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7166B1 - Emb용 감속기 일체형 모터 - Google Patents

Emb용 감속기 일체형 모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7166B1
KR102647166B1 KR1020210142343A KR20210142343A KR102647166B1 KR 102647166 B1 KR102647166 B1 KR 102647166B1 KR 1020210142343 A KR1020210142343 A KR 1020210142343A KR 20210142343 A KR20210142343 A KR 20210142343A KR 102647166 B1 KR102647166 B1 KR 1026471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unit
emb
reducer
planetary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23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59856A (ko
Inventor
백승구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2101423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7166B1/ko
Publication of KR202300598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98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71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71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14Actuating mechanisms for brakes; Means for initiating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0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 H02K7/116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with gea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121/00Type of actuator operation force
    • F16D2121/18Electric or magnetic
    • F16D2121/24Electric or magnetic using m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125/00Components of actuators
    • F16D2125/18Mechanical mechanisms
    • F16D2125/44Mechanical mechanisms transmitting rotation
    • F16D2125/46Rotating members in mutual engagement
    • F16D2125/50Rotating members in mutual engagement with parallel non-stationary axes, e.g. planetary gea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125/00Components of actuators
    • F16D2125/18Mechanical mechanisms
    • F16D2125/44Mechanical mechanisms transmitting rotation
    • F16D2125/46Rotating members in mutual engagement
    • F16D2125/52Rotating members in mutual engagement with non-parallel stationary axes, e.g. worm or bevel ge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tarders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EMB(electric mechanical brake)용 감속기 일체형 모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모터부와 감속부를 일체로 형성하여 전체 구조를 단순화하고 부피를 줄여주어 설치를 용이하게 할 뿐만 아니라 결합부위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으며, 단순구조의 수동 압부력 풀림기능을 갖추어 안전측 동작이 용이하며 실시간으로 압부력 및 캘리퍼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어 안정적으로 제동 작용을 수행할 수 있는 EMB용 감속기 일체형 모터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철도차량에 설치되는 EMB용 감속기 일체형 모터에 있어서, 대차의 일측에 설치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 일측에 형성되는 모터부와, 상기 모터부의 동력을 캘리퍼로 전달하는 감속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모터부와 감속부는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EMB용 감속기 일체형 모터{motor with reducer for EMB}
본 발명은 EMB(electric mechanical brake)용 감속기 일체형 모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모터부와 감속부를 일체로 형성하여 전체 구조를 단순화하고 부피를 줄여주어 설치를 용이하게 할 뿐만 아니라 결합부위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으며, 단순구조의 수동 압부력 풀림기능을 갖추어 안전측 동작이 용이하며 실시간으로 압부력 및 캘리퍼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어 안정적으로 제동 작용을 수행할 수 있는 EMB용 감속기 일체형 모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기계 브레이크(electric mechanjcal brake, EMB)는 차량을 감속 또는 정지시키거나 정지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브레이크 캘리퍼 내에 수용되는 기계식 브레이크기구를 포함한다. EMB에서, 기계식 브레이크기구는 일반적으로 기계식 브레이크기구로 전달되는 제동력 또는 토크를 발생하고 출력하도록 구성된 전기모터를 포함하는 전기액추에이터에 연결된다.
또한, EMB는 일반적으로 모터를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이러한 제어모듈은 케이블이나 버스-바(bus-bar)와 같은 다양한 전기적인 연결수단을 통하여 모터의 회전을 제어하거나 모터의 전력을 관리한다. 예를 들어, 모터를 위하여 센서로부터 검출되는 온도, 회전속도 등의 신호가 모터의 작동을 조절하기 위하여 제어모듈에 전달된다.
도 1은 전기액추에이터를 갖는 통상적인 EMB의 기능블록다이아그램을 보인 것이다. 도 1에서 보인 EMB에서, 브레이크는 모터 하우징(11)에 의하여 보호되고 캘리퍼(20)의 하우징(21)에 부착된 모터(110)를 포함한다. 도 1의 예에서 보인 바와 같이, 기계식 브레이크기구(22), 전동유닛(23) 및 클램프(24)는 캘리퍼(20)내에 수용되어 있다. 클램프(24)의 브레이크 패드에 연결되는 기계식 브레이크기구(22)는 하우징(21)내에 수용되어 있으며, 이러한 하우징(21)에는 또한 전동유닛(23)이 수용되어 있다. 모터(110)에 의하여 발생되는 제동력 또는 토크는 전동유닛(23)을 통하여 기계식 브레이크기구(22)에 전달된다. 전동유닛(23)은 예를 들어 기계식 브레이크기구에 제동력 또는 토크를 전달하여 차량의 제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다단계형 유성기어시스템 또는 다단계형 유성기어시스템과 같은 다양한 동력전달구조를 갖출 수 있다.
도 1에서 보인 EMB에서, 제어모듈(120)은 브레이크로부터 분리되고 캘리퍼(20)와 모터 하우징(11)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는 제어모듈 하우징 내에 제공된다. 별도의 제어모듈 하우징은 도 1에서 보인 바와 같이 차량샤시에 고정될 수 있다. 제어모듈(120)은 브레이크로부터 떨어져 배치되며, 이 제어모듈(120)은 중간에 케이블(41)을 통하여 모터(110)에 연결된다.
그런데, 전술한 종래 기술의 구성에서 캘리퍼(20)는 차량의 대차에 고정되지만 운행중 차륜의 진동에 따라 제동을 체결할 수 있도록 유연하게 결합되어 있다. EMB가 적용됨에 따라 구동부(모터와 감속기의 결합구성)의 무게가 증가하게 되고 차량으로부터 전달되는 캘리퍼(20)의 진동은 EMB 구동부에 전달되어 진동의 크기가 점점 커지는 공진현상으로 인해 모터(110)와 전동유닛(감속기, 23)의 결합부위가 파손되어 제동장치에 고장을 발생시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과전류 및 동작 불능 상태에서 제동상태를 원위치 시킬 수 있는 기계구조 측면의 Fail safety 기능을 추가 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10-2021-0005532(2021.01.14.공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EMB에서 캘리퍼를 동작시키기 위한 모터부와 감속부를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전체 구조를 단순화하고 부피를 줄여 주어 설치를 용이하게 할 뿐만 아니라 결합부위의 내구성을 높여 주어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EMB용 감속기 일체형 모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감속부의 일측에 수동풀림부를 형성하여 모터부의 작동이 불가능할 경우에는 수동으로 제동상태를 해정할 수 있으며, 압부력 및 캘리퍼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어 안정적으로 제동 작용을 수행할 수 있는 EMB용 감속기 일체형 모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철도차량에 설치되는 EMB용 감속기 일체형 모터에 있어서, 대차의 일측에 설치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 일측에 형성되는 모터부와, 상기 모터부의 동력을 캘리퍼로 전달하는 감속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모터부와 감속부는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감속부는 상기 모터부의 동력축과 연결되어 1차 감속하는 제1감속유닛과, 상기 제1감속유닛에서 감속한 회전 속도를 2차로 감속하여 상기 캘리퍼에 동력을 전달하는 제2감속유닛과, 상기 제1감속유닛에서 출력되는 회전력을 상기 제2감속유닛으로 전달하는 전달유닛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1감속유닛은 상기 동력축의 단부에 설치되는 제1선기어와, 상기 제1선기어와 접하는 제1유성기어와, 상기 제1유성기어의 외측에 접하도록 설치되는 제1링기어와, 상기 제1링기어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동력축과 일직선을 이루도록 설치되는 제1출력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상기 모터부와 감속부를 분리하는 분할판이 설치되고, 상기 분할판의 일측에는 상기 제1유성기어가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제1유성기어 케이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전달유닛은 상기 제1출력축의 단부에 설치되는 제1베벨기어와, 상기 제1출력축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설치되는 전달축과, 상기 전달축의 일측 단부에 상기 제1베벨기어와 접하도록 설치되는 제2베벨기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전달축은 상기 제2베벨기어가 형성되는 단부가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되어 수동풀림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2감속유닛은 상기 전달축의 타측 단부에 형성되는 제2선기어와, 상기 전달축의 단부 외측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제2유성기어 케이지와, 상기 제2유성기어 케이지에 상기 제2선기어와 접하도록 설치되는 제2유성기어와, 상기 제2유성기어의 외측에 설치되는 제2링기어와, 상기 제2유성기어 케이지의 단부에 상기 전달축과 일직선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제2출력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의 단부 일측에는 상기 제2링기어가 고정 설치되는 설치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2출력축은 상기 설치공을 통하여 외부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2출력축의 외측에는 상기 캘리퍼의 상태 및 압부력을 측정하기 위한 가변저항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EMB에서 캘리퍼를 동작시키기 위한 모터부와 감속부를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전체 구조를 단순화하고 부피를 줄여 주어 설치를 용이하게 할 뿐만 아니라 결합부위의 내구성을 높여 주어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감속부의 일측에 수동풀림부를 형성하여 모터부의 작동이 불가능할 경우에는 수동으로 제동상태를 해정할 수 있으며, 압부력 및 캘리퍼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어 안정적으로 제동 작용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전기 기계 브레이크의 기능 블록다이어그램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EMB용 감속기 일체형 모터의 조립된 상태의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EMB용 감속기 일체형 모터의 제1감속 유닛의 분리된 상태의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EMB용 감속기 일체형 모터의 제2감속 유닛의 분리된 상태의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EMB용 감속기 일체형 모터의 가변저항이 설치된 상태의 개념도이다.
도 6은 도 5 실시예에 따른 제어 회로의 개념도이다.
도 7은 도 6의 제어 회로에 따른 출력전압과 압부력의 관계의 일예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EMB용 감속기 일체형 모터의 조립된 상태의 개념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EMB용 감속기 일체형 모터의 제1감속 유닛의 분리된 상태의 개념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EMB용 감속기 일체형 모터의 제2감속 유닛의 분리된 상태의 개념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EMB용 감속기 일체형 모터의 가변저항이 설치된 상태의 개념도이고, 도 6은 도 5 실시예에 따른 제어 회로의 개념도이고, 도 7은 도 6의 제어 회로에 따른 출력전압과 압부력의 관계의 일예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철도차량에 설치되는 EMB(electric mechanical brake)를 작동시키기 위한 EMB용 감속기 일체형 모터에 관한 것으로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구성은 대차의 일측에 설치되는 하우징(200)과 상기 하우징(200)의 내부 일측에 형성되는 모터부(300)와 상기 모터부(300)의 동력을 캘리퍼(미도시)로 전달하는 감속부(40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모터부(300)와 감속부(400)는 상기 하우징(200)의 내측에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EMB 전체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고 그에 따라 부피를 줄여 주어 설치를 용이하게 할 뿐만 아니라 결합부위의 내구성을 높여 줌으로써, 장시간 사용하더라도 쉽게 손상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감속부(400)는 상기 모터부(300)의 동력축(310)과 연결되어 1차 감속하는 제1감속유닛(500)과 상기 제1감속유닛(500)에서 감속한 회전 속도를 2차로 감속하여 상기 캘리퍼에 동력을 전달하는 제2감속유닛(700)과 상기 제1감속유닛(500)에서 출력되는 회전력을 상기 제2감속유닛(700)으로 전달하는 전달유닛(600)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전달유닛(600)은 상기 모터부(300)의 동력축(310)과 캘리퍼의 작동축(미도시)이 서로 소정 각도로 형성될 경우 그에 해당되는 각도로 상기 제1감속유닛(500)과 제2감속유닛(700)의 각도를 조절하여 캘리퍼를 작동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모터부(300)의 동력축과 캘리퍼의 작동축이 동일 선상에 위치한다면 상기 전달유닛(600)을 사용하지 않을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제1감속유닛(500)은 상기 동력축(310)의 단부에 설치되는 제1선기어(510)와 상기 제1선기어(510)와 접하는 제1유성기어(530)와 상기 제1유성기어(530)의 외측에 접하도록 설치되는 제1링기어(54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제1링기어(540)의 일측 단부에는 제1출력축(550)이 제1링기어(540)와 일체로 형성되는데, 상기 제1출력축(550)은 상기 동력축(310)과 일직선을 이루도록 위치하여 상기 동력축(310)의 회전력을 최대한 손실없이 상기 제1출력축(550)으로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200)의 내측에는 상기 모터부(300)와 감속부(400)가 설치되는 공간이 형성되고, 내측 공간의 일측에는 상기 모터부(300)와 감속부(400)를 분리하기 위한 분할판(210)이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동력축(310)은 상기 분할판(210)을 관통하여 상기 감속부(400)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분할판(210)의 일측, 즉, 상기 감속부(400)가 설치되는 방향에는 제1유성기어 케이지(520)가 고정 설치된다.
이때, 상기 제1유성기어 케이지(520)에 상기 제1유성기어(530)가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제1유성기어 케이시(520)의 일측면 중심부에는 상기 동력축(310)의 단부가 삽입되는 제1축수용홈(522)이 형성된다.
그래서, 상기 동력축(310)의 회전력이 상기 제1선기어(510), 제1유성기어(530) 및 제1링기어(540)를 통하여 감속되어 상기 제1출력축(550)으로 전달될 수 있으며, 상기 제1축수용홈(522)에 의해 상기 동력축(310)과 제1출력축(550)이 동일선상에 위치할 수 있어 동력의 손실을 최대한 방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전달유닛(600)은 상기 제1출력축(550)의 단부에 설치되는 제1베벨기어(610)와 상기 제1출력축(550)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설치되는 전달축(620)과 상기 전달축(620)의 일측 단부에 상기 제1베벨기어(610)와 접하도록 설치되는 제2베벨기어(63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전달축(620)의 각도는 상기 모터부(300)의 동력축(310)과 캘리퍼의 작동축이 형성하는 각도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모터부(300)의 동력을 안정적으로 캘리퍼로 전달하게 된다.
이때, 상기 하우징(200)의 단부 내측에는 지지부재(240)가 구비되어 상기 전달축(620)이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전달축(620)의 일측 단부는 상기 하우징(200)을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되게 되는데, 상기 하우징(200)을 관통하여 돌출된 부분은 다각형상 또는 중심부에 랜치홈을 형성하여 수동풀림부(640)를 형성하게 된다.
그래서, 다양한 원인으로 하여 모터부(300)의 작동이 불가능할 경우에는 상기 수동풀림부(640)에 랜치 또는 스패너 등의 공구를 사용하여 수동으로 제동상태를 해정할 수 있어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상기 제2감속유닛(700)은 상기 전달축(620)의 타측 단부에 형성되는 제2선기어(710)와 상기 상기 제2선기어(710)와 접하도록 설치되는 제2유성기어(730)와 상기 제2유성기어(730)의 외측에 설치되는 제2링기어(74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전달축(620)의 단부에는 제2유성기어 케이지(720)가 설치되는데, 상기 제2유성기어 케이지(720)의 일측에는 상기 전달축(620)의 단부가 삽입되는 제2축수용홈(722)이 형성되며, 상기 제2유성기어 케이지(720)에는 상기 제2유성기어(730)가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회전축(732)이 설치된다.
한편, 상기 하우징(200)의 단부 일측에는 설치공(220)이 형성되고, 상기 설치공(220)에 상기 제2링기어(740)가 고정 설치되는데, 상기 제2유성기어 케이지(720)가 상기 제2링기어(740) 즉, 설치공(220)을 통하여 상부로 돌출된다.
여기서, 상기 제2유성기어 케이지(720)의 단부에는 제2출력축(750)이 형성되는데, 상기 제2출력축(750)은 상기 설치공(220)의 외부로 돌출되며, 상기 제2축수용홈(722)에 의해 상기 전달축(620)과 제2출력축(750)이 일직선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동력의 손실을 줄여주게 된다.
따라서, 상기 감속부(400)를 전술한 바와 같이 제1감속유닛(500), 전달유닛(600) 및 제2감속유닛(700)으로 컴팩트하게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EMB 전체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고 그에 따라 부피를 줄여 주어 설치를 용이하게 할 뿐만 아니라 결합부위의 내구성을 높여 주어 장시간 사용하더라도 쉽게 손상되지 않도록 한다.
이때, 상기 하우징(200)의 단부 일측에는 링 형상의 커버부재(230)가 더 설치되는데, 상기 커버부재(230)는 상기 제2유성기어 케이지(720)의 외측에 위치하여 외력에 의해 상기 제2유성기어 케이지(72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출력축(750)의 외측에는 가변저항(800)이 더 설치되는데, 상기 가변저항(800)은 상기 제2출력축(750)의 회전 정도에 따라 저항값이 변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200)의 외측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어회로가 더 구비되는데, 상기 제어회로는 휘스톤브릿지를 사용하여 상기 가변저항(800)의 변화에 따라 출력되는 전압(Vout)이 변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2출력축(750)의 위치(각도)의 계산이 가능하게 된다.
즉, 상기 제어회로를 구성하는 휘스톤브릿지의 모든 저항은 하기의 식이 성립된다.
식 :
Figure 112021121749012-pat00001
이때, Vout의 전압은 0의 값을 갖게 된다.
만일, 전압출력이 0인 경우를 제동해제 상태로 셋팅하게 되면 제2출력축(750)의 회전에 따라 VR 값이 변화하고 상기 식에 따라 Vout 전압값이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Vout과 Fout의 관계에 따라 Vout 값의 증가는 제2출력축(750)의 회전에 따른 캘리퍼의 작동축의 이동거리가 되고, 이동거리는 캘리퍼에서 작용하는 압부력과 1차 또는 2차식의 관계가 성립하게 되므로 제동체결 상태에서의 압부력의 측정이 가능하게 된다.
그래서, 상기 제2출력축(750)에 설치된 가변저항(800)을 통하여 상기 캘리퍼의 상태 및 압부력을 측정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 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은 EMB(electric mechanical brake)용 감속기 일체형 모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모터부와 감속부를 일체로 형성하여 전체 구조를 단순화하고 부피를 줄여주어 설치를 용이하게 할 뿐만 아니라 결합부위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으며, 단순구조의 수동 압부력 풀림기능을 갖추어 안전측 동작이 용이하며 실시간으로 압부력 및 캘리퍼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어 안정적으로 제동 작용을 수행할 수 있는 EMB용 감속기 일체형 모터에 관한 것이다.
200 : 하우징 210 : 분할판
220 : 설치공 230 : 커버부재
240 : 지지부재 300 : 모터부
310 : 동력축 400 : 감속부
500 : 제1감속유닛 510 : 제1선기어
520 : 제1유성기어 케이지 530 : 제1유성기어
540 : 제1링기어 550 : 제1출력축
600 : 전달유닛 610 : 제1베벨기어
620 : 전달축 630 : 제2베벨기어
640 : 수동풀림부 700 : 제2감속유닛
710 : 제2선기어 720 : 제2유성기어 케이지
730 : 제2유성기어 740 : 제2링기어
750 : 제2출력축 800 : 가변저항

Claims (9)

  1. 철도차량에 설치되는 EMB용 감속기 일체형 모터에 있어서,
    대차의 일측에 설치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 일측에 형성되는 모터부와,
    상기 모터부의 동력을 캘리퍼로 전달하는 감속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모터부와 감속부는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감속부는 상기 모터부의 동력축과 연결되어 1차 감속하는 제1감속유닛과,
    상기 제1감속유닛에서 감속한 회전 속도를 2차로 감속하여 상기 캘리퍼에 동력을 전달하는 제2감속유닛과,
    상기 제1감속유닛에서 출력되는 회전력을 상기 제2감속유닛으로 전달하는 전달유닛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감속유닛은 상기 동력축의 단부에 설치되는 제1선기어와,
    상기 제1선기어와 접하는 제1유성기어와,
    상기 제1유성기어의 외측에 접하도록 설치되는 제1링기어와,
    상기 제1링기어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동력축과 일직선을 이루도록 설치되는 제1출력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상기 모터부와 감속부를 분리하는 분할판이 설치되고,
    상기 분할판의 일측에는 상기 제1유성기어가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제1유성기어 케이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MB용 감속기 일체형 모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유닛은 상기 제1출력축의 단부에 설치되는 제1베벨기어와,
    상기 제1출력축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설치되는 전달축과,
    상기 전달축의 일측 단부에 상기 제1베벨기어와 접하도록 설치되는 제2베벨기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MB용 감속기 일체형 모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축은 상기 제2베벨기어가 형성되는 단부가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되어 수동풀림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MB용 감속기 일체형 모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감속유닛은 상기 전달축의 타측 단부에 형성되는 제2선기어와,
    상기 전달축의 단부 외측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제2유성기어 케이지와,
    상기 제2유성기어 케이지에 상기 제2선기어와 접하도록 설치되는 제2유성기어와,
    상기 제2유성기어의 외측에 설치되는 제2링기어와,
    상기 제2유성기어 케이지의 단부에 상기 전달축과 일직선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제2출력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MB용 감속기 일체형 모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단부 일측에는 상기 제2링기어가 고정 설치되는 설치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2출력축은 상기 설치공을 통하여 외부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MB용 감속기 일체형 모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출력축의 외측에는 상기 캘리퍼의 상태 및 압부력을 측정하기 위한 가변저항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MB용 감속기 일체형 모터.
KR1020210142343A 2021-10-25 2021-10-25 Emb용 감속기 일체형 모터 KR1026471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2343A KR102647166B1 (ko) 2021-10-25 2021-10-25 Emb용 감속기 일체형 모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2343A KR102647166B1 (ko) 2021-10-25 2021-10-25 Emb용 감속기 일체형 모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9856A KR20230059856A (ko) 2023-05-04
KR102647166B1 true KR102647166B1 (ko) 2024-03-15

Family

ID=863797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2343A KR102647166B1 (ko) 2021-10-25 2021-10-25 Emb용 감속기 일체형 모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716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32993A (ja) 2014-07-31 2016-03-10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電動パーキングブレーキ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1009197C2 (nl) * 1998-05-18 1999-11-19 Skf Eng & Res Centre Bv Schroefactuator, en remklauw met een dergelijke schroefactuator.
KR101950234B1 (ko) * 2017-06-08 2019-02-22 주식회사 유니크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용 액추에이터
KR20210005532A (ko) 2019-07-04 2021-01-14 주식회사 만도 전기기계식 브레이크시스템
KR20210026164A (ko) * 2019-08-29 2021-03-10 주식회사 만도 브레이크장치용 액츄에이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32993A (ja) 2014-07-31 2016-03-10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電動パーキングブレーキ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9856A (ko) 2023-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30769B2 (ja) ブレーキを作動させるための負荷センサを備える機構
US5949168A (en) Electric motor assembly and a brake actuator incorporating said electric motor assembly
US10864822B2 (en) Vehicle drive system
US20180215368A1 (en) Brake unit
EP3260724B1 (en) Actuator for brake, and brake device
JPS61235253A (ja) ペダル装置
US9663089B2 (en) Vehicle electric braking device
US4648498A (en) Motor-operated clutch
EP0586598B1 (en) Cable operated electromechanical brake and system therefor
WO2013079891A1 (en) Valve actuator torque limiter
EP0247733A2 (en) Electric actuators
KR102647166B1 (ko) Emb용 감속기 일체형 모터
EP1456554B1 (en) A parking brake arrangement in an electrically operated brake
JP4285995B2 (ja) 電子機械式のブレーキ締付け装置
KR20100095461A (ko) 액츄에이터 디바이스 및 상기 액츄에이터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WO2022043532A1 (en) Steer-by-wire steering system comprising a steering wheel rotation limiting device
WO2022043533A1 (en) Steer-by-wire steering system having an off-axis steering system support column provided with a steering wheel rotation limiting device
KR101454925B1 (ko) 로드 감응형 리미트 스위치를 이용한 전자 주차 브레이크장치
JP2008051195A (ja) 電動パーキングブレーキ装置
KR20190135744A (ko) 차량용 액추에이터
EP4275992A2 (en) Steer-by-wire steering system having an off-axis steering system support column
JP2008309516A (ja) 張力センサおよび同張力センサを採用した車両用電動パーキングブレーキ装置
GB2331275A (en) Pretensioner clutch housing divided into two seperate parts
JP2024023155A (ja) ブレーキングシステムのための制御方法及び電子機械ブレーキングシステム
EP3960582A1 (en) Steer-by-wire steering system comprising an outer rotor torque feedback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