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5671B1 - 용액이 임의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디스펜서 - Google Patents

용액이 임의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디스펜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5671B1
KR102645671B1 KR1020210094793A KR20210094793A KR102645671B1 KR 102645671 B1 KR102645671 B1 KR 102645671B1 KR 1020210094793 A KR1020210094793 A KR 1020210094793A KR 20210094793 A KR20210094793 A KR 20210094793A KR 102645671 B1 KR102645671 B1 KR 1026456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ution
lever
nozzle
opening
st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47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13834A (ko
Inventor
어진향기
김천웅
Original Assignee
어진향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어진향기 filed Critical 어진향기
Priority to KR10202100947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5671B1/ko
Publication of KR202300138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38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56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567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73Springs
    • B05B11/1074Springs located outside pump chamb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6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5/00Holders or dispensers for soap, toothpaste, or the like
    • A47K5/06Dispensers for soap
    • A47K5/12Dispensers for soap for liquid or pasty soap
    • A47K5/1202Dispensers for soap for liquid or pasty soap dispensing dosed volume
    • A47K5/1204Dispensers for soap for liquid or pasty soap dispensing dosed volume by means of a rigid dispensing chamber and pistons
    • A47K5/1205Dispensing from the top of the dispenser with a vertical pist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01Piston pu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52Actuation means
    • B05B11/1053Actuation means combined with means, other than pressure, for automatically opening a valve during actuation; combined with means for automatically removing closures or covers from the discharge nozzle during actuation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05Details of containers
    • A45D2200/054Means for supplying liquid to the outlet of the container
    • A45D2200/056Reciprocating pumps, i.e. with variable volume chamber wherein pressure and vacuum are alternately generat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액이 임의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디스펜서에 관한 것으로서, 용액을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 용기와, 상기 용기의 상부에 형성되며 흡입관을 통해 상기 용기 내부에 수용된 용액을 노즐을 통해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펌프와, 상기 펌프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노즐의 토출구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개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용액이 임의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디스펜서{Dispenser to prevent leakage of solution}
본 발명은 용액이 임의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디스펜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원터치로 용액을 배출할 때 토출구를 자동으로 개폐시켜 용액이 임의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디스펜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상, 페이스트상(paste phase) 또는 젤상(gelphase) 등의 용액은 용기에 수용되어 보관, 유통되고 있다.
특히 크림, 로션, 린스, 샴푸, 헤어젤 등과 같이 점성을 가지는 용액은 주로 가압버튼의 누름 작용에 의해 펌핑되는 디스펜서(dispenser)에 수용되어 보관, 유통되고 있다.
디스펜서는 가압식 펌핑 장치로도 불리고 있으며, 사용자가 손으로 가압 버튼을 누르게 되면, 그 가압력에 의해 용기 내부에 수용된 용액이 펌핑되어 노즐을 통해 일정량씩 외부로 토출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디스펜서는 사용이 간편하기 때문에 일상 속에서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으며, 한 번 가압할 때 배출되는 양이 일정하기 때문에 양을 제어하기 위한 용도로도 자주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디스펜서의 경우 가압되어 배출되는 용액 중 일부가 노즐 내부에 잔류하고 있으며, 잔류된 용액은 중력에 의해 서서히 배출되면서 용기 또는 바닥으로 낙하되어 굳거나 노즐 입구에서 용액이 굳어 노즐을 막아버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화장실의 경우 바닥에 낙하된 용액에 의해 바닥이 지저분해지고 미끄러워 낙상사고가 일어나는 문제점도 있었다.
또한 노즐 내부에 잔류되는 용액은 공기와 접촉되어 산화되면서 위생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실용신안 공개번호 제20-2004-0010762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노즐이 용액을 배출할 때는 개방되도록 하고 용액이 배출된 후에는 노즐을 차단하여 용액이 누출되지 않도록 방지할 수 있는 용액이 임의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디스펜서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지레의 원리를 이용하여 적은 힘으로도 노즐의 입구를 개폐할 수 있고, 펌프를 가압할 때만 노즐이 자동으로 개폐되도록 하여 원터치로 사용이 가능한 용액이 임의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디스펜서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존에 사용되는 펌프에 탈부착하여 사용이 가능하여 호환성이 뛰어난 용액이 임의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디스펜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용액이 임의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디스펜서는 용액을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 용기와, 상기 용기의 상부에 형성되며 흡입관을 통해 상기 용기 내부에 수용된 용액을 노즐을 통해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펌프와, 상기 펌프의 상기 노즐에 탈부착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캡과, 상기 캡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노즐의 토출구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개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본 발명의 용액이 임의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디스펜서는 용액을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 용기와, 상기 용기의 상부에 형성되며 흡입관을 통해 상기 용기 내부에 수용된 용액을 노즐을 통해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펌프와, 상기 펌프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노즐의 토출구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개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본 발명의 용액이 임의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디스펜서의 상기 개폐부는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하여 상기 노즐을 하부로 가압하면 상기 토출구를 개방시켜 상기 용액이 배출되도록 하고, 상기 노즐이 가압되지 않으면 상기 토출구를 막아 상기 노즐에 잔류하는 용액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본 발명의 용액이 임의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디스펜서의 상기 개폐부는 상기 토출구의 전면에 형성되며 회동방향에 따라 상기 토출구를 개폐시키는 마개와, L자 형태로 형성되어 길이가 긴 일단은 사용자가 가압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길이가 짧은 타단은 마개를 회동시키며 중단은 상기 일단과 타단이 회동될 수 있도록 축 결합되어 있는 레버와, ㄷ자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레버와 상기 마개를 서로 연결하여 상기 레버의 회동방향에 따라 상기 마개가 회동되도록 연동시키는 연결대와, 상기 레버의 일단 후면에 형성되며 상기 레버가 가압력을 받아 회동되면 압축되고, 가압력이 제거되면 상기 레버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본 발명의 용액이 임의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디스펜서의 상기 레버는 가압력에 의해 일단이 하부 방향으로 회동되면 타단을 통해 상기 마개를 상부 방향으로 회동시켜 상기 토출구가 개방되도록 하고, 가압력이 제거되면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일단이 상부 방향으로 회동되면서 타단을 통해 상기 마개가 상기 토출구를 차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본 발명의 용액이 임의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디스펜서의 상기 개폐부는 상기 마개가 회동될 수 있도록 제1회동축이 형성된 제1회동단과, 상기 레버가 회동될 수 있도록 제2회동축이 형성된 제2회동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본 발명의 용액이 임의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디스펜서의 상기 개폐부는 상기 스프링의 위치가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스프링의 일단과 타단이 접촉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원형의 수용홈 및 고정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본 발명의 용액이 임의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디스펜서의 상기 개폐부는 상기 토출구를 개폐시킬 때 개폐되는 각도가 40~70도 사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본 발명의 용액이 임의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디스펜서의 상기 개폐부는 사용자가 상기 노즐을 가압할 때 함께 가압되어 상기 노즐의 토출구를 개방시켜 상기 용액이 배출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본 발명의 용액이 임의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디스펜서의 상기 개폐부는 가압력을 전달하는 접촉 부위에 실리콘층이 형성되어 있어 물이 묻은 손으로 가압할 때 미끄러지지 않도록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본 발명의 용액이 임의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디스펜서의 상기 펌프는 상기 노즐과 상기 흡입관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노즐이 하강되는 높낮이를 조절하여 상기 용액이 배출되는 양을 제어할 수 있는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본 발명의 용액이 임의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디스펜서의 상기 조절부는 상기 노즐의 하부에 형성되며 일측은 내면으로 파여져 있고 타측은 외면으로 돌출된 고정단과, 상기 고정단의 하부에 형성되어 일측은 외면으로 돌출되고 타측은 내면으로 파여져 있는 조절단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조절단은 상기 고정단으로부터 회전되어 상기 고정단을 승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본 발명의 용액이 임의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디스펜서의 상기 캡은 n자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노즐의 상부에 끼워서 사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개폐부에 탈부착 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외면에는 상기 용기에 저장된 용액 종류를 확인할 수 있도록 색상 또는 점자가 표기 되어 있는 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용액이 임의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디스펜서에 의하면, 노즐이 용액을 배출할 때는 개방되도록 하고 용액이 배출된 후에는 노즐을 차단하여 용액이 누출되지 않도록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용액이 임의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디스펜서에 의하면, 지레의 원리를 이용하여 적은 힘으로도 노즐의 입구를 개폐할 수 있고, 펌프를 가압할 때만 노즐이 자동으로 개폐되도록 하여 원터치로 사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용액이 임의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디스펜서에 의하면, 기존에 사용되는 펌프에 탈부착하여 사용이 가능하여 호환성이 뛰어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용액이 임의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디스펜서의 개폐부가 캡에 형성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용액이 임의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디스펜서를 분해시켜 나타낸 분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용액이 임의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디스펜서가 노즐을 차단시킨 모습을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용액이 임의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디스펜서가 노즐을 개방시킨 모습을 나타낸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용액이 임의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디스펜서의 캡이 장착된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용액이 임의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디스펜서의 조절부가 배출량을 감소시킨 모습을 나타낸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용액이 임의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디스펜서의 조절부가 배출량을 증가시킨 모습을 나타낸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용액이 임의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디스펜서의 개폐부가 노즐에 형성되고 노즐이 용기에 결합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본 발명의 구체적 특징 및 이점들은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발명에 관련된 기능 및 그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용액이 임의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디스펜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원터치로 용액을 배출할 때 토출구를 자동으로 개폐시켜 용액이 임의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디스펜서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용액이 임의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디스펜서의 개폐부(300)가 캡(200)에 형성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용액이 임의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디스펜서를 분해시켜 나타낸 분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용액이 임의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디스펜서는 용액을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 용기(C)와, 용기(C)의 상부에 형성되며 흡입관(120)을 통해 용기(C) 내부에 수용된 용액을 노즐(110)을 통해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펌프(100)와, 펌프(100)의 노즐(110)에 탈부착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캡(200)과, 캡(200)의 상부에 형성되며 노즐(110)의 토출구(111)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개폐부(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개폐부(300)는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하여 노즐(110)을 하부로 가압하면 토출구(111)를 개방시켜 용액이 배출되도록 하고, 노즐(110)이 가압되지 않으면 토출구(111)를 막아 노즐(110)에 잔류하는 용액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개폐부(300)는 토출구(111)의 전면에 형성되며 회동방향에 따라 토출구(111)를 개폐시키는 마개(310)와, L자 형태로 형성되어 길이가 긴 일단은 사용자가 가압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길이가 짧은 타단은 마개(310)를 회동시키며 중단은 일단과 타단이 회동될 수 있도록 축 결합되어 있는 레버(320)와, ㄷ자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레버(320)와 마개(310)를 서로 연결하여 레버(320)의 회동방향에 따라 마개(310)가 회동되도록 연동시키는 연결대(330)와, 레버(320)의 일단 후면에 형성되며 레버(320)가 가압력을 받아 회동되면 압축되고, 가압력이 제거되면 레버(320)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스프링(340)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개폐부(300)는 마개(310)가 회동될 수 있도록 제1회동축(351)이 형성된 제1회동단(350)과, 레버(320)가 회동될 수 있도록 제2회동축(361)이 형성된 제2회동단(36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개폐부(300)는 스프링(340)의 위치가 이탈되지 않도록 스프링(340)의 일단과 타단이 접촉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원형의 수용홈(341) 및 고정홈(342)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용기(C)는 내부가 비어 있고 상부는 펌프(100)에 형성된 흡입관(120)을 삽입할 수 있도록 상부가 개구되어 있으며, 용기(C) 내부에는 용액이 충진되어 저장될 수 있게 된다.
펌프(100)는 용기(C)에 결합되어 있으며 용기(C) 내부에 저장된 용액을 흡입관(120) 및 노즐(110)에 의해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이때 노즐(110)은 사용자가 용기(C) 방면으로 가압하면 하강되면서 흡기관을 통해 용기(C) 내부에 저장된 용액이 노즐(110) 내부로 유입되어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되며, 이를 위해 노즐(110) 내부는 용액이 흐를 수 있는 토출구(111)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흡기관의 중간에는 용기(C)의 상부와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캡(200)은 n자 형태로 이루어져 있어 노즐(110)의 상부에서 하부 방면으로 끼워 장착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상부에는 개폐부(300)가 형성되어 있어 노즐(110)의 토출구(111)를 개폐부(300)를 이용하여 개폐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캡(200)은 노즐(110)로부터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용기(C) 내부의 용액이 모두 소진되면 다른 용기(C)의 펌프(100)에 장착하여 재사용할 수도 있고, 호환성도 뛰어나 다양한 제품에 장착하여 할 수 있게 된다.
캡(200)의 상부에는 개폐부(300)가 형성되어 있는데, 개폐부(300)는 노즐(110)의 토출구(111)를 개폐시켜 노즐(110)에 잔류하는 용액이 노즐(110) 외부로 배출되어 주변이 지저분해지는 것을 방지하고 공기와 접촉되어 산화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용액이 굳지 않도록 하기 위해 사용된다.
개폐부(300)는 크게 마개(310), 레버(320), 연결대(330), 스프링(340)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마개(310)는 일면이 토출구(111)의 전면에 밀착되어 토출구(111)에서 용액이 흘러나오지 않도록 차단하기 위해 사용된다.
여기서 마개(310)의 후면 상단은 외면으로 돌출된 후 구동홀(312)이 형성되게 되는데 구동홀(312)은 캡(200)의 상부 일단에 양측에 형성된 제1회동단(350) 사이에 위치되며, 제1회동단(350)에 형성된 제1회동축(351)에 결합되어 제1회동축(351)을 기준으로 회동될 수 있어 노즐(110)의 토출구(111)와 밀착되어 차단시키거나 이격되어 토출구(111)를 개방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마개(310)의 상단에는 레버(320)와 연동되어 회동되기 위해 연결대(330)가 결합되기 위한 연결홀(311)이 형성되어 있으며, 연결홀(311)은 구동홀(312) 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레버(320)는 L자 형태로 이루어져 있어 사용자가 펌프(100)를 가압할 때 함께 회동되면서 연결대(330)를 통해 연결된 마개(310)를 회동시켜 토출구(111)를 개방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이때 레버(320)는 길이가 긴 일단이 손잡이 형태로 사용자가 가압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길이가 짧은 타단은 연결대(330)를 통해 마개(310)와 연결되어 있으며 레버(320)의 일단과 타단 사이의 각도는 90도로 절곡되어 있다.
또한 레버(320)의 절곡된 부위인 중단에는 회동홀(322)이 형성되어 있으며, 회동홀(322)은 캡(200)의 상부 중단 양측에 형성된 제2회동단(360) 사이에 위치되고 제2회동단(360)에 형성된 제2회동축(361)을 통해 레버(320)의 중단이 제2회동축(361)과 축결합되어 제2회동축(361)을 기준으로 레버(320)가 회동될 수 있게 된다.
레버(320)의 중단이 제2회동축(361)에 축 결합됨에 따라 레버(320)의 일단에 가압력이 발생되어 회동되면 타단이 일단을 따라 회동할 수 있게 되며, 일단의 길이가 길고 타단의 길이가 짧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1종 지레의 원리가 적용되어 작은 힘을 레버(320)의 일단에 가하면 레버(320)의 타단에서 큰 힘이 발생될 수 있게 된다.
즉, 레버(320)의 일단은 힘점, 중단은 받침점, 타단은 작용점이 된다.
또한 레버(320)의 타단에는 연결대(330)가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홀(321)이 형성되어 있으며, 작용점이 크게 발생될 수 있도록 타단 가장자리에 결합홀(321)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대(330)는 ㄷ자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레버(320)와 마개(310)를 서로 연결하여 레버(320)의 회동방향에 따라 마개(310)가 연동되어 회동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일측은 마개(310)의 연결홀(311)에 삽입되고 타측은 레버(320)의 결합홀(321)에 삽입되어 축 결합되게 된다.
스프링(340)은 레버(320)와 캡(200) 사이에 위치되어 레버(320)의 일단이 가압력을 받아 캡(200) 방향으로 회동되면 압축되고, 레버(320)의 일단에 가해진 가압력이 제거되면 탄성력에 의해 복원되면서 레버(320)의 일단을 상부 방향으로 가압하여 회동시키게 된다.
즉, 스프링(340)의 탄성력에 의해 가압력이 제거된 레버(320)는 원위치로 복귀될 수 있게 되며, 레버(320)가 복귀됨에 따라 마개(310)가 회동되면서 노즐(110)의 토출구(111)에 밀착되어 토출구(111)를 차단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스프링(340)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해 캡(200)의 상부에는 내측으로 파여져 스프링(340)의 일단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홈(341)이 형성되고, 레버(320)의 일단 후면에도 내측으로 파여져 스프링(340)의 타단을 수용하기 위한 고정홈(342)(도 5 참조)이 형성되어 있어 스프링(340)이 탄성력에 의해 복원될 때 위치가 이탈되지 않고 탄성력을 레버(320)에 전달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레버(320)를 가압하면 마개(310)가 회동되면서 토출구(111)가 개방되어 용액이 배출될 수 있게 되고, 가압력이 제거되면 스프링(340)의 탄성력에 의해 레버(320)가 원위치로 복귀되면서 마개(310)가 회동되어 토출구(111)를 차단시킬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용액이 임의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디스펜서가 노즐(110)을 차단시킨 모습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용액이 임의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디스펜서가 노즐(110)을 개방시킨 모습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용액이 임의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디스펜서의 레버(320)는 가압력에 의해 일단이 하부 방향으로 회동되면 타단을 통해 마개(310)를 상부 방향으로 회동시켜 토출구(111)가 개방되도록 하고, 가압력이 제거되면 스프링(340)의 탄성력에 의해 일단이 상부 방향으로 회동되면서 타단을 통해 마개(310)가 토출구(111)를 차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개폐부(300)는 사용자가 노즐(110)을 가압할 때 함께 가압되어 노즐(110)의 토출구(111)를 개방시켜 용액이 배출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개폐부(300)는 레버(320)를 가압하는 힘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스프링(340)의 탄성력에 의해 레버(320)의 일단이 상부 방향으로 회동된 상태로 유지되므로 마개(310)가 연결대(330)를 통해 노즐(110)의 토출구(111)에 밀착되면서 토출구(111)를 차단시키게 된다.
즉, 용기(C)에서 용액이 배출되지 않는 일반적인 상태에서는 마개(310)가 항상 토출구(111)에 밀착되어 노즐(110) 내부에 잔류하는 용액이 배출되지 않도록 차단된 상태로 유지되게 된다.
사용자가 용기(C) 내부에 저장된 용액을 배출하기 위해 노즐(110)을 가압하는 경우 캡(200)의 상부에 형성된 레버(320)가 먼저 노즐(110)이 형성된 하부 방향으로 회동하게 되고, 레버(320)가 회동됨에 연결대(330)를 통해 마개(310)가 상부 방향으로 회동되어 노즐(110)의 토출구(111)를 개방시키게 된다.
또한 도 4와 같이 캡(200)의 상부에 완전히 회동되면 가압력이 캡(200)과 노즐(110)로 전달되면서 노즐(110)이 하부 방향으로 하강되어 용기(C) 내부에 저장된 용액이 흡입관(120)을 통해 노출구로 배출될 수 있게 된다.
이후 가압력이 제거되면 노즐(110)은 상부 방향으로 이동되고 이와 동시에 스프링(340)의 탄성력에 의해 레버(320)가 상부 방향으로 회동하게 되고 마개(310)는 노즐(110)의 토출구(111)에 밀착되면서 토출구(111)를 차단시켜 노즐(110) 내부에 잔류하는 용액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레버(320)가 1종 지레로 작용하기 때문에 작은 가압력을 발생하더라도 쉽게 마개(310)를 회동시켜 토출구(111)를 개방시킬 수 있으므로 힘이 약한 노약자도 쉽게 사용이 가능하고 원터치로 동작되므로 누구나 쉽게 익혀 사용할 수 있다.
개폐부(300)는 토출구(111)를 개폐시킬 때 개폐되는 각도가 40~70도 사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개폐부(300)의 마개(310)는 노즐(110)로부터 회동되어 토출구(111)를 개방시키게 되는데, 이때 마개(310)가 회동되는 각도는 40~70도 사이로 형성되게 된다.
이때 개방되는 각도가 40도 미만인 경우 마개(310)가 회동되는 범위가 좁기 때문에 토출구(111)로부터 배출되는 용액 중 일부가 마개(310)에 분사되면서 마개(310)의 표면을 따라 흘러내릴 수 있게 되고, 각도가 70도 이상인 경우 이를 회동시키기 위해 레버(320)가 회동되는 반경이 더 커져야 하므로 초기 레버(320)의 위치가 수직에 가까운 위치가 된다.
즉, 가압력이 전달되는 레버(320)의 일단이 캡(200)으로부터 수직하게 형성되어야 하기 때문에 초기 레버(320)를 가압할 때 사용자가 캡(200)의 상부를 자연스럽게 가압하는 것이 아닌 캡(200)을 먼저 회동시킨 후 가압력을 전달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되게 된다.
이와는 반대로 각도가 낮을수록 레버(320)의 초기 위치는 캡(200)의 수평에 가까운 위치가 되므로 사용자는 노즐(110)을 가압하면서 자연스럽게 레버(320)도 함께 가압되어 마개(310)를 개폐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마개(310)가 회동되는 각도는 40~70도 사이로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범위 내에서 사용자가 레버(320)를 의식하지 않고 노즐(110)을 가압할 때 레버(320)가 함께 회동시킬 수 있게 되며 배출되는 용액도 마개(310)에 접촉되지 않게 된다.
또한 토출구(111)가 형성된 노즐(110)의 전면이 경사져 있는 경우 캡(200)의 전면도 경사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통해 마개(310)가 노즐(110) 전면에 완전히 밀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개폐부(300)는 가압력을 전달하는 접촉 부위에 실리콘층이 형성되어 있어 물이 묻은 손으로 가압할 때 미끄러지지 않도록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디스펜서는 화장품, 욕실용품, 주방용품 등에 자주 사용하게 되는데 욕실용품이나 주방용품의 경우 물이 묻은 상태로 사용되기 때문에 물이 묻은 손으로 개폐부(300)의 레버(320)를 가압할 때 손이 미끄러지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레버(320)는 가압력이 전달되는 부위에 실리콘으로 코팅되어 있어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필요에 따라 레버(320) 표면에 돌기 또는 홈을 형성할 수도 있다.
특히 돌기를 형성하는 경우 시각장애인이 용기(C)에 저장된 용액의 종류를 확인할 수 있도록 점자로 용액 종류를 기재하여 시각장애인이 필요한 용액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도 있다.
또한 캡(200)이나 개폐부(300)에 색상을 가미하여 샴푸, 린스, 바디워시 등의 종류를 쉽게 구분할 수 있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용액이 임의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디스펜서의 캡(200)이 장착된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용액이 임의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디스펜서의 캡(200)은 n자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노즐(110)의 상부에 끼워서 사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캡(200)은 개폐구를 노즐(110)에 장착하기 위하 사용되는 것으로, 다양한 노즐(110)에 장착할 수 있도록 하부면이 개구된 n자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이때 캡(200)의 전면도 함께 개구되어 있는데, 이는 캡(200)이 노즐(110)에 결합되었을 때 노즐(110)의 전면이 외부로 노출시켜 용액이 배출될 수 있도록 하고 마개(310)가 노즐(110)의 토출구(111)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개구되게 된다.
또한 캡(200)의 하부 양측에는 내측을 향해 돌출되는 지지단(210)이 형성되어 있으며, 지지단(210)을 통해 캡(200)의 내부에 노즐(110)이 결합되었을 때 상부 방향으로 노즐(110)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지지단(210)이 형성되는 경우 캡(200)은 노즐(110)의 전면이나 후면에서 슬라이딩시켜 노즐(110)에 결합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용액이 임의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디스펜서의 조절부(400)가 배출량을 감소시킨 모습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용액이 임의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디스펜서의 조절부(400)가 배출량을 증가시킨 모습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용액이 임의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디스펜서의 펌프(100)는 노즐(110)과 흡입관(120) 사이에 형성되어 노즐(110)이 하강되는 높낮이를 조절하여 용액이 배출되는 양을 제어할 수 있는 조절부(4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조절부(400)는 노즐(110)의 하부에 형성되며 일측은 내면으로 파여져 있고 타측은 외면으로 돌출된 고정단(410)과, 고정단(410)의 하부에 형성되어 일측은 외면으로 돌출되고 타측은 내면으로 파여져 있는 조절단(420)으로 이루어지며, 조절단(420)은 고정단(410)으로부터 회전되어 고정단(410)을 승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조절부(400)는 노즐(110)이 하강되는 높낮이를 제어하여 배출되는 용액의 양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노즐(110) 하부에 형성된 조절단(420)과 고정단(410)에 의해 승강되는 높낮이가 조절될 수 있게 된다.
일반적으로 노즐(110)은 승강되는 위치가 일정하기 때문에 용액이 항상 일정하게 배출되게 되는데, 적은 양이 필요한 경우 노즐(110)이 조금만 하강되도록 힘을 조절해야 되고, 많은 양이 필요한 경우 여러 번 가압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조절부(400)에 형성된 조절단(420)과 고정단(410)을 통해 노즐(110)이 승강되는 높낮이를 제어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고정단(410)은 노즐(110)의 하부에 고정된 상태로 형성되고, 조절단(420)은 회전을 통해 고정단(410)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때 고정단(410)은 일측이 내면으로 파여지고, 타측은 외면으로 돌출되며 중앙은 경사면이 형성되고 있고, 조절단(420)은 일측이 외면으로 돌출되고 타측은 내면으로 파여져 있으며 중앙은 경사면이 형성되게 된다.
도 6과 같이 고정단(410)의 일측과 조절단(420)의 일측이 서로 동일한 위치에 존재하게 되면 노즐(110)이 하강되는 높이가 낮게 형성되게 되고, 도 7과 같이 조절단(420)을 회전시켜 조절단(420)의 일측이 고정단(410)의 타측방향에 위치되면 노즐(110)의 상부 방향으로 이동되게 된다.
즉, 도 7과 같이 노즐(110)의 높이가 상승됨에 따라 하강되는 길이가 길어져 용기(C) 내부에 저장된 용액을 더 많이 배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고정단(410)과 조절단(420)을 나사산으로 결합시켜 나사산을 따라 조절단(420)을 회전시키고 나사산의 수만큼 조절단(420)과 고정단(410)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방식도 가능하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용액이 임의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디스펜서의 개폐부(300)가 노즐(110)에 형성되고 노즐(110)이 용기(C)에 결합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용액이 임의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디스펜서는 용액을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 용기(C)와, 용기(C)의 상부에 형성되며 흡입관(120)을 통해 용기(C) 내부에 수용된 용액을 노즐(110)을 통해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펌프(100)와, 펌프(100)의 상부에 형성되며 노즐(110)의 토출구(111)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개폐부(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개폐부(300)에 탈부착 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외면에는 용기(C)에 저장된 용액 종류를 확인할 수 있도록 색상 또는 점자(371)가 표기 되어 있는 커버(37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개폐부(300)는 도 1에 형성된 캡(200)에 형성되지 않고 펌프(100)에 형성된 노즐(110) 상부에 형성되어 노즐(110)의 토출구(111)를 개폐시킬 수 있게 된다.
개폐부(300)가 형성된 노즐(110)은 용기(C)로부터 탈부착 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호환성과 관계없이 용기(C)에 형성된 기존 노즐(110)을 제거한 후 개폐부(300)가 형성된 노즐(110)을 용기(C)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즉, 개폐부(300)가 형성된 노즐(110)을 교체하는 것만으로 노즐(110)에서 용액이 중력에 의해 노즐(110)로부터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개폐부(300)에 형성된 구조는 도 2에 형성된 구조 및 동작원리는 서로 동일하며 개폐부(300)가 형성되는 위치만 노즐(110)의 상부로 한정되므로 개폐부(300)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개폐부(300)에 형성된 레버(320)에는 탈부착이 가능한 커버(370)가 형성되어 있으며, 커버(370)의 외면에는 색상이 가미되어 있어 눈으로 쉽게 구별이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사용자가 용기(C)에 저장된 용액이 샴푸, 린스, 바디워시 중 어느 것인지 커버(370)에 형성된 색상을 통해 시각적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되며, 이를 통해 개폐부(300)가 형성된 노즐(110)이 장착된 용기(C)의 종류를 쉽게 구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시각장애인의 경우 커버(370)의 색상으로 구분이 어렵기 때문에 커버(370)의 외면에는 시각장애인이 확인할 수 있도록 점자(371)가 형성되어 있으며, 하나의 커버(370)에는 용액 명칭 하나만 점자(371)로 기재되어 있다.
이때 커버(370)는 레버(320)로부터 탈부착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용기(C)에 다른 용액을 저장하는 경우 해당 용액이 점자(371)로 기재된 커버(370)를 레버(320)에 장착하여 구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필요에 따라 점자(371)와 색상을 모두 사용하여 시각장애인과 일반인이 같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커버(370)는 도 1의 구조에도 적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용액이 임의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디스펜서에 의하면, 노즐이 용액을 배출할 때는 개방되도록 하고 용액이 배출된 후에는 노즐을 차단하여 용액이 누출되지 않도록 방지할 수 있으며, 지레의 원리를 이용하여 적은 힘으로도 노즐의 입구를 개폐할 수 있고, 펌프를 가압할 때만 노즐이 자동으로 개폐되도록 하여 원터치로 사용이 가능하고, 기존에 사용되는 펌프에 탈부착하여 사용이 가능하여 호환성이 뛰어난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의 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야 한다.
C : 용기 100 : 펌프
110 : 노즐 111 : 토출구
120 : 흡입관 200 : 캡
210 : 지지단 300 : 개폐부
310 : 마개 311 : 연결홀
312 : 구동홀 320 : 레버
321 : 결합홀 322 : 회동홀
330 : 연결대 340 : 스프링
341 : 수용홈 342 : 고정홈
350 : 제1회동단 351 : 제1회동축
360 : 제2회동단 361 : 제2회동축
370 : 커버 371 : 점자
400 : 조절부 410 : 고정단
420 : 조절단

Claims (14)

  1. 용액을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 용기와;
    상기 용기의 상부에 형성되며 흡입관을 통해 상기 용기 내부에 수용된 용액을 노즐을 통해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펌프와;
    상기 펌프의 상기 노즐에 탈부착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캡과;
    상기 캡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노즐의 토출구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개폐부;를 포함하며,
    상기 개폐부는
    상기 토출구의 전면에 형성되며 회동방향에 따라 상기 토출구를 개폐시키는 마개와;
    L자 형태로 형성되어 길이가 긴 일단은 사용자가 가압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길이가 짧은 타단은 마개를 회동시키며 중단은 상기 일단과 타단이 회동될 수 있도록 축 결합되어 있는 레버와;
    ㄷ자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레버의 타단과 상기 마개의 상단을 서로 연결하여 상기 레버의 회동방향에 따라 상기 마개가 회동되도록 연동시키는 연결대와;
    상기 레버의 일단 후면에 형성되며 상기 레버가 가압력을 받아 회동되면 압축되고, 가압력이 제거되면 상기 레버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스프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개폐부는
    상기 마개가 회동될 수 있도록 제1회동축이 형성된 제1회동단과;
    상기 레버가 회동될 수 있도록 제2회동축이 형성된 제2회동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마개는 후면 상단이 돌출된 후 상기 제1회동축에 결합될 수 있도록 구동홀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제1회동축에 결합되어 제1회동축을 기준으로 회동될 수 있고,
    상기 레버는 중단에 회동홀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제2회동축에 결합되어 상기 제2회동축을 기준으로 상기 레버가 회동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마개는 상기 제1회동축을 기준으로 상기 레버에 의해 상기 노즐로부터 40~70도 사이로 회동되어 상기 토출구를 개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이 임의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디스펜서.
  2. 용액을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 용기와;
    상기 용기의 상부에 형성되며 흡입관을 통해 상기 용기 내부에 수용된 용액을 노즐을 통해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펌프와;
    상기 펌프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노즐의 토출구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개폐부;를 포함하며,
    상기 개폐부는
    상기 토출구의 전면에 형성되며 회동방향에 따라 상기 토출구를 개폐시키는 마개와;
    L자 형태로 형성되어 길이가 긴 일단은 사용자가 가압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길이가 짧은 타단은 마개를 회동시키며 중단은 상기 일단과 타단이 회동될 수 있도록 축 결합되어 있는 레버와;
    ㄷ자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레버의 타단과 상기 마개의 상단을 서로 연결하여 상기 레버의 회동방향에 따라 상기 마개가 회동되도록 연동시키는 연결대와;
    상기 레버의 일단 후면에 형성되며 상기 레버가 가압력을 받아 회동되면 압축되고, 가압력이 제거되면 상기 레버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스프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개폐부는
    상기 마개가 회동될 수 있도록 제1회동축이 형성된 제1회동단과;
    상기 레버가 회동될 수 있도록 제2회동축이 형성된 제2회동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마개는 후면 상단이 돌출된 후 상기 제1회동축에 결합될 수 있도록 구동홀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제1회동축에 결합되어 제1회동축을 기준으로 회동될 수 있고,
    상기 레버는 중단에 회동홀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제2회동축에 결합되어 상기 제2회동축을 기준으로 상기 레버가 회동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마개는 상기 레버에 의해 상기 노즐로부터 40~70도 사이로 회동되어 상기 토출구를 개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이 임의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디스펜서.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는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하여 상기 노즐을 하부로 가압하면 상기 토출구를 개방시켜 상기 용액이 배출되도록 하고, 상기 노즐이 가압되지 않으면 상기 토출구를 막아 상기 노즐에 잔류하는 용액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이 임의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디스펜서.
  4. 삭제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는 가압력에 의해 일단이 하부 방향으로 회동되면 타단을 통해 상기 마개를 상부 방향으로 회동시켜 상기 토출구가 개방되도록 하고, 가압력이 제거되면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일단이 상부 방향으로 회동되면서 타단을 통해 상기 마개가 상기 토출구를 차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이 임의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디스펜서.
  6. 삭제
  7.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는
    상기 스프링의 위치가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스프링의 일단과 타단이 접촉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원형의 수용홈; 및 고정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이 임의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디스펜서.
  8. 삭제
  9.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는 사용자가 상기 노즐을 가압할 때 함께 가압되어 상기 노즐의 토출구를 개방시켜 상기 용액이 배출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이 임의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디스펜서.
  10.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는 가압력을 전달하는 접촉 부위에 실리콘층이 형성되어 있어 물이 묻은 손으로 가압할 때 미끄러지지 않도록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이 임의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디스펜서.
  11.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는 상기 노즐과 상기 흡입관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노즐이 하강되는 높낮이를 조절하여 상기 용액이 배출되는 양을 제어할 수 있는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이 임의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디스펜서.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는
    상기 노즐의 하부에 형성되며 일측은 내면으로 파여져 있고 타측은 외면으로 돌출된 고정단과;
    상기 고정단의 하부에 형성되어 일측은 외면으로 돌출되고 타측은 내면으로 파여져 있는 조절단;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조절단은 상기 고정단으로부터 회전되어 상기 고정단을 승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이 임의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디스펜서.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캡은 n자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노즐의 상부에 끼워서 사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이 임의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디스펜서.
  1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에 탈부착 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외면에는 상기 용기에 저장된 용액 종류를 확인할 수 있도록 색상 또는 점자가 표기 되어 있는 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이 임의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디스펜서.
KR1020210094793A 2021-07-20 2021-07-20 용액이 임의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디스펜서 KR1026456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4793A KR102645671B1 (ko) 2021-07-20 2021-07-20 용액이 임의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디스펜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4793A KR102645671B1 (ko) 2021-07-20 2021-07-20 용액이 임의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디스펜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3834A KR20230013834A (ko) 2023-01-27
KR102645671B1 true KR102645671B1 (ko) 2024-03-11

Family

ID=851017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4793A KR102645671B1 (ko) 2021-07-20 2021-07-20 용액이 임의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디스펜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567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46726A (ja) * 2003-07-29 2005-02-24 Yoshino Kogyosho Co Ltd トリガー式液体噴出器
KR102115028B1 (ko) * 2019-11-30 2020-05-25 (주)누리팩 용액 조절 펌프 배출 캡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5534A (ko) * 2011-07-06 2013-01-16 조아라 펌핑 장치
KR20200086124A (ko) * 2019-01-08 2020-07-16 주식회사 종우실업 도포부가 구비되어 있는 노즐을 포함하고 있는 디스펜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46726A (ja) * 2003-07-29 2005-02-24 Yoshino Kogyosho Co Ltd トリガー式液体噴出器
KR102115028B1 (ko) * 2019-11-30 2020-05-25 (주)누리팩 용액 조절 펌프 배출 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3834A (ko) 2023-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19528B1 (en) Dispensing device
AU768226B2 (en) Compact fluid pump
AU2001268841B2 (en) Pump for dispensing flowable material
AU2002343237B2 (en) Foam dispenser, housing and storage holder therefor
US5464125A (en) Dispensing apparatus having a pump tube
EP2582467B1 (en) Foam pump
EP3431439A1 (en) Dispenser and refill unit
EP3411299B1 (en) Dispensing systems
JPH0364122B2 (ko)
BR112012000397B1 (pt) Atuador de dispensação para um recipiente que tem uma válvula de dispensação para dispensar um produto fluente
BR112014032939B1 (pt) Cabeçote dispensador, dispositivo dispensador e uso de um cabeçote dispensador
US8827116B1 (en) Disposable fluid dispenser
CA2469753A1 (en) Dispenser
KR102645671B1 (ko) 용액이 임의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디스펜서
KR100811777B1 (ko) 접이식 노즐이 구비된 펌핑 장치
CA2270175C (en) Dosing dispenser for liquid soap or the like
CN221558733U (zh) 一种流体分配装置
KR200187881Y1 (ko) 화장용 액제 디스펜서
CN109701814A (zh) 一种适用于按压式双组份配胶机的泵出装置
TH3269A3 (th) อุปกรณ์จ่ายของเหลวในถังกักเก็บน้ำของโถส้วมสุขภัณฑ์
TH3269C3 (th) อุปกรณ์จ่ายของเหลวในถังกักเก็บน้ำของโถส้วมสุขภัณ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