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4466B1 - 넥밴드형 안전 프로젝터, 넥밴드형 안전 프로젝터를 포함하는 안전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넥밴드형 안전 프로젝터, 넥밴드형 안전 프로젝터를 포함하는 안전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4466B1
KR102644466B1 KR1020220063529A KR20220063529A KR102644466B1 KR 102644466 B1 KR102644466 B1 KR 102644466B1 KR 1020220063529 A KR1020220063529 A KR 1020220063529A KR 20220063529 A KR20220063529 A KR 20220063529A KR 102644466 B1 KR102644466 B1 KR 1026444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projector
image information
safety
neckb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35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63786A (ko
Inventor
조성주
노정현
송은정
오세연
Original Assignee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200635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4466B1/ko
Publication of KR202301637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37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44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446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41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H04N9/3173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wherein the projection device is specially adapted for enhanced portability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142Adjusting of projection optic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41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H04N9/315Modulator illumination systems
    • H04N9/3152Modulator illumination systems for shaping the light bea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목에 착용되는 몸체부와, 몸체부 단부에 결합되는 렌즈부와, 렌즈부를 통해 영상정보를 수집하는 카메라부와, 렌즈부를 통해 영상정보를 송출하는 프로젝터부와, 카메라부와 프로젝터부의 작동을 조절하는 스위치를 포함하는 넥밴드형 안전 프로젝터와, 이러한 넥밴드형 안전 프로젝터를 포함하는 안전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넥밴드형 안전 프로젝터, 넥밴드형 안전 프로젝터를 포함하는 안전관리 시스템{Neckband type safety projector, Safety management system using neckband type safety projector}
본 발명은 공사현장과 같이 소리를 통한 의사소통이 어려운 상황에서, 영상을 통해 작업자와 관리자가 서로 소통할 수 있도록 하는 넥밴드형 안전 프로젝터와, 이러한 넥밴드형 안전 프로젝터를 이용한 안전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공사현장을 보다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공사현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현장의 통제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야 한다.
종래에는 무전기를 이용한 현장 관리가 이루어졌으나, 공사현장의 경우 작업을 진행하며 발생하는 소음이 소리의 전달을 방해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무전기를 이용한 의사전달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기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소음에 영향을 받지 않고 의사를 전달할 수 있는 새로운 기술의 개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허문헌 1) 국내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40057호(명칭: 동서남북 전방위 블랙박스 안전모, 공개일: 2017.04.12) 특허문헌 2) 국내등록특허공보 제0620792호(명칭: 위치기반서비스를 이용한 현장통제 시스템 및 그 방법, 등록일: 2006.08.30.)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공사현장에서 작업자에게 정보를 효과적으로 전달 가능한 넥밴드형 안전 프로젝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넥밴드형 프로젝터를 이용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안전을 관리할 수 있는 안전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넥밴드형 안전 프로젝터는, 사용자의 목에 착용되는 몸체부(100); 상기 몸체부(100) 단부에 결합되는 렌즈부(200); 상기 렌즈부(200)를 통해 영상정보를 수집하는 카메라부(300); 상기 렌즈부(200)를 통해 영상정보를 송출하는 프로젝터부(400); 및 상기 카메라부(300)와 상기 프로젝터부(400)의 작동을 조절하는 스위치(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부(100)는 내부에 내장되는 위치 정보 전송수단(8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부(100)는 착용자의 뒷목과 마주보는 중앙부에 형성되는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의 피부 보호수단(11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렌즈부(200)를 통해 빛을 방출하는 조명부(6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부(100)와 상기 렌즈부(200)를 연결하는 볼조인트(7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볼조인트(700)는 상기 몸체부(100)의 단부에 공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볼조인트 몸체(710); 상기 볼조인트 몸체(710)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렌즈부(200)와 연결되는 힌지 연결부(7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넥밴드형 안전 프로젝터를 포함하는 안전관리 시스템은, 상기 카메라부(300)에서 수집된 영상정보를 수신받고, 상기 프로젝터부(400)로 영상정보를 제공하는 중앙서버(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중앙서버(1)는 상기 카메라부(300)에서 수신된 영상정보가 저장되는 영상정보 저장부(10); 상기 영상정보 저장부(10)에 저장된 영상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20); 관리자가 영상정보를 입력하는 영상정보 입력부(30); 상기 영상정보 입력부(30)를 통해 입력된 영상정보를 상기 프로젝터부(400)로 제공하는 영상정보 전송부(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중앙서버(1)는 상기 넥밴드형 안전 프로젝터(1000)에서 수신되는 위치정보가 저장되는 위치정보 저장부(50); 상기 위치정보 저장부(50)에 저장된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위치에서 안전지역까지의 탈출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탈출정보를 상기 영상정보 전송부(40)를 통해 상기 프로젝터부(400)로 제공하는 탈출정보 생성부(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탈출정보 생성부(60)는 사용자가 위치하고 있는 건물의 층수정보를 수집하고, 사용자가 안전지역과 동일한 층에 위치할 경우 탈출경로를 표시한 평면 맵을 형성하는 제1 탈출정보 생성부(6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탈출정보 생성부(60)는 사용자가 위치하고 있는 건물의 층수정보를 수집하고, 사용자가 안전지역과 다른 층에 위치할 경우 사용자가 위치한 건물의 단면도에 탈출경로를 표시한 단면 맵을 형성하는 제2 탈출정보 생성부(6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탈출정보 생성부(60)에서 제공하는 탈출정보는 사용자의 위치에 맞는 이동방향을 나타내는 문자, 기호, 숫자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넥밴드형 안전 프로젝터(1000)를 충전하는 충전수단(7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충전수단(70)은 복수개의 프로젝터 끼움홈(71-1)이 형성되는 보관대(71);
상기 보관대(71)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프로젝터 끼움홈(71-1)에 끼워진 넥밴드형 안전 프로젝터(1000)를 충전하는 충전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관대(71)에 결합되어 상기 프로젝터 끼움홈(71-1) 전측에 안전모가 끼워지는 안전모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수납공간 형성수단(7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넥밴드형 안전 프로젝터를 포함하는 안전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의 목에 착용되는 몸체부(100)와, 상기 몸체부(100) 단부에 결합되는 렌즈부(200)와, 상기 렌즈부(200)를 통해 영상정보를 수집하는 카메라부(300)와, 상기 렌즈부(200)를 통해 영상정보를 송출하는 프로젝터부(400)와, 상기 카메라부(300)와 상기 프로젝터부(400)의 작동을 조절하는 스위치(500)로 구성되는 넥밴드형 안전 프로젝터; 넥밴드형 안전 프로젝터(1000)가 결합되어 충전이 이루어지는 충전수단; 및 상기 카메라부(300)에서 수집된 영상정보를 수신받고, 상기 프로젝터부(400)로 영상정보를 제공하는 중앙서버(1);를 포함하고, 상기 중앙서버(1)는 상기 넥밴드형 안전 프로젝터(1000)에서 수신되는 위치정보가 저장되는 위치정보 저장부(50)와, 상기 위치정보 저장부(50)에 저장된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위치에서 안전지역까지의 탈출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탈출정보를 상기 영상정보 전송부(40)를 통해 상기 프로젝터부(400)로 제공하는 탈출정보 생성부(60);를 포함하고, 상기 탈출정보 생성부(60)는 탈출경로를 표시한 평면 맵을 만드는 제1 탈출정보 생성부(61)와, 건물의 단면도에 탈출경로를 표시한 단면 맵을 만드는 제2 탈출정보 제공부(62)를 포함하고, 사용자가 다층 건물에 위치할 경우 넥밴드형 안전 프로젝터를 통해 사용자에게 평면 맵과 단면 맵을 모두 제공하고, 상기 충전수단(70)은 프로젝터 끼움홈이 형성되는 보관대(71)와, 끼움홈 전측에 형성되는 안전모 수납공간 형성수단(72)과, 프로젝터와 안전모 중 어느 하나만 있는 것으로 판단 시 위험신호를 제공하는 안전장비 착용정보 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넥밴드형 안전 프로젝터는, 프로젝터를 통해 사용자의 전면에 정보 전달을 위한 영상을 표시할 수 있으므로, 소음이 발생하는 공사현장에서도 원활하게 정보를 전달 가능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인 안전관리 시스템은, 건물 정보와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최적의 탈출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탈출정보를 사용자가 쉽게 인지할 수 있는 특수한 형태(평면도, 단면도)로 전달 가능한 장점이 있음.
또한, 보관대에 넥밴드형 안전 프로젝터와 안전모가 함께 보관되므로, 실수로 장비를 착용하지 않는 문제를 최소화 가능한 장점이 있음.
도 1은 본 발명인 넥밴드형 안전 프로젝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인 넥밴드형 안전 프로젝터를 통한 정보 전달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인 넥밴드형 안전 프로젝터의 결합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인 넥밴드형 안전 프로젝터를 이용한 안전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인 안전관리 시스템의 보관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인 안전관리 시스템의 보관대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한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넥밴드형 안전 프로젝터(1000)에 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인 넥밴드형 안전 프로젝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인 넥밴드형 안전 프로젝터를 통한 정보 전달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인 넥밴드형 안전 프로젝터의 결합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인 넥밴드형 안전 프로젝터를 이용한 안전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인 안전관리 시스템의 보관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인 안전관리 시스템의 보관대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인 넥밴드형 안전 프로젝터(1000)는 사용자의 목에 착용되는 몸체부(100)와, 상기 몸체부(100) 단부에 결합되는 렌즈부(200)와, 상기 렌즈부(200)를 통해 영상정보를 수집하는 카메라부(300)와, 상기 렌즈부(200)를 통해 영상정보를 송출하는 프로젝터부(400)와, 상기 카메라부(300)와 상기 프로젝터부(400)의 작동을 조절하는 스위치(5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공사현장의 경우 매우 시끄러워 소리를 통한 의사전달이 어려우므로, 상기 카메라부(300)를 통해 수집된 영상이 관리자에게 제공되면, 관리자가 상기 프로젝터부(400)로 영상정보를 제공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전방 벽(W)에 관리자의 의사를 나타내는 영상(V)이 글자/문자/기호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형태로 표시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때, 상기 몸체부(100)는 전측이 개방된 고리 형상을 가져 사용자가 쉽게 착용할 수 있고, 착용 시 몸체부(100)가 사용자의 목을 감쌀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권장한다.
그리고, 착용된 사용자의 피부와 접하는 중앙부에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의 피부 보호수단(110)이 형성되어 사용자에게 높은 착용감을 제공하고, 몸체부(100)가 흔들리지 않도록 하는 것을 권장한다.
또한, 상기 렌즈부(200)는 상기 카메라부(300) 및 상기 프로젝터부(400)와 모두 연동되어 사용자가 상기 스위치(500)를 누르는 횟수에 따라 카메라부(300)가 영상을 수집하는 통로 역할을 하거나, 프로젝터부(400)에서 영상이 송출되는 통로 역할을 하게되며, 스위치(500)의 경우 다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으나 사용자의 손이 쉽게 닿는 상기 렌즈부(200) 가장자리 상측에 형성되는 것을 권장한다.
아울러, 상기 몸체부(100) 내부에는 상기 렌즈부(200)와 연결되는 조명부가 더 구비될 수 있고, 조명부가 렌즈부(200)와 연결될 경우 스위치(500)를 누르는 횟수에 따라 카메라, 프로젝터, 조명 기능이 순차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렌즈부(200)는 몸체부(100)의 길이방향 일측과 타측 단부에 결합되는 제1 렌즈부(201) 및 제2 렌즈부(202)를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각각의 렌즈부는 서로 개별 작동할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제1 렌즈부(201)는 상기 카메라부(300)와 연결되어 영상을 수집하는 역할을 하고, 상기 제2 렌즈부(202)는 상기 프로젝터부(400)와 연결되어 전송되는 영상을 사용자의 정면에 표시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때, 제1 렌즈부(201)와 제2 렌즈부(202)의 개별 작동을 위해 상기 스위치(500) 또한 제1 렌즈부(201)와 연동되는 제1 스위치(501) 및 제2 렌즈부(202)와 연동되는 제2 스위치(502)를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몸체부(100)와 상기 렌즈부(200)는 볼조인트(700)를 통해 연결되어, 사용자가 상기 렌즈부(200)의 방향을 원활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권장한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렌즈부(200)가 상기 몸체부(100)와 일체로 형성될 경우 렌즈부(200) 방향을 조절하기 위해서 장치 전체를 움직여야 하고, 이러한 움직임은 사용자에게 큰 불편함을 안겨줄 뿐만 아니라, 몸체부(100)와 착용자 피부 사이에서 마찰을 발생시켜 피부가 쓸리는 현상을 야기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몸체부(100)와 렌즈부(200)를 서로의 움직임을 방해하지 않게 하는 볼조인트(700)로 연결하여, 사용자의 렌즈부(200) 방향 조절에 대응하여 몸체부(100)가 움직이지 않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볼조인트(700)는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100)의 단부에 공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볼조인트 몸체(710)와, 상기 볼조인트 몸체(710)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렌즈부(200)와 연결되는 힌지 연결부(720)를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볼조인트(700)에 의해 렌즈부(200)의 각도가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유롭게 조절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인 안전관리 시스템(S)은 위에서 설명한 넥밴드형 안전 프로젝터(1000)의 카메라부(300)에서 수집된 영상정보를 수집받고, 상기 프로젝터부(400)로 넥밴드형 안전 프로젝터(1000) 착용자에게 정보를 제공 가능한 영상정보를 제공하는 중앙서버(1)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중앙서버(1)는 상기 카메라부(300)에서 수신된 영상정보가 저장되는 영상정보 저장부(10)와, 상기 영상정보 저장부(10)에 저장된 영상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20)와, 관리자가 영상정보를 입력하는 영상정보 입력부(30)와, 상기 영상정보 입력부(30)를 통해 입력된 영상정보를 상기 프로젝터부(400)로 제공하는 영상정보 전송부(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카메라부(300)에서 무선 통신을 통해 영상정보를 상기 중앙서버(1)로 송신하면, 영상정보 저장부(10)에서 수신된 영상정보를 데이터화 하여 저장하고, 데이터화된 영상정보는 상기 디스플레이부(20)를 통해 표시되어 관리자가 넥밴드형 안전 프로젝터(1000) 사용자가 위치된 현장 상황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20)를 통해 표시된 영상을 통해 넥밴드형 안전 프로젝터(1000) 사용자의 현장 상황을 파악한 관리자가, 상기 영상정보 입력부(30)에 전달하고자 하는 정보를 입력하면, 상기 영상정보 전송부(40)에서 입력된 영상정보를 상기 프로젝터부(400)로 전송하여 넥밴드형 안전 프로젝터 사용자 전방에 표시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때, 관리자가 상기 영상정보 입력부(30)에 입력하는 영상정보는 문자, 숫자, 기호 등의 다양한 형태를 모두 포함할 수 있으므로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넥밴드형 안전 프로젝터(1000)는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중앙 서버(1)로 제공하는 위치 정보 전송수단(800)을 더 포함하고, 중앙 서버(1)는 상기 넥밴드형 안전 프로젝터(1000)에서 수신되는 위치정보가 저장되는 위치정보 저장부(50)와, 상기 위치정보 저장부(50)에 저장된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위치에서 안전지역까지의 탈출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탈출정보를 상기 영상정보 전송부(40)를 토해 상기 프로젝터부(400)로 제공하는 탈출정보 생성부(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공사현장에서 위험상황 발생 시 넥밴드형 안전 프로젝터(1000) 착용자에게 안전지역(출구, 구조대가 구조하기 적합한 위치, 위험 상황을 피할 수 있는 특수한 영역) 까지의 탈출경로 정보를 제공하여, 사용자의 탈출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탈출정보는 관리자가 상기 영상정보 입력부(30)를 통해 탈출 방향 정보(화살표)를 제공하고, 상기 프로젝터부(400)를 통해 관리자가 입력하는 탈출 방향에 관한 정보가 사용자 정면에 표시되어 사용자가 이를 따라가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 외에도 탈출정보 생성부(60)에서 저장되어 있는 건물 및 지리정보, 안전지역 정보,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탈출경로가 표시된 맵을 생성하고, 생성된 맵을 상기 프로젝터부(400)로 전송하여 사용자에게 탈출경로를 설명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현장상황에 관한 모든 정보를 알지 못하는 상태에서 만들어진 탈출경로의 경우 현장에 적합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주변의 지리/건물구조/안전지역을 표시한 맵에 관리자가 판단한 최적화된 탈출경로를 표시한 맵을 제공하되, 사용자가 현장 상황에 맞지 않다고 판단하면 제공된 맵을 기반으로 직접 현장 상황에 최적화된 탈출 경로를 만들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탈출정보 생성부(60)는 사용자가 위치하고 있는 건물의 층수정보를 수집하고, 사용자가 안전지역과 동일한 층에 위치할 경우 탈출경로를 표시한 평면 맵을 만드는 제1 탈출정보 생성부(61)와, 사용자가 안전지역과 다른 층에 위치할 경우 사용자가 위치한 건물의 단면도에 탈출경로를 표시한 단면 맵을 만드는 제2 탈출정보 생성부(62)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사용자의 위치에 맞춰 사용자가 현재의 위치 및 탈출경로를 인식 가능한 맵을 만든 후, 만들어진 맵에 탈출경로를 표시하고, 탈출경로가 표시된 맵을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사용자가 보다 쉽게 탈출경로를 이해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제1 탈출정보 생성부(61)에서 만들어진 평면 맵과 제2 탈출정보 생성부(62)에서 만들어진 단면도는 사용자의 위치에 맞춰 어느 하나만 제공될 수 있으나, 사용자가 다층 건물에 위치될 경우 보다 쉬운 이해를 위해 두 가지 맵이 모두 제공될 수 있으며, 두 개의 맵은 각각 제1 렌즈부(201) 및 제2 렌즈부(202)로 제공되어,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두 가지 맵을 동시에 확인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위치된 건물의 층수정보의 경우 다양한 방법으로 확인될 수 있고, 일 실시예로는 관리자가 사용자의 이동을 보고 위치한 층수 정보를 입력하는 형태일 수도 있다.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인 안전관리 시스템(S)은 상기 넥밴드형 안전 프로젝터(1000)를 충전하는 충전수단(7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충전수단(70)은 복수개의 프로젝터 끼움홈(71-1)이 형성되는 보관대(71)와, 상기 보관대(71)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프로젝터 끼움홈(71-1)에 끼워진 넥밴드형 안전 프로젝터(1000)를 충전하는 충전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공사가 시작되면 사용자가 상기 보관대(71)에 끼워진 넥밴드형 안전 프로젝터(1000)를 꺼내 착용할 수 있도록 하고, 공사가 완료되면 넥밴드형 안전 프로젝터(1000)를 프로젝터 끼움홈(71-1)에 끼워넣어 사용된 넥밴드형 안전 프로젝터(1000) 충전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충전장치는 유선/무선 타입을 모두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넥밴드형 안전 프로젝터(1000)에도 이러한 유선/무선 충전장치에 대응되는 충전단자 및 배터리가 구비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또한, 충전수단(70)은 상기 보관대(71)에 결합되어 상기 프로젝터 끼움홈(71-1) 전측에 안전모(C)가 끼워지는 안전모 수납공간 형성수단(7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사용자가 안전모 수납공간 형성수단(72)에서 안전모를 빼내면 넥밴드형 안전 프로젝터(1000)가 바로 눈에 들어오도록 하여, 넥밴드형 안전 프로젝터(1000)를 잊지 않고 착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보관대(71)에는 상기 끼움홈(71-1)에 넥밴드형 안전 프로젝터(1000)가 끼워져 있는지 유무를 판별하는 제1 센서가 구비되고, 상기 수납공간 형성수단(72)에 안전모가 수납되어 있는지 유무를 판별하는 제2 센서가 구비되고, 상기 충전수단(70)에 제1 센서 및 제2 센서와 연동되어 동일한 위치에 넥밴드형 안전 프로젝터(1000)와 안전모가 모두 있거나 모두 없는 경우 정상상태로 판단하고, 어느 하나만 있는 것으로 판단 시 관리자가 소유한 단말로 사용자가 두가지 중 어느 하나만 착용한 상태임을 알리는 위험신호를 전달하는 안전장비 착용정보 제공부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센서와 상기 제2 센서는 다양한 센서를 포함할 수 있고, 일 실시예로는 근접센서, 초음파센서, 하중센서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 중앙서버 10 : 영상정보 저장부
20 : 디스플레이부 30 : 영상정보 입력부
40 : 영상정보 전송부 50 : 위치정보 저장부
60 : 탈출정보 생성부 61 : 제1 탈출정보 생성부
62 : 제2 탈출정보 생성부 70 : 충전수단
71 : 보관대 71-1 : 끼움홈
72 : 수납공간 형성수단
100 : 몸체부 110 : 피부 보호수단
200 : 렌즈부 300 : 카메라부
400 : 프로젝터부 500 : 스위치
600 : 조명부 700 : 볼조인트
710 : 볼조인트 몸체 720 : 힌지 연결부
800 : 위치 정보 전송수단

Claims (9)

  1. 넥밴드형 안전 프로젝터를 포함하는 안전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의 목에 착용되는 몸체부(100)와, 상기 몸체부(100) 단부에 결합되는 렌즈부(200)와, 상기 렌즈부(200)를 통해 영상정보를 수집하는 카메라부(300)와, 상기 렌즈부(200)를 통해 영상정보를 송출하는 프로젝터부(400)와, 상기 카메라부(300)와 상기 프로젝터부(400)의 작동을 조절하는 스위치(500)로 구성되는 넥밴드형 안전 프로젝터;
    넥밴드형 안전 프로젝터(1000)가 결합되어 충전이 이루어지는 충전수단(70); 및
    상기 카메라부(300)에서 수집된 영상정보를 수신받고, 상기 프로젝터부(400)로 영상정보를 제공하는 중앙서버(1);를 포함하고,
    상기 중앙서버(1)는 상기 넥밴드형 안전 프로젝터(1000)에서 수신되는 위치정보가 저장되는 위치정보 저장부(50)와, 상기 위치정보 저장부(50)에 저장된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위치에서 안전지역까지의 탈출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탈출정보를 영상정보 전송부(40)를 통해 상기 프로젝터부(400)로 제공하는 탈출정보 생성부(60);를 포함하고,
    상기 탈출정보 생성부(60)는 탈출경로를 표시한 평면 맵을 만드는 제1 탈출정보 생성부(61)와, 건물의 단면도에 탈출경로를 표시한 단면 맵을 만드는 제2 탈출정보 제공부(62)를 포함하고, 사용자가 다층 건물에 위치할 경우 넥밴드형 안전 프로젝터를 통해 사용자에게 평면 맵과 단면 맵을 모두 제공하고,
    상기 충전수단(70)은 프로젝터 끼움홈이 형성되는 보관대(71)와, 끼움홈 전측에 형성되는 안전모 수납공간 형성수단(72)과, 프로젝터와 안전모 중 어느 하나만 있는 것으로 판단 시 위험신호를 제공하는 안전장비 착용정보 제공부;를 포함하는, 안전관리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00)는 내부에 내장되는 위치 정보 전송수단(800);을 더 포함하는, 안전관리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00)는 착용자의 뒷목과 마주보는 중앙부에 형성되는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의 피부 보호수단(110);을 포함하는, 안전관리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부(200)를 통해 빛을 방출하는 조명부(600);를 더 포함하는, 안전관리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00)와 상기 렌즈부(200)를 연결하는 볼조인트(700);를 포함하는, 안전관리 시스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볼조인트(700)는 상기 몸체부(100)의 단부에 공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볼조인트 몸체(710);
    상기 볼조인트 몸체(710)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렌즈부(200)와 연결되는 힌지 연결부(720);를 포함하는, 안전관리 시스템.
  7. 삭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서버(1)는 상기 카메라부(300)에서 수신된 영상정보가 저장되는 영상정보 저장부(10);
    상기 영상정보 저장부(10)에 저장된 영상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20);
    관리자가 영상정보를 입력하는 영상정보 입력부(30);
    상기 영상정보 입력부(30)를 통해 입력된 영상정보를 상기 프로젝터부(400)로 제공하는 영상정보 전송부(40);를 포함하는, 안전관리 시스템.
  9. 삭제
KR1020220063529A 2022-05-24 2022-05-24 넥밴드형 안전 프로젝터, 넥밴드형 안전 프로젝터를 포함하는 안전관리 시스템 KR1026444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3529A KR102644466B1 (ko) 2022-05-24 2022-05-24 넥밴드형 안전 프로젝터, 넥밴드형 안전 프로젝터를 포함하는 안전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3529A KR102644466B1 (ko) 2022-05-24 2022-05-24 넥밴드형 안전 프로젝터, 넥밴드형 안전 프로젝터를 포함하는 안전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3786A KR20230163786A (ko) 2023-12-01
KR102644466B1 true KR102644466B1 (ko) 2024-03-06

Family

ID=891244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3529A KR102644466B1 (ko) 2022-05-24 2022-05-24 넥밴드형 안전 프로젝터, 넥밴드형 안전 프로젝터를 포함하는 안전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446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0011B1 (ko) * 2011-05-20 2012-03-16 한국기계연구원 통신 모듈을 갖는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상태 감시 시스템
JP6401400B2 (ja) * 2016-04-26 2018-10-10 ウエストユニティス株式会社 ネックバンド型コンピュータ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48600A (en) * 1980-09-08 1982-03-19 Shin Meiwa Ind Co Ltd Safety device for work of boom loading car
KR100620792B1 (ko) 2005-10-31 2006-09-06 (주) 후하시스템즈 위치기반서비스를 이용한 현장통제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50124291A (ko) * 2014-04-28 2015-11-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넥 밴드
KR20170040057A (ko) 2015-10-02 2017-04-12 이현조 동, 서, 남, 북 전방위 블랙박스 안전모
KR20200067534A (ko) * 2018-12-04 2020-06-12 주식회사 동우 이앤씨 가상환경 보조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0011B1 (ko) * 2011-05-20 2012-03-16 한국기계연구원 통신 모듈을 갖는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상태 감시 시스템
JP6401400B2 (ja) * 2016-04-26 2018-10-10 ウエストユニティス株式会社 ネックバンド型コンピュー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3786A (ko) 2023-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20196202A1 (en) Method for displaying emergency first responder command, control, and safety information using augmented reality
CN101681541B (zh) 用于消防安全系统内部的紧急通信的方法
US7046214B2 (en) Method and system for accomplishing a scalable, multi-user, extended range, distributed, augmented reality environment
JP2007072802A (ja) カメラ付きヘルメットを用いた情報通信システム
WO2007133209A1 (en) Advanced augmented reality system and method for firefighter and first responder training
KR101671981B1 (ko) 무선 통신을 이용한 협업 소방관의 위치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과, 협업 소방관의 위치 표시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소방 헬멧
CN107329268A (zh) 一种利用ar眼镜实现景点共享的方法
KR102644466B1 (ko) 넥밴드형 안전 프로젝터, 넥밴드형 안전 프로젝터를 포함하는 안전관리 시스템
KR101670033B1 (ko) 스마트 블랙박스 헬멧을 이용한 스마트 블랙박스 서비스 시스템
CN113367430A (zh) 一种用于建筑施工人员穿戴的智能化装置及人员监控系统
RU2002100902A (ru) Способ,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бора данных о наблюдении видеоинформации и последующей передачи этих данных в центра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обработки данных
CN107277450A (zh) 一种利用ar实现远程指挥现场救灾的方法及设备
GB2526575A (en) Communications system
KR102134064B1 (ko) 앙각 추정 시스템 및 유저 단말기 배치 방법
CN107261454B (zh) 一种利用ar进行登山的方法
TW202135889A (zh) 室內定位系統
Codina et al. Augmented reality for emergency situations in buildings with the support of indoor localization
US11654308B2 (en) Self-contained breathing apparatus with thermal imaging capabilities
CN114577346A (zh) 一种空呼机红外热像仪
KR101775649B1 (ko) 화재 진압 관리 시스템
CN106203768A (zh) 一种消防应用系统
JP2005066766A (ja) 全面モニタ付きロボット
JP2005189917A (ja) 情報提供システムと案内装置
JP2018067157A (ja) 通信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001128149A (ja) 視覚障害者歩行支援方法及び支援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