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7895B1 - 카메라 - Google Patents

카메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7895B1
KR102647895B1 KR1020160166469A KR20160166469A KR102647895B1 KR 102647895 B1 KR102647895 B1 KR 102647895B1 KR 1020160166469 A KR1020160166469 A KR 1020160166469A KR 20160166469 A KR20160166469 A KR 20160166469A KR 102647895 B1 KR102647895 B1 KR 1026478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lens
lens holder
camera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64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65504A (ko
Inventor
정수민
장대식
손창균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664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7895B1/ko
Publication of KR201800655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55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78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789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1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for more than one le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2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4Mounting of pick-up tubes, electronic image sensors, deviation or focusing co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5/00Circuitry of solid-state image sensors [SSIS]; Control thereof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007Types of components
    • H05K2201/10121Optical component, e.g. opto-electronic componen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ens Barr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메라에 관한 것이다. 일 측면에 따른 카메라는, 외부 피사체의 이미지를 모으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렌즈로 이루어진 렌즈부; 상기 렌즈부의 배면에 결합되는 렌즈 홀더; 상기 렌즈 홀더의 배면에 결합되며, 구동을 위한 각종 전자 부품이 실장되는 기판 모듈; 및 상기 렌즈를 노출시키며, 상기 렌즈부 또는 상기 렌즈 홀더로부터 상기 기판 모듈을 감싸는 몰딩부를 포함하고, 상기 렌즈부 또는 상기 렌즈 홀더의 외면 중 상기 몰딩부가 결합되는 영역에는, 외면으로부터 돌출되는 하나 이상의 돌기부가 형성된다.

Description

카메라{Camera}
본 실시예는 카메라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자동차가 대중화됨에 따라 다양한 계층과 연령대에 걸쳐 자동차 보급이 급속도로 이루어지고 있다.
자동차에는, 차량의 보호 또는 교통사고의 객관적인 자료를 위한 블랙박스 용 카메라, 차량 후미의 사각지대를 운전자가 화면을 통해서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하여 차량의 후진시에 안전을 기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의 후방 감시카메라 등이 구비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카메라의 분해 모습을 보인 사시도 이고, 도 2는 도 1의 카메라의 구성 중 기판 모듈의 결합 모습을 보인 단면도 이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종래 기술에 따른 카메라(1)는,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2)과, 상기 카메라(1)의 전면을 형성하며 전방에 렌즈(5)가 결합되는 렌즈 홀더(4)와, 상기 하우징(2)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어 신호를 송, 수신하고 구동을 위한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기판 모듈(3)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2)과 상기 렌즈 홀더(4)의 사이에는, 상기 하우징(2)의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실링부(6)가 개재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판 모듈(3)은 서로 다른 기능을 수행하는 복수의 기판으로 구성되어, 상기 복수의 기판은 상기 하우징(2)의 내부에서 상호 간격을 형성하며 배치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복수의 기판은, 인접한 기판의 가장자리에 각각 양단이 결합되는 연성 기판(3a)과, 상기 복수의 기판 상에 형성된 결합홀(미도시)을 관통하여 상기 복수의 기판을 결합시키는 결합 나사(3b)를 통해 물리적, 전기적 결합이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복수의 기판은 서로 다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복수의 기판 중 상기 렌즈(4)에 가깝게 배치된 기판 상에는 이미지 센서(9)가 실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4)의 후방 측에 위치한 기판은 상기 카메라(1)로 전원을 제공하거나, 신호를 송, 수신하는 커넥터(7)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따른 카메라(1)에 따르면, 상기 하우징(2)과 상기 렌즈 홀더(4) 사이, 상기 커넥터(7)가 끼워지기 위한 상기 하우징(2) 상의 홀 주변으로 틈이 존재하게 되고, 이 틈으로 먼지, 이물질, 습기 등이 침투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하우징(2)의 내부로 침투된 이물질은, 상기 기판 모듈(3) 또는 상기 기판 모듈(3) 상에 실장된 각종 전자부품들과 접촉되어 각 구성을 오염시키고, 심할 경우 제품의 고장을 야기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2)은 금속, 합금, 플라스틱 등의 재질인 것이 일반적이서, 상기 복수의 기판을 연결시키기 위해 연성 기판, 결합 나사 등이 필요하므로 제품의 제조 단가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내구성이 강화되고 제조 단가를 낮출 수 있는 카메라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는, 외부 피사체의 이미지를 모으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렌즈로 이루어진 렌즈부; 상기 렌즈부의 배면에 결합되는 렌즈 홀더; 상기 렌즈 홀더의 배면에 결합되며, 구동을 위한 각종 전자 부품이 실장되는 기판 모듈; 및 상기 렌즈를 노출시키며, 상기 렌즈부 또는 상기 렌즈 홀더로부터 상기 기판 모듈을 감싸는 몰딩부를 포함하고, 상기 렌즈부 또는 상기 렌즈 홀더의 외면 중 상기 몰딩부가 결합되는 영역에는, 외면으로부터 돌출되는 하나 이상의 돌기부가 형성된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는, 외부 피사체의 이미지를 모으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렌즈로 이루어진 렌즈부; 상기 렌즈부의 배면에 결합되는 렌즈 홀더; 상기 렌즈 홀더의 배면에 결합되며, 구동을 위한 각종 전자 부품이 실장되는 기판 모듈; 및 상기 렌즈를 노출시키며, 상기 렌즈부 또는 상기 렌즈 홀더로부터 상기 기판 모듈을 감싸는 몰딩부를 포함하고, 상기 기판 모듈은, 상기 렌즈부에 모인 피사체의 이미지를 전기 신호로 변환시키는 이미지 센서가 실장되는 제 1 기판부; 및 상기 제 1 기판부로부터 소정 간격을 형성하며 이격되는 하나 이상의 타 기판부를 포함하며, 상기 렌즈 홀더의 하면에는 상기 이미지 센서가 끼워지는 홈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를 통해 각 구성요소의 결합을 위한 부품이나 내부 실링(Sealing)을 위한 부품이 불필요하므로, 제품의 제조 단가가 저렴해지는 장점이 있다.
또한, 카메라의 외부가 몰딩 레진으로 감싸져 있어 습기가 침투되는 경로가 제거되므로, 방수 효율이 증가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몰딩부가 형성되는 렌즈부와 렌즈 홀더에는 표면적을 늘리기 위한 돌기부가 형성되므로, 몰딩부가 보다 견고하게 렌즈부 및 렌즈 홀더에 결합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몰딩부에 의해 기판 모듈이 결합될 수 있으므로, 부품 배치에 있어 설계의 자유도가 증가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카메라의 분해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카메라의 구성 중 기판 모듈의 결합 모습을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4는 도 3의 카메라에서 몰딩부의 변형 예를 보인 단면도.
도 5는 도 3의 A부분을 확대한 확대도.
도 6은 도 4의 B부분과 돌기부의 변형예를 보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따른 몰딩부에 형성된 브라켓의 변형 예를 보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몰딩부에 나사홈이 형성된 모습을 보인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와 브라켓의 결합 모습을 보인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구성 결합 모습의 변형 예를 보인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렌즈 홀더의 변형 예를 보인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렌즈 홀더와 기판부의 결합 모습을 보인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기판부의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기판 모듈의 결합 모습을 보인 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다수의 기판 모습을 보인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기재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그 구성 요소와 그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이고, 도 4는 도 3의 카메라에서 몰딩부 변형 예를 보인 단면도 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100)는, 전면에 글래스(11)가 끼워지는 렌즈부(10)와, 상기 렌즈부(10)의 후면에 결합되는 렌즈 홀더(20)와, 상기 렌즈 홀더(20)의 후면에 배치되어 구동을 위한 각종 전자 부품이 실장되는 기판 모듈(30)을 포함한다.
상기 렌즈부(10)는 외부 피사체의 이미지를 모으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렌즈부(10)의 배면에는 상기 렌즈 홀더(20)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부(12)가 구비된다. 상기 결합부(12)는 상기 렌즈부(10)의 배면에서 일부 영역이 타 영역보다 후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12)는 적어도 하나의 렌즈가 끼워지도록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글래스(11)를 통해 입사된 외부 이미지는 다수의 렌즈를 통해 모아져, 후방으로 전달된다.
상기 렌즈 홀더(20)는 전면으로부터 배면을 관통하는 결합홀(22)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홀(22)에 상기 결합부(12)가 끼워져 상기 렌즈부(10)와 상기 렌즈 홀더(20)가 결합된다. 이 때, 상기 결합부(12)에 외주면 상에는 하나 이상의 돌출 리브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돌출 리브는 상기 결합홀의 내주면 상에 형성된 홈에 끼워질 수 있다.
상기 렌즈부(10)의 직경은 상기 렌즈 홀더(20)의 직경 보다 길게 형성되어, 상기 렌즈부(10)의 가장자리 영역이 상기 렌즈 홀더(20)의 외주면 중 일부를 감싸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렌즈부(10) 중 상기 결합부(12)는, 상기 렌즈부(10)의 배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렌즈 홀더(20)의 결합홀(22)에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렌즈부(10)의 배면에는 상기 렌즈 홀더(20)의 외주면 일부를 감싸도록 지지홈(1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기판 모듈(30)은 상기 렌즈 홀더(20)의 배면에 결합된다. 상세히, 상기 기판 모듈(30)은, 구동을 위한 다수의 전자부품이 실장되는 다수의 기판(32, 34, 36, 38)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기판(32, 34, 36, 38)은 상기 렌즈 홀더(20)의 배면에서 각각 소정 간격을 형성하며 전, 후방으로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도시된 상기 다수의 기판(32, 34, 36, 38)의 배열은 예시적인 것일 뿐,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기판(32, 34, 36, 38)은 상호 전기적, 물리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일 예로, 제 1 기판(32)과 제 2 기판(34) 사이, 상기 제 2 기판(34)과 제 3 기판(36) 사이, 상기 제 3 기판(36)과 제 4 기판(38) 사이에는 상호 전기적 신호를 송, 수신하도록 각 기판에, 양단이 결합되는 복수의 연성 기판(33, 35, 37)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수의 기판(32, 34, 36, 38)은, 상기 다수의 기판(32, 34, 36, 38)을 배치 방향으로 관통하는 결합축(39)에 의해 물리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결합축(39)은 상기 다수의 기판(32, 34, 36, 38) 사이를 소정 거리 이격시킴으로써, 각 기판에 실장되는 전자 부품 사이의 전기적, 물리적 충돌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다수의 기판(32, 34, 36, 38) 중 상기 렌즈 홀더(20)에 가까운 상기 제 1 기판(32)에는 상기 렌즈부(10)에서 모인 피사체의 이미지를 전기 신호로 변환시키는 이미지센서(31)가 실장된다. 그리고, 상기 다수의 기판(32, 34, 36, 38) 중 최후방, 즉 상기 렌즈 홀더(20)로부터 상대적으로 멀리 배치된 상기 제 4 기판(38)에는 후술할 케이블 유닛(40)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케이블 유닛(40)은 상기 기판 모듈(3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카메라(100)에서 촬상된 이미지에 대한 전기적인 신호를 외부 장치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블 유닛(40)을 통해, 상기 카메라(100)는 구동을 위한 전원을 제공 받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100)는, 상기 렌즈부(10), 상기 렌즈 홀더(20), 상기 기판 모듈(30)을 체결 경계선 없이 일체화시키는 몰딩부(130)에 의해 외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몰딩부(130)는 상기 렌즈부(10)의 렌즈, 즉 상기 글래스(11) 부분이 외부에 노출되도록, 상기 글래스(11) 부분 이외 영역인 상기 렌즈부(10)의 측면, 상기 렌즈 홀더(20), 상기 기판 모듈(30)을 감싸며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렌즈부(10), 상기 렌즈 홀더(20), 상기 기판 모듈(30)은 일체화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블 유닛(40)의 일부 영역은 상기 몰딩부(130)에 감싸질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몰딩부(130)는, 상기 렌즈부(10)의 외면 중 외부 빛을 흡수하는 면의 이외 영역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렌즈 홀더(20)와 상기 기판 모듈(30)을 감싸게 되어 상기 카메라(100)의 하우징을 형성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즉, 도 3을 기준으로 상기 렌즈부(10)의 배치 영역을 카메라의 전방 측, 상기 케이블 유닛(40)의 배치 영역을 카메라의 후방 측이라 할 때, 상기 몰딩부(50)는 상기 렌즈부(10)의 측면으로부터 상기 렌즈 홀더(20) 및 상기 기판 모듈(30)을 감싸며 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몰딩부(50)는, 상기 렌즈 홀더(20)의 측면으로부터 상기 기판 모듈(30)을 감싸며 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 때에는, 상기 렌즈부(10)와 상기 렌즈 홀더(20)의 경계 영역에 별도의 실링(sealing) 부재(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몰딩부(130)의 재질은 레진(Resin), 에폭시(Epoxy) 경화제, 아크릴(acrylic) 경화제, 실리콘(silicone) 경화제, 우레탄(urethane) 경화제, UV(ultraviolet) 경화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이 포함될 수 있다. 경화제는 액체 상태에서 특정한 조건에 의해 고체 상태로 경화되는 것으로서, 상기 몰딩부(130)는, 몰드(mould)에 상기 렌즈 홀더(20), 상기 기판 모듈(30), 상기 렌즈부(10)를 기 설계 위치로 정렬하고 경화제를 주입하여 가압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100)에 따르면, 각 구성요소의 결합을 위한 부품이나 내부 실링(Sealing)을 위한 부품이 불필요하므로, 부품수를 감소시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카메라의 외부가 몰딩 레진으로 감싸져 있어 습기가 침투되는 경로가 제거되고, 방수 효율이 증가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몰딩부(130)에 의해 상기 기판 모듈(30)이 결합될 수 있으므로, 상기 기판 모듈(30) 각 구성의 배치에 관한 설계적 관점에서 자유도가 증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3에서는 다수의 기판(32, 34, 36, 38)이 수평 방향으로 배열된 것을 예로 들었으나, 이와는 달리 상기 다수의 기판(32, 34, 36, 38)은 상호 수직하게 배열될 수 있다. 이는, 상기 다수의 기판(32, 34, 36, 38)이 연성 기판을 통해 전기적인 연결은 하는 것과는 별개로, 상기 몰딩부(130)에 의해 상기 몰딩부(130) 영역 내부에서 상기 다수의 기판(32, 34, 36, 38)의 위치가 고정되므로, 배치에 관한 자유도가 증가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도 5는 도 3의 A부분을 확대한 확대도 이고, 도 6은 도 4의 B부분과 돌기부의 변형예를 보인 단면도 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렌즈부(10)와 상기 렌즈 홀더(20)의 측면 중 상기 몰딩부(50)가 형성되는 영역에는, 상기 몰딩부(50)와의 결합을 견고히 하기 위한 돌기부(15)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돌기부(15)는, 상기 렌즈부(10)의 측면(14) 상에서 돌출되는 다수의 돌기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렌즈부(10)의 측면(14)은 상기 몰딩부(50)와 결합되기 위한 표면적이 증가되므로, 결합력이 견고해지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몰딩부(50)가 형성되는 상기 렌즈 홀더(20)의 측면에도 돌기부가 형성될 수 있다.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돌기부의 형상은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렌즈 홀더(20)의 측면(23)에 다수의 돌기부(1001)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다수의 돌기부(1001)에 의해 다수의 홈(1002)이 형성될 수 있음은 도 5의 상기 렌즈부(10)의 측면 돌기부(15)에서 살펴본 바이다.
이와 달리, 도 6의 (a)에서와 같이, 돌기부(1003)의 외주면에는 경사면(1004)이 형성될 수 있고, 다수의 홈(1005)의 내주면에도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도 6의 (b)에서는 돌기부가, 상기 렌즈 홀더(20)의 측면에서 돌출되는 제 1 돌기(1007)와 상기 제 1 돌기(1007)에서 상기 제 1 돌기(1007) 보다 단면적이 크게 돌출되는 제 2 돌기(1006)를 포함하는 것을 예로 들고 있다.
도 6의 (c)에서는 돌기부(1010)의 외주면 중 일면에만 경사면이 형성되어 상기 몰딩부(50)와의 접촉 면적이 확장나는 것을 예로 들고 있다.
도 6의 (d)에서는 상기 렌즈 홀더(20)의 측면에서 다수의 리브(1012)가 돌출 형성된 것을 예로 들고 있다.
도 6의 (e)에서는 복수의 돌기부(1014) 사이에 형성된 홈(1013)이 곡면으로 형성된 것을 예로 들고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따른 몰딩부에 형성된 브라켓의 변형 예를 보인 단면도 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몰딩부(50)에는 상기 카메라(100)의 설치를 위한 브라켓(60)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카메라(100)는 차량 내부에 설치될 수 있고, 상기 브라켓(60)은 차량의 내부에서 상기 카메라(100)를 특정 위치에 고정시키기 위한 구성으로서 이해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브라켓(60)은, 차량에 구비된 타 구성과의 결합에 의해, 상기 카메라(100)를 설치 영역에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브라켓(60)은 상기 몰딩부(50) 형성 시 몰드 형상의 변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도 7의 (a)에서와 같이, 상기 브라켓(60)은 상기 몰딩부(50)의 외주면에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 외에도 도 7의 (b), (c), (d)에서와 같이 브라켓(61, 62, 63)은 상기 몰딩부(50)의 외주면에 돌출된 단부로부터 적어도 일부가 절곡된 부분을 포함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몰딩부에 나사홈이 형성된 모습을 보인 단면도 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카메라(100)는 상기 브라켓(60, 61, 62, 63)에 의한 설치외에도, 나사 결합을 통해 차량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카메라(100)가 설치되는 차량 내부에는, 상기 카메라(100)와의 결합을 위한 별도의 브라켓(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에는 상기 몰딩부(50)가 끼워지는 홀과, 상기 홀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나사산이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몰딩부(50)의 외주면에는, 상기 나사산에 대응하여 나사홈(52)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몰딩부(50)가 상기 브라켓의 홀에 끼워져 나사 결합됨으로써, 상기 카메라(100)는 차량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나사홈(52) 역시 상기 몰딩부(50) 형성 시 몰드의 형상 변경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와 브라켓의 결합 모습을 보인 단면도 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100)는 별도의 브라켓과 결합하여, 차량, 선박, 비행기 등에 설치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몰딩부(50)의 외주면에는, 브라켓(70) 과의 결합을 위한 나사홈(55)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브라켓(70)에는, 상기 몰딩부(50)가 안착되는 안착홈(71)과, 상기 안착홈(71)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나사홈(55)과 나사 결합되는 나사산(74)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상기 몰딩부(50)가 상기 브라켓(70)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브라켓(70)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70)의 몸체 상에는, 차량, 선박, 비행기의 내부 또는 외부에 고정되기 위한 별도의 걸림부(72)가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기판 모듈(30), 상기 렌즈부(10), 상기 렌즈 홀더(20)의 결합 구조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구성 결합 모습의 변형 예를 보인 단면도 이다.
도 3 및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기판 모듈(30) 중 상기 이미지 센서(31)가 실장되는 제 1 기판(32)과 상기 렌즈 홀더(20) 사이, 상기 제 1 기판(32)과 상기 렌즈부(10) 사이에는 상기 몰드부(50)가 형성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세히,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100)는, 몰드에 상기 렌즈부(10), 상기 렌즈 홀더(20) 및 상기 기판 모듈(30)을 정렬하고 경화제를 주입함으로써 제조된다는 것은 앞서 설명한 바 이다. 이 때, 경화제가 상기 이미지 센서(31)로 침투될 경우, 상기 이미지 센서(31)는 상기 렌즈부(10)에서 모인 피사체의 이미지를 수신하지 못할 염려가 있다. 뿐만 아니라, 경화제의 침투로 인해 상기 이미지 센서(31)는 고장의 발생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 1 기판(32)과 상기 렌즈부(10) 사이에는 몰드부(50) 영역이 형성되지 않는다. 즉, 몰드부 형성 방지 구조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렌즈 홀더(20)의 하면에 상기 이미지 센서(31)가 끼워지는 센서홈(21)을 형성하고, 상기 렌즈 홀더(20)의 하면에 상기 제 1 기판(32)의 상면을 밀착시키는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이미지 센서(31)와 상기 렌즈부(10)는 상호 마주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렌즈 홀더(20)의 하면과 상기 제 1 기판의 상면(32) 사이에는 실링부재가 개재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실링부재는 오링(O-Ring)일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몰드부(50) 형성 시, 경화제가 상기 이미지 센서(31)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되므로 상기 카메라(100)의 촬영물에 대한 신뢰성을 담보할 수 있다.
도 10은 상기 이미지 센서(31)로의 경화제 유입 방지 구조에 관한 변형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10의 (a)를 참조하면, 전면에 상기 렌즈부(10)가 결합하는 렌즈 홀더(1100)는, 상기 렌즈부(10) 및 상기 제 1 기판(32)이 장착되도록 전면으로부터 배면을 관통하는 장착홀(1110, 1111)이 형성된다.
상기 장착홀(1110, 1111)은 상기 렌즈 홀더(1100)의 전면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 1 장착홀(1111)과, 상기 제 1 장착홀(1110)의 후면으로부터 상기 렌즈 홀더(1100)의 배면을 향해 연장되는 제 2 장착홀(1110)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 1 장착홀(1111)은 상기 렌즈부(10)가 결합되는 홀로서 이해되고, 상기 제 2 장착홀(1110)은 상기 제 1 기판부(32)가 안착되는 홀로서 이해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장착홀(1111)과 상기 제 2 장착홀(1110)은 상호 연통된다. 따라서, 상기 이미지 센서(31)가 실장된 상기 제 1 기판부(32)는 상기 렌즈부(10)와 마주하여 광축 방향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렌즈 홀더(1100)의 배면에는 상기 제 2 기판부(34)가 결합된다. 이 때, 상기 제 2 장착홀(1110)의 단면적은 상기 제 1 기판부(32)에 대응되고, 상기 제 2 기판부(34) 보다 크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장착홀(1111)의 단면적은 상기 제 1 기판부(32)보다 작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 1 기판부(32)는 상기 제 2 장착홀(1111)의 내부에 안착되고, 상기 제 2 기판부(34)는 상기 렌즈 홀더(1100)의 배면에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기판부(34)와 상기 렌즈 홀더(1100)의 배면 사이에는 오링(O-Ring)이 개재되어 상기 장착홀(1110, 1111)의 내부로 경화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0의 (c)를 참조하면, 렌즈부와 렌즈 홀더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설명의 편의상, 일체로 형성된 상기 렌즈부와 상기 렌즈 홀더를 렌즈 모듈(80)이라 칭한다.
상기 렌즈 모듈(80)은 전면에 글래스(81)가 형성되고, 배면에 상기 이미지 센서(31)가 결합되는 안착홈(82)이 형성된다. 상기 안착홈(82)은 상기 렌즈 모듈(80) 중 렌즈와 마주하는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렌즈와 상기 이미지 센서(31)는 광축 방향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렌즈 모듈(80)의 배면에는 상기 제 1 기판부(32)가 결합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 1 기판부(32)와 상기 렌즈 모듈(80)의 사이에는, 오링(O-Ring)이 개재되어 상기 안착홈(82)의 내부로 경화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0의 (d)를 참조하면, 본 변형 예에서도 렌즈부와 렌즈 홀더가 일체로 형성된 렌즈 모듈(85)이 구비된다. 다만, 상기 렌즈 모듈은(85)은, 배면에 상기 이미지 센서(31)가 실장된 상기 제 1 기판부(32)가 안착되는 안착홈(86)이 형성된다. 상기 안착홈(86)은 상기 렌즈 모듈(85)의 내주면(87)에 의해 타 영역과 구분된다.
그리고, 상기 안착홈(86)의 단면적은 상기 제 1 기판부(32)의 단면적에 대응되고, 상기 제 1 기판부(32)의 후방에 배치된 제 2 기판부(34)의 단면적 보다 작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 1 기판부(32)는 상기 안착홈(86)에 안착되고, 상기 제 2 기판부(34)는 상기 렌즈 모듈(85)의 배면에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기판부(34)와 상기 렌즈 모듈(85)의 배면 사이에는 오링(O-Ring)이 개재되어 상기 안착홈(86)의 내부로 경화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렌즈 홀더의 변형 예를 보인 단면도 이다.
본 변형 예는 다른 부분에 있어서는 동일하고, 다만 렌즈 홀더의 단면적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본 변형 예의 특징적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고 주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은 주 실시예를 원용하기로 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변형 예에 따른 렌즈 홀더(200)의 단면적은 상기 몰딩부(50)의 단면적 보다 넓게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렌즈 홀더(200)에는, 전면에서 후면을 관통하여 상기 몰딩부(50)가 통과되는 통과홀(210)이 형성된다. 상기 통과홀(210)은, 상기 렌즈 홀더(200)의 가장자리를 따라 소정 간격을 형성하여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몰딩부(50) 형성 시, 경화제는 상기 통과홀(210)을 통과하여 상기 렌즈 홀더(200) 및 렌즈부(10), 상기 기판 모듈(30)을 동시에 결합시킨다. 이로 인해, 상기 몰딩부(50)의 외주면은 상기 렌즈 홀더(200)의 일부가 돌출된 형태를 갖는다. 돌출된 상기 렌즈 홀더(200)의 일부 영역은 타 구성과의 결합을 위한 브라켓으로 기능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렌즈 홀더와 기판부의 결합 모습을 보인 단면도 이며, 도 1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기판부의 단면도 이다.
본 실시예는 다른 부분에 있어서는 제 1 실시예와 동일하고, 다만 렌즈 홀더의 형상에 있어 차이가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의 특징적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고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은 제 1 실시예를 원용하기로 한다. 또한, 본 실시 예의 구성에서 제 1 실시 예와 동일한 기능을 갖는 구성에 있어서는, 제 1 실시 예와 동일한 번호를 부여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렌즈 홀더(300)는, 전면에 상기 렌즈부(10)가 끼워지는 제 1 결합홀(301)이 형성되고, 배면에는 상기 기판 모듈(30)이 끼워지는 제 2 결합홀(310)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결합홀(301)과 상기 제 2 결합홀(310)은 상호 연통된다. 이 때, 상기 제 2 결합홀(310)의 단면적은 상기 다수의 기판(32, 34, 36, 38)의 단면적에 대응되고 상기 제 1 결합홀(301)의 단면적 보다 넓게 형성되어, 상기 제 1 기판부(32)의 이미지 센서(31)는 상기 렌즈부(10)와 광축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제 2 결합홀(310)의 단면 형상은 상기 다수의 기판(32, 34, 36, 38) 형상에 대응하도록 형성된다.
도 11 내지 13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기판 모듈(30)의 상기 제 1 기판(32) 내지 제 4 기판(38)이 모두 상기 제 2 결합홀(310)의 내부에 수용된다. 상기 제 2 결합홀(310)의 깊이는 상기 기판 모듈(30)의 길이와 대응되는 것으로 이해된다.
그리고, 상기 다수의 기판(32, 34, 36, 38) 각각의 둘레측 가장자리에는 상기 제 2 결합홀(310)의 내주면(330)과의 결합을 위한 리브(36a)가 형성된다. 상기 리브(36a)는 상기 다수의 기판(32, 34, 36, 38)의 일면 또는 양면에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리브(36a)의 개수는 상기 다수의 기판(32, 34, 36, 38)의 가장 자리를 따라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결합홀(310)의 내주면(330) 중 상기 리브(36a)와 마주하는 영역에는, 상기 리브(36a)가 끼워지는 걸림홈(332)이 형성된다. 상기 걸림홈(332)은, 상기 리브(36a)의 개수에 대응하여 상기 제 2 결합홀(310)의 내주면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다수의 기판(32, 34, 36, 38)이 상기 제 2 결합홀(310)에 결합 시 상기 리브(36a)가 상기 걸림홈(332)에 끼워지고, 상기 제 1 기판(32)과 상기 렌즈부(10) 사이에 상기 몰드부(50)가 형성되는 것이 방지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다수의 기판(32, 34, 36, 38)과 상기 제 2 결합홀(310) 사이가 상기 리브(36a) 및 걸림홈(332)의 결합 구조로 인해 차폐되므로, 상기 제 1 기판(32)의 상방으로 경화제가 유입되는 것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기판 모듈의 결합 모습을 보인 단면도 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다수의 기판 모습을 보인 단면도 이다.
본 실시예는 다른 부분에 있어서는 제 1 실시예와 동일하고, 다만 기판 모듈의 결합에 있어 차이가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의 특징적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고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은 제 1 실시예를 원용하기로 한다. 또한, 본 실시 예의 구성에서 제 1 실시 예와 동일한 기능을 갖는 구성에 있어서는, 제 1 실시 예와 동일한 번호를 부여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5 및 16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기판 모듈(400)은 소정 간격을 두어 복수로 배치되는 제 1 기판(410), 제 2 기판(420) 및 제 3 기판(430)을 포함한다. 일 예로, 상기 제 1 기판(410)은 상기 이미지 센서(31)가 실장되는 기판으로서 이해되고, 상기 제 3 기판(430)은 상기 케이블 유닛(40)이 실장되는 기판으로서 이해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제 1 기판(410)을 상부에 배치되는 기판, 상기 제 3 기판(430)을 하부에 배치되는 기판, 상기 제 2 기판(420)을 상기 제 1 기판(410)과 상기 제 3 기판(430)의 사이에 배치되는 것으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 1 내지 3 기판(410, 420, 430)은 상기 제 1 내지 3 기판(410, 420, 430)을 배치 방향으로 관통하는 결합축(500)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결합축(500)은 상기 제 1 내지 3 기판(410, 420, 430)의 배치 방향을 따라 상기 제 1 내지 3 기판(410, 420, 430)을 각각 관통하여 결합된다.
상기 결합축(500)은 하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얇아지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내지 3 기판(410, 420, 430)에는 상기 결합축(500)이 끼워지는 기판홀이 각각 형성된다. 즉, 상기 제 1 기판(410)에 제 1 기판홀(411)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기판(420)에 제 2 기판홀(412)이 형성되며, 상기 제 3 기판(430)에 제 3 기판홀(413)이 형성된다. 상기 제 1 내지 3 기판홀(411, 412, 413)들은 상기 결합축(500)이 끼워지는 방향으로 중첩되게 형성된다.
이 때, 상기 기판홀은 상대적으로 하부에 배치되는 기판에 형성된 홀일수록 단면적이 작게 형성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결합축(500)의 단면적이 하부로 갈수록 얇아지므로, 상기 제 1 내지 3 기판(410, 420, 430)에 형성되는 기판홀의 단면적은 마주하는 상기 결합축(500) 영역의 외경에 대응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 1 기판홀(411)의 단면적은 상기 제 2 기판홀(412)의 단면적 보다 크고, 상기 제 2 기판홀(412)의 단면적은 상기 제 3 기판홀(413)의 단면적 보다 크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해, 단일의 결합축(500)으로 상기 제 1 내지 3 기판(410, 420, 430)을 결합시키므로, 부품수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카메라(100)에 따르면, 각 구성요소의 결합을 위한 부품이나 내부 실링(Sealing)을 위한 부품이 불필요하므로, 제품의 제조 단가가 저렴해지는 장점이 있다.
또한, 카메라의 외부가 몰딩 레진으로 감싸져 있어 습기가 침투되는 경로가 제거되므로, 방수 효율이 증가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몰딩부가 형성되는 렌즈부와 렌즈 홀더에는 표면적을 늘리기 위한 돌기부가 형성되므로, 몰딩부가 보다 견고하게 렌즈부 및 렌즈 홀더에 결합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몰딩부에 의해 기판 모듈이 결합될 수 있으므로, 부품 배치에 있어 설계의 자유도가 증가되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20)

  1. 외부 피사체의 이미지를 모으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렌즈로 이루어진 렌즈부;
    상기 렌즈부의 배면에 결합되는 렌즈 홀더;
    상기 렌즈 홀더의 배면에 결합되며, 구동을 위한 각종 전자 부품이 실장되는 기판 모듈; 및
    상기 렌즈를 노출시키며, 상기 렌즈부 또는 상기 렌즈 홀더로부터 상기 기판 모듈을 감싸는 몰딩부를 포함하고,
    상기 렌즈부 또는 상기 렌즈 홀더의 외면 중 상기 몰딩부가 결합되는 영역에는, 외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다수의 돌기부와, 상기 다수의 돌기부 사이에 배치되는 다수의 홈이 형성되고,
    상기 몰딩부는 상기 돌기부의 외면과 상기 홈의 내면을 감싸도록 배치되는 카메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상기 렌즈부 또는 상기 렌즈 홀더의 측면에 형성되는 카메라.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의 외주면에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카메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홈은 곡면인 카메라.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 모듈은,
    상기 렌즈부에 모인 피사체의 이미지를 전기 신호로 변환시키는 이미지 센서가 실장되는 제 1 기판부; 및
    상기 제 1 기판부로부터 소정 간격을 형성하며 이격되는 하나 이상의 타 기판부를 포함하는 카메라.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홀더의 하면에는 상기 이미지 센서가 끼워지는 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기판부의 상면은 상기 렌즈 홀더의 하면에 결합되는 카메라.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센서로 몰딩부가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 1 기판부의 상면과 상기 렌즈 홀더의 하면 사이에는 실링부재가 개재되는 카메라.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홀더와 상기 렌즈부는 일체로 형성되는 카메라.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홀더의 하면에는 상방을 향해 함몰되어 상기 제 1 기판부가 수용되는 장착홀이 형성되고,
    상기 타 기판부의 상면은 상기 렌즈 홀더의 하면에 결합되는 카메라.
  11.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판부와 상기 타 기판부 상에는 배치 방향을 따라 중첩되는 기판홀이 형성되고,
    상기 기판홀을 관통하여 상기 제 1 기판부와 상기 타 기판부를 결합시키는 결합축을 더 포함하는 카메라.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축은 상기 제 1 기판부에서 상기 타 기판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작아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기판홀의 단면적은 상기 결합축의 단면적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카메라.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홀더의 상면에는 상기 렌즈부가 끼워지는 제 1 결합홀이 형성되고,
    상기 렌즈 홀더의 하면에는 상기 기판 모듈이 끼워지는 제 2 결합홀이 형성되는 카메라.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 모듈의 둘레측 가장자리에는 리브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 2 결합홀의 내주면 중 상기 리브와 마주하는 영역에는 걸림홈이 형성되는 카메라.
  15. 제 1 항에 있어서,
    타 부품과 결합되도록, 상기 몰드부의 외주면에는 브라켓이 돌출 형성되는 카메라.
  16. 제 1 항에 있어서,
    타 부품과 나사 결합되도록, 상기 몰드부의 외주면 상에는 나사홈이 형성되는 카메라.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홀더의 단면적은 상기 몰딩부의 단면적 보다 넓게 형성되어, 상기 몰딩부의 측면 상으로 상기 렌즈 홀더의 일부 영역이 돌출되는 카메라.
  18. 외부 피사체의 이미지를 모으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렌즈로 이루어진 렌즈부;
    상기 렌즈부의 배면에 결합되는 렌즈 홀더;
    상기 렌즈 홀더의 배면에 결합되며, 구동을 위한 각종 전자 부품이 실장되는 기판 모듈; 및
    상기 렌즈를 노출시키며, 상기 렌즈부 또는 상기 렌즈 홀더로부터 상기 기판 모듈을 감싸는 몰딩부를 포함하고,
    상기 기판 모듈은,
    상기 렌즈부에 모인 피사체의 이미지를 전기 신호로 변환시키는 이미지 센서가 실장되는 제 1 기판부; 및
    상기 제 1 기판부로부터 소정 간격을 형성하며 이격되는 하나 이상의 타 기판부를 포함하며,
    상기 렌즈 홀더의 하면에는 상기 이미지 센서가 끼워지는 홈이 형성되고,
    상기 렌즈부 또는 상기 렌즈 홀더의 외면 중 상기 몰딩부가 결합되는 영역에는, 외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다수의 돌기부와, 상기 다수의 돌기부 사이에 배치되는 다수의 홈이 형성되고,
    상기 몰딩부는 상기 돌기부의 외면과 상기 홈의 내면을 감싸도록 배치되는 카메라.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판부의 상면은 상기 렌즈 홀더의 하면에 결합되는 카메라.
  20. 삭제
KR1020160166469A 2016-12-08 2016-12-08 카메라 KR1026478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6469A KR102647895B1 (ko) 2016-12-08 2016-12-08 카메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6469A KR102647895B1 (ko) 2016-12-08 2016-12-08 카메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5504A KR20180065504A (ko) 2018-06-18
KR102647895B1 true KR102647895B1 (ko) 2024-03-15

Family

ID=627655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6469A KR102647895B1 (ko) 2016-12-08 2016-12-08 카메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789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4926B1 (ko) * 2018-08-01 2024-02-0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48473A (ja) * 2004-11-18 2006-06-08 Shinko Electric Ind Co Ltd 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0028698A (ja) * 2008-07-24 2010-02-04 Smk Corp カメラモジュール用台座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9786B1 (ko) * 2015-02-26 2021-07-2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및 차량용 카메라
KR101784630B1 (ko) * 2016-10-06 2017-10-1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48473A (ja) * 2004-11-18 2006-06-08 Shinko Electric Ind Co Ltd 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0028698A (ja) * 2008-07-24 2010-02-04 Smk Corp カメラモジュール用台座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5504A (ko) 2018-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430797B1 (en) Camera assembly with shielded imager circuit
KR101122313B1 (ko) 카메라 모듈
KR20110028767A (ko) 차량용 카메라 모듈
KR100982271B1 (ko) 자동차용 카메라 모듈
KR101725053B1 (ko) 방수 기능을 가진 차량용 카메라
KR102489665B1 (ko) 카메라 모듈용 홀더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카메라 모듈
CN108696678B (zh) 相机模块
KR102647895B1 (ko) 카메라
KR102415400B1 (ko) 카메라 모듈 및 자동차
US11312314B2 (en) Vehicle camera
KR102006780B1 (ko) 카메라 모듈이 설치된 램프
KR102345685B1 (ko) 카메라 모듈
KR102353920B1 (ko) 차량용 카메라
KR102353918B1 (ko) 카메라
KR102430532B1 (ko) 카메라 모듈
KR100904183B1 (ko) 자동차용 카메라 모듈
KR101519781B1 (ko) 백플레이트 일체형의 bsd 모듈을 가지는 아웃사이드 미러
KR102634926B1 (ko) 카메라 모듈
KR101784630B1 (ko) 카메라
KR20210051767A (ko) 카메라 모듈
KR20230072638A (ko) 카메라 모듈
KR20240041851A (ko) 카메라 모듈
KR20240041812A (ko) 카메라 모듈 및 차량
KR102509123B1 (ko) 카메라 모듈
KR20230094896A (ko) 카메라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