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5809B1 - Plantpot stand unit including absorbing member linked with plant and circumstance thereof - Google Patents

Plantpot stand unit including absorbing member linked with plant and circumstance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5809B1
KR102645809B1 KR1020230087422A KR20230087422A KR102645809B1 KR 102645809 B1 KR102645809 B1 KR 102645809B1 KR 1020230087422 A KR1020230087422 A KR 1020230087422A KR 20230087422 A KR20230087422 A KR 20230087422A KR 102645809 B1 KR102645809 B1 KR 1026458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body
water
plant
absorbing member
stand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8742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경원
Original Assignee
박경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경원 filed Critical 박경원
Priority to KR10202300874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580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58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5809B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4Flower-pot saucers
    • A01G9/047Channels or gutters, e.g. for hydroponic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어도 일면이 개방되고 급수부를 통해 공급되는 급수가 보관 가능하도록 내부 공간이 형성되는 하우징 본체, 식물이 식재되어 있는 화분이 거치되고 상기 급수가 관통 가능하게 급구홀이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 본체의 개방 부위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거치 지지부재, 상기 거치 지지부재의 저면에 형성되는 착탈홀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된 상태로 보관된 상기 하우징 본체에 보관된 급수에 적어도 일부가 함침된 상태로 탈착 가능하게 형성되는 스트링 부재 및 상기 하우징 본체의 일측에 적어도 일부가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하우징 본체의 저면에 보관되는 급수에 접촉 가능하게 결합되는 흡수부재를 포함하는 식물과 식재 환경에 연동된 흡수부재를 포함하는 화분 받침대 유닛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using body in which at least one side is open and an internal space is formed to store water supplied through a water supply unit, a pot in which a plant is planted is placed, a water supply hole is formed to allow the water to penetrate, and the housing body is provided. A mounting support member detachably coupled to an open portion, and detachable with at least a portion impregnated in water stored in the housing body stored with at least a portion inserted into a attachment/detachment hole formed on the bottom of the mounting support member. A plant including a string member formed to be detachable from one side of the housing body and an absorbing member, at least a portion of which is exposed to the outside and is detachably coupled to a water supply stored on the bottom of the housing body. A planter stand unit including an absorbent member linked to a planting environment is provided.

Description

식물과 식재 환경에 연동된 흡수부재를 포함하는 화분 받침대 유닛{PLANTPOT STAND UNIT INCLUDING ABSORBING MEMBER LINKED WITH PLANT AND CIRCUMSTANCE THEREOF}Planter stand unit including an absorbing member linked to plants and the planting environment {PLANTPOT STAND UNIT INCLUDING ABSORBING MEMBER LINKED WITH PLANT AND CIRCUMSTANCE THEREOF}

본 발명은 식물과 식재 환경에 연동된 흡수부재를 포함하는 화분 받침대 유닛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공급되는 관수 확인이 가능한 식물과 식재 환경에 연동된 흡수부재를 포함하는 화분 받침대 유닛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ower pot stand unit that includes an absorbent member linked to a plant and a planting environment, and more specifically, to a flower pot stand unit that includes an absorbent member linked to a plant and a planting environment capable of confirming supplied watering. .

일반적으로 화분은 식물의 재배 및 쾌적한 환경조성을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 바닥면에 배수 및 공기순환을 위해 소정 크기의 통공을 형성한 화분 내부로 식물을 지탱함과 동시에 물과 양분을 공급할 수 있도록 토양을 채워 구성한다.In general, pots are used to grow plants and create a comfortable environment. They have holes of a certain size on the bottom for drainage and air circulation. They support plants and at the same time contain soil to supply water and nutrients. Fill in and configure.

종래에는 화분 위에서 화분 내의 토양으로 직접 물을 주는 표면관수 방법이 일반적이었으나, 이러한 표면관수 방법은 화분의 크기와 식물의 종류에 따라 적정량의 물 공급이 어려워 물을 너무 많이 주거나 혹은 너무 주지 않아서 과습이나 건조의 피해로 식물을 고사(枯死)시키는 사례가 자주 발생된다. 이와 같이 표면관수 방법으로의 급수 시에는 화분의 크기, 식물의 종류에 따라 급수 관리의 어려움이 많으며, 화분 아래에 필히 화분 받침대를 두어서 과다 공급되어 흘러내리는 물을 받아내는 물받이통이 부착된 화분 받침대가 필요하다.Conventionally, the surface irrigation method of watering water directly from the top of the pot to the soil inside the pot was common, but this surface irrigation method had difficulty supplying an appropriate amount of water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pot and the type of plant, resulting in overwatering or not giving too much water. There are frequent cases of plant death due to damage from dryness. In this way, when supplying water using the surface irrigation method, there are many difficulties in managing water supply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flower pot and the type of plant. A flower pot stand must be placed under the flower pot, and a flower pot with a water container attached to catch excess water flowing down. A stand is needed.

호텔, 종합병원, 대형 오피스빌딩, 전시장과 같은 건물들의 로비(Lobby) 주변에는 대형화분에 관엽식물들을 식재하여 실내의 분위기를 자연스럽게 조성하는데, 이런 경우 화훼농장에서 재배한 플라스틱 화분에 식재된 식물을 도자기류 화분으로 분갈이하여 식재하지 않고 도자기류 화분 안에 농장에서 식물 재배한 플라스틱 화분을 그 대로 넣어서, 겉으로 보이는 화분의 외관만 고급스럽게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Around the lobbies of buildings such as hotels, general hospitals, large office buildings, and exhibition halls, foliage plants are planted in large pots to create a natural indoor atmosphere. In this case, plants grown in plastic pots grown at a flower farm are used. Rather than repotting plants into ceramic pots and planting them, it is common to place plastic pots with plants grown on farms in ceramic pots to give the pots a more luxurious appearance.

별도의 분갈이를 하지 않고 플라스틱 화분을 도자기류 화분 안에 넣어두는 방식은 분갈이에 소요되는 인건비의 절감과, 식재된 플라스틱 화분의 손쉬운 교체가 가능하기 때문에 식재 식물의 교체가 간편한 장점은 있지만, 도자기류 화분 안에 넣어진 1~3개 정도의 플라스틱 화분을 보게 되면 조잡함을 느끼게 되며, 화분에 관수는 표면관수를 이용할 수밖에 없는데, 표면관수는 상술한 문제점이 있다.The method of placing a plastic pot in a ceramic pot without separate repotting has the advantage of reducing the labor cost required for repotting and making it easy to replace the planted plant because the plastic pot is easily replaced, but the ceramic pot When you see 1 to 3 plastic flower pots placed inside, you feel that it is crude, and you have no choice but to use surface watering to water the flower pots, but surface watering has the problems described above.

대한민국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77376호Republic of Korea Republic of Korea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477376

본 발명은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저면 관수식 식물을 재배하는 과정에서 식물이 식재되어 있는 화분에 공급되는 물이 접촉되어 있는 별도의 흡수부재에 의하여 시각적 및 직접 접촉 방식에 의하여 확인이 가능한 식물과 식재 환경에 연동된 흡수부재를 포함하는 화분 받침대 유닛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solve the above-described technical problem. In the process of cultivating bottom-irrigated plants, the water supplied to the pot in which the plant is planted is visually and directly absorbed by a separate absorbing member in contact with the water. The purpose is to provide a flower pot stand unit that includes an absorbent member linked to a plant and a planting environment that can be identified by contact.

또한, 본 발명은 저면 관수식 식물을 재배하는 과정에서 식물이 식재되어 있는 화분과 공급되는 물이 접촉되지 않고 일정량의 물이 항상 적절한 수위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저면 관수에 의한 화분 및 식물의 뿌리 부분이 변질되거나 썩는 현상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식물과 식재 환경에 연동된 흡수부재를 포함하는 화분 받침대 유닛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ensures that a certain amount of water is always maintained at an appropriate water level without contacting the pot in which the plant is planted with the supplied water during the process of cultivating bottom-irrigated plants, thereby ensuring that the pots and plants are maintained by bottom irrigation. The purpose is to provide a flower pot stand unit that includes an absorbing member linked to the plant and planting environment, which can fundamentally prevent deterioration or rotting of the roots.

또한, 본 발명은 표면관수와 저면 관수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식물의 분갈이 없이 화분을 보관하여 식재할 수 있는 식물과 식재 환경에 연동된 흡수부재를 포함하는 화분 받침대 유닛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t stand unit that includes an absorbing member linked to the plant and planting environment, which enables surface irrigation and bottom irrigation, allowing the pot to be stored and planted without repotting the plant. .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There will be.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식물과 식재 환경에 연동된 흡수부재를 포함하는 화분 받침대 유닛의 일실시예는, 적어도 일면이 개방되고 급수부를 통해 공급되는 급수가 보관 가능하도록 내부 공간이 형성되며 하기 흡수부재의 적어도 일부가 노출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노출홀(H1)이 형성되는 하우징 본체;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problem, an embodiment of the flower pot stand unit including an absorbing member linked to the plant and the planting environ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t least one side open and an internal space so that the water supplied through the water supply unit can be stored. A housing body in which an exposure hole (H 1 ) is formed so that at least a portion of the absorbing member below can be exposed;

식물이 식재되어 있는 화분이 거치되고 상기 급수가 관통 가능하게 급수 관통홀(H3)이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 본체의 개방 부위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거치 지지부재;a mounting support member on which a flower pot in which a plant is planted is mounted, a water supply penetration hole (H 3 ) is formed through which the water can penetrate, and which is detachably coupled to an open portion of the housing main body;

상기 거치 지지부재의 저면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된 상태로 보관된 상기 하우징 본체에 보관된 급수에 적어도 일부가 함침된 상태로 탈착 가능하게 형성되는 스트링 부재; 및 a string member formed to be detachable and at least partially impregnated with water stored in the housing body stored with at least a portion inserted into the bottom surface of the mounting support member; and

상기 하우징 본체의 일측에 적어도 일부가 외부로 상기 노출홀(H1)을 통하여 노출된 상태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하우징 본체의 저면에 보관되는 급수에 접촉 가능하게 결합되는 흡수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n absorbing member that is detachab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housing body, at least a portion of which is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exposure hole (H 1 ), and at least a portion of which is coupled to be contactable with water stored on the bottom of the housing body;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흡수부재는 상기 급수된 물이 소정의 시간동안 보관이 가능한 고흡수성 폴리염화비닐 스펀지로 형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bsorbent member may be formed of a highly absorbent polyvinyl chloride sponge capable of storing the supplied water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하우징 본체의 급수부는 평단면상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ater supply portion of the housing main body may be formed in a shape that protrudes outward in a planar cross-sec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흡수부재는, 전체 길이(장축 방향) 대비하여, 5% 내지 50% 범위로 상기 하우징 본체에 급수된 물에 함침 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bsorbent member may be arranged to be impregnated with water supplied to the housing body in an amount of 5% to 50% of the total length (major axis direc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하우징 본체에는 상기 흡수부재가 착탈 가능하도록 내측 부위에 가이드 리브;가 형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guide rib may be formed on the inner portion of the housing body so that the absorbent member is removable.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가이드 리브는 양측 단부가 개방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흡수부재가 관통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Here,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uide rib may be formed in a shape in which both ends are open so that the absorbent member can penetrate therethrough.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하우징 본체에는,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ousing body,

내부 공간으로 공기의 유입을 안내하는 적어도 하나의 유동홀(H2); 및At least one flow hole (H 2 ) that guides the inflow of air into the internal space; and

상기 하우징 본체를 거치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체결홀(118);이 형성될 수 있다.A fastening hole 118 formed to enable the housing body to be mounted may be formed.

본 발명에 따른 식물과 식재 환경에 연동된 흡수부재를 포함하는 화분 받침대 유닛은, 저면 관수식 식물을 재배하는 과정에서 식물이 식재되어 있는 화분에 공급되는 물이 접촉되어 있는 별도의 흡수부재에 의하여 시각적 및 직접 접촉 방식에 의하여 확인이 가능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The flower pot stand unit including an absorbing member linked to the plant and the planting environ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separate absorbing member that is in contact with the water supplied to the pot in which the plant is planted during the process of cultivating bottom-irrigated plants. It can provide effects that can be confirmed by visual and direct contact methods.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식물과 식재 환경에 연동된 흡수부재를 포함하는 화분 받침대 유닛은, 저면 관수식 식물을 재배하는 과정에서 식물이 식재되어 있는 화분과 공급되는 물이 접촉되지 않고 일정량의 물이 항상 적절한 수위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저면 관수에 의한 화분 및 식물의 뿌리 부분이 변질되거나 썩는 현상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ot stand unit including an absorbing member linked to the plant and the planting environ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a certain amount of water to be dispensed without contacting the pot in which the plant is planted with the supplied water during the process of cultivating bottom-irrigated plants. By ensuring that the water level is always maintained at an appropriate level, it is possible to fundamentally prevent deterioration or rotting of the roots of pots and plants due to bottom irrigation.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식물과 식재 환경에 연동된 흡수부재를 포함하는 화분 받침대 유닛은, 본 발명은 표면관수와 저면 관수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식물의 분갈이 없이 화분을 보관하여 식재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ot stand unit including an absorbing member linked to the plant and the planting environ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surface irrigation and bottom irrigation, thereby providing the effect of storing and planting the pot without repotting the plant. can be provided.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 받침대 유닛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 받침대 유닛의 투명 사시도들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 받침대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 받침대 유닛의 도면들이고,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 받침대 유닛의 하우징 본체 도면들이고,
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 받침대 유닛의 흡수부재에 의한 사용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flower pot stand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transparent perspective view of a flower pot stand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flower pot stand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to 5 are diagrams of a flower pot stand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to 8 are diagrams of the housing body of the flowerpot stand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use of the absorbent member of the flower pot stand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도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Whe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components in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identical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Additionally, when describing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f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known configurations or functions are judged to impede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s will be omitted.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and (b) may be used.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th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nature, sequence, or order of the component is not limited by the term. Additionally, 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general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erm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technology,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sense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No.

본 발명에 따른 자연 관수식 화분 받침 유닛은 저면 관수시에 보관되는 급수에 기 설정된 크기로 함침되는 별도의 독립적인 구성으로 흡수부재를 통하여, 시각적 및 촉각적으로 물의 수위상태를 직접 확인이 가능하도록 하여 항상 적절한 물이 식물에 공급될 수 있도록 한 점에 특징이 있다. 즉, 본 발명은 상기 흡수부재와 식물의 흙(수분량)과 저면 관수 방식으로 공급되는 급수의 양이 적절히 유지되는 상태로 상호 연동되어 사용자가 직접 흡수부재를 통하여 기설정된 범위로 유지되는지를 물리적으로 확인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The natural irrigation type flowerpot support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separate and independent structure that is impregnated in a preset size with water stored during bottom irrigation, so that the water level can be directly checked visually and tactilely through an absorbing member. The feature is that it ensures that adequate water is always supplied to the plants. In other words, the present invention is such that the absorbent member, the soil (moisture content) of the plant, and the amount of water supplied through the bottom irrigation method are properly maintained and interconnected, so that the user can physically check whether they are maintained in a preset range through the absorbent member. It can be confirmed.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자연 관수식 화분 받침 유닛은 표면관수와 저면 관수가 가능하되, 저면 관수시에 보관되는 급수의 수위와 수위량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과습에 의한 식물의 생장 저하 및 뿌리나 화분이 썩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Furthermore, the natural irrigation type flowerpot support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surface irrigation and bottom irrigation, but maintains a constant water level and amount of water stored during bottom irrigation, thereby reducing plant growth and root damage due to overwatering. It can prevent pollen from rotting.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 받침대 유닛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 받침대 유닛을 나타내는 투명 사시도들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 받침대 유닛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 받침대 유닛을 나타내는 구성에 대한 도면들이고,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 받침대 유닛의 하우징 본체을 나타내는 도면들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 받침대 유닛의 흡수부재에 의한 사용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lower pot stand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transparent perspective view showing a flower pot stand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lower pot stand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flowerpot stand unit, Figures 4 and 5 are diagrams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flowerpot stand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s 6 and 8 are diagrams of a flowerpot st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se are drawings showing the housing main body of the unit, and Figure 9 is a drawing showing an example of use of the absorbing member of the flower pot stand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식물과 식재 환경에 연동된 흡수부재를 포함하는 화분 받침대 유닛(100)은 급수부(115)를 통해 공급되는 급수가 보관 가능하도록 내부 공간이 형성되며 흡수부재(200)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노출홀(H1)이 형성되는 하우징 본체(110), 식물이 식재되어 있는 화분(50)이 거치되고 상기 급수가 관통 가능하게 급수 관통홀(H3)이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 본체(110)의 개방 부위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거치 지지부재(120), 상기 거치 지지부재(120)의 저면에 일부가 삽입된 상태로 보관된 상기 하우징 본체(110)에 보관된 급수에 일부가 함침된 상태로 탈착 가능하게 형성되는 스트링 부재(S) 및 상기 하우징 본체(110)의 일측에 일부가 외부로 상기 노출홀(H1)을 통하여 노출된 상태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일부가 상기 하우징 본체(110)의 저면에 보관되는 급수에 접촉 가능하게 결합되는 흡수부재(2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these drawings, the flower pot stand unit 100 including an absorbing member linked to the plant and the planting environ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internal space formed to store water supplied through the water supply unit 115, and the absorbing member is formed. A housing body 110 in which an exposure hole H 1 is formed so that a portion of the 200 can be exposed to the outside, a pot 50 in which a plant is planted is placed, and a water supply through hole ( H 3 ) is formed and the mounting support member 12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open portion of the housing body 110, and the housing body ( A string member (S) that is detachably formed and partially impregnated with water stored in 110), and a portion of one side of the housing body (110) is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exposure hole (H 1 ).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n absorbent member 200 that is detachably coupled and a portion of which is coupled to enable contact with water stored on the bottom of the housing body 110.

하우징 본체(110)은 상부면이 개방되어 있고 단면이 'U'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 본체(110)의 상단부에는 일측 방향으로 만곡되어 돌출되는 형상으로 급수부(11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본체(110)에는 상기 급수부(115)를 통하여 외부로부터 급수가 공급되어 보관될 수 있다.The housing body 110 has an open upper surface and may be formed in a 'U' shape in cross section. The water supply portion 115 may be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housing body 110 in a shape that is curved in one direction and protrudes. The housing body 110 can be stored with water supplied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water supply unit 115.

하우징 본체(110)의 내측 후면 부위에는 후술할 거치 지지부재(120)가 삽입되어 유격없이 고정될 수 있도록 복수의 고정리브(113)가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 본체(110)의 후면 부위에는 본 발명에 따른 체결홀(118)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체결홀(118)은 화분 받침대 유닛(100)을 외벽 등에 거치가 가능하도록 소정의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체결홀(118)은 하측 부위는 원형의 홀(hole)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원형의 홀 형상의 일측으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내경이 감소되는 삼각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외벽 등으로부터 돌출되는 못 등에 삽입되어 최대한 유동하지 않고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체결홀(118)이 일측 방향으로 내경이 감소하되 수렴되는 뾰족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에 가장 유동없이 고정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A plurality of fixing ribs 113 may be formed on the inner rear portion of the housing main body 110 so that a mounting support member 12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can be inserted and fixed without clearance. A fastening hole 118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in the rear portion of the housing main body 110. Here, the fastening hole 118 may be formed to a predetermined length so that the flower pot stand unit 100 can be mounted on an external wall, etc. At this ti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astening hole 118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a triangular pyramid in which the lower portion is formed in the shape of a circular hole and the inner diameter decreases in the upward direction from one side of the circular hole shape. Therefore, it can be inserted into a nail, etc. protruding from the outer wall, etc., and be fixed without moving as much as possi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fastening hole 118 was fixed without any movement when the fastening hole 118 was formed in a sharp shape with a converging inner diameter that decreased in one direction.

상기 하우징 본체(110)의 정면 부위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공간으로 공기의 유입을 안내하는 복수의 유동홀(H2)이 형성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4 , a plurality of flow holes H 2 may be formed in the front portion of the housing main body 110 to guide the inflow of air into the internal space.

또, 하우징 본체(110)에는 평단면상 일측 방향으로 만곡되어 돌출되는 형상으로 급수부(115)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급수시에 마찰없이 용이하게 상기 급수부(115)를 통하여 하우징 본체(110)의 내부로 급수가 이루어질 수 있다. 또, 하우징 본체(10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상 일측 방향으로 경사지는 경사면(P)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용이하게 시야 확보가 가능하여 상기 급수부(115)를 통한 급수가 용이하도록 보조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water supply portion 115 may be formed in the housing main body 110 in a shape that is curved in one direction in a planar cross-section and protrudes. Accordingly, the user can easily supply water into the housing main body 110 through the water supply unit 115 without friction when supplying water. In addition, as shown in FIG. 8, the housing main body 100 has an inclined surface P inclined in one direction on the side surface, thereby enabling the user to more easily secure the field of view and use the water supply unit 115. It can help facilitate water supply through water.

하우징 본체(110)의 내측면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할 흡수부재(200)가 용이하게 슬라이딩 방식으로 삽입 및 제거가 가능하도록 가이드 리브(119)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가이드 리브(119)가 상기 흡수부재(200)의 하우징 본체(110)의 저면에도 밀착이 가능하도록 양측 단부가 개방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는 상기 흡수부재(200)를 상기 하우징 본체(110)의 저면에 보관되는 물에 기 설정된 소정의 높이만큼 함침이 가능하도록 조절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6 , a guide rib 119 may b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main body 110 to enable the absorbent member 2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o be easily inserted and removed in a sliding manner. He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guide rib 119 may be formed in a shape with both ends open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body 110 of the absorbent member 200. Through this, the user can adjust the absorbent member 200 to be impregnated with water stored on the bottom of the housing main body 110 to a predetermined height.

거치 지지부재(120)는 식물이 식재되어 있는 화분(50)이 거치되고 상기 급수가 관통 가능하게 급수 관통홀(H3)이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 본체(110)의 개방 부위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The mounting support member 120 holds a flowerpot 50 in which a plant is planted, has a water supply through-hole (H 3 ) formed to allow the water to penetrate, and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open portion of the housing main body 110. You can.

거치 지지부재(120)는 화분(50)이 거치되는 부위를 중심으로 상부면에 3개의 개방된 급수 관통홀(H3)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부에서 낙수될 수 있는 물이나 빗물 등이 상기 급수 관통홀(H3)을 통하여 용이하게 하우징 본체(110)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다.The mounting support member 120 may have three open water supply through-holes (H 3 ) formed on its upper surface centered on the area where the flower pot 50 is mounted. Accordingly, water or rainwater that may fall from the top can easily flow into the internal space of the housing main body 110 through the water supply penetration hole (H 3 ).

스트링 부재(S)는 상기 거치 지지부재(120)의 중앙 부위에 형성된 관통홀(미도시)을 통하여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스트링 부재(S)는 상측 일부가 상기 거치 지지부(120)의 중앙 관통홀(123)을 통하여 화분(50) 내측으로 삽입되고 하측 일부는 하우징 본체(110)의 내부 공간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 때, 스트링 부재(S)의 하측 일부는 상기 하우징 본체(110)에 수용되어 있는 물에 접촉되어 있다.The string member S may be inserted through a through hole (not shown)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mounting support member 120. The upper portion of the string member S may be inserted into the flower pot 50 through the central through hole 123 of the mounting support portion 120, and the lower portion may extend into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body 110. At this time, a lower portion of the string member S is in contact with water contained in the housing main body 110.

스트링 부재(S)는 상기 거치 지지부재(20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스트링 부재(S)는, 바람직하게는 섬유, 면사, 펄프 또는 내부 공극에 의한 수분 포집이 가능한 흡수성 수지일 수 있다. 스트링 부재(S)는 내부에 수용되는 물이 흡수되어 모세관 현상에 의하여 이동이 가능한 소재이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string member S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mounting support member 200. This string member (S) may preferably be made of fiber, cotton yarn, pulp, or an absorbent resin capable of trapping moisture through internal voids. The string member S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a material that can absorb water contained therein and move by capillary action.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흡수부재(200)는 상기 하우징 본체(110)의 내부면에 형성되는 가이드 리브(119)에 착탈 가능하게 삽입된 상태로 일부가 노출홀(H1)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흡수부재(200)는 상기 가이드 리브(119)에 삽입되어 하측 부위가 상기 하우징 본체(110)의 저면에 보관되는 물에 함침될 수 있다.Meanwhile, the absorbing member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removably inserted into the guide rib 119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main body 110, and a portion is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exposure hole (H 1 ). It can be. The absorbent member 200 may be inserted into the guide rib 119 so that its lower portion can be impregnated with water stored on the bottom of the housing main body 110.

구체적으로, 상기 흡수부재(200)는 물이 포집될 수 있는 소재이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바람직하게는 상기 급수된 물이 소정의 시간동안 보관이 가능한 고흡수성 폴리염화비닐 스펀지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흡수부재(200)의 하측 부위가 상기 급수된 물에 함침된 상태로 노출홀(H1)을 통하여 노출되어 있으므로 사용자는 상기 노출홀(H1)을 통하여 직접 손을 이용하여 접촉하는 경우에 상기 하우징 본체(110)의 하부에 공급된 물의 수위와 수량을 확인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absorbent member 20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a material capable of collecting water, but is preferably formed of a highly absorbent polyvinyl chloride sponge capable of storing the supplied water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 Since the lower part of the absorbent member 200 is exposed through the exposure hole (H 1 ) in a state impregnated with the supplied water, the user directly touches it with his hand through the exposure hole (H 1 ). The level and quantity of water supplied to the lower part of the housing main body 110 can be confirmed.

바람직하게는 상기 흡수부재(200)는 장축 방향에 대한 전체 흡수부재(200)의 전체 높이(D) 기준으로 하측 단부로부터 5% 내지 50%의 길이 부분(D1)이 상기 하우징 본체(110)에 보관된 물에 함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흡수부재(200)의 함침 부위가 5% 미만으로 함침되는 경우에는 급수된 물이 충분히 함침되어 확인이 어려울 수 있고, 상기 함침 부위가 50% 초과하여 함침되는 경우에는 거치 지지부재(120)에 삽입되어 있는 화분(50)의 저면에 상기 급수된 물이 접촉되어 과습 현상이 발생될 수 있으므로 상기의 범위가 적절하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흡수부재(200)는 하우징 본체(110)의 바닥면으로 소정의 높이로 이격된 상태로 거치 지지부재(120)의 바닥면이 대략 50%를 초과하는 높이에 배치될 수 있다. Preferably, the absorbent member 200 has a length portion (D 1 ) of 5% to 50% from the lower end based on the total height (D) of the entire absorbent member 200 in the long axis direction of the housing body 110. It can be impregnated with water stored in . At this time, if the impregnated area of the absorbent member 200 is impregnated by less than 5%, it may be difficult to confirm that the supplied water is sufficiently impregnated, and if the impregnated area is impregnated by more than 50%, the mounting support member (120) ) The above range is appropriate because the supplied water may come into contact with the bottom of the flower pot 50 inserted into the pot, causing overhumidity. Tha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bsorbing member 200 is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main body 110 at a predetermined height and is disposed at a height exceeding approximately 50%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mounting support member 120. It can be.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흡수부재(200)의 기 설정된 높이만큼 급수된 물에 함침 되도록 함으로써, 효과적으로 하우징 본체(110)으로부터 상기 스트링 부재(S)를 통해 식물로 상시 일정한 물이 공급되는지 노출홀(H1)을 통하여 직접 확인이 가능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allowing the absorbent member 200 to be impregnated with water supplied to a preset height, it is effectively exposed that a constant supply of water is supplied from the housing body 110 to the plant through the string member S. Direct confirmation is possible through the hole (H 1 ).

즉, 본 발명은 상기 흡수부재(200)와 화분(50)에 식재된 식물의 흙(수분량)과 저면 관수 방식으로 공급되는 급수의 양이 적절히 유지되는 상태로 상호 연동되어 사용자가 직접 흡수부재(200)를 통하여 기 설정된 범위로 유지되는지를 물리적으로 확인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is such that the absorption member 200 and the soil (moisture content) of the plants planted in the pot 50 and the amount of water supplied by bottom irrigation are properly maintained, so that the user can directly use the absorption member ( 200), it is possible to physically check whether it is maintained within the preset range.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가 반드시 상술한 일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에서의 실시가 가능함은 당연하다고 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진다고 할 것이다.Above,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However,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it is natural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implement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Therefore, the true scope of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termined by the claims described later.

50: 화분
100: 화분 받침대 유닛
110: 하우징 본체
113: 고정리브
115: 급수부
118: 체결홀
119: 가이드 리브
120: 거치 지지부재
200: 흡수부재
H1: 노출홀
H2: 유동홀
H3: 급수 관통홀
S: 스트링 부재
P: 경사면
50: Flowerpot
100: Planter stand unit
110: Housing body
113: Fixed rib
115: water supply unit
118: fastening hole
119: guide rib
120: Mounting support member
200: Absorbing member
H 1 : exposed hole
H 2 : Flow hole
H 3 : Water supply through hole
S: String member
P: slope

Claims (7)

적어도 일면이 개방되고 급수부를 통해 공급되는 급수가 보관 가능하도록 내부 공간이 형성되며 하기 흡수부재의 적어도 일부가 노출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노출홀이 형성되는 하우징 본체;
식물이 식재되어 있는 화분이 거치되고 상기 급수가 관통 가능하게 급수홀이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 본체의 개방 부위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낙수되는 물이 상기 하우징 본체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 가능하도록 상부면에 급수 관통홀(H3)이 형성되는 거치 지지부재;
상기 거치 지지부재의 저면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된 상태로 보관된 상기 하우징 본체에 보관된 급수에 적어도 일부가 함침된 상태로 탈착 가능하게 형성되는 스트링 부재; 및
상기 하우징 본체의 일측에 적어도 일부가 외부로 상기 노출홀을 통하여 노출된 상태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하우징 본체의 저면에 보관되는 급수에 접촉 가능하게 결합되는 흡수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흡수부재는, 전체 길이(장축 방향) 대비하여, 5% 내지 30% 범위로 상기 하우징 본체에 급수된 물에 함침 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 본체에는 상기 흡수부재가 착탈 가능하도록 내측 부위에 가이드 리브;가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리브는 양측 단부가 개방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흡수부재가 관통 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 본체의 내측 후면 부위에는 상기 거치 지지부재가 삽입되어 유격없이 고정 가능하도록 복수의 고정리브가 형성되는, 식물과 식재 환경에 연동된 흡수부재를 포함하는 화분 받침대 유닛.
A housing body with at least one side open, an internal space formed to store water supplied through the water supply unit, and an exposure hole formed to expose at least a portion of the following absorbent member;
A pot in which a plant is planted is placed, a watering hole is formed through which the water can penetrate, and it is detachably coupled to an open portion of the housing body, and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so that falling water can flow into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body. A mounting support member in which a water supply through hole (H 3 ) is formed;
a string member formed to be detachable and at least partially impregnated with water stored in the housing body stored with at least a portion inserted into the bottom surface of the mounting support member; and
An absorbing member, at least a portion of which is detachab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housing body in a state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exposure hole, and at least a portion of which is coupled to be contactable with water stored on the bottom of the housing body, includes,
The absorbent member is arranged to be impregnated with water supplied to the housing body in an amount of 5% to 30% relative to the total length (major axis direction),
A guide rib is formed on the inner portion of the housing body so that the absorbent member is removable,
The guide rib is formed in an open shape at both ends to allow the absorption member to penetrate,
A flower pot stand unit including an absorbing member linked to a plant and a planting environment, wherein a plurality of fixing ribs are formed on the inner rear portion of the housing body so that the mounting support member can be inserted and fixed without clearan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부재는 상기 급수된 물이 소정의 시간동안 보관이 가능한 고흡수성 폴리염화비닐 스펀지로 형성되는, 식물과 식재 환경에 연동된 흡수부재를 포함하는 화분 받침대 유닛.
According to claim 1,
The absorbing member is formed of a highly absorbent polyvinyl chloride sponge capable of storing the supplied water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A flower pot stand unit comprising an absorbing member linked to a plant and a planting environmen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본체의 급수부는 평단면상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식물과 식재 환경에 연동된 흡수부재를 포함하는 화분 받침대 유닛.
According to claim 1,
A flowerpot stand unit including an absorbing member linked to a plant and a planting environment, wherein the water supply portion of the housing body is formed in a shape that protrudes outward in a flat cross-sec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본체에는,
내부 공간으로 공기의 유입을 안내하는 적어도 하나의 유동홀; 및
상기 하우징 본체를 거치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체결홀;이 형성되는 구조를 포함하는, 식물과 식재 환경에 연동된 흡수부재를 포함하는 화분 받침대 유닛.
According to claim 1,
In the housing body,
At least one flow hole that guides the inflow of air into the internal space; and
A flower pot stand unit including an absorbing member linked to a plant and a planting environment, including a structure in which a fastening hole is formed to enable the housing body to be mounted.
KR1020230087422A 2023-07-05 2023-07-05 Plantpot stand unit including absorbing member linked with plant and circumstance thereof KR10264580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87422A KR102645809B1 (en) 2023-07-05 2023-07-05 Plantpot stand unit including absorbing member linked with plant and circumstance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87422A KR102645809B1 (en) 2023-07-05 2023-07-05 Plantpot stand unit including absorbing member linked with plant and circumstance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5809B1 true KR102645809B1 (en) 2024-03-08

Family

ID=902357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87422A KR102645809B1 (en) 2023-07-05 2023-07-05 Plantpot stand unit including absorbing member linked with plant and circumstance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5809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7376Y1 (en) 2013-07-08 2015-07-08 한국도시농업 주식회사 A self watering flowerpot which the power is useless
KR20170049828A (en) * 2015-10-29 2017-05-11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Pot for the culture of orchid having function of water supply
KR102479711B1 (en) * 2022-06-09 2022-12-20 씨엠아이 주식회사 Flowerpot structure with natural supplying wat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7376Y1 (en) 2013-07-08 2015-07-08 한국도시농업 주식회사 A self watering flowerpot which the power is useless
KR20170049828A (en) * 2015-10-29 2017-05-11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Pot for the culture of orchid having function of water supply
KR102479711B1 (en) * 2022-06-09 2022-12-20 씨엠아이 주식회사 Flowerpot structure with natural supplying wat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461323A (en) Live plant display box
KR900006270B1 (en) Automatic supplying water
US20130031834A1 (en) Vertical planter system for orchids and epiphytic plants
US7703239B2 (en) Vertical-mount laminar planter
KR101085417B1 (en) Automatic water supplying flowerpot for planting moss
KR100419903B1 (en) The lower part water supply type flowerpot having ventilation function
US2900759A (en) Simulated trunk planters
KR102645809B1 (en) Plantpot stand unit including absorbing member linked with plant and circumstance thereof
KR102479711B1 (en) Flowerpot structure with natural supplying water
KR101659908B1 (en) Growing plants equipment using flowerpot
JP2006174829A (en) Simplified hydroponics container
JP5685688B2 (en) Hydroponics equipment
US6701666B1 (en) System for domestic cultivation of exotic plants including in-ground irrigation and aeration system
JP3262724B2 (en) Cultivation equipment
JP3784586B2 (en) Planters planting trees
KR200365120Y1 (en) A flowerpot provide with waterpot
KR102538925B1 (en) Bottom-up water supply planter
KR102222532B1 (en) Apparatus for supplying water using a wick to the cultivation ornamental plant
KR20020032504A (en) bottom irrigation type receptacle used for growing plants
KR200281182Y1 (en) bottom irrigation type receptacle used for growing plants
KR200404327Y1 (en) The flowerpot for vegetable cultivation
JP2020198820A (en) Planting structure
KR200451153Y1 (en) Flowerpot having storage space of water
KR200238741Y1 (en) Potted water supply
KR102513625B1 (en) Flowerpot unit with natural drainage water and flowerpot unit assembly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