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5649B1 - 화재 진압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화재 진압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5649B1
KR101775649B1 KR1020160010811A KR20160010811A KR101775649B1 KR 101775649 B1 KR101775649 B1 KR 101775649B1 KR 1020160010811 A KR1020160010811 A KR 1020160010811A KR 20160010811 A KR20160010811 A KR 20160010811A KR 101775649 B1 KR101775649 B1 KR 1017756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module
transmission
transmission modul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08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90220A (ko
Inventor
김동현
김충일
Original Assignee
창신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코어센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창신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코어센스 filed Critical 창신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0108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5649B1/ko
Publication of KR201700902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02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56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56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06Q50/265Personal security, identity or safety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05Specific application combined with child monitoring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 G08B21/0208Combination with audio or video communication, e.g. combination with "baby phone" func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63System arrangements wherein the object is to detect the direction in which child or item is locat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4Real-time or near real-time messaging, e.g. instant messaging [I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재 진압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화재 건물에 다수의 송신 모듈을 이격 배치하여 송신 모듈이 위치하고 있는 주변 공간에 존재하는 소방관으로부터 생명관리 신호 또는 화재 영상을 수신하며, 수신한 생명관리 신호와 화재 영상을 송신 모듈의 위치 정보와 함께 제어 모듈로 송신함으로써, 제어 모듈은 화재 건물의 설계도, 송신 모듈의 위치 정보, 화재 영상 및 생명관리 신호를 조합하여 합성 이미지를 생성하여 고층 빌딩이나 거대한 건축물에서 소방관의 위치와 신체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거나 화재 현장의 영상을 통해 화재를 효과적으로 진압할 수 있는 화재 진압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화재 진압 관리 시스템{Fire suppression system}
본 발명은 화재 진압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화재 건물에 다수의 송신 모듈을 이격 배치하여 송신 모듈이 위치하고 있는 주변 공간에 존재하는 소방관으로부터 생명관리 신호 또는 화재 영상을 수신하며, 수신한 생명관리 신호와 화재 영상을 송신 모듈의 위치 정보와 함께 제어 모듈로 송신함으로써, 제어 모듈은 화재 건물의 설계도, 송신 모듈의 위치 정보, 화재 영상 및 생명관리 신호를 조합하여 합성 이미지를 생성하여 고층 빌딩이나 거대한 건축물에서 소방관의 위치와 신체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거나 화재 현장의 영상을 통해 화재를 효과적으로 진압할 수 있는 화재 진압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도시 개발과 건설 기술 개발에 따라 도심지에는 고층 빌딩이나 지하 상업시설 등 다양한 형태의 건축물들이 생겨나고 있다. 이러한 건축물들에는 생활 편의를 위해 다양한 인테리어 설비 등이 설치되어 있으며,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게 되므로 화재에 대한 위험 또한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건축물들에서 화재가 발생하면, 건축물의 내부 구조가 복잡하고 그 규모가 커서 사람들의 신속한 대피가 어렵고 화재 진압 또한 상당히 어려워 화재 피해가 크게 확대될 수 있다.
특히, 화재 진압 또는 구조 활동 등을 위해 건축물 내부로 진입하는 소방관들은 화재 진압 과정에서 위험에 처하거나 부상을 당하는 등의 어려움을 겪고 있다. 통상적으로 화재 진압시 소방관이 소지하고 있는 단말기는 무전 단말기로 지휘 본부는 무전 단말기를 통해 소방관에 화재 진압 명령을 지시하거나 소방관은 무전 단말기를 통해 지휘 본부에 화재 상황을 보고한다.
따라서 지휘 본부는 소방관의 위치, 소방관의 신체 상태, 소방관이 소지하는 화재 장비의 상태 등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기 곤란하여 소방관이 화재 진압시 부상을 당하는 경우 소방관과 무선 통신이 두절되거나 소방관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하기 곤란하여 소방관의 구조가 늦어져 소방관의 생명을 위협하는 문제점을 가진다. 또한, 무전 통신을 통해 소방관이 알려주는 상황에 기초하여 화재 현장을 추측하여 화재 진압 명령을 지시하기 때문에 효율적으로 화재를 진압하기 곤란하다는 문제점을 가진다.
소방관들의 안전에 대한 위협은 최근 사회적으로 크게 부각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소방관들의 안전을 위한 장치 및 구조 활동에 대한 요구가 커지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981660호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송신 모듈을 통해 소방관의 위치 정보, 생명관리 신호, 화재 영상을 수신하여 소방관의 안전 상태를 실시간으로 관리하며 화재 현장 영상에 기초하여 화재 진압을 지시할 수 있는 화재 진압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송신 모듈을 통해 수신한 송신 모듈의 위치 정보, 소방관의 생명관리 신호, 화재 영상을 화재 건물의 설계도와 합성하여 생성한 합성 이미지를 통해 건물의 각 공간에 배치되어 있는 소방관의 수, 화재 진화 상태를 실시간으로 파악함으로써, 효과적으로 화재를 진압할 수 있는 화재 진압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목적은 송신 모듈을 고층의 화재 건물에 각 층마다 이격 배치시 입력되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층 정보를 생성하고 층 정보와 송신 모듈의 위치 정보를 조합하여 조합 위치 정보를 생성함으로써, 송신 모듈이 배치되어 있는 층을 정확하게 구분하여 합성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는 화재 진압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화재 진압 관리 시스템은 화재 건물에 이격 배치되어 수신 영역에 위치하는, 소방관이 소지하고 있는 단말기로부터 소방관의 생명관리 신호와 화재 영상을 수신하고 생명관리 신호, 화재 영상 및 배치되어 있는 위치 정보를 송신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송신 모듈과, 송신 모듈의 식별자에 기초하여 송신 모듈의 식별자별로 수신한 생명관리 신호, 화재 영상 및 송신 모듈의 위치 정보를 화재 건물의 설계도와 합성하여 합성 이미지를 생성하는 제어 모듈을 구비하며, 생명관리 신호는 소방관의 식별자, 소방관의 신체 정보, 소방관이 착용하고 있는 소방장비의 상태 정보를 포함하며, 제어 모듈은 송신 모듈의 식별자별로 송신 모듈의 위치 정보에 해당하는 건물 설계도에 송신 모듈이 수신한 생명관리 신호 또는 화재 영상을 표시하여 합성 이미지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송신 모듈은 송신 모듈이 배치되어 있는 장소의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위치 정보 생성부와, 수신 영역에 위치하는, 소방관이 소지하는 단말기로부터 생명관리 신호 및 화재 영상을 수신하는 근거리 통신부와, 생명관리 신호, 화재 영상 및 위치 정보를 제어 모듈로 송신하는 송신 케이블이 접속되는 커넥터부와, 생명 관리 신호, 화재 영상 및 위치 정보를 제어 모듈로 송신하는 무선 송신부와, 송신 케이블의 접속 상태를 판단하여 송신 케이블 또는 무선 송신부 중 어느 하나로 생명관리 신호, 화재 영상 및 위치 정보를 제어 모듈로 송신 제어하는 송신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송신 모듈은 입력되는 사용자 명령의 횟수를 카운트하여 화재 건물에서 송신 모듈이 배치되는 층 수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는 층 정보 생성부를 더 포함하며, 위치 정보 생성부는 층 수에 대한 정보와 위치 정보를 조합하여 조합 위치 정보를 생성하며, 송신 제어부는 조합 위치 정보를 제어 모듈로 송신하며, 제어 모듈은 송신 모듈의 조합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층별로 구분하여 건물 설계도에 송신 모듈이 수신한 생명관리 신호 또는 화재 영상을 표시하여 합성 이미지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무선 송신부는 제어 모듈로부터 화재 안내 메시지를 수신하며, 송신 모듈은 화재 안내 메시지를 수신 영역에 위치하는 소방관 또는 수신 영역에 위치하는 구난자에 출력하는 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재 진압 관리 시스템은 아래와 같은 다양한 효과들을 가진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화재 진압 관리 시스템은 송신 모듈을 통해 소방관의 위치 정보, 신체 정보, 화재 영상을 수신함으로써, 소방관의 안전 상태를 실시간으로 관리하며 화재 현장 영상에 기초하여 화재 진압을 지시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화재 진압 관리 시스템은 송신 모듈을 통해 수신한 송신 모듈의 위치 정보, 소방관의 생명 관리 신호, 화재 영상을 화재 건물의 설계도와 합성하여 생성한 합성 이미지를 통해 건물의 각 공간에 배치되어 있는 소방관의 수, 화재 진화 상태를 실시간으로 파악함으로써, 복잡한 건축물이나 장애물이 많은 화재 건물에서도 효과적으로 화재를 진압할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른 화재 진압 관리 시스템은 송신 모듈을 고층의 화재 건물에 각 층마다 이격 배치시 입력되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층 정보를 생성하고 층 정보와 송신 모듈의 위치 정보를 조합하여 조합 위치 정보를 생성함으로써, 송신 모듈이 배치되어 있는 층을 정확하게 구분하여 합성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재 진압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기능 블록도이다.
도 2는 고층 화재 건물에서 화재 발생 유형의 일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3은 화재 건물에서 송신 모듈을 배치하는 일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송신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기능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제어 모듈에서 생성하는 합성 이미지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 조립체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발명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를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화재 진압 관리 시스템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재 진압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기능 블록도이다.
도 1을 참고로 살펴보면, 네트워크(60)에는 송신 모듈(50), 제어모듈(70) 및 건물 설계도 제공 서버(80)가 접속되어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60)는 송신 모듈(50)과 제어 모듈(70) 사이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거나, 제어 모듈(70)과 건물 설계도 제공 서버(80) 사이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다양한 종류의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가 사용될 수 있다.
송신 모듈(50)은 화재 건물에 서로 이격되어 다수 배치되어 있는데, 송신 모듈(50)은 배치되어 있는 장소에서 송신 모듈(50)의 수신 영역에 위치하는 소방관으로부터 생명관리 신호 또는 화재 영상을 수신하고 수신한 생명관리 신호 또는 화재 영상을 송신 모듈(50)의 위치 정보와 함께 네트워크(60)를 통해 제어 모듈(70)로 송신한다. 송신 모듈(50)은 배치되어 있는 장소에서 소방관이 소지하는 단말기로부터 생명관리 신호 또는 화재 영상을 수신하는데, 송신 모듈(50)이 생명관리 신호 또는 화재 영상을 수신하는 수신 영역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범위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여기서 생명관리 신호는 소방관을 식별하는 식별자, 소방관의 신체 정보, 소방관이 소지하는 소방 장비의 상태 정보를 포함한다. 소방관의 몸에는 소방관의 신체 정보를 측정하기 위한 체온계, 심박계, 혈압계 등이 부착되어 있으며, 측정한 신체 정보는 소방관이 소지하는 단말기를 통해 수신 영역의 송신 모듈(50)로 송신된다. 또한 소방관은 화재를 진압하기 위한 소방 장비를 소지하는데, 소방관 단말기는 소방 장비로부터 소화액의 잔존량, 산호호흡기의 산소 잔존량 등에 대한 소방장비의 상태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소방장비의 상태정보를 소방관 단말기를 통해 송신 모듈(50)로 송신한다. 또한, 소방관은 화재 진압 장소의 화재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촬영 수단을 소지하는데, 촬영 수단을 통해 촬영한 화재 영상은 직접 송신 모듈(50)로 제공되거나 소방관 단말기를 통해 송신 모듈(50)로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소방관 단말기와 송신 모듈(50)는 한정된 수신 영역에서 근거리 통신 방식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어 모듈(70)은 화재 건물로 인접 이동하여 위치하고 있는 관제차량에 배치되는데, 본 발명이 적용되는 분야에 따라 제어 모듈(70)은 화재 건물과 이격되어 있는 관제본부(미도시)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송신 모듈(50)과 제어 모듈(70)은 송신 케이블과 같은 유선 네트워크를 통해 서로 접속되거나,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되거나, 또는 유선 네트워크와 무선 네트워크 모두를 사용하여 조합될 수 있다.
제어 모듈(70)은 송신 모듈별로 송신 모듈(50)의 위치 정보에 해당하는 건물 설계도의 위치에 송신 모듈(50)로부터 수신한 송신 모듈의 위치 정보, 생명관리 신호, 화재 영상을 표시하여 합성 이미지를 생성하며, 생성한 합성 이미지를 화재 진압 관리자에 출력한다. 여기서 제어 모듈(70)은 건물 설계도 제공 서버(80)로부터 화재 건물의 위치 정보 또는 건물명에 기초하여 대한 건물 설계도를 요청하며, 건물 설계도 제공 서버(80)는 요청한 건물 설계도를 제어 모듈(70)로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화재 진압 관리자는 제어 모듈(70)을 통해 송신 모듈(50)이 배치되어 있는 주변 지역에 위치하는 소방관에 화재 진압을 안내하거나 또는 구난자에 대피를 안내하기 위한 화재 안내 메시지를 생성 제어할 수 있는데, 화재 안내 메시지는 송신 모듈(50)을 통해 주변 지역으로 출력되거나 소방관 단말기로 출력된다. 더욱 바람직하게, 제어 모듈(70)은 화재 진압 관리자의 사용자 명령에 따라 화재 건물에서 송신 모듈(50)이 배치되어 있는 장소를 선택하고 선택한 장소의 송신 모듈(50)로 선택적으로 화재 안내 메시지를 송신 제어할 수 있다.
도 2는 고층 화재 건물에서 화재 발생 유형의 일 예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3은 화재 건물에서 송신 모듈을 배치하는 일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고층 건물이나 거대한 건축물의 경우 화재는 다수의 장소에서 동시에 발생되는데, 고층 건물(1)에서와 같이 1층에서 발생한 화재는 2층, 3층으로 번지게 되며 소방관은 각 층에 동시에 투입되어 화재를 진압한다.
소방관은 화재 건물로 진입시 송신 모듈(50)과 송신 케이블(C)을 소지하며 화재를 진압하기 위한 장소에 각각 송신 모듈(50)을 배치시키고 각 송신 모듈(50)을 케이블(C)로 연결하여 관제차량의 제어 모듈(70)과 연결시킨다. 송신 모듈(50)은 송신 모듈(50)의 수신 영역에 위치하는 소방관이 소지하는 단말기로부터 생명관리 신호, 화재 영상을 수신하며 송신 모듈(50)의 위치 정보, 생명관리 신호 및 화재 영상을 케이블(C)을 통해 제어모듈(70)로 제공한다. 여기서 화재 현장에서 케이블(C)이 손상될 우려가 크기 때문에, 송신 모듈(50)은 1차적으로 케이블(C)을 통해 제어모듈(70)과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케이블(C)이 손상되는 경우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제어모듈(70)과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송신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기능 블록도이다.
도 4를 참고로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근거리 통신부(51)은 한정된 수신 영역에서 수신 영역에 위치하는 소방관 단말기로부터 블루투스, NFC 등의 근거리 통신 방식으로 생명관리 신호 또는 화재 영상을 수신한다. 한편, 위치 정보 생성부(53)는 송신 모듈이 위치하는 장소의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데, 송신 제어부(55)는 근거리 통신부(51)를 통해 생명관리 신호, 화재 영상, 위치 정보 및 송신 모듈의 식별자를 무선 송신부(56) 또는 커넥터부(57)에 연결되어 있는 송신 케이블을 통해 제어 모듈로 송신 제어한다. 여기서 위치 정보 생성부(53)는 송신 모듈의 GPS 정보 등의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데, 본 발명이 적용되는 분야에 따라 다양한 방식의 위치 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여기서 송신 제어부(55)는 커넥터부(57)에 접속되어 있는 송신 케이블의 접속 상태를 판단하여 송신 케이블을 통해 생명관리 신호, 화재 영상, 송신 모듈의 위치 정보 및 송신 모듈 식별자를 제어 모듈로 송신할 수 있는지 판단하는데, 송신 제어부(55)는 송신 케이블을 통해 생명관리 신호, 화재 영상, 송신 모듈의 위치 정보 및 송신 모듈 식별자를 송신 모듈로 송신 가능한 경우에는 송신 케이블을 통해 생명관리 신호, 화재 영상, 송신 모듈의 위치 정보 및 송신 모듈 식별자를 송신 제어한다. 그러나 송신 케이블의 단선 등으로 인하여 송신 케이블을 통해 생명관리 신호, 화재 영상, 송신 모듈의 위치 정보 및 송신 모듈 식별자를 제어 모듈로 송신 불가능한 경우, 무선 송신부(56)를 통해 생명관리 신호, 화재 영상, 송신 모듈의 위치 정보 및 송신 모듈 식별자를 송신 모듈로 송신 제어한다. 송신 제어부(55)에서 송신 케이블의 접속 상태를 판단하기 위하여 주기적으로 접속 상태 메시지를 제어 모듈로 송신하며, 접속 상태 메시지에 응답하여 접속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지 여부로 송신 케이블의 접속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층 정보 생성부(54)는 송신 모듈이 배치되는 층 정보를 생성하는데, 층 정보 생성부(54)는 입력되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송신 모듈이 배치되는 층 정보를 생성한다. 층 정보 생성부(54)는 사용자 명령의 입력 횟수를 카운트하여 카운트한 입력 횟수에 따라 층 정보를 생성하거나, 층 수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에 따라 층 정보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층 정보 생성부(54)는 사용자 명령을 입력하는 버튼으로 버튼을 터치하거나 누르는 횟수를 카운트하여 층 정보를 생성하는데, 소방관은 송신 모듈을 소지하며 화재 진압 장소로 이동하며 1층에 송신 모듈을 배치하는 경우 버튼을 1번 터치하거나 누르며, 연속하여 2층에 송신 모듈을 배치하는 경우 버튼을 2번 터치하거나 눌러 층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층 정보 생성부(54)는 아라비아 숫자로 이루어진 다수의 버튼으로 이루어지며 사용자는 아라비아 숫자를 이용하여 층 정보를 입력하는데, 1층의 경우 1 버튼을 눌려 층 정보를 입력하고 21층의 경우 2의 버튼과 1의 버튼을 연속하여 눌러 층 정보를 입력한다.
위치 정보 생성부(53)는 층 정보 생성부(54)로부터 층 정보가 입력되는 경우 생성한 위치 정보와 층 정보를 조합하여 조합 위치 정보를 생성하며, 송신 제어부(55)는 생명관리 신호, 화재 영상, 송신 모듈 식별자와 함께 조합 위치 정보를 제어 모듈로 송신한다.
이와 같이, 층 정보를 포함하여 송신 모듈의 조합 위치 정보를 생성함으로써, 각 층의 면적이 작은 다층 건물에서도 화재 건물에 배치되어 있는 송신 모듈의 위치를 보다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으며, 송신 모듈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정확하고 빠르게 소방관의 위치를 판단하거나 화재 진압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송신 제어부(55)는 무선 송신부(56) 또는 커넥터부(57)를 통해 제어 모듈로부터 화재 안내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스피커 등의 출력부(59)를 통해 송신 모듈의 주변에 위치하는 소방관 또는 구난자에 화재 안내 방송을 출력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제어 모듈에서 생성하는 합성 이미지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송신 모듈로부터 수신한 송신 모듈의 조합 위치 정보와 송신 모듈의 식별자에 기초하여 송신 모듈 식별자별로 송신 모듈이 화재 건물의 3층 건물 설계도 중 대응하는 위치에 송신 모듈로부터 수신한 화재 영상 또는 생명관리 신호의 정보를 합성하여 합성 이미지를 생성하는데, 예를 들어 화재 건물의 3층이 연회장, 화장실, 소회의실로 구성되는 경우 송신 모듈의 조합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송신 모듈이 위치하는 장소의 화재 영상을 건물 설계도에 합성하여 표시하며 각 송신 모듈의 주변에 위치하는 소방관 식별자, 각 소방관의 신체 정보 또는 소방장비 상태 정보를 건물 설계도에 합성하여 표시한다. 송신 모듈의 주변에 위치하는 다수의 소방관 중 특정 소방관 식별자가 선택되는 경우, 선택된 소방관의 현재 신체 정보 또는 소방장비 상태 정보가 활성화되어 표시될 수 있다. 지휘본부는 선택된 소방관의 현재 신체 정보 또는 소방장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소방관이 안전한지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거나 소방관을 복귀시킬지 판단한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분야에 따라 송신 모듈과 제어 모듈이 서로 케이블로 접속되는 경우, 화재 현장에서는 전기가 차단되어 어두워 환경에서 소방관이 송신 모듈을 케이블로 연결하기 곤란하며, 커넥터부에 소화액이 투입되어 누전되는 경우가 발생하는데, 본 발명에 따른 송신 모듈에서 송신 케이블과 연결되는 커넥터 조립체 또는 송신 케이블을 서로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 조립체는 아래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 조립체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로,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 조립체는 상호 체결 가능하게 형성되는 플러그 모듈(10)과 리셉터클 모듈(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송신 모듈에 커넥터 조립체가 적용되는 경우 플러그 모듈(10) 또는 리셉터클 모듈(20) 중 어느 하나는 커넥터부로 동작하게 된다.
플러그 모듈(10)은 플러그 바디(100)와, 플러그 바디(100)에 장착되는 플러그 자석(1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플러그 바디(100)는 중실의 원형 또는 다각형 파이프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다수개의 핀 단자홀(160)이 리셉터클 모듈(20)과의 체결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다. 핀 단자홀(160)은 후술하는 리셉터클 모듈(20)의 연결핀(460)이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내주면에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연결핀(46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연결 단자(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플러그 바디(100)에는 플러그 자석(120)이 삽입 장착될 수 있도록 자석 삽입홀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자석 삽입홀에 플러그 자석(120)이 삽입 장착된다. 플러그 자석(120)은 플러그 바디(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삽입 장착될 수 있으며, 리셉터클 모듈(20)과의 체결되는 측면에 서로 반대되는 극성을 나타내도록 서로 이격되게 적어도 2개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플러그 자석(120)의 끝단이 플러그 바디(100)의 일측면(리셉터클 모듈(20)과의 접촉면)에 노출되게 2개 장착될 수 있으며, 노출되는 부분의 극성은 하나는 N극, 나머지 하나는 S극이 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리셉터클 모듈(20)은 양단이 개방된 중공 파이프 형상의 하우징(500)과, 하우징(500) 내부 공간에 장착되며 연결핀(460)이 결합되는 핀 지지판(400)과, 핀 지지판(400)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게 탄성 지지되는 리셉터클 바디(300)와, 리셉터클 바디(300)에 삽입 장착되는 리셉터클 자석(3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하우징(500)은 양단 개방형 중공 파이프 형상으로, 전술한 플러그 바디(100)의 형상에 대응하여 원형 또는 다각형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하우징(500)의 내부 공간에는 후술하는 리셉터클 바디(300)가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플러그 모듈(10)과의 결합 과정에서 플러그 바디(100) 또한 하우징(500)의 끝단부에 일부 삽입 장착될 수 있다.
핀 지지판(400)은 단순 플레이트 형상으로 하우징(500)의 내부 공간에 고정 장착되며, 플러그 모듈(10)을 향하는 일면에는 플러그 바디(100)의 핀 단자홀(160)에 삽입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연결핀(460)이 하우징(5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장착된다.
리셉터클 바디(300)는 하우징(500)의 내부 공간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데, 핀 지지판(400)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게 위치하도록 탄성 부재(420)에 의해 탄성 지지되며, 내부에는 다수개의 연결핀(460)이 관통 삽입될 수 있도록 핀 관통홀(360)이 형성된다. 이때, 리셉터클 바디(300)는 핀 지지판(400)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게 탄성 지지된 상태에서, 다수개의 연결핀(460)이 일부 삽입된 상태가 되도록 유지된다.
리셉터클 바디(300)에는 리셉터클 자석(320)이 삽입 장착될 수 있도록 자석 삽입홀(301)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자석 삽입홀(301)에 리셉터클 자석(320)이 삽입 장착된다. 리셉터클 자석(320)은 리셉터클 바디(3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삽입 장착될 수 있으며, 플러그 모듈(10)과의 체결되는 측면에 서로 반대되는 극성을 나타내도록 서로 이격되게 적어도 2개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리셉터클 자석(320)의 끝단이 리셉터클 바디(300)의 일측면(플러그 모듈(10)과의 접촉면)에 노출되게 2개 장착될 수 있으며, 노출되는 부분의 극성은 하나는 N극, 나머지 하나는 S극이 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리셉터클 자석(320)의 배치 상태는 플러그 자석(120)의 배치 상태와 대응되게 설정된다.
이때, 플러그 바디(100)와 리셉터클 바디(300)는 플러그 자석(120) 및 리셉터클 자석(320)의 자기력에 의해 상호 접촉 체결 위치가 가이드되도록 형성된다. 아울러, 플러그 바디(100)를 리셉터클 바디(300)에 접촉 가압함에 따라 다수개의 연결핀(460)이 리셉터클 바디(300)를 관통하여 플러그 바디(100)의 핀 단자홀(160)에 삽입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플러그 바디(100)와 리셉터클 바디(300)는 상호 접촉하는 접촉면에 고무 재질의 커버 플레이트(200)가 결합되고, 커버 플레이트(200)는 외주면이 하우징(500)의 내주면에 밀착 결합되도록 형성되며, 커버 플레이트(200)에는 다수개의 연결핀(460)이 밀봉되게 관통 삽입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연결핀(460)과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절개선이 서로 교차하는 형태로 절개된 방식의 절개홀(260)이 다수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고무 재질의 커버 플레이트(200)에 의해 커넥터 결합 상태에서 방수 기능을 더욱 완벽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리셉터클 바디(300)의 외주면에도 방수 기능을 위해 링 형상의 실링 부재(330)가 장착될 수 있으며, 이러한 실링 부재(330)는 리셉터클 바디(300)의 외주면에 원주 방향을 따라 전 구간에 걸쳐 형성될 수 있으며, 하우징(500)의 내주면과 밀착 접촉하여 밀봉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물론, 이러한 밀착 접촉 상태에서도 리셉터클 바디(300)의 직선 이동은 가능한 상태로 구성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50: 송신 모듈 60: 네트워크
70: 제어모듈 80: 건물 설계도 제공 서버
10: 플러그 모듈 20: 리셉터클 모듈
100: 플러그 바디 160: 핀 단자홀
120: 플러그 자석 200: 커버 플레이트
260: 절개홀 300: 리셉터클 바디
320: 리셉터클 자석 400: 핀 지지판
460: 연결핀 420: 탄성 부재
500: 하우징

Claims (4)

  1. 화재 건물에 이격 배치되어 수신 영역에 위치하는, 소방관이 소지하고 있는 단말기로부터 소방관의 생명관리 신호와 화재 영상을 수신하고, 상기 생명관리 신호, 상기 화재 영상 및 배치되어 있는 조합 위치 정보를 송신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송신 모듈; 및
    상기 송신 모듈의 식별자에 기초하여 상기 송신 모듈의 식별자별로 수신한 상기 생명관리 신호, 상기 화재 영상 및 상기 송신 모듈의 조합 위치 정보를 상기 화재 건물의 설계도와 합성하여 합성 이미지를 생성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생명관리 신호는 상기 소방관의 식별자, 상기 소방관의 신체 정보, 상기 소방관이 소지하고 있는 소방장비의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데,
    상기 송신 모듈은 입력되는 사용자 명령의 횟수를 카운트하여 상기 화재 건물에서 상기 송신 모듈이 배치되는 층 수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층 수에 대한 정보와 상기 송신 모듈의 위치 정보를 조합하여 생성한 상기 조합 위치 정보를 상기 제어 모듈로 송신하며,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송신 모듈의 조합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층으로 구분하여 상기 송신 모듈의 식별자별로 건물 설계도에 상기 송신 모듈이 수신한 상기 생명관리 신호 또는 화재 영상을 표시하여 합성 이미지를 생성하며,
    상기 송신 모듈은 주기적으로 접속 상태 메시지를 상기 제어 모듈로 송신하며 상기 접속 상태 메시지에 응답하여 상기 제어 모듈로부터 접속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송신 모듈과 상기 제어 모듈 사이의 송신 케이블 연결 상태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진압 관리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모듈은
    입력되는 사용자 명령의 횟수를 카운트하여 상기 화재 건물에서 상기 송신 모듈이 배치되는 층 수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는 층 정보 생성부;
    상기 송신 모듈이 배치되어 있는 장소의 위치 정보와 층 수에 대한 정보를 조합하여 상기 송신 모듈의 조합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위치 정보 생성부;
    수신 영역에 위치하는, 상기 소방관이 소지하는 단말기로부터 상기 생명관리 신호 및 상기 화재 영상을 수신하는 근거리 통신부;
    상기 생명관리 신호, 상기 화재 영상, 송신 모듈의 조합 위치 정보 및 송신 모듈 식별자를 상기 제어 모듈로 송신하는 송신 케이블이 접속되는 커넥터부;
    상기 생명관리 신호, 상기 화재 영상, 송신 모듈의 조합 위치 정보 및 송신 모듈 식별자를 상기 제어 모듈로 송신하는 무선 송신부; 및
    상기 송신 케이블의 접속 상태를 판단하여 상기 송신 케이블 또는 무선 송신부 중 어느 하나로 상기 생명관리 신호, 상기 화재 영상 및 조합 위치 정보를 상기 제어 모듈로 송신 제어하는 송신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진압 관리 시스템.
  3. 삭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송신부는 상기 제어 모듈로부터 화재 안내 메시지를 수신하며,
    상기 송신 모듈은 상기 화재 안내 메시지를 상기 수신 영역에 위치하는 소방관 또는 상기 수신 영역에 위치하는 구난자에 출력하는 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진압 관리 시스템.
KR1020160010811A 2016-01-28 2016-01-28 화재 진압 관리 시스템 KR1017756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0811A KR101775649B1 (ko) 2016-01-28 2016-01-28 화재 진압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0811A KR101775649B1 (ko) 2016-01-28 2016-01-28 화재 진압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0220A KR20170090220A (ko) 2017-08-07
KR101775649B1 true KR101775649B1 (ko) 2017-09-07

Family

ID=596537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0811A KR101775649B1 (ko) 2016-01-28 2016-01-28 화재 진압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564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86457A (zh) * 2017-10-26 2018-04-06 兰州建鑫消防科技有限公司 消防社会化管理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0954B1 (ko) * 2010-02-12 2013-10-23 (주)헤임달 건물 내 투입요원의 안전을 위한 유도등 내장 지그비 에이피 시스템을 이용한 위치추적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0954B1 (ko) * 2010-02-12 2013-10-23 (주)헤임달 건물 내 투입요원의 안전을 위한 유도등 내장 지그비 에이피 시스템을 이용한 위치추적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0220A (ko) 2017-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623919B (zh) 大樓救援資訊系統
Kim et al. Portable fire evacuation guide robot system
KR101536876B1 (ko) 무선 센서 네트워크를 활용한 재해 대피 및 구조지원 시스템
KR100704018B1 (ko) 유/무선 재난 자동 감시 시스템
CN107339985A (zh) 一种室内自主定位及状态监测系统及方法
CN108564767A (zh) 可穿戴窄带双网消防员作战安全监测系统
CN204319548U (zh) 空气呼吸器的多功能告警安全设备
KR102043460B1 (ko) 산림 재해 진화대원을 위한 안전관리 시스템 및 이의 사용 방법
CN102739276A (zh) 一种消防员灭火救援定位指挥系统
KR101775649B1 (ko) 화재 진압 관리 시스템
KR102424174B1 (ko) 양방향 비콘의 위치 기반을 이용한 스마트 방향 지시 유도등을 구비하는 대피 경로 유도 제어 시스템
TWM605723U (zh) 救災器材通訊定位系統
CN110956563A (zh) 消防信息整合系统
JP2008282181A (ja) 家庭用セキュリティ機器、家庭用セキュリティ機器の端末、防災サービス提供方法、火災報知サービスの契約方法および火災報知装置
KR20190098871A (ko) WiFi 및 Bluetooth등의 여러 네트워크 장치들과 다양한 센서 및 Application(또는 소프트웨어)을 사용하여, 화재등의 사고가 발생한 경우, 사용자의 위치, 사고발생의 위치 및 현재 상황등의 정보를 입수, 서버에 전송하고, 서버는 사용자와 대피장소(또는 출구)간의 가장 안전한 경로를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네비게이션 정보로 전송하고, 이와 동시에 사고장소에 설치된 소화장치를 동작시켜 스스로 소화하는 시스템
KR20120026887A (ko) 유무선 화재 관리 시스템
CN111351484A (zh) 室内紧急疏散导航系统
CN203799482U (zh) 一种消防救援报警系统
TWI292562B (en) Indoor environment control and auto flee guided systems
Hong et al. Augmented IoT service architecture assisting safe firefighting operation
CN114842607A (zh) 一种社区火灾应急智能管理路线逃生系统
KR102014099B1 (ko) 사물제어유닛을 이용한 IoT기반 재난모니터링 시스템
CN106203768A (zh) 一种消防应用系统
CN209785207U (zh) 一种可实现远程报警的图书馆火灾预警系统
KR102069607B1 (ko) 건물에서의 무선비상방송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