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1762B1 - 컨트롤밸브용 스위치장치 - Google Patents

컨트롤밸브용 스위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1762B1
KR102641762B1 KR1020230089737A KR20230089737A KR102641762B1 KR 102641762 B1 KR102641762 B1 KR 102641762B1 KR 1020230089737 A KR1020230089737 A KR 1020230089737A KR 20230089737 A KR20230089737 A KR 20230089737A KR 102641762 B1 KR102641762 B1 KR 1026417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valve
lever
switch device
switch
limit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897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명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토글로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토글로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토글로벌
Priority to KR10202300897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17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17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176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0759Details of operating station, e.g. seats, levers, operator platforms, cabin suspen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5Fork lift trucks, Industrial tru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컨트롤밸브용 스위치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게차 등을 동작시키는 컨트롤밸브에 사용되는 스위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컨트롤밸브용 스위치장치로서, 상기 컨트롤밸브에 연결되는 커버의 하부에 연결되는 리미트 스위치; 및 레버에 연결되어 상기 레버의 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바디, 및 상기 바디 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리미트 스위치의 액추에이터 단부와 접촉되는 만곡면을 포함하는 컨택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컨트롤밸브용 스위치장치{SWITCH DEVICE FOR CONTROL VALVE}
본 발명은 컨트롤밸브용 스위치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게차 등을 동작시키는 컨트롤밸브에 사용되는 스위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품이 적재되는 팔레트 등은 지게차 등에 의해 운반되어 진다. 상기 지게차는 포크를 구비하고 상기한 포크가 팔레트를 들어 올려 운반하게 된다.
상기한 포크는 컨트롤밸브 등에 연결되어 승강하고, 좌우로 이동하게 되며, 한 쌍의 포크의 이격 거리가 조절되고, 기울임 각조가 조절된다(종래기술 등록특허 제10-0850301호 참조)
상기한 컨트롤밸브는 일반적으로 컨트롤러의 신호를 포지셔너로 수신하여 상기한 신호에 따라 흐름 통로의 크기를 변경하여 유체 흐름을 제어함으로써, 상기한 포크 등을 승강시키거나 좌우로 이동시키는 등의 동작을 수행하는 장치이다.
상기한 컨트롤러는 일반적으로 레버와 같은 것이 사용되며, 레버의 기계적 동작을 전기적 신호 등으로 전달하기 위한 스위치장비 등이 동시에 사용된다.
한편, 종래에는 도 1과 같이 상기한 스위치장비(S`)의 일부가 커버(3`) 등의 상부에 설치되어, 의도치 않은 동작에 의해 스위치장비(S`)가 파손되는 문제점 등이 있었고, 반복 사용에 따라 내구성이 저하되어 내구성이 약한 문제점 등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외력에 의한 손상이 억제되고, 내구성이 향상된 컨트롤밸브용 스위치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설치가 용이한 컨트롤밸브용 스위치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을 목적으로 하는 본 발명은 다음의 구성 및 특징을 갖는다.
컨트롤밸브용 스위치장치로서, 상기 컨트롤밸브에 연결되는 커버의 하부에 연결되는 리미트 스위치; 및 레버에 연결되어 상기 레버의 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바디, 및 상기 바디 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리미트 스위치의 액추에이터 단부와 접촉되는 만곡면을 포함하는 컨택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바디는, 상기 레버의 수직부 하단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수평부보다 하측에 배치되는 하부부재, 상기 하부부재의 일단에서 상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수평부보다 일 측에 배치되고 상기 수평부를 관통하는 상기 레버의 축이 관통되도록 축공이 형성된 일측부재, 및 상기 하부부재의 타단에서 상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수평보보다 타 측에 배치되는 타측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의 하부에 연결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의 양측에서 하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리미트 스위치가 연결되는 다수의 결합부를 포함하는 연결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는, 다수의 결합부 중 일 측에 배치된 어느 하나의 하단에서 타측으로 연장되는 제1연장부, 상기 제1연장부의 타단에서 상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리미트 스위치가 연결되는 제1추가결합부, 다수의 결합부 중 타 측에 배치된 다른 하나의 하단에서 일측으로 연장되는 제2연장부, 및 상기 제2연장부 일단에서 상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리미트 스위치가 연결되는 제2추가결합부를 더 포함하고, 또한 다수의 리미트 스위치 중 어느 하나는 다수의 결합부 중 일 측에 배치된 어느 하나의 일 측에 연결되고, 다수의 리미트 스위치 중 다른 하나는 다수의 결합부(52) 중 타 측에 배치된 다른 하나의 타 측에 연결되고, 다수의 리미트 스위치 중 또 다른 하나는 제1추가결합부의 타 측에 연결되고, 다수의 리미트 스위치 중 또 다른 하나는 제2추가결합부의 일 측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구성 및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은 외력에 의한 손상이 억제되고, 내구성이 향상된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설치가 용이한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종래의 스위치장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밸브용 스위치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3은 컨트롤밸브용 스위치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4는 컨트롤밸브용 스위치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5는 컨트롤밸브용 스위치장치의 배면도이다.
도 6은 컨트롤밸브용 스위치장치를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밸브용 스위치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전기적 연결도 포함)" 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전기적 연결도 포함)"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밸브용 스위치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3은 컨트롤밸브용 스위치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4는 컨트롤밸브용 스위치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5는 컨트롤밸브용 스위치장치의 배면도이다. 도 6은 컨트롤밸브용 스위치장치를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밸브용 스위치장치(S)는 지게차 등에 사용 되는 컨트롤밸브와 함께 사용되는 스위치장치로서,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본 장치'라고 칭하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장치(컨트롤밸브용 스위치장치(S))는 리미트 스위치(1) 및 컨택터(2)를 포함한다.
리미트 스위치(1)는 컨트롤밸브에 연결되는 커버(3)의 하부에 연결된다. 본 장치는 상기 컨트롤밸브가 연결되는 지게차 등의 메인장비에 구비되는 커버(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리미트 스위치(1)은 후술하는 연결부재(5)를 매개로 상기한 커버(3)의 하부에 연결될 수 있다. 연결부재(5)는 후술하는 설명에서 보다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커버(3)는 후술하는 레버(4)가 삽입되는 레버홈(31)이 다수 형성될 수 있다(도 3 참조). 상기 레버홈(31)은 상기 커버(3)의 후방에서 전방측으로 함몰 형성된 것이다. 전방 및 후방과 같은 방향 용어는 후술하는 설명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리미트 스위치(1)는 공지된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플런저, 내장스위치, 내장 스위치를 동작시키는 액추에이터(11)(후술하는 레버(4)와 같은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한 액추에이터(11)는 단부가 리미트 스위치(1)의 내장스위치와 연결되어 내장 스위치와 연결되는 단부(이하 연결단부)를 중심으로 하여 회동하거나 기울어질 수 있다. 또한 액추에이터(11)는 상기 연결단부에 반대되는 방향의 단부(하단부)에 마찰 저감을 위한 롤러(111)가 연결될 수 있다(도 4 참조).
여기에서 상측(상부, 상단 등)은 도 4를 기준으로 상측(상부, 상단 등)을 의미하고, 하측(하부, 하단 등)은 도 4를 기준으로 하측(하부, 하단 등)을 의미하는데, 이하의 설명에서 동일하게 적용하기로 한다.
리미트 스위치(1)는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는 공지된 제품으로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컨택터(2)는 레버(4)에 연결되어 상기 레버(4)의 축(6)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바디(21)를 포함한다. 본 장치는 상기한 컨트롤밸브와 연결되는 레버(4)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레버(4)는 지게차 등의 메인장비의 프레임 또는 하우징과 연결되는 축(6)(축부재)이 관통되고 수평 방향의 길이를 가지는 수평부(42), 및 상기 수평부(42)의 단부(예시적으로 후단부)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는 수직부(41)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전방(전단 등)은 도 4를 기준으로 좌측 방향(좌측단 등)을 의미하고, 후방(후단 등)은 도 4를 기준으로 우측 방향(우측단 등)을 의미하는데, 이하의 설명에서 동일하게 적용하기로 한다.
상기한 수직부(41)는 상기한 커버(3)의 레버홈(31)에 삽입되어 커버(3)의 상부가 커버(3)의 상측으로 돌출된다.
이때 상기한 컨택터(2)의 바디(21)는 상기한 축(6)이 관통된 상태로 레버(4)의 수평부(42)와 연결되어, 레버(4)가 축(6)을 중심축으로 하여 회동함에 따라 바디(21) 또한 상기 축(6)을 중심축으로 하여 회동하게 된다.
이때 컨택터(2)는 상기 바디(21)의 단부(상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리미트 스위치(1)의 액추에이터(11) 단부(하단부로서 상기한 롤러(111))와 접촉되는 만곡면(22)을 포함한다.
상기한 지게차 등은 포크를 승강시키거나, 좌우로 이동시키거나, 한 쌍의 포크 폭을 조절하거나, 포크를 기울이는 등의 동작을 수행해야 하므로, 본 장치의 리미트 스위치(1)는 커버(3)의 하부에 다수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컨택터(2) 또한 다수의 리미트 스위치(1) 각각과 접촉되도록 다수가 구비될 수 있는데, 다수의 컨택터(2)는 하나의 축(6)을 관통하여 축(6)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 장치의 만곡면(22)은 다수의 컨택터(2) 중 어느 하나(제1컨택터)의 전방 측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상측으로 만곡된 상향만곡면(221), 및 다수의 컨택터(2) 중 나머지(제2컨택터들)의 상단에서 하측으로 만곡 되게 형성된 만곡홈면(22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컨택터는 포크를 리프트 하도록 동작시키는 다수의 레버(4)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어 그 동작을 수행하는 컨트롤밸브에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는 리미트 스위치(1) 하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나머지 컨택터(2)들은 틸트, 좌우이동, 폭 조절을 수행하는 레버(4)들과 각각 연결되어 그 동작들을 수행하는 컨트롤밸브들과 연결되는 리미트 스위치(1)들 각각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한 리미트 스위치(1)의 액추에이터(11) 단부(롤러(111))는 상기한 만곡홈면(222)에 삽입될 수 있고, 이러할 경우 레버(4)가 축(6)을 중심으로 양 방향으로 회동할 경우 상기한 바디(21) 또한 양 방향으로 회동하여 상기한 액추에이터(11)의 하단부를 전방 및 후방으로 각각 가압할 수 있다.
즉, 포크를 좌우로 이동시키기 위해 레버(4)를 도 4를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경우 바디(21)가 액추에이터(11)의 하단부를 후방으로 가압하게 되고, 레버(4)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경우 바디(21)가 액추에이터(11)의 하단부를 전방으로 가압하게 되어, 레버(4)의 회동 방향에 따라 포크의 좌우 이동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 장치에서 다수의 컨택터(2) 중 어느 하나(제1컨택터)의 바디(21)는 몸체, 몸체의 후방에서 상부로 돌출되는 후방돌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향만곡면(221)은 후방돌부의 전방측과 몸체 상부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다수의 리미트 스위치(1) 중 제1컨택터 상측에 배치되는 어느 하나의 액추에이터(11) 하단부(롤러(111))는 상기한 후방돌부보다 전방에 배치되어 몸체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한 제1컨택터의 바디(21)가 일방향으로 회전할 때는 후방돌부의 전방에 의해 롤러(111)가 전방으로 가압되고, 상기 일방향의 역방향으로 회전할 때는 상기한 몸체의 전방 상부에 의해 후방으로 가압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만곡면(22)은 상향만곡면(221)을 포함하고 제1컨택터는 몸체와 후방돌부를 포함하기 때문에 일방향 회전 정도에 비해 역방향 회전 정도를 더 크게 해야만 그 반대 동작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즉, 포크를 들어 올릴 때는 레버(4)의 일방향 회전에 의해 동작되도록 하고, 포크를 내릴 때는 레버(4)의 역방향 회전에 의해 동작되도록 함으로써, 포크가 하강하여 발생하는 안전사고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 장치의 액추에이터(11)는 그 하단부에 롤러(111)가 연결될 수 있다고 하였는데, 컨택터(2)는 만곡면(22)을 포함함으로써, 컨택터(2)가 회동함에 따라 롤러(111)와 접촉할 때 만곡면(22)을 통해 롤러(111)가 회전되도록 함으로써 컨택터(2)와 리미트 스위치(1) 마찰을 최소화 하고 각각이 마모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밸브용 스위치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바디는 플레이트 및 상기 플레이트 상부에서 상측으로 만곡되게 돌출되는 만곡부를 포함하고, 상기 만곡면(22)은 상기 만곡부 상부 둘레에 구비되는 볼록만곡면(223)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리미트 스위치(1)는 내부에 상기 내장스위치가 내장되는 하우징, 하우징 하부에서 하측으로 돌출 구비되는 수직부재, 상기 수직부재 하단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롤러(111)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볼록만곡면(223) 상부에 배치되는 수평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바디(21)가 축(6)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도 8 기준), 상기한 볼록만곡면(223)의 전방측이 상기한 수평부재의 전방측을 상측 및 후방측으로 가압하여 수평부재가 롤러(111)를 후방 측으로 가압하고, 상기 바디(21)가 축(6)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상기한 볼록만곡면(223)의 후방측이 상기한 수평부재의 후방측을 상측 및 전방측으로 가압하여 수평부재가 롤러(111)를 전방 측으로 가압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리미트 스위치(1)가 커버(3)의 하부에 연결되어, 리미트 스위치(1)의 적어도 일부가 커버(3) 상부로 돌출되는 것을 억제하여 리미트 스위치(1)가 외력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수평부(42)는 수평 방향의 길이를 갖는 봉체(421) 및 육면체 형상이고 상기 봉체(421)의 전방측에 연결되는 케이스(4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도 5를 참조하면, 바디(21)는 수평부(42)보다 하측에 배치되고, 상부에 수평부(42)(케이스(422))의 하부가 지지되는 하부부재(211), 상기 하부부재(211)의 일단에서 상측으로 연장되어 수평부(42)보다 일 측에 배치되고 상기 축(6)이 관통되도록 축공이 형성된 일측부재(21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일 측(일측단)은 좌측(좌측단)을 의미할 수 있으며, 도 5를 기준으로 좌측(좌측단)을 의미하며, 후술하는 타 측(타측단)은 우측(우측단)을 의미할 수 있고, 도 5를 기준으로 우측(우측단)을 의미할 수 있다. 이하에서 동일하게 적용하기로 한다.
이때 바디(21)는 상기 하부부재(211)의 타단에서 상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수평부(42)(케이스(422))보다 타 측에 배치되는 타측부재(213)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21)는 상기한 하부부재(211), 일측부재(212) 및 타측부재(213)에 의해 형성되는 끼움홈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끼움홈에 케이스(422)의 하부가 삽입되어 끼워짐에 따라 바디(21)는 볼트 등의 다른 장비 없이도 레버(4)와 끼워져 결합될 수 있다(볼트 등의 체결부재를 매개로 바디(21)와 레버(4)가 결합될 수도 있음).
이때 도 5를 참조하면, 타측부재(213)는 일측부재(212)보다 높이가 낮고(상하 방향 길이가 작음), 상기 축(6)보다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만약 일측부재(212)와 타측부재(213)의 높이가 상응하고, 타측부재(213)의 상단 높이가 축(6)의 상단 높이보다 높을 경우에는 타측부재(213) 또한 축공이 형성되어야 한다.
이러할 경우에는 다수의 컨택터(2)를 수평부(42)에 결합한 상태에서 축(6)을 수평부(42)와 축공을 관통시켜야 하기 때문에 제조 및 설치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타측부재(213)의 높이가 일측부재(212)보다 낮고 타측부재(213)의 상단이 축(6)보다 하측에 배치(도 5와 같이 설치된 상태를 기준)됨으로써, 축(6)이 수평부(42)를 관통한 상태에서 하부부재(211)가 수평부(42)의 전방에 배치된 상태로 상기 일측부재(212)에 형성된 축공에 축(6)을 관통시키고 상기한 바디(21)를 회전시켜 상기 끼움홈에 케이스(422)를 삽입하여 설치할 수 있다.
즉, 축(6)이 수평부(42)를 관통한 상태에서 컨택터(2)를 축(6)을 관통시키고 레버(4)에 연결할 수 있으므로, 보다 다양한 조건에서 컨택터(2)를 설치할 수 있어 설치 용이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장치는 상기 커버(3)의 하부에 연결되는 연결부(51), 및 상기 연결부(51)의 양측(일 측 및 타 측)에서 하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리미트 스위치(1)가 각각 연결되는 다수의 결합부(52)를 포함하는 연결부재(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커버(3)에는 볼트공이 형성될 수 있고, 연결부(51)에 또한 볼트공이 형성되어, 상기한 커버(3)의 하측에 연결부(51)가 볼트와 같은 부재를 통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연결부재(5)는 다수의 결합부(52)를 포함하여, 커버(3)의 하부에 리미트 스위치(1)를 세워서 다수 설치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연결부재(5)는 다수의 결합부(52) 중 일 측에 배치된 어느 하나의 하단에서 타 측으로 연장되는 제1연장부(53), 상기 제1연장부(53) 타단에서 상측으로 연장되고 리미트 스위치(1)가 연결되는 제1추가결합부(54), 다수의 결합부(52) 중 타 측에 배치된 다른 하나의 하단에서 일 측으로 연장되는 제2연장부(54), 및 상기 제2연장부(54) 일단에서 상측으로 연장되고 리미트 스위치(1)가 연결되는 제2추가결합부(56)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 및 도 7을 참조하면, 다수의 결합부(52) 중 일 측에 배치된 어느 하나는 일 측에 리미트 스위치(1)가 연결되고, 타 측에 배치된 다른 하나는 타 측에 리미트 스위치(1)가 연결되며, 제1추가결합부(54)는 타 측에 리미트 스위치(1)가 연결되고, 제2추가결합부(56)는 일 측에 리미트 스위치(1)가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연결부재(5)는 제1추가결합부(54)와 제2추가결합부(56)를 포함하여 보다 하나의 연결부재(5)를 통해 커버(3) 하측에 보다 다수의 리미트 스위치(1)를 세운 상태로 연결할 수 있다.
또한 다수의 리미트 스위치(1)가 각각 다수의 결합부(52) 중 일 측에 배치된 어느 하나의 일 측에 연결되고, 다수의 결합부(52) 중 타 측에 배치된 다른 하나의 타 측에 연결되고, 제1추가결합부(54)의 타 측에 연결되고, 제2추가결합부(56)의 일 측에 연결됨에 따라 액추에이터(11)의 하단부가 제1연장부(53) 및 제2연장부(54)에 걸리지 않고 하측에 돌출되도록 하여 상기한 만곡면(22)에 접촉될 수 있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은 통상의 기술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컨트롤밸브용 스위치장치: S
리미트 스위치: 1 액추에이터: 11
롤러: 111 컨택터: 2
바디: 21 하부부재: 211
일측부재: 212 타측부재: 213
만곡면: 22 상향만곡면: 221
만곡홈면: 222 커버: 3
레버홈: 31 레버: 4
수직부: 41 수평부: 42
봉체: 421 케이스: 422
연결부재: 5 연결부: 51
결합부: 52 제1연장부: 53
제1추가결합부: 54 제2연장부: 54
제2추가결합부: 56 축: 6

Claims (4)

  1. 컨트롤밸브용 스위치장치로서,
    상기 컨트롤밸브에 연결되는 커버의 하부에 연결되는 리미트 스위치; 및
    레버에 연결되어 상기 레버의 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바디, 및 상기 바디 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리미트 스위치의 액추에이터 단부와 접촉되는 만곡면을 포함하는 컨택터;
    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는,
    상기 레버의 수직부 하단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수평부보다 하측에 배치되는 하부부재, 상기 하부부재의 일단에서 상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수평부보다 일 측에 배치되고 상기 수평부를 관통하는 상기 레버의 축이 관통되도록 축공이 형성된 일측부재, 및 상기 하부부재의 타단에서 상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수평부보다 타 측에 배치되는 타측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트롤밸브용 스위치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하부에 연결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의 양측에서 하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리미트 스위치가 연결되는 다수의 결합부를 포함하는 연결부재;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트롤밸브용 스위치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다수의 결합부 중 일 측에 배치된 어느 하나의 하단에서 타측으로 연장되는 제1연장부, 상기 제1연장부의 타단에서 상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리미트 스위치가 연결되는 제1추가결합부, 다수의 결합부 중 타 측에 배치된 다른 하나의 하단에서 일측으로 연장되는 제2연장부, 및 상기 제2연장부 일단에서 상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리미트 스위치가 연결되는 제2추가결합부를 더 포함하고,
    또한 다수의 리미트 스위치 중 어느 하나는 다수의 결합부 중 일 측에 배치된 어느 하나의 일 측에 연결되고, 다수의 리미트 스위치 중 다른 하나는 다수의 결합부 중 타 측에 배치된 다른 하나의 타 측에 연결되고, 다수의 리미트 스위치 중 또 다른 하나는 제1추가결합부의 타 측에 연결되고, 다수의 리미트 스위치 중 또 다른 하나는 제2추가결합부의 일 측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트롤밸브용 스위치장치.
KR1020230089737A 2023-07-11 2023-07-11 컨트롤밸브용 스위치장치 KR1026417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89737A KR102641762B1 (ko) 2023-07-11 2023-07-11 컨트롤밸브용 스위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89737A KR102641762B1 (ko) 2023-07-11 2023-07-11 컨트롤밸브용 스위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1762B1 true KR102641762B1 (ko) 2024-02-28

Family

ID=900528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89737A KR102641762B1 (ko) 2023-07-11 2023-07-11 컨트롤밸브용 스위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176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89073A (ja) * 1992-01-09 1993-07-30 Toyota Autom Loom Works Ltd 荷役レバー装置
JPH0730294U (ja) * 1993-11-04 1995-06-06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製作所 荷役操作レバーの作動検出装置
KR20070068945A (ko) * 2005-12-27 2007-07-02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엔진지게차의 안전제어방법 및 그 장치
EP2275299A1 (en) * 2008-04-11 2011-01-19 Sumitomo Heavy Industries, LTD. Operating machine
EP2998266A1 (en) * 2014-09-22 2016-03-23 Kabushiki Kaisha Toyota Jidoshokki Apparatus for controlling load handling devic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89073A (ja) * 1992-01-09 1993-07-30 Toyota Autom Loom Works Ltd 荷役レバー装置
JPH0730294U (ja) * 1993-11-04 1995-06-06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製作所 荷役操作レバーの作動検出装置
KR20070068945A (ko) * 2005-12-27 2007-07-02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엔진지게차의 안전제어방법 및 그 장치
EP2275299A1 (en) * 2008-04-11 2011-01-19 Sumitomo Heavy Industries, LTD. Operating machine
EP2998266A1 (en) * 2014-09-22 2016-03-23 Kabushiki Kaisha Toyota Jidoshokki Apparatus for controlling load handling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3320B1 (ko) 환자용 베드장치
US3265158A (en) Industrial trucks
KR20100126175A (ko) X링크식 승강 기구
US9296596B2 (en) Hybrid wedge jack/scissor lift lifting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US9181963B2 (en) Operation lever lock apparatus
KR102641762B1 (ko) 컨트롤밸브용 스위치장치
US5967494A (en) Power lift for vehicles
CN105084256B (zh) 一种手动液压搬运车操纵手柄
JP5327887B2 (ja) 昇降式移動テーブルにおけるロック機構付きキャスターの操作機構
JP6086693B2 (ja) 積荷取扱トロリー
CN105745435B (zh) 压力影响装置
EP1486393A1 (en) A device for handling pallets
KR100937351B1 (ko) 접혀짐이 가능한 지게차의 포크장치
KR100916590B1 (ko) 지게차의 포크구동장치
US7422410B1 (en) Lift attachment for use with a three-point hitch of a tractor
JP3740888B2 (ja) ヒンジドフォークを備えたフォークリフトのマスト装置
JP6015020B2 (ja) フォークリフトのチルト装置
US2519128A (en) Lift truck
US20030057027A1 (en) Mast for a fork lift
JPH0642272Y2 (ja) フォークリフトの荷役操作装置
CN216584011U (zh) 一种液压举升平台位移反弹阻止装置
KR102481565B1 (ko) 가동 케이블 텐션 유지를 위한 사이드 롤러 구조를 포함하는 자율 주행 지게차
KR100908265B1 (ko) 지게차의 포크구동장치
KR20230052126A (ko) 호이스트 크레인 래칭장치
US3572516A (en) Antipush stacker cra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