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8573B1 - 발판을 이용하는 에너지 하베스팅 장치 - Google Patents

발판을 이용하는 에너지 하베스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8573B1
KR102648573B1 KR1020230057623A KR20230057623A KR102648573B1 KR 102648573 B1 KR102648573 B1 KR 102648573B1 KR 1020230057623 A KR1020230057623 A KR 1020230057623A KR 20230057623 A KR20230057623 A KR 20230057623A KR 102648573 B1 KR102648573 B1 KR 1026485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vel gear
external force
energy harvesting
harvesting device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576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모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휴젝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휴젝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휴젝트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85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857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8Structural association of electric generators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e.g. with turbines
    • H02K7/1807Rotary generators
    • H02K7/1853Rotary generators driven by intermittent fo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G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MECHANICAL-POWER PRODUCING DEVICES OR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USING ENERGY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G5/00Devices for producing mechanical power from muscle energy
    • F03G5/06Devices for producing mechanical power from muscle energy other than of endless-walk type
    • F03G5/062Devices for producing mechanical power from muscle energy other than of endless-walk type driven by humans
    • F03G5/063Devices for producing mechanical power from muscle energy other than of endless-walk type driven by humans operated by the leg or foot
    • F03G5/064Devices for producing mechanical power from muscle energy other than of endless-walk type driven by humans operated by the leg or foot using a bicycle or a bicycle pedal, e.g. pedal genera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6Means for converting reciprocating motion into rotary motion or vice versa
    • H02K7/075Means for converting reciprocating motion into rotary motion or vice versa using crankshafts or eccentric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0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 H02K7/116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with gea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20/00Application
    • F05B2220/70Application in combination with
    • F05B2220/706Application in combination with an electrical genera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60/00Function
    • F05B2260/42Storage of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ar Transmission (AREA)

Abstract

발판을 통해 인가된 외력을 이용하여 전자기 유도 방식으로 전기 에너지를 생성하는 에너지 하베스팅 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발판을 이용하는 에너지 하베스팅 장치는 제1베벨 기어; 상기 제1베벨 기어와 마주보며, 상기 제1베벨 기어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2베벨 기어; 상기 제1 및 제2베벨와 결합되어, 상기 제1 또는 제2베벨 기어의 움직임에 따라서 회전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3베벨 기어; 상기 제1 내지 제3베벨 기어가 배치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을 지지하는 지지부; 제1발판을 통해 인가된 외력을 상기 제1베벨 기어로 전달하는 제1외력 전달부; 제2발판을 통해 인가된 외력을 상기 제2베벨 기어로 전달하는 제2외력 전달부; 및 상기 제3베벨 기어의 회전에 의해 전기 에너지를 생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너레이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발판을 이용하는 에너지 하베스팅 장치{ENERGY HARVESTING APPARATUS USING FOOTHOLD}
본 발명은 발판을 이용하는 에너지 하베스팅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발판을 통해 인가된 외력을 이용하여 전자기 유도 방식으로 전기 에너지를 생성하는 에너지 하베스팅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는 에너지 자원의 부족에 따라 다양한 에너지 생산 방법들이 연구되고 있는데, 특히, 최근에는 에너지 하베스팅(energy harvesting)이라는 개념으로 일상 생활에서 버려지는 에너지를 회수하는 시스템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에너지 하베스팅 기술은 진동, 빛, 열, 전자파 등 일상 생활에서 버려지는 에너지를 모아 사용 가능한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기술을 의미하며, 매우 다양한 분야에서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특히, 전자기 유도를 이용하는, 에너지를 하베스팅 장치는 원리가 간단하고 구현이 용이하여, 다양한 제품에 응용되고 있다.
관련 선행문헌으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00650호, 제10-10984120호가 있다.
본 발명은 발판의 움직임에 의해 전기 에너지가 생성될 수 있는 에너지 하베스팅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크기 증가가 최소화되면서, 제너레이터의 개수에 비례하여 생성되는 전기 에너지가 증가될 수 있는 에너지 하베스팅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베벨 기어; 상기 제1베벨 기어와 마주보며, 상기 제1베벨 기어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2베벨 기어; 상기 제1 및 제2베벨와 결합되어, 상기 제1 또는 제2베벨 기어의 움직임에 따라서 회전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3베벨 기어; 상기 제1 내지 제3베벨 기어가 배치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을 지지하는 지지부; 발판을 통해 인가된 외력을 상기 제1베벨 기어로 전달하는 제1외력 전달부; 상기 발판을 통해 인가된 외력을 상기 제2베벨 기어로 전달하는 제2외력 전달부; 및 상기 제3베벨 기어의 회전에 의해 전기 에너지를 생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너레이터를 포함하는 발판을 이용하는 에너지 하베스팅 장치에너지 하베스팅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베벨 기어; 상기 제1베벨 기어와 마주보며, 상기 제1베벨 기어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2베벨 기어; 상기 제1 및 제2베벨와 결합되어, 상기 제1 또는 제2베벨 기어의 움직임에 따라서 회전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3베벨 기어; 상기 제1 내지 제3베벨 기어가 배치되며, 상기 제3베벨 기어의 배치 위치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홀을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을 지지하는 지지부; 상기 제1베벨 기어로 외력을 전달하는 제1외력 전달부; 상기 제2베벨 기어로 외력을 전달하는 제2외력 전달부; 및 상기 제3베벨 기어의 회전에 의해 전기 에너지를 생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너레이터를 포함하는 에너지 하베스팅 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기 에너지를 생성하는 제너레이터의 개수가 증가하더라도, 제너레이터의 부피 이외 다른 구성 요소에 의한 부피의 증가가 억제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에너지 하베스팅 장치의 크기 증가가 억제되면서 생성되는 전기 에너지가 증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하베스팅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하베스팅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판을 이용하는 에너지 하베스팅 장치의 기어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판을 이용하는 에너지 하베스팅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판을 이용하는 에너지 하베스팅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판을 이용하는 에너지 하베스팅 장치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판을 이용하는 에너지 하베스팅 장치의 기어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하베스팅 장치는, 제1베벨 기어(110), 제2베벨 기어(120), 적어도 하나의 제3베벨 기어(130), 하우징(140), 지지부(150), 제1외력 전달부(160), 제2외력 전달부(170) 및 제너레이터(180)를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라서, 전기 에너지를 정류하거나 교류 전류를 직류 전류로 변환하는 회로, 전기 에너지를 저장하는 배터리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3베벨 기어(110, 120, 130)는 하우징(140)의 내부에 배치되며, 하우징(140)은 지지부(150)에 의해 지지된다. 지지부(150)는 제1 및 제2외력 전달부(160, 170)가 여유있게 회전할 수 있는 높이로, 하우징(140)을 지지할 수 있다.
제1 및 제2베벨 기어(110, 120)는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즉, 제1 및 제2베벨 기어(110, 120)는 제1 및 제2베벨 기어의 회전축(111, 121)이 동일한 직선 상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및 제2베벨 기어(110, 120)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한다. 즉, 제1베벨 기어(11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제2베벨 기어(120)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며, 제1베벨 기어(11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제2베벨 기어(120)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제3베벨 기어(130)는 제1 및 제2베벨 기어(110, 120)와 결합되어, 제1 또는 제2베벨 기어(110, 120)의 움직임에 따라서 회전하며, 제1 또는 제2베벨 기어(110, 120)의 회전력을 다른 베벨 기어로 전달한다. 제3베벨 기어(130)는, 제1 및 제2기어의 회전축(111, 121)과 제3베벨 기어의 회전축(131)이 수직이 되도록, 제1 및 제2베벨(110, 120)와 결합될 수 있다.
제1외력 전달부(160)는 제1발판(161)을 통해 인가된 외력을 제1베벨 기어(110)로 전달하며, 제2외력 전달부(170)는 제2발판(171)을 통해 인가된 외력을 제2베벨 기어(120)로 전달한다. 제1 또는 제2외력 전달부(160, 170)를 통해 전달된 외력에 의해 제1 또는 제2베벨 기어(110, 120)가 회전할 경우, 제1 및 제2베벨 기어(110, 120)와 결합된 제3베벨 기어(130)가 회전할 수 있다. 그리고 제3베벨 기어(130)에 의해, 제1외력 전달부(160)로 외력이 인가되지 않고, 제2외력 전달부(170)로만 외력이 인가되는 경우, 제1베벨 기어(110)가 회전하며, 제1외력 전달부(160)로만 외력이 인가되고, 제2외력 전달부(170)로 외력이 인가되지 않는는 경우, 제2베벨 기어(120)가 회전할 수 있다.
제1 및 제2외력 전달부(160, 170) 각각은, 크랭크 암(162, 172)과, 제1 및 제2발판(161, 171)을 포함할 수 있다. 크랭크 암(162, 172)은 제1 및 제2베벨 기어의 회전축(111, 121) 각각과 결합되며, 제1 및 제2발판(161, 171) 각각이 결합된다. 그리고 제1 및 제2베벨 기어의 회전축(111, 121) 각각과 결합되는 크랭크 암(162, 172)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판(161, 171)이 결합되는 일단이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크랭크 암(162, 172)의 일단 사이의 각도가 180도가 되도록, 크랭크 암(162, 172)이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제1 및 제2베벨 기어의 회전축 각각과 결합되는 크랭크 암(162, 172)은, 하우징(140)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발판(161, 171)이 결합되는 일단이 서로 같은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스텝퍼 운동 기구와 같이, 발판(161, 171)의 이동 변위는 제한되며, 제1발판(161)이 상승하는 경우, 제2발판(162)은 하강하고, 제1발판(161)이 하강하는 경우, 제2발판(162)은 상승할 수 있다.
제1 및 제2베벨 기어의 회전축 각각과 결합되는 크랭크 암(162, 172)의 일단이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경우, 즉 제1 및 제2베벨 기어의 회전축(111, 172) 각각과 결합되는 크랭크 암(162, 172)이 자전거 페달과 같이 배치되는 경우, 제1 또는 제2베벨 기어(110, 120)가 제1방향 및 제2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걸쇠가 이용될 수 있다. 일예로서 걸쇠는, 제1베벨 기어(110)가 제1방향으로 회전하고 제2베벨 기어(120)가 제2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에는 제1 또는 제2베벨 기어(110, 120)의 톱니에 걸리지 않고, 제1베벨 기어(110)가 제2방향으로 회전하고 제2베벨 기어(120)가 제1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에 제1 또는 제2베벨 기어(110, 120)의 톱니에 걸리도록 설치될 수 있다.
제3베벨 기어(130)가 선택된 한 방향으로만 회전할 경우, 제너레이터(180)의 로터 역시 한 방향으로만 회전하기 때문에, 역기전력이 발생하지 않아서, 에너지 하베스팅을 위한 회로의 구조가 단순화될 수 있다.
제너레이터(180)는 전자기 유도 방식으로 전기 에너지를 생성하며, 제3베벨 기어(130)의 회전에 의해 전기 에너지를 생성한다. 제3베벨 기어의 회전축(131)과 제너레이터(180)의 로터가 결합되어, 제3베벨 기어(130)의 회전에 의해 제너레이터(180)의 로터가 회전할 수 있다. 로터축에는 코일이 권선될 수 있으며, 코일 주변에 자석이 배치됨으로써, 전자기 유도에 의해 전기 에너지가 생성될 수 있다.
하베스팅에 필요한 제너레이터(180)의 개수에 따라서, 제3베벨 기어(130)의 개수는 달라질 수 있으며, 이용되는 제너레이터(180)의 개수만큼 제3베벨 기어(130)가 하우징(140)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제너레이터(180)의 개수와 제3베벨 기어(130)의 개수는 동일할 수 있다. 그리고 후술되는 관통홀(141)의 개수 역시 이용되는 제너레이터(180)의 개수와 동일하게 결정될 수 있다.
하우징(140)은 제3베벨 기어(130)의 배치 위치에 형성되며, 제너레이터(180)가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홀(141)을 포함한다. 그리고 관통홀(141)은 제1 및 제2외력 전달부(160, 170) 사이에서 방사형으로 하우징(140)에 형성되며, 제너레이터(180) 역시 제1 및 제2외력 전달부(160, 170) 사이에서 방사형으로 배치된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이용되는 제너레이터(180)의 개수가 증가하더라도, 제너레이터(180)의 부피 이외 다른 구성 요소에 의한 부피는 증가하지 않으며, 따라서 발전 용량이 증가하더라도 에너지 하베스팅 장치의 크기 증가가 억제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에너지 하베스팅 장치의 크기 증가가 최소화되면서, 제너레이터의 개수에 비례하여 생성되는 전기 에너지는 증가할 수 있다.
사용자는 에너지 하베스팅 장치의 발판(161, 171)에 서있는 상태로 계단을 오르는 것처럼 좌우 다리를 각각 번갈아 상승 및 하강시키면서 전기 에너지를 생성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는 의자에 앉아 자전거 페달을 돌리는 것과 같이, 발판(161, 171)을 밟아 크랭크 암(162, 172)을 회전시켜 전기 에너지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하베스팅 장치가, 발판 이외 다양한 구성 요소를 통해 외력을 인가받을 수 있도록 설계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할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판을 이용하는 에너지 하베스팅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하베스팅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제3베벨 기어(130)를, 제1 및 제2베벨 기어(110, 120)로부터 이격시키는 스위치(4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치(410)는 적어도 하나의 제너레이터(180)를 제1 및 제2베벨 기어(110, 120)에 대해,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킴으로써, 제3베벨 기어(130)를, 제1 및 제2베벨 기어(110, 120)로부터 이격시킨다. 스위치(410)의 턴온은 제너레이터(180)가 하강하여 제3베벨 기어(130)가 제1 및 제2베벨 기어(110, 120)와 결합되는 것에 대응되며, 스위치(410)의 턴오프는 제너레이터(180)가 상승하여, 제3베벨 기어(130)가 제1 및 제2베벨 기어(110, 120)와 분리되는 것에 대응될 수 있다. 여기서, 제너레이터(180)의 하강은 제너레이터(180)가 제1 및 제2베벨 기어(110, 120)의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에 대응되며, 제너레이터(180)의 상승은 제너레이터(180)가 제1 및 제2베벨 기어(110, 120)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에 대응된다.
스위치(410)는 하우징(140)의 외부에서부터 하우징(140)의 내부로 이어지는 막대 형상일 수 있다. 다시 말해, 스위치(410)의 일부는 하우징(140)의 외부에 위치하며, 스위치(410)의 나머지 부분은 하우징(140)의 내부에 위치하여, 제너레이터(180)와 결합될 수 있다. 스위치(410)의 나머지 부분은, 제3베벨 기어(130)와 마주보는 제너레이터(180)의 일면과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스위치(410)를 턴오프시킬 경우, 스위치(410)에 의해 제너레이터(180)가 상승하며, 제너레이터(180)의 상승에 의해 제너레이터(180)와 결합된 제3베벨 기어(130) 역시 상승하면서, 제3베벨 기어(130)가 제1 및 제2베벨 기어(110, 120)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반대로 사용자가 스위치(410)를 턴온시킬 경우, 스위치(410)에 의해 제너레이터(180)가 하강하며, 제너레이터(180)의 하강에 의해 제너레이터(180)와 결합된 제3베벨 기어(130) 역시 하강하면서, 제3베벨 기어(130)가 제1 및 제2베벨 기어(110, 120)와 결합될 수 있다.
하우징(140)에는 스위치(410)가 이동할 수 있고, 턴온 또는 턴오프 상태에서 스위치(410)를 고정시킬 수 있는 "ㄷ"자 형상의 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스위치(410)는 제너레이터 별로 할당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제너레이터 별로 할당된 스위치(410) 각각을 턴온 또는 턴오프시켜, 에너지 하베스팅 장치의 부하를 조절할 수 있다. 이 때, 제너레이터 중에서 하우징(140과 지지부(150) 사이에 배치되는 제너레이터에는, 스위치(410)가 할당되지 않으며, 하우징과 지지부 사이에 배치되는 제너레이터와 결합된 제3베벨 기어(130)는 항상 제1 및 제2베벨 기어(110, 120)와 결합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스위치는 에너지 하베스팅 장치의 복수의 제너레이터 중에서, 하우징(140)과 지지부(150) 사이에 배치되는 제너레이터 이외의 제너레이터 중 적어도 하나에 할당될 수 있다.
에너지 하베스팅 장치의 모든 제너레이터가 턴오프될 경우 전기 에너지가 생성될 수 없으며, 스위치(410)는 제너레이터 근처에 설치되어야 하는데, 하우징(140과 지지부(150) 사이에 배치되는 제너레이터는 지지부(150)에 의해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므로, 사용자가 스위치를 작동시키기 어려우므로, 하우징(140과 지지부(150) 사이에 배치되는 제너레이터에는 스위치가 할당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및 제2베벨 기어(110, 120)에 결합된 제3베벨 기어(130)의 개수가 증가할수록 외력에 의해 로터가 회전하는 제너레이터(180)의 개수도 증가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제너레이터(180)의 로터를 회전시키기 위해서는 보다 큰 외력을 에너지 하베스팅 장치로 인가해야 한다. 따라서 체중이 적거나 근력이 약한 어린이나 노약자들은 턴오프되는 스위치(410)의 개수를 증가시켜 에너지 하베스팅 장치의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반대로 체중이 적거나 근력이 강한 사용자들은 턴온되는 스위치(410)의 개수를 증가시켜, 에너지 하베스팅 장치의 발전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하베스팅 장치는 스위치(140)의 턴온 및 턴오프 상태를 나타내는 인디케이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치(140)는 제너레이터(180) 근처에 설치되는데, 제너레이터(180)가 사용자의 반대쪽에 있거나 지지부(150)에 의해 스위치(140)가 가려질 경우, 사용자가 스위치(140)의 턴온 및 턴오프 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하기 어려우므로, 별도의 인디케이터가 이용될 수 있다. 인디케이터는 서로 다른 색상으로 스위치(140)의 턴온 및 턴오프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3)

  1. 제1베벨 기어;
    상기 제1베벨 기어와 마주보며, 상기 제1베벨 기어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2베벨 기어;
    상기 제1 및 제2베벨와 결합되어, 상기 제1 또는 제2베벨 기어의 움직임에 따라서 회전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3베벨 기어;
    상기 제1 내지 제3베벨 기어가 배치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을 지지하는 지지부;
    제1발판을 통해 인가된 외력을 상기 제1베벨 기어로 전달하는 제1외력 전달부;
    제2발판을 통해 인가된 외력을 상기 제2베벨 기어로 전달하는 제2외력 전달부; 및
    상기 제3베벨 기어의 회전에 의해 전기 에너지를 생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너레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3베벨 기어의 배치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제너레이터가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홀
    을 포함하는 발판을 이용하는 에너지 하베스팅 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3베벨 기어는
    상기 제1 및 제2기어의 회전축과 상기 제3베벨 기어의 회전축이 수직이 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베벨와 결합되는
    발판을 이용하는 에너지 하베스팅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은
    상기 제1 및 제2외력 전달부 사이에서 방사형으로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는
    발판을 이용하는 에너지 하베스팅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외력 전달부 각각은
    상기 제1 및 제2베벨 기어의 회전축 각각과 결합되며, 상기 제1 및 제2발판 각각이 결합되는 크랭크 암
    을 포함하는 발판을 이용하는 에너지 하베스팅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기어의 회전축 각각과 결합되는 크랭크 암은
    서로 마주보거나 또는 일단이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발판을 이용하는 에너지 하베스팅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또는 제2베벨 기어를 제1방향 및 제2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회전시키는 걸쇠
    를 더 포함하는 발판을 이용하는 에너지 하베스팅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3베벨 기어를, 상기 제1 및 제2베벨 기어로부터 이격시키는 스위치
    를 더 포함하는 발판을 이용하는 에너지 하베스팅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제1 및 제2베벨 기어에 대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너레이터를 상승시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3베벨 기어를, 상기 제1 및 제2베벨 기어로부터 이격시키는
    발판을 이용하는 에너지 하베스팅 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복수의 제너레이터 중에서, 상기 하우징과 상기 지지부 사이에 배치되는 제너레이터 이외의 나머지 제너레이터 중 적어도 하나에 할당되는
    발판을 이용하는 에너지 하베스팅 장치.
  11. 제1베벨 기어;
    상기 제1베벨 기어와 마주보며, 상기 제1베벨 기어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2베벨 기어;
    상기 제1 및 제2베벨와 결합되어, 상기 제1 또는 제2베벨 기어의 움직임에 따라서 회전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3베벨 기어;
    상기 제1 내지 제3베벨 기어가 배치되며, 상기 제3베벨 기어의 배치 위치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홀을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을 지지하는 지지부;
    상기 제1베벨 기어로 외력을 전달하는 제1외력 전달부;
    상기 제2베벨 기어로 외력을 전달하는 제2외력 전달부; 및
    상기 제3베벨 기어의 회전에 의해 전기 에너지를 생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너레이터
    를 포함하는 에너지 하베스팅 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3베벨 기어는
    상기 제1 및 제2기어의 회전축과 상기 제3베벨 기어의 회전축이 수직이 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베벨와 결합되는
    에너지 하베스팅 장치.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은
    상기 제1 및 제2외력 전달부 사이에서 방사형으로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는
    에너지 하베스팅 장치.
KR1020230057623A 2023-04-06 2023-05-03 발판을 이용하는 에너지 하베스팅 장치 KR1026485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30045262 2023-04-06
KR1020230045262 2023-04-0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8573B1 true KR102648573B1 (ko) 2024-03-19

Family

ID=904831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57623A KR102648573B1 (ko) 2023-04-06 2023-05-03 발판을 이용하는 에너지 하베스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857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459458Y (zh) * 2000-11-24 2001-11-14 王建平 人力驱动器
KR101700520B1 (ko) * 2015-07-21 2017-01-26 정영곤 일방향 회전 장치가 장착된 발전기
CN110714888A (zh) * 2019-09-20 2020-01-21 西北工业大学 一种自行车载的轻型离合式大功率自供电装置
CN210371044U (zh) * 2019-07-30 2020-04-21 大连科技学院 一种健身发电装置
CN114709975A (zh) * 2022-04-29 2022-07-05 杭州极智医疗科技有限公司 双侧反向输出机构和具有其的康复训练和数字健身设备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459458Y (zh) * 2000-11-24 2001-11-14 王建平 人力驱动器
KR101700520B1 (ko) * 2015-07-21 2017-01-26 정영곤 일방향 회전 장치가 장착된 발전기
CN210371044U (zh) * 2019-07-30 2020-04-21 大连科技学院 一种健身发电装置
CN110714888A (zh) * 2019-09-20 2020-01-21 西北工业大学 一种自行车载的轻型离合式大功率自供电装置
CN114709975A (zh) * 2022-04-29 2022-07-05 杭州极智医疗科技有限公司 双侧反向输出机构和具有其的康复训练和数字健身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i et al. A smart harvester for capturing energy from human ankle dorsiflexion with reduced user effort
US4470597A (en) Exerciser with flywheel
US7967734B1 (en) Exercise bike and electricity producing combination apparatus
US20150065301A1 (en) Method of Harvesting Energy from Exercise Equipment
KR102648573B1 (ko) 발판을 이용하는 에너지 하베스팅 장치
ES2612144T3 (es) Dispositivo y sistema de generación de energía eléctrica para aparatos de entrenamiento deportivo
JPS63120870A (ja) 発電装置
US11541264B1 (en) Versatile bench and smart seat for an exercise appliance
CN111308133A (zh) 一种电机测试装置
US20140265334A1 (en) Energy generator powered by gym facility
US20110272944A1 (en) Electric generating device for training machine
US20160096058A1 (en) Rocking Lever Platform Power Conversion Apparatus
KR100882247B1 (ko) 크로스컨트리장치
CN215307565U (zh) 一种家用型疗养床
KR101827946B1 (ko) 신발용 발전장치
CN211068917U (zh) 一种发电式健身器材
JP6807120B2 (ja) 携帯用自家発電装置及びこれを備えるモジュール
KR101967139B1 (ko) 휴대용 자가발전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모듈
CN114011013A (zh) 健身器材和其取电方法
CN209699578U (zh) 一种市政公用工程施工打孔装置
KR101036449B1 (ko) 운동기구에 결합된 발전장치
CN217187660U (zh) 可稳轴驱动的水阻划船健身机
US20230225448A1 (en) Power Generating and Gait Assisting Footwear Article
CN220090376U (zh) 一种使用平稳的发电式椭圆机
CN214679850U (zh) 一种新型风阻划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