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9711B1 - Flowerpot structure with natural supplying water - Google Patents

Flowerpot structure with natural supplying wat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9711B1
KR102479711B1 KR1020220069875A KR20220069875A KR102479711B1 KR 102479711 B1 KR102479711 B1 KR 102479711B1 KR 1020220069875 A KR1020220069875 A KR 1020220069875A KR 20220069875 A KR20220069875 A KR 20220069875A KR 102479711 B1 KR102479711 B1 KR 1024797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body
water
pot
water supply
natur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987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경원
Original Assignee
씨엠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엠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씨엠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698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9711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97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971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4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using wick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4Hanging flower pots and baske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lowerpot support structure with natural water supply, which comprises: a housing body which has at least one surface open, and is formed with an internal space to store water supplied from the outside; a water level guide unit which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housing body, and is formed to move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level of the supplied water; a mounting support member which is mounted with at least one flowerpot, and is detachably coupled to an open portion of the housing body; and a wick member which has at least a portion of one side immersed in the supplied water while at least a portion thereof is inserted into a detachable hole form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mounting support member.

Description

자연 관수식 화분 받침대 구조체{FLOWERPOT STRUCTURE WITH NATURAL SUPPLYING WATER}Natural watering planter support structure {FLOWERPOT STRUCTURE WITH NATURAL SUPPLYING WATER}

본 발명은 자연 관수식 화분 받침대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atural irrigation planter stand structure.

일반적으로 화분은 식물의 재배 및 쾌적한 환경조성을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 바닥면에 배수 및 공기순환을 위해 소정 크기의 통공을 형성한 화분 내부로 식물을 지탱함과 동시에 물과 양분을 공급할 수 있도록 토양을 채워 구성한다.In general, pots are used for growing plants and creating a pleasant environment. The pot has a through hole of a predetermined size on the bottom for drainage and air circulation. The pot supports the plants and at the same time supplies water and nutrients to the soil. fill and compose

종래에는 화분 위에서 화분 내의 토양으로 직접 물을 주는 표면관수 방법이 일반적이었으나, 이러한 표면관수 방법은 화분의 크기와 식물의 종류에 따라 적정량의 물 공급이 어려워 물을 너무 많이 주거나 혹은 너무 주지 않아서 과습이나 건조의 피해로 식물을 고사(枯死)시키는 사례가 자주 발생된다. 이와 같이 표면관수 방법으로의 급수 시에는 화분의 크기, 식물의 종류에 따라 급수 관리의 어려움이 많으며, 화분 아래에 필히 화분 받침대를 두어서 과다 공급되어 흘러내리는 물을 받아내는 물받이통이 부착된 화분 받침대가 필요하다.Conventionally, the surface irrigation method of directly watering the soil in the pot from the top of the pot was common, but this surface irrigation method is difficult to supply the proper amount of water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pot and the type of plant, so it is difficult to water too much or not too much, resulting in over-humidification or excessive watering. Cases of dying of plants due to drying damage often occur. In this way, when watering by surface irrigation method, it is difficult to manage water supply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pot and the type of plant. you need a pedestal

호텔, 종합병원, 대형 오피스빌딩, 전시장과 같은 건물들의 로비(Lobby) 주변에는 대형화분에 관엽식물들을 식재하여 실내의 분위기를 자연스럽게 조성하는데, 이런 경우 화훼농장에서 재배한 플라스틱 화분에 식재된 식물을 도자기류 화분으로 분갈이하여 식재하지 않고 도자기류 화분 안에 농장에서 식물 재배한 플라스틱 화분을 그 대로 넣어서, 겉으로 보이는 화분의 외관만 고급스럽게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Around the lobby of buildings such as hotels, general hospitals, large office buildings, and exhibition halls, houseplants are planted in large pots to create a natural indoor atmosphere. In this case, plants planted in plastic pots grown in flower farms It is common to put a plastic pot grown on a farm in a pottery pot without repotting and planting it in a pottery pottery, so that only the exterior of the pottery looks luxurious.

별도의 분갈이를 하지 않고 플라스틱 화분을 도자기류 화분 안에 넣어두는 방식은 분갈이에 소요되는 인건비의 절감과, 식재된 플라스틱 화분의 손쉬운 교체가 가능하기 때문에 식재식물의 교체가 간편한 장점은 있지만, 도자기류 화분 안에 넣어진 1~3개 정도의 플라스틱 화분을 보게 되면 조잡함을 느끼게 되며, 화분에 관수는 표면관수를 이용할 수 밖에 없는데, 표면관수는 상술한 문제점이 있다.The method of putting a plastic pot in a ceramic pot without separate repotting has the advantage of reducing labor costs for repotting and easy replacement of planted plants because the planted plastic pot can be easily replaced. When you see about 1 to 3 plastic pots put inside, you feel crude, and you have no choice but to use surface irrigation for watering the pots, but surface irrigation has the above-mentioned problems.

이에 따라, 대형 화분 내에 분갈이를 통해 식물을 직접 식재하지 않고 화분을 내장시키는 경우에도 표면관수 외에 저면관수도 가능하며 외관이 우수한 화분이 필요한 실정이다.Accordingly, even when pots are built into large pots without directly planting plants through repotting, bottom irrigation in addition to surface irrigation is possible, and pots with excellent appearance are required.

대한민국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77376호Republic of Korea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477376

본 발명은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표면관수와 저면관수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식물의 분갈이 없이 화분을 보관하여 식재할 수 있는 자연 관수식 화분 받침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and by enabling surface irrigation and bottom irrigation, it is possible to store and plant potted plants without dividing plants. To provide a natural irrigation planter support structure for that purpose. do.

또한, 본 발명은 시중에 판매되는 플라스틱 화분을 범용적으로 용이하게 거치하여 자연 관수식으로 물을 공급할 수 있는 자연 관수식 화분 받침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natural irrigation type plant pot support structure capable of supplying water in a natural irrigation type by universally and easily mounting commercially available plastic flower pots.

또한, 본 발명은 식물이 식재되어 있는 화분과 공급되는 물이 접촉되지 않고도 일정량의 물이 적절히 공급될 수 있도록 하여 저면 관수에 의한 화분 및 식물의 뿌리 부분이 변질되거나 썩는 현상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자연 관수식 화분 받침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a certain amount of water to be properly supplied without contact between the pot in which the plant is planted and the supplied water, thereby fundamentally preventing the deterioration or rotting of the pot and the root of the plant due to bottom irrigation. Its purpose is to provide a natural irrigation planter support structure.

또한, 본 발명은 화분을 지지하고 내부에 수용된 공급수가 외부와 연통되도록 화분 받침대의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제공되는 공간에 수분 및 공기를 효과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자연 관수식 화분 받침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rove the structure of the flower pot stand to support the flower pot and communicate with the outside of the supply water accommodated inside, thereby providing a natural irrigation type flower pot support structure that can effectively supply moisture and air to the provided space. Its object is to provide to be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technical problem,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There will be.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연 관수식 화분 받침대 구조체의 일실시예는,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one embodiment of the natural irrigation planter support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적어도 일면이 개방되고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급수가 보관 가능하도록 내부 공간이 형성되는 하우징 본체;A housing body having at least one surface open and having an internal space to store water supplied from the outside;

상기 하우징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급수의 수위에 따라 승하강이 가능하게 형성되는 수위 안내부;a water level guide unit that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housing body and is formed to move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water level;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화분이 거치되고 상기 하우징 본체의 개방 부위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거치 지지부재; 및a mounting support member in which at least one flower pot is mounted and detachably coupled to an open portion of the housing body; and

상기 거치 지지부재의 저면에 형성되는 착탈홀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된 상태로 일측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급수에 침수되는 심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It may include; a wick member in which at least a portion of one side is submerged in the water supply in a state in which at least a portion is inserted into a detachable hole form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mounting support memb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거치 지지부재는,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unting support member,

상기 화분이 거치되도록 일측으로 연장되는 플렌지부; 및a flange portion extending to one side to hold the flower pot; and

상기 플렌지부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어 상기 화분의 외면 중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수직 연장부;를 포함하고,A vertical extension extending downward from the flange to a predetermined length and cover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outer surface of the pot;

상기 수직 연장부 상에 형성되어 상기 심지부재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는 중앙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A central through hole formed on the vertical extension part into which at least a part of the wicking member is inserted may be form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중앙 관통홀은, 상기 심지부재의 직경에 따라, 내경이 확장 가능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entral through hole may be formed in a structure in which an inner diameter is expandable according to the diameter of the wick memb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심지부재는, 섬유 또는 면사를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icking member may be manufactured by including fibers or cotton yarns, but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심지부재는, 전체 길이에 대해서, 상부로부터 30% 내지 50% 길이가 식물이 식재되어 있는 상기 화분으로 삽입되는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ick member may include a structure in which a length of 30% to 50% from the top of the total length is inserted into the pot in which a plant is plant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하우징 본체에는,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housing body,

상기 수위 안내부를 외부에서 관찰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관측홀;an observation hole formed to observe the water level guide from the outside;

내부 공간으로 공기의 유입을 안내하는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드홀; 및at least one slide hole for guiding the inflow of air into the inner space; and

상기 하우징 본체의 내부 공간으로 상기 급수를 공급하기 위한 급수부가 형성되는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A structure in which a water supply unit for supplying the water supply to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body is formed may be includ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슬라이드홀의 일측 단부는 상기 하우징 본체에 수용되는 상기 급수의 수위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end of the slide hole may be formed in a size formed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water level of the supply water accommodated in the housing bod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하우징 본체의 적어도 일부는 외부에서 내부에 수용된 상기 급수의 수위를 감지 가능하도록 투명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a portion of the housing body may be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so as to be able to detect the level of the water supply received inside from the outsid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심지부재는, 외부에 필름이 도포되고 외부에는 복수의 통공이 형성되는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ick member may include a structure in which a film is applied to the outside and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are formed on the outside.

본 발명에 따른 자연 관수식 화분 받침 구조체는, 표면관수와 저면관수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식물의 분갈이 없이 화분을 보관하여 식재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The natural irrigation plant pot support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surface irrigation and bottom irrigation, thereby providing an effect of storing and planting potted plants without repotting plants.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연 관수식 화분 받침 구조체는, 시중에 판매되는 플라스틱 화분을 범용적으로 용이하게 거치하여 자연 관수식으로 물을 공급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natural irrigation type flower pot support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n effect of supplying water in a natural irrigation type by universally and easily mounting commercially available plastic flower pots.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연 관수식 화분 받침 구조체는, 식물이 식재되어 있는 화분과 공급되는 물이 접촉되지 않고도 충분한 물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하여 저면 관수에 의한 화분 및 식물의 뿌리 부분이 변질되거나 썩는 현상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natural irrigation planter support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sufficient water to be supplied without contact between the pot in which the plant is planted and the supplied water, thereby preventing deterioration or rotting of the pot and the root of the plant by watering the bottom.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effect capable of fundamentally preventing the phenomenon.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연 관수식 화분 받침 구조체는, 화분을 지지하고 내부에 수용된 공급수가 외부와 연통되도록 화분 받침대의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제공되는 공간에 수분 및 공기를 효과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natural irrigation type flower pot support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mproves the structure of the flower pot support so that the water supply contained therein is communicated with the outside to support the flower pot, thereby providing an effect of effectively supplying moisture and air to the provided space. can do.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tasks, and other task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연 관수식 화분 받침 구조체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연 관수식 화분 받침 구조체의 평면도 및 저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연 관수식 화분 받침 구조체의 분해 사시도들이고,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연 관수식 화분 받침 구조체의 단면도들이고,
도 6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연 관수식 화분 받침 구조체의 일부 구성들을 나타내는 도면들이고,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연 관수식 화분 받침 구조체의 일부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와 사용 상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연 관수식 화분 받침 구조체의 사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natural irrigation pot stand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lan view and a bottom view of a natural irrigation pot stand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natural irrigation pot stand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and 5 are cross-sectional views of a natural watering plant support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and 7 are views showing some components of a natural irrigation type pot stand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and 9 are cross-sectional views and use state diagrams showing some configurations of a natural irrigation plant pot support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photograph of a natural irrigation plant pot support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도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components have the sam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describ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hinders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and (b) may be used.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th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nature, order, or order of the corresponding component is not limited by the term. In addition, 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y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don't

본 발명에 따른 자연 관수식 화분 받침 구조체는 표면관수와 저면관수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식물의 분갈이 없이 화분을 보관하여 식재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The natural irrigation type pot stand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surface irrigation and bottom irrigation, so that potted plants can be stored and planted without repotting.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연 관수식 화분 받침 구조체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연 관수식 화분 받침 구조체의 평면도 및 저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연 관수식 화분 받침 구조체의 분해 사시도들이고,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연 관수식 화분 받침 구조체의 단면도들이고, 도 6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연 관수식 화분 받침 구조체의 일부 구성들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natural irrigation plant pot support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lan view and a bottom view of a natural watering plant pot support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and 5 are cross-sectional views of the natural irrigation plant pot support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These are drawings showing some configurations of a natural irrigation type flower pot support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자연 관수식 화분 받침 구조체(100)는 상부면이 개방되고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급수가 보관 가능하도록 내부 공간이 형성되는 하우징 본체(110), 상기 하우징 본체(1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급수의 수위에 따라 승하강이 가능하게 형성되는 수위 안내부(130), 3개의 화분(50)이 거치되고 상기 하우징 본체(110)의 개방 부위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거치 지지부재(120) 및 상기 거치 지지부재(120)의 저면에 형성되는 착탈홀(도 7: 124)에 일측이 삽입된 상태로 타측은 상기 급수에 침수되는 심지부재(20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Referring to these drawings, the natural watering plant support structur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housing body 110 in which an upper surface is opened and an internal space is formed to store water supplied from the outside, the housing body 110 ) Detachably coupled to the water level guide 130 formed to be able to rise and fall according to the level of the water supply, three flower pots 50 are mounted and detachably coupled to the open part of the housing body 110 A mounting support member 120 and a wick member 200 whose one side is inserted into the detachable hole (FIG. 7: 124)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mounting support member 120 and the other side is submerged in the water supply, Consists of.

하우징 본체(110)은 상부면이 개방되어 있고 전체적으로 단면이 'U'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하우징 본체(110)에는 외부로부터 급수가 공급되어 보관될 수 있다.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body 110 is open and the overall cross section is formed in a 'U' shape. Accordingly, water supply may be supplied and stored in the housing body 110 from the outside.

하우징 본체(110)는 상기 수위 안내부(130)를 외부에서 관찰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관측홀(113), 내부 공간으로 공기의 유입을 안내하도록 일방향을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슬라이드홀(111) 및 상기 하우징 본체(110)의 내부 공간으로 상기 급수를 공급하기 위한 급수부(115)가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 본체(110)의 상측 단부 부위에는 외벽에 화분 받침 구조체(100)를 고정하기 위하여 한 쌍의 거치홀(112)이 형성되어 있다.The housing body 110 includes an observation hole 113 formed to allow the water level guide 130 to be observed from the outside, and a plurality of slide holes 111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one direction to guide the inflow of air into the inner space. ) and a water supply unit 115 for supplying the water to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body 110 is formed. A pair of mounting holes 112 are formed at an upper end portion of the housing body 110 to fix the pot support structure 100 to an outer wall.

본 발명에 따르면, 하우징 본체(110)의 전면에는 소정의 간격으로 슬라이드홀(111)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슬라이드홀(111)은 하우징 본체(110)의 내부가 외부와 연통되도록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어 있다. 또, 슬라이드홀(111)은 하우징 본체(110)의 전면에서 수직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고, 하우징 본체(110)의 내부에 수용되는 급수의 수면 최상단 부위에 접촉되는 않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설치 환경에 따라서, 슬라이드홀(111)은 하우징 본체(110)의 전면 및 측면과 후면에서 수직 또는 수평 방향으로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lide holes 111 are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housing body 110 at predetermined intervals. The slide hole 111 is formed to a predetermined length so that the inside of the housing body 110 communicates with the outside. In addition, the slide hole 111 is formed to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vertical direction from the front surface of the housing body 110, and may be formed in a shape that does not contact the uppermost part of the water surface of the water supply accommodated inside the housing body 110. there is. Depending on the installation environment, the slide hole 111 may be formed in a vertical or horizontal direction on the front, side, and rear surfaces of the housing body 110, of course.

하우징 본체(110)의 관측홀(113)은 외부에서 관찰 가능하도록 내부와 연통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하우징 본체(11)의 내측면에는 상기 관측홀(113)이 형성된 부위에 대응하여 수위 안내부(130)가 수용 가능하도록 수용공간(미도시)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수위 안내부(130)는 하우징 본체(110)의 상기 수용공간에 삽입된 상태로 상하 방향으로 승하강이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The observation hole 113 of the housing body 110 communicates with the inside so as to be observable from the outside. Specifically, an accommodating space (not shown)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body 11 to accommodate the water level guide 130 corresponding to the portion where the observation hole 113 is formed. Here, the water level guide 130 is coupled to be able to go up and down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accommodation space of the housing body 110 .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하우징 본체(110)의 관측홀(113)을 통하여 상기 수위 안내부(130)의 승하강 동작을 확인 가능할 있으므로, 하우징 본체(110) 본체의 내부에 수용되는 상기 급수의 공급량에 따른 수위를 직접 시각적으로 확인이 가능할 수 있다.Therefore, since the user can check the raising and lowering operation of the water level guide part 130 through the observation hole 113 of the housing body 110, the supply amount of the water supplied inside the housing body 110 It may be possible to directly visually check the water level.

하우징 본체(110)에는 전면의 상단부위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되어 돌출되는 형상으로 급수부(115)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급수부(115)는 하우징 본체(100)는 하우징 본체(110)의 내주면 부위에 원형 단면의 리브(rib)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하우징 본체(110)에 상기 급수를 공급하는 경우에 상기 급수부(115)의 상향 돌출된 부위를 확인하여 용이하게 급수할 수 있다.A water supply part 115 is formed in the housing body 110 in a shape extending upward from the upper end of the front surface and protruding. The housing body 100 of the water supply unit 115 is formed in a rib shape with a circular cross section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portion of the housing body 110 . Therefore, when supplying the water to the housing body 110, the user can easily supply water by checking the upwardly protruding part of the water supply part 115.

경우에 따라, 상기 하우징 본체(110)의 일부는 외부에서 내부에 수용된 상기 급수의 수위를 시각적으로 확인 가능하도록 투명 소재로 형성될 수도 있다.In some cases, a part of the housing body 110 may be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so that the water level of the water supply accommodated inside can be visually confirmed from the outside.

수위 안내부(13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 본체(1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급수의 수위에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하는 수위 감지부(130)를 통하여 수위를 확인할 수 있다. 이 때, 수위 안내부(130)는 수압에 의하여 승하강이 가능한 소재이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고분자 수지의 플라스틱 소재 또는 경량의 금속소재일 수도 있다. 나아가, 수위 안내부(130)에는 기 설정된 상기 하우징 본체(110)의 수위 한도를 확인할 있는 눈금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하우징 본체(110)의 관측홀(113) 뿐만 아니라 상기 눈금부를 통하여 과잉 급수를 방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상기 하우징 본체(110)에 수용되는 상기 급수와 식물이 식재되어 있는 화분(50)의 하단부의 접촉에 의한 식물 뿌리나 화분(50)의 하부가 썩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water level guide 13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housing body 110 . Therefore, the user can check the water level through the water level sensor 130 which rises or falls according to the water level. At this time, the water level guide 13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a material that can be raised and lowered by water pressure, and may be a polymer resin plastic material or a lightweight metal material. Furthermore, a scale (not shown) may be formed in the water level guide 130 to check a preset water level limit of the housing body 110 . Accordingly, the user can prevent excessive water supply through not only the observation hole 113 of the housing body 110 but also the graduation portion.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prevent rotting or damage of plant roots or the lower part of the pot 50 due to contact between the water supply accommodated in the housing body 110 and the lower end of the pot 50 in which the plant is planted.

한편, 거치 지지부재(120)는 3개의 상기 화분(30)이 거치되도록 일측으로 연장되는 플렌지부(121) 및 상기 플렌지부(121)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어 상기 화분(50)의 외면을 감싸되 일부가 노출되도록 형성되는 3개의 수직 연장부(122)를 포함하고, 상기 수직 연장부(122) 상에 형성되어 상기 심지부재(200)의 상측부 일부가 삽입되는 중앙 관통홀(123)이 형성되어 있다. 이 때, 거치 지지부재(120)의 수직 연장부(122)는 상기 화분이 거치될 수만 있도록 수직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대략 120도 간격으로 3개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화분(50)이 거치된 상태로 하우징 본체(110)에 수용되는 경우에 하우징 본체(110)의 전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슬라이드홀(111)을 통하여 유입되는 공기의 접촉을 방해하지 않을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mounting support member 120 has a flange portion 121 extending to one side so that the three flower pots 30 are mounted and extending downward from the flange portion 121 to a predetermined length so that the flower pot 50 Includes three vertical extensions 122 formed to cover the outer surface of the but partially exposed, and is formed on the vertical extensions 122 to insert a portion of the upper side of the wick member 200 into the central through-hole (123) is formed. At this time, the vertical extensions 122 of the mounting support member 120 are formed in a vertical column shape so that the flowerpot can only be mounted, and three are formed at intervals of approximately 120 degrees. Therefore, when the flowerpot 50 is accommodated in the housing body 110 in a mounted state, contact of air introduced through the plurality of slide holes 111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housing body 110 may not be disturbed. there is.

경우에 따라서, 상기 거치 지지부재(120)의 중앙 관통홀(123)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심지부재(200)의 직경에 따라서 탄력적으로 확장 및 수축이 가능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거치 지지부재(120)의 중앙 관통홀(123)은 소정의 직경을 갖도록 크게 형성되고, 소정의 탄성력을 제공하는 오링(O-ring)이 개재될 수 있다. 따라서 심지부재(200)가 중앙 관통홀(123)에 탄성적으로 삽입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부터, 심지부재(200)가 유동하지 않고 안정적으로 결합되어 밀봉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력에 의한 뒤틀림 등이 발생되더라도 소정의 탄성력으로 대응이 가능할 수 있다.In some cases, as shown in FIG. 9 , the central through-hole 123 of the mounting support member 120 may be formed in a structure capable of elastically expanding and contracting according to the diameter of the wick member 200. . For example, the central through hole 123 of the mounting support member 120 may be formed large to have a predetermined diameter, and an O-ring providing a predetermined elastic force may be interposed therebetween. Accordingly, the wick member 200 may be elastically inserted into the central through hole 123 . From this structure, not only can the wick member 200 be stably coupled and sealed without flow, but also can respond with a predetermined elastic force even if distortion or the like occurs due to an external force.

상기 거치 지지부재(120)의 중앙 관통홀(123)에는 본 발명에 따른 심지부재(200)가 삽입될 수 있다. 심지부재(200)는 상측 일부가 상기 거치 지지부(120)의 중앙 관통홀(123)을 통하여 화분(50) 내측으로 삽입되고 하측 일부는 하우징 본체(110)의 내부 공간으로 연장된다. 이 때, 심지부재(200)의 하측 일부는 상기 하우징 본체(110)에 수용되어 있는 물에 접촉되어 있다.The wick member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serted into the central through-hole 123 of the mounting support member 120 . The upper part of the wick member 200 is inserted into the flower pot 50 through the central through hole 123 of the mounting support part 120 and the lower part extends into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body 110. At this time, a lower portion of the wick member 200 is in contact with the water accommodated in the housing body 110 .

이러한 심지부재(200)가 상기 거치 지지부재(120)의 중앙 관통홀(123)에 삽입 및 결합되는 구체적인 형상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A specific shape in which the wick member 200 is inserted into and coupled to the central through hole 123 of the mounting support member 12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심지부재(200)는 상기 하우징 본체(110) 내부에 수용되는 물이 흡수되어 모세관 현상에 의하여 이동이 가능한 소재이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섬유, 면사, 펄프 또는 내부 공극에 의한 수분 포집이 가능한 흡수성 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The wick member 20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a material capable of absorbing water accommodated in the housing body 110 and moving by capillarity, and for example, moisture due to fiber, cotton yarn, pulp, or internal voids. It may be formed of an absorbent resin capable of being collected.

경우에 따라, 심지부재(200)의 외면은 필름(미도시)이 코팅 또는 도포되고 표면에 복수의 통공(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필름에 의하여 심지부재(200)의 내구성이 향상되도록 하면서도 상기 통공을 통하여 수분 공급이 유지될 수 있다.In some cases, a film (not shown) may be coated or coa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wick member 200, and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not shown) may be formed on the surface. Therefore, while the durability of the wicking member 200 is improved by the film, water supply can be maintained through the through hole.

이러한 심지부재(200)가 화분(50)으로 직접 수분을 적정량을 지속적으로 공급하는 구조에 의하여 식물의 과도한 성장에 의한 뿌리 돌림이 방지되어 사용자는 별도의 분갈이 작업을 생략할 수 있으므로 한정된 공간에서 장시간 안정적으로 식물의 생육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Due to the structure in which the wick member 200 continuously supplies an appropriate amount of moisture directly to the flower pot 50, root turning due to excessive growth of plants is prevented, and the user can omit a separate repotting operation, so that a long time in a limited space It is possible to create a stable growth environment for plants.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연 관수식 화분 받침 구조체의 일부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some configurations of a natural irrigation plant pot support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자연 관수식 화분 받침대 구조체(100)는 상부면이 개방되고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급수가 보관 가능하도록 내부 공간이 형성되는 하우징 본체(110), 상기 하우징 본체(1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급수의 수위에 따라 승하강이 가능하게 형성되는 수위 안내부(130), 3개의 화분(50)이 거치되고 상기 하우징 본체(110)의 개방 부위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거치 지지부재(120) 및 상기 거치 지지부재(120)의 저면에 형성되는 착탈홀(도 7: 124)에 일측이 삽입된 상태로 타측은 상기 급수에 침수되는 심지부재(20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The natural irrigation planter support structur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housing body 110, the housing body 110 having an open upper surface and an internal space formed so that water supplied from the outside can be stored, and the housing body 110 The water level guide part 130 is formed to be able to go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water level, and the mounting support member 120 detachably coupled to the open part of the housing body 110 on which three flower pots 50 are mounted. ) and a wick member 200 that is submerged in the water supply with one side inserted into the detachable hole (FIG. 7: 124)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mounting support member 120.

전술한 바와 같이, 심지부재(200)는 물 등이 흡수되어 이동 가능한 흡수 소재로 형성되고, 상단 일부가 화분(50)의 흙 내부로 삽입되어 위치되고, 하단 일부는 하우징 본체(110)의 내부에 공급되는 상기 급수에 접촉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급수로부터 물이 모세관 현상에 의하여 상기 화분(50)으로 연속적으로 항상 일정량의 수분이 공급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wick member 200 is formed of an absorbent material capable of absorbing water and the like, a part of the upper end is inserted into the soil of the flower pot 50, and a part of the lower end is inside the housing body 110. It is in contact with the water supply supplied to. Accordingly, a certain amount of water can be continuously supplied to the flowerpot 50 at all times by the capillary action of water from the water supply.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심지부재(200)는 전체 길이(H)에 대해서, 상부로부터 대략 30% 내지 50% 길이(h1)가 상기 식물 등이 식재되어 있는 상기 화분(50)으로 삽입되고 나머지 길이(h2)는 하우징 본체(110)의 내부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심지부재(200)는, 직경 8mm 두께를 기준으로, 전체 길이에 대해서, 상부로부터 35% 내지 45% 길이만큼 상기 화분(50)으로 삽입되는 것이 적합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심지부재(200)는, 직경 8mm 두께를 기준으로, 전체 길이에 대해서, 상부로부터 40% 내지 42% 길이만큼 상기 화분(50)으로 삽입되는 것이 적합하다.He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wick member 200 is inserted into the pot 50 in which the plant or the like is planted at approximately 30% to 50% of the length (h 1 ) from the top with respect to the total length (H). And the remaining length (h 2 ) may be disposed in the inner direction of the housing body (110). Preferably, the wick member 200 is inserted into the flowerpot 50 by 35% to 45% of the total length from the top, based on a thickness of 8 mm in diameter. More preferably, the wick member 200 is inserted into the flowerpot 50 by 40% to 42% of the length from the top with respect to the total length based on the thickness of 8mm in diameter.

이 때, 심지부재(200)의 삽입 길이가 30% 미만이며 충분한 수분이 공급될 수 없고, 심지부재(200)의 삽입 길이가 50% 초과이면 오히려 심지부재(200)의 침수 부위가 부족하여 상기 급수의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할 수 있으므로 상기의 범위가 적합하다.At this time, if the insertion length of the wick member 200 is less than 30% and sufficient moisture cannot be supplied, and if the insertion length of the wick member 200 exceeds 50%, the submerged portion of the wick member 200 is insufficient, Since the movement of water supply may not be performed smoothly, the above range is suitable.

나아가, 심지부재(200)는, 전체 길이 대해서, 최상단부로부터 대략 35% 내지 45%의 길이가 화분(50)에 삽입되는 한편, 하측으로부터 대략 40% 내지 50%의 길이가 상기 하우징 본체(110)에 수용되어 있는 상기 급수에 침수되는 것이 적합하다. Furthermore, about 35% to 45% of the total length of the wick member 200 is inserted into the flower pot 50 from the uppermost end, while approximately 40% to 50% of the length from the lower side is the housing body 110. ), it is suitable to be submerged in the feed water contained in.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자연 관수식 화분 받침대 구조체(100)는 상기 심지부재(200)만 최적 비율로 상기 하우징 본체(110)에 배치되어 침수되는 구조를 갖도록 함으로써, 항상 적정량의 수분이 화분(50)에 지속적으로 일정하게 공급되도록 유지될 수 있다. 또, 상기 화분(50)에 직접적으로 상기 급수가 접촉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수분에 의한 화분(50)이나 식재된 식물의 손상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the natural irrigation type flower pot support structur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in which only the wick member 200 is disposed in the housing body 110 at an optimal ratio to be submerged, so that an appropriate amount of moisture is always supplied to the flower pot 50 ) can be maintained so that it is continuously supplied constantly. In addition, by preventing the water supply from directly contacting the flowerpot 50, damage to the flowerpot 50 or planted plants due to moisture can be fundamentally prevented.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Terms such as "comprise", "comprise", or "having" described above mean that the corresponding component may be inherent unless otherwise stated, so excluding other components is not recommended. It should be interpreted that it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unless defined otherwise. Commonly used terms, such as terms defined in a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art, and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y are not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가 반드시 상술한 일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에서의 실시가 가능함은 당연하다고 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진다고 할 것이다.In the above,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it should be taken for granted that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necessarily limited by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implementation within the equivalent range are possibl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will be. Therefore, it will be said that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termined by the claims described later.

50: 화분 100: 화분 받침대 구조체
110: 하우징 본체 111: 슬라이드홀
112: 거치홀 113: 관측홀
115: 급수부 120: 거치 지지부재
121: 플렌지부 122: 수직 연장부
123: 중앙 관통홀 125: 유동홀
130: 수위 안내부 200: 심지부재
50: flower pot 100: flower pot support structure
110: housing body 111: slide hole
112: mounting hole 113: observation hole
115: water supply 120: mounting support member
121: flange portion 122: vertical extension portion
123: central through hole 125: floating hole
130: water level guidance unit 200: wick member

Claims (9)

적어도 일면이 개방되고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급수가 보관 가능하도록 내부 공간이 형성되는 하우징 본체;
상기 하우징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급수의 수위에 따라 승하강이 가능하게 형성되는 수위 안내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화분이 거치되고 상기 하우징 본체의 개방 부위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거치 지지부재; 및
상기 거치 지지부재의 저면에 형성되는 착탈홀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된 상태로 일측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급수에 침수되어 상기 급수로부터 모세관 현상에 의하여 상기 화분으로 연속적으로 항상 일정량의 물이 공급되도록 섬유 또는 면사를 포함하여 제조되는 심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거치 지지부재는,
상기 화분이 거치되도록 일측으로 연장되는 플렌지부; 및
상기 플렌지부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어 상기 화분의 외면 중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수직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직 연장부 상에 형성되어 상기 심지부재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며 상기 심지부재의 직경에 따라, 내경이 확장 가능하도록 소정의 탄성력을 제공하는 오링(O-ring)이 개재되는 중앙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심지부재는, 외부에 필름이 도포되고 외부에는 복수의 통공이 형성되되, 직경 8mm 두께를 기준으로, 전체 길이 대해서, 최상단부로부터 35% 내지 45%의 길이가 상기 화분에 삽입되는 한편, 하측으로부터 40% 내지 50%의 길이가 상기 하우징 본체에 수용되어 있는 상기 급수에 침수되는, 자연 관수식 화분 받침대 구조체.
A housing body having at least one surface open and having an internal space to store water supplied from the outside;
a water level guide unit that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housing body and is formed to move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water level;
a mounting support member in which at least one flower pot is mounted and detachably coupled to an open portion of the housing body; and
At least a portion of one side is submerged in the water supply in a state in which at least a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detachable hol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mounting support member, and a certain amount of water is continuously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to the flower pot by capillarity. Including; a wicking member made of cotton yarn;
The mounting support member,
a flange portion extending to one side to hold the flower pot; and
A vertical extension extending downward from the flange to a predetermined length and cover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outer surface of the pot;
A central through-hole formed on the vertical extension part into which at least a part of the wicking member is inserted and interposed with an O-ring providing a predetermined elastic force so that the inner diameter can be expanded according to the diameter of the wicking member is formed. become,
In the wicking member, a film is applied to the outside and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are formed on the outside, and a length of 35% to 45% of the total length from the uppermost end is inserted into the flower pot based on the thickness of 8mm in diameter, while the lower side 40% to 50% of the length from is submerged in the water supply accommodated in the housing body, natural watering planter stand structur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본체에는,
상기 수위 안내부를 외부에서 관찰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관측홀;
내부 공간으로 공기의 유입을 안내하는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드홀; 및
상기 하우징 본체의 내부 공간으로 상기 급수를 공급하기 위한 급수부가 형성되는 구조를 포함하는, 자연 관수식 화분 받침대 구조체.
According to claim 1,
In the housing body,
an observation hole formed to observe the water level guide from the outside;
at least one slide hole for guiding the inflow of air into the inner space; and
A natural irrigation pot stand structure comprising a structure in which a water supply unit is formed for supplying the water to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body.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홀의 일측 단부는 상기 하우징 본체에 수용되는 상기 급수의 수위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는 크기로 형성되는, 자연 관수식 화분 받침대 구조체.
According to claim 6,
One end of the slide hole is formed in a size that is formed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water level of the water supply accommodated in the housing body, natural watering type planter support structur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본체의 적어도 일부는 외부에서 내부에 수용된 상기 급수의 수위를 감지 가능하도록 투명 소재로 형성되는, 자연 관수식 화분 받침대 구조체.
According to claim 1,
At least a portion of the housing body is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so as to be able to detect the water level of the water supply received inside from the outside, natural watering planter support structure.
삭제delete
KR1020220069875A 2022-06-09 2022-06-09 Flowerpot structure with natural supplying water KR10247971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9875A KR102479711B1 (en) 2022-06-09 2022-06-09 Flowerpot structure with natural supplying wa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9875A KR102479711B1 (en) 2022-06-09 2022-06-09 Flowerpot structure with natural supplying wat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9711B1 true KR102479711B1 (en) 2022-12-20

Family

ID=845392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9875A KR102479711B1 (en) 2022-06-09 2022-06-09 Flowerpot structure with natural supplying wat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9711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5809B1 (en) * 2023-07-05 2024-03-08 박경원 Plantpot stand unit including absorbing member linked with plant and circumstance thereof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27940A (en) * 2005-08-30 2007-03-12 김종대 Water supplying device for flowerpot
KR20150060228A (en) * 2013-11-26 2015-06-03 조흥열 Wick for Bottom Irrigation for Cultivation of Plant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KR200477376Y1 (en) 2013-07-08 2015-07-08 한국도시농업 주식회사 A self watering flowerpot which the power is useless
KR200479346Y1 (en) * 2015-08-21 2016-01-18 주식회사 프론티어텍홀딩스 Prefabricated plant pot assembly for interior greening
KR101656751B1 (en) * 2014-04-24 2016-09-13 (주)대한콜크 Plant cultivation flower pot for air purification and the indoor garden system using the flower pot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27940A (en) * 2005-08-30 2007-03-12 김종대 Water supplying device for flowerpot
KR200477376Y1 (en) 2013-07-08 2015-07-08 한국도시농업 주식회사 A self watering flowerpot which the power is useless
KR20150060228A (en) * 2013-11-26 2015-06-03 조흥열 Wick for Bottom Irrigation for Cultivation of Plant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KR101656751B1 (en) * 2014-04-24 2016-09-13 (주)대한콜크 Plant cultivation flower pot for air purification and the indoor garden system using the flower pot
KR200479346Y1 (en) * 2015-08-21 2016-01-18 주식회사 프론티어텍홀딩스 Prefabricated plant pot assembly for interior greening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5809B1 (en) * 2023-07-05 2024-03-08 박경원 Plantpot stand unit including absorbing member linked with plant and circumstance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00006270B1 (en) Automatic supplying water
KR101892977B1 (en) Flowerpot using water vapor
KR101248076B1 (en) Flowerpot of drawer type for wick flood
KR102479711B1 (en) Flowerpot structure with natural supplying water
KR101191318B1 (en) flowerpot for orchid
JP3195747U (en) Automatic watering flowerpot
JP3192278U (en) Plant growing equipment
KR101085417B1 (en) Automatic water supplying flowerpot for planting moss
JP4898161B2 (en) flower pot
KR101659908B1 (en) Growing plants equipment using flowerpot
KR200490422Y1 (en) flowerpot for water culture with fish tank
KR101592088B1 (en) Cultivating device
KR101280123B1 (en) Port table
KR101885752B1 (en) Floating Plants Cultivation Device
KR102513625B1 (en) Flowerpot unit with natural drainage water and flowerpot unit assembly thereof
JP2006174829A (en) Simplified hydroponics container
CN203860115U (en) Plant container
JPH07147851A (en) Apparatus for supplying water to potted plant
KR102645809B1 (en) Plantpot stand unit including absorbing member linked with plant and circumstance thereof
KR102538925B1 (en) Bottom-up water supply planter
KR102350488B1 (en) water supply divice of a pot
KR20210016139A (en) Flowerpot having removable humidity sensor
KR20200090361A (en) Flowerpot Can Water By Itself
KR900008347Y1 (en) Pot stand
KR200365120Y1 (en) A flowerpot provide with waterpo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