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4330B1 - 휴대용 척추 전만·후만각 측정기 - Google Patents

휴대용 척추 전만·후만각 측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4330B1
KR102644330B1 KR1020230008670A KR20230008670A KR102644330B1 KR 102644330 B1 KR102644330 B1 KR 102644330B1 KR 1020230008670 A KR1020230008670 A KR 1020230008670A KR 20230008670 A KR20230008670 A KR 20230008670A KR 102644330 B1 KR102644330 B1 KR 1026443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asuring
angle
measuring device
lordosis
sp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086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16025A (ko
Inventor
유원규
신선실
Original Assignee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300086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4330B1/ko
Publication of KR202300160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60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43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433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07Measuring physical dimensions, e.g. size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1071Measuring physical dimensions, e.g. size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measuring angles, e.g. using goniome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21Determining geometric values, e.g. centre of rotation or angular range of mov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5For evaluating or diagnosing the musculoskeletal system or teeth
    • A61B5/4538Evaluating a particular part of the muscoloskeletal system or a particular medical condition
    • A61B5/4561Evaluating static posture, e.g. undesirable back curva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0/00Constructional details of operational features of apparatus; Accessories for medical measuring apparatus
    • A61B2560/04Constructional details of apparatus
    • A61B2560/0431Portable apparatus, e.g. comprising a handle or cas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Geometry (AREA)
  • Physi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Rheumatology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흉추 후만 각도 요추 전만 각도를 쉽게 측정할 수 있는 휴대용 척추 전만·후만각 측정기에 관한 것으로, 간단한 구조, 쉬운 사용법 및 계산방법으로 가정에서도 쉽게 척추의 전만 각도를 측정할 수 있고, 척추의 전만 또는 후만 각도가 정상범위를 벗어난 것인지 측정하여 비정상적인 각도로 변형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고, 치료 및 운동을 통해 개선된 척추 상태를 수시로 확인할 수 있으며, 크기가 작고, 탈착식의 구조를 가지고 있어 보관 및 휴대가 용이한 휴대용 척추 전만·후만각 측정기를 구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용 척추 전만·후만각 측정기{Portable Spine Curve Measuring Instrument}
본 발명은 흉추의 후만 각도 또는 요추의 전만 각도를 쉽게 측정할 수 있는 휴대용 척추 전만·후만각 측정기에 관한 것이다.
척추는 관절로 연결된 여러 척추뼈로 구성되어 강직성을 유지하면서도 기둥의 모양이 쉽게 바뀔 수 있게 되어 있다. 임상적으로 시상 면에서의 척추 정렬은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정상적인 척추의 시상 만곡은 체중을 고르게 분포시키며, 각 관절에 대한 부담을 최소화하고, 연부조직에 대한 긴장과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좋은 자세를 유지하게 해준다. 최근 척추의 생체 역학적인 개념이 발달하면서 척추의 정상적인 기능에 있어 만곡 자체의 중요성뿐만 아니라 척추의 다양한 질병 상태와 관련한 척추 만곡의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각 척추 만곡의 정상적인 각도는 넓은 범위에 걸쳐 있으며, 성별, 연령 또는 조사자에 따라 약간씩 차이가 나지만, 요추는 정상적인 전만각도를, 흉추는 정상적인 후만각도를 유지해야 한다. 흉추 또는 요추의 만곡 각도가 정상범위에서 벗어날수록, 비정상적인 부하가 척추에 가해지게 되어 주변 근육에 통증을 유발시키고, 상기 통증이 지속될 경우 근골격계의 변형을 유발하여 만성적인 척추변형이 발생하게 될 가능성이 높아지게 된다. 따라서 척추 만곡의 정상적인 각도 유지할 수 있도록 관리하기 위해 상기 각도를 수시로 확인하는 것이 척추 건강에 매우 중요하다. 이를 위해 통상적으로 병원에서 X-ray를 촬영하거나 척추 각도 측정기로 측정할 수 있다. 그러나 X-ray는 일반 가정에서 손쉽게 사용할 수 없고, 반드시 병원에 방문해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종래의 척추 각도 측정기는 유연한 줄자를 사람 등에 맞대고, 접촉면을 따라 커브를 만들어 종이에 그린 후, 그려진 커브를 정해진 수식으로 계산하여 척추의 만곡 각도를 구할 수 있지만, 상기 종래의 척추 각도 측정기는 여러 복잡한 단계를 거쳐야 하므로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비전문가인 일반인들이 가정에서 간단하게 실시하기 힘든 문제가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20-0081773호(2020.07.08.)
이에,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간단한 구조의 측정기와 상기 측정기와 결합 가능한 각도기를 이용하여 병원에 가지 않고도 가정에서 손쉽게 흉추와 요추의 만곡 각도를 즉석에서 측정할 수 있고, 크기가 작아 휴대가 편리하며, 착탈식 결합구조를 가져 보관이 용이한 휴대용 척추 전만·후만각 측정기 및 이를 이용한 척추 전만·후만각 측정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제1 측정부, 제2 측정부 및 굽힘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측정부 및 제2 측정부는 일측면 상에 일정 간격으로 눈금이 표시되고, 상기 굽힘부는 제1 측정부와 제2 측정부를 연결하는, 측정기; 및 일면에 원점부;가 구비되고, 상기 원점부를 중심으로 원호를 따라 각도 눈금이 표시되는, 각도기;를 포함하고, 상기 측정기의 굽힘부와 상기 각도기의 원점부는 탈착이 가능한, 휴대용 척추 전만·후만각 측정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휴대용 척추 전만·후만각 측정기를 사용하여 흉추 또는 요추 중 어느 하나에 접촉하여 접촉면을 따라 상기 측정기를 굽히는 단계; 상기 측정기의 굽힘부를 각도기의 원점부에 결합하고, 제1 측정부 및 제2 측정부 각각의 굽힘 각도를 재는 단계; 상기 각각의 각도를 더하여 흉추 또는 요추 중 어느 하나의 전만 또는 후만 각도를 구하는 단계; 및 상기 전만 또는 후만의 각도가 정상범위인지 판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척추 전만·후만각 측정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척추 전만·후만각 측정기는 간단한 구조, 쉬운 사용법으로 누구나 쉽게 척추의 전만 또는 후만 각도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척추의 전만 또는 후만 각도가 정상범위를 벗어난 것인지 측정 및 진단하여 척추가 비정상적인 각도로 변형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고, 치료 및 운동을 통해 개선된 척추 상태를 수시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크기가 작고, 탈착식의 구조를 가지고 있어 보관 및 휴대가 용이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척추 전만·후만각 측정기의 측정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척추 전만·후만각 측정기의 각도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척추 전만·후만각 측정기의 개략적인 사용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척추 전만·후만각 측정기의 개략적인 사용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도 5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척추 전만·후만각 측정기의 척추 만곡 각도 계산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설명하는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이하 설명하는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이하 설명하는 기술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이하 설명하는 기술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해석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개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개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하기에 앞서, 본 명세서에서의 구성부들에 대한 구분은 각 구성부가 담당하는 주기능 별로 구분한 것에 불과함을 명확히 하고자 한다. 즉, 이하에서 설명할 2개 이상의 구성부가 하나의 구성부로 합쳐지거나 또는 하나의 구성부가 보다 세분화된 기능별로 2개 이상으로 분화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이하에서 설명할 구성부 각각은 자신이 담당하는 주기능 이외에도 다른 구성부가 담당하는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으며, 구성부 각각이 담당하는 주기능 중 일부 기능이 다른 구성부에 의해 전담되어 수행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방법 또는 동작 방법을 수행함에 있어서, 상기 방법을 이루는 각 과정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은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과정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하나의 양태로, 제1 측정부, 제2 측정부 및 굽힘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측정부 및 제2 측정부는 일측면 상에 일정 간격으로 눈금이 표시되고, 상기 굽힘부는 제1 측정부와 제2 측정부를 연결하는, 측정기; 및일면에 원점부;가 구비되고, 상기 원점부를 중심으로 원호를 따라 각도 눈금이 표시되는, 각도기;를 포함하고, 상기 측정기의 굽힘부와 상기 각도기의 원점부는 탈착이 가능한, 휴대용 척추 전만·후만각 측정기를 제공한다.
본 기술의 하나의 구현예로, 상기 굽힘부는 가요성 소재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양태로, 상기 휴대용 척추 전만·후만각 측정기를 사용하여 흉추 또는 요추 중 어느 하나에 접촉하여 접촉면을 따라 상기 측정기를 굽히는 단계; 상기 측정기의 굽힘부를 각도기의 원점부에 결합하고, 제1 측정부 및 제2 측정부를 각각의 굽힘 각도를 재는 단계; 상기 각각의 각도를 더하여 흉추 또는 요추 중 어느 하나의 전만 또는 후만 각도를 구하는 단계; 및 상기 전만 또는 후만의 각도가 정상범위인지 판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척추 전만·후만각 측정방법을 제공한다.
도 1 내지 도 5에는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예에 따른 휴대용 척추 전만·후만각 측정기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의 구현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 하기 구현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예에 따른 휴대용 척추 전만·후만각 측정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측정기(10)는 제1 측정부(11), 제2 측정부(12), 굽힘부(13) 및 중앙홀(14)을 포함한다.
상기 측정기(10)는 사람의 흉추 또는 요추 중 어느 하나에 맞대어져 접촉하는 면의 각도에 따라서 굽혀지는 장치이다. 상기 측정기(10)는 일측면상 길이 방향으로 눈금이 표시된 자의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측정기(10)는 평소 직선 형태를 유지하나, 제1 측정부(11) 및 제2 측정부(12)가 상기 굽힘부(13)를 중심으로 굽혀지면 굽혀진 형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측정기의 길이는 요추 및 흉추의 길이에 대응될 수 있도록 요추용은 10㎝ ~ 20㎝ 바람직하게는 15㎝, 흉추용은 20㎝ ~ 30㎝ 바람직하게는 25㎝ 일 수 있다.
상기 제1 측정부(11)는 상기 측정기(10)의 일측에 위치할 수 있고, 제2 측정부(12)와 굽힘부(13)를 통해 연결된다. 평소에는 상기 제1 측정부(11), 제2 측정부(12) 및 굽힘부(13)가 연결된 형태는 전체적으로 직선의 판(plate) 형태일 수 있다. 척추의 만곡 각도를 측정하기 위해 측정기(10)를 사용하게 되면, 제1 측정부(11)는 상기 흉추 또는 요추 중 어느 하나의 일면에 맞대어진다. 사용자는 상기 제1 측정부(11)가 굽힘부(13)를 기준으로 제2 측정부(12)에 대하여 일정한 각도만큼 굽혀질 수 있도록 외력을 가할 수 있다. 상기 제1 측정부(11)는 일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돌출부를 구비할 수 있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1 측정부(11)가 직선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1 측정부(11)의 일측면 상에 일정 간격으로 눈금이 표시될 수 있고, 상기 눈금으로 상기 흉추 또는 요추 중 어느 하나의 길이를 잴 수 있다.
상기 제2 측정부(12)는 상기 측정기(10)의 타측에 위치할 수 있고, 제1 측정부(11)와 굽힘부(13)를 통해 연결된다. 평소에는 상기 제1 측정부(11), 제2 측정부(12) 및 굽힘부(13)가 연결된 형태는 전체적으로 직선의 판(plate) 형태일 수 있다. 척추의 만곡 각도를 측정하기 위해 측정기(10)를 사용하게 되면, 제2 측정부(12)는 상기 흉추 또는 요추 중 어느 하나의 일면에 맞대어진다. 사용자는 상기 제2 측정부(12)가 굽힘부(13)를 기준으로 제1 측정부(11)에 대하여 일정한 각도만큼 굽혀질 수 있도록 외력을 가할 수 있다. 상기 제2 측정부(12)는 일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돌출부를 구비할 수 있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2 측정부(12)가 직선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2 측정부(12)의 일측면 상에 일정 간격으로 눈금이 표시될 수 있고, 상기 눈금으로 상기 흉추 또는 요추 중 어느 하나의 길이를 잴 수 있다. 제1 측정부(11)와 제2 측정부(12)는 길이, 형태, 모양 및 소재 등을 각각 달리할 수 있다.
상기 굽힘부(13)는 제1 측정부(11)와 제2 측정부(12)를 연결하는 곳으로써, 측정기(10)의 길이 방향 중심부에 위치할 수 있고, 사용자가 제1 측정부(11)와 제2 측정부(12)에 외력을 가하면 굽혀져 변형이 될 수 있고, 상기 외력이 제거되더라도 변형된 형태를 유지할 수 있는 모형기억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굽힘부(13)는 상기 중앙홀(14)이 척추의 기준위치에 위치되면 척추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열된 복수개의 척추뼈가 형성하는 커브면의 각도에 따라 굽혀져 일정한 각도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굽힘부(13) 양단에 연결된 제1 측정부(11)와 제2 측정부(12)는 상기 굽힘부(13)에 형성된 각도의 양단을 연장하여 상기 측정기(10)가 ‘<’또는‘>’형태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상기 측정기(10)를 흉추 또는 요추 중 어느 하나에 맞대어지도록 위치시킨 후 제1 측정부(11)와 제2 측정부(12)에 외력을 가하여 굽힘부(13)를 중심으로 굽혀져 제1 측정부(11) 및 제2 측정부(12) 사이에 일정한 각도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굽힘부(13)는 사용자의 외력에 따라 굽혀지며, 일정한 시간 동안 굽혀진 형태를 유지할 수 있는 연성의 가요성의 소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어, 은, 구리, 알루미늄, 에틸렌프로필렌(EPDM), 클로로프렌, 스티렌부타디엔(SBR) 또는 아크릴부타디엔(NBR) 등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굽힘부(13)는 상기 측정기(10)를 재사용할 수 있도록 사용 후 다시 직선 형태로 곧게 펴질 필요가 있다. 상기 굽힘부(13)에는 굽힘 각도 측정이 용이하도록 상기 측정기(10)의 길이 방향 일측면에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돌기(15)가 형성되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도기(20)의 원점부(21)에 형성된 결합홀(21a)과 착탈식 결합을 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측정기(10)의 일측면에 형성된 형성된 결합돌기(15)를 각도기(20)에 형성된 결합홀(21a)에 끼움 결합시키면서 각도기(20)에 측정기(10)를 착탈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중앙홀(14)은 상기 측정기(10)의 길이 방향 중심부 일면에서 제1 측정부와 제2 측정부 사이에 형성된 관통홀로 척추의 커브면 상에서 상기 중앙홀(14)이 기준위치에 정확하게 위치하였는지 여부를 구멍을 통해 확인할 수 있게 한다. 상기 기준위치란 3번 요추 또는 6번 흉추를 의미하며, 사용자는 상기 중앙홀(14)을 상기 기준위치에 위치시켜 사람마다 통일된 기준으로 척추의 전만 또는 후만 각을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중앙홀(14)의 형태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어, 원형 또는 다각형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예에 따른 휴대용 척추 전만·후만각 측정기의 각도기(2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각도기(20)는 평평한 플레이트의 일면에 원점부(21)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원점부(21)를 중심으로 원호를 따라 각도 눈금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각도 눈금은 상기 제1 측정부(11)와 제2 측정부(12) 각각의 굽힘 각도를 측정하기 위해서 상기 원점부(21)를 중심으로 양단에서 오름차순으로 0°~ 90°의 각도 눈금만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원점부(21)에는 상기 굽힘부(13)의 결합돌기(15)에 대응되는 결합홀(21a)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형성될 수 있고, 상기 결합돌기(15)와 결합홀(21a)은 착탈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결합돌기(15)와 결합홀(21a)이 끼움 결합하면 상기 측정기(10)가 상기 각도기(20)상에 고정 결합되어 제1 측정부(11) 및 제2 측정부(12) 각각의 굽힘 각도는 상기 제1 측정부(11) 및 제2 측정부(12)와 상기 각도기(20)의 각도 눈금과 교차하는 점의 각도 눈금을 통해 구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예에 따른 휴대용 척추 전만·후만각 측정기의 사용방법 및 전만 또는 후만 각도를 계산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사용자는 상기 측정기(10)를 측정 대상자의 흉추 또는 요추 중 어느 하나에 접촉시키고, 제1 측정부(11)와 제2 측정부(12)에 외력을 가하여 굽힘부(13)를 굽혀 제1 측정부(11) 및 제2 측정부(12) 사이에 일정한 각도를 형성시키고, 상기 굽혀진 측정기(10)와 각도기(20)을 결합하여 제1 측정부(11)의 굽힘 각도(A)를 구하고, 제2 측정부(12)의 굽힘 각도(B)를 구하여 상기 구한 각도 A와 B를 더하면 전만 또는 후만 각도(C)를 구할 수 있다.
이상 실시예를 통해 본 기술을 설명하였으나, 본 기술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실시예는 본 기술의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수정되거나 변경될 수 있으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이러한 수정과 변경도 본 기술에 속하는 것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10 : 측정기 11 : 제1 측정부
12 : 제2 측정부 13 : 굽힘부
14 : 중앙홀 20 : 각도기
21 : 원점부 15 : 결합돌기
21a : 결합홀

Claims (2)

  1. 제1 측정부, 제2 측정부, 굽힘부 및 중앙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측정부 및 제2 측정부는 일측면 상에 일정 간격으로 눈금이 표시되고, 상기 굽힘부는 제1 측정부와 제2 측정부를 연결하고, 상기 중앙홀은 제1 측정부와 제2 측정부 사이에 형성되는 관통홀인, 측정기; 및
    일면에 원점부가 구비되고, 상기 원점부를 중심으로 원호를 따라 각도 눈금이 표시되는, 각도기;를 포함하고,
    상기 측정기는 길이 방향 일측면에 결합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각도기의 원점부에는 상기 결합돌기가 끼움 결합되는 결합홀이 형성되고,
    상기 측정기의 굽힘부와 상기 각도기의 원점부는 상기 결합돌기의 결합홀 끼움 결합을 통한 탈착이 가능하며,
    상기 중앙홀은 상기 측정기의 길이 방향 중심부에 형성되고, 상기 측정기가 척추의 커브면 상에서 3번 요추 또는 6번 흉추 위치에 위치되었는지 상기 관통홀을 통해 확인할 수 있고,
    상기 원점부에 대한 상기 제1 측정부의 각도 및 상기 제2 측정부의 각도를 확인할 수 있고,
    상기 측정기는 상기 각도기와 분리 상태에서 척추에 맞대어지도록 위치된 후 상기 제1 측정부와 상기 제2 측정부에 외력이 가해지면 상기 굽힘부를 중심으로 굽혀져 상기 제1 측정부와 상기 제2 측정부 사이에 일정한 각도가 형성되고, 상기 일정한 각도가 형성된 후 상기 측정기는 상기 각도기와 결합됨으로써 상기 제1 측정부의 각도 및 상기 제2 측정부의 각도를 확인하는,
    휴대용 척추 전만·후만각 측정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굽힘부는 가요성 소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척추 전만·후만각 측정기.
KR1020230008670A 2020-07-29 2023-01-20 휴대용 척추 전만·후만각 측정기 KR1026443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08670A KR102644330B1 (ko) 2020-07-29 2023-01-20 휴대용 척추 전만·후만각 측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4421A KR20220014611A (ko) 2020-07-29 2020-07-29 휴대용 척추 전만·후만각 측정기
KR1020230008670A KR102644330B1 (ko) 2020-07-29 2023-01-20 휴대용 척추 전만·후만각 측정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4421A Division KR20220014611A (ko) 2020-07-29 2020-07-29 휴대용 척추 전만·후만각 측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6025A KR20230016025A (ko) 2023-01-31
KR102644330B1 true KR102644330B1 (ko) 2024-03-05

Family

ID=8025335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4421A KR20220014611A (ko) 2020-07-29 2020-07-29 휴대용 척추 전만·후만각 측정기
KR1020230008670A KR102644330B1 (ko) 2020-07-29 2023-01-20 휴대용 척추 전만·후만각 측정기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4421A KR20220014611A (ko) 2020-07-29 2020-07-29 휴대용 척추 전만·후만각 측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220014611A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1773A (ko) 2018-12-28 2020-07-08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휴대가 용이한 경추 상태 측정기기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상품명]"Baseline Plastic Goniometer-Finger-HiRes™(Baseline Evaluation Instruments社)", [인터넷 URL] https://www.fab-ent.com/evaluation/range-of-motion/baseline-plastic-goniometers/, [online], [2021년 11월 15일 검색] (2014.10.10. 게시)*
[제목]"Index Finger Range of Motion", [채널명]sarahray2352, [인터넷 URL] https://www.youtube.com/watch?v=ODWCaJghiF8, [online], [2021년 11월 15일 검색] (2014.04.22. 게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4611A (ko) 2022-02-07
KR20230016025A (ko) 2023-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15149B1 (en) Force measurement system
US8544347B1 (en) Force measurement system having a plurality of measurement surfaces
JP4101768B2 (ja) 褥創要因測定装置
JP4905197B2 (ja) 内臓脂肪測定装置
JP2011525394A (ja) 膝関節の安定度を測定する装置
EP2362197A1 (en) Weight measurement device
US5758658A (en) Compact human range of motion measurement system
Legnani et al. A model of an electro-goniometer and its calibration for biomechanical applications
Chiarello et al. Interrater reliability of the Cybex EDI-320 and fluid goniometer in normals and patients with low back pain
CN102131459B (zh) 内脏脂肪测定装置
US20190090781A1 (en) Sensor calibration considering subject-dependent variables and/or body positions
US743170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and monitoring range of motion of the lumbar spine
WO2018105723A1 (ja) 負荷測定装置、介助装置、負荷測定方法、および負荷測定プログラム
Willner Spinal pantograph—a noninvasive anthropometric device for describing postures and asymmetries of the trunk
KR102644330B1 (ko) 휴대용 척추 전만·후만각 측정기
JP5732775B2 (ja) 体脂肪測定装置
Letafatkar et al. RETRACTED: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AutoCAD software method in lumbar lordosis measurement
JP2004135698A (ja) 健康管理指針アドバイス装置
JP6385194B2 (ja) 筋トーヌス計測装置
KR101938199B1 (ko) 척추질환 진단 및 교정 가방
RU2504350C1 (ru) Интерактивное устройство коррекции осанки человека и способ коррекции осанки
KR20190018265A (ko) 자세 모니터링 장치, 시스템 및 방법
JP2010115378A (ja) 姿勢制御機能診断装置
CN210784383U (zh) 一种医用ct和mr负重位扫描辅助装置
CN113842136A (zh) 一种腰椎活动度的检测设备和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