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6422B1 - 작물 재배 시설의 배열 변경이 가능한 베드 조립체 - Google Patents

작물 재배 시설의 배열 변경이 가능한 베드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6422B1
KR102646422B1 KR1020210079242A KR20210079242A KR102646422B1 KR 102646422 B1 KR102646422 B1 KR 102646422B1 KR 1020210079242 A KR1020210079242 A KR 1020210079242A KR 20210079242 A KR20210079242 A KR 20210079242A KR 102646422 B1 KR102646422 B1 KR 1026464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d
link
support
frame
fasten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92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69166A (ko
Inventor
김진구
박석호
이태석
이상덕
이충근
문종필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2100792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6422B1/ko
Publication of KR202201691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91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64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64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01G9/143Equipment for handling produce in greenhous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31/02Special apparatus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제1 베드(10A), 제2 베드(10B) 및 제3 베드(10C)를 포함하는 베드부(10); 수평연장부(110)와, 상기 수평연장부(110)의 일측 말단에서 하부로 연장되는 수직연장부(120)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베드(10A), 제2 베드(10B), 및 제3 베드(10C)마다 각각의 전면과 후면에 한 쌍이 위치하는 지지프레임(100); 상기 한 쌍의 지지프레임(100)에 고정 결합되며 상기 제1 베드(10A), 제2 베드(10B) 및 제3 베드(10C)마다 각각 구비된 베드하부지지봉(140); 상기 한 쌍의 지지프레임(100)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 베드(10A), 제2 베드(10B) 및 제3 베드(10C)마다 각각 구비된 베드하부회전봉(141); 세 개의 제1 링크체결홀(211)이 구비되며, 상기 베드하부회전봉(141)이 상기 수평연장부(110)의 말단에 형성된 제1 체결홀(111)과 상기 제1 링크체결홀(21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제1 링크프레임(210); 세 개의 제2 링크체결홀(221)이 구비되며, 회동부재(190)가 상기 수직연장부(120)의 말단에 형성된 제2 체결홀(121)과 상기 제2 링크체결홀(221)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제2 링크프레임(220); 및 상기 베드부(10)를 바닥과 이격시키는 지지부(700)를 포함하는, 베드 조립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작물 재배 시설의 배열 변경이 가능한 베드 조립체{Repositionable bed assembly for crop cultivation facility}
작물 재식면적을 높여 작물 재배 시설의 수확량을 높일 수 있는 작물 재배 시설의 배열 변경이 가능한 베드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시설 재배의 대표적인 작물인 딸기 재배는 일반적으로, 단동 비닐하우스에서 재배 배지를 높여 고설 재배하는데, 고설 재배는 가대 위에 고설 베드를 얹고, 베드에 배지를 담아서 딸기를 심고 양액을 급액하여 재배하는 방식이다.
고설 재배의 경우, 작업자는 대부분의 작업을 일어서서 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자의 편의를 증대시킬 수 있고, 토양을 사용하지 않아 연작에 의한 토양의 염류 집적이나 토양전염 병해가 없어 계속적인 재배가 가능하며, 작물 근권부 온도관리가 용이하여 일반적인 토양재배에 비하여 수확량을 증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작업환경이 청결하기 때문에 고용노력 확보가 용이했다. 
그러나 고설 재배의 경우, 재배시설을 설치할 때 방제작업, 수확작업 등 작업자가 작업할 수 있는 공간을 비워두고 설치하여야 하여 온실 공간 효율이 높지 않았다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도 1를 참조하면 언급한 바와 같이 딸기 고설 재배는 작업자의 작업공간으로 사용되는 통로 확보가 필수적이어서, 작업자의 작업 공간을 고려하여 베드간 약 80cm 정도의 거리를 벌려 설치 된다. 일반적으로 기존 딸기 재배 시설인 폭 7.5~8m, 길이 100m 단동 비닐하우스를 가정하면 베드 6줄을 배치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재배 수량이 한정되어 초기 시설을 갖추는데 드는 많은 비용을 회복하기 위한 기간이 증가한다.
관련 특허문헌을 살펴본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11-0121499호는 온실용 작물재배시설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온실에서 작물의 수경재배시 사용하는 화분을 거치할 수 있는 화분거치대가 회전식으로 형성하는 점이 개시된다.
그러나, 화분을 거치하는 거치봉이 상부에 위치되어 작물이 성장하는 공간을 점유하여 작물생육에 방해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거치봉에 의한 햇빛 가림, 금속부의 온도상승 등으로 작물이 해를 입는 문제도 있었으며, 화분 거치부가 로프로 지지되기 때문에 로프의 흔들림에 의한 작물 생육 난조 문제도 있었다.
일본 등록특허공보 제3157090호는 장척 재배 베드 회전 장치에 관한 것으로, 장척 재배 베드를 회전할 수 있는 재배베드 회전장치가 개시된다.
그러나, 이 발명 역시 베드 상부에 회전장치가 설치되어 작물이 성장하는 공간을 점유하여 작물생육이 방해되었으며, 회전장치에 의한 햇빛 가림, 금속부의 온도상승 등으로 작물이 해를 입을 위험도 여전했다.
KR 10-2011-0121499 A JP 3157090 B2 KR 10-2018-0050078A US 2009-0107037 A1
종래의 작물 재배 시설에 설치되는 고설 베드가 재배 수량을 확보할 수 없던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경제성만을 고려하여 재배 수량 확보를 위해 고설 베드의 간격을 줄일 경우 작업자의 통로 확보가 어려워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이를 해결하는 동시에, 재배 수량 확보를 위해 다단으로 형성시킬 경우 작물들이 햇빛을 고루 받을 수 없던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제1 베드(10A), 제2 베드(10B) 및 제3 베드(10C)를 포함하는 베드부(10); 수평연장부(110)와, 상기 수평연장부(110)의 일측 말단에서 하부로 연장되는 수직연장부(120)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베드(10A), 제2 베드(10B), 및 제3 베드(10C)마다 각각의 전면과 후면에 한 쌍이 위치하는 지지프레임(100); 상기 한 쌍의 지지프레임(100)에 고정 결합되며 상기 제1 베드(10A), 제2 베드(10B) 및 제3 베드(10C)마다 각각 구비된 베드하부지지봉(140); 상기 한 쌍의 지지프레임(100)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 베드(10A), 제2 베드(10B) 및 제3 베드(10C)마다 각각 구비된 베드하부회전봉(141); 세 개의 제1 링크체결홀(211)이 구비되며, 상기 베드하부회전봉(141)이 상기 수평연장부(110)의 말단에 형성된 제1 체결홀(111)과 상기 제1 링크체결홀(21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제1 링크프레임(210); 세 개의 제2 링크체결홀(221)이 구비되며, 회동부재(190)가 상기 수직연장부(120)의 말단에 형성된 제2 체결홀(121)과 상기 제2 링크체결홀(221)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제2 링크프레임(220); 및 상기 베드부(10)를 바닥과 이격시키는 지지부(700)를 포함하는, 베드 조립체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베드부(10)는 상기 제1 링크프레임(210) 및 상기 제2 링크프레임(220)에 의해 일 방향으로 회전하여 수직 배열되거나 수평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베드(10B)는 상기 베드부(10)의 중심에 위치하고, 상기 베드부(10)는, 상기 제2 베드(10B)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100)의 제1 체결홀(111)에 체결된 베드하부회전봉(141)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지프레임(100)은 상기 수평연장부(110)와 상기 수직연장부(120)가 접한 위치에 형성된 제3 체결홀(131)을 포함하고, 상기 제3 체결홀(131)에는 상기 베드하부지지봉(140)이 고정 연결되고, 상기 제2베드(10B)는 상기 베드부(10)의 중심에 위치하고, 상기 제1 링크프레임(210)은, 상기 베드부(10)가 수평 배열될 경우 상기 제2 베드(10B)에 체결된 지지프레임(100)의 제3 체결홀(131)의 위치에 상응하게 위치하는 제1 파이프 수용홈(212)을 포함하여, 상기 제2 베드(10B)에 연결된 상기 베드하부지지봉(140)이 상기 제1 파이프 수용홈(212)에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 링크프레임(220)은, 상기 베드부(10)가 수직 배열될 경우, 상기 제2 베드(10B)에 체결된 지지프레임(100)의 제3 체결홀(131)의 위치에 상응하게 위치하는 제2 파이프 수용홈(222)을 포함하여, 상기 제2 베드(10B)에 연결된 상기 베드하부지지봉(140)이 상기 제2 파이프 수용홈(222)에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베드(10A), 상기 제2 베드(10B) 및 상기 제3 베드(10C)를 지지하는 상기 지지프레임(100)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되는 도르래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제1 베드(10A), 제2 베드(10B) 및 제3 베드(10C)를 포함하는 베드부(10); 수평연장부(310)와, 상기 수평연장부(310)에서 하부로 연장되는 하부수직연장부(320)와, 상기 수평연장부(310)에서 상부로 연장되는 상부수직연장부(330)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베드(10A), 제2 베드(10B), 및 제3 베드(10C)마다 각각의 전면과 후면에 한 쌍이 위치하는 지지프레임(300); 상기 한 쌍의 지지프레임(300)에 고정 결합되며 상기 제1 베드(10A), 제2 베드(10B) 및 제3 베드(10C)마다 각각 구비된 베드하부지지봉(340); 상기 한 쌍의 지지프레임(300)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 베드(10A), 제2 베드(10B) 및 제3 베드(10C)마다 각각 구비된 베드하부회전봉(341); 상기 상부수직연장부(330)에 고정 결합되는 베드측부지지봉(350); 세 개의 제1 링크체결홀(411)이 구비되며, 회동부재(390)가 상기 하부수직연장부(320)의 말단에 형성된 제1 체결홀(321)과 상기 제1 링크체결홀(41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제1 링크프레임(410); 세 개의 제2 링크체결홀(421)이 구비되며, 상기 베드하부회전봉(341)이 상기 수평연장부(310)에 형성된 제2 체결홀(31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제2 링크프레임(420); 및 상기 베드부(10)를 바닥과 이격시키는 지지부(700)를 포함하는, 베드 조립체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베드부(10)는 상기 제1 링크프레임(410) 및 상기 제2 링크프레임(420)에 의해 양 방향으로 회전하여 수직 배열되거나 수평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베드(10B)는 상기 베드부(10)의 중심에 위치하고, 상기 베드부(10)는, 상기 제2 베드(10B)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300)의 제2 체결홀(311)에 체결된 베드하부회전봉(341)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평연장부(310)는, 상기 수평연장부(310)와 상기 하부수직연장부(320)가 접하는 부분에 위치하여 상기 베드하부지지봉(340)과 고정 결합되는 지지봉결합홀(312);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링크프레임(410)은, 상기 세 개의 제1 링크체결홀(411)에서 하부로 연장되는 제1 링크연장프레임(412); 및 세 개의 상기 제1 링크연장프레임(412)을 연결하는 제1 링크연결프레임(415)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링크프레임(420)은, 상기 세 개의 제2 링크체결홀(421)에서 하부로 연장되는 제2 링크연장프레임(422); 세 개의 상기 제2 링크연장프레임(422)을 연결하는 제2 링크연결프레임(425); 및 상기 베드부(10)가 수직 배열될 경우, 상기 제2 베드(10B)에 체결된 지지프레임(300)의 지지봉결합홀(312)의 위치에 상응하게 위치하는 제2 파이프 수용홈(423)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베드(10B)에 연결된 상기 베드하부지지봉(340)이 상기 제2 파이프 수용홈(423)에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지프레임(300)은, 상기 베드부(10)의 양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1 베드(10A), 제2 베드(10B) 및 제3 베드(10C)마다 각각 구비된 한 쌍의 베드측부지지봉(35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상부수직연장부(330)의 말단 각각에 상기 한 쌍의 베드측부지지봉(350)이 고정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베드(10A), 상기 제2 베드(10B) 및 상기 제3 베드(10C)를 지지하는 상기 지지프레임(300)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되는 도르래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제1 베드(10A), 제2 베드(10B) 및 제3 베드(10C)를 포함하는 베드부(10); 수평연장부(510)와, 상기 수평연장부(510)에서 하부로 연장되는 하부연장부(520) 및 상기 수평연장부(510)의 양측에서 상부로 연장되는 한 쌍의 상부연장부(530)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베드(10A), 제2 베드(10B), 및 제3 베드(10C)마다 각각의 전면과 후면에 한 쌍이 위치하는 지지프레임(500); 상기 한 쌍의 지지프레임(500)에 고정 결합되며 상기 제1 베드(10A), 제2 베드(10B) 및 제3 베드(10C)마다 각각 구비된 베드측부지지봉(550); 상기 한 쌍의 지지프레임(500)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 베드(10A), 제2 베드(10B) 및 제3 베드(10C)마다 각각 구비된 베드측부회전봉(551); 세 개의 제1 링크체결홀(611)이 구비되며, 회동부재(590)가 상기 하부연장부(520)의 말단에 형성된 제1 체결홀(521)과 상기 제1 링크체결홀(611)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제1 링크프레임(610); 세 개의 제2 링크체결홀(621)이 구비되며, 상기 베드측부회전봉(551)이 상기 한 쌍의 상부연장부(530) 중 어느 하나의 말단에 형성된 제2 체결홀(531)과 상기 제2 링크체결홀(62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제2 링크프레임(620); 및 상기 베드부(10)를 바닥과 이격시키는 지지부(700)를 포함하는, 베드 조립체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베드부(10)는 상기 제1 링크프레임(610) 및 상기 제2 링크프레임(620)에 의해 일 방향으로 회전하여 수직 배열되거나 수평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지부(700)는, 상기 베드측부회전봉(551)이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는 고정체결부(741)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베드(10B)는 상기 베드부(10)의 중심에 위치하고, 상기 제2 베드(10B)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상기 지지프레임(500)과 고정 결합되는 한 쌍의 베드하부지지봉(540)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베드하부지지봉(540)의 말단은 상기 지지부(700)에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베드부(10)는, 상기 제1 링크프레임(610) 및 상기 제2 링크프레임(620)은 상기 제2 베드(10B)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500)의 제2 체결홀(531)에 체결된 상기 베드측부회전봉(551)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베드(10A), 상기 제2 베드(10B) 및 상기 제3 베드(10C)를 지지하는 상기 지지프레임(500)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되는 도르래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배열 변경이 가능한 베드 조립체에 의해 베드 6줄을 설치할 수 있었던 기존의 딸기 재배 시설에서 15줄의 베드를 설치할 수 있어, 기존 대비 수확량이 2.5배 증가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열 변경이 가능한 베드 조립체는 고설 베드를 제외한 다른 난방 시설 등 기존 재배 시설을 그대로 이용하기 때문에 기존 베드가 설치된 재배 시설과 비교하여 운용 비용은 동일하게 소요되나 작물 수확량만 2.5배 증가하게 되므로, 결과적으로 재배 면적 당 순수익이 약 3배 이상 증가된다.
작업자가 작업하지 않을 경우 각 베드들은 통로를막으면서 수평 배열되어 온실 내 위치하는 베드의 작물들이 햇빛을 고루 받을 수 있으며, 작물의 방제나 수확 작업 등을 위해 작업 공간의 확보가 필요한 경우 수직 배열시켜 작업자의 통로 작업 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수평 배열과 수직 배열 사이에서 베드가 회전함에도, 링크프레임에 수용홈이 구비되거나 링크프레임이 지지부에 직접 체결되는 방식을 채택하여 각 베드들이 견고하게 지지된다. 또한, 다수의 회전봉 및 고정봉으로 하중이 분산되므로, 구조적으로 안정적이다.
도 1은, 종래의 고설 베드가 설치된 작물 재배 시설이 도시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베드 조립체가 설치된 작물 재배 시설이 도시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베드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서 작물 및 배지가 제거된 베드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베드부, 지지프레임. 제1 링크프레임 및 제2 링크프레임의 분해사시도
도 6a 내지 도 6c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베드 조립체의 배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베드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서 배지 및 작물을 제외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베드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베드부, 지지프레임. 제1 링크프레임 및 제2 링크프레임의 분해사시도
도 10a 내지 도 10c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베드 조립체의 배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a 내지 도 11c는, 도 10a 내지 도 10c와 다른 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른 배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다른 베드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에서 배지 및 작물을 제외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베드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베드부, 지지프레임, 제1 링크프레임 및 제2 링크프레임의 분해사시도
도 15a 내지 도 15c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베드 조립체의 배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베드 조립체의 지지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작물 재배 시설의 배열 변경이 가능한 베드 조립체를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에서, 본 발명을 이루는 구성요소들은 필요에 따라 일체형으로 사용되거나 각각 분리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사용 형태에 따라 일부 구성요소를 생략하여 사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형태 및 구성요소의 개수에 있어서도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3개의 베드(10A, 10B, 10C)로 이루어진 베드부(10)를 일 방향 또는 양 방향으로 회전시켜 수평 배열과 수직 배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배열을 위한 부품들은 베드부(10)의 아래에 모두 배치되어 작물에 비추는 햇빛을 전혀 가리지 않는다. 또한, 수평 배열, 수직 배열 또는 회전 동안에도 각 부품들이 무거운 베드부(10)를 견고히 지지할 수 있다.
각 베드(10A, 10B, 10C)가 수평 배열되는 경우 좌우 공간이 보다 필요하므로, 베드부(10)와 다른 베드부(10) 사이의 간격은 종래 기술보다 조금 더 넓어진다. 예컨대, 6줄의 종래 베드가 구비되던 공간에서 5줄의 베드부(즉, 15개의 베드)가 위치한다. 이로 인해, 수직 배열시에는 작업자의 작업 공간이 종래 기술보다 더 확보될 수 있다.
베드부(10)의 각 베드(10A, 10B, 10C)의 전후에는 각각 지지프레임이 고정 결합되고, 전면과 후면에서 3개의 지지프레임을 아우르는 2개의 링크프레임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지지프레임과 링크프레임의 조합으로 베드부(10A)는 회전 가능하다. 어떠한 배열 내지 위치에서도 지지프레임과 링크프레임 모두 베드부(10)의 상측에 위치하지 않아 햇빛을 가리지 않는다.
링크프레임에는 봉이 삽입되는 파이프 체결홀이 구비되거나 또는 지지부에 직접 고정될 수 있어서, 작물과 흙으로 인해 무거운 베드부(1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지지프레임과 링크프레임의 조합이 상이한 세 개의 실시예를 제시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이들을 조합하여 베드부(10)가 회전 가능한 경우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에 따라 본 발명에 포함될 수 있다.
아래에서, 각 실시예에서 공통되는 구성을 먼저 설명한 후, 개별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구성의 설명
도 2와 도 3, 도 7,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지(1)에 작물(2)이 재배되며, 배지(1)가 위치하는 각 베드부(10)는 제1 베드(10A), 제2 베드(10B) 및 제3 베드(10C)를 포함하고, 특히 제2베드(10B)는 베드부(10)의 중심에 위치한다.
베드부(10)에 작물을 심기 위한 배지(1)가 수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배지(1)가 아닌 화분을 포함한 흙 등도 베드부(10)에 수용 가능하다. 도면에 베드부(10)의 전면 및 후면이 개방된 것으로 도시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토양의 유출 방지를 위해 전후면이 폐쇄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베드부(10)는 하부지지봉 수용부 및 걸림단턱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지지봉 수용부에 의해 베드하부지지봉이 베드부(10)의 베드(10A, 10B, 10C)의 각각의 하부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걸림단턱에 의해 베드측부지지봉이 베드부(10)의 베드(10A, 10B, 10C)의 측면에 걸림으로써 베드하부지지봉의 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다.
베드부(10)를 바닥과 이격시키는 지지부(700)를 설명한다.
지지부(700)는 지지몸체(710), 체결부(711), 지지다리(720) 및 지지발(730)을 포함한다.
지지몸체(710)는 수평연장되며, 제2 베드(10B)의 전면과 후면에 한 쌍 위치하여 베드부(10)를 지지하며 바닥과 이격시킨다.
지지다리(720)는 지지몸체(710) 에서 하부로 연장된다. 일 실시예에서 지지몸체(710)의 양측에서 하부로 연장되는 것으로 도시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하나 또는 셋 이상의 다리가 하부로 연장될 수 있다.
지지발(730)은 지지다리(720)의 연장말단을 서로 연결하도록 수평 연장된다. 지지발(730)은 지지몸체(710)보다 더 연장되어 지지부(700)를 안정적으로 기립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후술하는 제1 내지 제3 실시예에 따른 지지프레임 또는 링크프레임에 도르래(미도시)가 연결될 수 있다.
도르래는 수동 또는 자동으로 지지프레임 또는 링크프레임을 수직 방향으로 이동시켜, 전체적으로 조립체가 회전하게 함으로써 작업자가 큰 힘을 들이지 않고 베드부(10)의 배열을 수평 배열 또는 수직 배열로 변경할 수 있게 한다.
제1 실시예
도 3 내지 도 6를 참조하여, 제1 실시예에 따른 베드 조립체를 설명한다.
제1 실시예는 수평 배열된 조립체가 일 방향으로 회전하여 수직 배열로 바뀔 수 있으며, 링크프레임에 수용홈이 구비되어 베드부를 견고히 지지하는 방식이다(도 6 참조).
제1 실시예에 따른 베드 조립체는 베드부(10), 지지프레임(100), 제1 링크프레임(210), 제2 링크프레임(220) 및 지지부(700)를 포함한다.
베드부(10)는 후술할 지지프레임(100), 제1 링크프레임(210) 및 제2 링크프레임(220)에 의해 수평 배열되거나 수직 배열될 수 있다(도 6 참조).
지지프레임(100)은 베드부(10) 각각을 지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지프레임(100)은 제1 베드(10A), 제2 베드(10B), 및 제3 베드(10C)마다 각각의 전면과 후면에 한 쌍이 위치한다.
지지프레임(100)은 수평연장부(110)와 수평연장부(110)의 일측 말단에서 하부로 연장되는 수직연장부(120)를 포함한다.
수평연장부(110)는 말단에 제1 체결홀(111)이 형성된다.
수직연장부(120)는 말단에 제2 체결홀(121)이 형성된다.
수평연장부(110)와 수직연장부(120)가 접하는 위치에 제3 체결홀(131)이 형성된다. 제3 체결홀(131)에 베드하부지지봉(140)이 고정 결합된다.
수평연장부(110)에 위치하는 제1 체결홀(111)과 제3 체결홀(131)에 각각 베드하부회전봉(141) 및 베드하부지지봉(140)이 결합되어 베드부(10) 각각을 지지함에 따라, 배열이 변경되어도 베드부(10)는 수평으로 유지된다.
베드하부지지봉(140)은 한 쌍의 지지프레임(100)에 고정 결합되며 제1 베드(10A), 제2 베드(10B) 및 제3 베드(10C)마다 각각 구비된다.
베드하부회전봉(141)은 한 쌍의 지지프레임(100)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제1 베드(10A), 제2 베드(10B) 및 제3 베드(10C)마다 각각 구비된다.
베드하부지지봉(140)과 베드하부회전봉(141)은 한 쌍의 지지프레임(100)에 결합된 채 베드부(10)의 하부를 지지한다.
제1 링크프레임(210)은 세 개의 제1 링크체결홀(211) 및 제1 파이프 수용홈(212)을 포함한다.
세 개의 제1 링크체결홀(211)은 제1 링크프레임(210) 상에서 소정의 간격을 갖도록 배치된다(도 5 참조).
제1 파이프 수용홈(212)은 베드부(10)가 수평 배열될 경우, 제2 베드(10B)에 체결된 지지프레임(100)의 제3 체결홀(131)의 위치에 상응하게 위치한다.
이 때, 베드하부회전봉(141)이 수평연장부(110)의 말단에 형성된 제1 체결홀(111)과 제1 링크프레임(210)의 제1 링크체결홀(21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2 링크프레임(220)은 세 개의 제2 링크체결홀(221) 및 제2 파이프 수용홈(222)을 포함한다.
세 개의 제2 링크체결홀(221)은 제2 링크프레임(210) 상에서 소정의 간격을 갖도록 배치된다. 제1 링크프레임(210)에 형성된 제1 링크체결홀(211)과 제2 링크프레임(220)에 형성된 제2 링크체결홀(221)은 대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파이프 수용홈(222)은 베드부(10)가 수직 배열될 경우, 제2 베드(10B)에 체결된 지지프레임(100)의 제3 체결홀(131)의 위치에 상응하게 위치한다.
회동부재(190)가 수직연장부(120)의 말단에 형성된 제2 체결홀(121)과 제2 링크체결홀(22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도 4 참조).
즉, 베드부(10)는 제1 링크프레임(210) 및 제2 링크프레임(220)에 의해 일 방향으로 회전하여 수직 배열되거나 사선 배열되거나 수평 배열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베드부(10) 중심에 위치하는 제2 베드(10B)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100)의 제1 체결홀(111)에 체결된 베드하부회전봉(141)을 중심으로 회전될 것이다.
정리하면,
베드부(10)가 수평 배열될 경우, 제2 베드(10B)에 연결된 베드하부지지봉(140)이 제1 파이프 수용홈(212)에 삽입된다.
베드부(10)가 수직 배열될 경우, 제2 베드(10B)에 연결된 상기 베드하부지지봉(140)이 제2 파이프 수용홈(222)에 삽입된다.
제2 실시예
도 7 내지 도 11를 참조하여, 제2 실시예에 따른 베드 조립체를 설명한다.
제2 실시예는, 제1 실시예와 달리, 수평 배열된 조립체가 시계 방향 및 반시계 방향 모두로 회전하여 수직 배열될 수 있으며, 링크프레임에 수용홈이 구비되어 베드부를 견고히 지지하는 방식이다(도 10 및 도 11 참조).
제2 실시예에 따른 베드 조립체는 베드부(10), 지지프레임(300), 제1 링크프레임(410), 제2 링크프레임(420) 및 지지부(700)를 포함한다.
베드부(10)는 후술할 지지프레임(300), 제1 링크프레임(410) 및 제2 링크프레임(420)에 의해 수평 배열 및 수직 배열로 변경될 수 있다(도 10 및 도 11 참조).
지지프레임(300)은 베드부(10) 각각을 지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지프레임(300)은 제1 베드(10A), 제2 베드(10B), 및 제3 베드(10C)마다 각각의 전면과 후면에 한 쌍이 위치한다.
지지프레임(300)은 수평연장부(310), 하부수직연장부(320) 및 상부수직연장부(330)를 포함한다.
수평연장부(310)에 지지봉결합홀(312) 및 제2 체결홀(311)이 형성되어, 베드하부지지봉(340) 및 베드하부회전봉(341)이 체결된다.
지지봉결합홀(312)은 수평연장부(310)와 하부수직연장부(320)가 접하는 부분에 위치하여 베드하부지지봉(340)과 고정 결합된다.
하부수직연장부(320)는 수평연장부(310)에서 하부로 연장되고, 말단에 제1 체결홀(321)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수평연장부(310)의 지지봉결합홀(312)에서 하부로 수직하게 연장된다.
상부수직연장부(330)는 수평연장부(310)에서 상부로 연장된다. 일 실시예에서, 수평연장부(310) 양측에서 상부로 연장된다. 상부수직연장부(330)는 지지봉결합홀(312) 및 제2 체결홀(311)의 외측에 위치하는 양측에서 상부로 연장될 것이다.
베드하부지지봉(340)은 한 쌍의 지지프레임(300)에 고정 결합되며 제1 베드(10A), 제2 베드(10B) 및 제3 베드(10C)마다 각각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수평연장부(310)의 지지봉결합홀(312)에 고정결합된다.
베드하부회전봉(341)은 한 쌍의 지지프레임(300)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제1 베드(10A), 제2 베드(10B) 및 제3 베드(10C)마다 각각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베드하부회전봉(341)이 수평연장부(310)에 형성된 제2 체결홀(311)과 제2 링크체결홀(42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베드측부지지봉(350)은 한 쌍으로, 베드부(10)의 양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1 베드(10A), 제2 베드(10B) 및 제3 베드(10C)마다 각각 구비된다.
베드측부지지봉(350)은 상부수직연장부(330)에 고정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상부수직연장부(330)의 말단에 위치하는 제3 체결홀(331)에 한 쌍의 베드측부지지봉(350)이 고정 결합된다.
제1 링크프레임(410)은 세 개의 제1 링크체결홀(411)을 포함한다.
제1 링크연장프레임(412)은 세 개의 제1 링크체결홀(411)에서 하부로 연장된다.
제1 링크연결프레임(415)은 세 개의 상기 제1 링크연장프레임(412)을 연결한다. 구체적으로, 하부로 연장된 연장말단을 연결한다.
이 때, 회동부재(390)가 하부수직연장부(320)의 말단에 형성된 제1 체결홀(321)과 제1 링크체결홀(41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도 8 참조).
제2 링크프레임(420)은 세 개의 제2 링크체결홀(421) 및 세 개의 제2 파이프 수용홈(423)을 포함한다.
제2 링크연장프레임(422)은 세 개의 제2 링크체결홀(421)에서 하부로 연장된다.
제2 파이프 수용홈(423)은 제2 링크연장프레임(422)에 위치한다.
제2 파이프 수용홈(423)은 제2 링크프레임(420)이 베드하부회전봉(341)을 중심으로 회전할 때, 제2 베드(10B)에 체결된 지지프레임(300)의 지지봉결합홀(312)의 위치에 상응하게 위치한다.
제2 링크연결프레임(425)은 세 개의 제2 링크연장프레임(422)을 연결한다. 구체적으로, 제2 링크연장프레임(422)의 연장 말단을 연결한다.
정리하면,
제2 실시예의 베드부(10)는, 제2 베드(10B)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300)의 제2 체결홀(311)에 체결된 베드하부회전봉(341)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베드부(10)가 수직 배열될 경우, 수평 배열에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제2 파이프수용홈(423)에 삽입되는 것은 없지만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제2 베드(10B)에 연결된 베드하부지지봉(340)이 제2 파이프 수용홈(423)에 삽입된다.
베드부(10)가 수평 배열될 경우, 제2 파이프 수용홈(423)에 삽입되는 것은 없다.
제3 실시예
도 12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제3 실시예에 따른 베드 조립체를 설명한다.
제3 실시예는, 제1 및 제2 실시예와 달리 링크프레임에 별도의 수용홈이 구비되지 않으면서도 지지부를 활용하여 베드부를 견고히 지지할 수 있다(도 15 참조).
제3 실시예에 따른 베드 조립체는 베드부(10), 지지프레임(500), 제1 링프레임(610), 제2 링크프레임(620) 및 지지부(700)를 포함한다.
베드부(10)는 후술할 지지프레임(500), 제1 링크프레임(610) 및 제2 링크프레임(620)에 의해 수평 배열되거나 사선 배열되거나 수직 배열로 변경될 수 있다(도 15 참조).
지지프레임(500)은 제1 베드(10A), 제2 베드(10B), 및 제3 베드(10C)마다 각각의 전면과 후면에 한 쌍이 위치한다.
지지프레임(500)은 수평연장부(510), 하부연장부(520) 및 한 쌍의 상부연장부(530)를 포함한다.
수평연장부(510)는 수평으로 연장되어 베드하부지지봉(540)과 고정 결합되는 고정결합홀(511)을 포함한다.
하부연장부(520)는 수평연장부(510)에서 하부로 연장되며 말단에 제1 체결홀(521)이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하부연장부(520)는 수평연장부(510)에서 하부로 연장될 때 사선으로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동부재(590)가 하부연장부(520)의 말단에 형성된 제1 체결홀(521)과 제1 링크체결홀(611)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한다(도 12 참조).
상부연장부(530)는 한 쌍으로, 수평연장부(510)의 양측에서 상부로 연장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부연장부(530)는 수평연장부(510)에서 상부로 연장될 때 수직하게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체결홀(531)은 한 쌍의 상부연장부(530) 중 어느 하나의 말단에 형성된다. 제2 체결홀(531)에 베드측부회전봉(551)이 회전 결합된다.
베드하부지지봉(540)은 지지프레임(500)과 고정 결합되어 한 쌍으로 제1 베드(10A), 제2 베드(10B), 및 제3 베드(10C)마다 각각의 하부를 지지한다.
베드하부지지봉(540)은 한 쌍으로 제2 베드(10B)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상기 지지프레임(500)과 고정 결합된다. 한 쌍의 베드하부지지봉(540)의 말단은 지지부(700)에 체결된다. 구체적으로, 지지부(700)의 체결부(711)에 체결된다.
베드측부지지봉(550)은 한 쌍의 지지프레임(500)에 고정 결합되며 상기 제1 베드(10A), 제2 베드(10B) 및 제3 베드(10C)마다 각각 구비된다.
베드측부회전봉(551)은 한 쌍의 지지프레임(500)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제1 베드(10A), 제2 베드(10B) 및 제3 베드(10C)마다 각각 구비된다.
베드측부회전봉(551)은 한 쌍의 상부연장부(530) 중 어느 하나의 말단에 형성된 제2 체결홀(531)과 제2 링크체결홀(62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즉, 제1 베드(10A), 제2 베드(10B) 및 제3 베드(10C)마다 각각 일측과 타측에 베드측부지지봉(550) 및 베드측부회전봉(551)이 구비되어, 각각의 베드들의 배열이 변경되더라도 수평을 유지한 채 배열이 변경될 수 있다.
제1 링크프레임(610)은 세 개의 제1 링크체결홀(611)을 포함한다.
제2 링크프레임(620)은 세 개의 제2 링크체결홀(621)을 포함한다. 베드측부회전봉(551)이 한 쌍의 상부연장부(530) 중 어느 하나의 말단에 형성된 제2 체결홀(531)과 제2 링크체결홀(62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3 실시예에 따른 베드 조립체의 배열을 정리하여 설명한다.
제3 실시예에 따른 베드부(10)는, 지지프레미(500), 제1 링크프레임(610) 및 제2 링크프레임(620)은 제2 베드(10B)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500)의 제2 체결홀(531)에 체결된 상기 베드측부회전봉(551)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제3 실시예에서 지지부(700)는 보강다리(740), 고정체결부(741) 및 보강지지파이프(745)를 포함한다.
보강다리(740)는 한 쌍으로 지지몸체(710)의 양측에서 상부로 더 연장된다.
보강지지파이프(745)는 한 쌍의 보강다리(740) 중 어느 하나를 전후 방향으로 연결한다. 바람직하게는, 베드측부회전봉(551)이 체결되지 않는 보강다리(740)를 전후 방향으로 연결한다.
일 실시예에서, 보강지지파이프(745)는 사각형상의 파이프를 채용하여 제2 베드(10B)를 용이하게 지지할 수 있다. 보강지지파이프(745)가 연장되는 보강다리(740)는 지지몸체(710)에서 돌출되게 위치하여 연장된 것일 수 있다(도 16 참조).
고정체결부(741)는 베드측부회전봉(551)이 회전 가능하게 보강다리(740)에 체결시킨다. 구체적으로, 고정체결부(741)는 한 쌍의 보강다리(740) 중 다른 하나, 즉, 전후로 연장되지 않는 보강다리(740)에 베드측부회전봉(551)을 회전 가능하게 체결시킨다.
정리하면, 제3 실시예에 따른 베드부(10)는, 지지프레임(500), 제1 링크프레임(610) 및 제2 링크프레임(620)은 제2 베드(10B)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500)의 제2 체결홀(531)에 체결된 상기 베드측부회전봉(551)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별도의 고정홈은 없지만 지지부(700)를 활용하여 구조를 지지한다.
이상, 본 명세서에는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배지
2: 작물
10: 베드부
10A: 제1 베드
10B: 제2 베드
10C: 제3 베드
100: 지지프레임
110: 수평연장부
111: 제1 체결홀
120: 수직연장부
121: 제2 체결홀
131: 제3 체결홀
140: 베드하부지지봉
141: 베드하부회전봉
210: 제1 링크프레임
211: 제1 링크체결홀
212: 제1 파이프 수용홈
220: 제2 링크프레임
221: 제2 링크체결홀
222: 제2 파이프 수용홈
300: 지지프레임
310: 수평연장부
311: 제2체결홀
312: 지지봉결합홀
320: 하부수직연장부
321; 제1 체결홀
330: 상부수직연장부
331: 제3 체결홀
340: 베드하부지지봉
341: 베드하부회전봉
350: 베드측부지지봉
390: 회동부재
410: 제1 링크프레임
411: 제1 링크체결홀
412: 제1 링크연장프레임
420: 제2 링크프레임
421: 제2 링크체결홀
422: 제2 링크연장프레임
423: 제2 파이프 수용홈
425: 제2 링크연결프레임
500: 지지프레임
510: 수평연장부
511: 고정결합홀
520: 하부연장부
521: 제1 체결홀
530: 상부연장부
531: 제2 체결홀
550: 베드측부지지봉
551: 베드측부회전봉
590: 회동부재
610: 제1 링크프레임
611: 제1 링크체결홀
620: 제2 링크프레임
621: 제2 링크체결홀
700: 지지부
710: 지지몸체
711: 체결부
720: 지지다리
730: 지지발
740: 보강다리
741: 고정체결부
745: 보강지지파이프

Claims (18)

  1. 제1 베드(10A), 제2 베드(10B) 및 제3 베드(10C)를 포함하는 베드부(10);
    수평연장부(110)와, 상기 수평연장부(110)의 일측 말단에서 하부로 연장되는 수직연장부(120)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베드(10A), 제2 베드(10B), 및 제3 베드(10C)마다 각각의 전면과 후면에 한 쌍이 위치하는 지지프레임(100);
    상기 한 쌍의 지지프레임(100)에 고정 결합되며 상기 제1 베드(10A), 제2 베드(10B) 및 제3 베드(10C)마다 각각 구비된 베드하부지지봉(140);
    상기 한 쌍의 지지프레임(100)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 베드(10A), 제2 베드(10B) 및 제3 베드(10C)마다 각각 구비된 베드하부회전봉(141);
    세 개의 제1 링크체결홀(211)이 구비되며, 상기 베드하부회전봉(141)이 상기 수평연장부(110)의 말단에 형성된 제1 체결홀(111)과 상기 제1 링크체결홀(21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제1 링크프레임(210);
    세 개의 제2 링크체결홀(221)이 구비되며, 회동부재(190)가 상기 수직연장부(120)의 말단에 형성된 제2 체결홀(121)과 상기 제2 링크체결홀(221)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제2 링크프레임(220); 및
    상기 베드부(10)를 바닥과 이격시키는 지지부(700)를 포함하는,
    베드 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드부(10)는 상기 제1 링크프레임(210) 및 상기 제2 링크프레임(220)에 의해 일 방향으로 회전하여 수직 배열되거나 수평 배열되는,
    베드 조립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베드(10B)는 상기 베드부(10)의 중심에 위치하고,
    상기 베드부(10)는, 상기 제2 베드(10B)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100)의 제1 체결홀(111)에 체결된 베드하부회전봉(141)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베드 조립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100)은 상기 수평연장부(110)와 상기 수직연장부(120)가 접한 위치에 형성된 제3 체결홀(131)을 포함하고,
    상기 제3 체결홀(131)에는 상기 베드하부지지봉(140)이 고정 연결되고,
    상기 제2베드(10B)는 상기 베드부(10)의 중심에 위치하고,
    상기 제1 링크프레임(210)은, 상기 베드부(10)가 수평 배열될 경우 상기 제2 베드(10B)에 체결된 지지프레임(100)의 제3 체결홀(131)의 위치에 상응하게 위치하는 제1 파이프 수용홈(212)을 포함하여, 상기 제2 베드(10B)에 연결된 상기 베드하부지지봉(140)이 상기 제1 파이프 수용홈(212)에 삽입되는,
    베드조립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링크프레임(220)은, 상기 베드부(10)가 수직 배열될 경우, 상기 제2 베드(10B)에 체결된 지지프레임(100)의 제3 체결홀(131)의 위치에 상응하게 위치하는 제2 파이프 수용홈(222)을 포함하여, 상기 제2 베드(10B)에 연결된 상기 베드하부지지봉(140)이 상기 제2 파이프 수용홈(222)에 삽입되는,
    베드조립체.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베드(10A), 상기 제2 베드(10B) 및 상기 제3 베드(10C)를 지지하는 상기 지지프레임(100)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되는 도르래를 더 포함하는,
    베드 조립체.
  7. 제1 베드(10A), 제2 베드(10B) 및 제3 베드(10C)를 포함하는 베드부(10);
    수평연장부(310)와, 상기 수평연장부(310)에서 하부로 연장되는 하부수직연장부(320)와, 상기 수평연장부(310)에서 상부로 연장되는 상부수직연장부(330)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베드(10A), 제2 베드(10B), 및 제3 베드(10C)마다 각각의 전면과 후면에 한 쌍이 위치하는 지지프레임(300);
    상기 한 쌍의 지지프레임(300)에 고정 결합되며 상기 제1 베드(10A), 제2 베드(10B) 및 제3 베드(10C)마다 각각 구비된 베드하부지지봉(340);
    상기 한 쌍의 지지프레임(300)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 베드(10A), 제2 베드(10B) 및 제3 베드(10C)마다 각각 구비된 베드하부회전봉(341);
    상기 상부수직연장부(330)에 고정 결합되는 베드측부지지봉(350);
    세 개의 제1 링크체결홀(411)이 구비되며, 회동부재(390)가 상기 하부수직연장부(320)의 말단에 형성된 제1 체결홀(321)과 상기 제1 링크체결홀(41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제1 링크프레임(410);
    세 개의 제2 링크체결홀(421)이 구비되며, 상기 베드하부회전봉(341)이 상기 수평연장부(310)에 형성된 제2 체결홀(31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제2 링크프레임(420); 및
    상기 베드부(10)를 바닥과 이격시키는 지지부(700)를 포함하는,
    베드 조립체.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베드부(10)는 상기 제1 링크프레임(410) 및 상기 제2 링크프레임(420)에 의해 양 방향으로 회전하여 수직 배열되거나 수평 배열되는,
    베드 조립체.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베드(10B)는 상기 베드부(10)의 중심에 위치하고,
    상기 베드부(10)는, 상기 제2 베드(10B)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300)의 제2 체결홀(311)에 체결된 베드하부회전봉(341)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베드 조립체.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연장부(310)는,
    상기 수평연장부(310)와 상기 하부수직연장부(320)가 접하는 부분에 위치하여 상기 베드하부지지봉(340)과 고정 결합되는 지지봉결합홀(312);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링크프레임(410)은,
    상기 세 개의 제1 링크체결홀(411)에서 하부로 연장되는 제1 링크연장프레임(412); 및
    세 개의 상기 제1 링크연장프레임(412)을 연결하는 제1 링크연결프레임(415)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링크프레임(420)은,
    상기 세 개의 제2 링크체결홀(421)에서 하부로 연장되는 제2 링크연장프레임(422);
    세 개의 상기 제2 링크연장프레임(422)을 연결하는 제2 링크연결프레임(425); 및
    상기 베드부(10)가 수직 배열될 경우, 상기 제2 베드(10B)에 체결된 지지프레임(300)의 지지봉결합홀(312)의 위치에 상응하게 위치하는 제2 파이프 수용홈(423)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베드(10B)에 연결된 상기 베드하부지지봉(340)이 상기 제2 파이프 수용홈(423)에 삽입되는,
    베드 조립체.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300)은,
    상기 베드부(10)의 양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1 베드(10A), 제2 베드(10B) 및 제3 베드(10C)마다 각각 구비된 한 쌍의 베드측부지지봉(35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상부수직연장부(330)의 말단 각각에 상기 한 쌍의 베드측부지지봉(350)이 고정 결합되는,
    베드 조립체.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베드(10A), 상기 제2 베드(10B) 및 상기 제3 베드(10C)를 지지하는 상기 지지프레임(300)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되는 도르래를 더 포함하는,
    베드 조립체.
  13. 제1 베드(10A), 제2 베드(10B) 및 제3 베드(10C)를 포함하는 베드부(10);
    수평연장부(510)와, 상기 수평연장부(510)에서 하부로 연장되는 하부연장부(520) 및 상기 수평연장부(510)의 양측에서 상부로 연장되는 한 쌍의 상부연장부(530)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베드(10A), 제2 베드(10B), 및 제3 베드(10C)마다 각각의 전면과 후면에 한 쌍이 위치하는 지지프레임(500);
    상기 한 쌍의 지지프레임(500)에 고정 결합되며 상기 제1 베드(10A), 제2 베드(10B) 및 제3 베드(10C)마다 각각 구비된 베드측부지지봉(550);
    상기 한 쌍의 지지프레임(500)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 베드(10A), 제2 베드(10B) 및 제3 베드(10C)마다 각각 구비된 베드측부회전봉(551);
    세 개의 제1 링크체결홀(611)이 구비되며, 회동부재(590)가 상기 하부연장부(520)의 말단에 형성된 제1 체결홀(521)과 상기 제1 링크체결홀(611)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제1 링크프레임(610);
    세 개의 제2 링크체결홀(621)이 구비되며, 상기 베드측부회전봉(551)이 상기 한 쌍의 상부연장부(530) 중 어느 하나의 말단에 형성된 제2 체결홀(531)과 상기 제2 링크체결홀(62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제2 링크프레임(620); 및
    상기 베드부(10)를 바닥과 이격시키는 지지부(700)를 포함하는,
    베드 조립체.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베드부(10)는 상기 제1 링크프레임(610) 및 상기 제2 링크프레임(620)에 의해 일 방향으로 회전하여 수직 배열되거나 수평 배열되는,
    베드 조립체.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700)는,
    상기 베드측부회전봉(551)이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는 고정체결부(741)를 포함하는,
    베드 조립체.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베드(10B)는 상기 베드부(10)의 중심에 위치하고,
    상기 제2 베드(10B)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상기 지지프레임(500)과 고정 결합되는 한 쌍의 베드하부지지봉(540)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베드하부지지봉(540)의 말단은 상기 지지부(700)에 체결되는,
    베드 조립체.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베드부(10)는, 상기 제1 링크프레임(610) 및 상기 제2 링크프레임(620)은 상기 제2 베드(10B)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500)의 제2 체결홀(531)에 체결된 상기 베드측부회전봉(551)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베드 조립체.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베드(10A), 상기 제2 베드(10B) 및 상기 제3 베드(10C)를 지지하는 상기 지지프레임(500)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되는 도르래를 더 포함하는,
    베드 조립체.
KR1020210079242A 2021-06-18 2021-06-18 작물 재배 시설의 배열 변경이 가능한 베드 조립체 KR1026464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9242A KR102646422B1 (ko) 2021-06-18 2021-06-18 작물 재배 시설의 배열 변경이 가능한 베드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9242A KR102646422B1 (ko) 2021-06-18 2021-06-18 작물 재배 시설의 배열 변경이 가능한 베드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9166A KR20220169166A (ko) 2022-12-27
KR102646422B1 true KR102646422B1 (ko) 2024-03-12

Family

ID=845681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9242A KR102646422B1 (ko) 2021-06-18 2021-06-18 작물 재배 시설의 배열 변경이 가능한 베드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642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5089B1 (ko) * 2024-02-13 2024-05-14 임순자 식물 재배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57090B2 (ja) * 1995-04-24 2001-04-16 初雄 本多 長尺栽培ベッド回転装置
US20090107037A1 (en) 2003-10-26 2009-04-30 Zahar Alinski Revolving Apparatus for Agriculture Products Cultivation Beds
KR20110121499A (ko) 2010-04-30 2011-11-07 김옥래 온실용 작물재배시설 거치대
KR101292779B1 (ko) * 2011-05-06 2013-08-02 (주)인성테크 식물 재배 베드 순환 이송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연속 식물 재배 시스템
KR20180050078A (ko) 2016-11-04 2018-05-14 주식회사 에어론 단열재 측변 화염 침투 방지용 방염테이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9166A (ko) 2022-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21313B2 (ja) 養液栽培ハウス
KR102103528B1 (ko) 고설 재배용 회동식 자묘 육성 장치
CN101980635A (zh) 用于提高产量的生长系统
KR20180075280A (ko) 딸기 고설 재배용 접이식 제자리 육묘 장치 및 방법
KR101979234B1 (ko) 창틀설치식 선반겸용화분
KR102646422B1 (ko) 작물 재배 시설의 배열 변경이 가능한 베드 조립체
KR101675721B1 (ko) 모종 재배 장치
KR102077224B1 (ko) 생산량 증대를 위한 체인 컨베이어식 무인자동 작물재배장치
KR200327215Y1 (ko) 식물의 다단 재배용 장치
JP2018174805A (ja) 育苗方法
JP2020000212A (ja) 可動型育苗棚ユニット
JP7207798B2 (ja) 栽培槽の首振り機構
JP2000342057A (ja) イチゴ栽培装置
KR20190005411A (ko) 빗살형 프레임과 섬유베드를 활용한 수경 재배대
KR20190001057U (ko) 딸기 육묘용 트레이 받침대
KR102076710B1 (ko) 고설재배장치에 부설하는 제자리육묘를 위한 육묘포트 안착장치
TW442256B (en) Cultivation device
KR200486943Y1 (ko) 체리 나무 재배 시설
KR20110121499A (ko) 온실용 작물재배시설 거치대
KR101410898B1 (ko) 고설 재배장치
JP7034358B1 (ja) 植物栽培装置
KR20120052109A (ko) 농작물 지지장치
KR20150121811A (ko) 딸기용 고설 재배대
KR20170054005A (ko) 수평조절이 가능한 고설 식물재배 베드 지지장치
JP2011092081A (ja) 独立ポット耕栽培用ベンチ並びに栽培ポ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