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3515B1 - 광식 왕롱 - Google Patents

광식 왕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3515B1
KR102643515B1 KR1020230063704A KR20230063704A KR102643515B1 KR 102643515 B1 KR102643515 B1 KR 102643515B1 KR 1020230063704 A KR1020230063704 A KR 1020230063704A KR 20230063704 A KR20230063704 A KR 20230063704A KR 102643515 B1 KR102643515 B1 KR 1026435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queen bee
moving
beehive
inlet
body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637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성민
Original Assignee
최성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성민 filed Critical 최성민
Priority to KR10202300637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35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35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351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49/00Rearing-boxes; Queen transporting or introducing cag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47/00Beehives
    • A01K47/02Construction or arrangement of frames for honeycomb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47/00Beehives
    • A01K47/06Other details of beehives, e.g. ventilating devices, entrances to hives, guards, partitions or bee escap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식 왕롱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내부가 비어있는 판상의 형태로서 전면 및 후면 상부 중앙에 여왕벌투입구가 형성되는 몸체부 및 상기 여왕벌투입구에 착탈 가능한 마개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는, 전면과 후면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페로몬통기홀 및 양 측면의 상부로부터 각각 수직으로 뻗어 나온 벌통걸침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벌집틀의 크기와 대응되게 형성되어 상기 벌집틀과 나란히 설치되는 발명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식 왕롱은 벌통 내부에 설치되는 넓은 면적의 왕롱을 통해 여왕벌이 발산하는 페로몬을 벌통 내부로 잘 퍼질 수 있도록 하고, 여왕벌의 활동 공간을 넓게 확보함으로써 분봉의 방지와 함께 여왕벌을 건강하게 보호할 수 있는 발명이다.

Description

광식 왕롱{Broad queen bee isolation device}
본 발명은 광식 왕롱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벌통 내부에 설치되는 넓은 면적의 왕롱을 통해 여왕벌이 발산하는 페로몬을 벌통 내부로 잘 퍼질 수 있도록 하고, 여왕벌의 활동 공간을 넓게 확보함으로써 분봉의 방지와 함께 여왕벌을 건강하게 보호할 수 있는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양봉업에서 쓰이는 왕롱이란 벌통 내부에 설치되는 장치로서, 여왕벌을 격리시켜 가두어 알을 산란하지 못하게 함으로써 꿀벌의 번데기를 매개로 증식하며 바이러스까지 전염시키는 해충인 응애로 인한 피해를 방지하고, 여왕벌이 분비하는 페로몬을 통해 여왕벌의 존재를 벌통 내부의 벌들에게 인식시켜 여왕벌의 부재로 발생되는 변성왕대 조성으로 인한 분봉 또한 발생하지 않게 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왕롱에 대한 발명으로서 등록된 특허들은 한국등록특허 10-1266895호 “여왕벌 격리기”, 한국등록특허 10-1978551호 “벌통용 여왕벌 격리장치”, 한국등록특허 10-2384096호 “착탈식 왕롱을 갖춘 소초광” 등이 존재한다.
하지만 이들 발명들은 하나같이 여왕벌을 격리하는 것에만 신경을 쓴 나머지 왕롱 자체의 크기가 작아 여왕벌이 움직일 공간이 적기 때문에 쉽게 병들어 죽는 일이 빈번히 발생하고, 여왕벌의 적은 활동량 때문에 페로몬이 잘 퍼지지 않아 변성왕대가 조성되어 분봉이 자주 일어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벌통 내부에 설치되는 넓은 면적의 왕롱을 통해 여왕벌이 발산하는 페로몬이 벌통 내부로 잘 퍼질 수 있도록 하고, 여왕벌의 활동 공간을 넓게 확보함으로써 변성왕대 조성으로 인한 분봉의 방지와 함께 여왕벌을 건강하게 보호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광식 왕롱은, 내부가 비어있는 판상의 형태로서 전면 및 후면 상부 중앙에 여왕벌투입구가 형성되는 몸체부 및 상기 여왕벌투입구에 착탈 가능한 마개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는, 전면과 후면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페로몬통기홀 및 양 측면의 상부로부터 각각 수직으로 뻗어 나온 벌통걸침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벌집틀의 크기와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부는, 가로의 길이가 430mm 내지 490mm, 세로의 길이가 215mm 내지 245mm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부 및 마개는, 투광성 소재인 폴리스티렌(Polystyrene)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부 및 마개는, 응애의 생육을 억제하는 화합물인 플루발리네이트(Fluvalinate)를 흡착시킨 다공성 소재인 제올라이트(Zeolite)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광식 왕롱은, 상기 몸체부는, 두 개의 동일한 조립판의 결합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조립판은, 상기 조립판의 상단면, 하단면 및 양 측면에 형성되어 서로 맞물려 끼워질 수 있는 암클립 및 수클립이 배치되고, 상기 암클립 및 수클립을 통해 동일한 두 개의 조립판이 서로 결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광식 왕롱은, 상기 몸체부는, 전면과 후면의 여왕벌투입구 좌우로 각각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는 일자형 축이동슬롯; 상기 축이동슬롯에 끼워져 양단의 일부가 돌출되고, 수평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두 개의 이동축; 상기 이동축을 중심축으로 하여 일체로 회전하는 롤러; 두 개의 상기 롤러에 양단이 각각 연결된 필름;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필름을 중력방향으로 누르는 두 개의 누름볼; 전면 또는 후면의 내부 중앙에 수직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며 형성되는 수직돌기 및 내부 저면에 배치되어 상부를 향해 호를 형성하는 경사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식 왕롱은, 여왕벌의 활동반경을 넓혀 여왕벌이 좀 더 활동적이게 되고, 몸체부 내부를 돌아다니며 자신의 몸에서 분비되는 페로몬을 벌통 내부에 자연스럽게 확산시킬 수 있다.
또한 기존 왕롱 대비 넓어진 여왕벌의 활동성을 통해, 동절기 또는 봄에 벌들이 추위를 견디기 위해 서로 구형으로 모여 형성되는 봉구로 여왕벌이 이동할 수 있어 여왕벌의 동사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두 개의 조립판으로 구성된 몸체부를 암클립 및 수클립에 의해 손쉽게 분해하여 좁은 내부 공간에 쌓인 이물질을 쉽게 청소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왕롱을 사용하지 않게 되거나 중간에 여왕벌을 꺼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하였을 때 좁은 몸체부 내부의 여러 위치에 존재하는 여왕벌을 간단하게 여왕벌투입구 쪽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몸체부 및 마개의 투광성으로 몸체부 내부에 있는 여왕벌의 위치 및 상태를 쉽게 파악할 수 있어 즉각적인 대처를 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플루발리네이트(Fluvalinate)를 흡착시킨 제올라이트(Zeolite)로 형성되는 몸체부 및 마개로 벌통 내부에 따로 방재를 할 필요 없이 치명적인 응애의 생육을 지속적으로 방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광식 왕롱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인 광식 왕롱이 벌집틀과 나란히 벌통에 설치된 것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3은 도 2를 측면에서 바라본 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광식 왕롱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몸체부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광식 왕롱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일부 단면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설명은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되진 않으며,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용어로서, 그 자체에 의미가 한정되지 아니하며,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사용되는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이하에서 기재되는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식 왕롱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광식 왕롱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인 광식 왕롱이 벌집틀과 나란히 벌통에 설치된 것을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3은 도 2를 측면에서 바라본 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광식 왕롱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몸체부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광식 왕롱의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6의 일부 단면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광식 왕롱(1)은 내부가 비어있는 판상의 형태로서 전면 및 후면 상부 중앙에 여왕벌투입구(101)가 형성되는 몸체부(10) 및 상기 여왕벌투입구(101)에 착탈 가능한 마개(20)를 포함할 수 있다.
판상형 몸체부(10)의 총 두께는 20mm 내지 30mm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내부의 빈 공간의 두께는 여왕벌이 비어있는 내부를 돌아다님에 지장이 없게끔 15mm 내지 25mm로 형성될 수 있다.
몸체부(10)에 형성되는 여왕벌투입구(101)는 몸체부(10)의 전면 및 후면 두 곳에 동시에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전면 또는 후면의 어느 한쪽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여왕벌투입구(101)는 여왕벌을 투입시키고 빼낼 수 있는 충분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너비는 일반적인 여왕벌의 크기인 15mm 내지 20mm에서 10mm 큰 25mm 내지 30mm의 지름의 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마개(20)는 여왕벌투입구(101)의 크기와 모양에 대응되게 형성되고 일면에 돌기가 형성되도록 하여 여왕벌투입구(101)에 착탈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몸체부(10) 및 마개(20)는, 투광성 소재인 폴리스티렌(Polystyrene)으로 형성되어 이러한 투광성으로 몸체부(10) 내부에 있는 여왕벌의 위치 및 상태를 쉽게 파악할 수 있어 즉각적인 대처를 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몸체부(10) 및 마개(20)는, 응애의 생육을 억제하는 화합물인 플루발리네이트(Fluvalinate)를 흡착시킨 다공성 소재인 제올라이트(Zeolite)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플루발리네이트(Fluvalinate)는 벌들에게는 해를 끼치지 않고 응애에 대해 선택적으로 작용하는 화합물로서 이를 흡착이 용이한 제올라이트(Zeolite)로 형성되는 몸체부(10) 및 마개(20)에 흡착시켜 벌통 내부에 따로 방재를 할 필요 없이 치명적인 응애의 생육을 지속적으로 방해할 수 있다.
몸체부(10)는, 전면과 후면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페로몬통기홀(102) 및 양 측면의 상부로부터 각각 수직으로 뻗어 나온 벌통걸침돌기(103)를 포함할 수 있다.
페로몬통기홀(102)은,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일자형의 홀로 형성될 수 있으며, 여왕벌은 통과할 수 없지만 일벌들은 자유로이 통과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페로몬통기홀(102)은 몸체부(10) 내부의 여왕벌이 발산하는 페로몬이 벌통 내부로 퍼질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일벌을 통해 여왕벌이 먹이를 공급받는 통로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러한 홀은 여왕벌, 및 수벌이 통과할 수 없도록 하고 먹이를 공급받을 수 있게 크기만 맞춘다면 어떠한 모양으로도 형성이 가능하다.
벌통걸침돌기(103)는,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몸체부(10)의 상부 양면에 마치 사람의 귀처럼 튀어나와있는 구조물로서 일반적인 벌집틀이 벌통에 걸치는 것과 마찬가지로 벌통에 걸칠 수 있도록 몸체부(10)에 형성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몸체부(10)는, 벌집틀(F)의 크기와 대응되게 형성되어 상기 벌집틀(F)과 나란히 설치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종래의 왕롱과는 달리 여왕벌의 활동반경을 벌집틀(F) 너비만큼 넓혀 여왕벌이 좀 더 활동적이게 되고, 몸체부(10) 내부를 돌아다니며 자신의 몸에서 분비되는 페로몬을 벌통(B) 내부에 자연스럽게 확산시킬 수 있다.
또한 기존 왕롱 대비 넓어진 여왕벌의 활동성을 통해, 동절기 또는 봄에 벌들이 추위를 견디기 위해 서로 구형으로 모여 형성되는 봉구로 여왕벌이 이동할 수 있어 여왕벌의 동사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몸체부(10)는 가로의 길이가 430mm 내지 490mm, 세로의 길이가 215mm 내지 245mm으로 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크기는 봄철 각각 동일 구역 내에서 동시에 실시한 왕롱의 크기에 따른 비교 실험을 정리한 아래 표 1의 결과에 따라, 분봉의 발생과 여왕벌의 폐사를 합산 고려하여 정하였다.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실시예 비교예4
분봉 발생 건수 4 2 1 0 1
여왕벌 폐사 건수 2 1 0 0 0
합계 6 3 1 0 1
비교 실험에서 비교예와 실시예는 모두 동일한 크기의 벌통으로 각각 50개씩 총 250개를 사용하였으며, 상기 벌통 내부에 설치되는 벌집틀의 크기는 자체 제작하여 가로 550mm 세로 260mm로 모두 동일하게 구성하였다.
비교예 1은 왕롱의 가로 길이가 250mm 내지 310mm, 세로의 길이가 125mm 내지 155mm인 왕롱들을 사용하였고,
비교예 2는 왕롱의 가로 길이가 310mm 내지 370mm, 세로의 길이가 155mm 내지 185mm인 왕롱들을 사용하였으며,
비교예 3은 왕롱의 가로 길이가 370mm 내지 430mm, 세로의 길이가 185mm 내지 215mm인 왕롱들을 사용하였고,
실시예는 왕롱의 가로 길이가 430mm 내지 490mm, 세로의 길이가 215mm 내지 245mm인 왕롱들을 사용하였으며,
비교예 4는 왕롱의 가로 길이가 490mm 내지 550mm, 세로의 길이가 245mm 내지 260mm인 왕롱들을 사용하였다.
비교 실험 결과 왕롱의 크기가 벌통에 설치되는 벌집틀의 크기와 가까울수록 분봉 발생 건수와 여왕벌의 폐사 건수가 줄어듦을 확인할 수 있으며, 특히 왕롱의 크기가 실시예의 범위일 때 분봉 및 여왕벌의 폐사가 일어나지 않았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광식 왕롱(1)은 몸체부(10)는, 두 개의 동일한 조립판(11)의 결합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조립판(11)은, 상기 조립판(11)의 상단면, 하단면 및 양 측면에 형성되어 서로 맞물려 끼워질 수 있는 암클립(111) 및 수클립(112)이 배치되고, 상기 암클립(111) 및 수클립(112)을 통해 동일한 두 개의 조립판(11)이 서로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몸체부(10)를 형성하는 두 개의 조립판(11)은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형태를 기본으로 하되 몸체부(10)가 둘로 나뉠 수 있으며, 상단면, 하단면 및 양 측면에 암클립(111) 및 수클립(112)이 배치될 수 있는 차이점이 있다.
이러한 두 개의 조립판(11)은 서로 동일하며, 마주보아 결합되는 방식으로서, 결합부위는 암클립(111) 또는 수클립(112)이 배치되는 면에서 수직으로 튀어나와 갈고리형의 돌기로 형성되는 수클립(112)과 이러한 돌기에 대응되어 맞물리는 홀이 형성된 암클립(111)의 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렇게 결합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광식 왕롱(1)은 몸체부(10)를 손쉽게 분해하여 좁은 내부 공간에 쌓인 이물질을 쉽게 청소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광식 왕롱(1)은, 상기 몸체부(10)는, 전면과 후면의 여왕벌투입구(101) 좌우로 각각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는 일자형 축이동슬롯(104), 상기 축이동슬롯(104)에 끼워져 양단의 일부가 돌출되고, 수평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두 개의 이동축(105), 상기 이동축(105)을 중심축으로 하여 일체로 회전하는 롤러(106), 두 개의 상기 롤러(106)에 양단이 각각 연결된 필름(107),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필름(107)을 중력방향으로 누르는 두 개의 누름볼(108), 전면 또는 후면의 내부 중앙에 수직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며 형성되는 수직돌기(109) 및 내부 저면에 배치되어 상부를 향해 호를 형성하는 경사판(11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이동축(105)을 상기 몸체부(10)의 중앙부로 이동시킴과 동시에 상기 롤러(106)를 감아 여왕벌을 상기 여왕벌투입구(101)로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몸체부(10)에는 몸체부(10)의 전면과 후면의 여왕벌투입구(101) 좌우에 수평방향으로 일자형의 축이동슬롯(104)이 형성되고, 이러한 축이동슬롯(104)에 끼워져 양단의 일부가 몸체부(10)의 외부로 돌출되는 두 개의 이동축(105)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두 개의 이동축(105)에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의 이동축(105)을 중심축으로 하여 일체로 회전하는 롤러(106)가 몸체부(10)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필름(107)은 양단이 두 개의 롤러(106)와 각각 연결되어 각각의 롤러(106)에 의해 양단이 감길 수 있으며, 몸체부(10) 내부 두께에 대응되는 너비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필름(107)이 몸체부(10) 양측 내부벽면과 저면부에 맞닿아 있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몸체부(10) 내부에서 내부 저면의 양단으로 이동할 수 있는 두 개의 누름볼(108)이 필름(107)을 위에서 눌러주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에서 누름볼(108)이 몸체부(10) 저면의 양단으로 이동할 수 있게 만들어주기 위해 경사판(110)이 포함되며, 경사판(110)은 몸체부(10) 내부 저면에 배치되어 저면에 완만한 호를 형성하여 경사지게 함으로써 그 위에 놓이는 누름볼(108)이 저면의 양단으로 이동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수직돌기(109)는 몸체부(10) 전면 또는 후면의 내부 중앙에 수직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며 형성되어 좌우 두 개의 누름볼(108)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넘어가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러한 수직돌기(109)는 여왕벌의 움직임과 필름(107)의 이동은 제한하지 않으면서 누름볼(108)의 움직임만을 차단하기 위해 몸체부(10) 전면 또는 후면으로부터 미세하게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광식 왕롱(1)은 왕롱 사용 시에는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필름(107)이 몸체부(10) 양측 내부벽면과 저면부에 맞닿아 있는 상태를 형성해 여왕벌이 활동할 수 있는 공간을 최대로 확보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왕롱을 사용하지 않게 되거나 중간에 여왕벌을 꺼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하였을 때, 이동축(105)을 중앙으로 이동시킴과 동시에 이동축(105)을 회전시켜 필름(107)을 감을 수 있다.
이동축을 회전시킴에 따라서 롤러(106)가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필름(107)이 감겨져 여왕벌의 활동 반경을 여왕벌투입구(101) 방향으로 좁힘으로써 몸체부(10) 내부의 여왕벌을 간단하게 여왕벌투입구(101) 쪽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상으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니다.
1 : 광식 왕롱
10 : 몸체부
101 : 여왕벌투입구
102 : 페로몬통기홀
103 : 벌통걸침돌기
104 : 축이동슬롯
105 : 이동축
106 : 롤러
107 : 필름
108 : 누름볼
109 : 수직돌기
110 : 경사판
11 : 조립판
111: 암클립
112 : 수클립
20 : 마개
F : 벌집틀
B : 벌통

Claims (6)

  1. 다수개의 벌집틀이 설치되는 벌통 내부에 설치되는 왕롱에 있어서,
    내부가 비어있는 판상의 형태로서 전면 및 후면 상부 중앙에 여왕벌투입구가 형성되는 몸체부 및
    상기 여왕벌투입구에 착탈 가능한 마개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는,
    전면과 후면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페로몬통기홀;
    양 측면의 상부로부터 각각 수직으로 뻗어 나온 벌통걸침돌기;
    전면과 후면의 여왕벌투입구 좌우로 각각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는 일자형 축이동슬롯;
    상기 축이동슬롯에 끼워져 양단의 일부가 돌출되고, 수평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두 개의 이동축;
    상기 이동축을 중심축으로 하여 일체로 회전하는 롤러;
    두 개의 상기 롤러에 양단이 각각 연결된 필름;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필름을 중력방향으로 누르는 두 개의 누름볼;
    전면 또는 후면의 내부 중앙에 수직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며 형성되는 수직돌기 및
    내부 저면에 배치되어 상부를 향해 호를 형성하는 경사판을 포함하고,
    상기 벌집틀의 크기와 대응되게 형성되어 상기 벌집틀과 나란히 설치되고,
    상기 이동축을 상기 몸체부의 중앙부로 이동시킴과 동시에 상기 롤러를 감아 여왕벌을 상기 여왕벌투입구로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식 왕롱.
  2. 다수개의 벌집틀이 설치되는 벌통 내부에 설치되는 왕롱에 있어서,
    내부가 비어있는 판상의 형태로서 전면 및 후면 상부 중앙에 여왕벌투입구가 형성되는 몸체부 및
    상기 여왕벌투입구에 착탈 가능한 마개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는,
    전면과 후면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페로몬통기홀;
    양 측면의 상부로부터 각각 수직으로 뻗어 나온 벌통걸침돌기;
    전면과 후면의 여왕벌투입구 좌우로 각각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는 일자형 축이동슬롯;
    상기 축이동슬롯에 끼워져 양단의 일부가 돌출되고, 수평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두 개의 이동축;
    상기 이동축을 중심축으로 하여 일체로 회전하는 롤러;
    두 개의 상기 롤러에 양단이 각각 연결된 필름;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필름을 중력방향으로 누르는 두 개의 누름볼;
    전면 또는 후면의 내부 중앙에 수직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며 형성되는 수직돌기 및
    내부 저면에 배치되어 상부를 향해 호를 형성하는 경사판을 포함하고,
    가로의 길이가 430mm 내지 490mm, 세로의 길이가 215mm 내지 245mm로 형성되고,
    상기 이동축을 상기 몸체부의 중앙부로 이동시킴과 동시에 상기 롤러를 감아 여왕벌을 상기 여왕벌투입구로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식 왕롱.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두 개의 동일한 조립판의 결합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조립판은,
    상기 조립판의 상단면, 하단면 및 양 측면에 형성되어 서로 맞물려 끼워질 수 있는 암클립 및 수클립이 배치되고,
    상기 암클립 및 수클립을 통해 동일한 두 개의 조립판이 서로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식 왕롱.
  4. 삭제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 및 마개는,
    투광성 소재인 폴리스티렌(Polystyrene)으로 형성되어 여왕벌의 위치 및 상태를 쉽게 파악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식 왕롱.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 및 마개는,
    응애의 생육을 억제하는 화합물인 플루발리네이트(Fluvalinate)를 흡착시킨 다공성 소재인 제올라이트(Zeolite)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식 왕롱.

KR1020230063704A 2023-05-17 2023-05-17 광식 왕롱 KR1026435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63704A KR102643515B1 (ko) 2023-05-17 2023-05-17 광식 왕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63704A KR102643515B1 (ko) 2023-05-17 2023-05-17 광식 왕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3515B1 true KR102643515B1 (ko) 2024-03-05

Family

ID=902981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63704A KR102643515B1 (ko) 2023-05-17 2023-05-17 광식 왕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351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9705U (ko) * 2011-08-24 2011-10-12 김장춘 여왕벌 격리통
KR101820068B1 (ko) * 2015-11-09 2018-01-19 대한민국 탈착식 꿀벌 교미벌통
KR102044366B1 (ko) * 2019-02-01 2019-11-13 윤준민 양봉용 여왕벌의 조립식 격리 산란통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9705U (ko) * 2011-08-24 2011-10-12 김장춘 여왕벌 격리통
KR101820068B1 (ko) * 2015-11-09 2018-01-19 대한민국 탈착식 꿀벌 교미벌통
KR102044366B1 (ko) * 2019-02-01 2019-11-13 윤준민 양봉용 여왕벌의 조립식 격리 산란통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NL1011654C2 (nl) Ventileerbaar kooi en rek systeem.
US20050066909A1 (en) Animal isolation and caging system
CH643985A5 (fr) Unite de production en masse d'oeufs d'un insecte.
EP2888934B1 (en) Production device for queen bees and royal jelly
KR102643515B1 (ko) 광식 왕롱
KR101820068B1 (ko) 탈착식 꿀벌 교미벌통
EA029128B1 (ru) Сетчатая кольцевая рамка для сотов с расплодом для ульев с цилиндрическими гнездовыми корпусами
KR101966937B1 (ko) 양봉용 소비와 이를 이용한 벌통
CN101703009B (zh) 多功能塑料邮寄蜂王笼
KR101436571B1 (ko) 해충의 애벌레 출입방지구조를 갖는 벌통
JP3171922U (ja) 動物飼育籠
US5628671A (en) Observation hive
KR200374037Y1 (ko) 1군 2왕벌용 벌통
KR100665513B1 (ko) 회전소비벌통의 헛집방지수단
US11363803B2 (en) Artificial habitat for beneficial insects
KR20180005771A (ko) 토종벌통의 토종벌 출입문
US519652A (en) Beehive
KR102384065B1 (ko) 환기 및 사양액 공급이 가능한 바닥판 구조를 갖는 벌통
KR20090036271A (ko) 적은수의 일벌로 여왕벌을 육성 시킬 수 있는 교배상
WO2015186977A1 (ko) 양봉용 소초
JP2748966B2 (ja) ハナバチ類用人工巣
RU2796355C1 (ru) Пыльцесборник закрытого типа для многокорпусного улья
Park et al. Nest‐to‐nest dispersal of Chaetodactylus krombeini (Acari, Chaetodactylidae) associated with Osmia cornifrons (Hym., Megachilidae)
KR102384064B1 (ko) 회전소문을 갖는 기능성 벌통
CN214801679U (zh) 蜂王培育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