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1975U - 상품 진열대 - Google Patents

상품 진열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1975U
KR20190001975U KR2020180000409U KR20180000409U KR20190001975U KR 20190001975 U KR20190001975 U KR 20190001975U KR 2020180000409 U KR2020180000409 U KR 2020180000409U KR 20180000409 U KR20180000409 U KR 20180000409U KR 20190001975 U KR20190001975 U KR 2019000197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lding
frames
pair
bas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040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수
Original Assignee
(주) 로뎀스파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로뎀스파워 filed Critical (주) 로뎀스파워
Priority to KR202018000040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01975U/ko
Publication of KR2019000197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1975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5/00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al features
    • A47F5/10Adjustable or foldable or dismountable display stan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3/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enabling folding of the cabinet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5/00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al features
    • A47F5/16Platform-type show stands with flat, inclined, or curved upper surface

Abstract

상품 진열대가 개시된다. 본 고안의 상품 진열대는, 서로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 양단부가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 되며 일측부가 접힘 가능하게 마련되는 복수의 접힘 프레임;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과 복수의 접힘 프레임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베이스프레임 연결부; 복수의 접힘 프레임을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의 내측 방향으로 접힘 가능하게 연결하는 접힘프레임 연결부; 복수의 접힘 프레임을 펼친 상태에서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에 지지 되며 진열 대상물이 놓여지는 진열판; 및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과 복수의 접힘 프레임, 복수의 접힘 프레임 상호 간을 연결하는 연결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상품 진열대{DISPLAY STAND}
본 고안은, 상품 진열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의 상품이 진열되고 접힘 가능하게 마련되는 상품 진열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품 판매대는 백화점이나 대형 마트 등과 같은 각종 영업장이나 각종 행사장 등에서 사람들이 많이 다니는 곳에 이동식으로 설치하고 상품을 모아보기 좋게 진열하여 소비자에게 구매의욕을 고취시키도록 하는 이동식 상품 진열대이다.
이러한 상품 진열대는 종래에도 여러 가지가 다양하게 알려져 실제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상품진열대 중 가장 보편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상품 진열대는 전후좌우 벽으로 이루어진 몸체의 상부가 개방되어 몸체의 내측으로 수납공간이 형성되고 이 수납공간에 납작한 직사각형의 받침 용기 구조 상판이 마련되어 상품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종래 백화점이나 의류 매장 등의 각종 영업장에서 상품을 보기 좋게 진열하여 소비자에게 구매의욕을 고취시키도록 하는 조립식의 상품진열대는 좁은 공간에서 여러 종류의 상품을 진열할 수 있도록 통상 좌, 우측 수직 프레임 사이에 상품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볼트와 너트 등 고정 부재를 이용하여 수평 선반을 다단 등 간격으로 수직 설치한 고정식으로서 조립구조가 복잡하여 조립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절첩이 불가능하여 운반 및 보관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으므로 이에 대한 개선책이 요구된다.
전술한 기술구성은 본 고안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05333호(주식회사 아트사인) 2006. 01. 02.
따라서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접철식 구조로 마련되어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고 설치가 편리한 상품 진열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서로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 양단부가 상기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 되며 일측부가 접힘 가능하게 마련되는 복수의 접힘 프레임; 상기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복수의 접힘 프레임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베이스프레임 연결부; 상기 복수의 접힘 프레임을 상기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의 내측 방향으로 접힘 가능하게 연결하는 접힘프레임 연결부; 상기 복수의 접힘 프레임을 펼친 상태에서 상기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에 지지 되며 진열 대상물이 놓여지는 진열판; 및 상기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복수의 접힘 프레임, 상기 복수의 접힘 프레임 상호 간을 연결하는 연결판을 포함하는 상품 진열대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프레임 연결부는, 상기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의 양단부에 각각 연결되는 베이스프레임 연결 바디; 상기 베이스 프레임 연결 바디에서 상기 접힘 프레임의 방향으로 마련되는 회전 지지암; 일측부는 상기 회전 지지암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부에는 상기 접힘 프레임이 연결되는 접힘프레임 연결 바디; 및 상기 베이스프레임 연결 바디에 마련되어 상기 진열판을 지지하는 진열판 지지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힘프레임 연결 바디에는 상기 접힘 프레임을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방향으로 접을 때 상기 회전 지지암의 외벽에 접촉되는 제1 회전 가이드 돌기가 마련되고, 상기 복수의 접힘 프레임의 접힘 완료 시 상기 접힘프레임 연결 바디의 일측벽은 상기 진열판 지지대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접힘프레임 연결부는, 상기 복수의 접힘 프레임 중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접힘 프레임의 단부에 각각 결합 되는 한 쌍의 접힘프레임 결합 바디; 및 상기 한 쌍의 접힘프레임 결합 바디에 각각 결합 되어 상기 한 쌍의 접힘프레임 결합 바디의 회전을 지지하는 회전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 지지부는, 상기 한 쌍의 접힘프레임 결합 바디의 사이에 배치되는 회전 지지 바디; 상기 회전 지지 바디의 일측부에 마련되어 상기 한 쌍의 접힘프레임 결합 바디에 각각 결합 되는 회전 가이드 암; 및 상기 회전 지지 바디에 마련되어 상기 연결판의 결합 장소로 제공되는 결합 암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복수의 접힘 프레임을 베이스 프레임에 접힘 가능하게 마련함으로써 비 사용시에 본 실시예를 접어서 보관할 수 있으므로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과 복수의 접힘 프레임이 베이스프레임 연결부에 의해 서로 접힘 가능하게 연결되고, 복수의 접힘 프레임이 접힘프레임 연결부에 의해 서로 접힘 가능하게 연결되어 전체적으로 접힘 구조를 유지하므로 본 실시 예를 편리하게 설치할 수 있고, 사용 완료후에 편리하게 접어서 보관할 수 있다.
나아가 진열판이 진열판 지지대에 지지 된 상태로 위치 고정되므로 진열판을 편리하게 탈착할 수 있고, 베이스프레임 연결부와 접힘프레임 연결부에 마련된 복수의 회전 가이드 돌기에 의해 베이스 프레임과 접힘 프레임의 회전을 원활히 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품 진열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상품 진열대를 접은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진열판을 지지하는 진열판 지지대의 영역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개략적인 평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를 접은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주요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을 펼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고안과 본 고안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고안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품 진열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상품 진열대를 접은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진열판을 지지하는 진열판 지지대의 영역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1의 개략적인 평단면도이다.
또한 도 5는 도 4를 접은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5의 주요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도 6을 펼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상품 진열대(1)는, 서로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100)과, 양단부가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1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 되며 일측부가 접힘 가능하게 마련되는 복수의 접힘 프레임(200)과,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100)과 복수의 접힘 프레임(200)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베이스프레임 연결부(300)와, 복수의 접힘 프레임(200)을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100)의 내측 방향으로 접힘 가능하게 연결하는 접힘프레임 연결부(400)와, 복수의 접힘 프레임(200)을 펼친 상태에서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100)에 지지 되며 진열 대상물이 놓여지는 진열판(500)과,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100)과 복수의 접힘 프레임(200)에 결합 되는 연결판(600)을 구비한다.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100)과 복수의 접힘 프레임(2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펼친 상태에서 내부가 비어있는 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고, 복수의 접힘 프레임(200)을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100)의 내측 방향으로 접어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100)의 저면부에는 복수의 롤러(미도시)가 마련되어 본 실시 예의 이동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복수의 접힘 프레임(200)은, 도 1을 기준으로 전방에 한 쌍이 마련되고, 후방에 한 쌍이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전방에 마련되는 한 쌍의 접힘 프레임(200)과 후방에 마련되는 한 쌍의 접힘 프레임(200)은 중앙부가 접힘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고, 양단부는 베이스 프레임(10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베이스프레임 연결부(3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100)에 복수의 접힘 프레임(200)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여 복수의 접힘 프레임(200)을 접을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 예에서 베이스프레임 연결부(300)는, 도 4의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100)의 양단부에 각각 연결되는 베이스프레임 연결 바디(310)와, 베이스프레임 연결 바디(310)에서 접힘 프레임(200)의 방향으로 마련되는 회전 지지암(320)과, 일측부는 회전 지지암(32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부에는 접힘 프레임(200)이 연결되는 접힘프레임 연결 바디(330)와, 베이스프레임 연결 바디(310)에 마련되어 진열판(500)을 지지하는 진열판 지지대(340)를 포함한다.
베이스프레임 연결부(300)의 베이스프레임 연결 바디(310)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단부에 베이스 프레임(100)이 결합 된다.
본 실시 예에서 베이스프레임 연결 바디(310)는 베이스 프레임(100)과 일체로 마련될 수도 있고, 별도로 마련되어 베이스 프레임(100)에 볼트, 용접 또는 끼워 맞춤 등의 공지된 결합 수단으로 결합 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베이스프레임 연결 바디(310)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홀(311)이 마련되고, 이 결합홀(311)에는 연결판(600)을 고정시키는 핀이나 볼트 등의 고정부재가 결합 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결합홀(311)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지지암(320)에도 마련될 수 있고, 베이스프레임 연결 바디(310)에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베이스프레임 연결부(300)의 회전 지지암(32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프레임 연결 바디(310)의 단부에 연장 마련될 수 있고, 접힘프레임 연결 바디(330)에 마련된 절개홈에 끼워 맞춤 결합 되어 접힘프레임 연결 바디(330)를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회전 지지암(32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부가 절개된 고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베이스프레임 연결부(300)의 접힘프레임 연결 바디(3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부가 회전 지지암(3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 되고 타측부에는 접힘 프레임(200)이 끼워 맞춤, 용접 또는 볼트 결합 등의 방식으로 결합 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접힘프레임 연결 바디(330)의 일측부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대(210)의 단부가 삽입되는 결합홈(331)이 마련되고, 타측부에는 회전 지지암(320)의 외벽과 접촉되어 접힘프레임 연결 바디(330)의 회전을 가이드 하는 제1 회전 가이드 돌기(333)가 마련된다.
본 실시 예에서 복수의 접힘 프레임(200)을 접었을 때 접힘프레임 연결 바디(330)의 일측벽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열판 지지대(340)에 지지 되어 안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베이스프레임 연결부(300)의 진열판 지지대(34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프레임 연결 바디(310)에 마련되어 진열판(500)을 지지함과 아울러 접힘이 완료된 접힘프레임 연결 바디(33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 예에서 진열판 지지대(340)는 베이스프레임 연결 바디(310)와 일체로 마련될 수 있고, 납작한 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진열판 지지대(340)는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100)에 총 4개가 마련될 수 있다.
접힘프레임 연결부(4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접힘 프레임(200)을 접힘 가능하게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 예에서 접힘프레임 연결부(4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접힘 프레임(200)의 단부에 각각 결합 되는 한 쌍의 접힘프레임 결합 바디(410)와, 한 쌍의 접힘프레임 결합 바디(410)에 각각 결합 되어 한 쌍의 접힘프레임 결합 바디(410)의 회전을 지지하는 회전 지지부(420)를 포함한다.
접힘프레임 연결부(400)의 한 쌍의 접힘프레임 결합 바디(410)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회전 가이드 돌기(411)가 마련되고, 이 제2 회전 가이드 돌기(411)는 복수의 접힘 프레임(200)의 접힘 시 회전 가이드 암(423)에 접촉되어 회전 가이드 암(423)의 회전을 가이드 한다.
접힘프레임 연결부(400)의 회전 지지부(4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접힘프레임 결합 바디(410)의 사이에 배치되는 회전 지지 바디(421)와, 회전 지지 바디(421)의 일측부에 마련되어 한 쌍의 접힘프레임 결합 바디(410)에 각각 결합 되는 회전 가이드 암(423)과, 회전 지지 바디(421)에 마련되어 연결판(600)의 결합 장소로 제공되는 결합 암(425)을 포함한다.
회전 가이드 암(423)은, 도 4의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힘프레임 결합 바디(410)에 마련된 절개 결합홈에 회전 가능하도록 끼워 맞춤 결합 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회전 가이드 암(423)은 일측부가 절개된 링 형상을 가질 수 있고, 회전 가이드 암(423)의 내벽에는 연결판(600)을 회전 가이드 암(423)에 결합시키는 핀이나 볼트 등의 결합 부재가 끼워 맞춤 또는 나사 결합 될 수 있다.
결합 암(425)은, 도 4의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지지 바디(421)의 내벽에 마련될 수 있고, 일측부가 절개된 원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결합 암(425)의 내벽에는 전술한 결합 부재가 끼워 맞춤 또는 나사 결합 될 수 있다.
진열판(5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상 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고, 도 3에 도시된 진열판 지지대(340)에 지지 되며 그 상면에는 진열 대상물이 놓여질 수 있다.
연결판(600)은,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프레임(100)과 접힘 프레임(200), 접힘 프레임(200) 상호 간을 접힘 가능하게 연결한다.
본 실시 예에서 연결판(600)은 납작한 판 형상을 가질 수 있고, 베이스프레임 연결부(300)의 결합홀(311)과 회전 지지암(320), 접힘프레임 연결부(400)의 회전 가이드 암(423)과 결합 암(425)에 핀이나 볼트 등의 결합 부재로 끼워 맞춤 또는 나사 결합 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복수의 접힘 프레임을 베이스 프레임에 접힘 가능하게 마련함으로써 비 사용시에 본 실시예를 접어서 보관할 수 있으므로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과 복수의 접힘 프레임이 베이스프레임 연결부에 의해 서로 접힘 가능하게 연결되고, 복수의 접힘 프레임이 접힘프레임 연결부에 의해 서로 접힘 가능하게 연결되어 전체적으로 접힘 구조를 유지하므로 본 실시 예를 편리하게 설치할 수 있고, 사용 완료후에 편리하게 접어서 보관할 수 있다.
나아가 진열판이 진열판 지지대에 지지 된 상태로 위치 고정되므로 진열판을 편리하게 탈착할 수 있고, 베이스프레임 연결부와 접힘프레임 연결부에 마련된 복수의 회전 가이드 돌기에 의해 베이스 프레임과 접힘 프레임의 회전을 원활히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고안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 : 상품 진열대
100 : 베이스 프레임
200 : 접힘 프레임
210 : 연결대
300 : 베이스프레임 연결부
310 : 베이스프레임 연결 바디
311 : 결합홀
320 : 회전 지지암
330 : 접힘프레임 연결 바디
331 : 결합홈
333 : 제1 회전 가이드 돌기
400 : 접힘프레임 연결부
410 : 접힘프레임 결합 바디
411 : 제2 회전 가이드 돌기
420 : 회전 지지부
421 : 회전 지지 바디
422 : 회전 가이드 암
423 : 결합 암
500 : 진열판
600 : 연결판

Claims (5)

  1. 서로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
    양단부가 상기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 되며 일측부가 접힘 가능하게 마련되는 복수의 접힘 프레임;
    상기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복수의 접힘 프레임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베이스프레임 연결부;
    상기 복수의 접힘 프레임을 상기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의 내측 방향으로 접힘 가능하게 연결하는 접힘프레임 연결부;
    상기 복수의 접힘 프레임을 펼친 상태에서 상기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에 지지 되며 진열 대상물이 놓여지는 진열판; 및
    상기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복수의 접힘 프레임, 상기 복수의 접힘 프레임 상호 간을 연결하는 연결판을 포함하는 상품 진열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프레임 연결부는,
    상기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의 양단부에 각각 연결되는 베이스프레임 연결 바디;
    상기 베이스 프레임 연결 바디에서 상기 접힘 프레임의 방향으로 마련되는 회전 지지암;
    일측부는 상기 회전 지지암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부에는 상기 접힘 프레임이 연결되는 접힘프레임 연결 바디; 및
    상기 베이스프레임 연결 바디에 마련되어 상기 진열판을 지지하는 진열판 지지대를 포함하는 상품 진열대.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접힘프레임 연결 바디에는 상기 접힘 프레임을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방향으로 접을 때 상기 회전 지지암의 외벽에 접촉되는 제1 회전 가이드 돌기가 마련되고,
    상기 복수의 접힘 프레임의 접힘 완료 시 상기 접힘프레임 연결 바디의 일측벽은 상기 진열판 지지대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진열대.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접힘프레임 연결부는,
    상기 복수의 접힘 프레임 중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접힘 프레임의 단부에 각각 결합 되는 한 쌍의 접힘프레임 결합 바디; 및
    상기 한 쌍의 접힘프레임 결합 바디에 각각 결합 되어 상기 한 쌍의 접힘프레임 결합 바디의 회전을 지지하는 회전 지지부를 포함하는 상품 진열대.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회전 지지부는,
    상기 한 쌍의 접힘프레임 결합 바디의 사이에 배치되는 회전 지지 바디;
    상기 회전 지지 바디의 일측부에 마련되어 상기 한 쌍의 접힘프레임 결합 바디에 각각 결합 되는 회전 가이드 암; 및
    상기 회전 지지 바디에 마련되어 상기 연결판의 결합 장소로 제공되는 결합 암을 포함하는 상품 진열대.
KR2020180000409U 2018-01-26 2018-01-26 상품 진열대 KR2019000197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0409U KR20190001975U (ko) 2018-01-26 2018-01-26 상품 진열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0409U KR20190001975U (ko) 2018-01-26 2018-01-26 상품 진열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1975U true KR20190001975U (ko) 2019-08-05

Family

ID=675858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0409U KR20190001975U (ko) 2018-01-26 2018-01-26 상품 진열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01975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7598B1 (ko) * 2020-07-23 2020-11-11 주식회사 레어로우 접이식 매대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5333Y1 (ko) 2005-10-04 2006-01-10 (주)아트사인 H형 회전식 상품진열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5333Y1 (ko) 2005-10-04 2006-01-10 (주)아트사인 H형 회전식 상품진열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7598B1 (ko) * 2020-07-23 2020-11-11 주식회사 레어로우 접이식 매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31894A (en) Display panel and assembly
US8113605B2 (en) Foldable display module
US20040173124A1 (en) Foldable computer desk
KR200481811Y1 (ko) 진열 선반의 조립구조
KR200405541Y1 (ko) 이동식 판매대
KR20190001975U (ko) 상품 진열대
KR200478738Y1 (ko) 상품 진열용 스탠드
RU2438550C1 (ru) Складной стеллаж (варианты)
KR101614834B1 (ko) 장식 가구용 접이식 패널
JP5059818B2 (ja) 商品用陳列台
JP2013154060A (ja) 物品陳列什器
KR200439368Y1 (ko) 상품진열대
JP3222586U (ja) 商品陳列用什器
KR101732470B1 (ko) 절첩 가능한 조립식 가구
CN215686324U (zh) 一种组合式柜台架
KR200345700Y1 (ko) 절첩기능을 가진 상품진열대의 결합구조
KR200365643Y1 (ko) 경사식 상품진열대
JP2003135230A (ja) 商品陳列台および商品陳列棚
KR200345676Y1 (ko) 절첩기능을 가진 상품진열대의 결합구조
KR200241137Y1 (ko) 상품진열대용 사각지주의 6방위 연결장치
JPH10155611A (ja) 陳列台
JP3149981U (ja) 商品陳列台
JP6329300B2 (ja) 物品収納箱用載置棚
KR100467037B1 (ko) 분해조립식 간이 진열대
JP2008061662A (ja) 天板付家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C193 Request for withdrawal (abandon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