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4455B1 - 수동 소자가 있는 스마트 안테나에 의한 빔 다이버시티 - Google Patents

수동 소자가 있는 스마트 안테나에 의한 빔 다이버시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4455B1
KR102644455B1 KR1020227012575A KR20227012575A KR102644455B1 KR 102644455 B1 KR102644455 B1 KR 102644455B1 KR 1020227012575 A KR1020227012575 A KR 1020227012575A KR 20227012575 A KR20227012575 A KR 20227012575A KR 102644455 B1 KR102644455 B1 KR 1026444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enna device
antenna
directional
dipole
directional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125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62106A (ko
Inventor
마이클 카디체비츠
도론 에즈리
아비 와이츠만
샤오 조우
위 첸
신 루오
유핑 슈
Original Assignee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200621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21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44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445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29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used in bluetooth or WI-FI devices of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WLA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36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 H01Q1/38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formed by a conductive layer on an insulating suppo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9/00Combinations of primary active antenna elements and units with secondary devices, e.g. with quasi-optical devices, for giving the antenna a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 H01Q19/22Combinations of primary active antenna elements and units with secondary devices, e.g. with quasi-optical devices, for giving the antenna a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using a secondary device in the form of a single substantially straight conductive element
    • H01Q19/24Combinations of primary active antenna elements and units with secondary devices, e.g. with quasi-optical devices, for giving the antenna a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using a secondary device in the form of a single substantially straight conductive element the primary active element being centre-fed and substantially straight, e.g. H-antenna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21/00Antenna arrays or systems
    • H01Q21/06Arrays of individually energised antenna units similarly polarised and spaced apart
    • H01Q21/20Arrays of individually energised antenna units similarly polarised and spaced apart the units being spaced along or adjacent to a curvilinear path
    • H01Q21/205Arrays of individually energised antenna units similarly polarised and spaced apart the units being spaced along or adjacent to a curvilinear path providing an omnidirectional coverag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21/00Antenna arrays or systems
    • H01Q21/24Combinations of antenna units polarised in different directions for transmitting or receiving circularly and elliptically polarised waves or waves linearly polarised in any dir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21/00Antenna arrays or systems
    • H01Q21/28Combinations of substantially independent non-interacting antenna units or syste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3/00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 H01Q3/24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varying the orientation by switching energy from one active radiating element to another, e.g. for beam switch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06Details
    • H01Q9/065Microstrip dipole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16Resonant antennas with feed intermediate between the extremities of the antenna, e.g. centre-fed dipo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Variable-Direction Aerials And Aerial Arrays (AREA)

Abstract

안테나 디바이스는 복수의 쌍극자 안테나와 포트로 구성된다. 각각의 쌍극자 안테나는 포트에 연결된다. 쌍극자 안테나는 포트 주위에 배치된다. 각각의 쌍극자 안테나는 두 개의 단부를 포함한다. 디바이스는 복수의 수동 소자를 더 포함한다. 수동 소자와 쌍극자 안테나의 단부는 각각의 수동 소자가 복수의 쌍극자 안테나 중 두 개의 다른 안테나의 단부 사이에 위치하도록 포트 주위에 상호 교환 가능하게 배열된다. 하나 이상의 스위치는 무지향성 상태와 지향성 상태 사이를 스위칭하도록 구성되고, 무지향성 상태에서 쌍극자 안테나의 단부는 복수의 수동 소자에 연결되지 않고, 지향성 상태에서 수동 소자 중 하나의 적어도 하나의 단부는 안테나 중 하나의 적어도 하나의 단부에 연결된다.

Description

수동 소자가 있는 스마트 안테나에 의한 빔 다이버시티
본 출원은, 본 출원의 발명자와 동일한 발명자가 본 출원 날짜에 출원한 "수동 소자가 없는 스마트 안테나에 의한 빔 다이버시티(Beam Diversity by Smart Antenna Without Passive Elements)"라는 제목의 PCT 출원에 관련되며, 그 내용은 본 명세서에 완전히 설명된 것처럼 참조로 포함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안테나 디바이스에 관련되며, 보다 구체적으로, 그러나 비제한적으로, Wi-Fi 액세스 포인트와 함께 사용될 수 있는 안테나 디바이스에 관련된다.
Wi-Fi는 IEEE 표준 802.11을 기반으로 가정, 사무실 및 기타 실내/실외 환경에서 널리 사용되는 무선 랜 표준이다. Wi-Fi는 2.4 GHz 대역과 5 GHz 대역의 2가지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하며, 액세스 포인트와 클라이언트(컴퓨터, 스마트 핸드셋, 다양한 디바이스 등) 사이의 통신을 관리한다. Wi-Fi 프로토콜은 액세스 포인트의 커버리지 영역의 임의의 위치에 있는 수많은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즉, 액세스 포인트는 자신의 전체 작동 영역을 커버해야 한다. 이러한 이유로, Wi-Fi 안테나는 일반적으로 넓은 커버리지를 위한 무지향성 빔(omnidirectional beam)을 가지고 있다.
모든 Wi-Fi 시스템의 궁극적인 목적은 각 사용자에게 가능한 최고의 처리량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 목적에는 우수한 SINR(Signal to Interference and Noise Ratio)을 가능하게 하는 강력한 신호가 필요하다. 또한 이 목적은, 다른 셀에 대한 간섭을 줄이면서, 필요한 경우 특정 사용자의 방향으로 높은 이득으로 지향될 수 있는, 좁은, 지향성 빔을 요구한다. 따라서, 이상적인 Wi-Fi 액세스 포인트는 교대로 무지향성 빔을 방출하고 좁은 지향성 빔을 방출할 수 있어야 한다.
Wi-Fi 안테나에서 빔 커버리지를 변경하거나 다양화하기 위한 다양한 솔루션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솔루션 중 하나는 반사기 및 디렉터(director)를 사용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Wi-Fi 안테나의 작동 원리는 잘 알려진 Yagi-Uda 안테나에 기초한다. Yagi-Uda 안테나는 일반적으로 금속 막대로 만들어진 반파장 쌍극자인, 라인 내의 여러 병렬 소자로 구성된 지향성 안테나이다. Yagi-Uda 안테나는 전송 라인을 갖는 송신기 또는 수신기에 연결된 단일 구동 소자 및 송신기 또는 수신기에 연결되지 않은 추가 기생 소자(즉, 반사기 및 하나 이상의 디렉터)로 구성된다. 반사기와 디렉터는 다른 위상을 갖는 구동 소자로부터의 무선 전파를 흡수하고 재방사하여, 쌍극자의 방사 패턴을 수정한다. 여러 소자로부터의 파동이 중첩 및 간섭하여 단일 방향의 방사를 향상시켜 안테나 이득의 실질적인 지향성을 매우 크게 증가시킨다.
Yagi-Uda 개념은 Wi-Fi 액세스 포인트의 안테나 소자에 적용되어 액세스 포인트가 서로 다른 신호 패턴을 방출할 수 있게 한다. 예를 들어 Wi-Fi 액세스 포인트는 구조의 중심에 있는 두 개의 수직 쌍원추형 쌍극자를 갖는 하나의 능동 소자와 그 주위에 서로 다른 반경의 여러 원형 어레이로 배열된 매우 많은 수의 수동 소자를 갖는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각 수동 소자는 여러 개의 매우 짧은 금속 섹션(예: 1/5 파장보다 더 짧음)으로 만들어지고, 이는 다이오드에 의해 하나의 긴 수동 소자(약 0.5 파장)로 단락되거나 개방 상태로 남을 수 있다. 따라서 수동 소자를 단락시키는 것은 이를 디렉터에서 반사기로 변경하여, Wi-Fi 액세스 포인트의 지향성 이득이 변경된다. 또 다른 예로, 다양한 수동 소자가 다이오드를 사이에 두고 직렬로 배열될 수 있다. 다이오드가 꺼지면, 수동 소자가 디렉터 역할을 한다. 다이오드가 켜지면 수동 소자의 길이가 연장되어 반사기 역할을 한다.
Wi-Fi 액세스 포인트의 전송을 수정하기 위한 다른 알려진 모델은 각각 접지 구성요소에 부착된, 복수의 방사 쌍극자 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활성화하는 것이다. 활성 쌍극자 또는 쌍극자의 선택은 입력 근처의 각 쌍극자의 급전선에 있는 직렬 스위치(예를 들어, 다이오드)를 동작시켜 수행될 수 있다. 방사 쌍극자는 크기나 구성이 서로 다르다. 각 쌍극자는 원하는 신호의 유형이나 특성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Wi-Fi 액세스 포인트에서 신호를 다양화하는 또 다른 모델은 단일 Wi-Fi 액세스 포인트 내에서 수평 및 수직 편파 소자 모두를 통합하는 것이다. 이 모델은 신호 특성을 변경하지 않고 다양한 신호를 단일 액세스 포인트로 통합한다.
Wi-Fi 안테나에서 신호를 수정하기 위한 앞의 모델은 모두 안테나 시스템에 공간을 많이 차지하는 추가 소자를 포함시키는 것에 의존한다. 예를 들어, Yagi-Uda 원리에 의존하면, 디렉터 및 반사기로 사용되는 많은 수의 수동 디바이스를 포함시키야 한다. 유사하게, 복수의 방사 쌍극자 중에서 선택하려면 추가 방사 쌍극자를 포함해야 한다. 또한 수평 및 수직 편파 소자 모두를 사용하는 것은, 액세스 포인트에 하나 이상의 방사 쌍극자를 추가하고, 이는 단지 수평 또는 수직으로 편파된 단일 안테나가 있는 표준 Wi-Fi 액세스 포인트에서는 유용하지 않다.
또한, 다양한 추가 수동 소자, 능동 쌍극자 및/또는 다중 편파 안테나가 있는 전술한 모델은, 더 큰 면적 또는 풋프린트를 갖는 액세스 포인트를 요구한다. 초과 공간은 엔터프라이즈급(enterprise-grade) Wi-Fi 액세스 포인트에서 특히 중요한 고려 사항이다. 엔터프라이즈급 Wi-Fi 액세스 포인트는 5 GHz의 경우 8개 또는 16개의 안테나, 2.4 GHz의 경우 4개의 추가 안테나로 두 개 또는 세 개의 대역을 지원한다. 각 안테나에 필요한 추가 소자는 안테나 디바이스의 크기 요구 사항을 크게 확장한다.
따라서, 무지향성 커버리지와 지향성 빔 커버리지 사이에서 교대하는 방사빔을 사용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는 스마트 안테나 디바이스가 필요하다. 추가적으로 무지향성 빔 커버리지 또는 지향성 빔 커버리지를 언제 활용할지 적절히 선택하기 위해, 동작 환경의 동적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스마트 안테나 디바이스가 필요하다. 또한, 최소한의 공간을 차지하는 안테나를 내장한 스마트 안테나 디바이스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커버리지 영역 내의 특정 섹터를 가리키는 무지향성 커버리지와 지향성 커버리지 사이에서 방사 빔을 교대하는 기능을 갖는 스마트 안테나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및 다른 목적은 독립항의 특징에 의해 달성된다. 추가 구현 형태는 종속항, 설명 및 도면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제1 측면에 따르면, 안테나 디바이스는 복수의 쌍극자 안테나 및 포트를 포함한다. 각각의 쌍극자 안테나는 포트에 연결되고, 복수의 쌍극자 안테나는 포트 주위에 배열된다. 복수의 쌍극자 안테나 각각은, 두 단부를 포함한다. 안테나 디바이스는 복수의 수동 소자를 더 포함한다. 복수의 쌍극자 안테나의 단부와 복수의 수동 소자는 포트 주위에 상호 교환 가능하게 배열되어, 복수의 수동 소자 각각은 복수의 쌍극자 안테나 중 두 개의 상이한 안테나의 단부 사이에 위치한다. 하나 이상의 스위치는 무지향성 상태(쌍극자 안테나의 단부는 복수의 수동 소장 연결되지 않음)와 지향성 상태(복수의 수동 소자 중 하나의 적어도 하나의 단부는 복수의 안테나 중 하나의 적어도 하나의 단부에 연결됨) 사이에 스위칭되도록 구성된다.
이 측면의 장점은 안테나 디바이스가 쌍극자 안테나 어레이의 주변에 위치한 수동 소자만을 사용하여 무지향성 상태와 지향성 상태 사이를 스위칭할 수 있다는 점이다. 이는 안테나 디바이스의 공간 요구 사항을 증가시키지 않는 모드 스위칭을 허용한다. 무지향성 상태에서 쌍극자 안테나가 서로 연결되어 있지 않을 때, 안테나 디바이스는 방위각 평면에서 고이득 패턴을 제공한다. 안테나 디바이스는 또한, 하나 이상의 쌍(pairs) 각각의 두 단부가 서로 연결될 때, 방위각 평면에서 고이득 지향성 패턴으로 변환 가능하다.
제1 측면에 따른 안테나 디바이스의 구현에서는, 지향성 상태에서, 복수의 수동 소자 중 하나의 적어도 두 개의 단부가 두 개의 상이한 안테나에 연결되고, 이로써 두 개의 상이한 안테나가 두 개의 급전점을 갖는 단일의 긴 방사 소자로 변환된다. 유리하게는, 적어도 두 개의 결합된 쌍극자 안테나가 따라서 단일의 긴 방사 소자 안테나로서 기능하여 지향성 이득을 증가시킨다.
제1 측면에 따른 안테나 디바이스의 다른 가능한 구현에서, 복수의 쌍극자 안테나 및 복수의 수동 소자는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또는 실질적으로 원형의 배향으로 포트 주위에 배열된다. 유리하게는, 이러한 예시적인 방향은 무지향성 신호를 제공하기에 매우 적합하다.
제1 측면에 따른 안테나 디바이스의 다른 가능한 구현에서, 복수의 쌍극자 안테나는 접지면 위에 수평으로 배열된다. 접지면은 쌍극자 안테나의 안테나파에 대한 반사면으로 작용하여 무지향성 및 지향성 상태 모두에서 안테나 디바이스의 이득을 증가시킬 수 있다.
제1 측면에 따른 안테나 디바이스의 다른 가능한 구현에서, 복수의 쌍극자 안테나는 적어도 세 개의 쌍극자 안테나를 포함한다. 안테나 중 어느 것도 서로 연결되지 않은 경우의 무지향성 상태와 안테나 중 적어도 두 개가 서로 연결되고 적어도 하나가 연결되지 않는 지향성 상태를 구별하기 위해 최소 세 개의 쌍극자 안테나가 필요하다.
제1 측면에 따른 안테나 디바이스의 또 다른 가능한 실시예에서, 전체 방위각 평면에서의 이득은 적어도 4 dBi이다. 이러한 방위각 평면에서의 이득은 안테나가 Wi-Fi 신호를 적절히 큰 지역으로 전송하는 데 사용될 수 있게 한다.
제1 측면에 따른 안테나 디바이스의 다른 가능한 구현에서, 무지향성 상태와 지향성 상태 사이의 이득의 차이는 적어도 3 dB이다. 유리하게는, 무지향성 상태에서 해당 방향의 이득에 비해, 지향성 상태에서 원하는 방향의 이득의 차이는 적절하게 유효(significant)하다.
제1 측면에 따른 안테나 디바이스의 다른 가능한 구현에서, 지향성 상태에서의 안테나 디바이스의 안테나 빔을 하나 이상의 모바일 디바이스의 위치로 조종하기 위해, 안테나 디바이스는 각각의 수동 소자 및 인접 안테나를 연결 및 분리하기 위한 전자 회로, 및 인접 안테나에 연결할 수동 소자를 결정하기 위한 제어 알고리즘을 더 포함한다. 이 구현에서, 안테나 디바이스는 따라서, 환경의 필요(예를 들어, 안테나 디바이스의 지정 범위 내의 모바일 디바이스의 위치)에 따라 무지향성과 지향성 상태 사이에서 앞뒤로(back and forth) 토글될 수 있는 스마트 안테나의 일부이다.
제1 측면에 따른 안테나 디바이스의 다른 가능한 구현에서, 하나 이상의 스위치는 다이오드, 트랜지스터, 및 전자 스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스위치는 무지향성 및 지향성 상태 사이에서 스마트 안테나를 토글하기 위한 제어 알고리즘과 통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측면에서, 안테나 디바이스를 무지향성 상태에서 지향성 상태로 스위칭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안테나 디바이스는 복수의 쌍극자 안테나 및 포트를 포함한다. 각각의 쌍극자 안테나는 포트에 연결된다. 복수의 쌍극자 안테나는 포트 주위에 배열된다. 복수의 쌍극자 안테나 각각은 두 개의 단부를 포함한다. 안테나 디바이스는 복수의 수동 소자 각각이 복수의 쌍극자 안테나 중 두 개의 상이한 안테나 사이에 위치하도록 포트 주위에 상호 교환가능하게 배열된 복수의 수동 소자를 더 포함한다. 안테나 디바이스는 (1) 쌍극자 안테나의 단부가 복수의 수동 소자에 연결되지 않은 무지향성 상태와, (2) 복수의 수동 소자 중 적어도 하나가 복수의 쌍극자 안테나 중 하나의 적어도 하나의 단부에 연결된 지향성 상태 사이를 스위칭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스위치를 더 포함한다. 방법은, 복수의 수동 소자 중 하나의 적어도 하나의 단부를 복수의 쌍극자 안테나의 적어도 하나의 단부에 연결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스위치를 동작시켜 안테나 디바이스를 무지향성 상태에서 지향성 상태로 스위칭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측면의 장점은 이 방법이 쌍극자 안테나 어레이의 주변에 위치한 수동 소자만을 사용하여 무지향성 상태와 지향성 상태 사이에서 안테나 디바이스를 스위칭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는 점이다. 이는 안테나 디바이스의 공간 요구 사항을 늘리지 않는 모드 스위칭을 허용한다. 무지향성 상태에서 쌍극자 안테나가 서로 연결되어 있지 않은 경우, 안테나 디바이스는 방위각 평면에서 고이득 패턴을 제공한다. 안테나 디바이스는 또한 하나 이상의 쌍 각각의 두 단부가 서로 연결된 경우 방위각 평면에서 고이득 지향성 패턴으로 변환 가능하다.
제2 측면에 따른 방법의 구현에서, 방법은 복수의 수동 소자 중 적어도 하나를 두 개의 상이한 안테나에 연결함으로써 두 개의 상이한 안테나를 두 개의 급전점을 갖는 단일의 긴 방사 소자로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유리하게는, 지향성 상태에서, 적어도 두 개의 결합된 쌍극자 안테나는 따라서 하나의 긴 방사 소자 안테나로 기능한다.
제2 측면에 따른 방법의 구현에서, 방법은 적어도 한 방향에서 무지향성 상태와 지향성 상태 사이의 이득을 적어도 3 dB만큼 증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유리하게는, 무지향성 상태에서 해당 방향의 이득과 비교하여 지향성 상태에서 원하는 방향의 이득의 차이는 적절하게 유효하다.
제2 측면에 따른 방법의 구현에서, 방법은 안테나 디바이스의 안테나 빔을 하나 이상의 모바일 디바이스의 위치를 향해 조종할 방향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 구현에서, 안테나 디바이스는 환경의 필요(예를 들어, 안테나 디바이스의 지정 범위 내의 모바일 디바이스의 위치)에 따라 무지향성과 지향성 상태 사이에서 앞뒤로 토글될 수 있는 스마트 안테나의 일부이다.
제2 측면에 따른 방법의 추가 구현에서, 방법은 안테나 디바이스를 다시 무지향성 상태로 되돌릴 시점을 결정하는 단계, 및 하나 이상의 스위치를 동작시켜 안테나 디바이스를 지향성 상태에서 다시 무지향성 상태로 스위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 구현에서, 안테나 디바이스는 환경의 필요(예를 들어, 안테나 디바이스의 지정 범위 내의 모바일 디바이스의 위치)에 따라 무지향성과 지향성 상태 사이에서 앞뒤로 토글될 수 있는 스마트 안테나의 일부이다.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기술 및/또는 과학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본 명세서 설명된 것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방법 및 자료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실시 및 시험에 사용될 수 있으나, 예시적인 방법 및/또는 자료가 아래에 설명되어 있다. 충돌하는 경우, 정의를 포함한 특허 명세서가 우선할 것이다. 또한 자료, 방법 및 예는 예시일 뿐이지 반드시 제한하려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단지 예로서 본 명세서에 설명된다. 이하에서 세부 도면을 구체적으로 참조하는 경우, 도시된 세부사항은 예시를 위한 것이고 본 발명의 실시예의 예시적인 논의를 목적으로 한 것임을 강조한다. 이와 관련하여, 도면과 함께 기술된 설명에 의해 당업자는 본 발명의 실시예가 어떻게 실시될 수 있는지를 이해할 것이다.
도면에서,
도 1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무지향성 상태의 안테나 디바이스의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무지향성 상태에서 도 1의 안테나 디바이스에 의해 생성된 근거리 전기장의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라 θ = 135°인 방위각 평면에서 취한, 무지향성 상태에서 도 1의 안테나 디바이스에 의해 생성된 원거리 전기장의 도면이고,
도 4a 및 4b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디바이스 주위에서 구형으로 측정된 도 1의 안테나 디바이스의 총 실현 이득의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무지향성 상태에 있는 도 1의 안테나 디바이스의 임피던스 매칭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지향성 상태에 있는 도 1의 안테나 디바이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지향성 상태에 있는 도 6의 안테나 디바이스에 의해 생성된 근거리 전기장의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라 θ = 135°인 방위각 평면에서 취한, 지향성 상태에서 도 6의 안테나 디바이스에 의해 생성된 원거리 전기장의 도면이며,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디바이스 주위에서 구형으로 측정된, 지향성 상태에 있는 도 6의 안테나 디바이스의 총 실현 이득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지향성 상태에 있는 도 6의 안테나 디바이스의 임피던스 매칭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라 안테나 디바이스를 무지향성 상태에서 지향성 상태로 스위칭하는 방법의 단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이의 일부 실시예에서 안테나 디바이스에 관련되며, 보다 상세하게, 그러나 비제한적으로, Wi-Fi 액세스 포인트와 함께 사용될 수 있는 안테나 디바이스에 관련된다.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 전에, 본 발명은 하기 설명 및/또는 설명된 구성요소 및/또는 방법의 구성 및 배열의 세부사항에 대한 적용으로 반드시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거나 다양한 방식으로 실시 또는 수행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안테나 디바이스(10)는 각각 포트(12)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복수의 쌍극자 안테나(14)를 포함한다. 포트(12)는 전도성 와이어(13)를 통해 전원(15)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복수의 쌍극자 안테나가 FR-4 기판, 또는 인쇄 회로 기판과 같은 다른 적절한 기판에 배열될 수 있다. 복수의 쌍극자 안테나는 접지면(20) 위에 수평으로 배열된다. 접지면(20)은 쌍극자 안테나(14) 아래로 연장되는 평평하거나 거의 평평한 수평의 전도 표면이다. 명확성을 위해, 접지면(20)은 모든 방향으로 더 바깥쪽으로 확장될 수 있고 임의의 적절한 치수를 가질 수 있다. 접지면은 안테나 디바이스(10)의 이득을 증가시키기 위해, 쌍극자 안테나(14)의 안테나 파에 대한 반사 표면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예시된 실시예에는, 세 개의 쌍극자 안테나(14)가 있다. 세 개의 쌍극자 안테나(14)의 선택은 단지 예시일 뿐이며, 더 적거나 더 많은 쌍극자 안테나(14)가 있을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는, 적어도 세 개의 쌍극자 안테나(14)가 있다. 각각의 쌍극자 안테나(14)는, 포트(12)에 연결된 급전 암(11) 및 암(16, 18)과 함께 비대칭으로 구성된다. 도사된 실시예에서, 암(16, 18)은 길이가 거의 동일하다. 그러나, 암(16, 18)은 또한 비대칭일 수 있다. 쌍극자 안테나(14)는 전송된 신호의 파장의 절반인 전체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5 GHz에서 전송되는 신호의 경우, 파장은 자유 공간에서 60 mm이고, FR4 기판에서 약 30 mm이며, FR4 기판에 인쇄된 쌍극자 안테나(14)의 양쪽 암의 총 길이는 약 15 mm이다.
쌍극자 안테나(14)는 포트(12) 주위에 폐쇄된 형상으로 구성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폐쇄된 형상은 원형이지만, 폐쇄된 형상은 직사각형 또는 임의의 다른 다각형일 수도 있다.
수동 소자(17)는 안테나의 암(16, 18) 사이에 구성된다. 수동 소자(17)는 금속 스트립이다. 수동 소자(17)는 포트(12) 주변의 원형 또는 다각형 어레이의 둘레에 구성된다. 각 수동 소자의 길이도 전송된 파장 약 절반(예를 들어, 5 GHz 신호의 경우 15 mm)이다.
수동 소자(17)는 쌍극자 안테나(14)의 암(16, 18)에 인접하게 구성된다. 수동 소자(17) 및 암(16, 18)은 안테나 어레이의 둘레 주위에 접합점(junction point)을 정의한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세 개의 안테나(14)가 존재하고, 6개의 접합점(21, 22, 23, 24, 25, 26)이 존재한다. 암(16, 18)의 단부(end)는 해당 수동 소자(17) 위에 있거나 수동 소자(17)에 거의 닿는 동일한 평면에 있다.
스위치(30)는 접합점(21-26) 각각에 배열된다. 스위치(30)는 수동 소자(17)와 쌍극자 안테나(14)의 인접 암(16, 18)을 연결 및 분리하기 위한 전자 회로를 포함한다. 전자 회로는 예를 들어, 다이오드, 트랜지스터 및/또는 전자 스위치(30)일 수 있다. 스위치(30)는, 전자 회로가 인접한 수동 소자(17)와 암(16, 18) 사이에 폐쇄 또는 단락된 회로를 형성하는 "온" 위치와, 수동 소자(17)와 암(16, 18)이 연결되지 않은 상태로 유지되는 "오프" 위치 사이에서 스위칭 가능하다. 도 1의 실시예에서, 각 스위치(30)는 "오프" 위치에 있음을 나타내는 개방 원으로 묘사된다. 스위치(30)는 접합점(21-26) 각각에서 스위치(30)를 작동시킬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제어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원격 프로세서(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될 수 있다. 원격 프로세서 및 제어 알고리즘은 여기에서 더 논의되는 바와 같이, 무지향성 상태 및 지향성 상태 사이에서 앞뒤로 안테나 디바이스(10)를 토글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도 1의 실시예에서, 각 스위치(30)가 "오프" 위치에 있기 때문에, 안테나 디바이스(10)는 안테나 디바이스(10)의 전체 둘레에 걸쳐 동일한 구성을 가진다. 이러한 이유로, 도 2 내지 4와 함께 논의될 것과 같이, 안테나 디바이스(10)는 무지향성 전기장을 생성하며, 무지향성 상태에 있는 것으로 언급된다.
도 2는 안테나 디바이스(10)가 무지향성 상태일 때 각 쌍극자 안테나(14)를 따라 생성되는 전기장을 도시한다. 전기장의 세기는 미터당 볼트(V/m)로 측정된다. 예시의 목적으로, 전기장의 강도는 다섯 개의 영역으로 나뉜다. 안테나 디바이스(10)에 걸친 전기장의 변화는 불연속적이기보다는 연속적이며, 각 특정 영역에 대한 다음의 전기장의 근사치는 단지 포괄적 설명을 하기 위한 것이다. 영역(42)에서, 급전 암(11)과 안테나 디바이스(10)의 둘레(안테나 디바이스(10)의 나머지 부분에 연결되지 않은 암(16, 18) 및 수동 소자(17)의 영역) 모두에서 전기장은 100 내지 1,680 V/m이다. 영역(43)에서, 급전 암(11)과 안테나 디바이스(10)의 둘레 모두에서, 전기장은 1,680 내지 3,787 V/m이다. 영역(44)에서 급전 암(11)과 안테나 디바이스(10)의 둘레 모두에서, 전기장은 3,787 내지 5,893 V/m이다. 영역(45)에서, 급전 암(11)과 안테나 디바이스(10)의 둘레 모두에서, 전기장은 5,893 내지 6,947 V/m이다. 마지막으로, 포트(12)에 가장 가까운 쌍극자 안테나(14)의 부분에 해당하는 영역(46)과 또한 안테나 암(16)의 작은 부분에서 전기장은 6,947 내지 8,000V/m 이다.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전기장은 안테나(14)의 둘레 주위에서 대칭적이며, 안테나 디바이스(10)의 모서리(32, 34, 36, 38)에서의 전기장의 구별은의미가 없다.
도 3은 무지향성 상태에서 안테나 디바이스(10)에 의해 생성된 원거리 전기장(far electric field)을 도시한다. 원거리 전기장(48)은 5.5 GHz의 주파수에서 방위각 평면 패턴으로서 dBi 단위로 측정되며, 세타는 135°이다.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전기장(48)은 방위각 평면의 둘레 전체에 걸쳐 4 dBi 이상, 거의 6 dBi에서 측정된다. 원거리 전기장(48)이 무지향성 프로파일을 갖는 이유는 도 2에 도시된 근거리 전기장(near electric field)이 원형 대칭성을 갖기 때문이다. 그 결과, 원거리 전기장(48)은 낮은 리플 무지향성 패턴을 갖는다.
도 4a 및 도 4b는 무지향성 상태에서 안테나 디바이스(10)에 의해 생성된 이득(50)을 도시한다. 도 4a는 3차원에서의 이득(50) 프로파일의 형태를 도시하고, 도 4b는 dBi로 표시되는 3차원 프로파일의 다양한 영역에 대해 이득(50)의 값을 도시한다. 도 4a 및 4b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무지향성 상태에서 이득(50)은 대략 타원체 플롯을 따라 측정될 수 있다. 또한, 도 4b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이득은 방위각 평면을 따른 각 지점(즉, XY 평면을 따라 취한 단면)에서 대략 동일하다. 도 4b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영역(51)에서의 실현 이득은 -23.911 내지 -14.342 dBi이고, 영역(52)에서의 실현 이득은 -14.432 내지 -4.7726 dBi이며, 영역(53)에서의 실현 이득은 -4.7226 내지 1.1967 dBi이고, 영역(54)에서의 실현 이득은 1.1967 내지 2.4042 dBi이며, 가장 큰 영역인 영역(55)에서의 실현 이득은 2.2042 내지 4.7965 dBi이고, 영역(56)에서의 실현 이득은 약 4.7965 dBi이다. 3차원 프로파일에 걸친 이득의 차이는 이산적이기보다는 연속적이며, 영역(51 내지 56)은 포괄적 설명의 목적으로만 도시된다. 도 4a 및 4b는 안테나 디바이스(10)가 3차원에서 적어도 4 dBi의 이득을 생성할 수 있다는 것을 입증한다.
도 5는 무지향성 상태에서의 안테나 디바이스(10)의 임피던스 매칭을 도시한다. 전자공학에서, 임피던스 매칭은 전력 전달을 최대화하거나 부하로부터의 신호 반사를 최소화하기 위한, 대응하는 신호원의 출력 임피던스 또는 전기 부하의 입력 임피던스의 설계 실현이다. 도 5에, 5.15 내지 5.85 GHz의 주파수 범위에서의 S11에 대한 매칭이 예시되어 있다. 당업자에게 공지된 바와 같이, S11은 얼마나 많은 전력이 안테나로부터 반사되는지를 나타내는 안테나 효율의 척도이다. 이 측정값은 반사 계수 또는 반사 손실로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S11이 0 dBi이면, 모든 전력이 안테나에서 반사되고 아무 것도 방사되지 않는다. S11이 0 dBi보다 작으면, 이는 전력의 일부가 안테나에서 방사된다는 표시이다. S11이 음의 값에 가까워 질수록 안테나에서 반사되는 전력의 양이 적어지고, 안테나에서 더 많은 전력이 방사된다.
도 5에서 볼 수 있듯이, 5.150 GHz에서 반사 손실 또는 매칭(Y축에 표시됨)은 -10.3382 데시벨이고, 5.500 GHz에서 매칭은 -14.3404 데시벨이며, 5.850 GHz에서 매칭은 -28.7257 데시벨이다. 따라서 각 쌍극자 안테나(14)는 5.150 내지 5.850 GHz의 모든 주파수에서 효과적으로 송신하고, 측정된 범위 중에서는, 5.850 GHz에서 가장 효과적으로 송신(즉, 전력을 가장 적게 흡수하고 가장 잘 방사함)한다.
이제 지향성 상태의 안테나 디바이스(10)를 도시하는, 도면 6 내지 10에 주목한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안테나 디바이스(10)와 동일한 안테나 디바이스(10)를 도시하나, 도 1에서는 접합점(21-26)과 연관된 스위치(30) 각각이 "오프"인 반면, 도 6에서는 접합점(22 및 23)과 연관된 스위치(30)가 "온"이므로 완전한 원으로 나타내고, 다른 스위치(30)는 오프이므로 개방 원으로 나타낸다는 점은 예외이다.
접합점(22, 23)에서 스위치(30)를 켜는 효과는 두 개의 인접한 쌍극자 안테나(14)를 하나의 긴 방사 소자 또는 두 개의 급전점을 갖는 쌍극자 안테나(19)로 결합하는 것이다. 따라서 결합된 쌍극자 안테나(19)는 접합점(21)에서 접합점(22와 23) 사이에 있는 수동 소자(17)을 포함하여, 현재 폐쇄된 접합점(22와 23)을 통해 접합점(24)으로 연장된다. 다른 쌍극자 안테나(14)와 수동 소자(17)는 원래대로 유지된다. 따라서 쌍극자 안테나(14)와 수동 소자(17)는 단일 쌍극자 안테나로 기능한다. 두 쌍극자 안테나(14)를 결합한 결과는 이러한 쌍극자 안테나의 전류 분포를 변경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결합된 쌍극자 안테나(19)의 에너지는 분리된 쌍극자 안테나(14)에서의 에너지에 비해 낮다. 이것은 쌍극자 안테나(14)가 결합된 방향에 대해, 결합된 쌍극자 안테나(19)의 바로 반대 방향에서의 지향성 이득을 증가시킨다.
특히, 스위치(30)의 사용은 안테나 디바이스(10)가 쌍극자 안테나 어레이의 주변에 위치한 수동 소자(17)만을 사용하여 지향성 상태와 무지향성 상태 사이에서 스위칭될 수 있게 한다. 이는 안테나 디바이스(40)의 공간 요구를 증가시키지 않는 모드 스위칭을 허용한다. 모드 스위칭은 다수의 쌍극자 안테나(14)를 서로 결합하기 위해 수동 소자(17)를 사용하는 것에 기초한다.
도 7은 안테나 디바이스(10)가 지향성 상태일 때 각 쌍극자 안테나(14) 및 결합 쌍극자 안테나(19)를 따라 생성되는 전기장을 도시한다. 전기장의 세기는 볼트/미터(V/m)로 측정된다. 전기장의 세기는 도 2와 같이 동일한 5개의 영역(42, 43, 44, 45, 46)으로 나뉜다. 도 2와 관련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안테나 디바이스(10)에 걸친 전기장의 변화가 불연속적이기보다는 연속적이며, 각각의 특정 영역에 대한 전기장의 근사치는 단지 포괄적인 설명을 위한 것이라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도 7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도 2의 전기장과 대조적으로 지향성 모드에서 전기장은 전체 안테나 디바이스(10) 주위에서 대칭적이지 않다. 예를 들어, 결합된 쌍극자 안테나(19)의 일부가 아닌 수동 소자(17)에서 달성되는 최대 에너지는 가장 높은 에너지 영역(46) 내에 있다. 이러한 고에너지 영역은 예를 들어, 접합점(21, 24, 25, 26)에 위치한다. 그러나, 그러한 고에너지 영역은 폐쇄 접합점(22, 23)에는 존재하지 않는다.
도 8은 지향성 상태에서 안테나 디바이스(10)에 의해 생성된 원거리 전기장을 나타낸다. 원거리 전기장(60)은 5.5 GHz의 주파수에서의 방위각 평면 패턴으로서 dBi 단위로 측정되며, 세타는 135°이다.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원거리 전기장(60)은 30°내지 150°에서 6 dBi를 초과하고, 30°보다 낮고 150°보다 높은 각도에서 전기장(60)은 6 dBi보다 낮으며, -90°내지 -150°에서는 0 dBi 아래로 하강한다. 원거리 전기장(60)이 비대칭 프로파일을 갖는 이유는 도 7에 도시된 근거리 전기장의 비대칭성 때문이다. 쌍극자 위의 비대칭 근거리 전기장은 결합 안테나(19)의 반대 방향으로, 원거리 전기장에서 강한 지향성을 생성한다.
도 9a 및 도 9b는 지향성 상태에서 안테나 디바이스에 의해 생성된 이득(62)을 도시한다. 도 9a는 3차원에서의 이득(62) 프로파일의 형태를 도시하고, 도 9b는 dBi로 표현되는 3차원 프로파일에서 다양한 영역에 대한 이득(62)의 값을 도시한다. 도 9a 및 도 9b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지향성 상태에서, 고이득 영역(64, 66)은 대략 반구형 프로파일을 가정한다. 영역(72 및 7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저이득 영역은 보다 제한된 프로파일을 가정하고, 도 8에 도시된 원거리 전기장의 저이득 영역에 대략적으로 대응한다.
도 9b에서 볼 수 있듯이, 실현 이득은 지향성이 강하다. 영역(64)에서 실현 이득은 약 8.0800 dBi이고, 영역(66)에서 실현 이득은 4.9408 내지 8.0800 dBi이며, 영역(68)에서 실현 이득은 -1.3388 내지 4.940 4 dBi이고, 영역(70)에서 실현 이득은 -4.4783 내지 -1.3388 dBi이며, 영역(72)에서 실현 이득은 -7.8179 내지 -4.4783 dBi이고, 영역(74)에서 실현 이득은 -20.176 내지 -7.8179 dBi이다.
도 8, 9a 및 9b 대 도 3, 4a 및 4b의 실현 이득의 비교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지향성 상태의 최대 이득은 무지향성 상태의 최대 이득보다 3 dB 이상 크다. 예를 들어, 도 9b의 영역(64)의 최대 이득은 8.0800 dBi인 반면, 도 4b의 영역(56)의 최대 이득은 4.7695 dBi이다. 따라서, 지향성 상태는 무지향성 상태에서 해당 방향으로의 이득에 비해 원하는 방향으로 현저히 더 높은 이득을 제공한다.
도 10은 지향성 상태에서 안테나 디바이스(10)의 임피던스 매칭을 도시한다. 도 10에서는, 5.50 GHz 부근의 주파수에서 S11에 대한 매칭이 도시된다. 도 10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5.150 GHz에서 매칭(Y축에 표시)은 -11.6898 데시벨이고, 5.500 GHz에서 매칭은 -16.4896 데시벨이며, 5.850 GHz에서 매칭은 -14.9166 데시벨이다.
도 10과 도 5를 비교하면, 무지향성 및 지향성 상태 모두에서 -10 데시벨 미만으로 매칭되는 넓은 주파수 대역이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매칭은 5.150 내지 5.850 GHz의 전체 범위에 걸쳐 -10 데시벨 미만이다.
수동 소자(17)의 존재는 전술한 광대역 매칭을 가능하게 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스마트 안테나 설계의 주요 문제 중 하나는 매칭이다. 기술된 실시예에서, 단일 급전 네트워크 상에 세 개의 쌍극자 안테나(14)의 어레이가 있다. 일반적으로 쌍극자와 그 급전 네트워크를 신중하게 설계하면 단일 상태(예를 들어, 도시된 실시예의 무지향성 상태)에 대해 좋은 매칭을 얻을 수 있다. 그러나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무지향성 및 지향성의 두 가지 상태에서 양호한 매칭을 제공하는 단일 급전 네트워크를 설계하는 것이 필요하다. 수동 소자(17)를 신중하게 설계하면(즉, 길이 및 폭(예를 들어, 전송된 파장의 절반인 길이)를 구체적으로 계산하면, 무지향성 및 지향성 모드 모두에서 와이드 매칭을 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두 개의 쌍극자 안테나(14)와 하나의 수동 소자(17)가 두 개의 여기(excitation)를 갖는 단일 방사 소자(19)로 바뀌는 원리에 기초함).
설명된 안테나 디바이스(10)는 다른 디바이스에 비해 많은 다른 이점이 있다. 안테나 디바이스(10)의 구조는 작은 폼 팩터를 가지므로, 작은 크기의 액세스 포인트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무지향성 모드에서 높은 이득을 획득하는 능력은 상대적으로 높은 전송 전력(높은 유효 등방성 복사 전력(high effective isotropic radiation power, EIRP))으로 낮은 EVM(error vector magnitude)을 달성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지향성 모드에서 빔 스위칭의 고유한 메커니즘은 높은 추가 이득을 제공한다. 안테나 디바이스(10)는 예를 들어, PCB 트레이스 안테나와 같이 매우 간단하게 제조되므로 비용 효율적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라 안테나 디바이스(10)를 무지향성 상태에서 지향성 상태로 스위칭하는 방법(100)의 단계를 도시한다. 안테나 디바이스(10)는 복수의 쌍극자 안테나(14) 및 공통 포트(12)를 포함한다. 쌍극자 안테나(14) 각각은 공통 포트(12)에 연결된다. 복수의 쌍극자 안테나(14)는 포트(12) 주위에 배열된다. 복수의 쌍극자 안테나(14) 각각은 두 개의 단부(16, 18)를 포함한다. 안테나 디바이스는 복수의 수동 소자(17) 각각이 복수의 쌍극자 안테나(14)로부터 두 개의 상이한 안테나(14) 사이에 위치하도록 포트(12) 주위에 상호 교환 가능하게 배열된 복수의 수동 소자(17)를 더 포함한다. 안테나 디바이스(10)는 쌍극자 안테나(14)의 단부(16, 18)가 복수의 수동 소자(17)에 연결되지 않는 무지향성 상태, 및 (2) 복수의 수동 소자(17) 중 적어도 하나가 복수의 쌍극자 안테나(14) 중 하나의 적어도 하나의 단부(16, 18)에 연결되는 지향성 상태 사이에서 스위칭되도록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스위치(30)를 더 포함한다.
방법은 안테나 디바이스(10)가 기본 상태일 수 있는 무지향성 상태에 있을 때 시작된다. 단계(101)에서, 디바이스(10)는 선택적으로 지향성 상태에 대한 원하는 필드 방향을 결정한다. 이 결정은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모바일 디바이스가 안테나 디바이스(10)에 대해 특정 방향으로 클러스터링될 때 안테나 디바이스(10) 부근에서의 하나 이상의 모바일 디바이스의 검출에 기초할 수 있다. 안테나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안테나 디바이스의 지정 범위 내에서의 모바일 디바이스의 감지와 같은 환경의 필요에 따라 무지향성 및 지향성 상태 사이에 앞뒤로 토글될 수 있는 스마트 안테나의 일부일 수 있다.
단계(102)에서, 안테나 디바이스(10)를 무지향성 상태에서 지향성 상태로 스위칭하도록 하나 이상의 스위치(30)가 작동되어, 디바이스(10)가 원하는 방향으로 지향성 필드를 생성할 것이다. 작동 단계(102)는 안테나 디바이스(10)를 무지향성 상태(수동 소자(17)와 쌍극자 안테나(14)의 단부 중 어느 것도 서로 연결되지 않음)에서 지향성 상태(수동 소자(17) 중 적어도 하나의 단부가 쌍극자 안테나(14) 중 적어도 하나의 단부에 연결됨)로 스위칭하는 것을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작동 단계(102)는 인접한 수동 소자(17)와 쌍극자 안테나(14)를 연결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스위치(30)를 작동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유리하게는, 이 방법은 쌍극자 안테나 어레이의 주변에 위치한 수동 소자만을 사용하여 무지향성 상태와 지향성 상태 사이에서 안테나 디바이스를 스위칭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이것은 안테나 디바이스의 공간 요구 사항을 증가시키지 않는, 모드 스위칭을 허용한다. 무지향성 상태에서 쌍극자 안테나가 서로 연결되지 않은 경우 안테나 디바이스는 방위각 평면에서 고이득 패턴을 제공한다. 안테나 디바이스는 하나 이상의 쌍 각각의 두 단부가 서로 연결되는 경우 방위 평면에서도 고이득 지향성 패턴으로 변환될 수 있다.
단계(103)에서, 방법은 안테나 디바이스를 다시 무지향성 상태로 되돌릴 시점을 결정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이러한 결정은 안테나 디바이스(10) 부근(예를 들어, 안테나 디바이스 주변의 수많은 방향)에서의 하나 이상의 모바일 디바이스의 검출에 기초할 수 있다. 단계(104)에서, 방법은 하나 이상의 스위치(30)를 작동시키고, 이에 의해 안테나 디바이스를 지향성 상태에서 무지향성 상태로 다시 스위칭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이러한 구현예에서, 안테나 디바이스(10)는, 안테나 디바이스(10)의 지정 범위 내의 모바일 디바이스의 위치와 같은 환경의 필요에 따라 무지향성과 지향성 상태 사이에서 앞뒤로 토글될 수 있는 스마트 안테나의 일부이다.
단계(105)에서, 방법이 반복된다. 즉, 안테나 디바이스(10)에 대해 단일 방향에서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가 검출되면, 안테나 디바이스(10)는 전술한 방식으로 지향성 상태로 다시 스위칭될 수 있다.
당업자에 의해 이해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위에서 논의된 안테나 디바이스(10)의 전기장, 이득 및 임피던스 매칭에 대한 각각의 측정은 안테나 디바이스(10)의 하나의 특정 실시예에 대한 것이다. 안테나 디바이스(10)의 다양한 파라미터(가령, 암(16, 18)의 길이, 수동 소자(17)의 길이, 급전 암(11)의 길이, 포트(12) 주위의 쌍극자 안테나(14) 및 수동 소자(17)의 방향, 쌍극자 안테나(14) 및 수동 소자(17)에 의해 형성되는 폐쇄형 형상의 구조, 쌍극자 안테나(14)에 대한 접지면(20)의 크기 및 위치, 전원(15)으로부터 전달된 에너지)는 모두 전기장, 이득 및 임피던스 매칭에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상술한 값들은 제한적인 의미가 아니라 예시적인 의미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대한 설명은 예시의 목적으로 제시되었지만, 개시된 실시예를 망라하거나 제한하려는 것은 아니다. 설명된 실시예의 범위 및 정신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 많은 수정 및 변경이 당업자에게 분명히 이해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의 원리, 시장에서 발견되는 기술에 대한 실질적인 응용 또는 기술적 개선을 가장 잘 설명하거나, 또는 당업자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이해할 수 있도록 선택되었다.
본 출원으로부터 특허 만료 기간 동안 많은 관련 쌍극자 안테나 및 수동 소자가 개발될 것으로 예상되며 쌍극자 안테나 및 수동 소자라는 용어의 범위는 이러한 모든 신기술을 선험적으로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 "약"은 ±10%를 의미한다.
용어 "포함하다", "포함하는", "구비한다", "구비하는", "갖는" 및 이들의 활용형은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을 의미한다. 이 용어는 용어 "구성되는" 및 "본질적으로 구성되는"을 포괄한다.
"본질적으로 구성되는"이라는 문구는 조성물 또는 방법이 추가 성분 및/또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지만, 추가 성분 및/또는 단계가 청구된 조성물 또는 방법의 기본적이고 신규한 특성을 실질적으로 변경하지 않는 경우에만 그러하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a", "an" 및 "the")는 문맥상 명백하게 달리 지시하지 않는 한 복수 참조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용어 "화합물" 또는 "적어도 하나의 화합물"은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여 복수의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이라는 단어는 본 명세서에서 "예, 사례 또는 예시로 제공되는"을 의미하기 위해 사용된다. "예시적인"으로 설명된 임의의 실시예는 반드시 다른 실시예에 비해 선호되거나 유리한 것으로 해석되고/되거나 기능의 통합을 다른 실시예로부터 배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선택적으로"라는 단어는 "일부 실시예에서는 제공되고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공되지 않음"을 의미하기 위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다. 본 발명의 임의의 특정 실시예는 이러한 특징이 충돌하지 않는 한 복수의 "선택적"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 전반에 걸쳐,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범위 형식으로 제시될 수 있다. 범위 형식의 설명은 단지 편의와 간결함을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에 대한 융통성 없는 제한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됨을 이해해야 한다. 따라서, 범위에 대한 설명은 가능한 모든 하위 범위 및 해당 범위 내의 개별 숫자 값을 구체적으로 공개한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1에서 6까지와 같은 범위의 설명은 구체적으로 하위 범위(예를 들어, 1에서 3, 1에서 4, 1에서 5, 2에서 4, 2에서 6, 3에서 6 등) 뿐만 아니라 해당 범위 내의 개별 숫자(예를 들어, 1, 2, 3, 4, 5, 6)를 공개한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이는 범위의 폭에 관계없이 적용된다.
숫자 범위가 본 명세서에 표시될 때마다, 그것은 표시된 범위 내의 임의의 인용된 숫자(분수 또는 정수)를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제 1 표시 번호와 제 2 표시 번호 "에 걸친 범위/그 사이의 범위" 및 제 1 표시 번호 "내지" 제 2 표시 번호"에 걸친 범위/까지의 범위"라는 문구는 본 명세서에서 상호 교환 가능하게 사용되며, 제 1 및 제 2 표시된 번호와 그 사이의 모든 분수 및 정수를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명확성을 위해 별개의 실시예의 맥락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소정 특징은 단일 실시예의 조합으로도 제공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반대로, 간결함을 위해 단일 실시예의 맥락에서 설명되는 본 발명의 다양한 특징은 개별적으로 또는 임의의 적절한 하위 조합으로 또는 본 발명의 임의의 다른 설명된 실시예에 적합한 것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의 맥락에서 설명된 소정 특징은, 실시예가 이러한 요소 없이 작동하지 않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이들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징으로 간주되지 않는다.
비록 본 발명이 그 특정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많은 대안, 수정 및 변형이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임이 분명하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넓은 범위에 속하는 모든 그러한 대안,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본 명세서에 언급된 모든 간행물, 특허 및 특허 출원은 각각의 개별 간행물, 특허 또는 특허 출원이 참조에 의해 본 명세서에 포함됨을 구체적이고 개별적으로 표시한 것과 동일한 정도로, 그 전체가 본 명세서에 참조로 포함된다. 또한, 본 출원에서 임의의 참조의 인용 또는 식별은 그러한 참조가 본 발명에 대한 선행 기술로서 이용가능하다는 것을 인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섹션 표제가 사용되는 한, 이는 반드시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Claims (15)

  1. 안테나 디바이스로서,
    복수의 쌍극자 안테나 및 포트 - 각각의 쌍극자 안테나는 상기 포트에 연결되고, 상기 복수의 쌍극자 안테나는 상기 포트 주위에 배열되며, 상기 각각의 쌍극자 안테나는 두 개의 단부(end)를 포함함 - 와,
    복수의 수동 소자 - 상기 복수의 수동 소자 및 상기 복수의 쌍극자 안테나의 단부는 상기 복수의 수동 소자 각각이 상기 복수의 쌍극자 안테나 중 두 개의 상이한 안테나의 단부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포트 주위에 상호 교환 가능하게 배열됨 - 와,
    무지향성 상태(omnidirectional state)와 지향성 상태(directional state) 사이에서 스위칭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스위치 - 상기 무지향성 상태에서 상기 쌍극자 안테나의 단부는 상기 복수의 수동 소자에 연결되지 않고, 상기 지향성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수동 소자 중 하나의 수동 소자의 적어도 하나의 단부는 상기 복수의 안테나 중 하나의 안테나의 적어도 하나의 단부와 연결됨 - 를 포함하는,
    안테나 디바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향성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수동 소자 중 하나의 수동 소자의 적어도 두 단부는 두 개의 서로 다른 안테나에 연결되어, 상기 두 개의 서로 다른 안테나를 두 개의 급전점(two feeding point)을 갖는 하나의 긴 방사 소자로 변환하는,
    안테나 디바이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쌍극자 안테나 및 상기 복수의 수동 소자는 원형 또는 직사각형 배향(orientation)으로 상기 포트 주위에 배열되는,
    안테나 디바이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쌍극자 안테나는 접지면 위에 수평으로 배열되는,
    안테나 디바이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쌍극자 안테나는 적어도 세 개의 쌍극자 안테나를 포함하는,
    안테나 디바이스.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동 소자는 금속 스트립인,
    안테나 디바이스.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지향성 상태에서, 전체 방위각 평면에서의 이득은 적어도 4 dBi인,
    안테나 디바이스.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지향성 상태와 상기 지향성 상태 사이의 이득 차이는 적어도 3 dB인,
    안테나 디바이스.
  9.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수동 소자 및 인접 안테나를 연결 및 분리하기 위한 전자 회로와,
    지향성 상태에서, 상기 안테나 디바이스의 안테나 빔을 하나 이상의 모바일 디바이스의 위치를 향하게 조종하기 위해 인접 안테나에 연결할 수동 소자를 결정하는 제어 알고리즘을 더 포함하는,
    안테나 디바이스.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스위치는 다이오드, 트랜지스터 및 전자 스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안테나 디바이스.
  11. 안테나 디바이스를 무지향성 상태에서 지향성 상태로 스위칭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안테나 디바이스는,
    복수의 쌍극자 안테나 및 포트 - 각각의 쌍극자 안테나는 상기 포트에 연결됨- 와,
    복수의 수동 소자 - 상기 복수의 수동 소자는 상기 복수의 수동 소자 각각이 상기 복수의 쌍극자 안테나 중 두 개의 상이한 안테나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포트 주위에 상호 교환 가능하게 배열됨 - 와,
    무지향성 상태와 지향성 상태 사이에서 스위칭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스위치 - 상기 무지향성 상태에서 상기 쌍극자 안테나의 단부는 상기 복수의 수동 소자에 연결되지 않고, 상기 지향성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수동 소자 중 하나의 수동 소자의 적어도 하나의 단부는 상기 복수의 안테나 중 하나의 안테나의 적어도 하나의 단부와 연결됨 - 를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복수의 수동 소자 중 적어도 하나의 수동 소자의 적어도 하나의 단부를 상기 복수의 쌍극자 안테나 중 하나의 쌍극자 안테나의 적어도 하나의 단부에 연결함으로써, 상기 안테나 디바이스를 상기 무지향성 상태에서 상기 지향성 상태로 스위칭하도록 하나 이상의 스위치를 작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수동 소자 중 적어도 하나를 두 개의 상이한 안테나에 연결함으로써, 상기 두 개의 상이한 안테나를 두 개의 급전점을 갖는 단일의 긴 방사 소자로 변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한 방향에서 상기 무지향성 상태와 상기 지향성 상태 사이의 이득을 적어도 3 dB만큼 증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모바일 디바이스의 위치를 향해 상기 안테나 디바이스의 안테나 빔을 조종할 방향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디바이스를 다시 상기 무지향성 상태로 되돌릴 시점을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하나 이상의 스위치를 작동시켜 상기 안테나 디바이스를 다시 상기 지향성 상태에서 상기 무지향성 상태로 스위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KR1020227012575A 2019-09-18 2019-09-18 수동 소자가 있는 스마트 안테나에 의한 빔 다이버시티 KR1026444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EP2019/075026 WO2021052575A1 (en) 2019-09-18 2019-09-18 Beam diversity by smart antenna with passive element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2106A KR20220062106A (ko) 2022-05-13
KR102644455B1 true KR102644455B1 (ko) 2024-03-06

Family

ID=683872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12575A KR102644455B1 (ko) 2019-09-18 2019-09-18 수동 소자가 있는 스마트 안테나에 의한 빔 다이버시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978963B2 (ko)
EP (1) EP4022716A1 (ko)
JP (1) JP7372460B2 (ko)
KR (1) KR102644455B1 (ko)
CN (1) CN114651374B (ko)
CA (1) CA3151711C (ko)
WO (1) WO2021052575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49609A (zh) 2018-11-23 2019-03-08 南京信息工程大学 一种应用于室内基站的双模弧形偶极子阵列天线

Family Cites Families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1239223A (en) * 1984-07-02 1988-07-12 Robert Milne Adaptive array antenna
FR2666178A1 (fr) 1990-08-21 1992-02-28 Etudes Realis Protect Electron Dispositif formant antenne emettrice ou receptrice d'ondes de haute frequence.
US7236129B2 (en) * 2002-11-14 2007-06-26 Wifi-Plu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a multi-polarized antenna
US6972729B2 (en) 2003-06-20 2005-12-06 Wang Electro-Opto Corporation Broadband/multi-band circular array antenna
FR2863109B1 (fr) * 2003-11-27 2006-05-19 Centre Nat Rech Scient Antenne a diagramme de rayonnement d'emission/reception configurable et orientable, station de base correspondante
EP1551078B1 (fr) 2004-01-02 2014-04-02 Orange Antenne omnidirectionnelle configurable
US7499673B2 (en) * 2004-03-23 2009-03-03 Cisco Technology, Inc. Configurable diversity antenna system for wireless access points
KR20070006900A (ko) * 2004-05-12 2007-01-11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무선 주파수 신호 교환을 위한 안테나를 포함한 디바이스
US8031129B2 (en) * 2004-08-18 2011-10-04 Ruckus Wireless, Inc. Dual band dual polarization antenna array
US7880683B2 (en) * 2004-08-18 2011-02-01 Ruckus Wireless, Inc. Antennas with polarization diversity
US7292198B2 (en) * 2004-08-18 2007-11-06 Ruckus Wireless, Inc. System and method for an omnidirectional planar antenna apparatus with selectable elements
US7696946B2 (en) 2004-08-18 2010-04-13 Ruckus Wireless, Inc. Reducing stray capacitance in antenna element switching
US7362280B2 (en) 2004-08-18 2008-04-22 Ruckus Wireless, Inc. System and method for a minimized antenna apparatus with selectable elements
US7646343B2 (en) 2005-06-24 2010-01-12 Ruckus Wireless, Inc.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wireless antennas
DE102008003532A1 (de) * 2007-09-06 2009-03-12 Lindenmeier, Heinz, Prof. Dr. Ing. Antenne für den Satellitenempfang
GB0919948D0 (en) 2009-11-13 2009-12-30 Sec Dep For Business Innovatio Smart antenna
TWI429137B (zh) * 2010-02-05 2014-03-01 Ralink Technology Corp 用於智慧型天線之饋入裝置
US20120086616A1 (en) 2010-10-07 2012-04-12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ntenna for providing selective radiation patterns and antenna construction method
JP2014107789A (ja) 2012-11-29 2014-06-09 Hitachi Kokusai Yagi Solutions Inc 近傍通信用メアンダアンテナ
US10038240B2 (en) * 2012-12-21 2018-07-31 Drexel University Wide band reconfigurable planar antenna with omnidirectional and directional radiation patterns
CN103346392B (zh) * 2013-06-08 2015-07-22 哈尔滨工程大学 一种方向图可重构手机天线
TWI533516B (zh) * 2014-04-07 2016-05-11 啟碁科技股份有限公司 可切換式天線
CN104134859B (zh) * 2014-08-18 2016-05-04 重庆大学 一种宽带高效率高方向性电小天线
US9496623B2 (en) * 2014-11-21 2016-11-15 Sony Corporation Dual band multi-layer dipole antennas for wireless electronic devices
JP2016129320A (ja) * 2015-01-09 2016-07-14 富士通株式会社 アンテナ装置
US10892547B2 (en) * 2015-07-07 2021-01-12 Cohere Technologies, Inc. Inconspicuous multi-directional antenna system configured for multiple polarization modes
TWI678025B (zh) * 2016-03-16 2019-11-21 啟碁科技股份有限公司 智慧型天線及具有智慧型天線的無線通訊裝置
WO2018119928A1 (zh) * 2016-12-29 2018-07-05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天线及网络设备
CN107196044B (zh) * 2017-06-02 2023-02-14 华南理工大学 一种宽带多重极化可重构全向天线
CN207217750U (zh) * 2017-06-02 2018-04-10 华南理工大学 一种宽带多重极化可重构全向天线
US10396437B2 (en) * 2017-09-22 2019-08-27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CN108092007B (zh) * 2018-01-04 2023-06-30 南京信息工程大学 一种波束切换智能天线
JP7000864B2 (ja) * 2018-01-05 2022-02-04 富士通株式会社 アンテナ装置、及び、無線通信装置
US20200091990A1 (en) * 2018-09-18 2020-03-19 Amphenol Antenna Solutions, Inc. Multi-band antenna arrangements
US11183774B2 (en) * 2019-05-31 2021-11-23 The Mitre Corporation High frequency system using a circular array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49609A (zh) 2018-11-23 2019-03-08 南京信息工程大学 一种应用于室内基站的双模弧形偶极子阵列天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3151711A1 (en) 2021-03-25
CA3151711C (en) 2023-11-21
KR20220062106A (ko) 2022-05-13
CN114651374A (zh) 2022-06-21
CN114651374B (zh) 2023-09-01
WO2021052575A1 (en) 2021-03-25
EP4022716A1 (en) 2022-07-06
JP7372460B2 (ja) 2023-10-31
JP2022548753A (ja) 2022-11-21
US20220320754A1 (en) 2022-10-06
US11978963B2 (en) 2024-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hen et al. Pattern-reconfigurable antenna with five switchable beams in elevation plane
KR101872460B1 (ko) 광대역 이중 편파 안테나
Alsath et al. An integrated tri-band/UWB polarization diversity antenna for vehicular networks
Alam et al. Wideband pattern-reconfigurable antenna using pair of radial radiators on truncated ground with switchable director and reflector
Jehangir et al. A wideband sectoral quasi-Yagi MIMO antenna system with multibeam elements
Liu et al. Pattern-reconfigurable cylindrical dielectric resonator antenna based on parasitic elements
Reddy et al. Cross-configured directional UWB antennas for multidirectional pattern diversity characteristics
Hu et al. Compact collinear quasi-Yagi antenna array for wireless energy harvesting
Maurya et al. CPW-fed dual-band compact Yagi-type pattern diversity antenna for LTE and WiFi
Kumar et al. Electronically controlled beam steerable dual-band star-shaped DRA for UAS and Wi-Fi data link applications
Wounchoum et al. A switched-beam antenna using circumferential-slots on a concentric sectoral cylindrical cavity excited by coupling slots
KR102644455B1 (ko) 수동 소자가 있는 스마트 안테나에 의한 빔 다이버시티
KR101988172B1 (ko) 이중 원형 편파 안테나 장치
JPH08186425A (ja) 小型アンテナおよびダイバーシチアンテナ
CN114287085B (zh) 不含无源元件的智能天线的波束分集
Jehangir et al. A miniaturized dual UWB quasi-Yagi based MIMO antenna system using a defected ground structure
Patron et al. A reconfigurable antenna with omnidirectional and directional patterns for MIMO systems
TWI497829B (zh) 平面多磁扇輻射裝置
Qin et al. A high-gain beam-steering quasi-yagi antenna
Saikia et al. Parasitic Array Based Radiation Pattern Reconfigurable Patch Antenna for WLAN Application
EP3118931A1 (en) An antenna apparatus having a selectively orientable directivity
Wahib et al. A planar wideband Quasi-Yagi antenna with high gain and FTBR
Deepa et al. Quad Element Reconfigurable Radiation Pattern MIMO Antenna for Indoor Wireless Communication
Tsai et al. A Novel 2.4-GHz Low-Profile Smart MIMO Antenna with Reconfigurable Frequency-Selective Reflectors
Kowalewski et al. Realization of a pattern reconfigurable antenna employing PIN diod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