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5796B1 - 법면표층의 강화를 위한 식생보강토 - Google Patents

법면표층의 강화를 위한 식생보강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5796B1
KR102645796B1 KR1020230029429A KR20230029429A KR102645796B1 KR 102645796 B1 KR102645796 B1 KR 102645796B1 KR 1020230029429 A KR1020230029429 A KR 1020230029429A KR 20230029429 A KR20230029429 A KR 20230029429A KR 102645796 B1 KR102645796 B1 KR 1026457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il
weight
parts
vegetation
solidifying ag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294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기회용
Original Assignee
기회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회용 filed Critical 기회용
Priority to KR10202300294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57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57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57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4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1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inorganic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2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natural organic material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법면표층의 강화를 위한 식생보강토에 관한 것으로서, 식물의 생장이 가능하면서도 법면의 표층을 강화시켜 법면의 토사유실 및 세굴에 따른 파괴를 방지할 수 있는 식생보강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법면표층의 강화를 위한 식생보강토는 식생토 100중량부에 대하여 고화제 10 내지 50중량부를 함유하고, 상기 식생토는 퇴비와 제지슬러지와 동물 혈분과 마사토를 포함하며, 상기 고화제는 고로 슬래그와 플라이애쉬 및 시멘트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법면표층의 강화를 위한 식생보강토{vegetation soil for reinforcing outer layer of slope land}
본 발명은 법면표층의 강화를 위한 식생보강토에 관한 것으로서, 식물의 생장이 가능하면서도 법면의 표층을 강화시켜 법면의 토사유실 및 세굴에 따른 파괴를 방지할 수 있는 식생보강토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특허등록 제10-2201367호의 법면용 식생토의 성능을 보완하여 효과가 더 우수한 식생보강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양한 건설 또는 개발현장에서 나타날 수 있는 사면 또는 절개지를 그대로 방치하면 미관을 해치고, 우기 또는 해빙기에 산사태 또는 유실을 초래할 뿐 아니라 이로 인한 인명사고를 초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해당 절개지 또는 경사지를 안정적으로 보호하고 미관상 우수한 분위기를 제공함은 물론 자연을 회복시키기 위해 해당부분을 인공적으로 객토하여 녹화시키는 방법이 행해지고 있다.
녹화시공이 행해지는 토양 절개면은 그 대부분이 암반층 또는 식물이 생육하기에 좋지 않은 토질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 지역의 토양조건은 토양층이 없거나 있다 해도 깊이가 낮아 보통 식물이 자리잡기에 매우 불리한 환경에 놓이게 마련이다. 또한, 양분이 많은 표토와 표토 부근의 심토가 제거된 채 토양으로 이행과정을 겪지 않은 모질물, 그리고 모암이 노출된 지역은 양분의 용탈 및 수분 보유기능이 크게 저하되어 있고, 또한 이러한 지역은 경사를 가지고 있어 침식과 붕괴의 위험을 내재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식물이 피복되기 어려운 지역에 식물이 빠르게 자랄 수 있도록 사면 부착력 및 내침식성이 우수한 인공토를 뿌려주는 등의 인위적인 환경을 조성해 주는 녹화시공을 통하여 식물의 성장을 돕게 된다. 이와 같은 인공토들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47087호, 제10-1572110호 등에 개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종류가 연구되고 있다.
하지만, 종래의 인공토는 식물의 발아 및 생장에 중점을 두고 있어서 법면의 표층을 강화시키기 위한 효과가 부족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우기시 법면의 토사유실이 빈번하게 발생되고, 세굴에 따른 표층의 붕괴나 파괴를 초래한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47087호: 사면 녹화용 식생토 조성물 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72110호: 친환경 법면녹화용 식생토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식물의 발아 및 생장이 가능하면서도 법면의 표층을 견고하게 강화시켜 토사유실 및 세굴에 따른 파괴를 방지할 수 있는 식생보강토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법면표층의 강화를 위한 식생보강토는 식생토 100중량부에 대하여 고화제 10 내지 50중량부를 함유하고, 상기 식생토는 퇴비와 제지슬러지와 동물 혈분과 마사토를 포함하며, 상기 고화제는 고로 슬래그와 플라이애쉬 및 시멘트를 포함한다.
상기 고화제는 석회 또는 석고를 더 포함한다.
상기 식생토는 목재의 표면을 탄화시킨 표면탄화칩을 더 포함한다.
상기 표면탄화칩은 표면의 탄화층에 발효추출물이 함침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식물의 발아 및 생장이 가능하면서도 법면의 표층을 견고하게 강화시켜 토사유실 및 세굴에 따른 파괴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장기적으로 안정된 강도를 갖는 지반으로 개량하는 효과를 가지면, 법면표층의 물리화학적 성질의 개량이 용이하고, 아울러 법면에 식생이 가능하고 유해성이 없어 친환경적인 법면 보호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제지 슬러지, 동물 혈분 등과 같은 폐기물을 재활용하기 때문에 환경보호와 함께 폐기물의 처리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식생보강토에 사용되는 탄화칩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식생보강토를 이용한 앵커(소일네일링)공법의 개념을 도시한 모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식생보강토를 이용한 억지말뚝 공법의 개념을 도시한 모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법면표층의 강화를 위한 식생보강토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법면표층의 강화를 위한 식생보강토는 식생토와 고화제를 함유한다. 가령, 식생토 100중량부에 대하여 고화제 10 내지 50중량부를 함유할 수 있다.
식생토는 본 발명의 베이스가 되는 재료로서 식생의 기능을 갖도록 한다. 식생토는 퇴비와 제지슬러지와 동물 혈분과 마사토를 혼합하여 조성할 수 있다. 일 예로 퇴비 100중량부에 대하여 제지슬러지 50 내지 100중량부, 동물 혈분 10 내지 30중량부, 마사토 100 내지 200중량부를 혼합하여 식생토를 만들 수 있다.
퇴비는 식물에 유기성 영양분을 공급한다. 퇴비는 가축 분뇨, 낙엽, 왕겨, 톱밥, 볏짚, 쌀겨, 음식물 쓰레기 중의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혼합하여 발효시켜 얻을 수 있다.
제지슬러지는 제지공장 등에서 발생되는 슬러지를 수거하여 농축, 안정화, 탈수 및 건조시킨 것이다. 제지슬러지는 퇴비 100중량부에 대하여 50 내지 100중량부가 적절하다. 제지슬러지는 풀씨 등과 같은 종자들의 발아 후에 초기 생육을 증대시키는 역할을 한다.
동물 혈분은 가축의 혈액을 건조시킨 후 분쇄하여 수분 함량이 12중량% 이하인 파우더 형태로 이용할 수 있다. 가축의 혈액으로 소, 돼지, 닭, 오리 등의 혈액을 이용할 수 있다. 혈분은 통상적인 방법으로 제조하거나 시중에서 시판 중인 제품을 구입하여 이용할 수 있다.
혈분 제조방법의 일 예로, 교반기가 장착된 교반탱크에 혈액을 투입한 다음 200 내지 300℃의 증기를 가하면서 6 내지 8시간 동안 교반하여 혈액을 응고시킨 다음 열풍 건조기를 이용하여 수분함량을 12중량% 이하로 건조시킨 후 분쇄기로 분쇄하여 100 내지 200메쉬 입도 크기의 파우더로 만들 수 있다. 동물혈분은 퇴비 100중량부에 대하여 10 내지 30중량부가 적절하다.
마사토는 배수력이 우수하고 오염도가 낮으며, 종자의 발아시 기반층이 되며 원 지반의 토양과의 흡착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식생토에 기본적인 공극을 형성한다. 마사토는 퇴비 100중량부에 대하여 100 내지 200중량부가 적절하다.
상술한 퇴비와 제지슬러지, 동물 혈분, 마사토를 혼합하여 조성한 식생토는 식물에 영양소를 공급하여 식물의 발아 및 생장에 유리한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이러한 식생토는 절개지 복원, 법면 녹화용, 토양개량제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또한, 제지 슬러지와 동물 혈분과 같은 폐기물을 재활용하기 때문에 환경보호와 함께 폐기물의 처리에 따른 비용을 절감시키고, 유기성 폐기물을 자원화할 수 있다.
고화제는 상술한 식생토 입자 상호간의 결착력 및 점착력을 높여 법면의 표층을 견고하게 강화시킴으로써 토사유실 및 세굴에 따른 파괴를 방지한다.
고화제는 고로 슬래그와 플라이애쉬 및 시멘트를 포함한다. 가령, 고로 슬래그 100중량부에 대하여 플라이애쉬 20 내지 60중량부와, 시멘트 5 내지 25중량부를 혼합하여 고화제를 조성할 수 있다.
슬래그(slag)는 제철공정에서 발생하는 고로슬래그와 제강공정에서 발생되는 제강슬래그로 나뉜다. 고로슬래그는 용광로에서 철광석으로부터 선철을 만들 때 생기는 철 이외의 불순물이다.
고로 슬래그는 공기 중에서 서서히 냉각시킨 괴재슬래그(palletized slag-air cooled)와 물을 분사하여 냉각시킨 수재슬래그(granulated slag-water cooled)로 구별되는 데, 이 중 수재슬래그는 칼슘의 함량이 높고, 냉각과정에서 미립화되므로 분쇄공정이 용이하므로 수재슬래그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로 슬래그는 산화칼슘(CaO)과 이산화규소(SiO2)를 주성분으로 하고, 그 외에 알루미나(Al2O3), 산화마그네슘(MgO), 산화철(Fe2O3), 산화망간(MnO) 등이 소량 함유된다.
고로 슬래그는 미세하게 분쇄하여 이용한다. 가령, 미분말화된 고로슬래그는 비표면적이 2000 내지 6000cm2/g일 수 있다.
플라이애쉬(fly ash)는 석탄회의 일종이다. 석탄회(ash)는 석탄의 유기성 가연 성분이 연소된 후에 남는 잔류 광물질로서, 석탄회의 대부분이 화력발전소에서 발생하고 있으며 그 이외에도 폐기물 소각로와 열병합 발전소 및 기타 산업현장에서도 연소공정으로 인하여 발생된다.
석탄회는 입자의 크기에 따라 크게 두 가지로 구분되는데, 입자의 크기가 100㎛이하일 때는 플라이애쉬(fly ash)이고 그 이상일 때는 바텀애쉬(bottom ash)로 취급된다. 플라이애쉬는 입자가 가벼워 분산되어 날아다니다가 연소가스와 함께 집진기에 의해 채취된다. 플라이애쉬와 바텀애쉬는 연소설비 내에서 포집되는 위치가 다르기 때문에 소결 상태, 밀도, 입자의 크기 등 물성이 다르게 나타난다.
본 발명은 석탄회로 플라이애쉬 또는 바텀애쉬를 이용할 수 있으나, 미분말화된 플라이애쉬가 바람직하다. 플라이애쉬는 비표면적이 2000 내지 5000cm2/g일 수 있다.
플라이애쉬는 주요 성분으로는 산화칼슘(CaO)과 삼산화황(SO3)을 주성분으로 하고, 그 외에 이산화규소(SiO2), 알루미나(Al2O3), 산화마그네슘(MgO), 삼산화황(SO3), 산화철(Fe2O3), 산화망간(MnO) 등이 소량 함유된다. 플라이애시는 포졸란물질과 CaO 함량이 높아 알칼리 자극제가 함유되어 있으므로 스스로 굳은 수경성을 나타내는 특징이 있다.
시멘트로 통상적인 포틀랜드 시멘트를 이용할 수 있다. 시멘트를 첨가함으로써 식생토 입자 상호간의 결착력 및 점착력을 높일 수 있다.
고화제는 석회 또는 석고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령, 고화제는 고로 슬래그 100중량부에 대하여 플라이애쉬 20 내지 60중량부와, 시멘트 5 내지 25중량부와, 석회 또는 석고 2 내지 20중량부를 혼합하여 조성할 수 있다.
석회로 생석회나 소석회를 이용할 수 있다. 생석회나 소석회는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서로 혼합된 형태로 이용할 수 있다. 혼합하여 사용할 경우 생석회와 소석회는 2:1의 중량비로 혼합할 수 있다.
생석회(CaO)는 물이 가해지면 발열과 함께 소석회(Ca(OH)2)화 되면서 체적팽창을 함으로 수축을 저감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소석회(Ca(OH)2)는 이산화탄소(CO2)와 서서히 반응하여 최종적으로 천연의 석회석(CaCO3)화 되어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강도를 증대시키는 역할을 한다.
석고로 통상적인 소석고를 사용한다. 소석고(calcined gypsum)는 물과 반응하여 굳어지는 물질로서, 경화 후 강도가 우수한 특성을 갖는다.
상술한 본 발명은 식생기능이 우수한 식생토에 고화기능을 갖는 고화제를 혼합함으로써 식생이 가능하면서도 법면의 표층을 강화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적용된 식생토는 목재의 표면을 탄화시킨 표면탄화칩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가령, 퇴비 100중량부에 대하여 제지슬러지 50 내지 100중량부, 동물 혈분 10 내지 30중량부, 마사토 100 내지 200중량부, 표면탄화칩 20 내지 80중량부를 혼합하여 식생토를 만들 수 있다.
표면탄화칩으로 사용하기 위한 목재로 대나무나 코르크를 이용할 수 있다. 특히, 코르크(cork)는 탄력성, 낮은 열전도성, 가벼운 무게, 충격 흡수력 등에서 우수한 특성을 갖는다.
목재를 파쇄하여 1 내지 100메쉬 입도 크기의 목재칩을 수득한 다음, 노(furnace)에 투입하여 온도와 시간을 적절히 조절하여 목재칩의 표면만을 탄화시킬 수 있다. 일 예로 목재칩을 노에 투입하여 무산소 분위기에서 300 내지 500℃로 20 내지 200분 동안 가열하여 표면을 탄화시킬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서, 목재칩을 물에 담가 목재칩 내부로 수분을 침투시킨 다음 목재칩의 표면에 화염을 가해 목재칩의 표면만을 탄화시킬 수 있다.
또한, 물 대신에 비료액에 목재칩을 담가 목재칩 내부로 비료를 침투시킨 다음 목재칩의 표면에 화염을 가해 목재칩의 표면만을 탄화시킬 수 있다. 이 경우 표면탄화칩의 내부에 비료액을 함침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이에 따라 표면탄화칩의 내부에는 비료액이 함침되고, 표면탄화칩의 표면에는 후술하는 발효추출물이 함침되므로 표면탄화칩의 기능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표면탄화칩(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는 탄화되지 않은 미탄화 부위(11)로 이루어지고, 표면은 탄화되어 형성된 탄화층(15)으로 이루어진다. 탄화층(15)은 유기물의 열분해를 거치면서 넓은 표면적을 가지며, 표면전하가 많아져서 우수한 흡착능력 및 항균효과를 갖는다. 또한, 탄화층(15)은 많은 기공들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식물 생육에 도움을 준다.
바람직하게 표면탄화칩의 탄화층에는 발효추출물이 함침된다. 발효추출물로 멱쇠채 발효추출물을 이용할 수 있다.
멱쇠채(Scorzonera austriaca)는 국화과의 다년생 식물로서, 잎이나 줄기 또는 전초를 이용한다. 멱쇠채 발효추출물은 멱쇠채를 발효시킨 발효물로부터 추출하여 수득한다.
멱쇠채 100중량부에 대하여 설탕 20 내지 40중량부를 혼합하고 발효균주 0.01 내지 1.0중량부를 첨가한 후 20 내지 40℃에서 20 내지 100일 동안 발효시킨다. 발효균주로 유용미생물군을 이용할 수 있다.
유용미생물군(EM, Effective Microorganisms)은 광합성 세균, 효모, 유산균, 방선균, 사상균 중 1종 이상의 유용미생물을 포함한다. 유용미생물군으로 배양액이나 분말 형태로서 상업화된 제품을 이용할 수 있다. 유용미생물군을 직접 배지에서 배양할 경우, 배지의 예로 쌀뜨물 1ℓ에 흑설탕이나 당밀 40 내지 100g을 넣어 조성할 수 있다. 배지를 만든 후 배지에 유용 미생물군 원액을 가한 후 30 내지 40℃에서 2 내지 8일 동안 배양하여 배양액을 얻을 수 있다.
발효가 완료되면 멱쇠채 발효물에 추출용매를 가해 멱쇠채 발효추출물을 추출한다. 일 예로, 진공저온추출기에 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멱쇠채 발효물 10 내지 50중량부를 투입한 후 진공(100 내지 200torr) 조건하에서 60 내지 80℃로 4 내지 10시간 동안 추출한다. 추출 후 여과하여 액상의 멱쇠채 발효추출물을 얻을 수 있다. 멱쇠채 발효추출물은 항산화 활성이 우수하다.
멱쇠채 발효추출물에 표면탄화칩을 담가 6 내지 12시간 동안 침지시킨다. 이에 따라 멱쇠채 발효추출물이 표면탄화칩 탄화층의 미세한 기공에 침투되어 함침된다.
이와 같이 멱쇠채 발효추출물이 함침된 표면탄화칩을 재료로 사용할 경우, 시간이 지나면서 서서히 멱쇠채 발효추출물이 표면탄화칩의 외부로 용출되어 장시간 동안 식생보강토의 항산화 활성을 장시간 높여 식물의 발육을 튼튼하게 한다. 또한, 멱쇠채 발효추출물에 함유된 유용 미생물이 탄화층의 기공에 흡착된 형태로 존재하기 때문에 미생물 유실의 염려가 없고, 환경의 변화에도 미생물은 높은 저항력을 가지므로 식물의 근권 정착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적용된 식생토는 라임케이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령, 퇴비 100중량부에 대하여 제지슬러지 50 내지 100중량부, 동물 혈분 10 내지 30중량부, 마사토 100 내지 200중량부, 표면탄화칩 20 내지 80중량부와, 라임케이크 2 내지 10중량부를 혼합하여 식생토를 만들 수 있다.
라임케이크(lime cake)는 설탕의 정당(精糖)공정에서 발생된다. 정당공정 중 조당즙에 생석회를 가하고 탄산가스를 불어넣을 때 생성되는 탄산칼슘을 여과할 때 폐수가 발생하고, 이 폐수를 탈수처리하면 수분 30~40% 정도의 라임케이크가 발생한다. 라임케이크에는 석탄, 활성탄, 규조토 등의 현탁물질과 당즙 등의 유기물을 함유하고 있다. 현재 라임케이크의 대부분은 산업폐기물로 매립처분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은 폐기되는 라임케이크를 이용하여 식생토의 응집성, 성형성 등의 물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라임케이크는 유기물을 많이 함유하고 있어서 미생물의 영양원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식생보강토에는 미리 식물의 씨앗을 혼합하여 사용하거나, 법면에 포설한 후 씨앗을 살포할 수 있다. 또한, 현장 상황에 따라 본 발명의 식생보강토에 물을 첨가하여 함수비율을 조절할 수 있으며, 현장에서 채취한 토양을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생보강토를 이용하여 법면을 보호하기 위한 시공방법을 간단하게 설명한다.
식생토와 고화제를 혼합한 식생보강토를 준비한 다음, 절개지와 같은 법면에 일정한 경사와 두께로 성토 및 다짐을 한다. 이와 같이 법면에 시공된 식생보강토는 식물의 발아 및 생장이 가능하면서도 법면의 표층을 견고하게 강화시킨다.
그리고 도 2와 같이 앵커(20)를 복구 또는 시공된 법면에 일정하게 삽입 보강하여 법면의 강도를 더욱 높여 지내력을 보강하는 방법을 채택할 수도 있다. 또한, 도 3과 같이 억지 말뚝(30)을 일정한 간격으로 수직으로 내려 박아 법면(1)의 강도를 보강하여 지내력을 보강하여 시공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 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 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낙엽 퇴비 100중량부에 대하여 제지슬러지 75중량부, 돼지 혈분 20중량부, 마사토 150중량부를 혼합하여 식생토를 준비하였다. 그리고 고로 슬래그 100중량부에 대하여 플라이애쉬 40중량부와, 포틀랜드 시멘트 15중량부를 혼합하여 고화제를 준비하였다.
준비한 식생토와 고화제를 10:3의 중량비로 혼합한 후 물을 첨가하여 함수량 12wt%의 시험시료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낙엽 퇴비 100중량부에 대하여 제지슬러지 75중량부, 돼지 혈분 20중량부, 마사토 150중량부를 혼합한 후 물을 첨가하여 함수량 12wt%의 비교시료를 제조하였다.
<발아실험>
실시예의 시험시료와 비교예의 비교시료를 이용하여 발아지수를 측정하였다. 각 시료를 노지 위에 약 5cm 두께로 살포한 후 잔디씨를 파종하여 25일째에 발아된 종자수와 뿌리길이를 측정한 후 아래의 식에 의해 발아지수를 계산하였다. 처리구는 시험시료 또는 비교시료에 파종한 구이고, 무처리구는 노지에 파종한 구를 의미한다.
발아지수={(처리구의 발아된 종자수×처리구의 발아된 종자의 뿌리길이)/(무처리구의 발아된 종자수×무처리구의 발아된 종자의 뿌리길이)}×100
구분 발아지수
시험시료 64
비교시료 67
상기 표 1의 결과를 참조하면, 고화제가 사용되지 않은 비교시료와 고화제가 사용된 시험시료의 발아지수를 비교시 유의미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시험시료는 법면의 표층을 강화시킴과 동시에 식물의 생육이 충분히 가능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강도실험>
실시예의 시험시료와 비교예의 비교시료를 KS F 2314 및 KS F 4716에 의해 각각 압축 및 부착강도 시험을 실시하여 그 결과를 하기의 표 2에 나타내었다.
구분 압축강도(MPa) 부착강도(MPa)
시험시료 1.25 0.92
비교시료 0.31 0.18
상기 표 2의 결과를 참조하면, 시험시료는 비교시료에 비해 압축강도 및 부착강도가 현저하게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발명은 외부의 충격 또는 우천 시에 법면과 매우 우수한 고정력을 가지므로 토사유실이나 붕괴를 방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발효추출물>
멱쇠채의 잎 100중량부에 대하여 설탕 30중량부를 혼합하고 유용미생물군(EM-1, 주식회사 에버미라클) 0.5중량부를 첨가한 후 30℃에서 60일 동안 발효시켜 발효물을 수득하였다. 진공저온추출기에 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발효물 중량부를 투입한 후 진공(150torr) 조건하에서 70℃로 8시간 동안 추출한 다음 여과하여 발효추출물을 얻었다.
발효추출물을 미세여과지로 여과하여 고형분을 제거한 다음 50mL로 농축하고 증류수를 가해1000ppm 농도로 희석하여 사용하였다. 시료의 항산화 활성(electron donation ability, EDA%)은 Blois의 방법을 변형하여 측정하였다. 시료 2mL에 0.2mM의 DPPH(1,1-diphenyl-2-picryl hydrazyl) 0.5mL를 넣고 교반한 후 517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라디칼소거활성능은 시료 첨가구와 무첨가구의 흡광도 감소율로 나타내었다.
실험결과, 발효추출물의 라디칼소거활성능은 62.1%로서 우수한 항산화 활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러한 발효추출물을 표면탄화칩의 탄화층에 함침시켜 식생보강토의 재료로 사용할 경우 식생효과를 크게 높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상, 본 발명은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표면탄화칩 11: 미탄화 부위
15: 탄화층

Claims (4)

  1. 식생토 100중량부에 대하여 고화제 10 내지 50중량부를 함유하고,
    상기 식생토는 퇴비와 제지슬러지와 동물 혈분과 마사토 및 목재의 표면을 탄화시킨 표면탄화칩을 포함하며,
    상기 고화제는 고로 슬래그와 플라이애쉬 및 시멘트를 포함하고,
    상기 표면탄화칩은 내부는 탄화되지 않은 미탄화 부위로 이루어지고, 표면은 탄화되어 형성된 탄화층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표면탄화칩은 목재칩을 비료액에 담가 상기 목재칩의 내부로 비료액을 함침시킨 다음 상기 목재칩의 표면에 화염을 가해 표면을 탄화시키고,
    상기 표면탄화칩의 표면에 형성된 상기 탄화층에는 발효추출물이 함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법면표층의 강화를 위한 식생보강토.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화제는 석회 또는 석고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법면표층의 강화를 위한 식생보강토.
  3. 삭제
  4. 삭제
KR1020230029429A 2023-03-06 2023-03-06 법면표층의 강화를 위한 식생보강토 KR1026457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29429A KR102645796B1 (ko) 2023-03-06 2023-03-06 법면표층의 강화를 위한 식생보강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29429A KR102645796B1 (ko) 2023-03-06 2023-03-06 법면표층의 강화를 위한 식생보강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5796B1 true KR102645796B1 (ko) 2024-03-15

Family

ID=902726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29429A KR102645796B1 (ko) 2023-03-06 2023-03-06 법면표층의 강화를 위한 식생보강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579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7087B1 (ko) 2008-02-11 2008-07-17 와생녹화산업 (주) 사면 녹화용 식생토 조성물
KR20090045880A (ko) * 2007-11-02 2009-05-08 주식회사 엘티아이조경산업 사면녹화용 뿜칠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사면녹화공법
KR20150131419A (ko) * 2014-05-14 2015-11-25 (주)제이엔티아이엔씨 녹생토
KR101572110B1 (ko) 2015-03-12 2015-11-26 주식회사 홍익기술단 친환경 법면녹화용 식생토
KR102201367B1 (ko) * 2020-07-20 2021-01-11 (주)테라생태환경 법면용 식생토와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45880A (ko) * 2007-11-02 2009-05-08 주식회사 엘티아이조경산업 사면녹화용 뿜칠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사면녹화공법
KR100847087B1 (ko) 2008-02-11 2008-07-17 와생녹화산업 (주) 사면 녹화용 식생토 조성물
KR20150131419A (ko) * 2014-05-14 2015-11-25 (주)제이엔티아이엔씨 녹생토
KR101572110B1 (ko) 2015-03-12 2015-11-26 주식회사 홍익기술단 친환경 법면녹화용 식생토
KR102201367B1 (ko) * 2020-07-20 2021-01-11 (주)테라생태환경 법면용 식생토와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079700A1 (en) Biochar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Thereof
EP2582646B1 (en) Method of restoring contaminated land
KR102066698B1 (ko) 친환경 녹생토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CN103842314A (zh) 使用生物炭促进土壤生长的方法
CN104119190B (zh) 煤矸石压缩营养土的生产方法
KR101805390B1 (ko) 절개지의 생태 복원을 위한 녹생토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생태 복원 공법
CN104119162B (zh) 粉煤灰压缩营养土的生产方法
KR101243104B1 (ko) 자연친화적인 식생매트
CN111657098B (zh) 一种营养土及其在治沙植绿中的应用
KR101579806B1 (ko) 인공 지반의 녹화를 위한 인공토양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634569B1 (ko) 법면 조경용 식생토 및 이의 제조방법
CN114985433A (zh) 一种赤泥土壤化全量利用的方法
KR101707851B1 (ko) 절토사면 녹화 및 안정화를 위한 친환경 토양혼합물을 이용한 녹화공법
CN104130072A (zh) 活性炭残渣压缩营养土的生产方法
KR200417955Y1 (ko) 법면 조경용 식생토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201346B1 (ko) 비탈면 녹화용 배양토 조성물
KR102645796B1 (ko) 법면표층의 강화를 위한 식생보강토
KR20170011327A (ko) 커피박을 포함하는 녹화토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녹화공법
KR101305475B1 (ko) 죽초액을 포함하는 식생토 및 그 제조방법
KR101507685B1 (ko) 자연배합토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308209B1 (ko) 친환경 절개지사면 녹화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CN106986724A (zh) 一种盐碱地的土壤修复剂及其制备方法
CN113892418A (zh) 一种可再生人参栽培用营养土及其制备方法
KR101512934B1 (ko) 자연배합토 조성물을 이용한 훼손지 생태복원 녹화방법
KR101894285B1 (ko) 바텀애쉬를 활성성분으로 함유하는 토양처리용 온실가스저감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