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1922B1 - 객체 위치 조정 방법 및 전자기기 - Google Patents

객체 위치 조정 방법 및 전자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1922B1
KR102641922B1 KR1020227008786A KR20227008786A KR102641922B1 KR 102641922 B1 KR102641922 B1 KR 102641922B1 KR 1020227008786 A KR1020227008786 A KR 1020227008786A KR 20227008786 A KR20227008786 A KR 20227008786A KR 102641922 B1 KR102641922 B1 KR 1026419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mark
objects
user
pres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087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47624A (ko
Inventor
치하오 양
Original Assignee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200476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76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19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192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5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for image manipulation, e.g. dragging, rotation, expansion or change of colou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5Scrolling or pan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개시는 객체 위치 조정 방법 및 전자기기를 제공한다. 상기 객체 위치 조정 방법은, 사용자의 제1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입력에 응답하여 제1 마크를 통해 제1 객체를 마킹하는 단계; 사용자의 제2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2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1 객체와 제2 객체의 위치를 교환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제2 객체는 제2 마크를 통해 마킹된다.

Description

객체 위치 조정 방법 및 전자기기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19년 8월 16일에 중국에서 출원한 특허출원번호가 No.201910757105.4인 특허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상기 출원의 전체 내용을 참조로 본 출원에 원용한다.
[기술분야]
본 개시의 실시예는 통신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객체 위치 조정 방법 및 전자기기에 관한 것이다.
현재 휴대폰의 애플리케이션은 갈수록 많아지고 있으며, 종래 기술에서의 아이콘 관리 방식으로는 사용자가 다수의 아이콘을 동시에 관리하는 것이 어렵고, 특히 다중 홈 화면 사이에서 아이콘을 정렬하는 조작이 어려우며, 다중 홈 화면 사이에서 아이콘을 교환하는 조작이 번거롭고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종래 기술에서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상의 객체(예: 애플리케이션 아이콘)의 위치 조정 조작이 번거롭고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객체 위치 조정 방법 및 전자기기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개시는 다음과 같이 구현된다.
제1 양상에서, 본 개시의 실시예는 객체 위치 조정 방법을 제공함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사용자의 제1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입력에 응답하여 제1 마크를 통해 제1 객체를 마킹하는 단계;
사용자의 제2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2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1 객체와 제2 객체의 위치를 교환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제2 객체는 제2 마크를 통해 마킹된다.
제2 양상에서, 본 개시의 실시예는 전자기기를 제공함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기는,
사용자의 제1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제1 수신 모듈;
상기 제1 입력에 응답하여 제1 마크를 통해 제1 객체를 마킹하도록 구성된 마킹 모듈;
사용자의 제2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제2 수신 모듈;
상기 제2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1 객체와 제2 객체의 위치를 교환하도록 구성된 교환 모듈; 을 포함한다.
제3 양상에서, 본 개시의 실시예는 전자기기를 제공함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기는 메모리, 프로세서 및 메모리에 저장되고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전술한 객체 위치 조정 방법의 단계가 구현된다.
제4 양상에서, 본 개시의 실시예는 전자기기를 제공함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기는,
터치 감응형 표면 및 스크린을 포함하는 터치스크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하나 이상의 메모리;
하나 이상의 센서; 및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 을 포함하되, 상기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은 상기 하나 이상의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은 명령어를 포함하며, 상기 명령어가 상기 전자기기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전자기기는 전술한 객체 위치 조정 방법의 단계를 구현한다.
제5 양상에서, 본 개시의 실시예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제공함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전술한 객체 위치 조정 방법의 단계가 구현된다.
제6 양상에서, 본 개시의 실시예는 컴퓨터 비임시 저장 매체를 제공함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비임시 저장 매체에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컴퓨팅 장치에 의해 실행될 때 전술한 객체 위치 조정 방법의 단계가 구현된다.
제7 양상에서, 본 개시의 실시예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제공함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컴퓨터에서 실행될 때, 상기 컴퓨터는 전술한 객체 위치 조정 방법의 단계를 구현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사용자의 제1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제1 입력에 응답하여 제1 마크를 통해 제1 객체를 마킹하고, 사용자의 제2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제2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1 객체와 제2 객체의 위치를 교환함으로써, 사용자가 홈 화면 상의 객체를 하나씩 드래그할 필요가 없이 객체 위치에 대한 빠른 조정을 구현할 수 있어, 조작이 간편해지고, 시간이 단축된다.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객체 위치 조정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는 애플리케이션 아이콘 위치 조정 모드로 진입하는 사용자 조작 상태의 개략도이다.
도 3은 애플리케이션 아이콘을 마킹하는 사용자 조작 상태의 개략도 1이다.
도 4는 애플리케이션 아이콘을 마킹하는 사용자 조작 상태의 개략도 2이다.
도 5는 애플리케이션 아이콘에 마킹된 숫자를 조정하는 사용자 조작 상태의 개략도 2이다.
도 6은 다중 홈 화면에서 애플리케이션 아이콘을 이동하는 사용자 조작 상태의 개략도 1이다.
도 7은 다중 홈 화면에서 애플리케이션 아이콘을 이동하는 사용자 조작 상태의 개략도 2이다.
도 8은 이전 조작을 취소하는 사용자 조작 상태의 개략도이다.
도 9는 애플리케이션 아이콘 위치 조정 모드를 종료하는 사용자 조작 상태의 개략도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모듈의 개략도 1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모듈의 개략도 2이다.
도 12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모듈의 개략도 3이다.
도 13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모듈의 개략도 4이다.
도 14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모듈의 개략도 5이다.
도 15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모듈의 개략도 6이다.
도 16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제3 마킹 유닛 모듈의 개략도이다.
도 17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모듈의 개략도 7이다.
도 18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모듈의 개략도 8이다.
도 19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모듈의 개략도 9이다.
도 20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하드웨어 구성도이다.
이하, 본 개시의 실시예에 첨부된 도면을 결부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의 기술적 솔루션에 대해 명확하고 온전하게 설명하도록 하며, 여기서 설명된 실시예는 본 개시의 모든 실시예가 아니라 일부 실시예에 불과함이 분명하다. 본 개시의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개시의 실시예를 기반으로 창의적인 노동을 거치지 않고 얻은 다른 모든 실시예는 모두 본 개시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실시예는 객체 위치 조정 방법을 제공함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다음 단계들을 포함한다.
단계 101: 사용자의 제1 입력을 수신한다.
상기 제1 입력은 클릭 입력, 길게 누르기 입력, 슬라이딩 입력 등일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다시 말해서, 상기 제1 입력은 전자기기의 인터페이스에서 제1 객체를 마킹하기 위해 사용자에 의해 수행된 입력 또는 조작으로 클릭 조작, 길게 누르기 조작, 슬라이딩 조작, 스케일링 조작 등을 포함한다.
단계 102: 상기 제1 입력에 응답하여 제1 마크를 통해 제1 객체를 마킹한다.
구체적으로, 전자기기는 이동할 객체와 이동하지 않아도 되는 객체를 구별하기 위해 제1 객체에 대해 마킹을 수행해야 함과 동시에 이동할 때 대상 간의 구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각 객체의 숫자 마크(즉 제1 마크의 구체적 내용)를 결정해야 하며, 마크 숫자는 서로 다른 번호를 사용하여 구분한다. 예컨대, 오름차순의 번호에 따라 제1 객체에 대해 숫자 마크를 할당한다.
단계 103: 사용자의 제2 입력을 수신한다.
상기 제2 입력은 클릭 입력, 길게 누르기 입력, 슬라이딩 입력 등일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다시 말해서, 상기 제2 입력은 전자기기의 인터페이스에서 제1 객체와 제2 객체를 교환하기 위해 사용자에 의해 수행된 조작으로 클릭 조작, 길게 누르기 조작, 슬라이딩 조작, 스케일링 조작 등을 포함한다.
단계 104: 상기 제2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1 객체와 제2 객체의 위치를 교환한다.
상기 제2 객체는 제2 마크를 통해 마킹된다.
전술한 방식은 전자기기의 인터페이스에서 서로 다른 객체의 위치 교환을 구현할 수 있고, 상기 객체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애플리케이션 아이콘, 또는 폴더 아이콘, 또는 전자기기의 인터페이스 상에 디스플레이된 사진 등일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는 주로 애플리케이션 아이콘의 다중 홈 화면 간 이동을 구현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다수의 홈 화면 사이에서 이동할 때, 사용자는 특정 애플리케이션 아이콘을 한 스크린의 홈 화면으로부터 다른 한 스크린의 홈 화면으로 드래그할 필요가 없이, 제2 스크린의 홈 화면에서 미리 설정된 조작(슬라이딩 조작, 클릭 조작, 누르기 조작 등일 수 있음)만 수행하면 제1 스크린의 홈 화면에서 마킹되어 있는 애플리케이션 아이콘 중 미리 설정된 조작에 해당하는 특정 애플리케이션 아이콘을 제2 스크린의 홈 화면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의 조작 복잡도가 낮아진다.
다음은 애플리케이션 아이콘의 위치를 조정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는 직접 단말의 일반 모드(일반 모드에서 사용자는 홈 화면에서 애플리케이션을 여는 조작을 수행할 수 있음)에서 애플리케이션 아이콘 위치를 조정하는 조작을 수행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추가로, 이 경우에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채택된 조작은 잘못된 트리거링을 피하기 위해 종래 기술에서의 조작과 구별되어야 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선택적으로, 본 개시의 실시예를 수행하기 전에, 전자기기는 먼저 애플리케이션 아이콘 위치 조정 모드(이 모드에서 애플리케이션 아이콘의 위치만 조정할 수 있고, 전술한 일반 모드와 구별됨)에 진입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는 홈 화면에서 슬라이딩 조작을 수행하여 애플리케이션 아이콘 위치 조정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3개의 손가락으로 스크린의 하단에서 위로 슬라이딩(도 2의 화살표 방향은 손가락의 슬라이딩 방향을 나타냄)을 수행하면 애플리케이션 아이콘 위치 조정 모드로 진입한다. 여기서, 도 2에서 위로부터 아래로, 왼쪽으로부터 오른쪽으로의 애플리케이션 아이콘은 각각 애플리케이션(A)에 해당하는 아이콘(21), 애플리케이션(B)에 해당하는 아이콘(22), 애플리케이션(C)에 해당하는 아이콘(23) 및 애플리케이션(D)에 해당하는 아이콘(24)이다.
사용자가 제1 객체에 대해 마킹을 수행할 때, 수행된 제1 입력이 서로 다르면 마킹된 제1 객체의 개수도 서로 다르므로, 서로 다른 관점에서 본 개시의 실시예의 단계 102에 대해 각각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이 설명하도록 한다.
방식 1: 상기 제1 객체의 개수는 N개이고, N은 1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이고, 상기 제1 입력은 N회의 제1 서브입력을 포함하고, 각 제1 서브입력은 하나의 제1 객체에 작용된다.
이 경우에, 단계 102의 구체적인 구현 방식은,
i번째 제1 서브입력의 제1 입력 특징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 입력 특징에 근거하여 i번째 제1 객체의 i번째 제1 마크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i번째 제1 마크를 통해 상기 i번째 제1 객체를 마킹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i는 양의 정수이고, i≤N이라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이 경우에, 사용자는 1회의 제1 서브입력을 수행하여 하나의 제1 객체만 마킹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추가로, 서로 다른 제1 입력 특징에 대해 i번째 제1 객체의 i번째 제1 마크를 결정하는 방식도 서로 다르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상기 제1 입력 특징이 상기 i번째 제1 서브입력의 입력 순서와 지문 정보인 경우, i번째 제1 객체의 i번째 제1 마크를 결정하는 방식은 구체적으로,
상기 i번째 제1 서브입력의 지문 정보가 미리 설정된 제1 지문 정보인 경우, 상기 i번째 제1 서브입력의 입력 순서에 근거하여 i번째 제1 객체의 i번째 제1 마크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이한 손가락은 상이한 지문 정보에 해당하므로, 이러한 경우에 미리 특정 손가락을 사용하여 제1 객체에 대해 마킹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예컨대, 식지를 사용하여 제1 객체를 마킹하며, 식지가 하나의 애플리케이션 아이콘에 대해 1회의 조작을 수행하면 애플리케이션 아이콘은 1로 마킹되고, 식지가 다른 하나의 애플리케이션 아이콘에 대해 1회의 조작을 수행하면 애플리케이션 아이콘은 2로 마킹되며, 이와 같이 유추하여, 사용자가 각 애플리케이션 아이콘의 특정 마크를 명확하게 알 수 있도록 각 애플리케이션 아이콘의 아래에는 하나의 해당 숫자 마크가 디스플레이된다.
상기 제1 입력 특징은 상기 i번째 제1 서브입력의 지문 정보이고, 각 제1 서브입력의 지문 정보가 서로 다른 경우, i번째 제1 객체의 i번째 제1 마크를 결정하는 방식은 구체적으로,
상기 i번째 제1 서브입력의 지문 정보와 관련된 마크를 i번째 제1 객체의 i번째 제1 마크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경우에, 다수의 상이한 지문 정보가 미리 설정되어 있고, 상이한 지문 정보가 상이한 제1 마크에 해당하면, 상이한 지문 정보를 이용하여 객체를 마킹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예컨대, 식지의 지문 정보에 해당하는 마크가 1이고, 중지의 지문 정보에 해당하는 마크가 2이고, 사용자가 중지를 이용하여 하나의 애플리케이션 아이콘을 마킹하는 경우, 단말이 획득한 중지에 해당하는 마크가 2이면 애플리케이션 아이콘은 2로 마킹되고, 마킹 순서를 사용자가 명확히 알 수 있도록 각 애플리케이션 아이콘의 아래에는 하나의 해당 숫자 마크가 디스플레이된다.
또한, 사용자에 의해 마킹된 제1 객체의 식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제1 객체 상에 마커 박스를 디스플레이해야 하고, 마커 박스는 미리 설정된 형상이고, 미리 설정된 형상은 원형, 사각형, 능형, 삼각형 등 규칙적인 형상일 수 있고, 사용자에 의해 정의된 불규칙적인 형상일 수도 있고, 마커 박스는 사용자가 마킹된 제1 객체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마킹된 제1 객체를 사용자에게 명확히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예컨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C)에 해당하는 아이콘(23)을 마킹하려는 경우,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C)에 해당하는 아이콘(23)을 누르고 도 3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에 따라 슬라이딩하면 애플리케이션(C)에 해당하는 아이콘(23) 상에는 사각형 마커 박스가 출현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B)에 해당하는 아이콘(22)을 마킹하려는 경우,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B)에 해당하는 아이콘(22)을 누르고 도 3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에 따라 슬라이딩하면 애플리케이션(B)에 해당하는 아이콘(22) 상에는 사각형 마커 박스가 출현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사용자가 직접 다수의 객체를 통해 상이한 마킹을 수행함으로써 여러 객체 쌍의 신속한 교환을 구현하여, 조작 시간을 줄이고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킨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방식 2: 상기 제1 객체의 개수는 M개이고, M은 1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이다.
이 경우에, 단계 102의 구체적인 구현 방식은,
상기 제1 입력의 제2 입력 특징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2 입력 특징에 근거하여 M개의 제1 마크를 통해 M개의 제1 객체를 마킹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이 경우는 사용자가 1회의 제1 입력을 수행하여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동시에 마킹하는 것을 의미하며, 구체적으로, 마킹 가능한 객체의 개수는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되어 전자기기에 저장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추가로, 상기 제1 입력은 타겟 인터페이스 상의 타겟 영역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고, 상기 타겟 영역은 상기 제1 객체와 상기 제2 객체를 포함하지 않고, 상기 제2 입력 특징은 M개 터치 포인트를 포함하며, 구체적으로, 상기 제2 입력 특징에 근거하여 M개의 제1 마크를 통해 M개의 제1 객체를 마킹하는 단계의 구현 방식은,
상기 타겟 인터페이스 상의 미리 설정된 객체로부터 시작하여 M개의 제1 객체를 순차적으로 마킹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미리 설정된 객체는 미리 설정된 유형의 객체 또는 미리 설정된 위치의 객체를 포함한다.
상기 미리 설정된 객체가 미리 설정된 유형의 객체인 경우, 상기 M개의 제1 객체는 동일한 유형의 객체이다. 다시 말해서, 이 경우에 전자기기는 동일한 유형의 객체를 마킹한다. 예컨대, 제1 객체의 유형이 인터넷 쇼핑인 경우, 전자기기는 타겟 인터페이스 상의 첫 번째 유형이 네트워크인 애플리케이션 아이콘으로부터 시작하여 유형이 인터넷 쇼핑인 M개의 애플리케이션 아이콘을 순차적으로 마킹한다.
상기 미리 설정된 객체가 미리 설정된 위치의 객체인 경우, 상기 M개의 제1 객체는 인접한 배열 위치의 객체 또는 미리 설정된 배열 간격을 갖는 객체이다. 다시 말해서, 이 경우에 전자기기에 의해 마킹된 것은 인접한 제1 객체 또는 미리 설정된 규칙(예컨대, 한 개의 애플리케이션 아이콘을 간격으로 애플리케이션 아이콘을 하나씩 마킹함)에 따라 배열된 제1 객체이다. 예컨대, 사용자는 M개의 손가락을 사용하여 제1 입력을 수행하면 전자기기는 타겟 인터페이스 상의 첫 번째 애플리케이션 아이콘으로부터 시작하여 M개의 애플리케이션 아이콘을 한번에 마킹하거나, 전자기기는 타겟 인터페이스 상의 첫 번째 애플리케이션 아이콘으로부터 시작하여 두 개의 애플리케이션 아이콘을 간격으로 M개의 애플리케이션 아이콘이 마킹될 때까지 하나씩 마킹한다.
이 경우에, 전자기기는 홈 화면에서 제1 객체의 배열 순서에 따라, 마킹된 제1 객체의 숫자 마크와 배열 순서가 해당하는 것으로 결정한다. 즉 앞에서부터 뒤로의 배열 순서에 따라, 마킹된 제1 객체는 앞에서부터 뒤로 순차적으로 넘버링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숫자 마크를 용이하게 조회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객체에 해당하는 숫자 마크를 각 마킹된 제1 객체의 한쪽에 디스플레이한다. 숫자 마크는 상이한 번호로 구별된다. 예컨대, 정렬 순서의 첫 번째에 위치한 제1 객체의 숫자 마크가 1이고, 정렬 순서의 두 번째에 위치한 제1 객체의 숫자 마크가 2이며, 이와 같이 유추된다.
예컨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3개의 애플리케이션 아이콘을 마킹하려는 경우, 인터페이스 상에서 3개의 손가락을 사용하여 화살표 방향에 따라 슬라이딩하면, 전자기기는 홈 화면에서 맨 앞에 배열된 3개의 인터페이스 아이콘을 마킹한다. 사용자가 제1 입력을 수행한 후, 전자기기의 홈 화면에서 마킹된 애플리케이션의 숫자 마크는 순차적으로 1, 2, 3이고, 해당 애플리케이션 아이콘은 순차적으로 애플리케이션(A)에 해당하는 아이콘(21), 애플리케이션(B)에 해당하는 아이콘(22), 애플리케이션(C)에 해당하는 아이콘(23)이다.
이 경우에, 동시에 다수의 객체를 마킹하는 조작 방식을 통해 객체를 한번에 하나씩 마킹하는 것을 피하고, 상호작용하는 시간을 줄여, 다양한 시나리오에서 사용자의 사용 요구사항을 충족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사용자가 제1 객체를 마킹한 후, 후속 객체를 조정할 때 일부 제1 객체의 숫자 마크가 조정 요구사항에 부합되지 않는 경우가 존재할 수 있으므로, 제1 객체가 마킹된 후 사용자는 상이한 객체에 대한 교환을 구현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구체적은 구현 방식은, N개의 상기 제1 객체 중의 제1 타겟 객체와 제2 타겟 객체에 대한 사용자의 제3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3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1 타겟 객체의 제1 마크와 상기 제1 객체 중 제2 타겟 객체의 제1 마크를 교환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상기 제3 입력은 클릭 입력, 길게 누르기 입력, 슬라이딩 입력 등일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구체적으로, N개의 상기 제1 객체 중 제1 타겟 객체와 제2 타겟 객체에 대한 사용자의 제3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의 일 선택적인 구현 방식은,
상기 제1 타겟 객체를 상기 제2 타겟 객체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되는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사용자로부터의 제3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예컨대, 사용자가 홈 화면에서 수정할 숫자 마크를 갖는 애플리케이션 아이콘을 눌러 동일한 홈 화면 상의 마킹된 다른 한 애플리케이션 아이콘으로 이동시키는 경우, 두 애플리케이션 아이콘의 숫자 마크는 상호 교환되며, 이에 따라 애플리케이션 아이콘의 숫자 마크에 대한 수정이 구현된다. 예컨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5의 왼쪽 그림은 애플리케이션 아이콘의 숫자 마크가 조정되기 전의 상태이며, 이 경우에 애플리케이션(C)에 해당하는 아이콘(23)의 숫자 마크는 1이고, 애플리케이션(B)에 해당하는 아이콘(22)의 숫자 마크는 2이며, 사용자는 애플리케이션(C)에 해당하는 아이콘(23)을 누르고 도면의 화살표 방향에 따라 애플리케이션(B)에 해당하는 아이콘(22)을 향해 슬라이딩하면 애플리케이션(C)에 해당하는 아이콘(23)과 애플리케이션(B)에 해당하는 아이콘(22)의 숫자 마크가 변경되고, 숫자 마크가 조정된 후 홈 화면의 상태는 도 5의 오른쪽 그림에 도시된 바와 같으며, 이 경우에 애플리케이션(C)에 해당하는 아이콘(23)의 숫자 마크는 2이고, 애플리케이션(B)에 해당하는 아이콘(22)의 숫자 마크는 1이다.
제3 입력을 이용하여 상이한 객체의 숫자 마크 간의 교환을 구현하는 것을 통해, 사용자가 객체를 유연하게 교환할 수 있도록 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다음은 단계 104의 구체적인 구현 방식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설명하도록 한다.
방식 1: 객체의 교환을 직접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이 경우에 단계 104의 구체적인 구현 방식은,
상기 제2 입력의 제3 입력 특징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3 입력 특징에 근거하여, 제2 마크를 통해 제2 객체를 마킹하고, 상기 제2 마크와 제1 마크가 매칭되는 경우, 상기 제1 객체와 제2 객체의 위치를 교환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이 경우에, 제2 객체에 대한 마킹과 객체에 대한 위치 교환은 동시에 수행되어 객체에 대한 신속한 교환 과정을 구현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구체적으로, 제2 마크를 통해 제2 객체를 마킹하는 구현 방식은 제1 마크를 통해 제1 객체를 마킹하는 구현 방식과 유사하므로, 여기서는 추가 설명을 생략한다.
교환할 때 전자기기는 마크를 매칭시키는 방식에 따라 수행한다. 예컨대, 제1 마크가 1인 경우, 전자기기는 제1 마크가 1인 객체 및 제2 마크가 1인 객체의 위치를 교환한다.
예컨대, 제1 스크린의 홈 화면에서, 사용자는 중지를 통해 아이콘(A)을 마킹하고, 식지를 통해 아이콘(B)을 마킹하고, 엄지를 통해 아이콘(C)을 마킹하며, 중지, 식지, 엄지에 해당하는 숫자 마크는 각각 1, 2 및 3이고, 사용자가 제2 스크린의 홈 화면에서 식지를 사용하여 아이콘(E)을 누르고 슬라이딩 조작을 수행하면, 아이콘(E)와 제1 스크린의 홈 화면 상의 아이콘(B)의 위치가 교환되어 아이콘(E)은 아이콘(B)의 위치에 디스플레이되고, 아이콘(A)은 아이콘(B)의 위치에 디스플레이된다.
방식 2: 먼저 제2 객체에 대한 마킹을 수행하고, 그 다음 사용자의 입력에 근거하여 객체의 교환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이 경우에 단계 104의 구체적인 구현 방식은,
상기 제2 입력의 제4 입력 특징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4 입력 특징에 근거하여 제2 마크를 통해 제2 객체를 마킹하는 단계;
사용자의 제4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4 입력에 응답하여, 제1 마크와 제2 마크가 매칭되는 경우, 상기 제1 객체와 제2 객체의 위치를 교환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제2 마크를 통해 제2 객체를 마킹하는 구현 방식과 제1 마크를 통해 제1 객체를 마킹하는 구현 방식이 유사하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다.
방식 1: 상기 제2 객체의 개수는 H개이고, H는 1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이고, 상기 제2 입력은 H회의 제2 서브입력을 포함하고, 각 제2 서브입력은 하나의 제2 객체에 작용된다.
이 경우에, 제2 마크를 통해 제2 객체를 마킹하는 단계의 구체적인 구현 방식은,
j번째 제2 서브입력의 제4 입력 특징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4 입력 특징에 근거하여 j번째 제2 객체의 j번째 제2 마크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j번째 제2 마크를 통해 상기 j번째 제2 객체를 마킹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j는 양의 정수이고, j≤H라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이 경우에, 사용자는 1회의 제2 서브입력을 수행하여 하나의 제2 객체만 마킹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추가로, 서로 다른 제4 입력 특징에 대해 j번째 제2 객체의 j번째 제2 마크를 결정하는 방식도 서로 다르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상기 제4 입력 특징이 상기 j번째 제2 서브입력의 입력 순서와 지문 정보인 경우, j번째 제2 객체의 j번째 제2 마크를 결정하는 방식은 구체적으로,
상기 j번째 제2 서브입력의 지문 정보가 미리 설정된 제2 지문 정보인 경우, 상기 j번째 제2 서브입력의 입력 순서에 근거하여 j번째 제2 객체의 j번째 제2 마크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이한 손가락은 상이한 지문 정보에 해당하므로, 이러한 경우에 미리 특정 손가락을 사용하여 제2 객체에 대해 마킹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예컨대, 식지를 사용하여 제2 객체를 마킹하며, 식지가 하나의 애플리케이션 아이콘에 대해 1회의 조작을 수행하면 애플리케이션 아이콘은 1로 마킹되고, 식지가 다른 하나의 애플리케이션 아이콘에 대해 1회의 조작을 수행하면 애플리케이션 아이콘은 2로 마킹되며, 이와 같이 유추하여, 사용자가 각 애플리케이션 아이콘의 특정 마크를 명확하게 알 수 있도록 각 애플리케이션 아이콘의 아래에는 하나의 해당 숫자 마크가 디스플레이된다.
상기 제4 입력 특징은 상기 j번째 제2 서브입력의 지문 정보이고, 각 제2 서브입력의 지문 정보가 서로 다른 경우, j번째 제2 객체의 j번째 제2 마크를 결정하는 방식은 구체적으로,
상기 j번째 제2 서브입력의 지문 정보와 관련된 마크를 j번째 제2 객체의 j번째 제2 마크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경우에, 다수의 상이한 지문 정보가 미리 설정되어 있고, 상이한 지문 정보가 상이한 제2 마크에 해당하면, 상이한 지문 정보를 이용하여 객체를 마킹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예컨대, 식지의 지문 정보에 해당하는 마크가 1이고, 중지의 지문 정보에 해당하는 마크가 2이고, 사용자가 중지를 이용하여 하나의 애플리케이션 아이콘을 마킹하는 경우, 단말이 획득한 중지에 해당하는 마크가 2이면 애플리케이션 아이콘은 2로 마킹되고, 마킹 순서를 사용자가 명확히 알 수 있도록 각 애플리케이션 아이콘의 아래에는 하나의 해당 숫자 마크가 디스플레이된다.
또한, 사용자에 의해 마킹된 제2 객체의 식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제2 객체 상에 마커 박스를 디스플레이해야 하고, 마커 박스는 미리 설정된 형상이고, 미리 설정된 형상은 원형, 사각형, 능형, 삼각형 등 규칙적인 형상일 수 있고, 사용자에 의해 정의된 불규칙적인 형상일 수도 있고, 마커 박스는 사용자가 마킹된 제2 객체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마킹된 제2 객체를 사용자에게 명확히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이 경우에, 사용자가 직접 다수의 객체를 통해 상이한 마킹을 수행함으로써 여러 객체 쌍의 신속한 교환을 구현하여, 조작 시간을 줄이고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킨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방식 2: 상기 제2 객체의 개수는 K개이고, K는 1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이다.
이 경우에, 제2 마크를 통해 제2 객체를 마킹하는 단계의 구체적인 구현 방식은,
상기 제4 입력 특징에 근거하여 K개의 제2 마크를 통해 K개의 제2 객체를 마킹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경우는 사용자가 1회의 제2 입력을 수행하여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동시에 마킹하는 것을 의미하며, 구체적으로, 마킹 가능한 객체의 개수는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되어 전자기기에 저장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추가로, 상기 제2 입력은 타겟 인터페이스 상의 타겟 영역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고, 상기 타겟 영역은 상기 제1 객체와 상기 제2 객체를 포함하지 않고, 상기 제4 입력 특징은 K개 터치 포인트를 포함하며, 구체적으로, 상기 제4 입력 특징에 근거하여 K개의 제2 마크를 통해 K개의 제2 객체를 마킹하는 단계의 구현 방식은,
상기 타겟 인터페이스 상의 미리 설정된 객체로부터 시작하여 K개의 제2 객체를 순차적으로 마킹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미리 설정된 객체는 미리 설정된 유형의 객체 또는 미리 설정된 위치의 객체를 포함한다.
상기 미리 설정된 객체가 미리 설정된 유형의 객체인 경우, 상기 K개의 제2 객체는 동일한 유형의 객체이다. 다시 말해서, 이 경우에 전자기기는 동일한 유형의 객체를 마킹한다. 예컨대, 제2 객체의 유형이 인터넷 쇼핑인 경우, 전자기기는 타겟 인터페이스 상의 첫 번째 유형이 네트워크인 애플리케이션 아이콘으로부터 시작하여 유형이 인터넷 쇼핑인 K개의 애플리케이션 아이콘을 순차적으로 마킹한다.
상기 미리 설정된 객체가 미리 설정된 위치의 객체인 경우, 상기 K개의 제2 객체는 인접한 배열 위치의 객체 또는 미리 설정된 배열 간격을 갖는 객체이다. 다시 말해서, 이 경우에 전자기기에 의해 마킹된 것은 인접한 제2 객체 또는 미리 설정된 규칙(예컨대, 한 개의 애플리케이션 아이콘을 간격으로 애플리케이션 아이콘을 하나씩 마킹함)에 따라 배열된 제2 객체이다. 예컨대, 사용자는 K개의 손가락을 사용하여 제2 입력을 수행하면 전자기기는 타겟 인터페이스 상의 첫 번째 애플리케이션 아이콘으로부터 시작하여 K개의 애플리케이션 아이콘을 한번에 마킹하거나, 전자기기는 타겟 인터페이스 상의 첫 번째 애플리케이션 아이콘으로부터 시작하여 두 개의 애플리케이션 아이콘을 간격으로 K개의 애플리케이션 아이콘이 마킹될 때까지 하나씩 마킹한다.
이 경우에, 동시에 다수의 객체를 마킹하는 조작 방식을 통해 객체를 한번에 하나씩 마킹하는 것을 피하고, 상호작용하는 시간을 줄여, 다양한 시나리오에서 사용자의 사용 요구사항을 충족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제2 객체가 마킹된 후 사용자는 상이한 객체에 대한 교환을 구현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구체적은 구현 방식은, 상기 제2 객체 중의 제3 타겟 객체와 제4 타겟 객체에 대한 사용자의 미리 설정된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미리 설정된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3 타겟 객체의 제2 마크와 상기 제2 객체 중 제4 타겟 객체의 제2 마크를 교환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상기 미리 설정된 입력은 클릭 입력, 길게 누르기 입력, 슬라이딩 입력 등일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객체 중의 제3 타겟 객체와 제4 타겟 객체에 대한 사용자의 미리 설정된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의 일 선택적인 구현 방식은,
상기 제3 타겟 객체를 상기 제4 타겟 객체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되는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사용자로부터의 미리 설정된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미리 설정된 입력을 이용하여 상이한 객체의 숫자 마크 간의 교환을 구현하는 것을 통해, 사용자가 객체를 유연하게 교환할 수 있도록 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상기 제1 객체는 제1 인터페이스 상의 객체이고, 상기 제2 객체는 제2 인터페이스 상의 객체이며, 제1 객체와 제2 객체를 교환할 때 사용자가 어느 객체가 교환되는지를 명확히 알 수 있도록, 단계 104 이전에,
상기 제2 인터페이스의 빈 영역에 대한 사용자의 제5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5 입력에 응답하여, 마킹된 상기 제1 객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한다.
이 경우에, 제1 객체와 제2 객체를 교환할 때, 제1 인터페이스 상의 마킹된 객체를 사용자에게 알려 사용자가 제1 인터페이스 상의 마킹된 객체를 명확히 알 수 있도록, 먼저 교환할 제1 객체를 제2 객체가 위치한 인터페이스의 빈 위치에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사용자를 지원하여 객체에 대한 교환을 정확히 구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5 입력에 응답하여, 마킹된 상기 제1 객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의 일 구현 방식은, 상기 제5 입력의 제5 입력 특징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5 입력 특징과 상기 제1 입력의 입력 특징이 동일한 경우, 마킹된 상기 제1 객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이 경우에, 제5 입력의 입력 특징은 제1 객체를 마킹할 때 사용된 특징과 동일해야 한다. 예컨대, 특정 지문 정보를 이용하여 제1 객체를 마킹하는 경우, 제1 객체를 디스플레이할 때도 특징 지문 정보가 있는 손가락을 이용하여 제5 입력을 수행해야 한다. 사용하지 않는 지문 정보를 이용하여 제1 객체를 마킹하는 경우, 제5 입력을 수행하는 데 이용된 손가락의 지문 정보에 해당하는 마킹된 제1 객체를 디스플레이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5 입력에 응답하여, 마킹된 상기 제1 객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의 다른 일 구현 방식은,
상기 제5 입력의 지문 정보와 상기 제5 입력의 입력 방식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5 입력의 지문 정보가 미리 설정된 제2 지문 정보이고 상기 제5 입력의 입력 방식이 미리 설정된 입력 방식인 경우, 마킹된 상기 제1 객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이 경우에, 제1 객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제5 입력과 제1 객체를 마킹하기 위한 입력 특징은 연관되지 않으며, 제1 객체를 디스플레이할 때, 제5 입력의 지문 정보는 특정 지문 정보일 수 있고, 1회의 제5 입력을 수행하여 하나의 제1 객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1회의 제5 입력을 수행하여 다수의 제1 객체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이 방식에서 사용자는 제1 객체를 마킹할 때의 입력 특징을 기억할 필요가 없고, 지문 정보와 제1 객체를 마킹하기 위한 입력 특징의 대응 관계를 기록할 필요가 없어, 제1 객체의 디스플레이 속도가 증가될 수 있고, 나아가 객체 교환에 소요되는 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예컨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6의 왼쪽 그림은 전자기기의 제1 스크린의 홈 화면을 나타내고, 오른쪽 그림은 전자기기의 제2 스크린의 홈 화면을 나타내며, 사용자는 제2 스크린의 홈 화면 상의 빈 위치에서 도면의 화살표 방향을 따른 슬라이딩 조작을 수행한다. 사용자가 첫 번째 슬라이딩 조작을 수행할 때, 애플리케이션(C)에 해당하는 아이콘(23)은 제2 스크린의 홈 화면 상의 빈 위치로 이동되고, 두 번째 슬라이딩 조작을 수행할 때, 애플리케이션(B)에 해당하는 아이콘(22)은 제2 스크린의 홈 화면 상의 빈 위치로 이동되고, 제2 스크린의 홈 화면에 이동된 애플리케이션 아이콘에도 숫자 마크가 존재하며, 사용자는 제2 스크린의 홈 화면에서 애플리케이션 아이콘의 숫자 마크에 대한 조정을 수행할 수도 있다.
제2 스크린의 홈 화면에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마킹된 애플리케이션 아이콘과 제1 스크린의 홈 화면 상의 마킹된 애플리케이션 아이콘의 위치가 교환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여기서, 애플리케이션 아이콘의 위치 교환은 숫자 마크에 따라 수행되며, 제2 입력이 수행된 후, 서로 다른 홈 화면 상의 동일한 숫자 마크를 갖는 애플리케이션 아이콘의 위치는 교환된다.
예컨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7의 왼쪽 그림은 전자기기의 제1 스크린의 홈 화면을 나타내고, 오른쪽 그림은 전자기기의 제2 스크린의 홈 화면을 나타낸다. 제2 스크린의 홈 화면의 애플리케이션(G)에 해당하는 아이콘(27)에 대해 화살표 방향에 따라 슬라이딩 조작을 수행하면, 애플리케이션(G)에 해당하는 아이콘(27)의 숫자 마크가 1이기 때문에, 이때 애플리케이션(G)에 해당하는 아이콘(27)과 제1 스크린의 홈 화면 상의 숫자 마크가 1인 애플리케이션(C)에 해당하는 아이콘(23)은 위치가 교환된다. 제2 스크린의 홈 화면의 애플리케이션(H)에 해당하는 아이콘(28)에 대해 화살표 방향에 따라 슬라이딩 조작을 수행하면, 애플리케이션(H)에 해당하는 아이콘(28)의 숫자 마크가 2이기 때문에, 이때 애플리케이션(H)에 해당하는 아이콘(28)과 제1 스크린의 홈 화면 상의 숫자 마크가 2인 애플리케이션(B)에 해당하는 아이콘(22)은 위치가 교환된다.
다음은 아이콘의 마킹 방식 및 교환 방식의 관점에서 전술한 구현 방식에 대해 각각 예를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예 1: 제1 스크린의 홈 화면과 제2 스크린의 홈 화면에서 모두 동일한 손가락으로 여러 번의 조작을 수행하여 아이콘을 하나씩 마킹하고, 먼저 제2 객체를 마킹하고, 그 다음 사용자의 입력에 근거하여 객체의 교환을 수행하며, 교환할 때 제2 스크린의 홈 화면에 마킹된 제1 객체가 디스플레이될 필요가 없다.
제1 스크린의 홈 화면에서, 사용자는 하나의 손가락을 통해 아이콘(A), 아이콘(B) 및 아이콘(C)을 각각 마킹하고, 이에 해당하는 숫자 마크는 각각 1, 2 및 3이다. 제2 스크린의 홈 화면에서, 사용자는 하나의 손가락을 통해 아이콘(E), 아이콘(F) 및 아이콘(G)을 각각 마킹하고, 이에 해당하는 숫자 마크는 각각 1, 2 및 3이다. 사용자가 제2 스크린의 홈 화면에서 마킹된 아이콘(E)을 누르고 슬라이딩 조작을 수행하면 아이콘(E)과 제1 스크린의 홈 화면 상의 아이콘(A)은 위치가 교환되고, 교환된 후 아이콘(E)은 아이콘(A)의 위치에 디스플레이되고, 아이콘(A)은 아이콘(E)의 위치에 디스플레이된다.
예 2: 제1 스크린의 홈 화면과 제2 스크린의 홈 화면에서 모두 동일한 손가락으로 여러 번의 조작을 수행하여 아이콘을 하나씩 마킹하고, 먼저 제2 객체를 마킹하고, 그 다음 사용자의 입력에 근거하여 객체의 교환을 수행하며, 교환할 때 제2 스크린의 홈 화면에 마킹된 제1 객체가 디스플레이되어야 한다.
제1 스크린의 홈 화면에서, 사용자는 하나의 손가락을 통해 아이콘(A), 아이콘(B) 및 아이콘(C)을 각각 마킹하고, 이에 해당하는 숫자 마크는 각각 1, 2 및 3이다. 제2 스크린의 홈 화면에서, 사용자는 하나의 손가락을 통해 아이콘(E), 아이콘(F) 및 아이콘(G)을 각각 마킹하고, 이에 해당하는 숫자 마크는 각각 1, 2 및 3이다. 사용자가 제2 스크린의 홈 화면의 빈 위치에서 손가락으로 한번 슬라이딩하면, 빈 위치에 제1 스크린의 홈 화면 상의 1개 아이콘이 디스플레이된다. 예컨대, 제1 스크린의 홈 화면에서 손가락으로 한번 슬라이딩하면 숫자 마크의 오름차순 순서에 따라 1개 아이콘이 디스플레이된다. 사용자가 제2 스크린의 홈 화면에서 마킹된 아이콘(E)을 누르고 슬라이딩 조작을 수행하면 아이콘(E)과 제1 스크린의 홈 화면 상의 아이콘(A)은 위치가 교환되고, 교환된 후 아이콘(E)은 아이콘(A)의 위치에 디스플레이되고, 아이콘(A)은 아이콘(E)의 위치에 디스플레이된다.
예 3: 제1 스크린의 홈 화면과 제2 스크린의 홈 화면에서 모두 상이한 손가락으로 조작을 수행하여 아이콘을 하나씩 마킹하고, 먼저 제2 객체를 마킹하고, 그 다음 사용자의 입력에 근거하여 객체의 교환을 수행하며, 교환할 때 제2 스크린의 홈 화면에 마킹된 제1 객체가 디스플레이될 필요가 없다.
제1 스크린의 홈 화면에서, 사용자는 중지를 통해 아이콘(A)을 마킹하고, 식지를 통해 아이콘(B)을 마킹하고, 엄지를 통해 아이콘(C)을 마킹하며, 중지, 식지, 엄지에 해당하는 숫자 마크는 각각 1, 2 및 3이면, 아이콘(A), 아이콘(B) 및 아이콘(C)에 해당하는 숫자 마크는 각각 1, 2 및 3이다. 제2 스크린의 홈 화면에서, 사용자는 중지를 통해 아이콘(E)을 마킹하고, 식지를 통해 아이콘(F)을 마킹하고, 엄지를 통해 아이콘(G)을 마킹하며, 중지, 식지, 엄지에 해당하는 숫자 마크는 각각 1, 2 및 3이면, 아이콘(E), 아이콘(F) 및 아이콘(G)에 해당하는 숫자 마크는 각각 1, 2 및 3이다. 사용자가 제2 스크린의 홈 화면에서 식지로 마킹된 아이콘(F)을 누르고 슬라이딩 조작을 수행하면, 아이콘(F)과 제1 스크린의 홈 화면 상의 아이콘(B)은 위치가 교환되고, 교환된 후 아이콘(F)은 아이콘(B)의 위치에 디스플레이되고, 아이콘(B)은 아이콘(F)의 위치에 디스플레이된다.
예 4: 제1 스크린의 홈 화면과 제2 스크린의 홈 화면에서 모두 상이한 손가락으로 조작을 수행하여 아이콘을 하나씩 마킹하고, 먼저 제2 객체를 마킹하고, 그 다음 사용자의 입력에 근거하여 객체의 교환을 수행하며, 교환할 때 제2 스크린의 홈 화면에 마킹된 제1 객체가 디스플레이되어야 한다.
제1 스크린의 홈 화면에서, 사용자는 중지를 통해 아이콘(A)을 마킹하고, 식지를 통해 아이콘(B)을 마킹하고, 엄지를 통해 아이콘(C)을 마킹하며, 중지, 식지, 엄지에 해당하는 숫자 마크는 각각 1, 2 및 3이면, 아이콘(A), 아이콘(B) 및 아이콘(C)에 해당하는 숫자 마크는 각각 1, 2 및 3이다. 제2 스크린의 홈 화면에서, 사용자는 중지를 통해 아이콘(E)을 마킹하고, 식지를 통해 아이콘(F)을 마킹하고, 엄지를 통해 아이콘(G)을 마킹하며, 중지, 식지, 엄지에 해당하는 숫자 마크는 각각 1, 2 및 3이면, 아이콘(E), 아이콘(F) 및 아이콘(G)에 해당하는 숫자 마크는 각각 1, 2 및 3이다. 사용자가 제2 스크린의 홈 화면의 빈 위치에서 중지로 한번 슬라이딩하면, 빈 위치에 제1 스크린 상의 아이콘(A)이 디스플레이되고, 식지로 한번 슬라이딩하면, 빈 위치에 제1 스크린 상의 아이콘(B)이 디스플레이되고, 사용자가 제2 스크린의 홈 화면에서 마킹된 아이콘(E)을 누르고 슬라이딩을 조작을 수행하면, 아이콘(E)과 제1 스크린의 홈 화면 상의 아이콘(A)은 위치가 교환되고, 교환된 후 아이콘(E)은 아이콘(A)의 위치에 디스플레이되고, 아이콘(A)은 아이콘(E)의 위치에 디스플레이된다.
예 5: 제1 스크린의 홈 화면과 제2 스크린의 홈 화면에서 모두 여러 개의 손가락으로 1회의 조작을 수행하여 동시에 다수의 아이콘을 마킹하고, 먼저 제2 객체를 마킹하고, 그 다음 사용자의 입력에 근거하여 객체의 교환을 수행하며, 교환할 때 제2 스크린의 홈 화면에 마킹된 제1 객체가 디스플레이될 필요가 없다.
제1 스크린의 홈 화면에서, 사용자가 3개의 손가락을 통해 슬라이딩을 수행하면 아이콘(A), 아이콘(B) 및 아이콘(C)가 동시에 마킹되고, 이 3개 아이콘의 숫자 마크는 홈 화면 상의 배열 순서에 따라 결정되며, 각각 1, 2 및 3이다. 제2 스크린의 홈 화면에서, 사용자가 3개의 손가락을 통해 슬라이딩을 수행하면 아이콘(E), 아이콘(F) 및 아이콘(G)가 동시에 마킹되고, 이 3개 아이콘의 숫자 마크는 홈 화면 상의 배열 순서에 따라 결정되며, 각각 1, 2 및 3이다. 사용자가 제2 스크린의 홈 화면에서 3개의 손가락으로 슬라이딩 조작을 수행하면 아이콘(E)과 제1 스크린의 홈 화면 상의 아이콘(A)은 위치가 교환되고, 아이콘(F)과 제1 스크린의 홈 화면 상의 아이콘(B)은 위치가 교환되고, 아이콘(G)과 제1 스크린의 홈 화면 상의 아이콘(C)은 위치가 교환된다.
예 6: 제1 스크린의 홈 화면과 제2 스크린의 홈 화면에서 모두 여러 개의 손가락으로 1회의 조작을 수행하여 동시에 다수의 아이콘을 마킹하고, 먼저 제2 객체를 마킹하고, 그 다음 사용자의 입력에 근거하여 객체의 교환을 수행하며, 교환할 때 제2 스크린의 홈 화면에 마킹된 제1 객체가 디스플레이되어야 한다.
제1 스크린의 홈 화면에서, 사용자가 3개의 손가락을 통해 슬라이딩을 수행하면 아이콘(A), 아이콘(B) 및 아이콘(C)가 동시에 마킹되고, 이 3개 아이콘의 숫자 마크는 홈 화면 상의 배열 순서에 따라 결정되며, 각각 1, 2 및 3이다. 제2 스크린의 홈 화면에서, 사용자가 3개의 손가락을 통해 슬라이딩을 수행하면 아이콘(E), 아이콘(F) 및 아이콘(G)가 동시에 마킹되고, 이 3개 아이콘의 숫자 마크는 홈 화면 상의 배열 순서에 따라 결정되며, 각각 1, 2 및 3이다. 사용자가 제2 스크린의 홈 화면에서 3개의 손가락으로 슬라이딩 조작을 한번 수행하면, 빈 위치에 제1 스크린의 홈 화면 상의 마킹된 3개 아이콘이 디스플레이되고, 마킹된 아이콘(E)을 누르고 슬라이딩 조작을 수행하면 아이콘(E)과 제1 스크린의 홈 화면 상의 아이콘(A)은 위치가 교환되고, 교환된 후 아이콘(E)은 아이콘(A)의 위치에 디스플레이되고, 아이콘(A)은 아이콘(E)의 위치에 디스플레이된다.
또한, 사용자는 이전에 애플리케이션 아이콘에 대해 수행한 조작을 취소할 수도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예컨대,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B)에 해당하는 아이콘(22)과 애플리케이션(C)에 해당하는 아이콘(23)의 숫자 마크를 교환하는 조작을 수행했지만, 그 이후 사용자가 이 교환을 취소하려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홈 화면 상의 빈 위치에서 화살표 방향을 따라 2개 손가락으로 아래로 슬라이딩 조작을 수행하면, 전자기기는 지난번에 수행된 숫자 마크 조정 조작을 취소하며, 취소된 후 애플리케이션(B)에 해당하는 아이콘(22)의 숫자 마크는 2이고, 애플리케이션(C)에 해당하는 아이콘(23)의 숫자 마크는 1이다.
또한,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아이콘에 대한 위치 조정을 수행할 필요가 없고, 애플리케이션 위치 조정 모드를 종료하려면, 사용자는 전자기기의 홈 화면에서 미리 설정된 조작을 수행하여 애플리케이션 위치 조정 모드를 종료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예컨대, 사용자는 홈 화면에서 슬라이딩 조작을 수행하여 애플리케이션 아이콘 위치 조정 모드를 종료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도면의 화살표 방향에 따라 3개 손가락으로 스크린의 하단을 향해 슬라이딩(도 9의 화살표 방향은 손가락의 슬라이딩 방향을 나타냄)하면 애플리케이션 아이콘 위치 조정 모드를 종료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는 상이한 개수의 손가락을 사용하여 수행하는 슬라이딩 조작을 통해 상이한 조작 의도를 구별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예컨대, 사용자가 3개 손가락으로 슬라이딩 조작을 수행할 때 전자기기는 애플리케이션 아이콘 위치 조정 모드로 진입하거나 종료하는 동작을 수행하며, 사용자가 2개 손가락으로 슬라이딩 조작을 수행할 때 전자기기는 애플리케이션 아이콘에 대한 지난번의 조작을 취소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홈 화면 상의 아이콘을 하나씩 수동으로 드래그하지 않아도 다중 홈 화면 사이에서의 애플리케이션 아이콘의 신속한 조장을 구현할 수 있으므로, 조작이 간편하고, 소요되는 시간이 단축되어, 사용자 경험이 개선된다.
도 10 내지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실시예는 전자기기를 제공함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기는,
사용자의 제1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제1 수신 모듈(1001);
상기 제1 입력에 응답하여 제1 마크를 통해 제1 객체를 마킹하도록 구성된 마킹 모듈(1002);
사용자의 제2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제2 수신 모듈(1003);
상기 제2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1 객체와 제2 객체의 위치를 교환하도록 구성된 교환 모듈(1004); 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객체의 개수는 N개이고, N은 1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이고, 상기 제1 입력은 N회의 제1 서브입력을 포함하고, 각 제1 서브입력은 하나의 제1 객체에 작용되고,
상기 마킹 모듈(1002)은,
i번째 제1 서브입력의 제1 입력 특징을 획득하도록 구성된 제1 획득 유닛(10021);
상기 제1 입력 특징에 근거하여 i번째 제1 객체의 i번째 제1 마크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제1 결정 유닛(10022);
상기 i번째 제1 마크를 통해 상기 i번째 제1 객체를 마킹하도록 구성된 제1 마킹 유닛(10023); 을 포함하되,
i는 양의 정수이고, i≤N이라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추가로, 상기 제1 입력 특징은 상기 i번째 제1 서브입력의 입력 순서와 지문 정보이고,
상기 제1 결정 유닛(10022)은,
상기 i번째 제1 서브입력의 지문 정보가 미리 설정된 제1 지문 정보인 경우, 상기 i번째 제1 서브입력의 입력 순서에 근거하여 i번째 제1 객체의 i번째 제1 마크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추가로, 상기 제1 입력 특징은 상기 i번째 제1 서브입력의 지문 정보이고, 각 제1 서브입력의 지문 정보는 서로 다르고,
상기 제1 결정 유닛(10022)은,
상기 i번째 제1 서브입력의 지문 정보와 관련된 마크를 i번째 제1 객체의 i번째 제1 마크로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객체의 개수는 M개이고, M은 1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이고,
상기 마킹 모듈(1002)은,
상기 제1 입력의 제2 입력 특징을 획득하도록 구성된 제2 획득 유닛(10024);
상기 제2 입력 특징에 근거하여 M개의 제1 마크를 통해 M개의 제1 객체를 마킹하도록 구성된 제2 마킹 유닛(10025); 을 포함한다.
추가로, 상기 제1 입력은 타겟 인터페이스 상의 타겟 영역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고, 상기 타겟 영역은 상기 제1 객체와 상기 제2 객체를 포함하지 않고, 상기 제2 입력 특징은 M개 터치 포인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마킹 유닛(10025)은,
상기 타겟 인터페이스 상의 미리 설정된 객체로부터 시작하여 M개의 제1 객체를 순차적으로 마킹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미리 설정된 객체는 미리 설정된 유형의 객체 또는 미리 설정된 위치의 객체를 포함하고, 상기 미리 설정된 객체가 미리 설정된 유형의 객체인 경우, 상기 M개의 제1 객체는 동일한 유형의 객체이고, 상기 미리 설정된 객체가 미리 설정된 위치의 객체인 경우, 상기 M개의 제1 객체는 인접한 배열 위치의 객체 또는 미리 설정된 배열 간격의 객체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마킹 모듈(1002)이 상기 제1 입력에 응답하여 제1 마크를 통해 제1 객체를 마킹한 후,
N개의 상기 제1 객체 중 제1 타겟 객체와 제2 타겟 객체에 대한 사용자의 제3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제3 수신 모듈(1005);
상기 제3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1 타겟 객체의 제1 마크와 상기 제1 객체 중 제2 타겟 객체의 제1 마크를 교환하도록 구성된 실행 모듈(1006); 을 더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3 수신 모듈(1005)은,
상기 제1 타겟 객체를 상기 제2 타겟 객체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되는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사용자로부터의 제3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교환 모듈(1004)은,
상기 제2 입력의 제3 입력 특징을 획득하도록 구성된 제3 획득 유닛(10041);
상기 제3 입력 특징에 근거하여, 제2 마크를 통해 제2 객체를 마킹하고, 상기 제2 마크와 제1 마크가 매칭되는 경우, 상기 제1 객체와 제2 객체의 위치를 교환하도록 구성된 실행 유닛(10042); 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교환 모듈(1004)은,
상기 제2 입력의 제4 입력 특징을 획득하도록 구성된 제4 획득 유닛(10043);
상기 제4 입력 특징에 근거하여 제2 마크를 통해 제2 객체를 마킹하도록 구성된 제3 마킹 유닛(10044);
사용자의 제4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제1 수신 유닛(10045);
상기 제4 입력에 응답하여, 제1 마크와 제2 마크가 매칭되는 경우, 상기 제1 객체와 제2 객체의 위치를 교환하도록 구성된 교환 유닛(10046); 을 포함한다.
추가로, 상기 제2 객체의 개수는 H개이고, H는 1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이고, 상기 제2 입력은 H회의 제2 서브입력을 포함하고, 각 제2 서브입력은 하나의 제2 객체에 작용되고,
상기 제3 마킹 유닛(10044)은,
j번째 제2 서브입력의 제4 입력 특징을 획득하도록 구성된 획득 서브유닛(100441);
상기 제4 입력 특징에 근거하여 j번째 제2 객체의 j번째 제2 마크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결정 서브유닛(100442);
상기 j번째 제2 마크를 통해 상기 j번째 제2 객체를 마킹하도록 구성된 마킹 서브유닛(100443); 을 포함하되,
j는 양의 정수이고, j≤H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4 입력 특징은 상기 j번째 제1 서브입력의 입력 순서와 지문 정보이고,
상기 결정 서브유닛(100442)은,
상기 j번째 제2 서브입력의 지문 정보가 미리 설정된 제2 지문 정보인 경우, 상기 j번째 제2 서브입력의 입력 순서에 근거하여 j번째 제2 객체의 j번째 제2 마크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4 입력 특징은 상기 j번째 제2 서브입력의 지문 정보이고, 각 제2 서브입력의 지문 정보는 서로 다르고,
상기 결정 서브유닛(100442)은,
상기 j번째 제2 서브입력의 지문 정보와 관련된 마크를 j번째 제2 객체의 j번째 제2 마크로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추가로, 상기 제2 객체의 개수는 K개이고, K는 1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이고,
상기 제3 마킹 유닛(10044)은,
상기 제4 입력 특징에 근거하여 K개의 제2 마크를 통해 K개의 제2 객체를 마킹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입력은 타겟 인터페이스 상의 타겟 영역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고, 상기 타겟 영역은 상기 제1 객체와 상기 제2 객체를 포함하지 않고, 상기 제4 입력 특징은 K개 터치 포인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4 입력 특징에 근거하여 K개의 제2 마크를 통해 K개의 제2 객체를 마킹하도록 구성된 제3 마킹 유닛(10044)은,
상기 타겟 인터페이스 상의 미리 설정된 객체로부터 시작하여 K개의 제2 객체를 순차적으로 마킹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미리 설정된 객체는 미리 설정된 유형의 객체 또는 미리 설정된 위치의 객체를 포함하고, 상기 미리 설정된 객체가 미리 설정된 유형의 객체인 경우, 상기 K개의 제2 객체는 동일한 유형의 객체이고, 상기 미리 설정된 객체가 미리 설정된 위치의 객체인 경우, 상기 K개의 제2 객체는 인접한 배열 위치의 객체 또는 미리 설정된 배열 간격의 객체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객체는 제1 인터페이스 상의 객체이고, 상기 제2 객체는 제2 인터페이스 상의 객체이고,
상기 교환 모듈(1004)이 상기 제2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1 객체와 제2 객체의 위치를 교환하기 전에,
상기 제2 인터페이스의 빈 영역에 대한 사용자의 제5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제4 수신 모듈(1007);
상기 제5 입력에 응답하여, 마킹된 상기 제1 객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된 디스플레이 모듈(1008); 을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008)은,
상기 제5 입력의 제5 입력 특징을 획득하도록 구성된 제5 획득 유닛(10081);
상기 제5 입력 특징과 상기 제1 입력의 입력 특징이 동일한 경우, 마킹된 상기 제1 객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된 제1 디스플레이 유닛(10082); 을 포함한다.
추가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008)은,
상기 제5 입력의 지문 정보와 상기 제5 입력의 입력 방식을 획득하도록 구성된 제6 획득 유닛(10083);
상기 제5 입력의 지문 정보가 미리 설정된 제2 지문 정보이고 상기 제5 입력의 입력 방식이 미리 설정된 입력 방식인 경우, 마킹된 상기 제1 객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된 제2 디스플레이 유닛(10084); 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는 도 1의 방법 실시예에서 전자기기에 의해 구현되는 각 단계를 구현할 수 있으며, 반복을 피하기 위해 여기서는 추가 설명을 생략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는, 사용자의 제1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제1 입력에 응답하여 제1 마크를 통해 제1 객체를 마킹하고, 사용자의 제2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제2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1 객체와 제2 객체의 위치를 교환함으로써, 사용자는 홈 화면 상의 객체를 수동으로 하나씩 드래그할 필요가 없이 객체 위치에 대한 빠른 조정을 구현할 수 있고, 이러한 방식으로 사용자는 홈 화면 상의 아이콘을 수동으로 하나씩 드래그할 필요가 없이 다중 홈 화면 사이에서의 애플리케이션 아이콘의 신속한 조정을 구현할 수 있어, 조작이 간편해지고, 시간이 단축된다.
도 20은 본 개시의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한 전자기기의 하드웨어 구성도이다.
전자기기(200)는, 무선 주파수 장치(2010), 네트워크 모듈(2020), 오디오 출력 장치(2030), 입력 장치(2040), 센서(2050), 디스플레이 장치(2060), 사용자 입력 장치(2070), 인터페이스 장치(2080), 메모리(2090), 프로세서(2011) 및 전원(2012) 등 부품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 분야에 숙련된 자는 도 20에 도시된 전자기기의 구조가 전자기기에 어떠한 제한도 구성하지 않으며, 전자기기는 도시된 구성 요소의 수를 늘리거나 줄일 수 있으며, 일부 구성 요소의 조합이나 배치를 다르게 변경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실시예에서, 전자기기는 휴대폰, 태블릿 PC, 노트북,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 차량탑재 단말기, 웨어러블 단말기 및 계보계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여기서, 프로세서(2011)는 사용자 입력 장치(2070)를 통해 사용자의 제1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제1 입력에 응답하여 제1 마크를 통해 제1 객체를 마킹하고, 사용자 입력 장치(2070)를 통해 사용자의 제2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제2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1 객체와 제2 객체의 위치를 교환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2 객체는 제2 마크를 통해 마킹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는, 사용자의 제1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제1 입력에 응답하여 제1 마크를 통해 제1 객체를 마킹하고, 사용자의 제2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제2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1 객체와 제2 객체의 위치를 교환함으로써, 사용자는 홈 화면 상의 객체를 수동으로 하나씩 드래그할 필요가 없이 객체 위치에 대한 빠른 조정을 구현할 수 있고, 이러한 방식으로 사용자는 홈 화면 상의 아이콘을 수동으로 하나씩 드래그할 필요가 없이 다중 홈 화면 사이에서의 애플리케이션 아이콘의 신속한 조정을 구현할 수 있어, 조작이 간편해지고, 시간이 단축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무선 주파수 장치(2010)는 정보를 송/수신하거나 통화 과정에서 신호를 송/수신하는데 사용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구체적으로, 기지국으로부터 하향 링크 데이터를 수신한 후 프로세서(2011)에 의해 처리된다. 또한 상향링크 데이터를 기지국으로 송신한다. 일반적으로, 무선 주파수 장치(2010)는 안테나, 적어도 하나의 증폭기, 송수신기, 연결기, 저소음 증폭기, 이중화기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무선 주파수 장치(2010)는 무선 통신 시스템을 통해 네트워크 및 다른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전자기기는 네트워크 모듈(2020)을 통해 사용자에게 무선 광대역 인터넷 액세스를 제공한다. 예컨대, 사용자가 전자 메일을 송수신하고 웹 페이지를 검색하며 스트리밍 미디어에 액세스하도록 도울 수 있다.
오디오 출력 장치(2030)는 무선 주파수 장치(2010) 또는 네트워크 모듈(2020)에 의해 수신되거나 또는 메모리(209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사운드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오디오 출력 장치(2030)는 전자기기(200)에 의해 수행되는 특정 기능과 관련된 오디오 출력(예를 들어, 호출 신호 수신 소리, 메시지 수신 메시지 등)을 제공할 수도 있다. 오디오 출력 장치(2030)는 스피커, 버저, 수신기 등을 포함한다.
입력 장치(2040)는 오디오 또는 비디오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사용된다. 입력 장치(2040)는 그래픽 처리 장치(Graphics Processing Unit, GPU)(2041) 및 마이크로폰(2042)을 포함할 수 있으며, 그래픽 처리 장치(2041)는 비디오 캡처 모드 또는 이미지 캡처 모드에서 이미지 캡처 장치(예를 들어, 카메라)에 의해 획득된 정지 이미지 또는 비디오의 이미지 데이터를 처리한다. 처리된 이미지 프레임은 디스플레이 장치(2060)에 표시될 수 있다. 그래픽 처리 장치(2041)에 의해 처리된 이미지 프레임은 메모리(2090)(또는 다른 저장 매체)에 저장되거나 무선 주파수 장치(2010) 또는 네트워크 모듈(2020)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마이크로폰(2042)은 사운드를 수신할 수 있고, 이러한 사운드를 오디오 데이터로 처리할 수 있다. 처리된 오디오 데이터는 전화 통화 모드에서 무선 주파수 장치(2010)를 통해 이동 통신 기지국으로 전송될 수 있는 포맷으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전자기기(200)은 광센서, 모션센서 및 기타 센서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센서(2050)를 더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광학 센서에는 주변 조도 센서 및 근접 센서가 포함될 수 있다. 그중, 주변 조도 센서는 주변 조도의 밝기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2061)의 밝기를 조정할 수 있으며, 전자기기(200)가 귀 가까이 이동할 때 근접 센서가 디스플레이 패널(2061) 및/또는 백라이트를 오프할 수 있다. 가속도계 센서는 동작 센서의 일종으로 모든 방향(보통 3축)의 가속도를 감지할 수 있으며, 정지 상태일 때 중력 크기와 중력 방향을 감지할 수 있으며, 전자기기의 자세 인식(예: 세로와 가로 사이의 화면 전환, 관련 게임, 자력계 자세 보정), 진동 인식 관련 기능(보행계 및 두드리기) 등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센서(2050)는 지문 센서, 압력 센서, 홍채 센서, 분자 센서, 자이로스코프, 기압계, 자이로미터, 온도계, 적외선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디스플레이 장치(2060)는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 또는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디스플레이 장치(2060)는 디스플레이 패널(2061)을 포함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패널(2061)은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등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장치(2070)는 입력된 숫자 또는 문자 정보를 수신하고, 전자기기의 사용자 설정 및 기능 제어 관련된 키 신호 입력을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입력 장치(2070)는 터치 패널(2071) 및 기타 입력 장치(2072)를 포함한다. 터치 패널(2071)은 터치 스크린이라고도 하며, 사용자가 터치 패널 또는 근처에서 수행한 터치 조작(예컨대, 사용자가 손가락, 스타일러스펜 등과 같은 적절한 물체 또는 액세서리를 사용하여 터치 패널(2071) 위에서 또는 터치 패널(2071) 근처에서 수행하는 조작)을 수집할 수 있다. 터치 패널(2071)은 터치 감지 장치와 터치 컨트롤러 등 두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치 감지 장치는 사용자의 터치 위치를 감지하고, 터치 조작에 따른 신호를 감지하여 터치 컨트롤러로 신호를 전송하고, 터치 컨트롤러는 터치 감지 장치로부터 터치 정보를 수신하여 접촉 좌표로 변환하여 프로세서(2011)에 전송하고, 프로세서 (2011)에 의해 전송된 명령을 수신하여 명령에 따라 실행한다. 또한, 터치 패널(2071)은 저항성, 용량성, 적외선 및 표면 탄성파와 같은 다양한 유형으로 구현될 수 있다. 터치 패널(2071)을 제외하고, 사용자 입력 장치(2070)는 또한 기타 입력 장치(2072)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타 입력 장치(2072)는 물리적 키보드, 기능 키(예: 볼륨 제어 버튼, 스위치 버튼 등), 트랙볼, 마우스 및 조이스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는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또한, 터치 패널(2071)은 디스플레이 패널(2061) 위에 커버될 수 있으며, 터치 패널(2071)은 그 위 또는 근처의 터치 동작을 감지하면 프로세서(2011)에로 전달하여 해당 터치 이벤트의 종류를 판단하며, 그 다음에, 프로세서(2011)는 터치 이벤트의 유형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2061)에 상응하는 시각적 출력을 제공한다. 도 20에서, 터치 패널(2071)과 디스플레이 패널(2061)은 2개의 독립적인 부품으로 전자기기의 입력과 출력 기능을 구현하지만, 특정 실시예에서, 터치 패널(2071)과 디스플레이 패널(2061)을 통합하여 전자기기의 입력과 출력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바, 여기서는 구체적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인터페이스 장치(2080)는 외부 장치와 전자기기(200)를 연결하는 인터페이스이다. 예를 들어, 외부 장치는 유선 또는 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전원(또는 배터리 충전기) 포트, 유선 또는 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 포트, 식별 모듈을 갖는 장치와 연결하기 위한 포트, 오디오 입력/출력(I/O)포트, 비디오 입력/출력(I/O)포트, 헤드폰 포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장치(2080)는 외부 장치로부터의 입력(예를 들어, 데이터 정보, 전력 등)을 수신하고 수신된 입력을 전자기기(200) 내의 하나 또는 다수의 구성요소에 전송하거나 전자기기(200)와 외부 장치 사이에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메모리(2090)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및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메모리(2090)는 주로 프로그램 저장 영역과 데이터 저장 영역을 포함할 수 있으며, 프로그램 저장 영역에는 운영체제, 적어도 하나의 기능(예: 사운드 재생 기능, 이미지 재생 기능 등)에 필요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 있으며, 데이터 저장 영역에는 휴대폰의 사용 과정에 생성된 데이터(예: 오디오 데이터, 전화 번호부 등) 등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2090)는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자기 디스크 메모리 장치, 플래시 메모리 장치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기타 휘발성 솔리드 스테이드 메모리 장치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011)는 전자기기의 제어 센터이고, 다양한 인터페이스와 회로를 사용하여 전자기기의 모든 구성 요소를 연결하고, 메모리(2090)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및/또는 모듈에 대한 실행 또는 수행 및 메모리(2090) 내에 저장된 데이터를 호출하는 것을 통해, 전자기기의 각 기능과 데이터 처리를 수행하여, 전자기기에 대해 전반적으로 모니터링한다. 프로세서(2011)는 하나 이상의 처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모뎀 프로세서를 프로세서(2011)에 통합할 수 있고, 여기서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는 주로 운영체제, 사용자 인터페이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등을 처리하고 모뎀 프로세서는 주로 무선 통신을 처리한다. 상기 모뎀 처리 장치는 프로세서(2011)에 통합되지 않을 수도 있다.
전자기기(200)는 각 부품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2012)(예를 들어, 배터리)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선택적으로, 전원(2012)은 전원 관리 시스템을 통해 프로세서(2011)와 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전원 관리 시스템을 통해 충전, 방전 및 전력소비관리 등 기능을 구현한다.
또한, 전자기기(200)는 일부 표시되지 않은 기능 모듈을 포함하며,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선택적으로, 본 개시에 따른 실시예는 전자기기를 제공함에 있어서, 프로세서(2011), 메모리(2090) 및 메모리(2090)에 저장되고 상기 프로세서(2011)에서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2011)에 의해 실행될 때 객체 위치 조정 방법 실시예의 각 단계가 구현되고, 또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달성할 수 있으므로, 반복을 피하기 위해 여기서 추가 설명을 생략한다.
본 개시에 따른 실시예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더 제공함에 있어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고,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객체 위치 조정 방법 실시예의 각 단계가 구현되고, 또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달성할 수 있으므로, 반복을 피하기 위해 여기서 추가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읽기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자기 디스크 또는 광 디스크 등 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전자기기를 제공함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기는,
터치 감응형 표면 및 스크린을 포함하는 터치스크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하나 이상의 메모리;
하나 이상의 센서; 및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 을 포함하되, 상기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은 상기 하나 이상의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은 명령어를 포함하며, 상기 명령어가 상기 전자기기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전자기기는 전술한 객체 위치 조정 방법의 단계를 구현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컴퓨터 비임시 저장 매체를 제공함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비임시 저장 매체에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컴퓨팅 장치에 의해 실행될 때 전술한 객체 위치 조정 방법의 단계가 구현된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제공함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컴퓨터에서 실행될 때, 상기 컴퓨터는 전술한 객체 위치 조정 방법의 단계를 구현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포함한다', '갖는다' 또는 다른 변형은 비배타적 포함을 가리키며, 일련의 요소를 포함하는 프로세스, 방법, 물품 또는 장치가 그 요소 뿐만 아니라 명확하게 나열되지 않은 다른 요소도 포함하며, 또는 이러한 프로세스, 방법, 물품 또는 장치의 고유한 요소도 포함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별도로 제한이 없는 한, ‘~하나를 포함한다’로 정의된 요소는 해당 요소를 포함하는 프로세스, 방법, 물품 또는 장치에서 다른 동일한 요소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상기 실시예의 설명을 통해, 당업자라면 상기 실시예의 방법이 소프트웨어와 필요한 일반 하드웨어 플랫폼을 결부하는 방식에 의해 구현되거나 또는 하드웨어에 의해 구현될 수 있지만, 많은 경우에 소프트웨어와 필요한 일반 하드웨어 플랫폼을 결부하는 방식이 더 바람직하다는 것을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이해를 기반으로, 본 개시의 기술적 해결책 또는 이것이 관련 기술에 기여하는 부분은 소프트웨어 제품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는 점이다. 소프트웨어 제품은 저장 매체(예: ROM/RAM, 마그네틱 디스크 또는 광학 디스크 등)에 저장되며,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설명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전자기기(예: 휴대폰, 컴퓨터, 서버, 에어컨, 네트워크 장비 등)에 몇몇 지령을 포함한다.
위에 설명된 내용은 본 개시의 선택적인 실시예로서, 당업자는 본 개시에 따른 원리를 벗어나지 않는 전제하에서 몇몇 개선 및 보완을 할 수 있으며, 이러한 개선 및 보완도 본 개시의 보호 범위 내에 포함된다는 점을 지적할 필요가 있다.

Claims (28)

  1. 객체 위치 조정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제1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입력에 응답하여 제1 마크를 통해 제1 객체를 마킹하는 단계;
    사용자의 제2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2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1 객체와 제2 객체의 위치를 교환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1 객체와 제2 객체의 위치를 교환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입력의 제3 입력 특징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3 입력 특징에 근거하여, 제2 마크를 통해 제2 객체를 마킹하고, 상기 제2 마크와 제1 마크가 매칭되는 경우, 상기 제1 객체와 제2 객체의 위치를 교환하는 단계; 를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제2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1 객체와 제2 객체의 위치를 교환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입력의 제4 입력 특징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4 입력 특징에 근거하여 제2 마크를 통해 제2 객체를 마킹하는 단계;
    사용자의 제4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4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마크와 제2 마크가 매칭되는 경우, 상기 제1 객체와 제2 객체의 위치를 교환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객체 위치 조정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객체의 개수는 N개이고, N은 1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이고, 상기 제1 입력은 N회의 제1 서브입력을 포함하고, 각 제1 서브입력은 하나의 제1 객체에 작용되고,
    상기 제1 입력에 응답하여 제1 마크를 통해 제1 객체를 마킹하는 단계는,
    i번째 제1 서브입력의 제1 입력 특징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 입력 특징에 근거하여 i번째 제1 객체의 i번째 제1 마크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i번째 제1 마크를 통해 상기 i번째 제1 객체를 마킹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i는 양의 정수이고, i≤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객체 위치 조정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입력 특징은 상기 i번째 제1 서브입력의 입력 순서와 지문 정보이고,
    상기 제1 입력 특징에 근거하여 i번째 제1 객체의 i번째 제1 마크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i번째 제1 서브입력의 지문 정보가 미리 설정된 제1 지문 정보인 경우, 상기 i번째 제1 서브입력의 입력 순서에 근거하여 i번째 제1 객체의 i번째 제1 마크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객체 위치 조정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입력 특징은 상기 i번째 제1 서브입력의 지문 정보이고, 각 제1 서브입력의 지문 정보는 서로 다르고,
    상기 제1 입력 특징에 근거하여 i번째 제1 객체의 i번째 제1 마크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i번째 제1 서브입력의 지문 정보와 관련된 마크를 i번째 제1 객체의 i번째 제1 마크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객체 위치 조정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객체의 개수는 M개이고, M은 1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이고,
    상기 제1 입력에 응답하여 제1 마크를 통해 제1 객체를 마킹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입력의 제2 입력 특징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2 입력 특징에 근거하여 M개의 제1 마크를 통해 M개의 제1 객체를 마킹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객체 위치 조정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입력은 타겟 인터페이스 상의 타겟 영역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고, 상기 타겟 영역은 상기 제1 객체와 상기 제2 객체를 포함하지 않고, 상기 제2 입력 특징은 M개 터치 포인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입력 특징에 근거하여 M개의 제1 마크를 통해 M개의 제1 객체를 마킹하는 단계는,
    상기 타겟 인터페이스 상의 미리 설정된 객체로부터 시작하여 M개의 제1 객체를 순차적으로 마킹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미리 설정된 객체는 미리 설정된 유형의 객체 또는 미리 설정된 위치의 객체를 포함하고, 상기 미리 설정된 객체가 미리 설정된 유형의 객체인 경우, 상기 M개의 제1 객체는 동일한 유형의 객체이고, 상기 미리 설정된 객체가 미리 설정된 위치의 객체인 경우, 상기 M개의 제1 객체는 인접한 배열 위치의 객체 또는 미리 설정된 배열 간격의 객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객체 위치 조정 방법.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입력에 응답하여 제1 마크를 통해 제1 객체를 마킹하는 단계 이후에,
    N개의 상기 제1 객체 중 제1 타겟 객체와 제2 타겟 객체에 대한 사용자의 제3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3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1 타겟 객체의 제1 마크와 상기 제1 객체 중 제2 타겟 객체의 제1 마크를 교환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객체 위치 조정 방법.
  8. 전자기기에 있어서,
    사용자의 제1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제1 수신 모듈;
    상기 제1 입력에 응답하여 제1 마크를 통해 제1 객체를 마킹하도록 구성된 마킹 모듈;
    사용자의 제2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제2 수신 모듈;
    상기 제2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1 객체와 제2 객체의 위치를 교환하도록 구성된 교환 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교환 모듈은,
    상기 제2 입력의 제3 입력 특징을 획득하도록 구성된 제3 획득 유닛; 및
    상기 제3 입력 특징에 근거하여, 제2 마크를 통해 제2 객체를 마킹하고, 상기 제2 마크와 제1 마크가 매칭되는 경우, 상기 제1 객체와 제2 객체의 위치를 교환하도록 구성된 실행 유닛; 을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교환 모듈은,
    상기 제2 입력의 제4 입력 특징을 획득하도록 구성된 제4 획득 유닛;
    상기 제4 입력 특징에 근거하여 제2 마크를 통해 제2 객체를 마킹하도록 구성된 제3 마킹 유닛;
    사용자의 제4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제1 수신 유닛; 및
    상기 제4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마크와 제2 마크가 매칭되는 경우, 상기 제1 객체와 제2 객체의 위치를 교환하도록 구성된 교환 유닛;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객체의 개수는 N개이고, N은 1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이고, 상기 제1 입력은 N회의 제1 서브입력을 포함하고, 각 제1 서브입력은 하나의 제1 객체에 작용되고,
    상기 마킹 모듈은,
    i번째 제1 서브입력의 제1 입력 특징을 획득하도록 구성된 제1 획득 유닛;
    상기 제1 입력 특징에 근거하여 i번째 제1 객체의 i번째 제1 마크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제1 결정 유닛;
    상기 i번째 제1 마크를 통해 상기 i번째 제1 객체를 마킹하도록 구성된 제1 마킹 유닛; 을 포함하되,
    i는 양의 정수이고, i≤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입력 특징은 상기 i번째 제1 서브입력의 입력 순서와 지문 정보이고,
    상기 제1 결정 유닛은,
    상기 i번째 제1 서브입력의 지문 정보가 미리 설정된 제1 지문 정보인 경우, 상기 i번째 제1 서브입력의 입력 순서에 근거하여 i번째 제1 객체의 i번째 제1 마크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입력 특징은 상기 i번째 제1 서브입력의 지문 정보이고, 각 제1 서브입력의 지문 정보는 서로 다르고,
    상기 제1 결정 유닛은,
    상기 i번째 제1 서브입력의 지문 정보와 관련된 마크를 i번째 제1 객체의 i번째 제1 마크로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객체의 개수는 M개이고, M은 1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이고,
    상기 마킹 모듈은,
    상기 제1 입력의 제2 입력 특징을 획득하도록 구성된 제2 획득 유닛;
    상기 제2 입력 특징에 근거하여 M개의 제1 마크를 통해 M개의 제1 객체를 마킹하도록 구성된 제2 마킹 유닛;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입력은 타겟 인터페이스 상의 타겟 영역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고, 상기 타겟 영역은 상기 제1 객체와 상기 제2 객체를 포함하지 않고, 상기 제2 입력 특징은 M개 터치 포인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마킹 유닛은,
    상기 타겟 인터페이스 상의 미리 설정된 객체로부터 시작하여 M개의 제1 객체를 순차적으로 마킹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미리 설정된 객체는 미리 설정된 유형의 객체 또는 미리 설정된 위치의 객체를 포함하고, 상기 미리 설정된 객체가 미리 설정된 유형의 객체인 경우, 상기 M개의 제1 객체는 동일한 유형의 객체이고, 상기 미리 설정된 객체가 미리 설정된 위치의 객체인 경우, 상기 M개의 제1 객체는 인접한 배열 위치의 객체 또는 미리 설정된 배열 간격의 객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마킹 모듈이 상기 제1 입력에 응답하여 제1 마크를 통해 제1 객체를 마킹한 후,
    N개의 상기 제1 객체 중 제1 타겟 객체와 제2 타겟 객체에 대한 사용자의 제3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제3 수신 모듈;
    상기 제3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1 타겟 객체의 제1 마크와 상기 제1 객체 중 제2 타겟 객체의 제1 마크를 교환하도록 구성된 실행 모듈;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15.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교환 모듈은,
    상기 제2 입력의 제3 입력 특징을 획득하도록 구성된 제3 획득 유닛;
    상기 제3 입력 특징에 근거하여, 제2 마크를 통해 제2 객체를 마킹하고, 상기 제2 마크와 제1 마크가 매칭되는 경우, 상기 제1 객체와 제2 객체의 위치를 교환하도록 구성된 실행 유닛;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KR1020227008786A 2019-08-16 2020-08-04 객체 위치 조정 방법 및 전자기기 KR1026419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910757105.4A CN110536006B (zh) 2019-08-16 2019-08-16 一种对象位置调整方法及电子设备
CN201910757105.4 2019-08-16
PCT/CN2020/106795 WO2021031843A1 (zh) 2019-08-16 2020-08-04 对象位置调整方法及电子设备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7624A KR20220047624A (ko) 2022-04-18
KR102641922B1 true KR102641922B1 (ko) 2024-02-27

Family

ID=686633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08786A KR102641922B1 (ko) 2019-08-16 2020-08-04 객체 위치 조정 방법 및 전자기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20171522A1 (ko)
EP (1) EP4016975A4 (ko)
JP (1) JP7331245B2 (ko)
KR (1) KR102641922B1 (ko)
CN (1) CN110536006B (ko)
WO (1) WO202103184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36006B (zh) * 2019-08-16 2021-03-02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对象位置调整方法及电子设备
CN111831177B (zh) 2020-06-19 2022-02-01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应用图标显示方法、装置和电子设备
CN112698762B (zh) * 2020-12-31 2023-04-18 维沃移动通信(杭州)有限公司 图标显示方法、装置及电子设备
CN113311969B (zh) * 2021-05-27 2024-07-02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图标位置的调整方法、装置、电子设备及可读存储介质
CN113274731B (zh) * 2021-06-01 2023-05-16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虚拟角色选择顺序调整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JP7472309B2 (ja) * 2021-06-01 2024-04-22 ▲騰▼▲訊▼科技(深▲セン▼)有限公司 仮想キャラクター選択順序の調整方法、機器、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N114283061A (zh) * 2021-12-20 2022-04-05 乐美科技股份私人有限公司 拼接图的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019547A (zh) * 2012-12-24 2013-04-03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调整移动终端应用程序位置的方法及系统
US20130120464A1 (en) * 2011-11-10 2013-05-16 Institute For Information Industry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changing coordinates of icons according to sensing signal
CN105094527A (zh) * 2015-06-26 2015-11-25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图标交换方法及装置
CN109814772A (zh) * 2018-12-26 2019-05-28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应用程序图标的移动方法及终端设备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19038B2 (en) * 2007-09-04 2013-12-31 Apple Inc. Editing interface
JP5114181B2 (ja) * 2007-12-18 2013-01-09 株式会社Ecs 電子商取引における商品情報選択画面の編集方法、電子商取引システムおよび電子商取引における商品情報選択画面の編集プログラム
KR100923755B1 (ko) * 2009-07-06 2009-10-27 라오넥스(주) 멀티터치 방식 문자입력 방법
KR20120085783A (ko) * 2009-09-23 2012-08-01 딩난 한 인간-컴퓨터의 상호작용을 위한 인터페이스 및 그 방법
CN102033642B (zh) * 2009-09-29 2012-10-10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手势识别的方法及电子设备
CN202110524U (zh) * 2011-06-14 2012-01-11 上海博泰悦臻电子设备制造有限公司 终端设备及其图标位置互换装置
CN202133989U (zh) * 2011-06-14 2012-02-01 上海博泰悦臻电子设备制造有限公司 终端设备及其图标位置互换装置
US20140160049A1 (en) * 2012-12-10 2014-06-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Clipboard function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of electronic device
DE112013006621T5 (de) * 2013-02-08 2015-11-05 Motorola Solutions, Inc.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andhabung von Anwenderschnittstellenelementen in einer Touchscreen-Vorrichtung
US10056006B1 (en) * 2013-03-14 2018-08-21 Allstate Insurance Company Pre-license development tool
US9104309B2 (en) * 2013-04-25 2015-08-11 Htc Corporation Pattern swapping method and multi-touch device thereof
CN104252301A (zh) * 2013-06-26 2014-12-31 富泰华工业(深圳)有限公司 优化单手操作的系统、方法及电子装置
KR20150051278A (ko) * 2013-11-01 2015-05-12 삼성전자주식회사 오브젝트 이동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전자 장치
JP6377938B2 (ja) 2014-04-03 2018-08-22 株式会社 ディー・エヌ・エー サーバ及び方法
JP6294958B2 (ja) * 2014-04-03 2018-03-14 クラリオン株式会社 車載情報装置
JP6044965B2 (ja) * 2014-05-28 2016-12-14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ーション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情報処理装置、プログラム及び方法
CN105426067A (zh) * 2014-09-17 2016-03-2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桌面图标的置换方法及装置
JP6500406B2 (ja) 2014-12-01 2019-04-1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入出力制御装置、入出力制御プログラム
CN104731501B (zh) * 2015-03-25 2016-03-23 努比亚技术有限公司 控制图标的方法和移动终端
JP6532372B2 (ja) 2015-10-06 2019-06-19 キヤノン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そ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13138701A (zh) * 2015-11-05 2021-07-20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图标位置互换方法及装置
CN105446598A (zh) * 2015-12-09 2016-03-30 上海斐讯数据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图标位置切换方法、系统以及一种电子设备
CN106339165B (zh) * 2016-08-18 2019-06-11 广州视睿电子科技有限公司 对象位置的调整方法和装置
CN107870705B (zh) * 2016-09-28 2021-12-28 珠海金山办公软件有限公司 一种应用菜单的图标位置的改变方法及装置
CN109074171B (zh) * 2017-05-16 2021-03-30 华为技术有限公司 输入方法及电子设备
CN107656677B (zh) * 2017-06-16 2020-01-03 平安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调整应用图标位置的方法、存储介质和一种移动终端
CN107967086B (zh) * 2017-10-31 2020-09-29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的图标排列方法及装置、移动终端
CN109885222B (zh) * 2019-02-13 2021-03-02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图标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计算机可读介质
CN110536006B (zh) * 2019-08-16 2021-03-02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对象位置调整方法及电子设备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120464A1 (en) * 2011-11-10 2013-05-16 Institute For Information Industry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changing coordinates of icons according to sensing signal
CN103019547A (zh) * 2012-12-24 2013-04-03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调整移动终端应用程序位置的方法及系统
CN105094527A (zh) * 2015-06-26 2015-11-25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图标交换方法及装置
CN109814772A (zh) * 2018-12-26 2019-05-28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应用程序图标的移动方法及终端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016975A4 (en) 2022-10-19
EP4016975A1 (en) 2022-06-22
US20220171522A1 (en) 2022-06-02
JP2022545202A (ja) 2022-10-26
CN110536006A (zh) 2019-12-03
CN110536006B (zh) 2021-03-02
JP7331245B2 (ja) 2023-08-22
KR20220047624A (ko) 2022-04-18
WO2021031843A1 (zh) 2021-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41922B1 (ko) 객체 위치 조정 방법 및 전자기기
WO2021115373A1 (zh) 应用图标的位置调整方法及电子设备
WO2020258929A1 (zh) 文件夹界面切换方法及终端设备
US11340777B2 (en) Method for editing text and mobile terminal
CN110531915B (zh) 屏幕操作方法及终端设备
WO2020011077A1 (zh) 通知消息显示方法及终端设备
WO2020181955A1 (zh) 界面控制方法及终端设备
CN108600544B (zh) 一种单手控制方法及终端
CN109683802B (zh) 一种图标移动方法及终端
CN108108113B (zh) 网页切换方法及装置
CN111610904B (zh) 图标整理方法、电子设备及存储介质
KR102636438B1 (ko) 인터페이스 디스플레이 방법 및 단말
WO2021164716A1 (zh) 显示方法及电子设备
WO2021208890A1 (zh) 截屏方法及电子设备
WO2020125405A1 (zh) 终端设备的控制方法及终端设备
CN108984099B (zh) 一种人机交互方法及终端
CN108509108B (zh) 一种应用程序图标排列方法及移动终端
CN110989896A (zh) 一种控制方法及电子设备
WO2023016372A1 (zh) 控制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WO2020192662A1 (zh) 操作方法及终端设备
WO2020211602A1 (zh) 应用控制方法及终端设备
KR20220045220A (ko) 아이콘 표시 방법 및 단말
CN109885242B (zh) 一种执行操作的方法和电子设备
CN109471841B (zh) 一种文件分类方法和装置
CN111443860B (zh) 触控方法和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