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2392B1 - 모니터링용 밸브장치 - Google Patents

모니터링용 밸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2392B1
KR101912392B1 KR1020170016626A KR20170016626A KR101912392B1 KR 101912392 B1 KR101912392 B1 KR 101912392B1 KR 1020170016626 A KR1020170016626 A KR 1020170016626A KR 20170016626 A KR20170016626 A KR 20170016626A KR 101912392 B1 KR101912392 B1 KR 1019123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closing
handle
display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66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91434A (ko
Inventor
김영호
Original Assignee
태광후지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태광후지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태광후지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166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2392B1/ko
Publication of KR201800914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14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23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23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7/00Special means in or on valves or other cut-off apparatu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operation thereof, or for enabling an alarm to be given
    • F16K37/0025Electrical or magnetic means
    • F16K37/0041Electrical or magnetic means for measuring valve parame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60Hand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7/00Special means in or on valves or other cut-off apparatu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operation thereof, or for enabling an alarm to be given
    • F16K37/0058Optical means, e.g. light transmission, observation po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7/00Special means in or on valves or other cut-off apparatu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operation thereof, or for enabling an alarm to be given
    • F16K37/0075For recording or indicating the functioning of a valve in combination with test equipment
    • F16K37/0083For recording or indicating the functioning of a valve in combination with test equipment by measuring valve parame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04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 G01M3/16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using electric detection means
    • G01M3/18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using electric detection means for pipes, cables or tubes; for pipe joints or seals; for valves; for welds; for containers, e.g. radiators
    • G01M3/184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using electric detection means for pipes, cables or tubes; for pipe joints or seals; for valves; for welds; for containers, e.g. radiators for 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dication Of The Valve Opening Or Closing Status (AREA)

Abstract

회전식 개폐부재의 개폐상태에 대응하는 감지신호를 전송하면서도 구성이 간편화되어 생산성과 조립성이 개선되도록, 본 발명은 내부에 유체가 이송되는 개폐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개폐유로의 유체 흐름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회전식 개폐부재와 연결된 핸들결합부가 상측으로 연장되어 구비된 밸브본체부; 회전조작에 따라 상기 회전식 개폐부재와 일체로 회전되도록 상기 핸들결합부와 연결되되, 상부에 상기 회전식 개폐부재의 개폐상태를 감지하는 개폐센서와, 누설여부를 감지하는 누설센서를 포함하는 센싱부와, 상기 센싱부로부터 감지신호를 입력받아 송수신장치로 전송하는 신호통신부가 구비된 핸들부; 및 상기 핸들부의 하면 외측부에 대향 배치되도록 상기 밸브본체부의 상부에 결합되되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표시날개부가 구비된 개폐안내부를 포함하는 모니터링용 밸브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모니터링용 밸브장치{valve apparatus for monitoring}
본 발명은 모니터링용 밸브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회전식 개폐부재의 개폐상태에 대응하는 감지신호를 전송하면서도 구성이 간편화되어 생산성과 조립성이 개선된 모니터링용 밸브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산업분야의 공정라인에는 산소, 질소, 아르곤, 탄산 등의 생산에 필요한 유체를 이송하기 위한 배관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배관에는 유체를 선택적으로 차단하거나 유량을 조절하도록 소정 위치에 밸브가 설치된다.
여기서, 다수의 배관에 설치된 밸브의 개폐 상태를 작업자가 개별적으로 확인함에 따라 많은 작업 시간이 소요되어 상기 공정라인의 효율적인 관리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종래에는 상기 공정라인의 밸브를 통합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의 구축을 위해 센서 및 액츄에이터를 설치하였다. 이때, 상기 센서는 상기 공정라인의 배관 내지 밸브에 설치되어 이송되는 유체의 유량에 대응하는 감지신호를 전송하며, 상기 엑츄에이터는 각 배관에 설치된 밸브와 연결되어 개폐상태를 제어한다.
이를 통해, 작업자는 현장에서 나가지 않고도 상기 감지신호를 별도의 모니터장치를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 각 배관에 설치된 각 밸브의 개폐상태를 모니터링하거나 밸브를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다.
그러나, 각 공정라인에는 상기 센서 및 액츄에이터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력케이블이 추가적으로 설치됨에 따라 설치비용과 작업시간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상기 각 배관에 설치된 밸브는 고가의 솔레노이드 밸브와 같이 상기 액츄에이터와 연동되는 밸브로 교체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센서 및 액츄에이터는 설치된 각 공정라인의 환경에 따라 고장 내지 오작동이 빈번하게 발생하여 부품교체를 위한 작업시간 및 유지비용이 발생하여 경제성 및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공개특허 제10-1997-0075610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회전식 개폐부재의 개폐상태에 대응하는 감지신호를 전송하면서도 구성이 간편화되어 생산성과 조립성이 개선된 모니터링용 밸브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부에 유체가 이송되는 개폐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개폐유로의 유체 흐름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회전식 개폐부재와 연결된 핸들결합부가 상측으로 연장되어 구비된 밸브본체부; 회전조작에 따라 상기 회전식 개폐부재와 일체로 회전되도록 상기 핸들결합부와 연결되되, 상부에 상기 회전식 개폐부재의 개폐상태를 감지하는 개폐센서와, 누설여부를 감지하는 누설센서를 포함하는 센싱부와, 상기 센싱부로부터 감지신호를 입력받아 송수신장치로 전송하는 신호통신부가 구비된 핸들부; 및 상기 핸들부의 하면 외측부에 대향 배치되도록 상기 밸브본체부의 상부에 결합되되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표시날개부가 구비된 개폐안내부를 포함하되, 상기 개폐센서는 상기 핸들부의 개폐를 위한 원주방향 열림 및 닫힘 회전 단부에 배치된 한 쌍의 홀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원주방향 열림 및 닫힘 회전 단부에서 상기 각 홀센서와 대향 정렬되도록 상기 개폐안내부의 설정된 위치에 배치되는 자성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링용 밸브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표시날개부의 상면부에는 상기 자성체의 양측으로 상기 핸들부의 열림 또는 닫힘을 안내하는 표시부가 구비되며, 상기 핸들부의 일측은 상기 개폐안내부와 인접하게 배치되도록 단차지게 형성되며, 상기 단차지게 형성된 부분의 평면부를 관통하여 표시개구부는 형성되되, 상기 핸들부의 열림 및 닫힘 회전 단부에서 상기 표시부 중 어느 하나가 상기 표시개구부를 통해 노출되도록, 상기 표시부 및 상기 표시개구부의 위치가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삭제
그리고, 상기 센싱부는 상기 핸들부의 상부에 형성된 장착홈부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장착홈의 하면부에는 상기 핸들결합부와 연통된 연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누설센서는 상기 밸브본체부로부터 누설되는 유체를 감지하도록 상기 연통홀과 대향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신호통신부는 기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기입력된 위치정보와 입력받은 상기 감지신호를 포함하는 상태신호를 상기 송수신장치로 전송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상기 각 홀센서는 상기 자성체가 핸들부의 개폐를 위한 원주방향 열림 및 닫힘 회전 단부에서 상기 각 홀센서와 대향 정렬되는 위치에 배치됨에 따라 핸들부의 열림 또는 닫힘 회전이 완료된 상태에서만 개폐상태에 대응하는 정확한 개폐감지신호를 출력하므로 제품의 신뢰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둘째, 상기 자성체의 양측으로 표시된 표시부는 상기 핸들부의 개폐상태에 대응하여 상기 표시개구부를 통해 열림 또는 닫힘을 안내하도록 노출됨에 따라 작업자는 표시부를 육안으로 확인하여 개폐상태를 즉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으므로 제품의 안전성이 더욱 개선될 수 있다.
셋째, 상기 핸들부의 하부에 개폐센서와 연동되는 자성체가 배치된 개폐안내부가 삽입식으로 결합되므로 기존의 밸브장치에 상기 개폐안내부 및 핸들부를 결합함으로써 장치의 호환성이 개선될 수 있다.
넷째, 상기 핸들부의 상부에 형성된 장착홈부에는 개폐센서, 누설센서, 신호통신부가 하나의 장착기판에 구비된 모니터링 모듈이 일체화되어 장착되고, 상기 누설센서는 유체의 누설을 감지하기 위한 구조가 간소화되도록 상기 장착홈부와 연통되는 연통홀과 대향 배치되어 누설감지신호를 출력함에 따라 부피가 최소화되는 컴팩트한 제품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용 밸브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용 밸브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용 밸브장치의 핸들부를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용 밸브장치의 개폐안내부를 나타낸 저면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용 밸브장치의 개폐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용 밸브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용 밸브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용 밸브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용 밸브장치(100)는 밸브몸체부(10), 핸들부(30) 그리고 개폐안내부(20)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모니터링용 밸브장치(100)는 기계, 전기, 전자 분야 등의 다양한 산업분야의 공정라인에 사용되는 유체를 이송하는 다수의 배관설비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모니터링용 밸브장치(100)는 배관을 통해 이송되는 유체의 흐름을 선택적으로 차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각 배관의 개폐상태를 모니터링하도록 기입력된 위치정보와 입력받은 감지신호를 포함하는 상태신호를 송수신장치(미도시)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송수신장치(미도시)라 함은 복수개의 모니터링용 밸브장치(100)로부터 상태신호를 수신받아 각 모니터링용 밸브장치(100)의 개폐상태, 누설상태 등 장치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단말기 등의 장치를 포괄하는 개념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모니터링용 밸브장치(100)는 유체의 흐름을 선택적으로 차단하기 위해 핸들부가 원주방향을 따라 회전되는 볼 밸브, 다이어프램 밸브 등에 적용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다이어프램 밸브 구조를 예로써 도시 및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밸브몸체부(10)의 양단에는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단(11)과 유체가 토출되는 토출단(12)이 구비되되, 상기 배관 상에 각각 연결되어 내부에 유체가 유동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밸브몸체부(10)의 내부에는 상기 유입단(11) 및 토출단(12)이 상호 연통되도록 개폐유로(13)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유입단(11) 및 토출단(12) 내부의 관로(1,2)는 상기 개폐유로(13)측을 향해 굴곡지게 형성되어 상호 연통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유입단(11)을 통해 내부에 유입되는 유체는 상기 개폐유로(13)를 경유하여 상기 토출단(12)으로 토출된다.
또한, 상기 밸브몸체부(10)는 내부에 유동되는 유체에 의한 부식이 방지되도록 내식성을 가지면서도 외부 충격에도 내구성을 갖도록 금속재질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개폐유로(13)의 내부에는 다이어프램(14)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개폐유로(13)는 상기 밸브몸체부(10)의 상측으로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다이어프램(14)은 상기 개구부를 밀폐하는 단면적으로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개폐유로(13)와 연통된 상기 관로(1)는 상기 다이어프램(14)에 의해 밀폐되거나 개방됨에 따라 상기 개폐유로(13)가 선택적으로 개폐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이어프램(14)은 내부식성 및 높은 탄성률을 가지며 금속의 피로에 대하여 저항하도록 엘질로이(Elgiloy)와 같은 코발트 합금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경우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니켈 합금 등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므로 재질상 한정되지 아니하지만, 내부식성과 높은 탄성률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개폐유로(13)의 내부에는 상기 다이어프램(14)의 파손 내지 손상을 최소화하면서도 실링성을 보강하도록 실링부(15)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실링부(15)는 시트부재(15a) 및 가압부재(15b)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세히, 상기 시트부재(15a)는 상기 다이어프램(14)의 하부에 상기 관로(1)와 개폐유로(13)가 연통된 부분의 테두리를 따라 구비되되 상측으로 갈수록 상단부가 협소화되도록 돌출된다. 이때, 상기 시트부재(15a)는 상기 다이어프램(14)이 안정적으로 접촉되도록 돌출된 단부의 모서리부가 라운드지거나 평탄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트부재(15a)는 폴리클로로트리플로로에틸렌(Poly Chloro Tri Fluoro Ethylene, 이하 PCTFE) 등의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경우에 따라 PTFE와 같은 다른 종류의 불소수지 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으므로 재질상 한정되지 아니하지만, 기밀 유지에 용이하도록 연성, 강도 등의 기계적 성질이 우수한 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다이어프램(14)의 상부에는 가압부재(15b)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가압부재(15b)의 일단부는 상기 관로(1)와 개폐유로(13)가 연통된 부분을 밀폐할 수 있는 단면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다이어프램(14)은 후술하는 회전식 개폐부재(18)의 가압력에 대응하여 상기 가압부재(15b)에 의해 가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압부재(15b)의 상부에 개구된 개구부에는 내부에 스템삽입홀(16c)이 형성된 본체커버부(16)의 일단부가 삽입된다. 이때, 상기 본체커버부(16)는 상기 개구부에 삽입된 부분을 커버하도록 구비된 보넷너트부(17)가 너트 결합됨에 따라 상기 개구부에 삽입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다이어프램(14) 및 실링부(15)는 상기 본체커버부(16)를 분리하기만 해도 용이하게 교체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너트 결합되는 단순한 구조로 구비되므로 조립이 용이하여 사용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본체커버부(16)는 상기 밸브본체부(10)에 일체로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스템삽입홀(16c)에는 상기 회전식 개폐부재(18)가 삽입된다. 여기서, 상기 회전식 개폐부재(18)의 일단부는 상기 가압부재(15b)에 전체적으로 가압력이 제공되도록 테두리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단차지게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식 개폐부재(18)의 일단부는 상기 가압부재(15b)의 타단부와 접촉시 상기 가압부재(15b)의 파손이 방지되도록 하측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회전식 개폐부재(18)의 외주면에는 기설정된 피치 간격으로 나사산(18c)이 형성되며 상기 스템삽입홀(16c)의 내주면에는 상기 나사산(18c)에 대응되는 프로파일의 나사홈부가 형성되어 상호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회전식 개폐부재(18)는 원주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되며, 하측으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가압부재(15b)에 가압력이 제공되어 상기 관로(1)가 상기 다이어프램(14)에 의해 밀폐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식 개폐부재(18)가 상측으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가압부재(15b)에 제공되는 가압력이 감소하여 유체가 상기 개폐유로(14) 내부에 유입되어 상기 토출단(12)측 관로(2)를 통해 토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식 개폐부재(18)의 일측에는 상기 회전식 개폐부재(18)와 스템삽입홀(16c) 사이를 밀폐하는 패킹부재(18d)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패킹부재(18d)는 상기 회전식 개폐부재(18)의 외주를 커버하도록 구비되되 상기 스템삽입홀(16c)의 내주측으로 탄발지지되도록 탄성력이 있는 고무, 실리콘 등의 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경우에 따라 PTFE와 같은 다른 종류의 불소수지 등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다이어프램(14)의 마모 내지 파손으로 인해 상기 회전식 개폐부재(18)와 상기 스템삽입홀(16c) 사이로 유체의 누설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식 개폐부재(18)가 상측으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패킹부재(18d)의 상단부가 상기 나사홈부에 걸림되고 상기 회전식 개폐부재(18)의 단차진 일단부가 상기 패킹부재(18d)의 하단부에 걸림되어 상기 회전식 개폐부재(18)가 상측으로의 이동이 구속됨에 따라 상기 핸들부(18)의 열림 방향 회전이 완료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식 개폐부재(18)의 타단부에는 상측으로 연장된 핸들결합부(18a)가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핸들결합부(18a)는 상기 회전식 개폐부재(18)의 회전에 대응하여 연동 회전되도록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용 밸브장치의 핸들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한편,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밸브본체부(10)의 상부에는 상기 핸들결합부(18a)와 연결되는 상기 핸들부(30)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핸들부의 하면부에는 상기 핸들결합부(18a)과 대향하여 하측으로 연장된 조립연장부(31)가 형성되며, 상기 조립연장부(31)에는 상기 핸들결합부(18a)가 세레이션 결합되는 연통홀(36)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조립연장부(31)는 세레이션 결합시 상기 핸들결합부(18a)를 커버하는 길이로 연장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통홀(36)의 내주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결합돌기(36a)가 돌설되어 실질적으로 톱니 형상의 단면 프로파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핸들결합부(18a)는 단면 프로파일이 삼각형인 삼각 기둥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핸들결합부(18a)는 각 모서리부가 이웃하는 결합돌기(36a) 사이에 걸림되도록 삽입되어 원주방향으로 회전이 구속되도록 상기 연통홀(36)에 세레이션 결합된다.
이를 통해, 상기 핸들부(30)는 원주방향으로의 회전조작에 대응하여 상기 회전식 개폐부재(18)와 일체로 회전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개폐부재(18)의 외주면과 상기 연통홀(36)의 내주면의 상호 대향위치에 끼움홈 및 끼움돌기가 형성되어 상호 끼움 결합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핸들부(30)는 상기 핸들결합부(18a)가 상하 방향으로 이탈이 방지되도록 가압스크류(19)가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립연장부(31)의 외주면에는 상기 가압스크류(19)의 외주 프로파일에 대응하여 내측으로 가압홀(31a)이 형성되어 상기 가압스크류(19)가 삽입 체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핸들부(30)의 외주면에는 조립시 상기 가압스크류(19)가 삽입되는 스크류삽입홀(33)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핸들결합부(18a)의 일측에는 상기 가압홀(31a)의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가압스크류(19)의 단부에 가압 접촉되는 가압접촉부(18b)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압접촉부(18b)는 상기 핸들결합부(18a)로부터 내측으로 단차지게 구비되되 상기 결합돌기(36a)에 걸림되지 않도록 단면 프로파일이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압스크류(19)는 상기 가압홀(31a)에 나사 체결되어 단부가 상기 가압접촉부(18b)의 외면에 가압 접촉될 수 있으며 상기 핸들결합부(18a)가 상기 가압스크류(19)에 걸림되어 상하 방향으로 요동이 방지되고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용 밸브장치의 개폐안내부를 나타낸 저면도이다.
한편,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핸들부(30)와 상기 밸브본체부(10) 사이에는 개폐안내부(20)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개폐안내부(20)는 상기 핸들부(30)의 하면 외측부에 대향 배치된다. 이때, 상기 핸들부(30)에는 조립시 상기 개폐안내부(20)의 외측을 커버하도록 상기 개폐안내부(20)가 삽입되는 삽입홈부(32)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핸들부(30)의 하면부 테두리로부터 하측으로 단부가 연장될 수 있으며, 연장된 단부의 내측으로 형성된 상기 삽입홈부(32)에 상기 개폐안내부(20)가 삽입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개폐안내부(20)는 상기 삽입홈부(32)에 삽입됨에 따라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외력에 의한 손상 내지 파손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폐안내부(20)의 외주면에는 조립시 상기 가압스크류(19)가 삽입되는 스크류삽입홀(26)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개폐안내부(20)에는 상기 조립연장부(31)가 삽입되는 조립홈부(22)가 함몰 형성되며, 상기 조립홈부(22)의 바닥면에는 상기 회전식 개폐부재(18)가 삽입되도록 관통홀(22a)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개폐안내부(20)는 상기 관통홀(22a)에 상기 회전식 개폐부재(18)가 삽입된 상태로 고정되도록 연장결합부(21)가 구비된다. 상세히, 상기 연장결합부(21)는 상기 개폐안내부(20)의 하단부 테두리로부터 하측으로 연장 형성된다. 이때, 상기 연장결합부(21)의 연장된 단부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간격으로 슬롯홈(21b)이 형성되며, 상기 연장결합부(21)의 하단부에는 반경방향 내측으로 걸림돌기(21a)가 돌설된다.
여기서, 상기 회전식 개폐부재(18)는 상기 관통홀(22a)에 관통 삽입되어 상단부가 상기 조립홈부(22) 내측에 배치되며, 상기 연장결합부(21)는 탄성변형에 의해 상기 본체커버부(16)의 외주를 커버하도록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림돌기(21a)는 상기 연장결합부(21)의 탄발복원에 의해 상기 본체커버부(16)의 외주에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된 고정홈부(16b)에 걸림되어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정렬홀(22b)에는 상기 정렬돌기(16a)가 삽입되어 상기 안내개폐부(20)는 일방향 회전이 방지될 뿐만 아니라 기설정된 위치에 정렬되어 장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개폐안내부(20)는 상기 본체커버부(16)에 삽입식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조립시 적은 힘으로도 장착 및 분리가 가능하면서도 손쉽게 위치가 정렬되므로 조립편의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더욱이, 기존의 밸브장치에 상기 개폐안내부(20) 및 상기 핸들부(30)를 결합함으로써 모니터링용 밸브장치(100)로 호환 적용되므로 호환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개폐안내부(20)는 소정의 탄성 및 강도를 가지면서도 가공성이 우수한 폴리아미드(polyamide) 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경우에 따라 금속, 합성수지 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핸들부(30)의 상면부에는 하측으로 함몰되되, 상기 연통홀(36)과 연통되는 장착홈부(34)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장착홈부(34)에는 상태신호를 상기 송수신장치(미도시)로 전송하는 모니터링 모듈(40)이 일체화되어 장착된다.
여기서, 상기 모니터링 모듈(40)은 센싱부(42) 그리고 신호통신부(43)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모니터링 모듈(40)은 상기 센싱부(42) 및 상기 신호통신부(43)가 장착되는 장착기판(41)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센싱부(42)는 개폐센서와 누설센서(42c)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또한, 상기 개폐센서는 한쌍의 홀센서(42a,42b)와 자성체(24)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세히, 상기 각 홀센서(42a,42b)는 상기 장착기판(41)의 하면부에 장착되되, 각 홀센서(42a,42b)는 상기 핸들부의 개폐를 위한 원주방향 열림 및 닫힘 회전 단부에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원주방향 열림 회전 단부라 함은 상기 핸들부(30)의 열림 방향 회전이 완료된 상태의 단부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며, 상기 원주방향 닫힘 회전 단부라 함은 상기 핸들부(30)의 열림 방향 회전이 완료된 상태의 단부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원주방향 열림 회전 단부에는 제2홀센서(42b)가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원주방향 닫힘 회전 단부에는 제1홀센서(42a)가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각 홀센서(42a,42b)는 자석 등의 자력을 감지하는 센서로서 자력이 감지되면 개폐감지신호를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개폐감지신호는 상기 회전식 개폐부재(18)의 개방상태가 완료된 열림감지신호와, 상기 회전식 개폐부재(18)의 폐쇄상태가 완료된 닫힘감지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각 홀센서(42a,42b)가 자력을 감지하도록 상기 개폐안내부(20)에는 영구자석 등의 자성을 갖는 자성체(24)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개폐안내부(20)의 상단부에는 상기 자성체(24)가 배치되도록 상기 핸들부(30)의 하면부에 형성된 삽입홈부(32)의 단면적에 대응하여 반경방향 외측으로 표시날개부(23)가 돌설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자성체(24)는 상기 표시날개부(23)의 상면부 일측에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장착홈부(34)의 바닥면에는 상기 각 홀센서(42a,42b)이 삽입되도록 센서삽입홀(34a,34b)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각 홀센서(42a,42b)의 단부가 상기 개폐안내부(20)와 대향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자성체(24)는 상기 개폐안내부(20)가 상기 본체커버부(16)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정렬돌기(16a)에 의해 회전이 구속되고 고정된 상태가 유지된다. 그리고, 상기 각 홀센서(42a,42b)는 상기 핸들부(30)의 회전조작에 대응하여 상기 핸들부(30)의 회전방향으로 일체로 회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자성체(24)는 상기 원주방향 열림 및 닫힘 회전 단부에서 상기 각 홀센서(42a,42b)와 대향 정렬되도록 상기 개폐안내부(20)의 설정된 위치에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자성체(24)는 상기 핸들부(30)의 열림 및 닫힘 방향 중 어느 일측으로 회전시 상기 각 홀센서(42a,42b)의 회전궤적 일측에 중첩되도록 배치된다. 이때, 상기 자성체(24)는 상기 핸들부(30)의 열림 방향 회전이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제2홀센서(42b)와 대향 정렬되면서도 상기 핸들부(30)의 닫힘 방향 회전이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제2홀센서(42b)와 대향 정렬되도록 설정된 위치에 배치된다.
다시 말해, 상기 자성체(24)는 상기 각 홀센서(42a,42b)의 열림완료지점 및 닫힘완료지점이 중첩되는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닫힘완료지점이라 함은 상기 핸들부(30)의 닫힘 방향 회전이 완료된 상태에서 제1홀센서(42a)가 위치된 지점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며, 열림완료지점이라 함은 상기 핸들부(30)의 열림 방향 회전이 완료된 상태에서 제2홀센서(42b)가 위치된 지점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회전식 개폐부재(18)의 외주에 형성된 상기 나사산(18c)의 기설정된 피치 간격은 상기 열림완료지점과 상기 닫힘완료지점이 중첩되는 피치 간격으로 설정될 수 있다. 즉, 상기 나사산(18c)이 기설정된 피치 간격으로 설정됨에 따라 상기 핸들부(30)의 열림 방향 회전시 열림 상태가 완료되면 상기 제2홀센서(42b)가 위치되는 지점이 닫힘 상태에서의 상기 제1홀센서(42a)가 위치된 지점에 대응되도록 상기 회전식 개폐부재(18)가 회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핸들부(30)의 닫힘 방향 회전이 완료되면 상기 제1홀센서(42a)는 상기 자성체(24)와 대향 정렬될 수 있으며, 상기 핸들부(30)의 열림 방향 회전이 완료되면 상기 제2홀센서(42b)는 상기 자성체(24)와 대향 정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각 홀센서(42a,42b)는 상기 핸들부(30)의 열림 또는 닫힘 회전 완료시에만 상기 자성체(24)를 감지하여 상기 회전식 개폐부재(18)의 회전된 상태에 대응되는 정확한 개폐감지신호를 출력하므로 제품의 신뢰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각 홀센서(42a,42b)와 상기 자성체(24) 사이에는 상기 각 홀센서(42a,42b)의 자력 감지를 간섭하는 별도의 부품없이 상호 대향하여 인접하게 배치되므로 센서의 반응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각 홀센서(42a,42b)는 상기 핸들부(30)의 개폐 회전에 대응하여 상기 자성체(24)를 감지하고, 상기 회전식 개폐부재(18)의 개폐상태에 대응하는 개폐감지신호를 상기 신호통신부(43)에 송출할 수 있다.
즉, 상기 개폐유로(18)가 폐쇄되면 상기 제1홀센서(42a)가 상기 자성체(24)의 자력을 감지하여 상기 밸브본체부(10)의 닫힘을 나타내는 닫힘감지신호를 상기 신호통신부(43)에 송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폐유로(18)가 개방되면 상기 제2홀센서(42b)가 상기 자성체(24)의 자력을 감지하여 상기 밸브본체부(10)의 열림을 나타내는 열림감지신호를 상기 신호통신부(43)에 송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누설센서(42c)는 상기 장착기판(41)의 하면부에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누설센서(42c)는 상기 밸브몸체부(10)에 유동되는 유체를 감지하여 누설감지신호를 상기 신호통신부(43)에 송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누설센서(42c)는 기설정된 종류의 유체를 감지할 수 있으며, 상기 밸브몸체부(10)에 유입 및 토출되는 유체의 종류에 대응하여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밸브몸체부(10)에 유입 및 토출되는 유체가 암모니아(NH3)인 경우 상기 누설센서(42c)는 상기 암모니아에 반응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암모니아가 감지됨에 따라 누설감지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누설센서(42c)는 상기 연통홀(36)에 대향되도록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연통홀(36)에 상기 핸들결합부(18a)가 세레이션 결합되는 경우, 상기 연통홀(36) 및 상기 핸들결합부(18a)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연통홀(36)은 구성 부품의 조립시 실질적으로 상기 회전식 개폐부재(18) 및 상기 스템삽입홀(16c) 사이 공간과 상호 연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다이어프램(14)의 마모 내지 파손되거나 상기 회전식 개폐부재(18)의 내구성 저하로 이격공간이 발생하여 상기 개폐유로(13)에 유입되는 유체가 누설되면 누설된 유체는 상기 회전식 개폐부재(18) 및 상기 스템삽입홀(16c) 사이 공간으로 유동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누설된 유체가 상기 연통홀(36) 및 상기 핸들결합부(18a) 사이 공간으로 유동되면, 상기 장착홈부(34)와 상기 연통홀(36)이 상호 연통되므로 누설센서(42c)는 상기 누설된 유체를 감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누설센서(42c)는 누설된 유체가 감지되면 유체의 누설을 나타내는 누설감지신호를 상기 신호통신부(43)에 송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누설센서(42c)는 누설되는 유체를 감지하도록 상기 핸들부(30)와 상기 핸들결합부(18a)가 세레이션 결합되는 상기 연통홀(36)과 대향 배치되어 누설감지신호를 출력함에 따라 유체의 누설을 감지하기 위한 구조가 간소화되어 제품의 경제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신호통신부(43)는 상기 장착기판(41)에 구비되며 상기 각 홀센서(42a,42b) 및 상기 누설센서(42c)로부터 송출되는 감지신호를 입력받아 유무선 통신을 통해 기입력된 위치정보 및 감지신호를 포함하는 상태신호를 상기 송수신장치(미도시)로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감지신호라 함은 상기 각 홀센서(42a,42b)로부터 출력되는 개폐감지신호와, 상기 누설센서(42c)로부터 출력되는 누설감지신호를 포함하는 감지신호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기입력된 위치정보는 상기 송수신장치(미도시)를 통한 상기 모니터링용 밸브장치(100)의 모니터링을 위해 상기 각 모니터링용 밸브장치(100)가 식별되는 정보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모니터링용 밸브장치(100)에 'M1'의 위치정보가 기입력된다면, 상기 신호통신부(43)는 상기 감지신호 및 'M1'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상태신호를 상기 송수신장치(미도시)로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송수신장치(미도시)는 상기 'M1'과 매칭되는 공정배치도 상의 밸브위치표식을 상기 개폐감지신호 또는 상기 누설감지신호에 대응되도록 이미지를 변환하여 표시함에 따라 사용자가 'M1'에 대응되는 모니터링용 밸브장치(100)의 위치와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신호통신부(43)는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Wi-Fi (Wireless Fidelity) 등의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상기 송수신장치(미도시)에 상태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신호통신부(43)는 상기 장착기판(41)에 상기 송수신장치(미도시)와 케이블을 연결하여 유선으로 상태신호를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신호통신부(43)는 기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상기 상태신호를 상기 송수신장치로 전송함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기설정된 시간이 1초로 설정되는 경우, 상기 신호통신부(43)는 1초 간격으로 상기 상태신호를 상기 송수신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송수신장치(미도시)는 상기 기설정된 시간 간격에 대응하여 수신되는 상태신호로부터 위치정보, 개폐정보, 누설정보를 밸브통합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송수신장치(미도시)는 상기 기설정된 시간 간격에 대응되어 생성된 상기 밸브통합정보로부터 상기 모니터링용 밸브장치(100)의 개폐상태 및 누설상태를 출력하여 작업자가 실시간으로 모니터링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다수의 모니터링용 밸브장치(100)가 구비되는 경우에도 상기 송수신장치(미도시)가 상기 다수의 모니터링용 밸브장치(100)로부터 상태신호를 수신하여 통합적으로 각 모니터링용 밸브장치(100)의 개폐상태 및 누설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으므로 관리 효율성이 현저하게 향상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신호통신부(43)는 기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상기 상태신호를 상기 송수신장치(미도시)로 전송하므로 배터리의 소모가 최소화될 수 있으며, 연속적으로 상기 송수신장치(미도시)와 통신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지 않아도 되므로 상기 신호통신부(43)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현장의 작업자에 의해 상기 핸들부(30)의 열림 또는 닫힘 회전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경우, 상기 송수신장치(미도시)에는 상기 모니터링용 밸브장치(100)의 개폐상태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상기 핸들부(30)의 열림 또는 닫힘 회전에 대응하여 출력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송수신장치(미도시)를 통해 상기 모니터링용 밸브장치(100)를 모니터링하는 작업자는 현장의 상황을 인지하지 못하므로 개폐상태가 혼동될 수 있으므로 현장의 작업자와 연락하여 상기 모니터링용 밸브장치(100)의 개폐상태를 확인해야 하는 불편함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신호통신부(43)는 상기 한쌍의 홀센서(42a,42b) 중 어느 하나로부터 출력되는 개폐감지신호가 기설정된 입력시간 동안 입력되면 상기 송수신장치로 전송할 수도 있다. 상세히, 상기 신호통신부(43)는 상기 한쌍의 홀센서(42a,42b) 중 어느 하나로부터 송출된 상기 개폐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기설정된 입력시간 동안 상기 개폐감지신호가 지속적으로 입력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신호통신부(43)는 상기 개폐감지신호가 상기 기설정된 입력시간 동안 지속적으로 입력되면 상기 핸들부(30)의 열림 또는 닫힘 회전이 완료된 상태로 판단하고 상기 개폐감지신호를 상기 송수신장치(미도시)로 전송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신호통신부(43)는 상기 제1홀센서(42a)로부터 상기 닫힘감지신호가 입력되면 3초 동안 상기 닫힘감지신호가 입력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신호통신부(43)는 상기 닫힘감지신호의 입력이 3초 이내에 중지되면 상기 닫힘감지신호를 상기 송수신장치(미도시)로 전송하지 않고 대기할 수 있다. 반면, 상기 닫힘감지신호가 입력되면 3초 동안 상기 닫힘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닫힘감지신호를 상기 송수신장치(미도시)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신호통신부(43)는 상기 각 홀센서(42a,42b)중 어느 하나가 상기 자성체(24)와 대향 정렬된 상태가 상기 기설정된 입력시간 동안 유지되는 경우에만 상기 개폐감지신호를 상기 송수신장치(미도시)로 전송함에 따라 모니터링하는 작업자의 혼동이 방지되므로 개폐상태에 대한 신뢰성이 더욱 개선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모니터링 모듈(40)에는 배터리(44) 및 전원스위치(45)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배터리(44) 및 상기 전원스위치(45)는 상기 장착기판(41)에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각 홀센서(42a,42b), 상기 누설센서(42c) 및 신호통신부(43)는 상기 배터리(44)를 통해 전원이 공급될 수 있으며 상기 전원스위치(45)에 의해 전원의 공급이 선택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신호통신부(43)는 배터리 장착부로부터 검출되는 배터리잔여량을 입력받아 상기 송수신장치(미도시)로 전송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모니터링 모듈(40)은 외부로부터 별도의 전원케이블이 연결되지 않아도 전원이 공급될 수 있으므로 전원케이블의 설치에 따른 작업시간 및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핸들부(30)에는 상기 모니터링 모듈(40)이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되도록 장착홈부(34)를 커버하도록 결합되는 핸들캡부(37)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핸들캡부(37)에는 상기 전원스위치(45)가 배치된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전원스위치(45)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스위치홀(37a)이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핸들캡부(37)가 장착된 상태에서도 상기 전원스위치(45)가 전원공급을 위하여 조작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모니터링 모듈(40)은 상기 장착기판(41)에 구성 부품이 모두 구비되므로 상기 장착홈부(34)에 삽입하기만 해도 상기 핸들부(30)에 손쉽게 장착되므로 조립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모니터링 모듈(40)은 상기 센싱부(42)와 상기 신호통신부(43)가 하나의 장착기판(41)에 구비되므로 상기 모니터링용 밸브장치(100)의 조립이 용이하면서도 상기 센싱부(42)와 상기 신호통신부(43)를 연결하기 위한 별도의 케이블이 필요하지 않아 설치비용 및 작업시간이 절감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장착홈부(34)에는 상기 모니터링 모듈(40)이 장착되고, 하부에 형성된 삽입홈부(32)에는 상기 개폐안내부(20)가 삽입되므로 장치의 구성이 상기 핸들부(30)의 내측에 구비되어 부피가 최소화된 컴팩트한 제품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용 밸브장치의 개폐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 내지 도 5b를 참조하면, 상기 핸들부(30)에는 상기 표시날개부(23)의 일측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표시개구부(35)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표시개구부(35)는 상기 핸들부(30)의 일측이 단차지게 형성되되, 상기 단차지게 형성된 부분의 평면부가 관통되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단차지게 형성된 부분의 평면부는 상기 표시날개부(23)와 인접하게 배치되는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상기 표시개구부(35)에 인접하여 상기 표시날개부(35)가 노출되므로 다양한 시점에서도 육안으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표시개구부(35)는 상기 표시날개부(23)와 대향 배치되며 상기 표시날개부(23)의 일측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표시날개부(23)에는 표시부(25)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표시부(25)는 닫힘표시부(25a) 및 열림표시부(25b)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닫힘표시부(25a)는 '닫힘', 'Close'와 같은 상기 모니터링용 밸브장치(100)의 닫힘 상태를 안내하는 문자 내지 도형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림표시부(25b)는 '열림', 'Open'과 같은 상기 모니터링용 밸브장치(100)의 열림 상태를 안내하는 문자 내지 도형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표시부(25)는 상기 핸들부(30)의 열림 및 닫힘 회전 단부에서 상기 닫힘표시부(25a) 및 상기 열림표시부(25b) 중 어느 하나가 상기 표시개구부(35)를 통해 노출되도록 위치가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표시개구부(35)는 각 센서삽입홀(34a,34b) 사이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표시개구부(35)는 상기 각 홀센서(42a,42b) 사이 간격에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표시개구부(35)는 상기 핸들부(30)의 열림 및 닫힘 방향 중 어느 일측으로 회전시 상기 자성체(24)를 중심으로 이웃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즉, 상기 핸들부(30)의 닫힘 상태에서 상기 표시개구부(35)가 상기 자성체(24)와 대향 정렬된 상기 제1홀센서(42a)의 좌측에 형성되는 경우, 상기 표시개구부(35)는 실질적으로 상기 자성체(24)의 좌측에 위치된다. 또한, 상기 핸들부(30)가 열림 상태로 회전이 완료되면 상기 제2홀센서(42b)가 상기 자성체(24)와 대향 정렬되어 상기 표시개구부(35)는 상기 자성체(24)의 우측에 위치된다.
그리고, 각 표시부(25a,25b)는 상기 자성체(24)의 양측에 각각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표시개구부(35)는 상기 각 홀센서(42a,42b) 사이에 형성됨에 따라 상기 핸들부(30)의 열림 및 닫힘 방향 중 어느 일측으로 회전시 상기 자성체(24)를 중심으로 이웃하도록 위치된다.
여기서, 상기 각 표시부(25a,25b)는 상기 표시개구부(35)의 위치가 변동됨에 따라 상기 핸들부(30)의 개폐상태에 대응하는 상기 표시부(25)가 상기 표시개구부(35)의 내측을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각 표시부(25a,25b)는 상기 핸들부(30)의 열림 및 닫힘 방향이 완료시 개폐상태를 안내하는 문자 내지 도형 등이 명확하게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표시개구부(35)의 내측에 정렬되는 위치에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핸들부(30)의 닫힘 상태시 상기 표시개구부(35)의 내측에는 상기 닫힘표시부(25a)가 노출되고, 상기 핸들부(30)의 열림 상태시 상기 표시개구부(35)의 내측에는 상기 열림표시부(25b)가 노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표시부(25)를 육안으로 확인하여 상기 모니터링용 밸브(100)의 개폐상태를 즉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으므로 제품의 안전성이 더욱 개선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모니터링용 밸브(100)는 개폐상태를 안내하기 위한 별도의 부품의 설치 없이도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표시부(25)에 의해 개폐상태가 확인되므로 구성이 간소화되어 생산성 및 조립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표시개구부(35)에는 상기 핸들부(30)의 회전에 대응하여 상기 표시부(25)가 정확하게 표시됨에 따라 제품의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하는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 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예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 : 밸브몸체부 18 : 회전식 개폐부재
18a : 핸들결합부 20 : 개폐안내부
23 : 표시날개부 24 : 자성체
25 : 표시부 30 : 핸들부
35 : 표시개구부 40 : 모니터링 모듈
42 : 센싱부 42a,42b : 홀센서
42c : 누설센서 43 : 신호통신부
100 : 모니터링용 밸브장치

Claims (5)

  1. 내부에 유체가 이송되는 개폐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개폐유로의 유체 흐름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회전식 개폐부재와 연결된 핸들결합부가 상측으로 연장되어 구비된 밸브본체부;
    회전조작에 따라 상기 회전식 개폐부재와 일체로 회전되도록 상기 핸들결합부와 연결되되, 상부에 상기 회전식 개폐부재의 개폐상태를 감지하는 개폐센서와, 누설여부를 감지하는 누설센서를 포함하는 센싱부와, 상기 센싱부로부터 감지신호를 입력받아 송수신장치로 전송하는 신호통신부가 구비된 핸들부; 및
    상기 핸들부의 하면 외측부에 대향 배치되도록 상기 밸브본체부의 상부에 결합되되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표시날개부가 구비된 개폐안내부를 포함하되,
    상기 개폐센서는 상기 핸들부의 개폐를 위한 원주방향 열림 및 닫힘 회전 단부에 배치된 한 쌍의 홀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원주방향 열림 및 닫힘 회전 단부에서 상기 각 홀센서와 대향 정렬되도록 상기 개폐안내부의 설정된 위치에 배치되는 자성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링용 밸브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날개부의 상면부에는 상기 자성체의 양측으로 상기 핸들부의 열림 또는 닫힘을 안내하는 표시부가 구비되며,
    상기 핸들부의 일측은 상기 개폐안내부와 인접하게 배치되도록 단차지게 형성되며, 상기 단차지게 형성된 부분의 평면부를 관통하여 표시개구부는 형성되되,
    상기 핸들부의 열림 및 닫힘 회전 단부에서 상기 표시부 중 어느 하나가 상기 표시개구부를 통해 노출되도록, 상기 표시부 및 상기 표시개구부의 위치가 설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링용 밸브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는 상기 핸들부의 상부에 형성된 장착홈부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장착홈의 하면부에는 상기 핸들결합부와 연통된 연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누설센서는 상기 밸브본체부로부터 누설되는 유체를 감지하도록 상기 연통홀과 대향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링용 밸브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통신부는 기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기입력된 위치정보와 입력받은 상기 감지신호를 포함하는 상태신호를 상기 송수신장치로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링용 밸브장치.
KR1020170016626A 2017-02-07 2017-02-07 모니터링용 밸브장치 KR1019123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6626A KR101912392B1 (ko) 2017-02-07 2017-02-07 모니터링용 밸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6626A KR101912392B1 (ko) 2017-02-07 2017-02-07 모니터링용 밸브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1434A KR20180091434A (ko) 2018-08-16
KR101912392B1 true KR101912392B1 (ko) 2018-10-26

Family

ID=634433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6626A KR101912392B1 (ko) 2017-02-07 2017-02-07 모니터링용 밸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239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1016B1 (ko) * 2019-09-09 2024-01-31 한국전력공사 밸브 상태 표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가스절연개폐설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4354B1 (ko) * 2007-05-11 2008-10-17 양세정 워엄 기어형 정량 조절밸브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75610A (ko) 1996-05-04 1997-12-10 이영택 자기 감응 센서가 부착된 아웃 사이드 스크류 요크 게이트 밸브
KR20110019320A (ko) * 2009-08-19 2011-02-25 이송순 가스 배관 차단 장치
FR2961284B1 (fr) * 2010-06-09 2013-04-19 Ksb Sas Robinet a capteur de positio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4354B1 (ko) * 2007-05-11 2008-10-17 양세정 워엄 기어형 정량 조절밸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1434A (ko) 2018-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38494C9 (ru) Газовый расходомер со встроенным газовым запорным клапаном
US11427992B2 (en) System for monitoring backflow preventer condition
CN102472408B (zh) 用于确定气动式控制阀组件的故障模式的装置与方法
KR101648642B1 (ko) 누출 감지 기능을 구비한 밀폐 시스템
US8036837B2 (en) Diagnostic method for detecting control valve component failure
CN103443597B (zh) 用于将物体引入管的装置
TWI689674B (zh) 閥、閥的異常診斷方法及電腦程式
KR101912392B1 (ko) 모니터링용 밸브장치
CN102177377A (zh) 用于确定阀的位置的装置
US10890266B2 (en) Multidirectional vent limiting devices for use with fluid regulators
JP2010281359A (ja) 管継手
CN203670999U (zh) 一种包含阀位置指示器的阀
EP2064525B1 (en) Leak check device for vortex sensor replacement
US20200056707A1 (en) Smart pinch valve
CN114008360A (zh) 用于流体流动控制装置的位置传感器
KR102597315B1 (ko) 밸브 상태 자가진단 밸브 시스템
CN112189171A (zh) 流体控制装置、流体控制设备以及动作解析系统
KR102074299B1 (ko) 유체 상태 측정 장치
CN100451410C (zh) 多口阀
KR102587126B1 (ko) 밸브용 차단판 개폐 알림 시스템
US11221078B2 (en) Pinch valve guard
CN219013470U (zh) 泄压阀及氢气供给系统
JP7022975B2 (ja) センサ付きバルブ並びにこれを用いた監視システムおよび流体供給装置
JP7033775B2 (ja) センサ付きバルブ並びにこれを用いた監視システムおよび流体供給装置
US20210278012A1 (en) Fluid drive valv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