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0661B1 -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0661B1
KR102640661B1 KR1020190004533A KR20190004533A KR102640661B1 KR 102640661 B1 KR102640661 B1 KR 102640661B1 KR 1020190004533 A KR1020190004533 A KR 1020190004533A KR 20190004533 A KR20190004533 A KR 20190004533A KR 102640661 B1 KR102640661 B1 KR 1026406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crystal panel
array substrate
light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45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88034A (ko
Inventor
이덕원
정주영
탁준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045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0661B1/ko
Publication of KR202000880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80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06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06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14Back fram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09Filters, e.g. light shielding mask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영상이 출력되는 활성영역과 상기 활성영역 둘레에 위치하는 배젤영역을 포함하는 액정패널; 상기 액정패널의 배면에 위치하며 상기 액정패널로 광을 사출하는 백라이트 유닛; 상기 액정패널의 배면 가장자리가 안착되는 안착부, 및 상기 액정패널의 측면을 커버하는 측벽부를 포함하는 패널 가이드; 상기 배젤영역 내에 구비되며, 상기 액정패널의 배면 자장자리와 상기 안착부를 접착하는 합착부재; 및 상기 액정패널의 측면 둘레에 위치하는 차광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시네마 타입의 액정모듈(LCM)을 통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경량화, 박형화된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디바이스{DISPLAY DEVICE}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시네마 타입의 액정모듈(Liquid Crystal Module, LCM)에서 시네마 전용 액정패널(테두리가 sealing 처리된 액정패널)이 아닌 일반 액정패널을 적용하고, 액정패널 측면으로 빛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데이터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장치로,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전기영동 표시 장치(Electrophoretic Display), 유기 발광 표시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무기 EL 표시장치(Electro Luminescent Display), 전계 방출 표시 장치(Field Emission Display), 표면 전도 전자 방출 표시 장치(Surface-conduction Electron-emitter Display), 플라즈마 표시 장치(Plasma Display), 및 음극선관 표시장치(Cathode Ray Display)등이 있다.
이 중에서도 특히, 양산화 기술, 구동수단의 용이성, 고화질의 구면, 대면적 화면의 실현이 가능한 장점으로 인해 최근에는 액정표시장치(LCD)가 주로 각광을 받고 있다.
이러한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CD)는 인가 전압에 따른 액정 투과도의 변화를 이용하여 각종 장치에서 발생되는 여러 가지 전기적인 정보를 시각정보로 변화시켜 전달하는 전자 소자이다. 액정표시장치는 저전력 구동, 박형 구조, 우수한 화질을 구현할 수 있어, 종래 사용되던 CRT(Cathode Ray Tube)의 단점을 극복할 수 있는 대체 수단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액정표시장치는 크게 액정패널과 백라이트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액정패널은 투과되는 빛의 양을 조절하여 화상을 표시하는 기능을 담당하고, 백라이트 유닛은 액정패널 전체에 고르게 빛을 조사하는 조광장치로 사용된다.
액정패널과 백라이트 유닛은, 이를 고정하는 케이스 부재들과 함께 조립되어 액정모듈(Liquid Crystal Module, LCM)을 구현할 수 있다. 케이스 부재로 가이드 패널(Guide panel), 커버 보텀(Cover bottom), 케이스 탑(Case Top)등이 포함될 수 있다.
최근에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 액정표시장치의 경량화, 박형화 설계를 위해, 가이드 패널을 외관화하는 시네마 타입이 선호되고 있다. 시네마 타입의 액정모듈은 액정패널 측면으로 빛이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시네마 전용 액정패널(테두리가 sealing 처리된 액정패널)을 사용한다.
다만, 시네마 타입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도 시네마 전용 액정패널이 아닌 일반 액정패널을 사용하는 경우 제품 공정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하고, 경제적 이득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일반 액정패널을 구비하는 시네마 타입의 액정모듈에서 액정패널 측면으로 빛이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일반 액정패널을 구비하는 시네마 타입의 액정모듈에서 정전기 방전(ESD)에 의해 액정패널에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영상이 출력되는 활성영역과 상기 활성영역 둘레에 위치하는 배젤영역을 포함하는 액정패널; 상기 액정패널의 배면에 위치하며 상기 액정패널로 광을 사출하는 백라이트 유닛; 상기 액정패널의 배면 가장자리가 안착되는 안착부, 및 상기 액정패널의 측면을 커버하는 측벽부를 포함하는 패널 가이드; 상기 배젤영역 내에 구비되며, 상기 액정패널의 배면 자장자리와 상기 안착부를 접착하는 합착부재; 및 상기 액정패널의 측면 둘레에 위치하는 차광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상기 액정패널은 픽셀별 색상을 결정하는 컬러 필터 어레이 기판; 영상신호에 따라 전기적 신호를 인가하는 TFT(Thin Film Transistor) 어레이 기판; 상기 베젤영역에 대응되는 영역에 상기 컬러 필터 어레이 기판과 상기 TFT 어레이 기판 사이에 형성된 블랙 매트릭스; 및 상기 컬러 필터 어레이 기판과 상기 TFT 어레이 기판 사이에 주입된 액정을 포함하고, 상기 차광부는 상기 TFT 어레이 기판의 측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차광부는 전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액정패널의 하단부에 위치하는 하단 케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차광부와 상기 하단 케이스는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액정패널은 픽셀별 색상을 결정하는 컬러 필터 어레이 기판; 영상신호에 따라 전기적 신호를 인가하는 TFT(Thin Film Transistor) 어레이 기판; 및 상기 컬러 필터 어레이 기판과 상기 TFT 어레이 기판 사이에 주입된 액정을 포함하고, 상기 TFT 어레이 기판의 하단부는 상기 컬러필터 어레이 기판보다 하부로 더 길고, 상기 TFT 어레이 기판의 하단부 전면에 실장되는 은도트; 상기 차광부부터 상기 은도트까지 연장된 전도성 패턴; 및 상기 은도트와 상기 하단 케이스 사이에 개재된 갭패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백라이트 유닛의 배면을 커버하며 금속물질을 포함하는 커버버텀; 및 상기 하단 케이스와 상기 커버버텀을 체결하는 스크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시네마 타입의 액정모듈(LCM)을 통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경량화, 박형화된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일반 액정패널을 구비하는 시네마 타입의 액정모듈(LCM)에서 액정패널 측면으로 빛이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일반 액정패널을 구비하는 시네마 타입의 액정모듈(LCM)에서 정전기 방전(ESD)에 의해 액정패널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사시도 이다.
도 3은 도 2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분해도 이다.
도 4는 종래의 케이스톱 구조타입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단부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시네마 타입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단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2의 X-X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 발생할 수 있는 빛 누출 현상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정면도이다.
도 9는 도 2의 Y-Y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 정전기 방전 경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예를 들어 방송 수신기능에 컴퓨터 지원 기능을 추가한 지능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로서 방송 수신 기능에 충실하면서도 인터넷 기능 등이 추가되어, 수기 방식의 입력 장치, 터치 스크린 또는 공간 리모트 컨트롤러 등 보다 사용에 편리한 인터페이스를 갖출 수 있다. 그리고, 유선 또는 무선 인터넷 기능의 지원으로 인터넷 및 컴퓨터에 접속되어, 이메일, 웹브라우징, 뱅킹 또는 게임 등의 기능도 수행 가능하다. 이러한 다양한 기능을 위해 표준화된 범용 OS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기술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예를 들어 범용의 OS 커널 상에,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이 자유롭게 추가되거나 삭제 가능하므로, 사용자 친화적인 다양한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네트워크 TV, HBBTV, 스마트 TV, LED TV, OLED TV 등이 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스마트폰에도 적용 가능하다.
도 1 은 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방송 수신 모듈(130), 외부 디바이스 인터페이스(135), 메모리(140),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150), 컨트롤러(170), 무선 통신 모듈(173), 디스플레이 모듈(180), 오디오 출력 모듈(185), 전원 공급 모듈(190)를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30)은 튜너(131), 복조부(13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33)를 포함할 수 있다.
튜너(131)는 채널 선국 명렬에 따라 특정 방송 채널을 선국할 수 있다. 튜너(131)는 선국된 특정 방송 채널에 대한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복조부(132)는 수신한 방송 신호를 비디오 신호, 오디오 신호, 방송 프로그램과 관련된 데이터 신호로 분리할 수 있고, 분리된 비디오 신호, 오디오 신호 및 데이터 신호를 출력이 가능한 형태로 복원할 수 있다.
외부 디바이스 인터페이스(135)는 인접하는 외부 디바이스 내의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수신하여, 컨트롤러(170) 떠는 메모리(140)로 전달할 수 있다.
외부 디바이스 엔터페이스(135)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와 외부 디바이스 간의 연결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외부 디바이스 인터페이스(135)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에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된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출력된 영상, 오디오 중 하나 이상을 수신하여, 컨트롤러(170)로 전달할 수 있다. 외부 디바이스 인터페이스(135)는 복수의 외부 입력 단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외부 입력 단자들은 RGB 단자, 하나 이상의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단자, 컴포넌트(Component)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 디바이스 인터페이스(135)를 통해 입력된 외부 디바이스의 영상 신호는 디스플레이 모듈(180)을 통해 출력될 수 있다. 외부 디바이스 인터페이스(135)를 통해 입력된 외부 디바이스의 음성 신호는 오디오 출력 모듈(185)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외부 디바이스 인터페이스(135)에 연결 가능한 외부 디바이스는 셋톱박스, 블루레이 플레이어, DVD 플레이어, 게임기, 사운드 바, 스마트폰, PC, USB 메모리, 홈 씨어터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33)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를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33)는 접속된 네트워크 또는 접속된 네트워크에 링크된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 기기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에 미리 등록된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 기기 중 선택된 사용자 또는 선택된 전자기기에,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에 저장된 일부의 컨텐츠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33)는 접속된 네트워크 또는 접속된 네트워크에 링크된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 웹 페이지에 접속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 웹 페이지에 접속하여, 해당 서버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33)는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컨텐츠 또는 데이터들을 수신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33)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제공자로부터 제공되는 영화, 광고, 게임, VOD, 방송 신호 등의 컨텐츠 및 그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33)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펌웨어의 업데이트 정보 및 업데이트 파일을 수신할 수 있으며, 인터넷 또는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에게 데이터들을 송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33)는 네트워크를 통해, 공중에 공개(open)된 애플리케이션들 중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하여 수신할 수 있다.
메보리(140)는 컨트롤러(170)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하고, 신호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40)는 외부 디바이스 인터페이스(135)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33)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소정 이미지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40)는 외부 디바이스 인터페이스(135)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33)로부터 입력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저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메모리(140) 내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 파일(동영상 파일, 정지영상 파일, 음악 파일, 문서 파일, 애플리케이션 파일 등)을 재생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150)는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컨트롤러(170)로 전달하거나, 컨트롤러(170)로부터의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150)는 블루투수(Bluetooth), WB(Ultra-Wideband), 지그비(ZigBee) 방식, RF(Radio Frequency) 통신 방식 또는 적외선(IR) 통신 방식 등 다양한 통신 방식에 따라, 리모트 컨트롤러(400)로부터 전원 온/오프, 채널 선택, 화면 설정 등의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거나, 컨트롤러(170)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리모트 컨트롤러(400)로 송신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150)는, 전원키, 채널키, 볼륨키, 설정키 등의 로컬키(미도시)에서 입력되는 제어 신호를 컨트롤러(170)에 전달할 수 있다.
컨트롤러(1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디스플레이 모듈(180)로 입력되어 해당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1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외부 디바이스 인터페이스(135)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컨트롤러(1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오디오 출력 모듈(185)로 오디오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1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외부 디바이스 인터페이스(135)를 통하여 외부 출력 디바이스로 입력될 수 있다.
그 외, 컨트롤러(17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 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17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150)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명령 또는 내부 프로그램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를 제어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 내로 다운받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컨트롤러(170)는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정보 등이 처리한 영상 또는 음성신호와 함께 디스플레이 모듈(180) 또는 오디오 출력 모듈(185)을 통하여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컨트롤러(170)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150)를 통하여 수신한 외부장치 영상 재생 명령에 따라, 외부 디바이스 인터페이스(135)를 통하여 입력되는 외부 디바이스, 예를 들어, 카메라 또는 캠코더로부터의, 영상 신호 또는 음성 신호가 디스플레이 모듈(180) 또는 오디오 출력 모듈(185)를 통해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컨트롤러(170)는 영상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 모듈(180)를 제어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튜너(131)를 통해 입력되는 방송 영상, 또는 외부 디바이스 인터페이스(135)를 통해 입력되는 외부 입력 영상,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33)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 또는 메모리(140)에 저장된 영상이 디스플레이 모듈(180)에서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모듈(180)에 표시되는 영상은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일 수 있으며, 2D 영상 또는 3D 영상일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17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 내에 저장된 컨텐츠, 또는 수신된 방송 컨텐츠,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외부 입력 컨텐츠가 재생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상기 컨텐츠의 방송 영상, 외부 입력 영상, 오디오 파일, 정지 영상, 접속된 웹 화면, 및 무선 파일 등 다양한 형태일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73)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기기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73)는 외부 기기와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무선 통신 모듈(173)은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 모듈(173)은 근거리 무선 통신망(Wireless Area Networks)을 통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와 다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 사이, 또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 또는 외부 서버)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근거리 무선 통신망은 근거리 무선 개인 통신망(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일 수 있다.
여기에서, 다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와 데이터를 상호 교환하는 것이 가능한(또는 연동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스마트워치(smartwatch), 스마트 글래스(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스마트 폰과 같은 이동 단말기가 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73)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 주변에, 통신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감지(또는 인식)할 수 있다. 나아가, 컨트롤러(170)는 감지된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와 통신하도록 인증된 디바이스인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무선 통신 모듈(173)를 통해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송신할 수 있다. 따라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를,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이용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80)은 컨트롤러(170)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135)에서 수신되는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등을 각각 R, G, B 신호로 변환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도 1에서 도시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도시된 구성요소들 중 일부는 실제 구현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사용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즉,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용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각 블록에서 수행하는 기능은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그 구체적인 동작이나 장치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달리, 튜너(131)와 복조부(132)를 구비하지 않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33) 또는 외부 디바이스 인터페이스(135)를 통해서 영상을 수신하여 재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방송 신호 또는 다양한 네트워크 서비스에 따른 컨텐츠들을 수신하기 위한 등과 같은 셋톱 박스 등과 같은 영상 처리 장치와 상기 영상 처리 장치로부터 입력되는 컨텐츠를 재생하는 컨텐츠 재생 장치로 분리되어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이하에서 설명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동작 방법은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뿐 아니라, 상기 분리된 셋톱 박스 등과 같은 영상 처리 장치 또는 디스플레이 모듈(180) 및 오디오 출력 모듈(185)를 구비하는 컨텐츠 재생 장치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도 2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분해도이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도 1의 디스플레이 모듈(180, 도 1 참조)에 대응되는 구성으로 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액정패널(210), 합착부재(220), 액정패널(210)의 가장자리가 지지되는 패널 가이드(230), 액정패널(210)의 배면을 향해 광을 출사하는 백라이트 유닛(240), 커버보텀(250)을 포함할 수 있다.
액정패널(210)은 백라이트 유닛(240)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의 투과율을 조절하여 소정의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액정패널(210)은 상부 편광부재(211), 컬러 필터 어레이 기판(212), TFT(Thin Film Transistor) 어레이 기판(214), 하부 편광부재(215)를 포함할 수 있다.
액정패널(210)의 작동원리를 설명하기 위해 백라이트 유닛(240)에서 조사되는 광이 순차적으로 통과하는 레이어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하부 편광부재(215)는 입사광의 수직 또는 수평 편파를 구분하여 통과시키거나 차단시킬 수 있는 성질의 필름으로, 하부 편광부재(215)를 통과한 광은 수직 또는 수평으로 편광될 수 있다.
TFT 어레이 기판(214)은 하부 편광부재(212)를 통과하여 편광된 광의 편광 방향을 변경하여 컬러 필터 어레이 기판(212)에 구비되는 RGB 픽셀의 밝기를 조절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TFT 어레이 기판(214)은 복수의 게이트 라인과 복수의 데이터 라인이 매트릭스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게이트 라인과 데이터 라인의 교차점에는 박막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TFT)가 형성되어 있다.
TFT 어레이 기판(214)은 드라이버 구동회로에서 전달된 신호전압이 박막트랜지스터(TFT)를 통해 화소 전극과 컬러필터 어레이 기판(212)의 공통전극 사이에 인가될 수 있고, 이를 통해 화소 전극과 공통전극 사이의 액정이 신호전압에 따라 정렬되어 광의 투과율을 정하게 된다. 즉, TFT 어레이 기판(214)는 외부 전기장을 인가하여 액정(미도시)의 분자 배열을 조작하고, 액정(미도시)을 통과한 편광된 빛의 편광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컬러 필터 어레이 기판(214)은 RGB 픽셀(미도시)을 포함하고, RGB 픽셀(미도시)은 백라이트 유닛(240)에서 출사된 백색광에서 특정 파장 범위만 통과하여 색상을 구현할 수 있다. 이때, RGB 픽셀(미도시)은 구분되어 색이 섞이지 않도록 칸막이 역할을 수행하는 블랙 매트릭스(Black Matrix)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RGB 픽셀은 바둑판 모양의 차단 막인 블랙 매트릭스 사이에 각각 하나씩 대응되어 구비되고, RGB 픽셀을 통과한 빛을 조합하여 색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액정패널(210)은 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활성영역(A, 도4참조)와 활성영역(A) 가장자리에 백라이트 유닛(240)에서 출사된 빛이 투과되지 않는 배젤영역(B, 도 4 참조)을 포함할 수 있는데, 활성영역(A)은 RGB 픽셀을 포함하고 있는 영역이고, 배젤영역(B)은 RGB 픽셀 없이 블랙 매트릭스(213, 도 4 참조)를 포함하는 영역일 수 있다.
상부 편광부재(211)은 하부 편광부재(215)와 마찬가지로 입사광의 수직 또는 수평 편파를 구분하여 통과시키거나 차단시킬 수 있는 성질의 필름일 수 있다. 다만, 상부 편광부재(211)는 하부 편광부재(215)와 입사광의 편광방향이 상이할 수 있다. 즉, 하부 편광부재(215)에서 수직으로 입사광을 편광시키는 경우, 상부 편광부재(216)는 수평으로 입사광을 편광시킬 수 있다. 따라서, TFT 어레이 기판(214)을 통해 액정을 조절하지 않는 다면, 하부 편광부재(215)를 통과한 빛은 상부 편광부재(216)를 통과하지 못할 수 있다. 즉, TFT 어레이 기판(214)은 액정을 조절하여 상부 편광부재(216)를 통과하는 빛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합착부재(220)는 액정패널(210)을 패널 가이드(230)에 접착하는 부재로, 액정패널(210)의 가장자리 배면을 패널 가이드(230)에 고정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패널 가이드(230)와 백라이트 유닛을 접착하는 부재로 합착부재(222)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패널 가이드(230)는 액정패널(210)의 가장자리를 따라 구비되어 액정패널(210)을 지지하는 구조물로, 액정패널(210)의 배면 가장자리를 지지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액정패널(210)의 측면을 커버할 수 있다. 패널 가이드(230)의 형상은 액정패널(210)을 고정하는 액정모듈(LCM)에 따라 다를 수 있다.
최근에는 액정패널(210)의 전면 둘레를 커버하는 케이스톱을 생략하고 패널 가이드(230)가 외관을 형성하는 시네마 타입의 액정모듈이 선호되고 있다. 다만,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하단부는 리모트 컨트롤러(400, 도 1 참조)와 양방향 통신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150, 도 1 참조)를 구비할 수 있는데, 사용자 인터페이스(150)를 감싸는 별도의 하단 케이스(261)를 포함할 수 있다.
하단 케이스(261)는 액정패널(210)의 하단과 전면의 하부를 커버하도록 L자 형상으로 꺾어진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하단 케이스(261)와 액정패널 전면 사이로 틈이 벌어져 먼지가 유입되거나 내부 부품이 보이지 않도록 하단 케이스(261)의 단부를 따라 갭패드(263)를 개재할 수 있다.
하단 케이스(261)는 금속재질을 포함하거나 내측에 도전성 물질을 도포하여 외부에서 유입되는 정전기를 방전(ESD: Electrostatic Discharge) 구조로 이용할 수 있다. 이에 관하여는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하겠다.
백라이트 유닛(240)은 액정패널(210)의 배면으로 광을 출사하는 구성으로, 보호시트(241), 프리즘 시트(242), 확산시트(243, 244), 반사판(245), 광원부(246) 및 회로기판(247)을 포함할 수 있다. 유기발광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OLED)와 달리 액정은 자체적으로 빛을 발생시키지 않기 때문에 스크린을 보려면 빛을 제공하는 백라이트 유닛(240)이 필요할 수 있다.
도 2는 광원부(246)에서 액정패널(210)의 배면을 향해 직접 조사하는 방식을 도시하고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광원부(246)를 측면에 구비하는 도광판을 이용하여 액정패널(210)의 배면을 향해 빛을 조사할 수 있다.
도광판을 이용하여 빛을 이용하는 구조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광판은 특정방향으로 빛을 반사하는 요철 문양이 새겨진 플라스틱 시트일 수 있다. 도광판은 액정패널(210)의 배면에 평행하게 구비되고, 도광판의 측면에 구비되는 광원부(246)가 도광판 내부로 조사한 빛을 평면광으로 바꾸어 액정패널(210)의 배면으로 조사할 수 있다.
도광판을 이용하여 빛을 조사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를 슬림하게 만들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광판의 재질로는 강도가 높아 쉽게 변경되거나 깨지지 않으며 투과율이 좋은 PMMA(Polymethy-methacry-late)가 사용될 수 있다.
보호시트(241)는 백라이트 유닛(240)의 가장 상부에 위치하여 스크래치에 약한 프리즘 시트(123)를 보호 할 수 있다.
프리즘 시트(242)는 확산 시트(243, 244)에서 확산된 빛을 상부의 액정패널(210)에 수직한 방향으로 집광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2장 또는 3장을 겹쳐서 사용할 수 있다.
확산 시트(243, 244)는 광원부(246)로부터의 빛을 확산시켜 액정패널(210)의 배면에 균일하게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도 2는 2장의 확산 시트를 도시하고 있지만, 단수 이거나 3장 이상일 수 있다.
반사판(245)은 광원부(246)에서 조사되는 광을 집광하여 광효율을 높여주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반사판은 광원부(246)에서 산란된 빛을 재사용할 수 있으면, 이는 DBEF(dual brightness enhancement film)로 불릴 수 있다. DBEF는 축방향 휘도를 증가시켜, 더 많은 빛이 전면으로 전송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전형적으로 1개의 BEF는 휘도를 40%~60% 증가시킬 수 있는데, 경우에 따라 2개의 BEF를 사용해 증강된 휘도를 전송할 수 있다.
광원부(246)는 광을 발생하여 출사하는 구성으로, 냉음극 형광램프(Cathode Fluorescent Lamp: CCFL), 외부전극 형광램프(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amp: EEEL), 발광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소자 중 어느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
광원부(246)로 발광다이오드(LED)를 사용하는 경우, 패널의 두께를 얇게 구현할 수 있으며, 전력 소비를 낮출 수 있고, 열 분산을 용이하게 하며, 디스플레이가 더 밝아지고, 대비(contrast)의 수준을 높일 수 있다는데 장점이 있다.
광원부(246)은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으며, 각각의 광원부(246)는 회로기판(247)에 연결되어 조절될 수 있다.
배면 케이스(25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배면을 형성하며, 백라이트 유닛(240)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커버보텀(250)가 형성하는 수용공간은 도 1에서 컨트롤러(170)에 해당하는 회로기판(29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종래의 케이스톱 구조타입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단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케이스톱 구조타입은 액정패널(210)의 전면 둘레와 액정패널(210)을 지지하는 패널 가이드(230) 외측면을 케이스톱(260)이 감싸는 구조일 수 있다. 즉, 패널 가이드(230)은 외측으로 노출되지 않고 케이스톱(260)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패널 가이드(230)는 액정패널의 배면 가장자리가 안착되는 안착부(231) 및 액정패널의 측면을 커버하는 측벽부(232)를 포함하고, 케이스톱(260)은 패널 가이드(230)의 외측면을 커버하고, 단부가 액정패널(210)과 측벽부(232) 사이의 틈을 가리도록 내측방향으로 굽은 구조일 수 있다.
액정패널(210)은 도 2 및 도 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부 편광부재(211), 컬러 필터 어레이 기판(212), TFT 어레이 기판(214) 및 하부 편광부재(215)를 포함할 수 있다.
액정패널(210)은 영상이 구현되는 활성영역(A)과 활성영역(A) 가장자리에 구비되는 배젤 영역(B)으로 구분될 수 있는데, 도 4는 배젤영역(B)에 대응되는 블랙 메트릭스(213)를 도시하고 있다.
블랙 메트릭스(213)는 활성영역(A)에도 구비될 수 있지만, 활성영영(A)에 구비되는 블랙 메트릭스(2132)는 RGB 픽셀을 구분하는 차단막 역할을 수행하며, 배젤 영역(B)에 구비되는 블랙 메트릭스는 RGB 픽셀을 포함하지 않고, 배면에서 입사되는 빛을 반사하여 전면으로 통과하지 못하게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백라이트 유닛(240)에서 액정패널(210)의 배면부로 입사된 빛은 액정패널(210)을 따라(구체적으로, TFT 어레이 기판(214)을 따라) 액정패널(210)의 측면으로 누출되고, 누출된 빛은 측벽부(232)에 반사되어 액정패널(210)과 측벽부(232) 사이의 틈으로 인지될 수 있다.
액정패널(210)과 측벽부(232) 사이의 틈은 배젤영역(B) 외곽에 형성되어 밝은 빛띠를 형성할 수 있는데 이와 관련하여서는 도 8에서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액정패널(210)을 따라 누출되는 빛은 하부 편광부재(215)를 통과한 빛과 하부 편광부재(215)와 합착부재(220) 사이의 틈으로 입사된 빛으로 구분될 수 있는데, 이와 관련하여서는 액정패널(210)과 합착부재(220)가 접하는 구조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TFT 어레이 기판(214)은 유리기판 위에 트랜지스터 층을 적층하여 형성될 수 있는데, 합착부재(220)는 하부 편광부재(215) 보다 유리기판인 하부 기판(214)에 직접 접하는 것이 접착력 측면에서 유리할 수 있다.
따라서, 하부 편광부재(215)는 TFT 어레이 기판(214)의 배면 가장자리를 제외하고 TFT어레이 기판(214)의 배면에 구비될 수 있고, 합착부재(220)가 TFT 어레이 기판(214)의 배면 가장자리에 직접 접착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경우, 하부 편광부재(215)와 합착부재(220)간 틈(C)이 발생할 수 있고, 하부 편광부재(215)와 합착부재(220)간 틈(C)으로 입사된 빛은 편광되지 않은 빛일 수 있다.
즉, 액정패널(210)을 따라 누출되는 빛은 하부 편광부재(215)를 통과하여 편광된 빛과, 하부 편광부재(215)와 합착부재(220)간 틈(C)으로 입사되어 편광되지 않은 빛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톱 구조타입 액정모듈은 케이스 톱(260)이 액정패널(210)의 측면으로 빛이 누출되더라도, 누출된 빛이 액정패널(210)과 측벽부(232) 사이로 시인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액정패널(210)의 측면으로 빛이 누출되는 것이 문제되지 않을 수 있다.
다만, 케이스톱 구조타입의 액정모듈은 추가되는 구성요소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무게를 증가할 수 있고, 액정패널(210)의 가장자리를 덮는 구성요소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두께를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경량화, 박형화 설계를 위해, 케이스톱(260)을 제거하고 가이드 패널(260)을 외관화하는 시네마 타입 액정모듈이 선호되고 있다. 도 5 및 도 6은 시네마 타입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단부를 도시한 단면도로, 도 4의 케이스톱 구조타입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에서 케이스탑(260)을 생략한 형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이다.
다만, 시네마 타입의 액정모듈은 케이스탑(260)이 없어 패널 가이드(230)의 측벽부에 부딪쳐서 반사되어 액정패널(210)과 측벽부(232) 사이로 빛이 새어 사용자에게 인지되는 현상이 나타난다. 액정패널 측면으로 누출된 빛이 시인되는 것을 방지할 수 없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 가이드의 측벽부 (232)를 생략하고 액정패널(210)의 측면이 실링된 별도의 시네마 전용 액정패널(테두리가 sealing 처리된 액정패널)을 사용하는데 이하에서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6은 시네마 타입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를 설명하는 부분 단면도 이며, 도 4의 케이스톱 구조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와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5의 시네마 타입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케이스 톱 구조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도 4)와 달리 케이스 톱(260, 도 4참조)을 구비하지 않아, 패널 가이드(230)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외관을 이루게 된다.
도 6의 시네마 타입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패널가이드(230)의 측벽부(232)를 생략하여 액정패널(210)의 측면이 외측으로 노출되고, 액정패널(210)의 측면을 보호하고 동시에 액정패널(210)의 측면에서 빛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액정패널(210)의 측면을 실링(Sealing)하는 실링부재(2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실링부재(270)를 이용하여 액정패널(210)의 측면을 커버하여 액정패널(210)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고 액정패널(210)의 날카로운 모서리에 사용자가 다치지 않도록 실링부재(270)는 액정패널의 전면과 측면 사이의 모서리 및 전면과 배면 사이의 모서리까지 커버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실링부재(270)는 컬러 필터 어레이 기판(212)에서 TFT 어레이 기판(214)에 이르는 액정패널(210)의 측면을 실링할 수 있으며, 실링부재(270)가 감싸는 액정패널(210)의 측면은 배젤영역(B)의 측면일 수 있다. 실링부재(270)는 액상을 도포하여 형성하기 때문에 균일하게 형성하는 것이 어렵다. 또한 실링부재(270)는 외측으로 노출되는 구조인바, 실링부재(270)가 액정패널(210)의 전면에 많이 도포되지 않으면서 균일하게 도포되도록 정밀한 공정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실링부재(270)를 액정패널(210)의 둘레에 형성하는 경우 제조공정 시간 및 제조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고 불량률이 높아지는 문제가 있다.
도 7은 도 2의 X-X 단면을 도시한 도면으로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케이스탑(260) 및 실링구조(270)를 생략하면서도 빛샘을 방지할 수 있는 시네마 타입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영상이 출력되는 활성영역(A)과 활성영역(A) 둘레에 위치하는 배젤영역(B)을 포함하는 액정패널(210), 액정패널(210)의 배면으로 광을 사출하는 백라이트 유닛(240), 액정패널(210)의 배면 가장자리가 안착되는 안착부(231) 및 액정패널(210)의 측면을 커버하는 측벽부(232)를 포함하는 패널 가이드(230), 배젤영역(B) 내에 구비되며, 액정패널(210)의 배면 가장자리와 안착부(231)을 접착하는 합착부재(220) 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정패널(210)의 측면으로 누출되는 빛은, 하부 편광부재(213)를 통과한 빛 및 하부 편광부재(213)와 합착부재(220) 사이의 틈(C, 도 2 참조)으로 입사된 빛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부 편광부재(213)를 통과한 빛 및 하부 편광부재(213)와 합착부재 (220) 사이의 틈(C)으로 입사된 빛은 액정패널(210) 내에서 반사되어 액정패널(210) 측면으로 누출될 수 있다.
도 7과 같이 패널 가이드(230)의 측벽부(232)를 생략하지 않더라도 도 5에서와 같이 액정패널(210)의 측면에서 누출된 빛이 측벽부(232)에서 반사되어 사용자에게 보일 수 있는 바, 액정패널(210)의 측면에 차광부(271)를 형성한다. 도 6의 실링부재(270)과 같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외관으로 노출되지 않으므로 정밀하게 도포할 필요가 없고, 책정패널의 보호기능 보다 빛샘 방지에 중점을 두므로 도 6의 실링부재(270) 같이 두껍게 도포할 필요가 없다.
차광부(271)재는 차광기능이 있는 잉크를 도포하거나 테이프를 붙여서 형성할 수 있으며, 보수개의 액정패널을 중첩배치하여 일괄 도포하는 방식으로 차광부(271)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액정패널(210)의 TFT어레이 기판(214)의 측면에서 나타나고 블랙매트리스(213)가 TFT 어레이 기판(214)에서 컬러필터 어레이 기판(212)으로 빛이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기 때문에 TFT 어레이 기판(214)의 측면에서는 빛샘현상이 나타나지 않는다. 이런 특성을 고려하여 차광부(271)는 액정패널의 TFT 어레이 기판(214)에만 형성할 수도 있다.
도 8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에서 발생할 수 있는 빛 누출 현상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정면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8은 시네마 타입의 액정모듈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에서 가장자리 부분 정면도를 나타낸다.
도 8(a)은 도 5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에서 나타나는 빛샘을 도시하고, 도 8(b)는 도 7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에서 나타나는 빛샘 정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배젤 영역(B)은 영상이 출력되는 활성 영역(A)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며 빛이 투과되지 않는 영역으로, 액정패널(210)의 측면으로 빛이 누출되는 경우 배젤 영역(B) 가장자리에 빛띠(280a)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액정패널(210)의 측면으로 빛이 누출되는 경우, 배젤 영역(B)과 패널 가이드(230) 사이에, 액정패널(210)의 측면으로 누출된 빛에 의해 빛띠(280a)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합착부재(220)와 하부 편광부재(215) 사이 틈(C, 도 5 참조)으로 빛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액정패널(210)의 측면으로 빛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액정패널(210)의 측면으로 누출된 빛에 의해 빛띠(280a)가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는데 있다.
즉, 액정패널(210)의 측면으로 누출되는 빛으로 하부 편광부재(215)를 통과한 빛과 합착부재(220)와 하부 편광부재(215) 사이 틈(C)으로 유입된 빛이 있는데, 본 발명은 합착부재(220)와 하부 편광부재(215) 사이 틈(C)으로 빛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데 있다.
다만, 경우에 따라서는 하부 편광 부재(215)를 통과한 빛이 액정패널(210)의 측면으로 누출되어 도6(b)와 같이 약한 빛띠(280a)가 형성될 수 있다.
하부 편광부재(215)를 통과한 빛은 편광되고, 액정패널(210)의 내부에서 반사되어 그 세기가 충분히 감소될 수 있지만, 배젤영역(B)의 너비가 작아지는 경우 빛띠(280a)를 형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 액정패널(210)의 측면으로 빛이 누출되는 것을 추가적으로 방지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살펴본다.
도 9는 도 2의 Y-Y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으로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하부에 위치하는 각종 부재를 가리기 위해 하단 케이스(261)를 포함할 수 있다. 액정패널(210)의 구동IC(미도시)를 TFT 어레이 기판(214)에 실장하는 경우 컬러필터 케이스의 하부를 짧게 형성하여 TFT 어레이 기판(214)의 전면을 노출시킬 수 있다.
액정패널(210)의 구동IC와 TFT를 보호하기 위해 외부에서 유입되는 정전기를 방전(ESD: Electrostatic Discharge)하는 구조가 필요하며 TFT 어레이 기판(214)의 전면에 은도트(275)를 형성하고 하단 케이스(261)와 접속시켜 하단 케이스(261)를 통해 정전기를 방전할 수 있다.
은도트(275)와 하단 케이스(261) 사이에 접속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갭패드(263)과 중첩되는 위치에 형성하고 갭패드(263)는 전도성 물질을 포함하여 제조함으로써, 은도트(275)와 하단 케이스(261)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갭패드(263)는 탄성을 가지고 있어, 하부케이스가 액정패널(210)의 전면에서 거리가 조금 변화하거나 공차가 발생하더라도 은도트(275)와 하단 케이스(261) 사이의 전기적인 접속상태는 유지될 수 있다.
다만 도 4와 같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둘레 전체에 케이스탑(260)이 배치된 구조에서는 정전기가 유입되는 위치에 관계없이 용이하게 케이스탑(260)을 이용하여 방출할 수 있었으나, 본 발명은 상부와 좌우는 케이스탑(260)을 생략하였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상부나 측방향에 인가되는 정전기는 방전할 수 없어 액정패널(210)의 TFT 등의 부품이 손상을 입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상부와 측방향의 ESD를 배출하기 위해 액정패널(210)의 측면에 도포하는 차광부(271)에 전도성 물질을 포함시켜 차광부(271)를 따라 인가된 정전기가 이동하도록 한다. 다만, 케이스탑(260)은 배면의 커버보텀(250)과 스크류(265) 등을 통해 연결되어 인가된 정전기를 커버보텀(250)으로 방출한다. 커버보텀(250)은 대면적의 금속체로 그라운드로서 역할을 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차광부(271)는 커버보텀(25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조를 가지지 못하기 때문에 본 발명은 하부에 위치하는 하단 케이스(261)을 이용하여 차광부(271)를 따라 이동하는 정전기를 커버보텀(250)으로 방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커버보텀(250)과 하단 케이스(261)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류(265) 등과 같은 체결구를 통해 고정되고 전도성 물질을 포함하는 스크류(265) 를 이용하면 하단 케이스(261)와 커버보텀(250)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은도트(275)가 TFT 어레이 기판(214)의 전면에 위치하므로 TFT 어레이 기판(214)의 측면에 위치하는 차광부(271)에서 은도트(275)까지 연결되는 전도성 패턴(272)를 추가로 형성할 수 있다. 전도성 패턴(272) 는 차광부(271)와 동일한 소재로 형성할 수도 있고, TFT어레이 기판(214)상에 TFT회로를 구현할 때 형성할 수도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에서 정전기 방전 경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에 인가된 정전기는 차광부(271)를 통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하부로 이동하고 전도성 패턴(272)을 통해 은도트(275)로 이동하고 은도트(275)에서 갭패드(263), 하단 케이스(261) 및 스크류(265)를 통해 커버버텀(250)으로 전달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시네마 타입의 액정모듈(LCM)을 통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경량화, 박형화된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일반 액정패널을 구비하는 시네마 타입의 액정모듈(LCM)에서 액정패널 측면으로 빛이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일반 액정패널을 구비하는 시네마 타입의 액정모듈(LCM)에서 정전기 방전(ESD)에 의해 액정패널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210: 액정패널
211: 상부 편광부재 212: 컬러 필터 어레이 기판
213: 블랙 매트릭스 214: TFT 어레이 기판
215: 하부 편광부재 220: 합착부재
230: 패널 가이드 231: 안착부
232: 측벽부 240: 백라이트 유닛
250: 커버 보텀 260: 케이스톱
261: 하단 케이스 263: 갭패드
265: 스크류 270: 실링부재
271: 차광부 272: 전도성 패턴
275: 은도트

Claims (6)

  1. 영상이 출력되는 활성영역과 상기 활성영역 둘레에 위치하는 베젤영역을 포함하는 액정패널;
    상기 액정패널의 배면에 위치하며 상기 액정패널로 광을 사출하는 백라이트 유닛;
    상기 액정패널의 배면 가장자리가 안착되는 안착부, 및 상기 액정패널의 측면을 커버하는 측벽부를 포함하는 패널 가이드;
    상기 베젤영역 내에 구비되며, 상기 액정패널의 배면 가장자리와 상기 안착부를 접착하는 합착부재;
    상기 액정패널의 측면 둘레에 위치하는 차광부; 및
    상기 액정패널의 하단부에 위치하는 하단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액정패널은 픽셀별 색상을 결정하는 컬러 필터 어레이 기판;
    영상신호에 따라 전기적 신호를 인가하는 TFT(Thin Film Transistor) 어레이 기판;
    상기 베젤영역에 대응되는 영역에 상기 컬러 필터 어레이 기판과 상기 TFT 어레이 기판 사이에 형성된 블랙 매트릭스; 및
    상기 컬러 필터 어레이 기판과 상기 TFT 어레이 기판 사이에 주입된 액정을 포함하고,
    상기 TFT 어레이 기판의 하단부는 상기 컬러필터 어레이 기판보다 하부로 더 길고, 상기 TFT 어레이 기판의 하단부 전면에 실장되는 은도트;
    상기 차광부부터 상기 은도트까지 연장된 전도성 패턴; 및
    상기 은도트와 상기 하단 케이스 사이에 개재된 갭패드를 포함하고,
    상기 차광부는
    상기 TFT 어레이 기판의 측면에 위치하고, 전도성 물질을 포함하며, 상기 하단 케이스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백라이트 유닛의 배면을 커버하며 금속물질을 포함하는 커버버텀; 및
    상기 하단 케이스와 상기 커버버텀을 체결하는 스크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0190004533A 2019-01-14 2019-01-14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6406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4533A KR102640661B1 (ko) 2019-01-14 2019-01-14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4533A KR102640661B1 (ko) 2019-01-14 2019-01-14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8034A KR20200088034A (ko) 2020-07-22
KR102640661B1 true KR102640661B1 (ko) 2024-02-26

Family

ID=718930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4533A KR102640661B1 (ko) 2019-01-14 2019-01-14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066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65225B (zh) * 2021-12-27 2023-07-04 Tcl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拼接显示屏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06231B2 (ja) * 2004-03-29 2010-07-21 東レ株式会社 Ips方式液晶表示装置用カラーフィルター基板およびそれを用いたips方式液晶表示装置
JP2011075974A (ja) 2009-10-01 2011-04-14 Hitachi Displays Ltd 液晶表示装置
JP2014119693A (ja) * 2012-12-19 2014-06-30 Lg Display Co Ltd 液晶表示装置および液晶表示装置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7566B1 (ko) * 2012-05-01 2014-01-0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2153001B1 (ko) * 2013-10-29 2020-09-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KR102530804B1 (ko) * 2016-08-31 2023-05-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KR20180079556A (ko) * 2016-12-30 2018-07-1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06231B2 (ja) * 2004-03-29 2010-07-21 東レ株式会社 Ips方式液晶表示装置用カラーフィルター基板およびそれを用いたips方式液晶表示装置
JP2011075974A (ja) 2009-10-01 2011-04-14 Hitachi Displays Ltd 液晶表示装置
JP2014119693A (ja) * 2012-12-19 2014-06-30 Lg Display Co Ltd 液晶表示装置および液晶表示装置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8034A (ko) 2020-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86070B2 (en) Display apparatus comprising a bracket including a side portion having an outer side surface entirely exposed to form an exterior side surface and a supporting portion directly adhered to a back surface of a display panel
US10847585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including a sound generating apparatus
US8979294B2 (en) Curved display device
US8599330B2 (en) Display apparatus
US8851695B2 (en) Display apparatus
KR102451309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KR20140132913A (ko) 디스플레이 장치
JP2007513375A (ja) ディスプレイ
KR102572458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640661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US9927570B2 (en)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having a light guide plate with optical patterns to prevent light leakage
US20140254141A1 (en) Methods and Apparatus to Construct an Ultrathin Display Panel
KR102568667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US20060055836A1 (en) Flat panel display device
KR20090054840A (ko) 백라이트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소자
US20140253839A1 (en) Thin backlight for LCD displays through use of Field-Induced Polymer electro Luminescence panels
EP3799022A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230389160A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10754087B2 (en) Guide panel, backlight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070028691A (ko) 편광판 및 이를 가지는 표시 장치
KR20150002247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070117045A (ko) 표시 장치
KR20190076222A (ko) 디스플레이 장치
WO2013069590A1 (ja) 表示装置、及びテレビ受信装置
KR20150017954A (ko) 영상표시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