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5264B1 - Apparatus for purifying air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purifying ai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5264B1
KR102475264B1 KR1020200085056A KR20200085056A KR102475264B1 KR 102475264 B1 KR102475264 B1 KR 102475264B1 KR 1020200085056 A KR1020200085056 A KR 1020200085056A KR 20200085056 A KR20200085056 A KR 20200085056A KR 102475264 B1 KR102475264 B1 KR 1024752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toilet
liquid
unit
liquid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505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027068A (en
Inventor
노태식
Original Assignee
노태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태식 filed Critical 노태식
Priority to PCT/KR2020/011720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1045490A2/en
Priority to CN202080061039.8A priority patent/CN114364849A/en
Publication of KR202100270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706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52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526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4Special arrangement or operation of ventilat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공기 정화 처리 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되는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 처리 장치는, 내부에 액체가 저장되는 액체 탱크, 액체 탱크의 내부에 마련되는 제1 공기 정화 처리부, 일단이 오염 공간과 연결되고 타단이 제1 공기 정화 처리부와 연결되는 제1 공기 통로부, 오염 공간 내의 오염 공기를 흡입하여 제1 공기 통로부를 통해 제1 공기 정화 처리부로 유입시키는 제1 공기 흡입부, 변기 저수조와 액체 탱크를 연결하는 연결 호스, 및 액체 탱크 내의 액체를 연결 호스를 통해 변기 저수조로 배출하는 액체 배출 조절부를 포함한다. An air purification treatment device is disclosed. An air purification treat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disclosed herein includes a liquid tank storing liquid therein, a first air purification treatment unit provided inside the liquid tank, one end connected to a polluted space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first air purification treatment unit. A connected first air passage portion, a first air intake portion that sucks polluted air in the contaminated space and introduces it into the first air purification processing unit through the first air passage portion, a connecting hose connecting the toilet water reservoir and the liquid tank, and the liquid tank It includes a liquid discharge control unit that discharges the liquid in the toilet through the connecting hose to the toilet cistern.

Figure R1020200085056
Figure R1020200085056

Description

공기 정화 처리 장치{APPARATUS FOR PURIFYING AIR}Air purification processing device {APPARATUS FOR PURIFYING AIR}

본 발명의 실시예는 공기 정화 처리 기술과 관련된다.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 to air purification treatment techniques.

일반적으로, 화장실에는 화장실 내부를 환기시키기 위해 환풍기를 설치하고 있다. 그러나, 환풍기를 작동시킨다 하더라도 화장실 내부 공기를 환기시킬 수 있을 뿐, 화장실에 설치된 변기의 변기홀 내부 공기까지 환기시킬 수는 없다. 그리고, 사용자가 화장실에서 용변을 본 후, 물을 내리더라도 변기홀 내부 공간에는 악취 및 세균들이 그대로 남아 증식하게 된다. 이때, 변기홀 내부의 악취 및 세균들은 화장실 전체로 퍼져 화장실의 공기를 오염시키게 된다. 또한, 변기홀 내부의 악취 및 세균들은 화장실뿐만 아니라 집안 전체로까지 퍼져 집안 전체 공기를 오염시키게 된다. 그로 인해, 실내 환경이 비위생적이 되어 노약자나 어린이 등의 쉽게 병균에 감염되는 문제점이 있다. In general, a ventilation fan is installed in a bathroom to ventilate the inside of the bathroom. However, even if the ventilator is operated, only the air inside the bathroom can be ventilated, and the air inside the toilet hole of the toilet installed in the bathroom cannot be ventilated. In addition, even if the user flushes water after defecation in the bathroom, odors and germs remain and proliferate in the space inside the toilet hall. At this time, the odor and germs inside the toilet hole spread throughout the toilet and contaminate the air in the toilet. In addition, odors and germs inside the toilet hole spread to the entire house as well as the bathroom, contaminating the entire house air. As a result, the indoor environment becomes unsanitary,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elderly or children are easily infected with germs.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62167(2002.03.18)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262167 (2002.03.18)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오염 공간 내의 오염 공기를 정화 처리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aratus capable of purifying and treating polluted air in a polluted space.

개시되는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 처리 장치는, 내부에 액체가 저장되는 액체 탱크; 상기 액체 탱크의 내부에 마련되는 제1 공기 정화 처리부; 일단이 오염 공간과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1 공기 정화 처리부와 연결되는 제1 공기 통로부; 상기 오염 공간 내의 오염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제1 공기 통로부를 통해 상기 제1 공기 정화 처리부로 유입시키는 제1 공기 흡입부; 변기 저수조와 상기 액체 탱크를 연결하는 연결 호스; 및 상기 액체 탱크 내의 액체를 상기 연결 호스를 통해 상기 변기 저수조로 배출하는 액체 배출 조절부를 포함한다.An air purifying treatment device according to the disclosed embodiment includes a liquid tank in which liquid is stored; a first air purification processing unit provided inside the liquid tank; a first air passage part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polluted space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first air purification processing part; a first air suction unit for sucking polluted air in the polluted space and introducing it into the first air purification processing unit through the first air passage; a connection hose connecting the toilet cistern and the liquid tank; and a liquid discharge control unit discharging the liquid in the liquid tank to the toilet cistern through the connection hose.

상기 제1 공기 정화 처리부는, 상기 제1 공기 통로부를 통해 유입되는 오염 공기가 상기 액체 탱크 내의 액체에 녹아 들도록 마련될 수 있다.The first air purifying unit may be provided so that polluted air introduced through the first air passage unit dissolves into the liquid in the liquid tank.

상기 제1 공기 정화 처리부는, 상기 제1 공기 정화 처리부의 내부가 상기 액체 탱크의 내부와 연통되어 상기 액체가 상기 제1 공기 정화 처리부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제1 공기 통로부를 통해 유입되는 오염 공기를 상기 제1 공기 정화 처리부 내부의 액체 또는 상기 제1 공기 정화 처리부의 내부 공간으로 배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The first air purifying processing unit is provided so that the inside of the first air purifying processing unit communicates with the inside of the liquid tank so that the liquid flows into the first air purifying processing unit, and the liquid is introduced through the first air passage. It may be provided to discharge polluted air into the liquid inside the first air purifying processing unit or into an internal space of the first air purifying processing unit.

상기 액체 배출 조절부는, 상기 변기 저수조의 세정수 배출 동작과 연동하여 상기 액체 탱크 내의 액체를 상기 변기 저수조로 배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The liquid discharge control unit may be provided to discharge the liquid in the liquid tank into the toilet cistern in association with a flushing water discharge operation of the toilet cistern.

상기 액체 배출 조절부는, 상기 액체 탱크 내의 오염도가 기 설정된 임계 오염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액체 탱크 내의 액체를 상기 변기 저수조로 배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The liquid discharge control unit may be provided to discharge the liquid in the liquid tank to the toilet bowl when the contamination level in the liquid tank exceeds a predetermined threshold level of contamination.

상기 변기 저수조는, 상기 액체 배출 조절부의 액체 배출 동작과 연동하여 세정수를 배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The toilet water reservoir may be provided to discharge washing water in conjunction with a liquid discharge operation of the liquid discharge control unit.

상기 액체 배출 조절부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변기 저수조 내의 세정수가 배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감지된 경우, 상기 액체 탱크 내의 액체를 상기 변기 저수조로 배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The liquid discharge control unit may be provided to discharge the liquid in the liquid tank into the toilet cistern when a user detects that the flushing water in the toilet cistern is discharged by a user's manipulation.

상기 공기 정화 처리 장치는, 상기 액체 탱크 내의 액체가 기 설정된 수위 이하가 되는 경우, 상기 액체 탱크의 내부로 액체를 공급하는 액체 공급 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ir purifying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liquid supply control unit supplying the liquid into the liquid tank when the liquid in the liquid tank is below a predetermined water level.

상기 오염 공간은, 상기 변기 저수조와 연결되는 변기 본체의 내부 공간일 수 있다.The contamination space may be an internal space of the toilet main body connected to the toilet water tank.

상기 공기 정화 처리 장치는, 상기 변기 본체의 상단 테두리부의 내부에서 상기 상단 테두리부의 상면과 하면을 연결하며 마련되고, 상기 상단 테두리부를 따라 마련되는 분리벽; 상기 분리벽의 외측에서 상기 상단 테두리부를 따라 마련되고 상기 변기 본체의 내부와 연통되는 제1 유로; 및 상기 분리벽의 내측에서 상기 상단 테두리부를 따라 마련되고 상기 변기 본체의 내부와 연통되는 제2 유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ir purifying apparatus may include a separating wall provided to connect an upper surface and a lower surface of the upper rim part inside the upper rim part of the toilet body and provided along the upper rim part; a first passage provided along the upper edge portion outside the partition wall and communicating with the inside of the toilet body; and a second flow path provided along the upper edge portion inside the partition wall and communicating with the inside of the toilet body.

상기 공기 정화 처리 장치는, 상기 제1 유로에 마련되고 상기 변기 저수조의 세정수가 상기 변기 본체의 내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세정수 배출홀; 및 상기 제2 유로에 마련되고 상기 변기 본체 내부의 오염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오염 공기 유입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공기 통로부의 일단은, 상기 제2 유로의 내부와 연통되어 마련될 수 있다.The air purifying treatment device may include at least one washing water discharge hole provided in the first passage and through which washing water in the toilet water tank is discharged into the toilet body; and one or more contaminated air inlet holes provided in the second passage and through which contaminated air inside the toilet body is introduced, wherein one end of the first air passage is provided in communication with the inside of the second passage. can

상기 공기 정화 처리 장치는, 상기 제1 공기 통로부의 일단에 결합되고, 상기 제1 공기 흡입부의 동작에 따라 상기 변기 본체 내부의 오염 공기를 흡입하는 오염 공기 흡입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ir purifying treatment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polluted air intake pipe coupled to one end of the first air passage unit and sucking polluted air inside the toilet body according to an operation of the first air intake unit.

상기 오염 공기 흡입관은, 상기 제1 공기 통로부의 일단에 결합되는 연결관; 및 상기 연결관과 연통되고 상기 변기 본체의 내부를 향하도록 상기 연결관의 단부에서 하부로 마련되는 흡입 돌출관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ntaminated air intake pipe may include a connection pipe coupled to one end of the first air passage part; and a suction protrusion pipe communicated with the connection pipe and provided downward from an end of the connection pipe toward the inside of the toilet body.

상기 공기 정화 처리 장치는, 상기 변기 저수조 내에 마련되는 제2 공기 정화 처리부; 일단이 상기 변기 저수조와 연결되는 변기 본체의 내부와 연통되고, 타단이 상기 제2 공기 정화 처리부와 연결되는 제2 공기 통로부; 및 상기 제2 공기 통로부를 통해 상기 변기 본체 내부의 오염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제2 공기 정화 처리부로 유입시키는 제2 공기 흡입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ir purifying processing device may include a second air purifying processing unit provided in the toilet bowl water tank; a second air passage part having one end communicated with the inside of the toilet body connected to the toilet tank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second air purifying unit; and a second air intake unit that sucks polluted air inside the toilet body through the second air passage unit and introduces the contaminated air into the second air purification unit.

상기 공기 정화 처리 장치는, 일단이 상기 제2 공기 정화 처리부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1 공기 정화 처리부와 연결되는 제3 공기 통로부; 및 상기 제3 공기 통로부를 통해 상기 제2 공기 정화 처리부 내의 오염 공기를 상기 제1 공기 정화 처리부로 유입시키는 제3 공기 흡입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ir purifying processing device may include a third air passage part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second air purifying processing unit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first air purifying processing unit; and a third air intake unit which introduces polluted air in the second air purifying unit into the first air purifying unit through the third air passage unit.

개시되는 실시예에 의하면, 오염 공간 내의 오염 공기를 변기 저수조와 연결된 액체 탱크를 이용하여 처리함으로써, 사용자가 변기를 사용함에 따라 오염 공기가 녹아든 액체가 세정수로서 자연스럽게 변기 홀로 배출되므로, 오염 공간 내의 오염 공기를 용이하게 처리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 to the disclosed embodiment, the contaminated air in the contaminated space is treated using a liquid tank connected to the toilet tank, so that the liquid in which the contaminated air is dissolved is naturally discharged as washing water into the toilet hole as the user uses the toilet. Contaminated air inside can be easily trea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 처리 장치를 나타낸 전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 처리 장치를 나타낸 배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 처리 장치에서 변기 저수조 내부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 처리 장치에서 변기 본체의 내부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 처리 장치에서 오염 공기의 흡입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 처리 장치에서 공기 정화 처리부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 처리 장치에서 제1 공기 통로부의 일단에 연결 보조부가 마련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공기 정화 처리 장치에서 오염 공기 흡입 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 처리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10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사용되기에 적합한 컴퓨팅 장치를 포함하는 컴퓨팅 환경을 예시하여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1 is a front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ir purification treat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rear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ir purification treat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the inside of a toilet bowl water tank in an air purification treat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toilet body in the air purification treat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 suction structure of polluted air in an air purification treat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n air purifying processing unit in an air purifying process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connection auxiliary part is provided at one end of a first air passage part in an air purification treat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polluted air intake structure in the air purification treatmen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schematic view of an air purification treatment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d describing a computing environment including a computing device suitable for use in example embodiments.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방법, 장치 및/또는 시스템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detailed descriptions that follow are provided to provide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methods, devices and/or systems described herein. However, this is only an exampl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기술하기 위한 것이며, 결코 제한적이어서는 안 된다. 명확하게 달리 사용되지 않는 한, 단수 형태의 표현은 복수 형태의 의미를 포함한다. 본 설명에서, "포함" 또는 "구비"와 같은 표현은 어떤 특성들, 숫자들, 단계들, 동작들, 요소들,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을 가리키기 위한 것이며, 기술된 것 이외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성, 숫자, 단계, 동작, 요소,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의 존재 또는 가능성을 배제하도록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known technolog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erms to be described later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ustom of a user or operator.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Terminology us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is only for describ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uld in no way be limiting. Unless expressly used otherwise, singular forms of expression include plural forms. In this description, expressions such as "comprising" or "comprising" are intended to indicate any characteristic, number, step, operation, element, portion or combination thereof, one or more other than those described. It should not be construed to exclude the existence or possibility of any other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elem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한편, 상측, 하측, 일측, 타측 등과 같은 방향성 용어는 개시된 도면들의 배향과 관련하여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는 다양한 배향으로 위치 설정될 수 있으므로, 방향성 용어는 예시를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지 이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Meanwhile, directional terms such as upper side, lower side, one side, and the other side are used in relation to the orientation of the disclosed drawings. Since components of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ositioned in a variety of orientations, directional terms are used for purposes of illustration and not limitation.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Also,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may be used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a first element may be termed a second element, and similarly, a second element may be termed a first elemen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 처리 장치를 나타낸 전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 처리 장치를 나타낸 배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 처리 장치에서 변기 저수조 내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 처리 장치에서 변기 본체의 내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 처리 장치에서 오염 공기의 흡입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 처리 장치에서 공기 정화 처리부를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front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ir purification treat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rear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ir purification treat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toilet body in the air purif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n air purification processing unit in the air purification process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공기 정화 처리 장치(100)는 화장실 내의 변기에 설치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공기 정화 처리 장치(100)는 변기 이외에 다양한 오염 공간 및 오염 시설에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오염 공간 및 오염 시설은 악취 및 각종 세균 등으로 인해 내부 공기가 오염된 영역 및 설비 등을 의미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공기 정화 처리 장치(100)가 변기에 설치되는 것을 일 예로 설명하기로 한다.Referring to FIGS. 1 to 6 , the air purification treatment device 100 may be installed in a toilet bowl in a bathroom. However,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air purification treatment device 100 may be installed in various contaminated spaces and facilities other than toilets. Here, the contaminated spaces and facilities may refer to areas and facilities in which internal air is contaminated due to odors and various bacteria. Hereinafter, an example in which the air purification treatment device 100 is installed in a toilet will be described.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공기 정화 처리 장치(100)는 제1 공기 통로부(102), 제1 공기 흡입부(104), 공기 정화 처리부(106), 제2 공기 통로부(108), 및 제2 공기 흡입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air purification processing device 100 includes a first air passage portion 102, a first air intake portion 104, an air purification processing portion 106, a second air passage portion 108, and a second air passage portion 108. 2 air inlet 110 may be included.

제1 공기 통로부(102)는 변기 본체(50) 내의 오염 공기가 제1 공기 흡입부(104)를 통해 공기 정화 처리부(106)로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제1 공기 통로부(102)의 일단은 변기 본체(50)의 상단 테두리부(50a)의 내부와 연결될 수 있다. 제1 공기 통로부(102)의 타단은 공기 정화 처리부(106)의 내부와 연결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 공기 통로부(102)는 덕트, 파이프, 및 호스 등이 사용될 수 있다. The first air passage part 102 allows polluted air in the toilet body 50 to flow into the air purification processing part 106 through the first air intake part 104 . One end of the first air passage part 102 may be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upper edge part 50a of the toilet body 50 . The other end of the first air passage part 102 may be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air purification processing part 106 . 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first air passage 102 may be a duct, pipe, hose, or the like.

구체적으로, 변기 본체(50)의 상단 테두리부(50a)는 변기 착석 시트(미도시)의 하부에서 변기 착석 시트(미도시)를 지지할 수 있다. 상단 테두리부(50a)의 내부에는 제1 유로(112) 및 제2 유로(114)가 마련될 수 있다. 제1 유로(112) 및 제2 유로(114)는 상단 테두리부(50a)의 내부에서 상단 테두리부(50a)를 따라 마련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upper edge portion 50a of the toilet body 50 may support the toilet seat (not shown) below the toilet seat (not shown). A first flow path 112 and a second flow path 114 may be provided inside the upper edge portion 50a. The first flow path 112 and the second flow path 114 may be provided along the upper edge portion 50a inside the upper edge portion 50a.

제1 유로(112)와 제2 유로(114) 사이에는 분리벽(116)이 마련될 수 있다. 분리벽(116)은 상단 테두리부(50a)의 상면과 하면을 연결하며 수직하게 마련될 수 있다. 분리벽(116)은 상단 테두리부(50a)를 따라 마련될 수 있다. 제1 유로(112)는 분리벽(116)의 외측에서 상단 테두리부(50a)를 따라 마련될 수 있다. 제2 유로(114)는 분리벽(116)의 내측에서 상단 테두리부(50a)를 따라 마련될 수 있다. A separating wall 116 may be provided between the first flow path 112 and the second flow path 114 . The separating wall 116 connects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upper edge portion 50a and may be provided vertically. The separating wall 116 may be provided along the upper edge portion 50a. The first flow path 112 may be provided along the upper edge portion 50a outside the partition wall 116 . The second passage 114 may be provided along the upper edge portion 50a inside the partition wall 116 .

제1 유로(112)는 변기 홀(52)과 변기 저수조(60)를 연결하는 연결 통로(54)와 연통되어 마련될 수 있다. 제1 유로(112)에서 상단 테두리부(50a)의 하단에는 하나 이상의 세정수 배출 홀(112a)이 마련될 수 있다. 세정수 배출 홀(112a)은 변기 홀(52)과 제1 유로(112)를 연통시키며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변기 저수조(60) 내의 세정수는 연결 통로(54), 제1 유로(112), 및 세정수 배출 홀(112a)을 통해 변기 홀(52)로 배출될 수 있다. 세정수 배출 홀(112a)은 제1 유로(112)를 따라 복수 개가 이격되어 마련될 수 있다. The first flow path 112 may be provided in communication with a connection passage 54 connecting the toilet hole 52 and the toilet water tank 60 . One or more washing water discharge holes 112a may be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upper edge portion 50a in the first flow path 112 . The washing water discharge hole 112a may be provided so that the toilet hole 52 and the first flow path 112 communicate with each other. Here, flushing water in the toilet reservoir 60 may be discharged to the toilet hole 52 through the connection passage 54, the first flow path 112, and the flushing water discharge hole 112a. A plurality of washing water discharge holes 112a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first flow path 112 .

제1 공기 통로부(102)의 일단은 제2 유로(114)의 내부와 연결될 수 있다. 제2 유로(114)에서 상단 테두리부(50a)의 하단에는 하나 이상의 오염 공기 유입홀(114a)이 마련될 수 있다. 오염 공기 유입홀(114a)은 변기 홀(52)과 제2 유로(114)를 연통시키며 마련될 수 있다. 오염 공기 유입홀(114a)은 제2 유로(114)를 따라 복수 개가 이격되어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변기 홀(52) 내의 오염 공기는 오염 공기 유입홀(114a), 제2 유로(114), 및 제1 공기 통로부(102)를 통해 공기 정화 처리부(106) 내로 유입될 수 있다. One end of the first air passage part 102 may be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second flow path 114 . One or more contaminated air introduction holes 114a may be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upper edge portion 50a in the second flow path 114 . The contaminated air introduction hole 114a may be provided while communicating the toilet hole 52 and the second flow path 114 . A plurality of contaminated air introduction holes 114a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second flow path 114 . Here, polluted air in the toilet hole 52 may flow into the air purifying unit 106 through the polluted air introduction hole 114a, the second flow path 114, and the first air passage 102.

제1 공기 통로부(102)의 일단이 제2 유로(114)의 내부와 직접 연결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공기 통로부(102)의 일단에는 연결 보조부(118)가 마련될 수도 있다. 연결 보조부(118)는 제1 공기 통로부(102)의 일단을 감싸며 마련되고, 제2 유로(114)의 내부와 연통되어 마련될 수 있다. One end of the first air passage part 102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second flow passage 114,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as shown in FIG. 7, one end of the first air passage part 102 is connected. An auxiliary unit 118 may be provided. The auxiliary connection part 118 may be provided to surround one end of the first air passage part 102 and communicate with the inside of the second flow path 114 .

이와 같이, 변기 본체(50)의 상단 테두리부(50a) 내부에 분리벽(116)을 통해 제1 유로(112)와 제2 유로(114)를 구분하여 마련함으로써, 제1 유로(112)를 통해서는 변기 홀(52)로 세정수를 배출하고, 제2 유로(114)를 통해서는 변기 홀(52) 내의 오염 공기를 공기 정화 처리부(106)로 유입시킬 수 있게 된다.In this way, the first flow path 112 and the second flow path 114 are separated and provided through the partition wall 116 inside the upper edge portion 50a of the toilet body 50, thereby forming the first flow path 112. Through the toilet hole 52, washing water is discharged, and through the second passage 114, contaminated air in the toilet hole 52 can be introduced into the air purification unit 106.

한편, 여기서는 변기 본체(50)의 상단 테두리부(50a)를 통해 변기 홀(52) 내의 오염 공기를 흡입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변기 본체(50) 상에 마련되는 좌석 시트(미도시)를 통해 변기 홀(52) 내의 오염 공기를 흡입할 수도 있다. 이때, 좌석 시트(미도시)는 비데 기능을 갖는 좌석 시트도 포함될 수 있다.Meanwhile, although it has been described here that contaminated air in the toilet hole 52 is sucked through the upper edge portion 50a of the toilet body 50,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a seat seat provided on the toilet body 50 (not shown) The polluted air in the toilet hole 52 may be sucked through the toilet. At this time, the seat seat (not shown) may also include a seat seat having a bidet function.

즉, 좌석 시트(미도시)의 내부에 제2 유로(114) 및 오염 공기 유입홀(114a)과 같이 변기 홀(52) 내의 오염 공기를 흡입할 수 있는 수단을 마련하고, 제1 공기 통로부(102)의 일단이 좌석 시트(미도시)의 내부에 연결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세정수는 변기 본체(50)의 상단 테두리부(50a) 내의 제1 유로(112)를 통해 변기 홀(52)로 배출하도록 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at is, a means for sucking polluted air in the toilet hole 52, such as the second flow path 114 and the polluted air inlet hole 114a, is provided inside the seat (not shown), and the first air passage unit One end of 102 may be connected to the inside of a seat (not shown). In this case, the washing water may be discharged to the toilet hole 52 through the first flow path 112 in the upper edge portion 50a of the toilet body 50, but is not limited thereto.

제1 공기 흡입부(104)는 변기 홀(52) 내의 오염 공기를 흡입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공기 흡입부(104)는 변기 홀(52) 내의 오염 공기를 흡입하여 제1 공기 통로부(102)를 통해 공기 정화 처리부(106)의 내부로 유입시킬 수 있다. 제1 공기 흡입부(104)는 흡입팬 또는 펌프 등을 통해 변기 홀(52) 내의 오염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 여기서는, 제1 공기 흡입부(104)가 변기 저수조(60)의 외벽에 설치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first air intake unit 104 may serve to suck contaminated air in the toilet hole 52 . The first air suction unit 104 may suck polluted air in the toilet bowl hole 52 and introduce it into the air purifying unit 106 through the first air passage unit 102 . The first air suction unit 104 may suck polluted air in the toilet hole 52 through a suction fan or a pump. Here, the first air intake unit 104 is illustrated as being installed on the outer wall of the toilet water tank 60, but is not limited thereto.

공기 정화 처리부(106)는 변기 저수조(60) 내에 마련될 수 있다. 공기 정화 처리부(106)는 상부판(106a), 측면판(106b), 및 공기 배출부(106c)를 포함할 수 있다. The air purification processing unit 106 may be provided in the toilet water reservoir 60. The air purification unit 106 may include an upper plate 106a, a side plate 106b, and an air discharge unit 106c.

상부판(106a)은 변기 저수조(60) 내에서 세정수의 최대 수위 보다 높게 마련될 수 있다. 상부판(106a)은 변기 저수조(60)의 내벽에 고정될 수 있다. 측면판(106b)은 상부판(106a)의 종단에서 하부로 마련될 수 있다. 측면판(106b)은 공기 정화 처리부(106)의 측면부를 밀폐시키며 마련될 수 있다. 측면판(106b)은 변기 저수조(60)의 하부면과 일정 거리 이격하여 마련될 수 있다. The upper plate 106a may be provided higher than the maximum water level of washing water in the toilet water tank 60. The upper plate 106a may be fixed to the inner wall of the toilet water tank 60. The side plate 106b may be provided downward from the end of the top plate 106a. The side plate 106b may be provided while sealing the side surface of the air purifying unit 106 . The side plate 106b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toilet water tank 6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공기 정화 처리부(106)의 하부는 개방되어 마련된다. 그에 따라, 변기 저수조(60) 내의 세정수가 공기 정화 처리부(106)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게 된다. 측면판(106b)의 하단은 변기 저수조(60) 내에서 세정수의 최저 수위보다 낮게 마련될 수 있다. The lower part of the air purification processing unit 106 is provided open. Accordingly, washing water in the toilet water tank 60 can flow into the air purifying unit 106 . The lower end of the side plate 106b may be provided lower than the lowest level of washing water in the toilet water tank 60.

공기 배출부(106c)는 공기 정화 처리부(106) 내에서 변기 저수조(60)의 높이 방향을 따라 마련될 수 있다. 공기 배출부(106c)는 제1 공기 통로부(102)의 타단과 연결될 수 있다. 공기 배출부(106c)의 내부는 중공(中空)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공기 배출부(106c)에는 하나 이상의 오염 공기 배출홀(106c-1)이 마련될 수 있다. 오염 공기 배출홀(106c-1)은 공기 배출부(106c)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될 수 있다. The air discharge unit 106c may be provided along the height direction of the toilet water tank 60 within the air purification processing unit 106 . The air outlet 106c may be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air passage 102 . The inside of the air discharge unit 106c may be formed in a hollow shape. In addition, one or more polluted air discharge holes 106c-1 may be provided in the air discharge unit 106c. The contaminated air discharge hole 106c-1 may be provid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air discharge unit 106c.

제1 공기 통로부(102)를 통해 이동하는 오염 공기는 공기 배출부(106c)로 유입되고 오염 공기 배출홀(106c-1)을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여기서, 오염 공기 배출홀(106c-1)을 통해 배출된 오염 공기는 변기 저수조(60) 내의 세정수의 수위에 따라 변기 저수조(60) 내의 세정수에 녹아 들거나 제2 공기 통로부(108)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Contaminated air moving through the first air passage part 102 may flow into the air discharge part 106c and be discharged through the contaminated air discharge hole 106c-1. Here, the polluted air discharged through the polluted air discharge hole 106c-1 dissolves in the flushing water in the toilet reservoir 60 or passes through the second air passage 108 according to the level of the flushing water in the toilet reservoir 60. through which it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예를 들어, 변기 저수조(60) 내의 세정수가 최대 수위인 경우, 오염 공기 배출홀(106c-1)을 통해 배출된 오염 공기는 변기 저수조(60) 내의 세정수에 녹아들게 되며, 사용자의 변기 조작에 따라 세정수와 함께 변기 홀(52)로 배출되게 된다. 여기서, 세정수의 최대 수위는 변기 저수조(60) 내의 세정수가 변기 홀(52)로 배출된 이후 변기 저수조(60) 내로 세정수가 다시 공급되어 차오를 때의 최대 수위를 의미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flushing water in the toilet cistern 60 is at the maximum level, the contaminated air discharged through the contaminated air discharge hole 106c-1 is dissolved in the flushing water in the toilet cistern 60, and the user operates the toilet. Accordingly, it is discharged to the toilet hole 52 together with the washing water. Here, the maximum water level of washing water may mean the maximum water level when the washing water in the toilet water storage tank 60 is discharged to the toilet hole 52 and then the washing water is supplied again into the toilet water storage tank 60 and is filled up.

그리고, 변기 저수조(60) 내의 세정수가 최저 수위인 경우, 오염 공기 배출홀(106c-1)을 통해 배출된 오염 공기는 공기 정화 처리부(106)의 내부 공간으로 배출되며, 제2 공기 통로부(108)를 통해 외부 공간으로 배출될 수 있다. 여기서, 세정수의 최저 수위는 변기 저수조(60) 내에서 세정수가 가장 낮은 수위에 있을 때를 의미할 수 있다. And, when the washing water in the toilet water tank 60 is at the lowest level, the polluted air discharged through the polluted air discharge hole 106c-1 is discharged to the inner space of the air purifying unit 106, and the second air passage part ( 108) can be discharged to the outer space. Here, the lowest level of washing water may mean when the washing water is at the lowest level in the toilet water tank 60 .

제2 공기 통로부(108)는 공기 정화 처리부(106) 내의 공간을 외부 공간과 연통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제2 공기 통로부(108)의 일단은 공기 정화 처리부(106)와 연결되고, 제2 공기 통로부(108)의 타단은 외부 공간과 연결될 수 있다. 외부 공간은 예를 들어, 실외 공간이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하수구와 같이 오물 등을 배출하거나 오염 물질을 처리하는 시설물의 내부 공간이 될 수 있다. The second air passage part 108 may serve to communicate the space within the air purification processing part 106 with the outside space. One end of the second air passage part 108 may be connected to the air purification processing part 106,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air passage part 108 may be connected to an external space. The external space may be, for example, an outdoor spac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an internal space of a facility that discharges waste or treats pollutants, such as a sewer.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2 공기 통로부(108)는 공기 정화 처리부(106) 내의 오염 공기를 외부 공간으로 배출하기 위한 통로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2 공기 통로부(108)는 외부 공간의 오염 물질을 변기 저수조(60)로 유입시키기 위한 통로일 수도 있다. 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second air passage part 108 may be a passage for discharging polluted air in the air purification processing part 106 to an external spac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second air passage part 108 It may also be a passage through which contaminants in the external space are introduced into the toilet bowl cistern (60).

제2 공기 흡입부(110)는 공기 정화 처리부(106) 내의 오염 공기를 흡입하여 제2 공기 통로부(108) 내로 유입시킬 수 있다. 제2 공기 흡입부(110)는 흡입팬 또는 펌프 등을 통해 공기 정화 처리부(106) 내의 오염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 여기서는, 제2 공기 흡입부(110)가 변기 저수조(60)의 외벽에 설치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second air intake unit 110 may suck polluted air in the air purification unit 106 and introduce it into the second air passage unit 108 . The second air suction unit 110 may suck polluted air in the air purification unit 106 through a suction fan or a pump. Here, the second air intake unit 110 is illustrated as being installed on the outer wall of the toilet water tank 60, but is not limited thereto.

한편, 변기 저수조(60)에는 변기 본체(50)에 사람을 감지할 수 있는 감지 센서(120)가 설치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감지 센서(120)는 변기 본체(50)에 설치될 수도 있다. Meanwhile, a detection sensor 120 capable of detecting a person may be installed in the toilet body 50 in the toilet water tank 60 . However,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detection sensor 120 may be installed in the toilet body 50.

또한, 여기서는 제1 공기 통로부(102)의 타단이 변기 저수조(60) 내의 공기 정화 처리부(106)로 연결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공기 통로부(102)의 타단은 외부에 마련되는 액체 탱크로 연결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1 공기 통로부(102)를 통해 유입되는 오염 공기가 액체 탱크로 배출될 수 있다.In addition, although it is shown here that the other end of the first air passage part 102 is connected to the air purification processing unit 106 in the toilet water tank 60,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other end of the first air passage part 102 is external to the outside. It may be connected to a liquid tank provided in the In this case, contaminated air introduced through the first air passage 102 may be discharged to the liquid tank.

도 8은 본 발명의 공기 정화 처리 장치에서 오염 공기 흡입 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8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polluted air intake structure in the air purification treatmen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제1 공기 통로부(102)의 일단에는 오염 공기 흡입관(122)이 마련될 수 있다. 오염 공기 흡입관(122)은 연결관(122a) 및 흡입 돌출관(122b)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관(122a)은 제1 공기 통로부(102)의 일단과 연결될 수 있다. 연결관(122a)은 제1 공기 통로부(102)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흡입 돌출관(122b)은 연결관(122a)의 타단과 연결될 수 있다. 흡입 돌출관(122b)은 연결관(122a)과 내부가 연통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8 , a polluted air intake pipe 122 may be provided at one end of the first air passage part 102 . The contaminated air suction pipe 122 may include a connection pipe 122a and a suction protruding pipe 122b. The connection pipe 122a may be connected to one end of the first air passage part 102 . The connection pipe 122a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first air passage part 102 . The suction protruding pipe 122b may be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ng pipe 122a. The suction protruding pipe 122b may be provided so that the inside communicates with the connection pipe 122a.

흡입 돌출관(122b)은 연결관(122a)의 타단에서 하부로 마련될 수 있다. 흡입 돌출관(122b)은 변기 본체(50)의 내부(즉, 변기 홀(52))를 향하도록 연결관(1221a)의 타단에서 하부로 마련될 수 있다. 흡입 돌출관(122b)은 상단 테두리부(50a) 보다 하부로 돌출되어 마련될 수 있다. 흡입 돌출관(122b)의 상단부는 연결관(122a)의 타단에서 하부로 수직하게 마련될 수 있다. 흡입 돌출관(122b)의 하단부는 변기 홀(52)의 내부를 향하여 소정 각도(θ) 경사지게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오염 공기 흡입관(122) 내부로 물이 들어 오더라도 경사진 흡입 돌출관(122b)을 따라 다시 변기 홀(52)로 빠지게 된다.The suction protruding pipe 122b may be provided downward from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ng pipe 122a. The suction protruding pipe 122b may be provided downward from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on pipe 1221a so as to face the inside of the toilet body 50 (that is, the toilet hole 52). The suction protruding pipe 122b may protrude downward from the upper edge portion 50a. The upper end of the suction protruding pipe 122b may be provided vertically downward from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ng pipe 122a. The lower end of the suction protruding pipe 122b may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θ toward the inside of the toilet hole 52 . In this case, even if water enters the contaminated air suction pipe 122, it flows back into the toilet bowl hole 52 along the inclined suction protruding pipe 122b.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 처리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9 is a schematic diagram of an air purification treatment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조하면, 공기 정화 처리 장치(200)는 액체 탱크(202), 제2 공기 정화 처리부(204), 제3 공기 통로부(206), 제3 공기 흡입부(208), 액체 배출 조절부(210), 및 액체 공급 조절부(2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 변기 저수조(60) 내에 장착되는 공기 정화 처리부(106)를 제1 공기 정화 처리부(106)라 지칭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9 , the air purification treatment device 200 includes a liquid tank 202, a second air purification treatment unit 204, a third air passage unit 206, a third air intake unit 208, and a liquid discharge control unit. A unit 210 and a liquid supply control unit 212 may be further included. Hereinafter, the air purifying processing unit 106 mounted in the toilet water tank 60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air purifying processing unit 106 .

여기서, 제2 공기 통로부(108)의 타단은 액체 탱크(202)와 연결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2 공기 통로부(108)의 타단은 제2 공기 정화 처리부(204)와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변기 저수조(60)의 세정수로 배출되지 않고 변기 저수조(60) 내의 공간(즉, 제1 공기 정화 처리부(106)의 내부 공간)으로 배출되는 오염 공기는 제2 공기 통로부(108)를 통해 제2 공기 정화 처리부(204)의 내부로 배출되게 된다. 그러면, 변기 저수조(60)의 제1 공기 정화 처리부(106)에서 오염 공기가 처리되고, 제1 공기 정화 처리부(106)에서 처리되지 못한 오염 공기는 제2 공기 정화 처리부(204)에서 처리될 수 있게 된다.Here, the other end of the second air passage part 108 may be connected to the liquid tank 202 . 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other end of the second air passage part 108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air purification processing part 204 . In this case, the polluted air discharged to the space within the toilet water reservoir 60 (ie, the internal space of the first air purifying processing unit 106) instead of being discharged into the flushing water of the toilet water reservoir 60 is the second air passage part 108. ) through which it is discharged to the inside of the second air purification processing unit 204 . Then, the polluted air may be treated in the first air purifying unit 106 of the toilet water tank 60, and the polluted air not treated in the first air purifying unit 106 may be treated in the second air purifying unit 204. there will be

액체 탱크(202)는 예를 들어, 빗물, 상수도 등과 같은 액체를 저장할 수 있다. 액체 탱크(202)는 한 번 사용되었던 물이 저장될 수도 있다. 액체 탱크(202)는 변기 저수조(60)와 연결될 수 있다. 액체 탱크(202)의 액체 배출홀(202a)은 연결 호스(214)를 통해 변기 저수조(60)와 연결될 수 있다. The liquid tank 202 may store liquid such as rainwater, tap water, and the like. The liquid tank 202 may store water that has been used once. The liquid tank 202 may be connected to the toilet water reservoir 60 . The liquid discharge hole 202a of the liquid tank 202 may be connected to the toilet water reservoir 60 through a connection hose 214 .

제2 공기 정화 처리부(204)는 액체 탱크(202) 내에 설치될 수 있다. 제2 공기 정화 처리부(204)는 제2 공기 통로부(108)의 타단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2 공기 정화 처리부(204)는 제3 공기 통로부(206)를 통해 또 다른 오염 공간(S)과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또 다른 오염 공간(S)은 또 다른 변기 또는 흡연실 등과 오염 물질이 배출되는 장소일 수 있다. The second air purifying unit 204 may be installed in the liquid tank 202. The second air purifying unit 204 may be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second air passage unit 108 . Also, the second air purifying unit 204 may be connected to another polluted space S through the third air passage unit 206 . Here, another polluted space S may be a place where pollutants are discharged, such as another toilet or smoking room.

제2 공기 정화 처리부(204)는 제2 공기 통로부(108) 및 제3 공기 통로부(206)를 통해 유입되는 오염 공기를 액체 탱크(202) 내에 녹아 들게 할 수 있다. 제2 공기 정화 처리부(204)의 내부는 액체 탱크(202)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액체 탱크(202) 내의 액체가 제2 공기 정화 처리부(204)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이때, 제2 공기 정화 처리부(204)의 내부로 배출되는 오염 공기는 액체 탱크(202) 내의 액체로 직접 배출되거나 제2 공기 정화 처리부(204)의 내부 공간에 있다가 시간이 지날수록 액체 탱크(202) 내의 액체에 녹아들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2 공기 정화 처리부(204)는 제1 공기 정화 처리부(106)와 유사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second air purifying unit 204 can dissolve contaminated air introduced through the second air passage 108 and the third air passage 206 into the liquid tank 202 . The inside of the second air purifying unit 204 may be provided to communicate with the inside of the liquid tank 202 . Accordingly, the liquid in the liquid tank 202 may flow into the second air purifying unit 204 . At this time, the polluted air discharged into the second air purifying unit 204 is either directly discharged as a liquid in the liquid tank 202 or stays in the inner space of the second air purifying unit 204 and over time the liquid tank ( 202) is soluble in the liquid inside. 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second air purifying unit 204 may have a structure similar to that of the first air purifying unit 106, but is not limited thereto.

제3 공기 통로부(206)의 일단은 오염 공간(S)과 연결되고, 타단은 제2 공기 정화 처리부(204)에 연결될 수 있다. 제3 공기 흡입부(208)는 오염 공간(S) 내의 오염 공기를 흡입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제3 공기 흡입부(208)는 오염 공간(S) 내의 오염 공기를 흡입하여 제3 공기 통로부(206)를 통해 제2 공기 정화 처리부(204)의 내부로 유입시킬 수 있다. One end of the third air passage unit 206 may be connected to the polluted space S, and the other end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air purification unit 204. The third air intake unit 208 may serve to suck polluted air in the polluted space S. The third air intake unit 208 may suck polluted air in the contaminated space S and introduce it into the second air purification unit 204 through the third air passage unit 206 .

액체 배출 조절부(210)는 액체 탱크(202)에서 액체를 배출할 수 있다. 액체 배출 조절부(210)는 액체 탱크(202)에서 연결 호스(214)를 통해 변기 저수조(60)로 액체를 배출하는 것을 조절할 수 있다. The liquid discharge controller 210 may discharge liquid from the liquid tank 202 . The liquid discharge control unit 210 may control the discharge of liquid from the liquid tank 202 to the toilet reservoir 60 through the connection hose 214 .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액체 배출 조절부(210)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변기 저수조(60) 내의 세정수가 변기 홀(52)로 배출되는 경우, 액체 탱크(202)의 액체 배출홀(202a)을 개방하여 액체 탱크(202) 내의 액체를 변기 저수조(60)로 배출하여 변기 저수조(60)에 세정수를 다시 채울 수 있다. 즉, 액체 배출 조절부(210)는 변기 저수조(60)의 세정수 배출 동작과 연동하여 액체 탱크(202) 내의 액체를 변기 저수조(60)로 배출할 수 있다. 액체 배출홀(202a)에는 개폐를 조절할 수 있는 밸브(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liquid discharge control unit 210 discharges the liquid discharge hole 202a of the liquid tank 202 when the flushing water in the toilet reservoir 60 is discharged to the toilet hole 52 by a user's manipulation. By opening, the liquid in the liquid tank 202 is discharged to the toilet cistern 60 so that the toilet cistern 60 can be refilled with flushing water. That is, the liquid discharge control unit 210 may discharge the liquid in the liquid tank 202 to the toilet cistern 60 in association with the flushing water discharge operation of the toilet cistern 60 . A valve (not shown) capable of opening and closing may be provided in the liquid discharge hole 202a.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가 용변을 보고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변기 저수조(60) 내의 세정수가 변기 홀(52)로 배출된 후, 세정수를 다시 채우지 않고 비어 있는 상태로 있다가, 감지 센서(120)에서 사람이 감지된 경우, 액체 배출 조절부(210)에서 액체 탱크(202) 내의 액체를 변기 저수조(60)로 배출하여 세정수를 채울 수도 있다.However,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after the user defecate and the washing water in the toilet water tank 60 is discharged to the toilet hole 52 by the user's manipulation, the washing water is not refilled and remains empty, and the detection sensor When a person is detected in step 120, the liquid discharge control unit 210 discharges the liquid in the liquid tank 202 to the toilet cistern 60 to fill the flushing water.

즉, 사용자 용변 후 조작에 의해 변기 저수조(60) 내의 세정수를 배출한 후 액체 탱크(202) 내의 액체를 변기 저수조(60)로 배출하여 세정수를 다시 채우게 되면, 액체 탱크(202) 내의 액체는 오염 공기가 녹아 든 액체이므로 변기 저수조(60)에서 악취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변기 저수조(60) 내에서 세정수를 배출한 후 액체 탱크(202) 내의 액체를 바로 배출하여 세정수를 다시 채우는 것이 아니라, 세정수를 다시 채우지 않고 있다가 사람이 감지된 경우에 액체 탱크(202) 내의 액체를 변기 저수조(60)로 배출하여 액체로 인해 악취가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변기 저수조(60) 내에 채워진 액체는 감지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세정수로서 변기 홀(52)로 배출되게 된다.That is, when the liquid in the liquid tank 202 is discharged to the toilet reservoir 60 after the user discharges the washing water in the toilet reservoir 60 by manipulation after the user toilets, and the washing water is refilled, the liquid in the liquid tank 202 Since is a liquid in which contaminated air is dissolved, an odor may occur in the toilet water tank 60. Therefore, instead of immediately discharging the liquid in the liquid tank 202 after discharging the flushing water from the toilet reservoir 60 to refill the flushing water, if the flushing water is not refilled and a person is detected, the liquid tank By discharging the liquid in the toilet cistern 202 to the toilet cistern 60,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occurrence of odor due to the liquid. The liquid filled in the toilet cistern 60 is discharged to the toilet hole 52 as washing water by the detected user's manipulation.

또한, 액체 배출 조절부(210)는 오염도 센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오염도 센서(미도시)는 액체 탱크(202) 내의 오염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오염도가 기 설정된 임계 오염도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측정된 오염도가 기 설정된 임계 오염도를 초과하는 경우, 액체 배출 조절부(210)는 액체 배출홀(202a)을 개방하여 액체 탱크(202) 내의 액체를 변기 저수조(60)로 배출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liquid discharge controller 210 may include a contamination level sensor (not shown). A pollution level sensor (not shown) may measure the level of contamination in the liquid tank 202 and determine whether the measured level of contamination exceeds a predetermined threshold level of contamination. When the measured contamination level exceeds a preset critical contamination level, the liquid discharge control unit 210 may open the liquid discharge hole 202a to discharge the liquid in the liquid tank 202 to the toilet cistern 60.

변기 저수조(60) 내에 세정수가 채워져 있는 상태에서 액체 탱크(202)로부터 액체가 변기 저수조(60)로 배출되는 경우, 변기 저수조(60)는 이미 채워져 있는 세정수를 변기 홀(52)로 배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변기 저수조(60)는 액체 배출 조절부(210)의 액체 배출 동작과 연동하여 세정수를 배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When liquid is discharged from the liquid tank 202 to the toilet cistern 60 while the toilet cistern 60 is filled with flushing water, the toilet cistern 60 discharges the already filled flushing water to the toilet hole 52. can be provided. That is, the toilet water reservoir 60 may be provided to discharge washing water in association with the liquid discharge operation of the liquid discharge control unit 210 .

액체 배출 조절부(210)와 변기 저수조(60) 간에는 상호 통신(예를 들어, 무선 통신 또는 유선 통신 등)을 수행할 수 있는 통신 수단이 마련될 수 있다. 변기 저수조(60)는 변기 저수조(60) 내의 세정수를 변기 홀(52)로 배출하는 경우, 세정수 배출 신호를 액체 배출 조절부(210)로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액체 배출 조절부(210)는 액체 탱크(202) 내의 액체를 변기 저수조(60)로 배출하는 경우, 변기 저수조(60)로 액체 배출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A communication means capable of performing mutual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or wired communication, etc.) may be provided between the liquid discharge controller 210 and the toilet cistern 60 . The toilet water reservoir 60 may generate a flushing water discharge signal to the liquid discharge control unit 210 when the flushing water in the toilet reservoir 60 is discharged to the toilet hole 52 . In addition, the liquid discharge controller 210 may generate a liquid discharge signal to the toilet cistern 60 when the liquid in the liquid tank 202 is discharged to the toilet cistern 60 .

이와 같이, 기 설정된 룰에 따라 액체 탱크(202) 내의 액체를 변기 저수조(60)로 배출하여 세정수로 사용함으로써, 사용자가 용변을 봄에 따라 변기 홀(52) 내의 오염 공기 및 오염 공간(S) 내의 오염 공기를 자연스럽게 처리할 수 있게 된다.In this way, the liquid in the liquid tank 202 is discharged to the toilet water reservoir 60 according to a preset rule and used as washing water, thereby reducing contaminated air and contaminated space in the toilet hole 52 as the user toilets ), it is possible to naturally treat the polluted air inside.

액체 공급 조절부(212)는 액체 탱크(202)의 내부로 액체의 공급을 조절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액체 공급 조절부(212)는 액체 탱크(202) 내의 액체가 기 설정된 수위 이하로 내려 가는 경우, 액체 탱크(202)의 내부 액체를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체 공급 조절부(212)는 빗물을 저장하는 빗물 저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liquid supply control unit 212 may control the supply of liquid into the liquid tank 202 . 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liquid supply control unit 212 may supply the liquid inside the liquid tank 202 when the liquid in the liquid tank 202 drops below a predetermined water level. For example, the liquid supply controller 212 may include a rainwater storage unit that stores rainwater.

여기서는, 하나의 변기(변기 저수조)가 액체 탱크(202)와 연결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여러 개의 변기(변기 저수조)가 액체 탱크(202)와 연결될 수도 있다. Here, one toilet (toilet reservoir) is illustrated as being connected to the liquid tank 202, but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several toilet bowls (toilet reservoir) may be connected to the liquid tank 202.

도 10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사용되기에 적합한 컴퓨팅 장치를 포함하는 컴퓨팅 환경(10)을 예시하여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각 컴포넌트들은 이하에 기술된 것 이외에 상이한 기능 및 능력을 가질 수 있고, 이하에 기술된 것 이외에도 추가적인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다.10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d describing a computing environment 10 including a computing device suitable for use in example embodiments.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each component may have different functions and capabilities other than those described below, and may include additional components other than those described below.

도시된 컴퓨팅 환경(10)은 컴퓨팅 장치(12)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컴퓨팅 장치(12)는 공기 정화 처리 장치(200)일 수 있다. The illustrated computing environment 10 includes a computing device 12 . In one embodiment, computing device 12 may be air purification processing device 200 .

컴퓨팅 장치(12)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4),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16) 및 통신 버스(18)를 포함한다. 프로세서(14)는 컴퓨팅 장치(12)로 하여금 앞서 언급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14)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16)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을 실행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는 프로세서(14)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컴퓨팅 장치(12)로 하여금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Computing device 12 includes at least one processor 14 , a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16 and a communication bus 18 . Processor 14 may cause computing device 12 to operate according to the above-mentioned example embodiments. For example, processor 14 may execute one or more programs stored on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16 . The one or more programs may include one or more computer-executable instructions, which when executed by processor 14 are configured to cause computing device 12 to perform operations in accordance with an illustrative embodiment. It can be.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16)는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 내지 프로그램 코드, 프로그램 데이터 및/또는 다른 적합한 형태의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16)에 저장된 프로그램(20)은 프로세서(14)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의 집합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16)는 메모리(랜덤 액세스 메모리와 같은 휘발성 메모리,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이들의 적절한 조합), 하나 이상의 자기 디스크 저장 디바이스들, 광학 디스크 저장 디바이스들,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들, 그 밖에 컴퓨팅 장치(12)에 의해 액세스되고 원하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다른 형태의 저장 매체, 또는 이들의 적합한 조합일 수 있다.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16 is configured to store computer-executable instructions or program code, program data, and/or other suitable form of information. Program 20 stored on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16 includes a set of instructions executable by processor 14 . In one embodiment,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16 includes memory (volatile memory such as random access memory, non-volatile memory, or a suitable combination thereof), one or more magnetic disk storage devices, optical disk storage devices, flash memory devices, other forms of storage media that can be accessed by computing device 12 and store desired information, or any suitable combination thereof.

통신 버스(18)는 프로세서(14),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16)를 포함하여 컴퓨팅 장치(12)의 다른 다양한 컴포넌트들을 상호 연결한다.Communications bus 18 interconnects various other components of computing device 12, including processor 14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16.

컴퓨팅 장치(12)는 또한 하나 이상의 입출력 장치(24)를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입출력 인터페이스(22) 및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통신 인터페이스(26)를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22) 및 네트워크 통신 인터페이스(26)는 통신 버스(18)에 연결된다. 입출력 장치(24)는 입출력 인터페이스(22)를 통해 컴퓨팅 장치(12)의 다른 컴포넌트들에 연결될 수 있다. 예시적인 입출력 장치(24)는 포인팅 장치(마우스 또는 트랙패드 등), 키보드, 터치 입력 장치(터치패드 또는 터치스크린 등), 음성 또는 소리 입력 장치, 다양한 종류의 센서 장치 및/또는 촬영 장치와 같은 입력 장치, 및/또는 디스플레이 장치, 프린터, 스피커 및/또는 네트워크 카드와 같은 출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입출력 장치(24)는 컴퓨팅 장치(12)를 구성하는 일 컴포넌트로서 컴퓨팅 장치(12)의 내부에 포함될 수도 있고, 컴퓨팅 장치(12)와는 구별되는 별개의 장치로 컴퓨팅 장치(12)와 연결될 수도 있다.Computing device 12 may also include one or more input/output interfaces 22 and one or more network communication interfaces 26 that provide interfaces for one or more input/output devices 24 . An input/output interface 22 and a network communication interface 26 are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bus 18 . Input/output device 24 may be coupled to other components of computing device 12 via input/output interface 22 . Exemplary input/output devices 24 include a pointing device (such as a mouse or trackpad), a keyboard, a touch input device (such as a touchpad or touchscreen), a voice or sound input device, various types of sensor devices, and/or a photographing device. input devices, and/or output devices such as display devices, printers, speakers, and/or network cards. The exemplary input/output device 24 may be included inside the computing device 12 as a component constituting the computing device 12, or may be connected to the computing device 12 as a separate device distinct from the computing device 12. may be

이상에서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Although representativ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should not be defined, and should be defined by not only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but also those equivalent to these claims.

100 : 공기 정화 처리 장치
50 : 변기 본체
50a : 상단 테두리부
52 : 변기 홀
60 : 변기 저수조
102 : 제1 공기 통로부
104 : 제1 공기 흡입부
106 : 공기 정화 처리부
106a : 상부판
106b : 측면판
106c : 공기 배출부
106c-1 : 오염 공기 배출홀
108 : 제2 공기 통로부
110 : 제2 공기 흡입부
112 : 제1 유로
112a : 세정수 배출홀
114 : 제2 유로
114a : 오염 공기 유입홀
116 : 분리 벽
118 : 연결 보조부
120 : 감지 센서
122 : 오염 공기 흡입관
122a : 연결관
122b : 흡입 돌출관
200 : 공기 정화 처리 장치
202 : 액체 탱크
202a : 액체 배출홀
204 : 제2 공기 정화 처리부
206 : 제3 공기 통로부
208 : 제3 공기 흡입부
210 : 액체 배출 조절부
212 : 액체 공급 조절부
214 : 연결 호스
100: air purification treatment device
50: toilet body
50a: upper edge
52: toilet hall
60: toilet water tank
102: first air passage part
104: first air intake
106: air purification processing unit
106a: top plate
106b: side plate
106c: air outlet
106c-1: polluted air discharge hole
108: second air passage part
110: second air intake
112: first euro
112a: washing water discharge hole
114: second euro
114a: contaminated air inlet hole
116: separation wall
118: connection auxiliary unit
120: detection sensor
122: contaminated air intake pipe
122a: connector
122b: suction protruding pipe
200: air purification treatment device
202: liquid tank
202a: liquid discharge hole
204: second air purification processing unit
206: third air passage part
208: third air intake
210: liquid discharge control unit
212: liquid supply control unit
214: connection hose

Claims (17)

내부에 액체가 저장되는 액체 탱크;
상기 액체 탱크의 내부에 마련되는 제2 공기 정화 처리부;
일단이 오염 공간과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2 공기 정화 처리부와 연결되는 제3 공기 통로부;
상기 오염 공간 내의 오염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제3 공기 통로부를 통해 상기 제2 공기 정화 처리부로 유입시키는 제3 공기 흡입부;
변기 저수조와 상기 액체 탱크를 연결하는 연결 호스; 및
상기 액체 탱크 내의 액체를 상기 연결 호스를 통해 상기 변기 저수조로 배출하는 액체 배출 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액체 배출 조절부는,
상기 액체 탱크 내의 오염도가 기 설정된 임계 오염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액체 탱크 내의 액체를 상기 변기 저수조로 배출하도록 마련되는, 공기 정화 처리 장치.
a liquid tank in which liquid is stored;
a second air purifying unit provided inside the liquid tank;
a third air passage part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polluted space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second air purification processing part;
a third air suction unit for sucking polluted air in the polluted space and introducing it into the second air purifying unit through the third air passage;
a connection hose connecting the toilet cistern and the liquid tank; and
A liquid discharge control unit for discharging the liquid in the liquid tank to the toilet reservoir through the connection hose;
The liquid discharge control unit,
and discharging the liquid in the liquid tank to the toilet bowl when the contamination level in the liquid tank exceeds a predetermined critical contamination level.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공기 정화 처리부는,
상기 제3 공기 통로부를 통해 유입되는 오염 공기가 상기 액체 탱크 내의 액체에 녹아 들도록 마련되는, 공기 정화 처리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second air purifying unit,
and the air purifying treatment device provided so that polluted air introduced through the third air passage part dissolves in the liquid in the liquid tank.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2 공기 정화 처리부는,
상기 제2 공기 정화 처리부의 내부가 상기 액체 탱크의 내부와 연통되어 상기 액체가 상기 제2 공기 정화 처리부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제3 공기 통로부를 통해 유입되는 오염 공기를 상기 제2 공기 정화 처리부 내부의 액체 또는 상기 제2 공기 정화 처리부의 내부 공간으로 배출하도록 마련되는, 공기 정화 처리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second air purifying unit,
The inside of the second air purifying processing unit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inside of the liquid tank so that the liquid flows into the second air purifying processing unit, and polluted air introduced through the third air passage is passed through the second air passage. An air purifying treatment device arranged to discharge liquid inside the purifying processing unit or into an inner space of the second air purifying processing uni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액체 배출 조절부는,
상기 변기 저수조의 세정수 배출 동작과 연동하여 상기 액체 탱크 내의 액체를 상기 변기 저수조로 배출하도록 마련되는, 공기 정화 처리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liquid discharge control unit,
The air purifying treatment apparatus provided to discharge the liquid in the liquid tank to the toilet cistern in association with a flushing water discharge operation of the toilet cistern.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변기 저수조는,
상기 액체 배출 조절부의 액체 배출 동작과 연동하여 세정수를 배출하도록 마련되는, 공기 정화 처리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toilet cistern,
An air purifying treatment device provided to discharge washing water in conjunction with a liquid discharge operation of the liquid discharge control unit.
내부에 액체가 저장되는 액체 탱크;
상기 액체 탱크의 내부에 마련되는 공기 정화 처리부;
일단이 오염 공간과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공기 정화 처리부와 연결되는 공기 통로부;
상기 오염 공간 내의 오염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공기 통로부를 통해 상기 공기 정화 처리부로 유입시키는 공기 흡입부;
변기 저수조와 상기 액체 탱크를 연결하는 연결 호스; 및
상기 액체 탱크 내의 액체를 상기 연결 호스를 통해 상기 변기 저수조로 배출하는 액체 배출 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액체 배출 조절부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변기 저수조 내의 세정수가 배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감지된 경우, 상기 액체 탱크 내의 액체를 상기 변기 저수조로 배출하도록 마련되는, 공기 정화 처리 장치.
a liquid tank in which liquid is stored;
an air purification processing unit provided inside the liquid tank;
an air passage part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polluted space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air purification processing part;
an air intake unit that sucks polluted air in the polluted space and introduces it into the air purification processing unit through the air passage unit;
a connection hose connecting the toilet cistern and the liquid tank; and
A liquid discharge control unit for discharging the liquid in the liquid tank to the toilet reservoir through the connection hose;
The liquid discharge control unit,
and discharging the liquid in the liquid tank to the toilet cistern when a user is detected in a state in which the flushing water in the toilet cistern is discharged by a user's opera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기 정화 처리 장치는,
상기 액체 탱크 내의 액체가 기 설정된 수위 이하가 되는 경우, 상기 액체 탱크의 내부로 액체를 공급하는 액체 공급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공기 정화 처리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air purification treatment device,
and a liquid supply control unit supplying the liquid into the liquid tank when the liquid in the liquid tank is below a predetermined water level.
내부에 액체가 저장되는 액체 탱크;
상기 액체 탱크의 내부에 마련되는 공기 정화 처리부;
일단이 변기 저수조와 연결되는 변기 본체의 내부 공간과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공기 정화 처리부와 연결되는 공기 통로부;
상기 변기 본체 내의 오염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공기 통로부를 통해 상기 공기 정화 처리부로 유입시키는 공기 흡입부;
상기 변기 저수조와 상기 액체 탱크를 연결하는 연결 호스; 및
상기 액체 탱크 내의 액체를 상기 연결 호스를 통해 상기 변기 저수조로 배출하는 액체 배출 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액체 배출 조절부는,
상기 액체 탱크 내의 오염도가 기 설정된 임계 오염도를 초과하거나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변기 저수조 내의 세정수가 배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감지된 경우, 상기 액체 탱크 내의 액체를 상기 변기 저수조로 배출하도록 마련되는, 공기 정화 처리 장치.
a liquid tank in which liquid is stored;
an air purification processing unit provided inside the liquid tank;
an air passage part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internal space of the toilet main body connected to the toilet tank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air purifying unit;
an air intake unit that sucks polluted air from the toilet body and introduces it into the air purifying unit through the air passage unit;
a connection hose connecting the toilet tank and the liquid tank; and
A liquid discharge control unit for discharging the liquid in the liquid tank to the toilet reservoir through the connection hose;
The liquid discharge control unit,
Air provided to discharge the liquid in the liquid tank to the toilet cistern when the contamination level in the liquid tank exceeds a predetermined critical pollution level or when a user detects that the washing water in the toilet cistern is discharged by a user's operation. purification treatment device.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공기 정화 처리 장치는,
상기 변기 본체의 상단 테두리부의 내부에서 상기 상단 테두리부의 상면과 하면을 연결하며 마련되고, 상기 상단 테두리부를 따라 마련되는 분리벽;
상기 분리벽의 외측에서 상기 상단 테두리부를 따라 마련되고 상기 변기 본체의 내부와 연통되는 제1 유로; 및
상기 분리벽의 내측에서 상기 상단 테두리부를 따라 마련되고 상기 변기 본체의 내부와 연통되는 제2 유로를 더 포함하는, 공기 정화 처리 장치.
The method of claim 9,
The air purification treatment device,
a separating wall provided along the upper edge portion and provided to connect an upper surface and a lower surface of the upper edge portion inside the upper edge portion of the toilet body;
a first passage provided along the upper edge portion outside the partition wall and communicating with the inside of the toilet body; and
The air purification treatment apparatus further comprises a second flow path provided along the upper edge portion inside the partition wall and communicating with the inside of the toilet body.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공기 정화 처리 장치는,
상기 제1 유로에 마련되고 상기 변기 저수조의 세정수가 상기 변기 본체의 내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세정수 배출홀; 및
상기 제2 유로에 마련되고 상기 변기 본체 내부의 오염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오염 공기 유입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공기 통로부의 일단은, 상기 제2 유로의 내부와 연통되어 마련되는, 공기 정화 처리 장치.
The method of claim 10,
The air purification treatment device,
one or more washing water discharge holes provided in the first passage and through which washing water in the toilet water tank is discharged into the toilet body; and
Further comprising one or more contaminated air inlet holes provided in the second passage and through which contaminated air inside the toilet body is introduced,
One end of the air passage portion is provided in communication with the inside of the second flow passage, the air purification processing device.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공기 정화 처리 장치는,
상기 공기 통로부의 일단에 결합되고, 상기 공기 흡입부의 동작에 따라 상기 변기 본체 내부의 오염 공기를 흡입하는 오염 공기 흡입관을 더 포함하는, 공기 정화 처리 장치.
The method of claim 9,
The air purification treatment device,
and a polluted air intake pipe coupled to one end of the air passage unit and sucking polluted air inside the toilet body according to an operation of the air intake unit.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오염 공기 흡입관은,
상기 공기 통로부의 일단에 결합되는 연결관; 및
상기 연결관과 연통되고 상기 변기 본체의 내부를 향하도록 상기 연결관의 단부에서 하부로 마련되는 흡입 돌출관을 포함하는, 공기 정화 처리 장치.
The method of claim 12,
The contaminated air intake pipe,
a connection pipe coupled to one end of the air passage part; and
and a suction protruding pipe communicated with the connecting pipe and provided downward from an end of the connecting pipe toward the inside of the toilet body.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기 정화 처리 장치는,
상기 변기 저수조 내에 마련되는 제1 공기 정화 처리부;
일단이 상기 변기 저수조와 연결되는 변기 본체의 내부와 연통되고, 타단이 상기 제1 공기 정화 처리부와 연결되는 제1 공기 통로부; 및
상기 제1 공기 통로부를 통해 상기 변기 본체 내부의 오염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제1 공기 정화 처리부로 유입시키는 제1 공기 흡입부를 더 포함하는, 공기 정화 처리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air purification treatment device,
a first air purification processing unit provided in the toilet bowl;
a first air passage part having one end in communication with the inside of the toilet body connected to the toilet tank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first air purifying unit; and
and a first air intake unit for sucking polluted air inside the toilet body through the first air passage unit and introducing it into the first air purification unit.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공기 정화 처리 장치는,
일단이 상기 제1 공기 정화 처리부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2 공기 정화 처리부와 연결되는 제2 공기 통로부; 및
상기 제2 공기 통로부를 통해 상기 제1 공기 정화 처리부 내의 오염 공기를 상기 제2 공기 정화 처리부로 유입시키는 제2 공기 흡입부를 더 포함하는, 공기 정화 처리 장치.
The method of claim 14,
The air purification treatment device,
a second air passage part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first air purification processing unit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second air purification processing unit; and
and a second air intake unit for introducing polluted air in the first air purification unit into the second air purification unit through the second air passage unit.
변기 몸체 및 상기 변기 몸체로 세정수를 배출하는 변기 저수조를 포함하는 변기로서,
상기 변기 저수조는, 연결 호스를 통해 공기 정화 처리 장치와 연결되고,
상기 공기 정화 처리 장치는,
내부에 액체가 저장되고 상기 연결 호스를 통해 상기 변기 저수조와 연결되는 액체 탱크;
상기 액체 탱크의 내부에 마련되는 공기 정화 처리부;
일단이 오염 공간과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공기 정화 처리부와 연결되는 공기 통로부;
상기 오염 공간 내의 오염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공기 통로부를 통해 상기 공기 정화 처리부로 유입시키는 공기 흡입부; 및
상기 액체 탱크 내의 액체를 상기 연결 호스를 통해 상기 변기 저수조로 배출하는 액체 배출 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액체 배출 조절부는,
상기 액체 탱크 내의 오염도가 기 설정된 임계 오염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액체 탱크 내의 액체를 상기 변기 저수조로 배출하도록 마련되는, 변기.
A toilet comprising a toilet body and a toilet cistern for discharging washing water into the toilet body,
The toilet cistern is connected to the air purification treatment device through a connection hose,
The air purification treatment device,
a liquid tank in which liquid is stored and connected to the toilet cistern through the connection hose;
an air purification processing unit provided inside the liquid tank;
an air passage part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polluted space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air purification processing part;
an air intake unit that sucks polluted air in the polluted space and introduces it into the air purification processing unit through the air passage unit; and
A liquid discharge control unit for discharging the liquid in the liquid tank to the toilet reservoir through the connection hose;
The liquid discharge control unit,
Wherein the toilet is provided to discharge the liquid in the liquid tank to the toilet bowl when the contamination level in the liquid tank exceeds a predetermined critical contamination level.
변기 몸체 및 상기 변기 몸체로 세정수를 배출하는 변기 저수조를 포함하는 변기로서,
상기 변기 저수조는, 연결 호스를 통해 공기 정화 처리 장치와 연결되고,
상기 공기 정화 처리 장치는,
내부에 액체가 저장되고 상기 연결 호스를 통해 상기 변기 저수조와 연결되는 액체 탱크;
상기 액체 탱크의 내부에 마련되는 공기 정화 처리부;
일단이 오염 공간과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공기 정화 처리부와 연결되는 공기 통로부;
상기 오염 공간 내의 오염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공기 통로부를 통해 상기 공기 정화 처리부로 유입시키는 공기 흡입부; 및
상기 액체 탱크 내의 액체를 상기 연결 호스를 통해 상기 변기 저수조로 배출하는 액체 배출 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액체 배출 조절부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변기 저수조 내의 세정수가 배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감지된 경우, 상기 액체 탱크 내의 액체를 상기 변기 저수조로 배출하도록 마련되는, 변기.
A toilet comprising a toilet body and a toilet cistern for discharging washing water into the toilet body,
The toilet cistern is connected to the air purification treatment device through a connection hose,
The air purification treatment device,
a liquid tank in which liquid is stored and connected to the toilet cistern through the connection hose;
an air purification processing unit provided inside the liquid tank;
an air passage part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polluted space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air purification processing part;
an air intake unit that sucks polluted air in the polluted space and introduces it into the air purification processing unit through the air passage unit; and
A liquid discharge control unit for discharging the liquid in the liquid tank to the toilet reservoir through the connection hose;
The liquid discharge control unit,
When a user is detected in a state in which flushing water in the toilet cistern is discharged by a user's operation, the toilet is provided to discharge the liquid in the liquid tank to the toilet cistern.
KR1020200085056A 2019-09-02 2020-07-10 Apparatus for purifying air KR102475264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0/011720 WO2021045490A2 (en) 2019-09-02 2020-09-01 Apparatus for purifying air
CN202080061039.8A CN114364849A (en) 2019-09-02 2020-09-01 Air purification treatment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8200 2019-09-02
KR20190108200 2019-09-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7068A KR20210027068A (en) 2021-03-10
KR102475264B1 true KR102475264B1 (en) 2022-12-08

Family

ID=751485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5056A KR102475264B1 (en) 2019-09-02 2020-07-10 Apparatus for purifying ai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5264B1 (en)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2167Y1 (en) 2001-09-04 2002-03-18 권순영 Stench elimination apparatus for chamber pot
KR20080086190A (en) * 2007-03-22 2008-09-25 김덕용 Built-in air cleaner
KR20110123449A (en) * 2010-05-07 2011-11-15 이앙진 Ventilator for a chamber pot
KR101446577B1 (en) * 2013-02-07 2014-10-07 노지녕 Apparatus for handling ai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7068A (en) 2021-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949276A (en) Modular bowl evacuation of pet device cleaning device
US20080295234A1 (en) Odourless toilet
CN106522333A (en) Toilet deodorization system
KR102475264B1 (en) Apparatus for purifying air
US9644360B2 (en) Ventilated toilet assembly
JP2010285863A (en) Ventilated toilet
JP6116708B2 (en) Air treatment equipment
JP2008095355A (en) Soil conveying system
CN114364849A (en) Air purification treatment device
US20160002905A1 (en) Low flush toilet system
US11149425B2 (en) Ventilated toilet
KR102179616B1 (en) A sterilizing and deodorizing device
WO2005098154A3 (en) Toilet odour ventilation system
US10161123B2 (en) Ventilated toilet assembly
KR200408971Y1 (en) A toilet stool having equipment of nemoving a bad smell
EP1616058B1 (en) Aspirating apparatus particularly for toilets
JP6693038B2 (en) Odor removal device for toilet bowl
KR20090129864A (en) Toilet bowl having an offensive oder exhaust function
US11293172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toilet ventilation
KR101951603B1 (en) A Smell Emit System for Public Toilet
KR20180007797A (en) Toilet odor control system
US20070289052A1 (en) Odor dispersal system
KR20180009299A (en) Deodorizer for toilet seat
US20060179556A1 (en) Ventilated toilet system and method
CN110470797A (en) A kind of detection of public lavatory pernicious gas and its exhaust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