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0304B1 - Apparatus for transporting and aligning battery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transporting and aligning batter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0304B1
KR102640304B1 KR1020210130621A KR20210130621A KR102640304B1 KR 102640304 B1 KR102640304 B1 KR 102640304B1 KR 1020210130621 A KR1020210130621 A KR 1020210130621A KR 20210130621 A KR20210130621 A KR 20210130621A KR 102640304 B1 KR102640304 B1 KR 1026403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transfer
alignment
transfer unit
trans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062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30047592A (en
Inventor
김용수
신동진
박범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양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양기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양기술
Priority to KR10202101306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0304B1/en
Publication of KR202300475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759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03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0304B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22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 B65G47/26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arranging the articles, e.g. varying spacing between individual articles
    • B65G47/30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arranging the articles, e.g. varying spacing between individual articles during transit by a series of convey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22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 B65G47/26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arranging the articles, e.g. varying spacing between individual articles
    • B65G47/28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arranging the articles, e.g. varying spacing between individual articles during transit by a single convey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ttitude Control For Articles On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래발명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이송 시스템에 관한 발명이며, 내부로 공급되는 이송물의 하측에 배치되어 이송물의 하단부를 지지하고, 이송물에 동력을 부여하는 하나 이상의 이송부(100); 상기 이송부(100)가 이송물을 운반하는 경로 내에 배치되어, 이송물을 정렬시키는 정렬부(200); 를 포함하는 배터리 이송 시스템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nsport system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inventions, and includes one or more transfer units 100 disposed below the transported object supplied inside, supporting the lower end of the transported object, and providing power to the transported object; An alignment unit 200 disposed within a path through which the transport unit 100 transports the transported object to align the transported object; It is a battery transfer system that includes.

Description

배터리 이송 시스템{Apparatus for transporting and aligning battery}Battery transport system {Apparatus for transporting and aligning battery}

본 발명은 다양한 규격으로 형성되는 배터리를 개별적으로 분리 정렬할 수 있는 이송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nsfer system that can individually separate and arrange batteries formed in various specifications.

특허문헌 001은 격자형으로 배치된 다수개의 홀을 갖는 팔레트를 이송 컨베이어에 공급하는 팔레트 공급부; 팔레트가 이송되는 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의 팔레트 상부에서 배터리를 직렬로 공급하는 메인 컨베이어와 이송컨베이어를 구동하는 컨베이어 구동부; 팔레트의 공급 유무를 감지하는 팔레트감지센서; 메인컨베이어를 통해 연속적으로 직렬 유입된 다수개의 배터리의 유무를 감지하는 배터리감지부; 실린더의 구동위치를 파악하면서 구동하여 메인 컨베이어로부터 공급된 다수개의 배터리를 메인 컨베이어의 하단으로 형성된 슈트를 통하여 팔레트에 삽입하는 푸셔 감지 및 푸셔 공압부; 각 위치의 배터리가 슈트에 수용되었는지를 감지하는 슈트 감지부; 팔레트 홀에 삽입된 다수개의 배터리 전압을 측정 및 방전하여 규정전압을 유지하는 예비방전부; 예비방전부에 다수개의 배터리가 삽입된 팔레트가 이송되었는지를 검출하는 예비방전기감지부; 장치들을 제어하는 주제어부; 를 포함하는 배터리 연속 정렬장치에 관한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Patent Document 001 includes a pallet supply unit that supplies pallets having a plurality of holes arranged in a grid to a transfer conveyor; A conveyor drive unit that drives the main conveyor and the transfer conveyor that supply batteries in series from the upper part of the pallet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pallet is transported; Pallet detection sensor that detects the presence or absence of pallet supply; A battery detection unit that detects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plurality of batteries continuously introduced in series through the main conveyor; A pusher detection and pusher pneumatic unit that operates while detecting the driving position of the cylinder and inserts a plurality of batteries supplied from the main conveyor into the pallet through a chute formed at the bottom of the main conveyor; a suit detection unit that detects whether the battery at each location is accommodated in the suit; A preliminary discharge unit that measures and discharges the voltage of a plurality of batteries inserted into the pallet hole to maintain the specified voltage; A preliminary discharge detection unit that detects whether a pallet with a plurality of batteries inserted into the preliminary discharge unit has been transferred; a main controller that controls devices; It presents a technology for a battery continuous alignment device including.

특허문헌 002는 프레임에 구비되고, 다수개의 비닐용기를 길이방향으로 정렬 안치하여 이송하는 정렬컨베이어부; 정렬컨베이어부의 배출 측에 구비되고, 비닐용기의 흡입구가 후방으로 향해 이동하는 경우, 통과시키고 비닐용기의 흡입구가 전방으로 향해 이동하는 경우, 흡입구가 후방으로 위치하도록 반전시키는 반전부; 를 포함하되, 반전부는 정렬컨베이어부에서 비닐용기의 흡입구 전방 배출 이송시 후방을 걸어주고, 비닐용기의 흡입구 후방 배출 이송시 흡입구를 상측으로 통과시키는 통과 결정부; 비닐용기의 흡입구 전방 배출 이송으로 후방에 위치한 몸통부가 통과결정부의 하측에 걸릴 때, 흡입구를 전측에서 걸어 비닐용기의 반전을 도와주는 반전걸이부; 를 포함하는 빙과용 비닐용기 정렬이송 반전장치에 관한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Patent Document 002 includes an alignment conveyor unit provided on a frame and transporting a plurality of plastic containers by aligning them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reversal unit provided on the discharge side of the alignment conveyor unit, allows passage when the inlet of the plastic container moves backward, and reverses the inlet so that the inlet is positioned rearward when the inlet of the plastic container moves forward; It includes a reverse portion, which hangs the back of the alignment conveyor unit when discharging and transporting the plastic container in front of the intake port, and passes the intake port upward when the vinyl container is discharged and transported to the rear of the suction port; When the body part located at the rear is caught on the lower side of the passage decision part due to the front discharge transfer of the inlet port of the vinyl container, the inversion hanger part that hangs the inlet port from the front side and helps the plastic container to be reversed; It presents a technology related to an alignment transfer reversal device for plastic containers for frozen desserts.

특허문헌 003은 중량물이 상부에 적재되며 외주면에 단차부들이 형성된 사각형 형상의 이송베이스; 지면과 단차부들 사이에 각각 배치되어, 이송베이스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들; 이송베이스의 네변 각각에 배치되며, 이송베이스를 수평방향으로 가압하여 이송베이스의 수평위치를 조절하는 수평이송부들; 이송베이스가 수평이송부들에 의해 가압을 받을 경우, 높이조절부들과 지면 사이의 마찰력을 줄임으로써 이송베이스가 이동되도록 하는 이송수단; 수평이송부들의 일측에 각각 배치되는 위치 측정부들로서, 이송베이스의 현재 위치를 측정하여 표시하는 위치측정부들; 중량물의 희망이송좌표를 입력받는 입력부; 위치측정부들에서 측정된 현재 이송베이스의 위치좌표와 희망이송좌표를 비교하여 높이조절부들과 수평이송부들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중량물 이송 정렬장치에 관한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Patent Document 003 includes a rectangular-shaped transfer base with a heavy object loaded on the top and step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Height adjustment units each disposed between the ground and the steps to adjust the height of the transfer base; Horizontal transfer units disposed on each of the four sides of the transfer base and adjusting the horizontal position of the transfer base by pressing the transfer bas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ransfer means that causes the transfer base to move by reducing friction between the height adjustment units and the ground when the transfer base is pressurized by the horizontal transfer units; Position measuring units each disposed on one side of the horizontal transfer units, which measure and display the current position of the transfer base; An input unit that receives desired transport coordinates of heavy objects;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height adjustment units and the horizontal transfer units by comparing the position coordinates of the current transfer base measured by the position measuring units with the desired transfer coordinates; It presents a technology related to a heavy load transport and alignment device including.

특허문헌 004는 과일공급수단으로부터 투입된 과일들을 이송하여 과일선별장치로 공급하도록 된 과일선별장치의 이송정렬장치에 있어서, 과일공급수단에 의해 투입된 과일을 이송하기 위한 벨트컨베이어 및 벨트컨베이어의 외측으로 비스듬하게 형성된 경사받침대로 된 과일이송수단; 벨트컨베이어의 상부에 횡설된 회전축의 일측에 동력전달수단이 연결되고, 회전축의 중간부에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있는 제1 브러시 및 제1 브러시의 사이에 안내판을 구비하여, 제1 브러시 사이로 과일이 포개지지 않고 벨트컨베이어의 중앙부분을 따라 일렬로 정렬되도록 안내하는 과일정렬수단; 을 포함하는 과일선별장치의 이송정렬장치에 관한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Patent Document 004 relates to a transfer and alignment device for a fruit sorting device that transports fruits input from a fruit supply means and supplies them to a fruit sorting device, including a belt conveyor for transporting fruit input by the fruit supply means and an angle slanted to the outside of the belt conveyor. A fruit transport means consisting of a tilted support formed in a similar manner; A power transmission means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rotating shaft protruding from the upper part of the belt conveyor, and a first brush is spaced at a certain interval in the middle of the rotating shaft and a guide plate is provided between the first brushes, so that the fruit passes between the first brushes. Fruit sorting means that guides the fruits to be aligned in a line along the central part of the belt conveyor without being overlapped; It presents technology related to the transfer and alignment device of the fruit sorting device, including.

KRKR 특0164465 Special 0164465 B1B1 (1998년09월12일)(September 12, 1998) KRKR 10-1613311 10-1613311 B1B1 (2016년04월11일)(April 11, 2016) KRKR 10-1567462 10-1567462 B1B1 (2015년11월03일)(November 3, 2015) KRKR 10-1069002 10-1069002 B1B1 (2011년09월23일)(September 23, 2011)

본 발명은 다양한 규격으로 형성되는 배터리를 개별적으로 분리 정렬할 수 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e able to individually separate and arrange batteries formed in various specifications.

본 발명은 종래발명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이송 시스템에 관한 발명이며, 내부로 공급되는 이송물의 하측에 배치되어 이송물의 하단부를 지지하고, 이송물에 동력을 부여하는 하나 이상의 이송부(100); 상기 이송부(100)가 이송물을 운반하는 경로 내에 배치되어, 이송물을 정렬시키는 정렬부(200); 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nsport system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inventions, and includes one or more transfer units 100 disposed below the transported object supplied inside, supporting the lower end of the transported object, and providing power to the transported object; An alignment unit 200 disposed within a path through which the transport unit 100 transports the transported object to align the transported object; Includes.

본 발명의 상기 이송부(100)는 내부로 공급되는 이송물에 1차적으로 동력을 부여하는 제1 이송부(110); 이송물이 이동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 이송부(110)의 전방에 배치되는 제2 이송부(120); 를 포함한다.The transfer unit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transfer unit 110 that primarily provides power to the conveyed material supplied inside; A second transfer unit 120 disposed in front of the first transfer unit 110 based on the direction in which the transferred object moves; Includes.

본 발명의 상기 정렬부(200)는 상기 이송부(100)의 상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적층된 구조체로 공급되는 복수의 이송물을 분리하는 제1 정렬부(210); 를 포함한다.The alignment unit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alignment unit 210 that extends from the upper end of the transfer unit 100 and separates a plurality of conveyed objects supplied to the stacked structure; Includes.

본 발명의 상기 제1 정렬부(210)는 상기 이송부(100)의 폭방향 양단부에 형성되는 복수의 지주부(211); 길이방향 양단부가 복수의 상기 지주부(211)와 결합하는 정렬 바(212); 를 포함한다.The first alignment part 21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support parts 211 formed on both ends of the transfer part 100 in the width direction; An alignment bar 212 whose longitudinal ends are coupled to the plurality of support portions 211; Includes.

본 발명의 상기 정렬 바(212)는 길이방향 양단부가 복수의 상기 지주부(211)의 상단부와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고정 바(212-1); 상기 고정 바(212-1)의 하단부와 결합하여, 소정 각도 회동하는 회동 바(212-2); 를 포함한다.The alignment bar 212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xed bar 212-1 whose longitudinal ends are formed integrally with the upper ends of the plurality of support portions 211; A rotating bar (212-2)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fixed bar (212-1) and rotated at a predetermined angle; Includes.

본 발명의 상기 정렬부(200)는 상기 이송부(100)의 상단부에 배치되고, 이송물의 이동 경로를 따라 연장되는 구조로 형성되는 제2 정렬부(220); 를 포함한다.The alignment unit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cond alignment unit 220 disposed at the upper end of the transfer unit 100 and formed in a structure extending along the movement path of the conveyed object; Includes.

본 발명의 상기 정렬부(200)는 상기 이송부(100)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이송부(100)를 관통하여 선택적으로 돌출되는 제3 정렬부(230); 를 포함한다.The alignment unit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hird alignment unit 230 disposed below the transfer unit 100 and selectively protruding through the transfer unit 100; Includes.

본 발명은 상기 이송부(100)로 복수의 이송물을 공급하는 공급부(300); 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pply unit 300 that supplies a plurality of conveyed objects to the transfer unit 100; Includes.

본 발명으로 인하여, 동시에 이송부로 투입된 복수의 이송물을 각각 분리시켜 추후 공정을 수행하는 시스템으로 공급할 수 있다.Due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eparate a plurality of conveyed objects simultaneously introduced into the conveying unit and supply them to a system that performs a later process.

또한 정렬 공정 수행 중에 복수의 이송물에 의해 발생하는 병목 현상을 해결할 수 있다.Additionally, it is possible to solve the bottleneck phenomenon caused by multiple conveyed objects during the alignment process.

도 1은 본 발명의 배터리 이송 시스템을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이송부를 나타낸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정렬부를 나타낸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의 지주부를 나타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회동 바에 대한 복수의 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정렬부를 나타낸 개념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정렬부를 나타낸 개념도.
도 8은 본 발명의 공급부를 나타낸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어부에 대한 연동 구조를 나타낸 예시도.
1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a battery transfer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e transfer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first alignment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a support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n illustration showing a plurality of embodiments of the rotating ba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second alignment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third alignment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the supply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an interlocking structure for the control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order to enable those skilled in the art to easily practice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의 실시예에서 인용하는 번호는 인용대상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모든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시한 구성과 동일한 목적 및 효과를 발휘하는 대상은 균등한 치환대상에 해당된다. 실시예에서 제시한 상위개념은 기재하지 않은 하위개념 대상을 포함한다.Numbers cited in the examples below are not limited to the objects of citation and can be applied to all examples. An object that has the same purpose and effect as the configuration presented in the examples is an equivalent replacement object. The high-level concept presented in the examples includes low-level concept objects that are not described.

(실시예 1-1) 본 발명은 이송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내부로 공급되는 이송물의 하측에 배치되어 이송물의 하단부를 지지하고, 이송물에 동력을 부여하는 하나 이상의 이송부(100); 이송물과 선택적으로 접하여, 상기 이송부(100) 내에서의 이송물을 특정 방향으로 정렬시키는 정렬부(200); 를 포함한다.(Example 1-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nsport system, and includes one or more transfer units 100 disposed below the transported object supplied inside, supporting the lower end of the transported object, and providing power to the transported object; An alignment unit 200 that selectively contacts the conveyed object and aligns the transported object in the transport unit 100 in a specific direction; Includes.

본 발명은 배터리와 같은 이송물을 운반하는 장치에 대한 발명이다. 주요 구성은 이송부(100), 정렬부(200)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transporting materials such as batteries. The main configuration consists of a combination of a transfer unit 100 and an alignment unit 200.

이송부(100)는 이송물을 순차적으로 이송시키고, 정렬부(200)는 이송부(100) 내에서 흐트러진 이송물과 물리적으로 접촉하여 정렬시키기 위한 목적을 가진다.The transport unit 100 sequentially transports the transported objects, and the alignment unit 200 has the purpose of physically contacting and aligning the disturbed transport objects within the transport unit 100.

(실시예 1-2) 본 발명은 이송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100)는 길이방향 양단부에 복수의 롤러가 배치되는 폐루프 형상의 벨트 컨베이어 구조로 형성된다.(Example 1-2)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nsport system. In Example 1-1, the transport unit 100 is formed as a closed loop-shaped belt conveyor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rollers are disposed at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

(실시예 1-3) 본 발명은 이송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100)는 폭방향 및/또는 높이방향을 따라 주기적으로 진동하는 진동 컨베이어 구조로 형성된다.(Example 1-3)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nsport system. In Example 1-1, the transport unit 100 is formed as a vibrating conveyor structure that periodically vibrates along the width direction and/or the height direction.

본 발명은 이송부(100)에 대한 발명이다. 이송부(100)는 외부로부터 투입되는 복수의 이송물을 운반하는 구성이다. 이 때, 이송부(100)의 구조나 형상은 별도로 한정하지 않는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transfer unit 100. The transport unit 100 is configured to transport a plurality of transport items input from the outside. At this time, the structure or shape of the transfer unit 100 is not specifically limited.

일실시예로, 이송부(100)는 복수의 롤러에 의해 상단부에 재치되는 복수의 이송물을 일방향으로 전진시키는 폐루프 형상의 벨트 컨베이어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구조로 형성됨에 따라, 이송부(100)는 외부로부터 롤러에 부여하는 작은 값의 동력으로도 복수의 이송물을 효율적으로 운반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transfer unit 100 may be formed as a closed-loop belt conveyor structure that advances a plurality of conveyed objects placed on the upper end in one direction by a plurality of rollers. As it is formed with the above structure, the transfer unit 100 can efficiently transport a plurality of conveyed objects even with a small amount of power applied to the roller from the outside.

다른 실시예로, 이송부(100)는 설정된 방향을 따라 주기적으로 진동하는 진동 컨베이어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구조로 형성됨에 따라, 이송부(100)로 투입되는 복수의 이송물이 적층된 구조체를 형성할 시에 운반 과정에서 적층 구조가 해제되어, 정렬부(200)의 정렬 공정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transfer unit 100 may be formed as a vibrating conveyor structure that periodically vibrates along a set direction. As it is formed with the above structure, when a plurality of transported objects input into the transport unit 100 form a stacked structure, the stacked structure is released during the transport process, so that the alignment process of the alignment unit 200 can be easily performed. You can.

(실시예 1-4) 본 발명은 이송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정렬부(200)는 상기 이송부(100)가 이송물을 운반하는 경로 내에 배치되는 구조로 형성된다.(Example 1-4)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nsfer system, and in Example 1-1, the alignment unit 200 is formed in a structure that is disposed within a path through which the transfer unit 100 transports the conveyed material. .

본 발명은 정렬부(200)가 복수의 이송물의 정렬 상태를 정립한 상태에서 이송부(100)에 의해 이송물을 타 구성으로 공급한다. 즉, 정렬부(200)는 이송부(100)에 의해 이동하는 복수의 이송물과 물리적으로 접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어야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while the alignment unit 200 establishes the alignment state of a plurality of conveyed objects, the conveyed objects are supplied in different configurations by the conveying unit 100. In other words, the alignment unit 200 must be formed in a structure that can physically contact the plurality of conveyed objects moved by the transfer unit 100.

이 때, 복수의 이송물은 이송부(100)에 의해 위치가 가변되는 구조적인 특성상, 이송물의 경로는 이송부(100)가 배치되는 공간과 동일하다. 따라서, 정렬부(200)는 이송부(100) 내에 설치되거나 이송부(100)가 이송물을 운반하는 경로 내에 배치되는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due to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plurality of transported objects whose positions are variable by the transport unit 100, the path of the transported objects is the same as the space where the transport unit 100 is placed.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alignment unit 200 is installed within the transfer unit 100 or is formed in a structure in which the transfer unit 100 transports the conveyed material.

(실시예 2-1) 본 발명은 이송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100)는 내부로 공급되는 이송물에 1차적으로 동력을 부여하는 제1 이송부(110); 이송물이 이동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 이송부(110)의 전방에 배치되는 제2 이송부(120); 를 포함한다.(Example 2-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nsfer system, and in Example 1-1, the transfer unit 100 is a first transfer unit 110 that primarily provides power to the conveyed material supplied inside. ; A second transfer unit 120 disposed in front of the first transfer unit 110 based on the direction in which the transferred object moves; Includes.

(실시예 2-2) 본 발명은 이송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100)의 이송물 운반 조건을 제어하는 제어부(400); 를 포함한다.(Example 2-2)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nsfer system, and in Example 2-1, it includes a control unit 400 that controls transport conditions of the conveyed material of the transfer unit 100; Includes.

본 발명은 이송물을 운반하는 이송부(100)의 수에 관한 것이다. 이송부(100)는 외부로부터 복수의 이송물을 공급받아 타 구성으로 운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때, 이송물의 운반 경로 중 시작점과 종점이 일체형으로 형성된다면, 이송물에 정렬 공정을 수행하는 정렬부(200)의 배치되는 위치에 제약이 따를 수 있다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number of conveying units 100 that transport conveyed objects. The purpose of the transfer unit 100 is to receive a plurality of transfer materials from the outside and transport them to another configuration. At this time, if the starting point and end point of the transport path of the conveyed object are formed integrally, a problem may arise in that there may be restrictions on the position of the alignment unit 200 that performs the alignment process on the transported object.

따라서, 본 발명의 이송부(100)는 외부로부터 이송물을 공급받는 제1 이송부(110)와 타 구성으로 이송물을 공급하는 제2 이송부(120)를 포함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제1 이송부(110)의 종점과 제2 이송부(120)의 시작점은 상호 대향 배치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transfer unit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in a structure including a first transfer unit 110 that receives the transfer material from the outside and a second transfer unit 120 that supplies the transfer material in another configuration. At this time, the end point of the first transfer unit 110 and the start point of the second transfer unit 120 may be formed to face each other.

이 때, 본 발명은 이송부(100)가 이송물을 운반하는 공정에 대한 조건을 실시간으로 제어하는 별도의 제어부(400)를 포함하는 구조로 형성됨에 따라, 관리자는 이송부(100)의 이송 공정에 대한 조건을 상황에 부합하게 조절할 수 있다.At this time, as the present invention is structured so that the transfer unit 100 includes a separate control unit 400 that controls the conditions for the process of transporting the conveyed material in real time, the manager controls the transfer process of the transfer unit 100. Conditions can be adjusted to suit the situation.

(실시예 2-3) 본 발명은 이송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2-2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이송부(100)의 이송물 운반 속도 값을 제어하는 속도 제어부(410); 를 포함한다.(Example 2-3)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nsfer system, and in Example 2-2, the control unit 400 includes a speed control unit 410 that controls the speed value of the conveyed material of the transfer unit 100; Includes.

(실시예 2-4) 본 발명은 이송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2-3에 있어서, 상기 제2 이송부(120)의 이송물 운반 속도는 상기 제1 이송부(110)의 이송물 운반 속도 보다 큰 값으로 형성된다.(Example 2-4)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nsfer system, and in Example 2-3, the transfer speed of the second transfer unit 120 is higher than the transfer speed of the first transfer unit 110. It is formed with a large value.

본 발명은 운반 공정과 정렬 공정을 실시간으로 제어하는 제어부(400)에 대한 발명이다. 즉, 제어부(400)는 이송부(100)와 연동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rol unit 400 that controls the transport process and alignment process in real time. That is, the control unit 400 may be formed in a structure that is interlocked with the transfer unit 100.

상기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제어부(400)는 이송부(100)의 회전 속도 값을 결정하는 속도 제어부(410)를 포함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속도 제어부(410)는 제1 이송부(110), 제2 이송부(120)와 각각 독립적으로 연동되는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속도 제어부(410)는 제1 이송부(110)의 회전 속도와 제2 이송부(120)의 회전 속도를 각각 독립적으로 제어한다.In order to implement the above purpose, the control unit 400 may be formed in a structure including a speed control unit 410 that determines the rotation speed value of the transfer unit 100. In addition, the speed control unit 410 is preferably formed in a structure that is independently interlocked with the first transfer unit 110 and the second transfer unit 120. That is, the speed control unit 410 independently controls the rotation speed of the first transfer unit 110 and the rotation speed of the second transfer unit 120.

이 때, 제2 이송부(120)의 회전 속도 값은 제1 이송부(110)의 회전 속도 값보다 큰 값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구조로 설계됨에 따라, 제1 이송부(110)와 제2 이송부(120)가 대향 배치되는 구간에서 회전 속도 값 차이에 의해 비스듬히 적층된 이송물 구조체에 대하여 상호 분리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rotation speed value of the second transfer unit 120 may be set to a greater value than the rotation speed value of the first transfer unit 110. As designed with the above structure, the first transfer unit 110 and the second transfer unit 120 can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with respect to the obliquely stacked transfer structure due to the difference in rotation speed in the section where the first transfer unit 110 and the second transfer unit 120 are arranged opposite each other.

(실시예 2-5) 본 발명은 이송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2-2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400)는 이송부(100)의 이송물 운반 방향을 제어하는 방향 제어부(420); 를 포함한다.(Example 2-5)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nsfer system. In Example 2-2, the control unit 400 includes a direction control unit 420 that controls the direction in which the transfer unit 100 transports the conveyed material; Includes.

본 발명은 운반 공정과 정렬 공정을 실시간으로 제어하는 제어부(400)에 대한 발명이다. 각각의 이송부(110,120)와 연동되는 제어부(400)는 이송물 운반 방향을 제어하는 방향 제어부(420)를 포함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rol unit 400 that controls the transport process and alignment process in real time. The control unit 400 linked to each of the transfer units 110 and 120 may be formed in a structure including a direction control unit 420 that controls the direction of transport of the transfer material.

즉, 방향 제어부(420)는 비스듬히 적층된 이송물 구조체에 대하여, 각각의 이송부(110,120)가 상호 대향 배치되는 구간에서 제1 이송부(110)의 이송물 운반 방향을 반전시킴에 따라, 복수의 이송물을 상호 분리할 수 있다.That is, the direction control unit 420 reverses the transfer direction of the first transfer unit 110 in the section where each transfer unit 110 and 120 are disposed opposite to each other with respect to the obliquely stacked transport structure, thereby enabling a plurality of transfers. Water can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실시예 3-1) 본 발명은 이송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정렬부(200)는 상기 이송부(100)의 상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적층된 구조체로 공급되는 복수의 이송물을 분리하는 제1 정렬부(210); 를 포함한다.(Example 3-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nsfer system, and in Example 2-1, the alignment unit 200 extends from the upper end of the transfer unit 100 and includes a plurality of units supplied to the stacked structure. A first alignment unit 210 that separates the conveyed material; Includes.

본 발명은 이송부(100)가 운반하는 이송물에 대하여 정렬 공정을 실시하는 정렬부(200)에 관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외부로부터 투입되는 복수의 이송물이 상호 적층되는 구조체를 형성할 시, 이를 분리하는 제1 정렬부(210)를 포함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lignment unit 200 that performs an alignment process on the conveyed objects carried by the transfer unit 100. In this embodiment, when forming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conveyed objects input from the outside are stacked on each other, it may be formed as a structure including a first alignment part 210 to separate them.

이 때, 제1 정렬부(210)는 이송부(100)의 상단부로부터 연장되는 구조로 형성됨에 따라, 임의의 한 이송물의 상측에 적층된 다른 하나의 이송물과 물리적으로 접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At this time, as the first alignment unit 210 is formed in a structure extending from the upper end of the transfer unit 100, it can be formed in a structure that physically contacts another transfer item stacked on top of one transfer item. .

(실시예 3-2) 본 발명은 이송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렬부(210)는 상기 제1 이송부(110)의 길이방향 중앙부에 배치되는 구조로 형성된다.(Example 3-2)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nsfer system, and in Example 3-1, the first alignment unit 210 is formed in a structure disposed at the longitudinal center of the first transfer unit 110. do.

(실시예 3-3) 본 발명은 이송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렬부(210)는 상기 제2 이송부(120)의 길이방향 중앙부에 배치되는 구조로 형성된다.(Example 3-3)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nsfer system, and in Example 3-1, the first alignment unit 210 is formed in a structure disposed at the longitudinal center of the second transfer unit 120. do.

(실시예 3-4) 본 발명은 이송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렬부(210)는 복수의 상기 이송부(110,120) 사이에 배치되는 구조로 형성된다.(Example 3-4)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nsfer system, and in Example 3-1, the first alignment unit 210 is formed in a structure disposed between the plurality of transfer units 110 and 120.

본 발명은 적층 구조체를 형성하는 복수의 이송물을 상호 분리시키는 제1 정렬부(210)에 대한 것이다. 이송부(100)의 상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제1 정렬부(210)는 제1 이송부(110) 및/또는 제2 이송부(120)의 길이방향 중앙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각각의 이송부(110,120)의 중앙부에 배치되는 구조적인 특성상, 제1 정렬부(210)는 이송부(100)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rst alignment unit 210 that separates a plurality of conveyed objects forming a laminated structure from each other. The first alignment part 210 extending from the upper end of the transfer unit 100 may be formed in the longitudinal central portion of the first transfer unit 110 and/or the second transfer unit 120. At this time, due to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being disposed at the center of each transfer unit 110 and 120, the first alignment unit 210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transfer unit 100.

또한 제1 정렬부(210)는 복수의 이송부(110,120)가 상호 대향 배치되는 구간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 정렬부(210)가 배치 또는 설치되는 위치는 별도로 한정하지 않으며, 관리자는 본 발명이 배치되는 공간과 운반 공정의 조건을 복합적으로 고려하여 제1 정렬부(210)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first alignment unit 210 may be disposed in a section where the plurality of transfer units 110 and 120 are arranged to face each other. That is, the location where the first alignment unit 210 is placed or installed is not specifically limited, and the manager determines the location of the first alignment unit 210 by taking into account the space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placed and the conditions of the transportation process. You can.

(실시예 3-5) 본 발명은 이송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렬부(210)는 상기 이송부(100)의 상면으로부터 이송물이 통과하는 높이를 제어하는 구조로 형성된다.(Example 3-5)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nsfer system, and in Example 3-1, the first alignment unit 210 controls the height at which the conveyed material passes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transfer unit 100. It is formed into a structure.

제1 정렬부(210)는 적층 구조체를 형성하는 복수의 이송물을 상호 분리시키는 구성이다. 즉, 상측에 적층된 이송물은 제1 정렬부(210)와 물리적으로 접하는 구조로 형성되어, 이송부(100)에 의해 지속적을 이동하는 하측의 이송물과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정렬부(210)는 이송부(100)의 상단부로부터 소정 높이 이격된 지점에 배치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alignment unit 210 is configured to separate a plurality of conveyed objects forming a laminated structure from each other. That is, the conveyed objects stacked on the upper side are formed in a structure that physically contacts the first alignment unit 210, and can be separated from the conveyed objects on the lower side that continuously move by the conveying unit 100. Accordingly, the first alignment unit 210 may be formed in a structure disposed at a point spaced apart from the upper end of the transfer unit 100 by a predetermined height.

이 때, 이송부(100)의 상단부로부터 이격 배치되는 제1 정렬부(210)의 높이 값은 관리자에 의해 가변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됨에 따라, 본 발명은 다양한 규격을 갖는 이송물에 대한 호환성이 향상될 수 있다.At this time, as the height value of the first alignment unit 210, which is spaced apart from the upper end of the transfer unit 100, is formed in a structure that can be changed by the manage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compatibility for conveyed objects with various specifications. It can be improved.

(실시예 4-1) 본 발명은 이송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렬부(210)는 상기 이송부(100)의 폭방향 양단부에 형성되는 복수의 지주부(211); 길이방향 양단부가 복수의 상기 지주부(211)와 결합하는 정렬 바(212); 를 포함한다.(Example 4-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veyance system, and in Example 3-1, the first alignment portion 210 includes a plurality of support portions formed on both end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conveyance portion 100 ( 211); An alignment bar 212 whose longitudinal ends are coupled to the plurality of support portions 211; Includes.

본 발명은 적층 구조체로 투입되는 복수의 이송물을 상호 분리시키는 제1 정렬부(210)에 대한 것이다. 제1 정렬부(210)는 이송부(100)의 폭방향 양단부에 배치되는 복수의 지주부(211), 길이방향 양단부가 복수의 지주부(211)와 결합하는 정렬 바(212)로 형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rst alignment unit 210 that separates a plurality of conveyed objects input into a laminated structure from each other. The first alignment portion 210 is formed of a plurality of struts 211 disposed on both end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transfer unit 100, and an alignment bar 212 whose longitudinal ends are coupled to the plurality of struts 211.

이 때, 지주부(211)는 이송부(100)의 상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일체형으로 형성되거나, 지면으로부터 기립하여 이송부(100)와 분리되는 별도의 구성으로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upport unit 211 may be formed as an integrated piece extending from the upper end of the transfer unit 100, or may be formed as a separate structure that stands up from the ground and is separated from the transfer unit 100.

(실시예 4-2) 본 발명은 이송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4-1에 있어서, 상기 지주부(211)는 상기 이송부(100)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고, 내측이 높이방향을 따라 연통되는 가이드 홈이 형성되는 지주 하우징(211-1); 을 포함한다.(Example 4-2)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veyance system. In Example 4-1, the support portion 211 protrudes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conveyance portion 100, and the inside communicates along the height direction. A holding housing (211-1) in which a guide groove is formed; Includes.

(실시예 4-3) 본 발명은 이송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4-2에 있어서, 상기 지주부(211)는 일단부가 상기 가이드 홈에 삽입되고, 타단부가 상기 정렬 바(212)와 결합하는 이동 부재(211-2); 를 포함한다.(Example 4-3)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nsfer system, and in Example 4-2, one end of the support portion 211 is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alignment bar 212. Coupled moving member (211-2); Includes.

제1 정렬부(210)는 이송부(100)의 상단부에 배치되어, 적층 구조체를 형성하는 복수의 이송물을 상호 분리시키는 구성이다. 이 때, 다양한 규격을 갖는 이송물에 대하여 상기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rst alignment unit 210 is disposed at the upper end of the transfer unit 100 to separate a plurality of conveyed objects forming a laminated structure from each other. At this time, it is desirable to form a structure that can perform the above-mentioned functions for conveyed objects having various specifications.

따라서, 제1 정렬부(210)는 내측에 높이 방향을 따라 가이드 홈이 형성되어 이송부(100)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지주 하우징(211-1)과 지주 하우징(211-1)의 내측에 삽입되어, 가이드 홈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 부재(211-2)를 포함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Therefore, the first alignment unit 210 is inserted into the support housing 211-1 and the support housing 211-1 protruding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transfer unit 100 with a guide groove formed along the height direction on the inside. , may be formed in a structure including a moving member 211-2 that moves along the guide groove.

이 때, 이동 부재(211-2)는 정렬 바(212)의 길이방향 단부와 결합하는 구조로 형성되어, 정렬 바(212)는 이동 부재(211-2)가 돌출되는 높이에 따라 위상 값이 결정된다.At this time, the moving member 211-2 is formed in a structure coupled to the longitudinal end of the alignment bar 212, and the alignment bar 212 has a phase value depending on the height at which the moving member 211-2 protrudes. It is decided.

또한 지주부(211)는 지주 하우징(211-1)의 하단부에 배치되어, 이동 부재(211-2)를 선택적으로 돌출시키는 별도의 동력 공급 수단이 포함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holding portion 211 may be disposed at the lower end of the holding housing 211-1 and may be formed in a structure that includes a separate power supply means for selectively protruding the moving member 211-2.

(실시예 4-4) 본 발명은 이송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4-1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렬부(210)는 진입하는 이송물의 높이 값을 계측하는 높이 감지 수단(211-3); 을 포함한다.(Example 4-4)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nsport system, and in Example 4-1, the first alignment unit 210 includes a height detection means 211-3 for measuring the height value of the entering transported object. ; Includes.

(실시예 4-5) 본 발명은 이송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4-4에 있어서, 상기 높이 감지 수단(211-3)은 라이다 센서, 비전 센서, 포토 센서 중 하나로 형성된다.(Example 4-5)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nsport system, and in Example 4-4, the height detection means 211-3 is formed of one of a lidar sensor, a vision sensor, and a photo sensor.

제1 정렬부(210)는 이송부(100)로 투입되는 이송물의 규격에 따라 정렬 바(212)의 위상 값이 가변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제1 정렬부(210)는 정렬 바(212)를 향하여 이동하는 이송물의 높이 값을 인지하는 높이 감지 수단(211-3)을 포함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높이 감지 수단(211-3)이 배치되는 위치는 별도로 한정하지 않는다. 즉, 이송물이 접근하는 지주 하우징(211-1)의 일면 또는 정렬 바(212)의 일면에 복수로 배치되어, 상기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The first alignment unit 210 may be formed in a structure in which the phase value of the alignment bar 212 is variable depending on the specifications of the transported object inputted into the transfer unit 100. At this time, the first alignment unit 210 may be formed in a structure that includes a height sensing means 211-3 that recognizes the height value of the conveyed object moving toward the alignment bar 212. At this time, the position where the height sensing means 211-3 is placed is not specifically limited. That is, a plurality of them ar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support housing 211-1 or one side of the alignment bar 212 to which the conveyed object approaches, and can perform the above-mentioned functions.

또한 높이 감지 수단(211-3)의 구조나 형상은 별도로 한정하지 않는다. 즉, 복수의 광센서를 이용한 포토 센서, 특정 신호를 송출하여 반사 수신되는 값을 이용한 라이다 센서, 접근하는 이송물에 대한 촬상 이미지를 획득하는 비전 센서 등으로 형성되어, 상기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structure or shape of the height sensing means 211-3 is not specifically limited. That is, it is formed of a photo sensor using a plurality of optical sensors, a lidar sensor using values reflected and received by transmitting a specific signal, and a vision sensor acquiring an image of an approaching conveyed object, etc. to perform the above functions. You can.

(실시예 5-1) 본 발명은 이송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4-1에 있어서, 상기 정렬 바(212)는 길이방향 양단부가 복수의 상기 지주부(211)의 상단부와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고정 바(212-1); 상기 고정 바(212-1)의 하단부와 결합하여, 소정 각도 회동하는 회동 바(212-2); 를 포함한다.(Example 5-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nsport system, and in Example 4-1, the alignment bar 212 has both longitudinal ends formed integrally with the upper ends of the plurality of support parts 211. Fixed bar (212-1); A rotating bar (212-2)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fixed bar (212-1) and rotated at a predetermined angle; Includes.

본 발명은 적층 구조체를 형성하는 복수의 이송물 중 상단에 적층된 이송물과 물리적으로 접하는 정렬 바(212)에 대한 것이다. 정렬 바(212)는 길이방향 양단부가 복수의 지주부(211)의 상단부와 결합하는 고정 바(212-1)와 고정 바(212-1)와 힌지 결합하는 회동 바(212-2)로 형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lignment bar 212 that physically contacts a conveyed object stacked at the top among a plurality of conveyed objects forming a laminated structure. The alignment bar 212 is formed of a fixed bar 212-1 whose longitudinal ends are coupled to the upper ends of the plurality of support parts 211, and a rotating bar 212-2 hinged to the fixed bar 212-1. do.

상기한 구조로 형성됨에 따라, 상단에 비스듬히 적층된 임의의 한 이송물이 하단의 다른 이송물보다 전방에 배치된 상태에서 제1 정렬부(210)에 과부하가 발생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As it is formed with the above structure, it is possible to prevent an overload from occurring in the first alignment unit 210 when any conveyed object stacked at an angle at the top is placed ahead of other transported objects at the bottom. there is.

(실시예 5-2) 본 발명은 이송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5-1에 있어서, 상기 고정 바(212-1)는 외주부에 곡면으로 이루어지는 강봉 형상으로 형성된다.(Example 5-2)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nsport system, and in Example 5-1, the fixed bar 212-1 is formed in the shape of a steel bar with a curved surface on the outer periphery.

(실시예 5-3) 본 발명은 이송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5-2에 있어서, 상기 회동 바(212-2)는 상기 고정 바(212-1)의 외주부를 관통하여, 상기 고정 바(212-1)를 축으로 소정 각도 회동하는 복수의 제1 회동 부재(212-2A); 를 포함한다.(Example 5-3)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nsfer system, and in Example 5-2, the pivoting bar 212-2 penetrates the outer periphery of the fixed bar 212-1, and is connected to the fixed bar 212-1. a plurality of first rotation members (212-2A) rotating at a predetermined angle about axis (212-1); Includes.

회동 바(212-2)는 고정 바(212-1)와 힌지 결합되는 구조로 형성됨에 따라, 적층 구조체로 형성되는 복수의 이송물 중 상단에 적층된 이송물에 물리적인 외력을 가하는 구조로 형성된다.As the rotating bar 212-2 is formed in a structure that is hinged to the fixed bar 212-1, it is formed in a structure that applies a physical external force to the conveyed object stacked at the top among the plurality of transported objects formed as a laminated structure. do.

이 때, 고정 바(212-1)는 외주부가 곡면으로 형성되는 강봉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회동 바(212-2)는 고정 바(212-1)의 횡단면과 대응되는 형상의 홀을 갖는 복수의 제1 회동 부재(212-2A)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제1 회동 부재(212-2A)는 홀로부터 연장되어 상단에 적층된 이송물과 접하는 연장부가 형성될 수 있으며, 연장부와 물리적으로 접하는 이송물의 상태에 따라 홀의 중심부를 축으로 하여 소정 각도 회동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xed bar 212-1 is made of a steel bar shape whose outer periphery is formed as a curved surface, and the pivoting bar 212-2 has a plurality of holes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cross section of the fixed bar 212-1. It may be formed as a first rotating member 212-2A. At this time, the first rotating member 212-2A may extend from the hole to form an extension that contacts the conveyed material stacked on the top, and has a predetermined axis centered on the center of the hole depending on the state of the transported material physically in contact with the extended portion. The angle can be rotated.

(실시예 5-4) 본 발명은 이송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5-1에 있어서, 상기 회동 바(212-2)는 상기 고정 바(212-1)의 폭방향 일측과 힌지 결합하는 구조로 형성된다.(Example 5-4)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nsport system, and in Example 5-1, the pivoting bar 212-2 is hinged to one sid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fixed bar 212-1. is formed by

회동 바(212-2)는 고정 바(212-1)의 하단부와 힌지 결합으로 이루어져, 고정 바(212-1)를 기준으로 소정 각도 회동하는 구성이다. 이 때, 회동 바(212-2)는 고정 바(212-1)의 폭방향 일측 모서리를 기준으로 회동할 수 있으며, 이송물은 이송부(100)에 의해 고정 바(212-1)의 폭방향 타측에서 일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운반된다.The rotating bar 212-2 is hinged with the lower end of the fixed bar 212-1 and rotates at a predetermined angle relative to the fixed bar 212-1. At this time, the rotating bar 212-2 can be rotated based on one edg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fixed bar 212-1, and the conveyed object is mov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fixed bar 212-1 by the transfer unit 100. It is transported from one side to the other.

(실시예 5-5) 본 발명은 이송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5-4에 있어서, 상기 회동 바(212-2)는 상기 고정 바(212-1)의 하단부와 결합하는 탄성부(212-2B); 상기 탄성부(212-2B)와 결합하는 제2 회동 부재(212-2C); 를 포함한다.(Example 5-5)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nsport system, and in Example 5-4, the pivoting bar 212-2 has an elastic portion 212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fixed bar 212-1. -2B); a second rotating member (212-2C) coupled to the elastic portion (212-2B); Includes.

(실시예 5-6) 본 발명은 이송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5-5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212-2B)는 비틀림 코일, 판스프링 중 하나로 형성된다.(Example 5-6)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nsport system, and in Example 5-5, the elastic portion 212-2B is formed of one of a torsion coil and a leaf spring.

회동 바(212-2)는 고정 바(212-1)의 하단부와 힌지 결합하는 구조로 형성됨에 따라, 상측에 적층된 이송물에 의해 정렬 바(212-2)에 과부하가 발생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The pivoting bar 212-2 is formed in a hinge-coupled structure with the lower end of the fixed bar 212-1, thereby preventing the phenomenon of overloading the alignment bar 212-2 due to the conveyed material stacked on the upper side. can do.

이 때, 회동 바(212-2)는 고정 바(212-1)의 폭방향 일측 하단부에 배치되는 탄성부(212-2B)와 탄성부(212-2B) 하단부와 결합하는 제2 회동 부재(212-2C)를 포함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단에 적층된 이송물과 물리적으로 접하는 제2 회동 부재(212-2C)는 탄성부(212-2B)의 형상이 가변되는 허용응력 이상의 외력을 수신할 시에 소정 각도 회동하여, 적층 구조체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이송물을 통과시킬 수 있다.At this time, the pivoting bar 212-2 includes an elastic portion 212-2B disposed at the lower end of one sid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fixed bar 212-1 and a second pivoting member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elastic portion 212-2B ( 212-2C). That is, the second rotating member 212-2C, which is in physical contact with the conveyed material stacked on the top, rotates at a predetermined angle when receiving an external force greater than the allowable stress that changes the shape of the elastic portion 212-2B, thereby forming the laminated structure. A plurality of conveyed materials consisting of can be passed.

(실시예 6-1) 본 발명은 이송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정렬부(200)는 상기 이송부(100)의 상단부에 배치되고, 이송물의 이동 경로를 따라 연장되는 구조로 형성되는 제2 정렬부(220); 를 포함한다.(Example 6-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nsfer system, and in Example 1-1, the alignment unit 200 is disposed at the upper end of the transfer unit 100 and extends along the movement path of the conveyed object. a second alignment portion 220 formed of a structure; Includes.

(실시예 6-2) 본 발명은 이송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6-1에 있어서, 상기 제2 정렬부(220)는 상기 제2 이송부(120)가 이송물을 운반하는 경로 내에 배치되는 구조로 형성된다.(Example 6-2)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nsfer system, and in Example 6-1, the second alignment unit 220 is disposed in a path through which the second transfer unit 120 transports the conveyed material. It is formed into a structure.

본 발명은 이송부(100)가 운반하는 이송물에 대하여 정렬 공정을 실시하는 정렬부(200)에 관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송부(100)의 길이방향에 따른 각각의 지점에서 이송물이 중첩되는 현상을 방지하여, 타 구성으로 복수의 이송물이 동시에 투입되는 현상을 방지하는 제2 정렬부(220)를 포함하는 구조로 형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lignment unit 200 that performs an alignment process on the conveyed objects carried by the transfer unit 100. In this embodiment, a second alignment unit 220 is provided to prevent the phenomenon of overlapping conveyed objects at each poin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veying unit 100, thereby preventing the phenomenon of multiple conveyed objects being inputted simultaneously in different configurations. It is formed with a structure containing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2 정렬부(220)는 이송부(100)가 이송물을 운반하는 경로 내에 배치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송부(100)에 의해 이송물을 공급받는 타 구성과 비교적 인접한 위치에 설치되는 제2 이송부(120) 내에 배치되는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described purpose, the second alignment unit 220 may be formed in a structure that is disposed within the path through which the transfer unit 100 transports the conveyed material, and other components that receive the conveyed material by the transfer unit 100 It is preferable to have a structure disposed within the second transfer unit 120 installed in a relatively adjacent position.

(실시예 6-3) 본 발명은 이송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6-1에 있어서, 상기 제2 정렬부(220)는 이송물의 운반 경로 폭을 점진적으로 감소시키는 구조로 형성된다.(Example 6-3)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nsport system, and in Example 6-1, the second alignment unit 220 is formed in a structure that gradually reduces the width of the transport path of the transported object.

(실시예 6-4) 본 발명은 이송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6-3에 있어서, 상기 제2 정렬부(220)는 상기 이송부(100)의 길이방향 중앙부를 기점으로 후방부에 상호 대향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제1 게이트 부재(221); 상기 이송부(100)의 전방부에 상호 대향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제2 게이트 부재(222); 를 포함한다.(Example 6-4)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nsfer system, and in Example 6-3, the second alignment units 220 face each other at the rear portion starting from the longitudinal center of the transfer unit 100. a plurality of first gate members 221 disposed; a plurality of second gate members 222 disposed opposite to each other at the front portion of the transfer unit 100; Includes.

제2 정렬부(220)는 이송부(100)가 이송물을 운반하는 경로 내에 배치되어, 최종적으로 이송물을 공급하는 타 구성으로 이송물이 각각 개별적으로 투입되도록 정렬시키는 구성이다.The second alignment unit 220 is disposed within the path through which the transfer unit 100 transports the conveyed material, and aligns the conveyed material so that each conveyed material is individually introduced into another component that ultimately supplies the conveyed material.

즉, 제2 정렬부(220)는 복수의 이송물이 이송부(100)의 폭방향을 따라 상호 중첩됨에 따라, 타 구성으로 복수의 이송물을 동시에 공급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That is, the second alignment unit 220 can prevent a phenomenon in which a plurality of conveyed objects are simultaneously supplied in different configurations as the plurality of transported objects overlap each other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transport unit 100.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송부(100) 상단부에 배치되는 제2 정렬부(220)는 이송부(100)가 이송물을 운반하는 경로를 기준으로 이송물이 통과하는 경로의 폭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mentioned purpose, the second alignment unit 220 disposed at the upper end of the transfer unit 100 gradually reduces the width of the path through which the transfer material passes based on the path along which the transfer unit 100 transports the transfer material. It is preferable that it be formed in a structure that does.

또한 상기 제2 정렬부(220)는 상호 대향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제1 게이트 부재(221)과 제2 게이트 부재(222)가 이송부(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alignment unit 220 may be formed in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first gate members 221 and second gate members 222 arranged opposite to each other are sequentially arrang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ransfer unit 100. You can.

(실시예 6-5) 본 발명은 이송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6-4에 있어서, 상기 제1 게이트 부재(221)는 이송물의 운반 경로를 기준으로 소정 각도 경사진 구조로 형성된다.(Example 6-5)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nsport system, and in Example 6-4, the first gate member 221 is formed in a structur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based on the transport path of the transported object.

(실시예 6-6) 본 발명은 이송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6-4에 있어서, 상기 제2 게이트 부재(222)는 이송부(100)의 폭방향을 따라 소정 거리 이동하는 구조로 형성된다.(Example 6-6)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nsfer system, and in Example 6-4, the second gate member 222 is formed in a structure that moves a predetermined distance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transfer unit 100. .

이송부(100) 상단부에 배치되는 제2 정렬부(220)는 운반되는 이송물의 경로 폭이 점진적으로 감소되는 구조로 형성됨에 따라, 이송부(100)의 길이방향에 따른 각 지점에서 이송부(100)의 폭방향을 따라 복수의 이송물이 중첩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The second alignment unit 220 disposed at the upper end of the transfer unit 100 is formed in a structure in which the path width of the transported object is gradually reduced, so that the transfer unit 100 is aligned at each poin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ransfer unit 100.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henomenon of multiple conveyed objects overlapping along the width direction.

제2 정렬부(220)로 접근하는 이송물은 복수의 제1 게이트 부재(221) 사이를 우선적으로 통과한다. 이 때, 복수의 제1 게이트 부재(221)는 이송부(100)의 길이방향으로부터 소정 각도 경사져 폭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구조로 형성됨에 따라, 동시에 투입되는 복수의 이송물이 상호 분리될 수 있다.Transport material approaching the second alignment unit 220 preferentially passes between the plurality of first gate members 221 . At this time, the plurality of first gate members 221 ar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from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ransfer unit 100 and are formed in a structure whose width gradually decreases, so that a plurality of conveyed objects simultaneously input can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이 때, 제2 정렬부(220)를 통과하는 복수의 이송물이 복수의 게이트 부재 사이에 끼이는 병목 현상이 발생하 할 수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2 정렬부(220)는 복수의 제2 게이트 부재(222)가 이송부(100)의 폭방향을 따라 소정 거리 왕복 운동을 수행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복수의 게이트 부재 사이에 끼어 있는 복수의 이송물에 진동을 부여하여, 상기한 병목 현상을 해결할 수 있다.At this time, a bottleneck phenomenon may occur in which a plurality of transported objects passing through the second alignment unit 220 are caught between a plurality of gate members. 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 the second alignment unit 220 may be formed in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second gate members 222 perform a reciprocating movement a predetermined distance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transfer unit 100. That is, by applying vibration to a plurality of conveyed objects sandwiched between a plurality of gate members, the above-described bottleneck phenomenon can be solved.

(실시예 7-1) 본 발명은 이송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정렬부(200)는 상기 이송부(100)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이송부(100)를 관통하여 선택적으로 돌출되는 제3 정렬부(230); 를 포함한다.(Example 7-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nsfer system. In Example 1-1, the alignment unit 200 is disposed below the transfer unit 100 and penetrates the transfer unit 100. a third alignment part 230 that selectively protrudes; Includes.

본 발명은 이송부(100)가 운반하는 이송물에 대하여 정렬 공정을 실시하는 정렬부(200)에 관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외부로부터 투입되는 복수의 이송물이 비스듬하게 상호 적층되는 구조체를 형성할 시, 이를 분리하는 제3 정렬부(230)를 포함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lignment unit 200 that performs an alignment process on the conveyed objects carried by the transfer unit 100. In this embodiment, when a plurality of transported objects input from the outside are diagonally stacked on each other to form a structure, the structure may be formed to include a third alignment part 230 that separates them.

이 때, 제3 정렬부(230)는 비스듬하게 적층된 상단의 이송물 하단부와 물리적으로 접하는 구조로 형성됨에 따라, 복수의 이송물을 상호 분리시킬 수 있다.At this time, the third alignment unit 230 is formed in a structure that physically contacts the lower end of the obliquely stacked upper conveyed objects, thereby allowing the plurality of transported objects to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실시예 7-2) 본 발명은 이송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7-1에 있어서, 상기 제3 정렬부(230)는 복수의 상기 이송부(100) 사이에 배치되는 구조로 형성된다.(Example 7-2)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nsfer system, and in Example 7-1, the third alignment unit 230 is formed in a structure disposed between the plurality of transfer units 100.

제3 정렬부(230)는 상단의 이송물 하단부와 선택적으로 접하여, 비스듬하게 적층된 구조체를 이루는 복수의 이송물을 상호 분리시킨다.The third alignment unit 230 selectively contacts the lower end of the upper conveyed material to separate a plurality of conveyed objects forming an obliquely stacked structure from each other.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3 정렬부(230)는 복수의 이송물을 운반하는 이송부(100)의 상단부를 향하여 선택적을 돌출되는 구조로 형성되어야 한다. 따라서, 제3 정렬부(230)는 복수의 이송부(110,120)가 상호 대향되어 배치되는 사이 구간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mentioned purpose, the third alignment unit 230 should be formed in a structure that selectively protrudes toward the upper end of the transfer unit 100 that transports a plurality of conveyed objects. Accordingly, the third alignment unit 230 is preferably formed in a section between the plurality of transfer units 110 and 120 arranged to face each other.

(실시예 7-3) 본 발명은 이송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7-2에 있어서, 상기 제3 정렬부(230)는 상기 이송부(100)의 높이방향을 따라 승강하는 승강 부재(231); 상기 승강 부재(231)의 하단부와 결합하여, 상기 승강 부재(231)의 위상을 결정하는 제1 동력 공급 수단(232); 을 포함한다.(Example 7-3)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nsfer system, and in Example 7-2, the third alignment unit 230 is a lifting member 231 that moves up and down along the height direction of the transfer unit 100. ; A first power supply means (232)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lifting member (231) to determine the phase of the lifting member (231); Includes.

(실시예 7-4) 본 발명은 이송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7-3에 있어서, 상기 제1 동력 공급 수단(232)은 내부의 유량 값에 의해 상기 승강 부재(231)의 위치를 결정하는 액추에이터; 를 포함한다.(Example 7-4)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nsfer system, and in Example 7-3, the first power supply means 232 determines the position of the lifting member 231 by the internal flow rate value. Actuator that does; Includes.

제3 정렬부(230)는 이송부(100)의 상단부를 향하여 선택적으로 돌출되는 구조로 형성됨에 따라, 비스듬하게 적층된 구조체로 이루어진 복수의 이송물을 상호 분리시킨다.The third alignment unit 230 is formed in a structure that selectively protrudes toward the upper end of the transfer unit 100, thereby separating a plurality of conveyed objects composed of obliquely stacked structures from each other.

이송부(100)로부터 선택적으로 돌출되는 구조를 실현하기 위하여, 제3 정렬부(230)는 상승 또는 하강하는 승강 부재(231)와 승강 부재(231)의 위상 값을 결정하는 제1 동력 공급 수단(232)을 포함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In order to realize a structure that selectively protrudes from the transfer unit 100, the third alignment unit 230 includes a rising or falling lifting member 231 and a first power supply means for determining the phase value of the lifting member 231 ( 232).

이 때, 제1 동력 공급 수단(232)은 승강 부재(231)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승강 부재(231)의 위치를 결정하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액추에이터 구조로 형성되는 제1 동력 공급 수단(232)의 피스톤이 승강 부재(231)와 결합되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에 따라, 상기한 구조로 설계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rst power supply means 232 may be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lifting member 231 and may be formed in a structure including an actuator that determines the position of the lifting member 231. That is, the piston of the first power supply means 232, which is formed as an actuator structure, is combined with the lifting member 231 or is formed as one piece, so that it can be designed with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제1 동력 공급 수단(232)을 구성하는 액추에이터는 공압 또는 유압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전동모터로 구동되는 리니어액추에이터로 치환 가능하다.The actuator constituting the first power supply means 232 may be used pneumatically or hydraulically, and may be replaced with a linear actuator driven by an electric motor.

(실시예 7-5) 본 발명은 이송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7-3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400)는 제1 상기 동력 공급 수단(232)과 연동되어, 상기 승강 부재(231)의 위상 값을 제어하는 높이 제어부(430); 를 포함한다.(Example 7-5)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nsfer system, and in Example 7-3, the control unit 400 is linked with the first power supply means 232 to control the lifting member 231. Height control unit 430 that controls the phase value; Includes.

본 발명은 운반 공정과 정렬 공정을 실시간으로 제어하는 제어부(400)에 대한 발명이다. 정렬부(200)와 연동되는 제어부(400)는 이송부(100)의 상단부를 기준으로 부재에 대한 높이 값을 제어하는 높이 제어부(430)를 포함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rol unit 400 that controls the transport process and alignment process in real time. The control unit 400 linked to the alignment unit 200 may be formed to include a height control unit 430 that controls the height value of the member based on the upper end of the transfer unit 100.

즉, 높이 제어부(430)는 비스듬히 적층된 이송물 구조체에 대하여, 제1 정렬부(210)와 제3 정렬부(230)의 높이 값을 결정하여 적층 구조체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이송물을 상호 분리할 수 있다.That is, the height control unit 430 determines the height values of the first alignment unit 210 and the third alignment unit 230 with respect to the conveyed object structures stacked at an angle to separate the plurality of transported objects made of the stacked structure from each other. You can.

(실시예 8-1) 본 발명은 이송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100)로 복수의 이송물을 공급하는 공급부(300); 를 포함한다.(Example 8-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nsfer system, and in Example 1-1, a supply unit 300 that supplies a plurality of conveyed objects to the transfer unit 100; Includes.

본 발명은 이송부(100)로 복수의 이송물을 투입시키는 공급부(300)에 대한 발명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pply unit 300 that injects a plurality of conveyed objects into the transfer unit 100.

이송부(100)는 복수의 이송물을 타 구성으로 공급하고, 정렬부(200)는 이송부(100) 내에서 중첩되어 운반되는 복수의 이송물과 물리적으로 접하여 상호 분리시키고 재정렬시키는 구성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공급부(300)로부터 복수의 이송물을 공급받는 구조로 형성됨에 따라, 이송부(100)와 정렬부(200)는 상기한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The transfer unit 100 supplies a plurality of conveyed objects in different configurations, and the alignment unit 200 is configured to physically contact the plurality of conveyed objects overlapped and transported within the transport unit 100 to separate and realign them. Therefore, as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a structure that receives a plurality of conveyed objects from the supply unit 300, the transfer unit 100 and the alignment unit 200 can perform the above-described process.

(실시예 8-2) 본 발명은 이송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8-1에 있어서, 상기 공급부(300)는 상기 이송부(100)의 상면과 대향 배치되고, 높이 방향 양단부가 연통된 구조로 형성되는 가이드 호퍼(310); 를 포함한다.(Example 8-2)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nsfer system. In Example 8-1, the supply unit 300 is disposed opposite to the upper surface of the transfer unit 100, and has a structure in which both ends in the height direction communicate. A guide hopper 310 is formed; Includes.

(실시예 8-3) 본 발명은 이송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8-2에 있어서, 상기 호퍼(310)는 상단 개구부 단면적이 하단 개구부 단면적보다 큰 값의 상광하협 구조로 형성된다.(Example 8-3)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nsport system, and in Example 8-2, the hopper 310 is formed in an upper-lower narrow structure where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upper opening is larger tha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lower opening.

공급부(300)는 이송부(100)로 복수의 이송물을 공급하는 구성이다. 이 때, 이송부(100)가 폐루프 구조의 컨베이어로 형성되는 구조적인 특성상, 공급부(300)는 이송부(100)의 상단부로 이송물을 공급하는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upply unit 300 is configured to supply a plurality of conveyed objects to the transfer unit 100. At this time, due to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transfer unit 100 being formed as a closed-loop conveyor, the supply unit 300 is preferably formed in a structure that supplies the conveyed material to the upper end of the transfer unit 100.

따라서, 공급부(300)는 높이방향 양단부가 연통됨과 동시에 하단 개구부가 이송부(100)의 상단부와 대향 배치되는 가이드 호퍼(310)를 포함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supply unit 300 may be formed in a structure including a guide hopper 310 in which both ends in the height direction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nd at the same time the lower opening is disposed to face the upper end of the transfer unit 100.

이 때, 가이드 호퍼(310)는 상광하협 구조로 형성됨에 따라, 이송부(100)의 길이방향 또는 폭방향에 따른 동일 지점에서 중첩되는 이송물의 수를 최소화할 수 있다.At this time, as the guide hopper 310 is formed in an upper-lower-lower structure, the number of conveyed objects overlapping at the same point along the longitudinal or width direction of the conveying unit 100 can be minimized.

(실시예 8-4) 본 발명은 이송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8-2에 있어서, 상기 호퍼(310)는 하단부에 형성되어, 복수의 이송물에 외력을 가하는 요동부(311); 를 포함한다.(Example 8-4)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nsport system. In Example 8-2, the hopper 310 includes a rocking part 311 formed at the lower end to apply an external force to a plurality of transported objects; Includes.

가이드 호퍼(310)는 높이방향 양단부가 상호 연통되는 구조로 형성되어, 복수의 이송물을 이송부(100)로 공급한다. 이 때, 가이드 호퍼(310)의 하단 개구부는 상단 개구부보다 단면적이 작은 값으로 형성됨에 따라, 이송부(100)의 길이방향 또는 폭방향에 따른 동일 지점에서 상호 중첩되는 이송물의 수를 최소화할 수 있다.The guide hopper 310 is formed in a structure in which both ends in the height direction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nd supplies a plurality of conveyed objects to the conveying unit 100. At this time, as the lower opening of the guide hopper 310 is formed to have a smaller cross-sectional area than the upper opening, the number of conveyed objects that overlap each other at the same point along the longitudinal or width direction of the conveying unit 100 can be minimized. .

그러나 이송물이 낙하하는 경로의 폭이 감소됨에 따라, 가이드 호퍼(310) 하단부에서 복수의 이송물이 끼이게 되는 병목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However, as the width of the path along which the transported objects fall decreases, a bottleneck phenomenon in which a plurality of transported objects are caught at the lower end of the guide hopper 310 may occur.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가이드 호퍼(310)의 하단부에는 복수의 이송물이 배치되는 내주부로 외력을 가하는 요동부(311)를 포함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즉, 가이드 호퍼(310) 내부에 끼어 있는 복수의 이송물에 진동을 부여하여, 상기한 병목 현상을 해결할 수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 the lower part of the guide hopper 310 may be formed with a structure including a swing part 311 that applies an external force to the inner peripheral part where a plurality of conveyed objects are disposed. In other words, the above-mentioned bottleneck phenomenon can be solved by applying vibration to a plurality of conveyed objects stuck inside the guide hopper 310.

(실시예 8-5) 본 발명은 이송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8-4에 있어서, 상기 요동부(311)는 상기 호퍼(310)의 하단 개구부를 폭방향을 따라 왕복운동하는 하나 이상의 요동 부재(311-1); 상기 요동 부재(311-1)에 동력을 부여하는 제2 동력 공급 수단(311-2); 을 포함한다.(Example 8-5)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nsfer system, and in Example 8-4, the rocking part 311 is one or more rocking parts that reciprocate the lower opening of the hopper 310 along the width direction. absence (311-1); a second power supply means (311-2) that provides power to the rocking member (311-1); Includes.

(실시예 8-6) 본 발명은 이송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8-5에 있어서, 상기 제2 동력 공급 수단(311-2)은 내부의 유량 값에 의해 상기 승강 부재(231)의 위치를 결정하는 액추에이터; 를 포함한다.(Example 8-6)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nsfer system, and in Example 8-5, the second power supply means 311-2 controls the position of the lifting member 231 by the internal flow rate value. an actuator that determines; Includes.

요동부(311)는 가이드 호퍼(310)의 하단부에 배치되어, 복수의 이송물이 통과하는 내부로 외력을 가하는 구성이다.The swing unit 311 is disposed at the lower end of the guide hopper 310 and applies an external force to the interior through which a plurality of conveyed objects pass.

상기한 구조를 실현하기 위하여, 요동부(311)는 가이드 호퍼(310)의 폭방향을 따라 왕복 운동하는 하나 이상의 요동 부재(311-1)와 요동 부재(311-1)에 동력을 부여하는 제2 동력 공급 수단(311-2)을 포함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In order to realize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the rocking portion 311 includes one or more rocking members 311-1 that reciprocate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guide hopper 310 and a device that provides power to the rocking member 311-1. It may be formed as a structure including two power supply means (311-2).

이 때, 요동 부재(311-1)가 동일한 위상에서 왕복 운동을 수행하는 구조적인 특성상, 제2 동력 공급 수단(311-2)은 공압 또는 유압 액추에이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전동모터로 구동되는 리니어액추에이터로 치환 가능하다.At this time, due to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rocking member 311-1 performing reciprocating motion in the same phase, the second power supply means 311-2 may be formed as a pneumatic or hydraulic actuator, and may be a linear actuator driven by an electric motor. It can be replaced with an actuator.

100 : 이송부 110 : 제1 이송부
120 : 제2 이송부
200 : 정렬부 210 : 제1 정렬부
211 : 지주부 211-1 : 지주 하우징
211-2 : 이동 부재
212 : 정렬 바 212-1 : 고정 바
212-2 : 회동 바 212-2A : 제1 회동 부재
212-2B : 탄성부 212-2C : 제2 회동 부재
220 : 제2 정렬부 221 : 제1 게이트 부재
222 : 제2 게이트 부재
230 : 제3 정렬부 231 : 승강 부재
232 : 제1 동력 공급 수단
300 : 공급부 310 : 가이드 호퍼
311 : 요동부 311-1 : 요동 부재
311-2 : 제2 동력 공급 수단
400 : 제어부 410 : 속도 제어부
420 : 방향 제어부 430 : 높이 제어부
100: transfer unit 110: first transfer unit
120: second transfer unit
200: alignment section 210: first alignment section
211: holding portion 211-1: holding housing
211-2: Moving member
212: alignment bar 212-1: fixed bar
212-2: Rotating bar 212-2A: First rotating member
212-2B: Elastic portion 212-2C: Second rotation member
220: second alignment part 221: first gate member
222: second gate member
230: Third alignment unit 231: Elevating member
232: first power supply means
300: Supply unit 310: Guide hopper
311: Oscillation part 311-1: Oscillation member
311-2: Second power supply means
400: Control unit 410: Speed control unit
420: direction control unit 430: height control unit

Claims (8)

이송물을 전방으로 운반하는 이송 시스템에 있어서,
내부로 공급되는 이송물의 하측에 배치되어 이송물의 하단부를 지지하고, 이송물에 동력을 부여하는 하나 이상의 이송부(100);
이송물과 선택적으로 접하여, 상기 이송부(100) 내에서의 이송물을 특정 방향으로 정렬시키는 정렬부(200);
상기 이송부(100)로 복수의 이송물을 공급하는 공급부(300); 및
상기 이송부(100)의 이송물 운반 조건을 제어하는 제어부(400); 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부(100)는,
내부로 공급되는 이송물에 1차적으로 동력을 부여하는 제1 이송부(110); 및 이송물이 이동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 이송부(110)의 전방에 배치되는 제2 이송부(120); 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이송부(100)의 이송물 운반 속도 값을 제어하는 속도 제어부(410)를 구비하여, 상기 제2 이송부(120)의 이송물 운반 속도를 상기 제1 이송부(110)의 이송물 운반속도 보다 큰 값으로 형성하고,
상기 정렬부(200)는,
상기 이송부(100)의 상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적층된 구조체로 공급되는 복수의 이송물을 분리하는 제1 정렬부(210); 및
상기 이송부(100)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이송부(100)를 관통하여 선택적으로 돌출되는 제3 정렬부(230); 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정렬부(210)는 상기 이송부(100)의 상면으로부터 이송물이 통과하는 높이를 제어하는 구조로 형성하고,
상기 공급부(300)는 상기 이송부(100)의 상면과 대향 배치되고, 높이 방향 양단부가 연통된 구조로 형성되는 가이드 호퍼(310); 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호퍼(310)는 하단부에 형성되어, 복수의 이송물에 외력을 가하는 요동부(311); 를 포함하는 배터리 이송 시스템.
In a transport system that transports the transported object forward,
One or more transport units 100 disposed below the transported object supplied inside, supporting the lower end of the transported object, and providing power to the transported object;
An alignment unit 200 that selectively contacts the conveyed object and aligns the transported object in the transport unit 100 in a specific direction;
A supply unit 300 that supplies a plurality of conveyed objects to the transfer unit 100; and
A control unit 400 that controls transport conditions of the conveyed material of the transfer unit 100; Including,
The transfer unit 100,
A first transfer unit 110 that primarily provides power to the conveyed material supplied inside; and a second transfer unit 120 disposed in front of the first transfer unit 110 based on the direction in which the transferred object moves. Includes,
The control unit 400 is provided with a speed control unit 410 that controls the transfer speed value of the transfer unit 100, and adjusts the transfer speed of the transfer unit 120 to that of the first transfer unit 110. It is formed as a value greater than the transport speed of the conveyed material,
The alignment unit 200,
a first alignment unit 210 extending from the upper end of the transfer unit 100 to separate a plurality of transfer items supplied to the stacked structure; and
a third alignment part 230 disposed below the transfer unit 100 and selectively protruding through the transfer unit 100; Includes,
The first alignment part 210 is formed in a structure that controls the height at which the transported object passes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transport unit 100,
The supply unit 300 includes a guide hopper 310 disposed opposite to the upper surface of the transfer unit 100 and formed in a structure in which both ends in the height direction are connected; Includes,
The guide hopper 310 includes a swing portion 311 formed at the lower end to apply an external force to a plurality of conveyed objects; A battery transfer system comprising a.
삭제delet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렬부(210)는,
상기 이송부(100)의 폭방향 양단부에 형성되는 복수의 지주부(211);
길이방향 양단부가 복수의 상기 지주부(211)와 결합하는 정렬 바(212); 를 포함하는 배터리 이송 시스템.
In claim 1,
The first alignment unit 210,
A plurality of support parts 211 formed on both end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transfer part 100;
An alignment bar 212 whose longitudinal ends are coupled to the plurality of support portions 211; A battery transfer system comprising a.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정렬 바(212)는,
길이방향 양단부가 복수의 상기 지주부(211)의 상단부와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고정 바(212-1);
상기 고정 바(212-1)의 하단부와 결합하여, 소정 각도 회동하는 회동 바(212-2); 를 포함하는 배터리 이송 시스템.
In claim 4,
The alignment bar 212 is,
A fixed bar (212-1) whose longitudinal ends are formed integrally with the upper ends of the plurality of support portions (211);
A rotating bar (212-2)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fixed bar (212-1) and rotated at a predetermined angle; A battery transfer system comprising a.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정렬부(200)는,
상기 이송부(100)의 상단부에 배치되고, 이송물의 이동 경로를 따라 연장되는 구조로 형성되는 제2 정렬부(220); 를 포함하는 배터리 이송 시스템.
In claim 1,
The alignment unit 200,
a second alignment unit 220 disposed at the upper end of the transfer unit 100 and formed in a structure extending along the movement path of the transfer object; A battery transfer system comprising a.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210130621A 2021-10-01 2021-10-01 Apparatus for transporting and aligning battery KR10264030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0621A KR102640304B1 (en) 2021-10-01 2021-10-01 Apparatus for transporting and aligning batter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0621A KR102640304B1 (en) 2021-10-01 2021-10-01 Apparatus for transporting and aligning batter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7592A KR20230047592A (en) 2023-04-10
KR102640304B1 true KR102640304B1 (en) 2024-02-23

Family

ID=859845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0621A KR102640304B1 (en) 2021-10-01 2021-10-01 Apparatus for transporting and aligning batter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0304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6032B1 (en) 2023-08-24 2024-02-08 박진원 Pallet loading device for vehicle battery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37421A (en) * 2001-10-31 2003-05-14 Otsuka Pharmaceut Co Ltd Work split-out device
KR100802573B1 (en) * 2007-04-20 2008-02-13 (주)에코청진 Block standing in a row apparatus
KR101553555B1 (en) * 2015-01-13 2015-09-16 이재모 One-stop apparatus for a box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64465B1 (en) 1995-10-31 1999-02-18 배순훈 Device of continuation standing in line for battery
KR101069002B1 (en) 2010-12-17 2011-09-29 신경출 The transfer line up apparatus for sorting device of fruit
KR101567462B1 (en) 2013-11-25 2015-11-09 한국기계연구원 Heavy load transfer and align apparatus
KR101613311B1 (en) 2015-08-25 2016-04-18 이익재 Appratus for aligning and transfering and reversing ice cakes vinyl tube
KR101784285B1 (en) * 2015-09-10 2017-10-12 주식회사 마린솔루션 Automatic cutting apparatus of sea urchin shells for the sea urchin of the drawer
KR102150766B1 (en) * 2018-12-06 2020-09-02 (주)하나하드닝 Arrangement of heat treatment objec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37421A (en) * 2001-10-31 2003-05-14 Otsuka Pharmaceut Co Ltd Work split-out device
KR100802573B1 (en) * 2007-04-20 2008-02-13 (주)에코청진 Block standing in a row apparatus
KR101553555B1 (en) * 2015-01-13 2015-09-16 이재모 One-stop apparatus for a box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7592A (en) 2023-04-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88218B2 (en) Modular handling system with multi-level sorter and method of using same
EP1224038B1 (en) High rate induction system
US9630785B2 (en) Buffer conveyor having parallel tracks
US6430800B1 (en) Automatic pallet fabrication apparatus and methods
US20010030102A1 (en) Article separation conveyor
EP2650240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buffering products
KR102640304B1 (en) Apparatus for transporting and aligning battery
CN112399954B (en) Conveying and sorting device
US11772131B2 (en) Method for sorting articles, and sorting device
US5052541A (en) Sorter feeder system
US7303059B2 (en) Conveyor apparatus for placing articles in a single file
EP1050464A1 (en) A mechanism for directing and distributing an article conveyed on a conveyor in a packaging system
JP2000309413A (en) Pallet conveying direction changer
KR101991293B1 (en) Fruit auto loading apparatus for fruit sorting
JP6109509B2 (en) Article alignment supply device
US20040050659A1 (en) Conveyor
KR102070069B1 (en) Apparatus for sorting fruit by using weight
US7395913B1 (en) Conveyor with belt to roller synchronization mechanism
JP7244739B2 (en) Article conveying device
JP2001269626A (en) Assorting device
KR102578270B1 (en) Conveyor system that automatically adjusts product spacing
KR20150142994A (en) Fruit select installation
JP2022188949A (en) conveyor system
JP2001269625A (en) Assorting device
KR101376967B1 (en) Automatic packaging feed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