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3005B1 - 안면 에어커튼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안면 에어커튼 형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3005B1
KR102643005B1 KR1020230017932A KR20230017932A KR102643005B1 KR 102643005 B1 KR102643005 B1 KR 102643005B1 KR 1020230017932 A KR1020230017932 A KR 1020230017932A KR 20230017932 A KR20230017932 A KR 20230017932A KR 102643005 B1 KR102643005 B1 KR 1026430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unit
body portion
inlet hole
wear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179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12575A (ko
Inventor
한상구
Original Assignee
한상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상구 filed Critical 한상구
Priority to KR10202300179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3005B1/ko
Publication of KR202301125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25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30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30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03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having means for creating a fresh air curtain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017Hats; Caps; Hoods specially adapted for promoting health, e.g. with means for pressing on acupuncture poin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62B18/084Means for fastening gas-masks to heads or helme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3/00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 A62B23/02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respira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1/00Non-optical adjuncts; Attachment thereof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1/00Non-optical adjuncts; Attachment thereof
    • G02C11/10Electronic devices other than hearing aids

Abstract

본 발명은 착용자의 안면의 콧구멍 및 입을 포함하는 영역을 가로막는 에어 커튼을 형성하는 안면 에어커튼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안면 에어커튼 형성 장치는, 외부의 공기를 필터링하여 내부로 흡입하는 공기 흡입부; 및 상기 공기 흡입부로부터 흡입된 공기를 착용자의 안면의 콧구멍 및 입을 포함하는 영역을 가로막는 방향으로 분사하는 공기 분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 흡입부는, 상기 신체 부위에 착용되고, 외측면에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홀이 형성되며, 내부에 유입홀로부터 상기 공기 분사부로 흐르는 공기가 지나는 공기 유로가 형성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 설치되고 상기 유입홀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로부터 유해 물질을 걸러내는 필터부; 및 상기 몸체부에 설치되고, 공기를 흡입하는 힘을 발생시키는 흡입 구동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안면 에어커튼 형성 장치{DEVICE FOR FORMING FACIAL AIR CURTAIN }
본 발명은 에어커튼을 형성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코나 입으로 외부의 유해 물질이 유입되거나 코나 입으로부터 외부로 유해 물질이 퍼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에어커튼을 형성하는 안면 에어커튼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코로나 19(COVID 19)의 유행으로 인한 방역 조치로 인해 실외에서 만이 아니라 실내에서도 마스크를 착용하는 것이 의무화되고 있다.
그러나, 식당이나 카페 등에서는 식음료 섭취 시 마스크를 착용할 수 없어, 방역 조치가 적용되는 중에도 식당이나 카페 등에서 식음료 섭취 시에는 마스크를 벗는 것이 실질적으로 허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이, 식음료 섭취시 마스크를 벗는 경우, 바이러스 전파 가능성이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더운 여름날, 미세먼지나 황사가 심한 날 또는 공사장 등 먼지가 많은 환경에서 작업자들이 마스크를 착용할 경우 더위를 가중시키고 답답함을 유발할 수 있다. 이는 작업자들이 마스크를 착용하는 것을 꺼리게 하는 원인이 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어린이들의 경우 답답함 등을 이유로 마스크를 오랫동안 착용하기 어려워할 수 있다.
또한, 최근 유행하고 있는 코로나19(COVID 19) 바이러스의 경우 눈을 통해 감염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도 있어 코 및 입만을 마스크로 차단하는 것만으로는 감염 예방이 충분하지 않을 수 있다.
공개특허 10-2019-0008603(2019. 01. 25.)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식음료 섭취시에도 코 및 입의 유해물질을 차단할 수 있는 안면 에어커튼 형성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착용시 답답함을 유발할 수 있는 마스크의 문제점을 개선하여 작업자나 어린이들이 쉽게 착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안면 에어커튼 형성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공기 중의 유해물질이 눈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안면 에어커튼 형성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착용자의 안면의 콧구멍 및 입을 포함하는 영역을 가로막는 에어 커튼을 형성하는 안면 에어커튼 형성 장치를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안면 에어커튼 형성 장치는, 외부의 공기를 필터링하여 내부로 흡입하는 공기 흡입부; 및 상기 공기 흡입부로부터 흡입된 공기를 착용자의 안면의 콧구멍 및 입을 포함하는 영역을 가로막는 방향으로 분사하는 공기 분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 흡입부는, 상기 신체 부위에 착용되고, 외측면에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홀이 형성되며, 내부에 유입홀로부터 상기 공기 분사부로 흐르는 공기가 지나는 공기 유로가 형성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 설치되고 상기 유입홀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로부터 유해 물질을 걸러내는 필터부; 및 상기 몸체부에 설치되고, 공기를 흡입하는 힘을 발생시키는 흡입 구동부;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부는 목을 감싸는 일부 영역이 절단된 링 형상으로 제공되고, 상기 유입홀은 상기 몸체부의 양 끝단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기 분사부가 분사하는 공기가 가로막는 영역은 착용자의 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 분사부는, 귀에 걸리도록 아래 방향을 향한 일부가 절단된 링 형상으로 제공되는 귀걸이부; 및 상기 귀걸이부로부터 착용자의 안면의 전면부를 향해 연장되는 분사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분사 돌출부의 공기가 분사되는 분사구는 상기 분사 돌출부의 끝단 또는 상기 끝단에 인접한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안면 에어커튼 형성 장치는 식음료 섭취시에도 코 및 입의 유해물질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안면 에어커튼 형성 장치는 착용시 답답함을 유발할 수 있는 마스크의 문제점을 개선하여 작업자나 어린이들이 쉽게 착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안면 에어커튼 형성 장치는 공기 중의 유해물질이 눈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안면 에어커튼 형성 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안면 에어커튼 형성 장치의 일측부의 내부를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필터부의 일 예를 보여주는 부분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안면 에어커튼 형성 장치의 공기 분사부 및 공기 연결부의 일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공기 연결부의 체결 구조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안면 에어커튼 형성 장치의 공기 분사부 및 공기 연결부의 일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챙 체결부의 체결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안면 에어커튼 형성 장치의 공기 분사부 및 공기 연결부의 일 예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이 명확하고 상세하게 기재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안면 에어커튼 형성 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안면 에어커튼 형성 장치의 일측부의 내부를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안면 에어커튼 형성 장치(1000)는 착용자의 코 및 입을 포함하는 영역을 가로막는 에어 커튼을 형성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안면 에어커튼 형성 장치(1000)는 공기 흡입부(1100), 공기 분사부(1200) 및 공기 연결부(1300)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기 흡입부(1100)는 외부의 공기를 필터링하여 내부로 흡입한다. 공기 흡입부(1100)는 외부 공기에 혼합되어 있을 수 있는 바이러스 및 미세 먼지 등의 오염 물질을 걸러내고, 걸러진 공기를 내부로 흡입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공기 흡입부(1100)는 몸체부(1110), 필터부(1120) 및 흡입 구동부(1130)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1110)는 신체 부위에 직접 착용된다. 몸체부(1110)는 외측면에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홀(1111)이 형성되고, 내부에 유입홀(1111)로부터 공기 분사부(1200)로 흐르는 공기가 지나는 공기 유로(1112)가 형성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몸체부(1110)는 목을 감싸는 일부 영역이 절단된 링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즉, 몸체부(1110)는 이어폰 등의 착용을 쉽게 하기 위한 넥 밴드와 유사한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몸체부(1110)를 목에 착용하게 되면 몸체부(1110)의 양 끝단이 착용자의 쇄골 쪽에 위치될 수 있다.
유입홀(1111)은 몸체부(1110)의 양 끝단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유입홀(1111)은 몸체부(1110)의 양 끝단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아래에서 설명될 필터부(1120), 휀, 구동기 및 공기 연결부(1300)는 몸체부(1110)의 양끝단에 각각 하나씩 대응되게 제공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유입홀(1111)은 몸체부(1110)의 양 끝단 중 하나에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아래에서 설명될 필터부(1120), 휀, 구동기 및 공기 연결부(1300)는 몸체부(1110)의 유입홀(1111)이 형성된 끝단에 대응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필터부의 일 예를 보여주는 부분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필터부(1120)는 몸체부(1110)에 설치된다. 필터부(1120)는 유입홀(1111)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로부터 유해 물질을 걸러낸다. 필터부(1120)는 유입홀(1111)에 탈착 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필터부(1120)는 필터 본체(1121) 및 탄성 밴드(1122)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필터 본체(1121)는 필터링 기능을 가지는 KF94 및 KF80 등의 마스크 재질과 동일 또는 유사한 재질로 제공될 수 있다. 필터 본체(1121)는 몸체부(1110)의 일 끝단의 외측면을 감싸고 그 끝단에 형성된 유입홀(1111)을 가릴 수 있도록 일측면이 개방되고 내부가 빈 통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탄성 밴드(1122)는 필터 본체(1121)의 측벽의 개방된 일측면 측 끝단에 둘레 방향을 따라 링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탄성 밴드(1122)는 고무와 같은 탄성 재질로 제공될 수 있다. 필터 본체(1121)는 원통 형상으로 제공되고, 몸체부(1110)의 끝단은 필터 본체(1121)의 내경보다 작거나 같은 외경을 가지는 원통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탄성 밴드(1122)는 몸체부(1110)의 끝단의 외경보다 작은 내경을 가지고, 몸체부(1110)의 외측면의 끝단으로부터 필터 본체(1121)의 길이에 대응되는 거리로 이격된 위치에는 내측으로 만입되는 걸림홈(1113)이 몸체부(1110)의 외경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필터부(1120)는 필터 본체(1121)가 몸체부(1110)의 끝단을 덮은 상태로 체결되면 탄성 밴드(1122)가 걸림홈(1113)에 걸림으로써 유입홀(1111)에 체결되고, 탄성 밴드(1122)의 탄성으로 인해 몸체부(1110)를 잡아당기는 것 만으로 쉽게 유입홀(1111)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그러므로, 필터부(1120)는 새 필터부로 쉽게 교체 가능하다.
이와 달리, 필터부(1120)는 유입홀(1111)에 탈착 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는 다양한 구성 및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흡입 구동부(1130)는 몸체부(1110)에 설치된다. 흡입 구동부(1130)는 유입홀(1111)을 통해 공기를 흡입하는 힘을 발생시킨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흡입 구동부(1130)는, 공기 유로(1112) 내에 설치되는 휀(Fan), 휀을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기, 구동기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는 몸체부(1110)의 외측면에 연결되는 충전잭을 통해 외부 전원으로부터 충전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몸체부(1110)의 외측면에는 구동기를 온오프(on/off)시킬 수 있는 스위치(1131)가 제공될 수 있다.
공기 분사부(1200)는 공기 흡입부(1100)로부터 흡입된 공기를 착용자의 콧구멍 및 입을 가로막는 방향으로 분사함으로써 착용자의 안면의 콧구멍 및 입을 포함하는 영역의 전면에 에어 커튼을 형성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공기 분사부(1200)는 착용자의 콧구멍 및 입의 전면에 에어 커튼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공기 분사부(1200)는 착용자의 콧구멍보다 높은 위치로부터 콧구멍 및 입을 향해 공기를 분사할 수 있다. 따라서, 콧구멍 및 입을 향해 유입되는 유해 물질이나 콧구멍 및 입을 통해 외부로 유출되는 유해 물질이 분사되는 공기에 의해 아래로 낙하하여 멀리 퍼지지 못하게 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공기 분사부(1200)는 착용자의 눈의 전면에 에어 커튼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공기 분사부(1200)는 착용자의 안면을 바라볼 때, 콧구멍 및 눈의 사이로부터 눈을 향해 공기를 분사할 수 있다. 따라서, 외부의 유해 물질이 눈으로 유입되는 것이 에어 커튼에 의해 차단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공기 분사부(1200)는 콧구멍, 입 및 눈의 전면에 에어 커튼을 형성할 수 있다.
공기 연결부(1300)는 공기 흡입부(1100)에 의해 흡입된 공기가 공기 분사부(1200)로 내부 유로를 통해 전달되도록 공기 흡입부(1100) 및 공기 분사부(1200)를 연결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공기 연결부(1300)는 몸체부(1110)의 상면의 일 위치로부터 위로 연장되는 관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공기 연결부(1300)는 위에서 바라볼 때 몸체부(1110)의 착용자의 귀에 인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공기 연결부(1300)는 몸체부(1110)의 착용자의 양쪽 귀에 인접한 위치에 각각 하나씩 한 쌍이 제공될 수 있다. 이와 달리, 공기 연결부(1300)는 몸체부(1110)의 착용자의 한쪽 귀에 인접한 위치에 하나만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공기 분사부(1200)는 공기 연결부(1300)의 상단으로부터 착용자의 입 및 코를 향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공기 분사부(1200)의 내부에는 공기 연결부(1300)로부터 공급되는 공기가 흐르는 유로가 형성될 수 있고, 공기 분사부(1200)의 끝단은 착용자의 콧구멍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공기 분사부(1200)의 끝단 및/또는 끝단에 인접한 영역에는 아래 방향을 향해 공기가 분사되는 분사구(1201)가 형성될 수 있다. 분사구(1201)는 필요에 따라 단수개 또는 복수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분사구(1201)의 위치 및 공기 분사 방향은 필요에 따라 다르게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공기 분사부(1200)는 공기 연결부(1300)의 상단으로부터 착용자의 콧구멍 및 눈의 사이를 향한 방향으로 연장되고, 분사구(1201)는 공기 분사부(1200)의 끝단 및/또는 끝단에 인접한 영역에 위 방향을 향해 형성될 수 있다.
분사구(1201)는 에어 커튼을 형성하고자 하는 영역이 눈의 전면인지, 콧구멍 및 입의 전면인지, 아니면, 눈, 콧구멍 및 입을 모두 포함하는 영역의 전면인지 여부에 따라, 위를 향한 분사구(1201)만 제공되거나 아래를 향한 분사구(1201)만 제공되거나, 위를 향한 분사구(1201) 및 아래를 향한 분사구(1201) 모두가 제공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착용자의 콧구멍, 입 및 눈을 모두 포함하는 영역의 전면에 에어 커튼을 형성하기 위해서 공기 분사부(1200)는 끝단이 공기 연결부(1300)의 상단으로부터 착용자의 눈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되도록 연장되고, 분사구(1201)는 공기 분사부(1200)의 끝단 및/또는 끝단에 인접한 영역에 아래 방향을 향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공기 분사부(1200)는 착용자의 눈, 콧구멍 및 입을 모두 포함하는 영역의 전면에 에어 커튼을 형성할 수 있다.
공기 분사부(1200) 및 공기 연결부(1300)가 상술한 실시 예와 같이 제공되는 경우, 착용자의 신체 사이즈에 따라 분사구(1201)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하기 위해, 공기 분사부(1200) 및/또는 공기 연결부(1300)는 쉽게 구부릴 수 있되, 구부린 형상을 유지할 수 있는 재질 및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공기 연결부(1300)는 책 등에 탈착시킬 수 있는 클립형 스텐드 등에 사용되어 클립과 전등 간을 연결하는 쉽게 구부릴 수 있는 자바라 등의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공기 연결부(1300)는 몸체부(1110) 및 공기 분사부(1200) 중 적어도 하나와는 탈착 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몸체부(1110) 및/또는 공기 분사부(1200)의 외측면에는 외부로 돌출되고 내부의 공기 유로와 연통되며 외측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체결 볼트부(1001)가 제공되고, 공기 연결부(1300)의 각 끝단에는 각각의 체결 볼트부(1001)와 나사 결합되고, 내부의 유로와 연통되도록 내외부가 관통되는 체결 너트부가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착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공기 흡입부(1100), 공기 분사부(1200) 및 공기 연결부(1300)를 서로 분리하여 좁은 공간에 쉽게 보관할 수 있다. 이와 달리, 공기 연결부(1300)는 몸체부(1110) 및 공기 분사부(1200) 중 적어도 하나와 탈착 가능한 다양한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안면 에어커튼 형성 장치의 공기 분사부 및 공기 연결부의 일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도 1의 실시 예와 달리, 공기 분사부(1200)는 안경과 유사한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안경 구조의 렌즈 림의 하부에 대응되는 부분의 저면에 분사구(1201)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공기 연결부(1300)는 안경 구조의 렌즈 림에 대응되는 부분의 양측 끝단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분사구(1201)는 안경 구조의 렌즈 림의 상부에 대응되는 부분의 저면에 형성될 수 있다. 즉, 분사구(1201)는 상술한 도 1의 실시 예에서와 같이, 착용자의 안면의 콧구멍 및 입과 눈의 전면 중 에어 커튼을 형성하고자 하는 위치에 따라 다른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공기 분사부(1200)의 안경 구조의 렌즈 림의 하부에 대응되는 부분 및 안경 구조의 렌즈 림의 상부에 대응되는 부분 중 분사구(1201)가 형성되지 않는 하나는 제공되지 않음으로써, 공기 분사부(1200)의 무게를 감소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공기 분사부(1200)의 안경 구조의 렌즈 림의 상부에 대응되는 부분은 제공되지 않고, 분사구(1201)는 에어 커튼을 형성하고자 하는 위치에 따라, 렌즈 림의 하부에 대응되는 부분에 위 및/또는 아래 방향을 향해 공기를 분사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공기 연결부(1300)의 안경 구조의 렌즈 림의 상부에 대응되는 부분이 제공되지 않음으로써 착용시 무게감을 줄일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른 공기 흡입부(1100)는 도 1의 공기 흡입부(1100)와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 구조 및 기능으로 제공될 수 있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공기 연결부의 체결 구조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공기 연결부(1300)는 고무와 같은 유연성 및 탄성을 가지는 재질의 관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공기 연결부(1300)는 공기 흡입부(1100) 및 공기 분사구(1201) 중 적어도 하나에는 탈착 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예를 들면, 몸체부(1110) 및/또는 공기 분사부(1200)의 외측면에는 외부로 돌출되고 내부의 공기 유로와 연통되며 외측면에 외측으로 돌출되는 체결 프린지(1011)가 형성되는 체결 돌출부(1010)가 제공될 수 있다. 체결 돌출부(1010)는 원형 관 구조로 제공될 수 있고, 체결 프린지(1011)는 체결 돌출부(1010)의 외측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고 체결 돌출부의 외주 방향을 따라 링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체결 프린지(1011)는 공기 연결부(1300)의 내경보다 큰 외경을 가진다. 또한, 체결 돌출부(1010)의 상단의 외경은 공기 연결부(1300)의 내경보다 작게 제공되고, 체결 프린지(1011)의 상면은 외측으로 갈수록 아래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제공되어 공기 연결부(1300)에 체결 돌출부(1010)가 쉽게 삽입될 수 있는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착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공기 흡입부(1100), 공기 분사부(1200) 및 공기 연결부(1300)를 서로 분리하여 좁은 공간에 쉽게 보관할 수 있다. 이와 달리, 공기 연결부(1300)는 몸체부(1110) 및 공기 분사부(1200) 중 적어도 하나와 탈착 가능한 다양한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도 4의 공기 분사부(1200) 및 공기 연결부(1300)의 상술한 특징 외의 구성, 구조 및 기능 등은 도 1의 공기 분사부(1200) 및 공기 연결부(1300)와 동일 또는 유사하게 제공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안면 에어커튼 형성 장치의 공기 분사부 및 공기 연결부의 일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챙 체결부의 체결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공기 분사부(1200)는 야구 모자 또는 선캡 등과 같은 챙(11)을 가지는 모자(10)의 챙(11)에 탈착 가능하게 체결되는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공기 분사부(1200)는 챙(11)의 저면에 챙(11)의 양측 끝단 간을 가로지르는 방향을 따라 긴 플레이트 또는 바(Bar)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분사구(1201)는 공기 분사부(1200)의 저면에 공기 분사부(12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로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공기 분사부(1200)는 착용자의 눈, 콧구멍 및 입을 포함하는 영역에 에어 커튼을 형성할 수 있다. 공기 분사부(1200)는 챙(11)의 다양한 사이즈에 대응할 수 있도록 유연성 및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공기 분사부(1200)는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등의 유연성 및 탄성을 가지는 합성 수지를 포함하는 재질로 제공될 수 있다.
공기 분사부(1200)의 양측 끝단에는 챙(11)에 탈착 가능하게 체결되는 챙 체결부(1210)가 제공될 수 있다. 챙 체결부(1210)는 스프링 등의 탄성에 의해,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경우 닫힌 상태를 유지하는 집게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공기 연결부(1300)는 공기 분사부(1200)의 양측 끝단 중 적어도 하나의 저면에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른 공기 흡입부(1100)는 도 1의 공기 흡입부(1100)와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 구조 및 기능으로 제공될 수 있다. 도 6의 공기 분사부(1200) 및 공기 연결부(1300)의 상술한 특징 외의 구성, 구조 및 기능 등은 도 1 또는 도 4의 공기 분사부(1200) 및 공기 연결부(1300)와 동일 또는 유사하게 제공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안면 에어커튼 형성 장치의 공기 분사부 및 공기 연결부의 일 예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술한 실시 예들과 달리, 공기 분사부(1200)는 귀에 걸 수 있는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공기 분사부(1200)는 귀걸이부(1220) 및 분사 돌출부(1230)를 포함할 수 있다.
귀걸이부(1220)는 귀에 걸리도록 아래 방향을 향한 일부가 절단된 링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귀걸이부(1220)의 적어도 신체에 접촉되는 부분은 우레탄과 같은 쿠션감있는 재질로 제공될 수 있다. 귀걸이부(1220)의 일 위치에는 공기 연결부(1300)가 연결된다.
분사 돌출부(1230)는 귀걸이부(1220)로부터 착용자의 안면의 전면부를 향해 연장되는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분사구(1201)는 분사 돌출부(1230)의 끝단 및/또는 그 끝단에 인접한 영역에 단수 또는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도 1 및 도 4의 실시 예의 경우와 같이, 에어 커튼을 형성하고자 하는 위치에 따라 분사 돌출부(1230)의 연장되는 위치 및 분사구(1201)가 향하는 방향이 다르게 제공될 수 있다.
분사 돌출부(1230)는 착용자의 콧구멍, 입 및 귀 또는, 눈, 콧구멍, 입 및 귀 간의 상대적 위치 및 거리에 따라 분사구(1201)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도 1의 실시 예의 공기 연결부(1300)와 동일 또는 유사한 쉽게 구부릴 수 있되, 구부린 형상을 유지할 수 있는 재질 및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른 공기 흡입부(1100)는 도 1의 공기 흡입부(1100)와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 구조 및 기능으로 제공될 수 있다. 다만, 공기 분사부(1200)가 한쪽 귀에만 착용 가능하게 제공되는 경우에는 유입홀(1111), 필터부(1120) 및 흡입 구동부(1130)는 몸체부(1110)의 일측에만 제공될 수 있다. 이와 달리, 공기 분사부(1200)가 양쪽 귀에 각각 착용되도록 한쌍으로 제공되는 경우에는 유입홀(1111), 필터부(1120) 및 흡입 구동부(1130)는 몸체부(1110)의 양측에 각각 제공될 수 있다.
도 8의 공기 분사부(1200) 및 공기 연결부(1300)의 상술한 특징 외의 구성, 구조 및 기능 등은 도 1 또는 도 4의 공기 분사부(1200) 및 공기 연결부(1300)와 동일 또는 유사하게 제공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안면 에어커튼 형성 장치(1000)는 착용자의 입, 콧구멍 및/또는 눈을 가로막는 에어커튼을 형성함으로써, 식음료 섭취시에도 입, 콧구멍 및/또는 눈의 유해물질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안면 에어커튼 형성 장치(1000)는 착용자의 안면에 직접적으로 접촉되지 않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착용자가 느끼는 답답함의 정도를 감소시켜, 더운 날씨의 작업자나 어린이가 보다 쉽게 착용할 수 있다.
상술한 내용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 예들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단순하게 설계 변경되거나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는 실시 예들도 포함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실시 예들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기술들도 포함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실시 예들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0: 안면 에어커튼 형성 장치 1100: 공기 흡입부
1110: 몸체부 1111: 유입홀
1112: 공기 유로 1113: 걸림홈
1120: 필터부 1121: 필터 본체
1122: 탄성 밴드 1130: 흡입 구동부
1131: 스위치 1200: 공기 분사부
1201: 분사구 1210: 챙 체결부
1220: 귀걸이부 1230: 분사 돌출부

Claims (3)

  1. 착용자의 안면의 콧구멍 및 입을 포함하는 영역을 가로막는 에어 커튼을 형성하는 안면 에어커튼 형성 장치에 있어서,
    외부의 공기를 필터링하여 내부로 흡입하는 공기 흡입부;
    상기 공기 흡입부로부터 흡입된 공기를 착용자의 안면의 콧구멍 및 입을 포함하는 영역을 가로막는 방향으로 분사하는 공기 분사부; 및
    상기 공기 흡입부 및 상기 공기 분사부 사이에서, 상기 공기 흡입부 및 상기 공기 분사부와 연결되며, 관 형상을 갖는 공기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 흡입부는,
    신체 부위에 착용되고,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홀과 걸림홈이 형성되며, 내부에 유입홀로부터 상기 공기 분사부로 흐르는 공기가 지나는 공기 유로가 형성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에 설치되고, 공기를 흡입하는 힘을 발생시키는 흡입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 분사부가 분사하는 공기가 가로막는 영역은 착용자의 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유입홀은 상기 몸체부의 양 끝단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고,
    상기 걸림홈은 상기 유입홀이 형성된 상기 몸체부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끝단에 인접하여 제공되고, 상기 걸림홈의 외경은 상기 몸체부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끝단의 외경보다 작고,
    필터부는 탄성 밴드 및 필터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 밴드가 상기 걸림홈에 걸려 상기 필터 본체가 상기 유입홀에 체결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필터부는 상기 유입홀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로부터 유해 물질을 걸러내고,
    상기 몸체부는 목을 감싸는 일부 영역이 절단된 링 형상으로 제공되고,
    상기 걸림홈의 외경은 상기 걸림홈과 연결된 상기 몸체부의 끝단의 외경보다 더 작고,
    상기 흡입 구동부가 형성된 위치에서의 상기 몸체부의 외경은 상기 걸림홈의 외경 및 상기 걸림홈과 연결된 상기 몸체부의 끝단의 외경보다 더 크고,
    상기 몸체부는 체결 프린지가 형성된 체결 돌출부를 포함하되, 상기 체결 돌출부는 상기 몸체부의 외측면 상에서 돌출된 원형 관 구조이고,
    상기 체결 돌출부는 내부 유로를 가지되, 상기 내부 유로는 상기 몸체부의 공기 유로와 연통되며,
    상기 체결 프린지는 상기 체결 돌출부의 외측면을 따라 링 형상으로 제공되고,
    상기 체결 돌출부의 상면은 아래 방향으로 경사지고,
    상기 체결 돌출부의 상단의 외경은 상기 공기 연결부의 내경보다 작고,
    상기 공기 연결부는 상기 체결 프린지에 삽입 및 탈착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안면 에어커튼 형성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분사부는,
    귀에 걸리도록 아래 방향을 향한 일부가 절단된 링 형상으로 제공되는 귀걸이부; 및
    상기 귀걸이부로부터 착용자의 안면의 전면부를 향해 연장되는 분사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분사 돌출부의 공기가 분사되는 분사구는 상기 분사 돌출부의 끝단 또는 상기 끝단에 인접한 영역에 형성되는 안면 에어커튼 형성 장치.
KR1020230017932A 2022-01-20 2023-02-10 안면 에어커튼 형성 장치 KR1026430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17932A KR102643005B1 (ko) 2022-01-20 2023-02-10 안면 에어커튼 형성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8515 2022-01-20
KR1020230017932A KR102643005B1 (ko) 2022-01-20 2023-02-10 안면 에어커튼 형성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8515 Division 2022-01-20 2022-01-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2575A KR20230112575A (ko) 2023-07-27
KR102643005B1 true KR102643005B1 (ko) 2024-03-08

Family

ID=873490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17932A KR102643005B1 (ko) 2022-01-20 2023-02-10 안면 에어커튼 형성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643005B1 (ko)
WO (1) WO2023140643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88743A1 (en) * 2002-04-08 2003-10-09 Joseph Manne Air curtain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7655U (ja) * 1992-12-16 1995-02-03 勝人 内山 顔面保護具
KR101796969B1 (ko) * 2016-07-28 2017-11-13 박준국 공기분사 헤드폰
KR102019548B1 (ko) 2017-07-17 2019-09-06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에어커튼이 장착된 친환경 버스부스
KR102173944B1 (ko) * 2019-03-12 2020-11-04 이명진 개인용 공기청정기
KR102399763B1 (ko) * 2020-02-24 2022-05-18 숙명여자대학교산학협력단 웨어러블 공기청정장치
JP3228244U (ja) * 2020-07-03 2020-10-15 株式会社健明 気体マスクセット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88743A1 (en) * 2002-04-08 2003-10-09 Joseph Manne Air curtain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40643A1 (ko) 2023-07-27
KR20230112575A (ko) 2023-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393083T3 (es) Sistema de equipo protector para la cabeza con protector de filtro
KR100514762B1 (ko) 조절식 귀걸이 루프 및 낙하 방지 밴드를 조합한 안면 마스크
KR102159200B1 (ko) 길이조절 가능한 귀걸이 끈을 갖는 마스크
KR20160000527U (ko) 마스크
KR101701563B1 (ko) 공해 차단을 위한 코 마스크
US20230090701A1 (en) Wearable face mask
KR20190121019A (ko) 휴대용 송기 마스크
KR102419424B1 (ko) 웨어러블 공기청정기
KR20200023033A (ko) 스포츠용 마스크
KR102643005B1 (ko) 안면 에어커튼 형성 장치
KR102286176B1 (ko) 미세먼지용 코 마스크
CN111904082A (zh) 全方位防病毒头盔
KR20180121114A (ko) 공기 청정 기능을 갖는 차양모자
KR200290424Y1 (ko) 방진용 코 마스크
RU204164U1 (ru) Персона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фильтрации воздуха
KR20140062613A (ko) 통기성 안면가리개
KR20090039204A (ko) 하우징을 장착한 방진마스크
KR20210000416U (ko) 페이스 실드 마스크
KR20210107233A (ko) 마스크
KR20220016527A (ko) 헬멧형 방호 마스크
KR20210133018A (ko) 마스크용 가드 및 이를 포함하는 필터 교체형 마스크
CN211832956U (zh) 一种头戴式防护罩
JP5918819B2 (ja) 頭巾及び頭巾の製造方法
CN214802515U (zh) 一种疫情用带有鼻部衬垫的口罩
KR102296863B1 (ko) 마스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