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8017B1 - 밸브 개폐상태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밸브 개폐상태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8017B1
KR102648017B1 KR1020220025024A KR20220025024A KR102648017B1 KR 102648017 B1 KR102648017 B1 KR 102648017B1 KR 1020220025024 A KR1020220025024 A KR 1020220025024A KR 20220025024 A KR20220025024 A KR 20220025024A KR 102648017 B1 KR102648017 B1 KR 1026480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valve
open
closed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50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27569A (ko
Inventor
최정혁
이승구
Original Assignee
최정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정혁 filed Critical 최정혁
Priority to KR10202200250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8017B1/ko
Publication of KR202301275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75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80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80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7/00Special means in or on valves or other cut-off apparatu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operation thereof, or for enabling an alarm to be given
    • F16K37/0058Optical means, e.g. light transmission, observation po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60Handles
    • F16K31/602Pivoting levers, e.g. single-sid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5/00Means to prevent accidental or unauthorised actuation
    • F16K35/06Means to prevent accidental or unauthorised actuation using a removable actuating or locking member, e.g. a ke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7/00Special means in or on valves or other cut-off apparatu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operation thereof, or for enabling an alarm to be given
    • F16K37/0025Electrical or magnetic means
    • F16K37/0041Electrical or magnetic means for measuring valve parame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dication Of The Valve Opening Or Closing St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관 일측에 설치되며 내부에 유체흐름경로가 마련되는 밸브바디와, 상기 밸브바디 외부에 마련되는 조작레버와, 상기 밸브바디 내부에 마련되며 상기 조작레버의 회전조작에 의해 상기 유체흐름경로를 개폐하는 개폐부를 갖는 밸브에 설치되는 밸브 개폐상태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상기 조작레버의 위치를 감지하는 레버감지센서를 갖는 감지유닛과;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며, 상기 레버감지센서의 감지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밸브의 개폐여부를 판단하는 유닛제어부와, 상기 유닛제어부에 의해 상기 밸브의 개폐상태를 표시하는 상태표시부 및 전원부를 갖는 본체유닛과; 상기 하우징을 상기 배관 또는 밸브 중 어느 하나에 착탈가능하게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본체유닛 및 감지유닛을 원하는 위치에 자유롭게 설치 또는 제거가 가능하므로, 감지장치가 장착되어 있지 않은 밸브의 작동에 영향을 주지않으면서 간편하게 설치가 가능하며, 감지장치가 이미 있는 밸브의 경우에도 최소의 비용으로 추가 설치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착탈방식으로 고정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규격의 밸브에 설치가 가능하며, 감지유닛의 설치위치를 변경하거나 또는 장치 전체를 다른 밸브로 변경설치하는 등 설치 및 제거가 용이하여 작업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밸브 개폐상태 표시장치{Valve open-close indic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밸브 개폐상태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밸브의 작동에 영향을 주지않으면서 원하는 위치에 자유롭게 설치 또는 제거가 가능하며, 착탈방식으로 고정할 수 있어 다양한 규격의 밸브에 설치가 가능함은 물론, 감지유닛의 설치위치를 변경하거나 또는 장치 전체를 다른 밸브로 변경설치하는 등 설치 및 제거가 용이하며 설치환경에의 제한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밸브 개폐상태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체 또는 액체와 같은 유체는 배관(파이프) 등을 이용하여 설치된 관로를 통해 필요한 장소로 이송하게 되는데, 이러한 관로는 발전소나 산업설비 등에 대규모로 설치되며 필요에 따라서는 유체의 양을 조절하거나 유체의 흐름을 차단하기 위하여 밸브가 설치된다.
밸브는 관로를 흐르는 유체의 종류 및 관로의 크기 등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사용되며, 이러한 밸브의 상태는 특별히 표시하지 않거나 또는 열림과 닫힘과 같은 별도의 표지판을 밸브에 설치하여 밸브의 개폐를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관련하여 등록특허 10-0768900호 "밸브 개폐 표시장치"는 사용자 또는 작업자가 핸들을 회전시켜 밸브를 개폐조작하면 핸들의 승강에 따라 연동된 슬라이드부재가 함께 이동하면서 관경그림을 변화시켜 개폐여부 및 개폐량을 표시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은 밸브 개폐 표시장치가 밸브와 일체로 제작되므로 개폐상태표시가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도 표시장치가 추가되므로 제조비용 및 가격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고, 특히 개폐기능과 별도로 표시장치가 고장 및 파손되는 경우 밸브 전체를 교체해야 하는 문제가 있고, 교체시 밸브기능이 정지되어 시스템 전체에 영향을 주게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표시장치가 고장 및 파손된 상태로 사용하는 경우 작업자가 개폐상태를 정확히 파악할 수 없으므로 이로 인한 개폐조작을 제대로 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한편, 개폐표시장치가 마련되지 않은 밸브의 경우에는, 후발적으로 상태표시가 필요할 경우 부득이 밸브 전체를 변경해야 하므로 설치비용이 증가하고, 설치시간동안 밸브를 작동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등록특허 10-0768900호
이에, 본 발명의 목적은, 밸브의 작동에 영향을 주지않으면서 원하는 위치에 간편하게 설치 또는 제거가 가능하며, 감지장치의 유무에 상관없이 최소의 비용으로 설치 또는 추가설치가 가능한 밸브 개폐상태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착탈방식으로 고정할 수 있어 다양한 규격의 밸브에 설치가 가능하며, 설치/변경 및 제거가 용이하여 작업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밸브 개폐상태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원부가 본체유닛의 내부에 교체 가능하게 마련되므로 다수의 본체유닛을 설치하여 관리하고자 할 때 각각의 본체유닛에 전원공급을 위한 별도의 공급설비를 마련할 필요가 없어 설치가 용이하며 설치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고, 설치환경에의 제한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밸브 개폐상태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각 밸브의 개폐상태 오류인식으로 인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상기 개폐상태 오류를 자동으로 인식하여 알려주기 때문에 즉각적인 대응이 가능하여 사고예방 및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밸브 개폐상태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배관 일측에 설치되며 내부에 유체흐름경로가 마련되는 밸브바디와, 상기 밸브바디 외부에 마련되는 조작레버와, 상기 밸브바디 내부에 마련되며 상기 조작레버의 회전조작에 의해 상기 유체흐름경로를 개폐하는 개폐부를 갖는 밸브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조작레버의 위치를 감지하는 레버감지센서를 갖는 감지유닛과;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며, 상기 레버감지센서의 감지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밸브의 개폐여부를 판단하는 유닛제어부와, 상기 유닛제어부에 의해 상기 밸브의 개폐상태를 표시하는 상태표시부 및 전원부를 갖는 본체유닛과; 상기 하우징을 상기 배관 또는 밸브 중 어느 하나에 착탈가능하게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밸브 개폐상태 표시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레버감지센서는 상기 조작레버의 개방위치 또는 폐쇄위치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되고, 상기 레버감지센서는 상기 유닛제어부 및 상기 전원부와 유선 또는 무선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버감지센서는 근접센서, 광센서, 마그네틱센서, 마그네틱 스위치, 정전용량센서 등 다양한 종류로 마련될 수 있으며, 어느 하나의 밸브에 설치되는 센서의 갯수는 제한없이 마련될 수 있으며, 2종 이상의 센서가 함께 마련될 수도 있다.
상기 전원부는 상기 하우징에 교체 가능하게 마련되거나 또는 충전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전술한 실시예의 구성에 더하여, 상기 본체유닛은 외부와 송수신하기 위한 유닛송수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유닛송수신부와 유선 및/또는 무선으로 통신하는 중앙송수신부와, 상기 밸브의 개폐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중앙표시부와, 상기 중앙송수신부로 수신된 상기 밸브의 개폐상태에 관한 개폐신호에 기초하여 이를 상기 중앙표시부에 표시하는 중앙제어부를 갖는 중앙밸브상태표시유닛을 더 포함하여, 상기 중앙밸브상태표시유닛을 통해 원격으로 상기 밸브의 개폐상태를 확인하는 밸브 개폐상태 표시장치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이 경우, 상기 본체유닛은 복수의 상기 밸브에 대응하여 복수 개로 마련되고, 상기 개폐신호는 상기 본체유닛의 식별코드를 추가로 포함하여, 상기 중앙제어부는 상기 식별코드에 대응하여 상기 각 본체유닛에 대응하는 상기 각 밸브의 개폐상태를 구별하여 상기 중앙표시부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앙제어부는 상기 어느 하나의 상기 본체유닛으로부터 상기 개폐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이를 상기 레버감지센서 오작동 또는 상기 전원부의 방전으로 판단하여 상기 중앙표시부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각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하우징의 양측으로 연장되는 한쌍의 벨크로 밴드로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밸브 개폐상태 표시장치는 본체유닛 및 감지유닛을 원하는 위치에 자유롭게 설치 또는 제거가 가능하므로, 감지장치가 장착되어 있지 않은 밸브의 작동에 영향을 주지않으면서 간편하게 설치가 가능하며, 감지장치가 이미 있는 밸브의 경우에도 최소의 비용으로 추가 설치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밸브 개폐상태 표시장치는, 착탈방식으로 고정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규격의 밸브에 설치가 가능하며, 감지유닛의 설치위치를 변경하거나 또는 장치 전체를 다른 밸브로 변경설치하는 등 설치 및 제거가 용이하여 작업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밸브 개폐상태 표시장치는, 전원부가 본체유닛의 내부에 교체 가능하게 마련되므로 다수의 본체유닛을 설치하여 관리하고자 할 때 각각의 본체유닛에 전원공급을 위한 별도의 공급설비를 마련할 필요가 없어 설치가 용이하며 설치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고, 설치환경에의 제한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밸브 개폐상태 표시장치는 각 밸브의 개폐상태 오류인식으로 인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상기 개폐상태 오류를 자동으로 인식하여 알려주기 때문에 즉각적인 대응이 가능하여 사고예방 및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밸브 개폐상태 표시장치의 설치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밸브 개폐상태 표시장치의 구성블록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밸브 개폐상태 표시장치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본체유닛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밸브 개폐상태 표시장치의 구성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중앙표시부의 화면예이다.
본 발명의 장점과 특징 그리고 이를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후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명확하고 완전하게 이해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 본 발명은 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즉,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제외하려는 것이 아니므로, 이러한 제외에 대하여 예외적으로 명시하지 않는 한 이들을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표현이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되지 되지 않는 한,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해석되어야 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한편,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본적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그러나, 후술되는 각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것으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용어의 명확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우선적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밸브 개폐상태 표시장치(1)는, 레버감지센서(21)를 갖는 감지유닛(20)과, 하우징(31), 유닛제어부(33), 상태표시부(35) 및 전원부(37)를 갖는 본체유닛(30)과, 고정부(40)를 포함한다.
각 구성별로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밸브 개폐상태 표시장치(1)는 밸브(10)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밸브(10)는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바디(11)와, 조작레버(13) 및 개폐부(15)를 포함한다.
여기서, 유체흐름경로 및 이에 사용되는 밸브(10)는 다양한 종류가 제한없이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체는 가스와 같은 기체 또는 물이나 기름와 같은 액체 등 제한없이 마련될 수 있으며, 유체흐름경로 또한 유체의 종류에 따라 가스배관 또는 상수도배관 등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다. 유체흐름경로에 구비되는 밸브(10) 또한 유체의 종류 및 사용목적에 따라 릴리프 밸브 또는 버터플라이 밸브 등 다양한 종류로 제한없이 마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밸브바디(11)는 배관(17) 일측에 설치되며 내부에 유체흐름경로가 마련된다.
조작레버(13)는 밸브바디(11) 외부에 마련되어 작업자 등에 의해 회전조작이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예를 들어, 조작레버(13)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쇄 또는 개방(A 또는 B, 그 반대로 설정도 가능)위치 사이에서 회전조작된다. 물론, 조작레버(13)의 회전조작은 작업자에 의한 수동조작일 수 있고 원격에 의한 자동조작일 수도 있다.
한편, 후술할 레버감지센서(21)는 조작레버(13)가 특정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것이므로, 조작레버(13)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조작을 하는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으나, 핸들방식으로 마련되어 회전에 의해 상하로 이동되는 방식으로 마련되어 레버감지센서(21)에 감지거리 이내로 접근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등 다양한 종류로 변형이 가능하다.
개폐부(15)는 밸브바디(11) 내부에 마련되며, 조작레버(13)의 회전조작에 의해 상기 유체흐름경로를 개폐한다. 개폐부(15)는 다양한 방식으로 제한없이 마련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축(153) 외부에 작동캠(151)이 형성되어 조작레버(13)의 회전에 따라 상기 유체흐름경로를 폐쇄하는 방법으로 마련될 수 있다.
감지유닛(20)은, 조작레버(13)의 위치를 감지하는 레버감지센서(21)를 포함한다.
레버감지센서(21)는 조작레버(13)의 개방위치 또는 폐쇄위치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될 수도 있고, 각 위치에 마련될 수도 있다.
레버감지센서(21)는, 전술한 바와 같이, 조작레버(13)가 특정 위치에 위치하는 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한 공지된 다양한 종류로 제한없이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근접센서, 광센서, 마그네틱센서, 마그네틱 스위치, 정진용량센서 등 접촉식 또는 비접촉식이 제한없이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레버감지센서(21)의 수에는 제한이 없으므로 필요에 따라 다양한 수로 마련될 수 있으며, 2종 이상의 서로 다른 센서가 함께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레버감지센서(21)는 착탈가능한 형태로 마련되어 설치위치 변경이 가능하게 마련될 수도 있고, 접착 또는 기계적결합(스크루 등) 방식 등 다양한 방법으로 고정될 수 있다.
레버감지센서(21)는 유닛제어부(33) 및 전원부(37)와 유선 또는 무선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연결된다.
레버감지센서(21)는 작동에 필요한 전원을 본체유닛(30)으로 제공받으며, 감지결과를 유닛제어부(33)로 송신한다. 레버감지센서(21)와 유닛제어부(33) 및 전원부(37)와의 연결은 유선 또는 무선이 어느 하나 또는 함께 사용될 수 있으며, 또는 감지신호의 송신은 무선방식으로 전원공급은 유선방식이 사용될 수도 있다.
도 1에는 감지신호 및 전원공급을 위한 센서연결부(23)가 마련된 경우를 도시된다. 센서연결부(23)의 단부를 본체유닛(30)의 하우징(31)에 착탈가능하게 삽입 및 제거가 가능하도록 연결구(24)를 마련할 수 있는 데, 이 경우, 감지유닛(20)의 파손 또는 고장시 교체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본체유닛(30)은, 하우징(31)과, 유닛제어부(33)와, 상태표시부(35) 및 전원부(37)를 포함한다.
하우징(31)은 내장되는 부품의 형상, 갯수 및 크기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하우징(31)의 배면은 설치위치에 따라 다양한 형상(곡면 등)으로 마련될 수 있다.
유닛제어부(33)는 레버감지센서(21)의 감지결과에 기초하여 밸브(10)의 개폐여부를 판단하며, 이를 상태표시부(35)를 통해 표시한다.
유닛제어부(33)는 이외에도 전원부(37)의 전원을 레버감지센서(21)에 제공하도록 하며, 전원부(37)의 전원이 방전되거나 또는 일정 수치이하가 되는 경우 후술할 유닛송수신부(39)를 통하여 중앙밸브상태표시유닛(50)으로 이를 송신할 수 있다.
상태표시부(35)는 유닛제어부(33)에 의해 밸브(10)의 개폐상태를 표시한다.
상태표시부(35)는 외부에서 밸브(10)의 개방 또는 폐쇄를 확인할 수 있는 한 다양한 종류로 마련될 수 있는 바,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등방식(351 또는 352에 선택적 점등되거나, 또는 하나의 엘이디에 파란색(개방) 또는 빨간색(폐쇄) 등으로 표시)으로 마련될 수도 있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지털 문자형식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물론, 상기 방식이외에도 기계식 표시방법 등 다양한 종류가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전원부(37)는, 레버감지센서(21), 유닛제어부(33) 및 상태표시부(35)에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부(37)는 하우징(31)에 교체 가능하게 마련될 수도 있고, 또는 내장된 상태로 충전가능하게 마련될 수도 있다. 전자의 경우, 다수의 본체유닛(30)을 설치하여 관리하고자 할 때, 각각의 본체유닛(30)에 전원공급을 위한 별도의 공급설비를 마련할 필요가 없으며, 본체유닛(30)의 설치위치에 제한을 받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유닛송수신부(39)는 후술할 중앙밸브상태표시유닛(50)의 중앙송수신부(51)와 유선 또는 무선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의 방식으로 통신이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유닛송수신부(39)는 본체유닛(30)이 다수 개가 마련되어 후술할 중앙밸브상태표시유닛(50)에서 통합하여 관리하는 경우에는 필수적으로 마련되어야 하나, 그 이외에 경우에는 선택적으로 마련될 수 있다.
고정부(40)는 하우징(31)을 배관(17) 또는 밸브(10) 중 어느 하나에 착탈가능하게 고정한다.
고정부(40)는 하우징(31)을 착탈가능하게 고정할 수 있는 한, 다양한 종류로 제한없이 마련될 수 있다. 고정부(40)는 예를 들어, 하우징(31)의 양측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벨크로 밴드로 마련될 수도 있고, 도 3에 도시된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다. 또는, 접착방식 또는 기계적방식 등 다양한 방법이 제한없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밸브 개폐상태 표시장치는 본체유닛 및 감지유닛을 원하는 위치에 자유롭게 설치 또는 제거가 가능하므로, 감지장치가 장착되어 있지 않은 밸브의 작동에 영향을 주지않으면서 간편하게 설치가 가능하며, 감지장치가 이미 있는 밸브의 경우에도 추가적으로 설치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밸브 개폐상태 표시장치(1)는, 중앙밸브상태표시유닛(50)을 더 포함하여, 원격으로 1개 또는 다수의 본체유닛(30)으로부터 밸브 개폐상태를 전송받아 표시할 수 있다.
중앙밸브상태표시유닛(50)은, 중앙송수신부(51)와, 중앙표시부(53)와, 중앙제어부(55)를 포함한다.
중앙송수신부(51)는 유닛송수신부(39)와 무선 및/또는 유선의 방법으로 통신이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상기 통신방법은 작업환경 및 효율에 따라 어느 하나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으며, 상황에 따라서는 2개 모두를 함께 사용할 수도 있다.
중앙표시부(53)는 밸브(10)의 개폐상태가 표시된다.
중앙표시부(53)는 다양한 종류로 마련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상태를 표시할 수 있는 액정디스플레이를 갖는 전용 단말기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고, 또는 작업장의 고정위치에 기계적 형태(램프 등)로 마련될 수 있다. 전자의 경우, 상기 전용 단말기는 작업장에 설치된 디스플레이장치일 수도 있으나, 작업자가 소유한 태블릿PC, 노트북, 컴퓨터 또는 스마트폰 등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다양한 장치로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어플리케이션(또는 앱)의 형태로 프로그램을 다운받아 설치하고, 와이파이/블루투스 같은 무선통신망을 이용하여 상기 개폐신호를 수신받아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작업자는 전술한 모바일 단말기를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어느 하나 또는 다수의 본체유닛의 개폐상태를 원격으로 확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중앙제어부(55)는, 중앙송수신부(51)로 수신된 해당 밸브(10)의 개폐상태에 관한 개폐신호에 기초하여 이를 중앙표시부(53)에 표시한다.
상기 개폐신호는 기본적으로 해당 밸브의 개방 또는 폐쇄여부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나, 본체유닛(30)의 식별코드, 전원부(37)의 방전여부, 레버감지센서(21)의 작동여부 등 다양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체유닛(30)은 복수의 밸브(10)에 대응하여 복수 개로 설치될 수 있는 바, 이 경우, 상기 개폐신호는 본체유닛(30)의 식별코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고, 중앙제어부(55)는 상기 식별코드에 따라 해당 본체유닛(30)의 개폐여부를 작업자가 구분하여 확인할 수 있도록 중앙표시부(53)에 표시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중앙표시부(53)의 표시상태를 표현한 것이다. 중앙제어부(55)는 유닛송부신부(39)로 수신된 상기 개폐신호에 따라 해당 식별코드에 대응하는 밸브위치에 개폐상태를 표시한다. 이 때, 표시방법은 전술한 바와 같이, 문자 또는 색깔 등에 따라 다양하게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중앙제어부(55)는, 어느 하나의 본체유닛(30)으로부터 상기 개폐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이를 레버감지센서(21)의 오작동 또는 전원부(37)의 방전으로 판단하여 중앙표시부(53)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앙제어부(55)는 도 6의 'Valve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해당 밸브(10)에 설치된 본체유닛(30)으로부터 상기 개폐신호를 수신하지 못하거나 또는 방전신호 등을 수신하는 경우, 해당 본체유닛(30)과 연결된 감지유닛(20)에서 개폐감지가 이루어지 않는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이에, 작업자는 해당 본체유닛(30)의 전원부(37)를 교체하거나 또는 레버감지센서(21)를 교체하는 등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외에도, 중앙제어부(55)는 각 밸브(10)의 개폐상태를 단순 표시하는 것에 추가하여, 각 밸브(10)의 개폐상태가 설정된 개폐상태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예를 들어, 설정된 개폐상태값(개방 또는 폐쇄)과 본체유닛(30)으로 부터 수신된 상기 개폐신호값의 일치여부를 확인하여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를 시각적(깜박임) 또는 청각적(알람) 수단 등에 의해 작업자에 알릴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밸브 개폐상태 표시장치는 각 밸브의 개폐상태 오류인식으로 인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상기 개폐상태 오류를 자동으로 인식하여 알려주기 때문에 즉각적인 대응이 가능하여 사고예방 및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사상과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 : 밸브 개폐상태 표시장치
10 : 밸브 11 : 밸브바디
13 : 조작레버 15 : 개폐부
17 : 배관
20 : 감지유닛 21 : 레버감지센서
23 : 센서연결부 24 : 연결구
30 : 본체유닛 31 : 하우징
33 : 유닛제어부 35 : 상태표시부
37 : 전원부 39 : 유닛송수신부
40 : 고정부
50 : 중앙밸브상태표시유닛
51 : 중앙송수신부 53 : 중앙표시부
55 : 중앙제어부

Claims (8)

  1. 배관 일측에 설치되며 내부에 유체흐름경로가 마련되는 밸브바디와, 상기 밸브바디 외부에 마련되는 조작레버와, 상기 밸브바디 내부에 마련되며 상기 조작레버의 회전조작에 의해 상기 유체흐름경로를 개폐하는 개폐부를 갖는 밸브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조작레버의 위치를 감지하는 레버감지센서를 갖는 감지유닛과;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며, 상기 레버감지센서의 감지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밸브의 개폐여부를 판단하는 유닛제어부와, 상기 유닛제어부에 의해 상기 밸브의 개폐상태를 표시하는 상태표시부와, 외부와 송수신하기 위한 유닛송수신부와, 전원부를 갖는 본체유닛과;
    상기 유닛송수신부와 유선 및/또는 무선으로 통신하는 중앙송수신부와, 상기 밸브의 개폐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중앙표시부와, 상기 중앙송수신부로 수신된 상기 밸브의 개폐상태에 관한 개폐신호에 기초하여 이를 상기 중앙표시부에 표시하는 중앙제어부를 포함하여 원격으로 상기 밸브의 개폐상태를 확인가능하게 마련되는 갖는 중앙밸브상태표시유닛과;
    상기 하우징을 상기 배관 또는 밸브 중 어느 하나에 착탈가능하게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되,
    상기 본체유닛은 복수의 상기 밸브에 대응하여 복수 개로 마련되고, 상기 개폐신호는 각 상기 본체유닛의 식별코드를 추가로 포함하여, 상기 중앙제어부는 상기 식별코드에 대응하여 각 상기 본체유닛에 대응하는 각 상기 밸브의 개폐상태를 구별하여 상기 중앙표시부에 표시하고,
    상기 중앙제어부는 어느 하나의 상기 본체유닛으로부터 상기 개폐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이를 상기 레버감지센서 오작동 또는 상기 전원부의 방전으로 판단하여 상기 중앙표시부에 표시하고,
    상기 중앙제어부는 각 상기 본체유닛으로부터 수신된 상기 개폐신호에 기초하여 각 상기 밸브의 개폐상태가 기 설정된 개폐상태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알람 수단에 의해 외부로 알리는, 밸브 개폐상태 표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감지센서는 상기 조작레버의 개방위치 또는 폐쇄위치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되고, 상기 레버감지센서는 상기 유닛제어부 및 상기 전원부와 유선 또는 무선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연결되는 밸브 개폐상태 표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는 상기 하우징에 교체 가능하게 마련되거나 또는 충전가능하게 마련되는 밸브 개폐상태 표시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감지센서는 근접센서, 광센서, 마그네틱센서, 마그네틱 스위치, 정전용량센서 중 어느 하나로 마련되는 밸브 개폐상태 표시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하우징의 양측으로 연장되는 한쌍의 벨크로 밴드로 마련되는 밸브 개폐상태 표시장치.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220025024A 2022-02-25 2022-02-25 밸브 개폐상태 표시장치 KR1026480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5024A KR102648017B1 (ko) 2022-02-25 2022-02-25 밸브 개폐상태 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5024A KR102648017B1 (ko) 2022-02-25 2022-02-25 밸브 개폐상태 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7569A KR20230127569A (ko) 2023-09-01
KR102648017B1 true KR102648017B1 (ko) 2024-03-14

Family

ID=879750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5024A KR102648017B1 (ko) 2022-02-25 2022-02-25 밸브 개폐상태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801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8500B1 (ko) * 2010-12-22 2011-06-03 주식회사 동아밸브 버터플라이 밸브의 개폐상태 무선 확인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89158A (ja) * 1995-09-22 1997-03-31 Itachibori Seisakusho:Kk 連結送水管設備
KR19990012394U (ko) * 1997-09-09 1999-04-06 이석재 소방설비용 개폐밸브의 개폐감지장치
KR100768900B1 (ko) 2006-07-03 2007-10-24 주식회사 신명 밸브 개폐 표시장치
KR20110009394A (ko) * 2009-07-22 2011-01-28 김동현 가스 차단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8500B1 (ko) * 2010-12-22 2011-06-03 주식회사 동아밸브 버터플라이 밸브의 개폐상태 무선 확인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7569A (ko) 2023-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743898C (en) Remotely readable valve position indicators
ES2729419T3 (es) Sistema para detectar un kit de reemplazo de válvula y su método de uso
US20060124171A1 (en) Secure wireless leak detection system
US20190301648A1 (en) Electronic quick connect and quick disconnect system
US9117348B2 (en) Wireless gas condition monitoring device
KR102648017B1 (ko) 밸브 개폐상태 표시장치
WO2015154135A1 (en) A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water flow
CA2882764A1 (en) Remotely readable valve position indicators
US20200041034A1 (en) Smart valve maintenance alert device
JP6059668B2 (ja) バルブ開閉装置
KR101136932B1 (ko) 버터플라이 밸브의 개폐율 무선 확인장치
KR101870961B1 (ko)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을 이용한 산업시설물 및 플랜트 내 소방용 밸브 관리 시스템, 그리고 이를 위한 소방용 밸브 부착 디바이스
CN101883969B (zh) 具有盖子携带的官方信息和屏幕的自动定向的流体计量器
EP3516340B1 (en) Illuminated dial with integrated status indication
KR101344811B1 (ko) 제수밸브 및 이를 이용한 제수밸브 관리 시스템
KR100658099B1 (ko) 소방용 발광 템퍼밸브
KR101912392B1 (ko) 모니터링용 밸브장치
EP3940343A1 (en) A detector for reading a gauge
EP3940344A1 (en) A detector for reading a gauge
KR20160045333A (ko) 가스 점검장치
KR20130115638A (ko) 밸브의 개폐상태 표시장치
JP3200092U (ja) バルブ開閉装置
NO347284B1 (en) Automatic testing, inspection, surveillance, and maintainance system of water-based systems
CN105784045A (zh) 一种可预警的水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