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8406B1 - 배관 내부 검사 시스템의 프로브 접속 장치 - Google Patents

배관 내부 검사 시스템의 프로브 접속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8406B1
KR102648406B1 KR1020230121236A KR20230121236A KR102648406B1 KR 102648406 B1 KR102648406 B1 KR 102648406B1 KR 1020230121236 A KR1020230121236 A KR 1020230121236A KR 20230121236 A KR20230121236 A KR 20230121236A KR 102648406 B1 KR102648406 B1 KR 1026484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member
rail
tube
connection pipe
scr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212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훈
이완근
김병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스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스콥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스콥
Priority to KR10202301212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8406B1/ko
Priority to KR1020240031480A priority patent/KR102657107B1/ko
Priority to KR1020240031481A priority patent/KR102657108B1/ko
Priority to KR1020240031478A priority patent/KR102657105B1/ko
Priority to KR1020240031479A priority patent/KR1026571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84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84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9/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Visualisation of the interior of objects by transmitting ultrasonic or sonic waves through the object
    • G01N29/22Details, e.g. general constructional or apparatus details
    • G01N29/225Supports, positioning or alignment in moving situ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9/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Visualisation of the interior of objects by transmitting ultrasonic or sonic waves through the object
    • G01N29/22Details, e.g. general constructional or apparatus details
    • G01N29/26Arrangements for orientation or scanning by relative movement of the head and the sensor
    • G01N29/265Arrangements for orientation or scanning by relative movement of the head and the sensor by moving the sensor relative to a stationary materia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91/00Indexing codes associated with group G01N29/00
    • G01N2291/02Indexing codes associated with the analysed material
    • G01N2291/028Material parameters
    • G01N2291/0289Internal structure, e.g. defects, grain size, textur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91/00Indexing codes associated with group G01N29/00
    • G01N2291/26Scanned objects
    • G01N2291/263Surfaces
    • G01N2291/2636Surfaces cylindrical from insid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 Y02E30/30Nuclear fission reac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Ultrasonic Wave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Magnetic Mea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배관 내부 검사 시스템의 프로브 접속 장치는, 피검사체인 튜브의 일단부에 마주하도록 형성된 관상의 연결관; 상기 연결관이 관통하며 상기 연결관과 상기 튜브 간 거리가 조정 가능하도록 설치된 거리 조절 부재; 상기 거리 조절 부재와 일체로 움직이는 이동 부재; 상기 이동 부재가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연결관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된 직선형의 제1레일 부재; 상기 제1레일 부재의 양단부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제1레일 부재가 길이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 된 제2레일 부재; 및 상기 제2레일 부재에 일단부가 결합되며 타단부가 상기 제2레일 부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만곡 형성되며 자력이 구비된 바퀴를 포함한 활주형 고정 부재;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배관 내부 검사 시스템의 프로브 접속 장치{Probe connection device for pipe internal inspection system}
본 발명은 비파괴 검사 장비에 관한 것으로서, 더 구체적으로는 배관 내부를 검사하는 프로브를 효과적으로 설치 및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접속 장치에 관한 것이다.
석유화학단지나 발전소의 열교환기 튜브는 가동 중 고온 고압의 증기가 통과하는 부품이다. 열교환기에는 다수의 튜브가 다발 형태로 구비된다. 열교환기 튜브에는 마모, 균열, 텐팅(tenting) 등의 손상이 많이 발생한다. 따라서 열교환기 튜브의 결함 발생 여부의 검사가 필요하다. 열교환기 튜브의 검사는 주기적으로 수행된다. 열교환기 튜브의 검사는 효율을 높이고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목적으로 수행된다. 예컨대 배관 내부 검사는 파이프 또는 튜브의 내부에 비파괴 검사용 프로브를 삽입하여 배관을 따라 이동하면서 배관의 결함을 검사한다. 배관 내부 검사 방법으로는 초음파를 이용한 내부 회전 검사 시스템(Internal Rotary Inspection System, IRIS)과 와류 전류 탐상법(ECT, Eddy Current Testing)이 있다.
IRIS는 배관의 내부에 물을 충전하고 초음파 프로브를 회전하면서 이동시켜 배관의 결함을 조사하는 방법이다. IRIS 방법은 정밀한 검사가 가능한 장점이 있으나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ECT는 배관의 내부를 따라 이동 ECT 프로브를 이동시키면서 배관의 결함을 조사하는 방법이다. ECT는 정밀한 조사가 어려우나 시간이 짧게 소요되는 장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열교환기는 실린더 형상의 배관 프레임의 내부에 다수의 튜브 구조물이 다발 형태로 설치된 구조로 구성된다.
비파괴 검사 장비를 열교환기에 설치하기 위한 장치의 일 예가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8-0115553호에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의 장치는 중심부에 위치한 배관을 검사하는 경우에는 큰 문제가 없으나, 가장자리 부위의 배관을 검사하는 경우에는 검사 장비를 설치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검사 장비가 제대로 설치되지 않는 경우 IRIS는 프로브를 적용할 때 배관의 누수에 의해 검사 결과의 신뢰도가 저하되는 문점이 있다. ECT 검사에서는 프로브 인입 및 인출시 진동에 의한 프로브 손상으로 검사결과의 신뢰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001 KR 10-2018-0115553 A (2018.10.23)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배관 내부 검사용 프로브의 접속을 위한 장치의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배관의 위치에 관계없이 설치가 편리한 배관 내부 검사 시스템의 프로브 접속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배관 내부 검사 시스템의 프로브 접속 장치는, 피검사체인 튜브의 일단부에 마주하도록 형성된 관상의 연결관;
상기 연결관이 관통하며 상기 연결관과 상기 튜브 간 거리가 조정 가능하도록 설치된 거리 조절 부재;
상기 거리 조절 부재와 일체로 움직이는 이동 부재;
상기 이동 부재가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연결관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된 직선형의 제1레일 부재;
상기 제1레일 부재의 양단부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제1레일 부재가 길이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 된 제2레일 부재; 및
상기 제2레일 부재에 일단부가 결합되며 타단부가 상기 제2레일 부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만곡 형성되며 자력이 구비된 바퀴를 포함한 활주형 고정 부재;를 포함한 점에 특징이 있다.
상기 연결관의 외주면에는 수나사부가 구비되고 상기 거리 조절 부재의 내주면에는 암나사부가 구비되어, 상기 거리 조절 부재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연결관이 상기 튜브와 접근 또는 멀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레일 부재는 상기 이동 부재를 이동시키는 제1스크루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 부재는 상기 제1스크루 부재와 나사 결합됨으로써, 상기 제1스크루 부재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이동 부재가 상기 제1레일 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2레일 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된 제2스크루 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제1레일 부재의 양단부는 상기 제2스크루 부재와 나사 결합됨으로써, 상기 제1레일 부재가 상기 제2레일 부재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활주형 고정 부재는, 일단부가 상기 제2레일 부재에 피봇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지지암을 포함할 수 있다.
일단부가 상기 제2레일 부재에 지지되고, 타단부가 상기 지지암에 지지되어, 상기 지지암의 타단부가 상기 제2레일 부재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 복원력을 발생시키는 탄성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퀴는 전자석으로 이루어진 휠과, 상기 휠의 외주를 감싸는 고무 재질의 타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거리 조절 부재를 회전시키는 제1모터;
상기 이동 부재를 이동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제2모터;
상기 제1레일 부재를 이동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제3모터; 및
상기 제1모터와, 상기 제2모터와, 상기 제3모터를 통합적으로 제어하는 위치 제어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레일 부재는 상기 제1레일 부재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배관 내부 검사 시스템의 프로브 접속 장치는, 열교환기 튜브 프레임의 외주면을 따라 자력에 의해 활주형 고정 부재가 고정됨에 따라 제2레일 부재가 고정되고, 제2레일 부재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1레일 부재에 설치된 이동 부재에 설치된 거리 조절 부재에 의해 연결관의 위치 변경과 설치 및 분리가 가능하므로 종래 구조에 비하여 비파괴 검사 장비의 프로브를 매우 쉽고 효율적으로 설치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에 따라 검사 시간을 현저하게 단축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배관 내부 검사 시스템의 프로브 접속 장치가 열교환기 튜브에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Ⅱ - Ⅱ 선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Ⅲ - Ⅲ 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Ⅳ - Ⅳ 선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서 다른 위치의 튜브에 프로브가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배관 내부 검사 시스템의 프로브 접속 장치가 열교환기 튜브에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Ⅱ - Ⅱ 선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Ⅲ - Ⅲ 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Ⅳ - Ⅳ 선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서 다른 위치의 튜브에 프로브가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배관 내부 검사 시스템의 프로브 접속 장치(10, 이하, "프로브 접속 장치"라 함)는 연결관(20)과, 거리 조절 부재(30)와, 이동 부재(40)와, 제1레일 부재(50)와, 제2레일 부재(60)와, 활주형 고정 부재(70)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관(20)은 피검사체인 튜브(200)의 일단부에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관상의 부재이다. 상기 연결관(20)의 내경은 상기 튜브(200)의 내경과 일치하거나 근사한 크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관(20)은 상기 튜브(200)를 외측으로 연장하는 형태로 배치된다. 상기 연결관(20)의 외주면에는 수나사부가 구비된다. 연결관(20)의 전단부에는 누수 방지를 위한 고무 패킹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거리 조절 부재(30)는 나사 형태의 부재이다. 상기 거리 조절 부재(30)의 내주면에는 암나사부가 구비된다. 상기 거리 조절 부재(30)에는 상기 연결관(20)이 나사 결합된 형태로 관통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거리 조절 부재(30)는 상기 연결관(20)과 상기 튜브(200) 간 거리가 조정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즉, 상기 거리 조절 부재(30)가 제자리에서 시계 방향 또는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연결관(20)이 전진 또는 후진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거리 조절 부재(30)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연결관(20)이 상기 튜브(200)와 접근 또는 멀어질 수 있다.
상기 이동 부재(40)는 상기 거리 조절 부재(3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상기 이동 부재(40)와 상기 거리 조절 부재(30) 사이에는 베어링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이동 부재(40)는 후술하는 제1레일 부재(50)를 따라 상기 거리 조절 부재(30)와 일체로 움직일 수 있다. 상기 이동 부재(40)에는 상기 거리 조절 부재(30)를 회전시키는 제1모터(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모터는 상기 거리 조절 부재(30)와 기계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거리 조절 부재(30)를 회전시킨다. 상기 제1모터와 상기 거리 조절 부재(30) 사이에는 감속기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레일 부재(50)는 다수의 튜브(200)를 수용하는 원형 실린더 형상의 프레임(100)의 직경 방향과 평행인 방향으로 배치된 직선형 부재이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제1레일 부재(50)는 상기 연결관(20)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1레일 부재(50)를 따라 상기 이동 부재(40)가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제1레일 부재(50)는 상기 이동 부재(40)를 이동시키는 제1스크루 부재(5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레일 부재(50)는 상기 제1스크루 부재(52)를 회전시키는 제2모터(미도시)가 구비할 수 있다. 즉, 상기 제2모터는 상기 이동 부재(40)를 이동시키는 동력을 제공한다. 상기 이동 부재(40)는 상기 제1스크루 부재(52)와 나사 결합 된다. 상기 제1스크루 부재(52)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이동 부재(40)가 상기 제1레일 부재(5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제2레일 부재(60)는 상기 제1레일 부재(50)의 양단부에 각각 설치된다. 상기 제2레일 부재(60)는 상기 제1레일 부재(50)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배치된다. 또한, 상기 제2레일 부재(60)는 상기 연결관(20)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제2레일 부재(60)를 따라 상기 제1레일 부재(50)가 이동 가능하게 결합 된다. 즉, 상기 제1레일 부재(50)는 상기 제2레일 부재(60)를 따라 상기 제1레일 부재(50)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 된다. 상기 제2레일 부재(6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된 제2스크루 부재(62)가 구비된다. 상기 제2레일 부재(60)는 상기 제2스크루 부재(62)를 회전시키는 제3모터(미도시)가 구비할 수 있다. 즉, 제3모터는 상기 제1레일 부재(50)를 이동시키는 동력을 제공한다. 상기 제1레일 부재(50)의 양단부는 상기 제2스크루 부재(62)와 볼 스크루 구조로 결합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레일 부재(50)가 상기 제2레일 부재(60)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한편, 상기 제2레일 부재(60)는 상기 제1레일 부재(5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2레일 부재(60)는 고정 나사와 같은 수단을 이용하여 특정한 위치에서 상기 제1레일 부재(50)와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활주형 고정 부재(70)는 상기 제2레일 부재(60)에 일단부가 결합된다. 상기 활주형 고정 부재(70)의 타단부는 상기 제2레일 부재(6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만곡 형성된다. 상기 활주형 고정 부재(70)는 자력이 구비된 바퀴(72)를 포함한다. 상기 바퀴(72)는 예컨대 강한 자기력을 선택적으로 발생시키는 전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퀴(72)는 전자석으로 이루어진 휠과 그 휠의 외주를 감싸는 고무 재질의 타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활주형 고정 부재(70)는 상기 프레임(100)의 외주면에 자기력으로 고정된다. 또한, 상기 활주형 고정 부재(70)는 상기 프레임(100)의 외주면을 따라 활주하여 이동할 수 있다. 상기 활주형 고정 부재(70)는 상기 바퀴(72)를 회전시키는 제4모터(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활주형 고정 부재(70)는 지지암(74)을 포함한다. 상기 지지암(74)의 일단부는 상기 제2레일 부재(60)에 피봇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지지암(74)의 타단부는 상기 제2레일 부재(6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만곡 형성된다. 상기 바퀴(72)는 상기 지지암(74)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지지암(74)은 상기 제2레일 부재(60) 각각에 2개씩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레일 부재(60)와 상기 지지암(74)은 탄성 부재(76)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76)의 일단부는 상기 제2레일 부재(60)에 지지 된다. 상기 탄성 부재(76)의 타단부는 상기 지지암(74)에 지지 된다. 상기 탄성 부재(76)는 상기 지지암(74)의 타단부가 상기 제2레일 부재(6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 복원력을 발생시킨다. 상기 탄성 부재(76)는 코일 스프링이 채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탄성 부재(76)로서 공압 실린더 또는 유압 실린더가 채용될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76)는 상기 활주형 고정 부재(70)가 프레임(100)에 더 잘 밀착되도록 가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제1모터와, 상기 제2모터와, 상기 제3모터를 통합적으로 제어하는 위치 제어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위치 제어기는 상기 제1모터와, 상기 제2모터와, 상기 제3모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위치 제어기는 상기 활주형 고정 부재(70)을 이동시키는 제4모터(미도시)도 통합 제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요소를 포함한 프로브 접속 장치(10)의 작용 효과를 UT(Ultrasonic Testing) 프로브 또는 ECT 프로브를 튜브(200)에 설치하는 과정을 예로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UT 프로브(300) 또는 ECT 프로브를 튜브(200)에 설치하기 전에, 먼저, 상기 프로브 접속 장치(10)를 프레임(100)에 설치한다. 상기 접속 장치를 프레임(100)에 설치하기 위해, 상기 연결관(20)이 상기 거리 조절 부재(30)에 결합 되지 않는 상태에서 작업을 시작할 수 있다. 한 쌍의 상기 제2레일 부재(60) 간 간격을 설치하고자 하는 프레임(100)의 외경에 근접하도록 조정한다. 그리고 제2레일 부재(60)에 연결된 활주형 고정 부재(70)를 프레임(100)의 외주면에 부착시킨다. 이 과정에서 전자석을 포함한 바퀴(72)가 프레임(100)의 외주면에 견고하게 부착 고정된다. 또한, 이 과정에서 상기 탄성 부재(76)는 상기 바퀴(72)를 프레임(100) 쪽으로 가압하는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활주형 고정 부재(70)가 프레임(100)에 견고하게 밀착되도록 한다.
이제, 측정하고자 하는 튜브(200)의 위치에 거리 조절 부재(30)가 대응하도록 제1레일 부재(50)와 이동 부재(40)를 이동시킨다. 제1레일 부재(50)와 이동 부재(40)는 서로 수직인 방향으로 위치 이동이 될 수 있으므로 일종의 평면 좌표 상을 이동하는 과정에 대응한다. 측정하고자 하는 튜브(200)의 위치에 거리 조절 부재(30)가 대응되면, 연결관(20)을 거리 조절 부재(30)에 결합한다. 거리 조절 부재(30)가 회전한다. 연결관(20)이 튜브(200)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연결관(20)과 튜브(200)가 서로 접촉된 상태에서, UT 프로브(300) 또는 ECT 프로브가 연결관(20)을 통해 튜브(200)로 진입하여 비파괴 검사를 수행한다. 이 과정에서 UT 프로브(300) 적용시 튜브(200)에는 물이 충전되는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 한편, ECT 프로브 적용시 튜브(200)에는 물이 충전될 필요가 없다. 하나의 튜브(200)의 검사가 끝나면, 다른 위치의 튜브(200)를 검사하기 위해 프로브(300)가 튜브(200)로부터 분리된다. 그리고 거리 조절 부재(30)가 역방향으로 회전하여 연결관(20)을 튜브로부터 이격시킨다. 이제 이동 부재(40)와 제1레일 부재(50)가 이동하여 다음 위치의 튜브(200)에 거리 조절 부재(30)가 대응하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검사하고자 하는 튜브(200)의 위치에 따라 활주형 고정 부재(70)가 프레임(100)의 외주면을 따라 회전한 상태에서 프레임(100)의 외주면에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은 검사 과정을 반복하여 수행한다. 이와 같은 과정에서 거리 조절 부재(30)와, 이동 부재(40)와, 제1레일 부재(50)는 제1모터, 제2모터 및 제3모터에 의해 자동으로 수행될 수 있으므로 작업성이 현저하게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이 과정에서 연결관(20)의 전방에 위치 확인용 카메라가 설치될 경우 작업자는 현장에 직접 접근하지 않고 원거리에서 원격으로 작업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관 내부 검사 시스템의 프로브 접속 장치는, 열교환기 튜브 프레임의 외주면을 따라 자력에 의해 활주형 고정 부재가 고정됨에 따라 제2레일 부재가 고정되고, 제2레일 부재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1레일 부재에 설치된 이동 부재에 설치된 거리 조절 부재에 의해 연결관의 위치 변경과 설치 및 분리가 가능하므로 종래 구조에 비하여 비파괴 검사 장비의 프로브를 매우 쉽고 효율적으로 설치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에 따라 검사 시간을 현저하게 단축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브 접속 장치는 열교환기와 같이 다수의 튜브에 대한 비파괴 검사를 실시함에 있어서, UT 프로브 또는 ECT 프로브를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으므로 장비의 범용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상,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그러한 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주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 예가 구체화될 수 있을 것이다.
10 : 프로브 접속 장치
20 : 연결관
30 : 거리 조절 부재
40 : 이동 부재
50 : 제1레일 부재
52 : 제1스크루 부재
60 : 제2레일 부재
62 : 제2스크루 부재
70 : 활주형 고정 부재
72 : 바퀴
74 : 지지암
76 : 탄성 부재
100 : 프레임
200 : 튜브
300 : 프로브

Claims (4)

  1. 피검사체인 튜브의 일단부에 마주하도록 형성된 관상의 연결관;
    상기 연결관이 관통하며 상기 연결관과 상기 튜브 간 거리가 조정 가능하도록 설치된 거리 조절 부재;
    상기 거리 조절 부재와 일체로 움직이는 이동 부재;
    상기 이동 부재가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연결관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된 직선형의 제1레일 부재;
    상기 제1레일 부재의 양단부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제1레일 부재가 길이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 된 제2레일 부재; 및
    상기 제2레일 부재에 일단부가 결합되며 타단부가 상기 제2레일 부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만곡 형성되며 자력이 구비된 바퀴를 포함한 활주형 고정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활주형 고정 부재는, 일단부가 상기 제2레일 부재에 피봇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제2레일 부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만곡 형성된 지지암; 및
    일단부가 상기 제2레일 부재에 지지되고, 타단부가 상기 지지암에 지지되어, 상기 지지암의 타단부가 상기 제2레일 부재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 복원력을 발생시키는 탄성 부재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내부 검사 시스템의 프로브 접속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의 외주면에는 수나사부가 구비되고 상기 거리 조절 부재의 내주면에는 암나사부가 구비되어, 상기 거리 조절 부재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연결관이 상기 튜브와 접근 또는 멀어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내부 검사 시스템의 프로브 접속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레일 부재는 상기 이동 부재를 이동시키는 제1스크루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 부재는 상기 제1스크루 부재와 나사 결합됨으로써, 상기 제1스크루 부재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이동 부재가 상기 제1레일 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내부 검사 시스템의 프로브 접속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레일 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된 제2스크루 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제1레일 부재의 양단부는 상기 제2스크루 부재와 나사 결합됨으로써, 상기 제1레일 부재가 상기 제2레일 부재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내부 검사 시스템의 프로브 접속 장치.
KR1020230121236A 2023-09-12 2023-09-12 배관 내부 검사 시스템의 프로브 접속 장치 KR1026484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21236A KR102648406B1 (ko) 2023-09-12 2023-09-12 배관 내부 검사 시스템의 프로브 접속 장치
KR1020240031480A KR102657107B1 (ko) 2023-09-12 2024-03-05 만곡 지지암이 구비된 배관 내부 검사 시스템의 프로브 접속 장치
KR1020240031481A KR102657108B1 (ko) 2023-09-12 2024-03-05 자력 바퀴가 구비된 배관 내부 검사 시스템의 프로브 접속 장치
KR1020240031478A KR102657105B1 (ko) 2023-09-12 2024-03-05 활주 구조가 구비된 배관 내부 검사 시스템의 프로브 접속 장치
KR1020240031479A KR102657106B1 (ko) 2023-09-12 2024-03-05 거리 조절 부재가 구비된 배관 내부 검사 시스템의 프로브 접속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21236A KR102648406B1 (ko) 2023-09-12 2023-09-12 배관 내부 검사 시스템의 프로브 접속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031480A Division KR102657107B1 (ko) 2023-09-12 2024-03-05 만곡 지지암이 구비된 배관 내부 검사 시스템의 프로브 접속 장치
KR1020240031479A Division KR102657106B1 (ko) 2023-09-12 2024-03-05 거리 조절 부재가 구비된 배관 내부 검사 시스템의 프로브 접속 장치
KR1020240031481A Division KR102657108B1 (ko) 2023-09-12 2024-03-05 자력 바퀴가 구비된 배관 내부 검사 시스템의 프로브 접속 장치
KR1020240031478A Division KR102657105B1 (ko) 2023-09-12 2024-03-05 활주 구조가 구비된 배관 내부 검사 시스템의 프로브 접속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8406B1 true KR102648406B1 (ko) 2024-03-18

Family

ID=90473984

Famil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21236A KR102648406B1 (ko) 2023-09-12 2023-09-12 배관 내부 검사 시스템의 프로브 접속 장치
KR1020240031478A KR102657105B1 (ko) 2023-09-12 2024-03-05 활주 구조가 구비된 배관 내부 검사 시스템의 프로브 접속 장치
KR1020240031479A KR102657106B1 (ko) 2023-09-12 2024-03-05 거리 조절 부재가 구비된 배관 내부 검사 시스템의 프로브 접속 장치
KR1020240031480A KR102657107B1 (ko) 2023-09-12 2024-03-05 만곡 지지암이 구비된 배관 내부 검사 시스템의 프로브 접속 장치
KR1020240031481A KR102657108B1 (ko) 2023-09-12 2024-03-05 자력 바퀴가 구비된 배관 내부 검사 시스템의 프로브 접속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031478A KR102657105B1 (ko) 2023-09-12 2024-03-05 활주 구조가 구비된 배관 내부 검사 시스템의 프로브 접속 장치
KR1020240031479A KR102657106B1 (ko) 2023-09-12 2024-03-05 거리 조절 부재가 구비된 배관 내부 검사 시스템의 프로브 접속 장치
KR1020240031480A KR102657107B1 (ko) 2023-09-12 2024-03-05 만곡 지지암이 구비된 배관 내부 검사 시스템의 프로브 접속 장치
KR1020240031481A KR102657108B1 (ko) 2023-09-12 2024-03-05 자력 바퀴가 구비된 배관 내부 검사 시스템의 프로브 접속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5) KR10264840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38415A (en) * 1996-06-24 1997-06-10 Nafziger; Mark W. Multiple port probe delivery system
US20040131462A1 (en) * 2002-07-22 2004-07-08 Hawkins Phillip J. Miniature manipulator for servicing the interior of nuclear steam generator tubes
US20170356702A1 (en) * 2013-05-09 2017-12-14 Terydon, Inc. Indexer, indexer retrofit kit and method of use thereof
KR20180115553A (ko) 2017-04-13 2018-10-23 주식회사 지스콥 비파괴 내부 회전 검사 시스템용 보조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90383B2 (en) * 2008-06-24 2013-11-26 Alstom Technology Ltd Ultrasonic inspection probe carrier system for performing non-destructive testing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38415A (en) * 1996-06-24 1997-06-10 Nafziger; Mark W. Multiple port probe delivery system
US20040131462A1 (en) * 2002-07-22 2004-07-08 Hawkins Phillip J. Miniature manipulator for servicing the interior of nuclear steam generator tubes
US20170356702A1 (en) * 2013-05-09 2017-12-14 Terydon, Inc. Indexer, indexer retrofit kit and method of use thereof
KR20180115553A (ko) 2017-04-13 2018-10-23 주식회사 지스콥 비파괴 내부 회전 검사 시스템용 보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7107B1 (ko) 2024-04-15
KR102657108B1 (ko) 2024-04-15
KR102657105B1 (ko) 2024-04-15
KR102657106B1 (ko) 2024-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488887B (zh) 用于扫描细长结构的方法和扫描系统
KR20130008839A (ko) 배관검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관검사방법
JPH0280949A (ja) 蒸気発生器の管の内側の円形溶接部の非破壊的超音波試験装置
CN105806941A (zh) 一种真空吸盘式小管径管道内壁水浸超声检查装置
EP0210990A1 (en) EXPANDABLE FLUID FLOW PROBE.
CN204302236U (zh) 一种真空吸盘式小管径管道内壁水浸超声检查装置
KR102648406B1 (ko) 배관 내부 검사 시스템의 프로브 접속 장치
GB2122713A (en) Apparatus for working on the interior of pipes
CN104749245A (zh) 一种小管径大壁厚管道设备的水浸超声波检测方法
CN211235603U (zh) 异型节管射线探伤升降结构及异型节管射线探伤机
CN213239973U (zh) 一种通过插塞进行管道中心探伤的定位装置
CN104979027A (zh) 核电站控制棒驱动组件下部ω焊缝涡流扫查器
KR102650196B1 (ko) 배관 내부 검사 시스템용 프로브 이송 장치
CN204731194U (zh) 一种压力容器接管内壁水浸超声检查装置
KR102673847B1 (ko) 와류 전류 탐상형 배관 내부 검사 시스템용 프로브 이송 장치
CN110308207B (zh) 一种能适应不同区域的管道无损检测方法及系统
CN105806939B (zh) 一种压力容器接管内壁水浸超声检查装置
WO2018002964A1 (ja) パイプライン溶接システム、パイプ管理装置及びパイプ形状計測装置
JP3345056B2 (ja) 配管内検査走行装置
CN109668722A (zh) 一种建筑隔震伸缩管试验机
CN213479847U (zh) 一种管道γ辐射成像无损检测系统
JPH0574784B2 (ko)
KR101691649B1 (ko) 비파괴 검사용 방사선원 위치고정장치
WO1995019526A1 (en) Dual guide tube for inspection of heat exchangers
JP2009271004A (ja) 配管超音波探傷試験装置のデータ採取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