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8662B1 - 접이식 컨테이너 스마트팜 - Google Patents

접이식 컨테이너 스마트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8662B1
KR102648662B1 KR1020230150216A KR20230150216A KR102648662B1 KR 102648662 B1 KR102648662 B1 KR 102648662B1 KR 1020230150216 A KR1020230150216 A KR 1020230150216A KR 20230150216 A KR20230150216 A KR 20230150216A KR 102648662 B1 KR102648662 B1 KR 1026486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pair
side plates
fixed
fol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502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용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소셜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소셜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소셜텍
Priority to KR10202301502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86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86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866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01G9/16Dismountable or portable greenhouses ; Greenhouses with sliding roof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84Assembling details for foldable, separable, collapsible or retractable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Rigid Containers With Two Or More Constituent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이식 컨테이너 스마트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작물 재배용 컨테이너 스마트팜에 대한 접이를 통해 이송, 운반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접이된 상태로부터 원상태로의 조립, 설치가 빠르고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접이식 컨테이너 스마트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접이식 컨테이너 스마트팜{CONTAINER SMARTFARM OF FOLDIND TYPE}
본 발명은 접이식 컨테이너 스마트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작물 재배용 컨테이너 스마트팜에 대한 접이를 통해 이송, 운반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접이된 상태로부터 원상태로의 조립, 설치가 빠르고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접이식 컨테이너 스마트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마트 팜(smart farm)은 정보통신기술, 예를 들어 사물인터넷 기술(IoT technology) 등을 이용하여 광량, 온도, 습도, 배양액 등과 같이 작물 재배에 필요한 각종 인자를 원격으로 점검 및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춘 작물 재배 시설을 의미한다.
스마트 팜의 원격 점검 및 관리는 스마트 폰과 같은 모바일 기기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최근에는 이동 및 모듈화가 가능한 컨테이너형 스마트 팜에 대한 연구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고, 이와 관련된 국내외 시장도 점차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10-1922-0151300호에는 '스마트팜 컨테이너'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스마트팜 컨테이너는 운반 및 조립, 설치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10-1922-0151300호(1922.11.15.) '스마트팜 컨테이너'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작물 재배용 컨테이너 스마트팜에 대한 접이를 통해 이송, 운반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접이된 상태로부터 원상태로의 조립, 설치가 빠르고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접이식 컨테이너 스마트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하판과, 전후 대향되는 한 쌍의 제1측판과, 좌우 대향되는 한 쌍의 제2측판을 포함하면서 직육면체 형태를 이루는 컨테이너 스마트팜에 있어서, 상기 제1,2측판은 상판 또는 하판 중 적어도 하나의 판에 접이 가능하게 고정되면서 접이 또는 펴짐에 따라 상기 상판과 상기 하판 사이로 적층되거나 상기 하판으로부터 상기 상판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컨테이너 스마트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한 쌍의 제1측판은 하부가 상기 하판의 전,후단부에 접이 가능하게 고정되고, 한 쌍의 제2측판은 상,하부가 상기 상,하판의 양측에 접이 가능하게 고정되되, 상하 방향으로 한 쌍의 측판유닛으로 분기되면서 중앙부가 접이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컨테이너 스마트팜은 접이시, 상기 한 쌍의 제1측판이 상기 하판의 상부 전,후방으로 안착되고, 상기 한 쌍의 제2측판이 중앙부를 중심으로 접이되며 상기 한 쌍의 제1측판의 상부 양측으로 안착되는 동시에 상기 상판이 상기 한 쌍의 제2측판으로 안착되며 접이되고, 펴짐시, 상기 상판을 상방향으로 당김에 따라 상기 한 쌍의 제2측판이 펴지며 상기 상판의 양측을 지지하고, 상기 한 쌍의 제1측판이 펴지면서 상기 한 쌍의 제2측판과 접하는 동시에 상기 상판의 전,후단부를 지지하면서 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측판의 하부를 상기 하판에 상하 이동 및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절첩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절첩수단은 상기 제2측판의 전,후방에 위치되도록 상기 하판의 양측 전,후방에 고정되며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가이드홀이 형성되는 가이드바; 일단부가 상기 제2측판의 하부 전,후면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상기 가이드홀을 통과하는 가이드돌기; 및 상기 가이드돌기의 타단부로 나사결합되는 조절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상판은 상부면에 복수의 연결고리가 구비되고, 상기 제1,2측판은 펴진 상태를 기준으로 하부에 완충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한 쌍의 측판유닛은 펴진 상태에서 상호 접하는 면이 암수결합되고, 상기 제2측판은 펴진 상태의 상기 한 쌍의 측판유닛이 접이되지 않도록 결속하는 결속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결속수단은 상기 한 쌍의 측판유닛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한 쌍의 고정링; 상부에 머리부가 형성되고 하부가 상기 한 쌍의 고정링을 상부로부터 하방향으로 통과하는 결속구; 및 상기 결속구의 하부로 나사결합되는 결속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측판의 상부가 상기 상판으로 밀착되며 고정되도록 하는 가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측판은 펴진 상태를 기준으로 상부에 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가압부는 하부가 상기 삽입홈으로 삽입되어 고정되고 상부에 내부와 연통되는 구멍이 형성되는 케이스; 상기 상판의 하부면과 접하는 롤러; 상부에 상기 롤러가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하부가 상기 구멍을 통과하여 상기 케이스의 내측으로 수용되는 지지바; 상기 지지바의 하부에 고정되는 지지판; 및 상기 케이스의 내측으로 수용되어 상기 지지판을 상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롤러가 상기 상판에 접하도록 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한 쌍의 제1측판은 상부가 상기 상판의 전,후단부에 접이 가능하게 고정되고 하부가 이송부에 의해 상기 하판에 전후 이동 가능하게 고정되면서 상기 이송부의 작동에 따라 하부가 전후 이동되며 접이되거나 펴지며, 한 쌍의 제2측판은 하부가 상기 하판의 양측에 접이 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이송부는 상기 하판의 양측에 배치되면서 회전축에 의해 상기 하판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피니언; 및 상기 피니언의 상,하부에 배치되면서 상기 피니언과 치형 결합되며 상기 한 쌍의 제1측판의 하부와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랙을 포함하고, 상기 컨테이너 스마트팜은 접이시, 상기 한 쌍의 제2측판이 상기 하판의 상부 양측으로 안착되고, 상기 한 쌍의 제1측판이 상기 피니언의 정방향 회전에 따라 상부를 중심으로 하부가 대향되는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접이되며 상기 제2측판의 상부로 안착되는 동시에 상기 상판이 상기 제1측판의 상부로 안착되며 접이되고, 펴짐시, 상기 피니언의 역방향 회전에 따라 상기 한 상의 제1측판이 상부를 중심으로 하부가 배향되는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펴지며 상기 상판의 전,후단부를 지지하고, 상기 한 쌍의 제2측판이 펴지면서 상기 한 쌍의 제1측판과 접하는 한편, 상기 상판의 양측을 지지하면서 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하판은 양측 가장자리에 상부가 개방되면서 내측으로 상기 피니언과 상기 랙이 수용되는 이동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회전축은 상기 하판의 양측으로 돌출되되, 구동모터가 연결되거나 공구를 사용한 회전이 가능하도록 양단부가 다각 형태를 이루거나 양단부에 공구 삽입홈 등이 형성되고, 상기 이송부는 일단부가 상기 랙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상기 이동공간을 통과하여 상기 제1측판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연결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작물 재배용 컨테이너에 대한 접이를 통해 이송, 운반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은 물론, 접이된 상태로부터 원상태로의 조립, 설치가 빠르고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컨테이너 스마트팜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접이식 컨테이너 스마트팜이 접이 또는 펴지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서 이송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컨테이너 스마트팜의 다른 예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접이식 컨테이너 스마트팜을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에서 절첩수단을 나타낸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7는 도 6에서 절첩수단에 의해 스마트팜이 접이된 상태를 나타낸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4의 접이식 컨테이너 스마트팜이 접이 또는 펴지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서 접이식 컨테이너 스마트팜이 접이된 상태를 나타내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컨테이너 스마트팜에서 결속수단을 나타낸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컨테이너 스마트팜에서 고정부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컨테이너 스마트팜에서 가압부를 나타낸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컨테이너 스마트팜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컨테이너 스마트팜에서 재배선반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컨테이너 스마트팜(이하 "스마트팜"이라 한다)(100)은 상,하판(110,120)과, 전후 대향되는 한 쌍의 제1측판(130)과, 좌우 대향되는 한 쌍의 제2측판(140)을 포함하면서 직육면체 형태를 이루는 스마트팜으로서, 제1,2측판(130,140)은 상판(110) 또는 하판(120) 중 적어도 하나의 판에 접이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마트팜(100)은 제1,2측판(130,140)의 접이에 따라 상판(110)과 하판(120)의 사이로 적층되면서 이송이나 운반이 용이한 상태가 될 수 있다.
스마트팜(100)은 제1,2측판(130,140)이 펴짐에 따라 하판(120)으로부터 상판(110)을 지지하면서 스마트팜(100)에 대한 조립, 설치가 쉽게 이루어질 할 수 있다.
한 쌍의 제1측판(130)은 상부가 상판(110)의 전,후단부에 접이 가능하게 고정되고 하부가 이송부(190)에 의해 하판(120)에 전후 이동 가능하게 고정되면서 이송부(190)의 작동에 따라 하부가 전후 이동되며 접이되거나 펴질 수 있다.
한 쌍의 제2측판(140)은 하부가 하판(120)의 양측에 접이 가능하게 고정되면서 펴진 상태에서 상판(110)을 지지할 수 있다.
한 쌍의 제1측판(130)은 상부가 경첩 등을 포함하는 절첩부재에 의해 상판(110)의 전,후단부에 접이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한 쌍의 제2측판(140)은 하부가 경첩 등을 포함하는 절첩부재에 의해 하판(120)의 양측에 접이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상판(110)은 이송부(190)의 작동에 따른 한 쌍의 제1측판(130)의 접이 또는 펴짐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송부(190)는 하판(120)의 양측에 배치되면서 회전축(191)에 의해 하판(120)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피니언(192), 피니언(192)의 상,하부에 배치되면서 피니언(192)과 치형 결합되며 한 쌍의 제1측판(130)의 하부와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랙(193)을 포함할 수 있다.
피니언(192)은 하판(120)의 중앙부에 배치되면서 회전에 따라 한 쌍의 랙(193)이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진행되도록 할 수 있다.
랙(193)은 가이드수단(미도시) 등에 의해 하판(120)의 양측에 전후 이동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가이드수단은 공지된 다양한 형태를 이룰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피니언(192)은 회전축(191)으로 회전력이 전달되면서 회전될 수 있다.
회전축(191)은 별도의 공구를 사용한 회전이 가능하도록 양단부가 다각 형태를 이루거나 공구 삽입홈 등이 형성될 수 있다.
또는, 회전축(191)으로 구동모터(미도시)가 연결될 수도 있다.
한 쌍의 랙(193)은 피니언(192)을 중심으로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면서 수직으로 펴진 상태의 제1측판(130)을 기준으로 각각 대응되는 제1측판의 하부에 위치될 수 있다.
즉, 한 쌍의 제1측판(130)은 수직으로 펴진 상태를 기준으로 각각 하부에 위치되는 랙(193)과 연결되면서 랙(193)의 회전에 따라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전되며 접이 또는 펴질 수 있다.
제1측판(130)은 연결바(194)에 의해 랙(193)과 연결될 수 있다. 제1측판(130)은 하부가 힌지 결합 등에 의해 연결바(194)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랙(193)과 피니언(192)은 하판(120)의 양측에 설치되면서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또는, 하판(120)은 양측 가장자리에 이동공간(121)이 형성되면서 내측으로 피니언(192) 및 랙(193)이 수용될 수 있다. 하판(120)은 양측 가장자리에 상부가 개방되는 이동공간(121)이 형성되면서 이동공간(121)으로 피니언(192)과 랙(193)이 수용될 수 있다.
회전축(191)은 하판(120)의 외측으로 돌출되면서 외부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한 쌍의 제1측판(130)은 한 쌍의 제2측판(140)이 접이된 상태에서 접이될 수 있다.
한 쌍의 제1측판(130)은 펴진 상태로부터 피니언(192)이 정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상부를 중심으로 하부가 대향되는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접이되며 제2측판(140)의 상부로 안착될 수 있다.
상판(110)은 한 쌍의 제1측판(130)이 접이됨에 따라 함께 하강되면서 접이된 제1측판(130)의 상부로 안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마트팜(100)은 쉽게 접이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한 쌍의 제1측판(130)은 접이된 상태로부터 피니언(192)이 역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상부를 중심으로 하부가 배향되는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펴질 수 있다.
상판(110)은 한 쌍의 제1측판(130)이 펴짐에 따라 함께 승강되면서 전,후단부가 한 쌍의 제1측판(130)에 지지될 수 있다.
한 쌍의 제2측판(140)은 한 쌍의 제1측판(130)이 펴진 상태에서 회전에 따라 펴지면서 한 쌍의 제1측판(130)의 사이로 인입되며 한 쌍의 제1측판(130)과 접하는 한편, 상판(110)의 양측을 지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마트팜(100)은 쉽게 펴질 수 있다.
한편, 도 4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보면, 한 쌍의 제1측판(110)은 하부가 하판(110)의 전,후단부에 접이 가능하게 고정되면서 펴진 상태에서 상판(110)의 전,후단부를 지지할 수 있다.
한 쌍의 제1측판(110)은 접이시, 상부가 하부를 중심으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하판(120)으로 안착될 수 있다. 한 쌍의 제1측판(110)은 하판(120)의 전후 길이가 제1측판(130)의 상하 길이보다 2배 이상으로 이루어지면서 접이시, 서로 중첩되지 않을 수 있다.
한 쌍의 제2측판(140)은 하부가 상,하판(110,120)의 양측에 접이 가능하게 고정되면서 펴진 상태에서 상판(110)의 양측을 지지할 수 있다. 한 쌍의 제2측판(140)은 하판(120)의 좌우 길이가 제2측판(140)의 상하 길이와 동일하거나 1.5배 이하로 이루어지면서 접이시, 하부를 중심으로 상부가 대향되는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하판(110)으로 적층될 수 있다. 즉, 한 쌍의 제2측판(140)은 접이시, 어느 하나의 제2측판이 하판(120)으로 안착되면 다른 하나의 제2측판이 어느 하나의 측판으로 안착되며 중첩될 수 있다.
또는, 한 쌍의 제2측판(140)은 상,하부가 상,하판(110,120)의 양측에 접이 가능하게 고정되되, 상하 방향으로 한 쌍의 측판유닛(141)으로 분기되면서 중앙부가 접이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한 쌍의 제2측판(140)은 접이시, 각각 한 쌍의 측판유닛(141)이 접하면서 하판(120)의 양측으로 안착될 수 있다.
제1측판(130)은 절첩부재에 의해 하판(110)에 접이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제2측판(140)은 절첩부재에 의해 하판(110)에 접이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한 쌍의 측판유닛(141)은 절첩부재에 의해 접이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절첩부재는 경첩 등 공지된 다양한 형태를 이룰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1,2측판(130,140)은 접이되면, 대략 수평을 이루고 펴지면, 대략 수직을 이루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하판(120)은 전후 길이가 한 쌍의 제1측판(130)이 접이되며 안착될 때, 중첩되지 않을 정도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상판(110)은 하판(120)과 동일한 형태를 이루면서 양측에 한 쌍의 제2측판(140)이 접이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스마트팜(100)은 제2측판(140)의 하부를 하판(120)에 상하 이동 및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절첩수단(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절첩수단(150)은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측판(140)의 전,후방에 위치되도록 하판(120)의 양측 전,후방에 각각 고정되며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가이드홀(151a)이 형성되는 가이드바(151) 및 일단부가 제2측판(140)의 하부 전,후면에 각각 고정되고 타단부가 가이드홀(151a)을 통과하는 가이드돌기(15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측판(140)은 펴진 상태를 기준으로 작업자 등에 의한 외부의 힘에 의해 상방향으로 당겨짐에 따라 가이드돌기(152)가 가이드홀(151a)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2측판(140)은 접이시, 제1측판(130)이 갖는 두께 이상으로 상방향으로 이동되면서 하판(120)으로 안착된 제1측판(130)의 상부로 안착될 수 있다. 제2측판(140)은 접이 또는 펴짐시, 가이드돌기(152)를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절첩수단(150)은 가이드돌기(152)의 타단부로 나사결합되는 조절부재(15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돌기(152)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조절부재(153)는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면서 가이돌기(152)로 나사결합될 수 있다.
조절부재(153)는 회전에 따라 가이드바(151)로의 밀착 정도가 조절되면서 제2측판(140)에 대한 회전 속도가 적절하게 조절되도록 할 수 있다.
한 쌍의 제1측판(130)은 한 쌍의 제2측판(140)의 사이에 배치되면서 펴진 상태에서 양측이 한 쌍의 제2측판(140)에 접할 수 있다.
한 쌍의 제1측판(130)은 접이시, 하부를 중심으로 상부가 하판(120)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하판(120)의 상부면 전,후방으로 안착될 수 있다.
한 쌍의 제1측판(130)은 펴짐시, 하부를 중심으로 상부가 하판(120)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전되며 수직으로 펴지면서 한 쌍의 제2측판(140)을 지지할 수 있다.
한 쌍의 제2측판(140)은 접이시, 중앙부가 내측 방향으로 접이되면서 한 쌍의 측판유닛(141)이 적층된 형태로 제1측판(130)의 양측으로 안착될 수 있다.
상판(110)은 한 쌍의 제2측판(140)이 접이됨에 따라 한 쌍의 제2측판(140)의 상부로 안착될 수 있다.
상판(110)은 상부면에 복수의 연결고리(111)가 구비될 수 있다.
연결고리(111)는 상판(110)의 상부면 네 모서리부에 고정되면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나 크레인 등을 이용한 당김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스마트팜(100)은 접이시, 도 8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제1측판(130)이 하판(110)의 상부 전,후방으로 안착되고, 한 쌍의 제2측판(140)이 중앙부를 중심으로 접이되며 한 쌍의 제1측판(130)의 상부 양측으로 안착되는 동시에 상판(110)이 한 쌍의 제2측판(140)으로 안착되며 접이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스마트팜(100)은 펴짐시, 도 8 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110)을 상방향으로 당김에 따라 한 쌍의 제2측판(140)이 펴지고, 한 쌍의 제1측판(130)이 펴지면서 한 쌍의 제2측판(140)과 접하는 한편, 상판(110)의 전,후단부를 지지하면서 펴질 수 있다.
한 쌍의 제1측판(130)은 한 쌍의 제2측판(140)이 펴진 상태에서 작업자 등에 의해 펴질 수 있다.
제1측판(13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으로 펴진 상태를 기준으로 하부에 완충부재(160)가 구비될 수 있다.
완충부재(160)는 제2측판(140)의 하부에도 구비될 수 있다.
완충부재(160)는 제1,2측판(130,140)이 펴질 때, 제1,2측판(130,140)이 하판(120)과 부딪치며 발생되는 충격 등을 완충할 수 있다.
완충부재(160)는 제1,2측판(130,140)과 하판(120) 간의 틈새를 메울 수도 있다.
완충부재(160)는 제1,2측판(130,140)가 수직으로 펴진 상태를 기준으로 하부에 구비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2측판(130,140)의 상부에도 구비될 수 있다.
도 10을 살펴 보면, 한 쌍의 측판유닛(141)은 펴진 상태에서 상호 접하는 면이 암수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한 쌍의 측판유닛(141) 중 상부에 위치되는 측판유닛은 하부면에 돌기(141a)가 형성되고 하부에 위치되는 측판유닛은 상부면에 돌기(141a)가 인입되는 홈부(141b)가 형성될 수 있다.
제2측판(140)은 펴진 상태의 한 쌍의 측판유닛(141)이 접이되지 않도록 결속하는 결속수단(143)을 포함할 수 있다.
결속수단(143)은 한 쌍의 측판유닛(141)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한 쌍의 고정링(144), 상부에 머리부가 형성되고 하부가 한 쌍의 고정링(144)을 상부로부터 하방향으로 통과하는 결속구(145) 및 결속구(145)의 하부로 나사결합되는 결속부재(146)를 포함할 수 있다.
결속구(145)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결속부재(146)는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면서 결속구(145)로 나사결합될 수 있다.
제2측판(140)은 결속수단(143)에 의해 한 쌍의 측판유닛(141)이 결속되면서 펴진 상태에서 상판(110)의 양측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상판(110)은 전후 길이가 하판(120)보다 길게 형성되면서 제1측판(130)이 회전되며 펴지는 경우, 제1측판(130)이 수직을 이룬 상태에서 회전이 정지되도록 할 수 있다.
스마트팜(100)은 펴진 상태에서 잠금쇠(미도시) 등을 이용하여 상판(110)과 제1,2측판(130,140)을 결속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마트팜(100)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펴진 상태의 제1,2측판(130,140)을 상판(110)에 고정하는 고정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170)는 'ㄱ'자 형태를 이루면서 상판(110)의 네 모서리부에 고정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고정부(170)는 'ㄱ'자 형태를 이루면서 스마트팜(100)의 상부 네 모서리부에 고정될 수 있다.
고정부(170)는 볼트나 나사 등에 의해 고정되면서 제1,2측판(130,140)과 접할 수 있다.
스마트팜(100)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측판(130)의 펴짐시, 제1측판(130)의 상부가 상판(110)으로 밀착되며 고정되도록 하는 가압부(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압부(180)는 접이된 상태의 제1측판(130)이 수직으로 펴지면서 상판(110)과의 접촉에 따른 진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한편, 제1측판(130)의 상부가 상판(110)으로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측판(130)은 펴진 상태를 기준으로 상부에 삽입홈(131)이 형성될 수 있다.
가압부(180)는 하부가 삽입홈(131)으로 삽입되어 고정되고 상부에 내부와 연통되는 구멍(181a)이 형성되는 케이스(181), 상판(110)의 하부면과 접하는 롤러(182), 상부에 롤러(182)가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하부가 구멍(181a)을 통과하여 케이스(181)의 내측으로 수용되는 지지바(183), 지지바(183)의 하부에 고정되는 지지판(184) 및 케이스(181)의 내측으로 수용되어 지지판(184)을 상방향으로 가압하여 롤러(182)가 상판(110)에 접하도록 하는 스프링(185)을 포함할 수 있다.
롤러(182)는 접이된 상태의 제1측판(130)이 수직으로 펴지면서 상판(110)과의 접촉에 따라 회전되면서 제1측판의 펴짐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스프링(185)은 롤러(182)가 상판(110)에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제1측판(130)에 대한 고정 상태가 보다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스마트팜(100)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판(110,120) 및 한 쌍의 제1측판(130)이 일체로 연결되면서 몸체(A)를 이루고, 몸체(A)의 양측으로 일측이 개방되는 한 쌍의 확장구조(B)물이 좌우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마트팜(100)은 한 쌍의 확장구조물(B)이 좌우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좌우 폭이 확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스마트팜(100)의 내부로 수용되는 재배선반(200)은 별도 접이된 상태로 적층되어 운반될 수 있다.
재배선반(200)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초판(201)의 네 모서리부에 기둥(202)이 접이 가능하게 설치되면서 펴짐에 따라 기초판(201)이 복수단으로 조립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스마트팜(100)은 접이를 통해 이송, 운반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은 물론, 접이된 상태로부터 원상태로의 조립, 설치가 빠르고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컨테이너 스마트팜을 실시하기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0 : 스마트팜 110 : 상판
120 : 하판 130 : 제1측판
140 : 제2측판 141 : 측판유닛
150 : 절첩수단 160 : 완충부재
170 : 고정부 180 : 가압부
190 : 이송부 200 : 재배선반

Claims (9)

  1. 상,하판과, 전후 대향되는 한 쌍의 제1측판과, 좌우 대향되는 한 쌍의 제2측판을 포함하면서 직육면체 형태를 이루는 컨테이너 스마트팜에 있어서,
    상기 제1,2측판은 상판 또는 하판 중 적어도 하나의 판에 접이 가능하게 고정되면서 접이 또는 펴짐에 따라 상기 상판과 상기 하판 사이로 적층되거나 상기 하판으로부터 상기 상판을 지지하며,
    상기 한 쌍의 제1측판은 하부가 상기 하판의 전,후단부에 접이 가능하게 고정되고,
    한 쌍의 제2측판은 상,하부가 상기 상,하판의 양측에 접이 가능하게 고정되되, 상하 방향으로 한 쌍의 측판유닛으로 분기되면서 중앙부가 접이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제2측판의 하부를 상기 하판에 상하 이동 및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절첩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컨테이너 스마트팜은 접이시, 상기 한 쌍의 제1측판이 상기 하판의 상부 전,후방으로 안착되고, 상기 한 쌍의 제2측판이 중앙부를 중심으로 접이되며 상기 한 쌍의 제1측판의 상부 양측으로 안착되는 동시에 상기 상판이 상기 한 쌍의 제2측판으로 안착되며 접이되고, 펴짐시, 상기 상판을 상방향으로 당김에 따라 상기 한 쌍의 제2측판이 펴지며 상기 상판의 양측을 지지하고, 상기 한 쌍의 제1측판이 펴지면서 상기 한 쌍의 제2측판과 접하는 동시에 상기 상판의 전,후단부를 지지하면서 펴지며,
    상기 절첩수단은
    상기 제2측판의 전,후방에 위치되도록 상기 하판의 양측 전,후방에 고정되며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가이드홀이 형성되는 가이드바;
    일단부가 상기 제2측판의 하부 전,후면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상기 가이드홀을 통과하는 가이드돌기; 및
    상기 가이드돌기의 타단부로 나사결합되는 조절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측판은 펴진 상태의 상기 한 쌍의 측판유닛이 접이되지 않도록 결속하는 결속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결속수단은 상기 한 쌍의 측판유닛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한 쌍의 고정링; 상부에 머리부가 형성되고 하부가 상기 한 쌍의 고정링을 상부로부터 하방향으로 통과하는 결속구; 및 상기 결속구의 하부로 나사결합되는 결속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컨테이너 스마트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측판의 상부가 상기 상판으로 밀착되며 고정되도록 하는 가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측판은 펴진 상태를 기준으로 상부에 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가압부는 하부가 상기 삽입홈으로 삽입되어 고정되고 상부에 내부와 연통되는 구멍이 형성되는 케이스; 상기 상판의 하부면과 접하는 롤러; 상부에 상기 롤러가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하부가 상기 구멍을 통과하여 상기 케이스의 내측으로 수용되는 지지바; 상기 지지바의 하부에 고정되는 지지판; 및 상기 케이스의 내측으로 수용되어 상기 지지판을 상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롤러가 상기 상판에 접하도록 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컨테이너 스마트팜.
  7. 상,하판과, 전후 대향되는 한 쌍의 제1측판과, 좌우 대향되는 한 쌍의 제2측판을 포함하면서 직육면체 형태를 이루는 컨테이너 스마트팜에 있어서,
    상기 제1,2측판은 상판 또는 하판 중 적어도 하나의 판에 접이 가능하게 고정되면서 접이 또는 펴짐에 따라 상기 상판과 상기 하판 사이로 적층되거나 상기 하판으로부터 상기 상판을 지지하고,
    상기 한 쌍의 제1측판은 상부가 상기 상판의 전,후단부에 접이 가능하게 고정되고 하부가 이송부에 의해 상기 하판에 전후 이동 가능하게 고정되면서 상기 이송부의 작동에 따라 하부가 전후 이동되며 접이되거나 펴지며,
    한 쌍의 제2측판은 하부가 상기 하판의 양측에 접이 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이송부는 상기 하판의 양측에 배치되면서 회전축에 의해 상기 하판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피니언; 및 상기 피니언의 상,하부에 배치되면서 상기 피니언과 치형 결합되며 상기 한 쌍의 제1측판의 하부와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랙을 포함하고,
    상기 컨테이너 스마트팜은 접이시, 상기 한 쌍의 제2측판이 상기 하판의 상부 양측으로 안착되고, 상기 한 쌍의 제1측판이 상기 피니언의 정방향 회전에 따라 상부를 중심으로 하부가 대향되는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접이되며 상기 제2측판의 상부로 안착되는 동시에 상기 상판이 상기 제1측판의 상부로 안착되며 접이되고, 펴짐시, 상기 피니언의 역방향 회전에 따라 상기 한 상의 제1측판이 상부를 중심으로 하부가 배향되는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펴지며 상기 상판의 전,후단부를 지지하고, 상기 한 쌍의 제2측판이 펴지면서 상기 한 쌍의 제1측판과 접하는 한편, 상기 상판의 양측을 지지하면서 펴지고,
    상기 회전축은 상기 하판의 양측으로 돌출되되, 양단부가 구동모터나 공구의 사용이 가능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컨테이너 스마트팜.
  8. 삭제
  9. 삭제
KR1020230150216A 2023-11-02 2023-11-02 접이식 컨테이너 스마트팜 KR1026486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50216A KR102648662B1 (ko) 2023-11-02 2023-11-02 접이식 컨테이너 스마트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50216A KR102648662B1 (ko) 2023-11-02 2023-11-02 접이식 컨테이너 스마트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8662B1 true KR102648662B1 (ko) 2024-03-18

Family

ID=904740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50216A KR102648662B1 (ko) 2023-11-02 2023-11-02 접이식 컨테이너 스마트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866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1756A (ko) * 2015-11-10 2018-07-17 한스 우츠 접이식 컨테이너
US10219447B1 (en) * 2015-05-12 2019-03-05 Farm From A Box, Inc. Container system and method of use for farming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19447B1 (en) * 2015-05-12 2019-03-05 Farm From A Box, Inc. Container system and method of use for farming
KR20180081756A (ko) * 2015-11-10 2018-07-17 한스 우츠 접이식 컨테이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739561B1 (en) Screen body support device and foldable flexible display device
US11116313B2 (en) Foldable storage rack
CN108538207B (zh) 柔性显示支撑装置
CN102537608A (zh) 升降系统
WO2008049031A3 (en) Collapsible canopy framework
KR102648662B1 (ko) 접이식 컨테이너 스마트팜
EP3365614A1 (en) Single axis solar tracking assembly and method of installing such single axis solar tracking assembly
KR20150054374A (ko) 슬라이딩 방식의 확장형 테이블
FR2803729B1 (fr) Structure de rangement a panneaux articules
US20230380588A1 (en) Folding unit cabinet
CN104863262A (zh) 一种模块化移动房屋
CN110869292B (zh) 折叠式集装箱
KR101217569B1 (ko) 에어컨 실외기 설치대
KR200390329Y1 (ko) 빨래 건조장치
CN108813920B (zh) 带有折叠框架的折叠桌及其折叠框架
KR20140108782A (ko) 패널 운반용 적재대
CN101540125A (zh) 显示系统
US11812729B2 (en) Automatically unfoldable beekeeping apparatus
CN101971233A (zh) 用于直射光显示器的支承件
KR101006865B1 (ko) 통신장비 캐비닛용 브라켓
CN209523145U (zh) 路障装置
KR20190001975U (ko) 상품 진열대
CN216316387U (zh) 一种组合柜安装结构及组合柜
KR20200134507A (ko) 단순한 구조의 절첩수단을 갖는 접이식 테이블
CN214778392U (zh) 货仓及仓储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