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6665B1 - 등방가압성형장치용 반응용기 및 이를 구비한 등방가압성형장치 - Google Patents

등방가압성형장치용 반응용기 및 이를 구비한 등방가압성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6665B1
KR102646665B1 KR1020230167855A KR20230167855A KR102646665B1 KR 102646665 B1 KR102646665 B1 KR 102646665B1 KR 1020230167855 A KR1020230167855 A KR 1020230167855A KR 20230167855 A KR20230167855 A KR 20230167855A KR 102646665 B1 KR102646665 B1 KR 1026466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tight
electrode
main vessel
reaction vessel
lower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678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범
이재두
김용옥
Original Assignee
(주)일신오토클레이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일신오토클레이브 filed Critical (주)일신오토클레이브
Priority to KR10202301678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66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66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66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1/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forming shaped articles from material in particulate or plastic state, e.g. briquetting presses, tabletting presses
    • B30B11/001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forming shaped articles from material in particulate or plastic state, e.g. briquetting presses, tabletting presses using a flexible element, e.g. diaphragm, urged by fluid pressure; Isostatic presses
    • B30B11/002Isostatic press chambers; Press stand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3/00Manufacture of workpieces or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compacting or sinter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Presses and furnaces
    • B22F3/12Both compacting and sintering
    • B22F3/14Both compacting and sintering simultaneously
    • B22F3/15Hot isostatic pres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 B30B15/34Heating or cooling presses or part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3/00Manufacture of workpieces or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compacting or sinter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Presses and furnaces
    • B22F3/12Both compacting and sintering
    • B22F3/14Both compacting and sintering simultaneously
    • B22F3/15Hot isostatic pressing
    • B22F2003/153Hot isostatic pressing apparatus specific to HI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owder Metallur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등방가압성형(HIP, HOT ISOSTATIC PRESSING)장치는 기체를 전달매체로 이용하여 소재의 융점 이하의 온도에서 100MPa 이상의 압력을 가하여 고밀도 소결 성형 및 이종 금속의 확산 접합이 가능하여 항공우주, 에너지, 자동차, 반도체, 의료 등과 같은 고부가가치를 지니는 소재 및 부품 사업에 사용되는 장치이다.
이러한 본 발명인 등방가압성형장치용 반응용기는, 원통형태로 형성되고, 상부와 하부에 각각 결합수단을 갖는 반응용기용 메인베슬; 상기 메인베슬의 외측에 형성된 쿨링용 자켓; 상기 메인베슬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커버; 상기 메인베슬의 하부에 결합되는 하부커버; 상기 메인베슬의 내측에 삽입되어 설치되는 원통형의 단열복합체; 상기 메인베슬의 내측에 삽입된 가열수단인 히터전극복합체;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커버에는 히터전극복합체와 외부의 전원부가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다수의 연결용 전극봉으로 이루어진 연결용 전극부을 갖으며, 상기 하부커버가 메인베슬에 결합된 상태에서 히터전극복합체를 삽입설치하여 각각의 연결용 전극봉을 가압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하부커버와 연결용 전극봉 사이에는 상부에서 가해지는 압력에 의하여 기밀능력이 향상되도록 이루어진 고압용 기밀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등방가압성형장치용 반응용기 및 이를 구비한 등방가압성형장치{REACTION VESSEL FOR HOT ISOSTATIC PRESSING DEVICE AND HOT ISOSTATIC PRESSING DEVICE EQUIPPED WITH THIS}
본 발명은 등방가압성형(HIP, HOT ISOSTATIC PRESSING)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기체를 전달매체로 이용하여 소재의 융점 이하의 온도에서 100MPa 이상의 압력을 가하여 고밀도 소결 성형 및 이종 금속의 확산 접합이 가능하여 항공우주, 에너지, 자동차, 반도체, 의료 등과 같은 고부가가치를 지니는 소재 및 부품 사업에 사용되는 등방가압성형(HIP)장치에 관한 것이다.
등방가압성형(또는 열간등방가압성형, Hot Isostatic Pressing, 이하 HIP)이란, 기체를 전달매체로 이용하여 소재의 융점 이하의 온도에서 100MPa 이상의 압력을 가하여 고밀도 소결 성형 및 이종 금속의 확산접합을 하는 가공방법이다.
즉, 일반적으로 등방가압성형(HIP)장치는 아르곤 가스 등의 가스를 매체로 높은 압력과 높은 온도의 상승 효과를 이용하여 처리하는 기술이며, 용접이 곤란한 재료의 접합도 가능하다.
이러한 이유에 의하여 등방가압성형(HIP) 장치는 보통 고부가가치를 지니는 항공우주, 에너지, 자동차, 반도체, 의료 등과 같은 소재·부품 산업에 사용된다.
하지만, 일본, 미국, 유럽 중심의 선진국의 회사들만이 그 기술을 독점하고 있고, 전략적으로 기술의 유출을 극도로 경계하고 있어 국내 등방가압성형(HIP) 장치의 장비는 전량 수입에 의존하고 있어 장비 수급 및 등방가압성형(HIP) 공정을 통한 관련 사업으로의 확대 보급에 어려움을 격고 있는 실정이다.
즉, 등방가압성형(HIP) 장치에 관련한 특허기술문헌을 살펴보면, 국내 등록특허 제0714248호인 등방가압 성형장치, 국내 등록특허 제0871952호인 등방압 가압 장치, 국내 등록특허 제1429776호인 등방가압 성형장치, 국내 등록특허 제1065901호인 등방압 가압 장치 및 그 재가압 시의 증압 방법, 국내 등록특허 제1347771호인 등방 가압 장치 및 등방 가압 방법 등이 있으며, 특허권자는 모두 외국인으로, 기술개발이 절실한 실정이다.
등방가압성형(HIP) 공정은, 예를들면, 분말야금(powder metallurgy) 공정에서 근사정형기술(near-net shape technology, 이하 NNS)을 적용한 부품제조와 As cast/MIM/3D print를 이용해 제조한 성형체에 존재하는 기공을 제거하는데 사용된다. 분말야금은 금속분말 또는 합금분말을 이용하여 마치 금속을 녹여 만든 것처럼 원하는 형태를 갖는 금속 물체를 만드는 공정으로 등방가압성형(HIP)처리를 통한 재료의 밀도를 증가시킬 수 있으며 As cast/MIM/3D print를 통해 제작한 성형체에 존재하는 기공을 제거함으로써 기계적 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최근에는 반도체, 내마모 기계 초경 그리고 AM(Additive manufacturing, 3D printing) 산업의 성장으로 등방가압성형(HIP)장치을 이용한 고부가가치 제품의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KR) 등록특허 10-0714248 (KR) 등록특허 10-0871952 (KR) 등록특허 10-1429776 (KR) 등록특허 10-1065901 (KR) 등록특허 10-1347771
이에 본 발명은 등방가압성형(HIP)장치에 사용되는 반응용기 및 이를 구비한 등방가압성형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반응용기 내에 고온으로 가열하기 위한 수단으로 히터전극복합체가 구비된 등방가압성형(HIP)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가열수단인 히터전극복합체에 외부의 전원과 연결하기 위하여 구비되는 다수의 전극봉에서 고압에서도 기밀유지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고자 하는 본 발명인 등방가압성형장치용 반응용기는, 원통형태로 형성되고, 상부와 하부에 각각 결합수단을 갖는 반응용기용 메인베슬; 상기 메인베슬의 외측에 형성된 쿨링용 자켓; 상기 메인베슬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커버; 상기 메인베슬의 하부에 결합되는 하부커버; 상기 메인베슬의 내측에 삽입되어 설치되는 원통형의 단열복합체; 상기 메인베슬의 내측에 삽입된 가열수단인 히터전극복합체;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커버에는 히터전극복합체와 외부의 전원부가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다수의 연결용 전극봉으로 이루어진 연결용 전극부을 갖으며, 상기 하부커버가 메인베슬에 결합된 상태에서 히터전극복합체를 삽입설치하여 각각의 연결용 전극봉을 가압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하부커버와 연결용 전극봉 사이에는 상부에서 가해지는 압력에 의하여 기밀능력이 향상되도록 이루어진 고압용 기밀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고압용 기밀수단은, 상기 하부커버에 연결용 전극봉이 삽입되는 다수의 전극봉용 설치홀의 전극봉 입구측에 형성된 기밀용 내측테이퍼부; 상기 전극봉용 설치홀에 삽입되어 양단부가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연결용 전극봉의 상부에 기밀용 내측테이퍼부와 대향되는 기밀용 외측테이퍼부; 상기 기밀용 외측테이퍼부에 삽입되는 복수의 기밀용 테이퍼링; 복수의 상기 기밀용 테이퍼링 사이에 설치되는 기밀용 오링를 포함한다.
상기 기밀용 테이퍼링은 적어도 3개 이상이 사용되어 2개 기밀용 오링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하부커버의 전극봉용 설치홀에 삽입설치되는 연결용 전극봉의 기밀설치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연결용 전극봉의 하단부분에는 고정용 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용 나사부에는 탄성부재를 갖는 고정용 너트가 설치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인 등방가압성형장치용 반응용기 및 이를 구비한 등방가압성형장치에서는 가열수단으로 히터전극복합체를 이용함으로써 고온으로 가열 및 온도조절이 용이할 수 있다.
또한, 반응용기의 하부커버와 이에 구비되는 연결용 전극봉 사이에는 고압용 기밀수단이 형성되어 고압에서는 기밀을 유지할 수 있어 고온 및 고압 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를 표현한 등방가압성형장치용 반응용기의 조립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표현한 등방가압성형장치용 반응용기의 분리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를 표현한 등방가압성형장치용 반응용기의 히터전극복합체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표현한 등방가압성형장치용 반응용기의 히터전극복합체의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표현한 등방가압성형장치용 반응용기의 히터전극복합체의 하부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를 표현한 등방가압성형장치용 반응용기의 하부커버와 이에 구비되는 연결용 전극봉의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를 표현한 하부커버와 이에 구비되는 연결용 전극봉 사이에 형성되는 고압용 기밀수단에 대한 요부상세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표현한 하부커버에 구비되는 연결용 전극봉에 형성되는 고압용 기밀수단에 대한 요부상세도.
도 9는 본 발명의 고압용 기밀수단이 갖는 오링이탈방지수단에 대한 분리상태 요부상세도.
도 10은 본 발명의 고압용 기밀수단이 갖는 오링이탈방지수단에 대한 조립상태 요부상세도.
도 11은 본 발명의 고압용 기밀수단이 갖는 오링이탈방지수단의 다양한 실시 예를 표현하고 있는 요부상세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며,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등방가압성형(HIP, HOT ISOSTATIC PRESSING)장치는 기체를 전달매체로 이용하여 소재의 융점 이하의 온도에서 100MPa 이상의 압력을 가하여 고밀도 소결 성형 및 이종 금속의 확산 접합이 가능하여 항공우주, 에너지, 자동차, 반도체, 의료 등과 같은 고부가가치를 지니는 소재 및 부품 사업에 사용되는 장치이다.
실시예인 첨부된 도면은 등방가압성형(HIP)장치에 사용되는 등방가압성형장치용 반응용기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등방가압성형장치용 반응용기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인 등방가압성형장치용 반응용기는 원통형태로 형성되어 상부와 하부에 각각 결합수단(11, 12)을 갖는 반응용기용 메인베슬(10)와, 상기 메인베슬(10)의 외측에 형성된 쿨링용 자켓(20)과, 상기 메인베슬(10)의 상부에 형성된 상부 결합수단(11)에 결합되어 설치되는 상부커버(30)와, 상기 메인베슬(10)의 하부에 형성된 하부 결합수단(12)에 결합되어 설치되는 하부커버(40)와, 상기 메인베슬(10)의 내측에 삽입되어 설치되는 원통형의 단열복합체(50)와, 상기 메인베슬(10)의 내측에 삽입되는 가열수단인 히터전극복합체(60)와, 상기 하부커버(40)에 설치되어 외부의 전원부(미도시)와 히터전극복합체(60)를 연결하는 다수의 연결용 전극봉(71)으로 이루어진 연결용 전극부(70)를 포함한다.
상기 반응용기용 메인베슬(10)은 통상의 압력 반응용기로 반응공간부(10a)를 형성할 수 있도록 원통형태로 형성되어 상부와 하부가 개구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부와 하부에는 각각 상부커버(30)와 하부커버(40)가 설치될 수 있도록 결합용 나사홈이 형성되어 있는 상부 결합수단(11)과 하부 결합수단(12)을 갖는다.
상기 상부 결합수단(11)과 하부 결합수단(12)에는 상부커버(30)와 하부커버(40)가 각각 나사결합되어 고압에서도 기밀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쿨링용 자켓(20)은 고온으로 가열된 반응용기용 메인베슬(10)을 빠른 시간에 냉각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 외주연에 형성되며, 냉각용 열매체가 순환할 수 있도록 열매체용 입구와 열매체용 출구를 갖는다.
상기 상부커버(30)는 통상의 것으로 반응용기용 메인베슬(10)의 상부 결합수단(11)과 나사 결합할 수 있도록 외주연에 결합용 나사부(31)가 형성되어 있다.
보통 피가공물은 반응용기용 메인베슬(10)의 상부를 통하여 출입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피가공물의 출입을 위하여 상부커버(30)는 반응용기용 메인베슬(10)의 상부 결합수단(11)에서 분리결합된다.
상기 하부커버(40)는 반응용기용 메인베슬(10)의 하부 결합수단(12)과 나사 결합할 수 있도록 외주연에 결합용 나사부(41)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커버(30)와 달리 한번 결합된 하부커버(40)는 반응용기용 메인베슬(10)의 하부 결합수단(12)에서 수리 및 교체 등과 같은 특별한 경우에만 분리된다.
이러한 하부커버(40)는 다수의 연결용 전극봉(71)을 설치하기 위한 다수의 전극봉용 설치홀(42)를 갖는다.
상기 단열복합체(50)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진 반응용기용 메인베슬(10)의 반응공간부(10a)에 삽입되는 구성으로 보통 원통형태로 이루어진다.
원통형태로 이루어진 상기 단열복합체(50)는 보통 히터전극복합체(60)의 발열전극봉을 감싸도록 반응용기용 메인베슬(10)의 반응공간부(10a)에 삽입되어, 히터전극복합체(60)의 발열전극봉에서 가열된 열이 손실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히터전극복합체(60)는 반응용기용 메인베슬(10)의 반응공간부(10a)에 삽입되고, 외부의 전원부와 연결되어 반응공간부(10a)의 온도를 가열하도록 하는 구성이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히터전극복합체(60)는, 원판형태로 이루어진 피가공물이 안착되는 피가공물 설치대(61)와, 상기 피가공물 설치대(61)의 하측으로 다수의 받침다리(62a)를 갖는 전극복합체 베이스(62)와, 상기 피가공물 설치대(61)에 안착되는 피가공물의 둘레로 수직 히터전극봉(64)이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링형태의 상부 전극설치대(63-1)와 하부 전극설치대(63-2)로 이루어진 전극설치대(63)와, 상기 상부 전극설치대(63-1)에 일단이 설치되고, 타단은 하부 전극설치대(63-2)에 설치되는 다수의 수직 히터전극봉(64)과, 상기 피가공물 설치대(61)의 하측에 설치된 수평 히터전극봉(65)과, 상기 수직 히터전극봉(64)과 수평 히터전극봉(65)이 외부의 전원부와 연결되도록 연결용 전극봉(71)의 일단이 삽입되도록 전극봉 연결삽입구(66a)를 갖든 다수의 전극봉 연결구(66)의 구성을 포함한다.
이러한 상기 히터전극복합체(60)는, 다수의 연결용 전극봉(71)로 이루어진 연결용 전극부(70)를 갖는 하부커버(40)가 설치된 반응용기용 메인베슬(10)의 반응공간부(10a)에 삽입되어 설치된다.
이때, 상기 반응용기용 메인베슬(10)의 반응공간부(10a)에 삽입되는 히터전극복합체(60)에 구비된 다수의 전극봉 연결구(66)의 전극봉 연결삽입구(66a)에는 연결용 전극봉(71)의 일단이 삽입된다.
도 6과 도 7를 참조하면,
상기 연결용 전극부(70)는 하부커버(40)에 형성된 다수의 전극봉용 설치홀(42)에 설치된 연결용 전극봉(71)로 이루어지며, 외부의 전원부와 히터전극복합체(60) 사이에 전원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연결하는 구성이다.
상기 연결용 전극부(70)를 이루는 연결용 전극봉(71)는, 전극봉 연결구(66)의 전극봉 연결삽입구(66a)에 삽입되도록 테이퍼 전극연결봉(71a)을 갖는 상부연결 전극부(71-1)와, 전극봉용 설치홀(42)에 삽입되어 일단인 하단부분이 하부커버(40)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고 고정용 나사부(72)를 갖는 하부연결 전극부(71-2)로 구성된다.
상기 상부연결 전극부(71-1)와 하부연결 전극부(71-2)는 나사결합방식으로 결합된다. 이는 연결용 전극봉(71)의 제작이 용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연결용 전극부(70)의 연결용 전극봉(71)은 도 6과 같이 전극봉용 설치홀(42)의 상측에서 삽입된 후 고정용 나사부(72)에 고정용 너트(73)를 설치하여 고정한다. 보통 고정용 너트(73)의 설치시 탄성부재(74)를 설치하여 하부커버(40)와 연결용 전극봉(71) 사이에 설치되는 고압용 기밀수단(80)에 적절한 압축력(장력)이 작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탄성부재(74)는 전기가 통하지 않는 고무(rubber)와 같은 탄성의 성질을 갖는 비전도성 물질을 사용한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고압용 기밀수단(80)은 하부커버(40)와 연결용 전극봉(71) 사이에 설치되어 고압시에도 반응공간부(10a) 내의 고압가스가 외부로 유출되는 현상을 방지하도록 하는 구성이다.
상기 고압용 기밀수단(80)은, 다수의 전극봉용 설치홀(42)의 전극봉 입구측에 형성된 기밀용 내측테이퍼부(81)와, 상기 전극봉용 설치홀(42)에 삽입되어 양단부가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연결용 전극봉(71)의 상부에 기밀용 내측테이퍼부(81)와 대향되는 기밀용 외측테이퍼부(82)와, 상기 기밀용 외측테이퍼부(82)에 삽입되는 복수의 기밀용 테이퍼링(83)과, 복수의 상기 기밀용 테이퍼링(83) 사이에 설치되는 기밀용 오링(84)을 포함한다.
상기 기밀용 내측테이퍼부(81)와 기밀용 외측테이퍼부(82) 및 복수의 기밀용 테이퍼링(83)이 이루는 경사각은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고정용 너트(73)를 이용하여 조임시 압축력(장력)에 의하여 복수의 기밀용 테이퍼링(83) 사이에 설치된 기밀용 오링(84)을 가압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기밀용 테이퍼링(83)은 내열성이 좋고 전기가 통하지 않는 비전도성 물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기 기밀용 테이퍼링(83)은 도 7과 같이 상부에 위치한 제1 기밀용 테이퍼링(83-1)과, 하부에 위치한 제2 기밀용 테이퍼링(83-2)과 같이 2개 이루어져 하나의 기밀용 오링(84)이 설치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또는 도 8과 같이 상부에 위치한 제1 기밀용 테이퍼링(83-1)과, 하부에 위치한 제2 기밀용 테이퍼링(83-2)과, 그 사이에 위치하는 제3 기밀용 테이퍼링(83-3)과 같이 3개 이루어져 2개의 기밀용 오링(84)이 설치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고압용 기밀수단(80)은 고정용 너트(73)를 이용하여 조임시 압축력(장력)이 작용하게 되며, 기밀용 오링(84)은 상부와 하측에 위치하는 기밀용 테이퍼링(83)에 가압된다.
도 9와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기밀용 테이퍼링(83)은 고정용 너트(73)를 이용하여 조임시 발생하는 압축력(장력)에 의하여 기밀용 오링(84)이 내측 또는 외측으로 편중되거나 원위치에서 이탈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오링이탈방지수단(85)을 갖는다.
상기 오링이탈방지수단(85)은 제2 기밀용 테이퍼링(83-2)의 상부에 형성되어 기밀용 오링(84)이 외측으로 이탈하지 않도록 형성된 외측이탈방지구(85-1)와, 제1 기밀용 테이퍼링(83-1)의 하부에 형성되어 기밀용 오링(84)이 내측으로 말려들어가지 않도록 형성된 내측이탈방지구(85-2)로 형성된다.
상기 외측이탈방지구(85-1)와 내측이탈방지구(85-2)는 경사면으로 형성되며, 경사면은 직선형이 아니 호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들면. 제2 기밀용 테이퍼링(83-2)은 기밀용 오링(84)의 하측에 위치하여 상대적으로 작음으로써 조임시 발생하는 압축력(장력)에 의하여 기밀용 오링(84)이 제2 기밀용 테이퍼링(83-2)의 외측으로 벗어날 수 있으며, 제1 기밀용 테이퍼링(83-1)은 기밀용 오링(84)의 상측에 위치하여 상대적으로 큼으로서 조임시 발생하는 압축력(장력)에 의하여 기밀용 오링(84)이 제1 기밀용 테이퍼링(83-1)의 내측으로 말려들어갈 수 있다.
상기 오링이탈방지수단(85)은 이러한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오링이탈방지수단(85)은 도 11과 같이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1의 (a)와 같이 외측이탈방지구(85-1)와 내측이탈방지구(85-2)는 경사면으로만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도 11의 (b)와 같이 외측이탈방지구(85-1)와 내측이탈방지구(85-2)는 호형상의 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도 11의 (c)와 같이 외측이탈방지구(85-1)와 내측이탈방지구(85-2)는 직선부와 경사부를 같는 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1의 (c)와 같이 외측이탈방지구(85-1)와 내측이탈방지구(85-2)에 각각 형성된 직선부는 조임시 발생하는 압축력(장력)이 강하게 작용할 수 있도록 하며, 경사부는 이탈방지 및 내측으로 말려들어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인 등방가압성형장치용 반응용기는,
고압용 기밀수단(80)으로 고압에서도 가스가 유출되지 않도록 설치된 연결용 전극부(70)를 갖는 하부커버(40)를 반응용기용 메인베슬(10)에 설치하고,
상기 하부커버(40)가 설치된 반응용기용 메인베슬(10)의 반응공간부(10a)에 히터전극복합체(60)를 삽입하며, 이때에 다수의 전극봉 연결구(66)의 전극봉 연결삽입구(66a)에는 다수의 연결용 전극봉(71)의 테이퍼 전극연결봉(71a)이 삽입되도록 한다.
상기 히터전극복합체(60)가 삽입된 반응공간부(10a)에 원통형의 단열복합체(50)를 삽입하되, 상기 단열복합체(50)가 원형으로 배치된 다수의 수직 히터전극봉(64)을 감싸도록 한다.
보통, 상기 반응용기용 메인베슬(10)의 상부로부터 피가공물이 히터전극복합체(60)의 피가공물 설치대(61)에 설치되며, 상부커버(30)가 설치되고, 가스가 공급되며, 외부에서 전원이 공급되어 고온 고압으로 등방가압하여 성형을 하게 된다.
10 : 반응용기용 메인베슬
20 : 쿨링용 자켓
30 : 상부커버
40 : 하부커버 42 : 전극봉용 설치홀
50 : 단열복합체
60 : 히터전극복합체
70 : 연결용 전극부 71 : 연결용 전극봉
80 : 고압용 기밀수단 81 : 기밀용 내측테이퍼부
82 : 기밀용 외측테이퍼부 83 : 기밀용 테이퍼링
84 : 기밀용 오링 85 : 오링이탈방지수단

Claims (6)

  1. 등방가압성형장치용 반응용기에 있어서,
    원통형태로 형성되고, 상부와 하부에 각각 결합수단을 갖는 반응용기용 메인베슬(10); 상기 메인베슬(10)의 외측에 형성된 쿨링용 자켓(20); 상기 메인베슬(10)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커버(30); 상기 메인베슬(10)의 하부에 결합되는 하부커버(40); 상기 메인베슬(10)의 내측에 삽입되어 설치되는 원통형의 단열복합체(50); 상기 메인베슬(10)의 내측에 삽입되는 가열수단인 히터전극복합체(60);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커버(40)에는 히터전극복합체(60)와 외부의 전원부가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다수의 연결용 전극봉(71)으로 이루어진 연결용 전극부(70)를 갖으며,
    상기 하부커버(40)가 메인베슬(10)에 결합된 상태에서 히터전극복합체(60)를 삽입설치하여 각각의 연결용 전극봉(71)을 가압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하부커버(40)와 연결용 전극봉(71) 사이에는 상부에서 가해지는 압력에 의하여 기밀능력이 향상되도록 이루어진 고압용 기밀수단(80)을 포함하며,
    상기 고압용 기밀수단(80)은,
    상기 하부커버(40)에 연결용 전극봉(71)이 삽입되는 다수의 전극봉용 설치홀(42)의 전극봉 입구측에 형성된 기밀용 내측테이퍼부(81);
    상기 전극봉용 설치홀(42)에 삽입되어 양단부가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연결용 전극봉(71)의 상부에 기밀용 내측테이퍼부(81)와 대향되는 기밀용 외측테이퍼부(82);
    상기 기밀용 외측테이퍼부(82)에 삽입되는 복수의 기밀용 테이퍼링(83);
    복수의 상기 기밀용 테이퍼링(83) 사이에 설치되는 기밀용 오링(84);
    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등방가압성형장치용 반응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밀용 테이퍼링(83)은 적어도 3개 이상이 사용되어 2개 기밀용 오링(84)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등방가압성형장치용 반응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커버(40)의 전극봉용 설치홀(42)에 삽입설치되는 연결용 전극봉(71)의 기밀설치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연결용 전극봉(71)의 하단부분에는 고정용 나사부(72)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용 나사부(72)에는 탄성부재(74)를 갖는 고정용 너트(73)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등방가압성형장치용 반응용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밀용 테이퍼링(83)에는 조임으로 인한 압축력의 작용시 기밀용 오링(84)의 원위치가 이탈하거나 편중되는 현상이 발행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오링이탈방지수단(85)을 갖음을 특징으로 하는 등방가압성형장치용 반응용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으로 이루어진 등방가압성형장치용 반응용기를 포함한 등방가압성형장치.
  6. 삭제
KR1020230167855A 2023-11-28 2023-11-28 등방가압성형장치용 반응용기 및 이를 구비한 등방가압성형장치 KR1026466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67855A KR102646665B1 (ko) 2023-11-28 2023-11-28 등방가압성형장치용 반응용기 및 이를 구비한 등방가압성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67855A KR102646665B1 (ko) 2023-11-28 2023-11-28 등방가압성형장치용 반응용기 및 이를 구비한 등방가압성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6665B1 true KR102646665B1 (ko) 2024-03-14

Family

ID=902489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67855A KR102646665B1 (ko) 2023-11-28 2023-11-28 등방가압성형장치용 반응용기 및 이를 구비한 등방가압성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6665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95286A (ja) * 1987-10-07 1989-04-13 Kawasaki Heavy Ind Ltd 熱間静水圧加圧装置
JPH074473Y2 (ja) * 1989-12-22 1995-02-01 株式会社神戸製鋼所 熱間静水圧加圧装置の冷却装置
KR100714248B1 (ko) 2003-04-15 2007-05-02 니기소 가부시키가이샤 등방가압 성형장치
KR100871952B1 (ko) 2006-05-22 2008-12-08 가부시키가이샤 고베 세이코쇼 등방압 가압 장치
KR101065901B1 (ko) 2008-07-01 2011-09-19 가부시키가이샤 고베 세이코쇼 등방압 가압 장치 및 그 재가압 시의 증압 방법
KR101347771B1 (ko) 2012-02-23 2014-01-03 니기소 가부시키가이샤 등방 가압 장치 및 등방 가압 방법
KR101429776B1 (ko) 2008-09-11 2014-08-18 니기소 가부시키가이샤 등방가압 성형장치
JP7006745B2 (ja) * 2020-09-16 2022-01-24 株式会社三洋物産 遊技機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95286A (ja) * 1987-10-07 1989-04-13 Kawasaki Heavy Ind Ltd 熱間静水圧加圧装置
JPH074473Y2 (ja) * 1989-12-22 1995-02-01 株式会社神戸製鋼所 熱間静水圧加圧装置の冷却装置
KR100714248B1 (ko) 2003-04-15 2007-05-02 니기소 가부시키가이샤 등방가압 성형장치
KR100871952B1 (ko) 2006-05-22 2008-12-08 가부시키가이샤 고베 세이코쇼 등방압 가압 장치
KR101065901B1 (ko) 2008-07-01 2011-09-19 가부시키가이샤 고베 세이코쇼 등방압 가압 장치 및 그 재가압 시의 증압 방법
KR101429776B1 (ko) 2008-09-11 2014-08-18 니기소 가부시키가이샤 등방가압 성형장치
KR101347771B1 (ko) 2012-02-23 2014-01-03 니기소 가부시키가이샤 등방 가압 장치 및 등방 가압 방법
JP7006745B2 (ja) * 2020-09-16 2022-01-24 株式会社三洋物産 遊技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601887A (en) Fabrication of thermoelectric elements
CN106079171A (zh) 用于材料转化的加热设备
KR102646665B1 (ko) 등방가압성형장치용 반응용기 및 이를 구비한 등방가압성형장치
US10483147B2 (en) Dual-purpose vias for use in ceramic pedestals
JP6771041B2 (ja) セラミック碍子の製造方法
CN102500910A (zh) 一种用于热等静压焊接的无包套封焊方法
CN107808848A (zh) 静电卡盘以及半导体设备
WO2013150773A1 (ja) パイプ形状の熱発電デバイスを製造する方法
CN107851529B (zh) 电开关触点
KR20130099794A (ko) 디스플레이 기판용 서셉터 및 그 제조방법
CN115555765A (zh) 波纹管式端面密封静环焊接辅助及气密检查装置、方法
US5767444A (en) Proximity switch with ceramic front surface and method for its manufacture
KR101167626B1 (ko) 진공확산접합장치
KR102043916B1 (ko) 반도체 제조 장치용 부재 및 그 제조 방법
KR100810436B1 (ko) Hip 공법을 이용한 연료 분사 노즐용 소재의 제조방법
JP2015195711A (ja) チューブ状熱発電デバイス
WO1992010348A1 (en) Electric pulsed power vacuum press
JP2010222689A (ja) 通電加圧焼結装置の焼結型
KR101753980B1 (ko) 미니 핫 프레스 장치
TWM583345U (zh) 真空擴散焊接設備
JPH0250044B2 (ko)
JP4124667B2 (ja) 通電加圧焼結機用のハイブリッド加圧通電電極
JP4414741B2 (ja) 半導体ガス用フィルター部材、及びそれを用いたフィルター装置
KR20150142787A (ko) 히트파이프용 금속 소결체의 제조방법
Chong Development of W/Cu plasma facing component for fusi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