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3862B1 - Specific tools - Google Patents

Specific tool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3862B1
KR102643862B1 KR1020237033438A KR20237033438A KR102643862B1 KR 102643862 B1 KR102643862 B1 KR 102643862B1 KR 1020237033438 A KR1020237033438 A KR 1020237033438A KR 20237033438 A KR20237033438 A KR 20237033438A KR 102643862 B1 KR102643862 B1 KR 1026438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member
distance
chain
opposing portion
wid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3343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30145219A (en
Inventor
츠토무 야마구치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 덴키 빌딩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 덴키 빌딩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 덴키 빌딩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301452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521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38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386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31/00Accessories for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e.g. for sterilising or clea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9/00Safety device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Landscapes

  • Escalators And Moving Walkways (AREA)

Abstract

특정용 공구(30)는 판 부재(31)를 구비한다. 판 부재(31)는 대향부(33~36)를 구비한다. 대향부(34)는 대향부(33)와 대향한다. 대향부(34)는 대향부(33)와에 의해서 거리(L1)의 폭을 가지는 노치(41)를 형성한다. 대향부(36)는 대향부(35)와 대향한다. 대향부(36)는 대향부(35)와에 의해서 거리(L2)의 폭을 가지는 노치(42)를 형성한다. 특정용 공구(30)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 에스컬레이터에서 사용되고 있는 체인의 사이즈를 용이하게 특정할 수 있다. The specification tool 30 is provided with a plate member 31. The plate member 31 has opposing portions 33 to 36. The opposing portion 34 faces the opposing portion 33. The opposing portion 34 forms a notch 41 having a width of the distance L1 by the opposing portion 33. The opposing portion 36 faces the opposing portion 35. The opposing portion 36 forms a notch 42 having a width of the distance L2 by the opposing portion 35. By using the specification tool 30, the size of the chain used in the escalator can be easily specified.

Description

특정용 공구Specific tools

본 개시는 에스컬레이터에서 사용되고 있는 체인의 사이즈를 특정하기 위한 공구에 관한 것이다. This disclosure relates to a tool for specifying the size of a chain used in an escalator.

특허문헌 1에, 에스컬레이터가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에스컬레이터에는 다양한 체인이 사용된다. 에스컬레이터에서는, 점검에 있어서 체인의 신장률이 측정된다. 측정된 신장률이 기준값을 초과하고 있으면, 체인의 교환이 필요하게 된다. 해당 기준값은 체인의 사이즈에 따라 정해지는 값이다. Patent Document 1 describes an escalator. As described in Patent Document 1, various chains are used in escalators. In escalators, the elongation of the chain is measured during inspection. If the measured elongation exceeds the standard value, replacement of the chain becomes necessary. The standard value is a valu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chain.

일본 특허공개 제2010-241588호 공보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2010-241588

에스컬레이터의 보수원은, 상기 기준값을 결정하기 위해서, 점검시에 체인의 사이즈를 확인해야 한다. 그러나, 에스컬레이터에서 사용되고 있는 체인은, 좁은 기계실의 후미진 장소에 배치되어 있는 것도 있어, 그 확인 작업에 수고가 든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The escalator maintenance worker must check the size of the chain during inspection in order to determine the above-mentioned standard value. However, the chains used in escalators are sometimes placed in remote locations in narrow machine rooms, so there is a problem that checking them requires time.

본 개시는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졌다. 본 개시의 목적은, 에스컬레이터에서 사용되고 있는 체인의 사이즈를 용이하게 특정할 수 있는 특정용 공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This disclosure was made to solve the problems described above. The purpose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to provide a specification tool that can easily specify the size of a chain used in an escalator.

본 개시에 따른 특정용 공구는, 에스컬레이터에서 사용되고 있는 체인의 사이즈를 특정하기 위한 공구이다. 해당 특정용 공구는 제1 판 부재를 구비한다. 제1 판 부재는 제1 대향부와, 제1 대향부와 대향하고, 제1 대향부와에 의해서 제1 거리의 폭을 가지는 제1 노치를 형성하는 제2 대향부와, 제3 대향부와, 제3 대향부와 대향하고, 제3 대향부와에 의해서 제2 거리의 폭을 가지는 제2 노치를 형성하는 제4 대향부를 구비한다. 제1 거리 및 제2 거리는, 에스컬레이터에서 사용될 수 있는 체인의 외측 플레이트의 폭에 맞추어 설정된다. 제2 거리는 제1 거리보다 작다. The specification tool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is a tool for specifying the size of a chain used in an escalator. The specific tool has a first plate member. The first plate member includes a first opposing portion, a second opposing portion opposing the first opposing portion and forming a first notch having a width of a first distance by the first opposing portion, and a third opposing portion. , and has a fourth opposing portion that faces the third opposing portion and forms a second notch having a width of a second distance by the third opposing portion. The first distance and the second distance are set to match the width of the outer plate of the chain that can be used in the escalator. The second distance is smaller than the first distance.

본 개시에 따른 특정용 공구는, 에스컬레이터에서 사용되고 있는 체인의 사이즈를 특정하기 위한 공구이다. 해당 특정용 공구는 통 부재와, 통 부재의 제1 가장자리부에 마련된 제1 판 부재와, 제1 가장자리부에 마련되고, 제1 판 부재와의 사이에 제1 거리의 폭을 가지는 제1 홈이 형성된 제2 판 부재와, 제1 가장자리부에 마련되고, 제1 판 부재와의 사이에 제2 거리의 폭을 가지는 제2 홈이 형성된 제3 판 부재를 구비한다. 제1 거리 및 제2 거리는, 에스컬레이터에서 사용될 수 있는 체인의 외측 플레이트의 폭에 맞추어 설정된다. 제2 거리는 제1 거리보다 작다. The specification tool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is a tool for specifying the size of a chain used in an escalator. The specification tool includes a cylinder member, a first plate member provided on a first edge of the cylinder member, and a first groove provided on the first edge and having a width of a first distance between the cylinder member and the first plate member. It is provided with this formed second plate member and a third plate member provided on the first edge and having a second groove having a width of a second distance between the first plate member and the first plate member. The first distance and the second distance are set to match the width of the outer plate of the chain that can be used in the escalator. The second distance is smaller than the first distance.

본 개시에 따른 특정용 공구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 에스컬레이터에서 사용되고 있는 체인의 사이즈를 용이하게 특정할 수 있다. By using the specification tool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the size of the chain used in the escalator can be easily specified.

도 1은 에스컬레이터의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체인의 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은 체인의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특정용 공구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특정용 공구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특정용 공구를 이용하여 체인의 사이즈를 특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특정용 공구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 나타내는 특정용 공구를 A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9는 도 7 및 도 8에 나타내는 특정용 공구를 이용하여 체인의 사이즈를 특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특정용 공구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에 나타내는 특정용 공구를 이용하여 체인의 사이즈를 특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특정용 공구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도 12에 나타내는 특정용 공구를 이용하여 체인의 사이즈를 특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특정용 공구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of an escalator.
Figure 2 is a sid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chain.
Figure 3 is a plan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chain.
Fig. 4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specific tool in Embodiment 1.
Figure 5 is a diagram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specific tool.
Figure 6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of specifying the size of a chain using a specification tool.
Figure 7 is a diagram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specific tool.
FIG. 8 is a view of the specification tool shown in FIG. 7 viewed from direction A.
FIG. 9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of specifying the size of a chain using the specification tool shown in FIGS. 7 and 8.
Figure 10 is a diagram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specific tool.
FIG. 11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of specifying the size of a chain using the specification tool shown in FIG. 10.
Figure 12 is a diagram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specific tool.
FIG. 13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of specifying the size of a chain using the specification tool shown in FIG. 12.
Figure 14 is a diagram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specific tool.

이하에,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한 설명을 행한다. 중복되는 설명은, 적절히 간략화 내지 생략한다. 각 도면에 있어서,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부분 또는 상당하는 부분을 나타낸다. Below, detailed description is given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Overlapping descriptions will be appropriately simplified or omitted. In each drawing, like symbols represent like parts or equivalent parts.

실시 형태 1. Embodiment 1.

도 1은 에스컬레이터의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에스컬레이터는 트러스(1), 및 스텝(2)을 구비한다. 트러스(1)는 상하의 층에 걸쳐 놓여있다. 승객은 스텝(2)에 올라 탑승구(도시하지 않음)로부터 하차구(3)로 이동한다. 즉, 도 1은 상향의 에스컬레이터를 나타낸다. 도 1에 나타내는 에스컬레이터는, 하향의 에스컬레이터여도 된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of an escalator. The escalator has a truss (1) and steps (2). The truss (1) is laid over the upper and lower layers. Passengers climb the step 2 and move from the boarding gate (not shown) to the disembarkation gate 3. That is, Figure 1 shows an upward escalator. The escalator shown in FIG. 1 may be a downward escalator.

하차구(3)의 하방에, 기계실(4)이 마련된다. 기계실(4)은 트러스(1)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이다. 기계실(4)은 바닥판(5)에 의해서 막혀져 있다. 바닥판(5)은 하차구(3)의 바닥을 형성한다. 기계실(4)에, 전동기(6) 및 제어 장치(7)가 마련된다. 전동기(6)는 스프로킷(8)을 구동한다. 제어 장치(7)는 전동기(6)를 제어한다. Below the unloading port 3, a machine room 4 is provided. The machine room (4) is a space formed inside the truss (1). The machine room (4) is closed by a floor plate (5). The bottom plate (5) forms the bottom of the unloading port (3). In the machine room 4, an electric motor 6 and a control device 7 are provided. The electric motor (6) drives the sprocket (8). The control device 7 controls the electric motor 6.

스프로킷(8)이 마련된 축(9)에, 스프로킷(10 및 11)이 마련된다. 스프로킷(10 및 11)은 스프로킷(8)과 함께 회전한다. 스프로킷(10)에, 스텝 체인(12)이 감겨 걸려져 있다. 스텝 체인(12)에 다수의 스텝 축(13)이 마련된다. 각 스텝 축(13)에 스텝(2)이 고정된다. 이것에 의해, 스텝 체인(12)에 다수의 스텝(2)이 연결된다. 스텝 체인(12)에 견인되는 것에 의해, 스텝(2)은 이동한다. Sprockets 10 and 11 are provided on the shaft 9 on which the sprocket 8 is provided. Sprockets 10 and 11 rotate together with sprocket 8. A step chain 12 is wound around the sprocket 10. The step chain 12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tep axes 13. A step 2 is fixed to each step axis 13. Thereby, a number of steps 2 are connected to the step chain 12. The step 2 moves by being pulled by the step chain 12.

스프로킷(11)에, 핸드레일 체인(14)이 감겨 걸려져 있다. 핸드레일 체인(14)은 전동기(6)의 구동력을 구동 장치(15)에 전달한다. 구동 장치(15)는 이동 핸드레일(16)을 구동한다. A handrail chain (14) is wound around the sprocket (11). The handrail chain 14 transmits the driving force of the electric motor 6 to the driving device 15. The driving device 15 drives the moving handrail 16.

스텝 체인(12) 및 핸드레일 체인(14)은, 에스컬레이터에서 사용되는 체인의 일례이다. 에스컬레이터에 있어서 다른 체인이 사용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구동 장치(15)에, 이동 핸드레일(16)에 접촉하는 롤러를 회전시키기 위한 체인이 구비된다. The step chain 12 and the handrail chain 14 are examples of chains used in escalators. Other chains may be used in escalators. For example, the drive device 15 is provided with a chain for rotating a roller that contacts the moving handrail 16 .

보수원은, 에스컬레이터의 점검에 있어서, 이들 체인의 신장률을 측정하고, 측정한 신장률을 기준값과 비교한다. 보수원은, 해당 기준값을 결정하기 위해서, 체인의 사이즈를 특정할 필요가 있다. 이하에, 에스컬레이터에서 사용되고 있는 체인의 사이즈를 특정하기 위한 공구에 대해 자세하게 설명한다. When inspecting escalators, maintenance workers measure the elongation of these chains and compare the measured elongation with a reference value. The maintenance source needs to specify the size of the chain in order to determine the relevant reference value. Below, a tool for specifying the size of a chain used in an escalator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먼저,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체인의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체인의 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은 체인의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체인은 내측 링크(20), 및 외측 링크(21)를 구비한다. First,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3, the structure of the chain will be described. Figure 2 is a sid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chain. Figure 3 is a plan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chain. The chain has an inner link (20) and an outer link (21).

내측 링크(20)는 한 쌍의 내측 플레이트(22), 한 쌍의 부시(23), 및 한 쌍의 롤러(24)를 구비한다. 한 쌍의 내측 플레이트(22)는,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각 부시(23)는 한 쌍의 내측 플레이트(22)를 연결한다. 롤러(24)는 부시(23)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다. 부시(23)는 롤러(24)를 관통한다. 롤러(24)는 한 쌍의 내측 플레이트(22) 사이에 배치된다. The inner link 20 has a pair of inner plates 22, a pair of bushes 23, and a pair of rollers 24. A pair of inner plates 22 are arranged to face each other. Each bush 23 connects a pair of inner plates 22. The roller 24 is rotatably provided on the bush 23. The bush 23 penetrates the roller 24. The roller 24 is disposed between a pair of inner plates 22.

외측 링크(21)는 한 쌍의 외측 플레이트(25), 및 한 쌍의 핀(26)을 구비한다. 한 쌍의 외측 플레이트(25)는, 내측 링크(20)를 사이에 끼워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각 핀(26)은 한 쌍의 외측 플레이트(25)를 연결한다. 핀(26)은 부시(23)를 관통한다. 이것에 의해, 외측 링크(21)와 내측 링크(20)가 연결된다. The outer link 21 has a pair of outer plates 25 and a pair of pins 26. A pair of outer plates 25 are arranged to face each other with the inner link 20 sandwiched between them. Each pin 26 connects a pair of outer plates 25. The pin (26) penetrates the bush (23). By this, the outer link 21 and the inner link 20 are connected.

도 4는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특정용 공구(30)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특정용 공구(30)는 판 부재(31), 및 끈 모양 부재(32)를 구비한다. 일례로서, 판 부재(31)는 일정 두께를 가지는 철판으로 이루어진다. 판 부재(31)에는, 에스컬레이터에서 사용될 수 있는 체인의 외측 플레이트(25)의 폭(W1)(도 2 참조)에 따른 복수의 노치가 형성되어 있다. FIG. 4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the specification tool 30 in Embodiment 1. The specifying tool 30 includes a plate member 31 and a string-shaped member 32. As an example, the plate member 31 is made of an iron plate with a certain thickness. The plate member 31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notches corresponding to the width W1 (see FIG. 2) of the outer plate 25 of the chain that can be used in the escalator.

구체적으로, 도 4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상기 노치를 형성하기 위한 대향부(33~40)가 판 부재(31)에 구비되어 있다. 대향부(33) 및 대향부(34)는 서로 대향한다. 대향부(33)와 대향부(34)에 의해서, 거리 L1의 폭을 가지는 노치(41)가 형성된다. 거리 L1은, 표기 「RS80」에 의해서 특정되는 체인의 외측 플레이트(25)의 폭(W1)에 맞추어 설정되어 있다. 즉, 대향부(33) 및 대향부(34)는, RS80의 체인의 외측 플레이트(25)가 그 사이에 꼭 들어맞도록 마련되어 있다. Specifically, in the example shown in FIG. 4 , the plate member 31 is provided with opposing portions 33 to 40 for forming the notch. The opposing portion 33 and the opposing portion 34 face each other. A notch 41 having a width of the distance L1 is formed by the opposing portions 33 and 34. The distance L1 is set in accordance with the width W1 of the outer plate 25 of the chain specified by the notation “RS80”. That is, the opposing portions 33 and 34 are provided so that the outer plate 25 of the chain of RS80 fits snugly therebetween.

대향부(35) 및 대향부(36)는 서로 대향한다. 대향부(35)와 대향부(36)에 의해서, 거리 L2의 폭을 가지는 노치(42)가 형성된다. 거리 L2는, 표기 「RS60」에 의해서 특정되는 체인의 외측 플레이트(25)의 폭(W1)에 맞추어 설정되어 있다. 거리 L2는, 거리 L1보다 작다. 도 4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노치(42)는 노치(41)의 내측에서 개구된다. The opposing portion 35 and the opposing portion 36 face each other. A notch 42 having a width of the distance L2 is formed by the opposing portions 35 and 36. The distance L2 is set in accordance with the width W1 of the outer plate 25 of the chain specified by the notation “RS60”. Distance L2 is smaller than distance L1. In the example shown in FIG. 4 , the notch 42 is opened inside the notch 41 .

대향부(37) 및 대향부(38)는 서로 대향한다. 대향부(37)와 대향부(38)에 의해서, 거리 L3의 폭을 가지는 노치(43)가 형성된다. 거리 L3는, 표기 「RS50」에 의해서 특정되는 체인의 외측 플레이트(25)의 폭(W1)에 맞추어 설정되어 있다. 거리 L3는, 거리 L2보다 작다. 도 4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노치(43)는 노치(42)의 내측에서 개구된다. The opposing portions 37 and 38 face each other. A notch 43 having a width of the distance L3 is formed by the opposing portions 37 and 38. The distance L3 is set to match the width W1 of the outer plate 25 of the chain, which is specified by the notation “RS50”. Distance L3 is smaller than distance L2. In the example shown in FIG. 4 , the notch 43 is opened inside the notch 42 .

대향부(39) 및 대향부(40)는 서로 대향한다. 대향부(39)와 대향부(40)에 의해서, 거리 L4의 폭을 가지는 노치(44)가 형성된다. 거리 L4는, 표기 「RS40」에 의해서 특정되는 체인의 외측 플레이트(25)의 폭(W1)에 맞추어 설정되어 있다. 거리 L4는, 거리 L3보다 작다. 도 4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노치(44)는 노치(43)의 내측에서 개구된다. The opposing portion 39 and the opposing portion 40 face each other. A notch 44 having a width of the distance L4 is formed by the opposing portions 39 and 40. The distance L4 is set to match the width W1 of the outer plate 25 of the chain, which is specified by the notation “RS40”. Distance L4 is smaller than distance L3. In the example shown in FIG. 4 , the notch 44 is opened inside the notch 43 .

또한, 판 부재(31)에 관통공(45)이 형성된다. 끈 모양 부재(32)는 관통공(45)을 이용하여 판 부재(31)에 연결된다. Additionally, a through hole 45 is formed in the plate member 31. The strap-like member 32 is connected to the plate member 31 using a through hole 45.

도 4는 대향부(34)의 가장자리, 대향부(36)의 가장자리, 대향부(38)의 가장자리, 및 대향부(40)의 가장자리가 일직선 모양으로 배치되는 예를 나타낸다. 도 5는 특정용 공구(30)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대향부(34)의 가장자리, 대향부(36)의 가장자리, 대향부(38)의 가장자리, 및 대향부(40)의 가장자리는, 도 5에 나타내는 예와 같이, 일직선 모양으로 배치되지 않아도 된다. Figure 4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edge of the opposing portion 34, the edge of the opposing portion 36, the edge of the opposing portion 38, and the edge of the opposing portion 40 are arranged in a straight line. FIG. 5 is a diagram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specific tool 30. The edge of the opposing portion 34, the edge of the opposing portion 36, the edge of the opposing portion 38, and the edge of the opposing portion 40 do not have to be arranged in a straight line as in the example shown in FIG. 5.

도 6은 특정용 공구(30)를 이용하여 체인의 사이즈를 특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보수원은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특정용 공구(30)를 체인에 갖다 댄다. 구체적으로, 보수원은 끈 모양 부재(32)를 손가락 혹은 손목에 건 상태에서 판 부재(31)를 유지한다. 그리고, 보수원은 체인의 외측 플레이트(25)에 대해서 판 부재(31)를 측방으로부터 맞댄다. 보수원은 외측 플레이트(25)가 꼭 들어맞는 노치를 찾아내는 것에 의해, 체인의 사이즈를 특정할 수 있다. 도 6에 나타내는 예이면, 보수원은 사용되고 있는 체인이 RS60의 체인이라고 특정할 수 있다. Figure 6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of specifying the size of a chain using the specification tool 30. The maintenance worker places the specification tool 30 on the chain as shown in FIG. 6 . Specifically, the maintenance member holds the plate member 31 while attaching the strap-like member 32 to the finger or wrist. Then, the maintenance member abuts the plate member 31 against the outer plate 25 of the chain from the side. The maintenance worker can specify the size of the chain by finding the notch where the outer plate 25 fits. In the example shown in FIG. 6, the maintenance worker can specify that the chain being used is the RS60 chain.

특정용 공구(30)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 보수원은, 예를 들어 체인이 좁은 기계실(4)의 후미진 장소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라도, 그 체인의 사이즈를 용이하게 특정할 수 있다. By using the specification tool 30, the maintenance worker can easily specify the size of the chain, for example, even if the chain is placed in a back area of the narrow machine room 4.

본 실시 형태에서는, 특정용 공구(30)의 판 부재(31)에 4개의 노치(41~44)가 형성되는 예에 대해 설명했다. 이것은 일례이다. 판 부재(31)에 2개 혹은 3개의 노치밖에 형성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판 부재(31)에 5개 이상의 노치가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In this embodiment, an example in which four notches 41 to 44 are formed in the plate member 31 of the specification tool 30 has been described. This is an example. Only two or three notches need to be formed in the plate member 31. Five or more notches may be formed in the plate member 31.

도 7은 특정용 공구(30)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 나타내는 특정용 공구(30)를 A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에 나타내는 특정용 공구(30)는, 도 4에 나타내는 예와 마찬가지로, 판 부재(31)에 대향부(33~40)가 구비된다. 또한, 판 부재(31)에 노치(41~44)가 형성된다. 한편, 도 7 및 도 8에 나타내는 특정용 공구(30)는, 노치(41~44)가 각각 독립해서 판 부재(31)에 형성되어 있는 점에서 도 4에 나타내는 예와 상위하다. FIG. 7 is a diagram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specific tool 30. FIG. 8 is a view of the specification tool 30 shown in FIG. 7 as seen from the A direction. In the specification tool 30 shown in FIGS. 7 and 8 , the plate member 31 is provided with opposing portions 33 to 40, similar to the example shown in FIG. 4 . Additionally, notches 41 to 44 are formed in the plate member 31. On the other hand, the specific tool 30 shown in FIGS. 7 and 8 is different from the example shown in FIG. 4 in that the notches 41 to 44 are each independently formed on the plate member 31.

도 7 및 도 8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노치(41) 및 노치(42)는, 옆으로 늘어서도록 배치된다. 노치(41) 및 노치(42)는, 동일 방향으로 개구된다. 노치(43) 및 노치(44)는, 옆으로 늘어서도록 배치된다. 노치(43) 및 노치(44)는, 동일 방향으로 개구된다. 노치(44)는 노치(41)가 개구되는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개구된다. 노치(43)는 노치(42)가 개구되는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개구된다. In the examples shown in FIGS. 7 and 8 , the notches 41 and 42 are arranged so as to line up laterally. The notches 41 and 42 are opened in the same direction. The notches 43 and 44 are arranged so as to line up laterally. The notches 43 and 44 are opened in the same direction. The notch 44 is open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notch 41 is opened. The notch 43 is open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notch 42 is opened.

또한, 도 7 및 도 8에 나타내는 특정용 공구(30)는, 끈 모양 부재(32)를 대신하여 폴딩부(46)를 구비하는 점에서 도 4에 나타내는 예와 상위하다. 폴딩부(46)는 판 부재(31)에 마련된다. 폴딩부(46)는 판 부재(31)와 직교하도록 배치된다. 보수원은 폴딩부(46)를 잡고 특정용 공구(30)를 체인에 갖다 댄다. 특정용 공구(30)를 떨어뜨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폴딩부(46)에 끈 모양 부재(32)가 연결되어도 된다. Moreover, the specification tool 30 shown in FIGS. 7 and 8 is different from the example shown in FIG. 4 in that it is provided with a folding portion 46 instead of the strap-like member 32. The folding portion 46 is provided on the plate member 31. The folding portion 46 is arranged to be perpendicular to the plate member 31. The maintenance worker holds the folding part 46 and applies the special tool 30 to the chain. To prevent dropping the specification tool 30, a string-like member 32 may be connected to the folding portion 46.

도 9는 도 7 및 도 8에 나타내는 특정용 공구(30)를 이용하여 체인의 사이즈를 특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에 나타내는 특정용 공구(30)를 이용하는 경우, 보수원은 특정용 공구(30)를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세운 상태에서 체인에 갖다 대도 된다. 도 7 및 도 8에 나타내는 예이면, 특정용 공구(30)를 체인의 외측 플레이트(25)에 갖다 댔을 때, 해당 외측 플레이트(25)에 인접하는 외측 플레이트(25)에 판 부재(31)가 간섭하지 않는다. FIG. 9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of specifying the size of a chain using the specification tool 30 shown in FIGS. 7 and 8. When using the specifying tool 30 shown in FIGS. 7 and 8, the maintenance worker may place the specifying tool 30 on the chain in an upright position as shown in FIG. 9. In the example shown in FIGS. 7 and 8, when the specification tool 30 is applied to the outer plate 25 of the chain, the plate member 31 is placed on the outer plate 25 adjacent to the outer plate 25. does not interfere

도 10은 특정용 공구(30)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의 (a)는, 특정용 공구(30)의 정면도를 나타낸다. 도 10의 (b)는, 특정용 공구(30)의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10의 (c)는, 특정용 공구(30)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10에 나타내는 특정용 공구(30)는, 판 부재(31), 및 판 부재(47)를 구비한다. FIG. 10 is a diagram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specific tool 30. Figure 10(a) shows a front view of the specification tool 30. Figure 10(b) shows a side view of the specification tool 30. Figure 10(c) shows a top view of the specification tool 30. The specification tool 30 shown in FIG. 10 includes a plate member 31 and a plate member 47.

일례로서, 판 부재(31) 및 판 부재(47)는, 각각, 일정 두께를 가지는 철판으로 이루어진다. 판 부재(47)는 판 부재(31)에 마련된다. 판 부재(47)는 판 부재(31)와 직교하도록 배치된다. 도 10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판 부재(31)와 판 부재(47)는, 전체적으로 L자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As an example, the plate member 31 and the plate member 47 are each made of an iron plate having a certain thickness. The plate member 47 is provided on the plate member 31. The plate member 47 is arranged to be perpendicular to the plate member 31. In the example shown in FIG. 10, the plate member 31 and the plate member 47 are formed overall into an L shape.

판 부재(31)는 서로 대향하는 대향부(33 및 34)와 서로 대향하는 대향부(39및 40)를 구비한다. 즉, 판 부재(31)에, 노치(41) 및 노치(44)가 형성된다. 노치(44)는 노치(41)가 개구되는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개구된다. The plate member 31 has opposing portions 33 and 34 that face each other, and opposing portions 39 and 40 that face each other. That is, notches 41 and 44 are formed in the plate member 31. The notch 44 is open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notch 41 is opened.

판 부재(47)는 서로 대향하는 대향부(35 및 36)와 서로 대향하는 대향부(37및 38)를 구비한다. 즉, 판 부재(47)에, 노치(42) 및 노치(43)가 형성된다. 노치(43)는 노치(42)가 개구되는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개구된다. The plate member 47 has opposing portions 35 and 36 that face each other, and opposing portions 37 and 38 that face each other. That is, notches 42 and 43 are formed in the plate member 47. The notch 43 is open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notch 42 is opened.

도 11은 도 10에 나타내는 특정용 공구(30)를 이용하여 체인의 사이즈를 특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에 나타내는 특정용 공구(30)를 이용하는 경우, 보수원은 특정용 공구(30)를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판 부재(47)를 세운 상태에서 체인에 갖다 대도 된다. 판 부재(47)는 판 부재(31)에 대해서 직각으로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특정용 공구(30)가 체인의 외측 플레이트(25)에 갖다 대어져도, 해당 외측 플레이트(25)에 인접하는 외측 플레이트(25)에 판 부재(31)는 간섭하지 않는다. 판 부재(31)를 체인에 갖다 대는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FIG. 11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of specifying the size of a chain using the specification tool 30 shown in FIG. 10. When using the specifying tool 30 shown in FIG. 10, the maintenance worker may place the specifying tool 30 on the chain with the plate member 47 upright as shown in FIG. 11. Since the plate member 47 is provided at a right angle to the plate member 31, as shown in FIG. 11, even if the specifying tool 30 is applied to the outer plate 25 of the chain, the outer plate 25 The plate member 31 does not interfere with the outer plate 25 adjacent to . The same applies to placing the plate member 31 on the chain.

도 10에 나타내는 예에서, 판 부재(47)는 판 부재(31)에 대해서 비스듬하게 마련되어도 된다. 이러한 경우, 판 부재(31)와 직교하는 방향에서 보아, 판 부재(47)는 노치(41) 및 노치(44)와 중첩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판 부재(47)와 직교하는 방향에서 보아, 판 부재(31)는 노치(42) 및 노치(43)와 중첩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example shown in FIG. 10 , the plate member 47 may be provided at an angle with respect to the plate member 31 . In this case, when viewed from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plate member 31, the plate member 47 is preferably disposed at a position that does not overlap the notches 41 and 44. Additionally, when viewed from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plate member 47, the plate member 31 is preferably disposed at a position that does not overlap the notches 42 and 43.

도 12는 특정용 공구(30)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박스형의 특정용 공구(30)를 나타낸다. 도 12의 (a)는, 특정용 공구(30)의 정면도이다. 도 12의 (b)는, 특정용 공구(30)의 평면도이다. 도 12에 나타내는 특정용 공구(30)는, 통 부재(48), 및 판 부재(49~52)를 구비한다. FIG. 12 is a diagram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specific tool 30. Fig. 12 shows a box-shaped specification tool 30. Figure 12(a) is a front view of the specification tool 30. Figure 12(b) is a top view of the specification tool 30. The specification tool 30 shown in FIG. 12 includes a barrel member 48 and plate members 49 to 52.

일례로서, 판 부재(49~52)는, 각각, 일정 두께를 가지는 직사각형 모양의 철판으로 이루어진다. 판 부재(49~52)는 통 부재(48)의 일방의 가장자리부에 마련된다. 판 부재(49~52)는 각각의 표면이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되도록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판 부재(49~52)에 의해, 에스컬레이터에서 사용될 수 있는 체인의 외측 플레이트(25)의 폭(W1)(도 2 참조)에 따른 복수의 홈이 형성된다. As an example, the plate members 49 to 52 are each made of rectangular iron plates with a certain thickness. The plate members 49 to 52 are provided at one edge of the cylinder member 48. The plate members 49 to 52 are arranged parallel to each other so that their respective surfaces are arranged on the same plane. The plate members 49 to 52 form a plurality of grooves corresponding to the width W1 (see FIG. 2) of the outer plate 25 of the chain that can be used in an escalator.

구체적으로, 도 12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상기 홈을 형성하기 위한 대향부(53~60)가 판 부재(49~52)에 구비된다. 또한, 대향부(53~60)는 도 4에 나타내는 예에서 대향부(33~40)가 가지는 기능과 마찬가지의 기능을 가진다. Specifically, in the example shown in FIG. 12, the plate members 49 to 52 are provided with opposing portions 53 to 60 for forming the groove. Additionally, the opposing portions 53 to 60 have a function similar to that of the opposing portions 33 to 40 in the example shown in FIG. 4 .

대향부(53) 및 대향부(54)는 서로 대향한다. 대향부(53)는 판 부재(49)에 구비된다. 대향부(54)는 판 부재(50)에 구비된다. 대향부(53)와 대향부(54)에 의해서, 거리 L1의 폭을 가지는 홈(61)이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거리 L1은, RS80의 체인의 외측 플레이트(25)의 폭(W1)에 맞추어 설정되어 있다. 즉, 판 부재(49)와 판 부재(50)와의 사이에는, RS80의 체인의 외측 플레이트(25)가 꼭 들어맞는 홈(61)이 형성되어 있다. The opposing portion 53 and the opposing portion 54 face each other. The opposing portion 53 is provided on the plate member 49. The opposing portion 54 is provided on the plate member 50 . A groove 61 having a width of the distance L1 is formed by the opposing portions 53 and 54. As described above, the distance L1 is set to match the width W1 of the outer plate 25 of the RS80 chain. That is, between the plate member 49 and the plate member 50, a groove 61 is formed into which the outer plate 25 of the chain of RS80 fits tightly.

대향부(55) 및 대향부(56)는 서로 대향한다. 대향부(55)는 판 부재(50)에 구비된다. 대향부(56)는 판 부재(51)에 구비된다. 대향부(55)와 대향부(56)에 의해서, 거리 L2의 폭을 가지는 홈(62)이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거리 L2는, RS60의 체인의 외측 플레이트(25)의 폭(W1)에 맞추어 설정되어 있다. 즉, 판 부재(50)와 판 부재(51)와의 사이에는, RS60의 체인의 외측 플레이트(25)가 꼭 들어맞는 홈(62)이 형성되어 있다. 도 12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홈(62)은 홈(61)에 대해서 직교하도록 배치된다. The opposing portion 55 and the opposing portion 56 face each other. The opposing portion 55 is provided on the plate member 50. The opposing portion 56 is provided on the plate member 51. A groove 62 having a width of the distance L2 is formed by the opposing portions 55 and 56. As described above, the distance L2 is set to match the width W1 of the outer plate 25 of the chain of RS60. That is, between the plate member 50 and the plate member 51, a groove 62 is formed into which the outer plate 25 of the chain of RS60 fits tightly. In the example shown in FIG. 12, the groove 62 is arranged orthogonal to the groove 61.

대향부(57) 및 대향부(58)는 서로 대향한다. 대향부(57)는 판 부재(51)에 구비된다. 대향부(58)는 판 부재(52)에 구비된다. 대향부(57)와 대향부(58)에 의해서, 거리 L3의 폭을 가지는 홈(63)이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거리 L3는, RS50의 체인의 외측 플레이트(25)의 폭(W1)에 맞추어 설정되어 있다. 즉, 판 부재(51)와 판 부재(52)와의 사이에는, RS50의 체인의 외측 플레이트(25)가 꼭 들어맞는 홈(63)이 형성되어 있다. 도 12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홈(63)은 홈(61)에 대해서 일직선 모양으로 되고, 또한 홈(62)에 대해서 직교하도록 배치된다. The opposing portion 57 and the opposing portion 58 face each other. The opposing portion 57 is provided on the plate member 51 . The opposing portion 58 is provided on the plate member 52 . A groove 63 having a width of the distance L3 is formed by the opposing portions 57 and 58. As described above, the distance L3 is set to match the width W1 of the outer plate 25 of the RS50 chain. That is, between the plate member 51 and the plate member 52, a groove 63 into which the outer plate 25 of the chain of RS50 fits is formed. In the example shown in FIG. 12, the groove 63 is in a straight line with respect to the groove 61 and is arranged so as to be perpendicular to the groove 62.

대향부(59) 및 대향부(60)는 서로 대향한다. 대향부(59)는 판 부재(52)에 구비된다. 대향부(60)는 판 부재(49)에 구비된다. 대향부(59)와 대향부(60)에 의해서, 거리 L4의 폭을 가지는 홈(64)이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거리 L4는, RS40의 체인의 외측 플레이트(25)의 폭(W1)에 맞추어 설정되어 있다. 즉, 판 부재(52)와 판 부재(49)와의 사이에는, RS40의 체인의 외측 플레이트(25)가 꼭 들어맞는 홈(64)이 형성되어 있다. 도 12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홈(64)은 홈(62)에 대해서 일직선 모양으로 되고, 또한 홈(61) 및 홈(63)에 대해서 직교하도록 배치된다. The opposing portion 59 and the opposing portion 60 face each other. The opposing portion 59 is provided on the plate member 52. The opposing portion 60 is provided on the plate member 49. A groove 64 having a width of the distance L4 is formed by the opposing portions 59 and 60. As described above, the distance L4 is set to match the width W1 of the outer plate 25 of the chain of RS40. That is, between the plate member 52 and the plate member 49, a groove 64 into which the outer plate 25 of the RS40 chain fits is formed. In the example shown in FIG. 12, the groove 64 is in a straight line with respect to the groove 62 and is arranged so as to be perpendicular to the grooves 61 and 63.

또한, 통 부재(48)에는, 유지할 때의 미끄럼 방지로서 기능하는 복수의 관통공(65)이 형성되어 있다. Additionally,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65 are formed in the barrel member 48 to prevent slipping when holding.

도 13은 도 12에 나타내는 특정용 공구(30)를 이용하여 체인의 사이즈를 특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보수원은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특정용 공구(30)를 체인에 갖다 댄다. 구체적으로, 보수원은 체인의 외측 플레이트(25)에 대해서 통 부재(48)의 일방의 가장자리부측을 맞댄다. 보수원은, 외측 플레이트(25)가 꼭 들어맞는 홈을 찾아내는 것에 의해, 체인의 사이즈를 특정할 수 있다. 도 13에 나타내는 예이면, 보수원은 사용되고 있는 체인이 RS60의 체인이라고 특정할 수 있다. FIG. 13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of specifying the size of a chain using the specification tool 30 shown in FIG. 12. The maintenance worker places the specification tool 30 on the chain as shown in FIG. 13 . Specifically, the maintenance member abuts one edge side of the barrel member 48 against the outer plate 25 of the chain. The maintenance worker can specify the size of the chain by finding a groove into which the outer plate 25 fits. In the example shown in FIG. 13, the maintenance worker can specify that the chain being used is the RS60 chain.

도 12 및 도 13은, 특정용 공구(30)의 통 부재(48)의 일방의 가장자리부측에 4개의 홈(61~64)이 형성되는 예를 나타낸다. 이것은 일례이다. 특정용 공구(30)에 2개 혹은 3개의 홈밖에 형성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특정용 공구(30)에 5개 이상의 홈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12 and 13 show an example in which four grooves 61 to 64 are formed on one edge of the barrel member 48 of the specification tool 30. This is an example. Only two or three grooves need to be formed in the specific tool 30. Five or more grooves may be formed in the specification tool 30.

도 14는 특정용 공구(30)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의 (b)는, 특정용 공구(30)의 정면도를 나타낸다. 도 14의 (a)는, 특정용 공구(30)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14의 (c)는, 특정용 공구(30)의 저면도를 나타낸다. FIG. 14 is a diagram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specific tool 30. Figure 14(b) shows a front view of the specification tool 30. Figure 14(a) shows a top view of the specification tool 30. Figure 14(c) shows a bottom view of the specification tool 30.

도 14는, 도 12에 나타내는 예와 마찬가지로, 박스형의 특정용 공구(30)를 나타낸다. 도 14에 나타내는 특정용 공구(30)는, 도 12에 나타내는 예와 마찬가지로, 홈(61~64)이 형성된다. 도 12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통 부재(48)의 일방의 가장자리부측에 4개의 홈이 형성되어 있었지만, 도 14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통 부재(48)의 일방의 가장자리부측에 2개의 홈이, 다른 일방의 가장자리부측에 2개의 홈이 형성된다. 도 14에 나타내는 특정용 공구(30)는, 통 부재(48)와, 판 부재(49, 50a, 50b, 51, 52a, 및 52b)를 구비한다. FIG. 14 shows a box-shaped specification tool 30, similar to the example shown in FIG. 12. The specification tool 30 shown in FIG. 14 has grooves 61 to 64 formed in the same way as the example shown in FIG. 12 . In the example shown in FIG. 12, four grooves were formed on one edge side of the cylinder member 48, but in the example shown in FIG. 14, two grooves were formed on one edge side of the cylinder member 48, and on the other edge side. Two grooves are formed on the edge side of . The specification tool 30 shown in FIG. 14 includes a barrel member 48 and plate members 49, 50a, 50b, 51, 52a, and 52b.

일례로서, 판 부재(49, 50a, 50b, 51, 52a, 및 52b)는, 각각, 일정 두께를 가지는 직사각형 모양의 철판으로 이루어진다. 판 부재(49, 50a, 및 52a)는 통 부재(48)의 일방의 가장자리부에 마련된다. 판 부재(49, 50a, 및 52a)는 각각의 표면이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되도록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판 부재(49, 50a, 및 52a)에 의해, 에스컬레이터에서 사용될 수 있는 체인의 외측 플레이트(25)의 폭(W1)(도 2 참조)에 따른 2개의 홈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도 14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상기 2개의 홈을 형성하기 위한 대향부(53, 54, 59, 및 60)가 판 부재(49, 50a, 및 52a)에 구비된다. As an example, the plate members 49, 50a, 50b, 51, 52a, and 52b are each made of rectangular iron plates with a certain thickness. Plate members 49, 50a, and 52a are provided on one edge of the barrel member 48. The plate members 49, 50a, and 52a are arranged parallel to each other so that their respective surfaces are arranged on the same plane. The plate members 49, 50a, and 52a form two grooves corresponding to the width W1 (see Fig. 2) of the outer plate 25 of the chain that can be used in an escalator. Specifically, in the example shown in Fig. 14, opposing portions 53, 54, 59, and 60 for forming the two grooves are provided on the plate members 49, 50a, and 52a.

대향부(53) 및 대향부(54)는 서로 대향한다. 대향부(53)는 판 부재(49)에 구비된다. 대향부(54)는 판 부재(50a)에 구비된다. 대향부(53)와 대향부(54)에 의해서, 거리 L1의 폭을 가지는 홈(61)이 형성된다. 즉, 판 부재(49)와 판 부재(50a)와의 사이에는, RS80의 체인의 외측 플레이트(25)가 꼭 들어맞는 홈(61)이 형성되어 있다. The opposing portion 53 and the opposing portion 54 face each other. The opposing portion 53 is provided on the plate member 49. The opposing portion 54 is provided on the plate member 50a. A groove 61 having a width of the distance L1 is formed by the opposing portions 53 and 54. That is, between the plate member 49 and the plate member 50a, a groove 61 is formed into which the outer plate 25 of the chain of RS80 fits tightly.

대향부(59) 및 대향부(60)는 서로 대향한다. 대향부(59)는 판 부재(52a)에 구비된다. 대향부(60)는 판 부재(49)에 구비된다. 대향부(59)와 대향부(60)에 의해서, 거리 L4의 폭을 가지는 홈(64)이 형성된다. 즉, 판 부재(52a)와 판 부재(49)와의 사이에는, RS40의 체인의 외측 플레이트(25)가 꼭 들어맞는 홈(64)이 형성되어 있다. 도 14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홈(64)은 홈(61)에 대해서 직교하도록 배치된다. The opposing portion 59 and the opposing portion 60 face each other. The opposing portion 59 is provided on the plate member 52a. The opposing portion 60 is provided on the plate member 49. A groove 64 having a width of the distance L4 is formed by the opposing portions 59 and 60. That is, between the plate member 52a and the plate member 49, a groove 64 into which the outer plate 25 of the chain of RS40 fits is formed. In the example shown in FIG. 14, the groove 64 is arranged to be orthogonal to the groove 61.

판 부재(50b, 51, 및 52b)는 통 부재(48)의 다른 일방의 가장자리부에 마련된다. 판 부재(50b, 51, 및 52b)는 각각의 표면이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되도록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판 부재(50b, 51, 및 52b)에 의해, 에스컬레이터에서 사용될 수 있는 체인의 외측 플레이트(25)의 폭(W1)에 따른 2개의 홈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도 14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상기 2개의 홈을 형성하기 위한 대향부(55~58)가 판 부재(50b, 51, 및 52b)에 구비된다. The plate members 50b, 51, and 52b are provided on the other edge of the barrel member 48. The plate members 50b, 51, and 52b are arranged parallel to each other so that their respective surfaces are arranged on the same plane. Two grooves corresponding to the width W1 of the outer plate 25 of the chain that can be used in an escalator are formed by the plate members 50b, 51, and 52b. Specifically, in the example shown in FIG. 14, the plate members 50b, 51, and 52b are provided with opposing portions 55 to 58 for forming the two grooves.

대향부(55) 및 대향부(56)는 서로 대향한다. 대향부(55)는 판 부재(50b)에 구비된다. 대향부(56)는 판 부재(51)에 구비된다. 대향부(55)와 대향부(56)에 의해서, 거리 L2의 폭을 가지는 홈(62)이 형성된다. 즉, 판 부재(50b)와 판 부재(51)와의 사이에는, RS60의 체인의 외측 플레이트(25)가 꼭 들어맞는 홈(62)이 형성되어 있다. The opposing portion 55 and the opposing portion 56 face each other. The opposing portion 55 is provided on the plate member 50b. The opposing portion 56 is provided on the plate member 51. A groove 62 having a width of the distance L2 is formed by the opposing portions 55 and 56. That is, between the plate member 50b and the plate member 51, a groove 62 is formed into which the outer plate 25 of the chain of RS60 fits tightly.

대향부(57) 및 대향부(58)는 서로 대향한다. 대향부(57)는 판 부재(51)에 구비된다. 대향부(58)는 판 부재(52b)에 구비된다. 대향부(57)와 대향부(58)에 의해서, 거리 L3의 폭을 가지는 홈(63)이 형성된다. 즉, 판 부재(51)와 판 부재(52b)와의 사이에는, RS50의 체인의 외측 플레이트(25)가 꼭 들어맞는 홈(63)이 형성되어 있다. 도 14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홈(63)은 홈(62)에 대해서 직교하도록 배치된다. The opposing portion 57 and the opposing portion 58 face each other. The opposing portion 57 is provided on the plate member 51 . The opposing portion 58 is provided on the plate member 52b. A groove 63 having a width of the distance L3 is formed by the opposing portions 57 and 58. That is, between the plate member 51 and the plate member 52b, a groove 63 into which the outer plate 25 of the chain of RS50 fits is formed. In the example shown in FIG. 14, the groove 63 is arranged orthogonal to the groove 62.

보수원은, 도 14에 나타내는 특정용 공구(30)를 이용하여 체인의 사이즈를 특정하는 경우, 도 13에 나타내는 예와 마찬가지로 특정용 공구(30)를 체인에 갖다 댄다. 보수원은, 외측 플레이트(25)가 꼭 들어맞는 홈을 찾아내는 것에 의해, 체인의 사이즈를 특정할 수 있다. When specifying the size of a chain using the specification tool 30 shown in FIG. 14, the maintenance worker applies the specification tool 30 to the chain as in the example shown in FIG. 13. The maintenance worker can specify the size of the chain by finding a groove into which the outer plate 25 fits.

특정용 공구(30)를 체인의 외측 플레이트(25)에 갖다 댈 때에 해당 외측 플레이트(25)에 인접하는 외측 플레이트(25)에 판 부재(52a)가 간섭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판 부재(52a)는 대향부(53)의 연장선 상에 배치되어 있지 않은 것이 바람직하다. 마찬가지로, 판 부재(50a)는 대향부(60)의 연장선 상에 배치되어 있지 않은 것이 바람직하다. 판 부재(50b)는 대향부(57)의 연장선 상에 배치되어 있지 않은 것이 바람직하다. 판 부재(52b)는 대향부(56)의 연장선 상에 배치되어 있지 않은 것이 바람직하다. In order to prevent the plate member 52a from interfering with the outer plate 25 adjacent to the outer plate 25 when the specifying tool 30 is placed on the outer plate 25 of the chain, the plate member 52a ) is preferably not arranged on the extension line of the opposing portion 53. Likewise, it is preferable that the plate member 50a is not disposed on the extension line of the opposing portion 60. It is preferable that the plate member 50b is not disposed on the extension line of the opposing portion 57. It is preferable that the plate member 52b is not disposed on the extension line of the opposing portion 56.

본 개시에 따른 특정용 공구는, 에스컬레이터에서 사용되고 있는 체인의 사이즈를 특정하기 위해서 이용할 수 있다. The specification tool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can be used to specify the size of a chain used in an escalator.

1 : 트러스 2 : 스텝
3 : 하차구 4 : 기계실
5 : 바닥판 6 : 전동기
7 : 제어 장치 8 : 스프로킷
9 : 축 10~11 : 스프로킷
12 : 스텝 체인 13 : 스텝 축
14 : 핸드레일 체인 15 : 구동 장치
16 : 이동 핸드레일 20 : 내측 링크
21 : 외측 링크 22 : 내측 플레이트
23 : 부시 24 : 롤러
25 : 외측 플레이트 26 : 핀
30 : 특정용 공구 31 : 판 부재
32 : 끈 모양 부재 33~40 : 대향부
41~44 : 노치 45 : 관통공
46 : 폴딩부 47 : 판 부재
48 : 통 부재 49~52 : 판 부재
50a~50b : 판 부재 52a~52b : 판 부재
53~60 : 대향부 61~64 : 홈
65 : 관통공
1: Truss 2: Step
3: Unloading gate 4: Machine room
5: Bottom plate 6: Electric motor
7: Control unit 8: Sprocket
9: Axis 10~11: Sprocket
12: step chain 13: step axis
14: handrail chain 15: driving device
16: moving handrail 20: inner link
21: outer link 22: inner plate
23: Bush 24: Roller
25: outer plate 26: pin
30: Specific tool 31: Plate member
32: String-shaped member 33-40: Opposing portion
41~44: Notch 45: Through hole
46: folding portion 47: plate member
48: barrel member 49~52: plate member
50a~50b: plate member 52a~52b: plate member
53~60: Opposite part 61~64: Home
65: Through hole

Claims (9)

에스컬레이터에서 사용되고 있는 체인의 사이즈를 특정하기 위한 특정용 공구로서,
제1 판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1 판 부재는,
제1 대향부와,
상기 제1 대향부와 대향하고, 상기 제1 대향부와에 의해서 제1 거리의 폭을 가지는 제1 노치를 형성하는 제2 대향부와,
제3 대향부와,
상기 제3 대향부와 대향하고, 상기 제3 대향부와에 의해서 제2 거리의 폭을 가지는 제2 노치를 형성하는 제4 대향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거리 및 상기 제2 거리는, 에스컬레이터에서 사용될 수 있는 체인의 외측 플레이트의 폭에 맞추어 설정되고,
상기 제2 거리는 상기 제1 거리보다 작은 특정용 공구.
As a specification tool for specifying the size of the chain used in an escalator,
It has a first plate member,
The first plate member is,
The first opposing part,
a second opposing portion that faces the first opposing portion and forms a first notch having a width of a first distance from the first opposing portion;
The third opposing section,
a fourth opposing portion facing the third opposing portion and forming a second notch having a width of a second distance from the third opposing portion;
The first distance and the second distance are set to match the width of the outer plate of the chain that can be used in the escalator,
The specification tool wherein the second distance is smaller than the first distanc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노치는 상기 제1 노치가 개구되는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개구되는 특정용 공구.
In claim 1,
The specification tool wherein the second notch is open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notch is opene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노치는 상기 제1 노치의 내측에서 개구되는 특정용 공구.
In claim 1,
The specification tool wherein the second notch is opened inside the first notch.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판 부재에 마련된 제2 판 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2 판 부재는,
제5 대향부와,
상기 제5 대향부와 대향하고, 상기 제5 대향부와에 의해서 제3 거리의 폭을 가지는 제3 노치를 형성하는 제6 대향부와,
제7 대향부와,
상기 제7 대향부와 대향하고, 상기 제7 대향부와에 의해서 제4 거리의 폭을 가지는 제4 노치를 형성하는 제8 대향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3 거리 및 상기 제4 거리는, 에스컬레이터에서 사용될 수 있는 체인의 외측 플레이트의 폭에 맞추어 설정되고,
상기 제3 거리 및 상기 제4 거리는, 상기 제1 거리보다 작고,
상기 제4 거리는 상기 제3 거리보다 작은 특정용 공구.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Further comprising a second plate member provided on the first plate member,
The second plate member,
The 5th opposing department,
a sixth opposing portion that faces the fifth opposing portion and forms a third notch having a width of a third distance from the fifth opposing portion;
The 7th opposing department,
an eighth opposing portion facing the seventh opposing portion and forming a fourth notch having a width of a fourth distance by the seventh opposing portion;
The third distance and the fourth distance are set to match the width of the outer plate of the chain that can be used in the escalator,
The third distance and the fourth distance are smaller than the first distance,
The specific tool wherein the fourth distance is smaller than the third distance.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2 판 부재는 상기 제1 판 부재에 대해서 직각 또는 비스듬하게 마련되고,
상기 제2 판 부재는, 상기 제1 판 부재와 직교하는 방향에서 보아, 상기 제1 노치 및 상기 제2 노치와 중첩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판 부재는, 상기 제2 판 부재와 직교하는 방향에서 보아, 상기 제3 노치 및 상기 제4 노치와 중첩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된 특정용 공구.
In claim 4,
The second plate member is provided at a right angle or obliquely with respect to the first plate member,
The second plate member is disposed at a position that does not overlap the first notch and the second notch when viewed from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plate member,
The specification tool wherein the first plate member is disposed at a position that does not overlap the third notch and the fourth notch when viewed from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econd plate member.
에스컬레이터에서 사용되고 있는 체인의 사이즈를 특정하기 위한 특정용 공구로서,
통 부재와,
상기 통 부재의 제1 가장자리부에 마련된 제1 판 부재와,
상기 제1 가장자리부에 마련되고, 상기 제1 판 부재와의 사이에 제1 거리의 폭을 가지는 제1 홈이 형성된 제2 판 부재와,
상기 제1 가장자리부에 마련되고, 상기 제1 판 부재와의 사이에 제2 거리의 폭을 가지는 제2 홈이 형성된 제3 판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1 거리 및 상기 제2 거리는, 에스컬레이터에서 사용될 수 있는 체인의 외측 플레이트의 폭에 맞추어 설정되고,
상기 제2 거리는 상기 제1 거리보다 작은 특정용 공구.
As a specification tool for specifying the size of the chain used in an escalator,
With the absence of a barrel,
a first plate member provided on a first edge of the cylinder member;
a second plate member provided on the first edge and having a first groove having a width of a first distance between the first plate member and the first plate member;
A third plate member is provided on the first edge and has a second groove having a width of a second distance between the first plate member and the first plate member,
The first distance and the second distance are set to match the width of the outer plate of the chain that can be used in the escalator,
The specification tool wherein the second distance is smaller than the first distance.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2 홈은 상기 제1 홈과 직교하도록 배치된 특정용 공구.
In claim 6,
A tool for specifying wherein the second groove is arranged to be perpendicular to the first groove.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통 부재의 제2 가장자리부에 마련된 제4 판 부재와,
상기 제2 가장자리부에 마련되고, 상기 제4 판 부재와의 사이에 제3 거리의 폭을 가지는 제3 홈이 형성된 제5 판 부재와,
상기 제2 가장자리부에 마련되고, 상기 제4 판 부재와의 사이에 제4 거리의 폭을 가지는 제4 홈이 형성된 제6 판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3 거리 및 상기 제4 거리는, 에스컬레이터에서 사용될 수 있는 체인의 외측 플레이트의 폭에 맞추어 설정되고,
상기 제3 거리 및 상기 제4 거리는, 상기 제1 거리보다 작고,
상기 제4 거리는 상기 제3 거리보다 작은 특정용 공구.
In claim 6,
a fourth plate member provided on a second edge portion of the cylinder member;
a fifth plate member provided on the second edge and having a third groove having a width of a third distance between the fourth plate member and the fourth plate member;
a sixth plate member provided on the second edge and having a fourth groove having a width of a fourth distance between the fourth plate member and the fourth plate member;
The third distance and the fourth distance are set to match the width of the outer plate of the chain that can be used in the escalator,
The third distance and the fourth distance are smaller than the first distance,
The specific tool wherein the fourth distance is smaller than the third distance.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2 홈은 상기 제1 홈과 직교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4 홈은 상기 제3 홈과 직교하도록 배치된 특정용 공구.
In claim 8,
The second groove is arranged to be perpendicular to the first groove,
A tool for specifying wherein the fourth groove is arranged to be perpendicular to the third groove.
KR1020237033438A 2021-06-01 2022-03-29 Specific tools KR102643862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1092391A JP7107409B1 (en) 2021-06-01 2021-06-01 Specific tool
JPJP-P-2021-092391 2021-06-01
PCT/JP2022/015361 WO2022254924A1 (en) 2021-06-01 2022-03-29 Identifying too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5219A KR20230145219A (en) 2023-10-17
KR102643862B1 true KR102643862B1 (en) 2024-03-07

Family

ID=826078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33438A KR102643862B1 (en) 2021-06-01 2022-03-29 Specific tools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7107409B1 (en)
KR (1) KR102643862B1 (en)
CN (1) CN117355476B (en)
WO (1) WO2022254924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489343B2 (en) 2021-02-24 2024-05-23 Jfe建材株式会社 Flashing size check tool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33474A (en) 2003-04-18 2004-11-25 Toshiba Elevator Co Ltd Rope gauge for elevator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40305U (en) * 1989-04-24 1990-11-22
JPH1151602A (en) * 1997-08-01 1999-02-26 Honda Motor Co Ltd Size measuring jig for key
JP2002087750A (en) * 2000-09-07 2002-03-27 Hitachi Building Systems Co Ltd Elongation detection device for tread chain of passenger conveyer
US20050160611A1 (en) 2004-01-22 2005-07-28 Nave Gerald A. Wire gauging tool
JP5542362B2 (en) 2009-04-10 2014-07-09 三菱電機ビルテクノサービス株式会社 Passenger conveyor handrail drive device and passenger conveyor abnormality detection device
JP6604615B2 (en) * 2016-11-24 2019-11-13 三菱電機株式会社 Chain elongation detecting device, chain elongation detecting method and passenger conveyor
CN106629367B (en) * 2016-12-05 2018-07-17 日立电梯(广州)自动扶梯有限公司 The system for detecting stepchain elongation
JP7353731B2 (en) 2018-03-14 2023-10-02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Method for selecting a tape feeder for supplying component storage tape and judgment jig used therefor
JP6801048B2 (en) * 2019-06-10 2020-12-16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Passenger conveyor
CN211552658U (en) * 2019-12-31 2020-09-22 康力电梯股份有限公司 Simple and convenient many specifications staircase drive chain elongation dipperstick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33474A (en) 2003-04-18 2004-11-25 Toshiba Elevator Co Ltd Rope gauge for elev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7355476A (en) 2024-01-05
JP7107409B1 (en) 2022-07-27
JP2022184497A (en) 2022-12-13
KR20230145219A (en) 2023-10-17
CN117355476B (en) 2024-04-16
WO2022254924A1 (en) 2022-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43862B1 (en) Specific tools
WO2013190675A1 (en) Passenger conveyor
JP6376791B2 (en) Elevator counterweight device and repair method thereof
US20150346111A1 (en) Backlight inspection equipment
ATE316508T1 (en) STACKING APPARATUS FOR PLATE LINKS, METHOD FOR STACKING PLATE LINKS, AND STACKED PLATE LINKS
JP5474123B2 (en) Escalator
WO2021084707A1 (en) Inspection jig and inspection method for chain of passenger conveyor
JP6152963B2 (en) Elevator, elevator additional connecting device, and elevator repair method
JPH0724335Y2 (en) Free flow conveyor
JP2008297056A (en) Floor plate of passenger conveyer
JPH07101654A (en) Foot of elevator door
JP6211216B2 (en) Elevator, elevator lifting lever coupling device, and elevator repair method
KR102012433B1 (en) Fire retardant door device for lift
KR101647333B1 (en) abrasion testing device of long-pitch type roller chain assembly
JP2011148628A (en) Step device for man conveyor
KR200269290Y1 (en) safety device for lift
JP6930651B1 (en) Inspection system and elevator
JP2018193190A (en) Scaffold device and installation method of scaffold device
WO2023022071A1 (en) Bracket for fixing elevator guide rails
JP4042391B2 (en) Elevator installation method
JP5901409B2 (en) Elevator rope diameter checking jig
JP6381852B1 (en) Elevator car door device
KR102051603B1 (en) Elevator transfer and work system for machine tool
JP5448946B2 (en) Passenger conveyor
KR200447416Y1 (en) Counter sink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