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8274B1 -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648274B1 KR102648274B1 KR1020230063923A KR20230063923A KR102648274B1 KR 102648274 B1 KR102648274 B1 KR 102648274B1 KR 1020230063923 A KR1020230063923 A KR 1020230063923A KR 20230063923 A KR20230063923 A KR 20230063923A KR 102648274 B1 KR102648274 B1 KR 10264827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ble
- arm
- plate
- reel
- display device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0994 depressogenic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06010028980 Neoplasm Diseases 0.000 claims 4
- 201000011510 cancer Diseases 0.000 claims 4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30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0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0
- 230000033001 locomo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4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4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3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3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3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9792 diffusion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3028 elev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2489 doughnu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973 liquid crystal related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547 de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151 depos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368 organ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6850 spacer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6—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43—Allowing transl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092—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omprising means allowing depth adjustment, i.e. forward-backward translation of the head relatively to the undercarriag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2—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with approximately constant height, e.g. with constant length of column or of leg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04—Flexible cables, conductors, or cords, e.g. trailing cable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2200/00—Details of stands or supports
- F16M2200/06—A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개시된다. 본 개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하는 헤드; 상기 헤드의 후면에 결합되고, 케이블 릴(cable reel)을 구비하는 관절형 커넥터(articulated connector); 그리고, 상기 케이블 릴에 감기고, 상기 헤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케이블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케이블 릴은: 실린더 형상을 지니는 릴 바디; 상기 릴 바디의 전단에서 상기 릴 바디의 반경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릴 바디의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플레이트; 그리고, 상기 릴 바디에 대하여 상기 제1 플레이트에 대향하는 제2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케이블은,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플레이트 사이에서 상기 릴 바디에 감길 수 있다.
Description
본 개시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대한 요구도 다양한 형태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부응하여 근래에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PDP(Plasma Display Panel), ELD(Electro luminescent Display), VFD(Vacuum Fluorescent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등 다양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연구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 중에서, LCD 패널은 액정층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는 TFT 기판과 컬러 기판을 구비하며, 백라이트 유닛으로부터 제공되는 빛을 이용해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OLED 패널은 투명전극이 형성된 기판에 자체적으로 발광할 수 있는 유기물층을 증착하여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최근 디스플레이 패널의 각도 내지 위치를 자유롭게 조절하는 구조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개시는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스탠드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하는 헤드의 각도 내지 위치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다양한 모션 동작인 피벗 운동, 틸트 운동, 스위블 운동, 및 엘레베이팅 운동을 서로 독립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다양한 모션을 구현하는 관절형 커넥터(articulated connector)의 케이블 릴에 케이블을 감을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케이블 릴에 케이블을 감은 상태로 헤드를 피벗 운동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헤드가 피벗 운동하더라도 케이블 릴에 감긴 케이블이 엉키지 않으면서 케이블 릴에 감기거나 이로부터 풀릴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하는 헤드; 상기 헤드의 후면에 결합되고, 케이블 릴(cable reel)을 구비하는 관절형 커넥터(articulated connector); 그리고, 상기 케이블 릴에 감기고, 상기 헤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케이블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케이블 릴은: 실린더 형상을 지니는 릴 바디; 상기 릴 바디의 전단에서 상기 릴 바디의 반경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릴 바디의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플레이트; 그리고, 상기 릴 바디에 대하여 상기 제1 플레이트에 대향하는 제2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케이블은,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플레이트 사이에서 상기 릴 바디에 감길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효과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패널의 스탠드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하는 헤드의 각도 내지 위치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패널의 다양한 모션 동작인 피벗 운동, 틸트 운동, 스위블 운동, 및 엘레베이팅 운동을 서로 독립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다양한 모션을 구현하는 관절형 커넥터(articulated connector)의 케이블 릴에 케이블을 감을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케이블 릴에 케이블을 감은 상태로 헤드를 피벗 운동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헤드가 피벗 운동하더라도 케이블 릴에 감긴 케이블이 엉키지 않으면서 케이블 릴에 감기거나 이로부터 풀릴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개시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내지 39는 본 개시의 실시 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개시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에 표시된 상(U), 하(D), 좌(Le), 우(Ri), 전(F), 그리고 후(R)의 방향표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이며, 이에 의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는다.
도 1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는 헤드(10)를 포함할 수 있다. 헤드(10)는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헤드(10)는 디스플레이(10) 또는 디스플레이부(10, display unit)라 칭할 수 있다.
헤드(10)는 제1 장변(LS1, first long side), 제1 장변(LS1)에 대향하는 제2 장변(LS2, second long side), 제1 장변(LS1) 및 제2 장변(LS2)에 인접하는 제1 단변(SS1, first short side), 및 제1 단변(SS1)에 대향하는 제2 단변(SS2, second short side)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 및 제2 장변(LS1, LS2)의 길이가 제1 및 제2 단변(SS1, SS2)의 길이보다 더 긴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고 있으나, 제1 및 제2 장변(LS1, LS2)의 길이가 제1 및 제2 단변(SS1, SS2)의 길이와 대략 동일한 경우도 가능할 수 있다.
헤드(10)의 단변(SS1, SS2, short side)과 나란한 방향을 제1 방향(DR1) 또는 상하방향이라고 할 수 있다. 헤드(10)의 장변(LS1, LS2, long Side)과 나란한 방향을 제2 방향(DR2) 또는 좌우방향이라고 할 수 있다. 헤드(10)의 장변(LS1, LS2) 및 단변(SS1, SS2)에 수직한 방향을 제3 방향(DR3) 또는 전후방향이라고 할 수 있다.
헤드(10)가 화상을 표시하는 방향을 전방(F, z)이라 할 수 있고, 이와 반대되는 방향을 후방(R)이라 할 수 있다. 제1 단변(SS1) 쪽을 왼쪽(Le, x)이라 할 수 있다. 제2 단변(SS2) 쪽을 오른쪽(Ri)이라 할 수 있다. 제1 장변(LS1) 쪽을 위쪽(U, y)이라 할 수 있다. 제2 장변(LS2) 쪽을 아래쪽(D)이라 할 수 있다.
제1 장변(LS1), 제2 장변(LS2), 제1 단변(SS1), 그리고 제2 단변(SS2)은 헤드(10)의 엣지(edge)라 칭할 수 있다. 또한, 제1 장변(LS1), 제2 장변(LS2), 제1 단변(SS1), 그리고 제2 단변(SS2)이 서로 만나는 지점을 코너(corner)라 칭할 수 있다.
제1 단변(SS1)과 제1 장변(LS1)이 만나는 지점은 제1 코너(C1)일 수 있다. 제1 단변(SS1)과 제2 장변(LS2)이 만나는 지점은 제2 코너(C2)일 수 있다. 제2 단변(SS2)과 제2 장변(LS2)이 만나는 지점은 제3 코너(C3)일 수 있다. 제2 단변(SS2)과 제1 장변(LS1)이 만나는 지점은 제4 코너(C4)일 수 있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는 베이스(20), 폴(30, pole), 그리고 모션 모듈(MM)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20)는 전체적으로 납작한 실린더(flat cylinder) 형상을 지닐 수 있다. 베이스(20)는 지면 상에 놓일 수 있다.
폴(30)은 수직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폴(30)의 하단은 베이스(20) 상에 결합될 수 있다. 폴(30)은 베이스(20)의 상면의 둘레에 인접할 수 있다. 핸들(39)은 폴(30)의 상단에 결합될 수 있다. 폴(30)과 전술한 베이스(20)는 스탠드라 통칭할 수 있다.
모션 모듈(MM)은 폴(30)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모션 모듈(MM)의 일측은 헤드(10)의 후측(rear side)에 결합될 수 있다. 모션 모듈(MM)의 타측은 폴(30)의 상단에 인접할 수 있고, 폴(30)에 결합될 수 있다. 관절형 커넥터(40, articulated connector)는 헤드(10)의 후측에 결합될 수 있고, 승강 모듈(60, elevating module)은 폴(30)에 결합될 수 있으며, 암(50)은 관절형 커넥터(40)와 승강 모듈(60)을 연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헤드(10)는 모션 모듈(MM), 폴(30), 그리고 베이스(20)에 의해 지지될 수 있고, 지면으로부터 위쪽으로 이격될 수 있다.
도 2 및 3을 참조하면, 헤드(10)는 디스플레이 패널(11), 미들 캐비닛(12), 프레임(13), 엔드 프레임(14), 그리고 백커버(15)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은 헤드(10)의 전면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패널(11)은 OLED 패널, LCD 패널, 또는 LED 패널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은 화상을 복수개의 픽셀들로 나누어 각 픽셀당 색상, 명도, 및 채도를 맞추어 화상을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은 화상이 표시되는 활성 영역(active area)과, 화상이 표시되지 않는 비활성 영역(de-active area)으로 구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은 제어 신호에 따라 레드, 그린, 또는 블루의 색에 해당하는 빛을 발생시킬 수 있다.
미들 캐비닛(12)은 디스플레이 패널(11)의 둘레를 따라서 연장될 수 있다. 수평부(12H)는 디스플레이 패널(11)의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수직부(12V)는 수평부(12H)에 교차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 패널(11)의 측면을 커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미들 캐비닛(12)은 금속이나 플라스틱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미들 캐비닛(12)은 사이드 프레임 또는 가이드 패널이라 칭할 수 있다.
프레임(13)은 디스플레이 패널(11)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PCB(Printed Circuit Board)와 같은 전자부품들은 프레임(13)의 후면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레임(13)은 금속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13)은 마운트 플레이트 또는 모듈커버(module cover)라 칭할 수 있다.
엔드 프레임(14)은 헤드(10)의 둘레를 형성할 수 있다. 수평부(14H)는 미들 캐비닛(12)의 수평부(12H)의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수직부(14V)는 미들 캐비닛(12)의 수직부(12V)의 측면을 커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엔드 프레임(14)은 금속이나 플라스틱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백커버(15)는 헤드(10)의 후면을 형성할 수 있다. 백커버(15)는 프레임(13)의 후방을 커버할 수 있고, 프레임(13)에 결합될 수 있다.
도 3 및 4를 참조하면, 백라이트 유닛(110)은 디스플레이 패널(11)과 프레임(13) 사이에 위치할 수 있고, 프레임(13)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패널(11)은 LCD 패널이라 칭할 수 있다. 백라이트 유닛(110)은 광학층(111)과 광학시트(112)를 포함할 수 있다. 광학층(111)은 기판(111a), 적어도 하나의 광원(111b), 반사시트(111c), 그리고 확산판(111d)을 포함할 수 있다.
기판(111a)은 프레임(13)의 전면에 결합될 수 있다. 기판(111a)은 플레이트 형상을 지니거나, 수직방향에서 서로 이격되는 복수개의 스트랩들로 구성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광원(111b)은 기판(111a) 상에 실장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광원(111b)은 발광 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를 포함할 수 있다. 어댑터와 광원(111b)을 연결하기 위한 전극 패턴은 기판(111a)에 형성될 수 있다. 반사시트(111c)는 기판(111a)의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반사시트(111c)는 광원(111b)이 위치하는 홀(111h)을 구비할 수 있다. 확산판(111d)은 반사시트(111c)의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스페이서(111s)는 반사시트(111c)와 확산판(111d) 사이에서 확산판(111d)의 후면을 지지할 수 있다.
광학시트(112)는 확산판(111d)의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광학시트(112)의 후면은 확산판(111d)에 밀착될 수 있고, 광학시트(112)의 전면은 디스플레이 패널(11)의 후면에 밀착되거나 인접할 수 있다. 광학시트(112)는 확산시트 또는 프리즘시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부(112d)는 광학시트(112)의 적어도 하나의 엣지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광원(111b)의 빛은 확산판(111d)과 광학시트(112)를 통해 디스플레이 패널(11)에 제공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디스플레이 패널(11)은 전술한 백라이트 유닛(110)이 필요하지 않은 OLED 패널이거나 다른 종류의 패널 일 수도 있다.
도 3 및 5를 참조하면, 백라이트 유닛(110')은 디스플레이 패널(11)과 프레임(13) 사이에 위치할 수 있고, 프레임(13)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패널(11)은 LCD 패널이라 칭할 수 있다. 백라이트 유닛(110')은 광학층(111')과 광학시트(112)를 포함할 수 있다. 광학층(111')은 기판(111a'), 적어도 하나의 광원(111b'), 반사시트(111f), 그리고 도광판(111e)을 포함할 수 있다. 도광판(38)은 프레임(13)과 광학시트(112) 사이에 위치할 수 있고, 프레임(13)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기판(111a')은 도광판(38)의 둘레에 인접할 수 있고, 프레임(13)에 결합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광원(111b')은 기판(111a') 상에 실장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광원(111b')은 발광 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를 포함할 수 있다. 어댑터와 광원(111b')을 연결하기 위한 전극 패턴은 기판(111a')에 형성될 수 있다. 반사시트(111f)는 프레임(13)과 도광판(111e) 사이에 위치할 수 있고, 프레임(13)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광원(111b')의 빛은 도광판(111e)과 광학시트(112)를 통해 디스플레이 패널(11)에 제공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디스플레이 패널(11)은 전술한 백라이트 유닛(110')이 필요하지 않은 OLED 패널이거나 다른 종류의 패널 일 수도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전자부품은 프레임(13)의 후면에 장착될 수 있고, 복수개의 보드들(PSU, MB, TC)과 스피커(SPKa, SPKb)를 포함할 수 있다.
파워 서플라이 보드(PSU, power supply board)는 제2 단변(SS2)보다 제1 단변(SS1)에 가깝게 위치할 수 있고, 프레임(13)의 후면에 결합될 수 있다. 파워 서플라이 보드(PSU)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각 구성에 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파워 서플라이 보드(PSU)는 백라이트 유닛(110, 110')의 광원(111b, 111b', 도 4 및 5 참조)에 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파워 서플라이 보드(PSU)는 LED 드라이버라 칭할 수 있다.
메인 보드(MB, main board)는 제1 단변(SS1)보다 제2 단변(SS2)에 가깝게 위치할 수 있고, 프레임(13)의 후면에 결합될 수 있다. 메인 보드(MB)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어할 수 있다.
타이밍 컨트롤러 보드(TC, timing controller board)는 파워 서플라이 보드(PSU)와 메인 보드(MB)의 아래에 위치할 수 있고, 프레임(13)의 후면에 결합될 수 있다. 타이밍 컨트롤러 보드(TC)는 케이블(미도시)을 통해 디스플레이 패널(11, 도 3 참조)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디스플레이 패널(11)에 영상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스피커(SPKa, SPKb)는 복수개의 보드들(PSU, MB, TC)의 위에 위치할 수 있고, 프레임(13)의 후면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좌측 스피커(SPKa)는 제2 단변(SS2)보다 제1 단변(SS1)에 가깝게 위치할 수 있고, 측방으로 소리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우측 스피커(SPKb)는 제1 단변(SS1)보다 제2 단변(SS2)에 가깝게 위치할 수 있고, 측방으로 소리를 제공할 수 있다.
락킹 유닛(18, locking unit)은 프레임(13)의 후면에 결합될 수 있다. 락킹 유닛(18)은 프레임(13)의 중앙부의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락킹 유닛(18)은 오토 클릭 유닛(auto click unit)이라 칭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백커버(15)는 프레임(13)의 후방을 커버할 수 있고, 프레임(13)에 결합될 수 있다. 백커버(15)에 형성된 스피커 홀(15a, 15b)의 위치는 프레임(13)에 장착된 스피커(SPKa, SPKb, 도 6 참조)의 위치에 대응할 수 있다. 커버(15c)는 백커버(15)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락킹 유닛(18)의 아래에 위치한 입력부(6 참조)를 커버할 수 있다. 상기 입력부는 HDMI 또는 USB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저지(150, jersey, 도 21 참조)는 백커버(15)의 후면을 커버할 수 있고, 패브릭(fabric)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13H)는 프레임(13)의 후면에서 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고정부(13H)는 팸넛일 수 있다. 고정부(13H)와 락킹 유닛(18)은 백커버(15)의 중앙에 형성된 홀(15h)을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도 8 및 9를 참조하면, 고정 플레이트(41)는 백커버(15)의 홀(15h)에 대응하는 원판(circular plate) 형상을 지닐 수 있다. 고정 플레이트(41)는 홀(15h)에 위치할 수 있다. 고정 플레이트(41)는 제1 함몰부(410)와 제2 함몰부(41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함몰부(410)는 고정 플레이트(41)에서 전방으로 함몰되면서 형성될 수 있고, 고정 플레이트(41)의 둘레를 따라서 연장될 수 있다. 제2 함몰부(411)는 제1 함몰부(410)에서 전방으로 함몰되면서 형성될 수 있고, 고정 플레이트(41)의 중앙부를 형성할 수 있다.
고정홀(41H)은 고정 플레이트(41)의 제2 함몰부(411)에 형성될 수 있고, 고정부(13H, 도 7 참조)에 정렬될 수 있다. 스크류와 같은 체결부재(Fh)는 고정홀(41H)을 통해 고정부(13H, 도 7 참조)에 체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고정 플레이트(41)는 프레임(13, 도 7 참조)에 결합될 수 있다.
바텀 홀(41b)은 제2 함몰부(411)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고, 고정 플레이트(41)의 중심의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바텀 홀(41b)은 제2 함몰부(411)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고, 제2 함몰부(411)와 제1 함몰부(410)의 경계에 위치할 수 있다. 바텀 홀(41b)의 위치는 락킹 유닛(18, 도 7 참조)의 걸림부(1831a, 1832a)의 위치에 대응할 수 있다. 제1 걸림부(1831a)는 제1 바텀 홀(41b1)을 관통할 수 있고, 제2 함몰부(411)의 후면과 제1 걸림부(1831a)의 전면 사이에 갭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걸림부(1832a)는 제2 바텀 홀(41b2)을 관통할 수 있고, 제2 함몰부(411)의 후면과 제2 걸림부(1832a)의 전면 사이에 갭이 형성될 수 있다.
탑 홀(41a)은 제2 함몰부(411)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고, 고정 플레이트(41)의 중심의 위에 위치할 수 있다. 탑 홀(41a)은 제2 함몰부(411)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고, 제2 함몰부(411)와 제1 함몰부(410)의 경계에 위치할 수 있다. 수직방향에서, 제1 탑 홀(41a1)과 제2 탑 홀(41a2) 각각은 제1 바텀 홀(41b1)과 제2 바텀 홀(41b2) 각각에 정렬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관절형 커넥터(40)의 프런트 브라켓(42)은 전체적으로 플레이트 형상을 지닐 수 있다.
피벗 샤프트(44, pivot shaft)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피벗 샤프트(44)의 헤드(44a)의 직경은 바디(44b)의 직경보다 클 수 있다. 한쌍의 컷-아웃(44c, cut-out)은 바디(44b)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고, 서로 대향할 수 있다. 프런트 브라켓(42)의 홀(42h)은 프런트 브라켓(42)의 중심부에 형성될 수 있고, 바디(44b)에 의해 관통될 수 있다. 프런트 브라켓(42)의 홀(42h)의 형상은 바디(44b)의 종단면의 형상과 같을 수 있다. 이에 따라, 피벗 샤프트(44)와 프런트 브라켓(42)은 피벗 샤프트(44)의 축방향에 대하여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즉, 피벗 샤프트(44)는 피벗 축을 제공할 수 있다.
프런트 그랩(45a, front grab)은 헤드(44a)와 프런트 브라켓(42)의 전면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프런트 그랩(45a)의 홀(45ah)은 프런트 브라켓(42)의 홀(42h)에 정렬될 수 있고, 홀(42h)과 같은 형상을 지닐 수 있다. 바디(44b)는 홀들(45ah, 42h)을 관통할 수 있다. 프런트 그랩(45a)은 프런트 브라켓(42)에 고정될 수 있다. 즉, 프런트 그랩(45a)은 피벗 샤프트(44) 및 프런트 브라켓(42)과 함께 회전할 수 있다.
도 11 및 12를 참조하면, 리어 브라켓(43)은 프런트 브라켓(42)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리어 브라켓(43)은 마운트(43F), 좌측 윙(43L, left wing), 그리고 우측 윙(43R, right wing)을 포함할 수 있다.
마운트(43F)는 프런트 브라켓(42)과 마주할 수 있고, 원형의 마운트 홀(43Fh)을 구비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와셔(43Fw, washer)는 프런트 브라켓(42)과 마운트(43F) 사이에 위치할 수 있고, 원형의 홀을 구비할 수 있다. 피벗 샤프트(44)의 바디(44b)는 와셔(43Fw)의 홀과 마운트 홀(43Fh)을 관통할 수 있고, 와셔(43Fw) 및 마운트(43F)와 독립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좌측 윙(43L)은 마운트(43F)의 좌변에서 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우측 윙(43R)은 마운트(43F)의 우변에서 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후술하는 복수개의 부재들(45c: 45c1, 45c2, 45c3, 45c4, 45c5)은 좌측 윙(43L)과 우측 윙(43R) 사이에서 마운트(43F)에 결합될 수 있다.
리어 그랩(45c1, rear grab)은 마운트(43F)에 대하여 와셔(43Fw)와 대향할 수 있고, 피벗 샤프트(44)의 바디(44b)가 관통하는 원형의 홀(45ch)을 구비할 수 있다. 리어 그랩(45c1)은 마운트(43F)의 후면에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개의 고정홀들(45ca)과 복수개의 슬롯들(45cb)은 리어 그랩(45c1)에 형성될 수 있고, 리어 그랩(45c1)의 원주방향에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복수개의 고정홀들(45ca)과 복수개의 슬롯들(45cb)은 리어 그랩(45c1)의 원주방향에서 교대로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고정홀들(45ca) 또는 슬롯들(45cb)은 90도 간격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리어 그랩(45c1)의 원주방향에서, 슬롯(45cb)의 길이는 고정홀(45ca)의 길이보다 클 수 있다.
디스크(45c2)는 리어 그랩(45c1)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고, 바디(44b)가 관통하며 바디(44b)의 종단면과 같은 형상의 홀(45c2h)을 구비할 수 있다. 복수개의 보스들(45cc)은 디스크(45c2)의 전면에서 리어 그랩(45c1)을 향해 돌출될 수 있고, 디스크(45c2)의 원주방향에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보스들(45cc)은 90도 간격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보스(45cc)의 크기는 고정홀(45ca)의 크기와 같거나 이와 대응할 수 있다. 즉, 보스(45cc)가 고정홀(45ca)에 삽입되면, 디스크(45c2) 및 피벗 샤프트(44)의 회전은 리어 그랩(45c1)에 의해 일정 수준으로 제한될 수 있다. 또, 보스(45cc)가 슬롯(45cb)에 삽입되면, 디스크(45c2) 및 피벗 샤프트(44)는 슬롯(45cb)의 궤적 내에서 회전할 수 있다.
와셔(45c3)는 디스크(45c2)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고, 피벗 샤프트(44)의 바디(44b)가 관통하는 원형의 홀(미부호)을 구비할 수 있다.
디스크 스프링(45c4, disc spring)은 와셔(45c3)에 대하여 디스크(45c2)에 대향할 수 있고, 피벗 샤프트(44)의 바디(44b)가 관통하는 원형의 홀(미부호)을 구비할 수 있다. 디스크 스프링(45c4)은 탄성을 지닐 수 있고, 전방 또는 후방으로 볼록할 수 있다. 디스크 스프링(45c4)은 피벗 샤프트(44)의 축방향으로 탄성력을 일으킬 수 있다.
캡(45c5, cap)은 디스크 스프링(45c4)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고, 피벗 샤프트(44)의 바디(44b)가 관통하는 홀(45c5h)을 구비할 수 있다. 홀(45c5h)의 형상은 바디(44b)의 종단면의 형상과 같을 수 있다. 캡(45c5)은 바디(44b)의 말단에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피벗 샤프트(44)는 프런트 브라켓(42), 프런트 그랩(45a), 디스크(45c2), 그리고 캡(45c5)과 함께 회전할 수 있다. 또, 피벗 샤프트(45)는 와셔(43Fw), 리어 브라켓(43), 리어 그랩(45c1), 와셔(45c3), 그리고 디스크 스프링(45c4)과 독립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피벗 샤프트(45)가 회전하더라도, 와셔(43Fw), 리어 브라켓(43), 리어 그랩(45c1), 와셔(45c3), 그리고 디스크 스프링(45c4)은 회전하지 않을 수 있다.
아울러, 사용자는 프런트 브라켓(42)에 고정된 헤드(10, 도 8 및 9 참조)를 피벗 샤프트(44)에 대하여 피벗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헤드(10)는 +90도 ~ -90도 범위 내에서 피벗될 수 있다. 또, 전술한 디스크 스프링(45c41, 45c2)의 탄성력에 의해 헤드(10)는 일정 수준 이상의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한, 일정 피벗 각도를 유지할 수 있다. 또, 헤드(10)의 피벗 운동 동안에, 사용자는 보스(45cc)와 고정홀(45ca) 또는 슬롯(45cb)의 체결에 따른 체결감을 느낄 수 있다. 즉, 보스(45cc)가 슬롯(45cb)에서 빠져나와 고정홀(45ca)에 삽입될 때, 사용자는 헤드(10)가 0도, +90도, 또는 -90도의 피벗 각도에 위치하고 있음을 느낄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홀더(47)는 좌측 윙(43L)과 우측 윙(43R)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홀더 바디(470)는 리어 브라켓(43)의 마운트(43F)의 후방을 커버할 수 있다. 제1 파트(47L)는 홀더 바디(470)의 좌측부에서 마운트(43F)를 향해 돌출될 수 있고, 좌측 윙(43L)에 이웃할 수 있다. 제2 파트(47R, 도 11 참조)는 홀더(47)의 우측부에서 마운트(43F)를 향해 돌출될 수 있고, 우측 윙(43R)에 이웃할 수 있다.
틸트 샤프트(46, tilt shaft)는 좌우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틸트 샤프트(46)는 좌측 윙(43L), 제1 파트(47L), 제2 파트(47R), 우측 윙(43R)을 관통할 수 있다. 틸트 샤프트(46)의 일단인 헤드(미부호)는 좌측 윙(43L)의 측면 상에 안착될 수 있다. 틸트 샤프트(46)의 타단은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고, 너트와 같은 체결부재(46d)는 우측 윙(43R) 상에서 틸트 샤프트(46)의 상기 타단에 체결될 수 있다.
그리고, 틸트 샤프트(46)는 전체적으로 실린더 형상을 지닐 수 있고, 좌측 윙(43L)과 우측 윙(43R)에 고정될 수 있다. 틸트 샤프트(46)는 홀더(47)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즉, 틸트 샤프트(46)는 틸트 축을 제공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와셔(46v)는 제2 파트(47R)와 우측 윙(43R) 사이에 위치할 수 있고, 틸트 샤프트(46)가 관통하는 원형의 홀을 구비할 수 있다.
탄성부재(46a)는 좌측 윙(43L)과 우측 윙(43R)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탄성부재(46a)는 틸트 샤프트(46)의 외주에 복수 회로 감길 수 있고, 탄성을 지닐 수 있다. 탄성부재(46a)는 코일 형상의 스프링일 수 있다.
그리고, 탄성부재(46a)의 일부(46b)는 틸트 샤프트(46)에 감기지 않고 틸트 샤프트(46)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탄성부재(46a)의 일부(46b)는 마운트(43F)에서 후방으로 돌출된 안착부(43h)에 걸릴 수 있다.
또한, 탄성부재(46a)의 일단은 상기 일부(46b)에 형성될 수 있고, 탄성부재(46a)의 타단은 홀더(47)의 내측에 고정될 수 있다. 디스크 스프링(46w, disc spring)은 탄성부재(46a)의 타단(46c)에 인접할 수 있고, 탄성부재(46a)와 제2 파트(47R)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디스크 스프링(46w)은 틸트 샤프트(46)가 관통하는 원형의 홀(미부호)을 구비할 수 있다. 디스크 스프링(46w)은 탄성부재(46a)를 향하는 방향으로 볼록할 수 있고, 틸트 샤프트(46)의 축방향으로 탄성력을 일으킬 수 있다.
이에 따라, 틸트 샤프트(46)는 리어 브라켓(43), 프런트 브라켓(42), 그리고 복수개의 부재들(45c5, 45c4, 45c3, 45c2, 45c1, 43Fw, 45a, 44)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이러한 틸트 샤프트(46)의 회전에 대응하여, 프런트 브라켓(42)에 고정된 헤드(10, 도 8 및 9 참조)는 위나 아래로 기울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헤드(10)는 +25도 ~ -25도 범위 내에서 틸트될 수 있다. 또, 전술한 탄성부재(46a)와 디스크 스프링(46w)의 탄성력에 의해 헤드(10)는 일정 수준 이상의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한, 일정 틸트 각도를 유지할 수 있다.
도 14 및 15를 참조하면, 제1 회전 유닛(48)은 홀더(47)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연결부(471)는 홀더(47)와 제1 회전 유닛(48)을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홀더(47), 제1 연결부(471), 및 제1 회전 유닛(48)은 일체(one body)로 형성될 수 있다.
케이블 릴(49, cable reel)은 프런트 브라켓(42)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고, 리어 브라켓(43)과 홀더(47)에 의해 관통될 수 있다. 케이블 릴(49)은 릴 바디(49c), 제1 플레이트(49a), 제2 플레이트(49b), 좌측 결합부(49L), 그리고 우측 결합부(49R)를 포함할 수 있다.
릴 바디(49c)는 중공의 실린더(hollow cylinder) 형상을 지닐 수 있다. 릴 바디(49c)는 리어 브라켓(43)과 홀더(47)가 위치하는 내부 공간(49ch)을 제공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49a)는 릴 바디(49c)의 전단에서 릴 바디(49c)의 반경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고, 릴 바디(49c)의 외주를 따라서 연장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49a)는 전체적으로 링 형상을 지닐 수 있다. 프런트 그루브(49Ga)는 제1 플레이트(49a)의 외주에 형성될 수 있고, 제1 플레이트(49a)의 원주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프런트 그루브(49Ga)는 호(arc) 형상의 홀일 수 있다. 프런트 그루브(49Ga)는 제1 플레이트(49a)의 일부가 컷-아웃(cut-out)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2 플레이트(49b)는 릴 바디(49c)의 후단에서 릴 바디(49c)의 반경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고, 릴 바디(49c)의 외주를 따라서 연장될 수 있다. 제2 플레이트(49b)는 전체적으로 링 형상을 지닐 수 있다. 리어 그루브(49Gb)는 제2 플레이트(49b)의 외주에 형성될 수 있고, 제2 플레이트(49b)의 원주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리어 그루브(49Gb)는 호(arc) 형상의 홀일 수 있다. 리어 그루브(49Gb)는 제2 플레이트(49b)의 일부가 컷-아웃(cut-out)되어 형성될 수 있다. 리어 그루브(49Gb)는 프런트 그루브(49Ga)와 대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플레이트(49b)는 릴 바디(49c)에 대하여 제1 플레이트(49a)에 대향할 수 있다. 제2 플레이트(49b)는 제1 플레이트(49a)로부터 후방으로 이격될 수 있다.
좌측 결합부(49L)는 릴 바디(49c)의 내측에 형성될 수 있고, 릴 바디(49c)의 축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릴 바디(49c)의 중심축으로부터 좌측으로 이격될 수 있다. 좌측 결합부(49L)의 우측면은 좌측 윙(43L)의 좌측면과 마주할 수 있다. 스크류와 같은 체결부재(49F)는 좌측 결합부(49L)의 체결홀(49Lh)을 통해 좌측 윙(43L)에 결합될 수 있다.
우측 결합부(49R)는 릴 바디(49c)의 내측에 형성될 수 있고, 릴 바디(49c)의 축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릴 바디(49c)의 중심축으로부터 우측으로 이격될 수 있다. 우측 결합부(49R)의 좌측면은 우측 윙(43R)의 우측면과 마주할 수 있다. 스크류와 같은 체결부재(미도시)는 우측 결합부(49R)의 체결홀(49Rh)을 통해 우측 윙(43R)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케이블 릴(49)은 리어 브라켓(43)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 릴 바디(49c)는 리어 브라켓(43)의 측면을 둘러쌀 수 있다.
케이블 인렛(49G, cable inlet)은 제2 플레이트(49b)의 외주에서 제2 플레이트(49b)의 내측을 향해 형성될 수 있다. 케이블 인렛(49G)은 제2 플레이트(49b)의 일부가 컷-아웃(cut-out)되어 형성될 수 있다. 케이블 인렛(49G)은 제2 플레이트(49b)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플레이트(49b)의 원주방향에서, 케이블 인렛(49G)은 리어 그루브(49Gb)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케이블 브라켓(49P, cable bracket)은 브라켓 바디(49Pa, 49Pc)와 탭(49Pb, tab)을 포함할 수 있다.
브라켓 바디(49Pa, 49Pc)는 케이블 인렛(49G)에 인접할 수 있고, 제2 플레이트(49b)의 원주방향을 따라서 연장될 수 있다. 브라켓 바디(49Pa, 49Pc)는 리어 바디(49Pa)와 프런트 바디(49Pc)를 포함할 수 있다. 브라켓 바디(49Pa, 49Pc)는 곡판(curved plate) 또는 아크(arc)라 칭할 수 있다.
리어 바디(49Pa)는 제2 플레이트(49b)의 후면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전후방향에서, 리어 바디(49Pa)는 리어 그루브(49Gb)와 중첩될 수 있다. 리어 바디(49Pa)의 일단은 케이블 인렛(49G)에 이웃할 수 있고, 리어 바디(49Pa)는 상기 일단으로부터 제2 플레이트(49b)의 외주를 따라서 케이블 인렛(49G)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스크류와 같은 체결부재(Fp)는 리어 바디(49Pa)를 관통할 수 있고, 제2 플레이트(49b)에 형성된 리어 홀(49bh)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리어 바디(49Pa)는 제2 플레이트(49b)에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돌기(49bp)는 제2 플레이트(49b)의 후면에 형성될 수 있고, 리어 홀(49bh)에 인접할 수 있으며, 리어 바디(49Pa)의 삽입홀(49Pah)에 삽입될 수 있다. 즉, 돌기(49bp)와 삽입홀(49Pah)은 리어 바디(49Pa)와 제2 플레이트(49b)의 결합을 가이드할 수 있다.
프런트 바디(49Pc)는 제1 플레이트(49a)의 전면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전후방향에서, 프런트 바디(49Pc)는 프런트 그루브(49Ga)와 중첩될 수 있다. 프런트 바디(49Pc)는 리어 바디(49Pa)와 대향할 수 있다. 스크류와 같은 체결부재(미도시)는 프런트 바디(49Pc)를 관통할 수 있고, 제1 플레이트(49a)에 형성된 프런트 홀(49ah)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런트 바디(49Pc)는 제1 플레이트(49a)에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실시 예에 따라, 프런트 바디(49Pc)와 리어 바디(49Pa) 중에 어느 하나는 생략될 수도 있다.
탭(49Pb)은 바디(49Pa, 49Pc)로부터 제1 플레이트(49a)와 제2 플레이트(49b) 사이의 공간(49S)으로 돌출될 수 있다. 케이블 릴(49)의 반경방향에서, 탭(49Pb)은 공간(49S)의 일부를 커버할 수 있다. 탭(49Pb)은 프런트 그루브(49Ga) 및/또는 리어 그루브(49Gb)에 위치할 수 있다. 탭(49Pb)은 브릿지(bridge)라 칭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탭(49Pb)은 리어 바디(49Pa)로부터 프런트 그루브(49Ga)를 향해 돌출될 수 있고, 탭(49Pb)의 일부는 리어 그루브(49Gb)에 위치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탭(49Pb)은 프런트 바디(49Pc)로부터 리어 그루브(49Gb)를 향해 돌출될 수 있고, 탭(49Pb)의 일부는 프런트 그루브(49Ga)에 위치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탭(49Pb)은 리어 바디(49Pa)와 프런트 바디(49Pc)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고, 리어 바디(49Pa)와 프런트 바디(49Pc)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탭(49Pb)의 제1 부분은 리어 그루브(49Gb)에 위치할 수 있고, 탭(49Pb)의 제2 부분은 프런트 그루브(49Ga)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케이블 브라켓(49P)으로 인하여, 케이블 릴(49)의 전체 직경이 증가하는 것을 최소화활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케이블(C)은 케이블 인렛(49G)을 통해 제1 플레이트(49a)와 제2 플레이트(49b) 사이의 공간(49S)으로 삽입될 수 있다. 케이블(C)은 케이블 인렛(49G)을 통과하면서 케이블 인렛(49G)에 의해 꺾일 수 있다. 케이블 인렛(49G)을 통해 공간(49S)으로 삽입된 케이블(C)은 케이블 릴(49)의 릴 바디(49c, 도 14 참조)의 외주에 감길 수 있다. 케이블(C)은 케이블 인렛(49G)에서 케이블 브라켓(49P)을 향하는 방향, 즉 시계방향으로 릴 바디(49c)에 감길 수 있다. 예를 들면, 케이블(C)은 릴 바디(49c)의 외주에 1회 이상 감길 수 있다.
케이블 브라켓(49P)의 탭(49Pb)은, 케이블 인렛(49G)에 인접한 위치에서, 릴 바디(49c)에 감긴 케이블(C)의 외측을 지지할 수 있다. 즉, 릴 바디(49c)에 감긴 케이블(C)은, 케이블 인렛(49G)에 인접한 위치에서, 탭(49Pb)에 의해 릴 바디(49c)에 감긴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릴 바디(49c)에 감긴 케이블(C)의 말단은 케이블 헤드(CC)의 일단(CCa)에 고정될 수 있다.
도 17 및 18을 참조하면, 커버(40c)는 이너 커버(40c1)와 아우터 커버 (40c2)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너 커버(40c1)와 아우터 커버(40c2)는 플라스틱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너 커버(40c1)는 케이블 릴(49, 도 16 참조)의 후방을 커버할 수 있고, 제1 회전 유닛(48)이 관통하는 커버 홀(40h)을 구비할 수 있다. 케이블(C)은 커버 홀(40h)을 통과할 수 있다. 체결부재(49f1, 49f2, 도 16 참조)는 케이블 릴(49)의 체결홀(49h1, 49h2, 도 14 참조)을 관통하여 후방으로 돌출될 수 있고, 이너 커버(40c1)의 내측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체결부재(49f1, 49f2)는 스크류 또는 볼트일 수 있다.
아우터 커버(40c2)는 전체적으로 링 형상을 지닐 수 있다. 아우터 커버(40c2)의 내주는 이너 커버(40c1)의 외주에 결합될 수 있다.
도 18 및 19를 참조하면, 이너 커버(40c1)는 돔(40ca, dome)과 이너 림(40cb, inner rim)을 포함할 수 있다. 돔(40ca)은 뒤쪽으로 볼록할 수 있다. 이너 림(40cb)은 돔(40ca)의 외주에서 돔(40ca)의 반경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고, 돔(40ca)의 외주를 따라서 연장될 수 있다. 여기서, 돔(40ca)의 외주는 일정 폭의 띠(band) 형상을 지닐 수 있다. 이너 림(40cb)은 이너 커버(40c1)의 외경을 정의할 수 있다.
삽입 홈(40P)은 이너 림(40cb)의 내주에 형성될 수 있고, 삽입 홈(40P)의 일부는 돔(40ca)의 외주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삽입 홈들(40P)은 림(40cb)의 원주방향에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이너 결합 돌기(40t)는 돔(40ca)의 외주에서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고, 이너 림(40cb)으로부터 후방으로 이격될 수 있다. 이너 결합 돌기(40t)는 삽입 홈(40P)에 이웃할 수 있다. 복수개의 이너 결합 돌기들(40t) 각각은 복수개의 삽입 홈들(40P) 각각에 대응할 수 있다. 이너 결합 돌기(40t)는 이너 걸림 돌기(inner latch projection)라 칭할 수 있다.
아우터 커버(40c2)는 아우터 바디(40cc), 아우터 림(40cd, outer rim)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우터 바디(40cc)는 링 형상을 지닐 수 있다. 아우터 림(40cd)은 아우터 바디(40cc)의 내주에서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고, 아우터 커버(40c2)의 내경을 정의할 수 있다. 아우터 커버(40c2)의 상기 내경은 이너 커버(40c1)의 상기 외경보다 약간 작을 수 있다.
이너 결합 홈(40g)은 아우터 림(40cd)의 내주에 형성될 수 있고, 아우터 림(40cd)의 원주방향을 따라서 연장될 수 있다. 이너 결합 홈(40g)은 제1 림(40cd)의 전단과 후단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이너 결합 홈(40g)은 이너 걸림 홈(inner latch groove)라 칭할 수 있다.
이때, 아우터 커버(40c2)의 아우터 림(40cd)은 이너 커버(40c1)의 이너 림(40cb)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고, 아우터 림(40cd)의 말단은 삽입 홈(40P)에 위치할 수 있다. 또, 이너 결합 홈(40g)은 이너 결합 돌기(40t)에 걸릴 수 있다.
이에 따라, 아우터 커버(40c2)는 이너 커버(40c1)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너 결합 홈(40g)은 이너 결합 돌기(40t) 상에서 슬라이딩 될 수 있다. 즉, 아우터 커버(40c2)는 이너 커버(40c1)에 아우터 커버(40c2)의 원주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20 및 21을 참조하면, 케이블 홀(41N)은 고정 플레이트(41)의 제2 함몰부(411)의 측벽을 관통할 수 있다. 케이블 홀(41N)은 파워 서플라이 보드(PSU, 도 6 참조)의 일변에 구비된 단자(SK)와 마주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단자(SK)는 파워 서플라이 보드(PSU, 도 6 참조)의 우변에 장착될 수 있다.
케이블 헤드(CC)의 일단(CCa)은 케이블(C)의 말단에 고정될 수 있다. 케이블 헤드(CC)의 타단(CCb)은 케이블 홀(41N)을 관통할 수 있고, 단자(SK)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다시 도 9 및 10을 참조하면, 탑 돌출부(42a)는 프런트 브라켓(42)의 상변에서 위쪽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1 탑 돌출부(42a1)는 프런트 브라켓(42)의 좌변에 인접할 수 있다. 제2 탑 돌출부(42a2)는 프런트 브라켓(42)의 우변에 인접할 수 있다.
비탐 돌출부(42b)는 프런트 브라켓(42)의 하변에서 아래쪽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1 바텀 돌출부(42b1)는 프런트 브라켓(42)의 좌변에 인접할 수 있다. 제2 바텀 돌출부(42b2)는 프런트 브라켓(42)의 우변에 인접할 수 있다.
제1 탑 돌출부(42a1), 제2 탑 돌출부(42a2), 제1 바텀 돌출부(42b1), 그리고 제2 바텀 돌출부(42b2)는 프런트 브라켓(42)의 코너들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바텀 돌출부(42b1)는 제1 바텀 홀(41b1)에 대응할 수 있다. 제1 바텀 돌출부(42b1)는 제2 함몰부(411)의 후면과 제1 걸림부(1831a)의 전면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될 수 있고, 제1 걸림부(1831a)의 전면에 걸릴 수 있다.
제2 바텀 돌출부(42b2)는 제2 바텀 홀(41b2)에 대응할 수 있다. 제2 바텀 돌출부(42b2)는 제2 함몰부(411)의 후면과 제2 걸림부(1832a)의 전면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될 수 있고, 제2 걸림부(1832a)의 전면에 걸릴 수 있다.
제1 탑 돌출부(42a1)는 제1 탑 홀(41a1)에 대응할 수 있다. 제1 탑 돌출부(42a1)는 제1 탑 홀(41a1)에 삽입될 수 있고, 제1 탑 홀(41a1)의 경계를 정의하는 제2 함몰부(411)의 측벽에 걸릴 수 있다.
제2 탑 돌출부(42a2)는 제2 탑 홀(41a2)에 대응할 수 있다. 제2 탑 돌출부(42a2)는 제2 탑 홀(41a2)에 삽입될 수 있고, 제2 탑 홀(41a2)의 경계를 정의하는 제2 함몰부(411)의 측벽에 걸릴 수 있다.
도 22를 참조하면, 도 9 및 10을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프런트 브라켓(42)은 고정 플레이트(41)의 제2 함몰부(411)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케이블 홀더(CF)는 케이블 헤드(CC)의 일단(CCa, 도 16 참조)을 감쌀 수 있고, 고정 플레이트(41)의 제1 함몰부(4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크류와 같은 체결부재(Fcc, 도 26 참조)는 케이블 홀더(CF)의 홀(CFh)을 관통할 수 있고, 제1 함몰부(410)에 결합될 수 있다. 또, 케이블 홀더(CF)는 케이블 헤드(CC)와 케이블(C) 간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케이블 패스(CPS, cable path)는 프런트 브라켓(42)의 후방을 커버하는 이너 커버(40c1)와 백커버(15)의 홀(15h) 사이에서 정의될 수 있다. 케이블 패스(CPS)는 케이블 릴(49)의 외주와 제1 함몰부(411)의 외주 사이에서 정의될 수 있다. 케이블 패스(CPS)는 케이블 배치 공간이라 칭할 수 있다.
케이블(C)의 일부는 케이블 패스(CPS)에 위치할 수 있다. 케이블(C)의 일부는, 헤드(10, 도 8 및 9 참조)의 피벗 운동에 대응하는 고정 플레이트(41) 및 이에 고정된 케이블 헤드(CC)의 이동에 따라서, 케이블 패스(CPS) 내에서 이동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케이블 패스(CPS)는, 헤드(10, 도 8 및 9 참조)의 피벗 운동에 대응하여 케이블 릴(49, 도 16 참조)에 감긴 정도가 변화하는 케이블(C)의 일부가 위치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아우터 결함 홈(40F)은 아우터 커버(40c2)의 외주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아우터 결합 홈(40F)은 아우터 커버(40c2)의 원주방향에서 서로 이격되는 복수개의 아우터 결합 홈들(40F)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우터 결합 홈(40F)은 아우터 걸림 홈(outer latch groove)라 칭할 수 있다.
또한, 아우터 결합 돌기(41F)는 제1 함몰부(410)의 측벽에 형성될 수 있다. 아우터 결합 돌기(41F)는 제1 함몰부(410)의 측벽에서 고정 플레이트(41)의 중심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아우터 결합 돌기(41F)는 제1 함몰부(410)의 원주방향에서 서로 이격되고, 복수개의 아우터 결합 홈들(40F)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아우터 결합 돌기들(41Fa, 41Fb, 41Fc, 41Fd)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우터 결합 돌기(41F)는 아우터 걸림 돌기(outer latch projection)라 칭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아우터 커버(40c2)는 아우터 결합 홈(40F)이 아우터 결합 돌기(41F)에 걸림으로써 제1 함몰부(4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케이블 패스(CPS)를 커버할 수 있다. 또, 아우터 커버(40c2)의 외주에 형성된 슬릿(40R)과, 제1 함몰부(410)에 형성되어 슬릿(40R)에 삽입되는 리브(41R)는 아우터 커버(40c2)와 고정 플레이트(41)의 결합을 가이드할 수 있다.
도 23 및 24를 참조하면, 헤드(10)는 가로모드에 놓일 수 있다. 케이블 헤드(CC)는 케이블 릴(49)의 왼쪽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케이블(C)은 케이블 릴(49)에 약 1회 감긴 후 케이블 헤드(CC)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케이블(C)의 케이블 릴(49)에 약 1회째 감긴 케이블(C)의 부분과 케이블 헤드(CC) 사이의 부분은 케이블 릴(49)에서 벗어나 케이블 패스(CPS)에 위치할 수 있다. 커버(40c)의 내측에서, 케이블(C)의 일부는 케이블 릴(49)에 감기지 않고 케이블 릴(49)의 외측에 느슨하게 위치할 수 있다.
도 25 및 26을 참조하면, 헤드(10)는 상기 가로모드(도 23 참조)로부터 반시계방향으로 -90도만큼 피벗된 제1 세로모드에 놓일 수 있다. 케이블 헤드(CC)는 케이블 릴(49)의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케이블(C)은 케이블 릴(49)에 1회 미만으로 감긴 후 케이블 헤드(CC)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케이블(C)의 케이블 릴(49)에 약 0.5회째 감긴 케이블(C)의 부분과 케이블 헤드(CC) 사이의 부분은 케이블 릴(49)에서 벗어나 케이블 패스(CPS)에 위치할 수 있다. 커버(40c)의 내측에서, 케이블(C)의 일부는 케이블 릴(49)에 감기지 않고 케이블 릴(49)의 외측에 더욱 느슨하게 위치할 수 있다.
도 27 및 28을 참조하면, 헤드(10)는 상기 가로모드(도 23 참조)로부터 시계방향으로 +90도만큼 피벗된 제2 세로모드에 놓일 수 있다. 케이블 헤드(CC)는 케이블 릴(49)의 위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케이블(C)은 케이블 릴(49)에 약 1.5회 감긴 후 케이블 헤드(CC)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케이블(C)은 케이블 릴(49)에 감긴 상태로 케이블 헤드(CC)에 연결될 수 있다. 커버(40c)의 내측에서, 케이블(C)은 케이블 릴(49)에 팽팽하게 감길 수 있다.
도 29 및 30을 참조하면, 암(50)은 암 바디(51, 52, arm body)를 포함할 수 있다. 어퍼 암 바디(51, upper arm body)와 로어 암(52, lower arm body)는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암(50)은 로드(50) 또는 링크(50)라 칭할 수 있다.
어퍼 암 바디(51)의 전방부는 로어 암 바디(52)의 전방부로부터 위쪽으로 이격될 수 있다. 프런트 그루브(50g1)는 암 바디(51, 52)의 전방부에 형성될 수 있고, 전방으로 개구된 "U" 형상을 지닐 수 있다. 어퍼 암 바디(51)의 후방부는 로어 암 바디(52)의 후방부로부터 위쪽으로 이격될 수 있다. 리어 그루브(50g2)는 암 바디(51, 52)의 후방부에 형성될 수 있고, 후방으로 개구된 "U" 형상을 지닐 수 있다.
어퍼 삽입홀(51a)은 어퍼 암 바디(51)의 전방부를 수직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고, 프런트 그루브(50g1)를 향할 수 있다. 어퍼 체결홀(51b)은 어퍼 암 바디(51)의 후방부를 수직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고, 리어 그루브(50g2)를 향할 수 있다.
로어 체결홀(52a)은 로어 암 바디(52)의 전방부를 수직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고, 어퍼 삽입홀(51a)에 정렬될 수 있다. 로어 삽입홀(52b)은 로어 암 바디(52)의 후방부를 수직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고, 어퍼 체결홀(51b)에 정렬될 수 있다.
케이블 홈(50c)은 로어 암 바디(52)의 하면에 형성될 수 있고, 로어 암 바디(52)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연장될 수 있다. 케이블(C, 도 16 참조)은 케이블 홈(50c)에 위치할 수 있다.
도 31을 참조하면, 어퍼 커버(53)는 어퍼 암 바디(51, 도 30 참조)의 표면을 커버할 수 있다. 로어 커버(54)는 로어 암 바디(52, 도 30 참조)의 표면을 커버할 수 있다. 어퍼 커버(53)와 로어 커버(54)는 별개로 형성되거나, 일체(one body)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회전 유닛(48)은 프런트 그루브(50g1)에 삽입될 수 있고, 암(5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2 회전 유닛(68)은 리어 그루브(50g2)에 삽입될 수 있고, 암(5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2 회전 유닛(68)은 후술하는 수직부재(61)로부터 리어 그루브(50g2)를 향해 돌출될 수 있다.
도 31 및 32를 참조하면, 제1 회전 유닛(48)은 제1 바디(480), 제1 체결부재(48a), 제1 어퍼 고정 와셔(48b), 제1 디스크 스프링(48d), 제1 어퍼 와셔(48e), 제1 어퍼 부싱(48f), 제1 로어 부싱(48g), 제1 로어 와셔(48h), 그리고 제1 로어 고정 와셔(48c)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회전 유닛(48)은 제1 스위블 유닛(48) 또는 제1 스위블 모듈(48)이라 칭할 수 있다.
제1 바디(480)는 상하로 개구될 수 있다. 제1 바디(480)는 전체적으로 도넛 형상을 지닐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바디(480)는 제1 연결부(471)와 일체(one body)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바디(480)는 프런트 그루브(50g1)에 삽입될 수 있다.
제1 체결부재(48a)는 수직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체결부재(48a)는 어퍼 삽입홀(51a, 도 30 참조)을 통해 암(50)으로 삽입될 수 있고, 제1 바디(480)의 중심부에 형성된 홀(480h)을 관통할 수 있다. 제1 체결부재(48a)의 헤드(48ah)는 어퍼 암 바디(51)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체결부재(48a)는 로어 체결홀(52a, 도 30 참조)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제1 어퍼 고정 와셔(48b)는 제1 체결부재(48a)의 헤드(48ah)의 아래에 위치할 수 있고, 제1 체결부재(48a)에 의해 관통될 수 있다. 제1 어퍼 고정 와셔(48b)는 이붙이 와셔(toothed lock washer)일 수 있고, 제1 어퍼 고정 와셔(48b)의 이(48bt, tooth)는 어퍼 암 바디(51)의 내측에 형성된 홈(미부호)에 삽입 및 고정될 수 있다.
제1 디스크 스프링(48d)은 제1 어퍼 고정 와셔(48b)의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디스크 스프링(48d)은 제1 어퍼 고정 와셔(48b)를 향해 볼록할 수 있고, 제1 체결부재(48a)의 축방향으로 탄성력을 일으킬 수 있다.
제1 어퍼 와셔(48e)는 제1 디스크 스프링(48d)의 아래에 위치할 수 있고, 제1 체결부재(48a)에 의해 관통될 수 있다.
제1 어퍼 부싱(48f)은 제1 어퍼 와셔(48e)에 대하여 제1 디스크 스프링(48d)에 대향할 수 있다. 제1 체결부재(48a)는 제1 어퍼 부싱(48f)을 관통할 수 있다. 제1 어퍼 부싱(48f)은 상단에 플랜지(미부호)가 형성된 실린더 형상을 지닐 수 있다. 제1 어퍼 부싱(48f)의 상기 플랜지는 제1 바디(480)의 상면에서 홀(480h) 주위를 따라서 형성된 제1 어퍼 그루브(480a) 상에 접촉할 수 있다. 제1 어퍼 부싱(48f)의 일부(미부호)는 제1 바디(480)의 홀(480h)에 삽입될 수 있고, 제1 바디(480)의 내주면과 제1 체결부재(48a)의 외주면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로어 부싱(48g)은 제1 어퍼 부싱(48f)에 대향할 수 있고, 제1 어퍼 부싱(48f)으로부터 아래쪽으로 이격될 수 있다. 제1 체결부재(48a)는 제1 로어 부싱(48g)을 관통할 수 있다. 제1 로어 부싱(48g)은 하단에 플랜지(미부호)가 형성된 실린더 형상을 지닐 수 있다. 제1 로어 부싱(48g)의 상기 플랜지는 제1 바디(480)의 하면에서 홀(480h) 주위를 따라서 형성된 제1 로어 그루브(480b) 상에 접촉할 수 있다. 제1 로어 부싱(48g)의 일부(미부호)는 제1 바디(480)의 홀(480h)에 삽입될 수 있고, 제1 바디(480)의 내주면과 제1 체결부재(48a)의 외주면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로어 와셔(48h)는 제1 로어 부싱(48g)의 아래에 위치할 수 있고, 제1 체결부재(48a)에 의해 관통될 수 있다.
제1 로어 고정 와셔(48c)는 제1 로어 와셔(48h)에 대하여 제1 로어 부싱(48g)에 대향할 수 있고, 제1 체결부재(48a)에 의해 관통될 수 있다. 제1 로어 고정 와셔(48c)는 이붙이 와셔(toothed lock washer)일 수 있고, 제1 로어 고정 와셔(48c)의 이(48ct, tooth)는 로어 암 바디(52)의 내측에 형성된 홈(미부호)에 삽입 및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바디(480)는 제1 체결부재(48a)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다. 즉, 제1 체결부재(48a)는 제1 스위블 축을 제공할 수 있다. 또, 전술한 제1 디스크 스프링(48d)의 탄성력에 의해 헤드(10)는 일정 수준 이상의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한, 일정 스위블 각도를 유지할 수 있다.
도 31 및 33을 참조하면, 제2 회전 유닛(68)은 제2 바디(680), 제2 체결부재(68a), 제2 로어 고정 와셔(68b), 제2 디스크 스프링(68d), 제2 로어 와셔(68e), 제2 로어 부싱(68f), 제2 어퍼 부싱(68g), 제2 어퍼 와셔(68h), 그리고 제2 어퍼 고정 와셔(68c)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회전 유닛(68)은 제2 스위블 유닛(68) 또는 제2 스위블 모듈(68)이라 칭할 수 있다.
제2 바디(680)는 상하로 개구될 수 있다. 제2 바디(680)는 전체적으로 도넛 형상을 지닐 수 있다. 제2 바디(680)는 제2 연결부(611)를 통해 수직부재(61)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바디(680), 제2 연결부(611), 및 수직부재(61)는 일체(one body)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바디(680)는 리어 그루브(50g2)에 삽입될 수 있다.
제2 체결부재(68a)는 수직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체결부재(68a)는 로어 삽입홀(52b, 도 30 참조)을 통해 암(50)으로 삽입될 수 있고, 제2 바디(680)의 중심부에 형성된 홀(680h)을 관통할 수 있다. 제2 체결부재(68a)의 헤드(68ah)는 로어 암 바디(52)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체결부재(68a)는 어퍼 체결홀(51b, 도 30 참조)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제2 로어 고정 와셔(68b)는 제2 체결부재(68a)의 헤드(68ah)의 위에 위치할 수 있고, 제2 체결부재(68a)에 의해 관통될 수 있다. 제2 로어 고정 와셔(68b)는 이붙이 와셔(toothed lock washer)일 수 있고, 제2 로어 고정 와셔(68b)의 이(68bt, tooth)는 로어 암 바디(52)의 내측에 형성된 홈(미부호)에 삽입 및 고정될 수 있다.
제2 디스크 스프링(68d) 제2 로어 고정 와셔(68b)의 위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디스크 스프링(68d)은 제2 로어 고정 와셔(68b)를 향해 볼록할 수 있고, 제2 체결부재(68a)의 축방향으로 탄성력을 일으킬 수 있다.
제2 로어 와셔(68e)는 제2 디스크 스프링(68d)의 위에 위치할 수 있고, 제2 체결부재(68a)에 의해 관통될 수 있다.
제2 로어 부싱(68f)은 제2 로어 와셔(68e)에 대하여 제2 디스크 스프링(68d)에 대향할 수 있다. 제2 체결부재(68a)는 제2 로어 부싱(68f)을 관통할 수 있다. 제2 로어 부싱(68f)은 하단에 플랜지(미부호)가 형성된 실린더 형상을 지닐 수 있다. 제2 로어 부싱(68f)의 상기 플랜지는 제2 바디(680)의 하면에서 홀(680h) 주위를 따라서 형성된 제2 로어 그루브(680a) 상에 접촉할 수 있다. 제2 로어 부싱(68f)의 일부(미부호)는 제2 바디(680)의 홀(680h)에 삽입될 수 있고, 제2 바디(680)의 내주면과 제2 체결부재(68a)의 외주면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어퍼 부싱(68g)은 제2 로어 부싱(68f)에 대향할 수 있고, 제2 로어 부싱(68f)으로부터 위쪽으로 이격될 수 있다. 제2 체결부재(68a)는 제2 어퍼 부싱(68g)을 관통할 수 있다. 제2 어퍼 부싱(68g)은 상단에 플랜지(미부호)가 형성된 실린더 형상을 지닐 수 있다. 제2 어퍼 부싱(68g)의 상기 플랜지는 제2 바디(680)의 상면에서 홀(680h) 주위를 따라서 형성된 제2 어퍼 그루브(680b) 상에 접촉할 수 있다. 제2 어퍼 부싱(68g)의 일부(미부호)는 제2 바디(680)의 홀(680h)에 삽입될 수 있고, 제2 바디(680)의 내주면과 제2 체결부재(68a)의 외주면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어퍼 와셔(68h)는 제2 어퍼 부싱(68g)의 위에 위치할 수 있고, 제2 체결부재(68a)에 의해 관통될 수 있다.
제2 어퍼 고정 와셔(68c)는 제2 어퍼 와셔(68h)에 대하여 제2 어퍼 부싱(68g)에 대향할 수 있고, 제2 체결부재(68a)에 의해 관통될 수 있다. 제2 어퍼 고정 와셔(68c)는 이붙이 와셔(toothed lock washer)일 수 있고, 제2 어퍼 고정 와셔(68c)의 이(68ct, tooth)는 어퍼 암 바디(51)의 내측에 형성된 홈(미부호)에 삽입 및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바디(680)는 제2 체결부재(68a)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다. 즉, 제2 체결부재(68a)는 제2 스위블 축을 제공할 수 있다. 또, 전술한 제2 디스크 스프링(68d)의 탄성력에 의해 헤드(10)는 일정 수준 이상의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한, 일정 스위블 각도를 유지할 수 있다.
도 34를 참조하면, 암(50)은 헤드(10)와 폴(30)을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암(50)은 관절형 커넥터(40)와 승강 모듈(60)을 연결할 수 있다. 승강 모듈(60)의 제2 회전 유닛(68)과 수직부재(61)는 제2 연결부(611)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제2 연결부(611)는 폴(30)을 관통할 수 있다.
수직부재(61)는 폴(3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수직부재(61)는 폴(30)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폴(30)은 수직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고, 수직부재(61)를 둘러쌀 수 있다. 복수개의 리브들(30a, 30b, 30c, 30d)은 폴(30)의 내주면에서 수직부재(61)를 향해 돌출될 수 있고, 폴(30)의 원주방향에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제1 리브(30a), 제2 리브(30b), 제3 리브(30c), 그리고 제4 리브(30d)는 폴(30) 내부의 임의의 사각형의 꼭짓점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폴(30)의 하단(31)은 베이스(20)의 상면에 형성된 포트(21, port)에 삽입 및 결합될 수 있다.
도 34 및 35를 참조하면, 수직부재(61)는 전체적으로 절반으로 잘린 실린더 형상을 지닐 수 있다. 수직부재(61)의 후측 및 하측은 개구될 수 있고, 상측은 격벽(61w)에 의해 막힐 수 있다.
스템(63s, stem)은 수직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고, 수직부재(61)에 정렬될 수 있다. 스템(63s)의 하단은 베이스(20)의 포트(21)에 삽입될 수 있다.
가스 스프링(62, 63)은 어퍼 샤프트(62)와, 어퍼 샤프트(62)와 연결되는 로어 샤프트(63)를 포함할 수 있다. 어퍼 샤프트(62)는 수직부재(61)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어퍼 샤프트(62)는 상측이 막힌 실린더 형상을 지닐 수 있다. 어퍼 샤프트(62)의 적어도 일부는 수직부재(61)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로어 샤프트(63)는 어퍼 샤프트(62)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고, 어퍼 샤프트(62)보다 작은 직경을 지닐 수 있다. 즉, 로어 샤프트(63)는 어퍼 샤프트(62)의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다. 로어 샤프트(63)의 하단은 스템(63s) 상에 고정될 수 있다.
클램프(64, 65, clamp)는 어퍼 샤프트(62)에 대하여 수직부재(61)에 대향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어퍼 샤프트(62)는 수직부재(61)와 클램프(64, 65)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클램프(64, 65)는 수직방향에서 서로 이격되는 복수개의 클램프들(64, 65)를 포함할 수 있다.
클램프(64, 65)는 세미 실린더(640, 650), 좌측 플랜지(641, 651), 그리고 우측 플랜지(642, 652)를 포함할 수 있다. 세미 실린더(640, 650)는 어퍼 샤프트(62)의 외주에 접촉할 수 있다. 좌측 플랜지(641, 651)는 세미 실린더(640, 650)의 일측에서 왼쪽으로 연장될 수 있고, 체결부재(64F, 65F)를 통해 수직부재(61)의 제1 부분(61s1, 65s1)에 결합될 수 있다. 우측 플랜지(642, 652)는 세미 실린더(640, 650)의 타측에서 오른쪽으로 연장될 수 있고, 체결부재(미도시)를 통해 수직부재(61)의 제2 부분(미도시)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어퍼 샤프트(62)는 수직부재(61)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로어 샤프트(63)를 따라서 아래나 위로 이동할 수 있다.
도 35 및 36을 참조하면, 롤러(66a, 66b, 67a, 67b)는 클램프(64, 65)에 인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롤러(66a, 66b)는 제1 클램프(64)에 인접할 수 있고, 제2 롤러(67a, 67b)는 제2 클램프(65)에 인접할 수 있다.
제1 롤러(66a, 66b)는 제1 좌측 롤러(66a)와 제1 우측 롤러(66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좌측 핀(66a1)의 바디(66a1a)는 제1 좌측 롤러(66a)와 수직부재(61)의 좌측부(61L)를 관통할 수 있다. 제1 좌측 핀(66a1)의 플랜지(66a1b)는 제1 좌측 롤러(66a)와 좌측부(61L)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좌측 롤러(66a)는 제1 좌측 핀(66a1)을 통해 좌측부(61L)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우측 핀(66b1)의 바디(66b1a)는 제1 우측 롤러(66b)와 수직부재(61)의 우측부(61R)를 관통할 수 있다. 제1 우측 핀(66b1)의 플랜지(66b1b)는 제1 우측 롤러(66b)와 우측부(61R)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우측 롤러(66b)는 제1 우측 핀(66b1)을 통해 우측부(61R)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롤러(67a, 67b)는 제1 롤러(66a, 66b)와 동일한 형상을 지닐 수 있다. 즉, 제1 롤러(66a, 66b)에 대하여 전술한 내용은 제2 롤러(67a, 67b)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좌측 롤러(67a)는 좌측부(61L)에 결합될 수 있고, 제2 우측 롤러(67b)는 우측부(61R)에 결합될 수 있다.
아울러, 좌측 롤러(66a, 67a)는 제3 리브(30c)와 제4 리브(30d) 사이에 위치할 수 있고, 제3 리브(30c)와 제4 리브(30d)에 접촉할 수 있다. 우측 롤러(66b, 67b)는 제1 리브(30a)와 제2 리브(30b) 사이에 위치할 수 있고, 제1 리브(30a)와 제2 리브(30b)에 접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직부재(61)는 롤러(66a, 66b, 67a, 67b)에 의해 폴(30)의 내부에서 원활하게 상승하거나 하강할 수 있다.
도 35 및 37을 참조하면, 제1 클램프(64)의 제1 좌측 플랜지(641)는 제3 리브(30c)와 제4 리브(30d)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클램프(64)의 제1 우측 플랜지(642)는 제1 리브(30a)와 제2 리브(30b)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클램프(64)는 제1 센터 돌출부(64a), 제1 좌측 돌출부(64b), 그리고 제1 우측 돌출부(64c)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센터 돌출부(64a)는 제1 세미 실린더(650)에서 폴(30)의 내측을 향해 돌출될 수 있고, 폴(30)의 내측에 접촉할 수 있다. 제1 좌측 돌출부(64b)는 제1 좌측 플랜지(641)에서 제3 리브(30c)를 향해 돌출될 수 있고, 제3 리브(30c)에 접촉할 수 있다. 제1 우측 돌출부(64c)는 제1 우측 플랜지(642)에서 제2 리브(30b)를 향해 돌출될 수 있고, 제2 리브(30b)에 접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센터 돌출부(64a), 제1 좌측 돌출부(64b), 및 제1 우측 돌출부(64c)는 수직부재(61)와 폴(30) 사이의 마찰을 일으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클램프(65)는 제1 클램프(64)으로부터 아래쪽으로 이격될 수 있고, 제1 클램프(64)와 동일한 형상을 지닐 수 있다. 즉, 제1 클램프(64)에 대하여 전술한 내용은 제2 클램프(65)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클램프(65)의 제2 센터 돌출부(65a), 제2 좌측 돌출부(65b), 및 제2 우측 돌출부(65c)는 수직부재(61)와 폴(30) 사이의 마찰을 일으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베이스(20)에 대한 수직부재(61)의 위치(높이)는 일정 수준 이상의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한, 돌출부(64a, 64b, 64c, 65a, 65b, 65c)와 폴(30) 사이의 마찰력에 의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도 36 및 37을 참조하면, 케이블 홈(61g)은 수직부재(61)의 전방부(61F)에 형성될 수 있고, 수직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케이블(C)은 케이블 홈(61g)에 삽입될 수 있다. 케이블(C)은 암(50)의 케이블 홈(50c, 도 16 참조)을 따라서 배치될 수 있고, 헤드(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케이블(C)은 스템(63s, 도 35 참조)을 따라서 배치될 수 있고, 베이스(20)의 내부에 배치된 배터리(Bt, 도 1 참조) 등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배터리(Bt)는 케이블(C)을 통해 헤드(10)에 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배터리(Bt)는 2차 전지(rechargeable battery)일 수 있다. 케이블(C)은 파워 케이블 및/또는 신호 케이블일 수 있다. 케이블(C)은 여러 가닥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8을 참조하면, 헤드(10)는 베이스(20)로부터 위쪽으로 이격될 수 있다. 사용자는 헤드(10)를 피벗시킬 수 있다. 피벗 축은 헤드(10)의 중심을 지나며 헤드(10)에 직교할 수 있다. 도 38의 왼쪽 그림을 참조하면, 헤드(10)는 가로모드에 놓일 수 있다. 도 38의 오른쪽 그림을 참조하면, 헤드(10)는 세로모드에 놓일 수 있다.
도 39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헤드(10)를 틸트시킬 수 있다. 틸트 축은 헤드(10)의 중심의 후방에 위치하며 헤드(10)와 나란한 수평 축일 수 있다. 사용자는 헤드(10)를 스위블시킬 수 있다. 제1 스위블 축은 암(50)의 일단에 인접한 수직 축일 수 있다. 제2 스위블 축은 암(50)의 타단에 인접한 수직 축일 수 있다. 사용자는 헤드(10)를 폴(30)에서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킬 수 있다.
전술한 헤드(10)의 피벗, 틸트, 스위블, 및 엘리베이팅 동작은 서로 독립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헤드(10)는 +90도 ~ -90도 범위 내에서 피벗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헤드(10)는 +25도 ~ -25도 범위 내에서 틸트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헤드(10)는 +65 ~ -65도 범위 내에서 스위블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헤드(10)는 가로모드 기준, 베이스(20) 또는 지면으로부터 1,065 ~ 1,265 mm에 위치할 수 있다.
도 1 내지 39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하는 헤드; 상기 헤드의 후면에 결합되고, 케이블 릴(cable reel)을 구비하는 관절형 커넥터(articulated connector); 그리고, 상기 케이블 릴에 감기고, 상기 헤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케이블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케이블 릴은: 실린더 형상을 지니는 릴 바디; 상기 릴 바디의 전단에서 상기 릴 바디의 반경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릴 바디의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플레이트; 그리고, 상기 릴 바디에 대하여 상기 제1 플레이트에 대향하는 제2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케이블은,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플레이트 사이에서 상기 릴 바디에 감길 수 있다.
상기 릴 바디의 축방향은, 상기 헤드에 직교할 수 있고, 상기 케이블은, 상기 릴 바디의 상기 축방향을 중심으로 상기 릴 바디에 감길 수 있다.
상기 제2 플레이트는: 상기 제2 플레이트의 외주에서 상기 제2 플레이트의 내측을 향해 형성되는 케이블 인렛(cable inlet)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케이블은, 상기 케이블 인렛을 관통할 수 있고, 상기 케이블 인렛에 의해 꺾일 수 있다.
상기 케이블 릴은: 상기 케이블이 상기 릴 바디에 감기는 방향에서 상기 케이블 인렛에 인접하는 케이블 브라켓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케이블 브라켓은: 상기 제1 플레이트 또는 상기 제2 플레이트 중에 적어도 하나에 결합되는 브라켓 바디; 그리고, 상기 브라켓 바디로부터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플레이트 사이의 공간으로 돌출되고, 상기 릴 바디에 감긴 케이블의 외측을 지지하는 탭(ta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플레이트는: 상기 제2 플레이트의 외주에 형성되고, 상기 케이블 인렛에 인접하는 리어 그루브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 플레이트는: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외주에 형성되고, 상기 리어 그루브와 대향하는 프런트 그루브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탭은, 상기 프런트 그루브 또는 상기 리어 그루브 중에 적어도 하나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 플레이트 또는 상기 제2 플레이트는: 상기 제1 플레이트 또는 상기 제2 플레이트에 형성되고, 상기 브라켓 바디에 삽입되는 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관절형 커넥터는: 상기 헤드에 직교하는 피벗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피벗 모듈(pivot module); 그리고, 상기 케이블의 말단에 연결되고, 상기 헤드에 고정되며, 상기 헤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케이블 헤드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헤드는, 상기 케이블 릴과 독립적으로 상기 피벗 모듈의 상기 피벗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할 수 있다.
상기 헤드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피벗 모듈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피벗 모듈에 고정되는 고정 플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케이블 헤드는, 상기 케이블 릴의 외측에서 상기 고정 플레이트에 고정될 수 있고, 상기 헤드의 피벗 운동에 대응한 상기 케이블 헤드의 이동 궤적은, 상기 케이블이 상기 릴 바디에 감긴 제1 회전방향 또는 상기 제1 회전방향에 반대되는 제2 회전방향에 따라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블은, 상기 케이블 헤드가 상기 케이블 릴에 대하여 상기 제1 회전방향으로 이동할수록 상기 릴 바디에 점차 더 감길 수 있다.
상기 케이블은, 상기 케이블 헤드가 상기 케이블 릴에 대하여 상기 제2 회전방향으로 이동할수록 상기 릴 바디에서 점차 풀릴 수 있다.
케이블 패스(cable path)는, 상기 케이블 릴의 외측(outer side)과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둘레 사이에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헤드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고정 플레이트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고정 플레이트가 결합되는 프레임; 그리고, 상기 프레임의 후면에 장착되는 보드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케이블 헤드는: 상기 케이블의 말단이 연결되는 일단; 그리고, 상기 일단에 반대되고, 상기 고정 플레이트를 관통하여 상기 보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타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블 헤드는: 상기 일단을 감싸고, 상기 고정 플레이트에 고정되는 케이블 홀더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케이블 홀더는, 상기 릴 바디에 감긴 상기 케이블에 인접할 수 있다.
상기 관절형 커넥터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직교하는 피벗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피벗 모듈(pivot module);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나란하고,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틸트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틸트 모듈(tilt module);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나란하고,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스위블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제1 회전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이격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이 상기 베이스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폴(pole); 상기 폴에 상기 폴의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승강 모듈(elevating module);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폴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일측이 상기 관절형 커넥터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승강 모듈에 연결되는 암(arm)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승강 모듈은: 상기 폴에 나란하고,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스위블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제2 회전 유닛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케이블은, 상기 암과 상기 폴을 따라서 연장될 수 있고, 상기 베이스의 내부에 위치한 전자부품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앞에서 설명된 본 개시의 어떤 실시예들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서로 배타적이거나 구별되는 것은 아니다. 앞서 설명된 본 개시의 어떤 실시예들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각각의 구성 또는 기능이 병용되거나 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특정 실시예 및/또는 도면에 설명된 A 구성과 다른 실시예 및/또는 도면에 설명된 B 구성이 결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즉, 구성 간의 결합에 대해 직접적으로 설명하지 않은 경우라고 하더라도 결합이 불가능하다고 설명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결합이 가능함을 의미한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14)
-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에 위치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이 결합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후방에 위치하고,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는 고정 플레이트;
길게 연장되고, 일단이 상기 고정 플레이트에 인접하는 암(arm);
상기 암과 상기 고정 플레이트 사이에서 상기 고정 플레이트에 결합되고, 일부가 상기 암의 상기 일단에 삽입되는 홀더;
상기 암의 길이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홀더의 상기 일부를 관통하여 상기 암에 고정되며, 상기 홀더의 상기 일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체결부재;
상기 홀더의 주위에 위치하는 케이블 릴;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케이블 릴에 감기는 케이블을 포함하고,
상기 암은:
상기 암의 외면이 상기 암의 내측으로 함몰되며 형성되고, 상기 암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케이블 홈을 포함하고,
상기 케이블은,
상기 케이블 홈에 삽입되어 배선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암은:
상기 암의 상기 일단에 형성되고, 상기 홀더의 상기 일부가 삽입되는 그루브; 그리고,
상기 그루브에 삽입된 상기 홀더의 상기 일부를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되는 제1 부분과 제2 부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암의 상기 제1 부분, 상기 홀더의 상기 일부, 및 상기 암의 상기 제2 부분을 차례로 관통하여 상기 암에 고정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홈의 일부는,
상기 암의 상기 제2 부분의 외면에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암의 타단으로부터 상기 암의 길이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직부재는:
상기 수직부재의 외면이 상기 수직부재의 내측으로 함몰되며 형성되고, 상기 수직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케이블 홈을 포함하고,
상기 케이블은,
상기 수직부재의 상기 케이블 홈과 상기 암의 상기 케이블 홈에 삽입되어 배선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부재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폴(pole);로서, 상기 수직부재가 상기 폴의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폴; 그리고,
상기 폴의 일단이 결합되는 베이스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암은:
상기 암의 외면에 형성되고, 상기 홀더의 상기 일부 및 상기 케이블 홈과 이격되는 함몰부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암은:
상기 함몰부를 복수개의 함몰부들로 구획하는 적어도 하나의 리브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암의 외면을 덮는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케이블은,
상기 케이블 홈과 상기 커버의 내면 사이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고정 플레이트에 결합되고, 주위에 상기 케이블 릴이 위치하는 프런트 파트;
상기 암의 상기 일단에 삽입되고, 상기 체결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리어 파트; 그리고,
상기 프런트 파트와 상기 리어 파트 사이에서 상기 프런트 파트와 상기 리어 파트에 연결되는 미들 파트를 포함하고,
상기 프런트 파트와 상기 리어 파트 사이에서 상기 케이블 릴의 후방을 덮고, 상기 케이블 릴에 고정되는 이너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너 커버는:
상기 케이블과 상기 미들 파트가 관통하는 커버 홀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암의 외면을 덮는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상기 홀더의 상기 미들 파트가 관통하고, 상기 미들 파트의 회전 궤적에 대응하는 길이를 지니는 홀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은,
상기 커버 홀의 내면에 접촉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릴은:
실린더 형상을 지니고, 내부에 상기 홀더의 상기 프런트 파트가 위치하는 릴 바디;
상기 릴 바디의 전단에서 상기 릴 바디의 반경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릴 바디의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플레이트; 그리고,
상기 릴 바디의 후단에서 상기 릴 바디의 반경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릴 바디의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플레이트는:
상기 제2 플레이트의 외주에서 상기 제2 플레이트의 내측을 향해 절개되어 형성되는 케이블 인렛(cable inlet)을 포함하고,
상기 케이블은,
상기 케이블 인렛을 관통하면서 상기 케이블 인렛에 의해 꺾이며,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플레이트 사이에서 상기 릴 바디에 감기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홈은, 상기 암의 하면에 형성되고,
상기 케이블 인렛은, 상기 제2 플레이트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케이블은,
상기 홀더의 상기 미들 파트의 아래에서 상기 커버 홀을 관통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의 말단에 결합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케이블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케이블 커넥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케이블 커넥터는,
상기 고정 플레이트에 고정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09564 | 2022-01-21 | ||
KR20220009564 | 2022-01-21 | ||
KR1020220044094A KR102535374B1 (ko) | 2022-01-21 | 2022-04-08 |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44094A Division KR102535374B1 (ko) | 2022-01-21 | 2022-04-08 |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113222A KR20230113222A (ko) | 2023-07-28 |
KR102648274B1 true KR102648274B1 (ko) | 2024-03-15 |
Family
ID=86536401
Famil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44094A KR102535374B1 (ko) | 2022-01-21 | 2022-04-08 |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KR1020230063922A KR102706907B1 (ko) | 2022-01-21 | 2023-05-17 |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KR1020230063924A KR102648273B1 (ko) | 2022-01-21 | 2023-05-17 |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KR1020230063923A KR102648274B1 (ko) | 2022-01-21 | 2023-05-17 |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KR1020240123070A KR20240137537A (ko) | 2022-01-21 | 2024-09-10 |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Family Applications Before (3)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44094A KR102535374B1 (ko) | 2022-01-21 | 2022-04-08 |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KR1020230063922A KR102706907B1 (ko) | 2022-01-21 | 2023-05-17 |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KR1020230063924A KR102648273B1 (ko) | 2022-01-21 | 2023-05-17 |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40123070A KR20240137537A (ko) | 2022-01-21 | 2024-09-10 |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5) | KR102535374B1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8542654A (ja) | 2005-05-31 | 2008-11-27 | イノヴェイティヴ・オフィス・プロダクツ,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 クレビスアセンブリを有する傾斜ミニアーム |
JP2010286771A (ja) | 2009-06-15 | 2010-12-24 | Fujitsu Ltd | 電気機器用スタンドおよびディスプレイ |
Family Cites Familie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08306B1 (ko) | 1999-09-13 | 2001-11-07 | 구자홍 | 평판형 모니터의 케이블 가이드 장치 |
KR100852663B1 (ko) * | 2002-01-11 | 2008-08-1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박형 영상표시기기 |
KR20070084650A (ko) * | 2006-02-21 | 2007-08-27 | 삼성전자주식회사 | 디스플레이장치용 스탠드 및 이를 갖는 디스플레이장치 |
CN104396232A (zh) * | 2012-07-05 | 2015-03-04 | Nec显示器解决方案株式会社 | 配备有高度调节支架的显示装置 |
KR20140080856A (ko) * | 2012-12-20 | 2014-07-01 | 원텍 주식회사 | 모니터 분리형 진단 및 치료 장치 |
KR20220006263A (ko) * | 2020-07-08 | 2022-01-1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디스플레이 지지 장치 |
-
2022
- 2022-04-08 KR KR1020220044094A patent/KR102535374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23
- 2023-05-17 KR KR1020230063922A patent/KR102706907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23-05-17 KR KR1020230063924A patent/KR102648273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23-05-17 KR KR1020230063923A patent/KR102648274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24
- 2024-09-10 KR KR1020240123070A patent/KR20240137537A/ko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8542654A (ja) | 2005-05-31 | 2008-11-27 | イノヴェイティヴ・オフィス・プロダクツ,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 クレビスアセンブリを有する傾斜ミニアーム |
JP2010286771A (ja) | 2009-06-15 | 2010-12-24 | Fujitsu Ltd | 電気機器用スタンドおよびディスプレイ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113222A (ko) | 2023-07-28 |
KR102648273B1 (ko) | 2024-03-15 |
KR20230113223A (ko) | 2023-07-28 |
KR102706907B1 (ko) | 2024-09-13 |
KR102535374B1 (ko) | 2023-05-26 |
KR20240137537A (ko) | 2024-09-20 |
KR20230113221A (ko) | 2023-07-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230144974A (ko) |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
KR102655307B1 (ko) |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
KR20240036536A (ko) |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
KR20240144868A (ko) |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
KR102648274B1 (ko) |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
KR102535375B1 (ko) |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
KR102500524B1 (ko) |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
KR102535718B1 (ko) |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
KR102663591B1 (ko) | 스피커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
US12130661B2 (en) | Display device | |
KR102718752B1 (ko) |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
KR20230014048A (ko) |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