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0451B1 - 사업장재해 통합관제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사업장재해 통합관제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0451B1
KR102640451B1 KR1020210096858A KR20210096858A KR102640451B1 KR 102640451 B1 KR102640451 B1 KR 102640451B1 KR 1020210096858 A KR1020210096858 A KR 1020210096858A KR 20210096858 A KR20210096858 A KR 20210096858A KR 102640451 B1 KR102640451 B1 KR 1026404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arm
workplace
information
unit
det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68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15571A (ko
Inventor
오경환
황현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현아이씨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현아이씨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현아이씨티
Priority to KR10202100968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0451B1/ko
Publication of KR202300155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55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04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045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20/00Machine lear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5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communications industry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업장재해 통합관제 시스템은 사업장에 설치된 시스템부, 및 상기 시스템부와 연결되어 사업장 재해를 통합 관제하는 시스템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업장재해 통합관제 방법은 감지기에서 이상을 감지하고 알람을 발생하는 단계, 상기 알람의 진/가성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알람이 진성으로 판단되는 경우, 알람을 발생시킨 원인설비를 추적하는 단계, 사내 메시지로 관계자에게 알람 발생 메시지를 전송하고, 시스템서버의 메인화면에 알람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알람을 터치하여 알람 정보, 및 상기 원인설비의 상세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알람 발생의 원인을 해결하는 단계, 및 후속조치를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사업장재해 통합관제 시스템 및 그 방법{Integrated workplace accident control system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사업장재해 통합관제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ICT(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기술의 발전에 따라 매번 인력을 투입하여 관리하던 공장에 감지기를 설치해 재해 사고 발생 시 실시간으로 알람을 받고 그에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 관제 시스템은 엄청난 발전을 이루었다.
그러나, 종래의 관제 시스템은 화재 혹은 지진처럼 한가지 재해 사고에만 집중하므로, 각 시스템을 위해 다수의 관리자가 필요하며, 공장 단위의 감시로 건물 내에 정확한 재해 사고 위치를 파악하는 데에 오랜 시간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연속 공정의 특성을 갖는 공장의 경우 한 설비의 짧은 장애가 연속되는 모든 공정에서 시간을 지연시키므로, 재해 사고가 일어나기 전 재해를 미리 방지하거나, 재해가 일어난 후 빠른 대처로 공정 지연을 줄이는 방법에 대한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배경을 바탕으로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공장을 3D 도면으로 구현하고, 공장에 설치된 감지기들과 설비의 계통 정보를 이용하여 공장 상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사고 방지를 위해 감지기로부터 이벤트 발생 알람이 울린 뒤 빠르게 대처할 수 있는 사업장재해 통합관제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가 3D 감지기 및 설비 객체를 직접 수정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효율적으로 공장 관리를 할 수 있는 사업장재해 통합관제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업장재해 통합관제 시스템은 사업장에 설치된 시스템부, 및 상기 시스템부와 연결되어 사업장 재해를 통합 관제하는 시스템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시스템부는 상기 사업장의 화재, 및 가스를 감지하는 개별방재시스템부, 상기 사업장의 누수를 감지하는 누수모니터링시스템부, 및 상기 사업장의 설비를 관리하는 설비관리시스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시스템서버는 상기 시스템부로부터 전달되는 정보를 연계하는 시스템연계부, 상기 시스템연계부로부터 연계된 정보를 분석하는 정보분석모듈, 및 분석된 상기 정보를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웹서비스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정보분석모듈은 머신 러닝을 이용해 알람 표시 여부를 결정하는 복합사고 판정모듈, 감지기의 알람을 발생시킨 원인설비를 예측하는 원인설비군 예측제시모듈, 및 상기 알람이 발생된 위치까지의 최단 진입 거리를 계산하는 출동경로 계산엔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업장재해 통합관제 방법은 감지기에서 이상을 감지하고 알람을 발생하는 단계, 상기 알람의 진/가성을 판단하는 단계, 진성으로 판단되는 경우, 알람을 발생시킨 원인설비를 추적하는 단계, 사내 메시지로 관계자에게 알람 발생 메시지를 전송하고, 시스템서버의 메인화면에 알람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알람을 터치하여 알람 정보, 및 상기 원인설비의 상세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알람 발생의 원인을 해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알람을 발생시킨 원인설비를 추적하는 단계는 급격한 변화가 일어난 설비를 파악하는 단계, 상기 설비의 계통 정보를 이용해 알람을 발생시킨 원인설비를 예측하는 단계, 및 원인설비까지의 최단 출동 경로를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알람 발생의 원인을 해결하는 단계는 상기 알람을 클릭하여, 알람이 일어난 원인설비의 상세정보를 객체 관리 화면의 도면 위에 나타내는 단계, 상기 관계자의 후속조치를 CCTV로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후속조치 종료 후 메세지로 결과를 공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알람이 일어난 원인설비의 상세정보를 객체 관리 화면의 도면 위에 나타내는 단계는 상기 객체 관리 화면에서 알람 발생 위치의 도면을 조회하는 단계, 상기 도면에 표시된 감지기 및 설비의 목록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감지기 및 설비의 배치를 수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업장재해 통합관제 시스템 및 방법은 모니터링을 하는 중에 알람이 울리면 시스템이 알람이 진성인지 판단하고, 진성으로 판단될 시 감지기를 울린 설비를 계통정보를 통해 파악한 뒤 최단 진입로 및 대피로를 계산하므로, 사고 발생 시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업장재해 통합관제 시스템 및 방법은 웹서비스부가 구비되어 실시간으로 현재상황, 알람 정보, 문제해결 방법 등을 제공하므로, 제대로 된 후속 조치가 이루어지고 있는지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업장재해 통합관제 시스템 및 방법은 사용자에게 최단 대피 경로를 제시하기 때문에, 사고 발생 시 대피로를 확보할 수 있으므로, 인명피해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업장재해 통합관제 시스템 및 그 방법은 시스템 관리자뿐만 아니라 시스템에 등록된 계정을 가진 사람들은 모두 실시간으로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모니터링 서버에 접속하여 공장 내 감지기 및 설비의 상태 정보를 파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업장재해 통합관제 시스템 및 그 방법은 모니터링을 하는 중에 알람이 울리면 시스템이 알람이 진성인지 판단하고, 진성으로 판단될 시 감지기를 울린 설비를 계통정보를 통해 파악한 뒤 최단 진입로를 계산하면, MMS를 받고 출동한 인원들을 CCTV 및 설비 정보를 통해 제대로 된 후속 조치가 이루어지고 있는지 관리자가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업장재해 통합관제 시스템 및 그 방법은 3D 도면에 수정이 필요할 시 직접 객체를 도면에 추가 혹은 제거할 수 있어, 공장 설비를 부분적으로 교체할 때마다 매번 도면을 새로 구축할 필요가 없으므로, 시간을 절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업장재해 통합관제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정보분석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의 웹서비스부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비의 계통보기 화면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관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면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업장재해 통합관제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업장재해 통합관제 시스템은 시스템부(100), 및 시스템서버(200)를 포함할 수 있다.
시스템부(100)는 사업장에 설치될 수 있다. 시스템부(100)는 개별방재시스템부(110), 누수모니터링시스템부(120), 및 설비관리시스템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개별방재시스템부(110)는 사업장의 화재, 및 가스누출을 감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개별방재시스템부(110)는 복수 개의 감지부와 복수 개의 모니터링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감지부는 설비 부착형 화재감지부, 자동 화재감지부, 공기 흡입형 화재감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모니터링부는 가스 모니터링부, 산소농도 모니터링부, 및 질소농도 모니터링부를 포함할 수 있다.
누수모니터링시스템부(120)는 사업장의 누수를 감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누수모니터링시스템부(120)는 복수 개의 감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누수모니터링시스템부(120)는 화학물질 누수감지부, 바닥형 누수감지부, 및 설비형 누수감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화학물질 누수 감지부는 화학물질이 누수되는 것을 감지하여, 폭발 등의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바닥형 누수감지부는 사업장의 바닥에 설치될 수 있으며, 설비형 누수감지부는 각각의 설비마다 설치되어 누수로부터 발생되는 감전, 폭발 등의 위험을 예측하고,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설비관리시스템부(130)는 사업장의 설비를 관리할 수 있다. 설비관리시스템부(130)는 설비제원, 설비상태, 설비물질정보, 설비연결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설비관리시스템부(130)가 구비되어, 설비를 유지 및 보수하기 때문에, 설비에서 발생될 수 있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시스템서버(200)는 시스템부(100)와 연결되어 사업장 재해를 통합 관제할 수 있다. 시스템서버(200)는 시스템연계부(210), 정보분석모듈(220), 및 웹서비스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시스템연계부(210)는 시스템부(100)로부터 전달되는 정보를 시스템서버(200)에 연계할 수 있다.
정보분석모듈(220)은 시스템연계부(210)로부터 연계된 정보를 분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보분석모듈(220)은 시스템부(100)에서 알람이 발생된 경우, 발생된 알람인 진성인지 가성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정보분석모듈(220)은 알람이 진성인 경우, 알람이 발생된 설비를 추적하고, 알람이 발생된 원인을 분석할 수 있다. 정보분석모듈(220)은 알람이 발생된 설비의 위치를 파악하고 출입구까지의 최단경로를 구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알람이 발생된 설비 인근에 위치한 사용자에게 대피하기 위한 최단 대피 경로를 제시할 수 있다. 정보분석모듈(220)은 알람 발생 원인에 따른 문제해결 방법을 제시할 수 있다. 정보분석모듈(220)은 문제해결을 위한 인원이 필요한 경우, 설비관리자의 현재 위치를 판단하고, 알람이 발생된 설비까지의 최단 출동 경로를 제시할 수 있다.
웹서비스부(230)는 정보분석모듈(220)에서 분석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웹서비스부(230) 시스템서버(200)와 연동하고 있는 사용자의 단말기, 또는 PC로 분석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웹서비스부(230)는 정보분석모듈(220)로부터 전달받은 알람 발생 원인과 대피하기 위한 최단경로 정보를 알람이 발생된 설비 인근에 위치한 사용자의 단말기 또는 PC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웹서비스부(230)는 문제해결 방법, 및 최단 출동 경로를 설비관리자의 단말기 또는 PC로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시스템 관리자뿐만 아니라 시스템에 등록된 계정을 가진 사람들은 모두 실시간으로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시스템서버에 접속하여 공장 내 감지기 및 설비의 상태 정보를 파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모니터링을 하는 중에 알람이 울리면 시스템이 알람이 진성인지 판단하고, 진성으로 판단될 시 감지기를 울린 설비를 계통정보를 통해 파악한 뒤 최단 진입로 및 대피로를 계산하므로, 사고 발생 시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웹서비스부가 구비되어 실시간으로 현재상황, 알람 정보, 문제해결 방법 등을 제공하므로, 제대로 된 후속 조치가 이루어지고 있는지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2는 도 1의 정보분석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분석모듈(220)은 복합사고 판정모듈(221), 원인설비군 예측제시모듈(222), 및 출동경로 계산엔진(223)을 포함할 수 있다.
복합사고 판정모듈(221)은 머신 러닝을 이용해 알람 표시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복합사고 판정모듈(221)은 주변 알람 발생 데이터와의 연관 관계를 파악하여 알람의 진/가성을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재 감지기, 및 가스 감지기의 알람이 동시에 발생되는 경우, 복합사고 판정모듈(221)은 발생된 알람을 진성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화재 감지기에서 알람이 발생되고, 주변에서 화기 작업이 진행 중인 경우, 복합사고 판정모듈(221)은 발생된 알람을 가성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누수 감지기의 경우, 예민한 감지기에서 가성 알람이 자주 발생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진성 알람이 발생되는 평균시간간격을 계산해 연속되는 알람의 평균시간간격이 오차범위 내에 해당될 경우, 복합사고 판정모듈(221)은 발생된 알람을 진성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연속되는 알람의 평균시간간격이 오차범위를 벗어날 경우, 복합사고 판정모듈(221)은 발생된 알람을 가성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합사고 판정모듈(221)은 수학식 1을 사용하여, 알람 발생 감지기 개수 조건을 생성할 수 있다.
[수학식 1]
여기에서 a는 화재 알람 개수 일수 있으며, b는 가스 알람 개수일 수 있다. 화재 알람 개수가 2개 이상이고, 가스 알람 개수가 3개 이상일 경우, 복합사고 판정모듈(221)은 높은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 높은 가중치가 부여될수록 화재발생 알람은 진성 알람일 수 있다.
복합사고 판정모듈(221)은 수학식 2를 사용하여, 시간 조건을 생성할 수 있다.
[수학식 2]
여기서, T는 알람 발생 시간일 수 있으며, 20은 5개의 알람이 발생된 시간의 합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복합하고 판정모듈(221)은 5개의 알람이 울린 시간의 합을 계산하여,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 즉, 20분 이내에 5개 이상의 알람이 발생되는 경우, 복합사고 판정모듈은 높은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 높은 가중치가 부여될수록 발생 알람은 진성 알람일 수 있다.
또한, β는 주변환경 가중치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주변환경 가중치(β)는 날씨, 감지기 주변의 상황, 환경 등에 따른 점수로 1 내지 10 사이로 설정할 수 있다.
구분 주변환경 가중치(β)
감지기 주변에 환경변화가 없는 경우 1
감지기 주변에서 화기작업 진행 중인 경우 7
감지기 주변의 습도가 70% 이상인 경우 3
누수 감지기 주변에서 물청소를 하는 경우 3
감지기 주변에서 장비 유지보수 작업을 하는 경우 5
예를 들면, 표 1과 같이, 감지기 주변에 환경변화가 없는 경우, 주변환경 가중치()는 1로 설정될 수 있으며, 감지기 주변에서 화기작업이 진행 중인 경우, 주변환경 가중치(β)는 7로 설정될 수 있다. 감지기 주변의 습도가 70% 이상인 경우 및 누수 감지기 주변에서 물청소를 하는 경우 주변환경 가중치(β)는 3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감지기 주변에서 장비 유지보수 작업을 하는 경우 주변환경 가중치(β)는 5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20분이내에 5개의 알람이 발생되었는데, 주변환경 가중치(β)가 1인 경우, 발생 알람은 진성 알람일 수 있다. 예를 들어, 20분이내에 5개의 알람이 발생되었는데, 주변환경 가중치(β)가 10인 경우, 발생 알람은 가성 알람일 수 있다.
복합사고 판정모듈(221)은 수학식 3을 사용하여, 거리 조건을 생성할 수 있다.
[수학식 3]
여기서, X, Y는 감지기의 위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20분 이내에 발생된 5개 이상의 알람들이 50미터 이내의 범위 안에 존재하는 경우, 복합사고 판정모듈(221)은 높은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 높은 가중치가 부여될수록 화재발생 알람은 진성 알람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시스템에서 위의 3가지 조건을 지속적으로 판단하여 복합사고 발생을 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모니터링 체계가 더욱 강화될 수 있다. 시스템에서 위의 3가지 조건은 적용 사업장의 규모, 감지기의 수 등에 따라 조정될 수 있다.
원인설비군 예측제시모듈(222)은 알람이 발생된 설비를 예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원인설비군 예측제시모듈(222)은 알람 발생 시 주변 설비들의 상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저장하고, 분석할 수 있다. 원인설비군 예측제시모듈(222)은 순간적으로 전압, 온도, 및 압력 등의 변화가 발생한 설비를 추적하고, 상기 설비의 계통 데이터를 분석하여 알람 발생의 원인이 된 설비를 예측할 수 있다. 즉, 원인설비군 예측제시모듈(222)은, 감지기와 가까운 설비에서 알람이 발생되었다고 단정지을 수 없으므로, 등록된 계통 정보로 연관된 설비들 상태를 분석하여 알람 발생의 원인이 된 설비를 예측할 수 있다.
출동경로 계산엔진(223)은 알람이 울린 시스템까지의 최단 진입 거리를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동경로 계산엔진(223)은 알람 발생의 원인이 된 설비의 위치를 저장하고, 출입구로부터 상기 설비까지의 최단 출동 경로를 계산할 수 있다. 또한, 문제해결을 위해 필요한 출동인원의 현위치를 저장하고, 출동인원의 현위치로부터 상기 알람 발생 설비까지의 최단 출동 경로를 계산할 수 있다.
정보분석모듈(220)은 대피경로 계산엔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피경로 계산엔진은 알람 발생 설비의 주변에 있는 사용자들의 위치를 저장하고, 사용자들의 위치로부터 출입구 또는 대피소까지의 최단 대피 경로 및 이동시간을 계산할 수 있다. 이 경우, 대피경로 계산엔진은 이동시 혼잡을 막기위하여, 각 장소에 있는 사용자들이 가장 효율적으로 대피할 수 있는 동선을 파악하여, 최단 대피 경로를 계산할 수 있다.
정보분석모듈(220)은 분석된 정보를 웹서비스부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합사고 판정모듈(221)은 발생된 알람이 진성일 경우, 알람 발생 정보를 웹서비스부로 전송할 수 있다. 원인설비군 예측제시모듈(222)은 알람이 발생된 설비를 예측하고, 설비의 위치 및 알람 발생 원인 등의 정보를 웹서비스부로 전송할 수 있다. 출동경로 계산엔진(223)은 알람이 울린 시스템까지의 최단 진입 거리를 웹서비스부로 전송할 수 있다. 대피경로 계산엔진은 알람 발생 설비의 주변에 있는 사용자들의 위치 및 최단 대피 경로를 웹서비스부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주변 알람 발생 데이터와의 연관 관계를 파악하여 알람의 진/가성을 판단하고, 최단 출동 경로를 제시하기 때문에, 사고 발생 시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대피경로 계산엔진이 사용자에게 최단 대피 경로를 제시하기 때문에, 사고 발생 시 대피로를 확보할 수 있으므로, 인명피해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3은 도 1의 웹서비스부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웹서비스부(230)는 모니터링 브라우저(231), 및 GIS 2D/3D엔진(232)을 포함할 수 있다.
모니터링 브라우저(231)는 메인화면(231a), 모니터링화면(231b), 가스 대시보드화면(231c), 가스감지기 관리화면(231d), 통합이벤트 관리화면(231e), 객체 관리화면(231f), 및 지진계 화면(231g)을 포함할 수 있다.
메인화면(231a)은 현재 사업장의 상황을 요약하여 나타낼 수 있다. 메인화면(231a)은 모니터링 브라우저(231)에 가장 먼저 표시되는 화면일 수 있다. 메인화면(231a)은 미리 등록된 사업장에서 발생한 알람 정보, 및 날씨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메인화면(231a)은 SMS전송부를 포함할 수 있다. SMS 전송부는 사용자의 연락처를 검색할 수 있는 팝업부, 메시지를 작성할 수 있는 텍스트 작성부, 및 팝업부에서 검색된 연락처로 작성된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는 송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SMS전송부가 구비되기 때문에, 관리자, 및 관계자 들에게 실시간으로 사업장의 감지기, 설비, 알람 정보를 전달하고 공유할 수 있다.
메인화면(231a)은 최근 발생 이벤트부를 포함할 수 있다. 최근 발생 이벤트부는 최근 발생된 복수 개의 알람을 순서대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 개의 알람은 최대 7일 수 있다. 7개의 알람이 최근 발생된 순서로 나열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알람 목록에서 특정 알람을 선택하는 경우, 선택된 특정 알람의 모니터링화면(231b)으로 이동할 수 있다. 모니터링화면(231b)은 선택된 특정 알람이 발생된 해당층의 3D 도면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웹서비스부(230)에 표시되는 복수의 메뉴 중에서 모니터링화면(231b)을 선택하고 해당층을 선택하는 경우, 동일한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모니터링화면(231b)은 초기데이터 조회, 화면 설정, 감지기 및 설비 조회, 설비 계통정보 조회, 및 출동진입로 등의 터치 또는 클릭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초기데이터 조회는 현재 내부 상황이 실시간으로 조회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초기데이터 조회는 알람 존재 시, 조회된 첫 번째 알람의 감지기 위치를 도면 위에 빨간색 'A' 아이콘으로 표시하고, 해당 위치의 상세정보를 나타내는 창을 포함할 수 있다. 해당 위치의 상세정보 창에는 해당 위치에 설치된 감지기 및 설비의 명칭, 코드, 가동상태, 위치정보, 및 출동진입로 아이콘이 포함될 수 있다. 출동진입로 아이콘 선택 시, 3D 도면에는 해당 시설물로 접근 가능한 최단 출동 경로를 계산해 도면 위에 표시할 수 있다.
화면 설정은 시설물 표시, VIEW 설정, 및 그래픽 설정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화면 설정을 통해 한 화면에서 사용자에게 보이는 정보를 변경할 수 있다.
감지기 및 설비 조회는 시스템부에 구비된 감지기와 설비들의 정보를 조회할 때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감지기 및 설비 조회는 현재 화면의 위치를 클릭하거나, 화면 일측의 감지기 및 설비 창에 감지기 코드를 입력함으로써 조회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계통이 존재하는 설비의 경우, 계통 조회 버튼이 활성화되며, 계통 조회 선택 시 해당 설비의 계통정보가 팝업으로 날 수 있다. 계통 조회는 3D 계통보기, 블록형 계통보기, 및 차트형 계통보기가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설비 계통 정보는 알람을 울린 원인 설비군을 예측할 때 사용될 수 있고, 출동 진입로 버튼은 최단 출동 경로를 확인할 때 사용될 수 있다.
가스 대시보드화면(231c)은 알람/FDC 목록을 조회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가스 대시보드화면(231c)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차트를 활성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스 대시보드화면(231c)은 3개의 차트를 활성화할 수 있으며, 수신 설정 선택 시 수신 설정 팝업을 통해 실시간으로 수신할 알람 등급 및 위치를 수정할 수 있다. 또한, 알람 목록에서 감지기 코드 선택 시, 가스 감지기 상세정보 팝업이 호출되고, 일/시/분/초 기준으로 차트, 및 이력 정보를 조회할 수 있다. 여기서, 차트는 가스 감지기 이벤트 관리 화면의 차트와 동일할 수 있다.
가스감지기 이벤트 관리화면(231d)은 가스 감지기 정보, 알람 이력, 장애 이력 조회 및 가스 등급 관리를 포함할 수 있다. 가스 감지기 정보는 시스템부에 설치된 가스감지기 각각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알람 이력은 선택된 위치 조건과 기간 동안 울렸던 알람을 표 형식으로 표시할 수 있다. 장애 이력 조회는 선택된 위치 조건과 기간 동안 감지기가 일으켰던 장애 문제를 목록으로 표시할 수 있다. 가스 등급 관리는 가스 코드 별 가스 명과 단위, 등급별 수치를 표시하고, 설정할 수 있다.
통합이벤트 관리화면(231e)은 시스템부로부터 전송된 모든 알람 상황을 표시할 수 있다. 통합이벤트 관리화면(231e)은 세부이벤트 내역을 포함할 수 있다. 세부 이벤트내역 선택 시, 이벤트 내역 탭과 사업장에 설치된 감지기 정보를 나열하는 감지기 정보 탭이 나타날 수 있다.
객체 관리화면(231f)은 구역별 설치되어있는 객체들에 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객체들은 감지기 및 설비 일 수 있다.
지진계 화면(231g)은 지진 감지 모니터링 맵, 지진 알람 이력, 및 실시간 지진 계측 현황 탭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진 감지 모니터링 맵은 각 사업장의 위치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느 하나의 사업장 선택 시, 해당 사업장의 실시간 지진 계측현황 상세정보와 MMI (Modified Mercalli Intensity), gal 수치를 차트로 표시할 수 있다. 지진 알람 이력은 사업장의 지진 알람 이력 상세정보와 MMI, gal 수치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지진 감지 모니터링 맵 아래에는 지진 위험 단계를 각기 다른 색으로 표시하고 있으며 각 단계를 나타내는 이미지 위로 마우스 커서를 올리면 지진의 영향 범위와 행동 요령을 표시할 수 있다.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2D/3D엔진(232)은 공간 및 지리정보 데이터를 저장하고, 설계하는 정보시스템일 수 있다. GIS 2D/3D엔진(232)은 사업장의 구조를 2D 및 3D로 시각화하고, 공간을 효율적으로 분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웹서비스부가 구비되기 때문에, 시스템에 대한 정보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시스템 관리자뿐만 아니라 시스템에 등록된 계정을 가진 사람들은 모두 실시간으로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모니터링 서버에 접속하여 공장 내 감지기 및 설비의 상태 정보를 파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비의 계통보기 화면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계통이 존재하는 설비의 경우, 계통 조회 버튼이 활성화되며, 계통 조회 버튼 선택 시 해당 설비의 계통정보가 팝업으로 날 수 있다. 계통 조회는 3D 계통보기, 블록형 계통보기, 차트형 계통보기가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설비 계통 정보 화면은 설비의 계통정보가 필요하거나, 알람을 울린 원인 설비군을 예측할 때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알람이 발생되는 경우, 원인설비군 예측제시모듈은 주변 설비들의 상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저장하고, 분석할 수 있다. 이 경우, 원인설비군 예측제시모듈은 등록된 계통 정보로 연관된 설비들 상태를 분석하여 알람 발생의 원인이 된 설비를 예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용이하게 설비 계통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알람 발생 설비 예측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고, 사고 발생 시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관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관제 방법은 감지기에서 이상을 감지하고 알람을 발생하는 단계, 및 상기 알람의 진/가성을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정보 분석 모듈의 복합 사고 판정 모듈은 주변 알람 발생 데이터와의 연관 관계를 확인하여 알람의 진/가성을 판단할 수 있다.
다음, 알람이 진성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알람을 발생시킨 원인설비를 추적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알람이 발생될 경우, 예측제시모듈은 순간적으로 전압, 온도, 및 압력 등의 급격한 변화가 발생한 설비를 파악할 수 있다. 그 후, 설비의 계통 데이터를 분석하여 알람 발생의 원인이 된 설비를 예측하고, 원인설비까지의 최단 출동 경로를 계산할 수 있다. 또한, 알람 발생 원인에 따라 알람 등급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알람 등급이 위험 수준인 경우, 시간에 따른 피해 규모를 예측할 수 있다. 또한, 예측된 피해 규모에 위치하고 있는 사용자들의 수를 파악하여, 최단 대피 경로를 계산할 수 있다.
다음, 시스템서버의 메인화면에 알람을 표시하고, 사내 메시지로 사용자에게 알람 발생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알람을 터치하여 알람 정보, 및 상기 원인설비의 상세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알람이 발생된 위치로 관계자 또는 구조대의 출동이 필요한 경우, 관계자 또는 구조대에게 최단 출동 경로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알람 발생 위치에 근접해 있는 사용자들에게 대피 안내 메시지 및 최단 대피 경로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알람 등급이 위험 수준인 경우, 피해가 발생되는 예상 영역을 설정하고, 예상 영역에 위치한 사람들의 대피유무를 확인한 후, 예상 영역을 폐쇄할 수 있다.
다음, 알람 발생의 원인을 해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알람 등급이 경미한 수준인 경우, 관계자가 원인설비를 정비함으로써 알람 발생 원인을 해결 하 수 있다. 예를 들어, 알람 등급 보통인 경우, 알람이 발생된 부근에 위치한 사람들을 신속하게 대피키시고, 화제진압 장치를 가동함으로써 초기 진압을 시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알람 등급이 위험 수준인 경우, 알람이 발생된 부근에 위치한 사람들을 신속하게 대피키시고, 피해가 발생되는 예상 영역을 폐쇄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후속조치를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후속조치를 하는 단계는 메인화면을 알람을 클릭하여, 알람이 일어난 원인설비의 상세정보를 객체 관리 화면의 도면 위에 나타내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객체 관리 화면에서 알람 발생 위치의 도면을 조회하고, 도면에 표시된 감지기 및 설비의 목록을 확인하고, 감지기 및 설비의 배치를 수정함으로써, 후속 조치를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속조치 종료 후 메세지로 결과를 공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업장재해 통합관제 방법은 모니터링을 하는 중에 알람이 울리면 시스템이 알람이 진성인지 판단하고, 진성으로 판단될 시 감지기를 울린 설비를 계통정보를 통해 파악한 뒤 최단 진입로 및 대피로를 계산하므로, 사고 발생 시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업장재해 통합관제 시스템 및 그 방법은 실시간으로 현재상황, 알람 정보, 문제해결 방법 등을 제공하므로, 제대로 된 후속 조치가 이루어지고 있는지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업장재해 통합관제 시스템은 사용자에게 최단 대피 경로를 제시하기 때문에, 사고 발생 시 대피로를 확보할 수 있으므로, 인명피해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면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면 관리 방법은 통합 방재 시스템 서버에 접속해 로그인하는 단계, 화면 일측의 메뉴들 중에 객체 관리 화면을 선택하고 위치 조건 및 수정할 시스템을 선택하는 단계, 및 목록에서 원하는 감지기 또는 설비를 선택해 원하는 위치에 배치 후 세부적인 수치를 수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인화면은 객체관리 화면을 포함할 수 있다. 객체관리 화면은 위치정보 및 해당 위치의 도면을 조회하고, 도면에 도시된 감지기 및 설비의 3D 객체 목록을 표시할 수 있다. 3D 객체 목록은 객체 배치, 감지기/설비 조회, 및 그리기를 포함할 수 있다. 객체 배치는 도면에 추가하고 싶은 객체를 선택하고, 위치, 각도, 스케일 수치, 이름, 및 코드를 지정할 수 있다. 감지기/설비 조회는 조회된 감지기 또는 설비의 위치, 각도, 스케일, 수치, 이름, 및 코드를 수정할 수 있다. 그리기는 미리 완성된 그림을 업로드할 수 있다. 그리기는 도면 위에 도형, 구역을 나누기위한 벽, 및 라벨을 도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업장재해 통합관제 시스템 및 그 방법은 3D 도면에 수정이 필요할 시 직접 객체를 도면에 추가 혹은 제거할 수 있어, 공장 설비를 부분적으로 교체할 때마다 매번 도면을 새로 구축할 필요가 없으므로, 시간을 절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0: 시스템부
110: 개별방재시스템부 120: 누수모니터링시스템부
130: 설비관리시스템부
200: 시스템서버
210: 시스템연계부 220: 정보분석모듈
221: 복합사고판정모듈 222: 원인설비 예측제시모듈
223: 출동경로계산엔진 230: 웹서비스부
231: 모니터링 브라우저 232: GIS 2D/3D엔진

Claims (8)

  1. 사업장에 설치된 시스템부; 및
    상기 시스템부와 연결되어 사업장 재해를 통합 관제하는 시스템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시스템서버는,
    상기 시스템부로부터 전달되는 정보를 연계하는 시스템연계부;
    상기 시스템연계부로부터 연계된 정보를 분석하는 정보분석모듈; 및
    분석된 상기 정보를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웹서비스부를 포함하고,
    상기 정보분석모듈은,
    머신 러닝을 이용해 알람 표시 여부를 결정하는 복합사고 판정모듈;
    감지기의 알람을 발생시킨 원인설비를 예측하는 원인설비군 예측제시모듈; 및
    상기 알람이 발생된 위치까지의 최단 진입 거리를 계산하는 출동경로 계산엔진을 포함하고,
    상기 복합사고 판정모듈은,
    제1 수학식으로 시간조건을 생성하며 상기 a는 화재알람개수, 상기 b는 가스알람개수, T는 알람발생시간, 20은 알람이 발생된 시간의 합, 는 주변환경 가중치라는 특징을 가질 수 있고, 상기 는 날씨, 감지기 주변의 상황, 환경에 따른 점수로 1 내지 10 사이의 수치이며, 상기 제1 수학식은 20분 이내에 5개 이상의 알람이 발생되는지 판명하는 것인 특징을 가지고,
    상기 복합사고 판정모듈은,
    제2 수학식으로 거리조건을 생성하며 상기 a는 화재알람개수, 상기 b는 가스알람개수, 상기 X 및 Y는 감지기의 위치이며, 상기 제2 수학식은 5개 이상의 알람들이 50미터 이내의 범위 안에 존재하는지 판정하는 것인 특징을 가지는 사업장재해 통합관제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부는,
    상기 사업장의 화재, 및 가스를 감지하는 개별방재시스템부;
    상기 사업장의 누수를 감지하는 누수모니터링시스템부; 및
    상기 사업장의 설비를 관리하는 설비관리시스템부를 포함하는 사업장재해 통합관제 시스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210096858A 2021-07-23 2021-07-23 사업장재해 통합관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6404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6858A KR102640451B1 (ko) 2021-07-23 2021-07-23 사업장재해 통합관제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6858A KR102640451B1 (ko) 2021-07-23 2021-07-23 사업장재해 통합관제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5571A KR20230015571A (ko) 2023-01-31
KR102640451B1 true KR102640451B1 (ko) 2024-02-27

Family

ID=851095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6858A KR102640451B1 (ko) 2021-07-23 2021-07-23 사업장재해 통합관제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0451B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42483A (ko) * 2008-10-16 2010-04-26 세메스 주식회사 반도체 제조 설비의 제어 시스템 및 이의 구동방법
KR101306655B1 (ko) * 2011-12-27 2013-09-10 한국수자원공사 지능형 경보관리시스템
KR20160085033A (ko) * 2015-01-07 2016-07-15 주식회사 올젠케어 학습형 다중센서 재난감지 시스템과 그 방법
KR101957382B1 (ko) * 2016-11-25 2019-03-12 (재)한국재난안전기술원 유해 화학물질을 포함하는 재난상황의 긴급대처를 위한 통합관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재난대응 방법
KR102150173B1 (ko) * 2018-10-30 2020-09-01 주식회사 온품 건물 안전상태정보 제공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5571A (ko) 2023-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40161599A1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a building
CN105303755B (zh) 用于建筑物信息模型中的设备的自动配置的系统和方法
KR102440097B1 (ko) 전력시설에 대한 재난 예측 및 방재 시스템 및 그의 동작 방법
US2015010035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dentifying early status
US10365260B2 (en) Image based surveillance system
KR102322427B1 (ko) 빅데이터 기반의 건축물 화재 예방 대응 시스템
KR100727395B1 (ko) 무선 인터넷을 활용한 재난 대응 방법
WO2007046844A2 (en) System and method for visual representation of a catastrophic event and coordination of response
EP4075401A1 (en) Determination and notification of a location of a building safety system event
JP7343966B2 (ja) 火災報知設備及び防災設備
KR101775489B1 (ko) 소방 전원공급장치의 모니터링 시스템
CN111178828A (zh) 一种建筑消防安全预警的方法和系统
KR102213204B1 (ko) 인공 신경망을 이용하여, gis 기반의 소방 시설을 관리하고 화재를 예방하는 방법 및 장치
US20240194052A1 (en) Aspirating smoke detector device operational analysis
KR101005011B1 (ko) 통합서버룸관제시스템
KR102518678B1 (ko) 디지털트윈을 통한 화재나 재난시 안전한 피난동선 정보를 제공하는 디지털트윈 피난 플랫폼
KR102640451B1 (ko) 사업장재해 통합관제 시스템 및 그 방법
JP6215380B2 (ja) 保守管理システム
JP2005126216A (ja) 災害情報ネットワーク
CN116958900A (zh) 一种消防数据可视化监控系统及其监控方法
KR102473778B1 (ko) 인공지능 기반의 스마트 화재감지장치, 이를 포함하는 비화재보 분석 시스템
RU137808U1 (ru) Судовой аппаратно-программный комплекс для выявления предпожарных ситуаций, обнаружения возгораний и пожаров на ранней стадии, выработки прогноза распространения пожара, выработки рекомендаций вахтенной службе и аварийным партиям по действиям в сложившейся обстановке
US20220128467A1 (en) Detecting and Monitoring Gas Leaks in an Industrial Setting
KR102543102B1 (ko) 디지털 트윈 기술에 기초한 안전 사고 예방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서버 및 시스템
US1197268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wayfinding in hazardous environm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