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9616B1 - A sterilizing and deodorizing device - Google Patents

A sterilizing and deodorizing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9616B1
KR102179616B1 KR1020180166190A KR20180166190A KR102179616B1 KR 102179616 B1 KR102179616 B1 KR 102179616B1 KR 1020180166190 A KR1020180166190 A KR 1020180166190A KR 20180166190 A KR20180166190 A KR 20180166190A KR 102179616 B1 KR102179616 B1 KR 1021796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sterilization
unit
air
contaminated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619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077051A (en
Inventor
이재우
Original Assignee
이재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우 filed Critical 이재우
Priority to KR10201801661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9616B1/en
Publication of KR202000770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705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96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961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4Special arrangement or operation of ventilating devices
    • E03D9/05Special arrangement or operation of ventilating devices ventilating the bowl
    • E03D9/052Special arrangement or operation of ventilating devices ventilating the bowl using incorporated f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18Radiation
    • A61L9/20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1Apparatus for controlling air treatment
    • A61L2209/111Sensor means, e.g. motion, brightness, scent, contaminant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4Filter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살균 및 냄새제거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살균 및 냄새제거장치는 변기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변기 내부의 오염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부; 및 상기 흡입부와 결합되어 상기 오염 공기를 유입시키는 결합부, 상기 결합부로 유입된 오염 공기 중에 포함된 세균을 살균하고 악취를 제거하는 살균부, 및 상기 살균부에 의해 정화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부를 포함하는 본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변기 내부에서 발생되는 악취나 각종 균을 발생 즉시 흡입하여 탈취 및 살균함으로써, 악취나 각종 균이 변기 외부 즉, 화장실 전체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악취나 각종 균을 제1 살균부 및 제2 살균부를 이용함으로써, 탈취 및 살균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일반적인 변기와 변좌의 형태를 변경시키지 않음으로써,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본체의 위치에 관계없이 흡입부를 변기에 설치할 수 있다.A sterilization and odor removal device is disclosed. Sterilization and odor remov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detachably to the toilet, suction unit for inhaling the contaminated air inside the toilet; And a coupling part that is combined with the suction part to introduce the contaminated air, a sterilization part that sterilizes bacteria and removes odors contained in the contaminated air introduced into the coupling part, and discharges the air purified by the sterilization part to the outside. It includes a body including an exhaust portion.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odors or various germs from spreading outside the toilet, that is, to the entire toilet, by inhaling and deodorizing and sterilizing the odor generated inside the toilet as soon as they occur. In addition,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the first sterilization unit and the second sterilization unit for odor or various bacteria, it is possible to maximize deodorization and sterilization efficiency. In addition,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not changing the shape of a general toilet and toilet seat, it can be easily installed, and the suction unit can be installed in the toilet regardless of the position of the main body.

Description

살균 및 냄새제거장치{A STERILIZING AND DEODORIZING DEVICE}Sterilization and odor removal device{A STERILIZING AND DEODORIZING DEVIC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살균 및 냄새제거장치와 관련된다.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 to a sterilization and odor removal device.

일반적으로 화장실에서 용변시 발생되는 악취를 제거하기 위하여 종래부터 사용되었던 방법으로는 화장실 내의 벽의 일부에 별도의 배기팬을 부착하거나 화장실 내의 빈 공간에 공기정화기를 설치하였다.In general, in order to remove odors generated when toileting in a toilet, a separate exhaust fan was attached to a part of the wall in the toilet or an air purifier was installed in an empty space in the toilet.

위와 같은 방법들은 용변시 발생되는 악취가 양변기에서부터 화장실 전체로 먼저 확산되어 화장실 내의 공기의 대부분을 오염시킨 후에 배기되게 되므로 화장실의 공기를 쾌적하게 유지하기 위하여는 화장실의 전체면적을 대상으로 오염된 공기를 배기하거나 정화시켜야 하므로 상당히 비효율적이었으며, 더욱이 화장실 내부를 냉방이나 난방을 하는 경우에는 배기팬을 사용하면 배기되는 공기로 인하여 에너지의 낭비까지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the above methods, the odor generated when toileting is first spread from the toilet to the entire toilet and polluted most of the air in the toilet, and then exhausted. To keep the air in the toilet comfortable, the polluted air is applied to the entire toilet area. It was very inefficient because it had to be exhausted or purified, and furthermore, in the case of cooling or heating the interior of the bathroom, there was a problem that even waste of energy due to the exhausted air when an exhaust fan was used.

따라서 악취를 제거하기 위한 기술이 개발되고 있는 바, 그 일예로는 국내 실용신안등록공고 제20-0123327호의 양변기용 악취제거장치가 있다.Therefore, a technology for removing odors is being developed, and an example of this is the odor removal device for toilets of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123327.

이러한 장치는 모터 및 팬에 의해 공기를 흡입하고, 흡입된 공기는 필터를 거쳐 배출구로 배출되도록 하는 흡입통과, 휘어짐이 용이하고 흡입공이 다수개 천공된 두가닥의 흡입관이 좌판의 저면에 부착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악취제거장치는 모터가 좌판의 직하부측에 부착됨으로써 소음이 심하고, 흡입된 공기를 배출시키는 배출구에 별도의 연결구가 구비되어야 하는 불편함을 가지고 있으며, 또한 연결관의 배관에 따른 외관이 불량한 문제가 있다.
Such a device has a structure in which a suction passage through which air is sucked in by a motor and a fan, and the suctioned air is discharged to the outlet through a filter, and two-stranded suction pipes that are easily bent and have multiple suction holes are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seat plate. Consists of. However, such an odor removal device is very noisy because the motor is attached to the lower side of the seat plate, and has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have a separate connector at the outlet for discharging the inhaled air. There is a bad problem.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23327호 (1998.05.22.)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0123327 (1998.05.22.)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변기 내부에서 발생되는 악취나 각종 균을 발생 즉시 흡입하여 탈취 및 살균하여 악취나 각종 균이 변기 외부 즉, 화장실 전체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prevent odors or bacteria from spreading to the outside of the toilet, that is, the entire toilet by inhaling, deodorizing and sterilizing odors or bacteria generated inside the toilet immediately.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악취나 각종 균을 제1 살균부 및 제2 살균부를 이용하여 탈취 및 살균 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한 것이다.In additio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maximize the efficiency of deodorization and sterilization by using the first sterilization unit and the second sterilization unit for odors and various bacteria.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일반적인 변기와 변좌의 형태를 변경시키지 않고 간편하게 설치하기 위한 것이다.In additio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for simple installation without changing the shape of a general toilet and toilet seat.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체의 위치에 관계없이 흡입부를 변기에 설치하기 위한 것이다.
Furth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for installing the suction unit in the toilet regardless of the position of the main body.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변기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변기 내부의 오염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부; 및 상기 흡입부와 결합되어 상기 오염 공기를 유입시키는 결합부, 상기 결합부로 유입된 오염 공기 중에 포함된 세균을 살균하고 악취를 제거하는 살균부, 및 상기 살균부에 의해 정화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부를 포함하는 본체를 포함하는 살균 및 냄새제거장치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uction unit that is detachably installed on a toilet and sucks contaminated air inside the toilet; And a coupling part that is combined with the suction part to introduce the contaminated air, a sterilization part that sterilizes bacteria and removes odors contained in the contaminated air introduced into the coupling part, and discharges the air purified by the sterilization part to the outside. A sterilization and odor removal device including a body including an exhaust unit is provided.

상기 흡입부는 상기 변기와 상기 변기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변좌의 사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흡입부와 연결되는 부분에 위치한 제1 팬의 작동시 상기 변기 내부의 오염 공기를 흡입하는 고정부 및 일측이 상기 고정부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결합부와 연결되며, 신축가능하게 형성되는 흡입관을 포함할 수 있다.The suction part is detachably mounted between the toilet and the toilet seat rotatably mounted on the upper part of the toilet, and sucks contaminated air inside the toilet when a first fan located at a portion connected to the suction part is operated. The fixing part and one side may be rotatably coupled to the fixing part, the other side may be connected to the coupling part, and may include a suction pipe formed to be stretchable.

상기 본체는 변기의 외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The main body may be installed to be movable outside the toilet.

상기 고정부는 상기 변기와 변좌 사이에 위치하는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로부터 상기 변기 내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변기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걸림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로부터 상기 변기 외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걸림부재 및 연장부재가 상기 지지부재로부터 굴곡되어 연장되고, 상기 지지부재가 변기와 변좌 사이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걸림부재 및 연장부재에 의하여 상기 변기에 끼움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fixing part comprises: a support member positioned between the toilet and the toilet seat; and a locking member extending from the support member to the inside of the toilet to suck air inside the toilet; And an extension member extending from the support member to the outside of the toilet, wherein the locking member and the extension member are bent and extended from the support member, and when the support member is located between the toilet and the toilet seat, the locking member and It may be formed in a shape that is fitted into the toilet by an extension member.

상기 살균부는 상기 결합부로 유입된 오염 공기가 통과하여 여과하는 필터를 포함하는 제1 살균부; 및 상기 여과된 공기 중에 포함된 세균을 살균하도록 자외선을 방사하는 UV램프 및 상기 세균 및 악취를 진동시켜 미세화하여 분해하는 초음파 진동자를 포함하는 제2 살균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erilization unit includes a first sterilization unit including a filter for filtering the contaminated air introduced into the coupling unit; And a second sterilization unit including a UV lamp that emits ultraviolet rays to sterilize bacteria contained in the filtered air, and an ultrasonic vibrator that vibrates and decomposes the bacteria and odors.

상기 살균 및 냄새제거장치는 사용자의 접근 또는 이탈을 감지하는 근접센서; 및 상기 근접센서의 접근신호 또는 이탈신호에 따라 상기 결합부, 상기 제2 살균부 및 상기 배기부를 작동시키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접근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결합부를 통하여 상기 본체로 상기 오염 공기를 유입시키고 상기 제2 살균부의 UV램프를 작동시키며, 상기 이탈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오염 공기의 유입을 중지하고 상기 제2 살균부의 초음파 진동자를 작동시키며 상기 배기부로 상기 살균부에 의해 정화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The sterilization and odor removal device includes: a proximity sensor that detects a user's approach or departure; And a control unit for operating the coupling unit, the second sterilizing unit, and the exhaust unit according to an approach signal or a departure signal of the proximity sensor, wherein the control unit is transmitted to the body through the coupling unit when the access signal is input. The contaminated air is introduced and the UV lamp of the second sterilizing unit is operated, and when the departure signal is input, the inflow of the contaminated air is stopped, the ultrasonic vibrator of the second sterilizing unit is operated, and the sterilization unit is used as the exhaust unit. Purified air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변기 내부에서 발생되는 악취나 각종 균을 발생 즉시 흡입하여 탈취 및 살균함으로써, 악취나 각종 균이 변기 외부 즉, 화장실 전체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odors or various germs from spreading outside the toilet, that is, to the entire toilet, by inhaling and deodorizing and sterilizing the odor generated inside the toilet as soon as they occur.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악취나 각종 균을 제1 살균부 및 제2 살균부를 이용함으로써, 탈취 및 살균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the first sterilization unit and the second sterilization unit for odor or various bacteria, it is possible to maximize the efficiency of deodorization and sterilization.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일반적인 변기와 변좌의 형태를 변경시키지 않음으로써,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본체의 위치에 관계없이 흡입부를 변기에 설치할 수 있다.
Further,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not changing the shape of a general toilet and toilet seat, it can be easily installed, and the suction unit can be installed on the toilet regardless of the position of the main bod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살균 및 냄새제거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살균 및 냄새제거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살균 및 냄새제거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살균 및 냄새제거장치가 변기에 설치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5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사용되기에 적합한 컴퓨팅 장치를 포함하는 컴퓨팅 환경을 예시하여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1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sterilization and odor remova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 sterilization and odor remov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onfiguration diagram illustrating a sterilization and odor remova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a sterilization and odor remov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toilet
5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d describing a computing environment including a computing device suitable for use in example embodiments.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방법, 장치 및/또는 시스템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Hereinafter,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is provided to aid in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methods, devices, and/or systems described herein. However, this is only an exampl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기술하기 위한 것이며, 결코 제한적이어서는 안 된다. 명확하게 달리 사용되지 않는 한, 단수 형태의 표현은 복수 형태의 의미를 포함한다. 본 설명에서, "포함" 또는 "구비"와 같은 표현은 어떤 특성들, 숫자들, 단계들, 동작들, 요소들,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을 가리키기 위한 것이며, 기술된 것 이외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성, 숫자, 단계, 동작, 요소,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의 존재 또는 가능성을 배제하도록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known technolog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erms to be described later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vary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ustom of users or operators.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The terms us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re only for describing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uld not be limiting. Unless explicitly used otherwise, expressions in the singular form include the meaning of the plural form. In this description, expressions such as "comprising" or "feature" are intended to refer to certain features, numbers, steps, actions, elements, some or combination thereof, and one or more other than those described. It should not be construed to exclude the presence or possibility of other features, numbers, steps, actions, elements, any part or combination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살균 및 냄새제거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살균 및 냄새제거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살균 및 냄새제거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erilization and odor remova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erilization and odor remova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A configuration diagram illustrating a sterilization and odor remova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살균 및 냄새제거장치(10)는 본체(100) 및 흡입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terilization and odor removal apparatus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main body 100 and a suction unit 200.

본체(100)는 살균 및 냄새제거장치(10)의 외관을 이루는 부분으로, 소정의 내부공간을 구비한 하우징 형상일 수 있다. 본체(100)는 하부에 본체(100)를 지면에 고정할 수 있는 지주대(101)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여기서는 지주대(101)가 지면에 고정되는 형태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지주대(101)에 바퀴가 형성되어 본체(100)가 이동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main body 100 is a part that forms the exterior of the sterilization and odor removal device 10 and may have a housing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internal space. The main body 100 may be formed with a holding base 101 capable of fixing the main body 100 to the ground at the lower portion. On the other hand, although shown here in a form in which the holding stand 101 is fixed to the ground,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main body 100 may be formed to be movable by forming a wheel on the holding stand 101.

본체(100)는 결합부(110), 제1 살균부(120), 제2 살균부(130), 배기부(140) 및 제어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main body 100 may include a coupling part 110, a first sterilizing part 120, a second sterilizing part 130, an exhaust part 140, and a control part 150.

결합부(110)는 본체(100)의 일측에 마련되어 후술하는 흡입부(200)가 결합되는 결합구(111) 및 흡입구(214)를 통하여 악취가 섞인 공기가 본체로 유입되도록 제어부(150)의 제어에 의해 가동되는 제1 팬(112)으로 구성될 수 있다.
The coupling part 110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100 so that air mixed with odor is introduced into the main body through a coupling hole 111 and a suction port 214 to which the suction part 200 to be described later is coupled. It may be configured with a first fan 112 operated by control.

제1 살균부(120)는 결합부(110)로부터 연장되어 결합부(110)를 통하여 유입된 악취가 섞인 공기를 필터링(Filtering)할 수 있다. 제1 살균부(120)는 살균 및 탈취할 수 있는 다양한 필터 중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 즉, 악취가 섞인 공기가 제1 살균부(120)를 통과하면서 공기 중에 섞인 세균 및 악취를 여과시킬 수 있다.
The first sterilization unit 120 may filter air mixed with odor that extends from the coupling unit 110 and introduced through the coupling unit 110. One of various filters capable of sterilizing and deodorizing may be used as the first sterilizing unit 120. That is, while the air mixed with odor passes through the first sterilization unit 120, bacteria and odor mixed in the air may be filtered.

제2 살균부(130)는 제1 살균부(120)를 통과하여 걸러진 공기가 유입되어 1차 여과된 공기 중에 섞인 세균을 살균하고 악취를 분해할 수 있다. 제2 살균부(130)는 세균을 살균하고 악취를 분해하도록 제어부(150)의 제어에 의해 자외선을 방사하는 UV램프(131) 및 제어부(150)의 제어에 의해 세균 및 악취를 진동시켜 미세화하여 분해하는 초음파 진동자(132)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econd sterilization unit 130 may sterilize bacteria mixed in the first filtered air by introducing the filtered air through the first sterilization unit 120 and decompose odors. The second sterilization unit 130 vibrates and refines bacteria and odors by controlling the UV lamp 131 and the control unit 150 to emit ultraviolet rays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50 to sterilize bacteria and decompose odors. It may include an ultrasonic vibrator 132 to disassemble.

배기부(140)는 본체(100)의 타측에 마련되어 외부로 공기를 배출하는 배기구(141) 및 본체(100) 내부를 통과하여 살균 및 탈취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제어부(150)의 제어에 의해 가동되는 제2 팬(142)으로 구성될 수 있다.
The exhaust unit 140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main body 100 to discharge air to the outside and the control unit 150 to discharge sterilized and deodorized air through the main body 100 to the outside. It may be composed of a second fan 142 operated by.

제어부(150)는 조작부재(160)의 가동 신호에 따라 제1 팬(112), 제2 살균부 및 제2 팬(142)을 작동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50 may operate the first fan 112, the second sterilization unit and the second fan 142 according to an operation signal of the operation member 160.

또한, 제어부(150)는 근접센서(230)의 접근신호 또는 이탈신호에 따라 제1 팬(112), 제2 살균부(130) 및 제2 팬(142)을 작동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50)는 접근신호가 입력되면, 제1 팬(112) 및 제2 살균부(130)의 UV램프(131)를 작동하여 변기(1)에서 발생하는 악취가 섞인 공기를 흡입하여 공기 중에 섞인 세균을 살균하고 악취를 분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0)는 이탈신호가 입력되면, 제2 살균부(130)의 초음파 진동자(132) 및 제2 팬(142)을 작동하여 제1 살균부(120) 및 제2 살균부(130)를 거쳐 살균 및 탈취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ler 150 may operate the first fan 112, the second sterilization unit 130, and the second fan 142 according to an approach signal or a departure signal from the proximity sensor 230. Specifically, when the approach signal is input, the control unit 150 operates the UV lamp 131 of the first fan 112 and the second sterilization unit 130 to inhale air mixed with odors generated from the toilet (1). By doing so, it can sterilize bacteria mixed in the air and decompose odors. In addition, when a departure signal is input, the control unit 150 operates the ultrasonic vibrator 132 and the second fan 142 of the second sterilization unit 130 to operate the first sterilization unit 120 and the second sterilization unit 130. ), and then sterilized and deodorized air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흡입부(200)는 고정부(210), 흡입관(220) 및 근접센서(23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uction part 200 may include a fixing part 210, a suction pipe 220, and a proximity sensor 230.

고정부(210)는 변기(1)에서 발생하는 악취가 섞인 공기를 흡입하기 위하여 변기(1)와 변좌(2)사이의 임의의 위치에 착탈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변기(1)에 얹혀지는 지지부재(211), 지지부재(211)로부터 변기(1) 내측으로 연장되어 변기(1)에서 발생하는 악취가 섞인 공기를 흡입하는 걸림부재(212) 및 지지부재(211)로부터 변기(1) 외측으로 연장되어 흡입관(220)과 결합되는 연장부재(213)로 구성될 수 있다.The fixing part 210 may be installed to be detachable at an arbitrary position between the toilet 1 and the toilet seat 2 in order to inhale air mixed with odor generated from the toilet 1, and mounted on the toilet 1 The supporting member 211, a locking member 212 extending from the supporting member 211 to the inside of the toilet 1 and sucking air mixed with odor generated from the toilet 1, and the toilet 1 from the supporting member 211 ) It may be composed of an extension member 213 extending outwardly coupled to the suction pipe 220.

지지부재(211)는 변기(1)와 변좌(2)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지지부재(211)는 일반적인 변기(1)와 변좌(2)의 형태를 변경시키지 않고 그 사이의 공간에 위치하도록 두께가 얇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부재(211)의 두께는 7mm 이하일 수 있다.The support member 211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toilet 1 and the toilet seat 2. The support member 211 may be thin so as to be positioned in a space between the general toilet 1 and the toilet seat 2 without changing the shape of the toilet seat 2. For example, the thickness of the support member 211 may be 7 mm or less.

걸림부재(212)는 지지부재(211)로부터 굴곡되어 변기(1) 내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걸림부재(212)의 일 단부는 흡입구(214)가 형성될 수 있으며, 흡입구(214)를 통하여 변기(1)에서 발생하는 악취가 섞인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 The locking member 212 may be bent from the support member 211 and extend into the toilet 1. One end of the locking member 212 may be provided with a suction port 214, and through the suction port 214, air mixed with odor generated from the toilet 1 may be sucked.

연장부재(213)는 지지부재(211)로부터 굴곡되어 변기(1)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연장부재(213)의 일 단부는 흡입관(220)과 결합될 수 있다. 연장부재(213)의 일 단부는 흡입관(220)과 360°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방식이라면 공지된 어떠한 방식을 적용하여도 무방하다. 예를 들어, 연장부재(213)의 일 단부 및 흡입관(220)의 일측은 볼륨을 이용한 호스끼움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또한, 자석 및 금속을 내장하여 자석결합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The extension member 213 may be bent from the support member 211 and may extend outside the toilet 1. One end of the extension member 213 may be coupled to the suction pipe 220. One end of the extension member 213 may apply any known method as long as it is coupled to the suction pipe 220 so as to be rotated 360°. For example, one end of the extension member 213 and one side of the suction pipe 220 may be coupled by a hose fitting method using a volume, and may also be coupled by a magnetic coupling method by embedding a magnet and a metal.

이에 걸림부재(212) 및 연장부재(213)가 지지부재(211)로부터 굴곡되어 연장됨으로써, 고정부(210)의 지지부재(211)가 변기(1)와 변좌(2) 사이에 위치하는 경우 걸림부재(212) 및 연장부재(213)에 의하여 고정부(210)가 변기(1)에 끼움되는 형상으로 특별한 장치없이 변기(1)에 설치할 수 있다.
Accordingly, when the holding member 212 and the extension member 213 are bent and extended from the support member 211, the support member 211 of the fixing part 210 is located between the toilet 1 and the toilet seat 2 The fixing member 210 is fitted into the toilet 1 by the locking member 212 and the extension member 213, and can be installed on the toilet 1 without a special device.

흡입관(220)은 일측은 고정부(210)와 결합되고, 타측은 본체(100)의 결합부(110)에 결합될 수 있다. 흡입관(220)은 고정부(210)를 통하여 흡입되는 악취가 섞인 공기를 본체로 유입되도록 공기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흡입관(220)은 본체(100)의 위치에 관계없이 고정부(210)를 변기(1)에 부착할 수 있도록 다양한 높이 및 각도조정이 가능하도록 사용자의 힘에 의하여 변형된 상태를 유지하는 플렉시블한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이에 360°회전가능한 고정부(210)와 플렉시블한 흡입관(220)을 통하여 본체(100)의 위치에 관계없이 고정부(210)를 변기(1)에 설치할 수 있다. 또한, 360°회전가능한 고정부(210)와 플렉시블한 흡입관(220)을 통하여 본체(100)의 위치에 구애받지 않을 수 있다.
One side of the suction pipe 220 may be coupled to the fixing portion 210 and the other side may be coupled to the coupling portion 110 of the body 100. The suction pipe 220 may form an air passage so that air mixed with odors sucked through the fixing part 210 is introduced into the main body. The suction pipe 220 is a flexible device that maintains a deformed state by the user's force so that various heights and angles can be adjusted so that the fixing part 210 can be attached to the toilet 1 regardless of the position of the main body 100. Can have characteristics. Accordingly, the fixing part 210 can be installed on the toilet 1 regardless of the position of the main body 100 through the 360° rotatable fixing part 210 and the flexible suction pipe 220. In addition, the position of the main body 100 can be avoided through the 360° rotatable fixing part 210 and the flexible suction pipe 220.

근접센서(230)는 고정부(210)의 일측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접근 및 이탈을 감지할 수 있다. 근접센서(230)는 사용자가 접근하면 접근신호를 제어부(150)로 전송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이탈하면 이탈신호를 제어부(150)로 전송할 수 있다.
The proximity sensor 230 may be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fixing part 210 to detect a user's approach or departure. The proximity sensor 230 may transmit an access signal to the controller 150 when the user approaches, and may transmit a departure signal to the controller 150 when the user leaves.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살균 및 냄새제거장치가 변기에 설치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4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a sterilization and odor remova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toilet.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살균 및 냄새제거장치(10)를 사용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As shown in Fig. 4, a method of using the sterilization and odor removal devic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this configuration is as follows.

사용자는 살균 및 냄새제거장치(10)를 변기(1) 주변에 배치해두고, 흡입부(200)를 변기(1)에 설치하여 둔다. 살균 및 냄새제거장치(10)를 변기(1)에 설치할 때, 먼저 변좌(2)를 들어 올린 다음에 걸림부재(212)가 변기(1)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지지부재(211)를 변기(1)에 위치시키고 변좌(2)를 내림으로써, 간단하게 설치를 완료할 수 있다. 이 때, 360°회전가능한 고정부(210) 및 플랙시블한 흡입관(220)에 의하여 본체(100)의 위치에 관계없이 고정부(210)를 변기(1)에 설치할 수 있다. 또한, 360°회전가능한 고정부(210)와 플렉시블한 흡입관(220)을 통하여 본체(100)의 위치에 구애받지 않을 수 있다.The user places the sterilization and odor removal device 10 around the toilet 1 and the suction part 200 is installed on the toilet 1. When installing the sterilization and odor removal device 10 on the toilet 1, first lift the toilet seat 2 and then place the support member 211 so that the locking member 212 is located inside the toilet 1 By placing it in 1) and lowering the toilet seat 2, installation can be completed simply. In this case, the fixing part 210 can be installed on the toilet 1 regardless of the position of the main body 100 by the fixing part 210 rotatable by 360° and the flexible suction pipe 220. In addition, the position of the main body 100 can be avoided through the 360° rotatable fixing part 210 and the flexible suction pipe 220.

설치가 완료된 다음에 사용자가 용변을 위하여 변기(1)에 접근하게 되면 근접센서(230)에 의하여 사용자의 접근이 감지되고, 제1 팬(112)이 가동되며, 고정부(210)의 흡입구(214)를 통하여 변기(1)에서 발생하는 악취가 섞인 공기를 흡입한다. 제1 팬(112)에 의하여 흡입구(214)를 통해 흡입된 공기는 제1 살균부(120)를 통과하면서 1차적으로 세균 및 악취가 여과된다. 그 후, 제2 살균부(130)로 유입된 공기는 UV램프(131)에 의하여 세균을 살균하고 악취를 분해한다. After the installation is complete, when the user approaches the toilet 1 for toilet, the proximity sensor 230 detects the user's approach, the first fan 112 is operated, and the suction port of the fixing part 210 ( Air with odor from the toilet (1) is inhaled through 214). The air sucked through the inlet 214 by the first fan 112 passes through the first sterilization unit 120, while bacteria and odors are primarily filtered. After that, the air introduced into the second sterilization unit 130 sterilizes bacteria and decomposes odors by the UV lamp 131.

사용자가 용변을 마치고 변기(1)에서 이탈하게 되어 근접센서(230)에 의하여 사용자의 이탈이 감지되면, 제1 팬(112)의 가동이 정지되고, 제2 살균부(130)는 UV램프(131)의 작동을 멈추고 세균 및 악취를 진동시켜 미세화하여 분해하도록 초음파 진동자(132)를 작동시킨다. 이에 제1 살균부(120) 및 제2 살균부(130)를 거친 공기가 살균 및 탈취될 수 있다. When the user is separated from the toilet (1) after toileting and the user's departure is detected by the proximity sensor 230, the operation of the first fan 112 is stopped, and the second sterilization unit 130 is a UV lamp ( The operation of the 131) is stopped and the ultrasonic vibrator 132 is operated so that bacteria and odors are vibrated to refine and decompose. Accordingly,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first sterilization unit 120 and the second sterilization unit 130 may be sterilized and deodorized.

그 후, 살균 및 탈취된 공기가 제2 팬(142)에 의하여 외부로 배출된다.After that, the sterilized and deodorized ai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by the second fan 142.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살균 및 냄새제거장치(10)는 변기(1) 내부에서 발생되는 악취나 각종 균을 발생 즉시 흡입하여 탈취 및 살균함으로써, 악취나 각종 균이 변기(1) 외부 즉, 화장실 전체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악취나 각종 균을 제1 살균부(120) 및 제2 살균부(130)를 이용함으로써, 탈취 및 살균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일반적인 변기(1)와 변좌(2)의 형태를 변경시키지 않음으로써,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본체(100)의 위치에 관계없이 흡입부(200)를 변기(1)에 설치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sterilization and odor removal devic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mmediately inhales and deodorizes and sterilizes odors or various germs generated inside the toilet bowl 1, thereby preventing odors and various bacteria from the toilet bowl 1 It can prevent spreading to the outside, that is, the entire toilet. In addition, by using the first sterilization unit 120 and the second sterilization unit 130 to odor or various bacteria, it is possible to maximize the efficiency of deodorization and sterilization. In addition, by not changing the shape of the general toilet (1) and toilet seat (2), it can be easily installed, and the suction unit 200 can be installed on the toilet (1) regardless of the position of the main body (100).

도 5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사용되기에 적합한 컴퓨팅 장치를 포함하는 컴퓨팅 환경(20)을 예시하여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각 컴포넌트들은 이하에 기술된 것 이외에 상이한 기능 및 능력을 가질 수 있고, 이하에 기술된 것 이외에도 추가적인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다.5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d describing a computing environment 20 including a computing device suitable for use in example embodiments.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each component may have different functions and capabilities in addition to those described below, and may include additional components in addition to those described below.

도시된 컴퓨팅 환경(20)은 컴퓨팅 장치(22)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컴퓨팅 장치(22)는 제어부(150)일 수 있다.The illustrated computing environment 20 includes a computing device 22. In one embodiment, the computing device 22 may be the control unit 150.

컴퓨팅 장치(22)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24),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26) 및 통신 버스(28)를 포함한다. 프로세서(24)는 컴퓨팅 장치(22)로 하여금 앞서 언급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24)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26)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을 실행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는 프로세서(24)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컴퓨팅 장치(22)로 하여금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computing device 22 includes at least one processor 24, a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26 and a communication bus 28. The processor 24 may cause the computing device 22 to operate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s mentioned above. For example, the processor 24 may execute one or more programs stored in the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26. The one or more programs may include one or more computer-executable instructions, and the computer-executable instructions, when executed by the processor 24, cause the computing device 22 to perform operation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Can be.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26)는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 내지 프로그램 코드, 프로그램 데이터 및/또는 다른 적합한 형태의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26)에 저장된 프로그램(30)은 프로세서(24)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의 집합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26)는 메모리(랜덤 액세스 메모리와 같은 휘발성 메모리,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이들의 적절한 조합), 하나 이상의 자기 디스크 저장 디바이스들, 광학 디스크 저장 디바이스들,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들, 그 밖에 컴퓨팅 장치(22)에 의해 액세스되고 원하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다른 형태의 저장 매체, 또는 이들의 적합한 조합일 수 있다.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26 is configured to store computer-executable instructions or program code, program data, and/or other suitable form of information. The program 30 stored in the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26 includes a set of instructions executable by the processor 24. In one embodiment, the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26 includes memory (volatile memory such as random access memory, nonvolatile memory, or a suitable combination thereof), one or more magnetic disk storage devices, optical disk storage devices, flash It may be memory devices, other types of storage media that can be accessed by computing device 22 and store desired information, or a suitable combination thereof.

통신 버스(28)는 프로세서(24),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26)를 포함하여 컴퓨팅 장치(22)의 다른 다양한 컴포넌트들을 상호 연결한다.The communication bus 28 interconnects the various other components of the computing device 22, including the processor 24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26.

컴퓨팅 장치(22)는 또한 하나 이상의 입출력 장치(34)를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입출력 인터페이스(32) 및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통신 인터페이스(36)를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32) 및 네트워크 통신 인터페이스(36)는 통신 버스(28)에 연결된다. 입출력 장치(34)는 입출력 인터페이스(32)를 통해 컴퓨팅 장치(22)의 다른 컴포넌트들에 연결될 수 있다. 예시적인 입출력 장치(34)는 포인팅 장치(마우스 또는 트랙패드 등), 키보드, 터치 입력 장치(터치패드 또는 터치스크린 등), 음성 또는 소리 입력 장치, 다양한 종류의 센서 장치 및/또는 촬영 장치와 같은 입력 장치, 및/또는 디스플레이 장치, 프린터, 스피커 및/또는 네트워크 카드와 같은 출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입출력 장치(34)는 컴퓨팅 장치(22)를 구성하는 일 컴포넌트로서 컴퓨팅 장치(22)의 내부에 포함될 수도 있고, 컴퓨팅 장치(22)와는 구별되는 별개의 장치로 컴퓨팅 장치(22)와 연결될 수도 있다.
The computing device 22 may also include one or more input/output interfaces 32 and one or more network communication interfaces 36 that provide interfaces for one or more input/output devices 34. The input/output interface 32 and the network communication interface 36 are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bus 28. The input/output device 34 may be connected to other components of the computing device 22 through the input/output interface 32. The exemplary input/output device 34 includes a pointing device (such as a mouse or trackpad), a keyboard, a touch input device (such as a touch pad or a touch screen), a voice or sound input device, and various types of sensor devices and/or a photographing device. Input devices and/or output devices such as display devices, printers, speakers, and/or network cards. The exemplary input/output device 34 may be included in the computing device 22 as a component constituting the computing device 22, or be connected to the computing device 22 as a separate device distinct from the computing device 22. May be.

이상에서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Although the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should not be determined, and should not be determined by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but also by those equivalents to the claims.

100 : 본체
101 : 지주대
110 : 결합부
111 : 결합구
112 : 제1 팬
120 : 제1 살균부
130 : 제2 살균부
131 : UV램프
132 : 초음파 진동자
140 : 배기부
141 : 배기구
142 : 제2 팬
150 : 제어부
200 : 흡입부
210 : 고정부
211 : 지지부재
212 : 걸림부재
213 : 연장부재
214 : 흡입구
220 : 흡입관
230 : 근접센서
100: main body
101: support
110: coupling part
111: coupling
112: first fan
120: first sterilization unit
130: second sterilization unit
131: UV lamp
132: ultrasonic vibrator
140: exhaust
141: exhaust port
142: second fan
150: control unit
200: suction unit
210: fixed part
211: support member
212: locking member
213: extension member
214: inlet
220: suction pipe
230: proximity sensor

Claims (6)

살균 및 냄새제거장치로서,
변기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변기 내부의 오염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부; 및
상기 흡입부와 결합되어 상기 오염 공기를 유입시키는 결합부, 상기 결합부로 유입된 오염 공기 중에 포함된 세균을 살균하고 악취를 제거하는 살균부, 및 상기 살균부에 의해 정화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부를 포함하는 본체를 포함하며,
상기 흡입부는,
상기 변기와 상기 변기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변좌의 사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흡입부와 연결되는 부분에 위치한 제1 팬의 작동시 상기 변기 내부의 오염 공기를 흡입하는 고정부; 및
일측이 상기 고정부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결합부와 연결되며, 신축가능하게 형성되는 흡입관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변기와 변좌 사이에 위치하는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로부터 상기 변기 내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변기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걸림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로부터 상기 변기 외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걸림부재 및 연장부재가 상기 지지부재로부터 굴곡되어 연장되고, 상기 지지부재가 변기와 변좌 사이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걸림부재 및 연장부재에 의하여 상기 변기에 끼움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살균부는,
상기 결합부로 유입된 오염 공기가 통과하여 여과하는 필터를 포함하는 제1 살균부; 및
상기 여과된 공기 중에 포함된 세균을 살균하도록 자외선을 방사하는 UV램프 및 상기 세균 및 악취를 진동시켜 미세화하여 분해하는 초음파 진동자를 포함하는 제2 살균부를 포함하며,
상기 살균 및 냄새제거장치는,
사용자의 접근 또는 이탈을 감지하는 근접센서; 및
상기 근접센서의 접근신호 또는 이탈신호에 따라 상기 결합부, 상기 제2 살균부 및 상기 배기부를 작동시키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접근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결합부를 통하여 상기 본체로 상기 오염 공기를 유입시키고 상기 제2 살균부의 UV램프를 작동시키며,
상기 이탈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오염 공기의 유입을 중지하고 상기 제2 살균부의 초음파 진동자를 작동시키며 상기 배기부와 연결되는 부분에 위치한 제2 팬을 작동시켜 상기 살균부에 의해 정화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살균 및 냄새제거장치.
As a sterilization and odor removal device,
A suction unit detachably installed in the toilet and suctioning contaminated air inside the toilet; And
A coupling part that is combined with the suction part to introduce the contaminated air, a sterilization part that sterilizes bacteria contained in the contaminated air introduced into the coupling part and removes odor, and discharges the air purified by the sterilization part to the outside. It includes a body including an exhaust part,
The suction unit,
A fixing part detachably mounted between the toilet and a toilet seat rotatably mounted on the toilet, and suctioning contaminated air inside the toilet when a first fan located at a portion connected to the intake part is operated; And
One side is rotatably coupled to the fixing portion, the other side is connected to the coupling portion, and includes a suction pipe formed to be stretchable,
The fixing part,
A support member positioned between the toilet and the toilet seat;
A locking member extending from the support member to the inside of the toilet to suck air in the toilet; And
It includes an extension member extending from the support member to the outside of the toilet,
When the locking member and the extension member are bent and extended from the support member, and the support member is positioned between the toilet and the toilet seat, it is formed in a shape that is fitted into the toilet by the locking member and the extension member,
The sterilization unit,
A first sterilization unit including a filter through which contaminated air introduced into the coupling unit passes and filters; And
And a second sterilization unit including a UV lamp that emits ultraviolet rays to sterilize bacteria contained in the filtered air, and an ultrasonic vibrator that vibrates and decomposes the bacteria and odors,
The sterilization and odor removal device,
A proximity sensor that detects a user's approach or departure; And
Further comprising a control unit for operating the coupling unit, the second sterilization unit and the exhaust unit according to the approach signal or the departure signal of the proximity sensor,
The control unit,
When the access signal is input, the contaminated air is introduced into the body through the coupling part and the UV lamp of the second sterilizing part is operated,
When the departure signal is input, the inflow of the contaminated air is stopped, the ultrasonic vibrator of the second sterilization unit is operated, and the second fan located at the portion connected to the exhaust unit is operated to remove the air purified by the sterilization unit to the outside. Disinfectant and odor removal devic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변기의 외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살균 및 냄새제거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ain body, sterilization and odor removal device that is movably installed outside the toilet.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80166190A 2018-12-20 2018-12-20 A sterilizing and deodorizing device KR10217961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6190A KR102179616B1 (en) 2018-12-20 2018-12-20 A sterilizing and deodoriz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6190A KR102179616B1 (en) 2018-12-20 2018-12-20 A sterilizing and deodorizing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7051A KR20200077051A (en) 2020-06-30
KR102179616B1 true KR102179616B1 (en) 2020-11-17

Family

ID=711209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6190A KR102179616B1 (en) 2018-12-20 2018-12-20 A sterilizing and deodorizing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9616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84684B2 (en) 2020-09-03 2023-06-27 Motional Ad Llc Self-cleaning door handl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70200A (en) * 1999-09-07 2001-03-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Deodorizing device for toilet
JP2002275987A (en) * 2001-03-13 2002-09-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Stool seat device with deodorizing function
KR200348346Y1 (en) * 2003-10-28 2004-04-28 (주)유성 Odor elimination device in toilet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3327Y1 (en) 1995-11-25 1998-10-15 김양수 Apparatus for eliminating foul odor for western style urinal
KR19990007160U (en) * 1997-07-31 1999-02-25 최봉락 Toilet deodorization and steriliz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70200A (en) * 1999-09-07 2001-03-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Deodorizing device for toilet
JP2002275987A (en) * 2001-03-13 2002-09-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Stool seat device with deodorizing function
KR200348346Y1 (en) * 2003-10-28 2004-04-28 (주)유성 Odor elimination device in toile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7051A (en) 2020-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1104B1 (en) Deodorizing toilet
WO2007133402A2 (en) Toilet odor exhaust device
KR102179616B1 (en) A sterilizing and deodorizing device
US10383968B2 (en) Bathroom air purification and odor reduction system
KR101083478B1 (en) Air cleaner that feet disinfector device
JP6116708B2 (en) Air treatment equipment
US20090158515A1 (en) Odor removal and air freshener system
WO2016189517A1 (en) Suction mechanism for a toilet
KR101057641B1 (en) The sterilization deodorize equipment which uses the car
KR101434615B1 (en) Multi functional dispenser capable of sterilizing and air freshener and etiquette bell
US20080010732A1 (en) Deodorizing Toilet Bowl Attachment
KR20120117449A (en) Offensive odor filtering apparatus of urinal
EP3847316A1 (en) Filtration assembly for reducing malaodors in air and aerosolized waste from toilets
KR101728672B1 (en) Deodorizing toilet
JP2016188507A (en) Air purification device for excrement treatment chamber
KR100322379B1 (en) All-purpose deodorizer
US11641987B1 (en) Toilet seat having suction assembly
US20080235856A1 (en) Bathroom odour elimination system
JP2008095414A (en) Drying and deodorizing device for floor surface of floor-mount type urinal for men
KR102475264B1 (en) Apparatus for purifying air
KR200259476Y1 (en) Water saving-type deodorization seat for toilet bowl
KR200345819Y1 (en) Urinal having Bad Smell Removal System
CN211585996U (en) Compound negative pressure is collected and ultrasonic deodorization equipment and deodorization system
JP2017172273A (en) Toilet bowl system
US20190345706A1 (en) Odor removal systems for toile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