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5893B1 - 비대면 방식의 정신 장애 진단 및 자극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비대면 방식의 정신 장애 진단 및 자극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5893B1
KR102645893B1 KR1020210029634A KR20210029634A KR102645893B1 KR 102645893 B1 KR102645893 B1 KR 102645893B1 KR 1020210029634 A KR1020210029634 A KR 1020210029634A KR 20210029634 A KR20210029634 A KR 20210029634A KR 102645893 B1 KR102645893 B1 KR 1026458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stimulation
setting information
mental disorder
mobil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96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25766A (ko
Inventor
최재규
황현두
Original Assignee
(주) 비비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비비비 filed Critical (주) 비비비
Priority to KR10202100296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5893B1/ko
Priority to PCT/KR2022/002478 priority patent/WO2022186528A1/ko
Publication of KR202201257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57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58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589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1/02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for inducing sleep or relaxation, e.g. by direct nerve stimulation, hypnosis, analges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6Devices for psychotechnics; Testing reaction times ; Devices for evaluating the psychological st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6Devices for psychotechnics; Testing reaction times ; Devices for evaluating the psychological state
    • A61B5/165Evaluating the state of mind, e.g. depression, anxie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30Semantic analysi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electronic clinical trials or questionnair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7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remote op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021/0005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 A61M2021/0044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by the sight sen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021/0005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 A61M2021/0055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with electr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021/0005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 A61M2021/0072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with application of electrical curr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05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combined with other kinds of therapy
    • A61M2205/054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combined with other kinds of therapy with electro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05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combined with other kinds of therapy
    • A61M2205/057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combined with other kinds of therapy with magnetotherap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Psyc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ath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sychiatry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Hematolog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 Measuring Or Testing Involving Enzymes Or Micro-Organism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비대면 방식의 정신 장애 진단 및 자극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방식의 정신 장애 진단 및 자극 시스템은, 이동 통신 단말을 통해 정신 장애 진단용 설문을 출력하고, 해당 설문에 대응하여 상기 이동 통신 단말에 입력된 상기 사용자의 응답을 수집하는 사용자 응답 수집부; 수집된 응답을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에게 발생한 정신 장애의 종류와 장애 정도에 관한 진단 정보를 생성하는 진단 정보 생성부; 상기 진단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사용자의 전체 두뇌 중 자극 대상 부위를 설정하는 제1 설정 정보와 상기 자극 대상 부위의 자극 방식을 설정하는 제2 설정 정보를 생성하는 설정 정보 생성부; 및 상기 제1 설정 정보와 상기 제2 설정 정보를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을 통해 소정 자극 장치로 전송하여, 해당 자극 장치로 하여금 상기 제1 설정 정보 및 상기 제2 설정 정보에 대응하는 자극 방식으로 상기 사용자의 두뇌를 자극하도록 하는 설정 정보 전송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비대면 방식의 정신 장애 진단 및 자극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diagnosing and stimulating mental disorders in an untact manner}
본 발명은 비대면 방식의 정신 장애 진단 및 자극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정신 장애를 비대면 방식으로 진단하여 자극하는 정신 장애 진단 및 자극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신 장애와 관련된 진단과 치료는 의료기관에서 의료인과 환자가 대면하는 방식으로 진행되고 있다. 최근, 네트워크 통신 기술의 발전과 이동 통신 단말의 보급에 따라 사용자의 정신 장애를 비대면 방식으로 원격 진단하는 기술들이 소개되고 있다.
그러나,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34328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기존 기술은 사용자의 이동 단말을 통해 단순히 정신건강 측정을 위한 문진을 수행하거나 해당 측정 결과를 나타내는 콘텐츠만을 제공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정신 장애 개선을 위한 직접적인 자극을 수행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20598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기존 기술은 가상/증강현실 장치를 통해 체감할 수 있는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식으로 정신 질환에 대한 치료를 수행하기 때문에, 정신 질환 치료에 많은 시간과 비용이 요구되며 치료 효과가 간접적이고 제한적인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사용자의 정신 건강 상태를 비대면 방식으로 상시 진단하여 관리할 수 있음은 물론, 정신 장애가 발생한 사용자에게 직접적이고도 신속한 자극 효과를 제공하는 비대면 방식의 정신 장애 진단 및 자극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방식의 정신 장애 진단 및 자극 시스템은, 이동 통신 단말과 통신 가능하며 사용자의 머리 둘레에 분산 배치되는 복수의 단자를 통해 자극 신호를 발생시켜 상기 사용자의 두뇌를 자극하는 자극 장치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의 정신 장애를 진단 및 자극하는 시스템으로서,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을 통해 정신 장애 진단용 설문을 출력하고, 해당 설문에 대응하여 상기 이동 통신 단말에 입력된 상기 사용자의 응답을 수집하는 사용자 응답 수집부; 수집된 응답을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에게 발생한 정신 장애의 종류와 장애 정도에 관한 진단 정보를 생성하는 진단 정보 생성부; 상기 진단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사용자의 전체 두뇌 중 자극 대상 부위를 설정하는 제1 설정 정보와 상기 자극 대상 부위의 자극 방식을 설정하는 제2 설정 정보를 생성하는 설정 정보 생성부; 및 상기 제1 설정 정보와 상기 제2 설정 정보를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을 통해 상기 자극 장치로 전송하여, 상기 자극 장치로 하여금 상기 복수의 단자 중 상기 제1 설정 정보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 단자를 통해 상기 제2 설정 정보에 대응하는 자극 방식으로 상기 사용자의 두뇌를 자극하도록 하는 설정 정보 전송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상기 이동 통신 단말에 설치된 센서 또는 애플리케이션과 연동하여 상기 사용자의 운동량, 생체 신호, 위치, 주변 환경 및 상기 사용자가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을 통해 수행한 작업의 종류와 작업량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행동 데이터를 수집하는 행동 데이터 수집부를 포함하고, 상기 진단 정보 생성부는, 상기 수집된 응답과 상기 행동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진단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상기 사용자가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을 통해 일정 기간 발송한 문자 메시지, SNS(Social Network Service) 메시지 또는 이메일의 텍스트를 파싱(parsing)하여, 미리 정해진 부정적 단어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는 부정적 단어를 상기 텍스트에서 추출하는 단어 추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행동 데이터 수집부는, 추출된 부정적 단어의 추출 빈도를 상기 사용자의 행동 데이터로서 수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진단 정보 생성부는, 상기 제1 설정 정보와 상기 제2 설정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자극 장치의 두뇌 자극 동작이 종료된 후, 상기 사용자 응답 수집부에 의해 재수집되는 상기 사용자의 응답, 상기 행동 데이터 수집부에 의해 재수집되는 상기 사용자의 행동 데이터, 또는 상기 재수집되는 상기 사용자의 응답과 상기 사용자의 행동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의 정신 장애에 관한 후속 진단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진단 정보 생성부는, 상기 수집된 응답을 기반으로 수행된 초기 진단 결과를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을 통해 의료기관 서버 또는 주치의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의료기관 서버 또는 상기 주치의 단말로부터 피드백되는 최종 진단 결과를 반영하여 상기 진단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설정 정보 생성부에 의해 생성되는 상기 제2 설정 정보는, 상기 자극 대상 부위를 자극하는 자극 신호의 세기, 주파수 또는 자극 시간을 설정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설정 정보 생성부는, 정신 장애의 종류 및 장애 정도별로 자극 대상 부위와 자극 방식을 기록한 설정 정보 테이블을 미리 저장하고, 상기 설정 정보 테이블에 따라 상기 진단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제1 설정 정보와 상기 제2 설정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상기 진단 정보에 대응하여 CBT(Cognitive Behavioral Therapy)를 수행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을 통해 실행하거나 CBT에 따른 자극 정보를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을 통해 출력하는 CBT 수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자극 장치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과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제1 설정 정보 및 상기 제2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설정 정보 수신부; 및 상기 복수의 단자 중 상기 제1 설정 정보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 단자를 선택하고, 선택된 단자를 통해 상기 제2 설정 정보에 대응하는 자극 방식으로 상기 자극 신호를 발생시키는 자극 신호 발생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방식의 정신 장애 진단 및 자극 방법은, 이동 통신 단말과 통신 가능하며 사용자의 머리 둘레에 분산 배치되는 복수의 단자를 통해 자극 신호를 발생시켜 상기 사용자의 두뇌를 자극하는 자극 장치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의 정신 장애를 진단 및 자극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이 정신 장애 진단용 설문을 출력하고, 해당 설문에 대응하여 상기 이동 통신 단말에 입력된 상기 사용자의 응답을 수집하는 (a) 단계;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이 수집된 응답을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에게 발생한 정신 장애의 종류와 장애 정도에 관한 진단 정보를 생성하는 (b) 단계;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이 상기 진단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사용자의 전체 두뇌 중 자극 대상 부위를 설정하는 제1 설정 정보와 상기 자극 대상 부위의 자극 방식을 설정하는 제2 설정 정보를 생성하는 (c) 단계; 및 상기 자극 장치가 상기 이동 통신 단말로부터 상기 제1 설정 정보와 상기 제2 설정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복수의 단자 중 상기 제1 설정 정보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 단자를 선택하고, 선택된 단자를 통해 상기 제2 설정 정보에 대응하는 자극 방식으로 상기 자극 신호를 발생시키는 (d)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b) 단계 전에,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이 상기 이동 통신 단말에 설치된 센서 또는 애플리케이션과 연동하여 상기 사용자의 운동량, 생체 신호, 위치, 주변 환경 및 상기 사용자가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을 통해 수행한 작업의 종류와 작업량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행동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b) 단계는, 상기 수집된 응답과 상기 행동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진단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행동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을 통해 일정 기간 발송한 문자 메시지, SNS(Social Network Service) 메시지 또는 이메일의 텍스트를 파싱(parsing)하여, 미리 정해진 부정적 단어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는 부정적 단어를 상기 텍스트에서 추출하는 단계; 및 추출된 부정적 단어의 추출 빈도를 상기 사용자의 행동 데이터로서 수집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d) 단계 후,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이 정신 장애 재진단용 설문을 출력하여 해당 설문에 대응하는 상기 사용자의 응답을 재수집하고, 상기 센서 또는 애플리케이션과 연동하여 상기 사용자의 행동 데이터를 재수집하는 단계; 및 재수집된 상기 사용자의 응답, 재수집된 상기 사용자의 행동 데이터, 또는 상기 재수집된 상기 사용자의 응답과 상기 사용자의 행동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의 정신 장애에 관한 후속 진단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이 상기 수집된 응답을 기반으로 수행된 초기 진단 결과를 의료기관 서버 또는 주치의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이 상기 의료기관 서버 또는 상기 주치의 단말로부터 피드백되는 최종 진단 결과를 반영하여 상기 진단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생성되는 상기 제2 설정 정보는, 상기 자극 대상 부위를 자극하는 자극 신호의 세기, 주파수 또는 자극 시간을 설정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c) 단계 전에,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이 정신 장애의 종류 및 장애 정도별로 자극 대상 부위와 자극 방식을 기록한 설정 정보 테이블을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c) 단계는, 상기 설정 정보 테이블에 따라 상기 진단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제1 설정 정보와 상기 제2 설정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b) 단계 후에,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이 상기 진단 정보에 대응하여 CBT(Cognitive Behavioral Therapy)를 수행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을 통해 실행하거나 CBT에 따른 자극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상술한 동작 또는 방법을 컴퓨터 시스템을 통해 실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휴대하는 이동 통신 단말을 통해 사용자의 정신 장애를 진단하는 한편, 사용자의 머리 둘레에 분산 배치되는 복수의 단자를 통해 전기적 또는 자기적 자극 신호를 발생시키는 자극 장치를 해당 진단 결과에 따라 자동으로 제어하여 사용자의 두뇌를 자극함으로써, 사용자의 정신 건강 상태를 비대면 방식으로 상시 진단하여 관리할 수 있음은 물론, 정신 장애가 발생한 사용자에게 직접적이고도 신속한 자극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을 통해 사용자의 생활 습관이나 행동 패턴과 관련된 행동 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된 행동 데이터를 참고하여 해당 사용자의 정신 장애의 종류와 장애 정도를 진단함으로써, 정신 장애 진단 결과의 정확성과 신뢰성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을 통한 정신 장애 진단 결과에 따라 상기 자극 장치에 의해 자극되는 자극 대상 부위, 자극 세기, 자극 주기 등을 적응적으로 변경함으로써, 사용자의 정신 장애의 종류와 장애 정도에 최적화된 두뇌 자극법을 수행할 수 있으며, 그 결과 정신 장애 자극 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실시예들이 상기 언급되지 않은 여러 기술적 과제들을 해결할 수 있음을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자명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신 장애 진단 및 자극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신 장애 진단 및 자극 시스템에 적용되는 이동 통신 단말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신 장애 진단 및 자극 시스템에 적용되는 자극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자극 장치에 마련된 자극용 단자들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신 장애 진단 및 자극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은 자극 장치의 동작 모드별 두뇌 자극 방식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에 대한 해결 방안을 명확화하기 위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 공지기술에 관한 설명이 오히려 본 발명의 요지를 불명료하게 하는 경우 그에 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들은 설계자, 제조자 등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후술되는 용어들의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신 장애 진단 및 자극 시스템(10)이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신 장애 진단 및 자극 시스템(10)은 사용자의 정신 장애를 비대면 방식으로 진단하여 자극하는 시스템으로서, 이동 통신 단말(100)과 자극 장치(200)를 포함하며, 실시예에 따라 관리 서버(300), 의료기관 서버(400), 주치의 단말(500)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 통신 단말(100)은 정신 장애를 진단받고자 하는 사용자가 이용하는 통신 단말로서, 스마트폰, 스마트 워치, 태블릿 PC, 또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등과 같이 휴대 가능한 다양한 형태의 모바일 단말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자극 장치(200)는 사용자의 머리 둘레에 분산 배치되는 복수의 단자를 통해 전기적 자극 신호 또는 자기적 자극 신호를 발생시켜 사용자의 두뇌를 자극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자극 장치(200)는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되는 웨어러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자극 장치(200)는 이동 통신 단말(100)과 통신 가능하게 구성되어 이동 통신 단말(100)을 통해 제어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관리 서버(300)는 정신 장애 진단 및 자극 시스템의 운영자 또는 관리자가 운영하는 서버로서, 상기 이동 통신 단말(100)로 정신 장애 진단 및 자극용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고, 상기 이동 통신 단말(100)과 의료기관 서버(400) 또는 주치의 단말(500) 간의 정보 교환을 중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의료기관 서버(400)는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의료기관이 운영하는 서버로서, 사용자의 정신 장애 관련 진료 기록이나 의료 정보를 보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주치의 단말(500)은 사용자의 정신 장애를 진료하는 주치의가 이용하는 통신 단말로서, 스마트폰, 태블리 PC, 노트북 등과 같은 모바일 단말로 구성되거나, 데스크탑 컴퓨터와 같은 고정형 단말로 구성될 수 있다.
아래에서 다시 설명하겠지만, 이러한 정신 장애 진단 및 자극 시스템(10)의 사용자는 자신의 이동 통신 단말(100)을 통해 정신 장애를 자가 진단하고, 해당 진단 결과에 따라 자동으로 제어되는 자극 장치(200)를 통해 직접적이고도 신속한 자극을 받을 수 있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신 장애 진단 및 자극 시스템에 적용되는 이동 통신 단말(100)이 블록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 통신 단말(100)은 통신부(101), 입력부(102), 출력부(103), 저장부(104), 센서부(105) 및 제어부(10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101)는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자극 장치(200)나 관리 서버(300) 등과 같은 다른 통신 장치들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수신하여 제어부(106)에 전달하거나, 제어부(106)에서 생성되거나 처리된 데이터를 다른 통신 장치들로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통신부(101)는 유·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모뎀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통신부(101)는 주변의 AP(Access Point)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WiFi 통신 모듈이나 다른 통신 장치와 직접 통신을 수행하는 블루투스 통신 모듈, 지그비 통신 모듈,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모듈, LTE 통신 모듈, 5G 통신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01)는 USB 포트, 유선랜 포트 또는 그 밖의 데이터 전송 케이블이 연결되는 다양한 통신 포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부(102)는 사용자의 명령이나 데이터를 입력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입력부(102)는 조작 버튼이나 터치 패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출력부(103)는 데이터나 정보를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출력부(103)는 디스플레이 패널 또는 터치 스크린 등과 같은 영상 표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출력부(103)는 스피커 등과 같은 음향 발생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104)는 이동 통신 단말(100)의 동작에 필요한 데이터들을 저장하여 관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저장부(104)는 ROM, RAM, EEPROM, 레지스터, 플래시 메모리 등의 다양한 저장 매체들을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105)는 사용자의 움직임, 생체 신호, 위치, 주변 환경 등을 센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센서부(105)는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지자기 센서, 생체 신호 센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센서, 온도 센서, 이미지 센서 등의 다양한 센서들을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06)는 이동 통신 단말(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사용자의 정신 장애 자극 프로세스를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106)는 제어 로직을 실행하기 위한 범용 프로세서,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그 밖의 다른 칩셋, 논리 회로, 레지스터, 메모리 등의 하드웨어들을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06)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제어부(106)의 제어 로직은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어 제어부(106)의 자체 메모리나 저장부(103)에 저장되고,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은 제어부(106)의 하드웨어를 통해 실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106)는 기능적으로 구분되는 세부 구성요소들로서 사용자 응답 수집부(110), 진단 정보 생성부(120), 설정 정보 생성부(130) 및 설정 정보 전송부(140)를 포함하며, 실시예에 따라 단어 추출부(150), 행동 데이터 수집부(160), CBT 수행부(170)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응답 수집부(110)는 이동 통신 단말(100)의 출력부(103)를 통해 정신 장애 진단용 설문을 출력하고, 해당 설문에 대응하여 이동 통신 단말(100)에 입력된 사용자의 응답을 수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응답 수집부(110)에 의해 출력되는 정신 장애 진단용 설문들은 우울 장애 평가를 위한 PHQ-9 (Patient Health Questionnaire-9), 수면 장애 평가를 위한 ISI(Insomnia severity index), 불안 장애 평가를 위한 GAD-7(General anxiety disorder 7-item), 해밀튼 우울증 평가척도 HAM-D((Hamilton Depression Rating Scale), 정신상태 평정척도 BPRS(Brief Psychiatric Rating Scale) 등에 따른 설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진단 정보 생성부(120)는 사용자 응답 수집부(110)에 의해 수집된 응답들을 기반으로 사용자에게 발생한 정신 장애의 종류와 장애 정도에 관한 진단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진단 정보 생성부(120)는 수집된 응답들을 기반으로 해당 사용자에게 발생한 정신 장애의 종류와 장애 정도에 대한 초기 진단을 수행하여, 해당 초기 진단 결과를 이동 통신 단말(100)의 통신부(101)를 통해 의료기관 서버(400)나 주치의 단말(500)로 전송하고, 의료기관 서버(400)나 주치의 단말(500)로부터 피드백되는 최종 진단 결과를 반영하여 상기 진단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진단 정보 생성부(120)는 상기 수집된 응답들만을 관리 서버(300)로 전송하여 관리 서버(300)로 하여금 상기 수집된 응답들을 기반으로 초기 진단을 수행하도록 하고, 해당 초기 진단 결과를 수신한 의료기관 서버(400)나 주치의 단말(500)로부터 최종 진단 결과가 피드백되면, 해당 최종 진단 결과를 반영하여 진단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생성된 진단 정보는 이동 통신 단말(100)의 출력부(103)를 통해 출력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06)는 단어 추출부(150), 행동 데이터 수집부(160) 및 CBT 수행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단어 추출부(150)는 사용자가 이동 통신 단말(100)을 통해 일정 기간 발송한 SMS(Short Message Service) 메시지나 MMS((Multimedia Messaging Service) 메시지 등과 같은 문자 메시지, SNS(Social Network Service) 메시지 또는 이메일의 텍스트를 파싱(parsing)하여, 미리 정해진 부정적 단어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는 부정적 단어를 해당 텍스트에서 추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단어 추출부(150)는 이동 통신 단말(100)에 설치된 문자 메시지 송수신용 애플리케이션, SNS 애플리케이션, 이메일 송수신용 애플리케이션 등과 연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행동 데이터 수집부(160)는 이동 통신 단말(100)에 설치된 센서 또는 애플리케이션 등과 연동하여 사용자의 운동량, 생체 신호, 위치, 주변 환경 및 사용자가 이동 통신 단말(100)을 통해 수행한 작업의 종류와 작업량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행동 데이터를 수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행동 데이터 수집부(160)는 상기 단어 추출부(150)에 의해 추출된 부정적 단어의 추출 빈도를 상기 행동 데이터로서 수집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진단 정보 생성부(120)는 사용자 응답 수집부(110)에 의해 수집된 응답들과 행동 데이터 수집부(160)에 의해 수집된 행동 데이터를 기반으로 해당 사용자에게 발생한 정신 장애의 종류와 장애 정도에 관한 진단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의 행동 데이터는 상기 진단 정보 생성부(120)에 의해 진단 정보가 생성되는 과정에서 장애 정도를 판단하는 보조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의 운동량이 기준량보다 많은 경우, 사용자의 생체 신호가 정상 범위에 해당하는 경우, 사용자의 메시지에서 추출되는 부정적 단어의 추출 빈도가 기준치보다 낮은 경우 등에는, 해당 사용자에게 발생한 정신 장애의 심각도를 정신 장애 진단용 설문을 통해 도출되는 심각도보다 낮게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운동량의 기준량, 생체 신호의 정상 범위, 부정적 단어의 추출 빈도 기준치 등은 정신 장애가 발생하지 않은 정상인들의 수치를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반면, 사용자의 평균 운동량이 기준량보다 적은 경우, 사용자의 생체 신호가 정상 범위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 사용자의 메시지에서 추출되는 부정적 단어의 추출 빈도가 기준치보다 높은 경우 등에는, 사용자에게 발생한 정신 장애의 심각도를 정신 장애 진단용 설문을 통해 도출되는 심각도보다 높게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정신 장애의 종류는 DSM(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의 분류에 따라 진단될 수 있다. 예컨대, 정신 장애의 종류는 DSM-5의 섹션 Ⅱ에 따라 진단될 수 있다. 즉, 사용자에게 발생한 정신 장애의 종류는 신경발달장애(Neurodevelopmental Disorders),조현병 스펙트럼 및 기타 정신병적 장애(Schizophrenia Spectrum and Other Psychotic Disorders),양극성장애(Bipolar and Related Disorders), 우울장애(Depressive Disorders), 불안장애(Anxiety Disorder), 강박 장애 및 관련 장애(Obsessive-Compulsive and Related Disorders),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및 관련 장애(Trauma-and Stressor-Related Disorders), 해리 장애(Dissociative Disorders), 신체증상 장애(Somatic Symptom and Related Disorders), 섭식 장애(Feeding and Eating Disorders), 배설 장애(Elimination Disorders), 수면 장애(Sleep-Wake Disorders) 등으로 진단될 수 있다.
상기 설정 정보 생성부(130)는 진단 정보 생성부(120)에 의해 진단 정보가 생성되면, 해당 진단 정보에 대응하여 사용자의 전체 두뇌 중 자극 대상 부위를 설정하는 제1 설정 정보와, 상기 자극 대상 부위의 자극 방식을 설정하는 제2 설정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설정 정보는 상기 자극 대상 부위를 자극하는 자극 신호의 세기, 주파수 또는 자극 시간을 설정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설정 정보 생성부(130)는 정신 장애의 종류 및 장애 정도별로 자극 대상 부위와 자극 방식을 기록한 설정 정보 테이블을 미리 저장하고, 이러한 설정 정보 테이블에 따라 상기 진단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제1 설정 정보와 상기 제2 설정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설정 정보 전송부(140)는, 상기 제1 설정 정보와 상기 제2 설정 정보를 이동 통신 단말(100)의 통신부(101)를 통해 자극 장치(200)로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설정 정보 전송부(140)는 상기 제1 설정 정보와 상기 제2 설정 정보를 자극 장치(200)로 전송함으로써, 자극 장치(200)로 하여금 상기 복수의 단자 중 상기 제1 설정 정보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 단자를 통해 상기 제2 설정 정보에 대응하는 자극 방식으로 상기 사용자의 두뇌를 자극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CBT 수행부(170)는, 진단 정보 생성부(120)에 의해 생성된 진단 정보에 대응하여, CBT(Cognitive Behavioral Therapy)를 수행하는 CBT 애플리케이션을 이동 통신 단말(100)을 통해 실행하거나, CBT에 따른 자극 정보를 이동 통신 단말(100)의 출력부(103)를 통해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CBT 애플리케이션은 가상 현실(Virtual Reality) 또는 증강 현실(Augmented Reality)을 기반으로 사용자에게 정신 역동 자극, 인지 자극, 행동 자극, 긴장 이완 자극 등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자극 장치(200)의 두뇌 자극 동작과 상기 CBT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이 완료된 후, 상기 사용자 응답 수집부(110)는 정신 장애 재진단용 설문을 출력하여 해당 설문에 대응하는 상기 사용자의 응답을 재수집하고, 상기 행동 데이터 수집부(160)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100)의 센서 또는 애플리케이션과 연동하여 상기 사용자의 행동 데이터를 재수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진단 정보 생성부(120)는 재수집된 상기 사용자의 응답 또는 상기 사용자의 행동 데이터, 또는 재수집된 상기 사용자의 응답과 행동 데이터 양자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의 정신 장애에 관한 후속 진단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진단 정보 생성부(120)는 상기 후속 진단 정보를 상기 이동 통신 단말(100)의 출력부(103)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속 진단 정보에 따라 상기 사용자에 대해 재자극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설정 정보 생성부(130)는 상기 후속 진단 정보에 대응하는 제1 설정 정보와 제2 설정 정보를 재생성하고, 상기 설정 정보 전송부(140)는 재생성된 제1 설정 정보와 제2 설정 정보를 이동 통신 단말(100)의 통신부(101)를 통해 자극 장치(200)로 재전송할 수 있다. 그 결과, 자극 장치(200)는 재전송된 제1 설정 정보와 제2 설정 정보 따라 상기 사용자의 두뇌를 재자극할 수 있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신 장애 진단 및 자극 시스템에 적용되는 자극 장치(200)가 블록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자극 장치(200)는 통신부(210), 입력부(220), 출력부(230), 저장부(240), 자극부(250) 및 제어부(26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 가능한 웨어러블 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통신부(210)는 유·무선 통신 방식으로 이동 통신 단말(100)이나 다른 통신 장치들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수신하여 제어부(260)에 전달하거나, 제어부(260)에서 생성되거나 처리된 데이터를 이동 통신 단말(100)이나 다른 통신 장치들로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통신부(210)는 유·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모뎀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통신부(210)는 다른 통신 장치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블루투스 통신 모듈, 지그비 통신 모듈,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모듈, LTE 통신 모듈, 5G 통신 모듈, WiFi 통신 모듈 등을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210)는 USB 포트, 유선랜 포트 또는 그 밖의 데이터 전송 케이블이 연결되는 다양한 통신 포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부(220)는 사용자의 명령이나 데이터를 입력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입력부(102)는 조작 버튼이나 터치 패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출력부(230)는 데이터나 정보를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출력부(230)는 디스플레이 패널 또는 터치 스크린 등과 같은 영상 표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출력부(230)는 스피커 등과 같은 음향 발생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240)는 자극 장치(200)의 동작에 필요한 데이터들을 저장하여 관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저장부(240)는 ROM, RAM, EEPROM, 레지스터, 플래시 메모리 등의 다양한 저장 매체들을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극부(250)는 사용자의 머리 둘레에 배치되는 다수의 자극용 단자들(250a 내지 250n)을 포함하며, 해당 단자들(250a 내지 250n)을 통해 전기적 자극 신호 또는 자기적 자극 신호를 출력하여 사용자의 두뇌를 자극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자극부(250)는 TMS(Transcranial Magnetic Stimulation) 방법과 TES(Transcranial Electrical Stimulation) 방법 중 어느 하나를 적용하거나 양자를 모두 적용하여 사용자의 두뇌를 자극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TMS 방법의 적용을 위해 상기 자극용 단자들(250a 내지 250n)은 각각 극성 변경이 가능한 전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TES 방법의 적용을 위해 상기 자극용 단자들(250a 내지 250n)은 각각 도전성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60)는 자극 장치(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사용자의 두뇌를 자극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260)는 제어 로직을 실행하기 위한 범용 프로세서,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그 밖의 다른 칩셋, 논리 회로, 레지스터, 메모리 등의 하드웨어들을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260)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제어부(260)의 제어 로직은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어 제어부(260)의 자체 메모리나 저장부(240)에 저장되고,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은 제어부(260)의 하드웨어를 통해 실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260)는 기능적으로 구분되는 세부 구성요소들로서 설정 정보 수신부(262) 및 자극 신호 발생부(26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설정 정보 수신부(262)는 이동 통신 단말(100)과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이동 통신 단말(100)의 설정 정보 전송부(140)에 의해 전송된 제1 설정 정보 및 제2 설정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자극 신호 발생부(264)는 사용자 머리 둘레 배치되는 다수의 단자들(250a 내지 250n) 중 상기 제1 설정 정보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 단자를 선택하고, 선택된 단자를 통해 상기 제2 설정 정보에 대응하는 자극 방식으로 전기적 자극 신호 또는 자기적 자극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4에는 자극 장치(200)에 마련된 자극용 단자들(250a 내지 250h)의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극 장치(200)의 자극용 단자들(250a 내지 250h)은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 가능한 헤드 밴드 형태 또는 헬멧 형태를 가진 자극 장치(200)의 프레임(270)에 결합되어 해당 프레임(270)을 착용한 사용의 머리 둘레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자극용 단자들의 크기, 형상, 개수, 위치 등은 실시예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신 장애 진단 및 자극 방법이 흐름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정신 장애 진단 및 자극 시스템(10)의 동작 프로세스를 시계열적으로 설명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정신 장애 진단 및 자극 시스템(10)의 이동 통신 단말(100)은 디스플레이나 스피커를 통해 정신 장애 진단용 설문을 출력하고(S500), 해당 설문에 대응하여 이동 통신 단말(100)에 입력되는 사용자의 응답을 수집할 수 있다(S510).
한편, 상기 이동 통신 단말(100)은 이동 통신 단말(100)에 설치된 센서 또는 애플리케이션 등과 연동하여 사용자의 운동량, 생체 신호, 위치, 주변 환경 및 사용자가 이동 통신 단말(100)을 통해 수행한 작업의 종류와 작업량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행동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S520).
이 경우, 상기 이동 통신 단말(100)은 사용자가 이동 통신 단말(100)을 통해 일정 기간 발송한 SMS(Short Message Service) 메시지나 MMS((Multimedia Messaging Service) 메시지 등과 같은 문자 메시지, SNS(Social Network Service) 메시지 또는 이메일의 텍스트를 파싱(parsing)하여, 미리 정해진 부정적 단어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는 부정적 단어를 해당 텍스트에서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동 통신 단말(100)은 추출된 부정적 단어의 추출 빈도를 해당 사용자의 행동 데이터로서 수집할 수 있다.
그 다음, 상기 이동 통신 단말(100)은 수집된 정보들을 기반으로 사용자에게 발생한 정신 장애의 종류와 장애 정도에 관한 진단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S530 내지 S560).
이를 위해, 상기 이동 통신 단말(100)은 수집된 정보들을 관리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S530). 수집된 정보들을 수신한 관리 서버(300)는 해당 정보들을 기반으로 해당 사용자의 정신 장애에 관한 초기 진단을 수행하고(S540), 초기 진단 결과를 의료기관 서버(400)로 전송할 수 있다(S542).
도 5에서는 관리 서버(300)가 수집된 정보들을 기반으로 초기 진단을 수행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실시예에 따라 상기 이동 통신 단말(100)이 수집된 정보들을 기반으로 초기 진단을 수행한 후, 수집된 정보들과 초기 진단 결과를 관리 서버(300)를 통해 의료기관 서버(400)로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그 다음, 의료기관 서버(400)에 접속한 주치의가 해당 초기 진단 결과를 확인하거나 변경하여 최종 진단 결과가 확정되면(S550), 의료기관 서버(400)는 최정 진단 결과를 관리 서버(300)를 통해 또는 직접적으로 이동 통신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S552, S554).
이와 같이, 의료기관 서버(400)로부터 최종 진단 결과를 피드백 받은 이동 통신 단말(100)은 해당 최종 진단 결과를 반영하여 해당 사용자에게 발생한 정신 장애의 종류와 장애 정도에 관한 진단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S560).
그 다음, 상기 이동 통신 단말(100)은 상기 진단 정보에 대응하여 사용자의 전체 두뇌 중 자극 대상 부위를 설정하는 제1 설정 정보와, 상기 자극 대상 부위의 자극 방식을 설정하는 제2 설정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S570). 이 경우, 제2 설정 정보는 상기 자극 대상 부위를 자극하는 자극 신호의 세기, 주파수 또는 자극 시간를 설정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통신 단말(100)은 정신 장애의 종류 및 장애 정도별로 자극 대상 부위와 자극 방식을 기록한 설정 정보 테이블을 미리 저장하고, 이러한 설정 정보 테이블에 따라 상기 진단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제1 설정 정보와 상기 제2 설정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그 다음, 상기 이동 통신 단말(100)은 자극 장치(200)와 페어링(pairing)을 수행하여 자극 장치(200)와의 통신 채널이 형성되면, 상기 제1 설정 정보와 제2 설정 정보를 상기 자극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S580).
상기 제1 설정 정보와 제2 설정 정보를 수신한 자극 장치(200)는, 사용자의 머리 둘레에 배치된 다수의 단자 중 상기 제1 설정 정보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 단자를 선택하고, 선택된 단자를 통해 상기 제2 설정 정보에 대응하는 자극 방식으로 전기적 자극 신호 또는 자기적 자극 신호를 발생시킴으로써, 사용자의 두뇌를 자극할 수 있다(S590).
한편, 상기 이동 통신 단말(100)은 상기 사용자의 진단 정보에 대응하여, CBT(Cognitive Behavioral Therapy)를 수행하는 CBT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거나, CBT에 따른 자극 정보를 출력부(103)를 통해 출력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자극 장치(200)의 두뇌 자극 동작이 완료되어 상기 자극 장치(200)로부터 두뇌 자극 완료 통지가 수신되면(S592), 상기 이동 통신 단말(100)은 정신 장애 재진단용 설문을 출력하여 해당 설문에 대응하는 상기 사용자의 응답을 재수집하거나, 상기 이동 통신 단말(100)의 센서 또는 애플리케이션과 연동하여 상기 사용자의 행동 데이터를 재수집하고, 재수집된 상기 사용자의 응답 또는 상기 사용자의 행동 데이터, 또는 재수집된 상기 사용자의 응답과 행동 데이터 양자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의 정신 장애에 관한 후속 진단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S594). 이 경우, 상기 이동 통신 단말(100)은 상기 후속 진단 정보를 출력부(103)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그 다음, 상기 이동 통신 단말(100)은 상기 후속 진단 정보에 따라 상기 사용자에 대해 재자극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S596), 상기 후속 진단 정보에 대응하는 제1 설정 정보와 제2 설정 정보를 재생성하고(S570), 재생성된 제1 설정 정보와 제2 설정 정보를 통신부(101)를 통해 자극 장치(200)로 재전송할 수 있다(S580). 그 결과, 자극 장치(200)는 재전송된 제1 설정 정보와 제2 설정 정보 따라 자극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의 두뇌를 재자극할 수 있다(S590).
도 6 내지 도 8에는 자극 장치(200)의 동작 모드별 두뇌 자극 방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자극 장치(200)는 이동 통신 단말(100)로부터 수신된 설정 정보들에 따라 다양한 동작 모드로 사용자의 두뇌를 자극할 수 있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동작 모드에서 상기 자극 장치(200)는 사용자의 머리 둘레에 배치된 다수의 단자들(250a 내지 250h) 중 머리 전방에 배치된 제1 단자(250a)와 머리 좌측에 배치된 제2 단자(250b)를 선택하고, 해당 단자들(250a, 250b)에 각각 포함된 전자석들을 상호 반대 극성으로 동작시킴으로써, 사용자의 좌측 전두엽을 자극하는 자기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동작 모드에서 상기 자극 장치(200)는 사용자의 머리 둘레에 배치된 다수의 단자들(250a 내지 250h) 중 머리 전방에 배치된 제1 단자(250a)와 제8 단자(250h)를 선택하고, 해당 단자들(250a, 250h)에 각각 포함된 전자석들을 상호 반대 극성으로 동작시킴으로써, 사용자의 전두엽 전방을 자극하는 자기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동작 모드에서 상기 자극 장치(200)는 머리 전방에 배치된 제1 단자(250a)와 제8 단자(250h), 머리 좌측에 배치된 제2 단자(250b)와 제3 단자(250c), 머리 후방에 배치된 제4 단자(250d)와 제5 단자(250e), 머리 우측에 배치된 제6 단자(250f)와 제7 단자(250g)를 선택하고, 제1 단자(250a), 제2 단자(250b), 제3 단자(250c) 및 제8 단자(250h)에 각각 포함된 전자석들을 모두 S극으로 동작시키고, 제4 단자(250d), 제5 단자(250e), 제6 단자(250f) 및 제7 단자(250g)에 각각 포함된 전자석들을 모두 N극으로 동작시킴으로써, 사용자의 두뇌 심부를 자극하는 자기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러한 자극 장치(200)의 동작 모드는 다양한 방식으로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자극 장치(200)는 제2 설정 정보에 포함된 주파수 정보에 따라 일정 시점마다 N극 단자는 S극 단자로 변경시키고, S극 단자는 N극 단자로 변경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컴퓨터 시스템과 이러한 컴퓨터 시스템을 구동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구현되는 경우, 본 발명의 구성요소들은 해당 컴퓨터 시스템을 통해 해당 동작이나 작업을 실행하는 프로그램 세그먼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 내지 프로그램 세그먼트들은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다양한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는 컴퓨터 시스템이 읽어들일 수 있는 데이터를 기록하는 모든 종류의 매체가 포함될 수 있다. 예컨대,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는 ROM, RAM, EEPROM, 레지스터, 플래시 메모리, CD-ROM, 자기 테이프, 하드 디스크, 플로피디스크, 또는 광 데이터 기록장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기록매체는 다양한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들에 분산 배치되어 프로그램 코드들을 분산 방식으로 저장하거나 실행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휴대하는 이동 통신 단말(100)을 통해 사용자의 정신 장애를 진단하는 한편, 사용자의 머리 둘레에 분산 배치되는 복수의 단자를 통해 전기적 또는 자기적 자극 신호를 발생시키는 자극 장치(200)를 해당 진단 결과에 따라 자동으로 제어하여 사용자의 두뇌를 자극함으로써, 사용자의 정신 건강 상태를 비대면 방식으로 상시 진단하여 관리할 수 있음은 물론, 정신 장애가 발생한 사용자에게 직접적이고도 신속한 진단 및 자극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통신 단말(100)을 통해 사용자의 생활 습관이나 행동 패턴과 관련된 행동 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된 행동 데이터를 참고하여 해당 사용자의 정신 장애의 종류와 장애 정도를 진단함으로써, 정신 장애 진단 결과의 정확성과 신뢰성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통신 단말(100)을 통한 정신 장애 진단 결과에 따라 상기 자극 장치(200)에 의해 자극되는 자극 대상 부위, 자극 세기, 자극 주기 등을 적응적으로 변경함으로써, 사용자의 정신 장애의 종류와 장애 정도에 최적화된 두뇌 자극법을 수행할 수 있으며, 그 결과 정신 장애 진단 및 자극 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는 물론 관련 기술 분야에서 본 명세서에 언급된 내용 이외의 다른 여러 기술적 과제들을 해결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참고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예들이 구현될 수 있음을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앞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사상의 범위는 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균등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이동 통신 단말 110 : 사용자 응답 수집부
120 : 진단 정보 생성부 130 : 설정 정보 생성부
140 : 설정 정보 전송부 150 : 단어 추출부
160 : 행동 데이터 수집부 170 : CBT 수행부
200 : 자극 장치 210 : 설정 정부 수신부
220 : 자극 신호 발생부

Claims (12)

  1. 이동 통신 단말과 통신 가능하며 사용자의 머리 둘레에 분산 배치되는 복수의 단자를 통해 자극 신호를 발생시켜 상기 사용자의 두뇌를 자극하는 자극 장치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의 정신 장애를 진단 및 자극하는 비대면 방식의 정신 장애 진단 및 자극 시스템으로서,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을 통해 정신 장애 진단용 설문을 출력하고, 해당 설문에 대응하여 상기 이동 통신 단말에 입력된 상기 사용자의 응답을 수집하는 사용자 응답 수집부;
    수집된 응답을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에게 발생한 정신 장애의 종류와 장애 정도에 관한 진단 정보를 생성하는 진단 정보 생성부;
    상기 진단 정보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진단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사용자의 전체 두뇌 중 자극 대상 부위를 설정하는 제1 설정 정보와 상기 자극 대상 부위의 자극 방식을 설정하는 제2 설정 정보를 생성하는 설정 정보 생성부; 및
    상기 제1 설정 정보와 상기 제2 설정 정보를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을 통해 상기 자극 장치로 전송하여, 상기 자극 장치로 하여금 상기 복수의 단자 중 상기 제1 설정 정보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 단자를 통해 상기 제2 설정 정보에 대응하는 자극 방식으로 상기 사용자의 두뇌를 자극하도록 하는 설정 정보 전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 통신 단말에 설치된 센서 또는 애플리케이션과 연동하여 상기 사용자의 운동량, 생체 신호, 위치, 주변 환경 및 상기 사용자가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을 통해 수행한 작업의 종류와 작업량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행동 데이터를 수집하는 행동 데이터 수집부를 포함하고,
    상기 진단 정보 생성부는, 상기 수집된 응답과 상기 행동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진단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행동 데이터 중 상기 사용자의 운동량이 기준량보다 많은 경우 상기 사용자에게 발생한 정신 장애의 심각도를 정신 장애 진단용 설문을 통해 도출되는 심각도보다 낮게 판단하고, 상기 행동 데이터 중 상기 사용자의 운동량이 기준량보다 적은 경우 상기 사용자에게 발생한 정신 장애의 심각도를 정신 장애 진단용 설문을 통해 도출되는 심각도보다 높게 판단하고,
    상기 자극 장치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과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제1 설정 정보 및 상기 제2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설정 정보 수신부; 및
    상기 복수의 단자 중 상기 제1 설정 정보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 단자를 선택하고, 선택된 단자를 통해 상기 제2 설정 정보에 대응하는 자극 방식으로 상기 자극 신호를 발생시키는 자극 신호 발생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단자들은 각각 극성 변경이 가능한 전자석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설정 정보에 포함된 주파수 정보에 따라 일정 시점마다 N극 단자는 S극 단자를 변경시키고, S극 단자는 N극 단자로 변경시키되,
    상기 복수의 단자들에 포함된 전자석들을 상호 반대 극성으로 동작시킴으로써, 상기 사용자의 두뇌를 자극하는 비대면 방식의 정신 장애 진단 및 자극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을 통해 일정 기간 발송한 문자 메시지, SNS(Social Network Service) 메시지 또는 이메일의 텍스트를 파싱(parsing)하여, 미리 정해진 부정적 단어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는 부정적 단어를 상기 텍스트에서 추출하는 단어 추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행동 데이터 수집부는, 추출된 부정적 단어의 추출 빈도를 상기 사용자의 행동 데이터로서 수집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대면 방식의 정신 장애 진단 및 자극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단 정보 생성부는, 상기 제1 설정 정보와 상기 제2 설정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자극 장치의 두뇌 자극 동작이 완료된 후, 상기 사용자 응답 수집부에 의해 재수집되는 상기 사용자의 응답을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의 정신 장애에 관한 후속 진단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대면 방식의 정신 장애 진단 및 자극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단 정보 생성부는, 상기 제1 설정 정보와 상기 제2 설정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자극 장치의 두뇌 자극 동작이 완료된 후, 상기 사용자 응답 수집부에 의해 재수집되는 상기 사용자의 응답, 상기 행동 데이터 수집부에 의해 재수집되는 상기 사용자의 행동 데이터, 또는 상기 재수집되는 상기 사용자의 응답과 상기 사용자의 행동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의 정신 장애에 관한 후속 진단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대면 방식의 정신 장애 진단 및 자극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단 정보 생성부는, 상기 수집된 응답을 기반으로 수행된 초기 진단 결과를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을 통해 의료기관 서버 또는 주치의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의료기관 서버 또는 상기 주치의 단말로부터 피드백되는 최종 진단 결과를 반영하여 상기 진단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대면 방식의 정신 장애 진단 및 자극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정보 생성부에 의해 생성되는 상기 제2 설정 정보는, 상기 자극 대상 부위를 자극하는 자극 신호의 세기, 주파수 또는 자극 시간을 설정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대면 방식의 정신 장애 진단 및 자극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정보 생성부는, 정신 장애의 종류 및 장애 정도별로 자극 대상 부위와 자극 방식을 기록한 설정 정보 테이블을 미리 저장하고, 상기 설정 정보 테이블에 따라 상기 진단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제1 설정 정보와 상기 제2 설정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대면 방식의 정신 장애 진단 및 자극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단 정보에 대응하여, CBT(Cognitive Behavioral Therapy)를 수행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을 통해 실행하거나 CBT에 따른 자극 정보를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을 통해 출력하는 CBT 수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대면 방식의 정신 장애 진단 및 자극 시스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210029634A 2021-03-05 2021-03-05 비대면 방식의 정신 장애 진단 및 자극 시스템 및 방법 KR1026458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9634A KR102645893B1 (ko) 2021-03-05 2021-03-05 비대면 방식의 정신 장애 진단 및 자극 시스템 및 방법
PCT/KR2022/002478 WO2022186528A1 (ko) 2021-03-05 2022-02-21 비대면 방식의 정신 장애 진료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9634A KR102645893B1 (ko) 2021-03-05 2021-03-05 비대면 방식의 정신 장애 진단 및 자극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5766A KR20220125766A (ko) 2022-09-14
KR102645893B1 true KR102645893B1 (ko) 2024-03-12

Family

ID=831541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9634A KR102645893B1 (ko) 2021-03-05 2021-03-05 비대면 방식의 정신 장애 진단 및 자극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645893B1 (ko)
WO (1) WO202218652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0936B1 (ko) * 2022-12-16 2024-03-26 주식회사 닥터포레스트 정신건강 위험신호 탐지 시스템, 그리고 이를 이용한 정신건강 위험신호 탐지 방법
KR102603579B1 (ko) * 2023-04-12 2023-11-20 주식회사 피치라이프사이언스 뇌파측정이 가능한 비침습 뇌신경 자극 장치
KR102610262B1 (ko) 2023-07-13 2023-12-06 주식회사 마인즈에이아이 메타버스를 활용하여 특정 실제 사용자의 특정 아바타에게 상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610273B1 (ko) 2023-07-13 2023-12-07 주식회사 마인즈에이아이 메타버스를 활용하여 특정 사용자의 특정 아바타에게 트리거링 아바타와의 인터랙션을 유도하기 위한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610267B1 (ko) 2023-07-13 2023-12-07 주식회사 마인즈에이아이 메타버스 내의 아바타 간의 인터랙션을 참조하여 특정 아바타에 대응되는 특정 사용자의 상태를 분석하고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538556A (ja) * 2014-09-23 2017-12-28 アイカーン スクール オブ メディスン アット マウント サイナイIcahn School Of Medicine At Mount Sinai 精神障害を治療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101913850B1 (ko) * 2018-04-02 2018-11-01 (주)에프앤아이 심리 상태 판단용 키트를 통해 획득되는 사용자의 심리 상태 데이터를 분석함으로써 사용자의 심리 상태를 판단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서버
WO2019244099A2 (en) * 2018-06-20 2019-12-26 Inner Cosmo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treating mood disorders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245633A1 (en) * 2010-03-04 2011-10-06 Neumitra LLC Devices and methods for treating psychological disorders
KR102225603B1 (ko) * 2019-03-08 2021-03-08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심리 상담을 위한 감정 스코어링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538556A (ja) * 2014-09-23 2017-12-28 アイカーン スクール オブ メディスン アット マウント サイナイIcahn School Of Medicine At Mount Sinai 精神障害を治療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101913850B1 (ko) * 2018-04-02 2018-11-01 (주)에프앤아이 심리 상태 판단용 키트를 통해 획득되는 사용자의 심리 상태 데이터를 분석함으로써 사용자의 심리 상태를 판단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서버
WO2019244099A2 (en) * 2018-06-20 2019-12-26 Inner Cosmo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treating mood disord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186528A1 (ko) 2022-09-09
KR20220125766A (ko) 2022-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45893B1 (ko) 비대면 방식의 정신 장애 진단 및 자극 시스템 및 방법
US20210098110A1 (en) Digital Health Wellbeing
US10620593B2 (en)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9622660B2 (en) System and method for enabling collaborative analysis of a biosignal
Keidser et al. Self-fitting hearing aids: Status quo and future predictions
US20130317382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nd Aggregating Biosignals and Action Data
Martínez-Cagigal et al. Towards an accessible use of smartphone-based social networks through brain-computer interfaces
US20220183593A1 (en) Hearing test system
Vuppalapati et al. A system to detect mental stress using machine learning and mobile development
CN109600699A (zh) 用于听力装置服务请求的具有计算程序和服务器的系统
WO2015021042A9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binge eating disorders
JPWO2018042799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9394207A (zh) 情绪识别方法及系统、电子设备
EP3570740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using imagined direction to perform at least one action
US20170351958A1 (en) Brain activity prediction
Yannam et al. Research study and system design for evaluating student stress in Indian Academic Setting
CN110379272A (zh) 基于数字病人的中医切诊训练方法与系统
KR102407457B1 (ko) 인공지능을 이용한 보청기 적합 시스템
KR102377414B1 (ko) 인공지능 기반 개인화 청각 재활 시스템
US20190141418A1 (en) A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one or more statements
CN115397331A (zh) 控制装置和控制方法
CN114169366A (zh) 神经反馈训练系统和方法
KR20200037566A (ko) 산모 및 신생아의 건강 데이터를 활용한 웰니스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WO2023209830A1 (ja) 調整システム、調整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7062327B1 (ja) 行動支援システム、行動支援方法及び行動支援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