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2470B1 - Foam washable toilet and control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Foam washable toilet and control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2470B1
KR102642470B1 KR1020220018866A KR20220018866A KR102642470B1 KR 102642470 B1 KR102642470 B1 KR 102642470B1 KR 1020220018866 A KR1020220018866 A KR 1020220018866A KR 20220018866 A KR20220018866 A KR 20220018866A KR 102642470 B1 KR102642470 B1 KR 1026424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am
water level
inner tank
supply
amou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886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30122336A (en
Inventor
송기풍
Original Assignee
송기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기풍 filed Critical 송기풍
Priority to KR10202200188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2470B1/en
Publication of KR202301223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233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24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247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2Devices adding a disinfecting, deodorising, or cleaning agent to the water while flushing
    • E03D9/03Devices adding a disinfecting, deodorising, or cleaning agent to the water while flushing consisting of a separate container with an outlet through which the agent is introduced into the flushing water, e.g. by suction ; Devices for agents in direct contact with flushing water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7/00Control of flow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거품을 공급받는 내조를 가진 변기 본체와, 세정액에 공기를 공급하여 거품을 발생시키는 기포발생펌프와, 기포발생펌프에 의해 발생된 거품을 내조로 공급하는 거품 공급부와, 내조에서 오물통으로 배출되는 오물을 안내하고, 내조에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거품이 소멸되어 생긴 물을 수용하는 배출관과, 배출관 내의 수위를 검출하는 수위센서 및 수위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제어부는 기포발생펌프를 작동시켜 내조에 거품을 공급하고, 수위센서를 통해 검출된 수위에 따라 거품 공급량을 결정하고, 기포발생펌프를 제어하여 결정된 거품 공급량을 내조에 추가 공급한다.A toilet body with an inner tank that receives foam, a bubble generating pump that supplies air to the cleaning liquid to generate foam, a foam supply unit that supplies foam generated by the bubble generating pump to the inner tank, and waste discharged from the inner tank into a waste bin. guides the water, and includes a discharge pipe that accommodates water generated by the disappearance of bubbles over time in the inner tank, a water level sensor that detects the water level in the discharge pipe, and a control section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water level sensor, and the control section operates a bubble generating pump. It operates to supply foam to the inner tank, determines the amount of foam supplied according to the water level detected through the water level sensor, and controls the bubble generating pump to additionally supply the determined amount of foam to the inner tank.

Description

포세식 변기 및 그 제어방법{FOAM WASHABLE TOILET AND CONTROL METHOD THEREOF}Foam-type toilet and its control method {FOAM WASHABLE TOILET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세정수로 발생시킨 거품을 이용하여 오물을 씻어버리고 냄새를 차단할 수 있는 포세식 변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ush-type toilet and its control method that can wash away dirt and block odors using foam generated by washing water.

일반적으로, 포세식 변기는 기포발생펌프를 이용하여 물에 세정액이 혼합된 세정수에 공기를 공급하여 거품을 발생시키고 일정한 수준의 거품량이 변기 내에 지속적으로 잔류되도록 거품 공급을 조절함으로써 변기의 상태를 청결하게 유지시킬 수 있고, 악취를 차단할 수 있다.In general, a foam-type toilet uses a bubble-generating pump to supply air to the washing water mixed with water and cleaning liquid to generate foam, and regulates the foam supply so that a certain level of foam remains in the toilet continuously, thereby maintaining the condition of the toilet. It can be kept clean and bad odors can be blocked.

이러한 포세식 변기는 물의 공급이 용이하지 않은 공사장, 공원 등의 이동식 화장실에서 이용되고 있는 추세이다.These portable toilets are increasingly being used in portable toilets such as construction sites and parks where water is not readily available.

기존의 포세식 변기는 변기 내부로 일정량의 거품을 지속적으로 잔류시키기 위하여 거품을 주기적으로 공급한다. 기존의 포세식 변기는 설치된 장소의 사용 패턴에 맞게 메모리에 저장된 거품공급주기에 따라 기포발생펌프를 온 시키거나 오프시킨다. 거품공급주기의 온 시간 동안에는 기포발생펌프를 온시키고, 오프 시간 동안에는 기포발생펌프를 오프시킨다.Existing toilets periodically supply foam to keep a certain amount of foam inside the toilet. Existing foam-type toilets turn the bubble generating pump on or off according to the bubble supply cycle stored in the memory according to the usage pattern of the installed location. During the on time of the bubble supply cycle, the bubble generating pump is turned on, and during the off time, the bubble generating pump is turned off.

포세식 변기의 내부에 공급된 거품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차 자연 소멸한다. 예를 들면, 거품은 공급된 후 5분이 경과하면 자연 소멸하여 물로 변해 배출구 방향으로 내려간다.The foam supplied inside the toilet gradually disappears naturally over time. For example, 5 minutes after being supplied, the bubbles naturally disappear, turn into water, and go down toward the outlet.

하지만, 기존에는 거품을 주기적으로 공급하다 보니 먼저 공급된 거품이 시간이 지나 물로 변하기도 전에 새로 공급된 거품에 의해 배출구 측으로 강제로 밀려 내려간다.However, since bubbles are supplied periodically, the previously supplied bubbles are forced down to the outlet by the newly supplied bubbles before they can turn into water over time.

이로 인해, 불필요한 거품 낭비가 발생하기 때문에 물과 세정액이 많이 소모된다.Because of this, unnecessary waste of foam occurs and a lot of water and cleaning fluid are consumed.

등록특허공보 제10-1590158호(2016.01.25. 등록)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590158 (registered on January 25, 2016)

일 측면은 먼저 공급된 거품이 시간이 지나 자연 소멸하여 물로 변하기도 전에 새로 공급된 거품에 의해 배출구 측으로 강제로 밀려 내려가는 것을 방지하여 불필요한 거품 낭비를 예방할 수 있는 포세식 변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한다.One aspect provides a flush-type toilet and its control method that can prevent unnecessary waste of foam by preventing the previously supplied foam from being forced down the outlet by newly supplied foam before it naturally disappears over time and turns into water. .

일 측면에 따르면, 거품을 공급받는 내조를 가진 변기 본체; 세정액에 공기를 공급하여 거품을 발생시키는 기포발생펌프; 상기 기포발생펌프에 의해 발생된 거품을 상기 내조로 공급하는 거품 공급부; 상기 내조에서 오물통으로 배출되는 오물을 안내하고, 상기 내조에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거품이 소멸되어 생긴 물을 수용하는 배출관; 상기 배출관 내의 수위를 검출하는 수위센서; 및 상기 수위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포발생펌프를 작동시켜 상기 내조에 거품을 공급하고, 상기 수위센서를 통해 검출된 수위에 따라 거품 공급량을 결정하고, 상기 기포발생펌프를 제어하여 상기 결정된 거품 공급량을 상기 내조에 추가 공급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위센서를 통해 검출된 수위가 미리 설정된 수위에 도달하면, 상기 결정된 거품 공급량을 상기 내조에 추가 공급하는 포세식 변기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a toilet body having an inner tank supplied with foam; A bubble generating pump that supplies air to the cleaning solution to generate bubbles; a foam supply unit that supplies foam generated by the bubble generating pump to the inner tank; a discharge pipe that guides waste discharged from the inner tank into a cesspool and receives water generated by dissipation of bubbles in the inner tank over time; A water level sensor that detects the water level in the discharge pipe; and a control uni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water level sensor, wherein the control unit operates the bubble generating pump to supply foam to the inner tank, determines the amount of foam supplied according to the water level detected through the water level sensor, and controls the bubble generation pump to supply foam to the inner tank. A toilet that controls the generating pump to additionally supply the determined foam supply amount to the inner tank, and wherein the controller additionally supplies the determined foam supply amount to the inner tank when the water level detected through the water level sensor reaches a preset water level. may be provided.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위센서를 통해 검출된 수위에 대응하는 거품량을 상기 거품 공급량으로 결정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may determine the amount of foam corresponding to the water level detected through the water level sensor as the amount of foam supplied.

삭제delete

상기 내조 내의 거품의 높이를 검출하는 거품감지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내조에 거품을 추가 공급하고 상기 거품감지센서를 통해 검출된 거품 높이가 미리 설정된 높이에 도달하면 상기 거품의 추가 공급을 정지시킬 수 있다.It includes a foam detection sensor that detects the height of foam in the inner tank, and the control unit supplies additional foam to the inner tank and supplies additional foam when the foam height detected through the foam detection sensor reaches a preset height. It can be stopped.

다른 측면에 따르면, 세정액에 공기를 공급하여 거품을 발생시키는 기포발생펌프를 작동시켜 변기 본체의 내조에 거품을 공급하고, 상기 내조에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거품이 소멸되어 생긴 물을 수용하는 배출관 내의 수위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수위에 따라 거품 공급량을 결정하고, 상기 기포발생펌프를 제어하여 상기 결정된 거품 공급량을 상기 내조에 추가 공급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결정된 거품 공급량을 상기 내조에 추가 공급하는 것은, 상기 검출된 수위가 미리 설정된 수위에 도달하면, 상기 결정된 거품 공급량을 상기 내조에 추가 공급하는 것을 포함하는 포세식 변기의 제어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a bubble generating pump that generates bubbles by supplying air to the cleaning liquid is operated to supply bubbles to the inner tank of the toilet main body, and within the discharge pipe that receives water generated by the disappearance of bubbles in the inner tank over time. Detecting the water level, determining a foam supply amount according to the detected water level, controlling the bubble generating pump to additionally supply the determined foam supply amount to the inner tank, and additionally supplying the determined foam supply amount to the inner tank. That is, when the detected water level reaches a preset water level, a control method of a flush toilet can be provided, including additionally supplying the determined foam supply amount to the inner tank.

상기 거품 공급량을 결정하는 것은, 상기 검출된 수위에 대응하는 거품량을 상기 거품 공급량으로 결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Determining the foam supply amount may include determining the foam amount corresponding to the detected water level as the foam supply amount.

삭제delete

상기 결정된 거품 공급량을 상기 내조에 추가 공급하는 것은, 상기 내조 내의 거품의 높이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거품 높이가 미리 설정된 높이에 도달하면 상기 거품의 추가 공급을 정지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Additional supply of the determined foam supply amount to the inner tank may include detecting the height of foam in the inner tank, and stopping additional supply of the foam when the detected foam height reaches a preset height.

본 발명은 먼저 공급된 거품이 시간이 지나 소멸하여 물로 변하기도 전에 새로 공급된 거품에 의해 배출구 측으로 강제로 밀려 내려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불필요한 거품 낭비를 예방할 수 있어 물과 세정액의 소모를 줄일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events unnecessary foam waste by preventing previously supplied foam from being forced down toward the outlet by newly supplied foam before it disappears over time and turns into water, thereby reducing consumption of water and cleaning fluid.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포세식 변기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포세식 변기의 제어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포세식 변기의 수위센서를 도시한다.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포세식 변기에서 소멸된 거품이 물로 변해 배수관을 채운 수위가 수위센서가 장착된 높이에 도달한 경우를 도시한다.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포세식 변기의 제어방법에 대한 제어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포세식 변기에 수위센서와 거품감지센서가 장착된 것을 도시한다.
도 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포세식 변기의 제어방법에 대한 제어흐름도를 도시한다.
Figure 1 shows a perspective view of a flush-type toil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 2 shows a control block diagram of a flush-type toil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 3 shows a water level sensor of a flush toil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 4 shows a case in which bubbles dissipated in a flush toil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turn into water and the water level filling the drain pipe reaches the height at which the water level sensor is mounted.
Figure 5 shows a control flowchart for a control method of a flush-type toil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 6 shows a water level sensor and a foam detection sensor installed in a flush-type toile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Figure 7 shows a control flow diagram of a control method of a flush-type toile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가 실시예들의 모든 요소들을 설명하는 것은 아니며, 개시된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인 내용 또는 실시예들 간에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 모듈, 부재, 블록’이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으며, 실시예들에 따라 복수의 ‘부, 모듈, 부재, 블록’이 하나의 구성요소로 구현되거나, 하나의 ‘부, 모듈, 부재, 블록’이 복수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This specification does not describe all elements of the embodiments, and general content or overlapping content between the embodiments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disclosed invention pertains is omitted. The term 'unit, module, member, block' used in the specification may be implemented as software or hardware, and depending on the embodiment, a plurality of 'unit, module, member, block' may be implemented as a single component, or It is also possible for one 'part, module, member, or block' to include multiple components.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를 포함하고, 간접적인 연결은 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포함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be “connected” to another part, this includes not only direct connection but also indirect connection, and indirect connection includes connection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do.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In addition, when a part is said to “include” a certain component, this does not mean that other components are excluded, but that it can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member is said to be located “on” another member, this includes not only the case where a member is in contact with another member, but also the case where another member exists between the two members.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전술된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예외가 있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are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and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above-mentioned terms.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makes an exception.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실시될 수 있다.The identification code for each step is use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identification code does not explain the order of each step, and each step may be performed differently from the specified order unless a specific order is clearly stated in the context. there is.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포세식 변기의 사시도를 도시한다.Figure 1 shows a perspective view of a flush-type toil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1을 참조하면, 포세식 변기는 변기 본체(10), 변기 본체(10)에 연결된 본체 수조(20) 및 전장부품이 마련된 컨트롤 유닛(30)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a portable toilet may include a toilet main body 10, a main water tank 20 connected to the toilet main body 10, and a control unit 30 provided with electrical components.

본체 수조(20) 내에는 물이 저장되어 있다. 본체 수조(20) 내에는 저장된 물에 세정액을 공급하도록 세정액이 저장된 세정액 탱크(21)가 마련될 수 있다.Water is stored in the main body water tank 20. A cleaning liquid tank 21 storing a cleaning liquid may be provided in the main body water tank 20 to supply the cleaning liquid to the stored water.

본체 수조(20)에는 변기 본체(10)와 연통되어 본체 수조(20)에서 발생된 거품을 변기 본체(10)의 내부로 공급하는 거품 공급부(22)가 마련되어 있다.The main water tank 20 is provided with a foam supply unit 22 that communicates with the toilet main body 10 and supplies foam generated in the main water tank 20 into the interior of the toilet main body 10.

컨트롤 유닛(30)은 포세식 변기의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31)와 이 제어부(31)의 제어신호에 따라 작동되는 기포발생펌프(32)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30 may include a control unit 31 that performs overall control of the flush toilet and a bubble generating pump 32 that operates according to control signals from the control unit 31.

기포발생펌프(32)는 공기 공급관(33)에 의해 본체 수조(20)의 하부에 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The bubble generating pump 32 is provided to supply air to the lower part of the main water tank 20 through the air supply pipe 33.

기포발생펌프(32)가 공기 공급관(33)을 통해 본체 수조(20)로 공기를 공급함으로써 본체 수조(20)의 상부에서 거품이 발생한다. 발생된 거품은 거품 공급부(22)를 따라 변기 본체(10)의 외조(11)와 내조(12) 사이로 안내된 후 내조면을 따라 흘러내린다.The bubble generating pump 32 supplies air to the main water tank 20 through the air supply pipe 33, thereby generating bubbles at the top of the main water tank 20. The generated foam is guided between the outer tank 11 and the inner tank 12 of the toilet main body 10 along the foam supply part 22 and then flows down along the inner tank surface.

상기한 구성을 갖는 포세식 변기는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변기 내부로 일정량의 거품을 지속적으로 잔류시킨다.A flush-type toilet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continuously leaves a certain amount of foam inside the toilet in the same manner as described above.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용변을 보는 경우, 용변은 내조(12)에 체류하는 거품(B)에 의해 내조(12)에 닿지 않으면서 배출관(13)으로 이동한다. 배출관(13)으로 이동된 변은 자중 혹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배출관(13)을 개방하여 하측의 오물통으로 낙하한다.When the user relieves himself in this state, the urine moves to the discharge pipe 13 without touching the inner tank 12 due to the foam B remaining in the inner tank 12. The stool moved to the discharge pipe 13 opens the discharge pipe 13 by its own weight or by the user's manipulation and falls into the cesspit below.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포세식 변기의 제어블록도를 도시한다.Figure 2 shows a control block diagram of a flush-type toile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도 2를 참조하면, 포세식 변기는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31)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ure 2, the flush toilet includes a control unit 31 that performs overall control.

제어부(31)의 입력측에는 수위센서(40)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A water level sensor 4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input side of the control unit 31.

제어부(31)의 출력측에는 기포발생펌프(32)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A bubble generating pump 32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output side of the control unit 31.

제어부(31)는 프로세서(31a)와 메모리(31b)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31 may include a processor 31a and a memory 31b.

메모리(31b)는 프로세서(31a)의 처리 또는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과, 포세식 변기의 작동을 위한 각종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The memory 31b can store programs for processing or controlling the processor 31a and various data for operating the toilet.

메모리(31b)는 S램(S-RAM), D램(D-RAM) 등의 휘발성 메모리뿐만 아니라 플래시 메모리, 롬(Read Only Memory, ROM), 이피롬(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EPROM) 등의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The memory 31b includes not only volatile memories such as S-RAM and D-RAM, but also flash memory, Read Only Memory (ROM),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EPROM), etc. It may include non-volatile memory.

프로세서(31a)는 포세식 변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The processor 31a can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flush toilet.

수위센서(40)는 변기 본체(10)의 배출관(13)에 마련되어 배출관(13) 내의 수위를 검출한다. 수위센서(40)는 배출관(13) 내의 수위가 미리 설정된 높이에 도달할 때 수위감지신호를 출력한다. 수위센서(40)에 의해 출력된 수위감지신호는 제어부(31)에 전달된다.The water level sensor 40 is provided in the discharge pipe 13 of the toilet body 10 and detects the water level in the discharge pipe 13. The water level sensor 40 outputs a water level detection signal when the water level in the discharge pipe 13 reaches a preset height. The water level detection signal output by the water level sensor 40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31.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포세식 변기의 수위센서를 도시하고,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포세식 변기에서 소멸된 거품이 물로 변해 배수관을 채운 수위가 수위센서가 장착된 높이에 도달한 경우를 도시한다.Figure 3 shows a water level sensor of a flush-type toil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Figure 4 shows a case where the foam extinguished in a flush-type toil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turns into water and the water level filling the drain pipe reaches the height at which the water level sensor is mounted. It shows.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수위센서(40)는 변기 본체(10)의 배출관(13)의 하단부에 내장되며, 배출관(13) 내에 수용된 물과 직접 접촉 가능하도록 일단이 배출관(13)을 관통하여 배출관(13) 내에 위치한다.Referring to Figures 3 and 4, the water level sensor 40 is built into the lower part of the discharge pipe 13 of the toilet main body 10, and has one end of the discharge pipe 13 so as to be in direct contact with the water contained in the discharge pipe 13. It penetrates and is located within the discharge pipe (13).

배출관(13)에는 내조(12)에 공급된 거품 중에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자연 소멸된 거품이 물로 변하는 데 이 물이 배출관(13) 내에 수용된다.Among the bubbles supplied to the inner tank 12, the foam that naturally disappears over time turns into water in the discharge pipe 13, and this water is accommodated in the discharge pipe 13.

소멸된 거품량이 많을수록 수용된 물의 양도 늘어난다.As the amount of bubbles dissipated increases, the amount of water received also increases.

수위센서(40)는 배출관(13) 내의 물과 접촉할 때와 접촉하지 않을 때의 저항 변화로 인해 서로 다른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수위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수위센서(40)는 부유식의 리밋 스위치 등 다른 형태로도 가능하다.The water level sensor 40 can detect the water level by outputting different signals due to changes in resistance when it is in contact with the water in the discharge pipe 13 and when it is not in contact with it. Additionally, the water level sensor 40 can be in other forms, such as a floating limit switch.

제어부(31)는 수위센서(40)로부터 출력된 수위감지신호에 따라 배출관(13)의 수위를 인식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31 can recognize the water level of the discharge pipe 13 according to the water level detection signal output from the water level sensor 40.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포세식 변기의 제어방법에 대한 제어흐름도를 도시한다.Figure 5 shows a control flowchart for a control method of a flush-type toil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5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포세식 변기의 제어방법은 변기 본체(10)의 배출관(13)의 수위를 검출하고(100), 검출된 수위가 미리 설정된 수위(Wref)에 도달하였는지를 판단하고(102), 검출된 수위가 미리 설정된 수위(Wref)에 도달하면, 내조(12)에 공급할 거품공급량을 결정하고(104), 기포발생펌프(32)를 작동시켜 결정된 거품공급량을 발생시켜 내조(12)에 공급하는 것(106)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the control method of a flush toil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detects the water level of the discharge pipe 13 of the toilet main body 10 (100) and determines whether the detected water level has reached a preset water level (Wref). (102), when the detected water level reaches the preset water level (Wref), the amount of foam supplied to the inner tank 12 is determined (104), and the bubble generating pump 32 is operated to generate the determined amount of foam supplied to the inner tank. It may include supplying (106) to (12).

먼저, 제어부(31)는 변기 본체(10) 내의 내조(12)에 거품을 공급하도록 기포발생펌프(32)를 일정시간 동안 주기적으로 작동시킨다. 예를 들면, 2초 ON/ 30초 OFF 식으로 기포발생펌프(32)를 일정시간 동안 주기적으로 작동시킨다.First, the control unit 31 periodically operates the bubble generating pump 32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to supply foam to the inner tank 12 in the toilet main body 10. For example, the bubble generating pump 32 is periodically operat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such as 2 seconds ON/30 seconds OFF.

예를 들면, 거품 공급 후 5분이 경과하면 내조(12)의 공급된 거품 중 먼저 공급된 거품인 아랫 거품은 자연 소멸하여 물로 변하기 시작하고, 이 물은 배출관(13)에 수용된다.For example, when 5 minutes have elapsed after supplying foam, the lower foam, which is the foam supplied first among the foam supplied to the inner tank 12, naturally disappears and begins to turn into water, and this water is received in the discharge pipe 13.

이러한 상태에서 제어부(31)는 수위센서(40)를 통해 배출관(13)의 수위를 검출한다.In this state, the control unit 31 detects the water level of the discharge pipe 13 through the water level sensor 40.

배출관(13)의 수위가 미리 설정된 수위(Wref)에 도달하면 그만큼 자연 소멸된 거품량이 증가한 것이므로, 거품 소멸분을 보충할 필요가 있다.When the water level in the discharge pipe 13 reaches the preset water level (Wref), the amount of bubbles naturally extinguished increases, so it is necessary to replenish the amount of foam that disappears.

제어부(31)는 배출관(13)의 수위가 미리 설정된 수위(Wref)에 도달하면 내조(12)에 추가 공급할 거품공급량을 결정한다. 이때, 거품 공급량은 배출관(13)의 수위에 대응되도록 미리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면, 1/10의 거품이 소멸되었다면, 1/10의 거품이 공급될 수 있도록 거품 공급량을 결정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31 determines the amount of foam to be additionally supplied to the inner tank 12 when the water level in the discharge pipe 13 reaches the preset water level Wref. At this time, the foam supply amount may be preset to correspond to the water level in the discharge pipe 13. For example, if 1/10 of the foam has disappeared, the foam supply amount can be determined so that 1/10 of the foam can be supplied.

제어부(31)는 결정된 거품 공급량에 따라 기포발생펌프(32)를 작동시켜 거품을 발생시킴으로써 변기 본체(10)의 내조(12)에 거품 소멸분에 대응하는 추가 거품량을 공급한다.The control unit 31 operates the bubble generating pump 32 according to the determined foam supply amount to generate foam, thereby supplying an additional amount of foam corresponding to the amount of foam to the inner tank 12 of the toilet main body 10.

도 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포세식 변기에 수위센서와 거품감지센서가 장착된 것을 도시한다.Figure 6 shows a water level sensor and a foam detection sensor installed in a flush-type toile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도 6을 참조하면, 포세식 변기는 수위센서(40)와 거품감지센서(5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the flush toilet may include a water level sensor 40 and a foam detection sensor 50.

거품감지센서(50)는 제어부(3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The foam detection sensor 5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31.

거품감지센서(50)는 변기 본체(10)의 내조(12)의 미리 설정된 위치(예를 들면, 내조 상단부)에 마련된다.The foam detection sensor 50 is provided at a preset position (for example, the upper part of the inner tank) of the inner tank 12 of the toilet main body 10.

거품감지센서(50)는 내조(12)의 상단부에 내장되며 내조(12) 내의 거품과 직접 접촉 가능하도록 일단이 내조(12)를 관통하여 내조(12) 내에 위치한다.The foam detection sensor 50 is built into the upper part of the inner tank 12, and one end penetrates the inner tank 12 so as to be in direct contact with the foam in the inner tank 12.

거품감지센서(41)는 내조(12) 내의 거품과 접촉할 때와 접촉하지 않을 때의 저항 변화로 인해 서로 다른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거품의 높이를 감지할 수 있다.The foam detection sensor 41 can detect the height of the foam by outputting different signals due to changes in resistance when in contact with the foam in the inner tank 12 and when not in contact.

예를 들면, 거품감지센서(41)는 접지 전극과 감지 전극 등 두 개의 전극을 포함하는 형태이거나, 정전용량식 레벨센서 혹은 프리즘 타입의 광학식 레벨센서일 수 있다.For example, the bubble detection sensor 41 may be of a type including two electrodes, such as a ground electrode and a detection electrode, or may be a capacitive level sensor or a prism-type optical level sensor.

거품감지센서(50)는 변기 본체(10)의 내조(12)에 마련되어 내조(12)의 공급된 거품의 높이를 검출한다. 거품감지센서(50)는 내조(12)의 거품 높이가 미리 설정된 높이에 도달할 때 거품감지신호를 출력한다. 거품감지센서(50)에 의해 출력된 거품감지신호는 제어부(31)에 전달된다.The foam detection sensor 50 is provided in the inner tank 12 of the toilet main body 10 and detects the height of foam supplied to the inner tank 12. The foam detection sensor 50 outputs a foam detection signal when the foam height in the inner tank 12 reaches a preset height. The foam detection signal output by the foam detection sensor 50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31.

도 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포세식 변기의 제어방법에 대한 제어흐름도를 도시한다.Figure 7 shows a control flow diagram of a control method of a flush-type toile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도 7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포세식 변기의 제어방법은 변기 본체(10)의 배출관(13)의 수위를 검출하고(200), 검출된 수위가 미리 설정된 수위(Wref)에 도달하였는지를 판단하고(202), 검출된 수위가 미리 설정된 수위(Wref)에 도달하면, 기포발생펌프(32)를 작동시켜 내조(12)에 거품을 공급하고(204), 내조(12)의 거품 높이를 검출하고(206), 검출된 거품 높이가 미리 설정된 높이(Bref)에 도달하였는지를 판단하고(208), 검출된 거품 높이가 미리 설정된 높이(Bref)에 도달하면, 기포발생펌프(32)를 정지시켜 거품 공급을 정지시키는 것(210)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the control method of a flush toile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detects the water level of the discharge pipe 13 of the toilet main body 10 (200) and determines whether the detected water level has reached a preset water level (Wref). When the determination is made (202) and the detected water level reaches the preset water level (Wref), the bubble generating pump (32) is operated to supply bubbles to the inner tank (12) (204), and the bubble height of the inner tank (12) is increased. Detect (206), determine whether the detected bubble height has reached the preset height (Bref) (208), and when the detected bubble height reaches the preset height (Bref), stop the bubble generating pump (32). This may include stopping the foam supply (210).

먼저, 제어부(31)는 변기 본체(10) 내의 내조(12)에 거품을 공급하도록 기포발생펌프(32)를 일정시간 동안 주기적으로 작동시킨다. 예를 들면, 거품 공급 후 5분이 경과하면 내조(12)의 공급된 거품 중 먼저 공급된 거품인 아랫 거품은 자연 소멸하여 물로 변하기 시작하고, 이 물은 배출관(13)에 수용된다.First, the control unit 31 periodically operates the bubble generating pump 32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to supply foam to the inner tank 12 in the toilet main body 10. For example, when 5 minutes have elapsed after supplying foam, the lower foam, which is the foam supplied first among the foam supplied to the inner tank 12, naturally disappears and begins to turn into water, and this water is received in the discharge pipe 13.

이러한 상태에서 제어부(31)는 수위센서(40)를 통해 배출관(13)의 수위를 검출한다. 배출관(13)의 수위가 미리 설정된 수위(Wref)에 도달하면 그만큼 자연 소멸된 거품량이 증가한 것이므로, 거품 소멸분을 보충할 필요가 있다.In this state, the control unit 31 detects the water level of the discharge pipe 13 through the water level sensor 40. When the water level in the discharge pipe 13 reaches the preset water level (Wref), the amount of bubbles naturally extinguished increases, so it is necessary to replenish the amount of foam that disappears.

제어부(31)는 배출관(13)의 수위가 미리 설정된 수위(Wref)에 도달하면 기포발생펌프(32)를 작동시켜 내조(12)에 거품을 공급한다. 이에 따라, 거품 소멸분에 대응하는 추가 거품량이 공급된다.When the water level in the discharge pipe 13 reaches the preset water level (Wref), the control unit 31 operates the bubble generating pump 32 to supply bubbles to the inner tank 12. Accordingly, an additional amount of foam corresponding to the amount of foam extinguished is supplied.

제어부(31)는 거품감지센서(50)를 통해 내조(12)의 거품 높이를 검출하고, 검출된 거품 높이가 미리 설정된 높이(Bref)에 도달하면, 기포발생펌프(32)를 정지시켜 거품 공급을 정지시킨다. 이에 따라, 예를 들면, 1/10의 거품이 소멸되더라도 1/10의 거품을 추가 공급할 수 있어 변기 본체(10)의 내조(12)에 거품 소멸분에 대응하는 추가 거품량만을 공급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31 detects the foam height of the inner tank 12 through the foam detection sensor 50, and when the detected foam height reaches the preset height (Bref), it stops the bubble generating pump 32 to supply foam. stop. Accordingly, for example, even if 1/10 of the foam disappears, 1/10 of the foam can be additionally supplied, so that only an additional amount of foam corresponding to the amount of foam extinguished can be supplied to the inner tank 12 of the toilet main body 10.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먼저 공급된 거품이 시간이 지나 소멸하여 물로 변하기도 전에 새로 공급된 거품에 의해 배출구 측으로 강제로 밀려 내려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불필요한 거품 낭비를 예방할 수 있어 물과 세정액의 소모를 줄일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unnecessary foam waste by preventing the previously supplied foam from being forced down toward the outlet by the newly supplied foam before it disappears over time and turns into water, thereby reducing the consumption of water and cleaning liquid. You can.

한편, 전술한 제어부 및/또는 그 구성요소는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알고리즘/소프트웨어를 저장하는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와 결합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마이크로프로세서(들)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마이크로프로세서(들)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알고리즘/소프트웨어를 실행하여 전술한 기능, 동작, 단계 등을 수행할 수 있다.Meanwhile, the above-described control unit and/or its components may include one or more processors/microprocessor(s) combined with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ing computer-readable code/algorithm/software. The processor/microprocessor(s) may perform the above-described functions, operations, steps, etc. by executing computer-readable code/algorithm/software stored i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상술한 제어부 및/또는 그 구성요소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비 일시적 기록 매체 또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일시적인 기록 매체로 구현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는 전술한 제어부 및/또는 그 구성요소에 의해 제어될 수 있으며, 전술한 제어부 및/또는 그 구성요소에 전달되거나 그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되거나 전술한 제어부 및/또는 그 구성요소에 의해 처리되거나 처리될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control unit and/or its components may further include a memory implemented as a computer-readable non-transitory recording medium or a computer-readable temporary recording medium. The memory may be controlled by the above-described control unit and/or its components and is configured to store data transmitted to or received from the above-described control unit and/or its components. It may be configured to store data that has been or will be processed.

개시된 실시예는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알고리즘/소프트웨어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프로세서/마이크로프로세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데이터 저장 장치와 같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비 일시적 기록 매체 일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로는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 실리콘 디스크 드라이브(SDD), 읽기 전용 메모리 (RO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학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다.The disclosed embodiments can also be implemented as computer-readable code/algorithm/software o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be a computer-readable non-transitory recording medium, such as a data storage device capable of storing data that can be read by a processor/microprocessor.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hard disk drives (HDDs), solid-state drives (SSDs), silicon disk drives (SDDs), read-only memory (ROMs), CD-ROMs, magnetic tapes, floppy disks, and optical data storage devices. etc.

10: 변기 본체 12: 내조
13: 배출관 20: 수조
30: 컨트롤 유닛 31: 제어부
32: 기포발생펌프 40: 수위센서
50: 거품감지센서
10: toilet body 12: inner tank
13: discharge pipe 20: water tank
30: control unit 31: control unit
32: Bubble generating pump 40: Water level sensor
50: Foam detection sensor

Claims (8)

거품을 공급받는 내조를 가진 변기 본체;
세정액에 공기를 공급하여 거품을 발생시키는 기포발생펌프;
상기 기포발생펌프에 의해 발생된 거품을 상기 내조로 공급하는 거품 공급부;
상기 내조에서 오물통으로 배출되는 오물을 안내하고, 상기 내조에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거품이 소멸되어 생긴 물을 수용하는 배출관;
상기 배출관 내의 수위를 검출하는 수위센서; 및
상기 수위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포발생펌프를 작동시켜 상기 내조에 거품을 공급하고, 상기 수위센서를 통해 검출된 수위에 따라 거품 공급량을 결정하고, 상기 기포발생펌프를 제어하여 상기 결정된 거품 공급량을 상기 내조에 추가 공급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위센서를 통해 검출된 수위가 미리 설정된 수위에 도달하면, 상기 결정된 거품 공급량을 상기 내조에 추가 공급하는 포세식 변기.
A toilet body with an inner tank supplied with foam;
A bubble generating pump that supplies air to the cleaning solution to generate bubbles;
a foam supply unit that supplies foam generated by the bubble generating pump to the inner tank;
a discharge pipe that guides waste discharged from the inner tank into a cesspool and receives water generated by dissipation of bubbles in the inner tank over time;
A water level sensor that detects the water level in the discharge pipe; and
It includes a control uni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water level sensor,
The control unit operates the bubble generating pump to supply foam to the inner tank, determines the foam supply amount according to the water level detected through the water level sensor, and controls the bubble generating pump to add the determined foam supply amount to the inner tank. supply,
The control unit additionally supplies the determined amount of foam to the inner tank when the water level detected through the water level sensor reaches a preset water leve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위센서를 통해 검출된 수위에 대응하는 거품량을 상기 거품 공급량으로 결정하는 포세식 변기.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e amount of foam corresponding to the water level detected through the water level sensor as the amount of foam supplied.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조 내의 거품의 높이를 검출하는 거품감지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내조에 거품을 추가 공급하고 상기 거품감지센서를 통해 검출된 거품 높이가 미리 설정된 높이에 도달하면 상기 거품의 추가 공급을 정지시키는 포세식 변기.
According to paragraph 1,
It includes a foam detection sensor that detects the height of foam in the inner tank,
The control unit supplies additional foam to the inner tank and stops the additional supply of foam when the foam height detected through the foam detection sensor reaches a preset height.
세정액에 공기를 공급하여 거품을 발생시키는 기포발생펌프를 작동시켜 변기 본체의 내조에 거품을 공급하고,
상기 내조에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거품이 소멸되어 생긴 물을 수용하는 배출관 내의 수위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수위에 따라 거품 공급량을 결정하고,
상기 기포발생펌프를 제어하여 상기 결정된 거품 공급량을 상기 내조에 추가 공급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결정된 거품 공급량을 상기 내조에 추가 공급하는 것은,
상기 검출된 수위가 미리 설정된 수위에 도달하면, 상기 결정된 거품 공급량을 상기 내조에 추가 공급하는 것을 포함하는 포세식 변기의 제어방법.
The bubble generating pump, which supplies air to the cleaning liquid and generates bubbles, is operated to supply bubbles to the inner tank of the toilet body.
Detecting the water level in the discharge pipe containing water generated by the disappearance of bubbles over time in the inner tank,
Determine the amount of foam supply according to the detected water level,
It includes controlling the bubble generating pump to additionally supply the determined bubble supply amount to the inner tank,
Additional supply of the determined foam supply amount to the inner tank,
When the detected water level reaches a preset water level, a control method for a flush toilet comprising additionally supplying the determined foam supply amount to the inner tank.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거품 공급량을 결정하는 것은,
상기 검출된 수위에 대응하는 거품량을 상기 거품 공급량으로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포세식 변기의 제어방법.
According to clause 5,
Determining the amount of foam supply is,
A control method for a flush-type toilet, comprising determining a foam amount corresponding to the detected water level as the foam supply amount.
삭제delet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된 거품 공급량을 상기 내조에 추가 공급하는 것은,
상기 내조 내의 거품의 높이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거품 높이가 미리 설정된 높이에 도달하면 상기 거품의 추가 공급을 정지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포세식 변기의 제어방법.
According to clause 5,
Additional supply of the determined foam supply amount to the inner tank,
A control method for a flush-type toilet, comprising detecting the height of foam in the inner tank and stopping additional supply of the foam when the detected foam height reaches a preset height.
KR1020220018866A 2022-02-14 2022-02-14 Foam washable toilet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64247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8866A KR102642470B1 (en) 2022-02-14 2022-02-14 Foam washable toilet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8866A KR102642470B1 (en) 2022-02-14 2022-02-14 Foam washable toilet and control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2336A KR20230122336A (en) 2023-08-22
KR102642470B1 true KR102642470B1 (en) 2024-02-29

Family

ID=877994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8866A KR102642470B1 (en) 2022-02-14 2022-02-14 Foam washable toilet and control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2470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53727A (en) 2002-03-06 2003-09-10 Takanobu Deguchi Deodorizer and flush stool with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11360U (en) * 2009-05-13 2010-11-23 조성현 Automatic toilet bowl with water saving feature
KR101318410B1 (en) * 2011-07-11 2013-10-16 송기풍 Foam washable toilet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418508B1 (en) * 2012-11-01 2014-07-14 주식회사 코네코 controller of toilet bowl
KR101590158B1 (en) 2015-08-21 2016-01-29 김성화 Foam washable urinal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53727A (en) 2002-03-06 2003-09-10 Takanobu Deguchi Deodorizer and flush stool with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2336A (en) 2023-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42470B1 (en) Foam washable toilet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5900737B2 (en) Urinal with hand-washer
KR101027852B1 (en) Commode of saving washing water
JP5170823B2 (en) Flush toilet
JP2012251390A (en) Toilet equipment
US20050022292A1 (en) Toilet water saving apparatus linkable with bidet, and water saving method thereof
US20160145844A1 (en) Toilet usage sensing system
JP5441008B2 (en) Washing water tank apparatus and flush toilet equipped with the same
JP2007314973A (en) Western style toilet bowl device
JP6967193B2 (en) Toilet equipment and toilet system
KR102413457B1 (en) Foam washable toilet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0685125B1 (en) Water saving function control method and system for bidet
KR102424660B1 (en) Foam washable toilet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30107534A (en) Apparatus for auto flushing and method for the same
KR102475264B1 (en) Apparatus for purifying air
JP7483215B2 (en) Flush toilet
CN214574408U (en) Water-saving toilet
JP7306126B2 (en) urinals and urinal systems
CN213329294U (en) Anti-blocking induction table type squatting pan
JP4308640B2 (en) Drainage equipment
CN217734258U (en) Toilet and bathroom equipment
KR200389176Y1 (en) Water saving apparatus of chamber pot
JP6705236B2 (en) Toilet bowl cleaning device and flush toilet bowl
JP7366343B2 (en) Flush toilet device
JP2022091580A (en) Water closet bow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