샤프트(20)와 함께 결합공간부(11)의 상단 약간 넓게 형성된 곳에 삽입하여 접착고정되게 하므로서 결합부분의 샤프트(20)를 충격으로부터 지지하도록 하는 구성은 종래와 같으나 본 발명에서는 링형 지지부재(50) 외면에 둥근테 모양의 금속재 외장 커버(60)를 끼워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부재(50)의 주위부분을 덮어주도록 한다. 이는 타격 등에 의해 지지부재(50)와 지지부재(50)가 삽입된 결합공간부(11) 사이에 틈이 생기거나 균열이 생기면 외관상 보기 좋지 않으므로 이를 덮어 미감이 손상되지 않게 하고 틈 사이로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도 방지하도록 하며 나아가 커버(60)를 황금색 등 붉은 색상의 금속재로 하고 외면에 다양한 무늬를 디자인하여 씌우므로서 미감향상은 물론 전체적으로 제품을 보다 고급스럽게 보이도록 하여 상품성이 높이지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지지부재(50)와 외장 커버(60)는 모두 접착고정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헤드(10) 저면으로부터 돌출한 볼트(30)가 샤프트(20) 내에 일체로 돌출형성된 걸림고정부(20a)를 관통하여 너트(30a)와 체결고정되는 결합구성이므로 헤드(10)와 샤프트(20)의 결합이 매우 견고하게 이루어지고 걸림고정부(20a)의 상하에서 형성되는 제2,제3접착부(40b)(40c) 및 관통공(20b)과 볼트(30) 사이에 형성되는 제5접착부(40e)가 볼트(30)와 너트(30a)의 이완과 유동을 방지하며 또한 제2접착부(40b) 및 샤프트(20)와 결합공간부(11) 사이에 형성된 제4접착부(40d)는 샤프트(20)의 내외에서 샤프트(20)가 타격에 의한 충격에도 흔들리지 않게 강력하게 지지해주기 때문에 본 발명 헤드(10)와 샤프트(20)의 결합의 견고성이 매우 높아 오래 사용하여도 헤드(10)가 유동하거나 흔들리지 않으므로 항상 정확한 가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는 도 5, 도 6,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헤드(100)와 샤프트(200)를 결합함에 있어 샤프트(200) 내에 별도의 고정지지구(210)를 삽입하여 고정되게 하고 헤드(100) 저면으로부터 돌출한 볼트(300)가 샤프트(200) 결합시에 고정지지부(210)를 관통한 다음 너트(300a)를 체결하는 방법으로 결합하는 구성이다.
도 5는 헤드(100)와 샤프트(200)가 결합된 상태단면구성도이고, 도 6는 결합전 샤프트(200)의 단면구성도이며, 도 7은 결합전 헤드(100)의 단면구성도로서 상기 도면에 따라 제2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6에서와 같이 제2 실시 예에서는 샤프트(200) 하단부에 고정지지부(210)를 끼워 고정시킨다.
고정지지구(210)의 중앙에는 볼트(300)가 관통하는 관통공(210a)에 뚫려있고 외면에 요철부(210b)가 형성되어 있으며, 고정지지구(210)를 샤프트(200)의 하단부에 삽입할 때는 삽입하기 전 고정지지구(210)를 접착제 속에 접착제가 고정지지구(210)의 상하면과 외면요철부(210b) 전체에 고르게 도포되게 한 다음 삽입한다.
고정지지구(210)를 삽입할 때 고정지지부(210)가 샤프트(200) 내벽에 꽉 끼이도록 삽입할 필요는 없다.
외면도 도포된 접착제가 경화될 때까지 고정지지구(210)가 흘러내리지 않을 정도로 밀착되게 하면되고 삽입된 고정지지구(210) 아래에는 일정높이의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고정지지구(210)의 저면이 샤프트(200)의 하단보다 높게 들어가도록 밀어 넣어준다.
이 상태에서 접착제가 경화되도록 하면 고정지지구(210)의 샤프트(200) 내에 견고하게 접착고정되고 동시에 요철부(210b)와 고정지지구(210)의 내벽 사이에 접착제로된 제1접착부(411)가 형성되어 요철부(210b)와 함께 샤프트(200) 내벽을 지지하게 된다.
헤드(1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공간부(110)의 바닥면(110a) 중앙에 형성된 볼트구멍(110b)을 통하여 볼트(300)가 결합공간부(110) 내에 돌출하고 볼트머리를 제2접착부(412)가 막아 볼트(300)를 고정되게 하는 것은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
볼트(300)가 돌출한 결합공간부(110) 내에 접착제를 부어넣어 제3접착부(413)가 형성되게 하고 접착제가 경화되기 전 고정지지구(210)가 내부에 고정된 샤프트(200)를 헤드(100)의 결합공간부(110)에 도6과 같이 완전히 삽입하여 결합한다.
샤프트(200)를 결합공간부(110)에 삽입하여 결합할 때 볼트(300)가 고정지지구(210)의 관통공(210a)을 관통하여 고정지지구(210) 위로 돌출되게 하며, 이때 제3접착부(413)의 경화되지 않은 접착제가 볼트(300)와 관통공(210a) 사이의 공간으로 밀려 올라가 고정지지구(210)의 상면에 돌출한 볼트(300) 주위에 쌓이므로서 제4접착부(414)가 형성되고 돌출된 볼트(300) 단부에 너트(300a)를 체결하므로서 볼트(300)와 너트(300a)의 결합으로 샤프트(200)와 헤드(100)가 견고하게 결합된다.
샤프트(200)를 헤드(100)의 결합공간부(110)에 삽입할 때 고정지지구(210)의 저면의 압박으로 제3접착부(413)의 접착제가 볼트 관통공(210a) 쪽으로 뿐만아니라 요철부(210b)쪽과 샤프트(200)의 외면과 결합공간부(110) 사이로도 밀려 올라가 샤프트(200)의 내외면이 모두 접착제에 의해 접착고정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실시예 2에서도 헤드(100)와 샤프트(200)가 보다 견고하게 결합되는 것이다.
특히 실시예 2에서 고정지지구(210)가 샤프트(200) 내에서 지지하고 있어 헤드(100)가 공을 타격할 때 샤프트(200)에 가해지는 충격과 진동을 완화해주는 효과도 있는 것이다.
실시예 3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헤드(500) 저면으로부터 결합공간부(510) 내로 돌출한 볼트(700)의 중간부에 너트(700a)를 체결하고 결합공간부(510)에 접착제를 부어 넣어 제1접착부(800a)가 형성되게 하고 접착제가 경화되기 전 샤프트(600)를 결합공간부(510)에 완전 삽입한 다음 접착제를 경화시키면 너트(700a)가 경화된 제1접착부(800a) 속에서 고정되므로 볼트(700)와 너트(700a)의 이완이나 유동이 없고 제1접착제(800a) 속 너트(700a)의 걸림작용으로 헤드(500)와 샤프트(600)의 결합이 견고하고 샤프트(600)의 외면과 결합공간부(510) 사이에도 접착제가 밀려 올라가 경화되어 제2접착부(800b)를 형성하게 되므로 샤프트(600)가 내외면 이중 접착이 되어 헤드(500)와 결합이 견고하고 샤프트(600) 내에는 제1접착부(800a)가 강력하게 지지하고 있어 외부의 충격과 진동에도 강한 효과가 있다.
도 9의 a,b,c,d는 실시예 1에서의 내부에 걸림고정부(20a)가 일체로 돌출하는 샤프트(20)의 제조공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도 9a는 몸체가 동근 관체로 된 금속 성형봉이 결합된 상태도로서, 제1 성형봉(A)의 단부에 제2 성형봉(B)이 결합된 상태이다.
제1 성형봉(A)의 좌측 단부에는 돌출봉(1)이 다소 길게 돌출하고 제2 성형봉(B)에는 돌출봉(1)이 삽입되는 요홈(2)이 형성되어 있으며, 요홈(2)의 깊이는 돌출봉(1)의 길이보다 짧아 돌출봉(1)이 요홈(2)에 삽입되면 도면 9a에서와 같이 제1 성형봉(A)과 제2 성형봉(B) 사이에 일정 간격(R)이 형성되게 한다.
간격(R)의 넓이는 특정할 필요가 없으나 바람직하게는 약 10mm정도가 좋다.
이 간격에 의해 제1 성형봉(A)과 제2 성형봉(B)의 단부 사이에는 일정 넓이와 깊이의 홈(H)이 형성되고 홈(H)의 넓이는 상기 간격(R)에 의해 정해지므로 간격(R)과 같고 홈(H)의 깊이는 볼트(30)가 관통하는 관통공(20b)의 직경을 정하는 것으로 샤프트(20)의 내경이 약 15mm인 점을 감안할 때 약 5mm가 적합하나 사용되는 볼트(30)의 굵기에 따라 변할 수 있는 것이므로 홈(H)의 깊이는 5mm로 한정되지 않는다
제1 성형봉(A)의 돌출봉(1)와 제2 성형봉(B)의 요홈(2)은 결합 후 탈형이 용이하도록 도면에서와 같이 약간 경사지게 형성한다.
즉 돌출봉(1)의 직경은 단부로 갈수록 좁아지고 요홈(2)은 입구에서 내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것이다.
돌출봉(1)의 경사는 요홈(2)의 경사와 경사정도가 서로 같다.
제1,제2 성형봉(A)(B)의 서로 마주보는 단부의 끝부분은 도면에서와 같이 각이지지 않고 곡면이 형성되게 하는 것이 좋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제1,제2 성형봉(A)(B)을 사용하는 본 발명 실시예 1 샤프트(20)의 제조방법을 공정별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공정>
제1공정에서는 도 9a와 같이 제1 성형봉(A)의 돌출봉(1)을 제2 성형봉(B)의 요홈(2)에 삽입하여 서로 결합되게 하고 서로 결합된 제1,제2 성형봉(A)(B) 외면에 탈형이 용이하도록 이형제를 고르게 도포한다.
<제2공정>
폭 10mm 정도로 절단한 카본섬유(3)를 홈(H) 내에 노출된 돌출봉(1) 외면에 반복하여 감아 홈(H)을 완전히 메우도록 하여 높이가 제1 성형봉(A)과 제2 성형봉(B)의 외면과 일치하도록 한다.
이때 제1 성형봉(A)의 단부와 제2 성형봉(B)의 단부(a)(b)를 약간 경사지게 하고 끝부분은 라운드지게 하여 곡면이 되게 구성하고 그 부분은 폭이 10mm 보다 더 넓은 카본섬유(3)를 감아 채워 넣어 외면이 제1 성형봉(A)과 제2 성형봉(B)의 외면과 일치하게 하면 탈형형성되는 걸림고정구(20a) 부분이 보강되어 더 강해지도록 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것은 성형 작업의 신속성과 성형에 소요되는 카본섬유(3)의 절약성에는 다소 문제가 있다.
<제3공정>
10mm 폭의 카본섬유(3)를 감아 홈(H)을 완전히 메운 다음 제1,제2 성형봉(A)(B) 외면 전체에 샤프트(20) 본체용 카본섬유(4)를 두께 약 1mm 정도로 카본섬유(4)를 고르게 감고 그 위에 셀로판 테이프(5)를 감아 열처리 과정에서 카본섬유(4)가 녹으면서 두께 변동이 일어나지 않게 보호하도록 한다.
<제4공정>
셀로판 테이브(5)를 감은 후 약 130~140℃의 온도로 2시간 정도 가열하여 열처리하므로서 감아둔 카본섬유(3)(4)들이 모두 녹아 일체로 합체되게 하고 냉각 후 탈형한다.
탈형은 제1,제2 성형봉(A)(B)을 좌우로 당겨 탈형하며 이형제가 도포되어 있고 제1,제2 성형봉(A)(B)의 각 구성이 탈형하기 좋은 방향으로 약간씩 경사진 구성이므로 쉽게 탈형된다.
탈형을 위하여 카본섬유(4)를 제1,제2 성형봉(A)(B)에 감을 때 제1,제2 성형봉(A)(B)의 양측 단부에는 카본섬유(4)를 감지 않고 탈형할 수 있도록 일정폭의 여유를 남겨두는 것은 당연하다.
<제5공정>
냉각 탈형하여 성형된 카본섬유(4)의 외면에 감아둔 셀로판 테이프(5)를 제거하고 표면연마를 하므로서 표면이 고르도록 하고 카본섬유(4)의 양단부를 각 10mm정도 절단하여 고르지 못한 카본섬유(4)의 양단부가 매끈한 외면을 갖도록 한다.
양단부를 절단하기 위하여는 카본섬유(4)를 감을 때 그만큼 여유있게 길이를 조정하여 감아 준다.
<제6공정>
제5공정에 의해 완성된 카본섬유(4)가 곧 본 발명 샤프트(20)로서 내부에는 제1,제2 성형봉(A)(B) 사이의 홈(H)에 의해 형성된 걸림고정부(20a)가 일체로 돌출되어 있고 그 중앙에는 제1 성형봉(A)의 돌출봉(1)에 의해 생긴 볼트관통공(20b)이 생겨 있다.
제조된 샤프트의 외면에는 다시 투명 우레탄 수지(6)을 도포하여 광택이 나도록 한다.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샤프트(20)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에서는 샤프트(20)를 지지하는 지지부재(50)가 샤프트(20)의 상부에서부터 하부까지 길게 설치되도록 하여 헤드(10)와의 접지면적이 확장되도록 구성한다.
헤드(10)의 내측에 끼워지는 지지부재(50)는 헤드(10)에 끼워지는 샤프트(20) 전체를 지지하도록 설치됨에 따라 샤프트(20)의 견고성이 증대될 수 있으며, 지지부재(50)가 헤드(10) 내측에 접촉되는 면적이 증가하게되어 샤프트(20)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접지면적이 증대됨에 따라 샤프트(20)가 잦은 진동에도 쉽게 빠지지 않게 되며 그에 따라 파크골프채의 수명이 연장되는 것이다.
도 11은 헤드(10) 내측에 설치되는 고정나사(7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헤드(10) 내측에는 지지부재(50), 샤프트(20), 샤프트(20)와 일체로 형성되는 걸림고정부(20a)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고정나사(70)가 설치될 수 있으며, 고정나사(70)에 의해 샤프트(20)를 관통하여 헤드(10)에 고정설치됨에 따라 샤프트(20)와 헤드(10)가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즉, 샤프트(20)와 일체로 형성되는 걸림고정부(20a)의 넓은 면적이 고정나사(70)에 의해 헤드(10)와 견고하게 고정됨에 따라 샤프트(20)가 헤드(10)에서 쉽게 빠지지 않게 되며, 샤프트(20)의 흔들림과 진동을 줄여줄 수 있어 파크골프채의 타격시 안정감을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에 따라 타격이 정확하게 이루어져 비거리가 늘어나게 되며, 제품의 수명도 연장되는 것이다.
또한, 지지부재(50)의 하단부는 헤드(10) 내측에 끼워진 지지부재(50)가 헤드(10)에서 빠지지 않도록 하는 걸림돌기(51)가 양측에 형성될 수 있으며, 헤드(10) 내측에는 상기 걸림돌기(51)가 걸려 샤프트(20)가 상부로 빠지는 것을 제한하는 걸림턱(14)이 형성된다.
상기 걸림돌기(51)와 걸림턱(14)이 지지부재(50)의 빠짐을 방지할 수 있어 지지부재(50)와 샤프트(20)가 견고하게 설치될 수 있고, 고정나사(70)와 함께 설치되는 경우 샤프트(20)의 고정이 더욱 견고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에는 지지부재(50)를 동판설치전에 헤드(10)의 하부에서 끼움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2는 지지부재(50)의 하부에 설치되는 고정링(8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지지부재(50)의 하부에는 헤드(10)의 걸림턱(14)에 의해 지지부재(50)가 상부로 빠지지 않도록 제한하는 걸림돌기(51)가 형성되는 것이지만, 잦은 타격으로 인해 걸림돌기(51)에 금이가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걸림돌기(51)와 걸림턱(14) 사이에 지지부재(50)를 감싸는 형태의 고정링(80)이 설치될 수 있으며, 고정링(80)에 의해 안정적으로 걸림돌기(51)가 걸림턱(14)에 걸리게 됨에 따라 샤프트(20)의 내구성이 우수해지는 것이다.
상기 고정링(80)은 지지부재(50)의 하부에 형성된 홈에 끼워지도록 설치되며, 원통형의 지지부재(50)의 하단부를 링 형상의 고정링(80)이 전체를 감싸게 설치됨에 따라 지지부재(50)가 더욱 견고해지고 지지부재(50)의 진동을 줄여줌으로써 샤프트(20)에 전달되는 진동을 줄여줄 수 있게 된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서, 헤드(10)에 끼워지는 샤프트(20) 전체를 감싸도록 설치되는 지지부재(50)의 하부에는 내측으로 꺾여진 형상의 걸림부(52)가 형성될 수 있다.
헤드(10)의 걸림고정부(20a)에 끼워지는 볼트(30)는 동판(13)과 일체로 형성되며, 샤프트(20)가 걸림공간부(11)에 끼워지기전에 너트(30b)에 의해 볼트(30)를 고정하는 과정에서 상기 걸림부(52)가 너트(30b)에 의해 눌려지면서 지지부재(50)가 빠지지 않도록 한다.
즉, 걸림부(52)에 의해 형성되는 구멍을 통해 볼트(30)가 끼워지고, 끼워진 볼트(30)에 너트(30b)를 체결하여 고정되게 함으로써 동판(13), 볼트(30), 지지부재(50)가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어 파크골프채의 내구성이 높아지게 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 및 그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 져야 한다.
(10)-- 헤드 (11)-- 결합공간부
(11a)-- 바닥면 (11b)-- 볼트구멍
(11c)-- 오목부 (12)-- 카본페이스부재
(13)-- 동판 (14)-- 걸림턱
(20)-- 샤프트 (20a)-- 걸림고정부
(20b)-- 관통공
(30)-- 볼트 (30a)(30b)-- 너트
(40a)-- 제1접착부 (40b)-- 제2접착부
(40c)-- 제3접착부 (40d)-- 제4접착부
(50)-- 지지부재 (51)-- 걸림돌기
(52)-- 걸림부
(60)-- 커버 (70)-- 고정나사
(80)-- 고정링
(100)-- 헤드 (200)-- 샤프트
(210)-- 고정지지구 (210a)-- 관통공
(210b)-- 외면요철부
(300)-- 볼트 (300a)-- 너트
(411)-- 제1접착부 (412)-- 제2접착부
(413)-- 제3접착부 (414)-- 제4접착부
(500)-- 헤드 (600)-- 샤프트
(700)-- 볼트

Claims (6)

  1. 헤드와 샤프트로 구성되는 파크골프채에 있어서,
    헤드(10) 내부에 형성되는 결합공간부(11)와,
    헤드(10) 저면으로부터 삽입되고 결합공간부(11) 내로 돌출하는 볼트(30)와,
    볼트(30)의 머리부에 형성되어 볼트(30)가 유동하지 않도록 고정시켜주는 제1접착부(40a)와,
    샤프트(20) 내에 일체로 형성되고 중앙에 관통공(20b)이 뚫려있는 걸림고정부(20a)와,
    헤드(10)와 샤프트(20)를 결합하기 전에 결합공간부(11) 내에 부어 넣어 형성하는 제2접착부(40b)와,
    샤프트(20)를 결합공간부(11)에 삽입하고 볼트(30)가 걸림고정부(20a)의 관통공(20b)을 관통하여 걸림고정부(20a) 위로 돌출되게 하고 돌출된 볼트(30)에 너트(30a)를 체결하고 샤프트(20) 삽입으로 제2접착부(40b)의 접착제가 볼트(30)와 관통공(20b) 사이로 밀려 올라가 걸림고정부(20a) 위에 형성하는 제3접착부(40c)와,
    제2접착부(40b)의 접착제가 결합공간부(11) 내벽과 샤프트(20) 외면 사이로도 밀려올라가 형성하는 제4접착부(40d)와,
    헤드(10)에 끼워지는 샤프트(20)의 외면에 설치되어 샤프트(20)에 가해지는 충격을 지지하기 위해 헤드(10)에 끼워지는 샤프트(20) 전체를 감싸도록 설치되는 지지부재(50)로 구성되며,
    지지부재(50)의 하단부는 헤드(10) 내측에 끼워진 지지부재(50)가 헤드(10)에서 빠지지 않도록 하는 걸림돌기(51)가 양측에 형성될 수 있으며, 헤드(10) 내측에는 상기 걸림돌기(51)가 걸려 샤프트(20)가 상부로 빠지는 것을 제한하는 걸림턱(14)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와 샤프트의 결합 내구성이 우수한 파크골프채의 결합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걸림고정부(20a)의 관통공(20b)에 삽입하는 볼트(30)의 단부를 원추형상으로 가공하여 뽀족하게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와 샤프트의 결합 내구성이 우수한 파크골프채의 결합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샤프트(20)를 지지하는 지지부재(50) 외측에 외장커버(60)를 접착고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와 샤프트의 결합 내구성이 우수한 파크골프채의 결합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헤드(10) 내측에는 지지부재(50), 샤프트(20), 샤프트(20)와 일체로 형성되는 걸림고정부(20a)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고정나사(70)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와 샤프트의 결합 내구성이 우수한 파크골프채의 결합구조.
  5. 삭제
  6. 삭제
KR1020220006479A 2022-01-17 2022-01-17 헤드와 샤프트의 결합 내구성이 우수한 파크골프채의 결합구조 KR1026487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6479A KR102648757B1 (ko) 2022-01-17 2022-01-17 헤드와 샤프트의 결합 내구성이 우수한 파크골프채의 결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6479A KR102648757B1 (ko) 2022-01-17 2022-01-17 헤드와 샤프트의 결합 내구성이 우수한 파크골프채의 결합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0927A KR20230110927A (ko) 2023-07-25
KR102648757B1 true KR102648757B1 (ko) 2024-03-15

Family

ID=874286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6479A KR102648757B1 (ko) 2022-01-17 2022-01-17 헤드와 샤프트의 결합 내구성이 우수한 파크골프채의 결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875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87684B2 (ja) * 1997-06-02 2000-09-11 日本電気株式会社 画像読取装置
JP2006223331A (ja) * 2005-02-15 2006-08-31 Asics Corp クラブヘッド
JP2011030759A (ja) * 2009-07-31 2011-02-17 Mrc Composite Products Co Ltd ゴルフクラブのシャフト取付部材と、同取付部材を使ったゴルフクラブの製造方法
JP2013233177A (ja) * 2012-05-02 2013-11-21 Bridgestone Sports Co Ltd ゴルフクラブ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63240B2 (ja) * 1995-10-26 2001-05-08 ブリヂストンスポーツ株式会社 ヘッドとシャフトとの接合構造
TW493459U (en) * 2001-03-26 2002-07-01 Wen-Jeng Tzeng Device for adjusting golf club
KR101978438B1 (ko) 2018-05-02 2019-05-14 (주)아화골프 등산 스틱 겸용이 가능한 파크골프채
KR102380169B1 (ko) * 2020-04-20 2022-03-28 성덕중 옵셋형 파크골프용 클럽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87684B2 (ja) * 1997-06-02 2000-09-11 日本電気株式会社 画像読取装置
JP2006223331A (ja) * 2005-02-15 2006-08-31 Asics Corp クラブヘッド
JP2011030759A (ja) * 2009-07-31 2011-02-17 Mrc Composite Products Co Ltd ゴルフクラブのシャフト取付部材と、同取付部材を使ったゴルフクラブの製造方法
JP2013233177A (ja) * 2012-05-02 2013-11-21 Bridgestone Sports Co Ltd ゴルフクラブ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0927A (ko) 2023-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55511B2 (ja) グリップ内にストッパを有するゴルフクラブのためのグリップおよび内部ウェイトシステム
US4984794A (en) Golf club capable of selective angle modification between the shaft and head,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golf club
KR102440638B1 (ko) 헤드와 샤프트의 결합 내구성이 우수한 파크골프채의 결합구조
US2460435A (en) Golf club
US4524974A (en) Golf tee
US5451045A (en) Golf flag stick with drainage ferrule
JPH06205859A (ja) ゴルフ用クラブヘッド
US5034082A (en) Method of constructing a tennis racket
US9925435B2 (en) Damping device
JPS6043139B2 (ja) ゴルフテイ
KR102396389B1 (ko) 헤드와 샤프트의 결합 내구성이 우수한 파크골프채의 결합구조 및 그 결합방법, 샤프트 제조방법
US5035424A (en) Device for batting and striking practice
US20130337944A1 (en) Golf te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7758446B2 (en) Golf club shaft tuner
US4278251A (en) Racket frame for ball games
US5910056A (en) Golf club
KR102648757B1 (ko) 헤드와 샤프트의 결합 내구성이 우수한 파크골프채의 결합구조
US6171203B1 (en) Structure of golf putter head
KR102573173B1 (ko) 파크골프용 클럽헤드 및 이의 제조방법
JPS62221377A (ja) ゴルフテイ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606982B1 (ko) 파크골프용 클럽헤드와 샤프트의 결합구조
JPH0626293Y2 (ja) ゴルフ用テイ−
KR20100010128A (ko)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골프티
US11148022B2 (en) Molded golf flagstick and method for making
JP2007190243A (ja) ゴルフクラブヘッドおよびゴルフクラブヘッド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