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4712B1 - 완구 탈부착형 피스톤 물총완구 - Google Patents

완구 탈부착형 피스톤 물총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4712B1
KR102644712B1 KR1020210087419A KR20210087419A KR102644712B1 KR 102644712 B1 KR102644712 B1 KR 102644712B1 KR 1020210087419 A KR1020210087419 A KR 1020210087419A KR 20210087419 A KR20210087419 A KR 20210087419A KR 102644712 B1 KR102644712 B1 KR 1026447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water
gripping element
toy
water gu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74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06332A (ko
Inventor
박보경
Original Assignee
박보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보경 filed Critical 박보경
Priority to KR10202100874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4712B1/ko
Publication of KR202300063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63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47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47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18Throwing or slinging toys, e.g. flying disc toy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5/00Musical or noise- producing devices for additional toy effects other than acoustic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BWEAPONS FOR PROJECTING MISSILES WITHOUT USE OF EXPLOSIVE OR COMBUSTIBLE PROPELLANT CHARGE; WEAP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41B9/00Liquid ejecting guns, e.g. water pistols, devices ejecting electrically charged liquid jets, devices ejecting liquid jets by explosive press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압축 분사를 위한 손잡이를 완구로 활용하여 쉽게 파지한 상태로 분사가 용이하도록 하면서도 이를 분리하여 별도의 완구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완구 탈부착형 피스톤 물총완구에 관한 것으로, 물이담겨질 수 있도록 중공된 실린더를 구비하는 물총본체와 실린더 내부를 압축하여 물을 분사할 수 있도록 피스톤을 구비하는 밀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물총본체는 실린더의 전방에 물을 분사하기 위한 분사구가 형성되어 밀대의 후방에 형성된 손잡이를 이용하여 피스톤을 흡입하고 압축하는 과정을 통하여 물을 분사할 수 있게 되는 펌프 방식의 물총완구에 있어서, 밀대는 손잡이에 유아나 어린이가 피스톤 왕복동작시 손가락을 걸어서 밀대 조작이 가능하도록 손잡이의 크기를 확장하는 파지요소를 장착하고, 파지요소는 손잡이와의 탈부착 조립을 위한 체결부를 형성하되 손잡이와 체결부가 암,수 구조로 서로 맞물리게 조립하며, 파지요소를 독립적인 완구의 형태를 갖도록 형성하여 물총 손잡이로 사용하거나 이를 분리하여 별도의 완구로도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손잡이와 체결부에 각각 끼움돌부와 소켓을 형성하고, 회전방식에 의한 잠금구조로 조립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펌프 작동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며, 파지요소를 중공구조로 형성하여 식품 등을 담아서 손잡이를 마개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힘이 약한 아이들도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그 손잡이를 분리식으로 구성하여 하나의 장난감으로 다양한 놀이를 겸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완구 탈부착형 피스톤 물총완구{Plunger-Style Water Gun}
본 발명은 유아나 어린이들이 주로 사용하는 피스톤 물총완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압축 분사를 위한 손잡이를 완구로 활용하여 쉽게 파지한 상태로 분사가 용이하도록 하면서도 이를 분리하여 별도의 완구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완구 탈부착형 피스톤 물총완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총은 유아나 어린이가 물놀이를 할 때 사용하는 것으로서, 물총 내부에 물을 저장한 후 압축하여 누름으로써 저장된 물을 분사시키는 구조로 되어 있다.
물총은 총 형태로 이루어지거나 물을 담기 위한 저장통을 분리식으로 구성하여 물을 쉽게 리필할 수 있도록 하는 등 다양한 물총이 제안된 바 있으나, 사용방법이 조금이라도 복잡한 경우 연령이 어린 유아의 경우에는 혼자서 물을 교체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대부분 실린더 형태의 펌프형 물총을 사용한다.
펌프형 구조의 물총은 물이 저장되는 실린더의 한쪽에 피스톤을 장착하고, 반대쪽에는 물이 나오도록 작게 구멍을 뚫어서 피스톤을 사용하여 압력 방식으로 분사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사용방식이 피스톤을 왕복하여 물을 흡입하고 분사하는 매우 직관적인 방식이기 때문에 다른 물총에 비해 발사방법이 매우 간단하고 펌프질이 곧 발사이기 때문에 발사까지 대기시간도 거의 없기 때문에 연령이 어린 유아들에게 선호된다.
그러나 펌프식 물총은 사용방법이 직관적이라는 장점에 반하여, 힘이 약한 유아의 경우에는 펌프작동을 어려워할 수 있는데, 특히 종래의 피스톤 방식은 피스톤이 사출성형에 의한 방식으로 제작되는 특성상 손잡이 크기가 너무 작기 때문에 안정적으로 잡기 어렵고 사용이 매우 불편하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왕복 작동하는 피스톤의 축선이 조금이라도 틀어지거나 힘이 과도하게 작용될 경우 피스톤이 손상되거나 파손되는 등의 문제가 있고, 장기간 반복 사용시 누수가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있다.
그리고 피스톤이 왕복 작동하는 단순한 구조이기 때문에 유아의 성향에 따라서는 쉽게 흥미나 재미를 잃어버리는 경우도 많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피스톤 방식의 물총완구의 손잡이를 안정적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피스톤 왕복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힘이 약한 아이들도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그 손잡이를 분리식으로 구성하여 하나의 장난감으로 다양한 놀이를 겸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서의 본 발명은, 물이담겨질 수 있도록 중공된 실린더를 구비하는 물총본체와 실린더 내부를 압축하여 물을 분사할 수 있도록 피스톤을 구비하는 밀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물총본체는 실린더의 전방에 물을 분사하기 위한 분사구가 형성되어 밀대의 후방에 형성된 손잡이를 이용하여 피스톤을 흡입하고 압축하는 과정을 통하여 물을 분사할 수 있게 되는 펌프 방식의 물총완구에 있어서, 밀대는 손잡이에 유아나 어린이가 피스톤 왕복동작시 손가락을 걸어서 밀대 조작이 가능하도록 손잡이의 크기를 확장하는 파지요소를 장착하고, 파지요소는 손잡이와의 탈부착 조립을 위한 체결부를 형성하되 손잡이와 체결부가 암,수 구조로 서로 맞물리게 조립하며, 파지요소를 독립적인 완구의 형태를 갖도록 형성하여 물총 손잡이로 사용하거나 이를 분리하여 별도의 완구로도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손잡이와 체결부에 각각 끼움돌부와 소켓을 형성하고, 회전방식에 의한 잠금구조로 조립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펌프 작동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파지요소를 중공구조로 형성하여 식품 등을 담아서 손잡이를 마개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완구탈부착형 피스톤 물총완구에 의하면, 피스톤 방식의 물총완구를 사용법이 미숙한 유아나 어린이도 쉽게 파지하여 안정적으로 작동할 수 있고, 유아체형에 맞는 손잡이를 교체하여 끼워서 사용할 수 있으므로 더욱 편리한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물총완구는 물론, 탈부착 구조에 의하여 별도의 완구를 제공하게 되므로 다양한 놀이가 가능하며, 밀대에 장착되는 파지요소를 다양한 완구의 옵션상품이나 세트구성으로 제공하고, 그러한 파지요소의 내부에 사탕 등의 간식을 보관하고, 음향효과나 저금통 등으로 매우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으므로 유아나 어린이의 흥미를 더욱 유발시키고 재미를 배가시키며 매우 실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간단한 구조로 제작이 가능하고, 파지요소의 형태를 유아나 어린이에게 친숙한 디자인으로 제작하여 광고, 홍보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매우 다양한 판촉 영업이 가능하므로 경제적인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물총완구의 외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물총완구의 분해 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밀대와 파지요소가 조립되는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파지요소의 장착구조를 나타낸 상세도
도 6은 도 5의 조립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파지요소를 활용한 사용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체결부의 다른 실시 예
도 9는 본 발명의 파지요소의 다른 실시 예
도 10은 본 발명의 손잡이와 체결부의 다른 실시 예에 따는 체결구조도
도 11은 도 10의 손잡이와 체결부가 체결되는 상태도
도 12는 본 발명의 밀대에 음향구가 장착된 상태도
도 13은 본 발명의 파지요소의 다른 실시 예
도 14는 본 발명의 분사구의 장착구조도
도 15은 도 14의 장착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16은 도 14의 분사캡을 이용한 분사홀의 개방구조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피스톤의 왕복 작동에 의하여 펌프 방식으로 물을 분사하는 피스톤 물총완구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이 담겨지는 물총본체(100)가 구비되고, 물총본체(100)에 밀대(200)가 장착되어 밀대의 왕복 작동에 의하여 펌프 방식으로 물을 흡입한 후 분사하는 구조로 물총놀이를 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으로, 밀대 손잡이에 힘이 약한 유아나 어린이가 손잡이를 안정적으로 파지할 수 있는 착탈구조의 파지요소(300)를 형성하여 펌프 작동을 쉽게 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다양한 놀이가 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그 구조를 더욱 상세히 살펴보면, 먼저, 물총본체(100)는 물이 담겨질 수 있도록 중공구조의 실린더(120)를 구비하고, 물총본체(100)의 전방에는 물을 분사하기 위한 분사구(140)가 형성되며, 이때 상기 실린더(120)는 실린더에 충진되어 있는 물의 담수량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이나 반투명 소재의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밀대(200)는 물총본체(100)의 실린더(120)에 삽입되어 실린더 내부를 압축하기 위하여 전방에 피스톤(220)이 장착되고, 밀대(200)의 후방에는 밀대(200)를 조작하기 위한 손잡이(240)가 구비되는 것으로, 손잡이(240)에는 유아나 어린이가 피스톤 왕복동작시 손가락을 걸어서 밀대 조작이 가능하도록 손잡이(240)의 크기를 확장하는 파지요소(300)가 형성되어 사용자가 파지요소(300)를 잡은 상태에서 밀대(200)를 당기거나 밀어서 피스톤(220)으로 흡입, 압축하는 과정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흡입에 의하여 물을 실린더(120) 내에 채워 넣은 후, 압축에 의하여 실린더(120) 내부의 물을 외부로 분사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파지요소(300)는 손잡이(240)에 탈착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지며, 파지요소(300)를 독립적인 완구의 형태를 갖도록 형성하면 물총에 다양한 캐릭터 디자인을 구현할 수 있음은 물론, 물총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파지요소(300)만을 손잡이(240)로부터 분리하여 별도의 완구나 피규어 등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즉, 파지요소(300)는 물총완구의 주 소비층인 유아나 아동이 선호하는 형태인 동물형상이나, 캐릭터, 인형 등 다양한 형태로 제공할 수 있으며, 물총완구를 사용할 경우에만 파지요소(300)를 손잡이(240)에 장착하여 사용한 후, 물총놀이가 끝나면 파지요소(300)만을 분리하여 별도의 놀이를 하거나 피규어로 사용하는 등 다양하게 활용이 가능하다.
그리고 파지요소(300)의 탈부착 조립구조를 위하여 상기 파지요소(300)에는 손잡이(240)와의 탈부착 조립을 위한 체결부(340)가 형성되는 것으로, 손잡이(240)와 체결부(340)는 암,수구조로 서로 맞물리게 조립되게 함으로써 조립, 분리가 간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손잡이(240)에는 끼움돌부(242)를 형성하고, 상기 체결부(340)에는 체결을 위하여 타공된 소켓(342)을 형성하고, 끼움돌부(242)와 소켓(342)에는 펌프 방식에 의한 밀대(200)의 축 방향 왕복 작동시 손잡이(240)로부터 파지요소(300)가 임의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회전방식에 의한 잠금 구조로 서로 맞물려 고정되게 할 수 있다.
일 예로, 끼움돌부(242)의 외주연과 소켓(342)의 내주연에 서로 대응하게 나선부를 형성하여 나사방식으로 조립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렇게 회전 방식의 잠금 구조로 조립되게 함으로써 밀대(200)를 축 방향으로 왕복 작동할 때 파지요소(300)가 손잡이(240)로부터 임의로 분리되거나 빠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반복 작동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끼움돌부(242)와 소켓(342)은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시켜서 잠금 또는 잠금해제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것으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지요소(300)가 중공의 형태로 이루어지고 끼움돌부(242)에는 소켓(342)에 삽입된 후 회전시키면 소켓(342)의 내면에 걸림 고정될 수 있도록 기둥부(242a)의 선단에 락킹편(242b)이 형성되어 끼움돌부(242)가 소켓(342)에 체결된 상태에서 소켓(342)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락킹편(242b)은 소켓(342)을 관통하여 삽입된 상태에서 피스톤 왕복에 의하여 펌프작동할 때 락킹편(242b)에 집중되는 하중에 대하여 보강이 이루어지도록 보강편(242c)이 형성될 수 있으며, 락킹편(242b)이 변형되지 않고 손잡이(240)와 체결부(340)가 유격이 없이 긴밀하게 결합된 상태에서 왕복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끼움돌부(242)는 기둥부(242a)를 원형의 기둥으로 형성하되 그 일측변 또는 양측변을 수직면으로 형성하여 기둥부(242a)의 외경을 편심구조의 원형으로 형성하고, 상기 소켓(342)은 이에 대응하게 편심구조로 형성한 후 그 내경에 기둥부(242a)의 라운드진 외경이 맞물려 고정될 수 있도록 요입부(342a)를 형성하면 파지요소(300)를 회전시켜 손잡이(240)에 체결할 때 기둥부(242a)의 라운드진 외경이 요입부(342a)에 맞물려 잠금이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파지요소(300)를 회전시켜 손잡이(240)에 체결할 때 설정된 각도에서 임시 고정이 이루어지게 되며, 파지요소(300)가 임의로 회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파지요소(300)를 손잡이(240)에 끼워 회전시킬 때 파지요소(300)의 회전반경을 제한하기 위하여 스토퍼(34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344)는 파지요소(300)가 과도하게 회동되는 것을 방지하고 설정된 범위 내에서만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기둥부(242a)가 요입부(342a)에 정위치 걸림 고정이 이루어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소켓(342)의 내측에 락킹편(242b)의 회동반경을 제한하도록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소켓(342)의 내경과 락킹편(242b)의 외경을 대응되게 형성하면서 좌,우 대칭이 이루어지도록 형성하면 파지요소(300)를 끼우는 방향에 관계없이 조립이 가능하게 되므로 매우 간편하게 탈부착될 수 있는데, 상기 스토퍼(344)에 의하여 락킹편(242b)이 소켓(342)에 삽입된 상태에서 일방향으로만 회전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잠금 또는 잠금해제를 위한 회동방향까지 설정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물총놀이를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파지요소(300)를 손잡이(240)에 간편하게 장착하여 유아나 어린이가 더욱 쉽게 파지한 상태에서 적은 힘을 들여서 피스톤 동작을 수행할 수 있게 되고, 필요에 따라서 파지요소(300)만을 분리하여 또다른 놀이수단으로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파지요소(300)를 중공된 구조로 형성하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지요소(300)의 내부에 유아나 어린이들이 선호하는 사탕이나 응고상태의 간식 등을 넣어서 보관할 수 있다.
즉, 소켓(342)을 주입구로 활용하여 내용물을 담을 수 있도록 하고, 손잡이(240)를 마개로 활용하여 주입구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또 다른 놀이수단으로도 활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손잡이(240)는 원형의 판상 구조로 이루어지되, 파지요소(300)에는 손잡이(240)의 형상에 대응하게 원형의 내입부(320)를 형성하면, 손잡이(240)와 파지요소(300)가 결합된 상태에서 일체감을 더 높일 수 있음은 물론, 파지요소(300)에 내용물을 담을 경우에도 긴밀히 밀폐가 이루어짐으로써 식품 등을 담을 경우 밀봉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손잡이(240)와 체결부(340)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1은 그 체결구조를 나타낸 도면으로, 상기 손잡이(240)는 판상구조의 덮개판(244)을 형성하고 그 덮개판의 둘레를 따라서 복수의 끼움부(246)를 형성하고, 상기 체결부(340)는 소켓(342)의 크기를 끼움부(246)의 간격에 대응하는 직경으로 넓게 형성되게 함으로써 식품 등을 담거나 인출할 때 쉽게 삽입, 인출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덮개판(244)의 둘레에 끼움부(246)를 형성함으로써 덮개판(244)의 중앙에는 돌출된 구조의 음향구(260)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음향구(260)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 형태의 취구(吹口, 262)가 돌출 형성되도록 하고, 그 취구(262)에 유아나 어린이의 완구에 사용되어 음향효과를 발생시키는 리드(reed,264)를 삽입하여 음향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된다.
이때, 덮개판(244)의 타측으로는 소리구멍이 타공되어 음향을 발생시키며, 그 소리구멍에 리드의 선단이 후크 방식으로 걸림 고정되게 하여 취구측에서 리드를 간단하게 조립할 수 있다.
또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공의 파지요소(300)의 일단에는 동전 주입이 가능하도록 슬릿홀(360)을 형성하여 파지요소(300)를 저금통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덮개판(244)의 둘레측에 끼움부를 형성하여 체결부(340)의 소켓(342) 직경을 충분히 확보하도록 함으로써 동전을 인출할 수 있는 크기로 직경을 확보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체결부(340)에는 별도의 마감캡(380)을 장착하여 파지요소(300)를 단독으로 저금통으로도 활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캡(380)은 손잡이(240)의 덮개판(244)과 끼움돌부(242) 또는 덮개판(244)과 끼움부(246) 구조와 동일하게 형성함으로써 호환 사용이 가능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물총본체(100)의 전방에 형성된 분사구(140)는 도 14 내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사되는 물줄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분리형으로 구성될 수 있는 것으로, 실린더(120)에 장착되는 접속구(142)와, 그 접속구(142)에 조립되는 노즐캡(144)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접속구(142)의 후방에는 실린더(120)가 구비되는 것으로, 실린더(120)와 접속구(142)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일체로 형성할 경우 성형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바람직하게는 접속구를 실린더와 분리구성한 후 실린더의 정위치 장착을 위하여 접속구(142)의 후방에 실린더의 내경에 대응하게 돌출된 벽체를 형성하여 접착수단을 이용하여 접착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접속구(142)의 전방에는 노즐캡(144)이 장착되는 것으로, 노즐캡(144)에는 분사홀(145)이 형성되어 실린더 내부로 물을 흡입하거나, 실린더 내부에 저장된 물을 외부로 배출, 분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접속구(142)에는 개구홀(143)이 형성되어 유로가 연통되게 함으로써 물을 흡입, 배출시키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노즐캡(144)은 접속구(142)에 축 결합되되, 상기 분사홀(145)은 노즐캡(144)에 크기를 달리하는 복수의 분사홀(145)이 형성되어 노즐캡(144)을 회전시켜 물줄기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때, 분사홀(145)은 직경이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된 제1분사홀(145a)과, 직경이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된 제2분사홀(145b)을 형성하여 선택적 분사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것으로, 제2분사홀(145b)은 노즐캡(144)의 둘레를 따라서 복수로 구성되도록 하여 방사상으로 여러 개의 물줄기를 동시에 분사할 수 있다.
따라서 노즐캡(144)이 이중 분사구조로 이루어지므로 제1분사홀(145a)을 선택하여 하나의 굵은 물줄기로 분사하거나, 제2분사홀(145b)을 선택하여 여러 개의 얇은 물줄기로 분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속구(142)와 노즐캡(144)의 사이에 탄성소재의 실링요소(146)를 장착하고, 실링요소(146)의 양면에는 각각 개구홀(143)과 분사홀(145)이 밀착되게 하면, 실린더(120)에 물이 담긴 상태에서 수밀기능을 제공하므로 펌프 동작에 의한 물 분사시 누수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노즐캡(144)을 돌려서 분사홀(145)을 통하여 개방되는 유로를 차단하면 실린더(120)에 보관되는 물이 새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실링요소(146)에는 개구홀(143)과 분사홀(145)이 일치될 때 물의 흡입, 배출이 가능하도록 타공홀(147)이 형성될 수 있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제1분사홀(145a)의 위치 및 크기에 대응하게 타공홀(147)을 형성하여 굵은 물줄기로 분사하는 경우에만 유로가 완전히 개방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제1분사홀이 차단된 상태에서는 접속구(142)와 노즐캡(144)의 이격된 틈새를 통하여 또는 실링요소(146)에 미세하게 복수의 기공을 형성하여 고압력이 작용하는 경우에만 유로가 연통되게 함으로써 제2분사홀(145b)을 통한 흡입 또는 분사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노즐캡(144)을 돌려 회전시키는 간단한 작동에 의하여 물줄기를 서로 다르게 하는 선택적 분사기능을 제공하게 되므로 유아나 어린이의 흥미를 더욱 유발하고 다양한 놀이가 가능하다.
100: 물총본체
120: 실린더
140: 분사구
142: 접속구 143: 개구홀
144: 노즐캡 145: 분사홀
146: 실링요소 147: 타공홀
200: 밀대
220: 피스톤
240: 손잡이 242: 끼움돌부 242a: 기둥부
242b: 락킹편 242c: 보강편
300: 파지요소
320: 내입부
340: 체결부 342: 소켓 342a: 요입부
344: 스토퍼

Claims (7)

  1. 물이 담겨질 수 있도록 중공된 실린더(120)를 구비하는 물총본체(100)와 실린더 내부를 압축하여 물을 분사할 수 있도록 피스톤(220)을 구비하는 밀대(200) 그리고, 상기 물총본체(100)는 실린더(120)의 전방에 물을 분사하기 위한 분사구(140)와 상기 밀대(200)의 후방에 형성된 손잡이(240)를 이용하여 피스톤(220)을 흡입하고 압축하는 과정을 통하여 물을 분사할 수 있게 되는 밀대(200)는 손잡이(240)에 손잡이(240)의 크기를 확장하는 파지요소(300)가 장착되고,
    상기 파지요소(300)는 손잡이(240)와의 탈부착 조립을 위한 체결부(340)가 형성되되, 손잡이(240)와 체결부(340)가 암,수구조로 서로 맞물리게 조립되며,
    상기 파지요소(300)는 독립적인 완구의 형태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240)는 덮개판(244)에 돌출형성되는 끼움돌부(242) 또는 덮개판(244)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끼움부(246)가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340)에는 체결을 위하여 타공된 소켓(342)이 형성되되, 펌프 방식에 의한 밀대(200)의 축 방향 왕복 작동시 손잡이(240)로부터 파지요소(300)가 임의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끼움돌부(242) 또는 끼움부(246)가 소켓(342)과 회전방식에 의한 잠금 구조로 탈부착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구 탈부착형 피스톤 물총완구.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요소(300)는 소켓(342)을 통하여 내용물 주입이 가능하도록 중공의 형상으로 이루어져 식품을 담아 보관할 수 있게 구성되고, 손잡이(240)를 마개로 활용하여 주입구 개폐가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완구 탈부착형 피스톤 물총완구.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240)에는 취구(262)에 리드(264)가 삽입 구성되는 음향구(260)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구 탈부착형 피스톤 물총완구.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요소(300)는 일단에 동전 주입이 가능한 슬릿홀(360)이 형성되고, 파지요소(342)의 체결부(340)에 장착되는 마감캡(380)이 더 구성되며, 마감캡(380)은 손잡이(240)의 체결구조와 동일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구 탈부착형 피스톤 물총완구.
  6. 제 1항 또는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물총본체(100)의 전방에 형성된 분사구(140)는 분사되는 물줄기 조절이 가능하도록 실린더(120)에 장착되는 접속구(142)와, 그 접속구(142)에 조립되는 노즐캡(144)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캡(144)은 분사홀(145)이 형성되어 접속구(142)의 개구홀(143)을 통하여 물을 흡입, 배출시키도록 구성되며,
    상기 상기 노즐캡(144)은 접속구(142)에 축 결합되되, 상기 분사홀(145)은 노즐캡(144)에 크기를 달리하는 복수의 분사홀(145)이 형성되어 노즐캡(144)을 회전시켜 물줄기 조절이 이루어지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완구 탈부착형 피스톤 물총완구.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구(142)와 노즐캡(144)의 사이에 탄성소재의 실링요소(146)가 장착되고, 실링요소(146)의 양면에는 각각 개구홀(143)과 분사홀(145)이 밀착되어 실린더(120)에 물이 담긴 상태에서 수밀기능을 제공하고,
    상기 실링요소(146)에는 개구홀(143)과 분사홀(145)이 일치될 때 물의 흡입, 배출이 가능하도록 타공홀(147)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구 탈부착형 피스톤 물총완구.
KR1020210087419A 2021-07-02 2021-07-02 완구 탈부착형 피스톤 물총완구 KR1026447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7419A KR102644712B1 (ko) 2021-07-02 2021-07-02 완구 탈부착형 피스톤 물총완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7419A KR102644712B1 (ko) 2021-07-02 2021-07-02 완구 탈부착형 피스톤 물총완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6332A KR20230006332A (ko) 2023-01-10
KR102644712B1 true KR102644712B1 (ko) 2024-03-08

Family

ID=848934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7419A KR102644712B1 (ko) 2021-07-02 2021-07-02 완구 탈부착형 피스톤 물총완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471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058704A1 (en) * 2004-09-16 2012-03-08 Prime Time Toys, Ltd. Floating Squirting Toy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1008U (ko) * 2015-09-09 2017-03-17 김세광 물총 겸용 비누방울 놀이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058704A1 (en) * 2004-09-16 2012-03-08 Prime Time Toys, Ltd. Floating Squirting To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6332A (ko) 2023-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60002013B1 (ko) 트리거 타입 분무기
US20050286967A1 (en) Toothpaste-dispensing toothbrush
CN103282071B (zh) 吸入器和用于吸入器的外壳帽盖
JP6130963B1 (ja) 絞出具、補助部材、装飾体形成玩具及び装飾体形成玩具セット
EA034929B1 (ru) Электронное испар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с предварительно герметичным картриджем
KR102644712B1 (ko) 완구 탈부착형 피스톤 물총완구
CA2175413A1 (en) Water pistol and puppet assembly
US6296151B1 (en) Perfume sprayer
KR100632143B1 (ko) 트리거식 분무장치
US5451176A (en) Quick opening and self-closing container for articles
KR100537688B1 (ko) 막대 사탕과 용기의 결합체
CN210960798U (zh) 一种双头瓶
KR200177879Y1 (ko) 페트병을 이용한 물총 완구
CN220656388U (zh) 一种鲨鱼泡沫枪
US20190388796A1 (en) Toy reservoir to generate foam string or the like
JP2002248277A (ja) カプセル人形玩具
JP4646111B2 (ja) ディスペンサーのトリガー
JP3859873B2 (ja) 液体噴出容器
KR920003925Y1 (ko) 물총완구
FR3000365A1 (fr) Element de decor pour accessoire portatif
KR102371018B1 (ko) 활 물총
CN209219370U (zh) 一种化妆品容器
JPH0630287Y2 (ja) 指圧ポンプ噴射容器の噴射頭
KR200213584Y1 (ko) 다형 물분출 기능을 갖는 물총
KR200331087Y1 (ko) 분해 조립구조를 갖는 펌프 디스펜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