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1749B1 - Automatic packing apparatus for food pouch - Google Patents

Automatic packing apparatus for food pouch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1749B1
KR102641749B1 KR1020220014899A KR20220014899A KR102641749B1 KR 102641749 B1 KR102641749 B1 KR 102641749B1 KR 1020220014899 A KR1020220014899 A KR 1020220014899A KR 20220014899 A KR20220014899 A KR 20220014899A KR 102641749 B1 KR102641749 B1 KR 1026417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uch
banding tape
banding
tape
h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489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30118377A (en
Inventor
최우석
Original Assignee
최우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우석 filed Critical 최우석
Priority to KR10202200148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1749B1/en
Publication of KR202301183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837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17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174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3/00Bundling articles
    • B65B13/02Applying and securing binding material around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e.g. using strings, wires, strips, bands or ta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3/00Bundling articles
    • B65B13/18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used in, bundling machines or bundling to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포장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식품 파우치 자동 묶음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식품 파우치 자동 묶음 장치는 식품 수용 공간이 형성되도록 둘레가 밀봉된 파우치를 높이 방향으로 적층 배치한 상태로 투입하되, 둘레가 상호 이격된 상태로 상측에 배치된 제1 파우치와 하측에 배치된 제2 파우치를 투입하는 투입부와, 적층 배치된 상기 파우치를 묶는 밴딩 테이프를 공급하되, 상기 밴딩 테이프가 상기 제1 파우치의 상면에 부착되도록 상기 밴딩 테이프를 공급하는 공급부와, 상기 제1 파우치의 상면에 상기 밴딩 테이프가 부착된 상태로 적층 배치된 상기 파우치를 이송하는 이송부와, 상기 제1 파우치의 상면에 부착된 상기 밴딩 테이프의 양단을 상기 제2 파우치의 하면에 부착하되, 상기 제1 파우치와 상기 제2 파우치의 둘레를 상호 밀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밴딩 테이프의 양단을 부착하는 밴딩부와, 상기 밴딩 테이프를 통해 묶인 상태의 상기 파우치를 배출하는 배출부 및 상기 각 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ckaging device, and more specifically, to an automatic food pouch bundling device. The automatic food pouch bundling device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sert pouches with sealed circumferences stacked in the height direction to form a space for containing food, and the first pouch is disposed on the upper side with the circumferenc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 input unit for inserting a second pouch disposed below, and a supply unit for supplying banding tape to bind the stacked pouches so that the banding tape is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pouch; A transport unit for transporting the pouches stacked with the banding tape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pouch, and both ends of the banding tape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pouch are attach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pouch, , a bending part attaching both ends of the banding tape while the circumferences of the first pouch and the second pouch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a discharge part discharging the tied pouch through the banding tape, and the operation of each part. It includes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Description

식품 파우치 자동 묶음 장치{Automatic packing apparatus for food pouch}Automatic packing apparatus for food pouch}

본 발명은 포장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식품 파우치 자동 묶음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ckaging device, and more specifically to an automatic food pouch bundling device.

최근 식품의 판매량을 늘리기 위해 식품 회사에서는 일정 수량의 식품을 구입하게 되면 식품을 일정 수량 더 증정하는 방식을 많이 채택하고 있다. 일 예로, 게맛살과 같은 어묵 제품의 경우 1개를 사면 1개를 더 증정하는 방식을 마케팅에 활용하고 있다.Recently, in order to increase food sales, food companies are often adopting a method of giving away a certain amount of food when a certain amount of food is purchased. For example, in the case of fish cake products such as crab meat, a method of giving one more as a gift for each purchase is used in marketing.

이를 위해 마트나 편의점과 같은 판매처에서는 상품을 낱개로 배치한 상태에서 1개를 사면 1개를 더 증정한다는 표시를 부착하고, 소비자가 이러한 표시를 보고 2개의 상품을 가져오면 1개의 가격으로 상품을 구매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To this end, sales outlets such as supermarkets and convenience stores place products individually and post a sign saying that if you buy one, you will get one more. When a consumer sees this sign and brings two products, they receive the product at the price of one. It is available for purchase.

그러나 이와 같은 방식은 2개의 상품이 낱개로 배치되므로 소비자가 2개의 상품을 각각 직접 챙겨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However, in this method, since the two products are placed individually, there was the inconvenience of the consumer having to take care of each of the two products individually.

이를 해결하고자 2개의 상품을 묶음으로 배치하는 경우도 있는데, 이러한 경우 소비자의 입장에서는 낱개 상품을 가져갈 필요가 없게 되어 간편하게 구매할 수 있으나, 이러한 묶음 상품을 제조하는 입장에서는 낱개 상품을 묶음 상품으로 제조하기 위해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낱개 상품을 직접 묶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To solve this problem, there are cases where two products are placed in a bundle. In this case, from the consumer's point of view, there is no need to bring individual products, so they can purchase them easily, but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manufacturer of such bundled products, it is necessary to manufacture individual products as bundled products. Therefore, it was inconvenient for workers to bundle individual products by hand.

따라서 이러한 부분에 대한 개선이 필요한 실정이다.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improvement in these area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낱개 포장된 식품 파우치를 높이 방향으로 적층 배치한 상태에서 자동으로 묶어주는 식품 파우치 자동 묶음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utomatic food pouch bundling device that automatically bundles individually packaged food pouches in a stacked arrangement in the height direction.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식품 수용 공간이 형성되도록 둘레가 밀봉된 파우치를 높이 방향으로 적층 배치한 상태로 투입하되, 둘레가 상호 이격된 상태로 상측에 배치된 제1 파우치와 하측에 배치된 제2 파우치를 투입하는 투입부와, 적층 배치된 상기 파우치를 묶는 밴딩 테이프를 공급하되, 상기 밴딩 테이프가 상기 제1 파우치의 상면에 부착되도록 상기 밴딩 테이프를 공급하는 공급부와, 상기 제1 파우치의 상면에 상기 밴딩 테이프가 부착된 상태로 적층 배치된 상기 파우치를 이송하는 이송부와, 상기 제1 파우치의 상면에 부착된 상기 밴딩 테이프의 양단을 상기 제2 파우치의 하면에 부착하되, 상기 제1 파우치와 상기 제2 파우치의 둘레를 상호 밀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밴딩 테이프의 양단을 부착하는 밴딩부와, 상기 밴딩 테이프를 통해 묶인 상태의 상기 파우치를 배출하는 배출부 및 상기 각 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식품 파우치 자동 묶음 장치가 제공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ouches with sealed circumferences are placed in a stacked manner in the height direction to form a food receiving space, and the first pouch disposed on the upper side and the lower portion are disposed on the lower side with the circumferenc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 input unit for inserting a second pouch, a supply unit for supplying banding tape to bind the stacked pouches so that the banding tape is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pouch, and A transfer unit for transporting the pouches stacked with the banding tape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and both ends of the bending tape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pouch are attach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pouch, wherein the first pouch and a banding part that attaches both ends of the banding tape while the circumference of the second pouch is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a discharge part that discharges the pouch in a tied state through the banding tape, and a control part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each part. An automatic food pouch bundling device is provided.

이때, 상기 밴딩부는, 상기 이송부를 통해 이송된 상기 파우치가 배치되는 하부 리프터와, 상기 하부 리프터에 상기 파우치가 배치되면 상기 제1 파우치와 상기 제2 파우치의 둘레가 상호 밀착하도록 상기 제1 파우치의 둘레를 높이 방향을 따라 하향 가압하는 상부 홀더와, 상기 밴딩 테이프의 양단을 잡아당긴 상태에서 상기 밴딩 테이프의 양단을 상기 제2 파우치의 하면에 부착하는 측부 폴더를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bending unit has a lower lifter on which the pouch transported through the transfer unit is placed, and when the pouch is placed on the lower lifter, the circumferences of the first pouch and the second pouch come into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It may include an upper holder that presses the circumference downward along the height direction, and a side folder that attaches both ends of the banding tape to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pouch while pulling both ends of the banding tape.

이때, 상기 하부 리프터는, 상기 제2 파우치의 하면을 지지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폭 방향 양단에 배치되되, 상기 제2 파우치의 둘레에 상향 경사가 형성되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보다 높이 방향을 따라 상향 돌출된 상향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lower lifter includes a base plate supporting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pouch, and is disposed at both ends of the base plate in the width direction, and is higher tha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late so that an upward slope is formed around the second pouch. It may include upward ribs projecting upward along a direction.

이때,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는 상기 밴딩 테이프의 양단을 잡아당기고 있는 상기 측부 폴더가 상기 제2 파우치의 하면으로 이동하도록 폭 방향 내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삽입홈이 구비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base plate may be provided with a first insertion groove extending inward in the width direction so that the side folder pulling both ends of the banding tape moves to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pouch.

이때, 상기 상부 홀더는, 상기 제1 파우치의 상부에 배치되는 상부 플레이트와,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폭 방향 양단에 배치되되, 상기 제1 파우치의 둘레가 상기 제2 파우치의 둘레에 밀착하도록 상기 제1 파우치의 둘레를 가압하는 하향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upper holder includes an upper plate disposed on the top of the first pouch, and disposed at both ends of the upper plate in the width direction, so that the circumference of the first pouch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circumference of the second pouch. It may include downward ribs that press against the perimeter of the pouch.

이때, 상기 하향 리브에는 상기 제1 파우치의 상면에 부착된 상기 밴딩 테이프를 가압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제1 파우치의 둘레만 가압하도록 높이 방향을 따라 상기 밴딩 테이프와 오버랩 배치되는 위치에 제2 삽입홈이 구비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downward rib has a second insertion groove positioned to overlap the banding tape along the height direction so as to press only the circumference of the first pouch without pressing the banding tape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pouch. This can be provided.

이때, 상기 측부 폴더는 상기 밴딩 테이프의 양단이 흡착되는 흡착면이 구비된 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ide folder may include a body provided with an adsorption surface to which both ends of the banding tape are adsorbed.

이때, 상기 흡착면에는 상기 하부 리프터가 상향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밴딩 테이프의 양단이 흡착되도록 폭 방향 내측을 향해 제1 경사가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a first slope may be formed on the suction surface toward the inside in the width direction so that both ends of the banding tape are adsorbed during the upward movement of the lower lifter.

이때, 상기 바디에는 상기 밴딩 테이프의 양단이 상기 제2 파우치의 하면에 부착되도록 상기 밴딩 테이프의 양단을 가압하는 가압면이 구비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body may be provided with a pressure surface that presses both ends of the banding tape so that both ends of the banding tape are attach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pouch.

이때, 상기 가압면에는 폭 방향 외측을 향해 제2 경사가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a second slope may be formed on the pressing surface toward the outside in the width direction.

이때, 상기 흡착면에는 공기압을 이용해서 상기 밴딩 테이프의 양단을 흡착하는 흡기홀이 구비되고, 상기 바디에는 상기 흡기홀과 연통된 상태에서 공기를 흡입하는 흡기 포트가 구비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uction surface may be provided with an intake hole that adsorbs both ends of the banding tape using air pressure, and the body may be provided with an intake port that suctions air while communicating with the intake hole.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하부 리프터에 상기 파우치가 배치되면 상기 제1 파우치와 상기 제2 파우치의 둘레가 상호 밀착하도록 상기 상부 홀더를 하향 이동시킬 수 있다.At this time, when the pouch is placed on the lower lifter, the control unit may move the upper holder downward so that the circumferences of the first pouch and the second pouch come into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파우치와 상기 제2 파우치의 둘레가 상호 밀착하면 상기 하부 리프터와 상기 상부 홀더를 동시에 상향 이동시키되, 상기 밴딩 테이프의 양단이 상기 흡착면에 흡착되도록 상기 하부 리프터와 상기 상부 홀더를 제1 높이까지 상향 이동시키며, 상기 제1 높이는 상기 흡착면의 상단이 위치하는 높이일 수 있다.At this time, when the circumferences of the first pouch and the second pouch come into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the control unit simultaneously moves the lower lifter and the upper holder upward so that both ends of the bending tape are adsorbed to the suction surface. The upper holder is moved upward to a first height, and the first height may be a height at which the top of the suction surface is located.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밴딩 테이프의 양단이 상기 흡착면에 흡착되면 상기 하부 리프터와 상기 상부 홀더를 제2 높이까지 상향 이동시키며, 상기 제2 높이는 상기 가압면의 하단과 상기 가압면의 상단 사이에 위치하는 가압 위치까지의 높이일 수 있다.At this time, when both ends of the banding tape are adsorbed to the suction surface, the control unit moves the lower lifter and the upper holder upward to a second height, and the second height is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pressing surface and the upper end of the pressing surface. It may be the height up to the pressurized position.

상기의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품 파우치 자동 묶음 장치는 낱개 포장된 식품 파우치를 높이 방향으로 적층 배치한 상태에서 자동으로 묶어주므로 생산성이 향상되고, 상측에 배치된 제1 파우치와 하측에 배치된 제2 파우치의 둘레가 상호 밀착된 상태로 밴딩 테이프를 이용해서 묶어주게 되므로 제1 파우치와 제2 파우치의 묶음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뿐만 아니라 적재 공간을 덜 차지하게 되므로 효율적인 적재가 가능하다.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the automatic food pouch bundling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mproves productivity by automatically bundling individually packaged food pouches in a stacked arrangement in the height direction, and the first pouch arranged on the upper side Since the circumference of the second pouch placed on the lower side is tied together using a banding tape in a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the binding state of the first and second pouches is not only maintained stably, but also takes up less loading space, allowing for efficient loading. possible.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described above,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effects that can be inferred from the configuration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r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파우치 자동 묶음 장치에 투입되는 파우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파우치 자동 묶음 장치에 투입된 파우치가 밴딩 테이프로 묶여 있는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파우치 자동 묶음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급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급부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밴딩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부 리프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부 홀더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부 홀더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부 홀더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부 폴더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부 폴더에 구비된 바디를 확대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부 리프터에 배치된 파우치를 상부 홀더가 가압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부 폴더가 밴딩 테이프의 양단을 흡착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Figure 1 is a front view showing a pouch being input into an automatic food pouch bundl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pouches inserted into an automatic food pouch bundl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tied with banding tape.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utomatic food pouch bundl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lan view showing a supply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side view showing a supply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ending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lower lif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upper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upper hold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 front view showing an upper hold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ide f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2 is an enlarged front view of a body provided in a side f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3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n upper holder is pressing a pouch placed on a lower lif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4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side folder is adsorbing both ends of a banding ta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도면에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have been omitted in the drawings, and identical or similar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단어와 용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않고,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발명자가 용어와 개념을 정의할 수 있는 원칙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words and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claims are not to be construed as limited in their usual or dictionary meanings, but according to the principle that the inventor can define terms and concepts in order to explain his or her invention in the best way. It must be interpreted with meaning and concepts consistent with technical idea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파우치 자동 묶음 장치에 투입되는 파우치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파우치 자동 묶음 장치에 투입된 파우치가 밴딩 테이프로 묶여 있는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파우치 자동 묶음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여기서 Z 방향은 파우치의 높이 방향으로, 각각의 파우치가 적층 배치되는 방향을 의미하고, W 방향은 파우치의 폭 방향으로, 폭 방향 내측을 향하는 것은 파우치의 양단에서 파우치의 중앙으로 향하는 방향을 의미하며, 폭 방향 외측을 향하는 것은 파우치의 중앙에서 파우치의 양단을 향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도면에서 생략한다.Figure 1 is a front view showing a pouch inputted into an automatic food pouch bundl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2 shows a pouch inputted into an automatic food pouch bundl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ied with a banding tape. It is a front view showing the current state, and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utomatic food pouch bundl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 the Z direction is the height direction of the pouch, meaning the direction in which each pouch is stacked, and the W direction is the width direction of the pouch, and the width direction toward the inside refers to the direction from both ends of the pouch to the center of the pouch. , facing outward in the width direction means the direction from the center of the pouch to both ends of the pouch. 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from the drawings.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파우치 자동 묶음 장치는 식품 수용 공간(11)이 형성되도록 둘레(12)가 밀봉된 파우치(10)를 높이 방향(Z)으로 적층 배치한 상태로 투입하되, 둘레(12)가 상호 이격된 상태로 상측에 배치된 제1 파우치(10a)와 하측에 배치된 제2 파우치(10b)를 투입하는 투입부(10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S. 1 to 3, the automatic food pouch bundl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laces a pouch 10 with a sealed circumference 12 in the height direction (Z) to form a food receiving space 11. ), and the input unit 100 for inserting the first pouch 10a disposed on the upper side and the second pouch 10b disposed on the lower side with the circumferences 12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cludes.

즉, 이러한 파우치(10)는 비닐과 같은 합성 수지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내부에 식품 수용 공간(11)이 구비되고, 둘레(12)는 공기 뿐만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기 위해 밀봉된다. 제1 파우치(10a)와 제2 파우치(10b)의 묶기 위해 투입부(100)에서는 제1 파우치(10a)와 제2 파우치(10b)를 높이 방향(Z)으로 적층해서 투입하게 된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파우치(10a)와 제2 파우치(10b)는 단순히 적층 배치되므로 각각의 파우치(10)의 둘레는 높이 방향(Z)을 따라 상호 이격 배치된다.That is, the pouch 10 may be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such as vinyl, has a food storage space 11 inside, and the perimeter 12 is sealed to prevent air and foreign substances from entering. In order to bundle the first pouch (10a) and the second pouch (10b), the first pouch (10a) and the second pouch (10b) are stacked in the height direction (Z) and inserted into the input unit 100. At this time,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pouch 10a and the second pouch 10b are simply stacked, so the periphery of each pouch 10 i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height direction Z.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급부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급부를 도시한 측면도이다.Figure 4 is a plan view showing a supply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5 is a side view showing a supply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파우치 자동 묶음 장치는 적층 배치된 파우치(10)를 묶는 밴딩 테이프(20)를 공급하되, 밴딩 테이프(20)가 제1 파우치(10a)의 상면에 부착되도록 밴딩 테이프(20)를 공급하는 공급부(200)를 포함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S. 4 and 5, the automatic food pouch bundl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upplies a banding tape 20 for tying the stacked pouches 10, and the banding tape 20 It includes a supply unit 200 that supplies the banding tape 20 to be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pouch 10a.

복수의 밴딩 테이프(20)가 별도의 트레이 커버에 부착된 상태로 공급되며, 공급부(200)는 트레이 커버에 부착된 밴딩 테이프(20)를 낱개로 분리해서 제1 파우치(10a)의 상면에 부착하게 된다. 공급부(200)에는 트레이 커버로부터 분리된 밴딩 테이프(20)가 제1 파우치(10a)의 상면에 부착되도록 가압하는 가압 플레이트(21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가압 플레이트(210)에는 스펀지와 같은 탄성 재질의 가압 리브(211)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탄성 재질의 가압 리브(211)가 구비되면 밴딩 테이프(20) 부착 시 가압 플레이트(210)가 제1 파우치(10a)를 직접 가압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식품 파손을 방지할 수 있으며, 밴딩 테이프(20)를 효과적으로 부착시킬 수 있다.A plurality of banding tapes 20 are supplied attached to a separate tray cover, and the supply unit 200 separates the banding tapes 20 attached to the tray cover individually and attaches them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pouch 10a. I do it. The supply unit 200 may be provided with a pressure plate 210 that presses the banding tape 20 separated from the tray cover to be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pouch 10a. This pressure plate 210 may be provided with a pressure rib 211 made of an elastic material such as a sponge. When the pressure rib 211 made of an elastic material is provided, the pressure plate 210 is attached when the banding tape 20 is attached. By preventing direct pressure on the first pouch 10a, damage to food can be prevented, and the banding tape 20 can be effectively attached.

이러한 공급부(200)에는 가압 플레이트(210)가 일측을 중심으로 회동하도록 가압 플레이트(210)의 일측에는 회전 샤프트(220)가 구비될 수 있다. 가압 플레이트(210)의 일측이 회전하게 되면 가압 플레이트(210)의 타측이 밴딩 테이프(20)를 가압하게 되고, 이러한 과정에서 밴딩 테이프(20)가 제1 파우치(10a)의 상면에 부착되는 것이다. 후술하는 제어부(600)는 밴딩 테이프(20)가 제1 파우치(10a) 상면의 일정한 위치에 부착되도록 가압 플레이트(210)를 회동시킬 수 있다.The supply unit 200 may be provided with a rotating shaft 220 on one side of the pressure plate 210 so that the pressure plate 210 rotates around one side. When one side of the pressure plate 210 rotates, the other side of the pressure plate 210 presses the banding tape 20, and in this process, the banding tape 20 is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pouch 10a. . The control unit 6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can rotate the pressure plate 210 so that the banding tape 20 is attached to a certain positio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pouch 10a.

공급부(200)에는 회전 샤프트(220)를 회전시키는 회동바(230)가 구비될 수 있다. 즉, 회동바(230)의 일측이 회전 샤프트(220)에 고정된 상태에서 회동바(230)의 타측을 회동시키는 방식으로 회전 샤프트(220)를 회전시키는 것이다.The supply unit 200 may be provided with a rotating bar 230 that rotates the rotating shaft 220. That is, the rotating shaft 220 is rotated by rotating the other side of the rotating bar 230 while one side of the rotating bar 230 is fixed to the rotating shaft 220.

이러한 회동바(230)의 타측에는 회동 실린더(240)가 연결될 수 있다. 회동 실린더(240)에 구비된 실린더 로드가 왕복 이동함에 따라 회동바(230)가 일 방향 또는 타 방향으로 회동하면서 회전 샤프트(220)를 회전시키는 것이다.A rotating cylinder 240 may be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rotating bar 230. As the cylinder rod provided in the rotating cylinder 240 reciprocates, the rotating bar 230 rotates in one direction or the other direction, thereby rotating the rotating shaft 220.

이때, 회동바(230)의 타측에는 회동 실린더(240)가 연결되는 연결바(250)가 구비될 수 있다. 연결바(250)에는 회동바(230)의 타측이 연결되는 별도의 베어링이 구비되므로 회동 실린더(240)의 직선 운동을 회동바(230) 타측의 원호 운동으로 변환해서 전달하게 된다.At this time, a connecting bar 250 to which the rotating cylinder 240 is connected may be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rotating bar 230. Since the connecting bar 250 is provided with a separate bearing to which the other side of the rotating bar 230 is connected, the linear motion of the rotating cylinder 240 is converted into an arc motion of the other side of the rotating bar 230 and transmitted.

아울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파우치 자동 묶음 장치는 제1 파우치(10a)의 상면에 밴딩 테이프(20)가 부착된 상태로 적층 배치된 파우치(10)를 이송하는 이송부(300)와, 제1 파우치(10a)의 상면에 부착된 밴딩 테이프(20)의 양단을 제2 파우치(10b)의 하면에 부착하되, 제1 파우치(10a)와 제2 파우치(10b)의 둘레를 상호 밀착시킨 상태에서 밴딩 테이프(20)의 양단을 부착하는 밴딩부(400)와, 밴딩 테이프(20)를 통해 묶인 상태의 파우치(10)를 배출하는 배출부(500) 및 각 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600)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automatic food pouch bundl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ransfer unit 300 that transfers the pouches 10 stacked with the banding tape 20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pouch 10a, Both ends of the banding tape 20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pouch 10a are attach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pouch 10b, and the circumferences of the first pouch 10a and the second pouch 10b ar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A banding part 400 that attaches both ends of the banding tape 20 in the state, a discharge part 500 that discharges the pouch 10 in a tied state through the banding tape 20, and a control part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each part ( 600).

즉, 전술한 바와 같이, 투입부(100)를 통해 투입된 제1 파우치(10a)와 제2 파우치(10b)는 둘레(12)가 각각 이격 배치되므로 밴딩부(400)를 통해 제1 파우치(10a)의 둘레(12)와 제2 파우치(10b)의 둘레(12)가 상호 밀착된 상태에서 밴딩 테이프(20)를 부착하는 것이 중요하다.That is, as described above, the circumferences 12 of the first pouch 10a and the second pouch 10b introduced through the input unit 10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so that the first pouch 10a is inserted through the bending unit 400. It is important to attach the banding tape 20 while the circumference 12 of ) and the circumference 12 of the second pouch 10b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또한, 묶음 상태의 파우치(10)를 배출하는 배출부(500)에는 배출 벨트가 구비될 수 있다. 즉, 묶음 상태의 파우치(10)가 배출 벨트로 이동하게 되면 배출 벨트를 타고 적재 장소로 이동하게 된다.Additionally, the discharge unit 500 that discharges the bundled pouches 10 may be equipped with a discharge belt. That is, when the bundled pouches 10 move to the discharge belt, they move to the loading location along the discharge belt.

이와 같이 낱개 포장된 식품 파우치(10)를 높이 방향(Z)으로 적층 배치한 상태에서 자동으로 묶어주므로 생산성이 향상되고, 상측에 배치된 제1 파우치(10a)와 하측에 배치된 제2 파우치(10b)의 둘레(12)가 상호 밀착된 상태로 밴딩 테이프(20)를 이용해서 묶어주게 되므로 제1 파우치(10a)와 제2 파우치(10b)의 묶음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뿐만 아니라 적재 공간을 덜 차지하게 되므로 효율적인 적재가 가능하다.In this way, productivity is improved because the individually packaged food pouches 10 are automatically bundled in a stacked arrangement in the height direction (Z), and the first pouch 10a disposed on the upper side and the second pouch disposed on the lower side ( Since the circumferences 12 of 10b) are tied together using the banding tape 20 in a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not only the bundled state of the first pouch 10a and the second pouch 10b is maintained stably, but also the loading space is maintained. Since it takes up less space, efficient loading is possible.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밴딩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ending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밴딩부(400)는, 이송부(300)를 통해 이송된 파우치(10)가 배치되는 하부 리프터(410)와, 하부 리프터(410)에 파우치(10)가 배치되면 제1 파우치(10a)와 제2 파우치(10b)의 둘레(12)가 상호 밀착하도록 제1 파우치(10a)의 둘레를 높이 방향(Z)을 따라 하향 가압하는 상부 홀더(420)와, 밴딩 테이프(20)의 양단을 잡아당긴 상태에서 밴딩 테이프(20)의 양단을 제2 파우치(10b)의 하면에 부착하는 측부 폴더(430)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6, the bending unit 400 has a lower lifter 410 on which the pouch 10 transported through the transfer unit 300 is placed, and when the pouch 10 is placed on the lower lifter 410. An upper holder 420 that presses the circumference of the first pouch 10a downward along the height direction Z so that the circumferences 12 of the first pouch 10a and the second pouch 10b come into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and a banding tape It may include a side folder 430 that attaches both ends of the banding tape 20 to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pouch 10b while both ends of the banding tape 20 are pulled.

즉, 이송된 파우치(10)가 하부 리프터(410)에 배치되면 하부 리프터(410)의 상부에 배치된 상부 홀더(420)를 이용해서 제1 파우치(10a)와 제2 파우치(10b)의 둘레가 상호 밀착하도록 하향 가압하게 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측부 폴더(430)를 이용해서 밴딩 테이프(20)의 양단을 잡아당긴 후 제2 파우치(10b)의 하면에 부착하는 것이다.That is, when the transferred pouch 10 is placed on the lower lifter 410, the circumference of the first pouch 10a and the second pouch 10b is lifted using the upper holder 420 placed on the upper part of the lower lifter 410. are pressed downward so that they come into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and in this state, both ends of the banding tape 20 are pulled using the side folder 430 and then attach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pouch 10b.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부 리프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lower lif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리프터(410)는, 제2 파우치(10b)의 하면을 지지하는 베이스 플레이트(411)와, 베이스 플레이트(411)의 폭 방향(W) 양단에 배치되되, 제2 파우치(10b)의 둘레(12)에 상향 경사가 형성되도록 베이스 플레이트(411)의 상면보다 높이 방향(Z)을 따라 상향 돌출된 상향 리브(412)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7, the lower lifter 410 is disposed at both ends of the base plate 411 supporting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pouch 10b and the base plate 411 in the width direction (W). 2 The pouch 10b may include an upward rib 412 that protrudes upward along the height direction Z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late 411 so that an upward slope is formed around the perimeter 12 of the pouch 10b.

즉, 적층 배치된 파우치(10)가 이송부(300)를 통해 하부 리프터(410)의 베이스 플레이트(411)로 이송되면 제1 파우치(10a)와 제2 파우치(10b)의 자중에 의해 이들 파우치(10)가 베이스 플레이트(411)에 안정적으로 안착 배치되되, 제2 파우치(10b)의 둘레는 상향 리브(412)에 의해 상향 경사가 형성되면서 제1 파우치(10a)의 둘레와 인접하도록 상향 배치된다.That is, when the stacked pouches 10 are transferred to the base plate 411 of the lower lifter 410 through the transfer unit 300, these pouches (10a) are moved by their own weight. 10) is stably seated on the base plate 411, and the circumference of the second pouch 10b is inclined upward by the upward rib 412 and is disposed upward to be adjacent to the circumference of the first pouch 10a. .

이와 같이 구성하면 상부 홀더(420)를 이용해서 제1 파우치(10a)의 둘레를 하향 가압할 때 제2 파우치(10b)의 둘레가 상향 배치된 상태이므로 제1 파우치(10a)의 둘레를 적절하게 하향 가압하더라도 제1 파우치(10a)의 둘레와 제2 파우치(10b)의 둘레가 상호 밀착하게 되며, 제1 파우치(10a)의 둘레를 적절하게 하향 가압하기 때문에 제1 파우치(10a)에 수용된 식품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this configuration, when the circumference of the first pouch (10a) is pressed downward using the upper holder 420, the circumference of the second pouch (10b) is positioned upward, so that the circumference of the first pouch (10a) is properly adjusted. Even when pressed downward, the circumference of the first pouch (10a) and the circumference of the second pouch (10b) come into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and since the circumference of the first pouch (10a) is appropriately pressed downward, the food contained in the first pouch (10a) This can prevent damage.

이때, 베이스 플레이트(411)에는 밴딩 테이프(20)의 양단을 잡아당기고 있는 측부 폴더(430)가 제2 파우치(10b)의 하면으로 이동하도록 폭 방향(W) 내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삽입홈(411a)이 구비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base plate 411 has a first insertion groove extending inward in the width direction (W) so that the side folder 430, which is pulling both ends of the banding tape 20, moves to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pouch 10b. (411a) may be provided.

즉, 전술한 바와 같이, 적층 배치된 파우치(10)가 이송부(300)를 통해 하부 리프터(410)의 베이스 플레이트(411)로 이송되면 제1 파우치(10a)와 제2 파우치(10b)의 자중에 의해 이들 파우치(10)가 베이스 플레이트(411)에 안착 배치된 상태이나, 베이스 플레이트(411)에 제1 삽입홈(411a)이 형성되면 제2 파우치(10b)의 하면의 일정 부분이 하측으로 노출되므로 이러한 부분에 밴딩 테이프(20)를 쉽게 부착할 수 있게 된다.That is, as described above, when the stacked pouches 10 are transferred to the base plate 411 of the lower lifter 410 through the transfer unit 300, the self-weight of the first pouch 10a and the second pouch 10b These pouches 10 are seated and placed on the base plate 411, but when the first insertion groove 411a is formed in the base plate 411, a certain portion of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pouch 10b moves downward. Since it is exposed, the banding tape 20 can be easily attached to this part.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부 홀더를 도시한 사시도이다.Figure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upper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홀더(420)는, 제1 파우치(10a)의 상부에 배치되는 상부 플레이트(421)와, 상부 플레이트(421)의 폭 방향(W) 양단에 배치되되, 제1 파우치(10a)의 둘레(12)가 제2 파우치(10b)의 둘레(12)에 밀착하도록 제1 파우치(10a)의 둘레(12)를 가압하는 하향 리브(422)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8, the upper holder 420 is disposed at both ends of the upper plate 421 in the upper part of the first pouch 10a in the width direction (W) of the upper plate 421. 1 It may include a downward rib 422 that presses the circumference 12 of the first pouch 10a so that the circumference 12 of the pouch 10a comes into close contact with the circumference 12 of the second pouch 10b.

즉, 하부 리프터(410)에 제1 파우치(10a)와 제2 파우치(10b)가 적층 배치된 상태에서 제1 파우치(10a)의 둘레(12)를 가압할 때 상부 플레이트(421)의 양단에 하향 연장 형성된 하향 리브(422)를 이용해서 가압하게 되므로 상부 플레이트(421)와 하향 리브(422)로 인해 형성되는 공간에 제1 파우치(10a)에 수용된 식품이 배치되어 식품을 손상시키기 않고 제1 파우치(10a)의 둘레를 효과적으로 가압할 수 있게 된다.That is, when the first pouch 10a and the second pouch 10b are stacked on the lower lifter 410 and the circumference 12 of the first pouch 10a is pressed, pressure is applied to both ends of the upper plate 421. Since the pressure is applied using the downwardly extending downward rib 422, the food contained in the first pouch 10a is placed in the space formed by the upper plate 421 and the downward rib 422, so that the food is stored in the first pouch 10a without damaging the food.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ssurize the circumference of the pouch (10a).

이때, 하향 리브(422)에는 제1 파우치(10a)의 상면에 부착된 밴딩 테이프(20)를 가압하지 않은 상태에서 제1 파우치(10a)의 둘레(12)만 가압하도록 높이 방향(Z)을 따라 밴딩 테이프(20)와 오버랩 배치되는 위치에 제2 삽입홈(422a)이 구비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downward rib 422 is oriented in the height direction (Z) so as to press only the circumference 12 of the first pouch 10a without pressing the banding tape 20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pouch 10a. Accordingly, the second insertion groove 422a may be provided at a position overlapping with the banding tape 20.

즉, 제1 파우치(10a)의 둘레(12)와 제2 파우치(10b)의 둘레(12)가 상호 밀착하도록 상부 홀더(420)가 높이 방향(Z)을 따라 하향 이동하면서 제1 파우치(10a)의 둘레(12)를 가압하게 되는데 제1 파우치(10a)와 제2 파우치(10b)의 둘레(12)가 밀착하지 않은 상태에서 밴딩 테이프(20)가 부착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며, 상부 홀더(420)가 하향 이동하는 과정에서 밴딩 테이프(20)는 상향 연장된 제2 삽입홈(422a)에 배치되므로 밴딩 테이프(20)가 하향 리브(422)에 의해 가압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That is, the upper holder 420 moves downward along the height direction (Z) so that the circumference 12 of the first pouch 10a and the circumference 12 of the second pouch 10b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thereby holding the first pouch 10a. ) is pressed, and it is important to ensure that the banding tape 20 is not attached when the circumferences 12 of the first pouch 10a and the second pouch 10b are not in close contact, and the upper holder In the process of moving 420 downward, the banding tape 20 is placed in the upwardly extending second insertion groove 422a, so the banding tape 20 can be stably placed without being pressed by the downward rib 422. .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부 홀더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부 홀더를 도시한 정면도이다.Figure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upper hold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10 is a front view showing an upper hold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홀더(420)에는 제1 파우치(10a)의 상면을 가압하는 가압 스펀지(423)가 구비될 수 있다. 가압 스펀지(423)는 상부 플레이트(421)와 하향 리브(422)가 연결되는 모서리 부분에 배치된 상태에서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가압 스펀지(423)를 통해 밴딩 테이프(20)가 제1 파우치(10a)의 상면에 안정적으로 부착될 수 있도록 가압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9 and 10, the upper holder 420 may be provided with a pressure sponge 423 that presses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pouch 10a. The pressure sponge 423 may be formed to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hile being disposed at a corner where the upper plate 421 and the downward rib 422 are connected. The banding tape 20 can be pressurized through the pressurizing sponge 423 so that it can be stably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pouch 10a.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부 폴더를 도시한 사시도이다.Figure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ide f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부 폴더(430)는 밴딩 테이프(20)의 양단이 흡착되는 흡착면(431a)이 구비된 바디(431)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1, the side folder 430 may include a body 431 provided with an adsorption surface 431a to which both ends of the banding tape 20 are adsorbed.

일 예로, 밴딩 테이프(20)의 하면에 부착면이 배치되는 경우 흡착면(431a)은 밴딩 테이프(20)의 상면을 흡착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부착면의 부착 성능을 저하시키지 않으면서도 밴딩 테이프(20)의 양단을 효과적으로 잡아당길 수 있게 된다.For example, when the attachment surface is dispos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anding tape 20, the adsorption surface 431a may be configured to adsorb the upper surface of the banding tape 20, without deteriorating the adhesion performance of the attachment surface. Both ends of the banding tape 20 can be effectively pulled.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부 폴더에 구비된 바디를 확대 도시한 정면도이다.Figure 12 is an enlarged front view of a body provided in a side f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착면(431a)에는 하부 리프터(410)가 상향 이동하는 과정에서 밴딩 테이프(20)의 양단이 흡착되도록 폭 방향(W) 내측을 향해 제1 경사(Θ1)가 형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2, the adsorption surface 431a has a first inclination Θ1 toward the inside in the width direction W so that both ends of the banding tape 20 are adsorbed during the upward movement of the lower lifter 410. can be formed.

즉, 제1 파우치(10a)의 상면에 부착된 밴딩 테이프(20)는 자중에 의해 양단이 하향 배치된 상태이므로 흡착면(431a)에 폭 방향(W) 내측을 향해 제1 경사(Θ1)가 형성되면 밴딩 테이프(20)의 양단이 흡착되는 과정에서 밴딩 테이프(20)에 변형이 발생하지 않게 되어 밴딩 테이프(20)의 안정적인 부착이 가능하게 된다.That is, since both ends of the banding tape 20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pouch 10a are disposed downward due to its own weight, a first inclination Θ1 is formed on the suction surface 431a toward the inside in the width direction (W). Once formed, no deformation occurs in the banding tape 20 during the process of adsorption of both ends of the banding tape 20, thereby enabling stable attachment of the banding tape 20.

이때, 바디(431)에는 밴딩 테이프(20)의 양단이 제2 파우치(10b)의 하면에 부착되도록 밴딩 테이프(20)의 양단을 가압하는 가압면(431b)이 구비될 수 있다. 즉, 가압면(431b)을 통해 밴딩 테이프(20)의 부착 상태가 향상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body 431 may be provided with a pressing surface 431b that presses both ends of the banding tape 20 so that both ends of the banding tape 20 are attach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pouch 10b. That is, the attachment state of the banding tape 20 can be improved through the pressing surface 431b.

이러한 가압면(431b)에는 폭 방향(W) 외측을 향해 제2 경사(Θ2)가 형성될 수 있다.A second slope Θ2 may be formed on this pressing surface 431b toward the outside in the width direction W.

즉, 이와 같이 가압면(431b)에는 폭 방향(W) 외측을 향해 제2 경사(Θ2)가 형성되면 밴딩 테이프(20)의 양단을 제2 파우치(10b)의 하면에 부착하기 위해 바디(431)가 폭 방향(W) 내측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폭 방향(W) 외측부터 밴딩 테이프(20)가 순차적으로 부착될 수 있게 되어 밴딩 테이프(20)의 부착 상태가 향상될 수 있다.That is, when a second slope Θ2 is formed on the pressing surface 431b toward the outside in the width direction (W), the body 431 is attached to both ends of the banding tape 20 to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pouch 10b. ) In the process of moving inward in the width direction (W), the banding tape 20 can be sequentially attached from the outside in the width direction (W), so that the attachment condition of the banding tape 20 can be improved.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착면(431a)에는 공기압을 이용해서 밴딩 테이프(20)의 양단을 흡착하는 흡기홀(431c)이 구비되고, 바디(431)에는 흡기홀(431c)과 연통된 상태에서 공기를 흡입하는 흡기 포트(432)가 구비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1, the suction surface 431a is provided with an intake hole 431c for adsorbing both ends of the banding tape 20 using air pressure, and the body 431 has an intake hole 431c in communication with the intake hole 431c. An intake port 432 that intakes air may be provided.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밴딩 테이프(20)의 양단을 효과적으로 당길 수 있게 되어 밴딩 테이프(20) 부착 과정에서 파우치(10)를 최대한 당기면서 부착할 수 있게 된다.With this configuration, both ends of the banding tape 20 can be effectively pulled, making it possible to attach the pouch 10 while pulling it as much as possible during the process of attaching the banding tape 20.

또한, 밴딩 테이프(20)의 부착 과정에 진행됨에 따라 바디(431)가 폭 방향(W) 내측으로 점진적으로 이동하게 되면 흡착면(431a)에 흡착된 밴딩 테이프(20)의 양단이 흡착면(431a)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흡착된 면적이 감소하게 된다.In addition, as the body 431 gradually moves inward in the width direction (W) as the attachment process of the banding tape 20 progresses, both ends of the banding tape 20 adsorbed on the adsorption surface 431a are attached to the adsorption surface ( As it slides along 431a), the adsorbed area decreases.

이때, 밴딩 테이프(20)의 양단이 흡착된 면적이 감소하는 과정에서 흡기홀(431c)이 외부로 노출되면 외부 공기도 흡기홀(431c)을 통해 유입되므로 밴딩 테이프(20)의 양단이 흡착되는 정도가 상대적으로 감소할 수 있으나, 밴딩 테이프(20)의 양단 중 일정 부분이 이미 제2 파우치(10b)의 하면에 부착된 상태이므로 파우치(10)의 당김 상태는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when the intake hole (431c) is exposed to the outside in the process of reducing the area where both ends of the banding tape (20) is adsorbed, external air also flows in through the intake hole (431c), so both ends of the banding tape (20) are adsorbed. The degree may be relatively reduced, but since a certain portion of both ends of the banding tape 20 is already attach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pouch 10b, the pulling state of the pouch 10 can be stably maintained.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부 리프터에 배치된 파우치를 상부 홀더가 가압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Figure 13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n upper holder is pressing a pouch placed on a lower lif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600)는 하부 리프터(410)에 파우치(10)가 배치되면 제1 파우치(10a)와 제2 파우치(10b)의 둘레(12)가 상호 밀착하도록 상부 홀더(420)를 하향 이동시킬 수 있다.As shown in FIG. 13, when the pouch 10 is placed on the lower lifter 410, the control unit 600 moves the upper holder so that the circumferences 12 of the first pouch 10a and the second pouch 10b come into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420) can be moved downward.

즉, 적층 배치된 파우치(10)가 이송부(300)를 통해 하부 리프터(410)의 베이스 플레이트(411)로 이송되면 제2 파우치(10b)의 둘레는 상향 리브(412)에 의해 상향 경사가 형성되면서 제1 파우치(10a)의 둘레와 인접하도록 상향 배치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상부 홀더(420)를 이용해서 제1 파우치(10a)의 둘레를 하향 가압해서 제1 파우치(10a)의 둘레와 제2 파우치(10b)의 둘레가 상호 밀착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That is, when the stacked pouches 10 are transferred to the base plate 411 of the lower lifter 410 through the transfer unit 300, the circumference of the second pouch 10b is inclined upward by the upward rib 412. It is disposed upward so as to be adjacent to the circumference of the first pouch (10a), and in this state, the circumference of the first pouch (10a) is pressed downward using the upper holder 420 to form the circumference of the first pouch (10a) and the second pouch (10a). The perimeter of the pouch 10b is configur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이때, 상부 홀더(420)가 하향 이동하는 과정에서 밴딩 테이프(20)는 하향 리브(422)에 형성된 제2 삽입홈(422a)에 배치되므로 밴딩 테이프(20)가 하향 리브(422)에 의해 가압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At this time, in the process of the upper holder 420 moving downward, the banding tape 20 is placed in the second insertion groove 422a formed in the downward rib 422, so the banding tape 20 is pressed by the downward rib 422. It can be placed stably without being damaged.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부 폴더가 밴딩 테이프의 양단을 흡착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Figure 14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side folder is adsorbing both ends of a banding ta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600)는 제1 파우치(10a)와 제2 파우치(10b)의 둘레(12)가 상호 밀착하면 하부 리프터(410)와 상부 홀더(420)를 동시에 상향 이동시키되, 밴딩 테이프(20)의 양단이 흡착면(431a)에 흡착되도록 하부 리프터(410)와 상부 홀더(420)를 제1 높이(h1)까지 상향 이동시키며, 제1 높이(h1)는 흡착면(431a)의 상단이 위치하는 높이일 수 있다.As shown in FIG. 14, the control unit 600 simultaneously moves the lower lifter 410 and the upper holder 420 upward when the circumferences 12 of the first pouch 10a and the second pouch 10b come into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However, the lower lifter 410 and the upper holder 420 are moved upward to the first height h1 so that both ends of the banding tape 20 are adsorbed to the adsorption surface 431a, and the first height h1 is the adsorption surface 431a. This may be the height at which the top of (431a) is located.

즉, 하부 리프터(410)와 상부 홀더(420)를 동시에 상향 이동하므로 제1 파우치(10a)와 제2 파우치(10b)의 둘레(12)가 밀착된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하부 리프터(410)와 상부 홀더(420)를 제1 높이(h1)까지 상향 이동하므로 밴딩 테이프(20)의 양단이 흡착면(431a)에 안정적으로 흡착될 수 있게 된다.That is, since the lower lifter 410 and the upper holder 420 move upward simultaneously, the periphery 12 of the first pouch 10a and the second pouch 10b can be stably maintained in close contact. In addition, since the lower lifter 410 and the upper holder 420 are moved upward to the first height h1, both ends of the banding tape 20 can be stably adsorbed to the suction surface 431a.

이때, 제어부(600)는 밴딩 테이프(20)의 양단이 흡착면(431a)에 흡착되면 하부 리프터(410)와 상부 홀더(420)를 제2 높이(h2)까지 상향 이동시키며, 제2 높이(h2)는 가압면(431b)의 하단과 가압면(431b)의 상단 사이에 위치하는 가압 위치까지의 높이일 수 있다.At this time, when both ends of the banding tape 20 are adsorbed to the adsorption surface 431a, the control unit 600 moves the lower lifter 410 and the upper holder 420 upward to the second height (h2), and moves the lower lifter 410 and the upper holder 420 upward to the second height (h2). h2) may be the height to the pressing position located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pressing surface 431b and the upper end of the pressing surface 431b.

즉,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리프터(410)와 상부 홀더(420)가 제2 높이(h2)까지 상향 이동하는 과정에서 밴딩 테이프(20)를 이용해서 파우치(10)를 최대한 당길 수 있게 된다.That is, as shown in FIG. 14, the pouch 10 can be pulled as much as possible using the banding tape 20 while the lower lifter 410 and the upper holder 420 move upward to the second height h2. There will be.

일 예로, 가압 위치가 가압면(431b)의 하단에 인접하게 배치되면 하부 리프터(410)와 상부 홀더(420)가 제1 높이(h1)에서부터 제2 높이(h2)까지 추가로 상향 이동하는 높이가 작게 형성되어 파우치(10)의 당김 정도도 작게 형성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바디(431)를 폭 방향(W) 내측으로 이동시키면서 밴딩 테이프(20)의 양단을 부착하게 되면 가압 위치에서부터 가압면(431b) 상단까지의 높이가 크게 형성되어 바디(431)가 제2 파우치(10b)의 하면을 가압하는 가압력이 증가하게 되며, 밴딩 테이프(20)의 부착 상태도 향상될 수 있다. 다만, 바디(431)로 인해 인가되는 가압력으로 인해 제2 파우치(10b)에 수용된 식품이 파손되지 않도록 구성하는 것이 중요하다.For example, when the pressing position is disposed adjacent to the bottom of the pressing surface 431b, the lower lifter 410 and the upper holder 420 move further upward from the first height h1 to the second height h2. is formed small, so the degree of pulling of the pouch 10 is also formed to be small. In this state, when both ends of the banding tape 20 are attached while moving the body 431 inward in the width direction (W), the height from the pressing position to the top of the pressing surface 431b is formed to be large, so that the body 431 is removed. 2 The pressing force pressing the lower surface of the pouch 10b increases, and the attachment condition of the banding tape 20 can also be improved. However, it is important to configure the food contained in the second pouch 10b so that it is not damaged due to the pressing force applied by the body 431.

다른 예로, 가압 위치가 가압면(431b)의 상단에 인접하게 배치되면 하부 리프터(410)와 상부 홀더(420)가 제1 높이(h1)에서부터 제2 높이(h2)까지 추가로 상향 이동하는 높이가 크게 형성되어 파우치(10)의 당김 정도도 크게 형성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바디(431)를 폭 방향(W) 내측으로 이동시키면서 밴딩 테이프(20)의 양단을 부착하게 되면 가압 위치에서부터 가압면(431b) 상단까지의 높이가 작게 형성되어 바디(431)가 제2 파우치(10b)의 하면을 가압하는 가압력이 감소하게 되며, 밴딩 테이프(20)의 부착 상태가 일부 감소할 수 있으나, 바디(431)로 인해 인가되는 가압력으로 인해 제2 파우치(10b)에 수용된 식품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As another example, when the pressing position is disposed adjacent to the top of the pressing surface 431b, the lower lifter 410 and the upper holder 420 move further upward from the first height h1 to the second height h2. is formed large, so the degree of pulling of the pouch 10 is also formed large. In this state, when both ends of the banding tape 20 are attached while moving the body 431 inward in the width direction (W), the height from the pressing position to the top of the pressing surface 431b is formed to be small, so that the body 431 is 2 The pressing force pressing the lower surface of the pouch 10b is reduced, and the attachment condition of the banding tape 20 may be partially reduced, but due to the pressing force applied by the body 431, the It is possible to prevent food from being damaged.

즉, 가압 위치가 배치되는 제2 높이(h2)에 따라 밴딩 테이프(20)의 부착 상태와 제2 파우치(10b)에 수용된 식품의 파손 여부가 달라지게 되므로 파우치(10)에 수용된 식품의 종류에 맞게 적절한 가압 위치를 설정하여 밴딩 테이프(20)의 부착 상태를 최대한 향상시킴과 동시에 밴딩 테이프(20) 부착 시 제2 파우치(10b)에 수용된 식품이 파손되지 않도록 구성하는 것이 중요하다.That is, the attachment state of the banding tape 20 and whether or not the food contained in the second pouch 10b is damaged vary depending on the second height h2 at which the pressing position is placed, so it depends on the type of food contained in the pouch 10. It is important to set an appropriate pressure position to maximize the attachment condition of the banding tape 20 and at the same time prevent the food contained in the second pouch 10b from being damaged when attaching the banding tape 20.

이때, 제어부(600)는 하부 리프터(410)와 상부 홀더(420)를 제2 높이(h2)까지 한 번에 상향 이동시킬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더라도 하부 리프터(410)와 상부 홀더(420)가 제2 높이(h2)까지 상향 이동하는 과정에서 제1 높이(h1)를 통과하게 되므로 밴딩 테이프(20)의 양단이 흡착면(431a)에 안정적으로 흡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밴딩 테이프(20)를 이용해서 파우치(10)를 최대한 당길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600 may move the lower lifter 410 and the upper holder 420 upward at the same time to the second height h2. Even with this configuration, the lower lifter 410 and the upper holder 420 pass through the first height h1 in the process of moving upward to the second height h2, so both ends of the banding tape 20 have the adsorption surface 431a. ), and the pouch (10) can be pulled as much as possible using the banding tape (20).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품 파우치 자동 묶음 장치는 낱개 포장된 식품 파우치(10)를 높이 방향(Z)으로 적층 배치한 상태에서 자동으로 묶어주므로 생산성이 향상되고, 상측에 배치된 제1 파우치(10a)와 하측에 배치된 제2 파우치(10b)의 둘레(12)가 상호 밀착된 상태로 밴딩 테이프(20)를 이용해서 묶어주게 되므로 제1 파우치(10a)와 제2 파우치(10b)의 묶음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뿐만 아니라 적재 공간을 덜 차지하게 되므로 효율적인 적재가 가능하다.As seen above, the automatic food pouch bundl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utomatically bundles individually packaged food pouches (10) in a stacked arrangement in the height direction (Z), thereby improving productivity and placing them on the upper side. The circumference 12 of the first pouch 10a and the second pouch 10b disposed on the lower side are tied together using the banding tape 20 in a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so that the first pouch 10a and the second pouch Not only is the bundled state of (10b) maintained stably, but it also takes up less loading space, enabling efficient loading.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Althoug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present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ho underst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underst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spirit. Other embodiments can be easily proposed by addition, change, deletion, addition, etc., but this will also be said to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파우치 10a : 제1 파우치
10b : 제2 파우치 11 : 식품 수용 공간
12 : 둘레 20 : 밴딩 테이프
100 : 투입부 200 : 공급부
210 : 가압 플레이트 211 : 가압 리브
220 : 회전 샤프트 230 : 회동바
240 : 회동 실린더 250 : 연결바
300 : 이송부 400 : 밴딩부
410 : 하부 리프터 411 : 베이스 플레이트
411a : 제1 삽입홈 412 : 상향 리브
420 : 상부 홀더 421 : 상부 플레이트
422 : 하향 리브 422a : 제2 삽입홈
432 : 가압 스펀지 430 : 측부 폴더
431 : 바디 431a : 흡착면
431b : 가압면 431c : 흡기홀
432 : 흡기 포트 500 : 배출부
600 : 제어부 h1 : 제1 높이
h2 : 제2 높이 W : 폭 방향
Z : 높이 방향 Θ1 : 제1 경사
Θ2 : 제2 경사
10: Pouch 10a: First pouch
10b: second pouch 11: food accommodation space
12: Circumference 20: Banding tape
100: input part 200: supply part
210: Pressure plate 211: Pressure rib
220: Rotating shaft 230: Rotating bar
240: rotating cylinder 250: connecting bar
300: transfer unit 400: bending unit
410: lower lifter 411: base plate
411a: first insertion groove 412: upward rib
420: upper holder 421: upper plate
422: Downward rib 422a: Second insertion groove
432: Pressurized sponge 430: Side folder
431: Body 431a: Suction surface
431b: Pressure surface 431c: Intake hole
432: intake port 500: discharge portion
600: Control unit h1: First height
h2: Second height W: Width direction
Z: Height direction Θ1: First slope
Θ2: Second slope

Claims (14)

식품 수용 공간이 형성되도록 둘레가 밀봉된 파우치를 높이 방향으로 적층 배치한 상태로 투입하되, 둘레가 상호 이격된 상태로 상측에 배치된 제1 파우치와 하측에 배치된 제2 파우치를 투입하는 투입부;
적층 배치된 상기 파우치를 묶는 밴딩 테이프를 공급하되, 상기 밴딩 테이프가 상기 제1 파우치의 상면에 부착되도록 상기 밴딩 테이프를 공급하는 공급부;
상기 제1 파우치의 상면에 상기 밴딩 테이프가 부착된 상태로 적층 배치된 상기 파우치를 이송하는 이송부;
상기 제1 파우치의 상면에 부착된 상기 밴딩 테이프의 양단을 상기 제2 파우치의 하면에 부착하되, 상기 제1 파우치와 상기 제2 파우치의 둘레를 상호 밀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밴딩 테이프의 양단을 부착하는 밴딩부;
상기 밴딩 테이프를 통해 묶인 상태의 상기 파우치를 배출하는 배출부; 및
상기 각 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밴딩부는, 상기 이송부를 통해 이송된 상기 파우치가 배치되는 하부 리프터와, 상기 하부 리프터에 상기 파우치가 배치되면 상기 제1 파우치와 상기 제2 파우치의 둘레가 상호 밀착하도록 상기 제1 파우치의 둘레를 높이 방향을 따라 하향 가압하는 상부 홀더와, 상기 밴딩 테이프의 양단을 잡아당긴 상태에서 상기 밴딩 테이프의 양단을 상기 제2 파우치의 하면에 부착하는 측부 폴더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리프터는, 상기 제2 파우치의 하면을 지지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폭 방향 양단에 배치되되, 상기 제2 파우치의 둘레에 상향 경사가 형성되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보다 높이 방향을 따라 상향 돌출된 상향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측부 폴더는 상기 밴딩 테이프의 양단이 흡착되는 흡착면이 구비된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흡착면에는 상기 하부 리프터가 상향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밴딩 테이프의 양단이 흡착되도록 폭 방향 내측을 향해 제1 경사가 형성되는 식품 파우치 자동 묶음 장치.
Pouches with sealed perimeters are placed in a stacked manner in the height direction to form a food storage space, and the input unit inserts the first pouch disposed on the upper side and the second pouch disposed on the lower side with the circumferenc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
a supply unit that supplies banding tape to bind the stacked pouches so that the banding tape is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pouch;
a transfer unit that transfers the pouches stacked with the banding tape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pouch;
Attaching both ends of the banding tape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pouch to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pouch, and attaching both ends of the banding tape while the circumferences of the first pouch and the second pouch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Banding part;
a discharge unit that discharges the pouch tied through the banding tape; and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each unit;
Including,
The bending portion includes a lower lifter on which the pouch transported through the transfer unit is placed, and a circumference of the first pouch so that when the pouch is placed on the lower lifter, the circumferences of the first pouch and the second pouch come into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It includes an upper holder that presses downward along the height direction, and a side folder that attaches both ends of the banding tape to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pouch while pulling both ends of the banding tape,
The lower lifter includes a base plate supporting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pouch, and is disposed at both ends of the base plate in the width direction, and is positioned in a higher direction tha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late so that an upward slope is formed around the second pouch. It includes an upward rib projecting upward along,
The side folder includes a body provided with an adsorption surface to which both ends of the banding tape are adsorbed,
An automatic food pouch bundling device in which a first inclination is formed on the suction surface toward the inside in the width direction so that both ends of the banding tape are adsorbed during the process of upward movement of the lower lifter.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는 상기 밴딩 테이프의 양단을 잡아당기고 있는 상기 측부 폴더가 상기 제2 파우치의 하면으로 이동하도록 폭 방향 내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삽입홈이 구비되는 식품 파우치 자동 묶음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base plate is provided with a first insertion groove extending inward in the width direction so that the side folder pulling both ends of the banding tape moves to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pouch.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홀더는, 상기 제1 파우치의 상부에 배치되는 상부 플레이트와,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폭 방향 양단에 배치되되, 상기 제1 파우치의 둘레가 상기 제2 파우치의 둘레에 밀착하도록 상기 제1 파우치의 둘레를 가압하는 하향 리브를 포함하는 식품 파우치 자동 묶음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upper holder includes an upper plate disposed on the upper part of the first pouch, and disposed at both ends of the upper plate in the width direction, and holds the first pouch so that the circumference of the first pouch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circumference of the second pouch. Automatic bundling device for food pouches with downward ribs that pressurize the perimeter.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향 리브에는 상기 제1 파우치의 상면에 부착된 상기 밴딩 테이프를 가압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제1 파우치의 둘레만 가압하도록 높이 방향을 따라 상기 밴딩 테이프와 오버랩 배치되는 위치에 제2 삽입홈이 구비되는 식품 파우치 자동 묶음 장치.
According to clause 5,
The downward rib is provided with a second insertion groove at a position overlapping with the banding tape along the height direction to press only the circumference of the first pouch without pressing the banding tape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pouch. Automatic food pouch bundling devic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에는 상기 밴딩 테이프의 양단이 상기 제2 파우치의 하면에 부착되도록 상기 밴딩 테이프의 양단을 가압하는 가압면이 구비되는 식품 파우치 자동 묶음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An automatic food pouch bundling device wherein the body is provided with a pressure surface that presses both ends of the banding tape so that both ends of the banding tape are attach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pouch.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면에는 폭 방향 외측을 향해 제2 경사가 형성되는 식품 파우치 자동 묶음 장치.
According to clause 9,
An automatic food pouch bundling device in which a second slope is formed on the pressing surface toward the outer side in the width dire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면에는 공기압을 이용해서 상기 밴딩 테이프의 양단을 흡착하는 흡기홀이 구비되고,
상기 바디에는 상기 흡기홀과 연통된 상태에서 공기를 흡입하는 흡기 포트가 구비되는 식품 파우치 자동 묶음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suction surface is provided with an intake hole for adsorbing both ends of the banding tape using air pressure,
An automatic food pouch bundling device wherein the body is provided with an intake port for sucking air while communicating with the intake hole.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하부 리프터에 상기 파우치가 배치되면 상기 제1 파우치와 상기 제2 파우치의 둘레가 상호 밀착하도록 상기 상부 홀더를 하향 이동시키는 식품 파우치 자동 묶음 장치.
According to clause 10,
The control unit moves the upper holder downward so that the circumferences of the first pouch and the second pouch come into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when the pouch is placed on the lower lifter.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파우치와 상기 제2 파우치의 둘레가 상호 밀착하면 상기 하부 리프터와 상기 상부 홀더를 동시에 상향 이동시키되, 상기 밴딩 테이프의 양단이 상기 흡착면에 흡착되도록 상기 하부 리프터와 상기 상부 홀더를 제1 높이까지 상향 이동시키며,
상기 제1 높이는 상기 흡착면의 상단이 위치하는 높이인 식품 파우치 자동 묶음 장치.
According to clause 12,
The control unit simultaneously moves the lower lifter and the upper holder upward when the circumferences of the first pouch and the second pouch come into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and moves the lower lifter and the upper holder so that both ends of the bending tape are adsorbed to the suction surface. moves upward to the first height,
The first height is an automatic food pouch bundling device where the top of the suction surface is located.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밴딩 테이프의 양단이 상기 흡착면에 흡착되면 상기 하부 리프터와 상기 상부 홀더를 제2 높이까지 상향 이동시키며,
상기 제2 높이는 상기 가압면의 하단과 상기 가압면의 상단 사이에 위치하는 가압 위치까지의 높이인 식품 파우치 자동 묶음 장치.
According to clause 13,
The control unit moves the lower lifter and the upper holder upward to a second height when both ends of the banding tape are adsorbed to the suction surface,
The second height is a food pouch automatic bundling device where the second height is the height to the pressing position located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pressing surface and the upper end of the pressing surface.
KR1020220014899A 2022-02-04 2022-02-04 Automatic packing apparatus for food pouch KR10264174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4899A KR102641749B1 (en) 2022-02-04 2022-02-04 Automatic packing apparatus for food pouch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4899A KR102641749B1 (en) 2022-02-04 2022-02-04 Automatic packing apparatus for food pouch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8377A KR20230118377A (en) 2023-08-11
KR102641749B1 true KR102641749B1 (en) 2024-02-27

Family

ID=875661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4899A KR102641749B1 (en) 2022-02-04 2022-02-04 Automatic packing apparatus for food pouch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1749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8544B1 (en) * 2019-05-09 2019-10-04 최상식 Bundle labeling machin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7098B1 (en) * 2017-01-12 2019-03-12 주식회사 제팩 Packing Tape Feeding Apparatus For Bundle Packing System, And Bundle Packing System Hav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8544B1 (en) * 2019-05-09 2019-10-04 최상식 Bundle labeling ma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8377A (en) 2023-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57311A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introducing compressible packs into a container
US7789226B2 (en) Packaged banded envelopes
AU2005284990A1 (en) Banded envelopes and method for assembling a package of banded envelopes
US6135706A (en) Method of manufacturing packing and transporting computers
KR102641749B1 (en) Automatic packing apparatus for food pouch
KR101197315B1 (en) automatic packing apparatus for bundle goods
US20180346163A1 (en) Packaging system and method
US20080124209A1 (en) Method for moving banded envelopes
CN218662658U (en) Packaging mechanism and packaging equipment
US6899225B2 (en) Yarn pack
JPH0532227A (en) Container laying device
CN111532491A (en) Single-sheet facial mask pack conveying, pressing and pushing mechanism
CN219651588U (en) Hose loading paper box
CN220683216U (en) Packing box
KR200483399Y1 (en) Cosmetic puff automatic aupply device
CN216003265U (en) Finished product baling equipment is used in corncob feed processing
ITBO20120307A1 (en) FEEDING DEVICE FOR AN INPUT LINE OF A CASING MACHINE WITH COVERED CASES CONTAINED INSIDE A CARDBOARD, AND CARDBOARD PACKAGE CONTAINING OPENED CASES
JP7180882B2 (en) liquid bag cartoning equipment
CN212891531U (en) Packing box with protection mechanism for handicraft transmission
JP4334243B2 (en) Method for unpacking and removing packaged goods and apparatus for the same
CN207826743U (en) A kind of device for plating medium auxiliary packaging
JP4609614B2 (en) Automatic product packaging method and apparatus
JPH0563368B2 (en)
JP2584616Y2 (en) Broccoli boxing equipment
JPH09183401A (en) Automatically packaging apparatus for aluminum-foil-molded product or the lik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