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8661B1 - 와이퍼장치 - Google Patents

와이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8661B1
KR102648661B1 KR1020220033896A KR20220033896A KR102648661B1 KR 102648661 B1 KR102648661 B1 KR 102648661B1 KR 1020220033896 A KR1020220033896 A KR 1020220033896A KR 20220033896 A KR20220033896 A KR 20220033896A KR 102648661 B1 KR102648661 B1 KR 1026486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rusion
wiper arm
wiper
wiper device
adap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38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36328A (ko
Inventor
김형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캐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캐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캐프
Priority to KR10202200338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8661B1/ko
Priority to EP23162337.2A priority patent/EP4245617A1/en
Priority to US18/185,592 priority patent/US20230294640A1/en
Publication of KR202301363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63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86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866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4Wiper arms; Mountings therefor
    • B60S1/3463Means to press blade onto screen
    • B60S1/3475Means to press blade onto screen with blade or leaf 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40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 B60S1/4083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flat end
    • B60S1/4087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flat end the end being provided with protrusions or ho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60S1/3848Flat-type wiper blade, i.e. without harness
    • B60S1/3849Connectors therefor; Connection to wiper arm; Attached to bla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4Wiper arms; Mountings therefor
    • B60S1/3463Means to press blade onto scre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40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40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 B60S1/4067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side pin
    • B60S1/4074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side pin with means provided on the blade for locking the side p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60S2001/3812Means of supporting or holding the squeegee or blade rub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40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 B60S2001/409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characterised by the arm or connecting part mounted on the arm presenting a shaped opening for bearing the pivot ax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naps, Bayonet Connections, Set Pins, And Snap Rings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와이퍼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장치는, 윈도우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며 와이퍼 암과 연결되는 와이퍼장치로서, 이물질을 닦아내는 밀착부재, 밀착부재가 윈도우에 밀착되도록 밀착부재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지지부재 및 지지부재와 와이퍼 암을 결합시키는 어댑터를 포함하고, 어댑터는, 지지부재에 연결되며 와이퍼 암이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된 제1 부재 및 제1 부재에 상하 방향으로 끼워진 후 측면 방향으로 회전되어 체결되며 제1 부재에 체결되어 와이퍼 암을 고정시키는 제2 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Description

와이퍼장치{Wiper device}
본 발명은 와이퍼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운행 중인 자동차에서 대기 중의 먼지나 각종 이물질 또는 기상 상태로 인한 눈, 비로 유리창 면이 오염되면 시야 확보가 어렵게 되어 안전운행에 지장을 주게 된다. 이에 따라, 자동차에는 운전자의 안전운전을 위한 시계확보의 수단으로 유리창 면에 묻은 눈, 비나 이물질 따위를 닦아 내는 차량용 와이퍼장치가 설치된다.
와이퍼 장치는 어댑터 의해 차량에 설치된 와이퍼 암에 연결되고, 와이퍼 암에 의해 작동된다.
본 발명은 와이퍼 장치와 와이퍼 암을 견고하게 연결시키고 탈부착을 용이하게 하는 와이퍼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윈도우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며 와이퍼 암과 연결되는 와이퍼장치로서, 이물질을 닦아내는 밀착부재, 밀착부재가 윈도우에 밀착되도록 밀착부재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지지부재 및 지지부재와 와이퍼 암을 결합시키는 어댑터를 포함하고, 어댑터는, 지지부재에 연결되며 와이퍼 암이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된 제1 부재 및 제1 부재에 상하 방향으로 끼워진 후 측면 방향으로 회전되어 체결되며 제1 부재에 체결되어 와이퍼 암을 고정시키는 제2 부재를 구비하는 와이퍼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장치는, 어댑터가 2개의 부재로 구성되고, 하나의 부재에 와이퍼 암을 삽입한 상태에서 다른 부재를 체결하여 와이퍼 암을 쉽게 결합할 수 있어서, 와이퍼 장치의 장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장치에서, 어댑터의 제1 부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장치에서, 어댑터의 제2 부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장치에서, 어댑터의 체결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장치에 결합되는 와이퍼 암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장치는, 윈도우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와이퍼장치로서, 밀착부재(10), 지지부재(20) 및 어댑터(100)를 포함한다.
밀착부재(10)는 윈도우에 밀착되어 이물질을 닦아내는 부분으로, 본 실시의 밀착부재(10)에는 고무재질의 와이퍼 블레이드와 같은 공지의 다양한 밀착부재(10)가 모두 포함된다.
지지부재(20)는 밀착부재(10)가 윈도우에 밀착되도록 밀착부재(10)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부분이다. 지지부재(20)는 복수의 레버가 힌지로 연결되는 토너먼트 형태의 구조물일 수 있다. 또한, 지지부재(20)는 판형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플랫 형태의 구조일 수도 있다. 또한, 지지부재(20)는 토너먼트 구조와 플랫 구조가 결합된 하이브리드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윈도우 형상에 맞추어 소정의 곡률 및 탄성력을 가진 판형 스프링이 지지부재(20)로 사용되어서, 밀착부재(10)인 와이퍼 블레이드를 차량 유리창의 곡면에 밀착시킬 수 있다.
한편, 지지부재(20) 상에는 커버부재(25) 및 엔드 캡(27)이 결합될 수도 있다.
어댑터(100)는 제1 부재(110) 및 제2 부재(150)가 체결 및 해제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장치에서, 어댑터(100)의 제1 부재(110)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장치에서, 어댑터(100)의 제2 부재(150)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 때, 도 4는 도 3의 A부분을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도 7의 B부분을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도 9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장치에서, 어댑터(100)의 체결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부재(110)가 어댑터 연결부(32)를 통하여 먼저 지지부재(20)에 연결되고, 제2 부재(150)는 제1 부재(110)에 상하 방향으로 끼워진 후 측면 방향으로 회전되어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제1 부재(110)에 와이퍼 암(5)이 삽입되는 삽입홀(113)이 형성되고, 제2 부재(150)가 제1 부재(110)에 체결되어 와이퍼 암(5)을 고정시킬 수 있다.
도 3 및 도 7을 참조하면, 제2 부재(150)에 결합홀(153)이 형성되고, 제1 부재(110)에는 결합홀(153)에 삽입되는 결합돌기(115)가 형성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결합홀(153)에 결합돌기(115)를 삽입한 후에, 제2 부재(150)를 회전하여 결합돌기(115)를 제2 부재(150)에 체결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 결합돌기(115)의 체결은, 제2 부재(150)와 제1 부재(110)를 정렬 작업과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제2 부재(150)는 하부벽(151)을 포함할 수 있으며, 결합홀(153)은 하부벽(151)을 관통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제1 부재(110)는 제2 부재(150)의 하부벽(151)에 마주하는 상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면에 결합돌기(115)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결합돌기(115)의 측면에는 체결홈(115c)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부재(110)의 상면에 돌출된 막대형 부재(115a)가 형성되고, 막대형 부재(115a)의 측면에 날개 형태로 판형 부재(115b)가 돌출될 수 있다. 즉, 결합돌기(115)는, 막대형 부재(115a)와, 막대형 부재(115a)에서 측면으로 돌출된 판형 부재(115b)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때, 제1 부재(110)의 상면과 판형 부재(115b)와 사이에 빈 공간이 형성되어 체결홈(115c)이 될 수 있다. 제1 부재(110)의 상면과 판형 부재(115b) 사이의 공간은, 삽입되는 제2 부재(150)의 하부벽(151)의 두께에 맞추어, 폭이 결정될 수 있다.
또한, 결합돌기(115)가 결합홀(153)에 삽입되도록, 결합돌기(115)의 전체적 외형은 결합홀(153)의 형상에 맞추어 형성될 수 있다. 열쇠 홈과 열쇠의 관계와 유사하게, 일정한 위치에서 삽입이 가능하도록, 결합홀(153)과 결합돌기(115)의 외곽선이 서로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와이퍼 장치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제1 부재(110)에 대하여 제2 부재(150)가 일정 각도가 어긋나게 배치될 때에, 결합돌기(115)가 결합홀(153)에 맞추어져 삽입될 수 있고 제2 부재(150)가 제1 부재(110)를 향하여 위에서 아래로 끼워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부재(110)에 대하여 제2 부재(150)가 시계방향으로 어긋난 상태에서 결합돌기(115)가 결합홀(153)에 맞추어질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결합홀(153)에 결합돌기(115)를 삽입한 후에, 제1 부재(110)에 대하여 제2 부재(150)를 측면방향으로 회전시켜서 제1 부재(110)에 제2 부재(150)를 체결할 수 있다. 이 때, 제2 부재(150)가 회전하면서, 제1 부재(110)의 체결홈(115c)에 제2 부재(150)의 하부벽(151)이 끼워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2 부재(150)는 제1 부재(110)와 어긋난 각도에서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서, 제1 부재(110)와 제2 부재(150)가 와이퍼의 길이방향으로 정렬이 이루지고 동시에 제1 부재(110)와 제2 부재(150)의 체결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때, 어댑터(100)는 제1 부재(110)에 대한 제2 부재(150)의 회전 각도를 제한할 수 있다. 특히, 제1 부재(110)에 제2 부재(150)가 끼워져 일측 방향으로 회전된 이후에, 제1 부재(110)에 대한 제2 부재(150)의 타측 방향으로 회전 각도를 제한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어댑터(100)는 제1 부재(110)에 대하여 제2 부재(150)를 해제하는 방향으로 회전 각도를 제한하는 역회전 제한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역회전 제한부(120)는, 제1 부재(110)의 상면에 오목하게 형성된 걸림홈(112)과, 제2 부재(150)의 하면에 돌출 형성된 걸림돌기(152)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부재(110)에 제2 부재(150)가 끼워져 일측 방향(반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걸림홈(112)에 걸림돌기(152)가 삽입될 수 있다. 걸림홈(112)에 걸림돌기(152)가 삽입된 이후에는, 걸림돌기(152)가 걸림홈(112) 내부에 유지되므로 제1 부재(110)에 대한 제2 부재(150)의 회전 각도는 제한된다. 특히, 제2 부재(150)는 역방향으로의 회전이 제한되어서, 제2 부재(150)가 제1 부재(110)에서 빠져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제1 부재(110)에 제2 부재(150)가 유지되는 상태에서, 제1 부재(110)에 와이퍼 암(5)을 삽입하고, 제2 부재(150)를 제1 부재(110)에 쉽게 체결하여 어댑터(100)의 장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결합홀(153)에 결합돌기(115)를 삽입한 후에, 제1 부재(110)에 제2 부재(150)를 조금 회전시켜서 가결합 상태를 형성할 수 있다. 가결합 상태에서는 걸림홈(112)에 걸림돌기(152)가 삽입되어, 제1 부재(110)에 대한 제2 부재(150)의 회전은 소정의 범위로 제한되어 있다. 이 때, 제1 부재(110)의 삽입홀(113)에 와이퍼 암(5)을 삽입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제1 부재(110)에 와이퍼 암(5)을 삽입된 후에, 제2 부재(150)를 완전히 회전시켜서 제1 부재(110)에 대한 제2 부재(150)의 체결을 완료할 수 있다. 이 때, 삽입홀(113)에 삽입된 와이퍼 암(5)은 제1 부재(110)에 대한 제2 부재(150)의 체결로 고정될 수 있다.
어댑터(100)는, 제1 부재(110)에 대하여 제2 부재(150)가 정렬된 위치에서, 제1 부재(110)에 삽입된 와이퍼 암(5)을 고정시키는 고정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장치에 결합되는 와이퍼 암(5)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 및 도 13을 참조하면, 와이퍼 암(5)에는 고정홈(6)이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본 실시예의 고정부(140)는 제2 부재(150)에 형성된 고정돌기(156)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돌기(156)는, 제1 부재(110)에 대하여 제2 부재(150)가 정렬된 위치에서 고정홈(6)에 삽입되어, 와이퍼 암(5)을 제1 부재(110)에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부재(110)에 대하여 제2 부재(150)가 정렬된 위치에서, 제1 부재(110)에 대한 제2 부재(150)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정렬부(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정렬부(130)는, 제1 부재(110)의 상면에서 돌출되고 탄성적으로 지지되는 정렬돌기(116)와, 제2 부재(150)에 형성되고 정렬돌기(116)가 삽입되는 정렬홈(154)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제1 부재(110)와 제2 부재(150)가 와이퍼의 길이방향으로 정렬이 이루질 때에, 정렬돌기(116)는 정렬홈(154)에 삽입되어서 제2 부재(150)가 정렬된 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다.
이 때, 정렬돌기(116)는 탄성 재질로 이루어진 외팔보(cantilever) 위에 형성되어 탄성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외팔보의 단부에는 돌출된 구조의 버튼(117)이 형성되어, 버튼(117)을 누르면 정렬돌기(116)가 정렬홈(154)에서 빠지는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부재(110)에서 제2 부재(150)를 해제할 때에, 버튼(117)을 눌러 정렬부(130)를 해제하고 제2 부재(150)를 회전시켜서 해제할 수 있다.
한편, 제1 부재(110)와 제2 부재(150)가 와이퍼의 길이방향으로 정렬이 이루질 때에, 제2 부재(150)의 단부 일부는 제1 부재(110)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제2 부재(150)는 하부벽(151)의 길이방향 단부에 삽입부(151a)가 형성되고, 제1 부재(110)의 길이방향 단부에는 삽입부(151a)가 끼워지는 수용부(111)가 형성될 수 있다. 수용부(111)는 측면이 열린 구조로 형성되어서, 제2 부재(150)가 회전하여 정렬될 때에 삽입부(151a)가 수용부(111)의 측면으로 삽입되어 끼워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부재(110)에서 제2 부재(150)의 단부가 들뜨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실시예 외의 많은 실시예들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내에 존재한다.
5: 와이퍼 암
6: 고정홈
10: 밀착부재
20: 지지부재
25: 커버부재
100: 어댑터
110: 제1 부재
112: 걸림홈
113: 삽입홀
115: 결합돌기
116: 정렬돌기
120: 역회전 제한부
130: 정렬부
140: 고정부
150: 제2 부재
151: 하부벽
152: 걸림돌기
153: 결합홀
154: 정렬홈
156: 고정돌기

Claims (9)

  1. 윈도우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며, 와이퍼 암과 연결되는 와이퍼장치로서,
    상기 이물질을 닦아내는 밀착부재;
    상기 밀착부재가 상기 윈도우에 밀착되도록 상기 밀착부재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지지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와이퍼 암을 연결시키는 어댑터를 포함하고,
    상기 어댑터는,
    상기 지지부재에 연결되며 상기 와이퍼 암이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된 제1 부재 및
    상기 제1 부재에 상하 방향으로 끼워진 후 측면 방향으로 회전되어 체결되며, 상기 제1 부재에 체결되어 상기 와이퍼 암을 고정시키는 제2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부재에 상기 제2 부재가 체결된 위치에서, 상기 제1 부재에 삽입된 상기 와이퍼 암을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와이퍼 암에는 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2 부재에 형성되고, 상기 제1 부재에 상기 제2 부재가 체결된 위치에서 상기 고정홈에 삽입되는 고정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부재는 상기 제1 부재에 상하 방향으로 끼워진 후 측면 방향으로 회전하며, 상기 고정돌기가 상기 와이퍼 암의 상기 고정홈에 삽입되어, 상기 제1 부재에 삽입된 상기 와이퍼 암이 고정되는, 와이퍼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는,
    상기 제1 부재에 상기 제2 부재가 끼워져 일측 방향으로 회전된 이후에,
    상기 제1 부재에 대한 상기 제2 부재의 타측 방향으로 회전 각도를 제한하는 역회전 제한부를 포함하는, 와이퍼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역회전 제한부는,
    상기 제1 부재의 상면에 오목하게 형성된 걸림홈 및
    상기 제2 부재의 하면에 돌출 형성된 걸림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부재에 상기 제2 부재가 끼워져 일측 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걸림홈에 상기 걸림돌기가 삽입되어 상기 제1 부재에 대한 상기 제2 부재의 회전 각도가 제한되는, 와이퍼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재에 결합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부재에 상기 결합홀에 삽입되는 결합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홀에 상기 결합돌기를 삽입한 후에, 상기 제2 부재를 회전시켜서 상기 결합돌기를 상기 결합홀에 체결시키는, 와이퍼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재는 상기 제1 부재와 접하는 하부벽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홀은 상기 하부벽을 관통하며,
    상기 제1 부재는 상기 하부벽에 마주하는 상면을 포함하고, 상기 상면에 상기 결합돌기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결합돌기의 측면에는 체결홈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홀에 상기 결합돌기를 삽입한 후에 상기 제1 부재에 대하여 상기 제2 부재를 회전시킬 때에, 상기 제2 부재의 상기 체결홈에 상기 하부벽이 끼워지는, 와이퍼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는,
    상기 제1 부재에 대하여 상기 제2 부재가 정렬된 위치에서, 상기 제1 부재에 대한 상기 제2 부재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정렬부를 더 포함하는, 와이퍼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부는,
    상기 제1 부재의 상면에서 돌출되고 탄성적으로 지지되는 정렬돌기; 및
    상기 제2 부재에 형성되고 상기 정렬돌기가 삽입되는 정렬홈을 포함하는, 와이퍼 장치.
  8. 삭제
  9. 삭제
KR1020220033896A 2022-03-18 2022-03-18 와이퍼장치 KR1026486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3896A KR102648661B1 (ko) 2022-03-18 2022-03-18 와이퍼장치
EP23162337.2A EP4245617A1 (en) 2022-03-18 2023-03-16 Wiper device
US18/185,592 US20230294640A1 (en) 2022-03-18 2023-03-17 Wiper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3896A KR102648661B1 (ko) 2022-03-18 2022-03-18 와이퍼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6328A KR20230136328A (ko) 2023-09-26
KR102648661B1 true KR102648661B1 (ko) 2024-03-19

Family

ID=857038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3896A KR102648661B1 (ko) 2022-03-18 2022-03-18 와이퍼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30294640A1 (ko)
EP (1) EP4245617A1 (ko)
KR (1) KR10264866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033466A1 (en) * 2011-04-13 2014-02-06 Robert Bosch Gmbh Wiper blade adapter device
WO2020264586A1 (en) * 2019-06-28 2020-12-30 Trico Products Corporation Multiple wiper blade adapter for wiper blade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81742B1 (fr) * 1998-07-31 2000-09-15 Journee Paul Sa Essuie-glace de vehicule automobile comportant des moyens perfectionnes de liaison et d'articulation du bras sur le balai de l'essuie-glace
CN202320222U (zh) * 2011-12-08 2012-07-11 宁波鑫海爱多汽车雨刷制造有限公司 无骨雨刷及其通用接头
DE102016206127A1 (de) * 2016-04-13 2017-10-19 Robert Bosch Gmbh Wischvorrichtung mit einem Wischarmadapter
KR20210067622A (ko) * 2019-11-29 2021-06-08 주식회사 캐프 와이퍼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033466A1 (en) * 2011-04-13 2014-02-06 Robert Bosch Gmbh Wiper blade adapter device
WO2020264586A1 (en) * 2019-06-28 2020-12-30 Trico Products Corporation Multiple wiper blade adapter for wiper blade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245617A1 (en) 2023-09-20
US20230294640A1 (en) 2023-09-21
KR20230136328A (ko) 2023-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4582B1 (ko) 와이퍼 장치
US20120180244A1 (en) Multi-adapter for a vehicle wiper
EP2468588B1 (en) Wiper blade assembly structure
JP4732759B2 (ja) 自動車のウインドウガラスのためのワイパ装置
KR100688047B1 (ko) 차량의 윈도우용 와이퍼 장치
US6675432B1 (en) Device for hingeably joining a motor vehicle window-pane wiper blade to a wiper arm
US8307492B2 (en) Linking device including turning limitation means
US4127912A (en) Wiper blade
US20110047742A1 (en) Automobile wiper-blade
US20110072607A1 (en) Connection device for the articulated connection of a wiper blade to a wiper arm
EP0849133A1 (en) Windshield wiper for a car
US8800098B2 (en) Connecting device for wiper blade and wiper blade having the same
JP2008526613A (ja) 自動車用ワイパーブレード装置
JP6538653B2 (ja) ウインドスクリーンワイパーデバイスのための接続デバイス
KR101691427B1 (ko) 윈드쉴드 와이퍼 어셈블리
KR101036579B1 (ko) 와이퍼장치
CN112874479A (zh) 雨刷装置
US3978543A (en) Windscreen wipers
KR102648661B1 (ko) 와이퍼장치
KR101036577B1 (ko) 와이퍼장치
KR101211096B1 (ko) 와이퍼 장치
CN210554679U (zh) 一种雨刷接头及适配该雨刷接头的雨刷
US20210245713A1 (en) Wiper Device
KR101457394B1 (ko) 와이퍼 손상 방지 기능을 갖는 자동차 및 그에 사용되는 선회형 이격 디바이스
KR102461203B1 (ko) 와이퍼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